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7926B1 - 휴대 정보 단말장치의 전원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정보 단말장치의 전원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7926B1
KR100727926B1 KR1020040085092A KR20040085092A KR100727926B1 KR 100727926 B1 KR100727926 B1 KR 100727926B1 KR 1020040085092 A KR1020040085092 A KR 1020040085092A KR 20040085092 A KR20040085092 A KR 20040085092A KR 100727926 B1 KR100727926 B1 KR 100727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anagement
portable information
information terminal
management scree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5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5993A (ko
Inventor
최진현
박성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5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7926B1/ko
Priority to US11/210,888 priority patent/US8001406B2/en
Publication of KR20060035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5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7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7926B1/ko
Priority to US13/067,703 priority patent/US2011025225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8Supervision thereof, e.g. detecting power-supply failure by out of limits superv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휴대 정보 단말장치의 전원 관리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정보 단말장치의 전원 관리 장치는 상기 단말장치의 저전력 소모 상태에서 웨이크업 신호가 들어오면 전원관리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전원관리 화면이 표시되고 나서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전원관리 화면에 대한 반응으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휴대 정보 단말장치를 다시 상기 저전력 소모 상태로 설정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정보 단말장치의 버튼이 잘못 눌려지더라도 무용하게 배터리 전압을 소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정보 단말장치의 전원 관리 방법 및 장치{Power management method in portable information device and power management apparatu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정보 단말기의 전원 상태 흐름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정보 단말기의 전원 관리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정보 단말기의 전원 상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정보 단말기의 전원 관리부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정보 단말기의 전원 관리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관리 화면의 일 예.
본 발명은 휴대 정보 단말장치의 휴대 정보 단말장치의 전원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Mobile) 단말의 등장은 이동중에서도 작업을 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고 있다. 이동 단말의 도움을 받아 지식 노동자는 이동중에도 메모장이나 워드 등 의 문서 작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사용자가 이러한 휴대 정보 단말장치를 가방이나 주머니 속에 지니고 이동하는 경우 등에서 휴대 정보 단말장치에 마련된 파워 버튼이나 하드웨어 버튼이 잘못 눌려지거나 터치스크린이 눌려져서 파워가 온되는 경우가 있고, 또한 알람이나 전화 호출이 되어 시스템이 파워온 될 경우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정보 단말기의 전원 상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정보 단말기가 무전원 상태(110)에서 사용자가 전원을 온시키면(120), 정상 동작 상태(130)로 들어간다. 정상 동작 상태(130)에서 사용자는 휴대 정보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을 하거나 데이터 작업을 하거나 하는 등 휴대 정보 단말기를 통상의 사용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다가 휴대 정보 단말기의 배터리 전압이 소정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면, CPU의 클럭 속도를 감소시키고 소정의 기능만을 수행하여 전력 소모를 절약하는 모드인 서스펜드 상태(140)로 진입한다.
이러한 서스펜드 상태(140)에서 배터리의 충전이 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전압이 떨어져 무전원 상태(110)로 돌아간다.
또한, 이러한 서스펜드 상태(140)에 있는 휴대 정보 단말기가 사용자의 가방이나 주머니 속에서 사용자가 의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휴대 정보 단말기의 버튼이 눌려져 웨이크업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잘못 눌려진 상항이라도 휴대 정보 단말기 자체는 그것이 사용자의 의도에 의한 것인지 잘못 눌려진 것인지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다시 정상동작 상태(130)로 진행하여 장시간 동안 전력을 많이 소모하 는 상태에 놓여지기 때문에 휴대 정보 단말기의 배터리를 더 빨리 소모시키게 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정보 단말기의 전원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원 관리 장치는 배터리 전압을 검출하여 CPU로 인터럽트를 보내는 CPLD(210)와, CPLD의 인터럽트에 기초하여 서스펜드 모드로 진입하도록 설정하는 CPU(120)를 포함한다.
CPLD(210)에는 배터리(211)의 전압이 소정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는지를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212)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CPLD(210)는 배터리 전압이 소정 임계치 이하로 떨어졌을 경우 CPU에게 파워 부족(Power Fail)을 알려 CPU가 슬립 모드(서스펜드 상태)로 진행할 수 있도록 CPU(220)의 GPIO(Gerneral Purpose Input Output)와 연결되어 있다.
CPU(220)는 GPIO를 통해 CPLD(210)로부터 배터리 전압이 소정 임계치 이하로 떨어진 것을 나타내는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면 휴대 정보 단말기의 상태를 저전력 소모 상태인 슬립 모드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슬립 모드에서는 CPU의 클럭 속도가 낮아지며, LCD 등을 포함하는 I/O 디바이스(240)의 상태가 비활성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슬립 모드로 들어간 후, 저전력 상태인 슬립 모드를 계속 유지하다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웨이크업이 발생한 경우에도 휴대 정보 단말장치는 장시간 동안 전력을 많이 소모하는 정상동작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배터리의 전 압을 무용하게 소모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휴대 정보 단말의 저전력 상태 모드에서 사용자에 의해 원치않는 웨이크업이 발생한 경우에 무용하게 배터리 전압을 소모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은, 휴대 정보 단말장치의 전원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의 저전력 소모 상태에서 웨이크업 신호가 들어오면 전원관리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전원관리 화면이 표시되고 나서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전원관리 화면에 대한 반응으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휴대 정보 단말장치를 다시 상기 저전력 소모 상태로 설정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전원관리 화면이 표시되고 나서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전원관리 화면에 대한 반응으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휴대 정보 단말장치를 정상 동작 상태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휴대 정보 단말장치의 전원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의 저전력 소모 상태에서 웨이크업 신호가 들어오면 전원관리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전원관리 화면이 표시되고 나서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전원관리 화면에 대한 반응으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휴대 정보 단말장치를 다시 상기 저전력 소모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전원관리 화면이 표시되고 나서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전원관리 화면에 대한 반응으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휴대 정보 단말장치를 정상 동작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정보 단말기의 전원 상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정보 단말기가 무전원 상태(310)에서 사용자가 전원을 온시키면(320), 정상 동작 상태(330)로 들어간다. 정상 동작 상태(330)에서 사용자는 휴대 정보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을 하거나 데이터 작업을 하거나 하는 등 휴대 정보 단말기를 통상의 사용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다가 휴대 정보 단말기의 전력이 소정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면, CPU의 클럭 속도를 감소시키고 소정의 기능만을 수행하여 전력 소모를 절약하는 모드인 서스펜드 상태(340)로 진입한다. 서스펜드 상태(340)로 진입한 후에도 사용자의 조작 등에 의해 CPU가 웨이크업되면 휴대 정보 단말기는 정상 동작 상태(330)로 진입할 수 있다.
그러나 서스펜드 상태(340)에서 사용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웨이크업 된 경우 휴대 정보 단말기가 무용하게 정상동작 상태로 장시간 유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휴대 정보 단말기의 서스펜드 상태(340)에서 웨이크업 신호가 검출된 경우 에 휴대 정보 단말기는 바로 정상동작 상태로 들어가지 않고 전원관리 스크린 세이버 모드(350)로 진행한다. 전원관리 스크린 세이버 모드(350)에서는 휴대 정보 단말기의 표시부로 소정의 전원 관리를 위한 화면을 출력하고, 그 화면이 출력되고 나서 소정 시간 이전에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즉, 무반응이면, 이것은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는 웨이크업으로 판단하여 다시 서스펜드 상태(340)로 되돌아간다. 그러나, 전원관리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으로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면 정상동작 상태(330)로 들어간다.
이와 같이 서스펜드 상태에서 웨이크업이 되더라도 그것이 실제 사용자의 의도에 의한 것인지 아닌지 판단을 하고나서, 사용자의 의도에 의한 것이 아닌 경우에는 바로 다시 서스펜드 상태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배터리 전압이 무용하게 낭비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정보 단말기의 전원 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원 관리 장치는 크게 배터리 전력을 검출하여 CPU로 인터럽트를 보내는 CPLD(410)와, CPLD의 인터럽트에 기초하여 서스펜드 모드로 진입하거나 전원관리 스크린 세이버 모드를 실행하는 CPU(420)를 포함한다.
CPLD(410)에는 배터리(412)의 전압이 소정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는 지를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411)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CPLD(410)는 배터리(412)의 전압이 소정 임계치 이하로 떨어진 경우 CPU(420)에게 Power Fail을 알려 CPU가 슬립 모드(sleep mode)로 진행하기 위하여 CPU의 GPIO(421)와 연결되어 있다.
CPU(420)는 GPIO(421), 슬립모드 설정부(422), GPIO(423), 전원 관리 스크린 세이버 모드 실행부(424), 정상동작 모드 설정부(425)를 포함하며, CPU(420)에는 입출력 디바이스(430)와, 메모리(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된다.
GPIO(421)는 CPLD(410)로부터 배터리 전압이 소정 임계칠 이하로 떨어진 것을 나타내는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여 슬립모드 설정부(422)에 제어신호를 보낸다.
슬립모드 설정부(422)는 GPIO(421)를 통해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휴대 정보 단말기의 상태를 저전력 소모 상태로 설정한다.
GPIO(423)는 입출력 디바이스(430)로부터 소정의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면, 이러한 웨이크업 신호를 전원관리 스크린 세이버 모드 실행부(424)로 전달한다. 웨이크업 신호는 휴대 정보 단말기의 입력부에 마련된 소정의 버튼이 눌려진다거나 전화 호출을 수신한 경우에 발생될 수 있다.
전원관리 스크린 세이버 모드 실행부(424)는 GPIO(423)를 통해서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입출력 디바이스(430)에 마련된 표시부로 전원관리 화면을 출력한다.
전원관리 화면은 발생한 웨이크업이 실제로 사용자의 의도에 의한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화면으로,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원관리 화면(600)은 사용자에 의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두 개의 영역(610,620)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그 영역 아래에 "눌러주세요"라는 안내 메시지가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현재 이 화면을 보고 있는 중이 라면 상기 두 개의 영역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모두를 눌러서 사용자가 현재 이 휴대 정보 단말기를 조작하고 있는 상태라는 것을 알릴 수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현재 이 화면을 보고 있는 중이 아니라면 상기 두 개의 영역은 어느 것도 눌려지지 않을 것이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은 일 예에 불과하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화면의 형태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 입력도 화면의 터치에 의한 것이 아니라 휴대 정보 단말기에 마련된 소정의 버튼을 이용하여 수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화면을 출력하고 나서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 예를 들어 10 초 이전에 사용자로부터의 반응에 의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전원관리 스크린 세이버 모드 실행부는 이러한 웨이크업이 사용자의 의도에 의한 것이 아니라 잘못 발생된 것임으로 판단하고 휴대 정보 단말장치를 다시 슬립모드로 들어가기 위해 슬립모드 설정부(422)에 제어 신호를 보낸다.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은 예를 들어 5초 내지 30초가 될 수 있다.
슬립모드 설정부(422)는 이러한 제어 신호를 받으면 휴대 정보 단말장치로 저전력 소모 상태인 슬립 모드로 설정한다.
그러나, 전원관리 스크린 세이버 모드 실행부(424)가 소정 시간 이내에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한 경우에는, 정상동작 모드실행부(425)로 제어 신호를 보내어 휴대 정보 단말장치가 정상 동작 상태로 들어갈 수 있도록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정보 단말기의 전원 관리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 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배터리 전압이 소정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면 인터럽트가 발생한다(510).
그러면, 휴대 정보 단말기의 CPU는 이러한 인터럽트를 수신하면 슬립 모드로 진행하여 저전력 소모 상태로 설정한다(520). 사용자가 배터리를 충전하지 않을 경우, 저전력 상태에서 계속 파워를 소모하게 된다.
이러한 저전력 소모 상태에서 CPU가 입출력 장치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면(530), CPU는 전원관리 스크린 세이버를 출력부로 출력한다(540).
그리고나서, CPU는 전원관리 스크린 세이버가 출력되고 나서 소정 시간 이내에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550).
판단결과 소정 시간 이내에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슬립 모드로 진행하여 저전력 소모 상태로 설정하다(520).
판단 결과 소정 시간 이내에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에는 정상 동작 상태로 진행하여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등을 실행하다(560).
상기 실시예에서는 소정시간 이내에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다시 저전력 소모 상태로 설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파워 오프 상태로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전원 관리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 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정보 단말장치에서 알람이나 전화호출이 되었을 때 또는 부재시 또는 사용자가 인식을 하지 못한 상태에서 버튼 등이 눌려지거나 터치스크린 등이 접촉된 경우에 강제로 휴대 정보 단말장치를 저전력 소모 상태로 설정함으로써, 잘못된 하드웨어 버튼의 접촉으로부터 발생되는 기존의 3 분 내지 5분 정도 지속되는 웨이크업 시간을 5초에서 30초로 줄여 무용한 파워 소모를 막을 수 있다.

Claims (4)

  1. 휴대 정보 단말장치의 전원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의 저전력 소모 상태에서 웨이크업 신호가 들어오면, 상기 웨이크업이 사용자의 의도에 의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 전원관리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전원관리 화면이 표시되고 나서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전원관리 화면에 대한 반응으로 상기 전원관리 화면의 특정영역에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휴대 정보 단말장치를 다시 상기 저전력 소모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전원관리 화면이 표시되고 나서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전원관리 화면에 대한 반응으로 상기 전원관리 화면의 특정영역에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휴대 정보 단말장치를 정상 동작 상태로 설정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관리 장치.
  2. 삭제
  3. 휴대 정보 단말장치의 전원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의 저전력 소모 상태에서 웨이크업 신호가 들어오면, 상기 웨이크업이 사용자의 의도에 의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 전원관리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전원관리 화면이 표시되고 나서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전원관리 화면에 대한 반응으로 상기 전원관리 화면의 특정영역에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휴대 정보 단말장치를 다시 상기 저전력 소모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전원관리 화면이 표시되고 나서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전원관리 화면에 대한 반응으로 상기 전원관리 화면의 특정영역에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휴대 정보 단말장치를 정상 동작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관리 방법.
  4. 삭제
KR1020040085092A 2004-10-23 2004-10-23 휴대 정보 단말장치의 전원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0727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092A KR100727926B1 (ko) 2004-10-23 2004-10-23 휴대 정보 단말장치의 전원 관리 방법 및 장치
US11/210,888 US8001406B2 (en) 2004-10-23 2005-08-25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of portable information device
US13/067,703 US20110252259A1 (en) 2004-10-23 2011-06-21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of portable inform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092A KR100727926B1 (ko) 2004-10-23 2004-10-23 휴대 정보 단말장치의 전원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993A KR20060035993A (ko) 2006-04-27
KR100727926B1 true KR100727926B1 (ko) 2007-06-14

Family

ID=36207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092A KR100727926B1 (ko) 2004-10-23 2004-10-23 휴대 정보 단말장치의 전원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001406B2 (ko)
KR (1) KR1007279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83527B (en) * 2005-08-30 2007-07-01 Acer Inc A method for managing the power state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O2007114235A1 (ja) * 2006-03-30 2007-10-11 Kyocera Corporation 携帯電子機器及び地磁気センサ較正方法
US7841967B1 (en) 2006-04-26 2010-11-30 Dp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itness coaching using a mobile device
US8902154B1 (en) 2006-07-11 2014-12-02 Dp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motion user interface
US8620353B1 (en) 2007-01-26 2013-12-31 Dp Technologies, Inc. Automatic sharing and publication of multimedia from a mobile device
US8949070B1 (en) 2007-02-08 2015-02-03 Dp Technologies, Inc. Human activity monitoring device with activity identification
US8555282B1 (en) 2007-07-27 2013-10-08 Dp Technologies, Inc. Optimizing preemptive operating system with motion sensing
US20090099812A1 (en) * 2007-10-11 2009-04-16 Philippe Kah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Context Based Actions
KR101402083B1 (ko) * 2007-11-02 2014-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20090204834A1 (en) * 2008-02-11 2009-08-13 Nvid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inputs as wake signals
US8320578B2 (en) 2008-04-30 2012-11-27 Dp Technologies, Inc. Headset
US20100162021A1 (en) * 2008-12-08 2010-06-24 Kennard Peter System and method for extending the battery life of a mobile device
US8285344B2 (en) * 2008-05-21 2012-10-09 DP Techn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udio for a user environment
US8996332B2 (en) 2008-06-24 2015-03-31 Dp Technologies, Inc. Program setting adjustments based on activity identification
KR20100000514A (ko) * 2008-06-25 2010-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US8872646B2 (en) 2008-10-08 2014-10-28 Dp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waking up a device due to motion
US9529437B2 (en) * 2009-05-26 2016-12-27 Dp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motion state aware device
KR101573330B1 (ko) * 2009-08-13 2015-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재생 장치를 부팅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2011253311A (ja) * 2010-06-01 2011-12-15 Pfu Ltd 情報処理装置、モード制御方法およびモード制御用プログラム
CN101943942B (zh) * 2010-08-24 2013-06-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睡眠功能的电子装置及唤醒电子装置的方法
US8543856B2 (en) 2011-08-20 2013-09-24 Freescale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device with wake-up unit
JP5899878B2 (ja) * 2011-12-02 2016-04-06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104423B2 (en) 2012-05-16 2015-08-11 Nvid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dvance wakeup from low-power sleep states
JP5915424B2 (ja) * 2012-07-09 2016-05-11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
US9395799B2 (en) 2012-08-09 2016-07-19 Nvidia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techniques for USB interfaces
US9015514B2 (en) * 2012-08-28 2015-04-21 Dell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persistent battery shutdown f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s
US9760150B2 (en) 2012-11-27 2017-09-12 Nvidia Corporation Low-power states for a computer system with integrated baseband
CN103857019B (zh) 2012-11-30 2018-01-02 辉达公司 一种在移动终端中用于省电的方法
TWI475374B (zh) * 2013-01-25 2015-03-01 Wistron Corp 省電操作方法與電子裝置
US9252774B2 (en) 2013-05-27 2016-02-02 Freescale Semiconductor, Inc. Integrated circuit wake-up control system
US20150346894A1 (en) * 2014-05-29 2015-12-03 Kobo Inc. Computing device that is responsive to user interaction to cover portion of display screen
JP2016091257A (ja) * 2014-11-04 2016-05-2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機器
KR20160083690A (ko) * 2015-01-02 2016-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5739669B (zh) * 2016-01-27 2019-06-1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终端控制方法和终端控制装置
US10326286B2 (en) 2016-08-11 2019-06-18 K2 Energy Solutions, Inc. Battery system with shipping mode
JP6950551B2 (ja) * 2018-02-01 2021-10-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240094795A1 (en) * 2022-09-16 2024-03-21 Lenovo (United States) Inc. Computing system power-on using circui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373A (ko) * 1997-08-29 1999-03-15 윤종용 오픈형 휴대무선단말기에서 잘못된 키눌림에 대한 키보호방법
KR20010011374A (ko) * 1999-07-27 2001-02-15 윤종용 저 전력 소비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 론처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020069962A (ko) * 2001-02-28 2002-09-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절약 방법 및 장치
JP2003157129A (ja) 2001-11-20 2003-05-30 Nintendo Co Ltd ゲーム機およびそこで実行される省電力モード管理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23046B2 (ja) 1992-03-30 1997-06-25 三洋電機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2978020B2 (ja) 1992-12-04 1999-11-15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5675810A (en) * 1994-09-07 1997-10-07 Compaq Computer Corporation Reducing power usage in a personal computer
KR100275685B1 (ko) 1997-04-11 2000-12-15 윤종용 펜과 터치패널을 이용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시동장치 및 시동방법
JPH11161385A (ja) * 1997-11-28 1999-06-18 Toshiba Corp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そのシステムステート制御方法
JP3557492B2 (ja) 1998-02-12 2004-08-25 富士通株式会社 携帯情報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US20020112005A1 (en) * 1998-08-25 2002-08-15 Charles Namias Video e-mail kiosk
US6504530B1 (en) * 1999-09-07 2003-01-07 Elo Touchsystems, Inc. Touch confirming touchscreen utilizing plural touch sensors
JP2002123341A (ja) 2000-10-12 2002-04-26 Sharp Corp ノート型電子機器
US7225353B1 (en) * 2001-10-03 2007-05-29 Palm, Inc. Information preservation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6816977B2 (en) * 2001-12-03 2004-11-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wer reduction in computing devices using micro-sleep intervals
US7176902B2 (en) * 2003-10-10 2007-02-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ake-on-touch for vibration sensing touch input devic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373A (ko) * 1997-08-29 1999-03-15 윤종용 오픈형 휴대무선단말기에서 잘못된 키눌림에 대한 키보호방법
KR20010011374A (ko) * 1999-07-27 2001-02-15 윤종용 저 전력 소비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 론처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020069962A (ko) * 2001-02-28 2002-09-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절약 방법 및 장치
JP2003157129A (ja) 2001-11-20 2003-05-30 Nintendo Co Ltd ゲーム機およびそこで実行される省電力モード管理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993A (ko) 2006-04-27
US8001406B2 (en) 2011-08-16
US20060090088A1 (en) 2006-04-27
US20110252259A1 (en) 201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7926B1 (ko) 휴대 정보 단말장치의 전원 관리 방법 및 장치
JP2769082B2 (ja) 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タの電力配分管理システム
US72284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rving state data of a personal computer in a standby state in the event of an AC power failure
US888091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judging method
US20050114641A1 (e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ncluding standby/wakeup feature dependent on sensed conditions
TWI225982B (en) Power shutdown method of wireless peripheral device
US200600699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in portable information device
CN111562836B (zh) 一种应用于电子设备的省电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572868B (zh) 降低电子设备功耗的方法与设备
US9430019B2 (en) Method of changing over computer from power-on state to power-saving state
US75233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a suspension state after powering down and fully powering down upon expiration of a timer or low battery level
EP1973026A1 (en) Notebook computer
US1039430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50017897A (ko) 복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센서 출력을 처리하는 사용자 기기 및 방법
JP2000214963A (ja) コンピュ―タシステムおよび設定情報の自動設定方法
US7150402B2 (en) Device and method for a wireless mouse to detect the battery status of a host computer
WO2005071531A1 (fr) Procede et dispositif permettant de demarrer un ordinateur
JPH0612376A (ja) 携帯型電子装置
US8959255B2 (en) Computer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US20140215247A1 (en) Power saving operating method for and electronic device
US8051319B2 (en) Method for power management for computer system
US20230114256A1 (en) Feature modification in standby mode based on power source capacity
CN114816031A (zh) 终端设备的省电方法、终端设备及介质
CN108181983B (zh) 具有控制器进入低功率模式的电子设备
KR100677121B1 (ko) 저전압 상태에서 배터리 상태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