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928B1 -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성형하여이루어지는 시트, 필름 또는 성형품 - Google Patents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성형하여이루어지는 시트, 필름 또는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928B1
KR101233928B1 KR1020077013900A KR20077013900A KR101233928B1 KR 101233928 B1 KR101233928 B1 KR 101233928B1 KR 1020077013900 A KR1020077013900 A KR 1020077013900A KR 20077013900 A KR20077013900 A KR 20077013900A KR 101233928 B1 KR101233928 B1 KR 101233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iphatic polyester
resin composition
plasticizer
polyester resin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3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20087A (ko
Inventor
카즈유키 사시다
소이치로 카미야
Original Assignee
리켄 비타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켄 비타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리켄 비타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20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0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9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3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oly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6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being biodegrada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Abstract

유연하여 투명성이 높으며 블리드 아웃이 적고, 파라핀계 용제에 대한 내추출성이 높은 가소제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특히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시트, 필름 또는 성형품을 제공한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로서, 3가의 다가 알코올과 탄소수 2~18의 카본산 유래의 아실기와의 에스테르이며 평균 아실화율이 50~90%인 특정 에스테르 화합물을 1.0중량부~100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이다.

Description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시트, 필름 또는 성형품{ALIPHATIC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SHEET, FILM AND MOLDED ARTICLE FORMED FROM THE SAME}
본 발명은 가소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시트, 필름 또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체나 자연 환경에 대한 문제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환경에 대한 부하를 경감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주목을 모으고 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서 주목을 모으고 있는 것으로서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인 폴리젖산은 그 자체로는 단단한 수지이지만, 가소제를 첨가하는 것에 의해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최근, 폴리젖산의 응용 개발이 열심히 행해지고 있고, 폴리젖산에 사용할 수 있는 환경 저부하인 신규 가소제도 여러가지가 제안되어 있다.
폴리젖산의 투명성을 유지한 채 유연성을 부여하는 가소제로서,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세테이트, 글리세린트리아세테이트, 글리세린트리프로피오네이트, 아세틸시트르산트리부틸 등이 공지되어 있지만(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어느 쪽도, 폴리젖산과의 상용성이 충분하지는 않고, 실제로 여러가지 용도로의 응용을 시도했 을 경우, 가소제의 첨가량을 늘리면 만족한 유연성을 얻기 전에, 가소제의 수지로부터의 심한 블리드 아웃이 발견되어, 실용에는 적합하지 않다.
블리드 하지 않는 가소제로서, 글리세린디아세토 모노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글리세린 모노 지방산 에스테르를 첨가하는 것에 의해 유연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연신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지만(예컨대, 특허문헌 2 참조), 이 기술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포장재료로의 응용을 시도한 경우, 충분한 유연성, 투명성은 얻어지지만, 파라핀계 용제에 의한 용출성 테스트에 있어서 가소제의 용출량이 많다고 하는 문제가 있고, 유성(油性)식품과 접하는 것과 같은 사용 조건에 있어서는, 더 나아간 대응이 요망된다.
본 발명자들은 먼저 글리세린디아세토 모노 지방산 에스테르와 폴리글리세린 아세트산 에스테르를 가소제로서 이용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지만(예컨대, 특허문헌 3 참조), 이러한 조성물에 있어서도 가소제의 식품으로의 이행의 문제는 완전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특허문헌 1 : 일본국특개평 11-323113
특허문헌 2 : 일본국특개 2000-302956
특허문헌 3 : 일본국특개 2003-73532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에 비추어 보아, 유연하고 투명성이 높으며 블리드 아웃이 적고, 파라핀계 용제에 대한 내추출성이 높은 가소제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특히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시트, 필름 또는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취한다.
1.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로서 하기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A)를 1.0중량부-100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화2]
Figure 112007044451492-pct00001
식중, X는 3가의 다가 알코올 골격이며, R1, R2, R3은 탄소수 2~18의 아실기 또는 수소원자로부터 선택되고, R1, R2, R3의 탄소수의 합계가 10 이상 22 이하이며, 평균 아실화율이 50~90%인 에스테르.
2. 식(1)의 R1, R2, R3이 탄소수 8~18의 아실기를 1개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3.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젖산계 폴리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4.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시트, 필름 또는 성형품.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하에 열거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1) 가소제가 가식성이며, 식품 포장재료로서 이용한 경우에도, 안전성이 상당히 높다.
(2) 가소제의 가소화 성능이 우수하고, 유연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3) 투명성의 저해나 블리드가 적은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4) 본 발명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의한 시트, 필름 또는 성형품은 파라핀계의 용제에 대한 내용제성이 높고, 유성식품에 대하여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식품으로의 가소제의 이행이 적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에 대하여 가소제로서 상기 화합물(A)을 첨가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공지의 지방족 히드록시카본산 또는 지방족 디올과 지방족 디카본산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되는 지방족 히드록시카본산, 지방족 디올, 지방족 디카본산은 어느것이나 복수의 종류를 이용한 공중합체이어도 상관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지방족 히드록시카본산으로서는 젖산, 글리콜산, ε-카프로락톤, 3-히드록시부탄산 등 을 들 수 있다. 지방족 디올로서는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디카본산으로서는 숙신산, 아디핀산, 아젤라인산, 세바신산, 도데칸이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분자중에 젖산단위를 포함하는 것이, 수지의 물성이나 생분해성을 고려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중에는 30몰% 이상의 젖산단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0몰% 이상의 젖산단위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에 이용되는 젖산은 D체에서도 L체에서도 상관 없다.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젖산계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과 동등한 인장강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동등한 투명성을 갖는 결정성 열가소성고분자이며, 의약용 봉합사 등에 이용할 수 있어, 안전성은 높고, 또한, 연소했을 경우도 연소 칼로리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약 1/3으로 작고, 소각로를 상하게 하는 경우가 적고, 유해한 가스의 발생도 없다.
사용되는 폴리젖산 수지는 그 중합도 혹은 품질을 상관하지 않는다. 또는, 폴리젖산의 호모 폴리머 뿐만 아니라, 글리콜산, ε-카프로락톤,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혹은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공중합체를 병용해도 좋다. 또는, 폴리젖산 수지의 물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아세트산셀룰로오스,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폴리히드록시부틸레이트와 발리레이트와의 공중합체, 키틴, 키토산 혹은 전분 등, 다른 생분해성 고분자를 배합해도 상관 없다.
본 발명품의 성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말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등의 다가 카본산 및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트리메티롤프로판, 펜타에리스리톨, 디펜타에리스리톨 등의 다가 알코올을 중합시켜도 좋다. 또한, 사슬길이 연장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아질리딘 화합물, 옥사졸린 화합물, 아조 화합물, 다가 금속화합물, 다관능 인산 에스테르, 아인산 에스테르 등을 이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가소제는 상기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A)이다. 상기 화합물은 3가의 다가 알코올과 탄소수 2~18의 카본산 유래의 아실기와의 에스테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3가의 다가 알코올로서는 글리세린, 트리메티롤프로판, 헥산트리올 등을 들 수 있지만, 원료의 입수의 용이함으로부터 글리세린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탄소수 2~18의 아실기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예컨대, 아세틸기, 프로피오닐기, 부티릴기, 카프로일기, 카프릴로일기, 라우릴기, 밀리스틸기, 팔미틸기, 스테아릴기, 올레일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합물에 포함되는 아실기의 탄소수의 합계는 10 이상 22 이하의 범위이다. 탄소수가 10보다 적을 경우는, 상기 화합물의 비점이 낮아지게 되어, 가소제로서의 사용이 곤란하다. 또한, 탄소수가 22보다 많을 경우, 유연성이 나쁘거나, 수지로부터의 블리드 아웃이 심하게 되거나 한다. 더욱이, 상기 화합물은 식(1)의 R1, R2, R3 중에 포함되는 아실기의 비율(몰비)을 평균 아실화율로 했을 때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평균 아실화율이 50~90%의 범위에 있는 것이 필요하여, 55~90%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아실화율이 90%보다 높을 경우는, 파라핀계 용제에 대한 내용제성이 저하하고, 50%보다 낮을 경우는, 수지와의 상용성이 저하하여, 투명성이나 유연성이 저하한다. 더욱이, 평균 아실화율의 구하는 방법은 실시예 중에 나타낸다.
식(1)에 있어서, 바람직한 R1, R2, R3의 탄소수의 조합으로서는, (R1의 탄소수, R2의 탄소수, R3의 탄소수)가 (18, 2, 0), (12, 2, 0), (10, 10, 0), (10, 8, 0), (12, 8, 0), (8, 8, 0), (10, 2, 0), (8, 2, 0), (18, 2, 2), (12, 2, 2), (10, 6, 2) 등의 경우를 들 수 있다. R1, R2, R3의 조합의 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어느 위치에 R1, R2, R3이 있어도 상관 없다. 상기 화합물은 통상, 이들의 혼합물이며, 아실기의 탄소수의 합계나 아실화율은 혼합물의 평균치로 한다.
상기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은 없고, 공지의 통상의 에스테르의 제조방법에서, 3가의 다가 알코올 1몰에 대하여 아실기가 3몰 미만으로 되도록 조정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다가 알코올과 다가 알코올트리아실에스테르와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다가 알코올이나 다가알코올모노아실에스테르에 대하여, 아실산이나 무수아실산에서 에스테르화 반응을 행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도 있다. 이들 반응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대하여, 증류나 재결정을 행하고, 아실기의 탄소수의 합계를 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소제의 수지에 대한 배합량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0~100중량부의 범위내이며, 바람직하게는 1.0~60중량부의 범위이다. 이러한 범위를 하회할 때는 그 성능이 불충분하고, 상회할 때는 가소제의 블리드가 발견되어, 그 성능이 저하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가소제의 1 또는 2 이상을 병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안정제, 윤활제, 산화 방지제, 슬립제, 핵제, 안티블록킹제, 안개방지제, 대전방지제, 충전제 등이 병용되는 경우가 있지만, 이들의 첨가제는 본 발명의 가소제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종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시트, 필름, 성형품에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스트랜드 다이, 액첨가 설비를 구비한 2축 압출기에 의해 지방산 폴리에스테르와 가소제, 그 밖의 첨가제를 용융혼련하고, 스트 랜드를 잘라서 펠렛을 성형한다. 얻어진 펠렛을 이용하여, T다이나 인플레이션 다이를 구비한 압출기나 사출성형기 등에 의해 시트, 필름, 성형품을 각각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성형한 필름이나 성형품은 열처리에 의해 제품의 기계물성, 내열성, 치수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경우, 연신처리를 하는 것에 의해, 투명성이나 광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태양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1]
수은온도계, 질소도입관, 교반막대를 구비한 3000ml 4구 플라스크 중에 글리세린 920g(10몰), 카프린산 1584g(11몰), 수산화나트륨 2.36g(0.06몰)을 가하고, 질소를 2.0ml/min으로 흘리고, 교반하면서, 230℃에서 6시간 반응했다. 반응 종료후, 반응액을 80℃까지 냉각한 후, 85% 인산수용액 2.36g(0.02몰)을 가하고, 침전물을 감압 여과에 의해 제거했다. 얻어진 반응액 2400g을 증류장치에 넣고, 감압도 1Pa에서 감압 증류를 행하였다. 증류 온도가 130℃로부터 150℃까지인 증류분의 글리세린모노카프릴레이트 620g을 얻었다. 얻어진 글리세린모노카프릴레이트를 후술 의 방법으로 분석한 바, 평균 아실화율은 33%, 아실기의 탄소수의 합계는 10.0이었다.
다음에, 수은온도계, 질소도입관, 환류관, 교반막대를 구비한 500ml 4구 플라스크 중에, 상기에서 얻어진 평균 아실화율 33%의 글리세린모노카프릴레이트 218g(1.0몰)을 투입하고, 질소를 0.5mL/min로 흘리고, 교반하면서 120℃까지 승온 했다. 여기에, 무수아세트산 66g(0.65몰)을 적하하여 가하여, 120℃에서 1시간 반응하고, 반응 종료후, 감압하에서 수증기 증류를 하여 저비점물을 제거하고, 글리세린모노카프릴레이트아세트산에스테르(가소제 1)를 얻었다. 이 가소제 1의 평균 아실화율 및 아실기의 탄소수의 합계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제조예 2]
수은온도계, 질소도입관, 교반막대를 구비한 1000ml 4구 플라스크 중에 글리세린 276g(3.0몰), 카프린산 713g(4.1몰), 수산화나트륨 1.0g(0.025몰)을 가하고, 질소를 2.0ml/min에서 흘리고, 교반하면서, 230℃에서 6시간 반응했다. 반응 종료후, 반응액을 80℃까지 냉각한 후, 85% 인산수용액 1.0g(0.0083몰)을 가하고, 침전물을 감압 여과에 의해 제거했다. 얻어진 반응액 900g을 증류장치에 넣고, 감압도 1Pa에서 감압 증류를 행하였다. 증류 온도가 140℃로부터 230℃까지인 증류분의 글리세린 모노ㆍ디카플레이트 650g을 얻었다. 얻어진 글리세린 모노ㆍ디카플레이트를 후술의 방법으로 분석한 바, 평균 아실화율은 62%, 아실기의 탄소수의 합계는 18.6이었다.
다음에, 상기에서 얻어진 평균 아실화율 62%의 글리세린 모노ㆍ디카플레이트 382g(10몰)과 무수아세트산 65g(0.64몰)을 이용하여 제조예 1과 동일하게 반응시켜 글리세린 모노ㆍ디카플레이트아세트산에스테르(가소제 2)를 얻었다. 이 가소제 2의 평균 아실화율 및 아실기의 탄소수의 합계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제조예 3]
수은온도계, 질소도입관, 환류관, 교반막대를 구비한 1000ml 4구 플라스크 중에 정제 야자유 638g(1.0몰), 글리세린 92g(1.0몰), 트리아세틴 218g(1.0몰)을 투입하고, 촉매로서 수산화나트륨 1.0g을 가했다. 질소를 0.5ml/min로 흘리고, 교반하면서 250℃까지 승온했다. 250℃에서 2시간 반응하고, 반응 종료후, 85% 인산수용액 1.0g에서 중화하여 침전물을 감압 여과에 의해 제거했다. 얻어진 반응액을 증류장치에 넣고, 감압도 1Pa에서 감압 증류를 행하였다. 증류 온도가 180℃로부터 220℃까지의 증류분의 야자유 글리세린아세트산에스테르(가소제 3)를 얻었다. 이 가소제 3의 평균 아실화율 및 아실기의 탄소수의 합계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비교시료 1]
수은온도계, 질소도입관, 교반막대를 구비한 3000ml 4구 플라스크 중에 글리세린 920g(10몰), 라우린산 2121g(10.5몰), 수산화나트륨 3.0g(0.075몰)을 가하고, 질소를 2.0ml/min에서 흘리고, 교반하면서, 230℃에서 6시간 반응했다. 반응 종료후, 반응액을 80℃까지 냉각한 후, 85% 인산수용액 3.0g(0.025몰)을 가하고, 침전물을 감압 여과에 의해 제거했다. 얻어진 반응액 2500g을 증류장치에 넣고, 감압도1Pa에서 감압 증류를 행하였다. 증류 온도가 150℃로부터 180℃까지인 증류분의 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830g을 얻었다. 얻어진 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를 후술의 방법으로 분석한 바, 평균 아실화율은 33%, 아실기의 탄소수의 합계는 12.0이었다.
다음에, 상기에서 얻어진 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274g(1.0몰)과 무수아세트산 37g(0.36몰)을 이용하여 제조예 1과 동일하게 반응하여 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아세트산 에스테르(비교시료 1)를 얻었다. 이 비교시료 1의 평균 아실화율 및 아실기의 탄소수의 합계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비교시료 2]
정제 야자유 638g(1.0몰)과 글리세린 46g(0.5몰)을 이용하여 제조예 3과 동일하게 반응했다. 반응물의 촉매를 동일하게 중화 여과하여 제거하고,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린 에스테르(비교시료 2)를 얻었다. 이 비교시료 2의 평균 아실화율 및 아실기의 탄소수의 합계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비교시료 3]
상기 비교시료 1에 기재된 방법으로 얻어진 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274g(1.0몰)과 무수아세트산 180g(1.76몰)을 이용하여 제조예 1과 동일하게 반응하여 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아세트산 에스테르(비교시료 3)를 얻었다. 이 비교시료 3의 평균 아실화율 및 아실기의 탄소수의 합계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비교시료 4]
디아세틴[시판품(글리세린디아세테이트)]. 이 비교시료 4의 평균 아실화율 및 아실기의 탄소수의 합계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비교시료 5]
트리부티린[시판품(글리세린트리부틸레이트)]. 이 비교시료 5의 평균 아실화율 및 아실기의 탄소수의 합계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분석 방법]
평균 아실화율 및 아실기의 탄소수의 합계
시료를 메탄올-염산에 의해 메틸에스테르화하고, 헥산으로 메틸아실레이트를 추출하여 GLC(시마즈 제작소사제 GC-14A, 검출기:FID, 팩드 컬럼:내경 3mm×1m 충전제:Silicone OV-1)에 의해 탄소수 마다의 아실기의 중량비를 구한다. 아실기의 중량비로부터 아실기의 몰평균 분자량:MW1을 계산한다. 다음에 메탄올층에 포함되는 다가 알코올을 TMS화한 후, GLC(시마즈 제작소사제 GC-14A, 검출기:FID, 팩드 컬럼:내경 3mm×1m 충전제:Silicone OV-17)에 의해 분석하여 동일하게 다가 알코올의 몰평균 분자량:MW2를 계산한다. 이어서, 기준유지 분석법에 근거하여 시료의 수산기가:OHV를 측정한다. 이하의 식에 의해 평균 아실화율, 아실기의 탄소수의 합계를 계산한다.
평균 아실화율 = (168300-OHV×MW2)/ {3×OHV(MW1-1)+168300}×100
아실기의 탄소수의 합계=3×평균 아실화율×(MW1-15)/1400
가소제 1-3 및 비교시료 1-5의 분석 결과를 이하의 표에 정리했다.
가소제의 종류 평균 아실화율 아실기의 탄소수의 합계
가소제 1 55% 10.8
가소제 2 84% 20.1
가소제 3 70% 15.0
비교시료 1 45% 12.7
비교시료 2 70% 24.0
비교시료 3 92% 15.5
비교시료 4 67% 4.0
비교시료 5 99% 11.9
[시험-1] 인장시험
시험은 JSK-7113에 근거하여 행하였다. 시험편은 시트를 뚫어서 1호 시험편을 작성하여 이용했다. 작성한 시험편은 23℃, 습도 50%RH의 조건하에 1일 보존한 것을 시험에 제공했다. 시험기기로서는 오리엔테크사제 텐실론 만능시험기 RTC-1310을 이용했다. 잡기 구간 거리는 120mm, 시험 속도는 200mm/분의 조건으로 했다.
[시험-2] 투명성
성형한 시트를 넓히고, 광원으로 가려서 관찰하고, 투명성을 평가했다. 표 중, ○은 투명, △는 약간 백탁, ×는 백탁이다.
[시험-3] 블리드성
성형한 시트를 10cm×10cm로 베어내고, 온도 50℃, 습도 50%의 조건하에 1주간 보존하고, 블리드의 양을 관찰했다. 표 중, ○는 블리드 없음, △은 약간 블리드가 보임, ×는 블리드가 많음이다.
[시험-4] 용제 추출성
성형한 시트를 프레스하여 10cm×10cm×0.1mm로 성형하고, 400ml의 n-헵탄에 침지하고, 25℃에서 1시간 추출했다. 추출후, n-헵탄을 300ml 측정하여 취하고, 로타리 에바포레이터에서 농축하고, 증발 접시에 옮기고, 105℃에서 2시간 증발 건조시켰다. 그때의 증발 잔류물의 무게를 측정하여, n-헵탄 300ml에 대한 증발 잔류물의 함유량을 구했다. 이때의 증발 잔류물의 함유량이 30ppm을 넘는 것을 ×, 30ppm이하의 것을 ○으로 했다.
[실시예 1-5]
110℃, 5시간의 가열 건조 처리를 실시한 폴리젖산 수지(미쓰이화학사제 「레이시아H-440」)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 1-3을 하기의 표에 나타낸 중량부와, 스테아린산 아미드 1.0중량부를 첨가하고, 스트랜드 다이를 구비한 2축 압출기에서 190℃에서 압출하여 스트랜드를 절단하여 펠렛을 작성했다. 작성한 펠렛을 T다이를 구비한 단축 압출기에서 200℃에서 압출 두께 1mm의 시트를 성형했다. 성형한 시트를 이용하여 시험 1-4를 행하여 평가했다. 결과를 표 2에 정리했다.
[비교예 1-7]
상기 폴리젖산 수지에 대하여, 가소제를 이용하지 않은 것과 비교시료 1-5를 이용한 것을 실시예 1-5와 동일하게 평가했다. 결과를 표 2에 정리했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07044451492-pct00002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가공한, 시트, 필름, 성형품은, 식품, 의약품, 화장품, 비료, 전화제품, 종이제품 및 그들의 폐기물 등의 각종 용도로의 사용이 가능하지만, 헥산, 헵탄, 유동 파라핀 등 파라핀계 용제에 대한 내용제성이 양호한 것으로부터, 유성식품에 접하는 포장재료에 이용한 경우, 식품에 대한 가소제의 이행이 적어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야채류, 과실류, 어패류, 육류, 곡식류, 건물류(乾物類), 빵류, 유제품류, 국수류, 과자류, 산채류, 조미료류 등의 식품류, 및 그들의 폐기물 등의 포장재 등으로서 이용하기 적절하다.

Claims (4)

  1.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로서 하기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A)를 1.0중량부~100중량부 포함하고, 상기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젖산계 폴리에스테르이고, 또한, 파라핀계 용제에 대한 내추출성을 높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화1]
    Figure 112012077262236-pct00003
    식중, X는 3가의 다가 알코올 골격이며, R1, R2, R3은 탄소수 2~18의 아실기 또는 수소원자로부터 선택되고, R1, R2, R3이 탄소수 8~18의 아실기를 1개 이상 포함하고, R1, R2, R3의 탄소수의 합계가 10 이상 22 이하이며, 평균 아실화율이 55~90%인 에스테르.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기재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시트, 필름 또는 성형품.
KR1020077013900A 2005-03-16 2006-03-02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성형하여이루어지는 시트, 필름 또는 성형품 KR1012339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74411 2005-03-16
JPJP-P-2005-00074411 2005-03-16
PCT/JP2006/303973 WO2006098161A1 (ja) 2005-03-16 2006-03-02 脂肪族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成形してなるシート、フィルム又は成型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0087A KR20070120087A (ko) 2007-12-21
KR101233928B1 true KR101233928B1 (ko) 2013-02-22

Family

ID=36991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3900A KR101233928B1 (ko) 2005-03-16 2006-03-02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성형하여이루어지는 시트, 필름 또는 성형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666934B2 (ko)
EP (1) EP1860154B1 (ko)
JP (1) JP5005529B2 (ko)
KR (1) KR101233928B1 (ko)
CN (1) CN101098933B (ko)
DE (1) DE602006017662D1 (ko)
TW (1) TWI389973B (ko)
WO (1) WO20060981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708B1 (ko) * 2000-12-07 2007-06-15 한라공조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DE102004001324A1 (de) * 2003-07-25 2005-02-10 Degussa Ag Pulverförmige Komposition von Polymer und ammoniumpolyphosphathaltigem Flammschutzmittel,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Formkörper, hergestellt aus diesem Pulv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0606A (ja) 2000-08-18 2002-02-26 Mitsui Chemicals Inc 乳酸系樹脂からなる成形物
KR20020096888A (ko) * 2001-06-19 2002-12-31 리켄 비타민 가부시키가이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및 가소성 성형물
JP2004238579A (ja) 2003-02-10 2004-08-26 Riken Vitamin Co Ltd 生分解性エマルジョン組成物及びその塗工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7240B2 (ja) 1998-05-08 2005-10-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ポリ乳酸系組成物、それを用いた成形物、フィルム、繊維及び成型品
JP3383256B2 (ja) 1999-02-18 2003-03-04 三井化学株式会社 脂肪族ポリエステル組成物及び該組成物から得られる延伸フィルム
DE60012381T2 (de) * 1999-02-18 2005-05-04 Mitsui Chemicals, Inc. Aliphatische Polyesterabmischung und daraus erhaltener verstreckter Film
JP2002080703A (ja) * 2000-06-20 2002-03-19 Riken Vitamin Co Ltd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農業用資材又は包装用資材
WO2004011533A1 (ja) * 2002-07-26 2004-02-05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ラップフィルム
JP2004149636A (ja) * 2002-10-29 2004-05-27 Asahi Kasei Life & Living Corp ポリ乳酸系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0606A (ja) 2000-08-18 2002-02-26 Mitsui Chemicals Inc 乳酸系樹脂からなる成形物
KR20020096888A (ko) * 2001-06-19 2002-12-31 리켄 비타민 가부시키가이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및 가소성 성형물
JP2004238579A (ja) 2003-02-10 2004-08-26 Riken Vitamin Co Ltd 生分解性エマルジョン組成物及びその塗工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6017662D1 (de) 2010-12-02
KR20070120087A (ko) 2007-12-21
CN101098933B (zh) 2010-08-04
TW200641040A (en) 2006-12-01
TWI389973B (zh) 2013-03-21
EP1860154A4 (en) 2009-04-15
WO2006098161A1 (ja) 2006-09-21
JP5005529B2 (ja) 2012-08-22
US20080242781A1 (en) 2008-10-02
JPWO2006098161A1 (ja) 2008-08-21
US7666934B2 (en) 2010-02-23
CN101098933A (zh) 2008-01-02
EP1860154A1 (en) 2007-11-28
EP1860154B1 (en) 201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4607B1 (en) Plasticized polyester compositions and films therefrom
JP3753254B2 (ja) ポリ乳酸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フィルム
KR100806985B1 (ko)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및 가소성 성형물
US20060276575A1 (en) Plasticizer for biodegradable resin
EP2818518B1 (en) Molded product composed of polyester resin composition
JP5687492B2 (ja) 硬化された植物性エステルに基づく離型剤を含む熱可塑性組成物
WO2006077623A1 (ja) 生分解性ポリエステル系樹脂組成物
JP4634235B2 (ja) 生分解性樹脂組成物及びフィルム
JPH11116788A (ja) ポリ乳酸系樹脂組成物
JPH11241008A (ja) ポリ乳酸系樹脂組成物
KR101233928B1 (ko)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성형하여이루어지는 시트, 필름 또는 성형품
JPH11241009A (ja) ポリ乳酸系樹脂組成物
JP2008174619A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並びに可塑剤及び成形体
JP4098284B2 (ja) 生分解性樹脂用可塑剤
JP2004143268A (ja) ポリ乳酸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JP2005119061A (ja) ポリ乳酸系多層シート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JP2005232403A (ja) 樹脂用可塑剤及び柔軟な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5230078B2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フィルム
JP3748829B2 (ja) 芳香族/脂肪族ポリエステル共重合体組成物及び可撓性成形物
JP2005034029A (ja) 農業用樹脂組成物及び農業用資材
JP6845659B2 (ja) ポリ乳酸樹脂組成物
JP2003268214A (ja) 芳香族/脂肪族ポリエステル共重合体組成物及び可撓性成形物
JP4316369B2 (ja) ポリエステル系樹脂用可塑剤
JP2007138187A (ja) ポリ乳酸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JP2003020390A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農業用資材又は包装用資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