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9426B1 - 촬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촬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9426B1
KR102429426B1 KR1020150097865A KR20150097865A KR102429426B1 KR 102429426 B1 KR102429426 B1 KR 102429426B1 KR 1020150097865 A KR1020150097865 A KR 1020150097865A KR 20150097865 A KR20150097865 A KR 20150097865A KR 102429426 B1 KR102429426 B1 KR 102429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hotographing
photographing apparatus
control unit
prepara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6748A (ko
Inventor
이진원
이용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7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426B1/ko
Priority to CN201680034534.3A priority patent/CN107771390A/zh
Priority to EP16821508.5A priority patent/EP3320679A4/en
Priority to PCT/KR2016/000520 priority patent/WO2017007102A1/en
Priority to US15/002,551 priority patent/US10382682B2/en
Publication of KR20170006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20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04N23/651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ffecting camera operations, e.g. sleep mode, hibernation mode or power off of selective parts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04N5/225
    • H04N5/23245
    • H04N5/2329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사용자가 촬영 장치를 그립하는 그립 압력(grip force)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촬영 장치에 장착되는 렌즈의 무게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단순 그립 압력(base grip for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기준 압력(reference force)을 설정하고, 상기 감지되는 압력이 상기 기준 압력 이상이면 촬영 준비 모드로 동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촬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다양한 실시예들은 촬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촬영 장치를 그립하는 압력에 기초하여 동작을 제어하는 촬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촬영 장치는 촬영 장치의 전원이 온(On)된 상태에서, 일정시간 이상 입력이 들어오지 않는 경우, 슬립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슬립 모드는 촬영 장치의 전력(power)을 절약하기 위하여, 최소한의 기능을 제외한 다른 기능은 정지시키는 모드를 의미한다. 슬립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를 인지하고 촬영을 시도하는 경우, 촬영 장치는 촬영을 준비하기 위하여 부팅(booting)을 수행한다. 이때, 부팅을 수행함에 있어 일정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촬영을 시도하는 시점부터 부팅을 수행하기 시작하면,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시점에 피사체를 촬영하지 못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촬영 장치의 슬립 모드 또는 부팅 준비 모드에서 사용자가 촬영 장치를 그립하는 압력을 감지하여, 빠르고 정확하게 촬영 준비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촬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는, 사용자가 촬영 장치를 그립하는 그립 압력(grip force)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촬영 장치에 장착되는 렌즈의 무게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단순 그립 압력(base grip for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기준 압력(reference force)을 설정하고, 상기 감지되는 압력이 상기 기준 압력 이상이면 촬영 준비 모드로 동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는, 상기 촬영 장치에 장착된 렌즈로부터 렌즈의 무게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수신한 렌즈의 무게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촬영 장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렌즈의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렌즈의 무게가 제1 값보다 보다 작은 경우, 상기 기준 압력을 제1 압력으로 설정하고, 상기 렌즈의 무게가 상기 제1 값 이상인 경우, 상기 기준 압력을 상기 제1 압력보다 큰 제2 압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는, 상기 촬영 장치가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촬영 장치를 그립하는 상기 단순 그립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단순 그립 압력들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압력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제1 제어부 및 제2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 준비 모드인 경우, 상기 제2 제어부는 부팅 신호를 상기 제1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부팅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1 제어부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를 웨이크 업(wake up) 시키고, 뷰 파인더를 온(on)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는 사용자의 눈이 뷰 파인더에 근접할 때, 접안 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안 센서 및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준비 모드에서, 상기 접안 신호가 감지되거나,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촬영 준비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촬영 준비 모드에서, 촬영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촬상 센서를 제어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는 사용자의 눈이 뷰 파인더에 근접할 때, 접안 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안 센서 및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준비 모드에서, 기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상기 접안 신호가 감지되지 않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부팅 준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부팅 준비 모드에서, 기 설정된 제2 시간 동안 상기 접안 신호가 감지되지 않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슬립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는 슬립 모드인 경우, 동작하지 않고, 상기 부팅 준비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제어부는 동작하지 않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저전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슬립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촬영 장치를 그립하는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슬립 모드에서 상기 부팅 준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동작방법은, 촬영 장치에 장착되는 렌즈의 무게 정보 및 사용자의 단순 그립 압력(base grip for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기준 압력(reference force)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촬영 장치를 그립하는 그립 압력(grip force)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되는 압력이 상기 기준 압력 이상이면 촬영 준비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방법은, 상기 촬영 장치에 장착된 렌즈로부터 상기 렌즈의 무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 압력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렌즈의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압력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압력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렌즈의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렌즈의 무게가 제1 값보다 보다 작은 경우, 상기 기준 압력을 제1 압력으로 설정하고, 상기 렌즈의 무게가 상기 제1 값 이상인 경우, 상기 기준 압력을 상기 제1 압력보다 큰 제2 압력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방법은, 상기 촬영 장치가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촬영 장치를 그립하는 상기 단순 그립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 압력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단순 그립 압력들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압력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준비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제2 제어부는 부팅 신호를 상기 제1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부팅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1 제어부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를 웨이크 업(wake up) 시키고, 뷰 파인더를 온(on)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방법은, 사용자의 눈이 뷰 파인더에 근접할 때, 발생하는 접안 신호를 감지하거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촬영 준비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 준비 모드에서, 상기 접안 신호가 감지되거나,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촬영 준비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방법은, 상기 촬영 준비 모드에서, 촬영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 장치에 포함되는 촬상 센서를 제어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방법은, 상기 촬영 준비 모드에서, 사용자의 눈이 뷰 파인더에 근접할 때, 발생하는 접안 신호가 기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고,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1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부팅 준비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방법은, 상기 부팅 준비 모드에서, 상기 접안 신호가 기 설정된 제2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2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방법은, 슬립 모드인 경우, 제1 제어부 및 제2 제어부는 동작하지 않고, 상기 부팅 준비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제어부는 동작하지 않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방법은, 상기 슬립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촬영 장치를 그립하는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슬립 모드에서 상기 부팅 준비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동작방법은, 촬영 장치에 장착되는 렌즈의 무게 정보 및 사용자의 단순 그립 압력(base grip for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기준 압력(reference force)을 설정하는 단계, 연사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촬영 장치를 그립하는 그립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되는 압력이 상기 기준 압력 이상이면 상기 연사 촬영의 속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동작방법은, 촬영 장치에 장착되는 렌즈의 무게 정보 및 사용자의 단순 그립 압력(base grip for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기준 압력(reference force)을 설정하는 단계, 동영상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촬영 장치를 그립하는 그립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되는 압력이 상기 기준 압력 이상이면 정지 영상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슬립 모드 또는 부팅 준비 모드에서 사용자가 촬영 장치를 그립하는 압력을 감지하여, 빠르고 정확하게 부팅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시점에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 압력이 촬영 장치에 장착되는 렌즈의 무게에 따라 다르게 설정됨으로써, 촬영 장치를 부팅시키고자 하는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 압력이 사용자가 슬립 모드에서 촬영 장치를 단순 그립하는 압력에 따라 다르게 설정됨으로써, 촬영 장치를 부팅시키고자 하는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때, 사용자의 자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그립부(110)의 구조를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의 (b)는 도 2의 (a)의 그립부(110)를 수평으로 자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들이다.
도 6의 (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준비 모드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에 장착되는 렌즈의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압력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사용자의 단순 그립 압력(base grip force)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압력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3b는 도 13a의 촬영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4b는 도 14a의 촬영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5b는 도 15a의 촬영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때, 사용자의 자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촬영 장치(100)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는 정지영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DSLR), 미러리스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촬영 장치(100)는 렌즈 및 촬상 소자를 포함하여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탑재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촬영 장치(100)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때, 촬영 장치(100)를 들어올리기 위해 손으로 그립부(110)를 그립하게 된다. 이에 따라, 그립부(110)에는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는 그립부(110)에서 감지되는 그립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에 기초하여, 촬영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장치(100)는 부팅 준비 모드에서, 그립부(110)로부터 그립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그립 압력이 기준 압력(reference force) 이상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촬영 준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장치(100)는 슬립 모드에서, 그립부(110)로부터 그립 압력을 감지하는 경우, 부팅 준비 모드로 동작하거나 촬영 준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기준 압력(reference force)은 촬영 장치(100)에 장착되는 렌즈의 무게 정보 및 사용자의 단순 그립 압력(base grip for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장치(100)에 장착된 렌즈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기준 압력은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촬영 장치(100)는 촬영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예를 들어, 슬립모드)에서 사용자가 촬영 장치(100)를 그립하는 압력(단순 그립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단순 그립 압력에 기초하여 기준 압력을 설정할 수 있다.
도 2의 (a)는 도 1의 그립부(110)의 구조를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의 (b)는 도 2의 (a)의 그립부(110)를 수평으로 자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 및 (b)를 참조하면, 그립부(110)는 사용자가 촬영 장치(100)를 그립하는 압력을 센싱하기 위한 압력 센서(115)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서(115)는 촬영 장치(100)의 메인 바디(112)에 장착될 수 있으며, PZT 등의 압전소자, FSR(Force sensing resistor)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바디(112)를 둘러싸는 몰드(114)에 홀(113)을 형성하고, 압력 센서(115)가 장착된 부분이 홀(114)에 위치하도록 메인 바디(112)와 몰드(114)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몰드(114)에 의한 간섭 없이 사용자의 그립 압력(grip force)이 압력 센서(115)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그립 압력을 압력 센서(115)로 원활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압력 센서(115)와 그립 압력의 발생 지점 사이에는 스프링 구조물(116)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스프링 구조물(116)은 외란(disturbance)으로 작용하는 압력의 전달을 억제하고, 스프링 구조물(116)에 특정 값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압력 센서(115)가 압력을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압력 센싱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구조물(116)은 폴리우레탄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폴리우레탄폼은 압축 후 천천히 원상태로 복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스프링 구조물(116)과 포인트 컨택하는 구조물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구조물의 사이즈를 조절함으로써, 그립 압력 전달의 민감도(sensitivity)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그립부(110)는 몰드(114) 및 스프링 구조물(116)을 둘러싸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a) 및 (b)에서 도시하고 설명한 그립부(110)의 구조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립부(110)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는 감지부(12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20)는 사용자가 촬영 장치(100)를 그립하는 그립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120)는 압력을 센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서는 촬영 장치(100)의 그립부(1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PZT 등의 압전소자, FSR(Force sensing resistor)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제1 제어부(141) 및 제2 제어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41)는 촬영 장치(100)의 메인 제어부로써, 촬영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41)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도록 조리개 구동부, 렌즈 구동부, 촬상 센서 제어부, 이미지 신호 처리부 등에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촬영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제1 제어부(141)는 슬립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제2 제어부(142)는 촬영 장치(100)의 서브 제어부로써 동작할 수 있다. 제2 제어부(142)는 촬영 장치(100)에 장착된 렌즈의 무게 정보를 획득하여, 렌즈의 무게에 따라 기준 압력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기준 압력의 크기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142)는 사용자의 단순 그립 압력(base grip force)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의 단순 그립 압력의 크기에 따라 기준 전압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단순 그립 압력의 크기가 클수록 기준 압력의 크기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142)는 제1 제어부(141)에 비해 소비하는 전력이 낮으며, 감지되는 그립 압력과 기준 압력을 비교할 수 있다. 제2 제어부(142)는 감지되는 그립 압력이 기준 압력 이상인 경우, 제1 제어부(141)로 부팅 신호를 전송하여, 제1 제어부(141)를 슬립 상태에서 웨이크 업 시킬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촬영 장치(200)는 촬영부(210), 이미지 신호 처리부(222),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221), 감지부(220), 메모리(230), 저장/판독 제어부(270), 메모리 카드(272), 프로그램 저장부(250), 디스플레이 구동부(262), 디스플레이부(264), 제어부(240), 사용자 입력부(280), 인터페이스부(285), 접안 센서(295) 및 통신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감지부(220), 제어부(240)는 각각 도 3의 감지부(120), 제어부(140)에 대응되므로,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고, 나머지 구성요소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촬영 장치(200)의 전체 동작은 제어부(2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렌즈 구동부(212), 조리개 구동부(215), 촬상 센서 제어부(219) 등에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촬영부(210)는 입사광으로부터 전기적인 신호의 영상을 생성하는 구성요소로서, 렌즈(211), 렌즈 구동부(212), 조리개(213), 조리개 구동부(215), 촬상 센서(218), 및 촬상 센서 제어부(219)를 포함한다.
렌즈(211)는 복수 군, 복수 매의 렌즈들을 구비할 수 있다. 렌즈(211)는 렌즈 구동부(212)에 의해 그 위치가 조절된다. 렌즈 구동부(212)는 제어부(240)에서 제공된 제어 신호에 따라 렌즈(211)의 위치를 조절한다.
또한, 렌즈 구동부(211)는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여 초점 거리를 조절하고, 오토 포커싱, 줌 변경, 초점 변경들의 동작을 수행한다.
조리개(213)는 조리개 구동부(215)에 의해 그 개폐 정도가 조절되며, 촬상 센서(218)로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한다.
렌즈(211) 및 조리개(213)를 투과한 광학 신호는 촬상 센서(218)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촬상 센서(218)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센서 또는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상 센서(218)는 촬상 센서 제어부(219)에 의해 감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촬상 센서 제어부(219)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 센서(218)를 제어할 수 있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221)는 촬상 센서(218)로부터 공급된 아날로그 신호에 대하여, 노이즈 저감 처리, 게인 조정, 파형 정형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 등을 수행한다.
이미지 신호 처리부(222)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221)에서 처리된 영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특수기능을 처리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이다. 예를 들면,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노이즈를 저감하고,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화이트 밸런스 조절, 휘도의 평활화 및 칼라 쉐이딩(color shading) 등의 화질 개선 및 특수 효과 제공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미지 신호 처리부(222)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영상 파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영상의 압축형식은 가역 형식 또는 비가역 형식이어도 된다. 적절한 형식의 예로서, 정지 영상에 경우,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형식이나 JPEG 2000 형식 등으로 변환도 가능하다. 또한, 동영상을 기록하는 경우,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표준에 따라 복수의 프레임들을 압축하여 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영상 파일은 예를 들면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표준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이미지 신호 처리부(222)는 촬상 센서(218)에서 생성된 촬상 신호로부터 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촬상 신호는 촬상 센서(218)에서 생성된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221)에 의해 처리된 신호일 수 있다. 이미지 신호 처리부(120)는 상기 촬상 신호로부터 동영상 파일에 포함될 프레임들을 생성하고, 상기 프레임들을 예를 들면, MPEG4(Moving Picture Experts Group 4), H.264/AVC, WMV(windows media video) 등의 표준에 따라 코딩되어, 동영상 압축된 후, 압축된 동영상을 이용하여 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동영상 파일은 mpg, mp4, 3gpp, avi, asf, mov 등 다양한 형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미지 신호 처리부(222)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230)를 통하여 또는 직접 저장/판독 제어부(270)에 입력되는데, 저장/판독 제어부(270)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272)에 저장한다. 또한 저장/판독 제어부(270)는 메모리 카드(272)에 저장된 영상 파일로부터 영상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메모리(230)를 통해 또는 다른 경로를 통해 표시 구동부에 입력하여 디스플레이부(264)에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메모리 카드(272)는 탈착 가능한 것일 수도 있고 촬영 장치(200)에 영구 장착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272)는 SD(Secure Digital)카드 등의 플래시 메모리 카드 일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신호 처리부(222)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불선명 처리, 색채 처리, 블러 처리, 에지 강조 처리, 영상 해석 처리, 영상 인식 처리, 영상 이펙트 처리 등도 행할 수 있다. 영상 인식 처리로 얼굴 인식, 장면 인식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아울러, 이미지 신호 처리부(222)는 디스플레이부(264)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도 레벨 조정, 색 보정, 콘트라스트 조정, 윤곽 강조 조정, 화면 분할 처리, 캐릭터 영상 등 생성 및 영상의 합성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한편, 이미지 신호 처리부(222)에 의해 처리된 신호는 메모리(230)를 거쳐 제어부(240)에 입력될 수도 있고, 메모리(230)를 거치지 않고 제어부(240)에 입력될 수도 있다. 여기서 메모리(230)는 촬영 장치(200)의 메인 메모리로서 동작하고, 이미지 신호 처리부(222) 또는 제어부(240)가 동작 중에 필요한 정보를 임시로 저장한다. 프로그램 저장부(250)는 촬영 장치(200)를 구동하는 운영 시스템, 응용 시스템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촬영 장치(200)는 이의 동작 상태 또는 촬영 장치(200)에서 촬영한 영상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64)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264)는 시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264)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64)는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부(262)는 디스플레이부(264)에 구동 신호를 제공한다.
제어부(24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이에 따라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각 구성부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프로세서에 해당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프로그램 저장부(25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별도의 모듈을 구비하여, 오토 포커싱, 줌 변경, 초점 변경, 자동 노출 보정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조리개 구동부(215), 렌즈 구동부(212), 및 촬상 센서 제어부(219)에 제공하고, 셔터, 스트로보 등 디지털 촬영 장치(200)에 구비된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외부 모니터와 연결되어, 이미지 신호 처리부(222)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에 대해 외부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소정의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할 수 있으며, 이렇게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외부 모니터에서 해당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80)는 사용자가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이다. 사용자 입력부(280)는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센서(218)를 빛에 노출하여 사진을 촬영하도록 하는 셔터-릴리즈 신호를 입력하는 셔터-릴리즈 버튼,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전원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줌 버튼, 모드 선택 버튼, 기타 촬영 설정값 조절 버튼 등 다양한 기능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280)는 버튼,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스크린, 원격 제어기 등과 같이 사용자가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인터페이스부(285)는 촬영 장치(200)에 연결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부()는 촬영 장치()에 장착되는 렌즈로부터 렌즈의 무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접안 센서(295)는 촬영 장치(200)의 뷰 파인더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접안 센서(295)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눈이 근접하는 것을 감지하여 접안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통신부(29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Network Interface Card)나 모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촬영 장치(200)가 외부 디바이스와 네트워크를 통해 유무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90)는 촬영 장치(100)에 장착되는 렌즈로부터 렌즈의 무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들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촬영 장치(100)를 그립하면, 촬영 장치(100)의 그립부에 그립 압력이 발생할 수 있다(S310). 촬영 장치(100)는 그립부에 발생하는 그립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슬립 모드에서, 그립 압력이 감지되면, 촬영 장치(100)는 부팅 준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320).
슬립 모드는 촬영 장치(100)에 포함되는 제1 제어부(141) 및 제2 제어부(142)가 모두 동작하지 않는 슬립 상태인 경우를 의미한다. 촬영 장치(100)에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촬영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제1 제어부(141) 및 제2 제어부(142)는 슬립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142)는 슬립 모드에서 사용자가 촬영 장치를 그립하는 그립 압력의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제어부(142)는 그립 압력이 발생하면, 부팅 준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부팅 준비 모드는 제1 제어부(141)는 슬립 상태이고, 제2 제어부(142)는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준비 상태)인 경우를 의미한다. 제2 제어부(142)는 부팅 준비 모드에서, 사용자가 촬영 장치를 그립하는 그립 압력의 크기와 기준 압력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그립 압력이 기준 압력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330), 촬영 장치(100)는 촬영 준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340).
촬영 준비 모드에서, 제2 제어부(142)는 부팅 신호를 제1 제어부(141)로 전송하여, 슬립 상태에 있는 제1 제어부(141)를 웨이크 업(wake up)시킬 수 있다. 또한, 부팅 신호를 수신한 제1 제어부(141)는 전자식 뷰 파인더(EVF: Electronic View Finder)를 온(On) 시키며, 조리개 구동부, 렌즈 구동부, 촬상 센서 제어부 등을 동작시켜, 피사체를 촬영할 준비를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촬영 장치(100)는 뷰 파인더 근처에 배치된 접안 센서에서 발생되는 접안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뷰 파인더 영상을 확인하기 위해, 뷰 파인더 주위로 사용자의 눈을 가까이 가져가면, 접안 센서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눈이 근접하는 것을 감지하여 접안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촬영 준비 모드에서, 접안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촬영 장치(100)는 촬영 준비 모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촬영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촬영 장치(100)는 촬영 준비 모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진을 촬영하도록 하는 셔터-릴리즈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줌 버튼, 모드 선택 버튼, 기타 촬영 설정 값 조절 버튼 등 다양한 기능 버튼을 누르는 경우, 촬영 장치(100)는 촬영 준비 모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은 다양한 기능 버튼을 누르는 것 이외에도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원격 제어기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촬영 장치(100)를 그립하면, 촬영 장치(100)의 그립부에 그립 압력이 발생할 수 있다(S410). 촬영 장치(100)는 그립부에 발생하는 그립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슬립 모드에서, 그립 압력이 감지되면, 촬영 장치(100)는 부팅 준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420).
또한, 제2 제어부는 부팅 준비 모드에서, 사용자가 촬영 장치를 그립하는 그립 압력의 크기와 기준 압력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그립 압력이 기준 압력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430), 촬영 장치(100)는 촬영 준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440).
촬영 준비 모드에서 기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접안 신호가 감지되지 않고,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S450), 촬영 장치(100)는 부팅 준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460).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부팅 준비 모드에서, 기 설정된 제2 시간 동안 접안 신호가 감지되지 않고,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촬영 장치(100)는 슬립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6의 (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준비 모드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촬영 장치(100)가 슬립 모드 또는 부팅 준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촬영 장치(100)가 슬립 모드 또는 부팅 준비 모드로 동작할 때, 전자식 뷰 파인더(165) 및 디스플레이부(264)는 오프(off)될 수 있다.
전자식 뷰 파인더(165) 및 디스플레이부(264)는 뷰 파인더 영상을 표시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부(264)도 비활성화된 상태일 수 있다.
반면에, 도 6의 (b)는 촬영 장치(100)가 촬영 준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촬영 장치(100)가 촬영 준비 모드로 동작할 때, 전자식 뷰 파인더(165) 또는 디스플레이부(264)는 온(On)될 수 있다. 전자식 뷰 파인더(165)는 뷰 파인더 영상을 표시하고, 디스플레이부(264)는 촬영된 영상 또는 촬영 조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식 뷰 파인더(165)를 통해 뷰 파인더 영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264)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 또는 촬영 조건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외에도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는 촬영 준비 모드로 동작할 때, 이미지 신호 처리부를 동작시켜 피사체를 촬영할 준비를 완료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에 장착되는 렌즈의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압력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촬영 장치(100)는 촬영 장치(100)에 장착된 렌즈의 무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510).
예를 들어, 촬영 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마운트에 장착된 렌즈의 무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를 통하여, 렌즈의 무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렌즈의 무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촬영 장치(100)는 획득한 렌즈의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촬영 장치(100)에 장착된 렌즈가 가벼운 중량의 렌즈(light weight lens)인지, 중간 중량의 렌즈(middle weight lens)인지, 무거운 중량의 렌즈(heavy weight lens)인지 판단할 수 있다(S520).
예를 들어, 렌즈의 무게가 제1 값 미만인 경우, 가벼운 중량의 렌즈로 판단하고, 렌즈의 무게가 제1 값 이상이고, 제1 값 보다 큰 제2 값 미만인 경우, 중간 중량의 렌즈로 판단하며, 렌즈의 무게가 제2 값 이상인 경우, 무거운 중량의 렌즈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촬영 장치(100)는 촬영 장치(100)에 장착된 렌즈가 가벼운 중량의 렌즈인 경우, 기준 압력을 제1 압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S530).
한편, 촬영 장치(100)를 그립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되는 압력의 세기에 비례하는 전압(센서 신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전압은 촬영 장치(100)를 단순히 쥐고(grip) 있을 때 발생하는 신호일 수 있으며, 제2 전압은 압력 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최대 압력을 감지했을 때 발생하는 신호일 수 있다. 즉, 제2 전압은 감지되는 압력의 세기에 대해 세츄레이션 된 신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 장치(100)는 기준 압력을 제1 전압보다 크고 제2 전압보다 작은 전압에 대응되는 압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장치(100)는 장착된 렌즈가 가벼운 중량의 렌즈인 경우, 제1 전압보다 크고 제2 전압보다 작은 제3 전압을 발생시키는 제1 압력을 기준 압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장치(100)는 촬영 장치(100)에 장착된 렌즈가 중간 중량의 렌즈인 경우, 기준 압력을 제1 압력보다 큰 제2 압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2 압력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제4 전압은 제3 전압보다 크다. 또한, 제4 전압은 제1 전압보다 크고 제2 전압보다 작은 전압일 수 있다.
또한, 촬영 장치(100)는 촬영 장치(100)에 장착된 렌즈가 무거운 중량의 렌즈인 경우, 기준 압력을 제2 압력보다 큰 제3 압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 3압력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제5 전압은 제4 전압보다 크다. 또한, 제5 전압은 제1 전압보다 크고, 제2 전압보다 작은 전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는 촬영 장치(100)에 장착된 렌즈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촬영 장치(100)를 들어올리기 위해 촬영 장치(100)를 그립하는 압력이 커지게 되므로, 기준 압력도 큰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사용자의 단순 그립 압력(base grip force)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압력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촬영 장치(100)는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에 감지되는 그립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슬립 모드는 촬영 장치(100)에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촬영 동작이 수행되지 않아 제1 제어부(141) 및 제2 제어부(142)가 슬립 상태로 전환된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촬영 장치(100)를 단순히 그립만하고, 촬영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일 수 있다.
슬립 모드에서, 촬영 장치(100)는 일정한 주기로 그립 압력을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그립 압력들의 평균값 및 편차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계산된 평균값을 사용자의 단순 그립 압력으로 저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촬영 장치(100)는 사용자 별로 단순 그립 압력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마다 촬영 장치(100)를 그립하는 압력의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마다 단순 그립 압력이 다를 수 있다.
촬영 장치(100)는 사용자의 단순 그립 압력을 기초로 기준 압력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장치(100)는 단순 그립 압력보다 기 설정된 값만큼 더 큰 값을 기준 압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의 단순 그립 압력이 제1 전압에 대응하는 제1 압력으로 측정된 경우, 제1 사용자에 대해서는 제1 전압보다 기 설정된 값만큼 더 큰 제2 전압에 대응하는 제2 압력을 기준 압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의 단순 그립 압력이 제3 전압에 대응하는 제3 압력으로 측정된 경우, 제2 사용자에 대해서는 제3 전압보다 기 설정된 값만큼 더 큰 제4 전압에 대응하는 제4 압력을 기준 압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3 사용자의 단순 그립 압력이 제5 전압에 대응하는 제5 압력으로 측정된 경우, 제3 사용자에 대해서는 제5 전압보다 기 설정된 값만큼 더 큰 제6 전압에 대응하는 제6 압력을 기준 압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촬영 장치(100)는 부팅 준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610).
부팅 준비 모드는 제1 제어부(141)는 슬립 상태이고, 제2 제어부(142)는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준비 상태)인 경우를 의미한다.
촬영 장치(100)는 사용자가 촬영 장치(100)를 그립하는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을 기준 압력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부는 부팅 준비 모드에서, 사용자가 촬영 장치를 그립하는 그립 압력의 크기와 기준 압력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촬영 장치(100)는 감지되는 그립 압력이 기준 압력 이상인 경우(S620), 촬영 준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630).
촬영 준비 모드에서, 제2 제어부는 부팅 신호를 제1 제어부로 전송하여, 슬립 상태에 있는 제1 제어부를 웨이크 업(wake up)시킬 수 있다. 또한, 부팅 신호를 수신한 제1 제어부는 전자식 뷰 파인더(EVF: Electronic View Finder)를 온 시키며, 조리개 구동부, 렌즈 구동부, 이미지 센서 제어부 등을 동작시켜, 피사체를 촬영할 준비를 완료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촬영 장치(100)는 슬립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710).
슬립 모드는 촬영 장치(100)에 포함되는 제1 제어부(141) 및 제2 제어부(142)가 모두 동작하지 않는 슬립 상태인 경우를 의미한다. 촬영 장치(100)에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촬영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제1 제어부(141) 및 제2 제어부(142)는 슬립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촬영 장치(100)는 슬립 모드에서 사용자가 촬영 장치(100)를 그립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S720).
예를 들어, 제2 제어부(142)는 슬립 모드에서 사용자가 촬영 장치를 그립하는 그립 압력의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립 압력이 감지되면, 촬영 장치(100)는 부팅 준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730).
부팅 준비 모드는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제어부(141)는 슬립 상태이고, 제2 제어부(142)는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준비 상태)인 경우를 의미한다.
부팅 준비 모드에서, 촬영 장치(100)는 사용자가 촬영 장치(100)를 그립하는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을 기준 압력과 비교하여, 감지되는 그립 압력이 기준 압력 이상인 경우(S740), 촬영 준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750).
도 11의 730 단계(S730) 내지 750 단계(S750)들은 도 10의 610 단계(S610) 내지 630 단계(S630)들에 각각 대응하는 단계들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는 슬립 모드에서 그립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 부팅 준비 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촬영 준비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슬립 모드에서 사용자가 촬영 장치를 그립하는 것은 촬영을 수행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을 확률이 크므로, 촬영 장치(100)는 감지되는 압력을 기준 압력과 비교하지 않고 바로 촬영 준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촬영 장치는 촬영 준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810). 예를 들어, 도 10 및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팅 준비 모드에서 감지된 그립 압력이 기준 압력 이상인 경우, 촬영 장치(100)는 촬영 준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는, 슬립 모드에서 그립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 촬영 장치(100)는 촬영 준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촬영 준비 모드에서, 제2 제어부(142)는 부팅 신호를 제1 제어부(141)로 전송하여, 슬립 상태에 있는 제1 제어부(141)를 웨이크 업(wake up)시킬 수 있다. 또한, 부팅 신호를 수신한 제1 제어부(141)는 전자식 뷰 파인더(EVF: Electronic View Finder)를 온(On) 시키며, 조리개 구동부, 렌즈 구동부, 촬상 센서 제어부 등을 동작시켜, 피사체를 촬영할 준비를 완료할 수 있다.
촬영 장치(100)는 촬영 준비 모드에서 접안 신호를 감지하거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S820), 촬영 준비 모드를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다(S830).
예를 들어, 사용자는 뷰 파인더 영상을 확인하기 위해 촬영 장치(100)의 뷰 파인더를 사용자의 눈 가까이로 가져갈 수 있다. 이때, 뷰 파인더 근처에 배치된 접안 센서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눈이 근접하는 것을 감지하여 접안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촬영 장치(100)는 접안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사진을 촬영하도록 하는 셔터-릴리즈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줌 버튼, 모드 선택 버튼, 기타 촬영 설정 값 조절 버튼 등 다양한 기능 버튼을 누르는 경우, 촬영 장치(100)는 촬영 준비 모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장치(100)는, 촬영 준비 모드에서, 촬영 요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예를 들어, 사진을 촬영하도록 하는 셔터-릴리즈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S840),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센서를 빛에 노출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고, 촬영된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850).
반면에, 촬영 준비 모드에서 기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접안 신호가 감지되지 않고,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촬영 장치(100)는 부팅 준비 모드 또는 슬립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장치(100)는 기 설정된 시간보다 작은 시간 동안 접안 신호가 감지되지 않고,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부팅 준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845). 또는 촬영 장치(100)는 기 설정된 시간보다 오랜 시간 동안 접안 신호가 감지되지 않고,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슬립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855).
도 1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3b는 도 13a의 촬영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촬영 장치(100)는 연사 촬영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연사 촬영 모드란, 피사체를 연속해서 촬영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연사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촬영 장치(100)는 피사체를 연속해서 촬영하여, 1초에 기 설정된 개수의 영상 프레임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사 촬영의 촬영 속도는1초당 프레임 수(FPS: Frame Per Second)로 나타낼 수 있다.
촬영 장치(100)는 연사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가 촬영 장치(100)를 그립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S920).
촬영 장치(100)는 감지되는 그립 압력이 기준 압력 이상인지를 판단하여(S930), 감지되는 그립 압력이 기준 압력 이상인 경우, 연사 촬영의 촬영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S940).
도 13b는 그립 압력의 크기에 따라 연사 촬영의 촬영 속도가 변경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3b를 참조하면, 촬영 장치(100)는 감지되는 그립 압력이 기준 압력보다 낮은 경우, 연사 촬영 속도를 설정된 기본 촬영 속도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는 연사 촬영 모드에서 기본 촬영 속도를 1초당 5 프레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촬영 장치(100)는, 감지되는 그립 압력이 제1 압력이고, 기준 압력보다 낮은 경우, 1초당 피사체를 5번 촬영하여 5개의 영상 프레임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장치(100)는 감지되는 그립 압력이 기준 압력보다 높은 경우, 감지되는 그립 압력의 크기에 비례하여, 연사 촬영의 촬영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장치(100)는, 감지되는 그립 압력이 제2 압력이고, 기준 압력보다 높은 경우, 1초당 피사체를 7번 촬영하여 7개의 영상 프레임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감지되는 그립 압력이 제3 압력이고, 제3 압력은 기준 압력 및 제2 압력보다 높은 경우, 촬영 장치(100)는 1초당 피사체를 9번 촬영하여, 9개의 영상 프레임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촬영 장치(100)를 그립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는 감지할 수 있는 최대 압력이 제3 압력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촬영 장치(100)를 제3 압력보다 큰 제4 압력으로 그립하는 경우에도, 촬영 장치(100)는 제3 압력으로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3 압력 이상의 압력으로 촬영 장치를 그립하는 경우, 촬영 장치(100)에서 감지되는 그립 압력은 제3 압력이고, 촬영 장치(100)는 1초당 피사체를 9번 촬영하여, 9개의 영상 프레임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4b는 도 14a의 촬영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4a를 참조하면, 촬영 장치(100)는 동영상 촬영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1010).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 촬영 장치(100)는 촬상 센서에서 생성된 촬상 신호로부터 연속적인 프레임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프레임들을 이용하여 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촬영 장치(100)는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가 촬영 장치(100)를 그립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S1020).
촬영 장치(100)는 감지되는 그립 압력이 기준 압력 이상인지를 판단하여(S1030), 감지되는 그립 압력이 기준 압력 이상인 경우, 정지 영상 촬영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1040).
도 14b를 참조하면, 정지 영상 촬영 모드에서, 촬영 장치(100)는 촬영 요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예를 들어, 사진을 촬영하도록 하는 셔터-릴리즈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에만 촬상 센서를 빛에 노출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고, 촬영된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정지 영상(1060)을 획득할 수 있다.
정지 영상 촬영 모드에서 감지되는 그립 압력이 기준 압력보다 작아진 경우, 촬영 장치(100)는 다시 동영상 촬영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촬영 장치(100)가 정지 영상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촬영 장치(100)는 동영상 프레임들을 획득할 수 없다.
촬영 장치(100)는 정지 영상 촬영 모드에서 획득한 정지 영상(1060)을, 동영상 파일에 포함되는 다른 프레임들의 해상도에 기초하여 스케일링하고, 스케일링된 정지 영상을 획득하지 못한 동영상 프레임들(1070)에 삽입할 수 있다.
도 1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5b는 도 15a의 촬영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촬영 장치(100)는 뷰 파인더에 뷰 파인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S1110).
예를 들어, 촬영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촬영의 대상이 되는 피사체의 구도와 촬영 조건을 확인할 수 있도록 뷰 파인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촬영 장치(100)는 사용자가 촬영 장치(100)를 그립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S1120).
촬영 장치(100)는 감지되는 그립 압력이 기준 압력 이상인지를 판단하여(S1130), 감지되는 그립 압력이 기준 압력 이상인 경우, 줌(zoom) 조절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b를 참조하면, 촬영 장치(100)는 감지되는 그립 압력의 크기에 비례하여, 뷰 파인더 영상(1150)에 포함되는 피사체(1160)를 줌-인 또는 줌-아웃할 수 있다. 감지되는 그립 압력이 클수록 뷰 파인더 영상에 포함되는 피사체를 줌-인 시키고, 감지되는 그립 압력이 작을수록 뷰 파인더 영상에 포함되는 피사체를 줌 아웃 시킬 수 있다. 뷰 파인더 영상에 포함되는 피사체를 줌-인 시키는 경우, 피사체(1160)의 크기가 커지고, 뷰 파인더 영상(1150)에 포함되는 피사체(1160)를 줌-아웃 시키는 경우, 피사체(1160)의 크기가 작아진다.
이때, 촬영 장치(100)는 감지되는 그립 압력에 따라 렌즈 구동부로 제어 신호를 제공하고, 렌즈 구동부는 제공된 제어 신호에 따라 줌 렌즈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뷰 파인더 영상(1150)에 포함되는 피사체(1160)를 줌-인 시키거나 줌-아웃 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장치(100)를 그립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는 감지할 수 있는 최대 압력이 제5 압력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 장치(100)를 그립하는 압력이 제5 압력 이상인 경우, 촬영 장치(100)는 뷰 파인더 영상(1150)에 포함되는 피사체(1160)를 최대로 줌-인 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25)

  1. 사용자가 촬영 장치를 그립하는 그립 압력(grip force)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촬영 장치에 장착되는 렌즈의 무게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압력(reference force)을 설정하고, 상기 감지되는 압력이 상기 기준 압력 이상이면 촬영 준비 모드로 동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촬영 장치에 장착된 렌즈로부터 상기 렌즈의 무게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수신한 렌즈의 무게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촬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즈의 무게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렌즈의 무게가 제1 값보다 보다 작은 경우, 상기 기준 압력을 제1 압력으로 설정하고, 상기 렌즈의 무게가 상기 제1 값 이상인 경우, 상기 기준 압력을 상기 제1 압력보다 큰 제2 압력으로 설정하는 촬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촬영 장치가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촬영 장치를 그립하는 상기 단순 그립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단순 그립 압력들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압력을 설정하는 촬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제어부 및 제2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 준비 모드인 경우, 상기 제2 제어부는 부팅 신호를 상기 제1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부팅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1 제어부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를 웨이크 업(wake up) 시키고, 뷰 파인더를 온(on)시키는 촬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는
    사용자의 눈이 뷰 파인더에 근접할 때, 접안 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안 센서; 및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준비 모드에서, 상기 접안 신호가 감지되거나,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촬영 준비 모드를 유지하는 촬영 장치.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준비 모드에서, 촬영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촬상 센서를 제어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는
    사용자의 눈이 뷰 파인더에 근접할 때, 접안 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안 센서; 및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준비 모드에서, 기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상기 접안 신호가 감지되지 않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부팅 준비 모드로 동작하는 촬영 장치.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팅 준비 모드에서, 기 설정된 제2 시간 동안 상기 접안 신호가 감지되지 않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촬영 장치.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는 동작하지 않고, 상기 부팅 준비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제어부는 동작하지 않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촬영 장치.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립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촬영 장치를 그립하는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슬립 모드에서 상기 부팅 준비 모드로 동작하는 촬영 장치.
  12. 촬영 장치에 장착되는 렌즈의 무게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압력(reference force)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촬영 장치를 그립하는 그립 압력(grip force)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되는 압력이 상기 기준 압력 이상이면 촬영 준비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의 동작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촬영 장치에 장착된 렌즈로부터 상기 렌즈의 무게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 압력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렌즈의 무게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압력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의 동작방법.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압력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렌즈의 무게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렌즈의 무게가 제1 값보다 보다 작은 경우, 상기 기준 압력을 제1 압력으로 설정하고, 상기 렌즈의 무게가 상기 제1 값 이상인 경우, 상기 기준 압력을 상기 제1 압력보다 큰 제2 압력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의 동작방법.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촬영 장치가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촬영 장치를 그립하는 상기 단순 그립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 압력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단순 그립 압력들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압력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의 동작방법.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준비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제2 제어부는 부팅 신호를 상기 제1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부팅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1 제어부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를 웨이크 업(wake up) 시키고, 뷰 파인더를 온(on)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의 동작방법.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사용자의 눈이 뷰 파인더에 근접할 때, 발생하는 접안 신호를 감지하거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촬영 준비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 준비 모드에서, 상기 접안 신호가 감지되거나,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촬영 준비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의 동작방법.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촬영 준비 모드에서, 촬영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 장치에 포함되는 촬상 센서를 제어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영 장치.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촬영 준비 모드에서, 사용자의 눈이 뷰 파인더에 근접할 때, 발생하는 접안 신호가 기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고,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1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부팅 준비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영 장치의 동작방법.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부팅 준비 모드에서, 상기 접안 신호가 기 설정된 제2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2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영 장치의 동작방법.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슬립 모드인 경우, 제1 제어부 및 제2 제어부는 동작하지 않고, 상기 부팅 준비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제어부는 동작하지 않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영 장치의 동작방법.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슬립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촬영 장치를 그립하는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슬립 모드에서 상기 부팅 준비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영 장치의 동작방법.
  23. 제12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4. 촬영 장치에 장착되는 렌즈의 무게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압력(reference force)을 설정하는 단계;
    연사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촬영 장치를 그립하는 그립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되는 압력이 상기 기준 압력 이상이면 상기 연사 촬영의 속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의 동작방법.
  25. 촬영 장치에 장착되는 렌즈의 무게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압력(reference force)을 설정하는 단계;
    동영상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촬영 장치를 그립하는 그립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되는 압력이 상기 기준 압력 이상이면 정지 영상 촬영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의 동작방법.
KR1020150097865A 2015-07-09 2015-07-09 촬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29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865A KR102429426B1 (ko) 2015-07-09 2015-07-09 촬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201680034534.3A CN107771390A (zh) 2015-07-09 2016-01-19 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EP16821508.5A EP3320679A4 (en) 2015-07-09 2016-01-19 Imag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PCT/KR2016/000520 WO2017007102A1 (en) 2015-07-09 2016-01-19 Imag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5/002,551 US10382682B2 (en) 2015-07-09 2016-01-21 Imag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865A KR102429426B1 (ko) 2015-07-09 2015-07-09 촬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748A KR20170006748A (ko) 2017-01-18
KR102429426B1 true KR102429426B1 (ko) 2022-08-04

Family

ID=57685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865A KR102429426B1 (ko) 2015-07-09 2015-07-09 촬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82682B2 (ko)
EP (1) EP3320679A4 (ko)
KR (1) KR102429426B1 (ko)
CN (1) CN107771390A (ko)
WO (1) WO20170071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89625B2 (ja) * 2017-06-29 2021-06-18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を備える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ならびに記憶媒体
US10986287B2 (en) 2019-02-19 2021-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pturing a photo using a signature motion of a mobile device
JP2021182692A (ja) * 2020-05-19 2021-11-2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7421603B1 (ja) * 2022-07-07 2024-01-24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情報処理装置、及び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5889A (ja) * 1994-11-10 1996-05-31 Canon Inc 電動雲台、撮像装置および画像入力装置
DE19839218C2 (de) * 1997-08-29 2000-02-24 Fuji Photo Optical Co Ltd Froschperspektiven-Griffvorrichtung für eine elektronische Nachrichten-Aufnahme-Kamera
JP2004117845A (ja) * 2002-09-26 2004-04-15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装置
JP2005086499A (ja) * 2003-09-09 2005-03-31 Minolta Co Ltd 撮像装置
JP4505740B2 (ja) 2005-05-16 2010-07-21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起動方法
TWM309689U (en) * 2006-09-15 2007-04-11 Altek Corp Digital camera structure
US8780054B2 (en) * 2008-09-26 2014-07-1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32610B1 (ko) * 2009-01-22 2015-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저장매체
EP2315101B1 (en) * 2009-10-02 2014-01-29 BlackBerry Limited A method of waking up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perform the same
CN104410788B (zh) * 2009-12-28 2019-05-10 株式会社尼康 摄像装置
JP5459031B2 (ja) * 2010-04-13 2014-04-0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083228A1 (en) * 2010-06-28 2013-04-04 Panasonic Corporation Image capturing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ing device, and program used in control method
US8903521B2 (en) * 2010-08-26 2014-12-02 Blast Motion Inc. Motion capture element
US9604142B2 (en) * 2010-08-26 2017-03-28 Blast Motion Inc. Portable wireless mobile device motion capture data mining system and method
US20120105572A1 (en) * 2010-10-28 2012-05-03 Sammon Russell P Automatically adjusting a video-capture device
WO2014017777A1 (en) 2012-07-26 2014-01-3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03377B1 (ko) * 2012-12-13 2019-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립 모드에서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9575557B2 (en) * 2013-04-19 2017-02-21 Qualcomm Incorporated Grip force sensor array for one-handed and multimodal interaction on handheld devices and methods
KR20140142862A (ko) * 2013-06-05 2014-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립 센서 장치 및 방법
CN104660911B (zh) * 2015-03-16 2018-01-2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快速拍照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82682B2 (en) 2019-08-13
WO2017007102A1 (en) 2017-01-12
CN107771390A (zh) 2018-03-06
EP3320679A1 (en) 2018-05-16
US20170013194A1 (en) 2017-01-12
KR20170006748A (ko) 2017-01-18
EP3320679A4 (en) 201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9427B1 (ko) 촬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336447B1 (ko) 촬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4254873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撮像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350918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795601B1 (ko) 영상 처리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US9258481B2 (en) Object area track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of the same
US20080181460A1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US201001238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thumbnail of a moving picture
US9571741B1 (en) Smart shutter in low light
US20110032377A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execute the method
CN101931752A (zh) 摄像装置、以及对焦方法
KR102429426B1 (ko) 촬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30222635A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00013701A (ko) 사람 수 체크를 이용한 셀프타이머 촬영 장치 및 방법
KR20150078275A (ko) 움직이는 피사체 촬영 장치 및 방법
JP5030022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20120057067A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493036B2 (en) Imaging device
KR102368625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방법
US8571404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to execute the method
JP4998122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9143684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1864829B1 (ko)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JP4750063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09182880A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