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052B1 -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 및 이를 이용한 김치제조 - Google Patents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 및 이를 이용한 김치제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052B1
KR102488052B1 KR1020220043977A KR20220043977A KR102488052B1 KR 102488052 B1 KR102488052 B1 KR 102488052B1 KR 1020220043977 A KR1020220043977 A KR 1020220043977A KR 20220043977 A KR20220043977 A KR 20220043977A KR 102488052 B1 KR102488052 B1 KR 102488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mchi
wikim0121
leuconostoc
leuconostoc mesenteroid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3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지윤
송정희
이모은
최은지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2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by pickling, e.g. sauerkraut or pick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김치 및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은 발효식품의 스타터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은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사람 또는 동물의 정장, 위장 질환, 면역강화 등의 용도를 위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만니톨 생성 유산균으로서 김치에 포함되어 위해 미생물 저감화, 품질 균일화 및 저장기간 연장 효과를 나타내는 김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 및 이를 이용한 김치제조 {Leuconostoc mesenteroides WiKim0121 and kimchi prepared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 및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김치는 우리나라 전통적인 부식으로 주로 각 가정에서 직접 만들어 섭취해 왔으나 최근 들어 핵가족화, 맞벌이 부부 등이 증가하는 산업화된 사회에서는 김치를 가정에서 자주 만들어 먹기가 너무나 번잡해 소위 공장김치인 가공식품으로 유통되고 있는 김치의 소비가 날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완제품의 형태로 판매되는 김치는 비-멸균성 발효식품이므로 유통되는 과정에서 발효가 계속 진행되므로 유통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으며, 소비자의 기호에 따른(발효 정도) 김치 섭취기간이 짧다.
또한 김치는 주원료인 절임 배추에 고춧가루, 마늘, 생강, 파 및 무 등을 혼합한 후, 제품의 보존성과 숙성도를 확보 하기 위하여 저온에서 발효시킨 식품으로서, 우리나라 고유의 대표적인 전통발효식품이다.
상품화되고 있는 김치의 경우, 일정한 품질의 김치를 제공할 수 없고, 장기 유통 과정에서 맛이 변질되거나, 과 숙성 또는 산패되어 먹을 수 없게 되는 등 상품으로써 가치가 극감하는 저장성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이에, 김치의 저장성을 연장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었으며, 김치에서 유래되는 유산균을 분리한 후, 김치 제조시 스타터(starter)로 첨가함으로써 김치의 맛과 발효를 조절하려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즉, 차아염소산나트륨과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균주를 첨가하여 산패가 억제되고 보존성이 연장된 김치를 제조하는 방법(특허문헌 0001)이 개시된 바 있고, 류코노스톡 파라메센테로이드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균주를 혼합 첨가함으로써 맛과 산패가 지연된 김치의 제조방법(특허문헌 0002)등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숙성을 지연시켜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숙성이 진행되는 김치를 제공하므로 일정한 숙성 상태의 김치를 제공할 수 없다.
또한 일반적으로 숙성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저장할 경우 저장성은 향상되나 관능이 매우 낮으며, 과다 숙성된 김치를 저장할 경우 저장성 및 관능이 모두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김치의 상업적 생산이 본격화되면서 김치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풍미를 향상시키고 가식기간을 연장시키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방사선 조사, 열처리, 고압처리와 같은 물리적 방법을 적용한 결과, 발효 초기 미생물의 생육저해를 통한 발효 지연효과가 보고되었다. 그러나 물리적 처리에 의한 품질 저하와 영양 손실의 가능성이 크고, 설비투자에 따른 생산비용 증가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자몽종자 추출물 등의 천연추출물들, 소르빈산(sorbic acid) 등의 식품보존료와 유기산 및 염 혼합물 등을 첨가한 시도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그 효과가 미미하거나 첨가물 자체가 가지고 있는 강한 맛과 향에 의해 김치 고유의 풍미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품공전에 제시된 김치규격에는 식품보존료의 사용이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상업적 적용은 불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해결하고자 종균(starter)을 이용하여 김치발효를 제어하려는 연구가 다수 진행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김치 품질 균일화 및 품질 유지기간의 연장 효과 그리고 김치의 맛을 향상시키는 만니톨 고생성 종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89-0006153 호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181009 호 특허문헌 000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4931 호
본 발명은 신규한 류코노스톡 속 유산균인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 균주를 제공하며, 상기 균주를 김치에 첨가함으로써 김치 내 김치 종균 우점화로 인한 김치의 품질 균일화 및 김치의 저장기간 연장 효과 그리고 만니톨 생성에 의한 김치 맛의 향상 효과를 나타내는 김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고함량의 만니톨이 함유된 김치를 제조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던 중 김치로부터 분리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 균주가 만니톨 생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김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균주를 스타터로써 첨가하여 상기 제조방법에 따른 김치가 기존의 김치를 비교하면 관능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김치 내 만니톨의 함량이 우수하고, 김치 내 스타터 우점화로 인한 품질 균질화 및 품질 유지 기간이 연장된 김치를 제조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Leuconostoc mesenteroides WiKim0121; 수탁번호 KFCC11890P)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Leuconostoc mesenteroides WiKim0121)는 김치 유래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신규 균주이다. 비록 본 발명에서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를 김치에서 분리, 동정하기는 했으나, 이의 입수 경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의 실시예를 통해 분리된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유산균 균주는 미생물의 동정 및 분류를 위한 16S rRNA 염기서열 분석 결과, 서열번호: 1의 핵산서열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서열번호: 1의 16S rRNA 염기서열을 갖는 본 발명의 미생물을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Leuconostoc mesenteroides WiKim0121) 로 명명하였으며, 미생물보존센터에 2021년 7월 7일자로 기탁하였다(기탁번호 KFCC11890P).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는 그람양성균이고 호기적 조건과 혐기적 조건에서 모두 성장이 가능한 통성 혐기성(facultive anaerobe)이며, 포자를 형성하지 않고 운동성이 없으며 구균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절임배추에 첨가하면 절임배추의 갈변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는 김치에 첨가되어 관능적 특성이 우수하면서도 김치 내 종균(starter) 우점화로 인한 품질이 균질화된 김치 및 품질 유지기간이 연장된 김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가 김치에 첨가되면 김치 내 만니톨이 생성되어 맛이 향상된 김치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Leuconostoc mesenteroides WiKim0121; KFCC11890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발효용 유산균 스타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타터(starter)'란 식품의 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을 포함하는 제제로, 발효식품 제조 시 첨가함으로써 숙성된 식품에서 지배적으로 생장하는 미생물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스타터는 발효식품의 맛을 일정하게 조절하고 우수한 관능미를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효식품 내 만니톨이 고함량으로 함유되도록 제공하는 미생물, 즉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 균주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제제를 의미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유산균 스타터는 발효식품의 제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효식품으로는 김치, 치즈 등의 발효식품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 균주는 김치의 제조시 유산균 스타터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는 경우 김치의 숙성을 일정하게 도와주면서 잘 숙성된 김치의 맛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김치 내 만니톨의 함량이 높도록 도와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 스타터는 액상 제제, 분말 제제 등으로 제형화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분말 제 제로 사용할 수 있다. 분말 제제는 배양된 균주를 원심분리 등의 방법으로 수집하여 동결 건조시켜 수득할 수 있다. 스타터 균주를 발효식품에 첨가하는 경우, 균 배양액에서 분리한 젖은 형태의 균체를 첨가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액상 제형은 보관이 어렵고 유통 중 품질 유지가 어려워 이를 상품으로 유통시키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반면에, 분말 제제는 공급, 품질 유지 및 사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스타터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 균주 뿐만 아니라, 콩가루, 탈지유(skim milk), 아미노산류, 당류, 당알코올류, 전분 등 통상적으로 스타터에 첨가되는 성분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Leuconostoc mesenteroides WiKim0121; KFCC11890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김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상기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Leuconostoc mesenteroides WiKim0121; KFCC11890P) 또는 이의 배양물을 첨가하는 단계; 및 (b) 김치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김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단계 (b) 이후에, (c) 상기 (b) 단계에서 수득한 김치를 6±0.5℃에서 40 내지 60일, 바람직하게는 52 내지 57일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김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 균주는 김치 1g을 기준으로 유산균 수가 105 CFU/mL 내지 1011 CFU/mL가 되도록 첨가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5 CFU/mL 내지 109 CFU/mL, 107 CFU/mL 내지 108 CFU/mL가 되도록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김치'는 통상의 김치의 주재료에 양념을 첨가하여 제조되는 당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을 통칭하는 것이다. 상기 김치의 주재료와 양념은 제조하고자 하는 김치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김치의 주재료는 배추, 무, 갓 또는 열무 등일 수 있고, 양념은 파, 마늘, 생강, 액젓, 설탕, 소금, 고춧가루 등과 같은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주재료에 양념이 더해져 제조되는 김치는 배추김치, 갓김치, 무김치, 깍두기 등일 수 있으나, 상기와 같이 김치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김치의 제조방법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 균주는 일반적으로 김치의 시원하고 깔끔한 맛을 내는 주된 요인으로 알려진 젖산, 만니톨 등의 대사산물을 생산함으로써 김치의 풍미를 우수한 상태로 발효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 균주를 김치의 제조에 사용할 경우, 균주가 첨가되지 않은 김치와 비교하여 산도 증가 속도가 완만하고 관능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고함량의 만니톨이 함유된 김치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김치로부터 분리 및 동정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이 식품에 원료 또는 첨가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혈액(blood) 고체배지에 상기 균주를 도말하여 배양한 후 균체 주위에 투명환 생성 여부를 확인한 결과 상기 균체주위에 적혈구가 파괴되어 생기는 투명환이 전혀 생성되지 않아 인체에 대한 용혈성이 없어 안전함을 확인하였다(실시예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가 항생제 내성을 지녀 숙주의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균주에 대해 항생제 종류별로 항생제 내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 균주는 항생제 9종에 대하여 숙주의 건강에 위험을 나타내지 않는 기준의 항생제 저항성을 나타내어 숙주내 항생제 내성이 없으므로 안전한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 균주의 효소활성을 측정한 결과, 19개의 효소 중 장에 유해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진 효소인 β-글루쿠론산분해효소(β-glucuronidase)와 α-키모트립신(α-chymotrypsin) 효소활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2).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는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만니톨 생성 유산균으로서 식품에서 생성된 만니톨은 시원한 단맛과 저칼로리의 당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김치는 발효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만니톨 생성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5).
본 발명에 따른 김치는 김치내 만니톨 함량이 21%(w/v) 이상일 수 있고, 상기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 균주의 우점율이 70%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김치는 만니톨을 고생성하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 균주를 김치 스타터로 이용함으로써 맛이 향상된 김치이고, 상기 균주를 사용하지 않은 김치와 비교하여 산도 증가 속도가 완만하고 관능미가 우수하며 저장기간이 연장된 김치이다.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는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유산균의 일반적인 정장 효과 및 면역증강효과를 갖는다. 류코노스톡 속의 유산균이 정장효과 면역 증강 효과를 갖는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는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위장관 내에서 숙주의 장내 미생물 환경을 개선하여 숙주의 건강에 유익한 영향을 주는 살아있는 미생물'이라는 의미로 이해된다. 프로바이오틱스는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갖는 살아있는 미생물로 단일 또는 복합균주 형태로 사람이나 동물에 건조된 세포 형태나 발효산물 형태로 급여될 경우, 숙주의 장내 균총에 유익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는 생균체 또는 사균체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또한 건조 또는 동결건조된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다양한 조성물 내에 포함시키기 적합한 유산균의 형태 및 제제화 방법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를 포함하는 균주 또는 배양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장제 조성물은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위장 질환의 예방, 치료, 개선에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물은 소, 말, 돼지와 같은 가축을 포함한다. 상기 '위장 질환'으로는 위장 위해 세균감염 및 염증성 장 질환을 모두 포함하며, 예를 들어 병원성 미생물(대장균, 살모넬라, 클로스트리디움 등)에 의한 감염성 설사, 위장염증, 염증성 장 질환, 신경성 장염 증후군, 소장 미생물 과성장증, 장 급이성 설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장제 조성물은 경구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량은 위장 질환의 종류, 질환의 정도, 연령, 성별, 인종, 치료 또는 예방 목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성인을 기준으로 하루에 1천만 마리에서 1000억마리를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를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류코노스톡 속의 유산균이 정장효과 면역 증강 효과를 갖는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본 발명에 따른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는 이러한 유리한 작용으로 인해 의약, 건강기능식품, 식품, 사료, 또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활용될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당, 옥수수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나아가 해당 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발효유 등의 음료류, 비타민복합제,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식품 제조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와 음료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및 각종식물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사료첨가제 또는 사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
사료 첨가제로서 이용될 경우, 상기 조성물은 20 내지 90% 고농축액이거나 분말 또는 과립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사료첨가제는 구연산, 후말산, 아디픽산, 젖산, 사과산등의 유기산이나 인산 나트륨, 인산 칼륨, 산성 피로인산염, 폴리인산염(중합인산염) 등의 인산염이나, 폴리페놀, 카테킨, 알파-토코페롤, 로즈마리 추출물, 비타민 C, 녹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키토산, 탄닌산, 피틴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사료로서 이용될 경우, 상기 조성물은 통상의 사료 형태로 제제화 될 수 있으며, 통상의 사료성분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료첨가제 및 사료는 곡물, 예를 들면 분쇄 또는 파쇄된 밀, 귀리, 보리, 옥수수 및 쌀; 식물성 단백질 사료, 예를 들면 평지, 콩, 및 해바라기를 주성분으로 하는 사료; 동물성 단백질 사료, 예를 들면 혈분, 육분, 골분 및 생선분; 당분 및 유제품, 예를 들면 각종 분유 및 유장 분말로 이루어지는 건조성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영양보충제, 소화 및 흡수향상제, 성장촉진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료첨가제는 동물에게 단독으로 투여하거나 식용 담체 중에서 다른 사료첨가제와 조합하여 투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료첨가제는 탑드레싱으로서 또는 이들을 동물사료에 직접 혼합하거나 또는 사료와 별도의 경구제형으로 용이하게 동물에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사료첨가제를 동물사료와 별도로 투여할 경우,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용 담체와 조합하여, 즉시 방출 또는 서방성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식용 담체는 고체 또는 액체, 예를 들어 옥수수전분, 락토오스, 수크로오스, 콩플레이크, 땅콩유, 올리브유, 참깨유 및 프로필렌글리콜일 수 있다. 고체 담체가 사용될 경우, 사료첨가제는 정제, 캡슐제, 산제, 트로키제 또는 함당정제 또는 미분산성 형태의 탑 드레싱일 수 있다. 액체 담체가 사용될 경우, 사료첨가제는 젤라틴 연질 캡슐제, 또는 시럽제나 현탁액, 에멀젼제, 또는 용액제의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사료는 동물의 식이욕구를 충족시키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단백질-함유 유기곡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백질-함유 곡분은 통상적으로 옥수수, 콩곡분, 또는 옥수수/콩곡분믹스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사료첨가제 및 사료는 보조제, 예를 들어 보존제, 안정화제, 습윤제 또는 유화제, 용액촉진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사료첨가제는 침주, 분무 또는 혼합하여 동물의 사료에 첨가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또는 사료첨가제는 포유류, 가금 및 어류를 포함하는 다수의 동물식이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포유류로서 돼지, 소, 양, 염소, 실험용 설치동물, 및 실험용 설치동물뿐만 아니라, 애완동물(예: 개, 고양이) 등에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가금류로서 닭, 칠면조, 오리, 거위, 꿩, 및 메추라기 등에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어류로서 송어 등에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WiKim0121은 같은 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7균주와 다른 속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1종,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1종과의 비교실험에서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소거능, Hydroxyl radical 소거능, 퍼옥시드 디스뮤타아제(superoxide dismutase, SOD) 활성, 루타티온 퍼옥시다아제(glutathione peroxidase, GPx) 활성 및 글루타티온 리덕타제(Glutathione reductase, GR) 활성에서 뛰어난 비교 우위 활성을 보였다 (실시예 3).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용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사료첨가제 또는 사료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본 발명의 설명 상에 기재된 방법 또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메센테로이드 WiKim0121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절임배추의 갈변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갈변'은, 절임배추에 존재하는 폴리페놀옥시다아제(polyphenol oxidase, PPO)가 산소 존재 하에서 폴리페놀류(polyphenols)를 산화시켜 퀴논류(quinones)를 만들고 이들 물질이 서로 중합되면서 갈색 또는 적색의 색소를 생성하게 되어, 절임배추가 갈색으로 변하게 되는 현상을 말하며, 본 발명의 WiKim0121은 절임배추의 갈변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갈변방지용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사료첨가제 또는 사료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본 발명의 설명 상에 기재된 방법 또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WiKim0121은 유산균을 첨가하지 않은 절임배추 보다 저장 10일후에서 pH, 유산균 수, 효모 수가 낮았다. 육안 관찰 결과에서 WiKim0121을 첨가한 절임배추는 저장 10일 후에도 저장 직후의 절임배추와 비슷한 색을 띄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실시예 4).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저장기간이 연장된 김치 양념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김치 양념은 김치 제조시 사용되는 통상적인 김치 양념을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김치 양념의 재료로, 통상적인 김치 양념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김치 양념소의 제조방법에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는 김치 양념 1g을 기준으로 105 내지 109 CFU/mL로 첨가될 수 있으며, 예컨대 107 내지 108 CFU/mL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는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사람 또는 동물의 정장, 위장 질환, 면역강화 등의 용도를 위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만니톨 생성 유산균으로서 김치에 포함되어 품질 균일화 및 저장기간 연장 효과를 나타내는 김치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발효 식품의 스타터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 균주의 형태학적 특성을 보여주며, 상기 균주의 형태학적 특성이 그람 양성 균주이고, 구균 형태이며, 콜로니 색깔이 광택이 있는 하얀색임을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 균주의 유전학적 계통을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 균주의 용혈성 독성 확인 결과를 보여준다. 확인 결과 상기 균주를 혈액 고체배지에 도말하여 배양한 후 균체주위에 투명환이 생성되지 않아 용혈성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 및 비교균주들의 항산화 활성 실험 결과(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소거능, Hydroxyl radical 소거능, 퍼옥시드 디스뮤타아제(superoxide dismutase, SOD) 활성, 루타티온 퍼옥시다아제(glutathione peroxidase, GPx) 활성 및 글루타티온 리덕타제(Glutathione reductase, GR) 활성)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의 절임배추 갈변현상 방지 효과를 보여준다.
도 6은는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을 종균으로 사용하여 제조한 김치와 종균을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종균비첨가김치)의 저장기간에 따른 pH 및 산도 변화를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을 4개사 김치제조업체의 김치에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에 대해 15명을 대상으로 김치의 외관(appearance), 향(smell), 맛(탄산미(carbonic taste), 단맛(sweet taste), 신맛(sour taste), 쓴맛(bitter taste)), 조직감(texture) 및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를 9점 척도법을 사용하여 평가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 균주를 첨가한 종균김치와 종균비첨가김치에서 저장기간에 따른 만니톨 생성량을 보여준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 균주의 분리
1-1. 유산균주의 분리
가정에서 제조된 배추김치 500g을 핸드 블렌더 (Hanil Co, Korea)로 마쇄하여 멸균거즈로 거른 김치액을 멸균수를 추가하여 적정배율로 희석하여, 탄산칼슘(CaCO3)이 2% 첨가된 MRS배지(Difco Co., France)배지에 도말하고, 30℃에서 2일간 배양한 다음, 투명환을 형성한 균주를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된 균주에 대해 그람양성(Gram strain kit, BD Co., USA)과 카탈라제 테스트(Biomerieux Co., France)를 수행하여, 그람양성이고, 카탈라제 음성인 집락을 유산균으로 잠정적으로 확인하였다.
상기 분리된 유산균주들은 MRS 액체배지에 접종한 후, 30℃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글리세롤(glycerol)을 25%(v/v)가 되게 첨가하여 글리세롤 스톡(glycerol stock)을 만들어 -70℃에서 보관하며 사용하였다.
1-2. 만니톨 생성능 우수 유산균의 선발
상기 분리된 유산균주들은 4% 프럭토오스(fructose)를 첨가한 5mL MRS 액체배지에 접종한 후, 30℃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원심분리(10,000Хg, 5 min)하여 얻은 상징액을 100℃에서 5분간 가열하였다. 열처리한 상등액은 0.45 μm syringe filter로 여과하여 배지내 만니톨(mannitol) 생성량을 분석하는데 사용하였다.
배양액내 프럭토오스 잔존율 및 만니톨 생성율은 HPLC (Waters 2695 eAlliance, Waters, Milford, M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당분석 검출기는 Waters RI detector를 사용하였고, 컬럼(column)은 Sugar-pak column (Waters, USA)을 사용하였다. 시료는 20 μL를 주입하였으며 이동상으로는 H2O (HPLC-grade, Fisher)를 사용하여 0.5 mL/min의 속도로 흘려주었다.
만니톨,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표준물질로는 Sigma사(St. Louis, MO, USA)로부터 구입하였으며, 각각 100 mg/mL 의 농도가 되도록 계산하여 용량플라스크에 정밀히 취하여 물을 첨가하여 정용하였으며, 물로 희석하여 0.4, 0.8, 1.6, 3.2 mg/mL 용액을 검량선 작성용 표준용액으로 이용하였다. 시료중의 당 농도는 표준물질의 성분과 머무름 시간이 일치하는 피크의 면적값을 해당 표준물질의 표준곡선에 대비하여 정량하였다.
MRS 액체배지내 함유된 4%의 프럭토오스를 만니톨로 전환되는 양을 측정하고 전환율을 환산하여 만니톨 생성능이 우수한 균주를 선발하였다.
1-3. 김치내 우점율이 우수한 유산균주의 선발
만니톨 생성능이 우수한 균주를 대상으로 김치액배지에 접종하여 6±0.5℃에서 14일간 발효 후 김치액의 발효특성을 조사하였다. 김치액배지는 시판용 담금 직후 김치를 blender에 마쇄하여 멸균거즈로 여과하여 얻은 김치액을 사용하였다. 만니톨 생성 유산균주들은 MRS 액체배지에 1% 접종하여 30℃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김치액배지에 각각 1%씩 접종하여 6±0.5℃에서 14일간 배양하면서 김치액내 접종한 유산균이 차지하는 비율(우점율, %)를 확인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유산균을 첨가하지 않은 동일 김치액을 같은 조건으로 발효한 것을 사용하였다. 김치액배지에 첨가한 유산균의 김치 미생물환경 내 차지하는 우점율을 확인하기 위해 2% CaCO3-MRS 고체배지에서 형성된 유산균 colony의 형태 관찰 및 그람 염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선별한 후 만니톨 생성능, 그리고 16S rRNA sequence 비교를 통하여 유산균 중 첨가한 유산균의 점유율을 측정하였다.
상기방법으로 만니톨 생성균주들을 각각 첨가한 김치액의 발효특성을 확인한 결과, 하기 표 1과 같이 6±0.5℃에서 14일 발효 후 유산균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 김치액에 비해 산도 값이 낮으면서 김치내 만니톨 생성량이 많고, 우점율이 높은 유산균 1종(WiKim0121)을 최종 선정하였다.
김치액 발효특성
pH 산도(%) 만니톨 생성량 (mg/mL) 우점율(%)
대조군 4.1 0.94 10.25 -
WiKim0121 4.35 0.85 32.15 94.35
1-4. 유산균주의 동정
실시예 1-3에서 최종 선정된 유산균 WiKim0121은 그람염색(Gram stain kit, BD Co., USA) 및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한 형태학적 특성 분석,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동정하였다.
상기 형태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은 WiKim0121의 콜로니의 모양 및 색을 관찰하고, 상기균주를 그람염색한 후에 광학현미경으로 모양을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 나타내었다.
특성 WiKim0121
그람염색 (Gram-stain) 여부 +
콜로니 형태 (Colony morphology) 구균 (coccus & circular)
콜로니 표면 (Colony surface) 부드러움 (smooth)
콜로니 색깔 (Colony color) 흰색 (white)
콜로니 불투명도 (Colony opacity) 불투명 (opaque)
상기 표 2 및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분리균주인 WiKim0121 균주는 그람 양성 균주이고, 광학현미경 관찰 결과 구균 형태이며, 콜로니 색깔이 광택 있는 하얀색을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동정을 수행하였다. 분리균주 WiKim0121는 순수분리 한 후 MRS plate상태로 냉장택배를 이용하여 마크로젠(서울)에 의뢰하여 프라이머(primer)로 서열번호 2의 27F (5'-AGAGTTTGATCCTGGCTCAG-3')와 서열번호 3의 92R((5’-GGA TACCTTGTTACGACTT-3')의 유니버설 프라이머 세트(universal primer set)를 사용하여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분리균주 WiKim0121의 16S rRNA로 총 1,461bp의 염기서열을 결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에 나타내었다.
상기 수행한 염기서열을 기초로 염기서열의 상동성 검사는 GeneBank database에 등록된 정보를 대상으로 Blast program(http://www.ncbi.nlm.nhi.gov)에 의해 실행하였다.
그 결과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로 동정되었으며, 이에 분리균주인 WiKim0121 균주를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로 명명하고,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내2가 길 45 유림빌딩에 위치한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2021년 7월 7일자로 기탁하여, 수탁번호 KFCC11890P를 부여받았다.
<서열번호 1: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 균주의 16S rRNA 염기서열>
CTGCCTTAGACGGCTCCTTCCTAAAAGGTTAGGCCACCGGCTTTGGGCATTACAAACTCCCATGGTGTGACGGGCGGTGTGTACAAGACCCGGGAACGTATTCACCGCGGCGTGCTGATCCGCGATTACTAGCGATTCCGACTTCATGTAGTCGAGTTGCAGACTACAATCCGAACTGAGACGTACTTTAAGAGATTAGCTCACCCTCGCGGGTTGGCAACTCGTTGTATACGCCATTGTAGCACGTGTGTAGCCCAGGTCATAAGGGGCATGATGATCTGACGTCGTCCCCGCCTTCCTCCGGTTTGTCACCGGCAGTCTCGCTAGAGTGCCCATCTGAATGCTGGCAACTAACAATAAGGGTTGCGCTCGTTGCGGGACTTAACCCAACATCTCACGACACGAGCTGACGACGACCATGCACCACCTGTCACTTTGTCTCCGAAGAGAACACTTCTATCTCTAAAAGCTTCAAAGGATGTCAAGACCTGGTAAGGTTCTTCGCGTTGCTTCGAATTAAACCACATGCTCCACCGCTTGTGCGGGTCCCCGTCAATTCCTTTGAGTTTCAACCTTGCGGTCGTACTCCCCAGGCGGAACACTTAATGCGTTAGCTTCGGCACTAAGAGGCGGAAACCTCCTAACACCTAGTGTTCATCGTTTACGGTGTGGACTACCAGGGTATCTAATCCTGTTTGCTACCCACACTTTCGAGCCTCAACGTCAGTTGCAGTCCAGTAAGCCGCCTTCGCCACTGGTGTTCTTCCATATATCTACGCATTCCACCGCTACACATGGAGTTCCACTTACCTCTACTGCACTCAAGTTAACCAGTTTCCAATGCCATTCCGGAGTTGAGCTCCGGGCTTTCACATCAGACTTAATAAACCGTCTGCGCTCGCTTTACGCCCAATAAATCCGGATAACGCTCGGGACATACGTATTACCGCGGCTGCTGGCACGTATTTAGCCGTCCCTTTCTGGTATGGTACCGTCAAACTAAAATCATTTCCTATTCTAGCTGTTCTTCCCATACAACAGTGCTTTACGACCCGAAAGCCTTCATCACACACGCGGCGTTGCTCCATCAGGCTTTCGCCCATTGTGGAAGATTCCCTACTGCAGCCTCCCGTAGGAGTTTGGGCCGTGTCTCAGTCCCAATGTGGCCGATCAGTCTCTCAACTCGGCTATGCATCATTGTCTTGGTAGGCCTTTACCCCACCAACTAACTAATGCACCGCGGATCCATCTCTAGGTGACGCCGAAGCGCCTTTTAACTTTGTGTCATGCGACACTAAGTTTTATTCGGTATTAGCATCTGTTTCCAAATGTTATCCCCAGCCTTGAGGCAGGTTGTCCACGTGTTACTCACCCGTTCGCCACTCACTTGAAAGGTGCAAGCACCTTTCGCTGTGCGTTCGACTTGCATGTATTAGGCACGCCGCCAGCGTTCATCCTGAG
실시예 2. 분리균주의 식품적용을 위한 안전성 평가
식품제조 및 발효에 미생물을 식품원료 또는 첨가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안전성이 확보되어야 하며, 이에 안전성 실험으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에 대한 용혈성과 항생제 내성 및 효소활성을 확인하였다.
2-1. 용혈성 독성 확인
상기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이 식품에 원료 또는 첨가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인체에 대한 용혈성 독성이 없는 안전성이 요구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이 적혈구의 파괴 또는 분해를 유도할 수 있는지 여부와 관련하여, 용혈성 여부를 검사하였다.
상기 용혈성 확인은 7% horse blood (Oxoid, England)가 첨가된 혈액(blood) 고체배지에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를 도말하여(streaking) 30℃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균체주위에 투명환의 생성 여부로 용혈성을 판단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은 용혈성 검사에서 균체주위에 적혈구가 파괴되어 생기는 투명환이 전혀 생성하지 않아 용혈반응을 유도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상기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은 용혈성과 같은 인체에 대한 유해작용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어 식품에 적용시 안전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2. 항생제 내성 확인
항생제 내성을 지닌 균주는 항생제 저항성 유전자(horizontal transfer)를 플라즈미드에 보유하는 경우가 있고, 이럴 경우 항생제 저항성 유전자의 수평이동이 가능하다. 즉, 항생제 저항성을 가지는 유전자를 보유한 균주를 식품발효의 종균이나 생균활성제, probiotics으로 사용시 항생제 저항성 유전자가 인간에게 이동되거나, 또는 저항성 유전자가 숙주내의 병원성균에게 전달되어 숙주의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보고에 따라, 최근에는 GRAS 등급의 유산균이라 하더라도 신규 개발균주의 경우 항생제 내성 특성 조사가 요구되고 있다.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에 대해 항생제 종류별로 MIC(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를 측정하여 항생제 내성을 조사하였다. 항생제 내성 기준은 EFSA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의 breakpoint를 기준으로 여러 항생제에 대한 분리균주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의 감수성 또는 내성을 판정하였다(표 3).
항생제 최소 억제 농도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μg/mL))
류코노스톡에 대한 중단점 (Break point for Leuconostoca) WiKim0121
Ampicillin 2 0.50
Vancomycin n.r.b >512
Gentamycin 16 8
Kanamycin 16 8
Streptomycin 64 48
Erythromycin 1 0.19
Clindamycin 1 0.25
Tetracyclin 8 1.5
Chloramphenicol 4 2
Ampicillin 2 0.50
a중단점 (Breakpoints) 은 EFSA (EFSA 2008) 지침에 따름.
bn.r. 은 요구되지 않음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 또는 내성을 EFSA에서 제시한 류코노스톡에 대한 중단점을 기준으로 판정한 결과, 상기 표 3과 같이 항생제 9종에 대하여 감수성을 나타내는 농도는 서로 다르게 나타났으나 EFSA 중단점보다 낮거나 또는 같은 농도에서 감수성을 보이므로 숙주의 건강에 위험을 나타내지 않는 기준의 항생제 저항성을 나타내어 숙주내 항생제 내성이 없으므로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2-3. 효소활성
효소활성 측정은 API-ZYM kit(BioMerieux, Lyon, France)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사용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유산균 배양액을 원심분리(10,000 rpm, 15 min, 4℃)하여 균체를 회수한 후 멸균수로 현탁액을 준비하였다. 각 cuple에 5 Mcfarland에 탁도를 맞춘 현탁액을 65 μL씩 떨어뜨린 후, 4시간 동안 37℃에서 암실에 배양 시킨 후, ZYM-A시약과 ZYM-B시약을 각각 떨어뜨려서 결과를 판독하였다. 판정 방법은 색의 변화 정도를 관찰하여 0~5까지의 값으로 표시하여 반응이 3 이상이면 양성으로 판정하였다(0 = 0 nM, 1 = 5 nM, 2 = 10 nM, 3 = 20 nM, 4 = 30 nM, 5 ≥ 40 nM).
측정된 19개 효소 중 β-글루쿠론산분해효소와 α-키모트립신 활성은 장에 유해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진 효소이다. WiKim0121은 이 두 효소의 활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소 WiKim0121
Control 0
Alkaline phosphate 0
Esterase (C4) 1
Esterase lipase (C8) 0
Lipase (C14) 0
Leucine arylamidase 0
Valine arylamidase 0
Crystine arylamidase 0
Trypsin 0
α-chymotrypsine 0
Acid phosphatase 0
Naphthol-AS-BI-phosphohydrolase 0
α-Galactodisase 0
β-Galactodisase 0
β-Glucuronidase* 0
α-glucosidase 1
β-glucosidase 1
N-acetyl-β-glucosaminidase 0
α-Mannosidase 1
α-Fucosidase 0
실시예 3.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의 항산화 활성
유산균 WiKim0121의 배양 상등액과 유산균 추출액을 처리하여 항산화 활성능을 확인하였다. MRS 배지에서 30℃,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균체를 4,000 rpm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회수하여 0.22 um 필터에 여과한 시료를 ① 유산균 배양 상등액(cell-free supernatant)으로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남은 균체는 PBS로 헹궈서 남아있는 배지 성분을 제거한 후, bead beater (MP Biomedicals, CA, USA)를 이용하여 lysis하였다. 이를 13,000 rpm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② 상등액(cell-free extract)을 이용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단백질의 농도는 브래드포드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데이터를 평준화 하였다. 비교균주로는 표 5와 같이 같은 종의 류코노스톡 메센데로이드 7균주와 다른 속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1종,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1종을 사용하였다.
하기 실험에서, 항산화 활성은 본 발명의 WiKim 0121 및 표 6의 비교균주들의 ① 유산균 배양 상등액(cell-free supernatant) 및 ② 상등액(cell-free extract) 두 가지의 경우(하기에서 샘플로 통칭함)에서 측정되었고, 결과 그래프는 도 4에 나타내었다.
No. 이름 입수 경로 수탁 번호
1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Leuconostoc mesenteroides Kimchi KCTC 13374
2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Leuconostocmesenteroides Kimchi KCTC 13372
3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아종 덱스트라니쿰 Leuconostoc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N.D. KCCM 35046
4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아종 메센테로이드 Leuconostoc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N.D. KCCM 12031
5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아종 메센테로이드 Leuconostoc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N.D. KCCM 35471
6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아종 마센테로이데스 Leuconostoc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사일리지 (Silage) KCTC 3722
7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아종 메센테로이드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N.D. KACC 17730T
8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아종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절인 배추 KACC 11451T
9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아종 사케이 Lactobacillus sakei subsp. sakei 사케 스타터 (Moto) KACC 12414T
3-1.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소거능
양성장 라디컬 소거에 의해 보라색이 탈색되는 정도에 따라 항산화 정도를 측정하였다.
시료를 각각 10 μL 처리하고, DPPH solution (0.2 mM) 190 μL를 섞은 후, 상온에서 30분 동안 반응하고,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3-2. Hydroxyl radical 소거능
Fenton 반응에 따라 10 mM FeSO4H2O-EDTA에 10 mM의 2-dexyribose solution 시료를 혼합 한 후 10 mM의 H2O2를 첨가하여 37℃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 혼합액에 2.8% trichloroacetic acid와 1.0% thiobarbituric acid 용액을 각각 첨가하여 20분간 끓인 후 식혀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시료 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3-3. 슈퍼옥시드 디스뮤타아제(superoxide dismutase, SOD) 활성
상용화된 분석키트 (Abcam, Cambridge, MA, USA)를 이용하여 활성도를 측정하였고, 다음 식 1을 통해 산출하였다.
샘플과 blank2에 20 μl의 샘플 용액을 넣고, blank1과 blank3에는 증류수를 넣는다. 200 μl의 WST working solution을 가하고, dilution buffer를 blank2와 blank3에 넣는다. 20 μl의 enzyme working solution을 샘플과 blank1에 넣고 완전히 섞는다. 37℃인큐베이터에 20분간 방치한 후 450 nm에서 측정하였다.
[식 1]
SOD 활성도=[(blank1-blank3)-(샘플-blank2)]/(blank1-blank3)Х100
3-4. 글루타티온 퍼옥시다아제(glutathione peroxidase, GPX) 활성
상용화된 분석키트 (Abcam, Cambridge, MA, USA)를 이용하여 GPX 활성도를 측정하였고, 다음 식 2를 통해 산출하였다.
standard well에 농도별로 제조된 샘플 용액을 100 μl씩 넣는다. 샘플을 well에 50 μl 넣고 assay buffer 50 μl를 가한 후 assay buffer 33 μl를 추가로 넣고 40 mM NADPH 용액 3 μl, GR 용액 2 μl, GSH 용액 2 μl를 넣고 완전히 섞는다. 37℃에 15 분간 방치한 후 340 nm에서 흡광도를 20분 동안 측정하였다.
[식 2]
GPX 활성도=[B/(T2-T1)*V]*D
B: standard curve로부터 얻은 NADPH 양 (nmol)
T1:첫번째 흡광도 측정 값 (minutes)
T2:마지막 흡광도 측정 값 (minutes)
V:well에 포함 된 샘플의 양 (mL)
D:희석 배수
3-5. 글루타티온 리덕타제(Glutathione reductase, GR) 활성
상용화된 분석키트 (Abcam, Cambridge, MA, USA)를 이용하여 GR 활성도를 측정하였고, 다음 식 3을 통해 산출하였다.
standard well에 농도별로 제조된 standard solution을 100 μl씩 넣는다. 샘플을 well에 50 μl 넣고 assay buffer 40 μl를 추가로 넣고 DTNB 용액 2 μl, NADPH-GNERAT 용액 2 μl, GSSG 용액 6 μl를 넣고 완전히 섞는다. 25℃에 15 분간 방치한 후 405 nm에서 흡광도를 20분 동안 측정하였다.
[식 3]
GR 활성도=[(△B/(T2-T1)0.9*V]*D
△B: TNB standard curve로부터 얻은 TNB의 양 (nmol)
T1:첫번째 흡광도 측정 값 (minutes)
T2:마지막 흡광도 측정 값 (minutes)
V:well에 포함 된 샘플의 양 (mL)
D:희석 배수
도 4와 같이, 유산균 WiKim0121은 ① 유산균 배양 상등액(cell-free supernatant)의 항산화 활성은 다른 유산균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② 상등액(cell-free extract) 에서는 다른 비교 유산균들에 비해 5가지 항산화 활성값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4.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를 이용한 절임배추의 갈변방지 및 효모증식 억제
절임배추 및 김치의 유통과정에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효모 증식(골마지)에 따른 배추조직의 무름현상 및 군덕내가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절임배추의 경우 유통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변현상으로 상품으로서 가치가 낮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을 이용하여 김치 종균으로서뿐만 아니라, 절임배추 유통에 있어서 품질을 향상 또는 유지가 가능한지를 검토하였다.
4-1. 시료 처리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를 이용하여 김치뿐만 아니라, 절임배추의 유통품질 향상이 가능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절임배추에 WiKim0121을 첨가한 후 25℃에서 10일간 저장하였다. WiKim0121은 MRS 액체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원리분리하여 균체를 얻은 후 이를 멸균수로 2회 세척한 후 사용되었다. 절임배추 1g당 WiKim0121의 균수가 103~107 CFU가 되게 첨가한 후 300g씩 플라스틱 용기에 담아 25℃에서 10일간 저장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유산균을 첨가하지 않은 절임배추를 사용하였다.
4-2. 유산균 첨가에 따른 절임배추의 품질분석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를 첨가하여 저장한 절임배추의 품질을 분석하기 위하여, pH, 미생물균수(총균수, 유산균수, 효모수) 및 색 변화(육안)를 관찰하였다.
표 6과 같이 저장 직후의 절임배추는 pH 6.2, 총균수 및 유산균수는 103 CFU/g, 효모수는 101 CFU/g 나타내었으나, 25℃에서 10일 저장시 대조군의 pH는 3.90으로 감소하였으며, 총균수 및 유산균수는 109 CFU/g, 효모수는 104 CFU/g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WiKim0121를 첨가한 절임배추는 pH는 3.72로 감소하고, 총균수 및 유산균수는 109 CFU/g로 증가하였으나, 유산균 중 WiKim0121의 우점율은 92.5%를 나타내었다. 특히 효모수는 102 CFU/g로 대조군 대비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목 저장 0일 저장 10일
대조군 WiKim0121 첨가
pH 6.2 3.90 3.72
미생물균수
(CFU/g)
총균수 3.0U/g3 3.0U/g9 3.1U/g9
유산균수 2.5수/g3 3.2수/g9 2.8수/g9
(WiKim0121 우점율: 92.5%)
효모 2.02.51 7.32.54 7.02.52
저장에 따른 절임배추의 색을 육안으로 관찰한 사진을 도 5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의 경우 갈변현상으로 색이 많이 어두워진 반면, WiKim0121를 첨가한 절임배추는 저장직후의 절임배추와 비슷한 색을 나타내어 갈변 방지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5.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을 첨가한 김치 제조의 발효특성
5-1. 김치제조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을 MRS 액체배지에서 24시간 본 배양한 후 원심분리(10,000Хg, 10분)하여 얻은 균체를 멸균수로 2회 세척하여 김치용 종균으로 사용하였다. 김치양념과 절임배추는 국내 김치업체 4개소에서 구입하여 종균김치제조에 사용하였다.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균주는 김치 1g을 기준으로 107 CFU가 되도록 김치양념에 첨가하여, 절임배추와 혼합하여 종균첨가김치를 제조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상기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조건을 동일조건으로 제조된 김치를 사용하였다. 상기 제조된 김치들은 500g씩 파우치 팩(polyethylene resin)에 담아 6±0.5℃에서 56일간 저장하면서 7일 간격으로 발효특성을 확인하였다. 상기 제조된 김치를 이용한 하기 실험은 상기 김치를 7일 간격으로 수득하여, 핸드 블렌더(hand blender)로 2분간 마쇄한 후, 멸균거즈로 여과한 김치액을 제조하여, 이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5-2. 김치의 pH 및 산도분석
6±0.5℃에서 발효기간에 따른 김치의 pH 및 산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도 6은 상기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을 종균으로 사용하여 제조한 김치와 종균을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종균비첨가김치)의 저장기간에 따른 pH 및 산도 변화에 관한 것이다.
4개사 김치업체의 대조군(종균비첨가김치)의 pH 및 산도는 발효 0일에 pH 5.51~pH 6.08, 산도는 0.29%~0.39% 정도로 나타났으며, 저장 56일에는 pH 4.07~pH 4.15, 산도는 1.08%~1.31%를 나타내었다. 반면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를 종균으로 첨가한 4개소 김치업체의 김치(WiKim0121김치)의 pH 및 산도는 발효 0일에 pH 5.60~pH 6.10, 산도는 0.27%~0.38% 정도로 나타났으며, 저장 56일에는 pH 4.10~pH 4.35, 산도는 0.97%~1.01%를 나타내었다.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을 종균으로 첨가한 김치는 저장 56일된 김치의 pH와 산도가 종균비첨가김치의 저장 14~28 일된 김치와 비슷하였으며, 이에 종균비첨가김치에 비해 김치품질유지기한이 약 28~42일 정도 연장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3. 균수 및 우점률 분석
4개사 김치제조업체의 김치에 종균으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를 6±0.5℃에서 56일간 저장하면서 7일 간격으로, 상기 실시예 1-3의 방법으로 김치내 총균수 및 유산균수를 측정하였고, 상기 유산균 중 종균으로 사용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의 우점율을 분석하였다(표 7). 총균수 및 유산균수의 단위는 CFU/mL이다.
김치 김치업체 항목 6±0.5℃, 발효기간 (일)
0 7 14 28 56
대조군 A사 총균수 7.8×106 5.4×108 3.0×108 1.8×108 7.2×107
유산균수 1.1×106 3.9×108 1.7×108 2.0×108 5.4×107
B사 총균수 6.4×106 5.5×108 4.2×108 3.8×108 2.4×108
유산균수 6.2×106 3.7×108 4.0×108 3.6×108 1.8×108
C사 총균수 5.0×106 5.5×108 2.1×108 1.0×108 7.2×107
유산균수 4.2×106 5.2×108 1.2×108 8.0×107 5.8×107
D사 총균수 1.1×107 6.4×108 2.8×108 1.3×108 9.8×107
유산균수 1.0×107 4.8×108 2.5×108 1.2×108 8.5×107
WiKim0121
종균김치
A사 총균수 9.0×107 4.4×108 1.2×109 3.4×108 2.6×107
유산균수 7.0×107 2.7×108 1.0×109 2.6×108 1.7×107
우점율(%) 99.9 88.89 89.22 88.46 82.35
B사 총균수 6.0×107 4.4×108 1.8×109 2.2×108 1.8×108
유산균수 5.6×107 4.0×108 1.4×109 1.4×108 1.5×108
우점율(%) 98.21 99.9 95.35 85.71 77.92
C사 총균수 2.7×107 8.0×108 3.5×108 7.0×108 6.4×107
유산균수 2.7×107 8.0×108 2.8×108 6.4×108 2.4×107
우점율(%) 97.85 89.23 85.41 75.69 71.34
D사 총균수 1.2×107 3.6×108 4.4×109 1.8×109 5.6×107
유산균수 1.1×107 3.2×108 4.3×109 1.0×108 4.6×107
우점율(%) 81.8 81.3 80.0 77.6 73.9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를 첨가한 김치내 총균수 및 유산균수는 발효 0일에 각각 1.2Х107 CFU/mL 내지 9.0Х107 CFU/mL, 1.1Х107 CFU/mL 내지 7.0Х107 CFU/mL이었고, 발효 14일에서 28일에 최대치로 증가한 후 감소하여, 발효 56일에는 각각 2.6Х107 CFU/mL 내지 1.8Х108 CFU/mL, 1.7Х107 CFU/mL 내지 1.5Х108 CFU/mL를 나타내었다. 상기 유산균 중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의 점유율은 6±0.5℃에서 발효 0일에 81.8%~99.9%를 나타내었으며, 발효 56일까지 71.3% 내지 82.4%를 유지함으로써 발효기간내 발효주도균으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한편 종균비첨가김치 내 총균수 및 유산균수는 발효 0일에 각각 7.8Х106 CFU/mL 내지 1.1Х107 CFU/mL, 1.1Х106 CFU/mL 내지 1.0Х107 CFU/mL이었고, 발효 7일에 최대치로 증가한 후 감소하여, 발효 56일에는 각각 7.2Х107 CFU/mL 내지 2.4Х108 CFU/mL, 5.4Х107 CFU/mL 내지 1.8Х108 CFU/mL를 나타내었다.
5-4 관능평가
4개사 김치제조업체의 김치에 종균 WiKim0121을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에 대해 15명을 대상으로 김치의 외관(appearance), 향(smell), 맛(탄산미(carbonic taste), 단맛(sweet taste), 신맛(sour taste), 쓴맛(bitter taste)), 조직감(texture) 및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를 9점 척도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도 7과 같이 종균비첨가김치와 WiKim0121 종균김치의 관능평가 결과, 김치의 외관, 향, 맛(탄산미, 단맛, 신맛, 쓴맛), 조직감 및 전반적인 기호도 모두 WiKim0121 종균김치가 종균비첨가김치에 비해 관능적 특성이 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5-5 김치내 만니톨 생성량 분석
상기 실시예 5-3에서 제조한 김치내 만니톨 생성량을 분석하였다. 김치내 fructose 잔존율 및 mannitol 생성율은 HPLC (Waters 2695 eAlliance, Waters, Milford, M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김치시료는 6±0.5℃에서 0일, 14일, 28일된 김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김치를 마쇄하여 얻은 김치여액을 100℃에서 5분간 가열한 후 원심분리(10,000Хg, 5 min)하고 이로부터 얻은 상등액을 0.45 μm syringe filter로 여과한 것을 사용하였다.
도 8과 같이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을 첨가한 종균김치와 종균비첨가김치 모두 6±0.5℃에서 발효 0일에는 만니톨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발효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만니톨 생성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김치내 최대 만니톨 검출량은 종균비첨가김치(21.33mg/mL 내지 30.19mg/mL)보다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을 첨가한 종균김치(27.14mg/mL 내지 34.25mg/mL)가 약 13% 내지 27% 더 높게 생성되었다.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내) KFCC11890P 20210707
<110>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120> Leuconostoc mesenteroides WiKim0121 and kimchi prepared by using the same <130> P21R10C0872 <160> 3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461 <212> RNA <213> Unknown <220> <223> Leuconostoc mesenteroides WiKim0121 <220> <221> rRNA <222> (1)..(1461) <223> 16S rRNA for Leuconostoc mesenteroides WiKim0121 <400> 1 ctgccttaga cggctccttc ctaaaaggtt aggccaccgg ctttgggcat tacaaactcc 60 catggtgtga cgggcggtgt gtacaagacc cgggaacgta ttcaccgcgg cgtgctgatc 120 cgcgattact agcgattccg acttcatgta gtcgagttgc agactacaat ccgaactgag 180 acgtacttta agagattagc tcaccctcgc gggttggcaa ctcgttgtat acgccattgt 240 agcacgtgtg tagcccaggt cataaggggc atgatgatct gacgtcgtcc ccgccttcct 300 ccggtttgtc accggcagtc tcgctagagt gcccatctga atgctggcaa ctaacaataa 360 gggttgcgct cgttgcggga cttaacccaa catctcacga cacgagctga cgacgaccat 420 gcaccacctg tcactttgtc tccgaagaga acacttctat ctctaaaagc ttcaaaggat 480 gtcaagacct ggtaaggttc ttcgcgttgc ttcgaattaa accacatgct ccaccgcttg 540 tgcgggtccc cgtcaattcc tttgagtttc aaccttgcgg tcgtactccc caggcggaac 600 acttaatgcg ttagcttcgg cactaagagg cggaaacctc ctaacaccta gtgttcatcg 660 tttacggtgt ggactaccag ggtatctaat cctgtttgct acccacactt tcgagcctca 720 acgtcagttg cagtccagta agccgccttc gccactggtg ttcttccata tatctacgca 780 ttccaccgct acacatggag ttccacttac ctctactgca ctcaagttaa ccagtttcca 840 atgccattcc ggagttgagc tccgggcttt cacatcagac ttaataaacc gtctgcgctc 900 gctttacgcc caataaatcc ggataacgct cgggacatac gtattaccgc ggctgctggc 960 acgtatttag ccgtcccttt ctggtatggt accgtcaaac taaaatcatt tcctattcta 1020 gctgttcttc ccatacaaca gtgctttacg acccgaaagc cttcatcaca cacgcggcgt 1080 tgctccatca ggctttcgcc cattgtggaa gattccctac tgcagcctcc cgtaggagtt 1140 tgggccgtgt ctcagtccca atgtggccga tcagtctctc aactcggcta tgcatcattg 1200 tcttggtagg cctttacccc accaactaac taatgcaccg cggatccatc tctaggtgac 1260 gccgaagcgc cttttaactt tgtgtcatgc gacactaagt tttattcggt attagcatct 1320 gtttccaaat gttatcccca gccttgaggc aggttgtcca cgtgttactc acccgttcgc 1380 cactcacttg aaaggtgcaa gcacctttcg ctgtgcgttc gacttgcatg tattaggcac 1440 gccgccagcg ttcatcctga g 1461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Leuconostoc mesenteroides WiKim0121 <220> <221> primer_bind <222> (1)..(20) <223> Forward primer for Leuconostoc mesenteroides WiKim0121 <400> 2 agagtttgat cctggctcag 20 <210> 3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Leuconostoc mesenteroides WiKim0121 <220> <221> protein_bind <222> (1)..(19) <223> Reverse primer for Leuconostoc mesenteroides WiKim0121 <400> 3 ggataccttg ttacgactt 19

Claims (13)

  1. 기탁번호 KFCC11890P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Leuconostoc mesenteroides WiKim0121}.
  2.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Leuconostoc mesenteroides WiKim0121; KFCC11890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발효용 유산균 스타터.
  3. 제1항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Leuconostoc mesenteroides WiKim0121; KFCC11890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김치.
  4.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김치의 제조방법:
    (a) 상기 제1항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Leuconostoc mesenteroides WiKim0121; KFCC11890P) 또는 이의 배양물을 첨가하는 단계; 및
    (b) 김치를 수득하는 단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Leuconostoc mesenteroides WiKim0121; KFCC11890P) 또는 이의 배양물은 김치 1g을 기준으로 105 내지 109 CFU/㎖로 첨가되는, 김치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계 (b) 이후에, (c) 상기 (b) 단계에서 수득한 김치를 6±0.5℃에서 40 내지 60일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이후의 김치는 21%(w/v) 이상의 만니톨을 함유하는 것인,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이후의 김치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Leuconostoc mesenteroides WiKim0121; KFCC11890P) 균주의 우점율은 70% 이상인, 방법.
  9.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Leuconostoc mesenteroides WiKim0121; KFCC11890P), 이의 배양물, 이의 파쇄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10.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Leuconostoc mesenteroides WiKim0121; KFCC11890P), 이의 배양물, 이의 파쇄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장제 조성물.
  11.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Leuconostoc mesenteroides WiKim0121; KFCC11890P), 이의 배양물, 이의 파쇄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사료 또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12.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Leuconostoc mesenteroides WiKim0121; KFCC11890P), 이의 배양물, 이의 파쇄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13.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Leuconostoc mesenteroides WiKim0121; KFCC11890P), 이의 배양물, 이의 파쇄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절임배추의 갈변방지용 조성물.
KR1020220043977A 2021-07-22 2022-04-08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 및 이를 이용한 김치제조 KR1024880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338 2021-07-22
KR20210096338 2021-07-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8052B1 true KR102488052B1 (ko) 2023-01-13

Family

ID=84900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977A KR102488052B1 (ko) 2021-07-22 2022-04-08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 및 이를 이용한 김치제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052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6153A (ko) 1987-10-24 1989-06-12 조사흥 새로운 김치 제조방법
KR0181009B1 (ko) 1996-08-12 1999-02-01 강상모 류코노스톡 파라메센테로이디스를 김치제조시 스타터로 첨가하는 방법
KR20080077390A (ko) * 2008-07-02 2008-08-22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만니톨 생성능이 우수한 내산성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및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 방법
KR20150075994A (ko) * 2013-12-26 2015-07-06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내산성이 우수하고 저 산생성능을 갖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8985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 방법
KR20150075995A (ko) * 2013-12-26 2015-07-06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내산성 및 내염성이 우수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1310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564931B1 (ko) 2014-02-03 2015-11-10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대일 김치 제조 방법
KR101660847B1 (ko) * 2016-05-04 2016-09-29 한국식품연구원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33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KR101809447B1 (ko) * 2016-11-25 2017-12-15 대상 주식회사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rc1506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80008342A (ko) * 2016-07-15 2018-01-24 씨제이제일제당 (주) 가스발생량이 낮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cjlm62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KR101836365B1 (ko) * 2016-12-12 2018-03-12 한국식품연구원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32를 첨가한 김치 양념소 및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KR101946777B1 (ko) * 2017-11-24 2019-02-12 한국식품연구원 김치의 색 변화를 저감시키는 방법 및 색 변화가 저감된 김치
KR20220009290A (ko) * 2020-07-15 2022-01-24 주식회사 풀무원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PBio03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6153A (ko) 1987-10-24 1989-06-12 조사흥 새로운 김치 제조방법
KR0181009B1 (ko) 1996-08-12 1999-02-01 강상모 류코노스톡 파라메센테로이디스를 김치제조시 스타터로 첨가하는 방법
KR20080077390A (ko) * 2008-07-02 2008-08-22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만니톨 생성능이 우수한 내산성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및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 방법
KR20150075994A (ko) * 2013-12-26 2015-07-06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내산성이 우수하고 저 산생성능을 갖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8985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 방법
KR20150075995A (ko) * 2013-12-26 2015-07-06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내산성 및 내염성이 우수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1310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564931B1 (ko) 2014-02-03 2015-11-10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대일 김치 제조 방법
KR101660847B1 (ko) * 2016-05-04 2016-09-29 한국식품연구원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33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KR20180008342A (ko) * 2016-07-15 2018-01-24 씨제이제일제당 (주) 가스발생량이 낮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cjlm62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KR101809447B1 (ko) * 2016-11-25 2017-12-15 대상 주식회사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rc1506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836365B1 (ko) * 2016-12-12 2018-03-12 한국식품연구원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32를 첨가한 김치 양념소 및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KR101946777B1 (ko) * 2017-11-24 2019-02-12 한국식품연구원 김치의 색 변화를 저감시키는 방법 및 색 변화가 저감된 김치
KR20220009290A (ko) * 2020-07-15 2022-01-24 주식회사 풀무원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PBio03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ivera-Espinoza et al. Non-dairy probiotic products
US6827953B1 (en) Compositions comprising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lactic acid bacteria
KR101836862B1 (ko) 락토바실루스·플란타룸에 속하는 신규 유산균 및 그의 이용
Liptáková et al. Lactic acid bacteria and fermentation of cereals and pseudocereals
KR101825836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b4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9179687B2 (en) Yeast fermentation of rice bran extracts
KR101868517B1 (ko) 다양한 생리활성과 열 안정성이 우수한 프로바이오틱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pl9119
JP2011019504A (ja) 新規のロイコノストックシトレウム及びこれをスタータで使った醗酵食品及び組成物{NovelLeuconostoccitreum,fermentationfoodsandcompositionscomprisingthesame}
KR102032703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ifi-sy3 균주를 이용한 아로니아 발효액의 제조방법
KR101749065B1 (ko) 상온 발효가 가능한 엔테로코쿠스 파에시움 mss2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90070676A (ko)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381547B1 (ko)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김치에서 분리한 신규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575878B1 (ko) 메주로부터 분리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223213B1 (ko)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js 균주를 이용한 식품의 제조방법
US20220174980A1 (en) Method for Preparing Feed by Bacteria-enzyme Synergistic Fermentation
KR102155849B1 (ko)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과 유산 생성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rcm102369 균주 및 이의 용도
EP2011859B1 (en) Pediococcus pentosaceus lactose-positive strain and a complex of fructan-containing exopolysaccharides synthesized by the strain
KR101836365B1 (ko)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32를 첨가한 김치 양념소 및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KR20200042165A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식 어류 및 갑각류용 사료첨가제
JP2020061977A (ja) ストレプトコッカス・サリバリウスに属する新規乳酸菌およびその利用
JP2019187251A (ja) 発酵物の製造方法及び発酵物
KR102033067B1 (ko)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애니말리스 swla-1 및 이의 용도
KR102488052B1 (ko)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0121 및 이를 이용한 김치제조
KR101302465B1 (ko)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 및 상기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식품
KR20100076540A (ko) 식물성 배지, 식물성 부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성유산균 발효 분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