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617B1 -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617B1
KR101643617B1 KR1020100072976A KR20100072976A KR101643617B1 KR 101643617 B1 KR101643617 B1 KR 101643617B1 KR 1020100072976 A KR1020100072976 A KR 1020100072976A KR 20100072976 A KR20100072976 A KR 20100072976A KR 101643617 B1 KR101643617 B1 KR 101643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 mode
turned
shake
shaking
deg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1238A (ko
Inventor
윤재무
이진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2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617B1/ko
Priority to US13/190,618 priority patent/US8928762B2/en
Publication of KR20120011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04N23/651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ffecting camera operations, e.g. sleep mode, hibernation mode or power off of selective parts of the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26Power supplies; Circuitry or arrangement to switch on the power source; Circuitry to check the power source volt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5Blur det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7Details of energy supply or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슬립모드가 오프일 때, 특정 한계값 이하로 흔들림이 발생한 경우 슬립모드를 온하고 손떨림보정장치를 오프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슬립모드가 온일 때, 특정 한계값 이상으로 흔들림이 발생한 경우 슬립모드를 오프하고 손떨림보정장치를 온함으로써 흔들림없는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슬립모드가 오프일 때, 특정 한계값 이하로 흔들림이 발생한 경우 슬립모드를 온하고 하이패스필터를 온한 상태에서 손떨림보정장치를 온함으로써 릴리즈버튼의 푸쉬에 의한 충격이나 셔터개폐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흔들린 영상을 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손떨림보정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손 떨림 보정이 필요한 흔들린 영상을 나타낸다. 디지털카메라의 셔터 속도가 느려지거나, 줌배율이 커질수록, 즉 망원줌(Tele zoom)일 수록, 사용자의 손 떨림으로 인한 이미지 흔들림이 심해진다. 예를 들어, 디지털카메라 렌즈의 초점거리의 역수보다 셔터 속도가 느려졌을 때 손 떨림 보정이 필요하다. 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의 초점거리가 200mm라고 가정한다면, 1/200초 보다 셔터 속도가 느려질 때 손 떨림 보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슬립모드 온 또는 오프시 손떨림보정장치의 온 또는오프를 제어하여 전력 소모가 적으면서도 영상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손떨림보정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슬립모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흔들림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슬립모드가 온 또는 오프인지 확인하는 단계; 확인 결과 슬립모드가 오프이면, 제1시간 동안 측정된 상기 흔들림 정도와 제1한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상기 흔들림 정도가 제1한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슬립모드를 온하는 단계; 확인 결과 슬립모드가 온이면, 제2시간 동안 측정된 상기 흔들림 정도와 제2한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 상기 흔들림 정도가 제2한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슬립모드를 오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슬립모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슬립모드가 온하면, 상기 손떨림보정장치가 오프되는 것이며, 상기 슬립모드가 오프하면, 상기 손떨림보정장치가 온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립모드가 온하면, 하이패스필터가 온한 상태에서 상기 손떨림보정장치가 온되는 것이며, 상기 슬립모드가 오프하면, 하이패스필터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손떨림보정장치가 온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이패스필터는 상기 손떨림보정장치에 포함되며, 릴리즈버튼의 푸쉬에 의한 충격이나 셔터개폐에 의한 충격에만 상기 손떨림보정장치가 구동하도록 하는 것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흔들림 정도는 최대각속도값과 최소각속도값의 차이로 결정하며, 상기 흔들림 정도는 x축방향에 대한 흔들림 정도 및 y축방향에 대한 흔들림 정도를 포함하는 것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정된 상기 흔들림 정도와 제2한계값을 비교하는 단계에서 상기 x축방향에 대한 흔들림 정도와 제2한계값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흔들림 정도는 최대각속도값과 최소각속도값의 차이로 결정하며, 상기 흔들림 정보는 x축방향에 대한 흔들림 정도만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시간은 상기 제2시간보다 길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한계값은 상기 제2한계값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립모드를 오프하고 손떨림보정장치를 온 할 때, 상기 손떨림보정장치가 렌즈의 현재 위치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및 도출된 상기 렌즈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손떨림보정장치가 손떨림보정동작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흔들림 정도를 측정하고, 상기 흔들림 정도에 포함된 노이즈를 로우패스필터를 통해 제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손떨림보정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손떨림보정장치에 포함되며,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흔들림 정도를 측정하는 흔들림감지센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슬립모드가 온 또는 오프인지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확인부의 확인 결과, 슬립모드가 오프이면, 제1시간동안 측정된 상기 흔들림 정도와 제1한계값을 비교하교, 상기 확인부의 확인 결과 슬립모드가 온이면, 제2시간동안 측정된 상기 흔들림 정도와 제2한계값을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 제1시간동안 측정된 상기 흔들림 정도가 상기 제1한계값보다 작은 경우 슬립모드를 온하고, 제2시간동안 측정된 상기 흔들림 정도가 상기 제2한계값보다 큰 경우 슬립모드를 오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립모드를 온하면, 상기 손떨림보정장치를 오프하며, 상기 슬립모드를 오프하면, 상기 손떨림보정장치를 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립모드를 온하면, 하이패스필터를 온한 상태에서 상기 손떨림보정장치를 온하며, 상기 슬립모드를 오프하면, 하이패스필터를 오프한 상태에서 상기 손떨림보정장치를 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이패스필터는 상기 손떨림보정장치에 포함되며, 릴리즈버튼의 푸쉬에 의한 충격이나 셔터개폐에 의한 충격에만 상기 손떨림보정장치가 구동하도록 하는 것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흔들림 정도는 최대각속도값과 최소각속도값의 차이로 결정하며, 상기 흔들림 정도는 x축방향에 대한 흔들림 정도 및 y축방향에 대한 흔들림 정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교부가 상기 x축방향에 대한 흔들림 정도와 상기 제2한계값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흔들림 정도는 최대각속도값과 최소각속도값의 차이로 결정하며, 상기 흔들림 정도는 x축방향에 대한 흔들림 정도만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시간은 상기 제2시간보다 길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한계값은 상기 제2한계값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포함된 렌즈의 현재 위치 정보를 도출하는 위치검출센서;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손떨림보정장치는 상기 슬립모드를 오프한 이후에 상기 위치감지센서로부터 도출된 상기 렌즈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손떨림보정장치가 손떨림보정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손떨림보정장치에 포함되며,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상기 흔들림 정도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로우패스필터;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슬립모드가 오프일 때, 특정 한계값 이하로 흔들림이 발생한 경우 슬립모드를 온하고 손떨림보정장치를 오프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슬립모드가 온일 때, 특정 한계값 이상으로 흔들림이 발생한 경우 슬립모드를 오프하고 손떨림보정장치를 온함으로써 흔들림없는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슬립모드가 오프일 때, 특정 한계값 이하로 흔들림이 발생한 경우 슬립모드를 온하고 하이패스필터를 온한 상태에서 손떨림보정장치를 온함으로써 릴리즈버튼의 푸쉬에 의한 충격이나 셔터개폐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흔들린 영상을 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손 떨림 보정이 필요한 흔들린 영상을 나타낸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외면의 사시도이며, 도 2b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2a 및 도 2b의 디지털카메라(1)의 내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손떨림보정장치를 나타낸 상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슬립모드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S513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디지털카메라의 각속도값 변화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8은 노이즈를 제거한 각속도값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5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도 9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도 10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슬립모드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따른 슬립모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은 도 14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도 15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잇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외면의 사시도이며, 도 2b는 배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일 실시 예로서 디지털카메라(1)를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가 도 1에 도시된 디지털카메라(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compact digital camera),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 Single Lens Reflex Camera ),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와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의 장점을 취한 하이브리드 카메라( Hybrid Camera ), 카메라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디지털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디지털카메라(1)는 렌즈부(11), 플래시(71), 보조광발광부(72), 릴리즈버튼(52) 및 전원버튼(51) 등을 전면 및 상면에 포함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카메라(1)의 배면에는 입력부로서의 여러 가지 버튼들이 구비되며, 또한 표시부(60)가 구비된다.
렌즈부(11)는 피사체로부터의 입사광을 통과하여, 촬상소자(미도시)로 광학 신호를 결상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플래시(71)는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경우 밝은 빛을 순간적으로 비추어 밝게 해주는 것으로 플래시 모드에는 자동 플래시 모드, 강제 발광 모드, 발광 금지 모드, 적목 모드, 슬로우 싱크로 모드 등이 있다. 보조광발광부(72)는 광량이 부족하거나 야간 촬영 시에, 디지털카메라(1)가 자동으로 초점을 빠르고 정확하게 잡을 수 있도록 피사체에 보조광을 공급한다. 릴리즈버튼(52)은 촬영자의 입력에 의해 영상 촬영 신호를 생성한다. 촬영자는 릴리즈버튼(52)을 반쯤 눌러 반셔터신호(S1)를 입력시키면, 디지털카메라(1)는 초점을 잡고 빛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초점이 잡히고 빛의 양이 조절되면, 촬영자는 비로소 릴리즈버튼(52)을 완전히 눌러 완전셔터신호(S2)를 입력시키면, 디지털카메라(1) 영상을 캡쳐할 수 있다. 전원 버튼(51)은 디지털카메라(1)에 전원을 공급하여 디지털카메라(1)를 동작시키기 위해 디지털카메라(1)의 상부에 배치된 입력 버튼이다. 입력부는 각종 키 버튼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사용자가 디지털카메라(1)의 필요한 기능을 조작하기 위해 사용한다. 상기 입력부로는 광각(wide)-줌(zoom) 버튼(53W), 망원(tele)-줌(zoom) 버튼(53T), 기능버튼들(54, 55 및 56), 재생버튼(57) 등을 포함한다. 표시부(6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OLED; Organic luminescence display panel ),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Field Emission Display)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디지털카메라(1)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거나 촬영된 영상을 표시한다.
도 3은 도 2a 및 도 2b의 디지털카메라(1)의 내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1)는 렌즈부(lens unit)(11), 렌즈구동부(21), 조리개(12), 조리개구동부(22), 손떨림보정장치 (100), 촬상소자(13), 촬상소자제어부(23), 아날로그신호처리부(14), 프로그램저장부(41), 버퍼저장부(42), 데이터저장부(43), 표시부(60), 디지털신호처리부(DSP; Digital signal processor)(30), 입력부(50), 플래시(71) 및 보조광발광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60), 플래시(71) 및 보조광발광부(72)은 도 2a 또는 도 2b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렌즈부(11)(lens unit)는 광학 신호를 집광한다. 렌즈부(11)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줌렌즈,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렌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줌렌즈 및 포커스렌즈는 각각 하나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복수의 렌즈들의 군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조리개(12)는 그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입사광의 광량을 조절한다.
렌즈구동부(21) 및 조리개구동부(22)는 디지털신호처리부(30)로부터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각각 렌즈부(11) 및 조리개(12)를 구동한다. 렌즈구동부(21)는 포커스렌즈의 위치를 조절하여 초점 거리를 조절하고, 오토 포커싱, 초점 변경의 동작을 수행하며, 줌렌즈의 위치를 조절하여 줌 변경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손떨림보정장치(1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렌즈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조리개구동부(22)는 조리개(12)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고, 특히 조리개값(F number)을 조절하여 오토 포커스, 자동 노출 보정, 초점 변경, 피사계 심도 조절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손떨림보정장치(100)는 사용자의 손떨림을 감지하여 손떨림의 반대 방향으로 렌즈를 움직이도록 렌즈구동부(21)를 제어한다. 손떨림보정장치(100)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렌즈부(11)를 투과한 광학 신호는 촬상소자(13)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촬상소자(13)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또는 고속 이미지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상소자(13)는 촬상소자제어부(23)에 의해 감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촬상소자제어부(23)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소자(13)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카메라(1)는 셔터(미도시) 로 가리개가 위아래로 움직이는 기계식 셔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아날로그신호처리부(14)는 촬상소자(13)로부터 공급된 아날로그 신호에 대하여, 노이즈 저감 처리, 게인 조정, 파형 정형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 등을 수행하여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입력부(50)는 사용자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이다. 입력부(50)에 대해서는 도 2b에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기재는 생략한다. 입력부(5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키 버튼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스크린, 원격 제어기 등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는 이를 구동하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 응용 시스템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저장부(41), 연산 수행 중에 필요한 데이터 또는 결과 데이터들을 임시로 저장하는 버퍼저장부(42),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비롯하여 상기 프로그램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43)를 포함한다.
그리고 디지털카메라(1)는 아날로그신호처리부(14)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각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디지털신호처리부(30)를 포함한다. 디지털신호처리부(30)는 입력된 영상 신호에 대해 노이즈를 저감하고,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생성된 영상 파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압축한 영상 파일은 데이터저장부(43)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신호처리부(30)는 프로그램저장부(41)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줌 변경, 초점 변경, 자동 노출 보정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손떨림보정장치(100), 렌즈구동부(21), 조리개구동부(22), 및 촬상소자제어부(23)에 제공하고, 렌즈부(11), 조리개(12), 촬상소자(13) 들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디지털신호처리부(30)는 슬립모드가 온 또는 오프인지 확인하는 확인부(31); 손떨림보정장치에 포함된 흔들림감지센서로부터 측정된 상기 흔들림 정도와 제1한계값 또는 제2한계값을 비교하는 비교부(32);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슬립모드를 온 또는 오프하는 제어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확인부(31), 비교부(32) 및 제어부(33)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의 손떨림보정장치(100)를 나타낸 상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손떨림보정장치(100)는 흔들림감지센서(102), 흔들림감지인터페이스(120), 렌즈위치검출센서(101), 렌즈위치검출인터페이스(110) 및 구동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손떨림보정장치(100)는 사용자의 손 떨림을 흔들림감지센서(102)로 감지하여 손 떨림 반대 방향으로 렌즈를 움직이도록 렌즈부구동부(21)를 제어한다.
흔들림감지센서(vibration detection sensor)(102)는 디지털카메라(1)의 흔들림을 감지한다. 흔들림감지센서(102)는 자이로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렌즈부구동부(21)는 흔들림감지센서(102)에서 감지한 흔들림 정도에 대응하여 렌즈를 이동시킨다. 즉, 렌즈구동부(21)는 손떨림에 의하여 영상이 흔들리는 것을 기구적으로 보정한다. 렌즈구동부(21)는 보이스코일모터(VCM: Voice Coil Motor ), 피에조 모터(Piezo motor),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구동부(21)가 보이스코일모터로 구현되는 경우, 보이스코일모터는 렌즈를 움직일 수 있도록 렌즈부(11)를 둘러싸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렌즈구동부(21)는 보이스코일모터외에도 보이스코일모터를 구동하는 모터드라이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흔들림감지인터페이스(vibration detection interface)(120)는 흔들림감지센서(102)로부터 흔들림 정도를 인가받아 렌즈구동부(21)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흔들림감지인터페이스(120)는 제2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ADC; AD converter)(121), 적분부(integrator)(122) 및 하이패스필터(HPF; high pass filter)(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ADC)(121)는 아날로그 신호인 흔들림감지센서(102)의 출력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적분부(122)는 흔들림감지센서(102)가 자이로 센서인 경우 출력된 각속도값을 각도값으로 변환하기 위한 적분 연산을 수행한다. 적분부(122)는 ADC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에 적분 연산을 수행한 신호를 하이패스필터(123)로 인가할 수 있다. 하이패스필터(123)는 소정의 크기의 흔들림에 대해서만 렌즈를 서서히 이동시키기 위하여 적분부(122)에서 출력된 신호를 필터링한다. 하이패스필터(123)를 통과한 신호는 렌즈부구동부(21)를 제어하기 위한 목표 값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하이패스필터(123)는 온/오프가 가능하다. 먼저, 하이패스필터(123)가 오프되었을 때는 적분 연산이 수행된 신호가 렌즈구동부(21)를 제어하기 위한 목표 값이 된다. 즉, 하이패스필터(123)가 오프되었을 때는 손떨림보정장치(100)가 모든 흔들림에 대하여 손떨림 보정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하이패스필터(123)가 온되었을 때는 하이패스필터(123)의 컷오프주파수(cut off frequency)에 따라 손떨림보정장치(100)가 소정의 크기의 흔들림에 대해서만 손떨림 보정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하이패스필터(123)의 컷오프 주파수가 3 내지 8Hz 인 경우에는 릴리즈버튼(52)의 푸쉬에 의한 충격이나 셔터개폐에 의한 충격에만 상기 손떨림보정장치(100)가 동작할 수 있다.
렌즈위치검출센서(lens position detection sensor)(101)는 실시간으로 렌즈의 위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렌즈위치검출센서(101)는 홀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렌즈위치검출센서(101)는 검출된 렌즈의 위치에 따른 신호를 렌즈위치검출인터페이스(lens position detection interface)(110)로 인가한다. 렌즈위치검출인터페이스(110)는 증폭부(AMPLIFIER)(111) 및 제1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112)를 포함할 수 있다. 증폭부(111)는 렌즈위치검출센서(101)로부터 출력된 mV 단위의 신호를 수십배 증폭한다. 증폭부(111)는 연산증폭기(OP-amp; operational amplifier)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112)는 증폭부(111)를 통과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구동제어부(130)는 흔들림감지인터페이스(12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와 렌즈위치검출인터페이스(11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의 차이만큼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렌즈구동부(21)를 제어한다. 구동제어부(130)는 두 디지털 신호의 차이를 비례적분미분 연산하는 PID제어부(PID controller)(132) 및 연산된 신호를 PWM(Pulse With Modulation) 신호로 변환하는 PWM생성부(PWM geverator)(133)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구동부(21)는 구동제어부(130)로부터 생성된 신호 통해 모터드라이버(미도시)를 구동하여 렌즈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DSP(30)는 슬립모드의 온/ 오프에 대응하여 상술한 손떨림보정장치(100) 및 하이패스필터(123)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DSP(30)는 흔들림감지센서(102)로부터 감지된 흔들림 정도를 통해 슬립모드의 온/ 오프를 결정하므로 흔들림감지센서(102)로부터 흔들림 정도에 대한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슬립모드 제어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본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슬립모드란, 흔들림감지센서(102)를 통해 얻은 흔들림 정도에 대응하여 디지털카메라(1)에 포함된 구성 부분을 제어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여기서 구성부분은 손떨림보정장치(100) 또는 하이패스필터(120)일 수 있고, 표시부(60), 플래시(71) 등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의하면 슬립모드가 온하면 손떨림보정장치(100)가 오프되고 슬립모드가 오프하면, 손떨림보정장치(100)가 온될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슬립모드가 온하면, 하이패스필터(123)가 온한 상태에서 상기 손떨림보정장치(100)가 온되고, 슬립모드가 오프하면, 하이패스필터(123)가 오프된 상태에서 손떨림보정장치(100)가 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슬립모드(SLEEP MODE)는 손떨림보정장치(100)가 온/오프되는 모드라고 가정하며, 삼각대에 디지털카메라(1)를 올려놓았을 때 무조건 슬립모드가 온되고, 손떨림보정장치(100)가 오프되는 경우를 살펴본다. 이 경우, 슬립모드가 디지털카메라(1) 내부의 진동에 의하여 쉽게 해제되어 손떨림보정장치(100)가 온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따라서 슬립모드가 쉽게 해제되지 않기 위한 한계값 설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한계값을 제공하여 보다 합리적인 슬립모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으로, 예시에 의하면 슬립모드가 온될 때, 손떨림보정장치(100)가 예외없이 오프되어, 릴리즈버튼(52)의 푸쉬에 의한 충격이나 셔터개폐에 의한 충격에 의해 흔들린 영상이 나오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따라서, 특정한 흔들림에 대해서는 슬립모드에서 손떨림보정장치(100)의 온/오프제어를 다르게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하이패스필터(123)의 온/오프를 합리적으로 제어하는 슬립모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한계값을 제공하여 보다 합리적으로 슬립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슬립모드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흔들림감지센서(102)로부터 흔들림 정도를 감지한다(S501). 여기서 흔들림 정도는 각속도값(ANGVEL)의 크기일 수 있다. 또한 흔들림 정도는 x축 방향에 대한 흔들림 정도 및 y축 방향에 대한 흔들림 정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x축 각속도값과 y축 각속도값(ANGVEL x & y)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흔들림 정도 중 최대각속도값 및 최소각속도값을 도출한다(S502). 왜냐하면, 이후에서 한계값과, 최대각속도값(MAX ANGVEL) 및 최소각속도(MIN ANGVEL)값의 차이를 비교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시간마다 각속도값을 계속 측정 및 저장하면서 최대각속도값 및 최소각속도값을 계속 갱신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정된 각속도값이 저장되어 있던 최대각속도값보다 크면 측정된 각속도값을 최대각속도값으로 갱신한다. 같은 방식으로 측정된 각속도값이 저장되어 있던 최소각속도값보다 작으면 측정된 각속도값을 최소각속도값으로 갱신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최대각속도값 및 최소각속도값을 도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소정의 시간동안 디지털카메라(1)의 흔들림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카운트(COUNT)를 소정량 증가시킨다(S503). 이후에서 설명하겠으나, 소정의 시간은 제1시간(TIME#1) 또는 제2시간(TIME#2)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시간(TIME#1) 은 약 1.5 초일 수 있으며 제2시간(TIME#2)은 약 0.3초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운트는 0.1초 단위로 증가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DSP(30)의 확인부(31)는 현재 디지털카메라(1)의 슬립모드가 온인지 오프인지 확인한다(S504). 현재 슬립모드의 상태에 따라 각속도값과 대비할 한계값 및 각속도값을 측정하기 위한 소정의 시간 길이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현대 슬립모드를 확인하고 이에 맞는 한계값을 적용함으로써 빠르고, 정확한 슬립모드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슬립모드가 온/오프인지 확인하는 단계(S504)와 카운트를 증가시키는 단계(S503)는 순서가 변경되어도 무관하다.
확인부(31)의 확인 결과 슬립모드가 오프이면, 비교부(32)는 제1시간(TIME#1) 동안 측정된 흔들림 정도와 제1한계값 (LIMIT#1)을 비교한다. 따라서 먼저 카운트가 제1시간 (TIME#1) 보다 크거나 같은지 먼저 확인한다(S505). 여기서 제1시간(TIME#1)은 슬립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각속도값을 측정하기 위한 시간으로 약 1.5초 일 수 있다. 만약 카운트가 제1시간(TIME#1)보다 작으면 슬립모드제어를 종료하고, 카운트가 제1시간(TIME#1)보다 크거나 같으면, 제1시간(TIME#1)동안 측정된 흔들림 정도를 제1한계값(LIMIT#1)과 비교한다(S506). 여기서 흔들림 정도란, 제1시간(TIME#1)동안 측정된 최대각속도값 및 최소각속도값 의 차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x축 방향의 최대각속도값 및 최소각속도값의 차이{MAX ANGVEL X - MIN ANGANGVEL X} 와 Y축 방향의 최대각속도값 및 최소각속도값의 차이{MAX ANGVEL Y - MIN ANGANGVEL Y}를 각각 제1한계값(LIMIT#1)과 비교할 수 있다. 제1한계값(LIMIT#1)은 내부 진동에 의한 각속도 값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만 내부 진동에 의해 슬립 모드가 쉽제 해제되지 않는다. 제1한계값(LIMIT#1)은 degree/sec 또는 rad/sec의 단위를 가질 수 있다. 제1한계값(LIMIT#1)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디지털카메라(1) 제조시 미리 프로그램되어 저장된 값일 수도 있다.
비교부(52)의 비교 결과 흔들림 정도가 제1한계값(LIMIT#1)보다 작다면, 제어부(53)는 슬립 모드를 온한다(S507).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슬립모드를 온하면 손떨림보정장치(100)가 오프되고(S508) 손떨림보정 동작이 중지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어부(53)는 최대 각속도값을 초기화하기 위해 0으로 세팅하고 최소 각속도값도 초기화 하기 위해 0으로 세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카운트를 초기화하기 위하여 0으로 세팅할 수 있다.
S504단계에서 확인부(31)의 확인 결과 슬립모드가 온이면, 비교부(32)는 제2시간(TIME#2) 동안 측정된 흔들림 정도와 제2한계값 (LIMIT#2)을 비교한다. 따라서 먼저 카운트가 제2시간 (TIME#1) 보다 크거나 같은지 먼저 확인한다(S509). 여기서 제2시간 (TIME#2)은 슬립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각속도값을 측정하기 위한 시간으로 약 0.3초 일 수 있다. 여기서 제2시간 (TIME#2)은 제1시간 (TIME#1)보다 짧다. 왜냐하면, 신속하게 슬립모드로부터 해제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만약 카운트가 제2시간(TIME#2)보다 작으면 슬립모드제어를 종료하고, 카운트가 제2시간(TIME#2)보다 크거나 같으면 제2시간(TIME#2)동안 측정된 흔들림 정도를 제2한계값(LIMIT#2)과 비교한다(S510). 여기서 흔들림 정도란 제2시간 (TIME#2)동안 측정된 최대각속도값 및 최소각속도값의 차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x축 방향의 최대각속도값 및 최소각속도값 의 차이와 Y축 방향의 최대각속도값 및 최소각속도값의 차이를 모두 제2한계값 (LIMIT#2)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제2한계값(LIMIT#2)은 제1한계값(LIMIT#1)보다 크다. 제2한계값(LIMIT#2)은 사용자가 디지털카메라(1)를 그립했을 때의 각속도 값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만 사용자가 디지털카메라(1)를 들어 올렸을 때, 슬립모드가 빨리 해제될 수 있다. 제2한계값(LIMIT#2)은 degree/sec 또는 rad/sec의 단위를 가질 수 있다. 제2한계값(LIMIT#2)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디지털카메라(1) 제조시 미리 프로그램되어 저장된 값일 수도 있다.
비교부(32)의 비교 결과 흔들림 정도가 제2한계값(LIMIT#2)보다 크다면, 제어부(33)는 슬립 모드를 오프한다(S511).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슬립모드를 오프하면 손떨림보정장치(100)가 온(S512)되고 손떨림보정동작을 시작한다.
손떨림보정장치(100)가 손떨림보정동작을 시작할 때, 손떨림보정장치(100)는 렌즈위치검출센서(101)를 통해 렌즈의 현재 위치를 검출한다(S513). 다음으로 검출된 렌즈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손떨림보정동작을 시작한다(S514). 렌즈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손떨림보정동작을 시작하지 않으면, 라이브뷰 모드에서 화면 튐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6은 도 5의 S513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x축은 시간을 y축은 렌즈의 위치를 나타내며, 렌즈의 중심을 0으로 표시한다. t1 이전에서는 사용자가 디지털카메라(1)를 그립하고 있기 때문에 수시로 렌즈의 위치가 변화한다. 그러나 t1 내지 t2 구간에서는 디지털카메라(1)를 삼각대에 올려놓았기 때문에 렌즈의 위치는 고정된다. t2 구간 이후에는 디지털카메라(1)를 삼각대로부터 들어올리게 되는데 이 때, 슬립 모드가 해제 되면서 손떨림보정장치(100)가 작동한다. 이때, 렌즈의 흔들림이 멈춘 위치Q1을 기준으로 손떨림보정동작을 시작해야 한다. 만약 렌즈의 중심인 Q2를 기준으로 손떨림보정동작을 시작하면, 렌즈의 위치 차이 때문에 충격음과 동시에 디지털카메라(1)의 카메라의 라이브 뷰 상에 튐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어부(53)는 최대각속도값을 초기화하기 위해 0으로 세팅하고 최소각속도값도 초기화 하기 위해 0으로 세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3)는 카운트를 초기화하기 위하여 0으로 세팅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디지털카메라(1)의 각속도값 변화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7을 참조하면, x축은 시간을 나타내며, y축은 각속도값을 나타낸다. 도7은 각속도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그래프에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각속도값이 0일 때를 기준으로 4개의 그래프가 나타나 있다. f는 디지털카메라(1)를 사용자가 그립하고 있을 때 각속도값을 나타낸 것이다. f는 각속도값의 변화폭이 매우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g는 디지털카메라(1)를 삼각대에 올려놓기만 하였을 때의 각속도값을 나타낸 것이다. g는 각속도값의 변화폭이 매우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h는 디지털카메라(1)를 삼각대에 올려놓고 릴리즈버튼(52)을 눌러 촬영을 실시하는 동안의 각속도값을 나타낸 것이다. i는 삼각대에 올려두었던 디지털카메라(1)를 사용자가 들어올렸을 때의 각속도값을 나타낸 것이다. 그 밖에 제1한계값 (LIMIT#1) 및 제2한계값 (LIMIT#2)의 크기가 함께 표시되어 있다. f 및 g는 h 와 i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시간 (TIME#1)동안 제1한계값 (LIMIT#1)보다 작은 흔들림 정도가 감지되면, 슬립모드가 온되고 손떨림보정장치(100)가 오프된다. 또한 제2시간 (TIME#2)동안 제2한계값 (LIMIT#2)보다 큰 흔들림 정도가 감지되면 슬립모드가 오프되고 손떨림보정장치(100)가 온된다.
0 시간에서 슬립모드 온 상태에 있었다고 가정하고 h 및 i를 본다. h를 보면 사용자가 릴리즈버튼(52)을 반누름하는 t1 순간부터 제2시간 (TIME#2)동안 최대각속도값과 최소각속도값의 차이가 제2한계값 (LIMIT#2) 보다 작으므로 슬립모드가 해제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가 릴리즈버튼(52)을 완전누름하는 t2 순간부터 제2시간 (TIME#2)동안 최대각속도값과 최소각속도값의 차이가 제2한계값 (LIMIT#2)보다 작으므로 슬립모드가 해제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셔터가 작동을 시작하는 t3순간부터 제2시간 (TIME#2)동안 최대각속도값과 최소각속도값의 차이가 제2한계값 (LIMIT#2)보다 작으므로 슬립모드가 해제되지 않는다. 그러나 i를 보면 사용자가 삼각대에서 디지털카메라(1)를 들어올리는 t4 순간부터 제2시간(TIME#2)동안 최대각속도값과 최소각속도값의 차이가 제2한계값(LIMIT#2)보다 커지므로 슬립모드가 해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슬립모드 온에서 삼각대의 미약한 흔들림, 사용자의 몸 동작, 디지털카메라(1)의 내부 진동 등에 의해 슬립모드가 쉽게 해제되지 않고 손떨림보정동작이 수행되지 않음으로써,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노이즈를 제거한 각속도값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x축은 시간을 y축은 각속도값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디지털카메라(1)의 흔들림 정도를 측정할 때, 흔들림 정도에 포함된 노이즈를 로우패스필터(LPF; low pass filter)를 통해 제거할 수 있다. 흔들림 정도를 측정하는 흔들림감지센서(102)는 m 파형과 같이 흔들림이 없는 상태에서도 랜덤 워킹 현상과 센서 정밀도 문제로 인해 노이즈를 포함하는 각속도값을 측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노이즈로 인하여 측정된 최대각속도값과 최소각속도값의 차이가 p1, p2와 같이 제1한계값(LIMIT#1) 보다 크게 형성되어 슬립모드 오프상태에서 슬립모드로 전환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로우패스필터를 통해 l과 같이 흔들림 정도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한 각속도값을 얻을 수 있다. 결론적으로 로우패스필터를 통해 슬립모드 제어 방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9는 도 5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측정한 흔들림 정도에 포함된 노이즈를 로우패스필터를 통해 보정하는 구성이 추가된다. 즉, 흔들림감지센서에서 측정한 각속도값을 로우패스필터를 통해 필터링하는 단계(S501-1)가 추가된다. 다른 단계는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도 9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9의 S510단계에서 비교부(32)가 측정된 상기 흔들림 정도와 제2한계값(LIMIT#2)을 비교할 때, x축 방향에 대한 흔들림 정도와 제2한계값(LIMIT#2)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510a). 도 5는 X축 Y축 방향의 각속도값을 동시에 감지하여 둘 다 제2한계값(LIMIT#2)보다 클 때 슬립모드를 해제한다. 그러나 도 10은 x축 방향의 최대각속도값 및 최소각속도값의 차이가 제2한계값(LIMIT#2)보다 클 때 슬립모드를 해제한다. 왜냐하면, 디지털카메라가 삼각대에 안착되어 있을 때 Y축 방향의 각속도값의 변화가 X축 방향의 각속도값의 변화보다 크기 때문에 슬립모드가 쉽게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X축 방향의 각속도값을 감지하는 것이 유용하기 때문이다. 다른 단계는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11은 도 10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측정된 흔들림 정도는 오직 x축 방향에 대한 흔들림 정도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501a, S502a, S506a, S510a). 다른 단계는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하이패스필터의 온/오프를 통해 합리적인 슬립모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슬립모드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5와 비교할 때, s611 및 s612 단계가 상이하고 다른 단계는 동일 또는 유사하다. 따라서 차이점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흔들림감지센서(102)로부터 흔들림 정도를 감지한다(S1201). 다음으로, 흔들림 정도 중 최대각속도값 및 최소각속도값을 도출한다(S1202). 다음으로 소정의 시간동안 디지털카메라(1)의 흔들림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카운트를 소정량 증가시킨다(S1203), 다음으로 DSP(30)의 확인부(31)는 현재 디지털카메라(1)의 슬립모드가 온인지 오프인지 확인한다(S1204). 슬립모드가 온/오프인지 확인하는 단계(S1204)와 카운트를 증가시키는 단계(S1203)는 순서가 변경되어도 무관하다. 확인부(31)의 확인 결과 슬립모드가 오프이면, 비교부(32)는 제1시간(TIME#1) 동안 측정된 흔들림 정도와 제1한계값 (LIMIT#1)을 비교한다. 따라서 먼저 카운트가 제1시간 (TIME#1) 보다 크거나 같은지 먼저 확인한다(S1205). 만약 카운트가 제1시간(TIME#1)보다 작으면 슬립모드제어를 종료하고, 카운트가 제1시간(TIME#1)보다 크거나 같으면, 제1시간(TIME#1)동안 측정된 흔들림 정도, 예를 들어 X방향 또는 Y방향의 최대각속도값과 최소각속도값의 차이 {MAX ANGVEL X&Y - MIN ANGANGVEL X&Y}, 를 제1한계값(LIMIT#1)과 비교한다(S1206).
비교부(52)의 비교 결과 흔들림 정도가 제1한계값(LIMIT#1)보다 작다면, 제어부(53)는 슬립 모드를 온한다(S1207).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슬립모드를 온하면 하이패스필터(123)가 온되면서 손떨림보정장치(100)가 온된다(S1208). 하이패스필터(123)는 손떨림보정장치(100)에 포함된 부분으로써 특정한 흔들림에 대해서만 손떨림보정장치(100)가 동작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하이패스필터(123)의 컷오프 주파수는 약 3 내지 8 Hz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릴리즈 버튼(52)의 프쉬 충격이나 셔터 작동 충격에만 손떨림보정장치(100)가 손떨림보정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촬영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동작에 의한 흔들림에 영향을 받지 않는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504단계에서 확인부(31)의 확인 결과 슬립모드가 온이면, 비교부(32)는 제2시간(TIME#2) 동안 측정된 흔들림 정도와 제2한계값 (LIMIT#2)을 비교한다. 따라서 먼저 카운트가 제2시간 (TIME#1) 보다 크거나 같은지 먼저 확인한다(S1209). 만약 카운트가 제2시간(TIME#2)보다 작으면 슬립모드제어를 종료하고, 카운트가 제2시간(TIME#2)보다 크거나 같으면 제2시간(TIME#2)동안 측정된 흔들림 정도, 예를 들어 X방향 또는 Y방향의 최대각속도값과 최소각속도값의 차이 {MAX ANGVEL X&Y - MIN ANGANGVEL X&Y},를 각각 제2한계값(LIMIT#2)과 비교한다(S1210).
비교부(52)의 비교 결과 흔들림 정도가 제2한계값(LIMIT#2)보다 크다면, 제어부(53)는 슬립 모드를 오프(S1211)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슬립모드를 오프하면 하이패스필터(123)가 오프되면서 손떨림보정장치(100)가 온된다(S1212). 즉, 하이패스필터(123)가 오프되었으므로 미세한 진동에서도 손떨림보정동작이 수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3은 도 12에 따른 슬립모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x축은 시간이고 y축은 렌즈의 위치이다. 미소 시간동안 렌즈의 위치 변화량이 크면 흔들림 정도가 큰 것이다. 또한 미소 시간동안 렌즈의 위치 변화량이 작으면 흔들림 정도가 작은 것이다. t1이전 구간에서는 사용자가 디지털카메라(1)를 그립하고 있어 렌즈의 위치가 크게 변화한다. 이 경우 슬립모드는 오프된다. t1 내지 t2구간에서는 사용자가 디지털카메라(1)를 삼각대에 놓아 렌즈 위치가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이 경우 슬립모드가 온 된다. t2 내지 t3 구간은 사용자가 릴리즈버튼(52)을 반 누름할 때이고, t3 내지 t4 구간은 사용자가 릴리즈버튼(52)을 완전 누름할 때이고, t4 이후 구간은 셔터가 작동할 때이다. 도 13에 의한 슬립모드 제어 방법에 의하면 t2 이후 구간에서 슬립모드가 온이나 하이패스필터(123)가 온되면서 손떨림보정장치(100)가 동작한다. 여기서 하이패스필터(123)의 컷 오프 주파수는 릴리즈버튼의 충격이나 셔터 동작의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에 대해 손떨림보정장치(100)가 동작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t2 내지 t3, t3 내지 t4, t4 이후 구간에서 손떨림보정 동작이 일어난다.
도 14는 도 12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측정한 흔들림 정도에 포함된 노이즈를 로우패스필터를 통해 보정하는 구성이 추가된다(S1201-1). 다른 단계는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은 도 14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s1210단계에서 비교부가 측정된 상기 흔들림 정도와 제2한계값을 비교할 때, x축 방향에 대한 흔들림 정도와 제2한계값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1210a). 다른 단계는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은 도 15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측정된 흔들림 정도는 오직 x축 방향에 대한 흔들림 정도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1201a, S1202a, S1206a, S1210a). 다른 단계는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본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본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1: 디지털카메라
100: 손떨림보정장치

Claims (22)

  1. 손떨림보정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슬립모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흔들림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슬립모드가 온 또는 오프인지 확인하는 단계;
    확인 결과 슬립모드가 오프이면, 제1시간 동안 측정된 상기 흔들림 정도와 제1한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상기 흔들림 정도가 제1한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슬립모드를 온하는 단계;
    확인 결과 슬립모드가 온이면, 제2시간 동안 측정된 상기 흔들림 정도와 제2한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상기 흔들림 정도가 제2한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슬립모드를 오프하는 단계;
    상기 슬립 모드가 턴 온되면, 적어도 미리 결정된 사이즈의 흔들림에 대해서만 손떨림 보정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슬립 모드가 턴 오프되면, 모든 흔들림에 대해 손떨림 보정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슬립모드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모드가 온하면, 상기 손떨림보정장치가 오프되는 것이며,
    상기 슬립모드가 오프하면, 상기 손떨림보정장치가 온되는 것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슬립모드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모드가 온하면, 하이패스필터가 온한 상태에서 상기 손떨림보정장치가 온되는 것이며,
    상기 슬립모드가 오프하면, 하이패스필터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손떨림보정장치가 온되는 것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슬립모드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패스필터는
    상기 손떨림보정장치에 포함되며,
    릴리즈버튼의 푸쉬에 의한 충격이나 셔터개폐에 의한 충격에만 상기 손떨림보정장치가 구동하도록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슬립모드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흔들림 정도는 최대각속도값과 최소각속도값의 차이로 결정하며,
    상기 흔들림 정도는 x축방향에 대한 흔들림 정도 및 y축방향에 대한 흔들림 정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슬립모드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상기 흔들림 정도와 제2한계값을 비교하는 단계에서
    상기 x축방향에 대한 흔들림 정도와 제2한계값을 비교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슬립모드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흔들림 정도는 최대각속도값과 최소각속도값의 차이로 결정하며,
    상기 흔들림 정도는 x축방향에 대한 흔들림 정도만을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슬립모드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간은 상기 제2시간보다 긴, 디지털 촬영 장치의 슬립모드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한계값은 상기 제2한계값보다 작은, 디지털 촬영 장치의 슬립모드 제어 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모드를 오프하고 손떨림보정장치를 온 할 때,
    상기 손떨림보정장치가 렌즈의 현재 위치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도출된 상기 렌즈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손떨림보정장치가 손떨림보정동작을 시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슬립모드 제어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흔들림 정도를 측정하고,
    상기 흔들림 정도에 포함된 노이즈를 로우패스필터를 통해 제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슬립모드 제어 방법.
  12. 손떨림보정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손떨림보정장치에 포함되며,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흔들림 정도를 측정하는 흔들림감지센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슬립모드가 온 또는 오프인지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확인부의 확인 결과, 슬립모드가 오프이면, 제1시간동안 측정된 상기 흔들림 정도와 제1한계값을 비교하교, 상기 확인부의 확인 결과 슬립모드가 온이면, 제2시간동안 측정된 상기 흔들림 정도와 제2한계값을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 제1시간동안 측정된 상기 흔들림 정도가 상기 제1한계값보다 작은 경우 슬립모드를 온하고, 제2시간동안 측정된 상기 흔들림 정도가 상기 제2한계값보다 큰 경우 슬립모드를 오프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손떨림보정장치는, 상기 슬립 모드가 턴 온되면, 적어도 미리 결정된 사이즈의 흔들림에 대해서만 손떨림 보정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슬립 모드가 턴 오프되면, 모든 흔들림에 대해 손떨림 보정 동작을 수행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립모드를 온하면, 상기 손떨림보정장치를 오프하며,
    상기 슬립모드를 오프하면, 상기 손떨림보정장치를 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립모드를 온하면, 하이패스필터를 온한 상태에서 상기 손떨림보정장치를 온하며,
    상기 슬립모드를 오프하면, 하이패스필터를 오프한 상태에서 상기 손떨림보정장치를 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패스필터는
    상기 손떨림보정장치에 포함되며,
    릴리즈버튼의 푸쉬에 의한 충격이나 셔터개폐에 의한 충격에만 상기 손떨림보정장치가 구동하도록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흔들림 정도는 최대각속도값과 최소각속도값의 차이로 결정하며,
    상기 흔들림 정도는 x축방향에 대한 흔들림 정도 및 y축방향에 대한 흔들림 정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가
    상기 x축방향에 대한 흔들림 정도와 상기 제2한계값을 비교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흔들림 정도는 최대각속도값과 최소각속도값의 차이로 결정하며,
    상기 흔들림 정도는 x축방향에 대한 흔들림 정도만을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간은 상기 제2시간보다 긴, 디지털 촬영 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한계값은 상기 제2한계값보다 작은, 디지털 촬영 장치.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포함된 렌즈의 현재 위치 정보를 도출하는 위치검출센서;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손떨림보정장치는
    상기 슬립모드를 오프한 이후에 상기 위치검출센서로부터 도출된 상기 렌즈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손떨림보정장치가 손떨림보정동작을 시작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손떨림보정장치에 포함되며,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상기 흔들림 정도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로우패스필터;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KR1020100072976A 2010-07-28 2010-07-28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 KR101643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976A KR101643617B1 (ko) 2010-07-28 2010-07-28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
US13/190,618 US8928762B2 (en) 2010-07-28 2011-07-26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leep mod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976A KR101643617B1 (ko) 2010-07-28 2010-07-28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238A KR20120011238A (ko) 2012-02-07
KR101643617B1 true KR101643617B1 (ko) 2016-08-10

Family

ID=45526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976A KR101643617B1 (ko) 2010-07-28 2010-07-28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28762B2 (ko)
KR (1) KR1016436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1887A (ko) * 2020-04-24 2021-11-03 아사히 가세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구동 제어 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구동 제어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22922B2 (ja) * 2012-12-28 2017-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機器、像ブレ補正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KR20160010487A (ko) * 2013-05-21 2016-01-2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 및 카메라
JP2015028918A (ja) 2013-06-27 2015-02-1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カメラ
JP2015062173A (ja) 2013-08-20 2015-04-0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カメラ
JP6479375B2 (ja) 2013-09-19 2019-03-0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
KR101606963B1 (ko) * 2013-12-19 2016-03-28 삼성전기주식회사 광학식 손떨림 보정 장치의 액추에이터 제어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학식 손떨림 보정 장치
US20150195457A1 (en) * 2014-01-03 2015-07-0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correction
EP2927790B1 (en) * 2014-02-27 2018-06-13 Huawei Device Co., Ltd. Photograph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9628713B2 (en) * 2014-03-17 2017-04-18 Invensens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using a digital interface
KR101983179B1 (ko) * 2014-12-10 2019-08-28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장치 및 손떨림 보정 장치의 소비 전력 최소화 방법
DE102014226759A1 (de) * 2014-12-22 2016-06-2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gelung und/oder Steuerung einer Querführung eines Fahrzeugsmittels eines Spurhalteassistenten und Spurhalteassistent
JP6413867B2 (ja) * 2015-03-23 2018-10-31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揺れ補正装置
JP5941584B2 (ja) * 2015-07-23 2016-06-2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携帯端末、携帯端末の電源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撮影装置
JP6746972B2 (ja) * 2016-03-11 2020-08-26 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JP6625088B2 (ja) * 2017-04-13 2019-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交換レンズ、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交換レンズの制御方法
JP6942517B2 (ja) * 2017-04-27 2021-09-2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10333568A1 (en) * 2020-04-24 2021-10-28 Asahi Kasei Microdevices Corporation Drive control apparatus, driv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drive control program recorded thereon
DE102020208206A1 (de) * 2020-07-01 2022-01-05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Inertialsensoreinheit und Verfahren zum Detektieren einer Sprachaktivität
KR20220072185A (ko) *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광학적 이미지 안정화 장치의 블러 보상 회로
JP2022129064A (ja) * 2021-02-24 2022-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像ブレ補正装置および像ブレ補正方法
EP4243433A4 (en) * 2022-01-25 2024-04-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CAMERA MODU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0969A (ja) 2004-09-10 2006-03-23 Canon Inc カメラ
JP2007279553A (ja) 2006-04-11 2007-10-25 Pentax Corp 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5058B2 (ja) * 1992-07-10 2002-04-15 三菱電機株式会社 ビデオカメラ
US6470147B2 (en) * 2000-04-06 2002-10-2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blur correction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with the image blur correction apparatus
JP4667052B2 (ja) * 2005-01-27 2011-04-0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並びにそのカメラ本体及び交換レンズ
US20060204232A1 (en) * 2005-02-01 2006-09-14 Harvey Weinberg Camera with acceleration sensor
JP4505740B2 (ja) * 2005-05-16 2010-07-21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起動方法
US7680403B2 (en) * 2006-07-19 2010-03-16 Olympus Imaging Corp. Image pickup apparatus controlling shake sensing and/or shake compensation during dust removal
KR101477542B1 (ko) * 2008-11-12 2014-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509817B2 (ja) * 2008-12-25 2014-06-04 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0969A (ja) 2004-09-10 2006-03-23 Canon Inc カメラ
JP2007279553A (ja) 2006-04-11 2007-10-25 Pentax Corp 撮像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1887A (ko) * 2020-04-24 2021-11-03 아사히 가세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구동 제어 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구동 제어 프로그램
KR102570238B1 (ko) * 2020-04-24 2023-08-25 아사히 가세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구동 제어 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구동 제어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238A (ko) 2012-02-07
US20120026348A1 (en) 2012-02-02
US8928762B2 (en) 201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617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
CN105814484B (zh) 抖动校正装置及其调整方法、抖动校正电路、抖动校正方法、以及照相机模块及其光学元件的位置控制方法
KR101575626B1 (ko) 디지털 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US9426371B2 (en) Optical apparatus with image shake correction and control method
JP6472176B2 (ja) 撮像装置、像振れ補正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像振れ補正方法
US8169487B2 (en) Image-shake correction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US8068139B2 (en) Image stabilization control circuit
JP4991591B2 (ja) 撮像装置
US10812723B2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control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camera shake
US8451337B2 (en) Image stabilization control circuit
CN104683688B (zh) 摄像装置和摄像方法
JP4875971B2 (ja) 撮影装置及びその調整方法
KR20150061561A (ko) 상 흔들림 보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85141A (ko) 디지털 영상처리장치 및 방법
JP5296346B2 (ja) 撮影装置
JP2007043584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035964B2 (ja) 像ブレ補正装置、像ブレ補正方法および記録媒体
KR101909130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6395401B2 (ja) 像振れ補正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光学機器、撮像装置
JP2002207232A (ja) 撮像装置の像ぶれ補正方法および装置
JP2009168938A (ja) 撮影装置
JP5001014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08233156A (ja) 撮像装置の制御方法と撮像装置
JP2009047756A (ja) 撮影装置
JP2007181177A (ja) 制御装置、撮影装置、撮影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