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6605B1 - 교환 렌즈, 카메라 보디, 카메라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환 렌즈, 카메라 보디, 카메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6605B1
KR101236605B1 KR1020107021843A KR20107021843A KR101236605B1 KR 101236605 B1 KR101236605 B1 KR 101236605B1 KR 1020107021843 A KR1020107021843 A KR 1020107021843A KR 20107021843 A KR20107021843 A KR 20107021843A KR 101236605 B1 KR101236605 B1 KR 101236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drive
imaging
driving
camera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1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3891A (ko
Inventor
하루오 이사카
미츠요시 오카모토
겐지 가와조에
나오타케 기타히라
고지 시부노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123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03B17/14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interchangeab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4Warning ind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3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for controlling interchangeable camera parts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3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contrast or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image signals, e.g. hill climbing metho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Landscapes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 Lens Barrels (AREA)
  • Focusing (AREA)

Abstract

교환 렌즈(200)는 피사체상(被寫體像)의 포커스 상태를 변화시키는 포커스 렌즈(230)와, 포커스 렌즈(230)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233)과, 포커스 렌즈(230)를 광축을 따라 소정의 구동 주기로 진퇴시키도록 구동 수단(233)을 제어하는 렌즈 제어 수단(240)과, 구동 수단이 제어 가능한 구동 주기를 나타내는 구동 주기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242)을 구비한다. 카메라 보디(100)는 교환 렌즈(200)로부터 구동 주기 정보를 취득하고, 그 구동 주기 정보를 참조해서 제어를 한다.

Description

교환 렌즈, 카메라 보디, 카메라 시스템{INTERCHANGEABLE LENS, CAMERA BODY, AND CAMERA SYSTEM}
본 발명은 교환 렌즈, 카메라 보디,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동영상 촬상(撮像)에 대응 가능한 교환 렌즈, 카메라 보디,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교환 렌즈식의 카메라를 개시한다. 이 카메라에 탈착되는 렌즈 유닛은 자동 초점 조절이나 자동 노출 제어에 관한 구동계를 갖춘다. 또한, 이 카메라에 탈착되는 렌즈 유닛은, 렌즈 유닛의 상태(status) 정보를 갖춘다. 이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는 카메라와 렌즈 유닛 사이에 있어서, 각종 제어 정보와 상태 정보를 통신함으로써, 카메라 측에서 렌즈 유닛을 제어한다.
일본국 특개평 4-280239호 공보
이상과 같이, 특허문헌 1은 자동 초점 조절이나 자동 노출 제어에 관한 구동계의 상태 정보만을 렌즈 유닛이 갖추는 정보로서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는 소정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의 동영상을 촬상할 때, 렌즈 유닛이 그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하는 제어를 받을 수 있는지의 여부가 불명확하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는 동영상 촬상을 할 때, 렌즈 측으로부터 렌즈 유닛을 올바르게 제어할 수 없다.
본 발명은 동영상 촬상을 할 때, 카메라 보디로부터 교환 렌즈를 올바르게 제어할 수 있는 교환 렌즈, 카메라 보디,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있어서 카메라 보디에 장착 가능한 교환 렌즈가 제공된다. 이 교환 렌즈는 피사체상(被寫體像)의 포커스 상태를 변화시키는 포커스 렌즈와, 포커스 렌즈 광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 수단과, 포커스 렌즈를 광축을 따라 소정의 구동 주기로 진퇴되도록 구동 수단을 제어하는 렌즈 제어 수단과, 구동 수단이 제어 가능한 구동 주기를 나타내는 구동 주기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양태에 있어서, 포커스 렌즈를 구비하여 포커스 렌즈에 대한 제어 가능한 구동 주기를 나타내는 구동 주기 정보를 기억한 교환 렌즈를 장착할 수 있는 카메라 보디가 제공된다. 카메라 보디는 피사체상을 소정의 촬상 주기로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촬상 주기에 관한 지시를 받는 접수 수단과, 교환 렌즈로부터 구동 주기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취득 수단이 취득한 구동 주기 정보를 참조하여, 접수 수단이 받은 지시가 나타내는 촬상 주기에 대응하는 구동 주기에서의 포커스 렌즈의 구동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카메라 보디의 동작을 제어하는 보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3양태에 있어서, 교환 렌즈와 카메라 보디를 포함하는 카메라 시스템이 제공된다. 교환 렌즈는 피사체상의 포커스 상태를 변화시키는 포커스 렌즈와, 포커스 렌즈 광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 수단과, 포커스 렌즈를 광축을 따라 소정의 구동 주기로 진퇴시키도록 구동 수단을 제어하는 렌즈 제어 수단과, 구동 수단이 대응 가능한 구동 주기에 관한 구동 주기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한다. 카메라 보디는 피사체상을 소정의 촬상 주기로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촬상 주기에 관한 지시를 받는 접수 수단과, 카메라 보디를 제어하는 보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보디 제어 수단은 렌즈 제어 수단에 대하여 구동 주기 정보를 요구한다. 렌즈 제어 수단은 보디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요구에 응해서 상기 구동 주기 정보를 상기 보디 제어부에 송신한다. 보디 제어 수단은 수신한 구동 주기 정보를 참조해서 카메라 보디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영상 촬상을 할 때, 카메라 보디로부터 교환 렌즈를 적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교환 렌즈, 카메라 보디,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의 카메라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구동 주기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3은 촬상 준비 동작에서의 보디와 렌즈 사이의 송수신의 시퀀스(sequence)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동영상의 촬상 동작의 흐름도.
도 5는 경고 메시지의 표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경고 메시지의 표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제어 주파수에 대한 비율로 나타낸 구동 주기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실시형태 1)
이하, 본 발명을 렌즈 교환식의 카메라 시스템에 적용한 경우의 실시형태 1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1-1. 구성
1-1-1. 개요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카메라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를 나타낸다. 카메라 시스템(1)은 카메라 보디(100)와 이것에 탈착 가능한 교환 렌즈(200)로 구성된다. 카메라 시스템(1)은 CCD 이미지 센서(110)로 화상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촬상함으로써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 시스템은 동영상 촬상할 때, 교환 렌즈(200)가 대응 가능한 프레임 레이트에 따라 가장 적절한 렌즈 구동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1-1-2. 카메라 보디의 구성
카메라 보디(100)는 CCD 이미지 센서(110)와 액정 모니터(120)와 카메라 컨트롤러(140)와 보디 마운트(150)와 전원(160)과 카드 슬롯(170)을 구비한다.
카메라 컨트롤러(140)는 릴리스 버튼(release button)(130) 등의 조작 부재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CCD 이미지 센서(110) 등의 구성 요소를 제어함으로써 카메라 시스템(1)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카메라 컨트롤러(140)는 수직 동기 신호를 타이밍 발생기(112)에 송신한다. 이와 병행해서, 카메라 컨트롤러(140)는 노광 동기 신호를 생성한다. 카메라 컨트롤러(140)는 생성된 노광 동기 신호를 보디 마운트(150) 및 렌즈 마운트(250)를 통하여, 렌즈 컨트롤러(240)에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카메라 컨트롤러(140)는 제어 동작이나 화상 처리 동작을 할 때, DRAM(141)을 워크 메모리로서 사용한다.
CCD 이미지 센서(110)는 교환 렌즈(200)를 통해 입사되는 피사체상을 촬상해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요컨대, CCD 이미지 센서(110)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노광함으로써, 피사체상을 촬상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화상 데이터는 AD 컨버터(111)로 디지털화된다. 디지털화된 화상 데이터는 카메라 컨트롤러(140)에 의해 소정의 화상 처리가 실시된다. 소정의 화상 처리라는 것은 예를 들면, 감마 보정 처리, 화이트 밸런스 보정 처리, 스크래치 보정 처리, YC 변환 처리, 전자 줌 처리, JPEG 압축 처리이다.
CCD 이미지 센서(110)는 타이밍 발생기(112)에 의해 제어되는 타이밍으로 동작한다. CCD 이미지 센서(11O)의 동작으로서는 정지 화면의 촬상 동작, 수루 화상(through image)의 촬상 동작 등이다.
여기서, 동영상의 촬상 동작을 할 때에는, CCD 이미지 센서(110)는 프레임 레이트 선택 다이얼(131)에 의해 선택된 프레임 레이트에 따른 타이밍으로 동작한다. 즉, 프레임 레이트 선택 다이얼(131)은 CCD 이미지 센서(110)가 피사체상을 촬상하기 위한 주기(촬상 주기)에 관한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받는다.
수루 화상은 주로 동영상이며, 사용자가 정지 화상의 촬상을 위한 구도(構圖)를 결정하기 위해 액정 모니터(120)에 표시된다.
액정 모니터(120)는 카메라 컨트롤러(140)로 화상 처리된 표시용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한다. 액정 모니터(120)는 동영상도 정지 화상도 선택적으로 표시 가능하다.
카드 슬롯(170)은 메모리 카드(171)를 장착할 수 있고, 카메라 컨트롤러(140)로부터의 제어에 의거하여, 메모리 카드(171)를 제어한다. 메모리 카드(171)는 카메라 컨트롤러(140)의 화상 처리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171)는 JPEG 화상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카드(171)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 또는 화상 파일은 판독 가능하며, 메모리 카드(171)로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 또는 화상 파일은 카메라 컨트롤러(140)에 의해 화상 처리된다. 예를 들면, 카메라 컨트롤러(140)는 메모리 카드(171)로부터 취득한 화상 데이터 또는 화상 파일을 신장(伸張)해서 표시용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전원(160)은 카메라 시스템(1)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160)은 예를 들면, 건전지이어도 좋고, 충전지이어도 좋다. 또는 전원(160)은 전원 코드를 통해 외부로부터 카메라 시스템(1)에 전력을 공급하여도 좋다.
보디 마운트(150)는 교환 렌즈(200)의 렌즈 마운트(250)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이 가능하다. 보디 마운트(150)는 렌즈 마운트(250)를 통하여, 교환 렌즈(200)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보디 마운트(150)는 카메라 컨트롤러(140)로부터 수신한 노광 동기 신호를 렌즈 마운트(250)를 통해 렌즈 컨트롤러(240)로 송신한다. 또한, 카메라 컨트롤러(140)로부터 수신한 그 이외의 제어 신호를 렌즈 마운트(250)를 통해 렌즈 컨트롤러(240)로 송신한다. 예를 들면, 보디 마운트(150)는 카메라 컨트롤러(140)로부터 수신한 포커스 렌즈(230)의 구동 주기에 관한 제어 정보를 렌즈 마운트(250)를 통해 렌즈 컨트롤러(240)로 송신한다. 또한, 보디 마운트(150)는 렌즈 마운트(250)를 통해 렌즈 컨트롤러(24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카메라 컨트롤러(140)로 송신한다. 예를 들면, 보디 마운트(150)는 교환 렌즈(200) 내의 포커스 렌즈(230)의 구동 주기 정보(상세한 것은 후술한다)를 렌즈 마운트(250)를 통해 렌즈 컨트롤러(240)로부터 수신하고, 카메라 컨트롤러(140)로 송신한다. 요컨대, 카메라 컨트롤러(140)는 교환 렌즈(200)로부터 구동 주기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보디 마운트(150)는 전원(160)으로부터 받은 전력을 렌즈 마운트(250)를 통해 교환 렌즈(200) 전체에 공급한다.
1-1-3. 교환 렌즈의 구성
교환 렌즈(200)는 광학계와 렌즈 컨트롤러(240)와 렌즈 마운트(250)를 구비한다. 광학계는 줌 렌즈(210), OIS 렌즈(220)(손떨림 보정용 렌즈), 포커스 렌즈(230)를 포함한다.
줌 렌즈(210)는 광학계로 형성되는 피사체상의 배율을 변화시키기 위한 렌즈이다. 줌 렌즈(210)는 1개 또는 복수 개의 렌즈로 구성된다. 구동 기구(211)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줌 링 등을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줌 렌즈(210)에 전달하며, 줌 렌즈(210)를 광학계의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검출기(212)는 구동 기구(211)에서의 구동량을 검출한다. 렌즈 컨트롤러(240)는 이 검출기(212)에서의 검출 결과를 취득함으로써, 광학계에서의 줌 배율을 파악할 수 있다.
OIS 렌즈(220)는 교환 렌즈(200)의 광학계에서 형성되는 피사체상의 흐릿함을 보정하기 위한 렌즈이다. OIS 렌즈(220)는 카메라 시스템(1)의 떨림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CCD 이미지 센서(110) 상의 피사체상의 떨림을 작게 한다. OIS 렌즈(220)는 1개 또는 복수 개의 렌즈로 구성된다. 액추에이터(221)는 OIS용 IC(223)로부터의 제어를 받고, 광학계의 광축에 대해 수직인 면 내에서 OIS 렌즈(220)를 구동한다. 액추에이터(221)는 예를 들면, 자석과 평판 코일로 실현할 수 있다. 위치 검출 센서(222)는 광학계의 광축에 대해 수직인 면 내에서의 OIS 렌즈(220)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위치 검출 센서(222)는 예를 들면, 자석과 홀 소자로 실현할 수 있다. OIS용 IC(223)는 위치 검출 센서(222)의 검출 결과 및 자이로센서(gyrosensor) 등의 떨림 검출기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액추에이터(221)를 제어한다. OIS용 IC(223)는 렌즈 컨트롤러(240)로부터 떨림 검출기의 검출 결과를 얻는다. 또한, OIS용 IC(223)는 렌즈 컨트롤러(240)에 대하여, 광학적 상떨림 보정 처리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송신한다.
포커스 렌즈(230)는 광학계로 CCD 이미지 센서(110) 상에 형성되는 피사체상의 포커스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한 렌즈이다. 포커스 렌즈(230)는 1개 또는 복수 개의 렌즈로 구성된다.
포커스 모터(233)는 렌즈 컨트롤러(240)의 제어에 의거하여, 포커스 렌즈(230)가 광학계의 광축을 따라 진퇴하도록 구동한다. 이로 인하여, 광학계를 통해 CCD 이미지 센서(110) 상에 형성되는 피사체상의 포커스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포커스 모터(233)로서, DC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스테핑 모터 또는 서보 모터, 초음파 모터 등에 의해서도 실현할 수 있다.
제1인코더(231) 및 제2인코더(232)는 회전체와 포토커플러(photo coupler)로 구성되는 종래의 광학식 인코더이며, 포커스 모터(233)의 회전을 검출한다. 렌즈 컨트롤러(240)는 내부에 구비한 카운터(243)에 의하여, 제1 및 제2의 인코더(231, 232)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카운트한다. 제1인코더(231)와 제2인코더(232)의 검출 신호는 위상이 벗어나 있다. 그 때문에, 제1인코더(231)의 검출 신호와 제2인코더(232)의 검출 신호를 조합하여 카운트함으로써, 포커스 모터(233)의 회전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렌즈 컨트롤러(240)는 카운터(243)의 값으로부터 포커스 렌즈의 이동량 또는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렌즈 컨트롤러(240)는 제1제어 모드 또는 제2제어 모드로 포커스 모터(233)를 제어한다. 제1제어 모드에서는 렌즈 컨트롤러(240)가 제1인코더(231)로부터의 검출 신호만을 사용해서 포커스 모터(233)를 제어한다. 제1제어 모드에서는 제1인코더(231)로부터의 검출 신호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포커스 모터(233)의 회전 방향은 검출할 수 없다. 한편, 제2제어 모드에서는 렌즈 컨트롤러(240)가 제1인코더(231) 및 제2인코더(232)를 사용해서, 포커스 모터(233)를 제어한다. 제2제어 모드에서는 렌즈 컨트롤러(240)는 포커스 렌즈(230)의 구동 방향도 검출할 수 있다.
렌즈 컨트롤러(240)는 카메라 컨트롤러(14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OIS용 IC(223) 또는 포커스 모터(233) 등을 제어함으로써 교환 렌즈(200) 전체를 제어한다. 또한, 렌즈 컨트롤러(240)는 검출기(212), OIS용 IC(223), 제1인코더(231), 제2인코더(232) 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해서, 카메라 컨트롤러(140)로 송신한다. 렌즈 컨트롤러(240)와 카메라 컨트롤러(140) 간의 데이터의 송수신은 렌즈 마운트(250) 및 보디 마운트(150)를 통해 실행된다. 렌즈 컨트롤러(240)는 제어할 때, DRAM(241)을 워크 메모리로서 사용한다. 또한, 플래시 메모리(242)는 렌즈 컨트롤러(240)를 제어할 때에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파라미터를 보존한다.
여기서, 플래시 메모리(242)가 보존하는 파라미터는 교환 렌즈(200) 내의 포커스 렌즈(230)의 구동 주기 정보를 포함한다. 구동 주기 정보는 동영상 촬상시의 자동 초점 동작을 위하여, 포커스 렌즈(230)를 광축을 따라 주기적으로 진퇴시키는 동작(이하, 이 동작을 "워블링 동작"이라고 한다)을 실행할 경우의 동작 주기에 관한 정보이다. 예를 들면,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에 의해 동영상 촬상을 실행할 수 있는 교환 렌즈는 복수의 주기에서 포커스 렌즈를 광축을 따라 진퇴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경우, 플래시 메모리(242)는 복수의 구동 주기 정보를 저장한다. 이하에, 플래시 메모리(242)가 저장하는 구동 주기 정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1-1-4. 구동 주기 정보
도 2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포커스 렌즈(230)의 구동 주기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카메라 보디(100)는 59.94(field/sec)와 24(frame/sec)와의 2종류의 프레임 레이트의 동영상을 촬상할 수 있다. 여기서, 59.94(field/sec)는 NTSC(National Television Standards Committee) 규격에 준거한 동영상의 프레임 레이트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59.94(field/sec)에서의 동영상 촬상 모드를 "통상 모드"라고 하고, 24(frame/sec)에서의 동영상 촬상 모드를 "시네마 모드"라고 한다. 또한, 통상 모드는 인터레이스 방식의 동영상을 촬상하고, 시네마 모드는 프로그레시브 방식의 동영상을 촬상한다. 또한, 1 frame은 2 field에 대응한다.
여기서, 카메라 시스템(1)을 사용하여 동영상을 촬상할 때의 피사체상에 대한 자동 초점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카메라 시스템(1)은 1 field(통상 모드의 경우) 또는 1 frame(시네마 모드의 경우)의 화상을 촬상할 때마다 포커스 렌즈(230)를 광축을 따라 진퇴시키는 동작(워블링 동작)을 한다. 예를 들면, 통상 모드로 동영상을 촬상할 경우,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9.97(Hz)의 주기로 포커스 렌즈(230)를 광축을 따라 진퇴시킨다. 또한, 시네마 모드로 동영상을 촬상할 경우,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2(Hz)의 주기로 포커스 렌즈(230)를 광축을 따라 진퇴시킨다. 카메라 시스템(1)은 1 field(통상 모드의 경우) 또는 1 frame(시네마 모드의 경우)의 화상을 촬상하고, 화상 데이터를 생성할 때마다, 생성한 화상 데이터의 자동 초점 동작용의 평가값(이하, "AF 평가값"이라고 한다)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CCD 이미지 센서(110)로 생성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휘도 신호를 구하고, 휘도 신호의 화면 내에서의 고주파 성분을 적산해서, AF 평가값을 구한다.
이와 같이, 카메라 시스템(1)은 2 field(통상 모드의 경우) 또는 2 frame(시네마 모드의 경우)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할 때마다, 포커스 렌즈(230)를 현시점의 위치로부터 광축 방향을 따라 피사체 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와, CCD 이미지 센서(110) 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의 각각의 상태에서 AF 평가값을 산출한다. 이 2개의 AF 평가값을 비교함으로써, 카메라 시스템(1)은 이후의 주기로 포커스 렌즈를 현재 위치보다 피사체 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좋은지, CCD 이미지 센서(110) 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좋은지를 판단한다. 카메라 시스템(1)은 이와 같이 포커스 렌즈(230)를 광축을 따라 진퇴시킴으로써, 동영상을 촬상할 때에 피사체상에 계속해서 초점을 맞추어 갈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소정의 주기로 포커스 렌즈(230)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포커스 모터(233)를 소정의 주기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프로그램을 미리 교환 렌즈(200)의 플래시 메모리(242)에 저장해 놓을 필요가 있다. 한편, 카메라 보디(100)는 여러 가지의 교환 렌즈를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커스 렌즈의 구동 주기로서 12(Hz)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교환 렌즈를 장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카메라 보디(100)가 교환 렌즈에 대해 12(Hz)로 포커스 렌즈를 광축을 따라 진퇴시키도록 지시하였다고 하면, 교환 렌즈가 오작동을 일으킬 위험성이 생긴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교환 렌즈(200)는 포커스 렌즈(230)를 광축을 따라 진퇴시킬 때의 구동 가능한 주기에 관한 정보(구동 주기 정보)를 플래시 메모리(242) 내에 저장한다. 예를 들면, 교환 렌즈(200)가 광축을 따라 12(Hz)와 29.97(Hz)과의 2개의 주기로 구동 가능할 경우, 교환 렌즈(200)가 12(Hz)와 29.97(Hz)의 2개의 구동 주기에 대응하고 있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구동 주기 정보를 플래시 메모리(242)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구동 주기 정보를 플래시 메모리(242)에 저장해 둠으로써, 교환 렌즈(200)는 대응 가능한 포커스 렌즈(230)의 구동 주기를 카메라 보디(100)에 사전에 통지할 수 있다.
또한, 12(Hz)와 29.97(Hz)과의 2종류의 주기로 포커스 렌즈(230)를 구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카메라 시스템(1)은 2종류의 프레임 레이트에 의한 동영상의 촬상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구동 주기 정보로서, 12(Hz), 29.97(Hz)과 같은 수치 그 자체를 나타내는 정보를 플래시 메모리(242)에 저장한다.
포커스 렌즈 230은 포커스 렌즈의 일례이다. 포커스 모터(233)는 구동 수단의 일례이다. 렌즈 컨트롤러(240)는 렌즈 제어 수단의 일례이다. 플래시 메모리(242)는 기억 수단의 일례이다. CCD 이미지 센서(110)는 촬상 수단의 일례이다. 프레임 레이트 선택 다이얼(131)은 접수 수단의 일례이다. 카메라 컨트롤러(140)와 보디 마운트(150)로 이루어지는 구성은 취득 수단의 일례이다. 카메라 컨트롤러(140)는 보디 제어 수단의 일례이다. 액정 모니터(120)는 표시 수단의 일례이다.
1-2. 동작
1-2-1. 촬상 준비 동작
카메라 시스템(1)의 촬상 준비를 위한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카메라 시스템(1)의 촬상 준비 동작에 있어서의 신호 송수신을 나타낸 도면이다.
카메라 보디(100)에 교환 렌즈(200)를 장착한 상태로, 사용자가 카메라 보디(100)의 전원을 온(ON)으로 하면, 전원(160)은 보디 마운트(150) 및 렌즈 마운트(250)를 통하여, 교환 렌즈(200)에 전력을 공급한다(S11). 다음으로, 카메라 컨트롤러(140)는 렌즈 컨트롤러(240)에 대하여, 교환 렌즈(200)의 인증 정보를 요구한다(S12). 여기서, 교환 렌즈(200)의 인증 정보에는 교환 렌즈(200)가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관한 정보 및 액세서리가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렌즈 컨트롤러(240)는 카메라 컨트롤러(140)로부터의 렌즈 인증 요구에 응답한다(S13).
다음으로, 카메라 컨트롤러(140)는 렌즈 컨트롤러(240)에 대하여, 초기화 동작을 실시하도록 요구한다(S14). 이것을 받아서, 렌즈 컨트롤러(240)는 조리개의 리셋, OIS 렌즈(220)의 리셋 등의 초기화 동작을 한다. 그리고, 렌즈 컨트롤러(240)는 카메라 컨트롤러(140)에 대하여, 렌즈 초기화 동작이 완료한 취지를 회신한다(S15).
다음으로, 카메라 컨트롤러(140)는 렌즈 컨트롤러(240)에 대하여, 렌즈 데이터를 요구한다(S16). 렌즈 데이터는 플래시 메모리(242)에 저장되어 있다. 렌즈 컨트롤러(240)는 플래시 메모리(242)로부터 렌즈 데이터를 판독해서, 카메라 컨트롤러(140)에 회신한다(S17). 여기서, 렌즈 데이터라는 것은 렌즈 명칭, F 넘버, 초점 거리 등의 교환 렌즈(200) 특유의 특성 값이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렌즈 데이터에 구동 주기 정보가 포함된다. 이로 인하여, 카메라 보디(100)는 촬상 준비 단계에서 교환 렌즈(200)가 대응 가능한 포커스 렌즈(230)의 구동 주기에 관한 구동 주기 정보 등을 취득할 수 있다. 즉, 카메라 보디(100)는 이 단계에서, 교환 렌즈(200)가 12(Hz)와 29.97(Hz)의 2개의 구동 주기로 포커스 렌즈(230)를 광축을 따라 진퇴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취지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카메라 컨트롤러(140)가 카메라 보디(100)에 장착되어 있는 교환 렌즈(200)의 렌즈 데이터를 파악하면, 촬상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카메라 컨트롤러(140)는 렌즈 컨트롤러(240)에 대하여, 교환 렌즈(200)의 상태를 나타내는 렌즈 상태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요구한다(S18). 렌즈 상태 데이터는 예를 들면, 줌 렌즈(210)에 의한 줌 배율 정보, 포커스 렌즈(230)의 위치 정보, 조리개 값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 요구에 따라, 렌즈 컨트롤러(240)는 카메라 컨트롤러(140)에 대하여, 요구된 렌즈 상태 데이터를 회신한다(S19).
1-2-2. 동영상 촬상 동작
이상에 의하여, 촬상 준비가 완료한 카메라 시스템(1)에서의 동영상 촬상에 대해 도 4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카메라 시스템(1)에 있어서 동영상을 촬상할 때의 카메라 시스템(1)의 제어에 관한 흐름도이다.
촬상 준비 단계에 있어서, 카메라 보디(100)의 전원이 온(ON)으로 되면(S30), 카메라 보디(100)는 교환 렌즈(200)로부터 포커스 렌즈(230)의 구동 주기 정보를 취득한다(S31). 이 단계에서, 카메라 보디(100)는 사용자에 의해 촬영 모드가 선택될 때까지 대기한다(S32). 여기서, 촬영 모드라는 것은 정지화상 혹은 동영상을 촬상하는 모드이다.
사용자에 의해 촬영 모드가 선택되면, 카메라 컨트롤러(140)는 선택된 촬영 모드가 정지화상 촬영 모드일지 동영상 촬영 모드일지를 판단한다(S33).
정지화상 촬영 모드라고 판단하면, 카메라 보디(1O0)는 정지화상 촬영 모드로 이행하고, 사용자가 릴리스 버튼(130)을 누를 때까지 대기한다(S34).
동영상 촬영 모드라고 판단하면, 카메라 컨트롤러(140)는 프레임 레이트 선택 다이얼(131)에 의해 선택된 촬영 모드가 통상 모드인지 시네마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35).
통상 모드라고 판단하면, 카메라 컨트롤러(140)는 장착되어 있는 교환 렌즈(200)가 통상 모드에 대응 가능한가를 판단한다(S36). 이 판단은 촬상 준비 단계에서 교환 렌즈(200)로부터 취득한 구동 주기 정보를 참조해서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구동 주기 정보가, 교환 렌즈(200)가 통상 모드일 때의 워블링 주파수인 29.97(Hz)로 동작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있을 경우, 교환 렌즈는 통상 모드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교환 렌즈(200)가 통상 모드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카메라 컨트롤러(140)는 59.94(field/sec)로 동영상을 촬상하도록 CCD 이미지 센서(110)를 제어한다(S37). 또한, 카메라 컨트롤러(140)는 포커스 렌즈(230)를 29.97(Hz)로 광축을 따라 진퇴시키도록 렌즈 컨트롤러(240)에 대해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S37). 요컨대, 카메라 컨트롤러(140)는 사용자가 선택한 통상 모드에 대응하는 29.97(Hz)이라는 구동 주기가 교환 렌즈(200)로부터 취득한 구동 주기 정보를 나타내는 구동 정보 중 어느 하나와 합치하면, 통상 모드가 나타내는 59.94(field/sec)로 피사체상을 촬상하도록 CCD 이미지 센서(110)를 제어하고, 통상 모드에 대응하는 29.97(Hz)이라는 구동 주기로 포커스 렌즈(230)를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교환 렌즈(200)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상 모드에 대응하고 있는 교환 렌즈(200)에 대하여, 카메라 컨트롤러(140)는 통상 모드에 대응하는 구동 주기로 포커스 렌즈(230)를 구동하도록 렌즈 컨트롤러(24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에 의해 지시된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 가능한 교환 렌즈가 장착되어 있을 경우에만, 사용자에 의해 지시된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하는 구동 주기로 포커스 렌즈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교환 렌즈(200)가 통상 모드에 대응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카메라 컨트롤러(140)는 경고 표시를 하도록 액정 모니터(120)를 제어한다(S38). 이 경우, 자동 초점 동작을 위한 워블링 동작이 실행될 수 없기 때문에,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동 초점 동작이 불가능하다는 취지의 경고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카메라 보디(100)는 장착 중의 교환 렌즈가 통상 모드에 비대응일 경우(예를 들면, 동영상일 때 자동 초점 비대응 렌즈를 장착하고 있는 경우)에는 자동 초점 동작이 불가능하다는 취지를 액정 모니터(120) 상의 표시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이 경고에 의하여, 사용자는 장착하고 있는 교환 렌즈로는 통상 모드에서의 자동 초점 동작이 실현될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매뉴얼 조작을 한다. 또한, 카메라 보디(100)는 교환 렌즈(200)에 대해 자동 초점 동작을 지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통상 모드에 비대응의 교환 렌즈에서의 오작동의 위험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카메라 보디(100)는 선택된 통상 모드에 비대응의 교환 렌즈가 장착되어 있을 경우에는 액정 모니터(120)를 통해 경고 표시를 하고, 비대응의 구동 주기에 따라 포커스 렌즈를 광축을 따라 진퇴시키도록 지시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였다. 그러나, 반드시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통상 모드에 비대응의 교환 렌즈가 장착되어 있을 경우에는 매뉴얼로 포커스 제어를 함으로써, 동영상을 촬상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로 인하여, 통상 모드에 비대응의 교환 렌즈를 장착하고 있는 것과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동영상 촬상을 할 수 있다. 또한, 통상 모드에 비대응의 교환 렌즈가 장착되어 있을 경우에는 포커스 렌즈의 구동량을 보디 측으로부터 매번 통지함으로써 포커스 조정을 하면서 동영상 촬상을 하여도 좋다. 이로 인하여, 통상 모드에 비대응의 교환 렌즈를 장착하고 있는 것과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포커스 조정을 하면서 동영상 촬상을 할 수 있다.
도 4에 돌아가서, 스텝 S35에 있어서, 프레임 레이트 선택 다이얼(131)에 의해 선택된 촬영 모드가 시네마 모드라고 판단하면, 카메라 컨트롤러(140)는 장착되어 있는 교환 렌즈(200)가 시네마 모드에 대응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9). 이 판단은 촬상 준비 단계에 있어서 교환 렌즈(200)로부터 취득한 구동 주기 정보에 의거하여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구동 주기 정보가, 교환 렌즈(200)가 시네마 모드로의 워블링 주파수인 12(Hz)로 구동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을 경우, 교환 렌즈(200)는 시네마 모드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교환 렌즈(200)가 시네마 모드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카메라 컨트롤러(140)는 24(frame/sec)로 동영상을 촬상하도록 CCD 이미지 센서(110)를 제어한다(S40). 또한, 카메라 컨트롤러(140)는 포커스 렌즈(230)를 12(Hz)로 광축을 따라 진퇴시키도록 렌즈 컨트롤러(240)에 대해 통지한다(S40).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교환 렌즈(200)가 시네마 모드에 대응하고 있을 경우, 카메라 컨트롤러(140)는 시네마 모드에 대응하는 구동 주기로 포커스 렌즈(230)를 구동하도록 렌즈 컨트롤러(240)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에 의해 지시된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 가능한 교환 렌즈가 장착되어 있을 경우에만, 사용자에 의해 지시된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하는 구동 주기로 포커스 렌즈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교환 렌즈(200)가 시네마 모드에 비대응이라고 판단하면, 카메라 컨트롤러(140)는 경고 표시를 하도록 액정 모니터(120)를 제어한다(S41). 도 6에 경고 표시의 예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카메라 보디(100)는 장착 중의 교환 렌즈가 시네마 모드에 비대응일 경우에는 그 취지를 액정 모니터(120) 상의 표시를 통해 사용자에 통지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장착하고 있는 교환 렌즈가 시네마 모드에 대응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보디(100)는 교환 렌즈가 비대응의 구동 주기에 의해 포커스 렌즈(230)를 광축을 따라 진퇴시키도록 하는 지시를 교환 렌즈에 대해 하지 않는다. 따라서, 시네마 모드에 비대응의 교환 렌즈에서의 오작동의 위험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카메라 보디(100)는 시네마 모드에 비대응의 교환 렌즈가 장착되어 있을 경우에는 액정 모니터(120)를 통해 경고 표시를 하고, 비대응의 구동 주기에 의해 포커스 렌즈를 광축을 따라 진퇴시키도록 하는 지시를 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였다. 그러나, 반드시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시네마 모드에 비대응의 교환 렌즈가 장착되어 있을 경우에는 매뉴얼로 포커스 제어를 함으로써 동영상을 촬상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로 인하여, 선택된 동영상 촬상 모드에 비대응의 교환 렌즈를 장착하고 있는 것과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동영상 촬상을 할 수 있다. 또한, 시네마 모드에 비대응의 교환 렌즈가 장착되어 있을 경우에는 포커스 렌즈의 구동량을 보디 측으로 매번 통지함으로써 포커스 조정을 하면서 동영상 촬상을 하여도 좋다. 이로 인하여, 시네마 모드에 비대응의 교환 렌즈를 장착하고 있는 것과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포커스 조정을 하면서 동영상 촬상을 할 수 있다. 또한, 시네마 모드에 비대응이지만, 통상 모드에 대응 가능한 교환 렌즈가 장착되어 있는 것과 같은 경우에는 시네마 모드가 아니라 통상 모드로 전환시켜서 동영상 촬상을 하여도 좋다. 이로 인하여, 시네마 모드에 비대응의 교환 렌즈를 장착하고 있는 것과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포커스 조정을 하면서 동영상 촬상을 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형태)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서 실시형태 1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 그 이외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실시형태 1에서는 카메라 보디(100)는 통상 모드로서, 59.94(field/sec)의 프레임 레이트로 동영상의 촬상이 가능하다고 하였지만, 통상 모드의 프레임 레이트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카메라 보디(100)는 50(field/sec)의 프레임 레이트로 동영상의 촬상이 가능한 것으로 해도 좋다. 이로 인하여, 카메라 보디(100)는 PAL규격에 대응한 동영상을 촬상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보디(100)는 59.94(field/sec)와 50(field/sec)과의 양쪽의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하여도 좋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카메라 보디(100)는 시네마 모드로서, 24(frame/sec)로 동영상의 촬상이 가능하다고 하였지만, 시네마 모드의 프레임 레이트는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25(frame/sec)나 24(frame/sec)나 30(frame/sec) 등의 프레임 레이트로의 동영상을 촬상하는 모드를 시네마 모드라고 정의하여도 좋다.
실시형태 1에서는 구동 프로그램을 교환 렌즈(200)의 플래시 메모리(242)에 저장하였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구동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전용의 기억 매체를 교환 렌즈(200)에 설치하고 그 기억 매체에 저장하여도 좋다.
실시형태 1에서는 동영상 촬상을 할 때에 항상 포커스 렌즈(230)를 워블링 동작시키는 것으로 하였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동영상 촬상일 때의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로서 자동 초점 제어와 매뉴얼 포커스 제어를 준비해 두어도 좋다. 그 경우에는 자동 초점 제어 모드가 선택되어 있을 경우에, 실시형태 1에서 나타낸 제어를 하여도 좋다.
실시형태 1에서는 교환 렌즈(200)가 줌 렌즈(210) 및 OIS 렌즈(220)를 갖추는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이들은 필수 구성 요소가 아니다. 즉, 줌 기능을 갖추지 않는 단초점 렌즈를 장착한 카메라 시스템에도 실시형태 1의 사상을 적용할 수 있고, 손떨림 보정 기능을 갖추지 않는 교환 렌즈를 장착한 카메라 시스템에도 실시형태 1의 사상을 적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1에서는 가동 미러를 구비하지 않는 카메라 보디를 예시하였지만, 카메라 보디 내에 가동 미러를 구비하여도 좋고, 또한, 카메라 보디 내에 피사체상을 나누기 위한 프리즘을 구비하여도 좋다. 또한, 카메라 보디 내가 아니라, 어댑터 내에 가동 미러를 구비하여도 좋다.
실시형태 1에서는 촬상 소자로서, CCD 이미지 센서(110)를 예시하였지만, 촬상 소자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CMOS 이미지 센서로 구성하여도 좋고, NMOS 이미지 센서로 구성하여도 좋다.
실시형태 1에서는 구동 주기 정보로서, 12(Hz), 29.97(Hz)과 같은 수치 그 자체를 나타내는 정보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구동 주기 정보의 표시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구동 주기를 코드로 표시하여도 좋다. 즉, "01"이 12(Hz)를 나타내고, "10"이 29.97(Hz)을 나타내는 것을 미리 정해 두고, "01", "10"이라는 코드로 구동 주기 정보를 표시하고, 플래시 메모리(242)에 저장하여도 좋다. 이로 인하여, 플래시 메모리(242) 상에서 소비하는 기억 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
실시형태 1에서는 CCD 이미지 센서(110)의 촬상 주파수(이하, "제어 주파수"라고 한다.)에 대해 1개의 워블링 주파수가 설정되어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주파수의 1/2의 주파수를 워블링 주파수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1개의 제어 주파수에 대해 복수의 워블링 주파수가 설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어 주파수의 1/2, 1/4, 1/8의 주파수를 워블링 주파수로서 설정 가능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의 구동 주기 정보는 제어 주파수에 대한 비율을 나타내는 정보로 표시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의 구체적인 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7은 교환 렌즈가 대응 가능한 제어 주파수나 워블링 주파수를 나타내는 제어 주파수 대응 플래그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제어 주파수 대응 플래그가 렌즈 데이터로서 교환 렌즈(200)로부터 카메라 보디(100)에 송신되어도 좋다. 제어 주파수 대응 플래그는 15비트로 구성되어, 각 비트가 플래그를 구성한다. 제1∼12비트는 교환 렌즈(200)가 각 플래그에 대응하는 제어 주파수에 대응 가능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제13∼15비트는 교환 렌즈(200)가 대응 가능한 제어 주파수의 1/n(n=2, 4, 8)의 주파수로 워블링 동작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어느 플래그도 그 값이 1이라면 "대응"을 나타내고, 0이라면 "비대응"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제2비트의 60Hz 제어 주파수 대응 플래그와 제13비트의 워블링 주파수×1/2 대응 플래그의 값이 각각 1이라면, 교환 렌즈(200)는 60Hz의 제어 주파수로 구동 가능하고, 그 1/2의 주파수(30Hz)로 워블링 동작이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제13∼15비트의 워블링 주파수×1/n 대응 플래그(n=2, 4, 8)가 구동 주기 정보에 대응한다.
실시형태 1에서는 24(frame/sec)의 촬상 주기(시네마 모드)로 촬상한 화상 데이터는 24(frame/sec)의 화상 데이터로서 기록하고, 59.94(field/sec)의 촬상 주기(통상 모드)로 촬상한 화상 데이터는 59.94(field/sec)의 화상 데이터로서 기록하였다. 그러나, 반드시 이러한 구성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24(frame/sec)의 촬상 주기로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60(frame/sec)의 화상 데이터로서 기록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24(frame/sec)의 촬상 주기로 촬상하면서, 촬상한 2frame을 5field로 배분하는 처리(이른바, 2-3 풀다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60(field/sec)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여도 좋다. 이로 인하여, 24(frame/sec)의 촬상 주기로 촬상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60(field/sec)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 결과, 24(frame/sec)의 촬상 주기에 대응한 주기의 워블링 밖에 대응할 수 없는 교환 렌즈를 장착하고 있었다고 하여도, 카메라 보디는 교환 렌즈의 워블링 제어를 하면서, 60(field/sec)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카메라 보디에 탈착 가능한 교환 렌즈, 또는 교환 렌즈를 탈착 가능한 카메라 보디, 또는 렌즈 교환식의 카메라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 또는 무비 카메라 등에 적용 가능하다.
1: 카메라 시스템 100: 카메라 보디
110: CCD 이미지 센서 112: 타이밍 발생기
130: 릴리스 버튼 140: 카메라 컨트롤러
200: 교환 렌즈 230: 포커스 렌즈
231: 제1인코더 232: 제2인코더
233: 포커스 모터 240: 렌즈 컨트롤러

Claims (10)

  1. 카메라 보디에 장착 가능한 교환 렌즈에 있어서,
    피사체상(被寫體像)의 포커스 상태를 변화시키는 포커스 렌즈와,
    상기 포커스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과,
    상기 포커스 렌즈를 광축을 따라 소정의 구동 주기로 진퇴시키도록 상기 구동 수단을 제어하는 렌즈 제어 수단과,
    상기 구동 수단이 상기 포커스 렌즈를 구동할 수 있는 구동 주기를 나타내는 구동 주기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구동 주기 정보를 상기 카메라 보디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교환 렌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복수 종류의 구동 주기에 대해 상기 구동 주기 정보를 기억하는 교환 렌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 제어 수단은 상기 카메라 보디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구동 주기 정보를 상기 송신 수단을 통해 상기 카메라 보디에 송신하는 교환 렌즈.
  4. 포커스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포커스 렌즈에 대한 제어 가능한 구동 주기를 나타내는 구동 주기 정보를 기억한 교환 렌즈를 장착 가능한 카메라 보디에 있어서,
    피사체상을 소정의 촬상(撮像) 주기로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주기에 관한 지시를 받는 접수 수단과,
    상기 교환 렌즈로부터 상기 구동 주기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취득 수단이 취득한 구동 주기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접수 수단이 받은 지시가 나타내는 촬상 주기에 대응하는 구동 주기로의 상기 포커스 렌즈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카메라 보디의 동작을 제어하는 보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카메라 보디.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제어 신호를 상기 교환 렌즈에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보디 제어 수단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포커스 렌즈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교환 렌즈에 통지하도록 상기 통지 수단을 제어하는 카메라 보디.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디 제어 수단은 상기 취득된 구동 주기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받은 지시가 나타내는 촬상 주기에 대응하는 구동 주기로 상기 포커스 렌즈의 구동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였을 때는,
    상기 받은 지시가 나타내는 촬상 주기로 피사체상을 촬상하도록 상기 촬상 수단을 제어하고, 또한, 상기 받은 지시가 나타내는 촬상 주기에 대응하는 구동 주기로 상기 포커스 렌즈를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상기 교환 렌즈에 통지하도록 상기 통지 수단을 제어하는 카메라 보디.
  7. 청구항 4에 있어서,
    경고 정보를 표시 가능한 표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보디 제어 수단은,
    상기 취득된 구동 주기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받은 지시가 나타내는 촬상 주기에 대응하는 구동 주기로 상기 포커스 렌즈가 구동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하였을 때는, 상기 경고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하는 카메라 보디.
  8. 청구항 4에 있어서,
    제어 신호를 상기 교환 렌즈에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보디 제어 수단은,
    상기 취득된 구동 주기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받은 지시가 나타내는 촬상 주기에 대응하는 구동 주기로 상기 포커스 렌즈의 구동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였을 때는,
    상기 받은 지시가 나타내는 촬상 주기에 대응하는 구동 주기로, 상기 포커스 렌즈를 구동시키는 신호를 상기 교환 렌즈에 통지하지 않도록 상기 통지 수단을 제어하는 카메라 보디.
  9. 청구항 4에 있어서,
    제어 신호를 상기 교환 렌즈에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보디 제어 수단은 상기 교환 렌즈에 대해 상기 구동 주기 정보를 요구하는 요구 신호를 통지하도록 상기 통지 수단을 제어하는 카메라 보디.
  10. 교환 렌즈와 카메라 보디를 포함하는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교환 렌즈는,
    피사체상의 포커스 상태를 변화시키는 포커스 렌즈와,
    상기 포커스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과,
    상기 포커스 렌즈를 광축을 따라 소정의 구동 주기로 진퇴시키도록 상기 구동 수단을 제어하는 렌즈 제어 수단과,
    상기 구동 수단이 상기 포커스 렌즈를 구동할 수 있는 구동 주기에 관한 구동 주기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구동 주기 정보를 상기 카메라 보디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 보디는,
    피사체상을 소정의 촬상 주기로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주기에 관한 지시를 받는 접수 수단과,
    상기 카메라 보디를 제어하는 보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보디 제어 수단은 상기 렌즈 제어 수단에 대해 상기 구동 주기 정보를 요구하고,
    상기 렌즈 제어 수단은 상기 보디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구동 주기 정보를 상기 송신 수단을 통해서 상기 보디 제어 수단에 송신하고,
    상기 보디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한 상기 구동 주기 정보를 참조해서 상기 카메라 보디의 동작을 제어하는 카메라 시스템.
KR1020107021843A 2008-04-17 2009-04-15 교환 렌즈, 카메라 보디, 카메라 시스템 KR1012366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07680 2008-04-17
JP2008107680 2008-04-17
JPJP-P-2008-141928 2008-05-30
JP2008141928 2008-05-30
PCT/JP2009/001738 WO2009128263A1 (ja) 2008-04-17 2009-04-15 交換レンズ、カメラボディ、カメラ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891A KR20100123891A (ko) 2010-11-25
KR101236605B1 true KR101236605B1 (ko) 2013-02-22

Family

ID=41198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1843A KR101236605B1 (ko) 2008-04-17 2009-04-15 교환 렌즈, 카메라 보디, 카메라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275251B2 (ko)
EP (1) EP2270586B1 (ko)
JP (2) JP4594450B2 (ko)
KR (1) KR101236605B1 (ko)
CN (1) CN102016712B (ko)
WO (1) WO20091282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88050B2 (en) 2008-04-21 2013-07-16 Panasonic Corporation Camera body, and camera system
JP2009282510A (ja) * 2008-04-23 2009-12-03 Panasonic Corp 交換レンズ、カメラ本体、及び撮像装置
US8953090B2 (en) 2011-06-29 2015-02-10 Olympus Imaging Corp. Camera device, interchangeable lens device, camera main body, and focus control method
JP5948769B2 (ja) * 2011-06-30 2016-07-06 株式会社ニコン 交換レンズ
JP6012973B2 (ja) 2012-02-06 2016-10-2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焦点調節装置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ならびに焦点調節方法
JP5967991B2 (ja) * 2012-03-16 2016-08-1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963526B2 (ja) * 2012-04-27 2016-08-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JP5559242B2 (ja) * 2012-05-15 2014-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交換レンズ、カメラ及びカメラシステム
JP6045205B2 (ja) * 2012-06-07 2016-12-1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レン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095298B2 (ja) * 2012-08-27 2017-03-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装置、及びレンズ装置を着脱可能な撮像装置
KR20140124287A (ko) * 2013-04-16 2014-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379307B2 (ja) 2015-12-22 2018-08-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合焦制御方法、及び合焦制御プログラム
JP6700853B2 (ja) * 2016-02-26 2020-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撮像装置、レンズ装置
JP2017169021A (ja) * 2016-03-16 2017-09-21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撮像プログラム
JP6866078B2 (ja) * 2016-07-25 2021-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クセサリ装置、撮像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JPWO2019221220A1 (ja) * 2018-05-16 2021-06-17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レンズ装置、駆動方法、撮影装置、及び、撮影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0541B1 (ko) 1996-10-25 2003-04-21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노출모드선택장치
JP2007060010A (ja) 2005-08-22 2007-03-08 Nikon Corp カメラシステム
JP2007334143A (ja) 2006-06-16 2007-12-27 Olympus Imaging Corp レンズ交換式デジタルカメラ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7812A (en) * 1985-08-05 1988-04-12 Nippon Kogaku K.K. Automatic focusing camera
JP2839245B2 (ja) 1986-09-12 1998-12-16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レンズ交換式カメラのパワーフオーカス装置
JP2791044B2 (ja) * 1988-08-31 1998-08-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交換可能なカメラ及び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システム
JP2714039B2 (ja) * 1988-09-26 1998-02-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装置
DE69029280T2 (de) * 1989-02-09 1997-06-26 Canon Kk Kameragerät
EP0818922B1 (en) * 1991-02-01 2004-03-31 Canon Kabushiki Kaisha Interchangeable lens type camera apparatus
JPH04273230A (ja) 1991-02-28 1992-09-29 Canon Inc 交換レンズ式カメラシステム
JPH04273226A (ja) 1991-02-28 1992-09-29 Canon Inc 交換レンズシステムにおける変換アダプター装置
JPH04273209A (ja) 1991-02-28 1992-09-29 Canon Inc 制御システム
JPH04280239A (ja) 1991-03-08 1992-10-06 Canon Inc 交換レンズ式カメラ装置
JPH0980296A (ja) * 1995-09-12 1997-03-28 Nikon Corp 自動合焦装置
JPH1164720A (ja) 1997-08-15 1999-03-05 Canon Inc 信号変換装置
JP4072226B2 (ja) 1997-12-22 2008-04-0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US6989865B1 (en) * 1997-12-19 2006-01-24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equipment and it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4468396B2 (ja) 2001-04-24 2010-05-26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及びこれを有する光学機器
JP3962616B2 (ja) * 2001-04-24 2007-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機器
JP2003029135A (ja) * 2001-07-17 2003-01-29 Canon Inc カメラ、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撮影レンズ装置
JP4630649B2 (ja) * 2004-11-24 2011-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
JP4933049B2 (ja) * 2005-01-31 2012-05-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システム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2007074402A (ja) 2005-09-07 2007-03-22 Fujifilm Corp 表示装置、表示操作装置、処理装置、撮影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4963569B2 (ja) 2006-06-02 2012-06-27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像システム及びレンズユニット
JP2008015274A (ja) * 2006-07-06 2008-01-24 Olympus Imaging Corp デジタルカメラ
JP2008040389A (ja) * 2006-08-10 2008-02-21 Olympus Imaging Corp 一眼レフレツクスカメラ
US8095000B2 (en) * 2007-02-15 2012-01-10 Panasonic Corporation Camera system
JP2008276131A (ja) * 2007-05-07 2008-11-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システム
US8228389B2 (en) * 2007-12-20 2012-07-24 Panasonic Corporation Image pickup apparatus, interchangeable lens unit, camera body, and ultrasonic motor driving apparatus
US8717451B2 (en) * 2008-05-16 2014-05-06 Panasonic Corporation Camera system, camera body and interchangeable le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0541B1 (ko) 1996-10-25 2003-04-21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노출모드선택장치
JP2007060010A (ja) 2005-08-22 2007-03-08 Nikon Corp カメラシステム
JP2007334143A (ja) 2006-06-16 2007-12-27 Olympus Imaging Corp レンズ交換式デジタル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70586B1 (en) 2020-08-19
CN102016712A (zh) 2011-04-13
JP4594450B2 (ja) 2010-12-08
US8275251B2 (en) 2012-09-25
JP2011024248A (ja) 2011-02-03
EP2270586A4 (en) 2011-11-09
CN102016712B (zh) 2013-05-22
US20120307131A1 (en) 2012-12-06
US20110091194A1 (en) 2011-04-21
WO2009128263A1 (ja) 2009-10-22
US8422876B2 (en) 2013-04-16
KR20100123891A (ko) 2010-11-25
JPWO2009128263A1 (ja) 2011-08-04
EP2270586A1 (en) 201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6605B1 (ko) 교환 렌즈, 카메라 보디, 카메라 시스템
US8724012B2 (en) Camera body and camera system using driving method information indicating capability of controlling focus lens
JP5903608B2 (ja) カメラシステム
JP5568341B2 (ja) 交換レンズ、カメラボディ、及びカメラシステム
JP5535080B2 (ja) カメラシステム
JP5406830B2 (ja) カメラシステム
JP5853197B2 (ja) 交換レンズ、カメラボディ及びカメラシステム
JP5914886B2 (ja) 撮像装置
JP5495617B2 (ja) 交換レンズ、カメラボディ、及びカメラシステム
JP2009258714A (ja) カメラシステム
JP2006246224A (ja) 撮像装置
JP2011175128A (ja) 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カメラボディ
JP2010107714A (ja) カメラシステム
JP2010107712A (ja) 焦点制御装置、及び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