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1872B1 - 촬상장치 및 그 기동방법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및 그 기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1872B1
KR101231872B1 KR1020060042777A KR20060042777A KR101231872B1 KR 101231872 B1 KR101231872 B1 KR 101231872B1 KR 1020060042777 A KR1020060042777 A KR 1020060042777A KR 20060042777 A KR20060042777 A KR 20060042777A KR 101231872 B1 KR101231872 B1 KR 101231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trol means
detection
stat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2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8336A (ko
Inventor
마사키 사쿠라이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118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04N23/651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ffecting camera operations, e.g. sleep mode, hibernation mode or power off of selective parts of the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촬상장치에 있어서, 기동성의 향상과 전력 절약화를 양립시킨다. 촬상처리와 관련되는 제어를 행하는 제 1의 제어수단(4a)과, 스위치를 포함한 조작수단(2) 및 촬영 태세로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3)으로부터의 신호를 감시하여 처리함과 동시에 제 1의 제어수단(4a) 보다 소비 전력이 작은 제 2의 제어수단(4b)과, 제 1의 제어수단 및 제 2의 제어수단, 그 외 구성부에 전원 공급을 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6)를 설치한다. 전원 공급부(6)로부터 제 2의 제어수단(4b)으로의 전원 공급이 행해지는 전력 절약 상태에 있어서, 검출수단(3)으로부터, 촬영 태세로의 변화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 2의 제어수단(4b)이 받았을 경우에, 제 1의 제어수단(4a)을 포함한 각부에 전원 공급을 행하여 촬영 동작 가능한 급전상태로 이행 시킨다.

Description

촬상장치 및 그 기동방법{Image capturing device and activation method therefor}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촬상장치의 기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접촉 검출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접촉 검출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자세 검출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기동설정 예의 설명도이다.
도 6은 기동처리를 예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7은 구성 예의 주요부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8은 도 9와 함께, 기동처리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며, 본 도면은 처리의 처음 부분을 나타낸다.
도 9는 도 8에 계속 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다른 구성 예에 있어서 주요부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구성에 관해서 기동처리 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또 다른 구성 예의 주요부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구성에 관해서 기동처리 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이다.
도 14는 기동설정 예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고속 모드의 설정시에 있어서의 기동처리 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6은 최고속 모드의 설정시에 있어서의 기동처리 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부호의 설명
1. 촬상장치, 2. 조작수단,
3. 검출수단, 3a, 3b. 센서,
4a. 제 1의 제어수단, 4b. 제 2의 제어수단,
6. 전원 공급부
본 발명은, 촬상장치에 있어서, 의도하는 피사체 등을 잘못 찍지 않도록 그 기동성을 높임과 동시에, 촬영 태세에 들어가기 전의 대기상태에서 쓸데없는 전력이 소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장치 등에 있어서, 전원 투입의 조작시점으로부터 실제로 장치가 전원 온 상태가 되고 이 장치로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기까지 필요로 하는 기동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구성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전원 스위치의 조작시에는, 접점의 단속적인 개폐가 반복 되어지는 체터링(chattering) 현상이 생겨, 이것이 오동작 등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의 영향이 없어질 때까지의 시간 경과를 두어 스위치의 개폐상태를 판정하는 처리(소위 체터링 방지처리)를 한다. 그리고, 전원 투입이 지시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시스템의 전원 공급부에 의한 전원이 안정될 때까지의 시간을 기다려 시스템의 초기화 처리를 한 후, 촬상처리 등의 동작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체터링 방지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T1」, 전원 공급부에 의한 전원이 안정되기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을 「T2」, 시스템의 초기화 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T3」라고 적을 때, 전원 투입 조작의 시점으로부터 「T1+T2+T3」의 시간이 경과하지 않으면 유저가 의도하는 조작이나 동작을 행할 수 없다.
그래서, 전원 스위치의 투입 후의 체터링 방지처리와, 시스템의 초기화 처리를 병행처리 하는 것에 의해서, 전원 투입시점으로부터 유저가 의도하는 조작이나 동작의 개시까지의 기동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즉, 체터링 방지처리에 대한 백그라운드처리로서 시스템의 초기화를 행하는 시퀀스를 채용함으로써, 체터링 방지처리의 종료를 기다리지 않고, 시스템으로의 전원공급 후에 그 초기화를 행할 수 있고, 예를 들면, 「T1<T3」라고 했을 경우에, 기동 시간을 「T2+T3」의 시간 또는 이것에 다소의 시간을 가산한 정도로까지 단축 가능하다.
[특허문헌 1]특개2003-274640호 공보
그런데, 종래의 촬상장치에 있어서는, 그 기동성과 전력 절약화에 관해서 아 래와 같은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유저가 셔터 찬스를 놓쳐 버리는 사례로서, 찍고 싶은 피사체를 발견한 시점에서 카메라의 전원이 오프 상태가 되어 있는 경우에, 카메라를 갖추고 전원 스위치를 조작하고, 그 후에 촬영 가능한 상태가 될 때까지의 시간이 걸려, 피사체를 잘못 찍어 버린다고 하는 상황을 들 수 있다. 즉, 전원 스위치를 누르고 나서 기동에 필요로 하는 시간은, 빨라도 겨우 1초 정도로 되고, 따라서, 일순간에 통과하는 피사체 등을 찍을 수 없다. 이것은, 현상의 장치에서는 기동시간을 제로로 하는 것이 곤란한 것에 기인하고 있고, 유저가 셔터 찬스를 놓치지 않게 하는 것에는, 항상 시스템의 전원을 온 하던지 또는 서스펜드(suspend) 상태 등으로 해 둘 필요가 있다. 또한, 이때의 서스펜드 상태란, CPU 등의 제어부의 동작이 멈추어 있지만, 시스템 각부의 전원이 온이 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기동시간을 제로에 접근하는 것에는, 그 대상으로서 전력 소비의 증가가 불가결하고, 따라서, 배터리 구동식의 휴대형 장치에서는, 유저가 많은 충전이 끝난 배터리를 가지고 다니든지, 혹은 대용량 배터리를 사용하는 필요성이 생긴다. 디지털카메라 등에서는, 보다 많은 화상을 찍는데 있어서, 장치의 전력 절약 기능이 중요하고, 따라서, 기동시간의 단축화와 전력 절약화의 요청이 상반 관계가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촬상장치에 있어서 기동성의 향상과 전력 절약화를 양립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아래에 나타내는 구 성을 구비한 것이다.
촬상처리와 관련되는 제어를 행하는 제 1의 제어수단과, 스위치를 포함한 조작수단 및 촬영 태세로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감시하여 처리함과 동시에 제 1의 제어수단보다 소비 전력이 작은 제 2의 제어수단과, 제 1의 제어수단, 제 2의 제어수단 및 그 외 구성부에 전원공급을 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를 구비하고 있다.
전원 공급부로부터 제 2의 제어수단으로의 전원공급을 하고 있는 전력 절약 상태에서, 검출수단으로부터 촬영 태세로의 변화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 2의 제어수단이 받았을 경우에, 전원 공급부로부터 제 1의 제어수단을 포함한 각부에 전원 공급을 행하여 촬영 동작 가능한 급전상태로 이행한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동방법은, 촬상동작이 가능한 제 1의 전력 제어상태와, 제 1의 전력 제어상태보다 소비 전력이 작은 제 2의 전력 제어상태를 포함한 전원상태의 제어기능을 구비한 구성 형태에 있어서, 제 2의 전력 제어상태에서는 스위치 조작 및 촬영 태세로의 변화를 감시하고 있고, 이 제 2의 전력 제어상태에서 촬영 태세로의 변화를 검출했을 경우에 제 1의 전력 제어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촬영 태세로의 변화(이행 개시)를 나타내는 검출신호를 제 2의 제어수단이 받은 시점에서, 촬영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급전제어를 하고, 제 1의 전력 제어상태로의 이행 후, 즉시 촬영을 개시할 수 있다. 또, 제 2의 전력 제어상태에서는, 제 2의 제어수단으로의 급전이 행해지는 것뿐이고, 제 1 및 제 2의 제어수단에 대해서 항상 전력 공급을 행할 필요가 없고, 촬영 전의 대기 상태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의 저감에 기여한다.
본 발명은, 정전 센서나 각속도 센서 등의 검출수단에 의해서 촬영 태세에 들어간 것을 검출했을 경우에 즉시 급전제어를 행하고, 초기화 등의 필요한 처리의 후에 촬영을 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를 들면, 유저가 카메라를 조작한 시점에서 시스템 각부로의 전원 투입이나 시스템의 초기화 처리가 개시되고, 전원 투입 스위치를 조작하고 나서 셔터 버튼을 조작할 때까지의 대기시간이 거의 걸리지 않고, 유저가 셔터 찬스를 놓쳐 버린다고 하는 사태의 발생을 미리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틸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 혹은 정지화면 및 동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각종의 촬상장치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촬상장치의 기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촬상장치(1)는, 전원 스위치나 촬영용 스위치 등을 포함한 조작수단(2)과, 정전 센서나 각속도 센서 등을 이용한 검출수단(3)을 구비하고 있고, 그들에 의한 신호는 시스템 제어부(4)에 보내져 처리된다.
조작수단(혹은 조작입력수단)(2)에는, 장치 본체에 설치된 각종의 조작 버튼이나 스위치 등이 포함되고, 도면에는, 전원 스위치(2a, 2a)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전원 스위치(혹은, 파워 스위치)의 조작신호는, 전원 투입의 트리거 신호가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으로의 적용에 있어서, 구성 형태에 따라서는, 전원 스위치의 수가 1개로 제한되지 않고, 복수개의 전원 스위치를 구비한 시스템을 들 수 있고, 본례에서는 2개의 스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검출수단(3)은, 촬영 태세로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아래에 나타내는 구성 형태를 들 수 있다.
(I) 장치로의 접촉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이용하는 형태
(II) 장치 본체의 자세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이용하는 형태
(III) 상기(I) 및 (II)를 병용하는 형태
먼저, 상기(I)에서는, 예를 들면, 정전 센서 등의 접촉 검출용 센서(3a)가 이용되고, 유저가 장치 본체에 접촉한 것을 검출하고, 그 검출신호를 시스템 제어부(4)에 대해서 송출한다. 또한, 검출 감도가 너무 예민하면, 장치 본체에 근소하게 접한 것만으로 기동을 위한 급전처리가 행해져 버려서, 오검출의 빈도가 많아지는 등의 문제가 생기므로, 검출 감도를 적당히 설정하여 확실히 접촉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II)에서는, 각속도 센서 혹은 자이로 센서(gyrosensor) 등의 자세 검출용 센서(3b)가 이용되고, 유저가 장치 본체를 파지하여 움직였을 때의 장치 자세의 변화를 검출하고, 그 검출신호를 시스템 제어부(4)에 대해서 송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적용에 있어서는, 각속도 센서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속도 변화를 계측 가능한 센서로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는 형태나, 더욱이는 진동 센서 등을 설치하여 검출 축의 수를 증가하는 것으로 검출 정밀도를 높이는 형태 등을 들 수 있다. 혹은, 손 떨림 방지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그 손 떨림 검출용에 탑재된 각속도 센서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장치 자세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서, 부품 점수나 코스트의 상승을 수반하지 않고 검출수단을 실장(實裝) 가능하다.
검출 정밀도의 향상에는, 상기(I) 또는 (II)에 있어서 동종의 센서를 복수 사용하는 방법과, 상기(III)와 같이, 이종의 센서를 조합하여 검출하는 방법을 들 수 있고, 판정 처리를 다면적으로 행하는 경우에는 후자가 유효하다.
또한, 도 1에는, 도시의 편의상, (III)의 형태를 상정하고, 검출수단(3)이 복수 종의 센서를 포함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검출수단(3)으로부터 시스템 제어부(4)로의 송신 형태에 관해서는, 아날로그 방식이나, 디지털 방식(2치화 방식이나 시리얼 통신 방식을 포함한다.)을 들 수 있다(그 상세한 것에 대하여는 후술 한다.).
시스템 제어부(4)는, 제 1의 제어수단(4a) 및 제 2의 제어수단(4b)을 구비하고 있고, 예를 들면, 아래에 나타내는 구성 형태를 들 수 있다.
·각 제어수단을 각 다른 회로로서 형성하고, 시스템 제어부(4)를 구성하는 형태
·1칩화 된 시스템 제어부(4) 내에, 각 제어수단의 기능을 가지는 회로부를 형성하는 형태.
어느 형태에 있어서도, 제 1의 제어수단(4a)은, 촬상 처리 혹은 촬영한 화상 데이터의 기록 처리나 재생 처리와 관련되는 제어를 행하고, 또, 제 2의 제어수단(4b)은, 조작수단(2)으로부터의 조작 입력신호나 검출수단(3)으로부터의 검출신호를 감시하여 처리한다. 예를 들면, 제 1의 제어수단(4a)에는, 마이크로 컴퓨 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제 2의 제어수단(4b)에는, 예를 들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이 특정 용도 전용의 집적회로나, 마이크로 컴퓨터(제 1의 제어수단(4a)에 이용하는 메인 컴퓨터에 대해서 서브 컴퓨터로서 이용된다.) 등을 들 수 있다.
제 1의 제어수단(4a)의 제어 하에 두어지는 시스템 구성부(5)에 대해서는, 촬상장치(1)의 사양이나 시스템 구성의 여하에 따라 각종의 디바이스가 이용되지만, 본례에서는, 촬상 처리나 화상의 기록 및 재생 처리를 행하는 화상 신호처리부(5a)(촬상수단 및 카메라 신호처리부와, 기록 및 재생계 신호처리부를 포함한다.)와, 액정식 표시 패널(LCD) 등을 이용한 화상 표시부(5b)를 대표예로써 나타내고 있다.
전원 공급부(6)는, 제 1의 제어수단(4a), 제 2의 제어수단(4b)이나, 시스템 구성부(5)의 각부에 전원 공급을 행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적용에 있어서 전원 공급부(6)의 회로 구성의 여하를 묻지 않지만, 예를 들면, 배터리(일차 전지나 2차 전지), 연료 전지 등을 이용한 전원(6a)과, 회로에 필요한 전원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전원 전압 생성부(6b)가 설치되고, 이 생성부로부터 전원 라인을 거쳐서 각 회로로의 전원 공급을 한다.
본례에서는, 배터리 팩 등이 촬상장치(1)의 장치 본체에 장착된 상태로 전원(6a)으로부터 전원 전압 생성부(DC-DC컨버터 등)(6b)로의 급전을 행하면, 이 생성부로부터 제 2의 제어수단(4b)으로의 전원 공급이 즉시 행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 2의 제어수단(4b)은, 제 1의 제어수단(4a)보다 소비 전력이 작지만, 이것은 이 제어수단이 조작신호나 검출신호의 감시나 처리를 담당하고 있고, 촬영 전의 대기 상태에 있어서 불필요한 전력이 소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를 사용한 형태에 있어서, 소비 전류가 백 마이크로 암페어 이하로 된다.).
이것에 대해서, 제 1의 제어수단(4a)에는, 동작 주파수가 고정된 연산수단 또는 동작 주파수의 가변 제어에 의해 전력 제어가 가능한 연산수단이 이용되지만, 처리의 고속화 등이 우선되는 경우에 있어서, 제 2의 제어수단(4b)보다 소비 전력이 커진다. 즉, 유저가 전원 투입 조작을 행하여 제 1 및 제 2의 제어수단과 시스템 구성부로의 전원 공급을 행하여 항상 촬영 가능한 상태로 하고 있으면, 셔터 찬스를 놓치는 사태는 피할 수 있지만, 그 경우에 소비되는 전력이 커져 버려, 배터리의 구동 시간이 짧아져 버린다. 그래서, 촬영 전의 대기 상태에서는, 소비 전력이 적은 제 2의 제어수단(4b)에만 전원 공급부(6)로부터 전원 공급을 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전력 절약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원 공급부(6)로부터 제 2의 제어수단(4b)으로의 전원 공급을 하는 전력 절약상태에 있어서, 검출수단(3)으로부터 촬영 태세로의 변화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 2의 제어수단(4b)이 받았을 경우에, 전원 공급부(6)로부터 제 1의 제어수단(4a)이나 시스템 구성부(5)의 각부에 전원 공급을 하여 촬영 동작 가능한 급전상태로 이행한다. 즉, 촬상장치(1)에 있어서의 전력 제어상태는, 적어도 아래에 나타내는 상태가 포함된다.
·촬상 동작이 가능한 제 1의 전력 제어상태(이하, 「S1」으로 적는다.)
·S1보다 소비 전력이 작은 제 2의 전력 제어상태(이하, 「S2」로 적는다.)
먼저, S1의 제어상태에서는, 전원 공급부(6)로부터 시스템 제어부(4) 및 시스템 구성부(5)로의 전원 공급이 행하여지고 있고, S2와의 비교에 있어서 소비 전력이 크다.
또, S2의 제어상태에서는, 전원 공급부(6)로부터 제 2의 제어수단(4b)으로의 전원 공급이 행하여 지고, 제 1의 제어수단(4a)이나 시스템 구성부(5)로의 전원 공급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즉, S2는, 조작수단(2)에 의한 스위치 조작이나, 검출수단(3)에 의한 촬영 태세로의 변화를 감시하는 전력 절약상태로 되고, 이 제어상태에 있어서 촬영 태세로의 변화를 검출했을 경우, 즉, 검출수단(3)에 의한 검출신호가 트리거 신호로서 제 2의 제어수단(4b)에 송출되었을 경우에는, S2로부터 S1으로의 이행 제어가 행하여진다.
이것에 의해서, 제 1의 제어수단(4a)으로의 급전이나 초기화 처리와, 시스템 구성부(5)로의 급전 등이 행하여지고, 촬영 동작 가능한 급전상태로 이행한다. 이 상태에서 유저가 전원 스위치를 넣고, 셔터 버튼을 누르면 순간에 촬영을 개시할 수 있다. 또, S1의 제어상태에 있어서, 전원 스위치(2a)에 의한 전원 투입 조작이 행하여지지 않는지 또는 검출수단(3)으로부터 촬영 태세로의 변화를 나타내는 신호가 검출되지 않게 되었을 경우에는, S2의 제어상태로 자동적으로 천이한다. 즉, 제 1의 제어수단(4a)이나 시스템 구성부(5)의 각부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것으로, 전력 절약상태(S2)로 이행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촬상 동작이 가능한 제어상태를 S1으로만 했지만, 동작 주파수의 제어나 디바이스의 급전제어에 의해서 절전 효과를 단계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구성 형태의 적용에 있어서, 소비 전력의 여하에 따라 전력 제어상태를 구분하는 것(S1을 2 이상의 클래스별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례에서는, 전원 스위치(2a)의 조작신호가 제 2의 제어수단(4b)에 송출되어 처리되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전원 스위치(2a)의 조작신호가 제 1의 제어수단(4a)에 송출되어 처리되는 구성 등, 각종 형태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다음에, 촬상장치(1)의 전원 제어처리의 시퀀스예에 대해서, 아래에 나타내는 3개의 경우로 나누어 설명한다.
(A) 촬영 태세로 들어간 것이 검출된 다음에, 유저가 전원 스위치를 조작하여 촬영을 개시하려고 하는 경우
(B) 촬영 태세로 들어간 것이 검출되었지만, 그 후에 유저가 전원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은 경우
(C) 촬영 태세로 들어간 것의 검출과, 유저에 의한 전원 스위치의 조작이 거의 동시에 행해졌을 경우
먼저, (A)의 경우에 대해서, 아래에 나타내는 순서(1) 내지 (7)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표시 내에 나타내는 숫자가, 이하의 괄호 내의 숫자 1 내지 7에 각각 대응하고 있고, 시간 경과에 따르는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1) 전원 공급부(6)에 배터리를 삽입하면, 전원 전압 생성부(6b)에 전원이 들어간다.
(2) 전원 전압 생성부(6b)로부터 제 2의 제어수단(4b)에 대해서 전원 공급이 행하여지고, 이것에 의해, 언제라도 전원 스위치(2a)의 조작신호를 제 2의 제어수단(4b)이 받아들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3) 촬영 태세에 들어갔던 것이 검출수단(3)으로부터 제 2의 제어수단(4b)에 통지된다. 예를 들면, 상기 형태(I)에서는, 장치로의 접촉을 검출하기 위해서 정전 센서 등이 이용된다. 즉, 이 센서를 이용하여 장치에 접했던 것이 검출되면, 시스템 기동이 행하여진다(예를 들면, 백그라운드 처리로서 시스템의 기동처리가 행하여진다.). 또, 상기 형태(II)에서는, 장치의 자세 변화를 검출하기 위해서 각속도 센서 등이 이용되고, 센서를 이용하여 유저가 장치를 들어올려 촬영하려고하는 태세에 들어간 것이 검출되면, 시스템 기동이 행하여진다(예를 들면, 백그라운드 처리로서 시스템의 기동처리가 행하여진다.).
(4) 검출수단(3)으로부터, 촬영 태세에 들어간 것을 알리는 신호를 받은 제 2의 제어수단(4b)은, 제 1의 제어수단(4a) 및 시스템 구성부(5)에 대해서 전원 공급을 행하도록 전원 전압 생성부(6b)에 신호를 보내 지시한다.
(5) 지시를 받은 전원 전압 생성부(6b)는, 시스템 전체에 전원을 공급하기 시작한다. 즉, 제 1의 제어수단(4a)이나 시스템 구성부(5)의 각부에 전원 공급이 행하여진다.
(6) 시스템 전체에 전원이 고루 미치면, 각각의 디바이스가 동작 가능한 상 태로 되고, 제 1의 제어수단(4a)과 제 2의 제어수단(4b)과의 사이의 신호 전달이나, 제 1의 제어수단(4a)과 시스템 구성부(5)의 화상 신호 처리부(5a)나 화상 표시부(5b) 등과의 사이의 신호 전달을 행할 수 있다.
(7) 유저가 전원 스위치(2a)를 조작했을 경우에, 그 조작신호가 제 2의 제어수단(4b)에 전달된다. 제 2의 제어수단(4b)으로부터 제 1의 제어수단(4a)에 신호가 전달되어, 순간에 촬영을 개시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시스템은 이미 기동되어 있기 때문에, 단시간에 촬영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례에서는, 촬영 태세에 들어갔던 것이 검출수단(3)에 의해서 검출되었을 경우에, 제 2의 제어수단(4b)으로부터 전원 전압 생성부(6b)의 지령에 의해서 제 1의 제어수단(4a)을 포함한 각부로의 전원 공급이 행하여지도록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촬영 전에 시스템을 서스펜드 상태로 하는 방법이나, 제 1의 제어수단(4a)의 동작 속도를 억제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경우에는, 촬영 태세에 들어갔던 것이 검출수단(3)에 의해서 검출되면, 시스템이 촬영 가능한 동작 상태로 돌아오는지, 또는 제 1의 제어수단(4a)의 동작 속도가 커져 촬영처리 등을 지장없게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시스템의 기동에 필요로 하는 시간은 짧아지지만, 촬영 태세에 들어갔던 것이 검출되지 않는 대기 상태에서는, 상기의 예에 비해 소비 전력이 증가한다.
다음에, 상기(B)의 경우, 예를 들면, 유저가 장치를 손대었지만 전원 스위치를 누르지 않았던 경우에는, 상기(1) 내지(6)에 나타내는 처리를 하지만, 이대로의 상태로 시스템을 기동시키고 있으면 전력을 필요 이상으로 소비하여 버린다. 그래서, 전원 투입 조작이 행하여지지 않는지 또는 검출수단(3)으로부터 촬영 태세로의 변화를 나타내는 신호가 검출되지 않게 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S2(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형태(I)에 있어서, 일정시간의 사이에 유저가 장치를 손댄 것을 알리는 검출신호가 제 2의 제어수단(4b)에 송출되지 않는 경우 등에 있어서, 유저에 의한 명시적인 조작 지시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제 1의 제어수단(4a) 및 시스템 구성부(5)로의 전원 공급을 끊는다(예를 들면, 유저가 관지(關知)하는 것 없이 백그라운드 처리로 제 2의 제어수단(4b)을 제외한 시스템의 각부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시킨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제 2의 제어수단(4b)에 의해 조작신호나 검출신호를 감시하는 모드로 들어가고, 그 소비 전력은 제 2의 제어수단(4b)의 처리에 필요한 최저한의 레벨로 된다. 그 후에, 유저가 장치에 손대는 등, 촬영 태세로 들어갔던 것이 검출되면, 상기 (3)으로부터 (4) 이후의 처리로 진행된다.
상기(C)의 경우, 예를 들면, 유저가 장치에 손댄 상태와, 전원 스위치를 누른 상태가 동시 또는 거의 동시에 발생했을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시스템의 기동처리가 행하여져, 문제없이 촬영 모드로 들어갈 수 있다. 즉, 조작신호나 검출신호를 항상 제 2의 제어수단(4b)에서 감시하는 구성 형태에서는, 촬영 태세로의 이행 개시가 검출수단(3)에 의해 검출되고, 동시에 전원 스위치(2a)가 눌려졌다고 하여도, 그들을 제 2의 제어수단(4b)에 있어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있어서 ○표시 내의 「7」을 「3」으로 변경한 다음, 상기 (4) 이후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또한, 촬영 태세로의 이행 개시가 아무것도 검출되지 않는 경우, 예를 들면, 상기 형태(I)에 있어서, 유저가 장치에 손대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3)에 있어서 촬영 태세로 들어간 것을 가리키는 검출신호가 제 2의 제어수단(4b)에는 보내지지 않기 때문에, 시스템 기동, 즉, 제 1의 제어수단(4a)으로의 전원 공급이나 초기화 처리, 시스템 구성부(5)의 각부의 전원 공급은 행하여지지 않는다(가장 소비 전력이 낮은 전력 제어상태가 된다.).
이 밖에, 장치의 사용 상황에 따른 각종의 상태가 상정되지만, 제 2의 제어수단(4b)에서 전원 관리나 전력 제어의 시퀀스를 설정함으로써, 어떤 상태에 있어서도 문제없이 시스템을 기동하여 촬영 가능한 상태로 이행시킬 수 있다.
[실시예]
도 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을, 디지털식 카메라 등에 적용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는, 상기 형태(I)의 일례로서, 정전 센서 등을 이용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A) 도면은 카메라(7)의 사시도, (B) 도면은, 카메라 케이스(8)의 전면부(8a)를 뒤편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본례에서는, 촬상부(9)가 설치된 전면부(8a) 가운데, 촬영시에 유저의 손가락이 닿는 범위의 이면 측에 정전 센서 등의 접촉 검출용 센서(3a)를 묻는 것으로 장치에 부설하고 있다.
이 경우에, 유저의 손가락이 카메라에 접촉한 것을, 오류 검출 없이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센서 IC 등의 감도를 너무 높게 하면, 손가락 이외의 인 체의 접근 등이 잘못하여 검출되어 버리기 때문에, 과민한 반응이 일어나지 않게 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센서의 감도를 내리는 것과 동시에, 센서의 검출 범위, 즉, 유저가 접했을 때에 감지하는 장소를 넓게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유저의 손가락이 닿았을 때의 검출량(정전량)이 축적되고, 그것을 미리 결정한 임계치를 넘었을 경우에, 촬영 태세로의 이행 개시가 판단되도록 구성하고, 이 임계치 이하에서는, 촬영을 의도하지 않는 불의의 접촉이나 접근 등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례는, 예를 들면, 케이스가 플라스틱 등의 합성 수지로 형성되고 있는 경우에는 문제없지만, 장치 형태에 따라서는, 정전 쉴드가 가해지고 있는 경우가 있어, 정전 센서에서의 접촉 검출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러한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내는 카메라(7A)와 같이, 카메라 케이스(8)의 가운데, 유저의 손가락이 닿는 장소의 표면, 예를 들면, (A)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부(8a)에 센서(3a)를 묻거나, (B)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10), 조작부(11)가 설치된 후면부(8b)에 센서(3a)를 묻는다고 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예를 들면, 도전성을 가지는 필름 소자를 이용하면 좋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도전성을 가지는 각종 재료로 형성된 검출용 소자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상기 형태(II)의 일례로서, 3축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례에 나타내는 카메라(7B)에서는, 전면부(8a)의 표면 또는 배면 등에 부설된 자세 검출용 센서(3b)에 의해서, 도면 중에 나타내는 X, Y, Z의 각 축회전의 자 세 변화가 검출된다. 즉, 유저가 카메라(7B)를 들어올려 촬영 태세로 들어가려 하고 있는 것이, 그 자세 변화에 수반하는 속도의 변화, 즉, 가속도로서 검출된다.
또한, 3축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2축의 각속도 센서 등을 이용해도 좋고, 또, 손 떨림 검출용의 각속도 센서나 가속도 센서를 유용해도 좋다. 검출 가능한 축의 수가 많아지면 검출 정밀도를 올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지만, 설치 스페이스의 확보나 코스트 상승 등을 고려할 필요가 생긴다.
다음에, 시스템 기동에 관한 설정예를, 도 5의 (A) 내지 (G)에 나타내는 화면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적용상에서는, 시스템의 기동 설정방법이나 설정을 행하는 장소 등의 여하를 묻지 않지만, 이하의 예에서는, 화상 표시수단 상에 제시되는 설정 화면상에, 새로운 항목(이하, 「순간 기동」이라고 부른다.)이 추가되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A) 도면은, 셋업 화면으로 천이 한 시점에서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고, 장방형의 파선 테두리 내에 나타내는 범위는, 조작자가 현재 선택하고 있는 항목을 나타내고 있다.
십자 조작키 등의 조작수단(예를 들면, 도 3의 조작부(11) 참조)을 이용하고, 유저가 「하향」의 방향 조작을 행하면, 좌방의 툴바의 표시자(아이콘)의 선택 위치가 하부로 이동하고, (B) 도면이 된다. 이 표시자의 우측에 위치하는 선택 화면에 「순간 기동」의 항목이 표시된다.
유저가 「순간 기동」의 선택을 의도하고, 십자 조작키 등의 조작수단을 이용하여 「오른쪽 방향」의 방향 조작을 행하면, (C) 도면에 있어서, 메인 화면의 상단에 있는 「아이콘 확대」가 선택된다. 그러나, 유저가 선택하고 싶은 것은 이 항목은 아니다. 그래서, 십자 조작키 등을 이용하여, 「하향」의 방향 조작을 행하고, (D)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순간 기동」의 항목에 커서를 이동시킨다(본례에서는 「보통」으로 설정되어 있다.).
「순간 기동」의 항목에 커서가 와있는 상태로, 유저가 「오른쪽 방향」의 방향 조작을 행하면, (E)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순간 기동」의 설정을 유효(도면 중의 「ON」참조)로 하는지, 무효(도면 중의 「OFF」참조)로 하는지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본 예에서는, 지금까지의 설정이 「OFF」가 되어 있기 때문에, 유저가 십자 조작키 등으로 「하향」의 방향 조작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F)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의 유효화, 즉, 「ON」에 커서를 맞출 수 있다.
그리고, 선택 항목의 확정, 즉, 「순간 기동」의 항목을 「ON」으로 설정하고 싶은 경우에, 유저가 십자 조작키 등의 센터 키(결정버튼)를 누르면, (G) 도면에 나타내는 화면이 되어 설정 작업이 종료한다.
이들 일련의 동작에 의해, 「순간 기동」의 항목을 유효(「ON」)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순간 기동」의 선택에 있어서, 그 유효화 또는 무효화를 「ON」 또는 「OFF」라는 명칭으로 표시했지만, 명칭이나 설정 방법 등에 관해서 어플리케이션의 설계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항목 설정을 셋업 화면상에서 행하는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토글(toggle) 식의 전 용 버튼을 설치하거나, 터치 패널 등의 접촉검지수단을 표시면에 설치하고, 유저가 소망한 항목을 화면상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각종 구성에서의 실시가 가능하다.
도 6은, 시스템의 기동처리의 흐름을 예시한 플로차트 도면이다.
먼저, 스텝(S1)에서는, 전원 스위치의 조작신호 또는 접촉 검출용 센서 혹은 자세 검출용 센서에 의한 검출신호가 시스템(도 1의 제 2의 제어수단(4b)참조)에 통지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조작신호 또는 검출신호가 통지되었을 경우에는, 스텝(S2 또는 S4)으로 진행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조작신호 또는 검출신호의 감시를 계속한다(이 상태가 상기 S2의 제어상태에 상당하고, 전력 절약 모드 상태이다.).
검출신호에 의해서 촬영 태세로의 이행이 예측되는 경우에는, 스텝(S2)으로 진행되어, 시스템 제어부나 구성부로의 전원공급 및 초기화 처리 등이 백그라운드 처리로서 개시된다. 그리고,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1초 이내)에 장치가 촬영 가능한 상태가 되어(이 상태가 상기 S1의 제어 상태에 상당한다.), 다음 스텝(S3)으로 진행된다.
또, 전원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전원 투입 지시가 나왔을 경우에는, 스텝(S4)으로 진행되어, 시스템의 기동 처리가 보통으로 행하여지고(여기서의 처리는 종래와 같다.), 스텝(S5)으로 진행된다.
스텝(S3)에서는, 일정시간 내에 전원 스위치의 조작이 행하여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미리 결정된 설정 시간의 경과 전에 전원 투입의 지시가 나왔을 경우에 스텝(S5)으로 진행된다. 또, 설정 시간이 경과해도(타임 아웃시), 전원 투입의 지시가 나오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S1)으로 돌아온다. 또한, 전원 스위치의 조작신호의 유무에 관한 판단처리는, 설정 시간이 경과 할 때까지 내내 행해진다.
스텝(S5)에서는, 시스템 구성부, 예를 들면, 상기한 화상 신호 처리부(5a)의 작동이 완료하고, 화상 표시부(5b)를 구성하는 백 라이트 등이 점등하여 화면 표시를 행한다.
스텝(S3)에 있어서, 전원 스위치의 조작을 한 시점으로부터, 스텝(S5)으로 이행할 때까지의 시간이 대부분 걸리지 않는다. 즉, 유저가 전원 스위치를 조작하고 나서 순간에 촬영 준비가 갖추어진다.
그리고, 스텝(S6)으로 진행되고, 셔터 버튼이 조작되어 촬영 지시의 신호가 나오는지 아닌지가 판단되고, 촬영 지시를 나타내는 신호가 시스템에 통지된 경우에 다음 스텝(S7)으로 진행되어, 촬영처리가 개시된다.
또한, 스텝(S1)에 있어서, 전원 스위치의 조작신호와, 센서의 검출신호가 거의 동시에 들어왔을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전원 스위치의 조작신호가 우선되어 스텝(S4)으로 진행된다.
본 예에 있어서 특징적인 부분은, 스텝(S1)으로부터 「S2→S3→S5」으로 진행되는 처리 경로에 있고, 종래의 구성에서는, 스텝(S1)에 있어서, 피사체를 놓치지 않도록, 전원 스위치를 조작해도, S4에서의 대기시간이 경과하지 않는 한 S5로 이행할 수 없다. 그 사이에, 셔터 찬스를 놓쳐 버린다고 하는 사태가 생긴다.
다음에, 촬영 태세로의 이행에 대해서 정전 센서나 각속도 센서 등을 이용하 여 검출한 신호를, 시스템 제어부(4)에 통지하는 경우의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유저가 카메라를 들어올려 촬영을 개시하려고 하는 태세에 들어간 것을, 각속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시스템에 알리기 위한 송신 형태로서는, 아래에 나타내는 구성 형태를 들 수 있다.
(1) 아날로그 방식
(2) 디지털 방식
(2-1) 2치화 방식
(2-2) 시리얼 통신 방식
또한, 각 방식 사이에서의 전력의 비교에 있어서는, 「(1) 아날로그 방식>(2-2) 시리얼 통신 방식 ≥(2-1) 2치화 방식」으로 되고, 아날로그 방식에 비하여 디지털 방식에서는 소비 전력이 적다. 이것은, 아날로그 방식에서는 A/D변환기를 동작시키는 필요성 등으로부터 전력이 증가하는 것에 의한다. 또, 2치화 방식에서는, High 및 Low의 2개의 신호 레벨을 사용하기 때문에, 시스템에서의 검지가 단순하고, 촬영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시스템을 항상 슬리프(Sleep) 모드로 넣을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상기 (1)의 구성예(12)의 주요부를 나타낸 블럭도이며, 검출부(13), 시스템 제어부(4) 내의 제 2의 제어수단(4b)을 나타내고 있다.
검출부(13)에는, 예를 들면, 접촉 검출용 센서(3a)로서의 정전 센서 또는 자세 검출용 센서(3b)로서의 각속도 센서 등이 이용되고, 센서 출력은 아날로그 신호 로서 제 2의 제어수단(4b)을 구성하는 IC 또는 컴퓨터에 송출된다.
제 2의 제어수단(4b)은 그 회로 구성에 있어서, A/D컨버터(14), 비교기(15), 데이터 기억부(16), 연산 처리부(17)(CPU(Central Processing Unit) 코어, ASIC 등)를 구비하고 있다.
A/D컨버터(14)는, 검출부(13)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받고,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비교기(15)에 송출한다.
데이터 기억부(16)에는, 비교기(15)에 송출하기 위한 임계치 데이터가, 출하시에 데이터 기입장치(18)를 이용하여 기억되어 있다. 예를 들면, EEPROM(Electrical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의 불휘발성 기억장치가 이용되고, 제품 출하시에 임계치 데이터를 장치마다 기입함으로써, 센서의 특성 불균형이나 장치에 고유의 제조상의 불균형에 기인하는 검출 오차의 문제, 혹은 오동작 등을 방지할 수 있다(항상 같은 임계치 데이터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신뢰성이 높아진다.). 또, 제품이 완성한 다음에 실장 부품의 변경을 어쩔수 없이 하게 되는 것은, 부품 코스트나 시간이 걸리고, 제조 코스트가 비싸지는 원인이 되지만, 불휘발성 기억장치로의 데이터의 기입에 의해서, CPU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처리에서 설정치 등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은, 하드웨어의 완성 다음에도, 자유롭게 조정이나 설정 변경 등을 행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외부 온도 등의 주위 환경조건에 관해서, 소프트웨어에서의 조건분기처리를 프로그램 중에 기술하면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데이터 기억부(16)로부터 독출된 임계치 데이터는 비교기(15)에 보내지고, A /D컨버터(14)에 의해서 디지털화된 데이터(센서의 검출 데이터)와 비교된다. 그리고, 검출 데이터가 임계치 데이터가 나타내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예를 들면, 유저가 카메라의 소정 범위에 접하거나, 카메라를 들어올려 촬영 태세로의 이행이 개시된 것이라고 인식되어, 연산 처리부(17)로의 인터럽션(interruption) 신호가 발생된다. 또, 검출 데이터가 임계치 데이터가 나타내는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에는, 촬영 태세에 들어가 있지 않은지, 혹은, 일시적 혹은 우발적인 접촉 또는 자세 변화, 노이즈 등의 외 교란에 의하는 것이라고 판단된다.
비교기(15)로부터의 인터럽션 신호를 받고, 연산 처리부(17)를 구성하는 CPU 코어 등의 슬리프(Sleep) 상태가 해제되어(wake up), 본래 발휘할 수 있는 퍼포먼스를 가지고 시스템 동작이 행하여진다.
또한, CPU 코어 등을 슬리프 상태로 하지 않고, 항상 일으킨 상태로 검출 데이터의 샘플링 처리를 행하여도 좋지만, 그때의 소비 전력이 문제가 된다. 즉, CPU 코어나 ASIC 등이 항상 동작하는 경우에 소비되는 전력이 문제가 될 때는, 그러한 동작 주파수를 충분히 내리는지, 또는 상기와 같이 슬리프 상태 혹은 휴지 상태로 들어가 소비 전력을 대부분 제로에 가까운 상태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A/D컨버터(14), 비교기(15), 데이터 기억부(16)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A/D컨버터(14)에 의한 변환 후의 데이터와, 데이터 기억부(16)로부터 독출되는 임계치 데이터와의 비교 연산이 보증되는 최저한도의 전력은 항상 소비된다(즉, 제 2의 제어수단(4b)은 그 대기 상태에 있어서, 필요 최저한의 전력만을 소비하여, 촬영 태세로의 변화를 나타내는 신호를 검출수단으로부터 받았을 때 에 그 휴지 상태가 해제되어 전원 공급부에 대해서 전원 공급의 지시 신호를 송출한다. 검출이 실패하지 않는 정도로 간헐적인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소비 전력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 및 도 9는, 상기 (1)의 방식에 관한 시스템의 기동처리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면이다.
먼저, 도 8의 스텝(ST1)에서는, 검출부(13)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가 A/D컨버터(14)에 보내지고, 여기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가 비교기(15)에 송출되는 것과 동시에, 데이터 기억부(16)로부터의 임계치 데이터가 비교기(15)에 송출되고, 양자가 비교된다. 그리고, 검출 데이터가, 임계치 데이터에 의해 규정되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음 스텝(ST2)으로 진행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검출 데이터의 감시를 계속한다.
스텝(ST2)에서는, 비교기(15)로부터 연산 처리부(17)에 대해서 인터럽션 신호가 발생되고, 다음 스텝에서 슬리프 상태가 해제된다. 즉, 스텝(ST3)으로 진행되며, 연산 처리부(17)가 소정의 동작 속도를 가지고 처리를 행할 수 있는 상태로 복귀한다. 그리고, 도 9의 스텝(ST4)으로 진행된다.
스텝(ST4)에 있어서, 전원 스위치의 조작신호가 제 2의 제어수단(4b)에 통지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이 조작신호가 통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ST5)으로 진행되지만, 이 조작신호가 통지되었을 경우에는, 스텝(ST9)으로 진행된다.
스텝(ST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나 구성부로의 전원 공급 및 초기화 처리 등 이 유저가 알아차리지 못한 형태로 개시된다(백그라운드 처리). 그리고, 소정의 시간 내에 장치가 촬영 가능한 상태가 되어, 다음 스텝(ST6)으로 진행된다.
스텝(ST6)에서는, 일정시간 내에 전원 스위치의 조작이 행해지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미리 결정할 수 있던 설정 시간의 경과 전에 전원 투입의 지시가 나왔을 경우에 스텝(ST10)으로 진행된다. 또, 설정 시간이 경과해도 전원 투입의 지시가 나오지 않는 경우(타임 아웃시)에는 스텝(ST7)으로 진행된다. 또한, 전원 스위치의 조작신호에 관한 판단처리는, 설정 시간이 경과 할 때까지 내내 행해진다.
스텝(ST7)에 있어서, 연산 처리부(17)를 구성하는 CPU 코어 등이 슬리프 상태로 규정된 후에, 도 8의 스텝(ST1)으로 돌아온다.
ST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 스위치가 조작되었을 때의 외부 인터럽션 신호가 발생되어 연산 처리부(17)가 소정의 동작 속도를 가지고 처리를 행할 수 있는 상태로 복귀하고 있는 것을 전제로서, 스텝(ST9)에서는, 전원 투입 지시에 따라서 시스템의 기동처리가 통상 대로에 행해진 후(여기서의 처리는 종래와 같다.), 스텝(ST10)으로 진행된다.
스텝(ST10)에서는, 시스템 구성부, 예를 들면, 상기한 화상 신호 처리부(5a)의 작동이 완료하고, 화상 표시부(5b)를 구성하는 백 라이트 등이 점등하여 화면 표시를 행한다.
스텝(ST6)에 있어서 전원 스위치의 조작이 행해진 시점으로부터, 스텝(ST10)으로 이행할 때까지의 시간이 대부분 걸리지 않는다. 즉, 유저가 전원 스위치를 조작하고 나서 순간에 촬영 준비가 갖추어진다.
그리고, 스텝(ST11)으로 진행되며, 셔터 버튼이 조작되고 촬영 지시의 신호가 나오는지 아닌지가 판단되어, 촬영 지시를 나타내는 신호가 시스템에 통지되었을 경우에 다음 스텝(ST12)으로 진행되고, 촬영처리가 개시된다.
상기 (1)의 아날로그 방식에서는, 시스템 제어부에 임계치 데이터를 갖게 함으로써, 소프트웨어에 의한 유연한 판단 처리를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검출부(13)에 의한 검출치를 다른 용도(예를 들면, 손 떨림 보정처리 등)에도 이용할 수 있다. 또, 검출부(13) 내에는 비교 회로나 시스템 제어부와의 통신 회로 등이 불필요하고, 검출부의 소형화나 부품 점수의 삭감, 설치 면적이나 스페이스의 저감 등의 면에서 유리하다.
다음에, 상기 (2)의 디지털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상기 (2-1)의 구성예(12A)의 주요부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검출부(13A)에는, 센서 외에, 데이터 기억부(16)와 비교기(15)가 설치되어 있다. 접촉 검출용 센서(3a)로서의 정전 센서 또는 자세 검출용 센서(3b)로서의 각속도 센서 등이 이용되고, 센서의 출력신호는 비교기(15)에 보내진다.
데이터 기억부(16)에는 출하시에 데이터 기입장치(18)를 이용하여 기입된 임계치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고, 이 임계치 데이터가 독출되어 비교기(15)에 보내진다.
비교기(15)는, 센서에 의한 검출신호와, 상기 임계치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와의 사이에 비교 연산을 행하고, 그 결과, 센서 검출치가 임계치 데이터가 나타 내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유저가 카메라의 소정 범위에 접하거나, 카메라를 들어올려 촬영 태세로의 이행이 개시된 것이라고 인식된다. 그리고, 그 인식 결과를 나타내는 2치화 신호(예를 들면, H레벨 신호)가 제 2의 제어수단(4b)에 대해서 출력된다. 또, 센서 검출치가 임계치 데이터가 나타내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촬영 태세로 들어가 있지 않은지, 혹은, 일시적 혹은 우발적인 접촉 또는 자세 변화, 노이즈 등의 외부 교란에 의하는 것이라고 판단된다. 그리고, 그 결과를 나타내는 2치화 신호(예를 들면, L레벨 신호)가 제 2의 제어수단(4b)에 대해서 출력된다.
또한, 임계치 데이터를 격납하기 위한 데이터 기억부(16)를 이용하는 구성 외에는, 예를 들면, 비교기(15)에 대한 외부의 회로(19)에 의한 정수치를 출하시에 조정하여 임계치를 설정하는 구성을 들 수 있고, 도면에는, 그 양 형태를 편의상 아울러 나타내고 있다.
제 2의 제어수단(4b)은, 인터럽션 발생기(20) 및 연산 처리부(17)(CPU 코어, ASIC 등)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고, 비교기(15)의 출력신호, 즉, 2치화 된 신호가 인터럽션 발생기(20)에 송출된다. 그리고, 촬영 태세로의 이행 개시를 나타내는 신호를 인터럽션 발생기(20)가 받았을 때에, 연산 처리부(17)에 대해서 인터럽트(inerrupt)되고, 슬리프 상태가 해제되고, CPU 코어 등이 소정의 동작 속도를 가지고 처리를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11은, 상기 (2-1)의 방식에 관한 시스템의 기동처리 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면이며, 상기 (1)의 방식에 대해 설명한 처리예와의 상위(相違) 부분만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스텝(ST20)에서는, 센서에 의한 검출신호와, 임계치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가 비교기(15)에서 비교된다. 그리고, 검출치가 임계치에 의해 규정되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음 스텝(ST21)으로 진행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센서에 의한 검출치의 감시를 계속한다.
스텝(ST21)에서는, 비교기(15)로부터의 2치화 신호를 인터럽션 발생기(20)가 받아 연산 처리부(17)에 대해서 인터럽션 신호가 발생되고, 슬리프 상태가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서, 다음 스텝(ST22)에서는, 연산 처리부(17)가 소정의 동작 속도를 가지고 처리를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9의 스텝(ST4)으로 진행된다.
이 이후의 처리는, 도 9에 있어서 설명한 대로이지만, 스텝(ST7)에 있어서 연산 처리부(17)를 구성하는 CPU 코어 등이 슬리프 상태로 규정된 후에는, 도 11의 스텝(ST20)으로 돌아온다. 또한, 슬리프 상태에 있어서, 제 2의 제어수단(4b)에서는 인터럽션 발생기(20)가 동작하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은 낮다.
도 12는, 상기 (2-2)의 구성예(12B)의 주요부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구성과의 차이점은, 아래와 같다.
·검출부(13B)에 있어서 비교기(15)의 후단에 시리얼 통신부(21)가 설치되고 있는 것
·제 2의 제어수단(4b)에는, 시리얼 통신부(21)와의 사이에 정보의 교환을 행하는 시리얼 통신 및 인터럽션 발생부(22)가 설치되고 있는 것.
·연산 처리부(17)에 있어서, 시리얼 데이터로서 검출부(13B)로부터 보내져 온 검출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부(16)에 기억되어 있는 임계치 데이터와 비교하는 구성 형태에서는, 제 2의 제어수단(4b) 내에 데이터 기억부(16)가 설치되어 있고, 출하시에는 데이터 기입장치(18)를 이용하여 데이터 기억부(16)에 임계치 데이터 등의 기입처리가 행해지는 것(예를 들면, 검출부(13B)의 비교기(15)는 불필요하고, 센서의 검출신호가 시리얼 통신부(21)를 거쳐서 제 2의 제어수단(4b)에 송출된다.).
본 예에 있어서, 임계치 데이터를 격납하기 위한 데이터 기억부(16)를 도 10과 같게 검출부(12B)에 설치하여도 상관없다. 도 12에서는, 임계치 데이터를 격납하기 위한 데이터 기억부(16)를 제 2의 제어수단(4b)에 설치한 구성 형태와, 비교기(15)에 대한 외부의 회로(19)에 의한 정수치를 출하시에 조정하여 임계치를 설정하는 구성 형태를 편의상 아울러 나타내고 있다. 또한, 검출부(13B)의 비교기(15)를 이용하는 비교처리와, 제 2의 제어수단(4b)에 데이터 기억부(16)를 설치하여 연산 처리부(17)에서 행하는 비교처리를 병용하는 형태에서는, 판단을 2중으로 행함으로써 확실성을 높일 수 있고, 혹은 판단 결과의 검증, 비교처리의 백업(예를 들면, 비교회로(15)의 고장 때 등)에 유용하다.
비교기(15) 또는 연산 처리부(17)에 있어서, 센서에 의한 검출치와 임계치와의 사이에 비교 연산을 행한다. 그 결과, 센서 검출치가 임계치의 나타내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유저가 카메라의 소정 범위에 접하거나, 카메라를 들어올려 촬영 태세로의 이행이 개시된 것이라고 인식된다. 그 인식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 또는 센서의 검출 데이터는 시리얼 통신부(21)로부터 시리얼 통신 및 인터럽션 발생부(22)에 대해서 송신된다. 또, 센서 검출치가 임계치의 나타내는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에는, 촬영 태세로 들어가 있지 않은지, 혹은, 일시적 혹은 우발적인 접촉 또는 자세 변화, 노이즈 등의 외부 교란에 의하는 것이라고 판단된다. 그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 또는 센서의 검출 데이터는 시리얼 통신부(21)로부터 시리얼 통신 및 인터럽션 발생부(22)에 대해서 송신된다. 또한, 시리얼 통신 포맷에는, 각종의 방식(SIO, UART, I2C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검출부(13B)가 비교기(15)를 가지는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촬영 태세로의 이행 개시를 나타내는 신호를 시리얼 통신 및 인터럽션 발생부(22)가 받았을 때에는, 연산 처리부(17)에 대해서 인터럽트 되고, 슬리프 상태가 해제되고, CPU 코어 등이 소정의 동작 속도를 가지고 처리를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 제 2의 제어수단(4b)이 데이터 기억부(16)를 가지는 형태에서는, 센서의 검출 데이터를 시리얼 통신 및 인터럽션 발생부(22)가 받았을 때에 인터럽션이 발생하고, 연산 처리부(17)에서 센서의 검출치와 데이터 기억부(16)로부터의 임계치가 비교되고, 그 결과, 촬영 태세로의 이행 개시가 판단되면, CPU 코어 등이 소정의 동작 속도를 가지고 처리를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13은, 상기 (2-2)의 방식에 관한 시스템의 기동처리 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면이며, 상기 (1)의 방식에 대해 설명한 처리예와의 상위(相違) 부분만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스텝(ST30)에서는, 예를 들면, 센서에 의한 검출치와 임계치가 비교기(15)에서 비교된다. 그리고, 검출치가 임계치에 의해 규정되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음 스텝(ST31)으로 진행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센서에 의한 검출치의 감시를 계속한다.
스텝(ST31)에서는, 비교기(15)로부터 시리얼 통신부(21)를 거쳐서 연산 처리부(17)에 인터럽트 되고, 슬리프 상태가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서, 다음 스텝(ST32)에서는, 연산 처리부(17)가 소정의 동작 속도를 가지고 처리를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9의 스텝(ST4)으로 진행된다.
이 이후의 처리는, 도 9에 있어서 설명한 대로이지만, 스텝(ST7)에 있어서 연산 처리부(17)를 구성하는 CPU 코어 등이 슬리프 상태로 규정된 후에는, 도 13의 스텝(ST30)으로 돌아온다.
본 방식에서는, 검출부(13B)와 제 2의 제어수단(4b)과의 사이의 정보 전달을 시리얼 데이터 통신으로 행하고 있으므로, 상기 방식 (2-1)에 비해 다량의 정보를 송수(送受)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그 때문에, CPU 등을 이용한 연산 처리부의 측에서도 재차 데이터의 비교를 행할 수 있으므로, 센서 인식에 관해서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다. 또, 검출부(13B)로부터의 검출 데이터가 시리얼 통신에 의해서 제 2의 제어수단(4b)에 보내져 오는 것에서 인터럽션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 제어수단(4b)을 소비 전력의 낮은 상태(전력 절약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1)의 방식에서는, 검출부와 제 2의 제어수단(4b)과의 비교에 있어서 검출부의 구성이 간단화 되고, 상기 (2)의 방식에서 는, 제 2의 제어수단(4b)의 구성이 간단화 된다.
다음에, 상기 (III)의 형태, 즉, 장치로의 접촉 검출과, 장치의 자세 변화의 검출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 검출 정밀도를 높이기 위한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카메라 본체에 손가락 등의 접촉 상태가 정전 센서에 의해 검출되고, 또한, 카메라를 잡을 때의 자세 변화가 각속도 센서에 의한 속도 변화로서 검출되었을 경우에, 촬영 태세에 들어간 것이 판정되고, 시스템의 기동처리를 행한다.
도 14는, 시스템 기동에 관한 설정방법을 예시한 것이며, 화면예를 (A) 내지 (H) 도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례에서는, 「순간 기동」과 관련되는 설정 항목으로서 「보통」, 「고속」, 「최고속」의 3 종류의 모드 선택이 가능하다.
(A) 내지 (C) 도면에 대해서는, 도 5와 같고, (C), (D) 도면에서는, 「순간 기동」의 항목에 있어서 「보통」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D)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순간 기동」의 항목에 커서가 와있는 상태에서, 유저가 「오른쪽 방향」의 방향 조작을 행하면, (E)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순간 기동」의 설정에 대해서, 3 모드 중 어느 모드로 하는지를 선택 가능한 상태가 된다.
본례에서는, 지금까지의 설정 상태가 「보통」모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유저가 십자 조작 키 등으로 「하향」의 방향 조작을 행하면, 이것에 의해, (F)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속」모드에 커서를 맞출 수 있다. 또한 「하향」의 방향 조작을 행해서, (G)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고속」모드에 커서를 맞출 수 있다.
그리고, 선택 항목의 확정, 즉, 유저가 십자 조작 키 등의 센터 키(결정 버튼)를 누르면, (H) 도면에 나타내는 화면이 되어 설정 작업이 종료한다.
이것들 일련의 동작에 의해, 「순간 기동」을 소망한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형태 (III)에 있어서 상기 방식 (1) 및 (2)를 적용한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상기 (1)의 구성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도 7에 있어서, 예를 들면, 검출부(13)가, 정전 센서 및 각속도 센서 혹은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고 있고, 각 센서의 출력하는 아날로그 신호(파선 화살표 참조)가 A/D컨버터(14)에 송출된다. 또한, 데이터 기억부(16)에는 출하시에 데이터 기입장치(18)를 이용하여 기입된 임계치 데이터가 센서마다 격납되어 있고, 각각의 임계치 데이터가 독출되어 비교기(15)에 보내진다.
도 15는, 상기 「고속」모드의 설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시스템의 기동처리 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면이며, 도 8에서 설명한 처리예와의 상위(相違) 부분만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각 센서의 검출신호가 제 2의 제어수단(4b)에 송출되면, 스텝(ST40)에서는, 정전 센서에 의한 검출 데이터(A/D 변환 후의 데이터)와, 데이터 기억부(16)로부터의 임계치 데이터가 비교기(15)에 송출되고, 양자가 비교된다. 그 리고, 검출 데이터가 임계치 데이터에 의해 규정되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음 스텝(ST41)으로 진행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센서에 의한 검출치의 감시를 계속한다.
스텝(ST41)에서는, 각속도 센서(또는 가속도 센서)에 의한 검출 데이터(A/D 변환 후의 데이터)와, 데이터 기억부(16)로부터의 임계치 데이터가 비교기(15)에 송출되고, 양자가 비교된다. 그리고, 검출 데이터가 임계치 데이터에 의해 규정되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음 스텝(ST42)으로 진행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ST40)으로 돌아오고, 센서에 의한 검출치의 감시를 계속한다.
스텝(ST42)에서는, 연산 처리부(17)를 슬리프 상태로부터 각성(覺醒) 시키는(awake) 것에 필요한 처리를 행한다. 즉, 비교기(15)로부터 연산 처리부(17)에 대해서 인터럽션 신호가 발생되고, 슬리프 상태가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서, 다음 스텝(ST43)에서는, 연산 처리부(17)가 소정의 동작 속도를 가지고 처리를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9의 스텝(ST4)으로 진행된다.
이 이후의 처리는, 도 9에 있어서 설명한 대로이지만, 스텝(ST7)에 있어서 연산 처리부(17)를 구성하는 CPU 코어 등이 슬리프 상태로 규정된 후에, 도 15의 스텝(ST40)으로 돌아온다.
또한, 본례에서는, 정전 센서에 의한 검출, 즉, 접촉 검출을 선행시키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장치의 자세 검출을 선행시켜, 예를 들면, 스텝(ST40)에 있어서 각속도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에 의한 검출 데이터와 임계치 데이터를 비교하고, 스텝(ST41)에서, 정전 센서에 의한 검출 데이터와 임계치 데이터 를 비교해도 상관없다.
어쨌든, 접촉 검출 및 자세 검출에 의해서 촬영 태세에 들어간 것의 판정이 확실히 행해지고, 시스템의 기동처리가 행해진다.
도 16은, 상기 「최고속」모드의 설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시스템의 기동처리 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면이며, 도 8에서 설명한 처리예와의 상위 부분만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각 센서의 검출신호가 제 2의 제어수단(4b)에 송출되면, 스텝(ST50)에서는, 정전 센서에 의한 검출 데이터(A/D 변환 후의 데이터)와, 데이터 기억부(16)로부터의 임계치 데이터가 비교기(15)에 송출되고, 양자가 비교된다. 그리고, 검출 데이터가 임계치 데이터에 의해 규정되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음 스텝(ST51)으로 진행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ST53)으로 진행된다.
스텝(ST51)에서는, 연산 처리부(17)를 슬리프 상태로부터 각성시키는데 필요한 처리를 행한다. 즉, 비교기(15)로부터 연산 처리부(17)에 대해서 인터럽션 신호가 발생되고, 슬리프 상태가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서, 다음 스텝(ST52)에서는, 연산 처리부(17)가 소정의 동작 속도를 가지고 처리를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9의 스텝(ST4)으로 진행된다.
스텝(ST53)에 있어서, 각속도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에 의한 검출 데이터(A/D 변환 후의 데이터)와, 데이터 기억부(16)로부터의 임계치 데이터가 비교기(15)에 송출되고, 양자가 비교된다. 그리고, 검출 데이터가 임계치 데이터에 의해 규정되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음 스텝(ST54)으로 진행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ST50)으로 돌아오고, 센서에 의한 검출치의 감시를 계속한다.
스텝(ST54)에서는, 연산 처리부(17)를 슬리프 상태로부터 각성시키는데 필요한 처리를 행한다. 즉, 비교기(15)로부터 연산 처리부(17)에 대해서 인터럽션 신호가 발생되고, 슬리프 상태가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서, 다음 스텝(ST55)에서는, 연산 처리부(17)가 소정의 동작 속도를 가지고 처리를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9의 스텝(ST4)으로 진행된다.
이 이후의 처리는, 도 9에 있어서 설명한 대로이지만, 스텝(ST7)에 있어서 연산 처리부(17)를 구성하는 CPU 코어 등이 슬리프 상태로 규정된 후에는, 도 16의 스텝(ST50)으로 돌아온다.
또한, 도면에는, 이해하기 쉽게, 접촉 검출과 자세 검출을 나누어 나타내고 있지만, ST51과 ST54, ST52와 ST55와는 실질적으로 같은 처리이며, 따라서, 예를 들면, ST50에 있어서 접촉 검출치가 임계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스텝(ST54)으로 진행되면 좋다(이 경우에, ST51, ST52는 불필요하다.).
본례에서는, 정전 센서에 의한 검출, 즉, 접촉 검출을 선행시키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장치의 자세 검출을 선행시켜, 예를 들면, 스텝(ST50)에 있어서 각속도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에 의한 검출 데이터와의 임계치 데이터를 비교하고, 스텝(ST53)에서, 정전 센서에 의한 검출 데이터와 임계치 데이터를 비교해도 상관없다.
어쨌든, 접촉 검출 또는 자세 검출에 의해서 촬영 태세에 들어간 것이 판명되었을 경우에는, 즉시 시스템의 기동 처리가 행해진다.
다음에, 상기 (2-1)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에 있어서, 예를 들면, 검출부(13A)가, 정전 센서 및 각속도 센서 혹은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고 있고, 각 센서의 출력 신호가 비교기(15)에 송출된다. 또한, 데이터 기억부(16)에는, 출하시에 데이터 기입장치(18)를 이용하여 기입된 임계치 데이터가 센서마다 격납되어 있고, 각각의 임계치 데이터가 독출되어 비교기(15)에 보내지든지, 혹은, 비교기(15)에 대한 외부의 회로(19)에 의해, 센서 마다의 정수치를 출하시에 조정하여 임계치가 각각 설정된다.
비교기(15)의 출력, 즉, 2치화 된 신호가 인터럽션 발생기(20)에 송출되고, 연산 처리부(17)에 대해서 인터럽트 된다.
상기 「고속」모드의 설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도 15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기동처리 예의 주요부를 설명한다.
먼저, 각 센서의 검출신호가 제 2의 제어수단(4b)에 송출되면, 스텝(ST40)에서는, 정전 센서에 의한 검출신호와, 그 임계치를 나타내는 신호가 비교기(15)에서 비교된다. 그리고, 센서의 검출치가 임계치에 의해 규정되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음 스텝(ST41)으로 진행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센서의 검출치의 감시를 계속한다.
스텝(ST41)에서는, 각속도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에 의한 검출신호와, 임계치를 나타내는 신호가 비교기(15)에 송출되고, 양자가 비교된다. 그리고, 센서 의 검출치가 임계치에 의해 규정되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음 스텝(ST42)으로 진행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ST40)으로 돌아오고, 센서에 의한 검출치의 감시를 계속한다.
스텝(ST42)에서는, 2치화 된 신호가 비교기(15)로부터 인터럽션 발생기(20)에 보내지고, 여기서 발생되는 인터럽션 신호가 연산 처리부(17)에 보내지고, 슬리프 상태가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서, 다음 스텝(ST43)에서는, 연산 처리부(17)가 소정의 동작 속도를 가지고 처리를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9의 스텝(ST4)으로 진행된다.
이 이후의 처리는, 도 9에 있어서 설명한 대로이지만, 스텝(ST7)에 있어서 연산 처리부(17)를 구성하는 CPU 코어 등이 슬리프 상태로 규정된 후에는, 도 15의 스텝(ST40)으로 돌아온다.
또한, 장치의 자세 검출을 선행시키는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스텝(ST40)에 있어서 각속도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에 의한 검출치와 임계치를 비교하고, 스텝(ST41)에서, 정전 센서에 의한 검출치와 임계치를 비교하면 좋다.
어쨌든, 접촉 검출 및 자세 검출에 의해서 촬영 태세에 들어간 것의 판정이 2치화 된 신호에 근거하여 확실히 행해지고, 시스템의 기동 처리가 행해진다.
상기 「최고속」모드의 설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의, 시스템 기동 처리예로서는, 도 16에 있어서, 먼저, 각 센서의 검출신호가 제 2의 제어수단(4b)에 송출된다.
스텝(ST50)에서는, 정전 센서에 의한 검출신호와, 그 임계치를 나타내는 신 호가 비교기(15)에서 비교된다. 그리고, 센서의 검출치가 임계치에 의해 규정되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음 스텝(ST51)으로 진행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ST53)으로 진행된다.
스텝(ST51)에서는, 비교기(15)로부터의 2치화 된 신호를 인터럽션 발생기(20)가 받는다. 이것에 의해, 연산 처리부(17)에 대해서 인터럽션 신호가 발생되어, 슬리프 상태가 해제되고, 다음 스텝(ST52)에서는, 연산 처리부(17)가 소정의 동작 속도를 가지고 처리를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9의 스텝(ST4)으로 진행된다.
스텝(ST53)에 있어서, 각속도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에 의한 검출신호와, 데이터 기억부(16)로부터의 임계치를 나타내는 신호가 비교기(15)에 송출되고, 양자가 비교된다. 그리고 , 센서의 검출치가 임계치에 의해 규정되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음 스텝(ST74)으로 진행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ST50)으로 돌아오고, 센서에 의한 검출치의 감시를 계속한다.
스텝(ST54)에서는, 비교기(15)로부터의 2치화 된 신호를 인터럽션 발생기(20)가 받는다. 이것에 의해, 연산 처리부(17)에 대해서 인터럽션 신호가 발생되어, 슬리프 상태가 해제되고, 다음 스텝(ST55)에서는, 연산 처리부(17)가 소정의 동작 속도를 가지고 처리를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9의 스텝(ST4)으로 진행된다.
이 이후의 처리는, 도 9에 있어서 설명한 대로이지만, 스텝(ST7)에 있어서 연산 처리부(17)를 구성하는 CPU 코어 등이 슬리프 상태로 규정된 후에는, 도 16의 스텝(ST50)으로 돌아온다.
또한, 장치의 자세 검출을 선행시키는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스텝(ST50)에 있어서 각속도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에 의한 검출치와 임계치를 비교하고, 스텝(ST53)에서, 정전 센서에 의한 검출치와 임계치를 비교하면 좋다.
어쨌든, 접촉 검출 또는 자세 검출에 의해서 촬영 태세에 들어갔던 것이 2치화 된 신호에 근거하여 판명되었을 경우에는, 즉시 시스템의 기동 처리가 행해진다.
다음에, 상기 (2-2)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에 있어서, 예를 들면, 검출부(13B)가, 정전 센서 및 각속도 센서 혹은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고 있고, 각 센서의 출력신호가 비교기(15)에 송출되든지 또는 시리얼 통신에 의해 연산 처리부(17)에 송출된다. 또한, 데이터 기억부(16)에는 출하시에 데이터 기입장치(18)를 이용하여 기입된 임계치 데이터가 센서마다 격납되어 있고, 각각의 임계치 데이터가 독출되어 연산 처리부(17)에 보내진다. 혹은, 비교기(15)에 대한 외부의 회로(19)에 의해, 센서 마다의 정수치를 출하시에 조정하여 임계치가 각각 설정된다.
비교기(15)의 출력신호는, 시리얼 통신부(21)를 거쳐서, 제 2의 제어수단(4b)을 구성하는 시리얼 통신 및 인터럽션 발생부(22)에 송출되고, 여기서 발생되는 인터럽션 신호가 연산 처리부(17)에 보내진다. 혹은, 검출부(13B)로부터의 검출 데이터가 연산 처리부(17)에 송신되고, 여기서 검출치와 데이터 기억부(16)로부터의 임계치가 비교된다.
상기 「고속」모드의 설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의, 시스템 기동 처리예로서는, 도 15에 있어서, 먼저, 각 센서의 검출신호가 제 2의 제어수단(4b)에 송출된다.
스텝(ST40)에서는, 예를 들면, 정전 센서에 의한 검출신호와, 그 임계치를 나타내는 신호가 비교기(15)에 송출되고, 양자가 비교된다. 그리고, 센서의 검출치가 임계치에 의해 규정되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음 스텝(ST41)으로 진행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센서의 검출치의 감시를 계속한다.
스텝(ST41)에서는, 각속도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에 의한 검출신호와, 임계치를 나타내는 신호가 비교기(15)에서 비교된다. 그리고, 센서의 검출치가 임계치에 의해 규정되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음 스텝(ST42)으로 진행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ST40)으로 돌아오고, 센서에 의한 검출치의 감시를 계속한다.
스텝(ST42)에서는, 비교기(15)로부터 시리얼 통신부(21)를 거쳐서 신호가 시리얼 통신 및 인터럽션 발생부(22)에 보내지고, 여기서 발생되는 인터럽션 신호가 연산 처리부(17)에 보내지고, 슬리프 상태가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서, 다음 스텝(ST43)에서는, 연산 처리부(17)가 소정의 동작 속도를 가지고 처리를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9의 스텝(ST4)으로 진행된다.
이 이후의 처리는, 도 9에 있어서 설명한 대로이지만, 스텝(ST7)에 있어서 연산 처리부(17)를 구성하는 CPU 코어 등이 슬리프 상태로 규정된 후에는, 도 15의 스텝(ST40)으로 돌아온다.
또한, 본례에서는, 정전 센서에 의한 검출, 즉, 접촉 검출을 선행시키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장치의 자세 검출을 선행시켜, 예를 들면, 스텝(ST40)에 있어서 각속도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에 의한 검출치와 임계치를 비교하고, 스텝(ST41)에서, 정전 센서에 의한 검출치와 임계치를 비교해도 상관없다.
어쨌든, 접촉 검출 및 자세 검출에 의해서 촬영 태세에 들어간 것의 판정이 시리얼 통신을 거쳐서 확실히 행해지고, 시스템의 기동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검출부(13B)의 비교기(15)를 이용하지 않는 형태에서는, 스텝(ST40, ST41)에 있어서, 각 센서의 검출 데이터가 시리얼 통신에 의해서 연산 처리부(17)에 보내져 인터럽션이 발생하고, 여기서 각각의 검출치가 데이터 기억부(16)로부터의 임계치와 비교된다. 그 결과, 촬영 태세로의 개시가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스텝(ST41)으로부터 직접 ST43으로 진행되어 CPU 코어 등이 소정의 동작 속도로 처리를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최고속」모드의 설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의, 시스템 기동 처리예로서는, 도 16에 있어서, 먼저, 각 센서의 검출신호가 제 2의 제어수단(4b)에 송출된다.
스텝(ST50)에서는, 예를 들면, 정전 센서에 의한 검출신호와 임계치를 나타내는 신호가 비교기(15)에서 비교된다. 그리고, 센서의 검출치가 임계치에 의해 규정되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음 스텝(ST51)으로 진행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ST53)으로 진행된다.
스텝(ST51)에서는, 비교기(15)로부터 시리얼 통신부(21)를 거쳐서 신호가 시 리얼 통신 및 인터럽션 발생부(22)에 보내지고, 이것에 의해, 연산 처리부(17)에 대해서 인터럽션 신호가 발생되어, 슬리프 상태가 해제된다. 다음 스텝(ST52)에서는, 연산 처리부(17)가 소정의 동작 속도를 가지고 처리를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9의 스텝(ST4)으로 진행된다.
스텝(ST53)에 있어서, 각속도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에 의한 검출신호와, 데이터 기억부(16)로부터의 임계치를 나타내는 신호가 비교기(15)에 송출되고, 양자가 비교된다. 그리고 , 센서의 검출치가 임계치에 의해 규정되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음 스텝(ST54)으로 진행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ST50)으로 돌아오고, 센서에 의한 검출치의 감시를 계속한다.
스텝(ST54)에서는, 비교기(15)로부터 시리얼 통신부(21)를 거쳐서 신호가 시리얼 통신 및 인터럽션 발생부(22)에 보내진다. 이것에 의해, 연산 처리부(17)에 대해서 인터럽션 신호가 발생되어, 슬리프 상태가 해제된다. 다음 스텝(ST55)에서는, 연산 처리부(17)가 소정의 동작 속도를 가지고 처리를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9의 스텝(ST4)으 진행된다.
이 이후의 처리는, 도 9에 있어서 설명한 대로이지만, 스텝(ST7)에 있어서 연산 처리부(17)를 구성하는 CPU 코어 등이 슬리프 상태로 규정된 후에는, 도 16의 스텝(ST50)으로 돌아온다.
또한, 장치의 자세 검출을 선행시키는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스텝(ST50)에 있어서 각속도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에 의한 검출치와 임계치를 비교하고, 스텝(ST53)에서, 정전 센서에 의한 검출치와 임계치를 비교하면 좋다.
어쨌든, 접촉 검출 또는 자세 검출에 의해서 촬영 태세에 들어간 것이 시리얼 통신을 거쳐서 판명되었을 경우에는, 즉시 시스템의 기동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검출부(13B)의 비교기(15)를 이용하지 않는 형태에서는, 스텝(ST50, ST53)에 있어서, 각 센서의 검출 데이터가 시리얼 통신에 의해서 연산 처리부(17)에 보내지고, 여기서 각각의 검출치가 데이터 기억부(16)로부터의 임계치와 비교된다. 그 결과, 촬영 태세로의 이행 개시가 판단되었을 경우에 스텝(S52나 ST55)으로 진행되어 CPU 코어 등이 소정의 동작 속도로 처리를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상에 설명한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아래에 나타내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시스템의 기동성에 있어서
종래의 장치에서는, 전원 스위치를 누르고 나서 기동 완료까지, 빨라도 1초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 그 때문에, 일순간으로 통과하는 피사체 등을 찍고 싶은 순간이 있었다고 해도, 잘못 찍는 경우가 일어난다. 이것에 대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촬영 태세로의 이행이나 그 예비적 동작을 정전 센서나 각속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검출하고, 시스템을 유저가 알아차리지 못하는 배경으로 기동시킴으로써, 즉시 촬영 처리를 개시할 수 있는 상태를 보증할 수 있다. 그 결과, 셔터 찬스를 놓치는 확률이 저감된다.
·시스템의 소비 전력에 있어서
시스템의 기동 시간을 제로로 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예를 들면, 항상 시 스템으로의 전원 공급을 행하여 촬영 가능 상태를 확보하는 방법에서는, 그 대상으로서 아무래도 소비 전력의 증가에 의해 배터리로의 구동 시간이 짧아진다. 이것으로는, 편리성의 면에서 문제가 있고, 충전이 끝난 배터리 등을 상비하여 휴대해야 한다. 이것에 대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장치로의 접촉 검출이나 장치 자세의 검출, 스위치 조작 등을 감시하기 위해서, 필요 최저한도의 소비 전력에서도 장치를 대기 상태로 두고, 촬영 태세에 들어간 것이 판명되었을 경우에 시스템으로의 전원 공급을 본격적으로 개시시켜 촬영 가능한 상태로 이행시킨다. 즉, 시스템의 전원을 항상 온(ON)으로 하는 것이 아니고, 유저가 촬영을 의도하지 않는 대기 상태에 있어서 쓸데없는 전력이 소비되는 것이 없기 때문에, 절전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어, 휴대형 기기 등으로의 적용에 있어서 배터리의 구동 시간을 연장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촬영 태세에 들어간 것을 검출한 시점에서 촬영의 준비처리를 개시시키는 것으로 기동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항상 촬영 가능한 급전상태로 할 필요가 없고, 촬영을 행하지 않을 때에는 저소비 전력으로의 대기 상태로 하고, 전력 절약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기동시간 그 자체를 제로로 하는 것은 곤란한 것에 감안하여, 촬영 태세로의 이행의 검출 시점을 기점으로서 상기 제 1의 전력 제어상태로 이행시킴으로써, 기동성의 향상과 전력 절약화의 양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촬영 동작 가능한 급전상태로 이행시킨 다음에, 전원 투입조작이 행해지지 않던지 또는 촬영 태세로의 변화를 나타내는 신호가 검출되지 않게 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 1의 제어수단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킴으로써, 대기 상태로의 소비 전력을 저감 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 1의 전력 제어상태로의 이행 후에 있어서, 전원 투입조작이 행해지지 않던지 또는 촬영 태세로의 변화를 나타내는 신호가 검출되지 않게 되었을 경우에는, 촬영의 의사가 없는지 또는 그 개연성이 높은 것이라고 판단하여 상기 제 2의 전력 제어상태(전력 절약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촬영 태세로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으로서, 장치로의 접촉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설치한 구성에 의하면, 촬영의 예비 단계로서 유저가 촬상장치에 접한 것을 검출했을 경우에 상기 제 1의 전력 제어상태로 이행시킬 수 있다. 혹은 검출수단으로서, 장치 본체의 자세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설치한 구성에 의하면, 촬영의 예비 단계로서 유저가 촬상장치를 파지 또는 움직인 것을 검출했을 경우에 상기 제 1의 전력 제어상태로 이행시킬 수 있다. 또, 이러한 센서를 조합한 검출 형태를 채용하여 검출 정밀도를 충분히 높일 수 있다.
촬영을 행하지 않는 대기 상태에서의 절전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검출수단으로부터 촬영 태세로의 변화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 2의 제어수단이 받았을 때에 이 제 2의 제어수단의 휴지 상태가 해제되어 이 수단으로부터 전원 공급부에 대해서 전원 공급의 지시신호가 송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6)

  1. 촬상처리와 관련되는 제어를 행하는 제 1의 제어수단과, 스위치를 포함한 조작수단 및 촬영 태세로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감시하여 처리함과 동시에 상기 제 1의 제어수단 보다 소비 전력이 작은 제 2의 제어수단과, 상기 제 1의 제어수단, 제 2의 제어수단 및 그 외 구성부에 전원 공급을 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및 화상 표시부와 화상 신호처리부로 구성되는 시스템 구성부를 구비한 촬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제 2의 제어수단으로의 전원 공급을 행하고 있는 전력 절약 상태에서,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 촬영 태세로의 변화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제 2의 제어수단이 받았을 경우에,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제 1의 제어수단과, 상기 시스템 제어부의 화상신호 처리부와 화상표시부에 전원 공급을 행하여 촬영 동작 가능한 급전상태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촬영 동작 가능한 상기 급전상태로 이행한 후에, 전원 투입 조작이 행하여지지 않았는지 또는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 촬영 태세로의 변화를 나타내는 신호가 검출되지 않게 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으로서, 상기 촬상장치와의 접촉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으로서, 장치 본체의 자세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 촬영 태세로의 변화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제 2의 제어수단이 받았을 때에, 이 제 2의 제어수단의 휴지상태가 해제되고 이 제어수단으로부터 상기 전원 공급부에 대해서 전원 공급의 지시 신호가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6. 촬상동작이 가능한 제 1의 전력 제어상태와, 이 제 1의 전력 제어상태 보다 소비 전력이 작은 제 2의 전력 제어상태를 포함한 급전상태의 제어기능을 구비한 촬상장치의 기동방법이며,
    상기 제 2의 전력 제어상태에서는, 스위치 조작 및 촬영 태세로의 변화를 감시하고 있고, 이 제 2의 전력 제어상태에서 촬영 태세로의 변화를 검출했을 경우에 상기 제 1의 전력 제어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의 기동방법.
KR1020060042777A 2005-05-16 2006-05-12 촬상장치 및 그 기동방법 KR1012318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42965A JP4505740B2 (ja) 2005-05-16 2005-05-16 撮像装置及びその起動方法
JPJP-P-2005-00142965 2005-05-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336A KR20060118336A (ko) 2006-11-23
KR101231872B1 true KR101231872B1 (ko) 2013-02-08

Family

ID=36845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2777A KR101231872B1 (ko) 2005-05-16 2006-05-12 촬상장치 및 그 기동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7) US7519289B2 (ko)
EP (4) EP3232659A1 (ko)
JP (1) JP4505740B2 (ko)
KR (1) KR101231872B1 (ko)
CN (1) CN10046669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5740B2 (ja) * 2005-05-16 2010-07-21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起動方法
KR100849799B1 (ko) 2006-11-28 2008-07-31 삼성전기주식회사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 등화방식을 공용하는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수신기 및 시간 영역 등화기
US8250921B2 (en) * 2007-07-06 2012-08-28 Invensense, Inc. Integrated motion processing unit (MPU) with MEMS inertial sensing and embedded digital electronics
WO2009008411A1 (ja) * 2007-07-09 2009-01-15 Sony Corporation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TWI373708B (en) * 2007-11-27 2012-10-01 Htc Corp Power management method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5272673B2 (ja) * 2008-11-12 2013-08-28 株式会社ニコン 電子カメラ
KR101660837B1 (ko) * 2008-12-16 2016-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순간 포착을 위한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
JP5509817B2 (ja) * 2008-12-25 2014-06-04 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像装置
JP5495602B2 (ja) * 2009-04-02 2014-05-21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影装置および撮影方法
US8339626B2 (en) * 2009-09-08 2012-1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113064B2 (en) * 2009-11-05 2015-08-18 Olympus Corporation Image pickup apparatus and image acquisition method
KR101643617B1 (ko) * 2010-07-28 201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
DE102010043917A1 (de) * 2010-11-15 2012-05-16 Leica Microsystems (Schweiz) Ag Bedieneinheit für ein Mikroskop
DE102010043919A1 (de) * 2010-11-15 2012-05-16 Leica Microsystems (Schweiz) Ag Tragbares Mikroskop
TWI464691B (zh) * 2010-11-16 2014-12-11 Pixart Imaging Inc 影像感測模組與光學訊號處理裝置
JP5703806B2 (ja) * 2011-02-08 2015-04-22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5793011B2 (ja) * 2011-07-06 2015-10-14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5841409B2 (ja) 2011-11-09 2016-01-13 任天堂株式会社 制御プログラム、入力端末装置、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US8581870B2 (en) * 2011-12-06 2013-11-12 Apple Inc. Touch-sensitive button with two levels
JP2013175169A (ja) * 2012-01-27 2013-09-05 Panasonic Corp 電子機器および撮像装置
KR20130112626A (ko) * 2012-04-04 2013-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디어 기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JP5963512B2 (ja) * 2012-04-13 2016-08-03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EP2706433B1 (en) * 2012-05-25 2018-04-18 Nintendo Co., Ltd. Operation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10429961B2 (en) 2012-05-25 2019-10-01 Nintendo Co., Ltd. Controller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WO2013175629A1 (ja) 2012-05-25 2013-11-28 任天堂株式会社 操作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JP5943752B2 (ja) 2012-07-18 2016-07-0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交換レンズ、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US9063731B2 (en) 2012-08-27 2015-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ltra low power apparatus and method to wake up a main processor
US9065955B2 (en) * 2012-10-15 2015-06-23 Fuji Xerox Co., Ltd.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KR101496924B1 (ko) * 2013-07-08 2015-03-04 주식회사 레이언스 이미지센서와 그 구동방법
US9503320B2 (en) * 2013-07-30 2016-11-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Operation image manager
KR102090273B1 (ko) 2013-08-14 2020-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5785288B2 (ja) * 2014-03-03 2015-09-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影装置および撮影装置の制御方法
CN105302432B (zh) * 2014-06-09 2018-11-09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可携式装置以及操作方法
US9648237B2 (en) 2014-06-09 2017-05-09 Htc Corporation Portable device and manipulation method for triggering different functions with a manipulation input
US10140827B2 (en) 2014-07-07 2018-11-27 Google Llc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motion event notifications
US9779307B2 (en) * 2014-07-07 2017-10-03 Google Inc. Method and system for non-causal zone search in video monitoring
JP2016063452A (ja) * 2014-09-19 2016-04-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
US10291847B2 (en) * 2015-02-26 2019-05-14 Htc Corporation Portable device and manipulation method
CN107770452B (zh) * 2015-05-19 2020-01-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照方法及终端和相关介质产品
US10432858B2 (en) * 2015-06-04 2019-10-0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having power control to control power state
KR102429426B1 (ko) 2015-07-09 2022-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5941584B2 (ja) * 2015-07-23 2016-06-2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携帯端末、携帯端末の電源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撮影装置
JP6010195B2 (ja) * 2015-07-23 2016-10-1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および携帯情報端末の制御方法
JP6719941B2 (ja) 2016-03-27 2020-07-08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電子部品搭載部材、及び撮像装置
US9629532B1 (en) * 2016-05-26 2017-04-25 Dental Smartmirror, Inc. System for in-room use of an intraoral mirror with an integrated camera, and applications thereof
JP6506433B2 (ja) * 2018-03-19 2019-04-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情報端末、情報端末の電源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00090438A (ko) 2019-01-21 2020-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TWI758960B (zh) * 2020-11-19 2022-03-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5320A (ja) * 2002-04-23 2004-01-08 Konica Minolta Holdings Inc 電子機器、カメラ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JP2004120204A (ja) * 2002-09-25 2004-04-15 Fuji Photo Film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53052A (en) * 1975-04-21 1979-04-24 Edwin H. Land Camera with detachable electronic flash unit and exposure control system therefor
JPS52119316A (en) * 1976-03-31 1977-10-06 Canon Inc Lock mechanism for electromagnetic release
JPS5320322A (en) * 1976-08-10 1978-02-24 Minolta Camera Co Ltd Light measure display circuit for camera
US4727240A (en) * 1986-08-11 1988-02-23 Black & Decker Inc. Electric iron with dual automatic cutoff
US4827347A (en) 1988-08-22 1989-05-02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nic camera with proofing feature
GB8904535D0 (en) 1989-02-28 1989-04-12 Barcrest Ltd Automatic picture taking machine
US5008497A (en) * 1990-03-22 1991-04-16 Asher David J Touch controller
JPH04285921A (ja) * 1991-03-14 1992-10-12 Nikon Corp カメラシステム
US5900856A (en) * 1992-03-05 1999-05-04 Seiko Epson Corporation Matrix display apparatus, matrix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atrix display drive apparatus
US5380983A (en) * 1993-07-12 1995-01-10 Black & Decker Inc. Electrical appliance having user proximity sensor
JPH07168277A (ja) * 1993-12-14 1995-07-04 Nikon Corp 撮影画面サイズを切り換え可能なカメラ
JP3423088B2 (ja) * 1993-12-27 2003-07-07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電源電圧測定可能なカメラ
JPH08139980A (ja) 1994-11-08 1996-05-31 Canon Inc 撮像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3623967B2 (ja) * 1995-03-08 2005-02-23 株式会社 日立製作所 携帯用マルチメディア通信端末装置
JPH1013779A (ja) 1996-06-25 1998-01-16 Nikon Corp 情報処理装置
US5845161A (en) 1997-02-28 1998-12-01 Eastman Kodak Company Stylus based electronic annotation camera
JP4051727B2 (ja) * 1997-07-17 2008-02-27 株式会社ニコン 表示機能を有するカメラ
US5923908A (en) * 1997-10-30 1999-07-13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with touch sensitive control
US7760187B2 (en) * 2004-07-30 2010-07-20 Apple Inc. Visual expander
JP4164202B2 (ja) * 1998-10-08 2008-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駆動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3564031B2 (ja) * 1999-03-16 2004-09-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電子スチルカメラ
JP4174923B2 (ja) 1999-07-23 2008-11-05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装着型カメラ
US6459424B1 (en) * 1999-08-10 2002-10-01 Hewlett-Packard Company Touch-sensitive input screen having regional sensitivity and resolution properties
US6492979B1 (en) * 1999-09-07 2002-12-10 Elo Touchsystems, Inc. Dual sensor touchscreen utilizing projective-capacitive and force touch sensors
AU2001243285A1 (en) * 2000-03-02 2001-09-12 Donnelly Corporation Video mirror systems incorporating an accessory module
JP2002040536A (ja) 2000-07-28 2002-02-06 Fuji Photo Optical Co Ltd カメラの電源制御方法
JP2002290802A (ja) 2001-03-28 2002-10-04 Sony Corp 省電モード制御方法及び電子撮像装置
US7254775B2 (en) * 2001-10-03 2007-08-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uch panel system and method for distinguishing multiple touch inputs
JP2003131760A (ja) * 2001-10-25 2003-05-09 Casio Comput Co Ltd 電源制御装置及び電源制御方法
JP3772768B2 (ja) 2002-03-14 2006-05-10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撮像装置および電源制御方法
US7495652B2 (en) 2002-04-23 2009-02-2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ointing device enabling means, input device and portable device incorporating same
JP4301493B2 (ja) * 2003-04-09 2009-07-2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
US7102626B2 (en) 2003-04-25 2006-09-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ulti-function pointing device
JP2004354878A (ja) * 2003-05-30 2004-12-16 Minolta Co Ltd 撮像装置
CN1571457A (zh) 2003-07-14 2005-01-26 张逶 手机、电话多角信息嵌入技术
JP2005072808A (ja) * 2003-08-21 2005-03-17 Toshiba Corp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US7123829B2 (en) * 2003-08-29 2006-10-17 Ricoh Company, Ltd. Digital camera and power supply apparatus used therefor
US7304681B2 (en) * 2004-01-21 2007-12-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focus and exposure in a digital imaging device
US20050219228A1 (en) * 2004-03-31 2005-10-06 Motorola, Inc. Intuitive user interface and method
CN1264338C (zh) * 2004-05-10 2006-07-12 东南大学 摄像机图像增稳方法及其辅助装置
US7292142B2 (en) * 2004-10-20 2007-11-0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security systems by periodic check in with remote facility
US20060202925A1 (en) * 2004-12-07 2006-09-14 William Manning Remote cholesteric display
JP2006162974A (ja) * 2004-12-07 2006-06-22 Nikon Corp カメラ
US20070030137A1 (en) * 2005-01-21 2007-02-08 Autotronic Control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vehicle display
WO2006090359A2 (en) * 2005-02-24 2006-08-31 Mteye Security Ltd. Device, system, and method of reduced-power imaging
JP4419903B2 (ja) * 2005-04-15 2010-02-24 ソニー株式会社 入力装置、入力方法およ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ならびに、再生装置、再生制御方法および再生制御プログラム
JP4505740B2 (ja) * 2005-05-16 2010-07-21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起動方法
US7697827B2 (en) * 2005-10-17 2010-04-13 Konicek Jeffrey C User-friendlier interfaces for a camera
US8279180B2 (en) * 2006-05-02 2012-10-02 Apple Inc. Multipoint touch surface controller
US20080278454A1 (en) * 2007-05-08 2008-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etting touch sensitivity in portable terminal
US9250036B2 (en) * 2012-03-05 2016-02-02 Burris Company, Inc. Optical device utilizing ballistic zoom and methods for sighting a targ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5320A (ja) * 2002-04-23 2004-01-08 Konica Minolta Holdings Inc 電子機器、カメラ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JP2004120204A (ja) * 2002-09-25 2004-04-15 Fuji Photo Film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48015A1 (en) 2013-06-13
EP3232659A1 (en) 2017-10-18
US9066012B2 (en) 2015-06-23
US8145053B2 (en) 2012-03-27
EP3236649A1 (en) 2017-10-25
EP2955911A1 (en) 2015-12-16
EP1725024A2 (en) 2006-11-22
US20090304375A1 (en) 2009-12-10
US20100245605A1 (en) 2010-09-30
US8498531B2 (en) 2013-07-30
US20190124263A1 (en) 2019-04-25
US8676052B2 (en) 2014-03-18
US10200611B2 (en) 2019-02-05
EP3236649B1 (en) 2019-12-11
US20160277682A1 (en) 2016-09-22
US8254777B2 (en) 2012-08-28
US20180007266A1 (en) 2018-01-04
US20200092477A1 (en) 2020-03-19
US9800783B2 (en) 2017-10-24
US20140247388A1 (en) 2014-09-04
US20060285843A1 (en) 2006-12-21
US9503642B2 (en) 2016-11-22
US20120262625A1 (en) 2012-10-18
US20160021310A1 (en) 2016-01-21
KR20060118336A (ko) 2006-11-23
JP2006319895A (ja) 2006-11-24
US9794481B2 (en) 2017-10-17
US20150237256A1 (en) 2015-08-20
US20170034439A1 (en) 2017-02-02
CN100466692C (zh) 2009-03-04
US9386224B2 (en) 2016-07-05
CN1867046A (zh) 2006-11-22
US20170324903A1 (en) 2017-11-09
US20090175614A1 (en) 2009-07-09
EP1725024A3 (en) 2012-01-04
US10044935B2 (en) 2018-08-07
US20130314592A1 (en) 2013-11-28
US7519289B2 (en) 2009-04-14
US8687955B2 (en) 2014-04-01
US8190018B2 (en) 2012-05-29
JP4505740B2 (ja) 2010-07-21
US8781316B2 (en) 2014-07-15
US20140016028A1 (en) 201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1872B1 (ko) 촬상장치 및 그 기동방법
US7765334B2 (en) Electronic apparatus for use with removable storage medium,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US20100013778A1 (en) Portable electronis device and the mode switching method thereof
US5920726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ower conditions within a digital camera device
JP4849352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起動方法
US201300549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ooting electronic device based on use context
KR100655274B1 (ko) 저 전력 소비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 론처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