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9329B1 - 사용자 입력 장치를 위한 이동 클라이언트 컴퓨터 인터페이스 - Google Patents

사용자 입력 장치를 위한 이동 클라이언트 컴퓨터 인터페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9329B1
KR100259329B1 KR1019970072654A KR19970072654A KR100259329B1 KR 100259329 B1 KR100259329 B1 KR 100259329B1 KR 1019970072654 A KR1019970072654 A KR 1019970072654A KR 19970072654 A KR19970072654 A KR 19970072654A KR 100259329 B1 KR100259329 B1 KR 100259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evice
user input
processing unit
central processing
output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2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0200A (ko
Inventor
토마스 존 에블리
브렌트 알렌 밀러
윌리엄 월터 베터
Original Assignee
포만 제프리 엘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만 제프리 엘,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포만 제프리 엘
Publication of KR19980070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9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9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Abstract

컴퓨터 시스템, 및 특히 휴대용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서, 도선이나 적외선 링크와 같은 무선 링크에 의해서 결합된, 키보드 또는 스캐너와 같은, 사용자 입력 장치가 마스터로서 작용하는 한편 본 시스템의 중앙 처리 장치는 입력 디지털 신호를 수신할 때 슬레이브로서 작용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입력 장치를 위한 이동 클라이언트 컴퓨터 인터페이스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 장치를 위한 이동 클라이언트 컴퓨터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퍼스널 컴퓨터, 특히 IBM 퍼스널 컴퓨터는 오늘날 현대 사회의 여러 분야에 컴퓨터의 힘이 미치도록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왔다.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은 보통 단일 시스템 프로세서와 그와 결합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갖는 하나의 시스템 장치, 디스플레이 모니터, 키보드, 하나나 그 이상의 디스켓 드라이브, 내장형 디스크 기억장치, 및 선택사양인 프린터로 구성되는 데스크 탑, 플로어 스탠딩, 또는 휴대용 마이크로컴퓨터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같은 시스템의 독특한 특징중 하나는 이러한 구성 요소들을 함께 전기 접속시키기 위해서 마더보드 또는 시스템 평판(planar)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주로 단일 사용자가 독립된 컴퓨팅 능력을 갖도록 설계되었으며 개인 또는 소기업에서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그러한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의 예로는 IBM에 의해서 제공된 PERSONAL COMPUTER AT, PERSONAL SYSTEM/2, PS/1, Aptiva 등과 같은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이 있다. 컴퓨터 기술에 숙련된 사람이라면 이러한 시스템에 익숙해져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두 개의 일반적인 계열(family)로 분류될 수 있다. 첫째 계열은 일반적으로 계열 1 모델(Family I Models)로 일컬어지는 것으로, IBM PERSONAL COMPUTER AT 와 다른 "IBM 호환" 기종에서 예시된 버스 구조를 사용한다. 둘째 계열은 계열 Ⅱ 모델(Family Ⅱ Models)로 일컬어지는 것으로, IBM's PERSONAL SYSTEM/2 MODEL 50 내지 95에서 예시된 IBM's MICRO CHANNEL 버스 구조를 사용한다. 계열 1 모델(Family I Models)은 원래는 시스템 프로세서로서 인기있는 INTEL 8088 또는 8086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프로세서들은 일 메가바이트의 메모리를 어드레스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계열 Ⅱ 모델(Family Ⅱ Models)은 전형적으로, 저속의 INTEL 8086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에뮬레이트하기 위한 실 모드(real mode)에서 또는 일부 모델에 대해 어드레싱 범위를 1 메가바이트에서 4 기가바이트 연장시키는 보호 모드(protected mode)에서 동작할 수 있는, 고속의 INTEL 80286, 80386 및 80486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하였다. 본질적으로, 80286,80386 및 80486 프로세서의 실 모드 특징은 8086 및 8088 마이크로프로세서에 기록된 소프트웨어와의 하드웨어 호환성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기술 수준이 진전됨에 따라서, 계열 1 (Family I) 시스템은, 인텔 PENTIUM 상표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그와 경쟁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IBM 및 모토롤라 전력 PC 프로세서와 같은 축소 명령세트 컴퓨터(RISC) 마이크로프로세서, 그리고 VESA 및 PCI 버스 설계와 같은 높은 기능의 버스 설계를 포함하는, 훨씬 더 높은 기능의 중앙 처리 장치로 발전되었다. 컴퓨터 기술에 숙련된 사람이라면 이러한 시스템에도 친숙할 것이다.
비즈니스나 소비자 환경에서 일어나는 그러한 컴퓨터 사용 방식의 발전은 충격적으로 심화되어왔다.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이 개발되기 전에는, 컴퓨터 용도가 대부분 비지니스로 한정되었으며 데이터 처리는 컴퓨터 시스템이 놓이는 "글래스 하우스(glass house)" 내에서 수행되었다. 문의사항(inquires)는 컴퓨터 기술자가 처리하도록 정보 관리자를 통해서 전달되었다.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이 광범위하게 사용됨에 따라서 기업체에 널리 사용되는 컴퓨터 시스템에 한번 보전된 데이터에 대한 억세스는 관리자에게 그리고 궁국적으로는 일선의 고용인에게도 중요해졌다.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의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서버를 통한 계층적 억세스(layered access)로 인해, 기업체 데이터가 기억되는 기업체 시스템 또는 메인프레임으로 성장하였다.
정보 작업이 증가하는 정보관련 작업자들에게 확대되고 기업체내의 더 넓은 범위의 고용인 그룹의 작업에 강하게 영향을 미침에 따라서, 그러한 고용인들의 이동에 대처할 필요성이 생겨나게 되었다. 특히, 고정거래처 영업사원(route salesperson), 운송 운전기사, 또는 영업 컨설턴트와 같은 "외근"직에서는, 기업체측으로 부터 멀리떨어져 있을 때, 보통은 기업체 시스템에 보전되며 컴퓨터 시스템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억세스되는 기업체 데이터에 억세스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그러한 억세스는, 부분적으로는, 노트북이나 랩톱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유선으로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전형적으로, 그러한 시스템에는 모뎀 및 통신 소프트웨어가 구비되어,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PSTN)에 접속될 때, 시스템은 지원 서버(supporting server) 또는 메인프레임과 접속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요구되는 데이터를 억세스할 수 있다.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로 예시된 바와같은 무선 통신이 개발되어,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과 지원 서버 사이의 유선 접속을 제거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기게 되었다. 그러한 시스템들은 특히 소매업 및 도매업에서 사용되는 시스템을 위해서 개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무선 송수신기 서비스가 가능한 일정한 지역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허용하는 한편 기업체 활동을 지원하는 서버 또는 메인프레임과 데이터가 교환될 수 있는 데이터 채널과 간헐적으로 또는 연속해서 접촉하게 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휴대가 가능한 그러한 시스템을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이라고 부른다.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은, 유선 접속으로 인한 이동의 제한으로부터 벗어나서 사용자가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다는 것과,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속성에 있어서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의해서 억세스된 기업체 데이터가 상기 이동 클라이언트와 통신하는 서버 또는 메인프레임 컴퓨터 시스템상에서 보전되는 면에서 두드러지게 된다. 그러한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은 때때로 개인 통신 지원자(personal communications assistants) 또는 개인 디지털 지원자(personal digital assistants)라고도 불려진다. 관심있는 독자라면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관한 부가적인 배경 및 정보를 얻기위해 Ira Brodsky (Artech House, Boston, 1995)저서 "Wireless: The Revolution in Personal Telecommunications"을 참조해 볼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드시,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사용자 환경에서 전형적으로 필요로하는 것은 그러한 시스템이 배터리에 의해서 전력공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한번 충전된 배터리를 오래 사용하는 것은 배터리의 전력 소모 요구에 달려있다. 따라서 그러한 시스템을 개발할 때 전력 소모 요구를 감소시키도록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술된 배경에 비추어서, 본 발명은 키보드와 같은 사용자 데이터 엔트리 장치를 사용할 때 전력 소모가 감소되도록 요구되는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고찰해 본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입력 장치 및 키보드의 채택과 그 사용에 있어서 융통성이 있음을 고찰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는에 있어서, 매우 간단한 인터페이스가 이루어지는데, 이 인터페이스는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고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부터 키보드와 같은 사용자 입력 장치를 동적으로(dynamically) 접속 또는 절단시키는 기능을 지원하는 한편 입력 장치가 시스템을 자기 식별(self-identifying)하게 하며, 종래의 퍼스널 컴퓨터 키보드상에 제공된 기능 및 키의 서브셋트 또는 슈퍼셋트를 채택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두에 대해서 충분히 총칭적(generic)이어서 바코드 스캐너, 자기 스트라이프 판독기 및 자동차 통신장치와 같은 여러 기능을 갖는 주변기기가 수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의 일정한 구성 요소들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2는 도1의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이 사용되도록 조립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3은 도2의 유사도로서, 도1 및 도2의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대한 또 다른 구성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4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은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주변기기 및 시스템들 사이의 상호관계를 도식적으로 표시한 도면.
도5는 도2 및 도3의 이동 클라이언트에서 실시된 일정한 회로 구성 요소들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6은 도5의 유사도로서, 대체 회로 구성 요소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7은 도2 및 도 3의 이동 클라이언트의 일정한 회로 구성 요소들 및 그것들간의 관계를 도시한 개략도.
도8은 도2 및 도3의 이동 클라이언트에 대한 전력 모드 및 그것들사이의 전이를 도시하는 상태도.
도9는 도8의 유사도로서, 도2 및 도3의 이동 클라이언트의 일정한 구성 요소의 상태를 도시하며 이동 클라이언트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의 상태를 포함하는 도면.
도10은 일정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해 이동 클라이언트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므로 구동되는 도2의 이동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및 인터페이스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성분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이동 클라이언트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
11: 시스템 타블렛 12: 홀스터
13: 송수신기 15: 터치스크린
17: 바 코드 스캐너 19: 프린터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되지만, 이어지는 설명의 시작부터 본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사람이라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결과를 얻으면서도 여기에 설명된 발명을 수정할 수 있음을 알수 있다. 따라서, 이어지는 설명은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에게 넓은 지침을 주기위한 발명의 명세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특히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도1 내지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클라이언트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여기서는 "이동 클라이언트"라고도 부른다)으로서 도면에서 전반적으로 10 으로 표시된 컴퓨터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해지드시, 이동 클라이언트는 다양한 특징을 갖을수는 있지만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유지된다. 이러한 특징들 중에서 중심이 되는 것은, 본 시스템이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지원 서버 및 메인프레임 사이에서 적어도 데이터를, 어쩌면 데이터 음성과 같은 오디오 둘다를 통신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그러한 기능은 세 개의 특이한 부품, 즉, 시스템 타블렛(11), 홀스터(12) 및 무선 송수신기(13)로 분리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해서 제공된다. 예시된 형태에서, 송수신기(13)는 홀스터(12)내에 장착될 수 있는 셀룰러 전화이며, 한편 홀스터(12)는 타블렛을 홀스터(12)내에 제공된 리셉터클로 미끄러뜨리므로서 시스템 타블렛(11)과 접속될 수 있다. 시스템 타블렛은 선택사양으로 통합된 키패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는 그와같이 도시되고 세 개의 부품 시스템으로서 설명되었지만,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10)이 단일화될 때 후술되드시 본 발명의 여러 장점들이 실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무선 송수신기(13)가 시스템 타블렛(11)과 통합되며 홀스터(12)를 사용하지 않고도, 그것들 사이의 접속이 시스템의 단일 커버내에서 수행될 때 여러 장점들이 실현될 수 있다. 송수신기/홀스터/타블렛으로 이루어진 구조가 어떤 환경에서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특별한 구조와는 별도로 실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시스템들 사이의 차이점은, 도3의 시스템에서, 엔트리 필드의 터치스크린 구현과는 별도로 키패드를 직접 포함시켰다는데 있다. 이것은 두가지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는데 융통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3 조(tripareite) 구조로서 실현될 수 있는 장점은, 여러 가지 원거리 통신망(WANs) 또는 근거리 통신망(LANs)을 수용하기 위해서 하나의 무선 송수신기를 다른것과 쉽게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그리고 WAN 기술의 예로서, 디지털 데이터 및 아날로그 오디오가 셀룰러 전화 무선 인터페이스상에서 셀룰러 디지털 패킷 데이터(CDPD)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데이터와 교환될 수 있을 때, 다른 가능성이 있다. 그러한 것들 중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및 시분할 다중 접속(TDMA)과 같은 디지털 무선 기술; 직접 순차 확산 스펙트럼(DS-SS) 및 결과적인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과 같은 확산 스펙트럼 기술; 주파수 호핑 확산 스펙트럼(FH-SS); 및 이러한 여러 기술중 하나를 고성능 이동 전화 시스템(AMPS) 또는 고성능 무선 데이터 정보 서비스(ARDIS) 또는 RAM 이동 데이터로서 알려진 것으로 결합시킨 것과 같은 디지탈 무선기법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이 발전되고 더 널리 사용됨에 따라서, 3조의 구조는 현재의 타블렛(11)을 무선 송수신기(13)에 적응시키도록 하여, 시스템에서 사용자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된다. 그러나, 온도, 습도 또는 떨어뜨렸을 때 받는 충격에 노출되는 것처럼 불리한 주변 조건 환경에서는, 송수신기 및 타블렛 그리고 지원 회로를 하나의 커버내에 갖는 단일화된 시스템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 할 수 있다.
이제 도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과 지원 서버 및 주변기기들 사이의 관계가 개략적으로 표시된다. 특히, 타블렛(11)(이후로 더 상세히 설명됨)은 정상적으로는 백라이트된 액정 표시장치내에 구현된 터치스크린(15)을 통해서 사용자에 의한 입력으로 적응되는 한편, 시스템(10)은 종래의 키보드(16) 및 바 코드 스캐너(17)를 포함하는 다른 사용자 입력 장치를 수용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하고자 할 때, 데이터 입력이 시스템(10)에 도달하도록 신호 경로를 제공하는 결합 도선(18)에 의해서 시스템(10)에 유선으로 결합된다. 후에 더 상세히 설명되드시, 본 발명은 특히 그러한 사용자 입력 장치를 위한 인터페이스와 관련이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키보드나 스캐너와 같은 다른 장치가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에게는 공지된 다른 수단, 예를들면 전술된 바와같은 직접 통합에 의해서 또는 알려진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적외선 링크와 같은 다른 수단에 의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링크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그리고 도면에 예시된 바와같이, 본 시스템은 적외선 방출에 의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IrDA 링크에 의해 프린터(19)로 링크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이것은 출력 장치의 한 예에 불과하며, 입력 장치를 링크시키는데 다른 유사한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같이, 무선 송수신기는 20으로 표시된 서버에 무선 주파수로 연결되며, 상기 서버는 지원 메인프레임 데이터 기억장치(21)와 유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전체 기업체의 운영과 관련된 데이터는 지원 메인프레임상에서 보전되어, 본 발명 및 관련 발명에 따른 이동 클라이언트(10)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이제 본 발명에 따라서 데이터 처리를 함께 수행하는 회로 구성요소들을 보면, 도5 및 도6은 그러한 구성요소들의 구조 형태를 도시한다.
도5에는 예를 위해서 다소 간략하게 도시되었지만, 회로 구성요소에는 중앙 처리 장치(CPU) 및 그와 접속된 입/출력 제어기(IOC)가 포함된다. 입/출력 제어기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설계 및 제조에 숙련된 사람에게 공지되었드시, 중앙 처리 장치의 일부로서 분류될 수 있는 프로그래머블 마이크로제어기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IOC는 때때로 주변기기 마이크로제어기로 인지되거나 약어 CPM에 의해서 식별된다. 메모리 제어기, 메모리, PCMCIA 제어기 및 접속된 카드(만일 있다면)와 같은 어떤 제공된 구성요소들은 CPU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되며 CPU 및 IOC를 둘다 억세스할 수 있다. 터치패널(touchpanel) 제어기, 사용자 입력 장치, 직렬 및 오디오 포트, 및 송수신기 인터페이스와 같은 다른 제공된 구성요소들은 IOC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되며 IOC를 통해서 CPU를 억세스하게 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시된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10)은 그 중심에, 축소 명령 셋트 컴퓨팅(RISC) 특징을 사용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30으로 표시됨)의 형태로 중앙 처리 장치(CPU)를 갖는다. CPU 또는 프로세서는, 액정 표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31); PCCard 또는 PCMCIA 카드로서 알려진 형태의 주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32); 명령/데이타 캐시(33); 메모리 및 외부 버스에 대한 인터페이스(34); 및 실 시간 클럭(35)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를 갖는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인터럽트 제어기(36)와, 여러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는 입/출력 제어기 코어(37)를 갖는다. 본원에서는 이와같은 특징을 갖는 단일 프로세서 칩으로 설명되었지만, 종래 기술의 컴퓨터 시스템 제조 및 사용예를 보면 그러한 연산 기능 및 인터페이스 사용은 다른 수단, 예를들면 적당한 지원 로직 또는 칩이 함께 장착된 인텔 X86에 기초한 프로세서와 같은 다른 수단에 의해서 이루어질수 있음을 알수 있다. 따라서 도6의 실시예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일예로서 제시되지만, 그러한 이동 클라이언트의 핵심 기능은 다른 방법으로도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와 유사하게, 본원에서는 휴대용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원에서 설명된 기능은 데스크탑 또는 노트북 시스템과 같은 종래의 다른 시스템에서도 얻을 수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핵심 마이크로프로세서(30)는 주변기기들에 의해서 지원된다. 더 중요한 것으로서,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력은 배터리(40)로부터 공급된다. 바람직하게는, 배터리(40)는, 배터리의 전하 상태 및 재충전 과정에 의해서 자기 점검을 하도록 되어있는, "스마트" 배터리로서 알려진 형태의 배터리이다. 그러한 배터리는 공지된 것으로, 배터리 전하 상태, 충전후의 재사용을 위한 준비 등을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신호를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 프로세서(30)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이동 클라이언트가 유선으로 접속될 때 사용되도록 종래의 모뎀(41)과, 전화 상호접속점(42)(RJ-11 접속기로 표시됨)을 갖는다. 본 시스템을 위한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악세서리 카드(flash memory accessory card)(44); 다이나믹 랜덤 억세스 메모리(DRAM)(45); 및 코어 플래시 메모리(46)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서, 48 및 49로 표시되는, 형태Ⅱ인 한쌍의 PCMCIA 슬롯이 제공된다.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의해서 수행되는 데이터 조작 동작의 결과를 표시하기 위해서, 시스템(10)은 전술된 바와같이 LCD(15)를 갖는다. LCD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때를 인식하기 위한 디지타이저로서 작용하는 적절한 터치스크린(50)하부에 놓인다. 이러한 기능은 본 명세서의 후반에 더 상세히 논의될 것이다.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은, 배터리 및 온도 센서로 부터오는 입력과 같이,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51)를 통해서 프로세서(30)의 입/출력(I/O) 포트로 전달된다. 프로세서(30)의 다른 I/O 포트들은, 전술된 바와같이 키보드; IrDA 포트(52), 오디오 CODEC(54)와 그에 접속된 스피커(55) 및 마이크(56); 및 무선 송수신기(13)를 위한 인터페이스 접속기(58)로 접속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이미 지적된 바와같이,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설명된 특정한 기능 구조는, 설계자가, 지원되어야 하는 기능, 프로세서 코어, 및 지원 로직을 선택하는데 따라서 변동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술된 바와같이,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10)은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얻게 된다. 그와같이 동작하므로 이동에 적합하게되지만, 교류 전류의 형태인 종래의 전원에 접속하므로 시스템(10)을 지원할 수도 있다. 그러한 전원들은 도7에서 60으로 표시되는데, 전력 관리와 관련된 다음의 설명에서 참조된다. 이해할 수 있드시,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전력을 관리하는 것은 시스템의 유용성에 중요하다.
도7은 전원 및 전력 소모의 관점에서 바라본 프로세서(30) 주변의 주변기기의 구조를 도시한다. 전력 관리 위상(topology)은, 전력이 메인 배터리(40)로부터 타블렛(11)내의 프로세서(30)로 흐르는 한편, 분리된 전력 및 제어 흐름이 홀스터(12), 홀스터내에 장착된 어떤 무선 송수신기(13), 및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PCCard 악세서리에 영향을 주는 식으로 수행된다. 이처럼 전력 흐름이 분할되는 것은 여기에 설명된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10)에 중요하다. 특히, 분리된 배터리(61)는 홀스터(12)내에 제공된다. 홀스터 배터리(61)는 바람직하게는 "스마트"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홀스터(12)내에서 배터리 제어기(62), 홀스터 주변기기 제어기(63), 및 프로세서(30)로 들어오고 나가는 데이터 스트림을 무선 송수신기(13)와 인터페이스하는데 효과적인 회로소자(64)와 접속된다. 따라서, 홀스터(12) 및 송수신기(13)내의 회로소자는 프로세서(30)에 의해서 제어되며(후에 더 상세히 지적됨), 전원은 타블렛(11)과 적어도 어느정도는 독립적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분할은 중요하다. 타블렛이 홀스터와 결합될 때, 이 두 개의 부품내의 회로소자는 전체 관리에 협동한다. 송수신기(13)(종래의 셀룰러 전화라면, 그 자체의 전원과 전력 관리 기술을 가질수 있음)가 홀스터(12)내에 배치될 때, 송수신기(13)는 3조의 시스템에 대한 전력 관리에 참여하는데 동등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타블렛(11)을 보면, 본 시스템은, 배터리(40)를 위한 제어기 회로소자(66)와, 배터리(40)가 타블렛(11)을 동작시키기 위해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68)을 갖는다. 본 시스템에서는, 코어 프로세서(30)로부터 어떤 요구사양을 해제하기 위해서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분리된 마이크로제어기(69)가 구비된다. 이러한 마이크로제어기는 프로세서(30) 및 변환기(70)로부터 입력을 받는다. 프로세서(30) 및 변환기(70)는, 최소로 기능을 수행하도록, 실시간 클럭(35)을 위한 배터리(71)에 의해서 지원된다. RTC 배터리(71)는, 후에 더 상세히 설명되드시 요청될 때 타블렛 시스템이 기상하도록 한다.
하드웨어 위상으로부터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10)에 대한 전력 모드 및 그것이 전이되는 경우에 대한 논의로 넘어가면, 도8은 그러한 양상의 한 예를 도시한다. 계속되는 설명을 위해서,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사용자에게는 시스템의 활동 레벨에 대한 표시기가 제공됨을 알수 있다. 전형적으로, 그러한 표시기 또는 경보기는 발광 다이오드(LEDs)의 형태가 될 수 있는데, 이는 그러한 소자를 쉽게 구할 수가 있고, 가격이 저렴하며, 대다수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전술된 3조의 시스템에는 타블렛(11)을 위한 표시기와, 홀스터(12)를 위한 표시기와, 송수신기(13)를 위한 표시기가 제공될 수 있다. 도8에서는, 타블렛(11)과 홀스터(12) 사이의 여러 동작 레벨을 나타내는 동작 상태들 사이의 특징이 도시되며, 예시된 시스템이 타블렛 및 그와 접속된 홀스터를 갖는 전술된 3조의 시스템이라고 가정한다.
이러한 배경을 염두에 두면, 완전한 액티브 상태에서 본 시스템은, 대응하는 LEDs 및 백라이트된 LCD(15)의 발광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완전히 활성화된 타블렛(11) 및 홀스터(12)를 갖게된다. 그러한 상태는 75로 표시된다. 모든 부품에 전력 공급이 중지된(마치 모든 배터리가 제거된 것처럼), 완전히 반대인 상태가 76에 표시되는데, 그결과 모든 LED 및 백라이트된 LCD가 발광되지 않게 된다. 완전히 액티브인 상태로부터, 사용자는 그러한 목적으로 제공된 스위치를 동작시키거나, 또는 홀스터를 타블렛으로부터 분리시키거나 무선 송수신기를 홀스터로부터 분리시키므로 필요한 상호접속을 차단시키므로서, 홀스터(12)를 턴 오프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타블렛 LED 및 LCD는 발광된채로 유지되며(타블렛이 액티브로 유지될 때) 한편 홀스터 LED는 발광되지 않게 된다(78에 표시됨). 이동 클라이언트는 메모리에 기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지만, 지원 서버(20) 및 데이터 기억장치(21)로부터 (간헐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절단될 수도 있다.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어커런스(accurrence)가 결정될 때, 시스템은 중지(suspend)로서 알려진 상태로 들어갈 수 있다. 79로 표시된, 중지 상태에서, 타블렛 LED 및 LCD와 홀스터 LED는 어둡게 나타난다. 전술된 3조의 시스템중 나머지가 중지 상태로 유지될 때 무선 송수신기가 사용되려면, 시스템은 홀스터 LED가 발광되며 송수신기가 동작하는, 80으로 표시된 상태로 들어갈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다시 한번 어커런스가 결정될 때, 시스템은 81로 표시된, 스탠바이로서 알려진 상태로 들어갈 수 있다. 스탠바이에서, 타블렛 LCD는 전력 소모를 절약하기 위해서 어두워지며, 타블렛 LED는 시스템이 쉽게 "기상할"수 있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발광된 상태로 유지된다. 홀스터는 전력이 차단되거나(LED가 어둡게 되며, 82로 표시된 상태) 액티브로 유지될 수 있다. 타이머 기능이 제공되는데, 이는 시스템(10)이 스탠바이일 때 선정된 시간 간격이 지난후에, 시스템을 중지 모드로 전이시키게 된다.
시스템은 온/오프 스위치를 사용하므로서 오프 상태(76)와 액티브 상태(78 또는 75) 사이에서 전이될 수 있다. 시스템은 온/오프 스위치를 사용하거나 배터리를 제거하므로서 중지 또는 스탠바이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76)로 전이될 수 있다. 시스템은, 사용자로 부터의 중지/재시작(suspend/resume) 입력, 홀스터와 접속된 무선 송수신기로부터 들어오는 호출 표시, 일정 간격의 시간 경과, 또는 스마트 배터리 제어기로 부터의 배터리 저전하 표시에 응답하여 중지 상태(79 또는 80)로부터 액티브 상태(78 또는 75)로 전이될 수 있다. 시스템은 사용자 입력 장치 또는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과 같은 사용자 이벤트에 응답하여 스탠바이 상태로부터 액티브 상태(78 또는 75)로 전이될 수 있다.
도9에는 또다른 전력 모드 및 전이 이벤트가 도시된다. 도면에서, 시스템 상태는, 온 상태(75); 아이들 상태(83); 스탠바이 상태(82); 중지 상태(80); 및 오프 상태(76)로 표시된다. 온 상태(75)에서, 시스템 LEDs 및 LCD가 발광되며, 프로세서(30)는 정규의 하이 기능 모드에서 동작하며, 사용자 입력 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정규의 하이 기능 모드에서 동작하며, 응용 프로그램이 액티브이며, 다른 주변기기의 전력은 필요할 때 관리된다. 비활성인 상태로 시간이 경과하면 시스템이 아이들 상태(83)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프로세서에 의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이 종료되며, 프로세서는 "도즈 하이(doze high)"인 전력 관리 모드로 들어가며, LCD는 발광되며, 사용자 입력 장치는 자체의 아이들 상태로 들어가며, 다른 주변기기의 전력은 필요할 때 관리된다. 키보드상의 키누름을 포함하는 어떤 사용자 이벤트가 시스템을 온 상태로 되돌리게 된다. 시간이 경과하여 시스템이 스탠바이 상태(82)로 들어가게 되면, 응용 프로그램은 정지되며, 프로세서는 "도즈 로우(doze low)"인 전력 관리 모드로 들어가며, LCD는 어두워지며, 다른 모든 주변기기의 전력이 필요로 할 때 관리된다. 시간이 경과하여 시스템이 중지 상태(80)로 들어가면, 응용 프로그램은 정지되며 재시작을 위해 체크포인트되며, 프로세서는 "슬립(sleep)" 전력 관리 모드로 들어가며, LCD는 어두워지며, 다른 모든 주변기기가 오프된다. 따라서 완전히 액티브인 상태(75)로 되돌아 가기위한 시간 간격을 보면, 시스템은 아이들 상태(83)로부터 가장 빠르게 복귀되며, 스탠바이 상태(82)로 부터는 그보다 덜 빠르게 복귀되며, 중지 상태(80)로 부터는 그보다도 덜 빠르게 복귀되며, 오프 상태(76)로 부터는 가장 느리게 복귀된다.
이제, 본 발명의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대해 고찰한 바와같이 데이터 표시 및 통신에 대해 간략히 언급하는 것이 유익할 것이다. 이제 특히 도10을 참조해 보면, 도면에는 시스템(10)에서 실행된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스템(10)은 하이퍼텍스트 트랜스퍼 프로토콜(HTTP)에 의한 접속과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랭귀지(HTML)내의 파일에서 사용되는 브라우저 프로그램의 속성으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HTTP 및 HTML은 인터넷 또는 월드 와이드 웹으로 알려진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기술은, 클라이언트에서는 최소의 자원으로, 지원 서버 및 메인 프레임 데이터 기억장치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자원은 최대로 이용하여,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동작을 촉진시키는데 사용된다.
특히,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프로세서(30)는 시스템 플레시 메모리(46)내에 기억된 동작 시스템 프로그램과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시스템은, 송수신기(13) 및 인터페이스(58)에 의해서 제공된 무선 연결을 통해서 또는 유선으로 접속될 때 모뎀(41)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달하므로 지원 서버와 데이터를 교환하게 된다. 그와같이 교환된 데이터는 동작 시스템 및 브라우저에 의해서 조작되도록 시스템 DRAM 메모리(45)내에 기억될 수 있다. 지원 서버로부터 획득되는 데이터와 접속되는 브라우저는, LCD(15)상에 하나의 스크린을, 예들들면 도10에 도시된 바와같은 스크린을 표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스크린은 표시된 필드의 상한선 위에 타이틀 바(bar)(90)를 가지며, 표시된 필드내에서, 식별 번호 또는 이름과 같은 데이터를 위해 정의된 필드를 갖는 형태를 취한다. 예시된 특정 형태에서, 필드에는 센터 일련 번호, 병원 일련 번호, 출생일 및 식별된 환자의 입원 날짜 등을 기재하기 위한 필드가 포함된다. 타이틀 바(90)에 인접하여 동물이 표시되는데, 기호 91로서 여기서는 캉가루로 표시된다. 이러한 표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본 시스템이 하나의 데이터 억세스로부터 또 다른 데이터 억세스로 "점핑"하며 사용자는 "점프"가 완수될 때까지 기다려야만 한다를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타이틀 바(90)의 바로 아래에는, 메인(또는 초기) 스크린으로 복귀, 하나의 스크린 후퇴, 무선 연결에 의한 데이터 교환, 배터리 전하 상태, 및 제시된 스크린에 대한 네비게이션과 같은 기능 "버튼"이 표시된다. 입원 날짜에서 ICU까지의 필드 및 클래스 필드와 같은 필드에는 사용자에 의해서 주석이 첨가되며, "노트북" 아이콘의 그러한 필드에 인접한 포지셔닝(positioning)에 의해 그와같이 표시된다. 노트북은 현재 주석첨가가 없음을 표시할 때 닫히거나(입원 날짜 필드에 인접한 것), 현재 주석 첨가가 포함되어 있음을 표시할 때 열릴수 있다(분류 필드에 인접한 것).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10)이, LCD(15)위에 놓이는 터치스크린(50)을 가지므로, 시스템에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것은 선택사양인 사용자 입력 장치에 의한 것은 물론이고 터치스크린의 필드에 인가된 스타일러스(stylus), 포인터 또는 손가락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도10을 참조해 보면, 사용자가 특정 환자의 성별 식별 정보를 입력시키고자 할 때, 사용자는 그러한 데이터를 입력시키기 위해서 "남성" 또는 "여성" 버튼을 (스타일러스, 포인터 또는 손가락으로) 터치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사용자가 주석을 첨가시키고자 하면, 사용자는 노트북 아이콘에 의해서 규정된 필드를 터치하여 아이콘을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 사이에서 변경시키며 따라서 적당한 숫자 또는 알파벳 데이터를 엔트리하기 위해 필드를 연다.
응용 프로그램 및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다른 그리고 추가된 기능은 관련된 응용예에 이어지거나 그 응용예에 나오는 설명을 참조하므로써 더욱 명확해 진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에는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30)에 인터페이스되며 어떤 바람직한 특징을 제공하는 선택 사양인 사용자 입력 주변기기가 제공된다. 이러한 특징중에는 매우 낮은 전력 소모가 포함되는데, 랩톱 또는 노트북 컴퓨터 시스템에서 전형적으로 0.7 와트가 소모되는데 비해 본 시스템에서는 0.01 와트 정도가 소모된다. 이것은 사용자 입력 장치내의 로직과, 입력 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코드에 의해서 수행되는데, 이로인해 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키누름이나 데이터 입력들 사이의 아이들 기간을 포함하여, 여러 아이들 기간동안에 매우 낮은 전력 소모 상태로 들어가게 된다. 매우 간단한 전기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데, 이 인터페이스는 내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서 수행되며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접속 및 절단하는 한편 시스템에 운영체계 소프트웨어를 재적재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사용자 입력 장치는 자기 식별되어, 다수의(또는 커스텀) 키보드 또는 다른 입력 장치가 여러 언어 및 특정 고객/산업상의 요구조건에 부응하도록 쉽게 개발될 수 있다.
CPU, IOC 및 입력 장치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구성요소가 도시된 도11에서 볼 수 있드시, 본 발명은 "IBM PC" 키보드로 잘 알려진 서브셋트를 정의하는 키를 채용하여 사용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16)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IBM PC" 키보드의 슈퍼셋트인 키를 채용하여 사용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IBM PC 키보드는 Gary J. Konzak 저 "PC 키보드 설계"(1993년, 제 2판; 캘리포니아 샌디에고 아나북스사 발간)과 "IBM 퍼스널 시스템/2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기술 참고집-AT 버스 시스템"(1991년 제 1판; 뉴욕 아몬크 IBM )에 기술되어 있으며, 관심있는 독자라면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자 입력 장치는 여기서 설명된 바와같은 어떤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내장된 마이크로제어기를 사용한다. 그러한 마이크로제어기는 그러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한편, 자국의 언어 및 특수 목적의 산업상 특화된 키보드를 포함하여 여러형태의 장치 및 키보드/키패드를 지원할 수 있다. 그처럼 정의된 키보드를 포함하는 휴대용 키보드는, 완전한 "IBM PC" 스타일 키보드의 서브셋트 또는 슈퍼셋트로 고려된다. 표준 사용자 입력 장치 소프트웨어는 완전한 "IBM PC" 키 코드 레퍼토리를 지원하는데, 이는 많은 경우의 입력 장치가 이것의 어떤 서브셋트가 되기 때문이다. 예시된 형태에서, 입력 장치는 커스텀 케이블을 통해서 도6에서 CPM(37)로서 식별되는 프로그램 가능 마이크로제어기(I0C) 코어로 접속되며, 이러한 마이크로제어기 코어는 SPI에서 식별된 직렬 포트 인터페이스를 통한 시스템 프로세서(30)의 일부이다.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입력 장치와 시스템 프로세서를 접속시키는데 사용된다. 직렬 주변기기 인터페이스(SPI), 인터-집적 회로(I2C), 또는 다른 유사한 인터페이스와 같은 반 2중 직렬 인터페이스(half-duplex serial interface)를 포함하여, 적어도 클럭 및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어떤 직렬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입력 장치는 자체 주사하며 매트릭스 포지션 주사(scan) 코드를 시스템 프로세서로 제공한다.
예시된 형태에서, 사용자 입력 장치 마이크로제어기 및 시스템 프로세서를 접속하는 신호 라인은 사용자 입력 장치로 부터 시스템 프로세서로 제공된 SPI 클럭 신호인, SPICLK를 포함한다. 이러한 클럭 신호는 시스템 프로세서 및 사용자 입력 장치의 내외로 데이터를 쉬프트시키는데 사용되며, 데이터가 유효할 때에만 액티브되는 게이트(gate)된 클럭이다. SPISEL 신호는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시스템 프로세서로 제공되며 시스템 프로세서가 SPICLK를 인식하기 전에 액티브되어야 한다. SPIMOSI 또는 SPI 마스터 아웃 슬레이브 인(Master Out Slave In) 신호는, 입력 장치가 마스터이므로, 입력 장치 DATAOUT 라인으로서 작용한다. 이와 유사하게, SPIMISO 또는 SPI 마스터 인 슬레이브 아웃(Master In Slave Out)은 DATAIN 라인으로 작용한다. UI_COMMAND 신호는 시스템 프로세서로부터 입력 장치로 통신을 시작하도록 시스템 프로세서로부터 전달된 범용 입/출력(GPIO) 신호이다. UI_Detect 신호는 입력 장치 삽입 및 제거를 표시하는 시스템 프로세서상의 인터럽트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그리고 전술된 바와같이, 입력 장치(16)의 내부에 있는 입력 장치 제어기는 "마스터"로서 작용하며 시스템 프로세서(30)는 "슬레이브"로서 작용한다. 사용자 입력 장치 주사 코드 및 코맨드 버퍼(각각 90과 91로 표시됨)는, IOC내에서 실행하는 코드와 입력 장치 드라이버 코드 사이에서 데이터 흐름을 교환하는데 사용하도록, 시스템 프로세서(30)의 코어와 프로세서의 IOC 부분(37) 사이에 삽입된다. 본 장치 드라이버는 데이터 프로토콜로서, 매트릭스 주사 코드를 IBM PC 주사 코드로 맵핑한다. 이것은 단지 트랜슬레이션(translation) 동작이지, 실제의 통신 프로토콜이 아니다(즉, 프레이밍(framing)등이 요구되지 않는다).
입력 장치는 클럭, 데이터, 및 칩 선택 라인을 제어하므로서 직렬 인터페이스 포트상에서 모든 동작을 개시한다(즉, 키가 눌려질때와 같이, 입력 장치가 직렬 인터페이스상에 데이터를 전달할 때 모든 동작을 개시한다). 이러한 입력 장치의 버스트 엔트리 속도는 초당 15 데이터 바이트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스템 프로세서(30)가 입력 장치(16)에 코맨드를 개시할 필요가 있을 때, 이 프로세서는 92로 표시된 경로를 통해서 키보드나 다른 장치로 UI_COMMAND 신호를 액티브시켜야 한다. 입력 장치 제어기는 입력이 액티브됨을 감지하여, 시스템 프로세서로부터 판독하도록 선택, 데이터 및 클럭 라인을 액티브시키는데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예시된 형태에서, 입력 장치 제어기는 선택, 데이터 및 클럭 라인을 액티브시키기 위해 SPI 인터럽트 조절기를 통해서 시스템 프로세서에 SPI 코맨드를 개시한다. 시스템 프로세서에서 개시된 통신의 예에는 입력 장치 ID 및 여러 진단 코맨드를 감지하는 것이 포함된다.
"키보드 심플리파이어(Keyboard symplifier)"는 입력 장치 마이크로제어기에 제공되어, 메인 프로세서에서 키보드 입력 장치로부터 단일 키 누름 이벤트로 다수의 메이크/브레이크(make/break) 주사 코드를 경과시키도록 코딩한다. 여기에는 타이프메틱(반복) 키 및 다수의 키 누름(예를들면, 쉬프트)를 위한 다수의 "키 메이크(key make)" 주사 코드를 조절하는 것이 포함된다.
입력 장치에 대한 프로그램 코드를 필요로 하는 기능의 일예는 여러 시나리오를 포함한다. 시스템 프로세서로부터 입력 장치로 코맨드를 전달하는 데에는, 별도의 시스템 지원이 요구되지 않는다. 시스템 프로세서는 입력 장치에 UI_COMMAND 신호를 시동하며, 입력 장치에 코맨드를 전달하고 응답을 수신하기 위해 투과(transparent) 모드에서 직렬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입력 장치의 삽입/제거를 검출하는데에는, 별도의 지원이 요구되지 않는다. 시스템 프로세서는 이러한 인터럽트를 조절하며 직렬 인터페이스를 인에이블/디스에이블한다. 분리된 데이터 인 및 데이터 아웃 라인은 구현이 훨씬 더 쉬운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 및 입력장치 모두를 소프트웨어로 제어한다. 전달되는 매트릭스 코드는, 주사 코드와는 달리 추가로 융통성을 부가하는데, 예를들면 비-표준의 특수 목적키가 지원되게 한다.
표준(PS/2) 입력 장치 드라이버 소프트웨어가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 마이크로제어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면 및 명세서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되어 있으며, 특별한 용어가 사용되었지만, 그처럼 주어진 상세한 설명에서는 총칭적으로 그리고 설명을 위해서 전문용어를 사용한 것이지 제한을 목적으로 사용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실시하므로, 매우 간단한 인터페이스가 이루어지는데, 이 인터페이스는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고 이동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부터 키보드와 같은 사용자 입력 장치를 동적으로(dynamically) 접속 또는 절단시키는 기능을 지원하는 한편 입력 장치가 시스템을 자기 식별(self-identifying)하게 하며, 종래의 퍼스널 컴퓨터 키보드상에 제공된 기능 및 키의 서브셋트 또는 슈퍼셋트를 채택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두에 대해서 충분히 총칭적(generic)이어서 바코드 스캐너, 자기 스트라이프 판독기 및 자동차 통신장치와 같은 여러 기능을 갖는 주변기기가 수용될 수 있다.

Claims (20)

  1. 이동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할 수 있는 크기로 규격화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내에 장착되며 디지털 데이타를 기억하는 메모리;
    상기 하우징내에 장착되며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는 중앙 처리 장치;
    상기 하우징내에 장착되며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결합되는 입/출력 제어기;
    상기 입/출력 제어기에 결합되며 범용의 직렬 인터페이스를 한정하는 직렬 포트;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중앙 처리 장치 및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의해서 처리된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도출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직렬 포트 및 상기 입/출력 제어기 및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1) 상기 직렬 포트에 접속될 때 디지털 데이터를 발생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의 존재를 검출하며 (2) 검출된 사용자 입력 장치를 상기 중앙 처리 장치의 기능을 지배하는 마스터로서 설정하며 (3) 상기 입/출력 제어기에서, 검출된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직렬 포트를 통해서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트랜슬레이팅(translating)하는데 협동하는, 이동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포트, 상기 입/출력 제어기 및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검출된 사용자 입력 장치의 식별을 문의하는데 협동하는 이동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포트, 상기 입/출력 제어기 및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검출된 사용자 입력 장치에 의해서 발생된 매트릭스 포지션(position) 코드를 주사 코드로 트랜슬레이팅하는데 협동하는 이동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기억되며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입력 신호를 도출하기 위해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장치 드라이버 코드를 더 포함하며, 또한 상기 장치 드라이버 코드는 종래의 퍼스널 컴퓨터 키보드의 설계에 의해서 결정된 바와같이 주사 코드 신호에 응답하는 이동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
  5. 이동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할 수 있는 크기로 규격화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내에 장착되며 디지털 데이타를 기억하는 메모리;
    상기 하우징내에 장착되며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는 중앙 처리 장치;
    상기 하우징내에 장착되며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결합되는 입/출력 제어기;
    상기 입/출력 제어기에 결합되며 범용의 직렬 인터페이스를 한정하는 직렬 포트;
    상기 직렬 포트에 결합되며 디지털 신호를 식별하는 입력을 컴퓨터 시스템에 전달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중앙 처리 장치 및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의해서 처리된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도출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 및 상기 직렬 포트 및 상기 입/출력 제어기 및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1)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의 식별을 검출하며 (2)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를 상기 중앙 처리 장치의 기능을 지배하는 마스터로서 설정하며 (3) 상기 입/출력 제어기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직렬 포트를 통해서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트랜슬레이팅하는데 협동하는, 이동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 상기 직렬 포트, 상기 입/출력 제어기 및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에 의해서 발생된 매트릭스 포지션 코드를 주사 코드로 트랜슬레이팅하는데 협동하는 이동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기억되며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입력 신호를 도출하기 위해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장치 드라이버 코드를 더 포함하며, 또한 상기 장치 드라이버 코드는 종래의 퍼스널 컴퓨터 키보드의 설계에 의해서 결정된 바와같이 주사 코드 신호에 응답하는 이동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는 키보드인 이동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는 스캐너인 이동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입/출력 제어기 및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를 동작가능하게 상호접속하는 클럭, 데이터 및 선택 신호 라인을 더 포함하며,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는 마이크로제어기, 상기 마이크로제어기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내에 기억되어 상기 마이크로제어기를 억세스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클럭, 데이터 및 선택 신호 라인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마이크로제어기에서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이동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
  11.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내에 장착되며 디지털 데이타를 기억하는 메모리;
    상기 하우징내에 장착되며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는 중앙 처리 장치;
    상기 하우징내에 장착되며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결합되는 입/출력 제어기; 및
    상기 입/출력 제어기에 결합되며 범용의 직렬 인터페이스를 한정하는 직렬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직렬 포트 및 상기 입/출력 제어기 및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1) 상기 직렬 포트에 접속될 때 디지털 데이터를 발생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의 존재를 검출하며 (2) 검출된 사용자 입력 장치를 상기 중앙 처리 장치의 기능을 지배하는 마스터로서 설정하며 (3) 상기 입/출력 제어기에서, 검출된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직렬 포트를 통해서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트랜슬레이팅하는데 협동하는, 컴퓨터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포트, 상기 입/출력 제어기 및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검출된 사용자 입력 장치의 식별을 문의하는데 협동하는 컴퓨터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포트, 상기 입/출력 제어기 및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검출된 사용자 입력 장치에 의해서 발생된 매트릭스 포지션 코드를 주사 코드로 트랜슬레이팅하는데 협동하는 컴퓨터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기억되며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입력 신호를 도출하기 위해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장치 드라이버 코드를 더 포함하며, 또한 상기 장치 드라이버 코드는 종래의 퍼스널 컴퓨터 키보드의 설계에 의해서 결정된 바와같이 주사 코드 신호에 응답하는 컴퓨터 시스템.
  15.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내에 장착되며 디지털 데이타를 기억하는 메모리;
    상기 하우징내에 장착되며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는 중앙 처리 장치;
    상기 하우징내에 장착되며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결합되는 입/출력 제어기;
    상기 입/출력 제어기에 결합되며 범용의 직렬 인터페이스를 한정하는 직렬 포트; 및
    상기 직렬 포트에 결합되며 디지털 신호를 인식하는 입력을 컴퓨터 시스템에 전달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장치 및 상기 직렬 포트 및 상기 입/출력 제어기 및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1)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의 식별을 검출하며, (2)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를 상기 중앙 처리 장치의 기능을 지배하는 마스터로서 설정하며, (3) 상기 입/출력 제어기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직렬 포트를 통해서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트랜슬레이팅 하는데 협동하는, 컴퓨터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 상기 직렬 포트, 상기 입/출력 제어기 및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에 의해서 발생된 매트릭스 포지션 코드를 주사 코드로 트랜슬레이팅하는데 협동하는 컴퓨터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기억되며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입력 신호를 도출하기 위해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장치 드라이버 코드를 더 포함하며, 또한 상기 장치 드라이버 코드는 종래의 퍼스널 컴퓨터 키보드의 설계에 의해서 결정된 바와같이 주사 코드 신호에 응답하는 컴퓨터 시스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는 키보드인 컴퓨터 시스템.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는 스캐너인 컴퓨터 시스템.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입/출력 제어기 및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를 동작가능하게 상호접속하는 클럭, 데이터 및 선택 신호 라인을 더 포함하며,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는 마이크로제어기, 상기 마이크로제어기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내에 기억되어 상기 마이크로제어기를 억세스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클럭, 데이터 및 선택 신호 라인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마이크로제어기에서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
KR1019970072654A 1997-01-09 1997-12-23 사용자 입력 장치를 위한 이동 클라이언트 컴퓨터 인터페이스 KR1002593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781,004 1997-01-09
US08/781,004 US5878276A (en) 1997-01-09 1997-01-09 Handheld computer which establishes an input device as master over the CPU when it is coupled to th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200A KR19980070200A (ko) 1998-10-26
KR100259329B1 true KR100259329B1 (ko) 2000-06-15

Family

ID=25121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2654A KR100259329B1 (ko) 1997-01-09 1997-12-23 사용자 입력 장치를 위한 이동 클라이언트 컴퓨터 인터페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878276A (ko)
KR (1) KR100259329B1 (ko)
CN (1) CN1107894C (ko)
GB (1) GB23217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704843D0 (en) * 1997-03-08 1997-04-23 Murphy Graham F Apparatus
US6073136A (en) * 1997-10-30 2000-06-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bile computer with minimized function display and maximized content display
US6178426B1 (en) 1998-01-15 2001-01-23 Symbol Technologies, Inc. Apparatus with extended markup language data capture capability
US6809649B1 (en) * 1999-01-26 2004-10-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between an electronic device and a connected battery
JP4074406B2 (ja) * 1999-03-17 2008-04-09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特殊キーに割り当てた複数のキー機能を切り替える方法
US6734809B1 (en) * 1999-04-02 2004-05-11 Think Outside, Inc. Foldable keyboard
CA2369882A1 (en) * 1999-04-21 2000-10-26 Leonhard Fuesser Peripheral having a wireless transmission apparatus
GB2356107B (en) * 1999-07-06 2003-12-31 At & T Lab Cambridge Ltd A thin multimedia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JP2001094916A (ja) * 1999-09-17 2001-04-06 Sony Corp 情報処理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2001093226A (ja) 1999-09-21 2001-04-06 Sony Corp 情報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情報通信装置および方法
KR100505103B1 (ko) * 1999-10-11 2005-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범용 직렬 버스용 메모리 스틱
EP1168253A1 (en) * 2000-06-28 2002-01-02 Sicpa Holding S.A. Use of communication equipment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n item, specifically documents, in particular security documents, communication equipment for authenticating items, and items to be authenticated by communication equipment
KR100391289B1 (ko) * 2000-07-20 2003-07-12 신정훈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을 지원하는다용도 키보드
KR20000059177A (ko) * 2000-07-20 2000-10-05 신정훈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을 지원하는독립형 인터페이스 단말기
US7139564B2 (en) 2000-08-08 2006-11-21 Hebert Thomas H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field personnel
DE10141201A1 (de) * 2000-09-08 2002-03-28 Heidelberger Druckmasch Ag Bedienungseinrichtung für mit einem Netzwerk verbundene lokale und nicht-lokale Kommunikationseinrichtung
US7376769B1 (en) * 2000-09-14 2008-05-20 Intel Corporation Wireless computing device having an application and wireless subsystem and method therefore
GB2367213B (en) * 2000-09-22 2004-02-11 Roke Manor Research Access authentication system
US6772249B1 (en) * 2000-11-27 2004-08-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andheld option pack interface
US7123212B2 (en) * 2000-12-22 2006-10-17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display method and system for a handheld computing device
US6591358B2 (en) * 2001-01-26 2003-07-08 Syed Kamal H. Jaffrey Computer system with operating system functions distributed among plural microcontrollers for managing device resources and CPU
GB2373884B8 (en) 2001-03-28 2006-05-04 Nokia Corp Method of configuring electronic devices
US20050114553A1 (en) * 2001-04-02 2005-05-26 Lada Henry F. Handheld option pack interface
GB2376320A (en) 2001-06-08 2002-12-11 Hewlett Packard Co An electronic interface device having a mechanical connector and circuits for receiving, transmitting, decoding and mapping the I/O signals
US20040021632A1 (en) * 2002-07-31 2004-02-05 Wenkwei Lou High performance, low power key matrix scanner
US20040021586A1 (en) * 2002-07-31 2004-02-05 Wenkwei Lou Keyboard scanner with error rejection
US20040024927A1 (en) * 2002-07-31 2004-02-05 Hulvey Robert W. High performance scanner for user input devices
US20040095325A1 (en) * 2002-11-15 2004-05-20 Hui-Hu Liang Computer keyboard
KR100668487B1 (ko) * 2004-11-12 2007-01-12 주식회사 애트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의 무선 통신 방법
CN100405338C (zh) * 2005-06-24 2008-07-2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公事包的移动通讯装置
CN100561245C (zh) * 2005-11-26 2009-11-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输入输出板的测试系统及方法
US20080155159A1 (en) * 2006-12-22 2008-06-26 Rivas Mario A Integrated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WI334547B (en) * 2007-06-07 2010-12-11 Via Tech Inc System and method for serial peripheral interface data transmission
JP5294909B2 (ja) 2008-05-12 2013-09-1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液晶表示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004710A (zh) * 2009-09-01 2011-04-06 辉达公司 用于扩展便携式多媒体设备功能的方法和装置
TWI449356B (zh) * 2010-02-05 2014-08-11 Htc Corp 可拆卸的無線通訊模組以及其啟動的方法
US8433463B1 (en) * 2012-02-09 2013-04-30 Nordic Capital Partners, LLC Vehicular dual mode master/slave interface
US9832036B2 (en) 2012-02-09 2017-11-28 Keystone Integrations Llc Dual-mode vehicular con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9452A (en) * 1976-06-15 1978-03-14 Bunker Ramo Corporation Programmable controller with modular firmware for communication control
US4589063A (en) * 1983-08-04 1986-05-13 Fortune Systems Corporation Data processing system having automatic configuration
US4937778A (en) * 1986-04-14 1990-06-26 Wolf Chris L System for selectively modifying codes generated by a touch type keyboard upon detecting of predetermined sequence of make codes and break codes
US4964075A (en) * 1987-05-08 1990-10-16 A. J. Weiner, Inc. Software and hardware independent auxiliary user programmable intelligent keyboard
US5457784A (en) * 1992-03-05 1995-10-10 Metacomp, Inc. Interfacing system using an auto-adapting multi-ported control module between an i/o port and a plurality of peripheral adaptors via bus extending cables
US5666530A (en) * 1992-12-02 1997-09-09 Compaq Computer Corporation System for automatic synchronization of common file between portable computer and host computer via communication channel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usable channels there between
US5548782A (en) * 1993-05-07 1996-08-20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Apparatus for preventing transferring of data with peripheral device for period of time in response to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the device with the apparatus
WO1995025310A1 (en) * 1994-03-14 1995-09-21 Apple Computer, Inc. A peripheral processor card for upgrading a computer
US5664231A (en) * 1994-04-29 1997-09-02 Tps Electronics PCMCIA interface card for coupling input devices such as barcode scanning engines to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palmtop computers
GB2291722A (en) * 1994-07-15 1996-01-31 Ibm Cordless coupling for peripheral devices.
US5584054A (en) * 1994-07-18 1996-12-10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movable front cover for exposing a touch sensitive display
US5623261A (en) * 1995-04-17 1997-04-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ranslating keyed input within a data processing system
US5745716A (en) * 1995-08-07 1998-04-28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ab access and tab cycling in a pen-based comput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78276A (en) 1999-03-02
GB2321732B (en) 2001-10-17
KR19980070200A (ko) 1998-10-26
CN1192004A (zh) 1998-09-02
GB9725193D0 (en) 1998-01-28
GB2321732A (en) 1998-08-05
CN1107894C (zh) 2003-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9329B1 (ko) 사용자 입력 장치를 위한 이동 클라이언트 컴퓨터 인터페이스
KR100276951B1 (ko) 도킹 장치와 상호작용하는 이동 클라이언트 컴퓨터
US5873045A (en) Mobile client computer with radio frequency transceiver
KR100320979B1 (ko) 이동클라이언트컴퓨터및전력관리아키텍처
US6008810A (en) Mobile client computer programmed for system message display
JP2880705B2 (ja) モバイル・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タ及び表示作成システム
US5801941A (en) Mobile client computer programmed to establish soft keyboard targeting sensitivity
US6073136A (en) Mobile computer with minimized function display and maximized content display
JP3393795B2 (ja) 入力を予測するようにプログラミングされた装置及び方法
KR100288493B1 (ko) 이동클라이언트컴퓨터컴퓨터및디스플레이발생시스템
JP3893196B2 (ja) 予測した入力のリストをコピーするようにプログラミングされた装置及び方法
EP1168235A2 (en) A personal smart pointing device
US5905486A (en) Mobile client computer programmed to combine cursor, control and input functions
KR100263010B1 (ko) 비어있는 테이블 요소들을 감추도록 프로그램된 이동클라이언트 시스템
US5880724A (en) Mobile client computer programmed for importation of data into title display
US5926006A (en) Modular electronic apparatus with battery charging control
JP4287508B2 (ja) 携帯型コンピュ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
JPH11102233A (ja) 携帯情報カード入力装置
KR19990016380A (ko) 키보드 기능 정지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5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