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212B1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212B1
KR101672212B1 KR1020100056698A KR20100056698A KR101672212B1 KR 101672212 B1 KR101672212 B1 KR 101672212B1 KR 1020100056698 A KR1020100056698 A KR 1020100056698A KR 20100056698 A KR20100056698 A KR 20100056698A KR 101672212 B1 KR101672212 B1 KR 101672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portable terminal
movement
motion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6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6587A (ko
Inventor
김치국
김정환
곽행철
임국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6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212B1/ko
Priority to US13/155,277 priority patent/US8935637B2/en
Publication of KR20110136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6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6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a tap gesture o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4Force feedback applied to GUI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소정 모드에서 휴대 단말기의 터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가 그립(grip)된 것으로 판단되면,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며, 소정 모드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변경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를 그립한 상태에서 움직임으로 모드를 변경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가 터치된 상태 및 움직임에 대응하여 모드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 등이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에는, 양면에서 보이는 양면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전면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등이 적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이나 휴대성 등을 고려해야 하므로, 디스플레이(display)나 키패드(keypad)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공간 할당에도 제약이 존재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복잡한 기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입력 방식이나 메뉴 구조와 다른 새로운 입력 방식을 통해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가 그립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에 설정된 모드 및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모드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소정 모드에서, 휴대 단말기의 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가 그립(grip)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모드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본체; 상기 본체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상기 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 및 상기 터치 센서로부터 감지된 터치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가 그립(grip)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션 센서를 웨이크업시키고, 상기 모션 센서로부터 감지된 움직임 및 현재 모드에 대응하여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변경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를 그립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움직임으로써 모드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림 모드에서 일반 대기 모드로 변경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모드에서 카메라 모드로 변경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모드에서 증강 현실 모드로 변경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모드에서 뮤직 재생 모드로 변경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모드에서 웹 브라우저 모드로 변경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대기 모드에서 통화 중 모드로 변경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실행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변경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 변경을 위한 움직임 유형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나 방송 관련 정보 등은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압력센서(143), 및 모션 센서(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휴대 단말기(100)로 접근하는 물체나, 휴대 단말기(1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근접센서(1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휴대 단말기(1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사용환경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143)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근접센서(141) 및 압력센서(143)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인식하는 점에서 터치 센서라고 할 수 있다.
모션센서(1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센서(145)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 센서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및 햅틱 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종이(e-Pap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종이(e-Paper)는 일종의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 특성을 가진다. 전자종이(e-Paper)는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 어떠한 기판상에도 구현이 가능하고,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화상이 유지되고 백라이트(back light) 전원이 없어 휴대 단말기(100)의 배터리 수명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전자종이로는 정전화가 충전된 반구형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전기영동법 및 마이크로 캡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151)(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151)(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1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 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160)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160)(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160)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60)(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160)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휴대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휴대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 구체적으로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 1 음향출력모듈(153a), 제1 카메라(121a), 제1 사용자 입력부(130a)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A-2)의 측면에서는 제2 사용자 입력부(130b), 제3 사용자 입력부(130c), 및 마이크(123)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1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는 시작, 종료, 통화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사용자 입력부(130b)는 동작 모드의 선택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사용자 입력부(130c)는 휴대 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디스플레이부(151)에 근접하는 경우, 제1 바디 등에 설치된 근접센서(141)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한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근접센서(141)에 검출물체가 접근하여 근접신호가 출력되는 거리를 검출거리라고 하는데, 이와 같이 검출거리가 서로 다른 근접센서(141)를 복수로 사용하여, 각 근접센서(141)에서 출력되는 근접신호를 비교하면 검출물체가 어느 정도 근접하였는지 알 수 있다.
또한, 검출영역이 서로 다른 근접센서(141)를 복수로 배치하여 이들 근접센서(141) 중에서 어느 근접센서(141)로부터 근접신호가 출력되는지를 파악하여, 근접물체가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으로 접근하는지 여부와, 검출물체가 디스플레이부(151)에 근접하여 이동하는지 여부 등을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근접한 위치에 대응하는 터치키를 선택하여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기울거나 흔들면 모션센서(145)는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모션센서(145)는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80)로 출력한다. 제어부(180)는 모션센서(145)에서 발생한 신호로부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방향, 각도, 속도, 세기, 현재 위치 등 움직임에 관련된 정보를 검출한다.
제어부(180)는 모션센서(145)에서 발생한 신호로부터 검출한 정보를 통해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을 트랙킹한다. 모션센서(145)를 구성하는 부품에 따라 모션센서(145)에서 발생한 신호로부터 검출할 수 있는 정보를 다를 수 있다. 휴대 단말기에는 검출하고자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에 따른 모션센서(145)가 구비된다. 모션센서(145)는 휴대 단말기에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검출하고자 하는 정보에 대응하여 모션센서(145)가 특정한 경우에만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리어케이스(100A-2)의 측면에서는 제4 사용자 입력부(130d), 제5 사용자 입력부(130e), 및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으며, 리어 케이스(100A-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카메라(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거울(125)과 플래쉬(126)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거울(125)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플래쉬(126)는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리어 케이스(100A-2)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미도시)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 모듈은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리어 케이스(100A-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리어 케이스(100A-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 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160)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리어 케이스(100A-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b) 등이 리어 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카메라(12b)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1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의 기설정된 소정 모드에서, 터치 센서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를 감지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180)로 인가한다(S410). 사용자는 모드를 변경시키기 위해 또는 동일 모드내의 화면을 변경시키기 위해 터치 센서에 의해 터치가 감지되는 영역(이하 ‘터치 감지 영역’이라고 한다) 터치할 수 있고, 터치 센서는 감지 신호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제어부(180)로 인가한다. 휴대 단말기의 터치가 감지되는 영역은 디스플레이부(151) 및 사용자 입력부(130)일 수 있다. 이외에도 터치 센서가 마련되어 있는 영역은 터치 감지 영역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센서는 사용자의 직접 접촉을 감지하는 압력센서(143) 및 사용자의 근접 접촉을 감지하는 근접센서(141)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의 근접 또는 접촉으로 인한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도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감지된 터치에 기초하여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가 그립(grip)되었는지 판단한다(S415). 휴대 단말기가 그립되었다 함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대향하는 양 측면이 사용자의 손에 의해 동시에 터치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후면이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측면에 마련되어 터치 감지 영역이 사용자의 손에 의해 터치되고, 휴대 단말기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의 손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터치 감지 영역이 휴대 단말기의 전체 영역에 분포되어 있으면, 제어부(180)는 터치된 영역의 패턴을 인식함으로써 휴대 단말기가 그립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아니면 설정 상태에 따라서 그립된 것으로 판단될 수도 있다.
휴대 단말기가 그립된 것으로 판단되면(S415-Y), 제어부(180)는 아이들(idle) 상태인 모션센서(145)를 웹이크업(wake-up)시킨다(S420). 휴대 단말기에 전원이 인가되는 동안 모션센서(145)가 웨이크업되어 있으면, 전원 소모가 크다. 그리하여,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가 그립되어 있을 때만 모션센서(145)를 웨이크업시킬 수 있다.
웨이크업된 모션센서(145)가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그 결과를 제어부(180)로 인가한다(S425).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그립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의 위치 및 방향이 변경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모션센서(145)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80)로 인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감지된 움직임이 모드 변경을 위한 움직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30). 메모리(160)에는 움직임 데이터베이스가 마련되어 있고, 제어부(180)는 감지된 움직임이 움직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움직임에 포함되는지 여부로 모드 변경을 위한 움직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한 움직임 데이터베이스에는움직임, 움직임으로 변경시킬 모드인 시작 모드 및 움직임으로 변경될 모드인 종료 모드가 매칭되어 있다.
감지된 움직임이 모드 변경을 위한 움직임인 것으로 판단되면(S430-Y),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의 현재 모드를 판단한다(S435). 휴대 단말기의 모드는 크게 휴대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는 전원 오프 모드, 휴대 단말기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별도의 터치 입력이나 키 입력등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전원 공급을 중지하는 슬립 모드 및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는 동작 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모드는 단지 디스플레이부(151)에 전원을 공급하여 초기 화면 등 특정 화면을 표시하는 대기 모드, 휴대 단말기의 메뉴를 제공하는 메뉴 제공 모드, 및 특정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콘텐츠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실행 모드로 나눌 수 있다. 대기 모드도 통신 이벤트의 수신 유무에 따라 일반 대기 모드 및 통신 이벤트 대기 모드(예를 들어, 통화 대기 모드, 메시지 알림 모드 등이 있다.)도 나눌 수 있으며, 실행 모드가 제공되는 콘텐츠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현재 모드 및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변경시킨다(S440). 예를 들어, 슬립 모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가 그립되고, 그립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가 수평 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각도(예를 들어, 30도)가 회전하면,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대기 모드로 변경시키고, 대기 모드에 대응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한편,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의 그립이 해제되었는지 판단한다(S445). 즉, 제어부(180)는 터치 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의 변화로부터 휴대 단말기의 그립이 해제되었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터치를 종료하면, 터치 센서를 그 결과를 제어부(180)로 인가하고,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의 그립이 해제되었다고 판단한다.
휴대 단말기의 그립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되면(S445-Y), 제어부(180)는 모션센서(145)를 아이들 상태로 변환시킨다(S450).
그러나, 휴대 단말기가 그립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S415), 제어부(180)는 터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460).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에 의한 전원 오프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킨다.
이하에서는 휴대 단말기가 그립된 후 움직임에 따른 모드 변경 방법을 참조 도면을 이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림 모드에서 일반 대기 모드로 변경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일정 시간동안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지 않거나 사용자 명령으로 휴대 단말기가 슬립 모드로 설정되면, 디스플레이부(151)에 전원 공급이 중단된다. 그리고, 도 5의 (a)에 도시되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오프된 화면(510)이 표시된다. 슬립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한다. 즉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면서 양 측면을 동시에 터치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양 측면의 터치 센서로부터 터치에 따른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휴대 단말기가 그립되었다고 판단할 있다.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가 그립된 것으로 판단되면, 아이들 상태인 모션센서(145)를 웨이크업시킨다. 그리고, 모센 센서는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어부(180)로 인가한다.
한편,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방향을 소정 각도 이상 회전시키는 제1 움직임(520)을 유발시키면 제어부(180)는 제1 움직임(520)을 감지한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원을 온시키고, 터치 락을 해제한 후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슬립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변경시켜,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모드에 대응하는 화면(530)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모드에서 카메라 모드로 변경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대기 모드가 설정되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대기 모드에 대응하는 화면(610)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를 그립한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모션센서(145)를 웨이크없시키고, 모션센서(145)가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시켜,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제1 디스플레이부(151)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제2 움직임(620)을 유발한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대기 모드 및 제2 움직임(620)에 대응하여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대기모드에서 카메라 모드로 변경시킨다. 그리고, 카메라 모드에 대응하는 화면(630) 즉, 프리뷰 화면을 ,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모드에서 증강 현실 모드로 변경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대기 모드가 설정되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대기 모드에 대응하는 화면(710)이 표시된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모드에 대응하는 화면(710)이 표시된 휴대 단말기를 사용자가 그립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의 위치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시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를 일 축(예를 들어, 수직 축)을 기준으로 한 바퀴 회전시키는 제3 움직임(720)을 유발한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대기 모드 및 제3 움직임(720)에 대응하여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대기모드에서 증강 현실 모드로 변경시킨다. 그리고, 증강 현실 모드에 대응하는 화면(730)을,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한다. 즉, 제어부(180)는 GPS 모듈을 활성화시켜 현재 위치를 획득한다. 그리고,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 거리내에 있는 객체에 대한 객체 정보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프리뷰 영상과 함께 표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모드에서 뮤직 재생 모드로 변경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대기 모드가 설정되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대기 모드에 대응하는 화면(80)이 표시된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모드에 대응하는 화면(810)이 표시된 휴대 단말기를 사용자가 그립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의 위치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시켜,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를 그립한 채 휴대 단말기로 M 자형의 궤적을 그리는 휴대 단말기의 제4 움직임(820)을 유발시킨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뮤직 재생 모드로 변경하고,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뮤직 재생 모드에 대응하는 화면(830)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면서 뮤직을 재생시킨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모드에서 웹 브라우저 모드로 변경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대기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를 그립한 채 휴대 단말기로 N 자형의 궤적을 그리는 제5 움직임(910)을 형성한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웹 브라우저 모드로 변경하고,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브라우저 모드에 대응하는 화면(920)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대기 모드에서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다른 모드로 변경한다고 하였으나, 슬립 모드에서도 휴대 단말기가 그립된 채 움직임이 감지되면, 움직임에 대응하여 실행 모드로 변경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대기 모드에서 통화 중 모드로 변경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기기로부터 통화를 요청하는 호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통화 대기 모드로 변경하고, 통화 대기 모드에 대응하는 화면(1010)을,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한다. 한편, 사용자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를 그립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모션센서(145)를 웨이크업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는,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위치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시켜, 휴대 단말기의 제1 디스플레이부(151)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제6 움직임(1020)을 유발한다. 그러면, 모션센서(145)는 감지된 제6 움직임을 제어부(180)로 인가하고, 제어부(180)는 통화 대기 모드 및 제6 움직임에 대응하여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통화 대기 모드에서 통화 중 모드로 변경시키고, 도 10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중 모드에 대응하는 화면(1030)을 표시한다. 통화 중 모드시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마이크에 의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외부기기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기가 그립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80)는 모션센서(145)를 웨이크업(wake-up)시킨다고 하여, 휴대 단말기를 그립하는 사용자 명령은 모션센서(145)의 웹이크업 명령으로 활용된다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휴대 단말기를 그립하는 사용자 명령은 다른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변경시키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 대기 모드시 벨 소리가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그립하면,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모드시의 알림 기능을 벨 소리에서 진동으로 변경시킬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실행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변경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동영상 재생이나 기타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DMB 시청이나 기타 방송 시청 등과 같은 기능을 실행하고 있으면, 제어부(180)는,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모드에 대응하는 화면(1110)을 표시한다. 기능 실행 모드는 동영상 실행 모드, 통신 이벤트 실행 모드(예를 들어, 통화 중 모드, 메시지 확인 모드 등), 웹 실행 모드, 방송 제공 모드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때, 표시되는 화면의 예로는 동영상을 재생한 화면, 통신 이벤트 실행 화면, 웹페이지 화면, 방송 화면 등이 있다. 도
사용자는,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를 그립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의 위치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시켜,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를 수평 방향으로 뉘우는 제7 움직임(1120)을 유발한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기능 실행 모드 및 제7 움직임에 대응하여 기능의 실행을 종료하고,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일반 대기 모드로 변경시켜, 도 1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대기 모드에 대응하는 화면(1130)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언급한 모드를 변경시키는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은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다. 다른 움직임 유형으로도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모드 변경을 위한 움직임 유형을 설정하여 등록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 변경을 위한 움직임 유형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참조도면이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 제공 모드에 대응하는 화면(1210)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메뉴 중 움직임을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인 움직임 설정 항목(1212)을 선택한다. 그러면,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 감지시 설정된 모드인 시작 모드에 대한 리스트(1220)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시작 모드에 대한 리스트(122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항목(1222)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확인 아이콘(1230)을 선택하면,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 감지로 인해 설정하고자 하는 모드인 종료 모드에 대한 리스트(1240)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종료 모드에 대한 리스트(1240)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목(1242)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확인 아이콘(1230)을 선택하면, 도 1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움직임을 등록하라는 알림 메시지(1250)를 생성하여 표시한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등록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유발한 후 확인 아이콘(1230)을 선택함으로써 움직임을 등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MSM(Mobile Station Modem)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10 : 무선 통신부 120 : A/V 입력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Claims (15)

  1. 제1 모드에서, 휴대 단말기의 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가 그립(grip)된 것으로 판단되면, 아이들 상태인 모션 센서를 활성화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상기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가 그립 해제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션 센서를 비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패턴을 설정하기 위한 제1 메뉴, 상기 움직임으로 변경시킬 제1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제2 메뉴, 상기 움직임으로 변경될 제2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제3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가 통화 대기 모드이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이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을 포함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통화 중 모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가 메시지 작성 모드이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이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을 포함하면, 상기 메시지 작성 모드에서 작성된 메시지를 외부기기에 전송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대기 모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가 아이들 모드 또는 대기 모드이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이 360도 회전하는 움직임을 포함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증강 현실 모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가 실행 모드이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이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을 포함하면, 상기 실행 모드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대기 모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10. 본체;
    상기 본체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상기 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 및
    제1 모드에서 상기 터치 센서로부터 감지된 터치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가 그립(grip)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션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모션 센서로부터 감지된 움직임 및 상기 제1 모드에 대응하여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상기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경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가 그립 해제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션 센서를 비활성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패턴을 설정하기 위한 제1 메뉴, 상기 움직임으로 변경시킬 제1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제2 메뉴, 상기 움직임으로 변경될 제2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제3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삭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 센서로부터 감지된 움직임이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가 아이들 모드이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대기 모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 센서로부터 감지된 움직임이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가 통화 대기 모드이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통화 중 모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 센서로부터 감지된 움직임이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가 메시지 작성 모드이면, 상기 메시지 작성 모드에서 작성된 메시지를 외부기기에 전송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대기 모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 센서로부터 감지된 움직임이 360도 회전하는 움직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가 아이들 모드 또는 대기 모드이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증강 현실 모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00056698A 2010-06-15 2010-06-15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72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698A KR101672212B1 (ko) 2010-06-15 2010-06-15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13/155,277 US8935637B2 (en) 2010-06-15 2011-06-07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698A KR101672212B1 (ko) 2010-06-15 2010-06-15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587A KR20110136587A (ko) 2011-12-21
KR101672212B1 true KR101672212B1 (ko) 2016-11-04

Family

ID=45095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6698A KR101672212B1 (ko) 2010-06-15 2010-06-15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35637B2 (ko)
KR (1) KR1016722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54996B2 (en) 2007-06-28 2018-04-2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conversation management for incoming instant messages
KR101606727B1 (ko) * 2010-06-25 2016-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JP2013003911A (ja) * 2011-06-17 2013-01-07 Sony Corp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609217B2 (en) * 2011-11-02 2017-03-28 Mediatek Inc. Image-based motion sensor and related multi-purpose camera system
US9552094B2 (en) * 2011-12-22 2017-01-24 Optis Circuit Technology, Llc User interface responsiveness 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display
WO2013119149A1 (en) * 2012-02-06 2013-08-1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 user terminal with improved feedback possibilities
US9703365B2 (en) * 2012-03-02 2017-07-11 Nec Corporation Device capable of presenting startup UI, method of presenting the sam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esentation program
KR101909025B1 (ko) * 2012-05-17 2018-10-17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무선 접속 장치 스캔 방법
US9128562B2 (en) * 2012-05-25 2015-09-08 Sony Corporation Terminal apparatus, display system,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switching between pointer mode and touch-panel mode based on handheld activation
CN102799361A (zh) * 2012-06-21 2012-11-28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应用对象的调出方法及移动终端
CN103677559B (zh) 2012-08-28 2018-03-30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显示信息的低功率检测设备和方法
US20140085217A1 (en) * 2012-09-27 2014-03-27 Htc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785217B2 (en) * 2012-09-28 2017-10-10 Synaptic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low power input object detection and interaction
US20140138275A1 (en) * 2012-11-20 2014-05-22 Nokia Corporation Automatic power-up from sales package
KR102003377B1 (ko) * 2012-12-13 2019-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립 모드에서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14104040A1 (ja) * 2012-12-25 2014-07-03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CN103941847B (zh) * 2013-01-21 2019-02-2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屏幕解锁系统及方法
WO2014119894A1 (en) * 2013-01-29 2014-08-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erforming function of device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2161050B1 (ko) * 2013-01-29 2020-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JP2014174696A (ja) * 2013-03-07 2014-09-22 Ntt Docomo Inc 携帯端末
US9401048B2 (en) 2013-03-15 2016-07-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ugmented reality target detection
KR102127381B1 (ko) * 2013-03-29 2020-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BR112015025975A2 (pt) * 2013-04-30 2017-07-25 Sony Corp comutação de modo de energia iniciada por terminal
KR101490097B1 (ko) * 2013-05-23 2015-02-05 주식회사 코아리버 통신 단말의 제어 방법 및 장치
US9625884B1 (en) * 2013-06-10 2017-04-18 Timothy Harris Ousley Apparatus for extending control and methods thereof
KR102089456B1 (ko) * 2013-06-17 2020-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139110B1 (ko) * 2013-06-20 2020-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센싱을 이용한 제어 방법
EP2816442B1 (en) * 2013-06-20 2019-07-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ing grip sensing
US20150002449A1 (en) * 2013-06-28 2015-01-01 Kobo Incorporated Capacitive touch surface for powering-up an electronic personal display
FR3010547B1 (fr) * 2013-09-09 2016-12-23 Dav Interface de commande a retour haptique
KR20150049842A (ko) * 2013-10-31 2015-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원 관리 방법 그리고 시스템
US9613202B2 (en) * 2013-12-10 2017-04-04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motion gesture access to an application and limited resources of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US20150173116A1 (en) * 2013-12-13 2015-06-18 Mediatek Inc. Communications method, device and system
KR102161677B1 (ko) * 2014-01-03 2020-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197964B1 (ko) * 2014-01-29 2021-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329420B1 (ko) * 2014-05-23 2021-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641222B2 (en) * 2014-05-29 2017-05-02 Symbol Technologi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evice operation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US9207835B1 (en) 2014-05-31 2015-12-08 Apple Inc. Message user interfaces for capture and transmittal of media and location content
JP6500355B2 (ja) * 2014-06-20 2019-04-17 富士通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方法
US9257120B1 (en) 2014-07-18 2016-02-09 Google Inc. Speaker verification using co-location information
WO2016016588A1 (fr) * 2014-07-31 2016-02-04 Dav Procédé et interface de commande à retour haptique pour véhicule automobile
CN106605201B (zh) 2014-08-06 2021-11-23 苹果公司 用于电池管理的减小尺寸的用户界面
CN105338167B (zh) * 2014-08-08 2020-05-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操作的自动执行方法、装置及移动终端
WO2016036541A2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Phone user interface
US9424841B2 (en) 2014-10-09 2016-08-23 Google Inc. Hotword detection on multiple devices
US9318107B1 (en) 2014-10-09 2016-04-19 Google Inc. Hotword detection on multiple devices
US9374521B1 (en) * 2015-02-27 2016-06-21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images from a lock screen
US9885627B2 (en) 2015-04-24 2018-02-06 Apple Inc. Drift compensation for force sensing devices
KR102443069B1 (ko) 2015-08-12 2022-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20402B1 (ko) * 2015-10-27 2023-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D806711S1 (en) 2015-12-11 2018-01-02 SomniQ,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6707641B2 (ja) * 2015-12-11 2020-06-10 ソムニック インク. 定置状態の検出によってユーザおよび/または外部装置とのインタフェースを形成する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120456B2 (en) * 2016-01-29 2018-11-0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Wearable terminal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9779735B2 (en) 2016-02-24 2017-10-03 Goog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and processing speech signals
JP6219426B2 (ja) * 2016-03-06 2017-10-25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式電子機器が使用モードを変更する方法、携帯式電子機器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6020439B (zh) * 2016-04-29 2019-10-0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设备和方法
US9972320B2 (en) 2016-08-24 2018-05-15 Google Llc Hotword detection on multiple devices
WO2018085192A1 (en) 2016-11-07 2018-05-11 Google Llc Recorded media hotword trigger suppression
US10559309B2 (en) 2016-12-22 2020-02-11 Google Llc Collaborative voice controlled devices
WO2018195185A1 (en) 2017-04-20 2018-10-25 Google Llc Multi-user authentication on a device
KR102389063B1 (ko) * 2017-05-11 2022-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10395650B2 (en) 2017-06-05 2019-08-27 Google Llc Recorded media hotword trigger suppression
US10692496B2 (en) 2018-05-22 2020-06-23 Google Llc Hotword suppression
JP2020135306A (ja) * 2019-02-18 2020-08-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7454383B2 (ja) 2020-01-18 2024-03-22 アルパイン株式会社 操作装置
US11513667B2 (en) 2020-05-11 2022-11-2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audio message
CN116438503A (zh) * 2020-12-17 2023-07-14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装置和电子装置的操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0819A (en) * 1989-09-25 1990-11-20 V/Ger, Inc. Firearm safety system and method
US5668880A (en) * 1991-07-08 1997-09-16 Alajajian; Philip Michael Inter-vehicle personal data communications device
EP0927490B1 (en) * 1996-09-17 2003-08-13 Starsight Telecast, Inc. Television schedule system with pop-up action menu and icons
US20070177804A1 (en) * 2006-01-30 2007-08-02 Apple Computer, Inc. Multi-touch gesture dictionary
US6321478B1 (en) * 1998-12-04 2001-11-27 Smith & Wesson Corp. Firearm having an intelligent controller
US7688306B2 (en) * 2000-10-02 2010-03-30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perating a portable device based on an accelerometer
US6968216B1 (en) * 2001-05-31 2005-11-22 Openwave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inger characteristics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7898387B2 (en) * 2003-01-22 2011-03-01 Chrysler Group Llc Portable remote transmitter to remotely control a vehicle function
US20050100147A1 (en) * 2003-11-06 2005-05-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ext messaging without a keyboard
JP4118231B2 (ja) * 2003-12-17 2008-07-16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
US20050219210A1 (en) * 2004-03-31 2005-10-06 The Neil Squire Society Pointer interface for handheld devices
US20060101694A1 (en) * 2004-11-12 2006-05-18 Matteson David O Touch sensor firearm safety system
US7786623B2 (en) * 2005-09-07 2010-08-31 Amx Llc Power management for electronic devices
EP1818775A1 (en) * 2006-02-13 2007-08-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Lockable keyboard for a wireless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WO2007144878A2 (en) * 2006-06-12 2007-12-21 Cellogic Ltd. Mobile phone system and method
US20080071559A1 (en) * 2006-09-19 2008-03-20 Juha Arrasvuori Augmented reality assisted shopping
US20080115072A1 (en) * 2006-11-09 2008-05-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ly assisting language input mode indentification
US7889175B2 (en) * 2007-06-28 2011-02-15 Panasonic Corporation Touchpad-enabled remote controller and user interaction methods
US9261979B2 (en) * 2007-08-20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Gesture-based mobile interaction
KR101375317B1 (ko) * 2007-09-05 2014-03-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접촉감지센서를 장착한 이동 단말의 조작 방법 및 장치
US8423076B2 (en) * 2008-02-01 2013-04-16 Lg Electronics Inc. User interface for a mobile device
US8910299B2 (en) * 2008-02-08 2014-12-09 Steven Charles Michalske Emergency information access o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1568128B1 (ko) * 2008-11-14 2015-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모션 센서 기반의 ui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US8326358B2 (en) * 2009-01-30 2012-12-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ccess control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804213B2 (en) * 2009-05-13 2017-10-31 Synaptics Incorporated Capacitive sensor device
KR100923755B1 (ko) * 2009-07-06 2009-10-27 라오넥스(주) 멀티터치 방식 문자입력 방법
US8341558B2 (en) * 2009-09-16 2012-12-25 Google Inc. Gesture recognition on computing device correlating input to a template
CN102104667B (zh) * 2009-12-17 2013-10-0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手机及其挂机的方法
US8432368B2 (en) * 2010-01-06 2013-04-30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terface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force-sensitive input
US20120017148A1 (en) * 2010-07-15 2012-01-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Navigating Between A Map Dialog And Button Controls Displayed Outside The M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35637B2 (en) 2015-01-13
US20110304648A1 (en) 2011-12-15
KR20110136587A (ko) 201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221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8536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1728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0484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5754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1597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26386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66197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05725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001477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0865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1615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5147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99742B1 (ko) 메시지 송수신기능을 구비한 전자 장치, 그 시스템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8755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8534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01018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98277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643868B1 (ko) 외부 장치의 av 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자 장치,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6824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40040457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79932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8754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074111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14481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