KR102366898B1 - 천연 추출물과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여 위와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추출물과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여 위와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6898B1
KR102366898B1 KR1020190141400A KR20190141400A KR102366898B1 KR 102366898 B1 KR102366898 B1 KR 102366898B1 KR 1020190141400 A KR1020190141400 A KR 1020190141400A KR 20190141400 A KR20190141400 A KR 20190141400A KR 102366898 B1 KR102366898 B1 KR 102366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repared
lactobacillus
preparation example
pr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5208A (ko
Inventor
박인용
이예리
이민성
임광세
홍영선
정희련
Original Assignee
풀무원다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풀무원다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풀무원다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1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898B1/ko
Publication of KR20210055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8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23V2200/3204Probiotics, living bacteria to be ingested for action in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Y2220/00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여 위와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울금 추출물, 크랜베리 추출물 및 양배추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을 포함하거나; 울금 추출물, 크랜베리 추출물 및 양배추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과, 균주 배양액 또는 발효유를 포함함으로써, 배변활동 및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동시에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어 위염, 위궤양 및 십이지장궤양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천연 추출물과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여 위와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조성물{Compositions including natural extracts and probiotics that support stomach and intestinal health}
본 발명은 프로바이오틱스를 이용하여 배변활동 및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동시에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어 위염, 위궤양 및 십이지장 궤양의 예방에 도움이 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는 만성 위십이지장 질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위 점막 상피세포간 접합부에서 서식하여 만성위염, 위궤양, 소화성궤양, 위암 등의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의 특징적 성상은 위벽 상피세포에서 군락을 형성하고, 강한 우레아제(urease) 활성을 이용하여 위 점막의 혈장 삼출액이나 조직액 내에 존재하는 요소를 암모니아와 중탄산염으로 분해하여 균주 주위를 알칼리화 함으로써 위 내의 강한 산성조건에서도 살아갈 수 있다[J Microbiol Rev 59: 169-182, 1995].
또한, 단극성 편모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를 신속하게 점질층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산성 조건인 위 내에서 오랫동안의 노출을 피할 수 있게 한다. 그런데 이러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는 3가지 또는 그 이상의 약물 투여로 제균이 80% 정도에서 이루어지나, 문제는 항생제의 사용 증가에 따른 내성균의 출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를 제균하여도 위암의 발생을 현저히 줄이지 못하고 또한 제균 후에도 위염증이 지속된다. 그리고 어떤 환자에게서 제균을 해야만 하는가에 대한 권고지침이 명확치 않다는 점 등의 이유에서 최근에는 약물에 의한 제균 치료 이외에 식품이나 추출물, 백신 등의 개발에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또 다른 분야에서는 장기간 투여할 수 있는 식품이나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등을 이용한 치료에 비중이 증가되고 있다.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란 항생물질을 의미하는 안티바이오틱스(Antibiotics)와는 대립되는 어원적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장내의 미생물 균형에 도움을 주는 미생물 제제 또는 미생물 성분으로 정의되며, 비피도박테리움 속(Genus Bifidobacterium)과 락토바실루스속(Genus Lactobacillus)에 해당하는 균종과 같은 유산균이 대표적이다. 이렇게 유산균으로 대변되는 프로바이오틱스는 섭취 시 사람이나 동물에게 건강상의 이로움을 주는 살아있는 미생물로 정의된다. 이러한 유산균은 프로바이오틱스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정장작용을 하는 대표적인 식품, 건강기능식품, 식품으로 인식되어 왔다[한국식품영양학회지, 24 (4): 817-832, 2011].
프로바이오틱스에 대한 수많은 연구 결과들에 따르면 과민성장증후군, 항생제 유발 설사, 또는 염증성 장염 환자 등의 장내균총 조성은 정상인의 조성과는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유산균 섭취를 통해 병증이 개선될 수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Gastroenterology, 133 : 24-33, 2007].
또한, 프로바이오틱스는 아토피나 알러지 등과 같은 면역질환에 대한 개선 효능이 임상연구들을 통해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프로바이오틱스는 전통적으로 많이 알려진 설사 혹은 변비 개선과 같은 정장작용부터 면역질환에 이르기까지 매우 폭넓은 효능을 가지고 있다[Gastroenterology, 122 :44-54, 2002].
한편, 울금(Curcuma longa Linn)은 생강과(Zingiberaceae)의 강황속(Curcuma)으로 분류되는 다년생 식물이며, 열대 아시아가 원산지로서 인도, 중국,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재배되며 식용, 약용, 천연 염료로 사용되고 있다. 한방에서는 강황(薑黃), 울금(鬱金), 심황(深黃)을 동일한 것으로 지칭하기도 한다. 울금의 주성분은 커큐민(curcumin), 디메톡시커큐민(demethoxycurcumin), 비스디메톡시커큐민(bisdemethoxycurcumin) 등과 같은 커큐미노이드(curcuminoid) 색소 성분과 curlone, bisacumol, α-turmerone, β-turmerone, zingiberene과 같은 성분이 있다. 이중 커큐민은 생리활성물질로서 항암효과,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효과, 항산화성, 항염증, 항균효과, 해독효과, 간 장애 억제 등의 효과를 갖는 것이 계속적으로 밝혀져 오고 있다.
양배추(Brassica oleraceavar. capitata)는 십자화과 초본으로서, 양배추의 바깥부분에는 비타민 A가, 그리고 흰 속 부분에는 비타민 C가 풍부하게 들어있으며, 억세고 단단한 가운데 부분과 뿌리부분에 비타민 U 성분이 풍부하게 들어있다. 양배추에 풍부한 비타민 U는 위궤양 치료와 위장약으로 효과가 검증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제품으로 일본의 '캐비진'이 있다. 캐비진은 비타민 U의 학명으로 위염과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 등의 예방과 치료에 대표적인 제품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012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05852호
본 발명의 목적은 배변활동 및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동시에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어 위염, 위궤양 및 십이지장 궤양 등에 효과가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 배변활동 및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조성물은 울금 추출물, 크랜베리 추출물 및 양배추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울금 추출물, 크랜베리 추출물 및 양배추 추출물은 각 울금, 크랜베리 및 양배추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1 : 1 내지 100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 배변활동 및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조성물은 울금 추출물, 크랜베리 추출물 및 양배추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과 균주 배양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과 균주 배양액은 1 : 0.1-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균주 배양액은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 (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Bifidobacterium lactis) 및 비피도박테리아(Bifidobacteri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균주를 배양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 배변활동 및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조성물은 울금 추출물, 크랜베리 추출물 및 양배추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과 발효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과 발효유는 1 : 0.1-1000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발효유는 원유, 탈지분유 및 정제수가 혼합된 조제유에 균주를 접종하여 배양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균주는 Streptococcus thermophilus,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rhamnosu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helveticus, Lactobacillus casei , Bifidobacterium lactis 및 Bifidobacteri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 배변활동 및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조성물은 내성이나 안정성 등 인체에 부작용이 없고, 배변활동 및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동시에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어 위염, 위궤양 및 십이지장궤양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은 내산성 및 장내부착성이 우수하여, 배변활동 및 장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조성물, 건강식품조성물, 정장제, 생균제, 항균제, 사료첨가제, 식품첨가제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변활동 및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동시에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어 위염, 위궤양 및 십이지장궤양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 배변활동 및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용 조성물은 울금 추출물, 크랜베리 추출물 및 양배추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울금 추출물, 크랜베리 추출물 및 양배추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 시에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의 억제능이 낮지만 2종 또는 3종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억제능이 1.5 내지 20배 향상되므로 2종 또는 3종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종의 추출물을 혼합하는 경우에는 울금 추출물이 항상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울금 추출물과 다른 추출물이 1 : 1-3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의 억제능이 향상에 도움이 된다. 또한, 3종의 추출물을 혼합하는 경우에도 울금 추출물: 크랜베리 추출물: 양배추 추출물이 1 : 1-3 : 1-3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의 억제능이 향상된다.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배변활동에 도움이 되지 못하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의 억제능이 향상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관능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울금 추출물은 울금과 추출용매를 1 : 1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1 : 5 내지 2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70 내지 100 ℃에서 추출한 추출물이다. 상기 울금과 추출용매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추출물에 울금의 유효성분이 적은 양으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추출하는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이다. 상기 추출용매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물 또는 20 내지 80 부피%의 에탄올로 추출된 추출물이 우수한 효과를 보인다.
크랜베리 및 양배추 역시 상기 울금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얻은 조추출물뿐만 아니라 추출물의 가공물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울금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 배변활동 및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조성물은 추출물과 균주 배양액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울금 추출물, 크랜베리 추출물 및 양배추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로서, 균주 배양액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1종의 추출물만 사용해도 우수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능 뿐만 아니라 장이 건강해지고 배변활동이 우수해지며, 추출물을 2종 또는 3종을 사용하면 1종의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조금 더 향상된(1.2 내지 1.5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능 뿐만 아니라 더욱 장이 건강해지고 배변활동이 우수해진다.
상기 추출물과 균주 배양액은 1 : 0.1-1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0.5-1의 중량비로 혼합된다. 추출물을 기준으로 균주 배양액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배변활동 및 장 건강에 도움이 되지 못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능, 장 건강 및 배변활동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균주 배양액은 Streptococcus thermophilus,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rhamnosu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helveticus, Lactobacillus casei, Bifidobacterium lactis 및 Bifidobacteri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균주를 배양한 것으로서, 균주를 2종 이상 사용하는 경우에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를 억제시킬 수 있다면 혼합비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동일한 함량으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능에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균주 배양액은 1종 이상의 균주를 멸균된 배지에 접종시킨 후 35 내지 40 ℃의 인큐베이터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혐기배양을 수행한 것이다. 상기 배양 시 혐기배양이 아니라 호기배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관능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 배변활동 및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조성물은 추출물과 발효유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발효유는 액상 또는 호상의 형태를 보인다.
상기 추출물은 울금 추출물, 크랜베리 추출물 및 양배추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로서, 발효유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1종의 추출물만 사용해도 우수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능뿐만 아니라 장이 건강해지고 배변활동이 우수해지며, 추출물을 2종 또는 3종을 사용하면 1종의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조금 더 향상된(1.2 내지 1.5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능뿐만 아니라 더욱 장이 건강해지고 배변활동이 우수해 진다.
상기 추출물과 발효유는 1 : 0.1-1000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0.5-100의 중량비로 혼합된다. 추출물을 기준으로 발효유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능, 장 건강 및 배변활동이 향상되지 못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관능성이 저하되고 저장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발효유는 원유 100 중량부, 탈지분유 3 내지 10 중량부 및 정제수 10 내지 30 중량부를 15 내지 20 ℃에서 교반한 후 가열하여 60 내지 80 ℃에서 200 내지 300 bar로 균질시킨 다음 균질된 조제유에 균주를 0.1 내지 0.5 중량부로 접종하여 배양한 것이다.
상기 균주는 Streptococcus thermophilus,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rhamnosu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helveticus, Lactobacillus casei , Bifidobacterium lactis 및 Bifidobacteri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균주를 배양한 것으로서, 상기 균주를 2종 이상 사용하는 경우에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를 억제시킬 수 있다면 혼합비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동일한 함량으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능에 바람직하다.
균주에 대한 특성을 더욱 설명하자면, 본 발명에 사용된 Lactobacillus casei의 경우에는 Gonzalez 등의 연구에 의하면 설사 고위험군인 유아 49명을 대상으로 Lactobacillus caseiLactobacillus acidophilus로 배양한 발효유와 함유하지 않은 일반우유를 섭취 테스트한 결과, 일반우유를 섭취한 25명의 유아 중 13명(52%)이 실험기간 중이나 후에 설사 증상을 보인 반면, Lactobacillus caseiLactobacillus acidophilus로 배양한 발효유를 섭취한 24명의 유아 중 4명(7%)만 설사 증상을 보여 Lactobacillus caseiLactobacillus acidophilus가 설사 예방 및 완화에 효과적인 것을 증명하였다[Microbiologie Aliments Nutrition 349-359, 1990].; 또한, Gaon 등의 연구에 의하면 유당불내증이 있는 사람 18명과 유당불내증이 없는 12명의 사람을 대상으로 Lactobacillus caseiLactobacillus acidophilus로 발효한 발효유와 발효되지 않은 일반 우유를 섭취하게 하고 호기 수소를 확인한 결과, Lactobacillus caseiLactobacillus acidophilus로 발효한 발효유를 섭취한 그룹이 일반 우유를 섭취한 그룹에 비해 현격하게 호기 수소 농도가 낮았다. 특히, 일반 우유를 섭취하였을 때, 가스가 차고, 설사 또는 복통을 확인하였다. 이에 Lactobacillus caseiLactobacillus acidophilus가 유당의 소화를 증진시키고, 유당불내증의 과민증상을 감소시킨 것으로 보고되었다[Medicinia 55: 237-242, 1995].; 유아의 반복성 설사 증상에 대하여 Lactobacillus caseiLactobacillus acidophilus가 함유된 저온살균 우유 섭취그룹 30명과 사카로마이세스 블라르디(Saccharomyces boulardii)가 함유된 저온살균 우유 섭취그룹 30명, 플라시보로 사용된 일반 저온살균 우유 섭취 그룹 29명을 5일 동안 하루 두 번 섭취하게 하여, 설사 증상의 지속 기간과 구토 빈도를 확인한 결과, Lactobacillus caseiLactobacillus acidophilus가 함유된 저온살균 우유 섭취 그룹과 Saccharomyces boulardii가 함유된 저온살균 우유 섭취 그룹에서 설사 증상의 지속기간과 구토 빈도가 상당히 감소되었다[MEDICINA 63: 293-298, 2003].
또한, Lactobacillus acidophilusBifidobacterium lactis의 경우에는 Wang 등의 연구에 따르면 Lactobacillus acidophilusBifidobacterium lactis 섭취 후 villus height와 crypt depth의 비율이 증가한 반면, 근육 두께는 유의미하게 감소된 결과를 확인하여 장내 점막의 구조 유지에 도움을 주며, 이에 따라 장내 미생물 균총과 장내 미생물 대사를 개선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Journal of Functional Foods 48: 252-265, 2018].; Varcoe의 연구에 따르면, Clostridium rodentium에 의해 유발되는 전염성 뮤린 결장증식증의 발생 억제 연구에서, Lactobacillus acidophilus를 예방적 경구투여를 한 쥐에 Clostridium rodentium을 접종하여 확인한 결과, 결장의 샘플 무게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어, Clostridium rodentium으로 인한 전염성 결장증식증이 예방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Journal of food protection 66(3): 457-465, 2003]; Bifidobacterium lactis의 경우에는 Centanni 등의 연구에 따르면, in vitro test model 테스트를 위하여 12명의 건강한 사람으로부터 장 세포 부착 미생물 균총을 공여 받아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Bifidobacterium lactis는 염증이 있는 점막 부위에 염증을 유발하는 장내 유해균의 증가를 제어하는데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한 장내 균총 개선이 가능한 것으로 보고하였다[FEMS microbiology letters 357(2): 157-163, 2014]; Ringel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Lactobacillus acidophilusBifidobacterium lactis를 8주간 섭취한 그룹과 아닌 그룹의 복부팽만감에 대한 테스트 결과, Lactobacillus acidophilusBifidobacterium lactis를 섭취한 그룹의 복부팽만감에 대한 증상 개선과 함께 병리학적으로 Lactobacillus acidophilusBifidobacterium lactis에 의해 장내 미생물 균총이 조절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J Clin Gastroenterol. 45(6): 518-25, 2011].
Rania 등은 E. coli O157:H7, Staphylococcus aureus, Yersinia enterocolitica,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등의 병원성 균과 Lactobacillus rhamnosus 등을 동시 접종하여 만든 요거트의 미생물 균수를 확인한 결과, Lactobacillus rhamnosus를 첨가하지 않은 요거트의 미생물 균수와 비교하였을 때, Lactobacillus rhamnosus가 병원성 균의 제어에 효과적인 것을 보고하였다[International Dairy Journal 85: 1-7, 2018].
본 발명은 상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 배변활동 및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알코올 음료류, 과자류, 다이어트바, 유제품, 육류, 초코렛,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천연 추출물, 균주 배양액, 발효유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와 음료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및 각종 식물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천연 추출물, 균주 배양액, 발효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건강기능식품이란, 천연 추출물, 균주 배양액, 발효유를 음료, 차류, 향신료, 껌류,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이와 같은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의 천연 추출물, 균주 배양액, 발효유의 첨가량은, 대상인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식품 본래의 맛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면 되며, 대상 식품에 대하여 통상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10 중량%의 범위이다. 또한, 환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캡슐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의 경우에는 통상 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80 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면 된다. 한 구체 예에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환제, 정제, 캡슐제, 분말, 과립, 액상,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또는 바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건강기능식품을 통한 균주(프로바이오틱스)의 1일 섭취량은 1.0 x 105 내지 1.0 x 108 CFU/kg, 바람직하게는 1.0 x 105 내지 1.0 x 107 CFU/kg이고, 섭취는 하루에 한 번 또는 수회 나누어 섭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 Ⅰ_천연 추출물>
제조예 1. 울금 추출물
세척 및 마쇄된 울금 100 중량부에 정제수를 100 중량부를 첨가한 후 액화 및 당화효소(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효소 50 중량부)를 처리하여 추출을 한 다음 120 ℃에서 30분간 효소를 실활시킨다. 이후, 울금 추출물을 필터프레스를 이용하여 정밀 여과한 다음 농축기를 통하여 농축을 수행하고 98 ℃에서 10분간 살균함으로써 울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양배추 추출물
세척 및 마쇄된 양배추 100 중량부에 정제수를 300 중량부를 첨가한 후 가열하여 3시간 동안 열수추출을 진행한 다음 고형분 100 중량부에 정제수 300 중량부를 첨가하여 4시간 동안 2차 열수추출을 수행하였다. 상기 1차 및 2차 열수 추출된 추출액을 혼합한 후 진공감압법으로 농축시킨 다음 진공건조를 통하여 건조하고 분쇄기로 분쇄하여 양배추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크랜베리 추출물
크랜베리 과육 100 중량부에 1000 중량부의 물을 첨가하여 착즙시킨 후 상기 착즙된 크랜베리 추출물을 원심분리기로 원심분리를 수행한 다음 용액을 농축시키고, 농축된 크랜베리 추출액을 영하 70 ℃에서 동결건조한 후 분쇄기로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된 크랜베리추출분말은 평균입경 100 메시가 되도록 하여 크랜베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울금 추출물 + 크랜베리 추출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울금 추출물과 제조예 3에서 제조된 크랜베리 추출물을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울금 추출물 + 양배추 추출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울금 추출물과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 추출물을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양배추 추출물 + 크랜베리 추출물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 추출물과 제조예 3에서 제조된 크랜베리 추출물을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울금 추출물 + 양배추 추출물 + 크랜베리 추출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울금 추출물,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 추출물 및 제조예 3에서 제조된 크랜베리 추출물을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울금 추출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양배추 추출물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크랜베리 추출물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된 크랜베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Ⅰ_천연 추출물 비교>
시험예 1.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저해능이 있는 천연 추출물의 스크리닝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천연 추출물을 스크리닝하기 위하여 양배추, 소엽탱자, 크랜베리, 울금, 감초, 녹차, 아카시아꿀 등을 실험을 하였다.
분양받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ATCC43504 균에 대하여 본 발명 조성물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저해능을 측정하였다.
상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ATCC43504 균을 10% horse serum이 첨가된 Brucella broth(BD, USA) 한천배지에 접종한 후 10% CO2 및 100%습도가 유지되는 37 ℃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매 실험마다 1일간(24시간) 배양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를 1.0 x 106 CFU/ml의 균수로 실험에 사용하였다. 스크리닝을 위한 양배추, 소엽탱자, 크랜베리, 울금, 감초, 녹차, 아카시아꿀 등을 정제수와 1:1 중량비로 혼합 및 마쇄 후 0.45 μm filter를 사용하여 여과 뒤, 8 mm 페이퍼디스크(paper disk)에 50 μg을 주입한 다음 10분간 건조시켰다.
페이퍼디스크를 건조시키는 동안 FBS(Fetal bovine serum)을 10% 첨가한 Brucella agar(BD, USA)에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50 μl를 도말하였다. 상기 도말된 배지 위에 상기 페이퍼디스크를 올려놓고 10% CO2 및 100%습도가 유지되는 37 ℃ 인큐베이터에서 72시간 동안 혐기 배양하여 디스크 주위에 나타낸 생육억제환(inhibition zone)의 직경을 측정(억제환 전체 지름에서 페이퍼디스크 지름을 빼고 2로 나누어 계산함)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저해능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억제환 직경(mm)
양배추 소엽탱자 크랜베리 울금 감초 녹차 아카시아꿀
원액 4 0 0.4 6 0 0.3 0.2
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울금, 양배추, 크랜베리, 녹차, 아카시아꿀 순으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저해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시험예 2. 천연 추출물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저해능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각각의 60 ℃, 70 ℃, 80 ℃, 90 ℃ 및 95 ℃에서 열처리한 후 각각의 조성물 0.1 중량%를 1 ml의 증류수에 용해시킨 뒤, 8 mm 페이퍼디스크(paper disk)에 50 μg을 주입한 다음 10분간 건조시켰다. 페이퍼디스크를 건조시키는 동안 FBS(Fetal bovine serum)을 10% 첨가한 Brucella agar(BD, USA)에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50 μl를 도말하였다. 상기 도말된 배지 위에 상기 페이퍼디스크를 올려놓고 10% CO2 및 100%습도가 유지되는 37 ℃ 인큐베이터에서 72시간 동안 혐기 배양하여 디스크 주위에 나타낸 생육억제환(inhibition zone)의 직경을 측정(억제환 전체 지름에서 페이퍼디스크 지름을 빼고 2로 나누어 계산함)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저해능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억제환 직경(mm)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60 8.6 8.5 6.3 11.0 6.0 4.2 0.3
70 8.6 8.4 6.2 11.1 6.3 4.3 0.3
80 8.5 8.4 6.3 11.0 6.2 4.3 0.3
90 8.6 8.3 6.0 11.1 6.1 4.4 0.3
95 8.5 8.5 6.0 10.9 6.2 4.3 0.2
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저해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70 ℃ 이상의 조건에서도 헬리코박터 억제환 직경이 유지됨에 따라 식품 가공 중 살균 과정에서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저해능이 손실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pH에 따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저해능 측정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각각 70 ℃에서 열처리한 후 2N HCl와 2N NaOH을 이용하여 pH 3 내지 8로 조정하여, 분양받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ATCC43504 균에 대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저해능을 확인하였다.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생육억제환(inhibition zone)의 직경을 측정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저해능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억제환 직경(mm)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pH 3 8.4 10.3 5.8 10.8 6.3 4.3 0.3
pH 4 8.3 10.4 5.8 10.8 6.2 4.1 0.3
pH 5 8.2 10.2 5.8 10.8 6.2 4.2 0.3
pH 6 8.3 10.3 5.8 10.7 6.2 4.1 0.3
pH 7 8.2 10.2 5.7 10.7 6.2 4.2 0.2
pH 8 8.1 10.2 5.7 10.6 6.1 4.2 0.3
위 표 3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하여 pH에 따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저해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능은 pH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Ⅱ_배양액>
제조예 4. L. acidophilus LA5, B. lactis BB-12 및 L. helveticus LAFTI L10 혼합배양액 제조
L. acidophilus LA5, B. lactis BB-12 및 L. helveticus LAFTI L10을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한 균주를 멸균된 MRS broth 배지에 접종한 후 10% CO2 및 100% 습도가 유지되는 37 ℃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혐기 배양하여 L. acidophilus LA5, B. lactis BB-12 및 L. helveticus LAFTI L10 혼합배양액(BC)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L. acidophilus LA5 배양액 제조
상기 제조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L. acidophilus LA5 균주를 이용하여 배양액(BC)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6. B. lactis BB-12 배양액 제조
상기 제조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B. lactis BB-12 균주를 이용하여 배양액(BC)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7. L. helveticus LAFTI L10 배양액 제조
상기 제조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L. helveticus LAFTI L10 균주를 이용하여 배양액(BC)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8. AB LYO 배양액 제조
상기 제조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AB LYO(L. acidophilus NCFM : B. lactis Bi07 = 1 : 1의 중량비로 혼합) 균주를 이용하여 배양액(BC)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9. L. casei 431 배양액 제조
상기 제조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L. casei 431 균주를 이용하여 배양액(BC)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제조예 4의 균주 + 울금 추출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울금 추출물과 제조예 4에서 제조된 혼합배양액을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제조예 4의 균주 + 크랜베리 추출물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된 크랜베리 추출물과 제조예 4에서 제조된 혼합배양액을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제조예 4의 균주 + 양배추 추출물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 추출물과 제조예 4에서 제조된 혼합배양액을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제조예 4의 균주 + 울금 추출물 + 크랜베리 추출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울금 추출물, 제조예 3에서 제조된 크랜베리 추출물 및 제조예 4에서 제조된 혼합배양액을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제조예 4의 균주 + 울금 추출물 + 양배추 추출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울금 추출물,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 추출물 및 제조예 4에서 제조된 혼합배양액을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제조예 4의 균주배양액 + 울금 추출물 + 양배추 추출물 + 크랜베리 추출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울금 추출물,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 추출물, 제조예 3에서 제조된 크랜베리 추출물 및 제조예 4에서 제조된 L. acidophilus LA5, B. lactis BB-12 및 L. helveticus LAFTI L10의 혼합배양액을 1 :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제조예 5의 균주배양액 + 울금 추출물 + 양배추 추출물 + 크랜베리 추출물
상기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울금 추출물,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 추출물, 제조예 3에서 제조된 크랜베리 추출물 및 제조예 5에서 제조된 L. acidophilus LA5 배양액을 1 :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제조예 6의 균주배양액 + 울금 추출물 + 양배추 추출물 + 크랜베리 추출물
상기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울금 추출물,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 추출물, 제조예 3에서 제조된 크랜베리 추출물 및 제조예 6에서 제조된 B. lactis BB-12 배양액을 1 :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제조예 7의 균주배양액 + 울금 추출물 + 양배추 추출물 + 크랜베리 추출물
상기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울금 추출물,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 추출물, 제조예 3에서 제조된 크랜베리 추출물 및 제조예 7에서 제조된 L. helveticus LAFTI L10 배양액을 1 :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제조예 8의 균주배양액 + 울금 추출물 + 양배추 추출물 + 크랜베리 추출물
상기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울금 추출물,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 추출물, 제조예 3에서 제조된 크랜베리 추출물 및 제조예 8에서 제조된 AB LYO 배양액을 1 :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8. 제조예 9의 균주배양액 + 울금 추출물 + 양배추 추출물 + 크랜베리 추출물
상기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울금 추출물,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 추출물, 제조예 3에서 제조된 크랜베리 추출물 및 제조예 9에서 제조된 L. casei 431 배양액을 1 :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Ⅱ_천연 추출물과 배양액의 혼합물 비교>
제조예 4 내지 9에 따라 제조된 배양액(BC)은 배양상등액(BCF)에 비하여 조금 우수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저해능 및 장 건강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였다.
시험예 4. 배양액(프로바이오틱스) 및 천연 추출물의 혼합물에 따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저해능 측정
실시예 5 내지 10 및 비교예 4 내지 8과 같이 천연 추출물과 프로바이오틱스 배양액(BC)을 혼합한 조성물을 8 mm 페이퍼디스크(paper disk)에 50 μg을 주입한 다음 10분간 건조시켰다. 페이퍼디스크를 건조시키는 동안 FBS(Fetal bovine serum)을 10% 첨가한 Brucella agar(BD, USA)에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50 μl를 도말하였다. 상기 도말된 배지 위에 상기 페이퍼 디스크를 올려놓고 10% CO2 및 100%습도가 유지되는 37 ℃ 인큐베이터에서 72시간 동안 혐기 배양하여 디스크 주위에 나타낸 생육억제환(inhibition zone)의 직경을 측정(억제환 전체 지름에서 페이퍼디스크 지름을 빼고 2로 나누어 계산함)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저해능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억제환 직경(mm) 10.8 13.5 12.5 13.0 13.9 13.9 14.3 11.0 11.2 11.0 11.1 11.1
위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5 내지 10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은 단일 균주로 제조된 배양액을 함유한 비교예 4 내지 8에 비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저해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4 내지 8의 조성물은 3종의 천연 추출물로만 이루어진 실시예 4와 유사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저해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5. 균주의 내산성 및 내담즙성 측정
프로바이오틱스 균주의 내산성 및 내담즙성 테스트를 위하여, MRS Broth 배지에 접종하고 10% CO2 및 100%습도가 유지되는 37 ℃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 후, 배양액(제조예 5 내지 9)을 원심 분리하여 균주를 침전시켰다. 침전된 균주는 PBS 용액(pH 7.2)으로 2회 세척하여 균주를 1차 회수한 후, 완충용액 (pH 2, pH 3, pH 7)에 1x105 CFU/ml이 되도록 접종하고, 0% CO2 및 100% 습도가 유지되는 37 ℃ 인큐베이터에서 3시간 동안 배양 후, 다시 원심 분리한 다음 PBS 용액으로 세척하여 균주를 2차 회수하였다. 2차 회수한 균주를 MRS Broth 배지에 접종하고, 10% CO2 및 100% 습도가 유지되는 37 ℃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600 nm에서 배양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내산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2차 회수된 균주를 0.3%의 농도로 담즙이 첨가된 MRS Broth배지에 접종하고 10% CO2 및 100%습도가 유지되는 37 ℃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600 nm에서 배양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내담즙성을 평가하였다.
대조군으로 L. rhamnosus LGG 균주를 이용한 배양액을 사용하였으며,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배양시간 흡광도
대조군 제조예 4 제조예 5 제조예 6 제조예 7 제조예 8 제조예 9
pH 2 0 h 0.29 0.59 0.28 0.27 0.29 0.28 0.27
24 h 0.56 0.89 0.54 0.52 0.55 0.56 0.48
pH 3 0 h 0.29 0.63 0.30 0.28 0.32 0.28 0.27
24 h 0.59 0.94 0.58 0.53 0.59 0.59 0.48
0.3% Bile 0 h 0.28 0.57 0.26 0.27 0.29 0.26 0.25
24 h 0.59 0.88 0.58 0.53 0.59 0.53 0.48
위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예 4에 따라 제조된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를 함유한 배양액은 대조군 및 제조예 5 내지 9에 비하여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제조예 5 내지 9에 따라 제조된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를 함유한 배양액은 대조군과 내산성 및 내담즙성에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예 4에 따라 제조된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를 함유한 배양액은 산성과 담즙산에 강하므로 장내 생존성을 높여주어 프로바이오틱스 기능성을 향상시켜주므로 배변활동 및 장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제조예 5 내지 9에 따라 제조된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를 함유한 배양액은 제조예 4의 배양액에 비하여 산성과 담즙산에 약하므로 장내 생존성이 낮아져 배변활동 및 장 건강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
시험예 6. 프로바이오틱스의 장 부착성 검증
장세포 부착성은 프로바이오틱스로써 숙주의 장내 환경에 대한 적합성을 판단하는 대표적인 실험으로 간주된다.
대조군 및 제조예 4 내지 9의 배양액을 Caco-2 cell을 20%(v/v)의 비활성화FBS(Fetal bovine serum)와 100 unit의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항생제가 첨가된 MEM(Minimum Essential Media) high glucose 배지(Gibco, USA)에 넣고 5% CO2 및 100%습도가 유지되는 37 ℃ 인큐베이터에서 21일 동안 배양하였다. 잘 분화된 Caco-2 cell을 5x102 cells/ml 농도로 12 well plate에 분주하고 매일 배지를 교환하면서 3일 동안 배양하여 80%가 채워진 단일층(monolayer)을 형성시켰다. 단일층의 Caco-2 cell을 0.25% Trypsin-EDTA(Gibco, USA) 용액으로 37 ℃에서 5분간 반응시켜 트립신화한 후, 헤모사이토미터(hemocytometer)를 이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단일층의 Caco-2 cell을 항생제가 없는 MEM 배지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액을 프로바이오틱스 균주가 현탁된 0.5 ml의 PBS 용액과 각각 동일 부피로 혼합하여 최종 농도가 2x105 CFU/ml이 되도록 하였다. 이후 혼합용액을 12 well plate에 접종하고 5% CO2 및 100%습도가 유지되는 37 ℃ 인큐베이터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단일세포층으로 멸균된 PBS(pH 7.2) 용액으로 3번 세척하여 부착되지 않은 시험 균주를 제거하고, 10% 포르말린 용액으로 고정을 진행한 후, 크리스털바이올렛(Crystal violet)으로 염색한 후 도립현미경을 이용하여 부착된 시험균주의 수를 측정하였다.
[수학식 1]
Figure 112019114166407-pat00001
대조군으로 L. rhamnosus LGG 균주를 이용한 배양액을 사용하였으며,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대조군 제조예 4 제조예 5 제조예 6 제조예 7 제조예 8 제조예 9
부착율(%) 11.1 12.0 12.0 13.2 13.1 12.0 11.0
위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예 4에 따라 제조된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를 함유한 배양액은 대조군 및 제조예 5 내지 9에 비하여 부착율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장 부착율이 높다는 것은 프로바이오틱스 균주가 장에 다량으로 부착되어 장내 환경에 적합하게 생존할 수 있다는 것이므로 배변활동 및 장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실시예 및 비교예 Ⅲ_배양액>
제조예 10. 유산균
원유 80 중량%, 탈지분유 5 중량%, 정제수 14.9 중량%를 20 ℃이하에서 혼합 교반하여 조제유를 제조한 후 가열하여 70 ℃에서 250 bar로 균질하였다. 상기 균질된 조제유를 95 ℃에서 5분 이상 살균하고 37 ℃로 냉각한 후 냉각된 조제유에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Streptococcus thermophilus,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rhamnosus를 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0.1 중량%로 접종하여 37 ℃에서 pH가 4.50이 될 때까지 배양하여 발효유를 제조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발효유를 10 ℃로 냉각한 후 교반기로 교반하여 이용하였다.
제조예 11. 유산균 + 1종 균주 ( L. acidophilus LA5)
상기 제조예 10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Streptococcus thermophilus,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rhamnosus, L. acidophilus LA5를 1: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0.1 중량%로 접종한 후 배양하여 발효유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2. 유산균 + 1종 균주( L. helveticus LAFTI L10)
상기 제조예 10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Streptococcus thermophilus,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rhamnosus, L. helveticus LAFTI L10을 1: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0.1 중량%로 접종한 후 배양하여 발효유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3. 유산균 + 1종 균주( B. lactis BB-12)
상기 제조예 10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Streptococcus thermophilus,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rhamnosus, B. lactis BB-12를 1: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0.1 중량%로 접종한 후 배양하여 발효유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4. 유산균 + 3종 균주
상기 제조예 10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Streptococcus thermophilus,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rhamnosus, L. acidophilus LA5, B. lactis BB-12 및 L. helveticus LAFTI L10을 1:1:1: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0.1 중량%로 접종한 후 배양하여 발효유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5. 유산균 + 5종 균주
상기 제조예 13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Streptococcus thermophilus,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rhamnosus, L. acidophilus LA5, B. lactis BB-12, L. helveticus LAFTI L10, AB LYO( L. acidophilus NCFM + B. lactis Bi07) 및 L. casei 431을 1:1:1:1:1: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0.1 중량%로 접종한 후 배양하여 발효유를 제조하였다.
상기 AB LYO(L. acidophilus NCFM + B. lactis Bi07)및 L. casei 431은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균주이다.
실시예 11. 제조예 10의 발효유 + 울금 추출물 + 양배추 추출물 + 크랜베리 추출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울금 추출물,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 추출물, 제조예 3에서 제조된 크랜베리 추출물 및 제조예 10에서 제조된 발효유를 1 : 1 : 1 : 1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제조예 11의 발효유 + 울금 추출물 + 양배추 추출물 + 크랜베리 추출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울금 추출물,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 추출물, 제조예 3에서 제조된 크랜베리 추출물 및 제조예 11에서 제조된 발효유를 1 : 1 : 1 : 1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제조예 12의 발효유 + 울금 추출물 + 양배추 추출물 + 크랜베리 추출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울금 추출물,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 추출물, 제조예 3에서 제조된 크랜베리 추출물 및 제조예 12에서 제조된 발효유를 1 : 1 : 1 : 1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제조예 13의 발효유 + 울금 추출물 + 양배추 추출물 + 크랜베리 추출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울금 추출물,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 추출물, 제조예 3에서 제조된 크랜베리 추출물 및 제조예 13에서 제조된 발효유를 1 : 1 : 1 : 1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제조예 14의 발효유 + 울금 추출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울금 추출물 및 제조예 14에서 제조된 발효유를 1 : 1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6. 제조예 14의 발효유 + 양배추 추출물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 추출물 및 제조예 14에서 제조된 발효유를 1 : 1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7. 제조예 14의 발효유 + 크랜베리 추출물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된 크랜베리 추출물 및 제조예 14에서 제조된 발효유를 1 : 1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8. 제조예 14의 발효유 + 울금 추출물 + 양배추 추출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울금 추출물,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 추출물 및 제조예 14에서 제조된 발효유를 1 : 1 : 1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9. 제조예 14의 발효유 + 울금 추출물 + 크랜베리 추출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울금 추출물, 제조예 3에서 제조된 크랜베리 추출물 및 제조예 14에서 제조된 발효유를 1 : 1 : 1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0. 제조예 14의 발효유 + 양배추 추출물 + 크랜베리 추출물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 추출물, 제조예 3에서 제조된 크랜베리 추출물 및 제조예 14에서 제조된 발효유를 1 : 1 : 1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1. 제조예 14의 발효유 + 울금 추출물 +양배추 추출물 + 크랜베리 추출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울금 추출물,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 추출물, 제조예 3에서 제조된 크랜베리 추출물 및 제조예 14에서 제조된 발효유를 1 : 1 : 1 : 1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2. 제조예 15의 발효유 + 울금 추출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울금 추출물 및 제조예 15에서 제조된 발효유를 1 : 1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3. 제조예 15의 발효유 + 양배추 추출물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 추출물 및 제조예 15에서 제조된 발효유를 1 : 1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4. 제조예 15의 발효유 + 크랜베리 추출물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된 크랜베리 추출물 및 제조예 15에서 제조된 발효유를 1 : 1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5. 제조예 15의 발효유 + 울금 추출물 + 양배추 추출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울금 추출물,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 추출물 및 제조예 15에서 제조된 발효유를 1 : 1 : 1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6. 제조예 15의 발효유 + 울금 추출물 + 크랜베리 추출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울금 추출물, 제조예 3에서 제조된 크랜베리 추출물 및 제조예 15에서 제조된 발효유를 1 : 1 : 1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7. 제조예 15의 발효유 + 양배추 추출물 + 크랜베리 추출물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 추출물, 제조예 3에서 제조된 크랜베리 추출물 및 제조예 15에서 제조된 발효유를 1 : 1 : 1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8. 제조예 15의 발효유 + 울금 추출물 + 양배추 추출물 + 크랜베리 추출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울금 추출물,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양배추 추출물, 제조예 3에서 제조된 크랜베리 추출물 및 제조예 15에서 제조된 발효유를 1 : 1 : 1 : 1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9. 유산균 + 1종 균주( L. casei 431 )
상기 제조예 10 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Streptococcus thermophilus,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rhamnosus, L. casei 431 배양액을 1 :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0.1 중량%로 접종한 후 배양하여 발효유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Ⅲ_천연 추출물과 발효유의 혼합물 비교>
시험예 7. 발효유 및 천연 추출물의 혼합물에 따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저해능 측정
상기 시험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생육억제환(inhibition zone)의 직경(mm)을 측정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저해능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억제환
직경(mm)
제조예 10 제조예 11 제조예 12 제조예 13 제조예 14 제조예 15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6.0 8.0 7.6 7.5 10.2 10.3 11.2 11.4 1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실시예 17 실시예 18 실시예 19 실시예 20 실시예 21 실시예 22
11.3 13.0 12.0 13.0 13.9 14.5 14.2 15.1 13.5
실시예 23 실시예 24 실시예 25 실시예 26 실시예 27 실시예 28 비교예 9 - -
12.4 13.0 14.3 14.8 14.7 15.3 6.2 - -
위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1 내지 28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은 제조예 10 내지 15 및 비교예 9에 비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저해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8. 균주의 배양 테스트
8-1. 배지조건에 따른 균수 확인
총 유산균수는 호기 조건의 37 ℃ 하에서 BCP agar에서 확인하였으며;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rhamnosus , Lactobacillus acidophilus LA5(제조예 5), Lactobacillus acidophilus NCFM, Lactobacillus helveticus LAFTI L10(제조예 7)은 이산화탄소 조건의 37 ℃ 하에서 MRS agar(pH 5.4) 에서 확인하였고;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rhamnosu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5(제조예 5), Lactobacillus acidophilus NCFM, Lactobacillus helveticus LAFTI L10(제조예 7)은 혐기 조건의 37 ℃ 하에서 MRS agar(pH 5.4)에서 확인하였으며; Bifidobacterium lactis BB-12(제조예 6), Bifidobacterium lactis Bi07은 혐기 조건의 37 ℃ 하에서 TOS에서 확인하였다.
8-2. 각 미생물 균주의 혼합 테스트
구분 접종 후 (CFU/g) 배양 완료 후 (CFU/g)
BCP MRS
CO2 조건
MRS
혐기
조건
TOS BCP MRS
CO2 조건
MRS
혐기
조건
TOS
유산균 (S. thermophilus ,
L. bulgaricus ,
L. rhamnosus)
5.05E+06 1.80E+06 2.40E+06 - 1.13E+09 2.80E+07 3.65E+07 -
유산균 +
L. acidophilus LA-5
6.60E+06 5.35E+06 3.75E+06 - 8.85E+08 9.10E+07 7.80E+07 -
유산균 +
B. lactis BB-12
5.40E+06 2.25E+06 2.56E+07 2.60E+07 7.80E+08 4.45E+07 1.50E+08 1.50E+08
유산균 +
L. helveticus LAFTI L10
4.75E+06 3.15E+06 1.85E+06 - 1.05E+09 4.85E+07 3.80E+07 -
유산균 + AB LYO 5.55E+06 2.90E+06 3.55E+06 1.30E+06 1.18E+09 5.00E+07 3.35E+07 4.00E+06
유산균 +
L casei 431
8.00E+06 7.40E+06 6.00E+06 - 1.19E+09 6.35E+07 5.75E+07 -
유산균 +
L. acidophilus LA-5 + B. lactis BB-12
6.70E+06 4.95E+06 2.89E+07 2.85E+07 7.85E+08 8.85E+07 2.88E+08 2.35E+08
유산균 +
L. acidophilus LA-5 + L. helveticus LAFTI L10
7.15E+06 4.25E+06 4.15E+06 - 1.32E+09 6.60E+07 5.80E+07 -
유산균 +
L. acidophilus LA-5 + AB LYO
8.00E+06 4.90E+06 4.15E+06 1.25E+06 9.55E+08 6.50E+07 6.25E+07 3.50E+06
유산균 +
L. acidophilus LA-5 + L. casei 431
9.45E+06 8.70E+06 7.15E+06 - 1.26E+09 8.30E+07 8.40E+07 -
유산균 +
L. helveticus LAFTI L10 + B. lactis BB-12
5.00E+06 2.45E+06 2.86E+07 2.98E+07 1.25E+09 6.00E+07 1.62E+08 1.53E+08
유산균 +
L. helveticus LAFTI L10 + AB LYO
6.05E+06 3.15E+06 3.05E+06 6.00E+05 1.11E+09 6.65E+07 6.10E+07 3.50E+06
유산균 +
L. helveticus LAFTI L10 + L. casei 431
7.45E+06 4.75E+06 5.15E+06 - 1.29E+09 5.55E+07 5.55E+07 -
유산균 +
L. casei 431 +
B. lactis BB-12
7.95E+06 4.80E+06 3.03E+07 3.36E+07 1.33E+09 5.25E+07 2.09E+08 2.32E+08
유산균 +
L. helveticus LAFTI L10 + L. casei431 +
AB LYO
1.01E+07 7.85E+06 7.55E+06 1.10E+06 1.32E+09 6.60E+07 5.70E+07 5.00E+06
유산균 +
L. acidophilus LA-5 + B. lactis BB-12 + L. helveticus LAFTI L10 + L. casei + AB LYO
1.13E+07 6.05E+06 3.51E+07 3.24E+07 9.95E+08 1.11E+08 2.30E+08 2.44E+08
위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산균과 균주를 혼합해서 배양을 진행해도 유산균 또는 균주가 사멸하지 않고 잘 배양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유산균과 균주를 혼합하여 배양 시 장에 우수한 효과를 줄 것으로 사료된다.
8-3. 저장 테스트(10 ℃)_유산균 + Lactobacillus acidophilus LA-5 + Bifidobacterium lactis BB-12 + Lactobacillus helveticus LAFTI L10 + Lactobacillus casei 431 + AB LYO(Lactobacillus acidophilus NCFM + Bifidobacterium Bi07)
구분 D+1 D+9 D+17 D+21 D+28 D+35 D+39
pH 4.49 4.20 4.12 4.09 4.01 3.99 3.95
적정산도(젖산기준, TA) 0.75 0.88 0.91 0.92 0.98 1.00 1.02
점성 34 52 54 54 55 55 55
위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산균 + Lactobacillus acidophilus LA-5 + Bifidobacterium lactis BB-12 + Lactobacillus helveticus LAFTI L10 + Lactobacillus casei 431 + AB LYO(Lactobacillus acidophilus NCFM + Bifidobacterium Bi07)의 혼합균주는 시간의 흐름에 pH가 조금 낮아지고 TA 및 점성이 높아지지만 큰 차이는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기에 본 발명의 분말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과립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조성물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과립제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과립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2. 기능성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조성물 1,0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울금 추출물, 크랜베리 추출물 및 양배추 추출물이 1 : 1-3 : 1-3의 중량비로 혼합된 추출물과 균주 배양액을 포함하되,
    상기 추출물과 균주 배양액은 1 : 0.1-1의 중량비로 혼합되며,
    상기 균주 배양액은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Bifidobacterium lactis) 및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를 혼합하여 배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울금 추출물, 크랜베리 추출물 및 양배추 추출물이 1 : 1-3 : 1-3의 중량비로 혼합된 추출물과 발효유를 포함하되,
    상기 추출물과 발효유는 1 : 0.1-1000의 중량비로 혼합되며,
    상기 발효유는 원유, 탈지분유 및 정제수가 혼합된 조제유에 균주를 접종하여 배양하고, 상기 균주는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와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Bifidobacterium lactis),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및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3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 배변활동 및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90141400A 2019-11-07 2019-11-07 천연 추출물과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여 위와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조성물 KR102366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400A KR102366898B1 (ko) 2019-11-07 2019-11-07 천연 추출물과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여 위와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400A KR102366898B1 (ko) 2019-11-07 2019-11-07 천연 추출물과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여 위와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208A KR20210055208A (ko) 2021-05-17
KR102366898B1 true KR102366898B1 (ko) 2022-02-25

Family

ID=76158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400A KR102366898B1 (ko) 2019-11-07 2019-11-07 천연 추출물과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여 위와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689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541B1 (ko) * 2012-01-20 2013-11-08 매일유업주식회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품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123B1 (ko) 2011-06-29 2013-09-23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생육을 저해하는 김치 유래 젖산균
KR20150005852A (ko) 2013-07-05 2015-01-1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잣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541B1 (ko) * 2012-01-20 2013-11-08 매일유업주식회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품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사임당화장품] 위 건강을 위한 사임당 위케어 프리미엄. 네이버 블로그. [online], 2017.07.13., [2021.04.27. 검색], 인터넷: <URL: https://blog.naver.com/lovesaimdang/221049885344> 1부.*
Yousef-Nezhad and Hejazi. Anti-Bacterial Properties of Herbs against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trition Sciences. 2017. Vol. 2, No. 3, pp. 126-133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208A (ko) 202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4847B1 (ko) 질염 예방 및 치료용 유산균 함유 조성물 및 이의 용도
Majeed et al. Evaluation of probiotic Bacillus coagulans MTCC 5856 viability after tea and coffee brewing and its growth in GIT hostile environment
EP1312667B1 (en) Probiotic products containing L. salivarius strain
KR101452234B1 (ko) 장수마을 성인으로부터 분리한 배변활동에 도움을 주는 신규한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KR101768678B1 (ko) 한국 장수마을에서 개발된 건강기능성이 우수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아종 인판티스 bi9988
KR101638984B1 (ko) 나노형 김치 유산균
WO2021177526A1 (ko) 안전성 및 장부착능이 우수한 모유유래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lm1071 균주, 및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68517B1 (ko) 다양한 생리활성과 열 안정성이 우수한 프로바이오틱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pl9119
KR102154254B1 (ko) 우수한 면역기능 증진 효과를 갖는 신규한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프로바이오틱스
CN107530387B (zh) 含有双歧杆菌和十字花科蔬菜的经口组合物
KR101394322B1 (ko)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cnu 9169 균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균제 조성물
KR101488770B1 (ko) 한국 장수마을의 장수인에게서 개발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pl9036
KR20190002036A (ko) 블루베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유익균의 증식을 위한 프리바이오틱스 및 이의 용도
JP2005013211A (ja) 乳酸菌含有食品組成物
CN102300472A (zh) 共生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037108B1 (ko) 케피어 유래 유산균 또는 효모의 사균체를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65075B1 (ko) 장내 정착성이 우수한 신규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및이들이 생산하는 생균제
KR101833832B1 (ko) 질염 예방 및 치료용 특정 유산균 함유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366898B1 (ko) 천연 추출물과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여 위와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조성물
KR101909927B1 (ko) 케피어 유래 효모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KR102048434B1 (ko) 무청 고분자 분획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2042151B1 (ko) 고춧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1376629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아리조넨시스 bcnu 9200 균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균제 조성물
KR20200075724A (ko) 무청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2587892B1 (ko) 홍삼을 영양원으로 이용하여 균주의 특성이 강화되고 면역 기능이 증진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hy7017 균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