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377B1 - 슬립 모드에서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슬립 모드에서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377B1
KR102003377B1 KR1020120145403A KR20120145403A KR102003377B1 KR 102003377 B1 KR102003377 B1 KR 102003377B1 KR 1020120145403 A KR1020120145403 A KR 1020120145403A KR 20120145403 A KR20120145403 A KR 20120145403A KR 102003377 B1 KR102003377 B1 KR 102003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sensor
mode
mode state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6876A (ko
Inventor
홍현주
박형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5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377B1/ko
Priority to EP13192669.3A priority patent/EP2743795B1/en
Priority to AU2013257523A priority patent/AU2013257523B2/en
Priority to CN201310684427.3A priority patent/CN103870328B/zh
Priority to US14/105,792 priority patent/US9288390B2/en
Publication of KR20140076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6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04N23/651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ffecting camera operations, e.g. sleep mode, hibernation mode or power off of selective parts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모드 상태의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과정; 상기 감지된 압력의 변화가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감지되면 기울기의 변화를 검출하는 과정; 및 상기 검출된 기울기의 변화가 설정된 기울기 범위 내로 확인되면 모드 상태를 상기 제1 모드 상태에서 제2 모드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하는 슬립 모드에서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슬립 모드에서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APPARATAS AND METHOD FOR DRIVING A CAMERA MODULE OF SLEEP MODE IN AN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슬립 모드에서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의 기능이 발전하면서, 전자 장치 하나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웹 브라우징을 하여 뉴스 등을 검색할 수 있고,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다양한 게임 등을 실행할 수도 있으며, 전자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영상이나 이미지를 촬영할 수도 있게 되었다. 특히, 전자 장치에 성능이 우수한 카메라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는 전문 카메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화소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전자 장치가 슬립 모드 상태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전자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바로 실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사용자가 슬립 모드 상태의 전자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인터랙션이 요구되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화면을 키고, 설정되어 있는 잠금 패턴이나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아이들 모드로 진입한 후, 저장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검색하여 카메라 모듈을 선택하여야 했다.
따라서, 전자 장치가 슬립 모드 상태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도 추가적인 인터랙션이 없이 바로 카메라 모듈을 실행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제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슬립 모드 상태에 진입한 경우에도 추가적인 인터랙션이 없이 카메라 모듈을 바로 실행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제안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고자 하는 경우 전자 장치의 전체적인 전원을 켜지 않고, 카메라 모듈만을 동작하도록 하여 전원의 소비량을 절약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제안은, 슬립 모드 상태에서 그립 센서와 구축 센서로 설정된 압력과 기울기를 감지하여 손쉽게 카메라 모듈을 실행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제안은, 카메라 모듈이 종료된 이후에는 잠금 화면으로 바로 전환되어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슬립 모드에서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모드 상태의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압력 혹은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감지하는 과정; 상기 감지된 압력 혹은 커패시턴스의 변화가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감지되면 기울기의 변화를 검출하는 과정; 및 상기 검출된 기울기의 변화가 설정된 기울기 범위 내로 확인되면 모드 상태를 상기 제1 모드 상태에서 제2 모드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모드 상태는, 슬립 모드 상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모드 상태는, 슬립 모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만이 구동되는 모드 상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력 혹은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감지하는 과정은, 설정된 부분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압력 혹은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센서는, 그립 센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된 압력 혹은 커패시턴스의 변화가 설정된 임계값이상으로 감지되면 기울기의 변화를 검출하는 과정은,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중심 축을 원점으로 설정된 X축, Y축 및 Z축의 공간 좌표의 변동을 감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센서는, 구축센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된 기울기의 변화가 설정된 기울기 범위 내로 확인되면 모드 상태를 상기 제1 모드 상태에서 제2 모드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은, 상기 검출된 기울의 변화가 설정된 기울기 범위 내임을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설정된 기울기 범위 내임을 확인하여 모드 상태를 슬립 모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만이 구동되는 모드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모드 상태의 종료를 입력받은 과정; 및 모드 상태를 상기 제2 모드 상태에서 설정된 모드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된 모드 상태는, 잠금 설정 모드 상태일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슬립 모드에서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는 전자 장치는, 제1 모드 상태의 전자 장치에 있어서, 압력 혹은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감지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감지된 압력 혹은 커패시턴스의 변화가 설정된 임계값이상으로 감지되면 기울기의 변화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기울기의 변화가 설정된 기울기 범위 내로 확인되면 모드 상태를 상기 제1 모드 상태에서 제2 모드 상태로 전환하는 프로세서 유닛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모드 상태는, 슬립 모드 상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모드 상태는, 슬립 모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만이 구동되는 모드 상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센서는, 설정된 부분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어 상기 압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센서는, 그립 센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중심 축을 원점으로 설정된 X축, Y축 및 Z축의 공간 좌표의 변동을 감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센서는, 구축센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검출된 기울의 변화가 설정된 기울기 범위 내임을 확인하여, 모드 상태를 슬립 모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만이 구동되는 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모드 상태의 종료를 입력받은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모드 상태를 상기 제2 모드 상태에서 설정된 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된 모드 상태는, 잠금 설정 모드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슬립 모드에서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슬립 모드 상태에 진입한 경우에도 추가적인 인터랙션이 없이 카메라 모듈을 바로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립 모드에서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는 전자 장치를 전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 모드에서 카메라 모듈을 구동시킬 수 있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립 모드에서 카메라 모듈을 구동시킬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 모드에서 카메라 모듈을 구동시킬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 모드에서 카메라 모듈을 구동시킬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모드 상태의 종료를 입력받아, 설정된 모드 상태로 전환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도 8의(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8의(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장치도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괄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립 모드에서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는 전자 장치를 전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모드 상태에서 전자장치의 그립상태를 감지한다. 여기서, 그립상태 감지는 압력 변화 혹은 커패시턴스(capacitance) 변화를 통해 수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제1 모드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설정된 부분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를 이용하여 압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모드 상태란 슬립 모드(sleep mode) 상태로 정의될 수 있고, 전자 장치의 설정된 부분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란 그립 센서(grip sensor)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립 센서는 저항막 터치 센서, C-타입(type)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 및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저항막 터치 센서란 사용자의 입력으로 발생하는 저항값의 변화에 대한 좌표를 인식하여 압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C-타입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는 사용자의 입력으로 발생하는 커패시턴스 변화를 통해 좌표를 확인하는 센서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는 사용자가 누르는 압력의 의하여 변화되는 센서 내부 값을 인식하여 압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설정된 부분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그립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에 변화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전자 장치에 설정된 부분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그립 센서(101)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에 변화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압력의 변화가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감지되면, 전자 장치는 기울기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중심 축을 원점으로 설정된 X축, Y축 및 Z축의 공간 좌표의 변동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센서란 구축센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축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지자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란 이동하는 전자 장치의 가속도나 충격의 세기를 측정하는 센서로 물체의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 힘을 측정하는 센서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gyro sensor)란 전자 장치의 각속도를 감지하는 센서로 X,Y,Z 축의 3축을 전부 감지 가능한 센서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축은 상하(X), 좌우(Y), 앞뒤(Z)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지자계 센서(geomagnetism sensor)란 지구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흐름을 파악해 나침반처럼 방위를 탐지할 수 있는 센서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제2 센서인 구축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중심 축을 원점으로 설정된 X축, Y축 및 Z축의 공간 좌표의 변동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구축센서를 이용하여 현재 전자 장치가 가로 모드 상태에 위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검출된 기울기의 변화가 설정된 기울기 범위 내로 확인되면, 동작 중인 모드 상태를 제1 모드 상태에서 제2 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모드 상태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만이 구동되는 모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에서 검출된 기울의 변화가 설정된 기울기 범위 내로 확인되었으면, 전자 장치는 동작 중인 모드 상태를 슬립 모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만이 구동되는 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가 세로 모드 상태에 있을 경우인 기울기가 0도 일 때를 기준으로 설정했을 경우,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기울기가 85도 내지 95도로 설정되었을 경우를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전자 장치는 구축센서를 이용하여 현재 전자 장치가 설정된 기울기인 기울기가 85도 내지 95도 사이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가 설정된 기울기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한 후, 동작 중인 모드 상태를 슬립 모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만이 구동되는 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종래의 전자 장치가 슬립 모드 상태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전자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바로 실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사용자가 슬립 모드 상태의 전자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인터랙션이 요구되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화면을 키고, 설정되어 있는 잠금 패턴이나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아이들 모드로 진입한 후,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검색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카메라 모듈을 직접 선택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는 전자 장치가 슬립 모드 상태에 있는 경우,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설정된 부분을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압력을 가한 후, 전자 장치를 설정된 기울기로 기울이기만 하면 바로 카메라 모듈을 실행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많은 인터랙션이 필요없이 전자 장치에 설정된 압력 이상의 압력과 설정된 기울기로 기울이기만 하면 바로 카메라 모듈을 실행시킬 수 있어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 모드에서 카메라 모듈을 구동시킬 수 있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2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의 현재의 동작 모드 상태는 슬립 모드 상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가 설정된 시간 이상 동작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슬립 모드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더 지나게 되면, 전자 장치는 딥 슬립 모드(deep sleep mode)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가 슬립 모드 상태에 진입한 경우와 딥 슬립 모드 상태에 진입한 모든 경우를 통칭하여 슬립 모드 상태에 진입하였다고 표현하였다. 즉,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가 슬립 모드 상태에서 동작하고 있다는 표현은 전자 장치가 딥 슬립 모드 상태에서 동작하고 있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슬립 모드 상태에서 동작하고 있던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설정된 부분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201)를 이용하여 압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의 설정된 부분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란 그립 센서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설정된 부분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그립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에 변화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전자 장치에 설정된 부분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그립 센서(201)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에 변화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후, 도 2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압력의 변화가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감지되면, 전자 장치는 기울기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중심 축을 원점으로 설정된 X축, Y축 및 Z축의 공간 좌표의 변동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센서란 구축센서일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제2 센서인 구축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중심 축을 원점으로 설정된 X축, Y축 및 Z축의 공간 좌표의 변동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구축센서를 이용하여 현재 전자 장치가 가로 모드 상태에 위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검출된 기울기의 변화가 설정된 기울기 범위 내로 확인되면, 동작 중인 모드 상태를 제1 모드 상태에서 제2 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모드 상태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만이 구동되는 모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에서 검출된 기울의 변화가 설정된 기울기 범위 내로 확인되었으면, 전자 장치는 동작 중인 모드 상태를 슬립 모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만이 구동되는 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가 세로 모드 상태에 있을 경우인 기울기가 0도 일 때를 기준으로 설정했을 경우,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기울기가 80도 내지 100도로 설정되었을 경우를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전자 장치는 구축센서를 이용하여 현재 전자 장치가 설정된 기울기인 기울기가 80도 내지 100도 사이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가 설정된 기울기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한 후, 동작 중인 모드 상태를 슬립 모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만이 구동되는 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이미지를 촬영하거나 동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아 설정된 방향에 위치한 이미지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슬립 모드 상태에서 전자 장치를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압력을 가한 후, 설정된 기울기인 80도 내지 100도 사이의 기울기로 기울리는 동작을 취하면, 바로 카메라 모듈이 실행될 수 있는 상태에 진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립 모드에서 카메라 모듈을 구동시킬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3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의 현재의 동작 모드 상태는 슬립 모드 상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가 설정된 시간 이상 동작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슬립 모드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가 슬립 모드 상태에 진입한 경우와 딥 슬립 모드 상태에 진입한 모든 경우를 통칭하여 슬립 모드 상태에 진입하였다고 표현하였다. 즉,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가 슬립 모드 상태에서 동작하고 있다는 표현은 전자 장치가 딥 슬립 모드 상태에서 동작하고 있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슬립 모드 상태에서 동작하고 있던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설정된 부분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301)를 이용하여 압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의 설정된 부분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란 그립 센서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설정된 부분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그립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에 변화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전자 장치에 설정된 부분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그립 센서(301)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에 변화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압력의 변화가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감지되면, 전자 장치는 기울기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중심 축을 원점으로 설정된 X축, Y축 및 Z축의 공간 좌표의 변동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센서란 구축센서일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제2 센서인 구축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중심 축을 원점으로 설정된 X축, Y축 및 Z축의 공간 좌표의 변동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구축센서를 이용하여 현재 전자 장치가 세로 모드 상태에 위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도 3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검출된 기울기의 변화가 설정된 기울기 범위 내로 확인되면, 동작 중인 모드 상태를 제1 모드 상태에서 제2 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모드 상태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만이 구동되는 모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에서 검출된 기울의 변화가 설정된 기울기 범위 내로 확인되었으면, 전자 장치는 동작 중인 모드 상태를 슬립 모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만이 구동되는 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세로 모드 상태에 있을 경우인 기울기가 0도 일 때를 기준으로 설정했을 경우,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기울기가 80도 내지 100도로 설정되었을 경우를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전자 장치는 구축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가 최초 0도의 기울기에서 현재 전자 장치가 설정된 기울기인 기울기가 80도 내지 100도 사이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가 설정된 기울기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한 후, 동작 중인 모드 상태를 슬립 모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만이 구동되는 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이미지를 촬영하거나 동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아 설정된 방향에 위치한 이미지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슬립 모드 상태에서 전자 장치를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압력을 가한 후, 설정된 기울기인 80도 내지 100도 사이의 기울기로 기울리는 동작을 취하면, 바로 카메라 모듈이 실행될 수 있는 상태에 진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 모드에서 카메라 모듈을 구동시킬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4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의 현재의 동작 모드 상태는 슬립 모드 상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가 설정된 시간 이상 동작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슬립 모드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가 슬립 모드 상태에 진입한 경우와 딥 슬립 모드 상태에 진입한 모든 경우를 통칭하여 슬립 모드 상태에 진입하였다고 표현하였다. 상술한 슬립 모드 상태에서 동작하고 있던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설정된 부분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401)를 이용하여 압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설정된 부분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그립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에 변화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전자 장치에 설정된 부분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그립 센서(401)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에 변화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후, 도 4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압력의 변화가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감지되면, 전자 장치는 기울기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중심 축을 원점으로 설정된 X축, Y축 및 Z축의 공간 좌표의 변동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센서란 구축센서일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제2 센서인 구축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중심 축을 원점으로 설정된 X축, Y축 및 Z축의 공간 좌표의 변동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구축센서를 이용하여 현재 전자 장치가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도 4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검출된 기울기의 변화가 설정된 기울기 범위 내로 확인되면, 동작 중인 모드 상태를 제1 모드 상태에서 제2 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모드 상태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만이 구동되는 모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에서 검출된 기울의 변화가 설정된 기울기 범위 내로 확인되었으면, 전자 장치는 동작 중인 모드 상태를 슬립 모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만이 구동되는 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세로 모드 상태에 있을 경우인 기울기가 0도 일 때를 기준으로 설정했을 경우,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기울기가 시계 방향으로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경우로 설정되었을 경우를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전자 장치는 구축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가 최초 0도의 기울기에서 현재 전자 장치가 설정된 기울기인 시계 방향으로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가 설정된 기울기인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음을 확인한 후, 동작 중인 모드 상태를 슬립 모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만이 구동되는 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이미지를 촬영하거나 동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아 설정된 방향에 위치한 이미지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슬립 모드 상태에서 전자 장치를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압력을 가한 후, 설정된 기울기인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을 취하면, 바로 카메라 모듈이 실행될 수 있는 상태에 진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 모드에서 카메라 모듈을 구동시킬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5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의 현재의 동작 모드 상태는 슬립 모드 상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가 설정된 시간 이상 동작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슬립 모드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가 슬립 모드 상태에 진입한 경우와 딥 슬립 모드 상태에 진입한 모든 경우를 통칭하여 슬립 모드 상태에 진입하였다고 표현하였다. 상술한 슬립 모드 상태에서 동작하고 있던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설정된 부분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501)를 이용하여 압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설정된 부분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그립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에 변화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전자 장치에 설정된 부분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그립 센서(501)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에 변화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후, 도 5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압력의 변화가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감지되면, 전자 장치는 기울기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중심 축을 원점으로 설정된 X축, Y축 및 Z축의 공간 좌표의 변동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센서란 구축센서일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제2 센서인 구축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중심 축을 원점으로 설정된 X축, Y축 및 Z축의 공간 좌표의 변동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구축센서를 이용하여 현재 전자 장치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도 5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검출된 기울기의 변화가 설정된 기울기 범위 내로 확인되면, 동작 중인 모드 상태를 제1 모드 상태에서 제2 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모드 상태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만이 구동되는 모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에서 검출된 기울의 변화가 설정된 기울기 범위 내로 확인되었으면, 전자 장치는 동작 중인 모드 상태를 슬립 모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만이 구동되는 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세로 모드 상태에 있을 경우인 기울기가 0도 일 때를 기준으로 설정했을 경우,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기울기가 좌측 방향으로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된 경우로 설정되었을 경우를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전자 장치는 구축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가 최초 0도의 기울기에서 현재 전자 장치가 설정된 기울기인 좌측 방향으로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가 설정된 기울기인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음을 확인한 후, 동작 중인 모드 상태를 슬립 모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만이 구동되는 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이미지를 촬영하거나 동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아 설정된 방향에 위치한 이미지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슬립 모드 상태에서 전자 장치를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압력을 가한 후, 설정된 기울기인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을 취하면, 바로 카메라 모듈이 실행될 수 있는 상태에 진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모드 상태의 종료를 입력받아, 설정된 모드 상태로 전환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6의(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모드 상태에서 제2 모드 상태가 종료되면, 설정된 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 상태의 종료를 입력받으면, 전자 장치는 모드 상태를 카메라 모드 상태에서 설정된 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된 모드 상태란 잠금 설정 모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카메라 모듈의 동작의 종료를 입력받으면, 잠금 화면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왜냐하면, 본 발명의 전자 장치는 사용자 인증 과정이 없이 슬립 모드 상태에서 바로 카메라 모듈만을 실행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에서 카메라 모듈의 동작의 종료를 입력받아, 다시 전자 장치의 모든 모듈이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상태로 돌아간다면, 사용자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잠금 화면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서 카메라 모듈을 동작하고 난 후 카메라 모듈의 종료를 입력받으면, 전자 장치는 설정된 모드인 잠금 화면으로 진입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설정된 잠금 패턴이나 설정된 비밀번호 등을 입력받아야 아이들 모드로 진입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슬립 모드 상태에서 손쉽게 카메라 모듈로 전환될 수 있고, 카메라 모듈의 종료를 입력받은 경우에는 다시 설정된 잠금 화면으로 진입하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을 빠르게 실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동시에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압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701).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제1 모드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설정된 부분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를 이용하여 압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모드 상태란 슬립 모드 상태로 정의될 수 있고, 전자 장치의 설정된 부분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란 그립 센서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립 센서는 저항막 터치 센서, C-타입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 및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저항막 터치 센서란 사용자의 입력으로 발생하는 저항값의 변화에 대한 좌표를 인식하여 압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C-타입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는 사용자의 입력으로 발생하는 커패시턴스 변화에 따라 좌표를 확인하여 압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는 사용자가 누르는 압력의 의하여 변화되는 센서 내부 값을 인식하여 압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설정된 부분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그립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에 변화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감지된 압력의 변화가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감지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702).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설정된 부분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그립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된 압력의 변화가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감지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좌측 및 우측이나 상측 및 하측 또는 좌우상하 모서리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그립 센서를 구비하여 감지된 압력의 변화가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감지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압력의 변화가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감지되었다면, 전자 장치는 기울기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703).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중심 축을 원점으로 설정된 X축, Y축 및 Z축의 공간 좌표의 변동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센서란 구축센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축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지자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속도 센서란 이동하는 전자 장치의 가속도나 충격의 세기를 측정하는 센서로 물체의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 힘을 측정하는 센서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란 전자 장치의 각속도를 감지하는 센서로 X,Y,Z 축의 3축을 전부 감지 가능한 센서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축은 상하(X), 좌우(Y), 앞뒤(Z)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지자계 센서란 지구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흐름을 파악해 나침반처럼 방위를 탐지할 수 있는 센서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제2 센서인 구축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중심 축을 원점으로 설정된 X축, Y축 및 Z축의 공간 좌표의 변동을 감지할 수 있다.
기울기의 변화를 감지한 전자 장치는 검출된 기울기의 변화가 설정된 기울기 범위 내로 확인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704).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세로 모드 상태에 있을 경우인 기울기가 0도 일 때를 기준으로 설정했을 경우,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기울기가 85도 내지 95도로 설정되었을 경우를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전자 장치는 구축센서를 이용하여 현재 전자 장치가 설정된 기울기인 기울기가 85도 내지 95도 사이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전자 장치에서 검출된 기울기의 변화가 설정된 기울기 범위 내로 확인되었다면, 전자 장치는 제1 모드 상태에서 제2 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705). 여기서, 제1 모드 상태란 슬립 모드 상태로 정의될 수 있고, 제2 모드 상태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만이 구동되는 모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에서 검출된 기울의 변화가 설정된 기울기 범위 내로 확인되었으면, 전자 장치는 동작 중인 모드 상태를 슬립 모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만이 구동되는 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세로 모드 상태에 있을 경우인 기울기가 0도 일 때를 기준으로 설정했을 경우,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기울기가 85도 내지 95도로 설정되었을 경우를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전자 장치는 구축센서를 이용하여 현재 전자 장치가 설정된 기울기인 기울기가 85도 내지 95도 사이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가 설정된 기울기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한 후, 동작 중인 모드 상태를 슬립 모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만이 구동되는 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제2 모드 상태가 종료되면, 잠금 설정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706).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 상태의 종료를 입력받으면, 전자 장치는 모드 상태를 카메라 모드 상태에서 설정된 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된 모드 상태란 잠금 설정 모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카메라 모듈의 동작의 종료를 입력받으면, 잠금 화면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왜냐하면, 본 발명의 전자 장치는 사용자 인증 과정이 없이 슬립 모드 상태에서 바로 카메라 모듈만을 실행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에서 카메라 모듈의 동작의 종료를 입력받아, 다시 전자 장치의 모든 모듈이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상태로 돌아간다면, 사용자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잠금 화면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서 카메라 모듈을 동작하고 난 후 카메라 모듈의 종료를 입력받으면, 전자 장치는 설정된 모드인 잠금 화면으로 진입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설정된 잠금 패턴이나 설정된 비밀번호 등을 입력받아야 아이들 모드로 진입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슬립 모드 상태에서 손쉽게 카메라 모듈로 전환될 수 있고, 카메라 모듈의 종료를 입력받은 경우에는 다시 설정된 잠금 화면으로 진입하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을 빠르게 실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동시에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만약, 상술한 판단과정(702)에서,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압력의 변화가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감지되지 않았다면, 전자 장치는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감지될 때까지 본 판단과정(702)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판단과정(704)에서, 전자 장치에서 검출된 기울기의 변화가 설정된 기울기 범위 내로 확인되지 않았다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기울기의 변화를 검출하는 과정(703)을 반복할 수 있다.
도 8의(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도 8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압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801).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제1 모드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설정된 부분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를 이용하여 압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모드 상태란 슬립 모드 상태로 정의될 수 있고, 전자 장치의 설정된 부분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란 그립 센서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립 센서는 저항막 터치 센서, C-타입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 및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저항막 터치 센서란 사용자의 입력으로 발생하는 저항값의 변화에 대한 좌표를 인식하여 압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C-타입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는 사용자의 입력으로 발생하는 커패시턴스 변화에 따라 좌표를 확인하여 압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는 사용자가 누르는 압력의 의하여 변화되는 센서 내부 값을 인식하여 압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설정된 부분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그립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에 변화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감지된 압력의 변화가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감지되면 기울기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802).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중심 축을 원점으로 설정된 X축, Y축 및 Z축의 공간 좌표의 변동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센서란 구축센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축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지자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속도 센서란 이동하는 전자 장치의 가속도나 충격의 세기를 측정하는 센서로 물체의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 힘을 측정하는 센서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란 전자 장치의 각속도를 감지하는 센서로 X,Y,Z 축의 3축을 전부 감지 가능한 센서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축은 상하(X), 좌우(Y), 앞뒤(Z)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지자계 센서란 지구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흐름을 파악해 나침반처럼 방위를 탐지할 수 있는 센서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제2 센서인 구축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중심 축을 원점으로 설정된 X축, Y축 및 Z축의 공간 좌표의 변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검출된 기울기의 변화가 설정된 기울기 범위 내로 확인되면, 모드 상태를 제1 모드 상태에서 제2 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803). 여기서, 제2 모드 상태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만이 구동되는 모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에서 검출된 기울의 변화가 설정된 기울기 범위 내로 확인되었으면, 전자 장치는 동작 중인 모드 상태를 슬립 모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만이 구동되는 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세로 모드 상태에 있을 경우인 기울기가 0도 일 때를 기준으로 설정했을 경우,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기울기가 시계 방향으로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경우로 설정되었을 경우를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전자 장치는 구축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가 최초 0도의 기울기에서 현재 전자 장치가 설정된 기울기인 시계 방향으로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가 설정된 기울기인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음을 확인한 후, 동작 중인 모드 상태를 슬립 모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만이 구동되는 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이미지를 촬영하거나 동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아 설정된 방향에 위치한 이미지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슬립 모드 상태에서 전자 장치를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압력을 가한 후, 설정된 기울기인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을 취하면, 바로 카메라 모듈이 실행될 수 있는 상태에 진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의(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장치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8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의 그립 센서는 압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804). 보다 구체적으로, 그립 센서는 제1 모드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설정된 부분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어 압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모드 상태란 슬립 모드 상태로 정의될 수 있고, 전자 장치의 설정된 부분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란 그립 센서로 정의될 수 있다. 즉, 그립 센서는 슬립 모드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설정된 부분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어 전자 장치의 변화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 유닛은 감지된 압력의 변화가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감지되면 기울기의 변화를 검출하여, 검출된 기울기의 변화가 설정된 기울기 범위 내로 확인되면 모드 상태를 제1 모드 상태에서 제2 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805). 여기서, 제2 모드 상태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만이 구동되는 모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 유닛에서 검출된 기울의 변화가 설정된 기울기 범위 내로 확인되었으면, 프로세서 유닛은 동작 중인 모드 상태를 슬립 모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만이 구동되는 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세로 모드 상태에 있을 경우인 기울기가 0도 일 때를 기준으로 설정했을 경우, 프로세서 유닛에서 설정된 기울기가 시계 방향으로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경우로 설정되었을 경우를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프로세서 유닛은 구축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가 최초 0도의 기울기에서 현재 전자 장치가 설정된 기울기인 시계 방향으로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 유닛은 전자 장치가 설정된 기울기인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음을 확인한 후, 동작 중인 모드 상태를 슬립 모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만이 구동되는 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이미지를 촬영하거나 동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아 설정된 방향에 위치한 이미지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괄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그립 센서(901), 구축센서(902), 센서 허브(sensor hub, 903) 및 AP(Application Processor, 90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그립 센서(901)는 전자 장치의 설정된 부분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어 전자 장치에 변화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립 센서(901)는 전자 장치의 설정된 부분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어 전자 장치에 변화되는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그립 센서(901)에서 설정된 압력 이상이 감지되었다면, 그립 센서(901)는 센서 허브(903)로 설정된 압력 이상이 감지되었다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구축센서(902)는 전자 장치에 구비되어 전자 장치의 변화되는 기울기 및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축센서(902)는 슬립 상태에서 동작하고 있지 않다가, 그립 센서(901)에서 설정된 압력 이상을 감지한 경우 구축센서(902)가 동작하여 전자 장치가 설정된 기울기 범위 내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구축센서(902)에서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기울기를 판단한 결과 변화된 기울기가 설정된 범위 내에 있다고 판단되면, 구축센서(902)는 센서 허브(903)로 전자 장치의 기울기가 설정된 범위 내에 있다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센서 허브(903)는 그립 센서(901), 구축센서(902) 및 AP(904) 사이에 연결된 것으로, 그립 센서(901) 및 구축센서(902)로부터 각각 설정된 압력 이상이 감지되었다는 신호 및 설정된 기울기 범위 내에 있다는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슬립 상태에 있는 AP(904)가 동작할 수 있도록 AP(904)를 웨이크 업(wake-up)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센서 허브(903)는 상술한 두 가지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만 슬립 상태에 있는 AP(904)를 깨워 AP(904)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하여 전자 장치의 배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P(904)는 전자 장치를 전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평소 슬립 상태에서 센서 허브(903)로부터 긴급 촬영 명령어를 전달받은 경우에만 동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AP(904)는 센서 허브(903)로부터 긴급 촬영 명령어를 전달받은 경우 전자 장치의 카메라 모듈(미도시)이 동작할 수 있도록 카메라 모듈만을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AP(904)는 센서 허브(903)로부터 긴급 촬영 명령어를 전달받은 경우 전자 장치의 카메라 모듈만을 동작시키기 때문에 전자 장치의 배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러한 전자 장치(1000)는, 휴대용 전자 장치(portable electronic device)일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전화(mobile phone), 이동 패드(mobile pad),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들 중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결합한 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휴대용 전자 장치일 수도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1000)는 메모리(1010), 프로세서 유닛(processor unit)(1020), 제1 무선통신 서브시스템(1030), 제2 무선통신 서브시스템(1031), 외부 포트(1060), 오디오 서브시스템(1050), 스피커(1051), 마이크로폰(1052), 입출력(IO, Input Output) 시스템(1070), 터치스크린(1080) 및 기타 입력 또는 제어 장치(1090)를 포함한다. 메모리(1010)와 외부 포트(1060)는 다수 개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 유닛(1020)은, 메모리 인터페이스(102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1022)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023)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프로세서 유닛(1020) 전체를 프로세서로 칭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프로세서 유닛(1020)은, 감지된 압력의 변화가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감지되면 기울기의 변화를 검출하여, 검출된 기울기의 변화가 설정된 기울기 범위 내로 확인되면 모드 상태를 제1 모드 상태에서 제2 모드 상태로 전환한다. 또한, 프로세서 유닛(1020)은,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중심 축을 원점으로 설정된 X축, Y축 및 Z축의 공간 좌표의 변동을 감지하고, 검출된 기울의 변화가 설정된 기울기 범위 내임을 확인하여, 모드 상태를 슬립 모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만이 구동되는 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유닛(1020)은, 모드 상태를 제2 모드 상태에서 설정된 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2)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1000)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프로세서(1022)는 메모리(1010)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한 소프트웨어 모듈(명령어 세트)을 실행하여 그 모듈에 대응하는 특정한 여러 가지의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도 한다. 즉, 프로세서(1022)는 메모리(101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들과 연동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방법을 수행한다.
프로세서(1022)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서, 또는 코덱(CODEC)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서 또는 코덱은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여러 개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023)는 전자 장치(1000)의 입출력 서브시스템(1070) 및 여러 가지 주변 장치를 프로세서(1022) 및 메모리(1010)(메모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에 연결시킨다.
전자 장치(1000)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참조번호 미기재) 또는 스트림 선(참조번호 미기재)에 의해 결합될(coupled) 수 있다.
외부 포트(1060)는, 휴대용 전자 장치(미도시)를 다른 전자 장치로 직접 연결되거나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 인트라넷, 무선 LAN 등)를 통하여 다른 전자 장치로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외부 포트(1060)는, 예를 들면,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또는 FIREWIRE 포트 등을 말한다.
그립 센서(1090), 움직임 센서(1091) 및 제1 광 센서(1092)는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023)에 결합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 센서(1091) 및 광 센서(1092)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023)에 결합되어 각각 전자 장치의 움직임 감지 및 외부로부터의 빛 감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위치측정 시스템, 온도센서 또는 생체 센서 등과 같은 기타 센서들이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023)에 연결되어 관련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립 센서(1090)는 설정된 부분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어 압력의 변화를 감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움직임 센서(1091)는 기울기를 감지한다.
카메라 서브시스템(1093)은 사진 및 비디오 클립 레코딩과 같은 카메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광 센서(1092)는 CCD(charged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1030, 1031)을 통해 통신 기능이 수행된다.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1030, 1031)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수신기 및 송수신기 및/또는 광(예컨대, 적외선) 수신기 및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서브시스템(1030)과 제2 통신 서브 시스템(1031)은 전자 장치(1000)가 통신하는 통신 네트워크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는, 이들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i-Fi(Wireless Fidelity) 네트워크, WiMax 네트워크 또는/및 Bluetooth네트워크 등을 통해 동작하도록 설계되는 통신 서브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1030)과 제2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1031)은 합하여 하나의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오디오 서브시스템(1050)이 스피커(1051) 및 마이크로폰(1052)에 결합되어 음성 인식, 음성 복제, 디지털 레코딩(recording) 및 전화 기능과 같은 오디오 스트림의 입력과 출력을 담당할 수 있다. 즉, 오디오 서브시스템(1050)은 스피커(speaker)(1051) 및 마이크로폰(1052)을 통해 사용자와 소통한다(communicate). 오디오 서브시스템(1050)은 프로세서 유닛(1020)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023)를 통하여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 스트림을 전기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변환된 전기 스트림(electric signal)는 스피커(1051)로 전달된다. 스피커(1051)는 전기 스트림을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파(sound wave)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마이크로폰 (1052)은, 사람이나 기타 다른 소리원(sound source)들로부터 전달된 음파를 전기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오디오 서브시스템(1050)은 마이크로폰(1052)으로부터 변환된 전기 스트림을 수신한다. 오디오 서브시스템(1050)은 수신한 전기스트림을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으로 변환하며,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주변 인터페이스 (1023)로 전송한다. 오디오 서브시스템(1050)은 탈부착 가능한(attachable and detachable) 이어폰(ear phone), 헤드폰(head phone) 또는 헤드셋(head set)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I/O, Input/Output) 서브시스템(1070)은 터치 스크린 제어기(1071) 및/또는 기타 입력 제어기(1072)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제어기(1071)는 터치 스크린(1080)에 결합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080) 및 터치 스크린 제어기(1071)는, 이하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터치 스크린(1080)과의 하나 이상의 접촉점을 결정하기 위한 용량성, 저항성, 적외선 및 표면 음향파 기술들뿐만 아니라 기타 근접 센서 배열 또는 기타 요소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멀티 터치 감지 기술을 이용하여 접촉 및 움직임 또는 이들의 중단을 검출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제어기(1072)는 기타 입력/제어 장치들(1090)에 결합될 수 있다. 기타 입력/제어 장치들(1090)에 하나 이상의 버튼, 로커(rocker) 스위치, 섬 휠(thumb-wheel), 다이얼(dial), 스틱(stick), 및/또는 스타일러스와 같은 포인터 장치 등일 수 있다.
터치스크린(1080)은 전자 장치(1000)와 사용자 사이에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터치스크린(108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전자 장치(1000)에 전달한다. 또한 전자 장치(1000)로부터의 출력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매개체이다. 즉, 터치스크린 (1080)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보여준다. 이러한 시각적 출력(visual output)은 텍스트(text), 그래픽(graphic), 비디오(video)와 이들의 조합의 형태로 나타난다.
터치스크린(1080)은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FLED(Flexible LED)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1080)은, 제2 모드 상태의 종료를 입력받는다.
메모리(101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021)에 결합될 수 있다. 메모리(1010)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와 같은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하나 이상의 광 저장 장치 및/또는 플래시 메모리(예컨대, NAND, NOR)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10)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모듈(1011), 통신 모듈(1012), 그래픽 모듈(1013),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014) 및 MPEG 모듈(1015), 카메라 모듈(1016),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모듈(1017) 등을 포함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인 모듈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모듈을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모듈은 또한 프로그램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1011)[예를 들어, WINDOWS, LINUX, 다윈(Darwin), RTXC, UNIX, OS X, 또는 VxWorks와 같은 내장 운영 체제]는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system operation)을 제어하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의 제어는, 예를 들면, 메모리 관리 및 제어, 저장 하드웨어(장치) 제어 및 관리, 전력 제어 및 관리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는 여러 가지의 하드웨어(장치)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모듈) 사이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메모리(1010)는, 계산된 스테이 값이 설정된 값 이상임이 확인되면 컨텐츠가 게재된 URL을 저장하고, 계산된 스테이 값을 함께 저장한다.
통신 모듈(1012)은, 무선통신 서브시스템(1030, 1031)이나 외부 포트(1060)를 통해 컴퓨터, 서버 및/또는 휴대용 단말기 등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래픽 모듈(1013)은 터치스크린(1080) 상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그래픽(graphics)이란 용어는 텍스트(text), 웹 페이지(web page), 아이콘(icon),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 비디오(video), 애니메이션(animation)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터치 스크린(1080)은, 스마트 회전 기능의 설정 여부에 관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메시지에 포함된 임의의 영역을 선택받는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01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어떻게 변경되는지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의 변경이 어떤 조건에서 이루어지는지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코덱(CODEC) 모듈(1015)은 비디오 파일의 인코딩 및 디코딩 관련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코덱 모듈은 MPEG 모듈 및/또는 H204 모듈과 같은 비디오 스트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코덱 모듈은 AAA, AMR, WMA 등 여러 가지 오디오 파일용 코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코덱 모듈(1015)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대응하는 명령어 세트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016)은 카메라 관련 프로세스 및 기능들을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 관련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모듈(1017)은 브라우저(browser), 이메일(email), 즉석 메시지(instant message), 워드 프로세싱(word processing), 키보드 에뮬레이션(keyboard emulation), 어드레스 북(address book), 접촉 리스트(touch list), 위짓(widget),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 Management),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음성 복제, 위치 결정 기능(position determining function),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그리고 이하에서 언급할,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0)의 다양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스트림 프로세싱(processing)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실행될 수 있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다양한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101: 그립 센서 201: 그립 센서
301: 그립 센서 401: 그립 센서
501: 그립 센서 901: 그립 센서
902: 구축센서 903: 센서 허브
904: AP 1000: 전자장치
1010: 메모리 1011: 운영체제 모듈
1012: 통신모듈 1013: 그래픽 모듈
1014: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1015: CODEC 모듈
1016: 카메라 모듈 1017: 애플리케이션
1020: 프로세서 유닛 1021: 메모리 인터페이스
1022: 프로세서 1023: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
1030: 제1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 1031: 제2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
1050: 오디오 서브 시스템 1051: 스피커
1052: 마이크로폰 1060: 외부 포트
1070: 입출력 시스템 1071: 터치 스크린 제어기
1072: 기타 입력 제어기 1080: 터치 스크린
1090: 기타 입력/제어 장치들 1091: 움직임 센서
1092: 제1 광 센서 1093: 카메라 서브 시스템

Claims (20)

  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제1 모드인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그립 상태를 검출하는 동작,
    상기 검출된 그립 상태가 미리 지정된 상태에 해당하면, 상기 전자 장치의 기울기 변화를 검출하는 동작,
    상기 검출된 기울기 변화가 미리 지정된 범위에 해당하면,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
    상기 제2 모드를 종료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2 모드에서, 제3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는 슬립 모드,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슬립 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만이 구동되는 모드, 상기 제3 모드는 잠금 설정 모드인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그립 상태를 검출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미리 설정된 부분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 혹은 상기 전자 장치의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그립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
    상기 전자 장치의 그립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제1 센서,
    상기 전자 장치의 기울기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제2 센서,
    상기 카메라 모듈, 상기 제1 센서와 제2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제1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제1 센서의 센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그립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검출된 그립 상태에 미리 지정된 상태에 해당하면, 상기 제2 센서의 센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기울기 변화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기울기 변화가 미리 지정된 범위에 해당하면,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2 모드를 종료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2 모드에서, 제3 모드로 전환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1 모드는 슬립 모드,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슬립 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만이 구동되는 모드, 상기 제3 모드는 잠금 설정 모드인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미리 설정된 부분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어, 상기 전자 장치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 혹은 상기 전자 장치의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그립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20145403A 2012-12-13 2012-12-13 슬립 모드에서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003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403A KR102003377B1 (ko) 2012-12-13 2012-12-13 슬립 모드에서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EP13192669.3A EP2743795B1 (en) 2012-12-13 2013-11-13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camera module in sleep mode
AU2013257523A AU2013257523B2 (en) 2012-12-13 2013-11-18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camera module in sleep mode
CN201310684427.3A CN103870328B (zh) 2012-12-13 2013-12-13 用于在休眠模式下驱动相机模块的电子装置和方法
US14/105,792 US9288390B2 (en) 2012-12-13 2013-12-13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camera module in sleep m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403A KR102003377B1 (ko) 2012-12-13 2012-12-13 슬립 모드에서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876A KR20140076876A (ko) 2014-06-23
KR102003377B1 true KR102003377B1 (ko) 2019-07-24

Family

ID=49666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403A KR102003377B1 (ko) 2012-12-13 2012-12-13 슬립 모드에서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88390B2 (ko)
EP (1) EP2743795B1 (ko)
KR (1) KR102003377B1 (ko)
CN (1) CN103870328B (ko)
AU (1) AU2013257523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2626A (ko) * 2012-04-04 2013-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디어 기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US9128562B2 (en) * 2012-05-25 2015-09-08 Sony Corporation Terminal apparatus, display system,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switching between pointer mode and touch-panel mode based on handheld activation
US20150193032A1 (en) * 2014-01-07 2015-07-09 Htc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applying the method
CN105091734A (zh) * 2014-04-30 2015-11-25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显示器倾斜角度指示系统
US9648237B2 (en) * 2014-06-09 2017-05-09 Htc Corporation Portable device and manipulation method for triggering different functions with a manipulation input
US9794456B2 (en) 2014-06-16 2017-10-17 Htc Corporation Camer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device
US9491336B2 (en) * 2014-06-16 2016-11-08 Htc Corporation Camer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device
DE102014119727A1 (de) * 2014-06-27 2015-12-31 Lenovo (Beijing) Co., Ltd. Verfahren zur verarbeitung von informationen und elektronisches gerät
CN104536569B (zh) * 2014-12-26 2018-02-09 中科创达软件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
CN106325723B (zh) * 2015-06-19 2019-09-20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和设备
KR102429426B1 (ko) * 2015-07-09 2022-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230888B2 (en) * 2015-07-31 2019-03-12 Qualcomm Incorporated Sensor-based camera initialization
KR102516670B1 (ko) 2015-08-18 2023-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432620B1 (ko) * 2015-11-12 2022-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객체의 근접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413108B1 (ko) 2015-12-08 2022-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20170302847A1 (en) * 2016-04-14 2017-10-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captur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CN106131323B (zh) * 2016-06-27 2018-01-2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对焦方法、相关设备及系统
CN106131402B (zh) * 2016-06-29 2018-05-2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自拍杆、拍照方法及自拍系统
US10769095B2 (en) * 2016-07-20 2020-09-0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CN106250025A (zh) * 2016-08-04 2016-12-21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锁屏状态下调用相机的方法、装置和移动终端
JP6854633B2 (ja) * 2016-12-01 2021-04-0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2626304B1 (ko) 2016-12-06 2024-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출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18129689A1 (zh) * 2017-01-12 2018-07-19 深圳市大疆灵眸科技有限公司 手持云台及其控制方法
WO2019100298A1 (zh) * 2017-11-23 2019-05-3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拍照方法及终端
KR102600509B1 (ko) * 2019-02-22 2023-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촬영 관련 정보 안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4324A (ja) * 2002-07-26 2004-02-26 Toshiba Corp 記録再生装置及び電源供給方法
KR100653893B1 (ko) * 2004-07-21 2006-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모드 제어방법
KR100608576B1 (ko) * 2004-11-19 2006-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60095828A (ko) 2005-02-28 2006-09-0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 모드 제어 장치
US7609952B2 (en) * 2005-08-01 2009-10-27 Scott Jezierski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viewing system
KR100735376B1 (ko) 2006-03-29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빠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KR100753397B1 (ko) * 2006-04-04 200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 자동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0474215C (zh) * 2006-06-30 2009-04-01 佛山市顺德区顺达电脑厂有限公司 具电源管理机制的电子装置
KR100851302B1 (ko) 2006-11-27 2008-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의 기능 실행 방법
JP4852403B2 (ja) * 2006-12-04 2012-01-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携帯機器
JP4289387B2 (ja) * 2006-12-08 2009-07-01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画像記録再生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電源制御方法
TW201005503A (en) * 2008-07-16 2010-02-01 Htc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mode switching method thereof
KR20110110937A (ko) 2010-04-02 2011-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 촬영 방법 및 장치
KR101672212B1 (ko) * 2010-06-15 2016-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8954099B2 (en) * 2010-06-16 2015-02-10 Qualcomm Incorporated Layout design of proximity sensors to enable shortcuts
US8811948B2 (en) * 2010-07-09 2014-08-19 Microsoft Corporation Above-lock camera ac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68494A1 (en) 2014-06-19
EP2743795A3 (en) 2015-04-22
EP2743795A2 (en) 2014-06-18
KR20140076876A (ko) 2014-06-23
CN103870328A (zh) 2014-06-18
EP2743795B1 (en) 2018-05-30
AU2013257523B2 (en) 2016-01-21
US9288390B2 (en) 2016-03-15
CN103870328B (zh) 2018-01-09
AU2013257523A1 (en) 2014-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3377B1 (ko) 슬립 모드에서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922354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voice recognition upon charge transfer
KR102060155B1 (ko) 양면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전자장치의 멀티태스킹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978688B1 (ko) 마이크로폰 장치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101371547B1 (ko) 얼굴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화면을 회전시키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1997771B1 (ko) 저 전력으로 지오 펜스 서비스를 제공받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3060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screen off during automatic response system service in electronic device
US9201521B2 (en) Storing trace information
US20140240264A1 (en) Method of controlling even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11155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screen off during automatic response system service in electronic device
KR102180568B1 (ko) 힌지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2645290A2 (en) Devices and methods for unlocking a lock mode
US932966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2234400B1 (ko) 컨텐츠의 순서 또는 위치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EP2821910A1 (en) Method for disabling a locking screen by selecting colors and rotation direction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method
CN106500689B (zh) 一种确定移动终端的姿态的方法及移动终端
KR20140125232A (ko) 터치 오 입력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40084816A (ko) 공간적 움직임을 반영하여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1974867B1 (ko) 컨텐츠의 스테이 값을 계산하여 유알엘을 자동 저장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50049608A (ko)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