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608B1 -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608B1
KR102143608B1 KR1020160133492A KR20160133492A KR102143608B1 KR 102143608 B1 KR102143608 B1 KR 102143608B1 KR 1020160133492 A KR1020160133492 A KR 1020160133492A KR 20160133492 A KR20160133492 A KR 20160133492A KR 102143608 B1 KR102143608 B1 KR 102143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lactobacillus
lactobacillus sakei
present
influenza vi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3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1400A (ko
Inventor
이영경
홍희도
조장원
장미
임태규
이영철
김경탁
황은영
차세연
강민
장형관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33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608B1/ko
Publication of KR20180041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Y10S514/849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Lactobacillus sakei K040706)(기탁번호 : KCCM11472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및 개선용 식품용 조성물 및 사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 균체를 이용하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비롯한 바이러스 감염 질환을 개선하고 치료하는 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f virus infection comprising Lactobacillus sakei K040706}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Lactobacillus sakei K040706)(기탁번호 : KCCM11472P)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및 개선용 식품용 조성물 및 사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이러스 질환은 매우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며 바이러스의 종류에 따라 그 증상도 각기 다르다. 호흡기질환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라이노바이러스 등이 있으며 설사 등 장염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는 로타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이며, 면역질환은 레트로바이러스, 암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는 아데노바이러스, 파필로마바이러스 B형 및 C형 간염 바이러스 등이다. 또한, 헤르페스바이러스는 얼굴이나 생식기 피부에 포진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 중 호흡기 질환 중 하나인 인플루엔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호흡기 감염증으로, 주기적으로 약간의 변형이 일어나 매년 늦가을에서 겨울, 전체 인구의 약 10% 이상이 감염되어 주로 노약자와 만성 질환자의 사망률이 증가하고 있고, 이 바이러스는 10~40년마다 큰 변화(항원 대변이)를 보여 대부분의 인류가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바이러스로 변하고 대부분의 사람이 면역력을 가지지 못하여 바이러스의 사람과 사람 간에 전파가 이루어지면서 전체 인구의 20~50% 이상이 감염되고 치명률이 높은 대유행을 유발하고 있다.
또한 동물로부터 유래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변형되어 사람에게 감염력을 가질 경우 막대한 피해를 유발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판단되기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통제는 동물 감염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통제와도 직, 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상기와 같은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치료제 및 백신의 개발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실제로 상용화되어 사람과 동물에게 적용되고 있다.
현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치료제로서는 아만타딘(amantadine)과 리만타딘(rimantadine), 자나미비르(zanamivir) 그리고 오셀타미비르(oseltamivir)가 사용되고 있지만 내성균주의 출현, 구토와 현기증 등의 현재까지 개발되어진 항바이러스들은 심한 부작용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 응용에 대한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백신은 사독백신과 유전자재조합 백신으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변이가 쉽게 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특성상 과거에 분리된 균주로는 최근의 균주에 대한 방어능이 감소한다는 단점이 있고, 유행하는 바이러스의 형과 백신의 바이러스가 맞지 않으면 효과가 적으면 여러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감염 억제 효과가 뛰어나고 안정성이 우수한 새로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질환제제의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는 동물의 장내 미생물의 균형을 개선시킴으로써 유익한 효과를 주는 살아있는 미생물 제제로 주로 유산균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외 Saccharomyces cerevisiae와 같은 효모 및 Aspergilllus oryzae와 같은 사상균이 사용되고 있다. 프로바이오틱스의 효능으로는 항생제 관련 설사, 병원성 균에 의한 장의 감염, 과민성 대장증후군 같은 위장관 질환 개선, 아토피 피부염 감소, 고혈압 개선,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 감소 및 혈중 지질상태 개선, 항비만 효과, 대장암과 위암에 대한 항암 효과, 면역력 증진 효과 등 다양한 기능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 김치, 젓갈 및 장류와 같은 전통발효식품에서 프로바이오틱스 기능을 가지는 유산균주의 분리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전통식품에서 건강 기능성 유산균주들이 발굴되고 있다.
본 연구진은 김치에서 내산성, 내염성 및 항균력이 우수한 유산균을 분리, 동정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및 이의 용도에 대하여 특허 등록을 받은 바 있다(공개번호: 10-2007-0071911). 또한 면역증강 기능과 식품의 관능 및 품질향상의 다기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의 배양방법에 대하여 특허 등록을 받은 바 있다(공개번호: 10-2015-0146461). 그러나 본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사케이가 건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Lactobacillus sakei K040706)의 건강 기능성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 사균체가 바이러스 감염 질환에 치료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Lactobacillus sakei K040706)(기탁번호 : KCCM11472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Lactobacillus sakei K040706)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및 개선용 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Lactobacillus sakei K040706)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및 개선용 사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Lactobacillus sakei K040706)(기탁번호 : KCCM11472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Lactobacillus sakei K040706)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및 개선용 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Lactobacillus sakei K040706)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및 개선용 사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Lactobacillus sakei K040706)(기탁번호 : KCCM11472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Lactobacillus sakei K040706)’의 균체는 배양 배지로부터 수득된 생균 그 자체뿐만 아니라, 당업자에게 알려진 유산균에 대한 임의의 가공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균체, 균체 파쇄물, 균체 가수분해물, 건조물, 동결물, 배양물, 발효물 등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액체배지에서 배양한 배양액 자체, 상기 배양액을 여과 또는 원심분리 하여 균주를 제거한 여액(원심분리한 상등액) 등의 배양액 자체로부터 파생되는 가공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의 생균체, 사균체, 발효물 또는 배양물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의 사균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균체’란 가열, 가압, 약물처리 등으로 살균 처리된 균체를 가리킨다. 또한, 균체 성분은, 효소 처리한 가수분해물, 균질화(Homogenize), 초음파 처리 등으로 세포를 파괴한 파쇄물, 또는 세포벽 분획을 분취한 것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를 80℃에서 30분간 가열 살균한 후 건조시킴으로써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의 사균체 분말을 얻었다. 상기 건조방법은 동결건조, 분무건조 및 감압건조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바이러스’는 동물, 식물, 세균, 방사균과 같이 살아 있는 세포에 기생하며 세포 내에서만 증식할 수 있는 수백 μ이하의 감염성 입자로서, 상기 바이러스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RNA형 바이러스 또는 DNA형 바이러스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이러스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상기와 같은 RNA형 바이러스 또는 DNA형 바이러스를 모두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오르쏘믹소바이러스(orthomyxovirus), 파라믹소바이러스(paramyxovirus),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 아테리바이러스(arterivirus), 허피스바이러스(herpesvirus) 또는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플루엔자는 orthomyxoviridae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속에 속하는 바이러스로 호흡기질환을 일으킨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입자에는 피막이 있고, 지름 80~120nm의 구상이지만 사상형 입자 등 다형성을 띤다. 바이러스입자는 V항원, 즉 13종류의 적혈구응집소(HA) 및 9종류의 뉴라미다아제(NA)로 규정되는 표면항원과 S항원(주로 리보핵 단백질 NP로 규정하는 항원)을 갖고 S항원의 혈청학적 특이성에 의해 A, B, C의 3형으로 나뉜다.A형은 돌연변이(drift)나 유전체분절교환(shift)에 의해 새로운 V항원(HA 또는 NA) 변이주가 출현하기 쉽고 이때 인간집단 속에서 변이항원에 대한 항체보유율이 낮으면 세계적으로 대유행을 일으킨다. 사람 외에 돼지, 말, 오리 등에서도 분리되며, 동물체 내에 서도 증식하고 분절교환이 일어난다. B형은 새로운 변이주가 출현하더라도 항원의 변이는 연속적이며, 유행은 주로 국지적이다. 원숭이, 소 등의 신장 및 태아배양세포로 증식하는 C형은 1개의 긴 유전체가 있고 표면항원의 변화는 가장 적다.
본 발명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바람직하게는 A형 인플루엔자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A형 인플루엔자의 아형 중의 하나인 H1N1 바이러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이러스 감염 질환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질환으로, 독감, 감기, 인후염, 기관지염, 폐렴, 발열, 오한, 두통 및 기침, 인후통, 콧물, 호흡곤란 등의 상기도증상, 근육통, 관절통, 피로감, 구토 및 설사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독감, 감기, 인후염, 기관지염 및 폐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을 단독으로 함유하거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적합한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으며,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 등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비독성의 조성물을 말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컨대, 경구 투여용 담체 또는 비경구 투여용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담체는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펩티드 제제에 대한 경구투여용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약물전달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담체는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오스 및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가 있다. 적합한 보존제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메틸-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택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구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내 투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 투여용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 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슬러리제, 현탁액 등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용 제제는 활성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및 말티톨 등을 포함하는 당류와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및 감자 전분 등을 포함하는 전분류, 셀룰로즈,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즈류,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등과 같은 충전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주사제, 크림제, 로션제, 외용연고제, 오일제, 보습제, 겔제, 에어로졸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이들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1995)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전체 용량은 1일당 환자 체중 1㎏ 당 약 0.01㎍ 내지 10,000mg,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0mg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용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식이 및 배설율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이는 한 그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여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Lactobacillus sakei K040706)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및 개선용 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을 이용한 식품용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들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 자체를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은 모발 성장 촉진 및 항염증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물질 또는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식품으로는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를 들어 과일 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를 들어 햄, 소시지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를 들어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를 들어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를 들어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 조성물의 바람직한 함유량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최종적으로 제조된 식품 총 중량 중 0.01 내지 50 중량% 이다.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을 식품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Lactobacillus sakei K040706)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및 개선용 사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용 조성물은 발효사료, 배합 사료, 펠렛형태 및 사일레지(silage)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발효사료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여러 가지 미생물 균 또는 효소들을 첨가함으로써 유기물을 발효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배합사료는 여러 종류의 일반 사료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펠렛 형태의 사료는 상기 발효사료 또는 배합사료를 펠렛기로 제형화하여 제조될 수 있다. 사일레지는 청예사료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을 혼합하여 유산균으로 발효시킴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의 사균체를 제조하였고, 6주령의 암컷 마우스에 PBS, CVT(인삼 다당),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 사균체를 14일 동안 하루에 1회씩 투여하였다. 그 다음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접종시켜 생존률을 관찰한 결과, 사균체를 투여한 그룹에서 50.0%의 생존률을 보임으로서 항 인플루엔자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의 사균체를 제조하였고, 6주령의 암컷 마우스에 PBS, CVT(인삼 다당),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 사균체를 14일 동안 하루에 1회씩 투여한 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접종시켜 방어율을 계산한 결과, 사균체를 투여한 그룹이 CVT와 동일한 용량에서 유사한 방어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Lactobacillus sakei K040706)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식품용 조성물 및 사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 균체를 이용하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비롯한 바이러스 감염 질환을 개선하고 치료하는 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PBS, CVT,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 사균체를 마우스에 투여한 다음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뒤 생존율을 관찰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시판되는 항바이러스 보조제인 CVT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 사균체를 마우스에 투여한 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감염시켜 바이러스에 대한 방어율을 계산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방법>
1. 미생물 배양 및 평가 시료 제조
본 발명에서 사용한 Lactobacillus sakei K040706은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서 기탁 받은 균(기탁번호 : KCCM11472P)으로 선행출원 ‘다기능 신규 균주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 및 이의 배양 방법(출원번호: 10-2015-0088702)’에서 사용한 균을 이용하였다.
-80℃의 deep freezer에 보관된 Lactobacillus sakei K040706 stock(1ml)을 급속 해동시켜 평판배지에 배양한 뒤, 5 ml MRS 액체 배지에 접종하여 30℃ 항온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균체를 4℃에서 15분 동안 5,000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하였다. 침전물을 생리 식염수로 3회 세척한 후 균체를 획득하였다. 획득한 균체를 85℃에서 15분간 가열하여 효능 평가 시료를 제조하였다. 만들어진 시료인 사균체를 동결건조하여 효능평가에 사용하였다.
2. 바이러스 감염 마우스 모델
6주령의 Balb/c 마우스 암컷을 이용하였고, 동물사의 일정한 조건(온도 : 20±2℃, 습도 : 40~60%, 명암 : 12시간 light/dark cycle)하에서 충분하게 적응시킨 후에 본 연구에 이용하였다. 기타 동물 사육과 관련되는 사항은 전북대학교 동물실험 윤리위원회(National Association of Laboratory Animal Care) 규정에 의거하여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마우스에 투여된 바이러스의 경우 전북대학교에서 분양받은 H1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 안전성이 확보되어 있으나, 다른 설치류의 감염을 우려하여 네거티브(negative) 사육 시스템을 사용해 다른 동물과의 접촉을 차단하였으며, 바이러스의 분리, 동정, 역가계산 및 투여는 그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준비된 특수 클린벤치(clean bench)에서 실시하였으며, 바이러스 소독을 위한 특수 소독제를 이용하여 실험 전후에 소독하였다. 체중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사료급여 관리는 매일 사료의 양을 판단하여 급여함으로써 급식에 제한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체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를 최대한 통제한 상태에서 주단위로 일정한 시간에 개체별 체중을 측정하였다.
바이러스 접종 없이 PBS만 투여한 그룹, PBS를 투여하고 바이러스(H1N1)를 접종한 그룹, 신규 면역증진 다당소재인 200mg/kg/day의 CVT(인삼 다당, COLD-FX®, Afexa Life Sciences Inc. Quebec, Canada)를 투여한 그룹, 200mg/kg/day의 L. sakei K040706 사균체를 투여한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바이러스 공격 접종하기 14일 전부터 하루에 1회씩 실험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PBS, CVT, L. sakei K040706 사균체를 경구투여하였다. 바이러스 공격 접종은 중증도의 공격접종 모델(LD0; 임상증상 100%, 폐사율 0%)과 치사량 공격접종 모델(LD70-80 임상증상 100%, 폐사율 70-80%)로 나누어서 수행하였다. 표 1에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기재하였다.
L. sakei K040706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 효과 평가 실험
G 투여물질 투여
방법
마우스 투여
경로
바이러스
공격접종
관찰
기간
1 PBS
(Negative)
- 6주령
Balb/c
경구투여 - 28일
LD0 또는 LD70-80
2 PBS
(Positive)
3 CVT 200mg/kg/day
4 L. sakei
K040706
200mg/kg/day
<실시예 1>
바이러스 감염 마우스 모델에서 L. sakei K040706의 항바이러스 효과
유산균인 Lactobacillus sakei K040706 사균체의 항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실험방법에 기재된 바와 같이 Lactobacillus sakei K040706 사균체를 제조한 뒤, 6주령의 Balb/c 암컷 마우스에 PBS, 상용화된 항바이러스 보조제인 CVT(인삼 다당) 및 L. sakei K040706 사균체를 14일 동안 하루에 1회씩 투여하였다. 그 다음 치사량 공격접종 모델(LD90;임상증상 100%, 폐사율 90%)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마우스에 접종시켰다. 그 뒤 각 그룹별로 생존률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인 PBS를 투여한 그룹에서는 10.0%의 생존률을 나타낸 반면,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물질의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던 CVT와 Lactobacillus sakei K040706 사균체를 투여한 그룹에서는 50.0%의 생존율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 Lactobacillus sakei K040706 사균체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하여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바이러스 감염 마우스 모델에서 L. sakei K040706의 바이러스 예방 효과
유산균인 Lactobacillus sakei K040706 사균체가 항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실험방법에 기재된 바와 같이 Lactobacillus sakei K040706 사균체를 제조한 뒤, 6주령의 Balb/c 암컷 마우스에 PBS, CVT(인삼 다당), L. sakei K040706 사균체를 14일 동안 하루에 1회씩 투여하였다. 그 다음 치사량 공격접종 모델(LD90;임상증상 100%, 폐사율 90%)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마우스에 접종시켰다. 그 뒤 각 그룹별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방어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물질의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던 CVT를 처리한 경우에는 44.4%의 방어율을 나타냈으며, Lactobacillus sakei K040706 사균체를 투여한 그룹에서는 44.4%의 방어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Lactobacillus sakei K040706 사균체가 상용화된 항바이러스 보조제인 CVT와 동일한 용량에서 유사한 방어율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 균체를 이용하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비롯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질환을 개선하고 치료하는 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외) KCCM11472P 20131114

Claims (6)

  1.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Lactobacillus sakei K040706)(수탁번호 : KCCM11472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Lactobacillus sakei K040706)(수탁번호 : KCCM11472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및 개선용 식품용 조성물.
  3.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Lactobacillus sakei K040706)(수탁번호 : KCCM11472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및 개선용 사료용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의 생균체, 사균체, 발효물 또는 배양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독감, 감기, 인후염, 기관지염, 또는 폐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60133492A 2016-10-14 2016-10-14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43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492A KR102143608B1 (ko) 2016-10-14 2016-10-14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492A KR102143608B1 (ko) 2016-10-14 2016-10-14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400A KR20180041400A (ko) 2018-04-24
KR102143608B1 true KR102143608B1 (ko) 2020-08-11

Family

ID=62085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3492A KR102143608B1 (ko) 2016-10-14 2016-10-14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6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655B1 (ko) * 2018-06-05 2020-04-08 노한승 바이러스 질환 예방 효과를 지닌 유산균 발효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4945A (ja) 2006-07-26 2008-02-28 Health Vision:Kk 感染症に対抗する代替医薬品としてのプロバイオティクス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96579A (zh) * 2011-05-12 2014-02-19 普罗碧欧尼株式会社 含有利用泡菜乳酸菌发酵的稻米糖化液作为活性成分并具有抗菌和抗病毒效果的稻米发酵食品组合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4945A (ja) 2006-07-26 2008-02-28 Health Vision:Kk 感染症に対抗する代替医薬品としてのプロバイオティクス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Vivek K. Bajpai 외 8명. Characterization and pharmacological potential of Lactobacillus sakei 1I1 isolated from fresh water fish Zacco koreanus. DARU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24:8 (20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400A (ko) 2018-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4397B1 (ko) 유산균 발효유 필터액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290080B2 (ja) 新規乳酸菌
TWI787950B (zh) 用於預防、緩解或治療冠狀病毒感染的包括杜英萃取物作為活性成分之藥物組成物以及食品組成物
KR102503163B1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263277B2 (ja) 新規なバクテリオファージおよびこれを含む組成物
CN102920771B (zh) 一种用于治疗家禽球虫病的药物
KR20000062799A (ko) 면역조절물질, 면역조절물질 식품 및 면역조절물질 사료
KR102143608B1 (ko)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01767B1 (ko) 항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에이취와이7501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US11980632B2 (en) Antiviral composition containing fucosyllactose as active ingredient
KR100954882B1 (ko)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억제 효과를 가지는 신규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JP2006111573A (ja) バチルス・サブチルス菌株の使用及びその使用に用いられる菌株を含む食品
KR101160743B1 (ko) 녹차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류 인플루엔자에 대한 항바이러스제
KR100860784B1 (ko) 바이셀라속 균주를 이용한 천연 항바이러스제 및 이를포함하는 조성물
KR100419191B1 (ko) 독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및 전염성 위장염 코로나바이러스 억제 활성을 갖는 효모변이주 아이에스2 유래수용성 글루칸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1775223B1 (ko) 아르테수네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118512B1 (ko)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218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1637476B1 (ko) 청고추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라마좀 매개 염증성 질환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 개선용 조성물
KR20210003614A (ko) 감잎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7508233A (ja) 抗ウイルス剤
KR102470357B1 (ko) 락토코커스 락티스 q1 균주를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20220026201A (ko) 락토바실러스 퍼멘텀을 포함하는 갱년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57730A (ko)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진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JP2004083487A (ja) 抗ウイルス組成物及びウイルス感染症予防・治療用組成物
CN111150724A (zh) 缬氨酸在制备治疗或预防禽流感病毒感染的药物中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