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5274B1 - 저 전력 소비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 론처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저 전력 소비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 론처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5274B1
KR100655274B1 KR1019990030694A KR19990030694A KR100655274B1 KR 100655274 B1 KR100655274 B1 KR 100655274B1 KR 1019990030694 A KR1019990030694 A KR 1019990030694A KR 19990030694 A KR19990030694 A KR 19990030694A KR 100655274 B1 KR100655274 B1 KR 100655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ch
computer system
launcher
switch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0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1374A (ko
Inventor
오재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30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5274B1/ko
Priority to TW089114909A priority patent/TWI232370B/zh
Publication of KR20010011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1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5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5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25User interface arrangements, e.g. keyboard, display; Interfaces to other compute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ower Sour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개시되는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는 멀티 포인트 스위치(multi point switch)를 갖는 응용프로그램 론처(application program launcher)를 구비한다. 사용자는 론처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선택 메뉴(program selecting menu)에 등록된 다수개의 응용프로그램들 중의 하나를 선택해 즉각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핸드-헬드 컴퓨터가 저 전력 슬립 모드(low power consumption sleep mode) 상태에 있는 경우 론처로부터 론칭 신호가 발생되면 핸드-헬드 컴퓨터는 슬립 모드에서 깨어나 정규 모드로 되며 더불어 프로그램 선택 메뉴가 화면에 표시된다. 론처로부터 입력이 있은 후 일정 시간이 지나는 동안에 응용 프로그램의 선택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핸드-헬드 컴퓨터는 즉시 저 전력 소비 슬립 모드로 진입하여 불필요한 배터리 전원의 소비를 방지한다.

Description

저 전력 소비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 론처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portable computer system having application program launcher for low power consump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헬드 컴퓨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멀티 포인트 스위치 방식의 론처 스위치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헬드 컴퓨터의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적인 블록도;
도 4는 론처 프로그램의 메뉴 리스트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3의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 수순을 보여주는 흐름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핸드-헬드 컴퓨터 20: 외부 충전기
30: 스타일러스 40: 론처 스위치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portable computer system)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팜탑 컴퓨터(palmtop computer) 또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등과 같은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팜탑 컴퓨터 또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핸드-헬드 컴퓨터는 약속 일정, 주소록, 메모, 팩스 모뎀 등등 개인의 여러 가지 일상적인 업무를 돕기 위한 여러 도구들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손바닥 크기의 휴대용 컴퓨터 장치이다. 이 장치는 스타일러스(stylus)와 같은 팬 입력 장치와 필기 인식 기술을 이용해 개인 정보를 관리한다. 이 장치는 손으로 쓴 정보를 입력할 수 있어 전자수첩처럼 개인의 정보 관리나 일정 관리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데스크 탑 컴퓨터와의 정보 교류, 팩시밀리 송신, 데이터 통신 등의 외부 통신 기능도 수행한다.
핸드-헬드 컴퓨터는 응용 프로그램을 즉각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응용 프로그램 론칭 버튼 스위치들(application program launching button switches)을 구비하기도 하는데, 사용자는 이 론칭 버튼 스위치들을 사용하여 각 론칭 버튼 스위치에 대응된 특정 응용 프로그램을 즉각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소록 응용 프로그램, 팩스 송수신 프로그램 등의 특정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핸드-헬드 컴퓨터에 관련된 기술이 1999년 5월 4일자로 Robert Yuji Hait 등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5,900,875,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NG WITH A PORTABLE COMPUTER SYSTEM"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특정 응용 프로그램을 바로 실행할 수 있는 다수개의 론칭 버튼 스위치를 구비한 핸드-헬드 컴퓨터는 사용자가 일일이 여러 단계의 동작 과정을 거 처 특정 응용 프로그램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하였다. 그러나, 사용자가 핸드-헬드 컴퓨터를 휴대하고 이동 중일 때 사용자도 모르게 이 론칭 버튼 스위치가 눌려져 원치 않는 응용 프로그램이 론칭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배터리 전원 소비가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특정된 응용 프로그램을 즉각적으로 실행하되 사용자가 원치 않는 동작의 실행을 방지하는 응용 프로그램 론처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컴퓨터 시스템은: 운영체제, 복수의 응용 프로그램들 및,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응용 프로그램들의 선택 및 실행을 위한 론처; 상기 론처는 하나의 가동 접점과 다수개의 고정 접점들을 갖는 멀티 포인트 스위치를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가동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들 중의 하나가 연결될 때 상기 스위치의 연결 상태에 대응하는 론칭 신호를 발생하며; 그리고 상기 론칭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들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멀티 포인트 스위치의 상기 가동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들 중의 하나가 연결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 상에 프로그램 선택 메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론칭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프로그램 선택 메뉴 상의 응용프로그램 항목들이 스크롤 되도록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선택 메뉴는 어떤 응용 프로그램의 항목도 아닌 블랭크 항목을 구비하고, 상기 블랭크 항목은 상기 프로그램 선택 메뉴가 표시될 때 최초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컴퓨터 시스템은: 다수개의 응용 프로그램이 등록된 론처 프로그램; 슬립 모드를 갖고, 상기 슬립 모드에서 깨어나도록 하는 인터럽트 라인들을 갖고, 상기 인터럽트 라인들을 통해 제공되는 론칭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론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인터럽트 처리기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그리고 적어도 2개 이상의 스위치 접점을 갖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스위치 접점 중 어느 하나의 스위치 접점이 스위칭 될 때 상기 인터럽트 라인으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는 론처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론처 프로그램은 상기 론처 스위치에 의해 선택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론처 스위치는: 가동 접점; 상기 가동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상기 론처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제1 론칭 신호를 발생하는 제1 고정 접점; 그리고 상기 가동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상기 론처 프로그램에 등록된 응용 프로그램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 론칭 신호를 발생하는 제2 고정 접점 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동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상기 제2 론칭 신호에 의해 커서가 이동하는 방향에 역 방향으로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3 론칭 신호를 발생하는 제3 고정 접점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다수개의 응용 프로그램이 등록된 론처 프로그램, 하나의 가동 접점과 다수개의 고정 접점을 갖는 멀티 포인트 스위치를 갖고 상기 가동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들 중 하나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론칭 신호를 발생하는 론처 스위치 및, 슬립 모드를 갖고 상기 론칭 신호에 응답해서 깨어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론처 스위치로부터 론칭 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론처 스위치로부터 론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컴퓨터 시스템이 정규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 시스템이 정규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컴퓨터 시스템을 정규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일정 시간 내에 상기 론처 스위치로부터 응용 프로그램 선택 및 실행을 위한 론칭 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일정 시간 내에 응용 프로그램 선택 및 실행을 위한 론칭 신호가 입력되면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 그리고 일정 시간 내에 응용 프로그램 선택 및 실행을 위한 론칭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컴퓨터 시스템을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핸드-헬드 컴퓨터는 멀티 포인트 스위치(multi point switch)를 갖는 응용프로그램 론처(application program launcher)를 구비하고, 사 용자는 론처를 사용하여 론처 프로그램(launcher program)의 메뉴 리스트(menu list)에 등록된 응용프로그램들 중의 하나를 선택해 즉각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론처의 입력 후 일정 시간이 지나는 동안에 응용 프로그램의 선택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핸드-헬드 컴퓨터는 즉시 저 전력 소비 슬립 모드(low power consumption sleep mode)로 진입하여 불필요한 배터리 전원의 소비를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헬드 컴퓨터를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핸드-헬드 컴퓨터(10)는 터치 센시티브 패널(touch sensitive panel)을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50)과 멀티 포인트 스위치(multi point switch)로 구성되는 론처 스위치(launcher switch)(40)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드-헬드 컴퓨터(10)는 외부 충전기(20)를 통해 내부 배터리(미도시)를 충전할 수 있고, 스타일러스(30)를 사용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50)의 터치 센시티브 패널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내부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론처 스위치(40)는 멀티 포인트 스위치(미도시)를 구비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 방향(D1), 아래 방향(D2) 및, 뒤 방향(D3) 각각에 대하여 스위칭 동작하여 그에 따른 각각의 론칭 신호가 발생된다. 이후 상세히 설명되겠지만, 사용자는 론처(50)를 사용하여 응용프로그램을 즉각적으로 실행할 수 있으며, 핸드-헬드 컴퓨터(50)를 파워 온 시키거나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헬드 컴퓨터의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적인 블록도 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핸드-헬드 컴퓨터(10)는 론처 스위치(40), 디스플레이 패널(50), 마이크로컴퓨터(60), 메모리(70), 전원 공급부(80) 및, 부가기능회로(9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50)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터치 센시티브 패널(52)을 포함하여 스타일러스(30)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마이크로컴퓨터(60)로 제공한다. 부가기능회로(90)는 핸드-헬드 컴퓨터의 다양한 부가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로서, 예를 들어, 모뎀 회로, 마이크로 폰 및 스피커로 구성된 음성 입출력 회로, 적외선 송수신 회로, 외부 컴퓨터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데이터 입출력 포트 등의 여러 가지 부가 기능 회로가 내장된다. 전원 공급부(8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 외부 직류 전원을 받아들일 수 있는 라인 및 배터리 충전을 위한 라인들을 구비한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80)는 대기 전원과 메인 전원으로 분리된 전원 공급 구조를 갖고 있으며, 대기 전원은 항상 마이크로컴퓨터(60)로 제공된다. 상기 메모리(70)에는 운영 시스템, 론처 프로그램 및 다수개의 응용 프로그램들(73)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론처 스위치(40)는 하나의 가동 접점(41)과 다수개의 고정 접점(43, 44, 45)을 갖는다. 상기 고정 접점들(43, 44, 45)은 전원 전압(Vcc)에 접속된 다수개의 저항들(R1, R2, R3)을 통해 각기 마이크로컴퓨터(60)의 인터럽트 라인들에 접속된다. 상기 가동 접점(41)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앞/뒤 아래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눌려질 때 복수개의 접점들(43, 44, 45) 중 대응되는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론칭 신호가 발생되며, 발생된 론칭 신호는 해당 인터럽트 라 인을 통해 마이크로컴퓨터(62)로 입력된다. 그리고 가동 접점(41)이 어느 방향으로도 눌려지지 않는 경우에는 무접점(42)에 위치한다. 사용자는 이 론처 스위치(40)를 사용하여 핸드-헬드 컴퓨터(10)를 파워 온/오프 시키거나 응용프로그램들을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다.
마이크로컴퓨터(60)는 론처 스위치(40), 디스플레이 패널(50), 메모리(70), 부가기능회로(90) 및 전원 공급부(80)에 각기 접속되어 핸드-헬드 컴퓨터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마이크로컴퓨터(60)는 인터럽트 제어기(62)를 구비하여 인터럽트 라인을 통해 론처 스위치(40)로부터 론칭 신호를 받아들이고, 각각의 론칭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메모리(70)에 저장된 론처 프로그램(72)은 다수개의 응용프로그램을 등록할 수 있는 메뉴 리스트를 구비한다. 도 4에는 론처 프로그램의 메뉴 리스트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바와 같이, 론처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디스플레이 패널(50)의 화면에는 메뉴 리스트(100)가 표시된다. 메뉴 리스트(100)에는 다수개의 응용 프로그램 항목들(120, 125, 130, 135)과 블랭크 항목(110)이 포함된다. 응용 프로그램 항목은 추가로 더 등록할 수 있으며, 삭제 및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블랭크 항목(110)은 론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초기에 선택되어 진다. 사용자는 론처 스위치(40)를 사용하여 메뉴 리스트(100)의 커서 위치를 이동하여 응용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메뉴 리스트(100)의 각 항목들 중에는 파워 오프 항목(미도시)과 슬립 모드 항목(미도시)이 포함되어 있어 사용자는 이 항목들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핸드-헬드 컴퓨터 를 파워 오프 시키거나 슬립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첨부 도면 도 5를 참조하여, 론처 스위치(40)의 입력에 따른 마이크로컴퓨터(60)의 제어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는 도 3의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 수순을 보여주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마이크로컴퓨터(60)는 단계 S100에서 론칭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즉, 론처 스위치(40)로부터 론칭 신호가 입력되면, 마이크로컴퓨터(60)는 내부적으로 인터럽트가 발생하게 되고, 내부 인터럽트 처리기(62)에 의해 인터럽트 처리 루틴이 수행된다. 이에 따라, 단계 S105에서 핸드-헬드 컴퓨터(10)가 파워 오프 상태인가를 판단한다.
파워 상태이면, 단계 S110으로 진행하여 일정 시간 이상으로 론칭 신호 입력이 계속되는가를 판단한다. 론칭 신호 입력이 일정 신간 이상 계속된 경우에 단계 S115로 진행하여 핸드-헬드 컴퓨터(10)를 파워 온 시킨다. 즉, 전원 공급부(80)가 메인 전원의 공급을 개시하도록 제어한다. 파워 오프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단계 S120에서 슬립 모드에 있는가를 판단한다. 슬립 모드인 경우, 단계 S125로 진행하여 일정 시간 이상 론칭 신호의 입력이 계속되는가를 판단하고, 일정 시간 이상 론칭 신호 입력이 계속된 경우에는 단계 S130으로 진행하여 핸드-헬드 컴퓨터(10)를 웨이크 업 시킨다.
핸드-헬드 컴퓨터(10)가 정규 상태에 있었거나 정규 상태로 된 경우, 단계 S135에서 디스플레이 패널(50)의 화면상에 메뉴 리스트(100)를 표시한다. 즉, 이 단계에서는 론처 프로그램(72)이 실행되어 메뉴 리스트(100)에 등록된 응용프로그 램들이 표시된다. 특히, 표시된 메뉴 리스트(100)의 중앙에는 블랭크 항목(110)이 위치하고, 커서는 이 블랭크 항목(110) 지시하고 있게 된다. 그러므로 만약 어떠한 원인에 의해 론처 스위치(40)가 조작된다 하더라도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의 제어 동작에서, 본 발명의 마이크로컴퓨터(60)는 핸드-헬드 컴퓨터(10)가 파워 오프 상태이거나 슬립 모드인 경우에 론처 스위치(40)로부터 일정 시간 이상 론칭 신호가 입력되어야 핸드-헬드 컴퓨터(10)를 파워 온 하거나 웨이크 업 시켜 메뉴 리스트(100)를 표시한다. 그리고 정규 상태인 경우에는 론칭 신호의 입력에 즉시 응답하여 메뉴 리스트(100)를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이러한 동작은 론칭 스위치(40)의 가동 접점(41)이 눌림 방향의 움직임에 의해 고정 접점(4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생되는 론칭 신호에 대해서만 응답하여 동작한다.
마이크로컴퓨터(60)는 메뉴 리스트(100)가 표시된 상태에서 다시 론칭 신호가 입력되는가를 단계 S140에서 판단한다. 론칭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145에서 지정된 대기 신간이 초과되었는가를 판단하고, 대기 시간이 초과된 경우에는 단계 S150에서 핸드-헬드 컴퓨터(10)를 슬립 모드로 전환시킨다. 그러므로 잘못된 론처 스위치(40)의 동작에 의해 핸드-헬드 컴퓨터(10)가 지속적으로 불필요한 전원을 소비하는 것을 방지한다. 론칭 신호가 입력되면, 단계 S140으로 진행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메뉴 선택인가를 판단한다. 즉, 응용 프로그램이 등록된 메뉴 항목을 선택하였는가를 판단한다. 응용 프로그램이 등록된 메뉴 항목의 선택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단계 S160으로 진행하여 선택된 응용 프로그 램을 실행하고 단계 S165에서 메뉴 리스트(100)를 소거한다.
응용 프로그램이 등록된 메뉴 항목의 선택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 S170으로 진행하여 메뉴 스크롤을 위한 론칭 신호의 입력인가를 판단하다. 즉, 론칭 스위치(40)의 가동 접점(41)이 전/후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눌려진 것인가를 판단한다. 이런 경우에는 단계 S175로 진행하여 메뉴 리스트의 커서를 대응되는 방향으로 스크롤 시킨다. 올바른 메뉴 선택이 아니 경우, 즉 블랭크 항목을 선택하는 론칭 신호의 입력인 경우에는 다시 단계 S140으로 진행하여 론칭 신호의 입력을 대기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모르는 상황에서 론칭 스위치(40)가 눌려져 핸드-헬드 컴퓨터(10)가 동작되더라도 올바른 메뉴 선택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으며,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슬립 모드로 전환되어 불필요한 전원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드-헬드 컴퓨터의 론칭 스위치가 잘못 눌려져 응용 프로그램이 동작되는 것을 방지하며, 잘못된 론칭 스위치의 입력에 따라 불필요한 전원 소비가 계속적으로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8)

  1.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응용 프로그램들이 등록된 복수의 응용프로그램 항목들과 응용 프로그램이 등록되지 않은 블랭크 항목을 포함하는 메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하는 론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뉴 리스트의 항목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 1 론칭 신호와 상기 선택된 항목에 등록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제 2 론칭 신호를 발생하는 론처 스위치;
    상기 제 1 및 제 2 론칭 신호들 중 어느 하나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론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론처 프로그램이 실행된 후 입력되는 제 1 및 제 2 론칭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항목에 등록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하되,
    상기 론처 프로그램은 상기 메뉴 리스트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되는 때에 상기 블랭크 항목이 자동 선택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는 상기 제 1 및 제 2 론칭 신호들 중 어느 하나에 응답하여 상기 컴퓨터 시스템이 정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컴퓨터 시스템이 정규 상태가 아닌 경우에 상기 컴퓨터 시스템을 정규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제 1 론칭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프로그램 선택 메뉴 상의 응용프로그램 항목들이 스크롤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는 상기 제 1 및 제 2 론칭 신호들이 소정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컴퓨터 시스템을 정규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는 상기 론처 스위치와 인터럽트 라인으로 연결되어 상기 컴퓨터 시스템을 정규 상태로 전환하는 인터럽트 처리기를 포함하며,
    상기 론처 스위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스위치 접점을 갖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스위치 접점 중 어느 하나의 스위치 접점이 스위칭 될 때, 상기 인터럽트 라인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론칭 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론처 스위치는:
    가동 접점;
    상기 가동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상기 론처 프로그램에 등록된 응용 프로그램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 론칭 신호를 발생하는 제1 고정 접점
    상기 가동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상기 론처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제2 론칭 신호를 발생하는 제2 고정 접점; 그리고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상기 제1 론칭 신호에 의해 커서가 이동하는 방향에 역 방향으로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3 론칭 신호를 발생하는 제3 고정 접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8. 다수개의 응용 프로그램이 등록된 론처 프로그램, 하나의 가동 접점과 다수개의 고정 접점을 갖는 멀티 포인트 스위치를 갖고 상기 가동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들 중 하나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론칭 신호를 발생하는 론처 스위치 및, 슬립 모드를 갖고 상기 론칭 신호에 응답해서 깨어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론처 스위치로부터 론칭 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론처 스위치로부터 론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컴퓨터 시스템이 정규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 시스템이 정규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컴퓨터 시스템을 정규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일정 시간 내에 상기 론처 스위치로부터 응용 프로그램 선택 및 실행을 위한 론칭 신호들이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일정 시간 내에 응용 프로그램 선택 및 실행을 위한 론칭 신호들이 입력되면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 그리고
    일정 시간 내에 응용 프로그램 선택 및 실행을 위한 론칭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컴퓨터 시스템을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19990030694A 1999-07-27 1999-07-27 저 전력 소비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 론처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0655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694A KR100655274B1 (ko) 1999-07-27 1999-07-27 저 전력 소비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 론처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TW089114909A TWI232370B (en) 1999-07-27 2000-07-26 Portable computer system having application program launcher for low power consump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694A KR100655274B1 (ko) 1999-07-27 1999-07-27 저 전력 소비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 론처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374A KR20010011374A (ko) 2001-02-15
KR100655274B1 true KR100655274B1 (ko) 2006-12-08

Family

ID=36320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0694A KR100655274B1 (ko) 1999-07-27 1999-07-27 저 전력 소비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 론처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55274B1 (ko)
TW (1) TWI23237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35731A (zh) * 2013-02-05 2013-06-05 联宝(合肥)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电脑的智能电源控制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22965B2 (en) * 2000-12-01 2009-04-21 O2Micro International Limited Low power digital audio decoding/playing system for computing devices
KR20030067425A (ko) * 2002-02-08 2003-08-14 이성훈 무선핸드폰의 그림폰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
KR100727926B1 (ko) * 2004-10-23 2007-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정보 단말장치의 전원 관리 방법 및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0735A (ja) * 1991-08-05 1993-02-19 Sharp Corp 携帯型電子機器のシステム立ち上げ方式
JPH06289973A (ja) * 1993-04-02 1994-10-18 Fujitsu Ltd 携帯型小型端末装置
JPH08272497A (ja) * 1995-01-24 1996-10-18 Hewlett Packard Co <Hp> キーボード装置
JPH09128105A (ja) * 1995-10-20 1997-05-16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節電装置及び方法
JPH10340178A (ja) * 1997-06-06 1998-12-22 Sony Corp 携帯端末装置、情報表示方法及び情報処理方法
KR0165197B1 (ko) * 1995-11-02 1999-02-01 구자홍 휴대형개인정보통신단말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0735A (ja) * 1991-08-05 1993-02-19 Sharp Corp 携帯型電子機器のシステム立ち上げ方式
JPH06289973A (ja) * 1993-04-02 1994-10-18 Fujitsu Ltd 携帯型小型端末装置
JPH08272497A (ja) * 1995-01-24 1996-10-18 Hewlett Packard Co <Hp> キーボード装置
JPH09128105A (ja) * 1995-10-20 1997-05-16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節電装置及び方法
KR0165197B1 (ko) * 1995-11-02 1999-02-01 구자홍 휴대형개인정보통신단말기
JPH10340178A (ja) * 1997-06-06 1998-12-22 Sony Corp 携帯端末装置、情報表示方法及び情報処理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35731A (zh) * 2013-02-05 2013-06-05 联宝(合肥)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电脑的智能电源控制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374A (ko) 2001-02-15
TWI232370B (en) 200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71250B1 (en) Portable computer system having application program launcher for low power consump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1163353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program
KR100259329B1 (ko) 사용자 입력 장치를 위한 이동 클라이언트 컴퓨터 인터페이스
US6457134B1 (en) Portable computer with differentiated time-out feature
US6560612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and program medium
US7159194B2 (en) Orientation dependent functionality of an electronic device
US20070171239A1 (en) Multiple-position docking station for a tablet personal computer
US20040100457A1 (en) 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power and loading and closing applications in a portable computing device using a removable pointing device
US20040019724A1 (en) Computer system with docking port for a handheld computing device
EP1189131A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2002312079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装置、コンピュータ装置における給電制御方法
WO2014117500A1 (zh) 触摸屏终端及其工作方法
US20110254784A1 (en) Controll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E516923C2 (sv) En och samma skärm drivs i två moder,som inte kan användas samtidigt
US20090172530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witching user interface thereof
JP2000122756A (ja) 電子機器
KR100655274B1 (ko) 저 전력 소비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 론처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CN201562144U (zh) 在高低能耗模式之间切换的电子设备和包括其的电子相框
JP2004046386A (ja) 携帯型情報端末および携帯型情報端末の省電力方法、記録媒体
JP2719416B2 (ja) Icカード
EP1416366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deactivating a software input panel
JP2002328772A (ja) 情報処理装置
CN111443823B (zh) 终端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JP2000075966A (ja) 情報処理装置
KR100306696B1 (ko) 응용 프로그램 선택을 위한 제어 패널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및그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