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9604A -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제 및 내장 지방 축적 억제제 - Google Patents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제 및 내장 지방 축적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9604A
KR20090049604A KR1020097005375A KR20097005375A KR20090049604A KR 20090049604 A KR20090049604 A KR 20090049604A KR 1020097005375 A KR1020097005375 A KR 1020097005375A KR 20097005375 A KR20097005375 A KR 20097005375A KR 20090049604 A KR20090049604 A KR 20090049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obacillus
visceral fat
blood
adiponectin
incr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5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2650B1 (ko
Inventor
히로시 카와카미
사토시 히구라시
히로아키 마츄야마
Original Assignee
유키지루시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39290A external-priority patent/JP508994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44377A external-priority patent/JP5229977B2/ja
Application filed by 유키지루시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키지루시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49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9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6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23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only microorganisms of the genus lactobacteriaceae; Yoghurt
    • A23C9/1234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only microorganisms of the genus lactobacteriaceae; Yoghurt characterised by using a Lactobacillus sp. other than Lactobacillus Bulgaricus, including Bificlobacterium s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9/00Cheese; Cheese preparations; Making thereof
    • A23C19/02Making cheese curd
    • A23C19/032Making cheese curd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microorganisms, or enzymes of microbial origin
    • A23C19/0323Making cheese curd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microorganisms, or enzymes of microbial origin using only lactic acid bacteria, e.g. Pediococcus and Leuconostoc species; Bifidobacteria; Microbial starters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45Gasseri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47Helvetic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Epidemiology (AREA)
  • Obesity (AREA)
  • Bird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락토바실러스속 유산균, 그 중에서도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및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의 배양물, 또는 그 균체 자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제, 및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용 음식품, 사료. 또,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의 배양물, 또는 그 균체 자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내장 지방 축적 억제제 및 내장 지방 축적 억제용 음식품.

Description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제 및 내장 지방 축적 억제제{AGENT FOR ACCELERATING THE INCREASE IN AND/OR PREVENTING THE DECREASE IN BLOOD ADIPONECTIN LEVEL, AND VISCERAL FAT ACCUMULATION INHIBITOR}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유산균, 그 중에서도 특히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또는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의 배양물 및/또는 균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제,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 작용을 부여한 신규 음식품 및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 작용을 부여한 신규 사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제는, 이것을 섭취함으로써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의 증가를 촉진 및/또는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의 저하는, 혈전증, 인슐린 저항성, 당대사 이상, 고혈압 등 장래의 순환기계 질환의 발증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지는 메타볼릭 신드롬의 원인이 되고 있고, 본 발명은 그 예방ㆍ치료에 유효하다.
또,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의 배양물 및/또는 균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내장 지방 축적 억제제 및 내장 지방 축적 억제 작용을 부여한 신규 음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내장 지방 축적 억제제 및 내장 지방 축적 억제용 음식품은, 이것을 섭취함으로써 내장 지방의 축적을 억제할 수 있다. 내장 지방의 축적은, 혈전증, 인슐린 저항성, 당대사 이상, 고혈압 등 장래의 순환기계 질환의 발증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지는 메타볼릭 신드롬의 원인이 되고 있고, 본 발명은 그 예방ㆍ치료에 유효하다.
최근 생활 습관의 구미화에 따라 생활 습관병인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증과 같은 병태를 나타내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심혈관 질환과 뇌혈관 질환에 의한 사망은 사인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고, 그 수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이 대책은 큰 과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동맥경화성 질환은, 고혈압, 고지혈증, 내당능 장해 등의 리스크 인자의 집적에 의해 발증의 위험도가 현저하게 상승한다. 이 리스크 인자가 집적한 상태는 메타볼릭 신드롬이라 불리며, 널리 인식되어 오고 있다. 일본의 기업노동자 12만명의 조사에서는, 경증이라 하더라도 「비만」, 「고혈압」, 「고혈당」, 「고트리글리세리드(중성 지방) 혈증」, 또는 「고콜레스테롤 혈증」의 위험 인자를 1개 갖는 사람은 심장병의 발증 리스크가 5배, 2개 갖는 사람은 10배, 3∼4개 겸하는 사람에게서는 31배나 된다고 한다. 또, 후생노동부의 조사에서는, 고혈압 환자수는 3,900만명, 고지혈증은 2,200만명, 당뇨병(예비군을 포함하여)은 1,620만명, 비만증은 468만명으로 보고되어 있고, 이들 환자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메타볼릭 신드롬이란 「내장 지방의 축적과, 그것을 기반으로 한 인슐린 저 항성 및 당대사 이상, 지질대사 이상, 고혈압을 복수 합병하는 멀티플 리스크 팩터 증후군이며, 동맥 경화로 되기 쉬운 병태」이고, 내장 지방의 축적에 따른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의 저하는, 바로 메타볼릭 신드롬이나 동맥경화의 근본적인 요인이다. 생체 최대의 분비 조직인 지방 조직은, 여러가지 내분비 인자를 생산하여, 생체에서의 항상성 유지에 관여하고 있다. 그러나, 내장 지방의 과잉 축적은, 내분비 인자의 분비 밸런스를 깨뜨려, 여러가지 병태를 일으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플러스미노겐 액티베이터 인히비터(PAI-1), 종양 괴사 인자(TNF-α), 렙틴 등의 내분비 인자는, 내장 지방의 축적에 따라 분비량이 증가하여, 혈전증, 인슐린 저항성, 당대사 이상, 고혈압 등을 일으킨다.
현재, 내장 지방 감소의 수단으로는 운동 요법, 식사 요법, 행동 요법 그리고 약물 요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 약물 요법에 관해서는 중추성에 식욕을 억제하는 약제가 개발되고, 그 외에도 β3 아드레날린 수용체 자극약이나 소화관으로부터의 지방 흡수 억제약 등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위 항비만약에서는 내장 지방, 그 중에서도 신장 주위의 내장 지방 감소에 대한 유효성은 확인되어 있지 않고, 신장 주위의 내장 지방 감소를 가져오는 유효한 약물 요법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일상의 식사 형태, 또는 보조로 섭취할 수 있는 식사 요법은 현재까지 확립되어 있지 않다.
한편, 지방 조직이 특이적으로 분비되는 아디포넥틴은 통상 혈중에서 고농도로 존재하지만, 내장 지방의 축적에 따라 그 농도가 감소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아디포넥틴은, 항당뇨병, 항동맥경화, 항염증 작용, 항고혈압 등 다양한 생리 기능 을 갖는 것이 알려지고 있고,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의 증가를 촉진하는 것, 또는 아디포넥틴 농도의 감소를 억제하는 것은, 메타볼릭 신드롬의 예방ㆍ치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종래, 메타볼릭 신드롬의 개개의 병태에 대한 대책으로는 약물 요법도 행해지고 있다. 약물 요법에 관해서는 중추성에 식욕을 억제하는 약제, β3 아드레날린 수용체 자극약, 소화관으로부터의 지방 흡수 억제약 등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위 항비만약에서는 내장 지방 감소에 대한 유효성은 확인되어 있지 않고, 내장 지방의 감소를 가져오는 유효한 약물 요법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또, 처방이 필요한 것이나 부작용을 수반하는 것 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1개의 병태에 대한 치료를 행하더라도 그 밖의 병태가 계기가 되어 위독한 병태로 발전한다는 것을 알고 있어, 이러한 상태의 상류에 존재하는 지방 세포 유래의 내분비 인자의 분비 밸런스를 갖추는 것이 필요로 되고 있다. 이 때문에, 내장 지방의 축적에 기인하는 메타볼릭 신드롬의 예방ㆍ치료에는, 약물 요법보다 운동 요법이나 식사 요법 등 일상 생활을 되돌아보는 것이 보다 중요시되고 있다. 따라서, 일상적으로 섭취할 수 있고, 장기간에 걸쳐 섭취하더라도 안정성이 높은, 내장 지방의 축적에 기인하는 메타볼릭 신드롬의 예방ㆍ치료에 유효한 음식품이 요망되고 있다.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의 증가를 촉진하는 물질은, 사과 추출물(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호프포(苞) 추출물(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녹차 카테킨(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참조), 쌀겨 추출물(예를 들어, 특허문헌 4 참조), 울금 근경 추출물(예를 들어, 특허문헌 5 참조) 등 식물 유래의 추출물이 많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은 추출 조건이 복잡한 것도 있고, 또 추출 원료의 입수에 제약이 있는 것도 있어, 제제나 음식품 배합 원료로서의 안정된 공급에 어려움이 있다. 균의 배양물이나 균체 자체에 아디포넥틴 농도의 증가를 촉진 및/또는 감소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에 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내장 지방 축적 방지용으로서, 아스페르길러스 오리제 등의 곰팡이 배양물, 스트렙토코커스 패칼리스 등의 유산균 배양물 및 효모를 포함하는 내장 지방 축적 방지용 조성물 또는 비만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6 참조).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3종을 각각 배양하여 혼합하기 때문에 제조가 번거롭지만, 본 발명은 단일균의 배양물 또는 균체이어서 제조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에는, 병원체 감염 방어 작용(예를 들어, 특허문헌 7 참조), 염증성 장질환 및 과민성 장증후군 예방 작용(예를 들어, 특허문헌 8 참조), 당뇨병 합병증 예방 작용(예를 들어, 특허문헌 9 참조), 혈청 콜레스테롤 상승 억제 작용(예를 들어, 특허문헌 10 참조), 골흡수 억제 작용(예를 들어, 특허문헌 11 참조), 면역 증강 작용(예를 들어, 특허문헌 12 참조)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의 발효물, 또는 그 균체 자체가,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작용 및 감소 억제 작용을 갖는 것은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는, 옛부터 대표적인 낙농유제품용 유산균 스타터로서 사용되고 있다.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 스(Lactobacillus helveticus)는 강한 단백 분해 활성을 가지며, 특히 높은 활성을 갖는 균체외 프로티나아제는, 젖의 발효성에 대하여 중요한 작용을 한다. 즉, 균체외 프로티나아제는 유단백질을 분해하여 각종 펩티드 단편을 생성한다. 생성된 펩티드는 펩티다아제군의 작용을 받아 더욱 저분자의 펩티드가 된다. 단백질 분해 효소군의 작용에 의해 배지중에 생성된 펩티드의 일부는, 유산균의 균체내에 도입되어 질소원으로서 이용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한편, 배지중에 생성된 펩티드에는, 혈압 상승 작용의 원인 물질인 앤지오텐신 변환 효소(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이하 ACE라 칭한다)에 대하여 저해 활성을 갖는 것이 존재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 참조). ACE의 효소 활성을 저해하여, 혈압 상승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펩티드에 관해서는, 이미 유단백질, 대두 단백질 또는 어육 단백질 분해물 등, 많은 유효 펩티드가 보고되어 있지만,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를 사용한 발효유 중의 ACE 저해 활성을 갖는 펩티드는, Val-Pro-Pro와 Ile-Pro-Pro인 것, 또한 이들 락토트리펩티드는 강한 혈압 강하 작용을 갖는 것이 자연 발증 고혈압 래트(SHR)를 사용한 실험에 의해 확인되어 있다(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2 참조).
또한, 락토트리펩티드는, 혈압 강하 활성에 더하여, 스트레스 완화 작용을 갖는 것이 시사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3, 14 참조). 또,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에는 면역 부활 작용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5 참조). 그러나,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의 발효물 또는 그 균체 자체가, 혈중 아디포넥틴 농 도 증가 촉진 작용 및 감소 억제 작용을 갖는 것은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또,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의 배양물 및/또는 균체 자체에, 내장 지방 축적 억제 작용 및 내장 지방 감소 촉진 작용이 있는 것도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제 2006-193502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공개 제 2006-193501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공개 제 2006-131512호 공보
특허문헌 4 : 일본 특허공개 제 2005-68132호 공보
특허문헌 5 : 일본 특허공개 제 2005-60308호 공보
특허문헌 6 : 일본 특허공개 제 2004-99539호 공보
특허문헌 7 : 일본 특허공개 평 8-268899호 공보
특허문헌 8 : 일본 특허공개 제 2003-95963호 공보
특허문헌 9 : 일본 특허공개 제 2003-252770호 공보
특허문헌 10 : 일본 특허공개 제 2003-306436호 공보
특허문헌 11 : 일본 특허공개 제 2004-315477호 공보
특허문헌 12 : 일본 특허공개 제 2006-69993호 공보
특허문헌 13 : 일본 특허공개 평 10-45610호 공보
특허문헌 14 : 일본 특허공개 평 11-98978호 공보
특허문헌 15 : 일본 특허공개 제 2006-76961호 공보
비특허문헌 1 : J. Dairy Sci., 78 : 777-783 (1995)
비특허문헌 2 : J. Dairy Sci., 78 : 1253-1257 (1995)
본 발명은, 일상적인 섭취가 가능하고, 또한 섭취함으로써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의 증가를 촉진 및/또는 감소를 억제하는, 메타볼릭 신드롬의 예방ㆍ치료에 유효한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제, 이러한 기능을 부여한 음식품 및 사료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일상적인 섭취가 가능하고, 또한 섭취함으로써 내장 지방의 축적을 억제하여, 메타볼릭 신드롬의 예방ㆍ치료에 유효한 내장 지방 축적 억제제 및 이러한 기능을 부여한 음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유성분 중에서, 혈액중의 농도가 저하하면 순환기계 질환의 리스크가 높아진다고 여겨지는 아디포넥틴의 농도를 저하시키지 않는 성분의 탐색을 예의 진행해 왔다. 그 결과,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유산균, 그 중에서도 특히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및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의 배양물, 또는 균체 자체가, 매우 높은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 작용을 갖는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또, 본 발명자들은 여러가지 미생물 중에서 메타볼릭 신드롬의 원인이 되는 내장 지방을 저하시키는 균종의 탐색을 예의 진행해 왔다. 그 결과,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유산균 중에서, 특히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의 배양물 및/또는 균체 자체에, 매우 높은 내장 지방 축적 억제 작용을 발견하여 상기 과제의 해결에 성공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발명이다.
(1)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유산균의 배양물 및/또는 균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제.
(2)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유산균이,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또는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인 (1)에 기재된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제.
(3)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유산균의 배양물 및/또는 균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용 음식품.
(4)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유산균이,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또는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인 (3)에 기재된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용 음식품.
(5)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유산균의 배양물 및/또는 균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용 사료.
(6)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유산균이,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또는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인 (5)에 기재된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용 사료.
(7)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의 배양물 및/또는 균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내장 지방 축적 억제제.
(8)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의 배양물 및/또는 균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내장 지방 축적 억제용 음식품.
본 발명의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제, 및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 작용을 부여한 음식품, 사료는, 혈중 아디포넥틴의 저하에 의해 발증한다고 여겨지는 메타볼릭 신드롬의 예방ㆍ치료에 유효하다. 또, 본 발명의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제, 및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 작용을 부여한 음식품, 사료는,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유산균, 그 중에서도 특히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또는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의 배양물, 또는 그 균체 자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비교적 저가로 대량 공급이 가능하고, 또한 매우 안전성이 높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또,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의 배양물 및/또는 균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내장 지방 축적 억제제 및 내장 지방 축적 억제용 음식품은, 내장 지방의 축적에 의해 발증한다고 여겨지는 메타볼릭 신드롬의 예방ㆍ치료에 유효하다. 또, 본 발명의 내장 지방 축적 억제제 또는 음식품은,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의 배양물 및/또는 균체 자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비교적 저가로 대량 공급이 가능하고, 독성 및 부작용이 없어 매우 안전성이 높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내장 지방 축적 억제용의 보조로서, 또한 내장 지방 축적 억제용 음식품으로서 일상적으로 섭취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자들은, 발효유나 인간 유래의 수많은 유산균 중, 위산 내성이 높고, 낮은 pH 조건하에서의 생육이 양호하고, 인간 장관에 높은 정착성을 나타내고, 인간 장관 세포 친화성을 나타내고, 담즙산 내성이 있고, 장관내에 정착하고, 식품에 적용했을 때 생존률이 높고, 향미, 물성도 우수한 균주의 선정을 진행해 왔다. 다음으로, 인간 장관에 높은 정착성을 나타내는 유산균 중에서,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한다는 조건을 설정하여 선정을 진행하여,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유산균, 그 중에서도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또는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에 속하는 유산균이,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 효과를 갖는 것을 발견했다. 상기 조건에 합치하는 균주로서, 락토바실러스 가세리에 속하는 유산균 중,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SBT2055주,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JCM1131주 및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ATCC19992주를 선택할 수 있었다. SBT2055주는, 기탁번호 FERM P-15535로서 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 종합연구소 특허 미생물 기탁 센터에 기탁되어 있다. 또, JCM1131주는 독립행정법인 이화학연구소의 공개 균주, ATCC19992주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의 공개 균주이다.
특히,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SBT2055주는, 인간 장관 세포에 높은 친화성을 가지며, 경구로 투여했을 때 생존하여 장관내에 도달할 수 있고, 또 장기간 장관내에 상존하는 것이 가능하고, 장관내 생육함으로써 숙주에 작용하여,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 효과를 갖는 활성이 높다. 체외로부터 투여한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에 속하는 유산균이 장내에 정착하여, 이러한 생리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전혀 알려져 있지 않고, 본 발명자들에 의해 처음으로 명확해졌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균주에 한정되지 않고, 인간이나 발효유로부터 분리되는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이어도, 생균뿐만아니라 사균체이어도, 상기 작용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또,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의 이변주이며 상기 작용을 나타내는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의 배지에는, 유배지 또는 유성분을 포함하는 배지, 이것을 포함하지 않는 반합성 배지 등 여러가지 배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배지로는, 탈지유를 환원하여 가열 살균한 환원 탈지유 배지를 예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건에 합치하는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 효과를 갖는 균주로서, 또한 내장 지방 축적 억제에 유효하다는 것을 확인한 균주로서,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에 속하는 유산균 중,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SBT2171주,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ATCC10386주 및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ATCC10797주를 선택할 수 있었다. 이 경우, 생균 및 사균 모두 본 발명에 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SBT2171주는, 기탁번호 FERM P-14381로서, 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 종합연구소 특허 미생물 기탁 센터에 기탁되어 있다. 또, ATCC10386주 및 ATCC10797주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의 공개 균주이다.
이러한 락토바실러스속 유산균의 배양법은, 정치(靜置) 배양 또는 pH를 일정하게 컨트롤한 중화 배양으로 행하지만, 균이 양호하게 생육하는 조건이라면 배양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균체는, 유산균 배양의 통상의 방법으로 배양하고, 얻어진 배양물로부터 원심 분리 등의 집균 수단에 의해 분리된 것을 그대로 본 발명의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균체로서 순수하게 분리된 균체뿐만 아니라, 배양물, 발효물, 현탁물, 그 밖의 균체 함유물나, 균체를 효소나 물리적 수단을 이용하여 처리한 세포질이나 세포벽 획분도 사용할 수 있다. 균체 자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생균 및 사균 어느 것이라도 관계없다.
본 발명의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제, 내장 지방 축적 억제제는,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유산균의 배양물 및/또는 그 균체 자체를 유효 성분으로 한 것이다. 또한, 제제화할 때에는 제제상 허가되어 있는 부형제, 안정제, 교미제 등을 적절하게 혼합하여 농축, 동결 건조 하는 것 외에, 가열 건조하여 사균체로 해도 된다. 이들의 건조물, 농축물, 페이스트물도 포함된다. 또, 균체나 배양물의 작용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활택제, 교미 교취제, 현탁제, 코팅제, 그 밖의 임의의 약제를 혼합하여 제제화할 수도 있다. 제형으로는, 정제, 환제, 캡슐제, 과립제, 산제, 가루제, 시럽제 등이 가능하며, 이들을 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유산균, 그 중에서도 특히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및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의 발효물, 또는 그 균체 자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의 기능을 부여한 음식품이고, 또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의 발효물, 또는 그 균체 자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내장 지방 축적 억제용 음식품이다.
본 발명의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 작용을 부여한 음식품으로는,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유산균, 그 중에서도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및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의 배양물 또는 발효물, 또는 그 균체 자체이어도 되고, 균체나 배양물 또는 발효물 자체를 배합한 음식품으로 해도 된다.
내장 지방 축적 억제용 음식품으로는,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의 배양물 또는 발효물, 또는 그 균체 자체이어도 되고, 균체나 배양물 또는 발효물 자체를 배합한 음식품으로 해도 된다.
모두, 배양물 또는 발효물의 형태로서 요구르트나 치즈 등의 발효 식품이 바람직하다. 균체나 배양물 또는 발효물은, 어떠한 음식품에 배합해도 되고, 음식품의 제조 공정중에 원료에 첨가해도 된다. 음식품의 예로서, 유음료, 발효유, 과즙 음료, 젤리, 캔디, 유제품, 마요네즈 등의 난가공품, 버터 케이크 등의 과자ㆍ빵류 등의 식품을 들 수 있다. 또, 각종 분유 외에, 영아, 유아 및 저체중아 등을 대상으로 하는 영양 조성물에 배합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생균체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유산균, 그 중에서도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및/또는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의 균주 자체, 및 상기 유산균의 균체를 발효되어 얻어진 발효유나 치즈를 소재로서 사용하여,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용 및 내장 지방 축적 억제용의 빵이나 스낵 과자, 케이크, 푸딩 등으로 해도 된다. 이들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고,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 작용, 또는 내장 지방 축적 억제 작용을 갖기 때문에, 혈중 아디포넥틴의 저하 또는 내장 지방 축적을 원인으로 하는 메타볼릭 신드롬의 예방ㆍ치료에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유산균, 그 중에서도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및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의 발효물, 또는 그 균체 자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 또는 내장 지방 축적 억제의 기능을 부여한 사료이다. 가축용 사료로서, 상기 음식품과 마찬가지로, 균체나 배양물 또는 발효물은, 어떠한 사료에 배합해도 되고, 음식품의 제조 공정중에 원료에 첨가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 작용, 및 내장 지방 축적 억제 작용을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성인의 경우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및/또는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의 배양물을 10∼200g, 또는 그 균체 자체를 1일당 0.1∼5,000㎎ 섭취할 수 있도록 배합량 등을 조정하면 된다. 유산균의 함유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조의 용이성이나 바람직한 1일 투여량 등에 맞춰 적절하게 조절하면 된다. 예를 들어 제형이 액체인 경우에는 1×105cells/㎖∼1×1010cells/㎖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고체인 경우에는 1×105cells/g∼1×1010cells/g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균으로서 투여하는 경우는, 성인 1인당 108∼1012cfu/일 투여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섭취함으로써 장관내에 정착하여 원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러한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제, 또는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용 음식품, 사료는,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의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 효과를 갖기 때문에, 상술한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의 저하에 의해 유발되는 여러가지 병태의 예방, 치료, 개선에 매우 유익해질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내장 지방 축적 억제제 또는 음식품은, 내장 지방 축적 억제 효과를 갖기 때문에, 내장 지방 축적에 의해 유발되는 여러가지 병태의 예방, 치료, 개선에 매우 유익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산균 균체는, 오래 전부터 발효유나 치즈의 제조에 사용되고 있어, 본 발명의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제, 또는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용 음식품, 사료 및 내장 지방 축적 억제제 또는 음식품은 안전성에 문제는 없다는 특징이 있다.
이하에, 실시예 및 시험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에 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들은 단순한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배양물 분말의 조제 1)
환원 탈지유 배지(13중량% 탈지분유, 0.5중량% 효모 엑기스 함유)를 95℃에서 30분간 살균한 후,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SBT2055를 접종하여, 37℃에서 16시간 배양하고, 얻어진 배양물을 동결 건조하여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SBT2055의 배양물 분말을 얻었다. 이것은, 그대로 본 발명의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2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배양물 분말의 조제 2)
환원 탈지유 배지(13중량% 탈지분유, 0.5중량% 효모 엑기스 함유)를 95℃에서 30분간 살균한 후,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JCM1131을 접종하여, 37℃에서 16시간 배양하고, 얻어진 배양물을 동결 건조하여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JCM1131의 배양물 분말을 얻었다. 이것은, 그대로 본 발명의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시험예 1]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배양물의 투여와 혈중 아디포넥틴의 측정)
4주령 Fischer계 수컷 래트 50마리에게 컨트롤식을 자유롭게 섭취시켜 1주간 사육한 후, 10마리씩 각 군으로 나눠, 1군은 계속해서 컨트롤식을, 다른 군에게는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SBT2055,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JCM1131,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ATCC19992,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casei) ATCC11578을 배합한 시험식을 자유롭게 섭취시켜 4주간 더 사육한 후,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를 측정했다. 5군에 체중, 섭식량, 분(糞)중량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를 측정하여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이것에 의하면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는, 컨트롤식 섭취군과 비교하여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SBT2055,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JCM1131,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ATCC19992,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casei) ATCC11578식 섭취군은 유의하게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즉,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SBT2055,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JCM1131,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ATCC19992,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casei) ATCC11578의 배양물 분말을 첨가한 식품은,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표 1]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의 변화
사료군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ml) 변화율(%)
4주간 8주간
컨트롤식 11.01 10.27 93.3
SBT2055 배합식 10.93 15.28 139.8
JCM1131 배합식 11.22 13.98 124.6
ATCC19992 배합식 11.34 13.55 119.5
ATCC11578 배합식 12.33 14.07 114.1
이상의 결과로부터,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의 배양물 분말을 첨가한 식품은, 순환기계 질환의 리스크가 높아지는 것이 나타나 있는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의 저하를 억제하여, 적절한 값으로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실시예 3
(정제의 제조)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SBT2055의 액체 배양물을 4℃, 7,000rpm으로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멸균수에 의한 세정을 하고, 이것을 3회 반복하여 세정 균체를 얻었다. 이것을 동결 건조 처리하여 균체 분말을 얻었다. 이 균체 분말 1부에 탈지분유 4부를 혼합하고, 이 혼합 분말을 타정기에 의해 1g씩 정법으로 타정하여,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SBT2055의 균체 200㎎을 포함하는 정제를 조제했다.
실시예 4
(발효유의 제조)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SBT2055를 MRS 액체 배지(Difco사)로 배양했다. 대수증식기에 있는 각 배양액을, 0.3%의 효모 엑기스를 첨가한 10% 환원 탈지유(115℃, 20분 멸균)에 1% 접종하여 모(母)배양을 만들었다. 여기에 10%의 환원 탈지유를 첨가하여, 100℃에서 10분간 가열한 요구르트 믹스에 2.5% 첨가하여 조제했다. 37℃에서 발효하여 젖산 산도 0.85에 도달한 시점에서 냉각시켜 발효를 종료하여, 본 발명의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제용 발효유를 얻었다.
실시예 5
(산제의 제조)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SBT2055를 MRS 액체 배지(Difco사) 5L에 접종한 후 37℃, 18시간 정치 배양을 했다. 배양 종료후 7,000rpm으로 15분간 원심 분리를 하여, 배양액의 1/50량의 농축 균체를 얻었다. 이어서, 이 농축 균체를 탈지분유 10중량%, 글루타민산소다 1중량%를 포함하는 분산매와 동량 혼합하여, pH7로 조정한 후 동결 건조했다. 얻어진 동결 건조물을 60메쉬의 체로 정립(整粒)화하여 동결 건조 균말을 제조했다. 제13개정 일본약국방 해설서 제제 총칙 「산제」의 규정에 준거하여, 이 동결 건조 균말 1g에 락토오스(일본약국방) 400g, 감자 전분(일본약국방) 600g을 더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본 발명의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용 산제를 얻었다.
실시예 6
(스틱형 건강 식품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SBT2055의 배양물 분말 30g에, 비타민 C와 시트르산의 등량 혼합물 40g, 그래뉴당 100g, 콘스타치와 젖당의 등량 혼합물 60g을 더하여 혼합했다. 혼합물을 스틱형 봉투에 채워, 본 발명의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용 스틱형 건강 식품을 제조했다.
실시예 7
(내츄럴 치즈의 제조)
지방률을 조정한 원료유를 75℃에서 15초간의 플레이트 가열 살균을 행한 후, 30℃까지 냉각시키고, 0.01% 염화칼슘을 첨가했다. 다음으로, 이 원료유에 시판하는 유산균 스타터(크리스챤ㆍ한센사 제조) 0.7% 및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SBT2055 1%를 첨가하고, 렌넷 0.003%를 첨가하여 젖을 응고시킨 후 컷팅하여 pH가 6.2∼6.1이 될 때까지 교반하고, 훼이를 배출하여 커드 입자를 얻었다. 이 커드 입자를 틀에 넣어 압착하고 가염하여, 본 발명의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용 내츄럴 치즈를 제조했다.
실시예 8
(캡슐제의 제조)
표 2에 나타낸 배합으로 원료를 혼합하고 조립(造粒)한 후 캡슐에 충전하여, 본 발명의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용 캡슐제를 제조했다.
[표 2]
SBT2055 (실시예 1) 20.0 (중량%)
락토오스 24.5
가용성 전분 55.0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0.5
실시예 9
(음료의 제조)
표 3에 나타낸 배합으로 원료를 혼합하고 용기에 충전한 후 가열 살균하여, 본 발명의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용 음료를 제조했다.
[표 3]
SBT2055 (실시예 1) 2.5 (중량%)
설탕 7.5
시트르산 0.6
사과 과즙 10.0
79.4
실시예 10
(저지방 경질 내츄럴 치즈의 제조)
치즈중의 지방률이 12∼30%가 되도록 조정한 원료유를 사용하여, 여러 종류의 저지방 경질 내츄럴 치즈를 제조했다. 즉, 지방률을 조정한 원료유를 75℃에서 15초간의 플레이트 가열 살균을 행한 후, 30℃까지 냉각시키고, 001% 염화칼슘을 첨가했다. 다음으로, 이 원료유에 유산균 스타터(크리스챤ㆍ한센사 제조) 0.7% 및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SBT2171 1%를 첨가하고, 렌넷 0.003%를 첨가하여 젖을 응고시킨 후 컷팅하여 pH가 6.2∼6.1가 될 때까지 교반하고, 훼이를 배출하여 커드 입자를 얻었다. 이 커드 입자를 틀에 넣어 압착하고 가염하여, 본 발명의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용 고다 치즈 타입 저지방 경질 내츄럴 치즈를 제조했다.
실시예 11
(발효유의 제조)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SBT2171을 사용하여 발효유를 제조했다.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SBT2171을, 탈지유 100g을 사용하여 37℃, 12시간 배양한 것을, 새로운 동배지 3㎏에 접종하여 37℃, 12시간 배양했다. 배양 종료한 젖 전량을 스타터로서 사용하고, 탈지유 100㎏을 32℃, 20시간 발효시켜 본 발명의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용 발효유를 얻었다.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SBT2171의 생균수는 8.2×108 cells/g 이었다.
실시예 12
(드링크 요구르트의 제조)
실시예 11에서 얻어진 발효유 43㎏에 그래뉴당 4㎏, 물 3㎏, 펙틴 0.15㎏을 첨가한 후에 균질화하여, 드링크 요구르트 50㎏을 얻었다. 이 드링크 요구르트는 마일드한 바람직한 풍미를 가지며, pH3.6이고,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SBT2171의 생균수는 4.6×108 cells/g 이었다.
실시예 13
(균체의 조제)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여 얻어진 발효유 5㎏에 동량의 물을 첨가한 후, 연속 원심 분리기로 3,500×g, 20분간의 원심 분리를 행하여 균체만을 분리 회수했 다. 침전물 중에 포함되는 비균체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물을 1㎏ 첨가한 후 다시 원심 분리하고, 이것을 3회 반복했다. 최종적으로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SBT2171의 균체 20g을 회수했다. 이것은, 그대로 본 발명의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시험예 2]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 작용의 확인)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의 균체를 사용하여,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 작용을 확인했다. 동물 실험은 4주령 Fischer계 수컷 래트 1군 8마리로 하고,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를 배합한 사료를 투여한 군(균체식군), 균체를 배합하지 않은 사료를 투여한 군(대조식군)으로 하여 행했다. 동물 실험은, 사육후 4주째까지는 대조 사료를 주고, 그 후 8주째까지 대조 사료, 또는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를 배합한 균체 사료를 주었다. 4주째, 8주째에 채혈을 하여, 마우스/래트 아디포넥틴 ELISA 키트(오오쯔카 제약사)를 사용하여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를 측정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이것에 의하면 대조식군의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하고 있는 데 비해, 균체식군에서는 증가하는 것이 명확해졌다. 즉,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를 섭취함으로써,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의 증가가 촉진, 또는 감소가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4]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의 변화
사료군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ml) 변화율(%)
4주간 8주간
대조식 12.21 11.77 96.4
SBT2171 배합균체식 11.98 14.95 124.8
ATCC10386 배합균체식 11.55 13.78 119.3
ATCC10797 배합균체식 12.54 14.34 114.3
[시험예 3]
(아디포넥틴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 작용의 확인)
실시예 10에서 얻어진 치즈를 사용하여, 아디포넥틴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 작용을 확인했다. 동물 실험은 4주령의 Fischer계 래트를 1군 8마리로 하여, 치즈를 배합한 사료를 투여한 군(치즈식군), 치즈를 배합하지 않은 대조 사료를 투여한 군(대조식군)으로 하여 행했다. 대조 사료는, 단백질원으로서 밀크 카제인, 지질원으로서 버터 오일을 사용하고, 치즈 성분의 분석 결과(표 5)에 기초하여, 일반 성분, 주요 미네랄, 비타민 E(α-토코페롤)의 함유량이 치즈를 배합한 사료와 동일해지도록 배합했다. 치즈를 배합한 사료에서는, 단백질, 지질원을 모두 치즈 성분만으로 하였다.
동물 실험은, 사육후 4주째까지는 대조 사료를 주고, 그 후 2군으로 나눠 8주째까지 대조 사료, 치즈사료를 주었다. 4주째, 8주째에 채혈을 하여, 마우스/래트 아디포넥틴 ELISA 키트(오오쯔카 제약사)를 사용하여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를 측정했다.
[표 5]
치즈의 성분
단백질 지방 회분 g/100g 44.8 43.4 6.3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인 철 mg/100g 1050 130 1190 41 850 0.22
α-토코페롤 mg/100g 0.9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이것에 의하면 대조식군의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하고 있는 데 비해, 치즈식군에서는 오히려 증가하는 것이 명확해졌다. 즉,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로 제조한 치즈를 섭취함으로써,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가 증가 촉진 또는 감소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6]
사료군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ml) 변화율(%)
4주간 8주간
대조식 11.74 11.01 93.8
치즈식 (실시예 10) 10.88 13.81 126.9
실시예 14
(개사육용 사료의 제조)
표 7에 나타낸 배합으로 원료를 혼합하여, 본 발명의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용 개사육용 사료를 제조했다.
[표 7]
SBT2171 균체 2.5 (중량%)
탈지분유 13.5
대두박 12.0
대두유 4.0
옥수수유 2.0
팜유 27.0
옥수수 전분 14.0
소맥분 9.0
밀기울 2.0
비타민 혼합물 9.0
미네랄 혼합물 2.0
셀룰로오스 3.0
실시예 15
(ATCC10386주의 균체 분말제의 제조)
환원 탈지유 배지(13중량% 탈지분유, 0.5중량% 효모 엑기스 함유)를 95℃에서 30분간 살균한 후,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ATCC10386주를 접종하여 37℃에서 16시간 배양하고, 얻어진 배양물을 동결 건조하여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ATCC10386주의 균체 배양물 분말을 얻었다. 이것은, 그대로 본 발명의 내장 지방 축적 억제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16
(ATCC10797주의 균체 분말제의 제조)
환원 탈지유 배지(13중량% 탈지분유, 0.5중량% 효모 엑기스 함유)를 95℃에서 30분간 살균한 후,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ATCC10797주를 접종하여 37℃에서 16시간 배양하고, 얻어진 배양물을 동결 건조하여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ATCC10797주의 균체 배양 물 분말을 얻었다. 이것은, 그대로 본 발명의 내장 지방 축적 억제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17
(발효유의 제조)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SBT2171(FERM P-14381)주를, 탈지유 100g을 사용하여 37℃, 12시간 배양한 것을, 새로운 동배지 3㎏에 접종하여 37℃, 12시간 배양했다. 배양 종료한 발효유 전량을 스타터로서 사용하고, 탈지유 100㎏을 32℃, 20시간 발효시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SBT2171(FERM P-14381)주의 발효유를 얻었다.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SBT2171(FERM P-14381)의 생균수는 8.2×108개/g 이었다. 이것은, 그대로 본 발명의 내장 지방 축적 억제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18
(SBT2171주의 균체 분말의 제조)
실시예 17과 동일하게 하여 얻어진 배양물 5㎏에 동량의 물을 첨가한 후, 연속 원심 분리기로 3,500×g, 20분간 원심 분리하여 균체만을 분리 회수했다. 침전물 중에 포함되는 비균체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물을 1㎏ 첨가한 후 다시 원심 분리하고, 이것을 3회 반복하여,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SBT2171(FERM P-14381)주의 균체 20g을 회수했다. 얻어진 세정 균체를 동결 건조 처리하여 균체 분말을 얻었다. 이것은, 그대로 본 발명의 내장 지방 축적 억제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19
(SBT2171주의 균체 분말 정제의 제조)
실시예 18에서 얻어진 균체 분말 1부에 탈지분유 4부를 혼합하고, 이 혼합 분말을 타정기로 1g씩 통상의 방법으로 타정하여,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SBT2171(FERM P-14381)주의 균체 200㎎을 포함하는 균체 분말 정제를 조제했다. 이것은, 그대로 본 발명의 내장 지방 축적 억제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20
(드링크 요구르트의 제조)
실시예 17에서 얻어진 발효유 43㎏에 그래뉴당 4㎏, 물 3㎏, 펙틴 0.15㎏을 첨가한 후에 균질화하여, 본 발명의 내장 지방 축적 억제용 드링크 요구르트 50㎏을 얻었다. 이 드링크 요구르트는 마일드한 바람직한 풍미를 가지며, pH3.6이고,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SBT2171(FERM P-14381)의 생균수는 4.6×108개/g 이었다
실시예 21
(치즈의 제조)
치즈중의 지방률이 12∼30%가 되도록 조정한 원료유를 사용하여, 여러 종류 의 저지방 경질 내츄럴 치즈를 제조했다. 즉, 지방률을 조정한 원료유를 75℃에서 15초간의 플레이트 가열 살균을 행한 후 30℃까지 냉각시키고, 001% 염화칼슘을 첨가했다. 다음으로, 이 원료유에 시판하는 유산균 스타터(크리스챤ㆍ한센사 제조) 0.7% 및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SBT2171(FERM P-14381) 1%를 첨가하고, 렌넷 0.003%를 첨가하여 젖을 응고시킨 후 컷팅하여 pH가 6.2∼6.1가 될 때까지 교반하고, 훼이를 배출하여 커드 입자를 얻었다. 이 커드 입자를 틀에 넣어 압착하고 가염하여 고다 치즈 타입의 저지방 경질 내츄럴 치즈를 제조했다. 이것은, 그대로 본 발명의 내장 지방 축적 억제용 식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시험예 4]
(내장 지방 축적 억제 작용의 확인)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를 사용하여, 동물 실험에 의해 내장 지방 축적 억제 작용을 확인했다. 동물 실험은 4주령 Fischer계 수컷 래트 1군 8마리로 하고,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SBT2171(FERM P-14381),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ATCC10386 및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ATCC10797를 배합한 사료를 투여한 군(균체식군), 균체를 배합하지 않은 사료를 투여한 군(대조식군)의 4군으로 나누어 행했다. 동물 실험은, 사육후 4주째까지는 대조 사료를 주고, 그 후 대조식군은 계속해서 8주째까지 대조 사료를, 균체식군은 각각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를 배합한 균체 사료를 주었다. 8주째 에 해부하여, 내장 지방(장간막, 고환 주위, 신장 주위, 후복벽)의 양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이것에 의하면 대조식군의 내장 지방량에 비해, 균체식군에서는 대체로 낮은 값을 나타내는 것이 명확해졌다. 즉,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를 섭취함으로써, 내장 지방의 축적이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8]
내장 지방 축적량
사료군 내장지방량 (g) 내장지방 합계 (g)
장간막 고환 주위 신장 주위 후복벽
대조식 2.54 3.51 0.94 2.15 9.14
STB2171 균체식 2.04 3.31 0.91 2.07 8.33
ATCC10386 균체식 2.14 3.28 0.88 2.10 8.40
ATCC10797 균체식 2.22 3.56 0.89 2.11 8.78
[시험예 5]
(내장 지방 축적 억제 작용의 확인)
실시예 21에서 얻어진 치즈를 사용하여, 내장 지방 축적 억제 작용을 확인했다. 동물 실험은 4주령의 Fischer계 래트를 1군 8마리로 하고, 치즈를 배합한 사료를 투여한 군(치즈식군), 치즈를 배합하지 않은 대조 사료를 투여한 군(대조식군)으로 나누었다. 대조 사료는, 단백질원으로서 밀크 카제인, 지질원으로서 버터 오일을 사용하고, 치즈 성분의 분석 결과(표 5)에 기초하여, 일반 성분, 주요 미네랄, 비타민 E(α-토코페롤)의 함유량을, 치즈를 배합한 사료와 동일해지도록 배합했다. 치즈를 배합한 사료에서는, 단백질, 지질원을 모두 치즈 성분만으로 하였다. 동물 실험은, 래트를 2군으로 나눠, 대조 사료 및 치즈 배합 사료를 각각 주었다. 그리고, 2군으로 나누고 나서 8주째의 시점에서 래트를 해부하여, 장간막, 고환 주위, 신장 주위, 후복벽 각각에서의 내장 지방 축적량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9에 나타낸다. 이것에 의하면 대조식군의 내장 지방 축적량에 비해, 치즈식군의 내장 지방 축적량은 전체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장간막 지방에서는 대조식군보다 유의하게 작은 값을 나타냈다. 즉,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SBT2171(FERM P-14381)로 제조한 치즈를 섭취함으로써, 내장 지방, 특히 장간막 지방의 축적이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9]
사료군 내장지방량 (g) 내장지방 합계 (g)
장간막 고환 주위 신장 주위 후복벽
대조식 2.96 3.68 0.98 2.56 10.18
치즈식 (실시예 21) 2.19 3.22 0.74 2.11 8.26
실시예 22
(캡슐제의 제조)
표 10에 나타낸 배합으로 원료를 혼합하고 조립한 후 캡슐에 충전하여, 내장 지방 축적 억제 작용을 부여한 캡슐제를 제조했다.
[표 10]
SBT2171 균체 (실시예 18) 20.0 (중량%)
락토오스 24.5
가용성 전분 55.0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0.5
실시예 23
(음료의 제조)
표 11에 나타낸 배합으로 원료를 혼합하고 용기에 충전한 후 가열 살균하여, 본 발명의 내장 지방 축적 억제용 음료를 제조했다.
[표 11]
SBT2171 균체 (실시예 18) 2.5 (중량%)
설탕 7.5
시트르산 0.6
사과과즙 10.0
79.4

Claims (8)

  1.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유산균의 배양물 및/또는 균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유산균이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또는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인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제.
  3.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유산균의 배양물 및/또는 균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용 음식품.
  4. 제3항에 있어서,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유산균이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또는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인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용 음식품.
  5.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유산균의 배양물 및/또는 균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용 사료.
  6. 제5항에 있어서,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유산균이 락토바실러스 가 세리(Lactobacillus gasseri) 또는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인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용 사료.
  7.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의 배양물 및/또는 균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내장 지방 축적 억제제.
  8.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의 배양물 및/또는 균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내장 지방 축적 억제용 음식품.
KR1020097005375A 2006-09-04 2007-08-30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제 및 내장 지방 축적 억제제 KR1014926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39290A JP5089942B2 (ja) 2006-09-04 2006-09-04 内臓脂肪蓄積抑制剤
JPJP-P-2006-239290 2006-09-04
JPJP-P-2006-244377 2006-09-08
JP2006244377A JP5229977B2 (ja) 2006-09-08 2006-09-08 血中アディポネクチン濃度増加促進及び/又は減少抑制剤
PCT/JP2007/000932 WO2008029505A1 (fr) 2006-09-04 2007-08-30 Agent d'accélération de l'accroissement et/ou la prévention de diminution dans le niveau d'adiponectine dans le sang, et inhibiteur de l'accumulation de graisse viscéra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9604A true KR20090049604A (ko) 2009-05-18
KR101492650B1 KR101492650B1 (ko) 2015-02-12

Family

ID=39156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5375A KR101492650B1 (ko) 2006-09-04 2007-08-30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제 및 내장 지방 축적 억제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100021444A1 (ko)
EP (1) EP2062587A4 (ko)
KR (1) KR101492650B1 (ko)
CN (1) CN101678051B (ko)
AU (1) AU2007292786B2 (ko)
NZ (2) NZ575469A (ko)
WO (1) WO200802950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246B1 (ko) * 2022-08-02 2023-02-14 (주)헥토헬스케어 체지방 감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 bcc-lh-04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4253A (ja) * 2007-03-02 2008-09-18 Snow Brand Milk Prod Co Ltd 内臓脂肪減少剤
JP5225652B2 (ja) * 2007-10-29 2013-07-03 雪印メグミルク株式会社 アディポネクチン分泌促進及び/又は減少抑制剤
US9181561B2 (en) 2009-01-29 2015-11-10 Hokusan Co., Ltd. Adiponectin-containing eating behavior control agent for oral administration
EP2216034A1 (en) * 2009-02-10 2010-08-11 Nestec S.A. Lactobacillus helveticus CNCM I-4095 and weight control
JP5804542B2 (ja) * 2010-03-25 2015-11-04 雪印メグミルク株式会社 脂肪肝予防及び/又は抑制剤
JPWO2011132692A1 (ja) * 2010-04-22 2013-07-18 キユーピー株式会社 内臓脂肪蓄積抑制剤
ITMI20132121A1 (it) * 2013-12-18 2015-06-19 Ct Latte Lodi S R L Processo per la preparazione di un derivato caseario
US20210401928A1 (en) * 2018-10-26 2021-12-30 Asahi Group Holdings, Ltd. Anti-obesity agent, pollakiuria improving agent, and autonomic nervous activity regulator
CN110628668B (zh) * 2019-09-03 2021-03-30 北京量化健康科技有限公司 具有防治高血脂症功能的格氏乳杆菌以及产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4890B2 (ja) 1995-03-28 2000-01-31 雪印乳業株式会社 病原体感染防御剤
JP4065038B2 (ja) * 1996-08-07 2008-03-19 カルピス株式会社 計算作業負荷ストレス緩和剤
JP3028411B2 (ja) 1997-09-26 2000-04-04 カルピス株式会社 トリペプチド高生産性ラクトバチルス・ヘルベチカス乳酸菌
FI113741B (fi) * 1999-11-01 2004-06-15 Valio Oy Menetelmä verenpainetta alentavia peptidejä sisältävän tuotteen valmistamiseksi
KR100404236B1 (ko) * 2000-05-17 2003-11-01 (주)바이오니아 비만 또는 당뇨병 치료용 미생물 및 상기 미생물을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JP4580542B2 (ja) * 2000-05-17 2010-11-17 株式會社バイオニア 肥満又は糖尿病治療用微生物及びその微生物を含む医薬組成物
JP4853986B2 (ja) 2001-09-20 2012-01-11 雪印メグミルク株式会社 炎症性腸疾患及び過敏性腸症候群の予防・治療剤
JP2003306436A (ja) 2002-02-15 2003-10-28 Snow Brand Milk Prod Co Ltd 血清コレステロール上昇抑制剤
JP4280016B2 (ja) 2002-02-28 2009-06-17 雪印乳業株式会社 糖尿病合併症予防・改善・治療剤
JP2003252772A (ja) * 2002-03-04 2003-09-10 Snow Brand Milk Prod Co Ltd 加齢に伴う代謝異常症の予防・改善・治療剤
JP2004099539A (ja) * 2002-09-10 2004-04-02 Wakamoto Pharmaceut Co Ltd 内臓脂肪蓄積防止組成物又は食品
JP2004315477A (ja) 2003-04-18 2004-11-11 Tokyoto Koreisha Kenkyu Fukushi Shinko Zaidan 骨吸収抑制剤
JP4846990B2 (ja) 2003-08-06 2011-12-28 株式会社テラ・ブレインズ アディポネクチン分泌促進剤
JP2005060308A (ja) 2003-08-13 2005-03-10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アディポネクチンの産生増強、促進剤
JP2006056836A (ja) * 2004-08-20 2006-03-02 Taiyo Kagaku Co Ltd 脂肪組織特異分泌蛋白産生増強組成物
KR100686558B1 (ko) * 2004-09-02 2007-02-23 씨제이 주식회사 체지방 저하 기능성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륨와 이를 함유한 식품
JP5095912B2 (ja) * 2004-09-06 2012-12-12 雪印メグミルク株式会社 免疫増強剤
JP4688457B2 (ja) 2004-09-10 2011-05-25 四国乳業株式会社 免疫増強組成物
JP2006131512A (ja) 2004-11-02 2006-05-25 Pharma Foods International Co Ltd アディポネクチン分泌促進組成物および該組成物を含有する飲食品
JP2006193501A (ja) 2004-12-17 2006-07-27 Asahi Breweries Ltd アディポネクチン調節剤、それを含有する飲食品、食品添加物及び医薬
JP2006193502A (ja) 2004-12-17 2006-07-27 Asahi Breweries Ltd アディポネクチン調節剤、それを含有する飲食品、食品添加物及び医薬
JP2006182654A (ja) * 2004-12-24 2006-07-13 Toyo Shinyaku:Kk 体脂肪の蓄積抑制または低減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246B1 (ko) * 2022-08-02 2023-02-14 (주)헥토헬스케어 체지방 감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 bcc-lh-04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24029670A1 (ko) * 2022-08-02 2024-02-08 (주)헥토헬스케어 체지방 감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 bcc-lh-04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7292786A1 (en) 2008-03-13
NZ597178A (en) 2012-08-31
NZ575469A (en) 2012-05-25
AU2007292786B2 (en) 2013-02-14
CN101678051B (zh) 2012-12-12
EP2062587A1 (en) 2009-05-27
US20100021444A1 (en) 2010-01-28
CN101678051A (zh) 2010-03-24
EP2062587A4 (en) 2013-08-28
KR101492650B1 (ko) 2015-02-12
US20120009165A1 (en) 2012-01-12
WO2008029505A1 (fr) 2008-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222007B2 (en) Agent for reducing visceral fat
KR101492650B1 (ko)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제 및 내장 지방 축적 억제제
JP5031249B2 (ja) 炎症抑制作用のある菌体含有組成物
MX2012009945A (es) Preparacion que contiene bacteria de acido lactico.
JP5229977B2 (ja) 血中アディポネクチン濃度増加促進及び/又は減少抑制剤
KR20100119875A (ko) 아디포넥틴의 분비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용 제제
JP5089942B2 (ja) 内臓脂肪蓄積抑制剤
EP2210609B1 (en) Agent for promoting the secretion of adiponectin and/or inhibiting the decrease in the secretion of adiponectin
KR102037897B1 (ko) 케피어 유래 유산균 및 포도씨 분말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894242B2 (ja) 非アルコール性肝障害抑制剤
WO2017022560A1 (ja) 形質細胞様樹状細胞増加剤
KR102244732B1 (ko) 프로바이오틱 초산균인 아세토박터 파스테리아누스 mglv 및 이의 면역조절 효과
WO2017057307A1 (ja) 抗体産生調節剤
KR102536139B1 (ko)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ku15147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37898B1 (ko) 케피어 유래 유산균 및 포도씨 분말을 포함하는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45340A (ko) 체지방을 감소시키거나 지방간 형성을 억제시키기 위한 열처리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8 조성물
KR20230057289A (ko)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를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20220168575A (ko)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 및 조절 t 세포의 병용 투여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