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364B1 - 스텝 플랜지 커버용 조정가능한 브래킷 - Google Patents

스텝 플랜지 커버용 조정가능한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364B1
KR101237364B1 KR1020117025557A KR20117025557A KR101237364B1 KR 101237364 B1 KR101237364 B1 KR 101237364B1 KR 1020117025557 A KR1020117025557 A KR 1020117025557A KR 20117025557 A KR20117025557 A KR 20117025557A KR 101237364 B1 KR101237364 B1 KR 101237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late
flange cover
step flange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5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2969A (ko
Inventor
케 예
얀잉 첸
지안 리앙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20012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8Carrying surfaces
    • B66B23/12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2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responsive to, or preventing, jamming by foreign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0Kinds or typ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2Escalators
    • B66B21/04Escalators linea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22Balustra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606Pivoted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스텝 플랜지 커버들(54)과 승객 수송장치 프레임들(60) 사이의 연결부는, 적어도 2 이상의 방향으로 무빙 발판들(18) 또는 무빙 스커트(52)에 대한 스텝 플랜지 커버(54)의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조정가능하다. 조정가능한 연결부(64)는, 예를 들어 심들을 이용하는 바와 같이 허술한 조정 기술들을 이용할 필요없이, 스텝 플랜지 커버(54)가 발판들(18) 또는 스커트(52)에 대해 정밀하게 위치되게 한다.

Description

스텝 플랜지 커버용 조정가능한 브래킷{ADJUSTABLE BRACKET FOR STEP FLANGE COVER}
본 발명은 승객 수송장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 워크(moving walk)에서의 스텝 플랜지 커버용 조정가능한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와 같은 전형적인 승객 수송장치는 일련의 발판(tread plate), 프레임, 구동기(drive), 스텝 체인(step chain), 및 한 쌍의 난간 조립체(balustrade assembly)들을 포함한다. 프레임은 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에 트러스 부분(truss section)을 포함한다. 각각의 트러스 부분은 경사진 중앙부에 의해 연결된 승강장(landing)들을 형성하는 두 단부(end section)들을 갖는다. 각각의 트러스 부분의 내부, 즉 다른 트러스 부분과 마주하는 트러스 부분의 측면에 매칭하는 롤러 트랙(roller track) 쌍들이 부착된다. 상부 승강장은 통상적으로 트러스들 사이에 에스컬레이터 구동기를 하우징한다. 구동기는 한 쌍의 스텝 체인 스프로킷들에 전력을 공급하고, 이는 이어서 발판을 이동시키는 스텝 체인에 대한 움직임을 부여한다. 스텝 체인 및 발판들은 폐쇄 루프를 이동하여, 한 고도(elevation)로부터 다른 고도로, 그리고 역으로 운행된다.
전형적으로, 에스컬레이터의 개별적인 스텝들은 통상적으로 스커트 보드(skirt board) 또는 패널이라 칭하는 패널 요소들에 의해 정의된 매우 좁은 "채널"에서 이동한다. 이 스커트 보드들은 에스컬레이터의 프레임에 부착되므로, 스텝들이 그 사이에서 이동할 때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대상물들이 스텝들과 스커트 보드 사이에서의 각 측면의 갭에 들어가거나 갇힐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이 갭은 매우 작게 유지된다. 하지만, 스텝들과 스커트 보드들 사이의 갭을 최소화하는 것은 설치 및 유지 비용들 및 복잡성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한가지 대안적인 에스컬레이터 구성은, 스텝의 각 측면에 플랜지들을 갖는 패널이 부착되어 갭을 제거하는 "방호 스텝(guarded step)"을 포함한다. 스텝들과 스커트 보트들 사이에 매우 작은 갭을 갖는 또 다른 대안적인 에스컬레이터 구성은 "무빙 스커트(moving skirt)" 또는 스텝들과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이동하는 스커트 보드들을 포함한다. 무빙 스커트들은 스텝과 스커트 보트들 사이의 갭에 대상물이 갇힐 위험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데, 이는 두 구성요소들 간의 상대 이동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무빙 스커트를 채택하는 승객 수송장치의 한가지 설계 과제는, 프레임에 연결되고 무빙 스커트와 정지상태의 수송장치 구조체 간의 연결지점(junction)을 형성하는 커버를 위치시키는 것이다. 때때로 칭해지는 바와 같이, 스텝 플랜지 커버는 무빙 스커트에 대해 정밀하게 위치되어 무빙 스커트, 즉 스텝 플랜지와 커버 사이의 갭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승객 수송장치를 포함한다. 수송장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에 스텝 체인이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수송장치 구동기가 프레임에 연결되고, 스텝 체인을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텝 체인에 발판들이 연결된다. 스텝 플랜지 커버가 발판들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 1 브래킷이 프레임에 연결된다. 제 2 브래킷이 스텝 플랜지 커버에 연결된다. 제 1 브래킷과 제 2 브래킷 중 하나에 보스(boss)들이 배치된다. 제 1 브래킷과 제 2 브래킷 사이의 연결장치가 적어도 2 이상의 방향으로 스텝 플랜지 커버의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제 1 브래킷에 대해 제 2 브래킷을 보스들을 중심으로 피봇(pivot)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승객 수송장치의 프레임에 스텝 플랜지 커버를 연결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제 1 브래킷이 프레임에 연결된다. 제 2 브래킷이 스텝 플랜지 커버에 연결된다. 제 1 브래킷과 제 2 브래킷 중 하나에 보스들이 배치된다. 제 1 브래킷과 제 2 브래킷 사이의 연결장치가 적어도 2 이상의 방향으로 스텝 플랜지 커버의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제 1 브래킷에 대해 제 2 브래킷을 보스들을 중심으로 피봇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승객 수송장치의 프레임에 스텝 플랜지 커버를 조정가능하게 연결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제 1 브래킷이 프레임에 부착된다. 제 2 브래킷이 스텝 플랜지 커버에 부착된다. 제 1 브래킷은, 제 2 브래킷이 제 1 브래킷과 제 2 브래킷 중 하나에 있는 1 이상의 보스들을 중심으로, 제 1 브래킷에 대해 피봇가능하도록 제 2 브래킷에 연결된다.
도 1은 에스컬레이터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에스컬레이터의 프레임과 스텝 플랜지 커버 사이의 본 발명에 따른 조정가능한 연결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의 조정가능한 연결의 상세도;
도 4는 도 1의 에스컬레이터의 프레임과 스텝 플랜지 커버 사이의 본 발명에 따른 대안적인 조정가능한 연결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및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조정가능한 연결의 상세도이다.
도 1은 프레임(12), 구동기(14), 스텝 체인(16), 스텝들(18), 롤러 트랙들(20), 및 난간 조립체들(22)을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10)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프레임(12)은 프레임(12)의 좌측 및 우측에 트러스 부분(24)을 포함한다(도 1에는 단 하나의 측면만이 도시됨). 각각의 트러스 부분(24)은 경사진 중앙부(28)에 의해 연결된 서로 평행한 두 단부들(26)을 갖는다. 단부들(26)은 상부 고도(32)의 상부 승강장(30) 및 하부 고도(36)의 하부 승강장(34)을 형성한다. 각각의 트러스 부분(24)의 내부, 즉 다른 트러스 부분(24)과 마주하는 트러스 부분(24)의 측면에 매칭하는 롤러 트랙 쌍들(20)이 부착된다. 롤러 트랙(20)의 기울기가 경사진 중앙부(28)의 기울기로부터 승강장들(30, 34)의 기울기로 변하고 있는 경사진 중앙부(28)와 승강장(30, 34) 사이의 구역은 경사진 중앙부(28)와 승강장들(30, 34) 중 어느 하나 사이의 전이 구역(transition region: 38)이라고 정의된다.
상부 승강장(30)은 트러스 부분들(24) 사이에 에스컬레이터 구동기(14)를 하우징한다. 구동기(14)는 한 쌍의 스텝 체인 스프로킷들(40)에 전력을 공급하고, 이는 이어서 스텝 체인들(16)에 대한 선형 움직임을 부여한다. 스텝들 또는 발판들(18)은 스텝 체인들(16)에 연결되고, 그들이 에스컬레이터 구동기(14)에 의해 스텝 체인들과 함께 구동됨에 따라 롤러 트랙들(20)을 따라 안내된다. 스텝 체인들(16) 및 스텝들(18)은 폐쇄 루프 경로(42)(도 1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됨)를 통해 이동하여, 한 고도로부터 다른 고도로(32, 36), 그리고 역으로 운행된다. 스텝 체인들(16) 및 스텝들(18)이 이동하는 폐쇄 루프 경로의 구역들은, 체인들(16) 및 스텝들(18)이 상부 및 하부 승강장들(30, 34)에서 스프로킷들(40) 주위를 이동함에 따라 두 방향전환부(turnaround: 44)를 포함한다.
도 2는 스텝 플랜지 커버(54)와 프레임(12)의 프레임 부재(60) 사이의 본 발명에 따른 조정가능한 연결부(64)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조정가능한 연결부(64)는 에스컬레이터(10)에서의 작동을 위해 조립된 인접한 스텝들(18)에 근접하여, 연결부(64)를 포함하는 상이한 구성요소들 사이에서 더 잘 구별되도록 분해된 상태로 도시된다. 프레임 부재(60)는 단지, 에스컬레이터(10)의 요소들이 배치되고 이들이 연결되는 전반적으로 정지상태인 프레임(12)의 하나의 특정한 요소이다. 프레임 부재(60)는 프레임(12)(간명함을 위해 도시되지 않음)의 전반적으로 정지상태인 구조체에 연결되고, 일반적으로 에스컬레이터(10)의 작동 시 스텝들(18)이 이동하는 폐쇄 루프 경로(42)의 노출부(즉, 무빙 스커트가 승객들에게 노출되는 부분)에 평행하게 진행한다. 도 2에서, 제 1 스텝(18')은 제 1 스텝 플랜지(50')를 포함하고, 제 2 스텝 플랜지(50")를 포함하는 제 2 스텝(18")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 1 스텝 플랜지(50')와 제 2 스텝 플랜지(50") 사이에 브릿지 부재(bridge member: 52)가 배치되어, 에스컬레이터(10)의 무빙 스커트를 형성한다. 스텝들(18', 18")은 이들이 에스컬레이터(10)의 작동 시 이동하는 폐쇄 루프 경로(42)의 경사진 부분(28)에서 도시된다.
스텝 플랜지 커버(54)가 스텝(18")의 제 2 스텝 플랜지(50")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이를 부분적으로 덮는다. 스텝 플랜지 커버(54)는, 무빙 스커트와 커버 사이의 갭을 최소화하도록 제 1 및 제 2 스텝 플랜지들(50', 50")과 브릿지 부재(52), 즉 무빙 스커트에 대해 정밀하게 위치되어야 한다. 무빙 스커트들을 갖는 수송장치들에 대하여 언급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빙 스커트가 아닌 정지상태인 스커트를 갖는 승객 수송장치에서 채택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스텝 플랜지 커버는 스커트 플레이트들 또는 인접한 스커트 플레이트들 사이에 개재된 브릿지들을 포함하지 않는 무빙 발판들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스커트 플레이트는 수송장치의 정지상태 스커트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발판들의 측면에 근접하여 배치되며, 접촉하지는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텝 플랜지 커버들과 승객 수송장치 프레임들 사이에 연결부를 제공하며, 이는 적어도 2 이상의 방향으로 무빙 스커트 또는 무빙 발판들에 대해 스텝 플랜지 커버의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조정가능하다. 조정가능한 연결부는, 예를 들어 심(shim)들을 이용하는 바와 같이 허술한(crude) 조정 기술들을 이용할 필요없이, 스텝 플랜지 커버가 발판들 또는 스커트에 대해 정밀하게 위치되게 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스텝 플랜지 커버(54)는 무빙 스텝 플랜지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스텝 플랜지들(50', 50")에 대해 정지상태로 유지되고, 조정가능한 연결부(64)에 의해 프레임 부재(60)에 연결된다. 조정가능한 연결부(64)는 에스컬레이터(10)의 경사진 중앙부(28)(도 1 참조)에서 프레임 부재(60)에 연결된 제 1 브래킷(68) 및 커버(54)에 연결된 제 2 브래킷(70)을 포함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프레임 부재(60)와 스텝 플랜지 커버(54) 사이의 조정가능한 연결부(64)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는 조정가능한 연결부(64)의 사시도이다. 도 3c는 조정가능한 연결부(64)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에서, 조정가능한 연결부(64)는 제 1 브래킷(68), 제 2 브래킷(70), 제 1 파스너(80), 제 2 파스너(82), 및 피봇 보스들(84)(도 3c에 도시됨)을 포함한다. 제 1 브래킷(68)은 일반적으로 U-형 브래킷이고, 이는 제 1 플레이트(68a), 제 1 플레이트(68a)로부터 거의 수직으로 돌출한 제 2 플레이트(68b), 제 1 플레이트(68a)로부터 거의 수직으로 돌출하고 제 2 플레이트(68b)에 거의 평행한 제 3 플레이트(68c), 및 제 2 플레이트(68b)와 제 3 플레이트(68c) 사이에 간극(void)을 정의하는 제 1 플레이트(68a)의 절단부(cutout: 68d)를 포함한다. 제 2 브래킷(70)은 제 1 플레이트(70a), 제 1 플레이트(70a)로부터 거의 수직으로 돌출한 제 2 플레이트(70b), 제 1 플레이트(70a)로부터 거의 수직으로 돌출하고 제 2 플레이트(70b)에 거의 평행한 제 3 플레이트(70c), 및 제 2 플레이트(70b)와 제 3 플레이트(70c)에 대해 일반적으로 수직 관계로 배치되고 이에 연결된 제 4 플레이트(70d)를 포함한다.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파스너(80)는 볼트(80a) 및 너트(80b)를 포함한다. 제 2 파스너(82)는 볼트(82a), 너트(82b), 및 탄성 부재(82c)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82c)는, 예를 들어 원뿔형 스프링 와셔(conical spring washer) 또는 헬리컬 코일 스프링(helical coil spring)일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에서, 제 1 브래킷(68)은 프레임 부재(60)에 연결되고, 제 2 브래킷(70)은 스텝 플랜지 커버(54)에 연결된다. 조정가능한 연결부(64)의 제 1 브래킷(68) 및 제 2 브래킷(70)은 각각 프레임 부재(60) 및 커버(54)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된다. 제 1 브래킷(68)은 제 4 및 제 5 플레이트들(68e, 68f)을 포함하며, 이는 프레임 부재(60) 내의 채널들(60b)에 맞물리는 파스너들(60a)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제 2 브래킷(70)의 제 4 플레이트(70d)는 2 개의 평행한 주변 에지들에서의 절단부들(70e)을 포함하며, 이는 스텝 플랜지 커버(54)의 채널들(54b)에서 파스너들(54a)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조정가능한 연결부(64)에 의해 제공된 파스너들(60a 및 54a)의 일반적으로 접근가능한 위치는, 일반적으로 연결부(64)를 포함한 에스컬레이터들 및 그 대안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조립 및 유지 시간 및 비용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c에서, 제 1 브래킷(68)의 제 1 플레이트(68a)는 제 2 브래킷(70)의 제 1 플레이트(70a)에 대해 일반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배치되고 연결되어, 스텝(18)(도시되지 않음)의 스텝 플랜지(50)로부터 작은 갭 간격(G)으로 스텝 플랜지 커버(54)를 위치시킨다. 제 1 브래킷(68)은 제 2 파스너(82)에 의해 제 2 브래킷(70)에 연결된다. 명확하게는, 볼트(82a)를 제 1 브래킷(68)의 절단부(68d)에 배치하도록, 볼트(82a)가 제 2 브래킷(70)의 제 1 플레이트(70a)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너트(82b)는 볼트(82a)에 맞물리고, 제 1 브래킷(68)의 제 1 플레이트(68a)와 볼트(82a) 사이의 탄성 부재(82c)를 압축하여, 제 1 브래킷(68)을 제 2 브래킷(70)에 연결한다. 제 1 파스너(80) 및 피봇 보스들(84)은 제 1 브래킷(68)의 제 1 플레이트(68a)와 제 2 브래킷(70)의 제 1 플레이트(70a) 간의 간격을 정의한다. 제 1 파스너(80)의 볼트(80a)는 너트(80b)에 맞물리고, 제 1 브래킷(68)의 제 1 플레이트(68a) 내의 홀을 통과한다. 너트(80b)는 제 1 플레이트(68a)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이로 인해, 볼트(80a)는 너트(80b)를 통해 제 1 브래킷(68)의 제 1 플레이트(68a)로부터 제 2 브래킷(70)의 제 1 플레이트(70a)를 밀어내도록 조정가능하다. 제 1 파스너(80)의 볼트(80a)가 제 2 브래킷(70)의 제 1 플레이트(70a)를 밀 때, 그리고 볼트(82a)가 제 1 플레이트(70a)에 의해 당겨지고 너트(82b)가 볼트(82a)에 의해 당겨져 탄성 부재(82c)를 압축할 때, 제 2 파스너(82)의 탄성 부재(82c)의 압축이 제 2 브래킷(70)의 제 1 플레이트(70a)로 하여금 피봇 보스들(8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한다. 또한, 제 1 파스너(80)를 조정함으로써 제 2 브래킷(70)의 제 1 플레이트(70a)를 회전시키는 것은, 스텝 플랜지 커버(54)가 회전하게 한다. 스텝 플랜지 커버(54)를 회전시키는 것은, 스텝(18)(도시되지 않음)의 스텝 플랜지(50)에 대한 스텝 플랜지 커버(54)의 수직 및 수평 위치의 미세 조정들을 제공한다. 도 3c는 제 2 브래킷(70)의 제 1 플레이트(70a)에 형성된 피봇 보스들(84)을 나타내지만, 조정가능한 연결부(64)의 대안적인 실시예들은 제 1 브래킷(68)의 제 1 플레이트(68a)에 형성된 피봇 보스들(84)을 포함한다.
도 4는 스텝 플랜지 커버(54)와 프레임(12)의 프레임 부재(62) 사이의 본 발명에 따른 조정가능한 연결부(66)를 나타낸다. 간명함을 위해, 에스컬레이터(10)의 스텝들 및 다른 구성요소들은 도 4에 도시되지 않는다. 도 4는 트러스 부분들의 수평 단부(26)에서의 스텝 플랜지 커버(54), 프레임 부재(62), 및 커버(54)와 프레임 부재(62) 사이의 조정가능한 연결부(66)의 부분 사시도이다. 에스컬레이터(10)의 프레임(12)의 구조 부재들, 즉 부재들(60, 62)은 경사진 중앙부(28)에서의 것들과 수평 단부(26)에서의 것들이 상이하기 때문에, 에스컬레이터(10)가 각각의 부분(28, 26)에 대한 2 개의 상이한 조정가능한 연결부(64, 66)를 각각 포함한다. 도 4에서, 조정가능한 연결부(66)는 에스컬레이터(10)의 수평 단부(26)에서 프레임 부재(62)에 연결된 제 1 브래킷(72) 및 커버(54)에 연결된 제 2 브래킷(74)을 포함한다. 연결부(66)는 최상층 고도(32) 및 최하층 고도(34)에서 에스컬레이터(10)의 두 단부(26)에 배치될 수 있다(도 1에 도시됨). 조정가능한 연결부(66)는 도 4에서 연결되지 않은 분해된 상태로 도시되지만, 제 1 브래킷(72)은 제 2 브래킷(74)에 연결되어 프레임 부재(62)와 스텝 플랜지 커버(54) 사이에 조정가능한 연결부(66)를 형성한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나타낸 프레임 부재(62)와 스텝 플랜지 커버(54) 사이의 조정가능한 연결부(66)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5a는 조정가능한 연결부(66)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5b는 조정가능한 연결부(66)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서, 조정가능한 연결부(66)는 제 1 브래킷(72), 제 2 브래킷(74), 제 1 파스너(90), 제 2 파스너(92), 및 피봇 보스들(84)을 포함한다. 제 1 브래킷(72)은 일반적으로 U-형 브래킷이고, 이는 제 1 플레이트(72a), 제 1 플레이트(72a)로부터 거의 수직으로 돌출한 제 2 플레이트(72b), 제 1 플레이트(72a)로부터 거의 수직으로 돌출하고 제 2 플레이트(72b)에 거의 평행한 제 3 플레이트(72c), 및 제 2 플레이트(72b)와 제 3 플레이트(72c) 사이에 간극을 정의하는 제 1 플레이트(72a)의 절단부(72d)를 포함한다. 제 2 브래킷(74)은 제 1 플레이트(74a), 및 제 1 플레이트(74a)로부터 거의 수직으로 돌출하고 제 1 브래킷(72)의 제 2 및 제 3 플레이트들(72b, 72c)에 거의 수직으로 방위된 제 2 플레이트(74b)를 포함한다.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파스너(90)는 볼트(90a) 및 너트(90b)를 포함한다. 제 2 파스너(92)는 생크(shank: 92a), 너트(92b), 및 탄성 부재(92c)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92c)는, 예를 들어 원뿔형 스프링 와셔 또는 헬리컬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도 5b에서, 제 1 브래킷(72)은 프레임 부재(62)에 연결되고, 제 2 브래킷(74)은 스텝 플랜지 커버(54)에 연결된다. 제 1 브래킷(72) 및 제 2 브래킷(74)은, 예를 들어 용접 또는 다른 적절한 방법들에 의해 각각 프레임 부재(62) 및 커버(54)에 고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제 1 브래킷(72)의 제 1 플레이트(72a)는 제 2 브래킷(74)의 제 1 플레이트(74a)에 대해 일반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배치되고 연결되어, 스텝(18)의 스텝 플랜지(50)로부터 작은 갭 간격(G)으로 스텝 플랜지 커버(54)를 위치시킨다. 제 1 브래킷(72)은 제 2 파스너(92)에 의해 제 2 브래킷(74)에 연결된다. 명확하게는, 생크(92a)를 제 1 브래킷(72)의 절단부(72d)에 배치하도록 생크(92a)가 제 2 브래킷(74)의 제 1 플레이트(74a)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너트(92b)는 생크(92a)에 맞물리고, 제 1 브래킷(72)의 제 1 플레이트(72a)와 생크(92a) 사이의 탄성 부재(92c)를 압축하여, 제 1 브래킷(72)을 제 2 브래킷(74)에 연결한다. 제 1 파스너(90) 및 피봇 보스들(84)은 제 1 브래킷(72)의 제 1 플레이트(72a)와 제 2 브래킷(74)의 제 1 플레이트(74a) 간의 간격을 정의한다. 제 1 파스너(90)의 볼트(90a)는 너트(90b)에 맞물리고, 제 1 브래킷(72)의 제 1 플레이트(72a) 내의 홀을 통과한다. 너트(90b)는 제 1 플레이트(72a)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이로 인해, 볼트(90a)는 너트(90b)를 통해 제 1 브래킷(72)의 제 1 플레이트(72a)로부터 제 2 브래킷(74)의 제 1 플레이트(74a)를 밀어내도록 조정가능하다. 제 1 파스너(90)의 볼트(90a)가 제 2 브래킷(74)의 제 1 플레이트(74a)를 밀 때, 그리고 생크(92a)가 제 1 플레이트(74a)에 의해 당겨지고 너트(92b)가 생크(92a)에 의해 당겨져 탄성 부재(92c)를 압축할 때, 제 2 파스너(92)의 탄성 부재(92c)가 압축되어 제 2 브래킷(74)의 제 1 플레이트(74a)로 하여금 피봇 보스들(8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한다. 또한, 제 1 파스너(90)를 조정함으로써 제 2 브래킷(74)의 제 1 플레이트(74a)를 회전시키는 것은, 스텝 플랜지 커버(54)가 회전하게 한다. 스텝 플랜지 커버(54)를 회전시키는 것은, 스텝(18)의 스텝 플랜지(50)에 대한 스텝 플랜지 커버(54)의 수직 및 수평 위치의 미세 조정들을 제공한다. 도 5a 및 도 5b는 제 1 브래킷(72)의 제 1 플레이트(72a)에 형성된 피봇 보스들(84)을 나타내지만, 조정가능한 연결부(64)의 대안적인 실시예들은 제 2 브래킷(74)의 제 1 플레이트(74a)에 형성된 피봇 보스들(8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텝 플랜지 커버들과 승객 수송장치 프레임들 사이의 연결부를 제공하고, 이는 적어도 2 이상의 방향으로 무빙 스커트에 대한 스텝 플랜지 커버의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조정가능하다. 조정가능한 연결부는, 예를 들어 심들을 이용하는 바와 같이 허술한 조정 기술들을 이용할 필요없이, 스텝 플랜지 커버가 무빙 스커트에 대해 정밀하게 위치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텝 플랜지 커버들과 수송장치 프레임들 사이의 조정가능한 연결부들은 스텝 플랜지 커버를 설치하고 유지하는 비용, 복잡성 및 시간을 감소시키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다음의 청구항들에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형태 및 세부사항에 대한 변형예들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Claims (28)

  1. 승객 수송장치의 프레임에 스텝 플랜지 커버를 연결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연결된 제 1 브래킷;
    상기 스텝 플랜지 커버에 연결된 제 2 브래킷;
    상기 제 1 브래킷과 상기 제 2 브래킷 중 하나 상에 있는 1 이상의 보스들; 및
    적어도 2 이상의 방향으로 상기 스텝 플랜지 커버의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상기 제 1 브래킷에 대해 상기 제 2 브래킷을 상기 보스들을 중심으로 피봇하도록 구성된 상기 제 1 브래킷과 상기 제 2 브래킷 사이의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래킷과 상기 제 2 브래킷 사이의 연결장치는 적어도 1 이상의 파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장치는 단일 파스너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방향으로 상기 스텝 플랜지 커버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래킷은 상기 연결장치에 의해 상기 제 2 브래킷의 제 1 플레이트에 일반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배치되고 연결되는 제 1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보스들은 상기 제 1 브래킷의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브래킷의 제 1 플레이트 중 하나 상에 배치되고, 그 사이에 개재되는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래킷은: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한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고, 상기 제 2 플레이트에 평행인 제 3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브래킷의 제 1 플레이트가 상기 연결장치에 의해 상기 제 1 브래킷의 제 1 플레이트와 일반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배치되고 연결되는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는 상기 제 2 플레이트와 상기 제 3 플레이트 사이의 간극을 정의하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에서의 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절단부와 일반적으로 중심에 정렬되고, 상기 절단부로부터 오프셋된 상기 제 1 플레이트 내의 홀에 맞물리는 제 1 파스너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들은 상기 제 1 브래킷의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브래킷의 제 1 플레이트 중 하나 상에서 상기 절단부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절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브래킷에 연결된 제 2 파스너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 1 브래킷의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브래킷의 제 1 플레이트 중 하나가 상기 제 1 브래킷의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브래킷의 제 1 플레이트 중 다른 하나 상의 상기 보스들과 접하게 하는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스너는 상기 제 2 파스너와 상기 제 1 브래킷의 제 1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스너는 상기 보스들을 중심으로 상기 제 2 브래킷의 제 1 플레이트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제 2 브래킷의 제 1 플레이트를 밀도록 구성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 2 브래킷의 제 1 플레이트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 2 파스너에 의해 압축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브래킷은:
    상기 연결장치에 의해 상기 제 1 브래킷의 제 1 플레이트와 일반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배치되고 연결된 상기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한 제 2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고, 상기 제 2 플레이트에 평행인 제 3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제 3 플레이트와 일반적으로 수직인 관계로 배치되고 연결된 제 4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플레이트는 상기 스텝 플랜지 커버와 일반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배치되고 연결되는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플레이트는 상기 스텝 플랜지 커버에 연결된 1 이상의 파스너를 수용하는 상기 제 4 플레이트의 1 이상의 주변 에지에서의 1 이상의 절단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들은 제 1 주변 에지에서의 2 개의 절단부, 및 상기 제 1 주변 에지에 평행한 제 2 주변 에지에서의 2 개의 절단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브래킷은:
    상기 연결장치에 의해 상기 제 1 브래킷의 제 1 플레이트와 일반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배치되고 연결된 상기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고, 상기 제 1 브래킷의 제 2 및 제 3 플레이트들에 수직으로 방위된 제 2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상기 스텝 플랜지 커버와 일반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배치되고 연결되는 디바이스.
  14. 승객 수송장치의 프레임에 스텝 플랜지 커버를 조정가능하게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제 1 브래킷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스텝 플랜지 커버에 제 2 브래킷을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브래킷이 상기 제 1 브래킷과 상기 제 2 브래킷 중 하나에 있는 1 이상의 보스들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브래킷에 대해 피봇가능하도록 상기 제 2 브래킷에 상기 제 1 브래킷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승객 수송장치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스텝 체인(step chain);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스텝 체인을 구동하도록 구성된 수송장치 구동기(conveyor drive);
    상기 스텝 체인에 연결된 복수의 발판(tread plate)들;
    상기 발판들에 인접하여 배치된 스텝 플랜지 커버; 및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승객 수송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들의 적어도 한 측에 연결된 무빙 스커트(moving ski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텝 플랜지 커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무빙 스커트를 덮는 승객 수송장치.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20117025557A 2009-04-03 2009-04-03 스텝 플랜지 커버용 조정가능한 브래킷 KR1012373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09/005163 WO2010112952A1 (en) 2009-04-03 2009-04-03 Adjustable bracket for step flange co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969A KR20120012969A (ko) 2012-02-13
KR101237364B1 true KR101237364B1 (ko) 2013-02-28

Family

ID=42827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557A KR101237364B1 (ko) 2009-04-03 2009-04-03 스텝 플랜지 커버용 조정가능한 브래킷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57350B2 (ko)
JP (1) JP5442843B2 (ko)
KR (1) KR101237364B1 (ko)
CN (1) CN102365226B (ko)
DE (1) DE112009004623B4 (ko)
HK (1) HK1167637A1 (ko)
WO (1) WO20101129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80584B (zh) 2015-05-06 2021-03-19 奥的斯电梯公司 包括悬臂的用于人员输送机的踏板元件
KR20170001848U (ko) 2015-11-19 2017-05-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공진 회피 기능을 갖는 선박 상부 구조물
US10227214B1 (en) * 2018-03-13 2019-03-12 Otis Elevator Company Passenger conveyor skirt panel positioning assembly
EP3569554B1 (en) 2018-05-16 2021-02-24 Otis Elevator Company Drive system for a people conveyor
AU2020272919B2 (en) * 2019-04-12 2023-07-13 Inventio Ag Side monitoring device for a passenger transport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781A (ko) * 1999-06-08 2001-01-05 장병우 승객수송시스템의 안전장치
JP2004514629A (ja) 2000-11-28 2004-05-20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乗客用コンベヤにおける踏板要素の固定
KR20050026786A (ko) * 2003-09-09 2005-03-16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승객수송장치의 패널 고정구조
JP2006168939A (ja) 2004-12-17 2006-06-29 Toshiba Elevator Co Ltd 中間加速型エスカレータ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2681A (en) * 1972-09-12 1975-01-28 Maynard C Barker Conveying arrangement for containers
US4413719A (en) 1981-05-28 1983-11-08 White Carl J Method and apparatus for entrapment prevention and lateral guidance in passenger conveyor systems
CH664790A5 (de) 1984-08-10 1988-03-31 Inventio Ag Verkleidung des balustradensockels einer fahrtreppe oder eines fahrsteiges.
US4669597A (en) 1985-11-04 1987-06-02 Otis Elevator Company Escalator skirt panel
US4842122A (en) 1988-04-11 1989-06-27 Westinghouse Electric Corp. Transportation apparatus having adjustable skirts
ATE70027T1 (de) 1988-07-11 1991-12-15 Inventio Ag Balustrade einer fahrtreppe oder eines personen- foerderbandes.
KR930004746Y1 (ko) * 1991-04-03 1993-07-23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장착장치
KR960016094B1 (ko) 1991-08-22 1996-11-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용 미세중량감지표시방법
US5180047A (en) 1992-04-07 1993-01-19 Otis Elevator Company Balustrade and deck mounting assembly for escalator or moving walkway
US5156251A (en) 1992-04-07 1992-10-20 Otis Elevator Company Balustrade mounting assembly for escalator or moving walkway
US5186302A (en) 1992-04-10 1993-02-16 Otis Elevator Company Escalator skirt and deck panel installation
US5215177A (en) * 1992-09-08 1993-06-01 Otis Elevator Company Escalator skirt and deck panel quick release fastener assembly
US5601179A (en) * 1993-01-22 1997-02-11 Otis Elevator Company Balustrade skirt panel
US5542522A (en) * 1993-04-26 1996-08-06 Otis Elevator Company Balustrade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a balustrade assembly
US5307919A (en) * 1993-04-26 1994-05-03 Otis Elevator Company Balustrade panel height fixing device
US5560468A (en) 1994-10-18 1996-10-01 Fujitec America, Inc. Laterally adjustable side inserts for the steps of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pallets
TW393442B (en) 1997-11-03 2000-06-11 Inventio Ag Escalator or moving walkway with illuminating equipment
JPH11343090A (ja) * 1998-06-03 1999-12-14 Otis Elevator Co 人移送装置のステップ
DE10125686B4 (de) * 2000-11-28 2012-11-29 Otis Elevator Co. Stufenbefestigung an der Stufenkette einer Fahrtreppe
US6450316B1 (en) * 2000-11-28 2002-09-17 Otis Elevator Company Escalator with step flange
US7681709B2 (en) * 2003-02-07 2010-03-23 Otis Elevator Company Balustrade fastening arrangement
JP4212459B2 (ja) * 2003-11-28 2009-01-21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の据付用治具及び据付方法
CN100579888C (zh) * 2005-04-04 2010-01-13 富士达株式会社 输送装置的阶梯机构
JP4835146B2 (ja) * 2005-12-15 2011-12-14 三菱電機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のスカートガード装置
MX2007010437A (es) * 2006-09-19 2009-02-10 Inventio Ag Escalera mecanica o anden rodante con accionamiento.
CN101293614B (zh) * 2007-04-26 2011-03-23 黄民英 用于自动扶梯或自动人行道的驱动装置
CN101224840A (zh) * 2008-02-05 2008-07-23 苏州江南嘉捷电梯股份有限公司 乘客输送设备的桁架的分段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781A (ko) * 1999-06-08 2001-01-05 장병우 승객수송시스템의 안전장치
JP2004514629A (ja) 2000-11-28 2004-05-20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乗客用コンベヤにおける踏板要素の固定
KR20050026786A (ko) * 2003-09-09 2005-03-16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승객수송장치의 패널 고정구조
JP2006168939A (ja) 2004-12-17 2006-06-29 Toshiba Elevator Co Ltd 中間加速型エスカレ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06647A1 (en) 2012-01-12
KR20120012969A (ko) 2012-02-13
DE112009004623B4 (de) 2016-08-11
CN102365226B (zh) 2014-03-05
JP5442843B2 (ja) 2014-03-12
WO2010112952A1 (en) 2010-10-07
HK1167637A1 (en) 2012-12-07
JP2012522702A (ja) 2012-09-27
US8757350B2 (en) 2014-06-24
DE112009004623T5 (de) 2012-07-19
CN102365226A (zh) 2012-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364B1 (ko) 스텝 플랜지 커버용 조정가능한 브래킷
US20130192952A1 (en) Profile track integrated drive system
JP2009263062A (ja) 乗客コンベア
JP2004514628A (ja) 踏段フランジを有するエスカレータ
KR101264760B1 (ko) 승객 수송기용 난간 및 데크 장착 조립체
JP5300985B2 (ja) チェーン駆動式乗客コンベアの移動スカートメカニズム
WO2010122363A1 (en) Balustrade and deck mounting assembly for a passenger conveyor
JP4827942B2 (ja) 乗客コンベア
JP4000774B2 (ja) 乗客コンベア
JPWO2003048021A1 (ja) 乗客コンベア
JP4848327B2 (ja) 乗客コンベア
JP3978020B2 (ja) 乗客コンベア
JP5730367B2 (ja) 乗客コンベアの踏段
JP5562399B2 (ja) 乗客コンベア
JP3982264B2 (ja) 乗客コンベア
JP2002068655A (ja) マンコンベア
KR100426459B1 (ko) 승객 컨베이어
JP3884913B2 (ja) エスカレーター
CN1315714C (zh) 乘客输送设备
JP5733819B2 (ja) 乗客コンベアのリニューアル工法
WO2020230299A1 (ja) 乗客コンベアの乗降口安全装置
JP2002316784A (ja) 乗客コンベア装置
JP2001187682A (ja) エスカレ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