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6201A - 락토바실러스 퍼멘텀을 포함하는 갱년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락토바실러스 퍼멘텀을 포함하는 갱년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6201A
KR20220026201A KR1020200106943A KR20200106943A KR20220026201A KR 20220026201 A KR20220026201 A KR 20220026201A KR 1020200106943 A KR1020200106943 A KR 1020200106943A KR 20200106943 A KR20200106943 A KR 20200106943A KR 20220026201 A KR20220026201 A KR 20220026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opause
menopausal
present
disease
lactobacillus ferment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6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헌
어주영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06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6201A/ko
Priority to PCT/KR2021/003735 priority patent/WO2022045513A1/ko
Publication of KR20220026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62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climacter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43Fermentum
    • A23Y2220/3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docri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퍼멘텀을 포함하는 갱년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균주, 이의 배양물 또는 이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갱년기 또는 폐경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 및 이의 발효물은 폐경기 또는 염증이 동반된 폐경기에서 장내 균총 변화, 장벽강화, 장내 염증억제를 통해 장 건강을 개선 및 증진시킬 수 있고, 나아가 폐경기와 염증이 동반된 폐경기에서 감소된 골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장-골 대사의 조절 및 면역계 조절을 통해 폐경기 또는 갱년기 증상을 효과적으로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건강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락토바실러스 퍼멘텀을 포함하는 갱년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f climacterium comprising Lactobacillus fermentum}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퍼멘텀을 포함하는 갱년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인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폐경 전과 폐경 후 여성들의 호르몬 수치와 장내미생물의 상관성을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구체적인 미생물 변화를 찾기보다는 전체적인 미생물 수의 감소 정도만을 확인하는데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결과는 호르몬의 변화가 장내미생물의 유의적인 변화를 야기한다는 결과를 의미하며(Jour. Transl. Med. 2012;10: 253), 많은 연구를 통해 갱년기 증상은 적절한 식이를 통해 예방할 수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특히 생체가 가지고 있는 장내 미생물체는 장관 내에서 여러 대사(metabolism)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비만과 관련한 장내미생물체는 잘 알려져 있는 분야 중의 하나이며 비만인 사람의 경우 탄수화물, 지방 및 아미노산 등의 대사에 풍부하게 관련된 장내미생물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장내미생물의 대사에 의해 생산되는 부티르산(butyrate)이나 아세테이트(acetate)와 같은 물질들은 장관 면역의 중요 인자로서 helper T cell의 생산 조절이나 G-protein receptor 43(GPR43) 등과의 반응을 통해 병원균 감염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장내 미생물은 장염(inflammatory bowel disease)이나 대장암(colon cancer)과 같은 대장 내의 각종 질병 외에도 자폐증(autism), 아토피(atopy) 등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장내 미생물과 중추신경계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장내미생물은 장관에 존재하는 장크롬친화성 세포(enterochromaffin cell)로부터의 세로토닌(serotonin) 생성 등을 조절하여 생체의 기분 (mood)에도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신경계 또한 장관운동 조절이나 장 투과성 조절 등의 간접적 방법과 장관에 존재하는 호르몬 분비세포, 신경계 또는 면역세포에서의 신호 물질 분비 등의 직접적 방법을 통해 장내미생물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한편, 갱년기는 노화 현상의 하나로, 난소의 기능이 점차 감소하는 40세 이후부터 서서히 시작되는데, 여성의 평균 수명이 점차 연장됨에 따라 호르몬 결핍기간은 일생의 1/3 이상을 차지한다고도 볼 수 있다. 난소 기능의 감소로 야기된 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로 이어지는 성선 축의 기능실조가 원인이 되고 이로 인하여 성호르몬, 지질 및 심혈관계 대사, 골대사, 기억작용 등의 신체 및 정신적인 변화가 나타난다. 갱년기의 시작은 폐경과 더불어 시작되며 폐경기 여성은 호르몬 불균형과 칼슘 결핍 및 체내 산화적 스트레스 증가로 여러 질병의 위험에 처하게 된다. 즉, 폐경기의 에스트로겐 변화로 관상동맥 질환, 골다공증, 알츠하이머 등 질환의 발병률은 급증하게 되고, 특히 폐경기 이후 에스트로겐 감소는 급속한 골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갱년기 증상의 개선을 위하여, 호르몬 대체요법, 비스테로이드계 제제 등의 약물 치료법이 개발된 바 있다. 최근에는 식품의 섭취를 통한 증상 개선에 대한 연구도 발표되고 있는데, WHO에 따르면 갱년기 대표적인 증상의 1/3은 채소, 과일과 같은 식품의 섭취를 통해 예방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를 위해 합성 호르몬 대체 요법(Hormone Replacement Therapy; HRT) 보다는 천연물 유래 식품의 섭취를 권고하고 있다.
합성 호르몬 대체제로 사용되고 있는 이소플라본(isoflavone)이 갱년기 증상 경감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일부 보고되고 있지만, 합성 호르몬 제제보다 우수한 효능의 근거가 부족하며, 과도한 양의 섭취는 자궁내막 증식과 유방의 상피세포 증식을 유도한다는 보고가 있어 부작용의 우려를 배재할 수 없다.
따라서 갱년기 증상 개선을 위한 새로운 방안으로 천연물 유래 호르몬 대체 제제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집중되고 있으며, 천연 유래의 예방 및 개선 효과가 우수한 갱년기 증상 완화제 또는 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107443
이에 본 발명자들은 난소를 절제한 갱년기 유발 마우스에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의 발효물을 섭취하게 한 결과, 장 염증억제, 장벽보호 등을 통한 장 건강 증진 효과가 우수하고, 총 콜레스테롤 및 총 지질의 감소를 유도하며, 나아가 조골세포와 파골세포의 조절을 통한 골 밀도 증가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함으로써,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가 갱년기 증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 가능함을 규명함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균주, 이의 배양물 또는 이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균주, 이의 배양물 또는 이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균주, 이의 배양물 또는 이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갱년기 또는 폐경기는 염증이 동반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소장 및 대장에서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 대장의 길이 증가 억제; 소장의 장 투과성 억제; 골밀도 증가; 및 장내 유익균의 생장촉진 또는 장내 유해균의 생장억제; 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은 골다공증, 안면홍조, 불면증, 우울증, 당뇨, 고혈압, 근육통, 관절통, 내장지방증가 및 지방간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염증은 위염, 장염, 신장염, 간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폐섬유증, 염증성 장질환, 염증성 통증, 편두통, 두통, 허리 통증, 섬유근육통, 근막 질환, 바이러스 감염, 박테리아 감염, 곰팡이 감염, 화상, 외과적 또는 치과적 수술에 의한 상처, PGE 과다 증후군, 아테롬성 동맥 경화증, 통풍, 호지킨병, 췌장염, 결막염, 홍채염, 공막염 및 포도막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균주, 이의 배양물 또는 이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갱년기 또는 폐경기는 염증이 동반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소장 및 대장에서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 대장의 길이 증가 억제; 소장의 장 투과성 억제; 골밀도 증가; 및 장내 유익균의 생장촉진 또는 장내 유해균의 생장억제; 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갱년기 또는 폐경기 질환은 골다공증, 안면홍조, 불면증, 우울증, 당뇨, 고혈압, 근육통, 관절통, 내장지방증가 및 지방간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염증은 위염, 장염, 신장염, 간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폐섬유증, 염증성 장질환, 염증성 통증, 편두통, 두통, 허리 통증, 섬유근육통, 근막 질환, 바이러스 감염, 박테리아 감염, 곰팡이 감염, 화상, 외과적 또는 치과적 수술에 의한 상처, PGE 과다 증후군, 아테롬성 동맥 경화증, 통풍, 호지킨병, 췌장염, 결막염, 홍채염, 공막염 및 포도막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 및 이의 발효물은 폐경기 또는 염증이 동반된 폐경기에서 장내 균총 변화, 장벽강화, 장내 염증억제를 통해 장 건강을 개선 및 증진시킬 수 있고, 나아가 폐경기와 염증이 동반된 폐경기에서 감소된 골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장-골 대사의 조절 및 면역계 조절을 통해 폐경기 또는 갱년기 증상을 효과적으로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건강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난소절제술로 폐경이 유도된 마우스 각 실험군들을 대상으로 11주 동안 체중의 변화를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SHAM은 대조군을 나타낸 것이고, OVX는 난소절제술 시행 군, OVX+LPS는 난소절제술을 시행하고 LPS 투여군, OVX+LPS+Drug은 난소절제술을 시행하고 LPS 및 약물 투여군, OVX+LPS+MF27은 난소절제술을 시행하고 LPS 및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를 이용한 발효물을 투여한 군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난소절제술로 폐경이 유도된 마우스 각 실험군들로부터 혈액을 채취한 후, 혈액 내 총 지방산, 총 콜레스테롤 및 TNF-a의 함량을 측정한 것이고, MPO의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난소절제술로 폐경이 유도된 마우스 각 실험군들로부터 대장을 분리 후, 대장의 길이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난소절제술로 폐경이 유도된 마우스 각 실험군들에 대한 소장의 화장 부분에서의 장 투과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난소절제술로 폐경이 유도된 마우스 각 실험군들에 대한 소장의 외형 변화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난소절제술로 폐경이 유도된 마우스 각 실험군들에 대한 소장에서의 장벽강화 인자들의 발현수준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난소절제술로 폐경이 유도된 마우스 각 실험군들에 대한 골 밀도 변화를 CT 촬영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난소절제술로 폐경이 유도된 마우스 각 실험군들에 대한 골밀도와 관련된 마커들의 발현수준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난소절제술로 폐경이 유도된 마우스 각 실험군들의 간에서 염증관련 마커들의 발현수준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난소절제술로 폐경이 유도된 마우스 각 실험군들에서 장내 균총 변화를 qPCR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균주의 신규한 용도를 규명한 기술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균주, 이의 배양물 또는 이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균주는 바람직하게는 한국미생물 보존센터에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KCCM11534P)로서 공지의 균주이며, 본 발명자들은 한국미생물 보존센터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의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개선 활성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난소절제술로 난소를 절제한 마우스 동물모델을 제조한 후, 난소 절제로 인해 폐경이 유도된 마우스에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 발효물을 섭취하게 한 다음,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개선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 발효물을 섭취하게 한 군이 상기 발효물을 섭취하지 않은 군에 비해 폐경기의 대표적인 증상인 골밀도 감소가 억제되거나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폐경 후 증가된 총 콜레스테롤 및 총 중성지방(total triglyceride)도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동시에 장 건강도 증진시키는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는 여성호르몬 감소로 유발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는 염증을 동반하는, 즉 염증질환이라는 기저질환을 갖는 폐경기 또는 갱년기 여성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난소절제술로 난소가 제거된 마우스에 염증 유발인자인 LPS(Lipopolysaccharide)를 투여하여 염증이 동반된 폐경기 마우스를 대상으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의 발효물을 투여한 결과,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a의 생성이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염증 유발인자인 CRF-1(corticotrophin releasing factor 1), CRF-2(corticotrophin releasing factor 2), NRF-2(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 및 TLR4(Toll-like receptor 4)의 발현이 간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에 의한 장 건강 증진 활성의 확인을 위해, 난소가 제거된 마우스에 LPS를 투여하여 염증이 동반된 폐경기 마우스를 대상으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의 발효물을 투여한 결과, 장내 염증 유발 시 나타나는 대장의 길이 감소가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소장의 회장 부분에서 염증 유발로 인한 증가된 장 투과성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장 및 소장에서 장벽 기능 강화인자들로 알려진 Claudin, Occludin, ZO-1 및 Muc-2의 mRNA 발현양이 증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마우스 군들을 대상으로 장내 균총의 변화도 분석하였는데,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의 발효물을 섭취하게 한 군은 인체 유익균인 락토바실러스 유산균이 증가되어 있는 반면, 대장균이 현저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가 폐경기의 장내 염증 환경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난소가 제거된 마우스 및 난소가 제거된 마우스에 LPS를 투여하여 염증이 동반된 마우스 각각에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의 발효물을 투여하고 뼈의 밀도를 CT 촬영한 결과,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의 발효물을 투여하지 않은 군에 비해 상기 발효물을 투여한 군에서 골 밀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가 폐경기 또는 갱년기의 증상인 골밀도 감소를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염증이 동반된 폐경기 또는 갱년기의 골밀도 감소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균주, 이의 배양물 또는 이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은 폐경기 여성에게서 호르몬 생산의 감소로 인하여 발생하는 증상을 의미하고,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은 일반적으로, 골다공증, 안면홍조, 불면증, 우울증, 당뇨, 고혈압, 근육통, 관절통, 내장지방증가 및 지방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갱년기 또는 폐경기는 여성 호르몬 결핍에 의해 유발되는 것일 수도 있고, 여성 호르몬 결핍과 염증이 동반된 상태에서 유발되는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질환을 기저질환으로 가지고 있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의 증상 또는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염증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위염, 장염, 신장염, 간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폐섬유증, 염증성 장질환, 염증성 통증, 편두통, 두통, 허리 통증, 섬유근육통, 근막 질환, 바이러스 감염, 박테리아 감염, 곰팡이 감염, 화상, 외과적 또는 치과적 수술에 의한 상처, PGE 과다 증후군, 아테롬성 동맥 경화증, 통풍, 호지킨병, 췌장염, 결막염, 홍채염, 공막염 및 포도막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MF27 균주는, 소장 및 대장에서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 대장의 길이 증가 억제; 소장의 장 투과성 억제; 골밀도 증가; 및 장내 유익균의 생장촉진 또는 장내 유해균의 생장억제 활성을 모두 갖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MF27 균주 자체뿐만 아니라 이의 파쇄물, 이의 배양물 또는 이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파쇄물, 배양물 또는 발효물은 본 발명의 MF27 균주 유래의 유용 생리활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이는 균주 자체를 포함하는 조성물과 동등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MF27 균주를 탈지 우유(skim milk) 배지에 첨가하고 배양하여 발효가 완료된 발효물인 발효유를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본 발명의 균주 자체, 이의 파쇄물, 이의 배양물 및 이의 발효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하나 이상을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 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균주 자체, 이의 파쇄물, 이의 배양물 및 이의 발효물 중에서 하나 이상을 프로바이오틱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공지의 물질 또는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식품으로는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 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본 발명의 균주, 이의 파쇄물, 배양물 및 이의 발효물로 이루어진 군 중 하나 이상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중 상기 본 발명의 균주 자체, 이의 파쇄물, 이의 배양물 또는 이의 발효물 등의 바람직한 함유량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최종적으로 제조된 식품 중 0.01 내지 50 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균주 자체, 이의 파쇄물, 이의 배양물 또는 이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서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균주, 이의 배양물 또는 이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갱년기 또는 폐경기 질환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골다공증, 안면홍조, 불면증, 우울증, 당뇨, 고혈압, 근육통, 관절통, 내장지방증가 및 지방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 가능한 상기 갱년기 또는 폐경기 질환은 염증이 동반된 갱년기 또는 폐경기 질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염증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위염, 장염, 신장염, 간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폐섬유증, 염증성 장질환, 염증성 통증, 편두통, 두통, 허리 통증, 섬유근육통, 근막 질환, 바이러스 감염, 박테리아 감염, 곰팡이 감염, 화상, 외과적 또는 치과적 수술에 의한 상처, PGE 과다 증후군, 아테롬성 동맥 경화증, 통풍, 호지킨병, 췌장염, 결막염, 홍채염, 공막염 및 포도막염과 같은 염증질환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단독으로 함유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컨대, 경구 투여용 담체 또는 비경구 투여용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담체는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담체는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스 및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가 있다. 적합한 보존제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메틸- 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이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구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내 투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경피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 투여용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 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슬러리제, 현탁액 등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용 제제는 활성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및 말티톨 등을 포함하는 당류와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및 감자 전분 등을 포함하는 전분류,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즈류,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등과 같은 충전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주사제, 크림제, 로션제, 외용연고제, 오일제, 보습제, 겔제, 에어로졸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이들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th Edition, 197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 18042, Chapter 87: Blaug, Seymour)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균주 자체, 이의 파쇄물, 이의 배양물 또는 이의 발효물 등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균주, 이의 파쇄물, 이의 배양물 또는 이의 발효물의 바람직한 전체 용량은 1일당 환자 체중 1 ㎏ 당 약 0.01ug 내지 1,000 mg,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ug 내지 100 mg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본 발명의 균주 자체, 이의 파쇄물, 이의 배양물 또는 이의 발효물 등의 용량은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식이 및 배설율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본 발명의 균주, 이의 파쇄물, 이의 배양물 또는 이의 발효물을 특정한 용도에 따른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이는 한 그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여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균주, 이의 배양물 또는 이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균주, 이의 배양물 또는 이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골다공증 또는 염증성 장질환은 여성 호르몬 감소로 인한 폐경기 이후의 골다공증 또는 염증성 장질환일 수 있고, 또한 여성 호르몬 감소와 염증이 동반된 폐경기 이후의 골다공증 또는 염증성 장질환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MF27 균주와 동일 종속에 속하는 다른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SRK414 균주와의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개선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는데, 락토바실러스속에 속하는 다른 균주 뿐만 아니라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SRK414 균주 및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A41에 비해서도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가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을 더 우수한 효과로 예방, 개선 및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준비예>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의 준비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는 균주기탁기관인 한국미생물 보존센터로부터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KCCM11534P)를 분양받아서 사용하였으며, de man rogosa(MRS) 배지에 계대 배양하여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하였다.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를 이용한 발효물의 제조
상기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를 MRS 배지에서 3차 계대배양을 수행하였고, 배양된 상기 균주를 멸균한 우유배지(skim milk 100 g/L, glucose 20 g/L, yeast extract 3.0 g/L, peptone 3.0 g/L)에 1%의 양으로 접종하여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발효유(우유 발효물)는 동결건조 후 분말화하였고 PBS에 1×1010 CFU/ml 농도로 현탁하여 하기 실험에 사용하였다.
탈지 우유 배지의 조성
원료명 용량(g/L)
1 Skim milk powder 100
2 Glucose 20
3 Yeast extract 3
4 Bacto peptone 3
<실시예 1>
염증반응이 동반된 폐경기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발효물 투여에 따른 몸무게 변화 억제 확인
폐경기 상태의 동물모델을 제조하기 위해 당업계에 공지된 난소절제술(OVX: Ovareictomy)의 방법으로 200~230g 무게를 갖는 8주령의 암컷 마우스들로부터 난소를 절제하여 폐경이 유도된 마우스를 제조하였다.
이후 마우스들을 5개 군으로 아래와 같이 그룹핑하였고, 각 그룹별로 실험동물을 7마리씩 배정하였으며, 이때 sham 군은 실제로 난소절제술을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실험군으로는 난소절제술을 시행 후, 아무런 약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OVX), 난소절제술 이후 LPS를 복강 내 투여하여 염증반응을 유도시킨 군(OVX+LPS), 난소절제술 이후 LPS 투여 후 약물을 투여한 군(OVX+LPS+Drug; 약물은 Sulfasalazine (50 mg/kg/day) 및 Alendronate (0.16 mg/kg/day)을 사용) 및 LPS 투여 후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를 이용한 발효물을 경구투여한 군(OVX+LPS+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을 사용하였다. 이들 마우스들은 사료와 물을 공급하면서 개별 케이지에서 11주 동안 사육시키면서, 1주일씩 각 실험군들 마우스의 체중을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LPS 투여는 1주일에 10mg/kg의 용량으로 11주 사육 과정 중에서 8주, 9주 및 10주에 각각 투여하였다.
실험군 설정
그룹명 처리사항
1 SHAM 난소절제술을 시행하지 않은 군
2 OVX 난소절제술을 시행한 군
3 OVX+LPS 난소절제술 시행 및 LPS 투여군
4 OVX+LPS+Drug 난소절제술 시행, LPS 및 약물 투여군
5 OVX+LPS+MF27 난소절제술 시행, LPS 및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1X109CFU/g)를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물 투여군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난소절제술 이후 염증유발 인자인 LPS를 투여한 군의 경우, 염증유발로 인해 체중이 급격히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고(8~10주), LPS와 약물을 투여한 군에서는 체중의 감소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LPS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를 이용한 발효물을 투여한 군에서는 체중의 감소가 가장 효과적으로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가 염증질환을 기저질환으로 갖는 폐경기 상태에서 몸무게의 급격한 변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염증반응이 동반된 폐경기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발효물 투여에 따른 염증인자의 억제 활성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각 실험군의 마우스들로부터 혈액을 채취하고, 혈중 지질관련 마커 및 염증관련 마커들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혈중 지질관련 마커로서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및 총 지질(total triglyceride)의 함량을 측정하였고, 염증관련 마커로서 TNF-a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총 콜레스테롤 및 총 지질의 함량은 난소절제술에 따른 폐경기 유발 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를 이용한 발효물을 투여한 군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염증 인자인 TNF-a의 경우, 난소절제술에 따른 폐경기 유발 시 Sham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난소절제술 및 LPS에 의한 염증유발 시,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를 이용한 발효물을 투여한 군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항산화 마커인 MPO의 활성은 어느 실험군도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가 폐경기로 인한 지질의 축적을 억제할 수 있으며, 특히 염증질환을 기저질환으로 갖는 폐경기 상태에서 우수한 항염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염증반응이 동반된 폐경기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발효물 투여에 따른 장건강 개선 활성 분석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염증질환을 기저질환으로 갖는 폐경기 상태에서 손상된 장 건강을 개선하는 활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대장의 길이변화 분석, 소장의 장 투과성 분석, 소장의 외형분석 및 장벽 보호활성을 각각 분석하였다.
<3-1> 대장의 길이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각 마우스 실험군들로부터 대장을 분리하고 대장의 길이를 각각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염증반응이 동반된 폐경기 유발 마우스군의 경우, 다른 실험군들에 비해 대장의 길이가 현저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난소절제술로 폐경기가 유도되었고 LPS로 염증이 유발된 군에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를 이용한 발효물을 투여한 군에서는 감소된 대장의 길이가 거의 정상에 가깝게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2> 소장의 장 투과성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각 마우스 실험군들로부터 소장을 분리하고 소장의 회장(ileum) 부분에서의 투과율을 조사하여 장 투과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Sham 대조군에 비해 난소절제술로 폐경기가 유발된 군에서 소장의 장 투과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염증이 동반된 폐경기 유발 군의 경우, 소장의 장 투과율이 현저하게 증가하여 장벽이 매우 약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를 이용한 발효물을 투여한 군에서는 염증이 동반된 폐경기 유발에 의해 증가된 소장의 장 투과율이 감소되어 거의 정상에 가깝게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가 장벽 보호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3> 소장의 외형분석
상기 <3-2>에서 실험한 실험군들에 디해 현미경 관찰을 통해 소장의 외형을 분석하였다. 소장의 외형분석은 세포핵을 파랑색 또는 보라색으로 염색해주는 헤마톡실린(hematoxylin) 염색시약 및 대조염색을 위한 에오신 (eosin) 염색시약을 이용하여 일련의 조직절편의 염색을 통해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라색으로 염색된 부분이 장벽 부분으로서 Sham 대조군에 비해 염증이 동반된 폐경기 유발 군의 경우, 보라색의 소장의 장벽이 현저하게 부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를 이용한 발효물을 투여한 군에서는 약물을 투여한 군과 거의 유사하게 소장의 부은 증상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3-4> 장벽 강화관련 인자의 분석
상기 <3-2>에서 실험한 실험군들에 대해 소장 및 대장에서 장벽기능 사이에서 장벽의 견고함을 나타내는 마커로 알려진 인자들에 대한 mRNA 발현양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벽강화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인 Claudin, Occludin 및 ZO-1의 mRNA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를 이용한 발효물을 투여한 군에서 가장 현저하게 증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 및 이의 발효물은 폐경기로 인한 장의 기능 손실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특히 염증이 동반된 폐경기에서의 손실된 장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개선 및 증진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는 폐경기에서의 장내 염증을 완화시킬 수 있고, 장 보호활성 및 장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발효물 투여에 따른 골밀도 증가 효과 분석
폐경기의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인 골다공증은 골 기질이 병적으로 희박해져 골밀도가 감소되고 골 강도가 약화되어 골절의 위험성이 증가된 상태를 말하며, 특히 여성의 경우 폐경기 후,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해 골밀도가 감소하여 골다공증의 발병이 현저하게 증가한다.
<4-1> CT 촬영을 통한 골밀도 분석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가 폐경기 골다공증에 대한 개선 및 치료효과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각 실험군들을 대상으로 마우스들의 뼈의 밀도를 CT 촬영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Sham 대조군에 비해 난소절제술로 폐경이가 유발된 군에서 골밀도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난소절제술 및 LPS 투여로 염증이 동반된 폐경기 실험군에서는 골밀도 감소가 가장 현저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를 이용한 발효물을 투여한 군에서는 난소절제술로 폐경이가 유발된 군 및 난소절제술과 LPS 투여로 염증이 동반된 폐경기 실험군에 비해 골밀도의 감소가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2> 골밀도 관련 인자들의 발현양 분석
골밀도의 변화는 OPG와 RANKL의 균형의 변화에 의해 조절이 되는데,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각 실험군들을 대상으로 OPG와 RANKL의 발현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발효물 처리군에서는 OVX-LPS 그룹에 비해 OPG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RANKL에서는 유의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은 OPG의 증가를 유도하여 조골세포의 생성을 촉진시켜 골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발효물 투여에 따른 간에서의 염증인자 억제 활성 분석
조골세포 및 파골세포의 조절은 전반적인 면역계의 변화 및 조절로 이루어지는데,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를 이용한 발효물의 투여로 간에서의 염증관련 마커들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실시예 1의 각 실험군으로부터 마우스의 간을 분리한 후, 염증마커들인 CRF-1, CRF-2, NRF-2 및 TLR4의 mRNA 수준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Sham 대조군에 비해 난소절제술로 폐경기가 유발된 군에서는 이들 염증인자들의 발현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LPS로 염증이 유발된 폐경기 유발 군에서는 이들 염증인자들의 발현이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를 이용한 발효물 투여군의 경우, 간에서 이들 염증인자들 모두에 대한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발효물 투여에 따른 장내 균총 변화에 미치는 영향분석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가 장내 균총의 변화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의 각 마우스 실험군을 대상으로 분변을 qPCR을 수행하여, 장내 균총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MF27 균주를 이용한 발효물을 투여한 군에서는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속 균이 다른 군에 비해 월등히 증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한편, 대장균은 다른 군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F27 균주 및 이의 발효물이 폐경기 또는 염증이 동반된 폐경기에서 유익한 유산균으로 장내 균총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으며, 장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고, 골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면역계의 조절을 통해 폐경기 또는 갱년기 증상을 효과적으로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균주, 이의 배양물 또는 이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갱년기 또는 폐경기는 염증이 동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소장 및 대장에서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
    대장의 길이 증가 억제;
    소장의 장 투과성 억제;
    골밀도 증가; 및
    장내 유익균의 생장촉진 또는 장내 유해균의 생장억제;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은 골다공증, 안면홍조, 불면증, 우울증, 당뇨, 고혈압, 근육통, 관절통, 내장지방증가 및 지방간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은 위염, 장염, 신장염, 간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폐섬유증, 염증성 장질환, 염증성 통증, 편두통, 두통, 허리 통증, 섬유근육통, 근막 질환, 바이러스 감염, 박테리아 감염, 곰팡이 감염, 화상, 외과적 또는 치과적 수술에 의한 상처, PGE 과다 증후군, 아테롬성 동맥 경화증, 통풍, 호지킨병, 췌장염, 결막염, 홍채염, 공막염 및 포도막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6.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균주, 이의 배양물 또는 이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갱년기 또는 폐경기는 염증이 동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소장 및 대장에서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
    대장의 길이 증가 억제;
    소장의 장 투과성 억제;
    골밀도 증가; 및
    장내 유익균의 생장촉진 또는 장내 유해균의 생장억제;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갱년기 또는 폐경기 질환은 골다공증, 안면홍조, 불면증, 우울증, 당뇨, 고혈압, 근육통, 관절통, 내장지방증가 및 지방간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은 위염, 장염, 신장염, 간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폐섬유증, 염증성 장질환, 염증성 통증, 편두통, 두통, 허리 통증, 섬유근육통, 근막 질환, 바이러스 감염, 박테리아 감염, 곰팡이 감염, 화상, 외과적 또는 치과적 수술에 의한 상처, PGE 과다 증후군, 아테롬성 동맥 경화증, 통풍, 호지킨병, 췌장염, 결막염, 홍채염, 공막염 및 포도막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200106943A 2020-08-25 2020-08-25 락토바실러스 퍼멘텀을 포함하는 갱년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2620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943A KR20220026201A (ko) 2020-08-25 2020-08-25 락토바실러스 퍼멘텀을 포함하는 갱년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CT/KR2021/003735 WO2022045513A1 (ko) 2020-08-25 2021-03-25 락토바실러스 퍼멘텀을 포함하는 갱년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943A KR20220026201A (ko) 2020-08-25 2020-08-25 락토바실러스 퍼멘텀을 포함하는 갱년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201A true KR20220026201A (ko) 2022-03-04

Family

ID=80355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943A KR20220026201A (ko) 2020-08-25 2020-08-25 락토바실러스 퍼멘텀을 포함하는 갱년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26201A (ko)
WO (1) WO202204551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443B1 (ko) 2018-08-31 2020-05-07 (주)바이오리듬 여성 갱년기 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유산균 프로바이오틱스 제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62640A1 (en) * 2009-05-22 2010-11-25 Stefanie Lindemann Medic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comprising at least one estrogen and/or at least one gestagen and at least one probiotic bacterial strain
KR102069807B1 (ko) * 2017-03-09 2020-01-2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산균 혼합물을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11067922A (zh) * 2018-10-19 2020-04-28 临床营养国际(马来西亚)私人有限公司 一种延缓骨骼和肌肉衰老迹象的化合物
KR102214532B1 (ko) * 2019-01-11 2021-02-10 맑고밝고따뜻한협동조합 석류 유산균 발효물을 이용한 건강식품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443B1 (ko) 2018-08-31 2020-05-07 (주)바이오리듬 여성 갱년기 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유산균 프로바이오틱스 제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45513A1 (ko)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7577B2 (en) Lactic acid bacterium-containing preparation
KR102206628B1 (ko)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242668B1 (ko)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cvl-001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골 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68078A (ko) 비만 억제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ao356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71692B1 (ko) 꽃송이버섯 및 유산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84973B1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97589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msk408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뇌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3970511A1 (en) Strain showing liver function improving activity, and use thereof
KR20090049604A (ko)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제 및 내장 지방 축적 억제제
JP2020022488A (ja) 多様な機能性を有する新規乳酸菌およびその用途
KR20130132172A (ko) 황련해독탕의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WO2020175869A2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cvl-001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골 질환 또는 대사성 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47801B1 (ko) 페퍼민트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79732B1 (ko) 리모실락토바실러스 루테리 mg5458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지방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26201A (ko) 락토바실러스 퍼멘텀을 포함하는 갱년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44838B1 (ko) 락토바실러스 쿠르바투스 WiKim38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골 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00069748A1 (en) Human-derived lactobacillus frementum mg4231 or lactobacillus frementum mg4244 strain having anti-obesity activity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KR20200100579A (ko) 페퍼민트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43608B1 (ko)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5172104B2 (ja) ハンセン病発症予防作用のある菌体含有組成物
KR102575452B1 (ko) 간 기능 개선 활성을 갖는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85408B1 (ko) 락토코커스 중앙젠시스 (Lactococcus chungangensis)를 함유하는 지방간 또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U2780346C1 (ru) Терапевтический агент против коронавируса, включающий экстракт elaeocarpus sylvestris
KR102515226B1 (ko) 풋귤 및 검정무의 혼합발효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US20240050495A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ree lactobacillus sp. strains, and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