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6459B1 - 승객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승객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6459B1
KR100426459B1 KR10-1999-7000339A KR19997000339A KR100426459B1 KR 100426459 B1 KR100426459 B1 KR 100426459B1 KR 19997000339 A KR19997000339 A KR 19997000339A KR 100426459 B1 KR100426459 B1 KR 100426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conveyor
main body
body frame
new
exi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0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3838A (ko
Inventor
사이토츄이치
타카하시타쯔히코
우쯔노미야히로후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to KR10-1999-7000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6459B1/ko
Publication of KR20000023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3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6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64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0Kinds or typ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된 승객 컨베이어의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1)을 이용하여 신설 승객 컨베이어를 설치한 경우, 난간 구동장치(35)의 보수점검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하 계단바닥(F1, F2)에 걸쳐 경사지게 설치된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1)에, 이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1)의 경사각도(θ1)보다도 큰 경사각도(θ2)의 신설 승객 컨베이어의 신설 본체 프레임(11)을 조립해서 난간 구동장치(35)를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1)보다 윗쪽에 설치하도록 하여, 난간 구동장치(35)가 이중의 본체 프레임(1, 11)으로 덮이지 않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승객 컨베이어{PASSENGER CONVEYOR}
종래, 기존에 설치된 승객 컨베이어 대신에 의장성, 안전성, 제어성능이 뛰어난 신설 승객 컨베이어를 설치하는 경우, 예컨대 일본 특개소 58-152782호 공보나 특개소 58-15277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존에 설치된 승객 컨베이어의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을 이용하여 신설 승객 컨베이어를 설치하는 기술은 주지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기술은, 승객 컨베이어가 설치되는 건축물을 대폭적으로 개조할 필요가 없는 점에서 설치성이 뛰어난 기술이다. 그러나, 이동난간을 구동하는 난간 구동장치가 신설 본체 프레임의 측부 프레임과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의 측부 프레임의 2중 측부 프레임으로 덮인 구조로 되기 때문에, 이 난간 구동장치의 보수점검을 할 때에는, 2중 본체 프레임의 바깥쪽에서 작업을 행할 수가 없다. 그 때문에, 보수점검은 스커트 가드(skirt guard)를 떼어서 신설 본체 프레임의 내측으로부터 좁은 공간을 이용하여 작업을 해야 되기 때문에 그 작업은 매우 번거로왔다.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된 승객 컨베이어의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에 신설의 승객 컨베이어를 조립하여 구성한 승객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객 컨베이어의 일 실시예로서의 에스컬레이터를 나타낸 외부 측면도,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난간 구동장치의 확대 정면도,
도 4는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과 신설 본체 프레임과의 관계를 나타낸 일부 종단 정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에 설치된 승객 컨베이어의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을 이용하여 설치하더라도 난간 구동장치의 보수점검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승객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성이 뛰어난 승객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상하 계단바닥에 걸쳐 비스듬히 설치된 기존에 설치된 승객 컨베이어의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에 신설 승객 컨베이어를 조립하여 구성한 승객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신설 승객 컨베이어의 신설 본체 프레임의 경사각도를 상기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의 경사각도보다도 크게 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보다도 윗쪽으로 튀어나온 신설 본체 프레임에 난간 구동장치를 설치할 수가 있고, 그 결과, 난간 구동장치의 보수점검작업을 행할 때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이 장해물이 되는 일은 없고, 보수점검작업을 신설 본체 프레임의 내측 및 외측에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보다도 신설 본체 프레임의 경사각도를 크게 함으로써 신설 승객 컨베이어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고, 그 결과, 신설 본체 프레임의 조립을 할 때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의 큰 개조를 필요로 하지 않아 용이하게 조립을 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승객 컨베이어의 일 실시예를 도 1∼도 5에 나타낸 에스컬레이터에 관해 설명한다.
기존에 설치된 에스컬레이터의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1)은, 건물 내부의 하부 계단바닥 F1과 상부 계단바닥 F2에걸쳐 비스듬히 설치되어 있고, 하부 계단바닥 F1에 수평으로 나란히 늘어선 제 1 하부 수평부(2)와, 상부 계단바닥 F2에 수평으로 나란히 늘어선 제 1 상부 수평부(3)와, 이들을 연결하는 제 1 경사부(4)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존에 설치된 에스컬레이터의 구성부품의 대부분이 철거되어 있다.
이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1)의 제 1 하부 수평부(2)와 제 1 상부 수평부(3)의 끝부분에는, 이어붙임 부재(2E, 3E)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을 하부 계단바닥 F1및 상부 계단바닥 F2의 건물 대들보(5, 6)에 이어붙여 걸치고 있다.
또한,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1)의 제 1 경사부(4)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도 θ1은 특수한 용도에 사용되는 에스컬레이터를 제외하고 일반적으로는 30°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1)의 단면형상은 좌우 한 쌍의 측부 프레임(7A, 7B)과, 이들 한 쌍의 측부 프레임(7A, 7B)을 하부에서 연결하는 하측부재(8)에 의해서, 가로 안쪽폭 W1, 깊이 h1의 대략 U형으로 형성되며 신설 에스컬레이터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측부 프레임(7A, 7B)의 각각은, 상부부재(9a)와, 이 상부부재(9a)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아래 쪽에 위치하는 하부부재(9b)와, 이들 상부부재(9a)와 하부부재(9b)를 연결하는 수직부재(9c)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1)은, 길이방향의 중간부 X에서 볼트(10)에 의해서 접합되는 분할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신설 에스컬레이터의 신설 본체 프레임(11)은,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1)과 같이 하부 계단바닥 F1에 수평으로 나란히 늘어선 제 2 하부 수평부(12)와, 상부 계단바닥 F2에 수평으로 나란히 늘어선 제 2 상부 수평부(13)와, 이들을 연결하는 제 2 경사부(1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신설 본체 프레임(11)의 제 2 경사부(14)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도 θ2는 35°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 2 하부 수평부(12)와 제 2 상부 수평부(13)는 각각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1)의 제 1 하부 수평부(2)와 제 1 상부 수평부(3) 내부에 수납되어, 하층 계단바닥 F1및 상층 계단바닥 F2에 수평으로 나란히 늘어서 있다. 단, 제 2 경사부(14)의 경사각도 θ2가 기존에 설치된 프레임(1)의 제 1 경사부(4)의 경사각도 θ1보다도 크게 급경사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신설 본체 프레임(11)의 제 2 상부 수평부(13)는 기존에 설치된 프레임(1)의 제 1 경사부(4) 옆에까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신설 본체 프레임(11)의 단면형상은, 좌우 한 쌍의 측부 프레임(15A, 15B)과, 이들 측부 프레임(15A, 15B)을 하부 및 중간부에서 연결하는 하측부재(16)와 가로부재(17)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측부 프레임(15A, 15B)의 각각은, 상부부재(18a)와, 이 상부부재(18a)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아래 쪽에 위치하는 하부부재(18b)와, 이들 상부부재(18a)와 하부부재(18b)를 연결하는 수직부재(18c)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신설 본체 프레임(1)은, 길이방향의 중간부 Y에서 적절한 연결수단에 의해서 접합되는 분할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신설 본체 프레임(11)에 의해서, 가로 바깥 폭 W2, 깊이 h2의 대략 U자형 단면인 신설 부품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신설 본체 프레임(11)의 제 2 하부 수평부(12)와, 제 2 경사부(14)와, 제 2 상부 수평부(13)에는 가로폭 W3의 복수의 발판(19)이 무단형(無端狀)으로 연결되어 부설되어 있다. 이들 발판(19)에는 각기 앞바퀴(20)와 뒷바퀴(21)가 지지되어 있고, 앞바퀴(20)와 뒷바퀴(21)는 상기 신설 본체 프레임(11)에 설치된 지지부재(23)나 상기 가로부재(17)에 고정된 가이드레일(24, 25) 위를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레일(24, 25)의 왕로(往路))측은 무단형으로 연결된 발판(19)이, 상기 신설 본체 프레임(11)의 제 2 하부 수평부(12)-제 2 경사부(14)-제 2 상부 수평부(13)를 대략 따라서 하부 수평구간-오목 곡선구간-경사구간-볼록 곡선구간-상부 수평구간을 형성하도록 부설되어 있고, 귀로(歸路)측도 대략 동일한 구간을 형성하도록 부설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발판(19)의 부설방향을 따라서 그 양측에 한쌍의 난간(26)이 배치되어 있다. 이 난간(26)은 상기 신설 본체 프레임(11)의 상부부재(18a)에 지지부재(27)를 통해 하부가 지지된, 예컨대 유리패널 등으로 이루어진 난간패널(28)과, 이 난간패널(28)의 가장자리를 왕로측으로 하여 이동이 가능하게 안내된 이동난간(29)과, 상기 발판(19)과 난간패널(28)의 하부 사이를 덮는 내부 데크 커버(deck cover)(30) 및 스커트 가드(31)와, 난간패널(28)의 하부 바깥쪽을 덮는 외부 데크 커버(3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33은 스커트 가드(31)를 고정하기 위해서 수직부재(18c)에 설치된 지지부재이다.
상기 난간패널(28)의 가장자리를 왕로측으로 한 이동난간(29)의 귀로측은, 상기 난간패널(28)의 아래 쪽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18c)에 고정된 안내구(案內具)(34)에 의해 안내되고 있다.
상기 이동난간(29)을 이동시키기 위한 난간 구동장치(35)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설 본체 프레임(11)의 제 2 상부 수평부(13)에 상기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1)의 제 1 경사부(4)의 상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1의 Ⅱ-Ⅱ선 부분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존에 설치된 프레임(1)의 제 1 경사부(4)와 신설 프레임(11)의 제 2 경사부(14)의 고저차가 h3 치수이지만, 그 윗쪽에서는 도 1,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욱 큰 고저차 h4 치수가 존재하여, 이 고저차 h4 치수가 최대가 되는 위치, 바꾸어 말하면, 두 개의 상부부재(9a, 18a)의 사이각 부분의 최대개구 치수부 근방에 대향하여 상기 난간 구동장치(3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난간 구동장치(35)는 측부 프레임(15A, 15B)의 수직부재(18c), 또는 상부부재(18a)에 지지되어 상부부재(18a)에 설치된 절결부(18d)을 넘어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 플레임(36)과, 이 지지 플레임(36)의 하부에 설치된 고정축(37)에 지지되어 일체화되어 회전하는 제 1 스프로킷(38) 및 제 2 스프로킷(39)과, 상기 지지 플레임(36)의 상부에 설치된 복수의 고정축(40)에 각각 축지지되어 일체화되어서 회전하는 제 3 스프로킷(41) 및 구동 로울러(42)와, 상기 지지 플레임(36)의 고정축(37, 40) 사이에 고정된 종축(43)과, 이 종축(43)에 안내되어 상하방향으로만 가동하는 가동 프레임(44)과, 이 가동 프레임(44)의 상기 구동 로울러(42)와 대향하는 위치에 축지지되어 자유회전하고, 상기 구동 로울러(42)와의 사이에서 상기 이동난간(29)의 귀로측을 끼어 누르는 종동(從動) 로울러(45)와, 상기 제 2 스프로킷(39)과 제 3 스프로킷(41) 사이에 감긴 체인(46)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난간 구동장치(35)의 동력은, 신설 프레임(11)의 상부 수평부(13) 내부에 설치된 미도시된 구동기로부터의 구동체인(47)을 상기 제 1 스프로킷(38)에 감아걸어서 얻고 있다. 즉, 구동체인(47)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 1 스프로킷(38)은 제 2 스프로킷(39)을 회전시키고, 제 2 스프로킷(39)의 회전은 체인(46)을 통해 제 3 스프로킷(41)을 회전시키며, 제 3 스프로킷(41)과 같은 축의 구동 로울러(42)를 회전시킴으로써, 이 구동 로울러(42)와 종동 로울러(45)에 끼워 눌러져 있는 이동난간(29)을 회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1) 내부에 신설 에스컬레이터의 주요 구성부품이 수납된 후, 상기 측부 프레임(7A, 7B)의 외측에 측부 외장판(48)을 부착하여, 상부를 상기 외부 데크 커버(32)에 까지 연장시키고, 또한 양측의 측부 외장판(48)의 하부 사이를 저부 외장판(49)으로 덮는 것에 의해, 가로폭 W4의 신설된 에스컬레이터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난간 구동장치(35)의 보수점검작업이나 부품교환작업을 행할 때에는, 신설 본체 프레임(11)의 내측과 외측의 양측에서 행할 수가 있기 때문에, 그 작업은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즉, 신설 본체 프레임(11)의 외측에서의 작업은, 신설 본체 프레임(11)의 가로 바깥폭 W2과 측부 외장판(48)의 가로폭 W4의가로폭 차이(W4-W2)와,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1)과 신설 본체 프레임(11)의 고저차 h4로 형성되는 공간 Q(도 3 참조)를 이용하여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난간 구동장치(35)에 대향하는 위치의 측부 외장판(48)을 떼어내서 신설 본체 프레임 (11)을 노출시킨다. 다음에, 신설 본체 프레임(11)의 수직부재(18c) 사이에서 이면측으로 손을 뻗쳐 작업공구를 넣어 고정축(37, 40)을 떼어내고, 제 1 스프로킷(38) 및 제 2 스프로킷(39)이나 제 3 스프로킷(41) 및 구동 로울러(42)를 분해하여 보수작업이나 교환작업을 행하는 것이다.
또한, 신설 본체 프레임(11)의 내측에서의 작업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난간 구동장치(35)에 접근하고 있는 스커트 가드(31)를 떼어내서 행하는 것이다.
그 결과, 신설 본체 프레임(11)의 양측에서 두사람의 작업자에 의해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작업은 정확해지고 또한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스커트 가드(31)를 떼어냈을 만큼의 좁은 공간에서의 보수작업 등은 없어지고, 보수작업이나 교환작업은 간단해진다.
또한, 신설 본체 프레임(11)은,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1)의 경사각도보다도 크게 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 길이도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1)도 짧아져서, 그 결과,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1)을 개조하지 않고 신설 본체 프레임(11)을 무리없이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1)에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성은 용이해진다.
그런데,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1)이 경사부(4)의 X 부분에서 길이방향으로 접합되어 있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지만,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1)의 측부 프레임(7A, 7B)의 내측에는, 도 4의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부재(9a)를 접합하기 위한 L형 강철 등의 기존에 설치된 접합부재(50)가 m 치수 안쪽으로 돌출하여 볼트(51) 등의 체결수단으로 체결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1)의 가로 안쪽폭 W1 내부에 m 치수의 돌출물이 있으면, 가로 바깥폭 W2의 신설 본체 프레임(11)을 수납하는데 장해가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신설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하는 데에 앞서, 기존에 설치된 접합부재(50)를 떼어내고, 대신에 접합해야 할 인접 상부부재(9a)의 상면에 걸쳐 신설 접합부재(52)를 배치시켜, R, S부를 용접에 의해, 또는 볼트(51) 등의 접합수단으로 접합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신설 본체 프레임(11)의 수납에 장해가 되는 돌출물은 없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설 본체 프레임(11)과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1)과의 사이에 복수의 지지체를 설치하고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신설 본체 프레임(11)의 측부 프레임 15B 또는 15A에, 길이방향을 따라 적절한 간격을 두고 제 1 지지체(53)와 제 2 지지체(56)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1 지지체(53)는 수직부재(18c)에 용접하여 부착된 지지구(54)와, 이 지지구(54)에 윗쪽으로부터 아랫쪽으로 밀어넣어져 선단을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1)의 상부부재(9a)의 상면에 접촉시킨 잭 볼트(jack bolt)(55)로 이루어지고, 제 2 지지체(56)는 신설 본체 프레임(11)의 수직부재(18c)에 내측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밀어 넣어져 선단을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1)의 상부부재(9a)의 측면에 접촉시킨 잭 볼트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 1 지지체(53)와 제 2 지지체(56)를 설치함으로써, 제 1 지지체(53)에 의해서 신설 에스컬레이터의 종방향 하중 K1을, 또한 제 2 지지체(56)에 의해 신설 에스컬레이터의 횡방향 하중 K2을, 각각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1)으로 소받아 신설 에스컬레이터의 강도를 확보함과 동시에,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1)에 대하여 신설 본체 프레임(11)의 경사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지지체(53) 및 제 2 지지체(56)의 설치간격을 조밀하게 하면, 신설 본체 프레임(11)의 변형이나 뒤틀림의 강도는 보다 커지기 때문에, 신설 본체 프레임(11)의 구성재료의 단면적을 작게 하더라도 전체의 강도는 확보할 수 있고, 그 결과, 신설 에스컬레이터의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실시예는 경사각도 θ1이 30°인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1)에, 경사각도 θ2가 35°인 신설 본체 프레임(11)을 조립하여 신설 에스컬레이터(1)를 설치한 것이지만, 예컨대, 경사각도 θ1이 25°로 설치된 기존에 설치된 에스컬레이터를, 경사각도 θ2가 30°인 신설 에스컬레이터로 바꾸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더구나, 상기 실시예는 에스컬레이터에 관한 설명이지만, 상하층에 걸쳐 설치되고 발판에 단차가 없는 경사형 전동도로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설치된 승객 컨베이어의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을 이용하여 설치하더라도 난간 구동장치의 보수점검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고, 또한, 설치성이 뛰어난 승객 컨베이어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2)

  1. 상하 계단바닥에 걸쳐 경사지게 설치된 기존에 설치된 승객 컨베이어의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에, 신설 승객 컨베이어를 조립하여 구성한 승객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신설 승객 컨베이어의 신설 본체 프레임의 경사각도를 상기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의 경사각도보다도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2. 상하 계단바닥에 걸쳐 경사지게 설치된 기존에 설치된 승객 컨베이어의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에, 신설 승객 컨베이어를 조립하여 구성한 승객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신설 승객 컨베이어의 난간 구동장치를, 상기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의 상부부재보다도 상측에서 신설 본체 프레임의 내측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3. 상하 계단바닥에 걸쳐서 경사지게 설치된 기존에 설치된 승객 컨베이어의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에 신설 승객 컨베이어를 조립하여 구성한 승객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신설 승객 컨베이어의 난간 구동장치를 상기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의 경사부보다도 상측에서 신설 본체 프레임의 상부 수평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4. 상하 계단바닥에 걸쳐 경사각도 30°로 설치된 기존에 설치된 승객 컨베이어의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에, 신설 승객 컨베이어를 조립하여 구성한 승객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신설 승객 컨베이어의 신설 본체 프레임의 경사각도를 35°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양 본체 프레임은, 각각 양단 부분에 수평부를 갖고, 상기 신설 본체 프레임의 수평부는 상기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의 수평부 내부에 평행하게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6. 상하 계단바닥에 걸쳐서 경사지게 설치된 기존에 설치된 승객 컨베이어의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에, 신설 승객 컨베이어를 조립하여 구성한 승객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신설 승객 컨베이어의 난간 구동장치의 외측부에, 상기 신설 본체 프레임의 측부 프레임과, 상기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의 상부부재와, 상기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의 외측을 덮는 측부 외장판과, 상기 신설 본체 프레임의 측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상부부재를 덮는 외부 데크 커버로 둘러싸인 공간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7. 상하 계단바닥에 걸쳐 경사지게 설치된 기존에 설치된 승객 컨베이어의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에, 신설 승객 컨베이어를 조립하여 구성한 승객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신설 승객 컨베이어의 발판과 이동난간의 이동궤적의 경사부의 경사각도를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의 경사각도보다도 크게 하여, 상기 신설 승객 컨베이어의 난간 구동장치를 상기 발판의 이동궤적 경사부와 상부 수평부의 볼록(凸) 곡선구간의 근방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8. 상하 계단바닥에 걸쳐 경사지게 설치된 기존에 설치된 승객 컨베이어의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에, 신설 승객 컨베이어를 조립하여 구성한 승객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신설 승객 컨베이어의 신설 본체 프레임의 경사각도를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의 경사각도보다도 크게하는 동시에, 상기 신설 본체 프레임과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과의 사이에 복수의 지지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승객 컨베이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체는, 상기 신설 본체 프레임의 종방향 하중과 횡방향 하중을 상기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에 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경사형 승객 컨베이어.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체는, 상기 신설 본체 프레임의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에의 설치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승객 컨베이어.
  11. 상하 계단바닥에 걸쳐 경사지게 설치된 기존에 설치된 승객 컨베이어의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에, 신설 승객 컨베이어를 조립하여 구성한 승객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신설 승객 컨베이어의 신설 본체 프레임을 구성하는 상부부재의 경사각도를 상기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을 구성하는 상부부재의 경사각도보다도 크게 하는 동시에, 상기 두개의 상부부재 사이각 부분의 최대 개구 치수부 근방에서 상기 신설 본체 프레임 내부에 상기 신설 승객 컨베이어의 난간 구동장치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12. 상하 계단바닥에 걸쳐 경사지게 설치되고 제 1 상부 수평부와 제 1 경사부와 제 1 하부 수평부를 갖는 기존에 설치된 승객 컨베이어의 기존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에, 무단형으로 연결되어 회동하는 복수의 발판과, 이들 발판과 동기하여 회동하는 무단형의 이동난간과, 이 이동난간을 구동하는 난간 구동장치를 지지하는 신설 승객 컨베이어의 신설 본체 프레임을 조립하여 구성한 승객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신설 본체 프레임은 제 2 상부 수평부와 제 2 경사부와 제 2 하부 수평부를 갖고, 상기 제 2 경사부는 상기 제 1 경사부의 경사각도보다도 큰 경사각도를 가지며, 상기 제 2 하부 수평부는 상기 제 1 하부 수평부 내부에 상부가 수평이 되도록 조립되고, 상기 제 2 상부 수평부는 상기 제 1 경사부의 상부로부터 상기 제 1 상부 수평부 내부에 상부가 수평이 되도록 조립되며, 상기 제 2 상부 수평부 내부의 상기 제 2 경사부 근처에 상기 난간 구동장치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KR10-1999-7000339A 1999-01-18 1996-11-18 승객 컨베이어 KR100426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7000339A KR100426459B1 (ko) 1999-01-18 1996-11-18 승객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7000339A KR100426459B1 (ko) 1999-01-18 1996-11-18 승객 컨베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838A KR20000023838A (ko) 2000-04-25
KR100426459B1 true KR100426459B1 (ko) 2004-04-13

Family

ID=19635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0339A KR100426459B1 (ko) 1999-01-18 1996-11-18 승객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645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838A (ko)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9705B2 (en) Passenger conveyor device
JP5314920B2 (ja) 乗客コンベア
KR101953400B1 (ko) 사람 운송 장치
CA1220750A (en) Passenger conveyor
JP4000774B2 (ja) 乗客コンベア
JP5011324B2 (ja) 乗客コンベア
GB2316927A (en) Equipment and method of installing a parallel arrangement passenger conveyor
EP1454869B1 (en) Passenger conveyor
KR101237364B1 (ko) 스텝 플랜지 커버용 조정가능한 브래킷
KR100426459B1 (ko) 승객 컨베이어
JPS5924067B2 (ja) エスカレ−タ
JP4292104B2 (ja) 乗客コンベア
JP7086037B2 (ja) 乗客コンベア
JP4212946B2 (ja) 乗客コンベア
JP3205330B2 (ja) エスカレーター装置
WO2021205544A1 (ja) 乗客コンベアのトラス構造
JP3884913B2 (ja) エスカレーター
JPS63189385A (ja) 乗客コンベア装置
CN1315714C (zh) 乘客输送设备
JP3603691B2 (ja) 通路設備
JP3603690B2 (ja) 乗客コンベア
JP5733819B2 (ja) 乗客コンベアのリニューアル工法
JP3562400B2 (ja) エスカレーター
JP2000264562A (ja) エスカレータの設置構造
WO2002032802A1 (fr) Trottoir rou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