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0774B1 - 유리 복합체, 유리 복합체를 사용한 전자 기기, 및 입력 장치, 그리고 유리 복합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리 복합체, 유리 복합체를 사용한 전자 기기, 및 입력 장치, 그리고 유리 복합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0774B1
KR101230774B1 KR1020127019803A KR20127019803A KR101230774B1 KR 101230774 B1 KR101230774 B1 KR 101230774B1 KR 1020127019803 A KR1020127019803 A KR 1020127019803A KR 20127019803 A KR20127019803 A KR 20127019803A KR 101230774 B1 KR101230774 B1 KR 101230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ide wall
frame body
glass memb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9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0936A (ko
Inventor
사다오 기타노
미노루 사토
유스케 고이케
준지 하시다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0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0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2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by fusing glass directly to met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2Resilient or clamping means for holding component to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2Condu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ounting Components In General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과제)
유리 인서트 성형에서는 품질 편차 없이 양산을 실시하는 것이 곤란하여, 안정적으로 휨이나 크랙이 없는 유리 복합체를 얻을 수 없었기 때문에, 양산에 최적인, 유리와 프레임체가 일체화된 유리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해결 수단)
유리 복합체 (10) 는, 가시광을 투과하는 유리 부재 (11) 와, 상기 유리 부재 (11) 를 지지하는 프레임체 (20) 와, 상기 유리 부재 (11) 와 상기 프레임체 (20) 를 접착하는 접착 부재 (30) 를 갖고, 상기 유리 부재 (11) 는 평판으로서 상기 평판의 주위에 측면 (11a) 을 가짐과 함께, 상기 측면 (11a) 이 상기 접착 부재 (30) 를 개재하여 상기 프레임체 (20) 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접착 부재 (30) 는 상기 프레임체 (20) 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시키는 완충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리 복합체, 유리 복합체를 사용한 전자 기기, 및 입력 장치, 그리고 유리 복합체의 제조 방법 {GLASS COMPOSITE, ELECTRONIC DEVICE USING GLASS COMPOSITE, AND INPUT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COMPOSITE}
본 발명은, 유리 복합체와 유리 복합체를 사용한 전자 기기, 및 입력 장치, 그리고 유리 복합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크랙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 복합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용의 전자 기기 등에, 표시 장치에 중첩되어 배치되는 입력 장치가 형성되어 있다. 입력 장치는, 투광성의 기재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고, 그것을 통해 표시 장치 화면의 표시 내용을 시인하면서, 검지 영역에 손가락 등을 접촉함으로써, 입력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력 장치는 표시 장치 화면에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전기 광학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데, 조작자는 입력 장치를 통해 표시 장치 화면의 표시 내용을 보게 되기 때문에, 그 화면 휘도 등의 시인성에 관한 성능은 매우 중요하다. 광학 특성이 우수한 유리 기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인성이 양호하고, 평판을 절단했을 뿐인 형상이면 유리 기재 비용은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전자 기기의 디자인과 아우르기 위해서, 원 구멍이나 타원 구멍 등의 가공, 및 외형 형상의 3 차원 가공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유리 기재 비용이 고액이 되어 버리는 과제가 있었다. 또, 수지 기재를 사용하여 표시 장치 화면 상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유리 기재와 비교하여 시인성이 떨어지는 결점이 있었다.
그래서, 입력 장치의 기재에 있어서, 프레임체는 수지 성형에 의해 형성하고, 표시 장치 화면 영역은 유리 평판을 매립하는 유리 인서트 성형 기술이 검토되어 왔다. 그러한 구조예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은, 유리 평판 (유리판으로 구성되는 평면판) 과, 그 이면 주연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체 (수지 프레임) 가 유리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된 하우징 케이스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선팽창 계수가 작은 프레임체 재료로 함으로써 유리 평판과 일체화했을 때의 휨을 줄이게 하는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유리 인서트 성형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공정이다. 처음에, 유리 평판은, 대판 유리의 판재로부터 절단 및 절단면의 연삭이 이루어짐으로써, 소정 치수로 잘라내진다. 가동형과 고정형으로 이루어지는 성형 금형 내에 유리 평판 (유리판으로 구성되는 평면판) 을, 정확한 위치에 진공 흡착 등에 의해 고정시킨다. 성형용 금형을 닫고 용융 수지를 사출 충전하여 냉각 취출을 실시하여, 일체화된 유리 인서트 성형품이 완성된다.
WO 2008/03573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118830호
그러나, 유리 인서트 성형 특유의 과제로서, 수지의 성형 수축에 의해 프레임체와 유리 평판에 응력이 발생되어 휨이나 크랙을 일으킴으로써, 유리 평판과 프레임체의 선팽창 계수를 동일 정도로 하는 수지 재료를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
또, 유리 인서트 성형품은 이하와 같은 문제를 가져, 양산이 극히 곤란했다. 금형의 정밀도에 비해 유리 평판의 절단에 있어서의 치수 편차는 커, 금형 내의 소정 위치에 대한 위치 결정 정밀도도 나빠져 성형품의 치수 편차는 커지고, 그에 따라 수지의 성형 수축은 균일성·재현성을 얻을 수 없어지기 때문에, 양산품에 품질 편차를 일으키고 있었다. 위치 결정 정밀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금형에 특수한 연구가 필요해진다. 또한 유리 인서트 성형은 핀홀이 생기기 쉽고, 양산에 있어서 완전하게 핀홀을 억제할 수 없기 때문에, 유리 인서트 성형품에서는 완전 봉지의 필요가 없는 제품에 대한 적용으로 한정되어 버린다.
또, 유리 인서트 성형용의 수지로는 열경화성 수지가 개발되어 있지만, 열경화성 수지 재료의 취급은 양산성에 문제가 있다. 또한 특수한 수지 재료이기 때문에, 고가였다.
따라서, 유리 평판과 프레임체가 일체화된 유리 복합체를, 유리 인서트 성형 에 의해 품질 편차 없이 양산하는 것은 곤란하여, 안정적으로 휨이나 크랙이 없는 유리 복합체가 얻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특히 휨이나 크랙이 없는 유리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시인성이 양호한 유리 복합체를 사용한 전자 기기 및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유리 복합체는, 평판상의 유리 부재와, 상기 유리 부재를 지지하는 프레임체와, 상기 유리 부재와 상기 프레임체를 접착하는 접착 부재를 갖고, 상기 유리 부재의 측면이 상기 접착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프레임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프레임체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시키는 완충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유리 부재와 프레임체가 직접 고착되는 유리 인서트 성형과는 본질적으로 상이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유리 부재의 측면과 프레임체는 접착 부재를 개재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리 부재와 프레임체는 직접 고착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각각은 접착 부재와 고착되어 있고, 접착 부재는 응력을 흡수 완화시키는 완충층으로서 작용한다. 이 때문에, 온도 변화에 의해 프레임체와 유리 부재가 팽창 수축해도, 유리 부재로부터 프레임체에 가해지는 응력이 완화된다. 따라서, 휨이나 크랙이 없는 유리 복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체는 성형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에 대향하는 측벽부를 갖고, 상기 측면과 상기 측벽부는 상기 접착 부재를 충전하는 충전부를 형성하여 배치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성형 수지로 형성된 복잡한 케이싱 형상 또한 기능 부품용의 구멍 가공이 실시된 프레임체에, 접착 부재가 과도하게 압축되거나 간극을 일으키거나 하지 않고 충전할 수 있으므로, 시인성이 양호한 유리 부재를 적절히 고정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리 부재의 측면과 상기 프레임체의 측벽부가 상이한 경사각을 갖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과 상기 측벽부가 일부에서 맞닿음과 함께, 상기 측면과 상기 측벽부 사이에 끼인 간극이 형성되어, 상기 간극에 상기 접착 부재가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본 발명에서는, 유리 부재의 측면과 프레임체의 측면을 맞닿게 하여, 프레임체에 유리 부재를 끼워 넣을 수 있고 (측면과 측벽부 사이의 맞닿음), 프레임체에 대한 유리 부재의 평면 방향 (X, Y) 에 대한 위치 결정을 간단하고 또한 고정밀도로 실시할 수 있다. 추가하여, 유리 부재와 프레임체 사이에 접착 부재를 충전할 수 있는 간극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 부재와 프레임체 사이를 접착 부재를 통하여 적절히 접합할 수 있다. 또 유리 부재나 프레임체의 외관이 다소 상이해도, 본 발명에서는 확실하게 유리 부재의 측면과 프레임체의 측벽부 사이에 끼인 간극을 형성할 수 있음과 함께, 간극은 테이퍼 형상이 되기 때문에 간극의 간격이나 형상이 다소 변화되어도 간극을 확실하게 메울 수 있고 (핀홀의 발생이 없다), 접착 부재의 충전량을 일정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측면과 상기 측벽부의 경사각이 도중까지 동일하고 도중부터 상이하여, 동일한 경사각의 상기 측면과 상기 측벽부 사이가 맞닿아 있고, 상이한 경사각의 상기 측면과 상기 측벽부 사이에 상기 접착 부재가 충전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때, 상기 측벽부는, 제 1 경사각 (θ1) 을 구비하는 제 1 경사면과, 제 1 경사각과 상이한 제 2 경사각 (θ2) 을 구비하는 제 2 경사면을 갖고,
상기 제 1 경사면과 상기 측면 사이가 맞닿아 있고, 적어도, 상기 제 2 경사면과 상기 측면 사이에 상기 접착 부재가 충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측면 혹은 상기 측벽부의 적어도 일방이, 도중에 상이한 경사각으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과 상기 측벽부의 사이의 간극은, 굴곡부로부터 상기 측면과 상기 측벽부 사이의 맞닿음 방향에 대한 제 1 간극과, 상기 맞닿음 방향과는 역방향에 대한 제 2 간극을 갖고, 상기 제 2 간극에 있어서의 상기 측면과 상기 측벽부의 경사각 차이는, 상기 제 1 간극에 있어서의 상기 측면과 상기 측벽부의 경사각 차이보다 큰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측벽부가 도중에 상이한 경사각으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유리 부재의 측면이 프레임체의 측벽부에 가이드되면서, 유리 부재를 프레임체에 용이하고 적절히 끼워 넣을 수 있어 평면 방향에 대한 위치 결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에 추가하여, 유리 부재 및 프레임체의 강도를 적절히 유지하면서 간극의 개구부를 충분히 넓은 형상으로 형성하기 쉬워, 접착 부재를 적절히 간극 내에 충전할 수 있다. 또, 접착 부재의 충전량이 편차가 있다고 해도, 접착 부재가 간극 내에 모여, 동일한 경사각에 의해 유리 부재의 측면과 프레임체의 측벽부 사이가 맞닿아 있는 부분에 접착 부재가 과도하게 흘러드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접착 부재에 의한 유리 부재와 프레임체 사이의 접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측면은, 경사면과 평판면 사이의 모서리부가 모따기 가공면으로 되어 있고, 적어도 상기 모따기 가공면과 상기 경사면의 교차부가 상기 측벽부와의 맞닿음 위치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형태에 있어서도, 프레임체에 대한 유리 부재의 평면 방향 (X, Y) 에 대한 위치 결정을 간단하고 또한 고정밀도로 실시할 수 있다. 또, 모따기 가공면의 부분에는 측벽부와의 사이에 갭이 형성되어 접착 부재가 상기 갭 내에 다소 배어 나와도, 유리 부재의 평판면 상에까지 흘러드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유리 부재의 높은 평탄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레임체는 상프레임이고, 상기 상프레임은 별도로 하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상프레임과 상기 하프레임이 접합됨과 함께, 상기 하프레임이 상기 유리 부재의 하면측에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유리 부재의 측면은, 하면측으로부터 상면측을 향하여, 상기 유리 부재의 폭 치수가 서서히 작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그리고, 상기 상프레임의 측벽부는, 하면측으로부터 상면측을 향하여 상기 측벽부 사이의 간격이 서서히 작아지도록 경사짐과 함께 상기 측벽부의 경사각이 상기 측면의 경사각보다 완만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충격 등이 가해졌을 때, 상하면의 쌍 방향에 대한 유리 부재의 빠짐을 적절히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레임체는 상기 측벽부와 연속한 연출부를 갖고, 상기 연출부는 상기 유리 부재의 평판면의 일방의 면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평판 타방의 면으로부터 평판에 힘이 가해져도 연출부에서 유리 부재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낙하시의 충격 등에 대해 유리 부재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착 부재는 가시광을 투과하는 투명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육안으로 투명한 유리 복합체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접착 부재는 자외선 경화형의 수지인 것이 적합하다. 이로써, 유리 부재와 프레임체를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고, 접착 부재의 접착시의 잔류 응력이 작다.
또한 상기 측면은 단차를 형성하는 절결부를 갖고, 상기 프레임체는 상기 절결부의 형상을 따른 연재부를 갖는 구조여도 된다. 이로써, 유리 부재의 양면 (상하면) 에 연속 평면을 이루도록 유리 복합체의 구조로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절결부는 상기 연재부와 접하는 중간부를 갖는 구조여도 된다. 이로써, 유리 부재의 양면에 연속 평면을 이루는 유리 복합체를 만들기 쉬운 구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 복합체를 사용한 전자 기기는, 정보 표시 가능한 전자 기기로서, 상기 전자 기기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갖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유리 부재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로써, 표시 장치 화면 상에 배치하는 기재는 유리 복합체이기 때문에, 수지 기재와 비교해 광학 특성이 우수하므로, 시인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시인성이 양호한 전자 기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력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투광성의 기재와, 적어도 일부가 투광성인 1 쌍의 전극 기판을 갖고, 상기 기재는 상기에 기재된 유리 복합체이고, 상기 1 쌍의 전극 기판은 투명 도전막으로 이루어지는 1 쌍의 저항막을 가짐과 함께, 상기 1 쌍의 저항막은 공극을 개재하여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표시 장치 화면 상에 배치하는 기재는 유리 복합체이기 때문에, 수지 기재와 비교하여 광학 특성이 우수하므로, 시인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시인성이 양호한 입력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입력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투광성의 기재와, 적어도 일부가 투광성의 전극 기판을 갖고, 상기 기재는 상기에 기재된 유리 복합체이고, 상기 기재는 투명 도전막으로 이루어지는 일방의 저항막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전극 기판은 투명 도전막으로 이루어지는 타방의 저항막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방의 저항막과 상기 타방의 저항막은 공극을 개재하여 대향하고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로써, 일방의 저항막이 형성된 기판을 유리 복합체가 겸하므로, 보다 시인성이 양호한 입력 장치를 얻을 수 있다.
혹은 본 발명의 입력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투광성의 기재와, 적어도 일부가 투광성의 센서 기판을 갖고, 상기 기재는 상기에 기재된 유리 복합체이고, 상기 센서 기판은 정전 용량을 검출하는 전극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기재와 상기 센서 기판은 일체로 첩합 (貼合) 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로써, 유리 복합체는, 프레임체가 외장을 겸하는 것과 함께, 표시 장치 화면 상에 배치하는 기재는 유리 복합체이기 때문에, 수지 기재와 비교하여 광학 특성이 우수하므로, 시인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시인성이 양호한 입력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입력 장치는, 프레임체인 상프레임과 별도로 하프레임이 형성되어, 상프레임과 하프레임이 접합됨과 함께, 하프레임이 상기 유리 부재의 하면측까지 연출되어 형성된 유리 복합체를 갖고,
상기 유리 부재와 상기 하프레임 사이에, 센서 기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프레임과 하프레임을 별도로 함으로써, 센서 기판을 유리 부재와 하프레임의 사이에 개재시킬 수 있음과 함께, 센서 기판을 유리 부재의 평탄한 하면측에 적층하는 등 하여 형성할 수 있어 센서 감도가 우수한 입력 장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리 부재와 프레임체를 접착하는 접착 부재는 응력을 흡수 완화시키는 완충층으로서 작용한다. 이 때문에, 온도 변화에 의해 프레임체와 유리 부재가 팽창 수축해도, 유리 부재로부터 프레임체에 가해지는 응력이 완화된다. 따라서, 휨이나 크랙이 없는 유리 복합체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 장치 화면 상에 배치하는 기재는 유리 복합체이기 때문에, 수지 기재와 비교하여 광학 특성이 우수하므로, 시인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시인성이 양호한, 유리 복합체를 사용한 전자 기기, 및, 입력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복합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유리 복합체를 Ⅱ-Ⅱ 선으로 절단한 모식 종단면도이다.
도 3 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이다.
도 4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복합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이다.
도 5 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이다.
도 6 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복합체를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이다.
도 7 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이다.
도 8 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복합체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이다.
도 9 는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복합체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이다.
도 10 은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복합체를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이다.
도 11 은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복합체를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이다.
도 12 는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복합체를 구성하는 구성 부품을 나타내고, (a)(c)(d) 는 평면도, (b) 는, (a) 를 A-A 선으로부터 절단하여 화살표 방향에서 본 모식 종단면도, (d) 는, (c) 를 B-B 선으로부터 절단하여 화살표 방향에서 본 모식 종단면도, (f) 는 (e) 을 C-C 선으로부터 절단하여 화살표 방향에서 본 모식 종단면도이다.
도 13 은 도 12 에 나타내는 유리 복합체를 사용한 입력 장치의 모식 종단면도이다.
도 14 는 도 13 의 입력 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15 는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복합체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16 은 제 8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복합체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17 은 도 15, 도 16 의 유리 복합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8 은 제 9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복합체의 모식 종단면도이다.
도 19 는 제 10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복합체의 모식 종단면도이다.
도 20 은 도 12 에 나타내는 유리 복합체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도 (모식 종단면도) 이다.
도 21 은 입력 장치 (터치 패널) 의 평면도 및 모식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면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 각 구성 요소의 치수의 비율 등은 적절히 다르게 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 각 도면에 있어서 종단면도는 두께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에 나타내는 절단면을 나타낸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복합체 (10) 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Ⅱ-Ⅱ 선으로 절단한 모식 종단면도, 도 3 은 유리 복합체 (10) 에 검지 패널 (60) 이 형성된 입력 장치 (1) 의 모식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유리 복합체 (10) 는 입력 장치 (1) 를 구성하는 기재이고, 도 3 과 같이 검지 패널 (60) 이 고정 설치되어, 휴대 전화, 휴대용 게임 장치 등에 사용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복합체 (10) 는, 중앙부의 사각형 영역이 평판상의 유리 부재 (11) 이고, 유리 부재 (11) 를 둘러싸는 영역이 프레임체 (20) 이다. 유리 부재 (11) 는 프레임체 (20) 에 접착 부재 (30) 를 개재하여 고정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착 부재 (30) 를 충전하는 충전부 (40) 가 형성되어 있다. 평판상의 유리 부재 (11) 는 투광성이며, 표시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투광성이란, 투명 또는 반투명 등 광을 투과 가능한 상태를 의미하고 있고, 투과율이 50 %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80 % 이상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한편, 프레임체 (20) 는 투광성 부재를 사용하고 있고, 예를 들어, 그 일부가 착색되어 있다. 프레임체 (20) 는 금형에 열가소성 수지를 충전하여 성형한 것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체 (20) 에는 개구 (21, 22) 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 (21) 는 수화구로서 개구 (22) 는 송화구로서 유리 부재 (11) 의 영역은 표시부로서 휴대 전화의 케이싱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경우, 마이크로폰, 스피커, 액정 표시 장치는 유리 복합체 (10) 의 이면측에 배치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체 (20) 에는 열가소성 수지 이외에,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 장치 (1) 에서는, 유리 복합체 (10) 에 투광성의 검지 패널 (60) 이 장착되어 있다. 유리 복합체 (10) 와 검지 패널 (60) 은, 아크릴계 점착제 등의 투광성의 점착층 (61) 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여기서, 점착층 (61) 은, 스스로의 택력에 의해 유리 복합체 (10) 와 검지 패널 (60) 을 고착할 수 있는 것으로, 액체로부터 고체로 그 상태가 경화되는 접착제와 구별된다. 단, 상기 점착층 (61) 대신에 접착제가 사용되어도 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지 패널 (60) 은, 투광성이며 가요성의 하부 기판 (62) 과, 이것에 대향하는 투광성이고 가요성의 상부 기판 (63) 을 갖고 있다. 검지 패널 (60) 에는, 하부 기판 (62) 과 상부 기판 (63) 사이에, 접착제에 의해 형성된 스페이서층 (64) 이 형성되고, 하부 기판 (62) 과 상부 기판 (63) 이 공극 (65) 을 개재하여 대향하고 있다.
하부 기판 (62) 의 대향면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은 ITO (Indium Tin Oxide)등의 투광성의 하부 저항막이 형성되고, 상부 기판 (63) 의 대향면에도, ITO 등의 투광성의 상부 저항막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저항막은 배선 등을 개재하여 검지 패널용 회로에 접속되어 있는데, 도 3 에서는 상세한 구성을 생략하고 있다.
검지 패널 (60) 은, 상부 기판 (63) 이 눌려 휘면, 상부 저항막과 하부 저항막이 부분적으로 접촉한다. 이 때, 하부 저항막을 X 방향으로 분할한 저항값에 대응하는 전압이 검출되고, 상부 저항막을 Y 방향으로 분할한 저항값에 대응하는 전압이 검출된다. 이로써, X-Y 좌표 상의 휨 위치가 검지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학 특성이 우수한 유리 부재 (11) 를 표시 장치 화면 영역에 사용하고 있으므로, 표시 장치 화면의 시인성이 양호한 입력 장치 (1) 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검지 패널 (60) 은 통상, 표면 기재를 더욱 고착시킨 구성이 되어 있지만, 도 3 에서는 생략하고 있다. 표면 기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등의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고, 공극 (65) 의 영역이 투광성으로 유지됨과 함께, 예를 들어 스페이서층 (64) 의 영역에 착색층이 형성되어 있다. 착색층은 인쇄나 증착 등에 의해 형성되어 비투광성의 장식층이 되어 있다. 표면 기재는 아크릴계 등의 투광성 점착층에 의해 상부 기판 (63) 에 고정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유리 복합체 (10) 는, 미리 제작된 유리 부재 (11) 와, 이것과는 다른 공정에서 제작된 프레임체 (20) 와 접착 부재 (30) 가 일체화되어 있다. 프레임체 (20) 는, 유리 부재 (11) 의 측면 (11a) 에 대향하는 측벽부 (20a) 를 갖고, 유리 부재 (11) 의 측면 (11a) 과 측벽부 (20a) 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측면 (11a) 과 측벽부 (20a) 사이에 접착 부재 (30) 를 충전하는 충전부 (40) 가 형성된다. 그리고 충전부 (40) 에 접착 부재 (30) 가 충전됨으로써, 유리 부재 (11) 와 프레임체 (20) 의 측면끼리가 접착 부재 (30) 를 개재하여 접합된다.
또, 프레임체 (20) 는 측벽부 (20a) 와 연속한 연출부 (20b) 를 갖고, 연출부 (20b) 는 평판의 유리 부재 (11) 의 이면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유리 복합체 (10) 의 표면측으로부터 유리 부재 (11) 에 힘이 가해져도 연출부 (20b) 에서 유리 부재 (11) 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낙하시의 충격 등에 대해 유리 부재 (11) 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사례에서는, 유리 부재 (11) 가 두께 0.7 ㎜ 의 평판으로 40 ㎜×60 ㎜ 의 직사각형상의 설계 치수에 대해, 접착 부재 (30) 를 충전하는 충전부 (40) 의 폭을 0.6 ㎜ 로 하여 연출부 (20b) 가 충전부 (40) 를 포함하여 1.1 ㎜ 폭이 되도록, 프레임체 (20) 의 성형 금형 치수가 설계되었다. 유리 부재 (11) 는 대판 유리의 판재로부터 상기의 치수로 자른 유리 평판으로, 측면 (11a) 에 적절한 연삭 처리가 이루어졌다. 한편, 프레임체 (20) 는 폴리카보네이트 (PC) 를 성형하여 제작했다. 다음으로, 이들 부재를 일체화하는 공정에 있어서, 양 부재의 평면 위치 관계가 일정해지도록 흡착 지그를 사용하여 배치된 후, 충전부 (40) 에 접착 부재 (30) 가 도포되고, 계속하여 자외선 조사 및 가열 경화를 실시하였다. 또한, 경화 조건은 자외선 조사에 의한 가고정 15 초 (조사광 365 ㎚, 150 mW/㎠), 열 경화 80 ℃, 60 분으로 실시하였다.
이렇게 하여 완성된 유리 복합체 (10) 는, 유리 부재 (11) 와 프레임체 (20) 가 직접 고착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각각은 접착 부재 (30) 와 고착되어, 접착 부재 (30) 자체는 응력을 흡수 완화시키는 완충층으로서 작용한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서는, 온도 변화에 의해 프레임체 (20) 와 유리 부재 (11) 가 팽창 수축해도, 상기 유리 부재 (11) 로부터 프레임체 (20) 에 가해지는 응력이 완화된다.
유리 부재 (11) 의 선팽창 계수는 약 9 ppm/K, 프레임체 (20) 의 선팽창 계수는 약 70 ppm/K 의 재료를 사용했으므로, 예를 들어 마이너스 40 ℃ ∼ 플러스 85 ℃ 의 환경 온도에 있어서 프레임체 (20) 와 유리 부재 (11) 가 자유롭게 팽창 수축하면, 10 ℃ ∼ 30 ℃ 의 실온 상태와 상기 환경 온도의 최대 팽창 수축 차이는 플러스 마이너스 0.2 ㎜ 정도이다. 이 때, 접착 부재 (30) 는 응력을 완화시키는 완충층으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유리 복합체 (10) 에 휨이나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 종래예에 나타낸 유리 인서트 성형품에서는 프레임체과 유리 부재의 팽창 수축 차이에 의한 응력이 가해지므로, 선팽창 계수의 차이가 큰 재료에 의한 유리 복합체의 실용화는 불가능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복합체 (10) 에서는, 프레임체 (20) 로서 여러 가지 이종 재료를 적용 가능하지만, 형상 가공의 용이성으로부터 성형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재료는 열가소성 수지가 보다 성형 용이하고,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PC) 나 폴리메타크릴산메틸 (PMMA) 을 사용할 수 있다. 프레임체 (20) 는, 유리 부재 (11) 의 측면 (11a) 에 대향하는 측벽부 (20a) 를 갖고, 유리 부재 (11) 의 측면 (11a) 과 측벽부 (20a) 가 간격을 두고 접착 부재 (30) 를 충전하는 충전부 (40) 를 형성하여, 상기 충전부 (40) 내에 접착 부재 (30) 가 충전되어 유리 부재 (11) 와 프레임체 (20) 의 측면끼리가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접착 부재 (30) 가 과도하게 압축되거나 충전부 (40) 에 간극을 일으키지 않고, 성형 수지로 형성된 복잡한 케이싱 형상 또한 기능 부품용의 구멍 가공이 실시된 프레임체 (20) 에, 시인성이 양호한 유리 부재 (11) 를 적절히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접착 부재 (30) 는 가시광을 투과하는 투명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 부재 (30) 에 가시광을 투과하는 투명 타입의 수지를 사용하면, 유리 부재 (11) 와의 경계가 눈에 띄지 않고, 거의 일체화되어 투광성의 영역을 형성할 수 있어 육안으로 투명한 유리 복합체로 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수지의 프레임체 (20) 와 조합할 때는, 전체가 투명한 유리 복합체 (10) 로 할 수 있다. 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가식 (加飾) 영역이, 접착 부재 (30) 의 위치에까지 미치는 경우에는, 접착 부재 (30) 가 투광성이 아니어도 되고, 재질로는 투명 수지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식 영역 (비투광성 영역) 의 형성은, 인쇄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또, 접착 부재 (30) 에 1 액성의 상온 경화형 접착제인 자외선 경화형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경화형의 수지는 단시간에 경화할 수 있어 접착시의 온도 변화나 체적 수축이 적기 때문에 잔류 응력이 작고, 또한 유리 부재 (11) 의 측면 (11a) 에서 접착하면, 표리면에서의 응력 차이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안정되어 휨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 유리 부재 (11) 와 프레임체 (20) 를 접착하는 공정이 간단하여, 양산성이 우수하다. 또, 상온 경화형 외에, 열 경화 병용형의 자외선 경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저수축·저응력이면 접착시의 잔류 응력이 작기 때문에, 우레탄계, 아크릴계, 에폭시계 등의 열 경화 병용형의 자외선 경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복합체 (10) 는, 유리 부재 (11) 와, 프레임체 (20) 는 접착 부재 (30) 를 충전하는 충전부 (40) 를 형성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접착 부재 (30) 가 과도하게 압축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충전부 (40) 의 폭은 유리 평판의 두께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어도 되고, 단면에서 보았을 경우에 직사각형상뿐만 아니라, 삼각형이나 그 밖의 형상이어도 된다. 상기 충전부 (40) 의 폭이란 평균적인 대표 치수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출부 (20b) 는, 유리 부재 (11) 의 이면 둘레 가장자리와 접하고 있는 영역에서 유리 부재 (11) 와 고착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오히려 유리 부재 (11) 의 이면과는 고착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예에 나타낸 유리 평판과 프레임체를 직접 고착시키는 유리 인서트 성형품에 있어서는, 원리적으로 유리 이면을 지지 고착시키는 영역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 고착 영역에서의 잔류 응력을 무시할 수 없는데 대해, 고착시키지 않는 구조에 있어서는 이면에서의 잔류 응력을 완전하게 없앨 수 있다. 또한, 유리 부재 (11) 와 프레임체 (20) 를 흡착 지그를 사용하여 배치하고, 충전부 (40) 에 접착 부재 (30) 를 도포하는 경우에는, 접착 부재 (30) 가 유리 부재 (11) 의 이면 둘레 가장자리로 우회하는 것이 적으며, 성형 수지로 형성된 복잡한 케이싱 형상의 프레임체 (20) 에 안정적으로, 시인성이 양호한 유리 부재 (11) 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조시 혹은 사용 환경 온도의 변화나 낙하시의 충격 등에 대해, 유리 부재 (11) 의 박리나, 프레임체 (20) 의 균열, 금,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접착 부재 (30) 에 의해 프레임체 (20) 에 유리 부재 (11) 를 접착할 때에, 접착 부재 (30) 는 액상이다. 특히, 실링재로서도 사용 가능한 자외선 경화형의 접착 수지는 점도가 낮고 접착시의 체적 수축도 적기 때문에, 핀홀이 생기지 않는 것도 특징이다. 따라서, 유리 인서트 성형과는 상이하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복합체 (10) 는 핀홀이 없고, 수밀 구조의 케이싱을 구성할 때에 최적이다.
또, 수밀 구조뿐만 아니라, 접착 부재 (30) 는 고정에 필요한 여러 지점에 도포되기만 한 구조여도 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입력 장치 (1) 에서는 유리 복합체 (10) 의 수밀 구조는 필요해지지 않는다. 동일하게, 연출부 (20b) 는 필요에 따라 유리 이면을 부분적으로 접하고 있어도 되고, 직사각형상의 유리 부재 (11) 의 4 변에 대상형으로 배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도 1 과 같은 직사각형상의 유리 부재 (11) 에 한정되지 않는 것도 말할 필요도 없다.
프레임체 (20) 는 투광성 부재여도 되고, 전체가 유색의 비투광성 부재여도 된다. 예를 들어, 원하는 색으로 미리 착색된 수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재 (20) 의 외형 형상은 도 1 ∼ 도 3 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개구 (21, 22) 를 형성하고 있지 않는 것이나, 곡면상이나 평판상의 외형 형상이어도 된다. 도 4 는 평판부만의 프레임체 (20) 를 가진 유리 복합체 (10) 의 변형예이다.
<제 2 실시형태>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입력 장치 (1) 를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입력 장치 (1) 와 상이한 점은, 유리 복합체 (10) 에 ITO 등의 투광성의 하부 저항막 (도시하지 않는다) 이 형성되고, 상부 기판 (63) 사이에 접착제로 형성된 스페이서층 (64) 이 형성되고, 하부 저항막과 상부 기판 (63) 의 상부 저항막 (도시하지 않는다) 이 공극 (65) 을 개재하여 대향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부 기판 (63) 은 통상적으로 표면 기재를 더욱 고착시킨 구성이 되어 있지만, 도 5 에서는 생략하고 있다.
유리 복합체 (10) 에 투광성의 하부 저항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증착이나 스퍼터 등으로 직접, 유리 복합체 (10) 에 성막할 수 있다. 증착이나 스퍼터로 ITO 를 성막하는 경우에는, 유리 부재 (11) 와 접착 부재 (30) 및 프레임체 (20) 와는 피막면에 급준한 단차가 없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박막의 저항막이 단이 끊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증착이나 스퍼터 이외에, 미리 성막한 필름으로부터 ITO 만을 접착층에 의해 전사하는 방법이나, 액상의 원료를 도포하는 방법이 있다. 이들 방법의 경우에는 단이 끊길 걱정이 적다.
이와 같은 구조이면, 광학 특성이 우수한 유리 부재 (11) 를 표시 장치 화면 영역에 사용함과 함께, 저항막식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하부 기판을 유리 복합체 (10) 가 겸하고 있으므로, 기판의 적층수가 적어져, 보다 시인성이 양호한 입력 장치 (1) 를 얻을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복합체 (10) 를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이고, 도 7 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복합체 (10) 가 사용된 입력 장치 (1) 를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복합체 (10) 를 구성하는 유리 부재 (11) 의 측면 (11a) 을 연삭 가공에 의해, 절결부 (11c) 를 갖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절결부 (11c) 는 측면 (11a) 의 일부이고, 추가의 연삭 가공 영역을 의미하고 있다. 또, 프레임체 (20) 는 측벽부 (20a) 에 연재부 (20c) 가 형성되어 있다. 연재부 (20c) 는 프레임체 (20) 의 측벽부 (20a) 의 일부이다. 따라서, 유리 부재 (11) 의 이면에 프레임체 (20) 의 연재부 (20c) 가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유리 부재 (11) 의 이면 주연부를 평탄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유리 부재 (11) 의 측면 (11a) 을 연삭 가공하므로, 유리 부재 (11) 의 두께는 0.7 ㎜ ∼ 1.1 ㎜ 가 바람직하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착 부재 (30) 를 충전부 (40) 에 충전하려면 , 접착 부재 (30) 와 고착되지 않는 재료를 지그에 사용하여 접착 부재 (30) 를 도포하는 것이 간단한 공법이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PE) 을 지그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유리 부재 (11) 와 프레임체 (20) 의 가공 정밀도에 상관없이, 양자의 간극을 접착 부재 (30) 가 충전할 수 있으므로, 양면이 평탄하고 간극이 없는 유리 복합체 (10) 의 양산에 적합하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복합체 (10) 는, 유리 복합체 (10) 를 기재에 사용하고, 정전 용량을 검출하는 전극이 형성된 센서 기판 (70) 을 갖고, 유리 복합체 (10) 와 센서 기판 (70) 을 점착층 (71) 을 개재하여 첩합 (貼合) 한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의 입력 장치 (1) 에 최적이다. 이로써, 유리 복합체 (10) 는, 프레임체 (20) 가 외장을 겸함과 함께, 표시 장치 화면 상에 배치하는 유리 부재 (11) 는 수지 기재와 비교하여 광학 특성이 우수하므로, 시인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표시부의 시인성이 양호한 입력 장치 (1) 를 실현할 수 있다.
센서 기판 (70) 은, 기재를 개재하여 상부 전극층과 하부 전극층 (도시하지 않는다) 이 대향하여, 손가락이 접근했을 때에 전극층과 손가락 사이의 정전 용량 에 의한 신호의 변화를 검지하는 정전 용량형 센서이다. 입력 장치 (1) 의 조립 공정 및 입력 장치 (1) 의 전자 기기에 대한 장착 공정 등에서의 보호를 목적으로 하여, 센서 보호재 (80) 가 점착층 (72) 에 의해 센서 기판 (70) 에 고착되어 있다.
또, 센서 기판 (70) 이 PET 등의 수지 필름을 기재로 하는 경우에는, 유리 복합체 (10) 가 점착층 (71) 을 개재하여 센서 기판 (70) 과 첩합된 구조이기 때문에, 낙하시에 유리 부재 (11) 가 파손되었다고 해도 파편의 산란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7 에 있어서, 유리 복합체 (10) 의 표면에, 표면 보호재를 더욱 고착시킨 구성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표면 보호재는 하드 코트가 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등으로, 점착층을 개재하여 고착된다. 이렇게 하면, 낙하시의 유리 파손에 의한 파편의 산란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유리 복합체 (10) 와 표면 보호재란, 표시 장치 화면 영역을 제외하고, 착색층에 의해 비투광성의 가식층 (장식층) 으로 할 수 있다. 비투광성의 가식층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미리 인쇄된 착색층을 전사하는 방법이 비교적 간편하다. 또한, 비투광성의 가식층은 표면측 (입력 조작면측) 이어도 되고, 이면측 (센서 기판 (70) 을 고착시키는 측) 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보호재 (80) 를 점착층 (72) 에 의해 고착시키는 것 이외에, 인쇄 등으로 보호 수지를 도포하는 구조여도 된다. 또, 절결부 (11c) 와 연재부 (20c) 는 유리 부재 (11) 의 측면 (11a) 의 사방에 걸쳐 있어도 되고, 측면 (11a) 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절결부 (11c) 와 연재부 (20c) 는 대향하는 형상을 갖고 있으면, 표리면이 어느 측이어도 되고, 또, 프레임체 (20) 의 외형은 평면 형상이어도 된다. 도 8, 도 9 는 그들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연출부 (20b) 를 더욱 부가한 구조여도 된다. 그러나, 도 6 ∼ 도 9 와 같이, 연출부 (20b) 를 부가하지 않는 구조의 경우에는, 유리 부재 (11) 의 이면 둘레 가장자리에 프레임체 (20) 가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유리 부재 (11) 의 둘레 가장자리 양면을 평탄하게 할 수 있다.
유리 부재 (11) 의 측면 (11a) 에 절결부 (11c) 를 형성하기 위해서, 절결부 (11c) 는 직각으로 연삭되어도 되는데, 둥근 부분을 갖고 있는 쪽이 실제적이고, 이것에 따라 프레임체 (20) 의 연재부 (20c) 를 동일한 형상으로 가공하는 것이 실제적이다.
<제 4 실시형태>
도 10 은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복합체 (10) 를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이다.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복합체 (10) 와 달리, 절결부 (11c) 와 연재부 (20c) 는 중간부 (41) 에서 접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접착 부재 (30) 를 충전부 (40) 에 충전할 때에, 절결부 (11c) 와 연재부 (20c) 가 중간부 (41) 에서 접하고 있으므로, 접착 공정이 보다 간단해진다.
또한, 접착 부재 (30, 31) 는 동일한 수지 재료로 되는데, 도포 공정은 2 회로 나누어 상하면을 반전시키는 쪽이 바람직하다. 접착 부재 (30, 31) 를 동시에 도포할 수도 있다.
<제 5 실시형태>
도 11 은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복합체 (10) 를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이다.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절결부 (11c) 와 연재부 (20c) 를 형성한 구조를 생략한 단순 구조로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부재 (30) 와 고착되지 않는 폴리에틸렌 (PE) 을 지그에 사용하여 접착 부재 (30) 를 도포하면, 이와 같은 단순 구조의 유리 복합체 (10) 를 제작할 수 있다. 유리 부재 (11) 의 측면 (11a) 을 절결부 (11c) 를 형성하도록 연삭 가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유리 부재 (11) 의 두께는 0.3 ㎜ ∼ 0.7 ㎜ 로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 (1) 를 갖지 않는 경우에도,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에 유리 부재 (11) 를 사용한 전자 기기 케이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 기기 케이싱으로 해도, 제 1 실시형태 ∼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복합체 (10) 를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시인성이 양호한 유리 복합체 (10) 를 사용한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
도 12 에 나타내는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복합체는, 유리 부재 (90), 상프레임 (프레임체) (91) 및 하프레임 (92) 을 갖고 구성된다.
유리 부재 (90) 는, 도 1 등에서 설명한 유리 부재 (11) 와 동일하게, 통상 유리, 강화 유리 등, 특별히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상프레임 (91) 및 하프레임 (92) 은, 도 1 등에서 설명한 프레임체 (20) 와 동일하게 수지 성형품이다.
도 12(a)(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부재 (90) 는, X-Y 평면에 평행하고 또한 두께 방향 (Z) 으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제 1 평판면 (상면) (90a) 과, 제 2 평판면 (하면) (90b) 과, 제 1 평판면 (90a) 과 제 2 평판면 (90b) 의 주위를 둘러싸는 4 개의 측면 (90c ∼ 90f) 에 의해 구성된 평판상이다. 제 1 평판면 (90a) 은, 입력 장치의 입력 조작면을 구성한다.
도 12(a)(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측면 (90c ∼ 90f) 은 제 1 경사각(θ1) 을 구비하는 제 1 경사면 (93) 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경사각 (θ1) 은, 제 2 평판면 (90b) 으로부터의 기울기 각도로 나타난다. 도 12(a)(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부재 (90) 의 종단면은 사다리꼴상이 되어 있다.
도 12(c)(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프레임 (91) 에는, 그 중앙에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관통하는 관통공 (91a) 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 (91a) 은 4 개의 측벽부 (91c ∼ 91f) 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다.
도 12(c)(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측벽부 (91c ∼ 91f) 는 제 2 경사각 (θ2) 을 구비하는 제 2 경사면 (94) 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 2 경사각 (θ2) 은, 관통공 (91a) 의 하면 (91b) 으로부터의 기울기 각도로 나타낸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경사각 (θ1) 과 제 2 경사각 (θ2) 은 상이한 값으로, 제 1 경사각 (θ1)>제 2 경사각 (θ2) 이 되어 있다. 즉 제 1 경사각 (θ1) 쪽이 급하고, 제 2 경사각 (θ2) 쪽이 완만하다.
경사각 (θ1, θ2) 는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제 1 경사각 (θ1) 은 45°정도, 제 2 경사각 (θ2) 은 30° 정도로 조정된다.
여기서, 도 12(a)(b) 에 나타내는 유리 부재 (90) 의 제 1 평판면 (90a) 의 크기는, 도 12(c)(d) 에 나타내는 상프레임 (91) 의 관통공 (91a) 의 상면 (91i) 의 크기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즉 유리 부재 (90) 의 각 측면 (90c ∼ 90f) 과 제 1 평판면 (90a) 사이의 모서리부 (가장자리부) (D) 와, 상프레임 (91) 의 각 측벽부 (91c ∼ 91f) 와, 관통공 (91a) 의 주위에 위치하는 제 1 평판면 (상면) (91g) 사이의 모서리부 (가장자리부) (E) 는 Z 방향으로 대략 일치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경사각 (θ1, θ2) 의 차이에 의해, 유리 부재 (90) 의 제 2 평판면 (90b) 의 크기는, 상프레임 (91) 의 관통공 (91a) 의 하면 (91b) 의 크기보다 작다.
도 12(c)(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프레임 (91) 의 관통공 (91a) 의 주위로 펼쳐지는 제 1 평판면 (상면) (91g) 및 제 2 평판면 (하면) (91h) 은 모두 X-Y 평면에 평행한 면이다.
도 12(e)(f)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프레임 (92) 에는, 그 중앙에 관통공 (92a) 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 (92a) 은 4 개의 측벽부 (92c ∼ 92f) 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다. 하프레임 (92) 의 각 측벽부 (92c ∼ 92f) 는, Z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대략 수직면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하프레임 (92) 의 관통공 (92a) 의 크기는, 상프레임 (91) 의 관통공 (91a) 의 크기 (상면 (91i) 에서의 크기) 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단 하프레임 (92) 는, 유리 부재 (90) 를 하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하프레임 (92) 의 일부가 유리 부재 (90) 와 Z 방향에서 대향하는 형태이면 충분하다.
또 하프레임 (92) 의 외측면 (J) 을 둘러싸서 이루어지는 크기는, 상프레임 (91) 의 외측면 (K) 을 둘러싸서 이루어지는 크기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또 도 12(e)(f)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프레임 (92) 의 관통공 (92a) 의 주위로 펼쳐지는 제 1 평판면 (상면) (92g) 및 제 2 평판면 (하면) (92h) 은, X-Y 평면에 평행한 면이다. 또한 도 12(e)(f) 의 실시형태에서는, 하프레임 (92) 의 제 1 평판면 (상면) (92g) 에 오목부 (92i)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3 은, 도 12 에 나타내는 유리 부재 (90), 상프레임 (91) 및 하프레임 (92) 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유리 복합체 (95) 를 구비한 입력 장치 (96) 의 모식 종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유리 복합체 (95) 의 제조 방법에 대해 도 20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2(c)(d) 에 나타내는 상프레임 (91) 을 상하 180 도, 반전시킨 상태로 (즉 제 1 평판면 (91g) 을 하측, 제 2 평판면 (91h) 을 상측으로 하여), 도 20(a) 에 나타내는 받침대 (97) 의 평탄면 (97a) 상에 설치한다. 이 때문에, 받침대 (97) 상에 상프레임 (91) 을 설치한 상태에서는, 상프레임 (91) 의 관통공 (91a) 은 하면측으로부터 상면측을 향하여 서서히 넓어져 있다.
계속해서, 도 12(a)(b) 에 나타내는 유리 부재 (90) 를, 상프레임 (91) 과 동일하게, 상하 180 도 반전시킨 상태로 하여 (즉 제 1 평판면 (90a) 을 하측, 제 2 평판면 (90b) 을 상측으로 하여), 상프레임 (91) 의 관통공 (91a) 내에 삽입한다.
이 때, 도 12 를 사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프레임 (91) 의 관통공 (91a) 을 둘러싸는 각 측벽부 (91c ∼ 91h) 의 제 2 경사각 (θ2) 은, 유리 부재 (90) 의 각 측면 (90c ∼ 90h) 의 제 1 경사각 (θ1) 보다 완만한 것과, 유리 부재 (90) 의 각 측면 (90c ∼ 90f) 과 제 1 평판면 (90a) 사이의 모서리부 (가장자리부) (D) 와 상프레임 (91) 의 각 측벽부 (91c ∼ 91f) 와 관통공 (91a) 의 주위에 위치하는 제 1 평판면 (91g) 사이의 모서리부 (가장자리부) (E) 가 Z 방향에서 일치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리 부재 (90) 를 상프레임 (91) 의 관통공 (91a) 내에 무리 없이 삽입할 수 있음과 함께, 유리 부재 (90) 의 각 측면 (90c ∼ 90f) 의 모서리부 (D) 와 상프레임 (91) 의 각 측벽부 (91c ∼ 91f) 의 모서리부 (E) 가 받침대 (97) 의 평탄면 (97a) 상에서 일치한다 (맞닿는다). 또 본 실시형태이면, 유리 부재 (90) 의 중심과 상프레임 (91) 의 관통공 (91a) 의 중심이 다소 어긋난 상태로 유리 부재 (90) 를 관통공 (91a) 에 삽입해도, 유리 부재 (90) 의 측면이 관통공 (91a) 의 측벽부로 가이드되어 이동하여, 유리 부재 (90) 의 각 측면 (90c ∼ 90f) 의 모서리부 (D) 와 상프레임 (91) 의 각 측벽부 (91c ∼ 91f) 의 모서리부 (E) 를 받침대 (97) 의 평탄면 (97a) 상에서 일치시킬 수 있다.
이로써, 유리 부재 (90) 의 제 1 평판면 (90a) 과 상프레임 (91) 의 제 1 평판면 (91g) 을 동일 평면으로 일치시킬 수 있음과 함께, 상프레임 (91) 에 대한 유리 부재 (90) 의 평면 방향 (X, Y) 에 대한 위치 결정을 간단하고 또한 높은 정밀도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0(b) 도 참조).
유리 부재 (90) 는, 각 측면 (90c ∼ 90f) 의 모서리부 (D) 가 상프레임 (91) 의 각 측벽부 (91c ∼ 91f) 의 모서리부 (E) 에 맞닿아, 상프레임 (91) 에 끼워 넣어진 상태가 된다. 또, 도 20(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부재 (90) 의 각 측면 (90c ∼ 90f) 과, 상프레임 (91) 의 각 측벽부 (91c ∼ 91f) 사이에 끼인 간극 (99) 을 형성할 수 있고, 이 간극 (99) 내에 접착 부재 (98) 를 충전함으로써, 유리 부재 (90) 와 상프레임 (91) 을 측면끼리에 의해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극 (99) 의 개구부 (99a) 의 크기 (폭) 를, 예를 들어 0.125 ㎜ ∼ 0.170 ㎜ 정도로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0(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부재 (90) 를 상프레임 (91) 에 끼워 넣기 전에, 접착 부재 (98) 를, 미리 유리 부재 (90) 의 각 측면 (90c ∼ 90f) (혹은 상프레임 (91) 의 각 측벽부 (91c ∼ 91f)) 에 도포해두어도 되고, 또는, 도 20(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부재 (90) 를 상프레임 (91) 에는 끼워 넣은 후, 간극 (99) 내에 접착 부재 (98) 을 충전해도 된다.
접착 부재 (98) 는, 도 1, 도 2 등으로 나타내는 접착 부재 (30) 와 동일하게 자외선 경화형의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온 경화형이나 열 경화 병용형의 자외선 경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0(b) 상태에 있어서, 자외선 조사, 혹은 자외선 조사와 가열 경화를 실시한다.
계속해서, 도 20(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프레임 (92) 을 접착층 (도시 생략) 을 개재하여 상프레임 (91) 의 제 2 평판면 (91h) 에 접합한다. 또한 도 13, 도 14 에 나타내는 입력 장치 (96) 에서는, 유리 부재 (90) 의 제 2 평판면 (90b) 에 광학 투명 점착층 (OCA) (102), 센서 필름 (센서 기판) (100), 광학 투명 점착층 (OCA) (103), 및 보호 필름 (101) 을 적층하고 있다.
그리고, 접착층 (104) 을 개재하여 하프레임 (92) 을 상프레임 (91) 및 보호 필름 (101) 에 접합하고 있다.
또한 도 12(e)(f) 에 나타내는 하프레임 (92) 에 형성된 오목부 (92i) 는, 센서 필름 (100) 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도시하지 않는다) 을 외부로 꺼내는 부분이다.
도 12 에 나타내는 유리 부재 (90), 상프레임 (91) 및 하프레임 (92) 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유리 복합체 (95) 에서는, 상프레임 (91) 에 유리 부재 (90) 를 제 1 평판면 (90a, 91g) 측에서 간극없이 끼워 넣을 수 있어, 상프레임 (91) 에 대한 유리 부재 (90) 의 평면 방향 (X, Y) 에 대한 위치 결정을 간단하고 또한 고정밀도로 실시할 수 있다. 추가하여, 유리 부재 (90) 의 각 측면 (90c ∼ 90f) 과 상프레임 (91) 의 각 측벽부 (91c ∼ 91f) 사이에 접착 부재 (98) 를 충전할 수 있는 간극 (99) 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 부재 (90) 와 상프레임 (91) 사이를 접착 부재 (98) 를 개재하여 적절히 접합할 수 있다.
또 유리 부재 (90) 나 상프레임 (91) 의 외관이 다소 상이한 경우에도, 본 실시형태에서는 확실하게 유리 부재 (90) 의 각 측면 (90c ∼ 90f) 과 상프레임 (91) 의 각 측벽부 (91c ∼ 91f) 사이에 끼인 간극 (99) 을 형성할 수 있음과 함께, 간극 (99) 은 테이퍼 형상이 되기 때문에 간극 (99) 의 형상이나 간격 등이 변화되어도 간극 (99) 내를 확실하게 메우기 쉽다. 즉 간극 (99) 이 테이퍼 형상이기 때문에, 접착 부재 (98) 의 충전량을 일정하게 해도, 적어도 공간적으로 좁은 테이퍼 형상의 선단 부근을 접착 부재 (98) 로 확실하게 메울 수 있어, 유리 부재 (90) 와 상프레임 (91) 을 접착 부재 (98) 에 의해 적절히 접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접착 부재 (98) 의 충전량을 일정하게 관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리 부재 (90) 의 각 측면 (90c ∼ 90f) 의 모서리부 (D) 와 상프레임 (91) 의 각 측벽부 (91c ∼ 91f) 의 모서리부 (E) 가 맞닿은 상태가 된다. 여기서 「맞닿음」이란, 유리 부재 (90) 가 상프레임 (91) 에 끼워 맞춰진 상태뿐만 아니라, 각 측면 (90c ∼ 90f) 의 모서리부 (D) 와 상프레임 (91) 의 각 측벽부 (91c ∼ 91f) 의 모서리부 (E) 사이에 미소 간격 (구체적으로는 수십 ㎛ 이하) 을 갖고 근접한 상태를 포함한다.
또 도 12 내지 도 14 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도 12(e)(f) 로 나타낸 하프레임 (92) 을 유리 부재 (90) 의 하면측에 형성하였다. 그리고 유리 부재 (90) 의 양측면은 하면측 (제 2 평판면 (90b) 측) 으로부터 상면측 (제 1 평판면 (90a) 측) 을 향하여 서서히, 유리 부재 (90) 의 폭 치수가 작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또한 상프레임 (91) 의 양측벽부는, 하면측 (제 2 평판면 (91h) 측) 으로부터 상면측 (제 1 평판면 (91g) 측) 을 향하여 상기 측벽부 사이의 간격이 서서히 작아지도록 경사짐과 함께 경사각 (θ2) 이 유리 부재 (90) 의 측면 (90c ∼ 90f) 의 경사각 (θ1) 보다 완만해져 있다. 이로써, 경사각 (θ1) 과 경사각 (θ2)사이의 간극 (99) 의 용적을 크게 할 수 있어, 보다 많은 접착 부재 (98) 을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충격 등이 가해졌을 때, 상하면의 쌍방에 대한 유리 부재 (90) 의 빠짐을 적절히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내충격성이 우수한 유리 복합체 (95) 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12 에 나타내는 유리 부재 (90), 상프레임 (91) 및 하프레임 (92) 를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유리 복합체 (95) 에 있어서도, 유리 부재 (90) 와 상프레임 (91) 사이를 접합하는 접착 부재 (98) 자체는 응력을 흡수 완화시키는 완충층으로서 작용한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서는, 온도 변화에 의해 상프레임 (91) 과 유리 부재 (90) 가 팽창 수축해도, 유리 부재 (90) 로부터 상프레임 (91) 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유리 복합체 (95) 에 휨이나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12 에서는, 유리 부재 (90) 의 제 1 평판면 (90a) 의 평면 형상을 직사각형상으로 했지만, 제 1 평판면 (90a) 의 형상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연히 유리 부재 (90) 의 형상이 변경되면, 유리 부재 (90) 를 측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상프레임 (91) 의 관통공 (91a) 의 형상도 그에 따라서 변경된다.
또 상프레임 (91) 은 도 12(c)(d)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중앙에 관통공 (91a) 이 형성된 평판상이 아니어도 되고, 곡면상으로 할 수도 있으며, 또 유리 복합체 (95) 를 끼워 넣은 입력 장치 (96) 나 그 밖의 전자 기기의 케이싱을 겸해도 된다.
<제 7 실시형태>
도 15 에 나타내는 제 7 실시형태에서는, 유리 부재 (90) 의 각 측면 (90c ∼ 90f) (도 15 에서는 측면 (90f) 만을 도시하였다) 이, 제 1 경사각 (θ1) 을 구비하는 제 1 경사면 (93) 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프레임 (91) 의 각 측벽부 (91c ∼ 91f) (도 15 에서는 측벽부 (91f) 만 도시하였다) 는 제 1 경사각 (θ1) 을 구비하는 제 1 경사면 (93) 과, 제 1 경사각 (θ1) 보다 각도가 작은 제 2 경사각 (θ2) 을 구비하는 제 2 경사면 (94) 으로 형성된다. 상프레임 (91) 에 형성되는 제 1 경사면 (93) 은 제 1 평판면 (상면) (91g) 의 모서리부 (E) 로부터 하방향으로의 도중에까지 형성되고, 도중부터 제 2 평판면 (하면) (91h) 의 모서리부 (F) 까지 제 2 경사면 (94) 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5 의 실시형태에서는, 상프레임 (91) 의 각 측벽부 (91c ∼ 91f) 를 구성하는 제 1 경사면 (93) 과 유리 부재 (90) 의 제 1 경사면 (93) 에 의해 형성된 각 측면 (90c ∼ 90f) 사이가 맞닿은 상태가 된다. 한편, 상프레임 (91) 의 각 측벽부 (91c ∼ 91f) 를 구성하는 제 2 경사면 (94) 과 유리 부재 (90) 의 제 1 경사면 (93) 에 의해 형성된 각 측면 (90c ∼ 90f) 사이에는 간극 (105) 이 형성되어, 이 간극 (105) 내에 접착 부재 (98) 를 충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5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도 20(a)(b) 와 같이 하여, 유리 부재 (90) 를 상프레임 (91) 에는 끼워 넣을때, 유리 부재 (90) 의 각 측면 (90c ∼ 90f) 이, 상프레임 (91) 의 각 측벽부 (91c ∼ 91f) 의 제 1 경사면 (93) 상을 슬라이딩하여 가이드되어, 유리 부재 (90) 를 상프레임 (91) 에 간단하고 또한 적절히 끼워 넣을 수 있어, 상프레임 (91) 에 대한 유리 부재 (90) 의 평면 방향 (X, Y) 에 대한 위치 결정 정밀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하여, 유리 부재 (90) 와 상프레임 (91) 의 강도를 적절히 유지하면서 간극 (105) 의 개구부 (105a) 를 충분히 넓은 형상으로 형성하기 쉽다. 즉, 도 15 의 실시형태에서는, 상프레임 (91) 의 각 측벽부 (91c ∼ 91f) 를 전부 완만한 각도의 제 2 경사면 (94) 으로 형성하고 있지 않고 도중부터로 했기 때문에, 전부를 제 2 경사면 (94) 으로 형성하는 것보다도 관통공 (91a) 의 공간을 제 1 평판면 (91g) 측 (상면측) 에서 작게 할 수 있다. 특히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부재 (90) 의 입력 조작면이 되는 제 1 평판면 (90a) 측으로 상프레임 (91) 의 각 측벽부 (91c ∼ 91f) 의 경사각을 유리 부재 (90) 의 각 측면 (90c ∼ 90f) 과 일치시킴으로써, 입력 조작면측에 있어서의 상프레임 (91) 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입력 조작면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제 2 경사면 (94) 의 경사각 (θ2) 을 도 14 의 구성보다도 보다 작게 (보다 완만한 각도) 형성하고, 간극 (105) 의 개구부 (105a) 를 보다 크게 형성해도 강도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강도를 유지하면서, 간극 (105) 내에 접착 부재 (98) 를 간단하게 충전할 수 있다.
또, 접착 부재 (98) 의 충전량이 편차가 있다고 해도, 접착 부재 (98) 가 간극 (105) 내에 모여, 유리 부재 (90) 와 상프레임 (91) 이 함께 제 1 경사면 (93) 에서 맞닿아 있는 부분에 접착 부재 (98) 가 흘러드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접착 부재 (98) 에 의한 유리 부재 (90) 와 상프레임 (91) 사이의 접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도 15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상프레임 (91) 의 각 측벽부 (91c ∼ 91f) 를 제 1 경사면 (93) 과 제 2 경사면 (94) 으로 형성했지만, 유리 부재 (90) 의 각 측면 (90c ∼ 90f) 을 제 2 경사면 (94) 과 제 1 경사면 (93) 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단, 유리 부재 (90) 의 각 측면 (90c ∼ 90f) 을 경사각이 상이한 복수의 경사면으로 구성하면 유리 평판으로부터 각 유리 부재 (90) 로 자를 때 각 측면 (90c ∼ 90f) 을 한 번에 자를 수 없기 때문에 유리 기재 비용이 상승한다. 따라서, 수지 성형품인 상프레임 (91) 의 각 측벽부 (91c ∼ 91f) 를 복수의 상이한 경사면 (93, 94) 으로 형성하는 쪽이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5 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유리 부재 (90) 와 상프레임 (91) 사이를 접합하는 접착 부재 (98) 자체는 응력을 흡수 완화시키는 완충층으로서 작용한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서는, 온도 변화에 의해 상프레임 (91) 과 유리 부재 (90) 가 팽창 수축해도, 유리 부재 (90) 로부터 상프레임 (91) 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유리 복합체 (95) 에 휨이나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제 8 실시형태>
도 16 에 나타내는 제 8 실시형태의 유리 복합체에서는, 구성 부품은 도 12와 동일하지만, 유리 부재 (90) 의 각 측면 (90c ∼ 90f) (도 16 에서는 측면 (90f) 만을 도시) 은, 제 1 경사면 (93) 과 제 1 평판면 (90a) 사이의 모서리부 (D) 가 모따기 가공면 (110) 으로 되어 있고, 모따기 가공면 (110) 과 제 1 경사면 (93) 의 교차부 (H) 가 상프레임 (91) 의 각 측벽부 (91c ∼ 91f) (도 16 에는 측벽부 (91f) 만 도시) 의 맞닿음 위치로 되어 있다.
도 16 에서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유리 부재 (90) 의 각 측면 (90c ∼ 90f) 과 상프레임 (91) 의 각 측벽부 (91c ∼ 91f) 의 맞닿음 위치가, 유리 부재 (90) 의 제 1 평판면 (90a) 및 상프레임 (91) 의 제 1 평판면 (91g) 으로부터 약간 깊숙한 위치가 된다. 도 16 의 형태에서도 유리 부재 (90) 의 각 측면 (90c ∼ 90f) 과 상프레임 (91) 의 각 측벽부 (91c ∼ 91f) 가 맞닿아, 상프레임 (91) 에 대한 유리 부재 (90) 의 평면 방향 (X, Y) 에 대한 위치 결정을 간단하게 또한 고정밀도로 실시할 수 있다.
또, 모따기 가공면 (110) 의 부분에는 상프레임 (91) 사이에 갭 (G) 이 형성되어, 다소, 접착 부재 (98) 가 상기 갭 (G) 내에 배어 나와도, 유리 부재 (90) 의 제 1 평판면 (90a) 상에까지 흘러드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유리 부재 (90) 의 높은 평탄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6 에 있어서의 모따기 가공은, 트리밍 가공인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도 16 의 모따기 가공은 도 15 의 실시형태에 대해 응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7 에, 도 15 및 도 16 에 나타낸 유리 복합체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7 에서는, 유리 부재 (90) 의 각 측면 (90c ∼ 90f) (도 17 에는 측면 (90f) 만을 도시) 이 제 1 경사각 (θ1) 로 이루어지는 제 1 경사면 (93) 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프레임 (91) 의 각 측벽부 (91c ∼ 91f) (도 17 에는 측벽부 (91f) 만을 도시) 는, 제 5 경사각 (θ5) 을 구비하는 제 5 경사면 (106) 과 제 2 경사각 (θ2) 을 구비하는 제 2 경사면 (94) 으로 형성된다. 상프레임 (91) 에 형성되는 제 5 경사면 (106) 은 제 1 평판면 (상면) (91g) 의 모서리부로부터 하방향으로의 도중에까지 형성되고, 굴곡부 (L) 를 개재하여, 제 2 경사면 (94) 은 제 5 경사면 (106) 의 하측에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측벽부 (91c ∼ 91f) 는 도중에서 상이한 경사각으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경사각 (θ1)>제 5 경사각 (θ5)>제 2 경사각 (θ2) 의 관계가 되어 있다.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부재 (90) 의 각 측면 (90c ∼ 90f) 과 상프레임 (91) 의 각 측벽부 (91c ∼ 91f) 에 있어서의 제 5 경사면 (106) 사이에는 제 1 간극 (107) 이 형성되고, 유리 부재 (90) 의 각 측면 (90c ∼ 90f) 과 상프레임 (91) 의 각 측벽부 (91c ∼ 91f) 에 있어서의 제 2 경사면 (94) 사이에는 제 2 간극 (108) 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간극 (108) 에 있어서의 유리 부재 (90) 의 각 측면 (90c ∼ 90f) 과 상프레임 (91) 의 각 측벽부 (91c ∼ 91f) 에 있어서의 제 2 경사면 (94) 사이의 경사각 차이 (θ1-θ2) 는, 상기 제 1 간극 (107) 에 있어서의 유리 부재 (90) 의 각 측면 (90c ∼ 90f) 과 상프레임 (91) 의 각 측벽부 (91c ∼ 91f) 에 있어서의 제 5 경사면 (106) 과의 경사각 차이 (θ1-θ5) 보다 크다.
그런데 먼저 설명한 도 15 의 실시형태에서는, 상프레임 (91) 의 각 측벽부 (91c ∼ 91f) 를 제 1 경사면 (93) 과 제 2 경사면 (94) 으로 형성하여, 상프레임 (91) 의 각 제 1 경사면 (93) 과 유리 부재 (90) 의 제 1 경사면 (93) 으로 이루어지는 각 측면 (90c ∼ 90f) 을 맞닿게 (면접촉) 하고 있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상프레임 (91) 의 치수 편차가 생겼을 경우, 특히 유리 부재 (90) 의 각 측면 (90c ∼ 90f) 에 맞닿는 제 1 경사면 (93) 의 치수 편차가 커지면, 상프레임 (91) 의 각 측벽부 (91c ∼ 91f) 에 있어서의 제 1 경사면 (93) 과 유리 부재 (90) 의 각 측면 (90c ∼ 90f) 사이의 각각, 사방 전면을 면접촉시킬 수 없다. 이 때, 상프레임 (91) 의 각 측벽부 (91c ∼ 91f) 에 있어서의 제 1 경사면 (93) 이, 유리 부재 (90) 의 각 측면 (90c ∼ 90f) 에 가까워지는 방향 (제 1 경사각 (θ1) 이 보다 커지거나 (보다 급해지거나), 혹은 상프레임 (91) 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 1 경사면 (93)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등) 으로 크게 편차가 생기면, 유리 부재 (90) 를 상프레임 (91) 에 억지로 삽입하게 되어, 특히 상프레임 (91) 에 응력 변형이 생겨 변형이나 균열이 발생하거나, 나아가서는 유리 부재 (90) 을 상프레임 (91) 에 적절히 삽입하지 못하여, 유리 부재의 제 1 평판면 (90a) 과 상프레임 (91) 의 제 1 평판면 (91g) 을 동일면으로 하기 어려운 등, 원하는 유리 복합체를 제조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도 17 의 구성에서는, 도 16 과 동일하게, 유리 부재 (90) 에 모따기 가공면 (110) 을 형성하여, 모따기 가공면 (110) 과 제 1 경사면 (93) 이 교차하는 교차부 (H) 를 상프레임 (91) 의 각 측벽부에 맞닿게 하고, 또한 상기 교차부 (H) 와 맞닿는 프레임체 (91) 의 각 측벽부 (91c ∼ 91f) 의 부분을 제 1 경사각 (θ1)보다 작은 제 5 경사면 (106) 으로 형성했다. 이로써 상프레임 (91) 에 다소의 치수 편차가 생겨도, 유리 부재 (90) 를 상프레임 (91) 의 관통공 (91a) 내에 무리없이 삽입할 수 있어 유리 부재 (90) 의 각 측면 (90c ∼ 90f) 과 상프레임 (91) 의 각 측벽부 (91c ∼ 91f) 사이에서 응력 변형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변형이나 균열 등이 잘 생기지 않아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하여, 상프레임 (91) 에 대한 유리 부재 (90) 의 위치 맞춤을 간단하고 또한 높은 정밀도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유리 부재 (90) 의 각 측면 (90c ∼ 90f) 과 상프레임 (91) 의 각 측벽부 (91c ∼ 91f) 에 있어서의 제 2 경사면 (94) 사이에 접착 부재 (98) 을 충전하기 위한 비교적, 큰 제 2 간극 (108) 을 형성할 수 있어, 제 2 간극 (108) 내에 충분히 접착 부재 (98) 을 충전할 수 있어서, 유리 부재 (90) 와 상프레임 (91) 사이를 적절히 접착할 수 있다. 또, 유리 부재 (90) 의 각 측면 (90c ∼ 90f) 과 상프레임 (91) 의 각 측벽부 (91c ∼ 91f) 에 있어서의 제 5 경사면 (106) 사이에 약간의 제 1 간극 (107) 이 형성되기 쉽고, 이 제 1 간극 (107) 내에도 접착 부재 (98) 가 약간 들어가므로, 제 1 평판면 (90a, 91g) 측에 있어서도 유리 부재 (90) 과 상프레임 (91) 사이를 접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간극 (107) 내에 약간의 접착 부재 (98) 가 들어가 있을 뿐인 것과, 모따기 가공면 (110) 과 상프레임 (91) 사이에 갭 (G) 이 형성되기 때문에, 접착 부재 (98) 가 유리 부재 (90) 의 입력 조작면이 되는 제 1 평판면 (90a) 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 9 실시형태>
도 18 에 나타내는 제 9 실시형태에서는, 도 12 에 나타낸 상프레임 (91) 과 하프레임 (92) 을 일체화된 프레임체 (115) 를 사용하고 있다.
프레임체 (115) 에는, 유리 부재 (90) 를 장착 가능한 공간 (115a) 이 형성되고, 공간 (115a) 을 둘러싸는 측벽부 (115b, 115c) 는 제 3 경사각 (θ3) 으로 이루어지는 제 3 경사면 (130) 으로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체 (115) 에는, 유리 부재 (90) 의 하면 (제 2 평판면 (90b)) 을 받는 연출부 (115d, 115d) 가 형성되어 있다.
유리 부재 (90) 의 각 측면 (90c ∼ 90f) (도 18 에서는, 측면 (90d, 90f) 만 도시) 은 제 4 경사각 (θ4) 으로 이루어지는 제 4 경사면 (131) 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경사면 (130) 과 제 4 경사면 (131) 의 각 경사각 (θ3, θ4) 는 상이하다.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경사각 (θ3) 쪽이 제 4 경사각 (θ4) 보다 완만하다.
프레임체 (115) 는 수지의 사출 성형품이고, 유연성 (가요성) 을 갖는 재 질, 형상이나 막두께로 구성된다. 이로써 프레임체 (115) 의 공간 (115a) 의 개구부 (115a1) 가 넓어지도록 프레임체 (115) 를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다. 프레임체 (115) 를 구부려 상기 개구부 (115a1) 를 넓게 한 상태로 하여, 상기 공간 (115a) 내에 유리 부재 (90) 을 장착한다. 이 때, 도 20(a)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미리, 유리 부재 (90) 의 각 측면 (90c ∼ 90f), 혹은 프레임체 (115) 의 각 측벽부에 접착 부재 (98) 을 도포해 두고,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체 (115) 의 공간 (115a) 내에 유리 부재 (90) 를 장착했을 때에, 접착 부재 (98) 가 유리 부재 (90) 와 프레임체 (115) 의 양측면 사이의 간극 (116) 에 충전되도록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제의 제조 단계에서는, 도 20(a) 에 나타내는 상면이 평탄면 (97a) 의 받침대 (97) 를 사용하고, 받침대 (97) 의 평탄면 (97a) 상에 유리 부재 (90) 를 도 18 의 상태와는 상하 180° 반전시킨 상태로 설치한다. 또한 프레임체 (115) 를 도 18 과는 상하 180° 반전시킨 상태로 함과 함께, 만곡시켜 개구부 (115a1) 를 넓게 하여 프레임체 (115) 의 공간 (115a) 내에 유리 부재 (90) 를 설치한다. 받침대 (97) 의 평탄면 (97a) 상에서 상기 작업을 실시함으로써, 유리 부재 (90) 의 제 1 평판면 (90a) 과 프레임체 (115) 의 제 1 평판면 (115e) 을 고정밀도로 동일면에 위치 맞춤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리 부재 (90) 를 프레임체 (115) 에 끼워 맞춤으로써, 프레임체 (115) 에 대한 유리 부재 (90) 의 평면 방향 (X, Y) 에 대한 위치 맞춤을 고정밀도로 또한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부재 (90) 의 각 측면 (90c ∼ 90f) 과 프레임체 (115) 의 각 측벽부의 경사각 (θ3, θ4) 이 상이하기 때문에, 각 측면 (90c ∼ 90f) 과 각 측벽부사이에 끼인 간극 (116) 을 형성할 수 있어, 상기 간극 (116) 내에 접착 부재 (98) 를 적절히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접착 부재 (98) 가 자외선 경화 수지이면, 유리 부재 (90) 를 프레임체 (115) 의 공간 (115a) 내에 설치한 후, 자외선 조사를 실시한다. 이 때, 예를 들어 유리 부재 (90) 의 제 2 평판면 (90b) 에 가식층 (117) 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의 경우, 제 2 평판면 (90b) 측으로부터의 자외선 조사가 곤란하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 공정에서는, 유리 부재 (90) 의 제 1 평판면 (90a) 및 프레임체 (115) 의 제 1 평판면 (115e) 측에 도 20에 나타내는 받침대 (97) 가 있으므로, 유리 부재 (90) 의 제 1 평판면 (90a) 측에서의 자외선 조사도 곤란하다. 따라서, 측면 방향으로부터 자외선 조사를 실시한다. 또한 가식층 (117) 이 없으면, 유리 부재 (90) 의 제 2 평판면 (90b) 측에서의 자외선 조사가 가능하다.
도 12 와 달리 도 18 과 같이 프레임체 (115) 를 일체화하면 부품 점수가 적어지고, 또 도 20(b) 에 나타내는 하프레임 (92) 의 접합 공정이 필요해지지만, 도 12 와 같이 상프레임 (91) 과 하프레임 (92) 을 별도로 하는 쪽이, 프레임체의 사출 성형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제 3 경사각 (θ3) 및 제 4 경사각 (θ4) 를, 도 12 에서 나타낸 제 1 경사각 (θ1) 및 제 2 경사각 (θ2) 과 동등하게 해도 되는데, 도 18 에서는, 프레임체 (115) 를 만곡시켜 개구부 (115a1) 를 넓게 하면서, 프레임체 (115) 의 공간 (115a) 에 유리 부재 (90) 를 끼워 넣는 것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지나치게 제 3 경사각 (θ3) 및 제 4 경사각 (θ4) 의 각도가 작으면 즉 완만하면 작업성이 나빠진다 (유리 부재 (90) 를 공간 (115a) 내에 넣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제 3 경사각 (θ3) 및 제 4 경사각 (θ4) 을, 제 1 경사각 (θ1) 및 제 2 경사각 (θ2) 보다 크게 하는 쪽이 좋다. 예를 들어 제 3 경사각 (θ3) 을 50°로 하고, 제 4 경사각 (θ4) 을 60°로 조정한다.
또한 도 18 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유리 부재 (90) 와 프레임체 (115) 사이를 접합하는 접착 부재 (98) 자체는 응력을 흡수 완화시키는 완충층으로서 작용한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서는, 온도 변화에 의해 프레임체 (115) 와 유리 부재 (90) 가 팽창 수축해도, 유리 부재 (90) 로부터 프레임체 (115) 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유리 복합체 (120) 에 휨이나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제 10 실시형태>
도 19 는, 도 12(e)(f) 에 나타내는 하프레임 (92) 을 사용하지 않고, 유리 부재 (90) 와 상프레임 (프레임체) (91) 의 각 측면끼리를 접착 부재 (98) 로 접합한 구성이다. 도 19 에서는 접착 부재 (98) 에 고점착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하프레임 (92) 을 불필요하게 하고 있다.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리 부재 (90) 의 각 측면 (90c ∼ 90f) (도 19 에서는 측면 (90d, 90f) 만을 도시) 과 상프레임 (프레임체) (91) 의 각 측벽부 (91c ∼ 91f) (도 19 에서는 측벽부 (91d, 91f) 만을 도시) 가 일부에서 맞닿아 (도 19 의 구성에서는 유리 부재 (90) 의 제 1 평판면 (90a) 과 각 측면 (90c ∼ 90f) 이 교차하는 모서리부, 및 상프레임 (프레임체) (91) 의 제 1 평판면 (91g) 과 각 측벽부 (91c ∼ 91f) 가 교차하는 모서리부의 위치에서 맞닿는다. 혹은, 도 16 과 동일하게 유리 부재 (90) 의 각 측면 (90c ∼ 90f) 은, 제 1 경사면 (93) 과 제 1 평판면 (90a) 사이의 각도 (D) 가 모따기 가공면 (110) 으로 되어 있고, 모따기 가공면 (110) 과 제 1 경사면 (93) 의 교차부 (H) 가 상프레임 (91) 의 각 측벽부 (91c ∼ 91f) 와 맞닿는다), 상프레임 (프레임체) (91) 에 대한 유리 부재 (90) 의 평면 방향 (X, Y) 에 대한 위치 맞춤을 간단하고 또한 고정밀도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부재 (90) 의 각 측면 (90c ∼ 90f) 과 상프레임 (프레임체) (91) 의 각 측벽부 (91c ∼ 91f) 의 경사각 (θ1, θ2) 이 상이하기 때문에, 각 측면 (90c ∼ 90f) 과 각 측벽부 (91c ∼ 91f) 사이에 기인 간극 (99) 을 형성할 수 있어, 상기 간극 (99) 내에 접착 부재 (98) 을 적절히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9 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유리 부재 (90) 와 상프레임 (프레임체) (91) 사이를 접합하는 접착 부재 (98) 자체는 응력을 흡수 완화시키는 완충층으로서 작용한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서는, 온도 변화에 의해 상프레임 (프레임체) (91) 과 유리 부재 (90) 가 팽창 수축해도, 유리 부재 (90) 로부터 상프레임 (프레임체) (91) 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유리 복합체 (121) 에 휨이나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19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유리 복합체 (121) 를 상하 180° 반전시켜 사용하고, 유리 부재 (90) 의 제 2 평판면 (90b) 측을 입력 장치 (터치 패널) 의 조작면측으로 해도 된다.
<가식 영역 및 터치 패널의 일례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유리 복합체가 저항막 방식이나 정전 용량 방식 등의 센서 기판과 조합 터치 패널로서 사용되는 경우, 센서 기판의 배선부 (Ag 페이스트 등으로 형성) 를 입력 영역의 주위로 연장시켜, 그 배선부를 볼 수 없게 하기 위해서 통상, 상기 입력 영역의 주위를 가식하고 있다.
이 가식 영역 내에 유리 부재와 프레임체 사이를 접합하는 접착 부재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접착 부재의 투광성은 특히 문제가 되지 않지만, 가식 영역 외에 접착 부재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접착 부재는 투광성의 투명 수지일 필요가 있다.
도 21 은 터치 패널의 일례를 나타내고, (a) 는 평면도, (b) ∼ (d) 는 (a) 의 H-H 선을 따라 절단하여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본 모식 종단면도이다.
도 21(b) ∼ 도 21(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부재 (140) 의 하면으로서 외주 영역에는 가식층 (141) 이 스크린 인쇄 등으로 직접 형성되어 있다.
도 21(b) ∼ 도 21(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부재 (140) 는 프레임체 (142) 에 접착 부재 (도시 생략) 를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다. 도 21(b) 의 유리 복합체는 도 11 에 나타낸 구성을 기본으로 하고, 도 21(c) 의 유리 복합체는 도 8 에 나타낸 구성을 기본으로 하고, 도 21(d) 의 유리 복합체는 도 13 에 나타낸 구성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도 21 에서는, 프레임체 (142) 의 부분은 가식 영역 (착색 영역) 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유리 부재 (140) 의 가식층 (141) 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중앙 영역이 투명한 입력 영역 (144) 이 되어 있다.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부재 (140) 하에는 센서 필름 (145) 이 형성되어 있어 터치 패널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유리 부재 (140) 와 센서 필름 (145) 에는 공간이 비어 있는 도면으로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광학 투명 점착층 (OCA) 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터치 패널의 이면측에는 액정 디스플레이 (LCD) (도시하지 않는다) 가 배치되고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의 표시 형태를 터치 패널의 입력 영역 (144) 으로부터 볼 수 있어,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력 영역 (144) 에 비추어진 표시 형태를 보면서 입력 조작을 가능으로 하고 있다.
D, E : 모서리부
G : 갭
1, 96 : 입력 장치
10, 95 : 유리 복합체
11, 90 : 유리 부재
11a : 측면
11c : 절결부
20, 115 : 프레임체
20a : 측벽부
20b : 연출부
20c : 연재부
21, 22 : 개구
30, 31, 98 : 접착 부재
40 : 충전부
41 : 중간부
60 : 검지 패널
61, 71, 72 : 점착층
62 : 하부 기판
63 : 상부 기판
64 : 스페이서층
65 : 공극
70 : 센서 기판
80 : 센서 보호재
90a, 91g : 제 1 평판면
90b, 91h : 제 2 평판면
90c ∼ 90f : 측면
91 : 상프레임
91a : 관통공
91c ∼ 91f : 측벽부
92 : 하프레임
93 : 제 1 경사면
94 : 제 2 경사면
97 : 받침대
99, 105, 107 : 간극
100 : 센서 필름
110 : 모따기 가공면
115a : 공간
115a1 : 개구부
117, 141 : 가식층
144 : 입력 영역

Claims (59)

  1. 평판상의 유리 부재와, 상기 유리 부재를 지지하는 프레임체와, 상기 유리 부재와 상기 프레임체를 접착하는 접착 부재를 갖고,
    상기 유리 부재의 측면이 상기 접착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프레임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프레임체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시키는 완충층이며,
    상기 프레임체는 성형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에 대향하는 측벽부를 갖고,
    상기 측면과 상기 측벽부는 상기 접착 부재를 충전하는 충전부를 형성하여 배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리 부재의 측면과 상기 프레임체의 측벽부가 상이한 경사각을 갖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과 상기 측벽부가 일부에서 맞닿음과 함께, 상기 측면과 상기 측벽부에 끼인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간극에 상기 접착 부재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복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과 상기 측벽부의 경사각이 도중까지 동일하고 도중부터 상이하여, 동일한 경사각의 상기 측면과 상기 측벽부의 사이가 맞닿아 있고, 상이한 경사각의 상기 측면과 상기 측벽부 사이에 상기 접착 부재가 충전되어 있는 유리 복합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제 1 경사각 (θ1) 을 구비하는 제 1 경사면과, 제 1 경사각과 상이한 제 2 경사각 (θ2) 을 구비하는 제 2 경사면을 갖고,
    상기 제 1 경사면과 상기 측면 사이가 맞닿아 있고, 적어도, 상기 제 2 경사면과 상기 측면 사이에 상기 접착 부재가 충전되어 있는 유리 복합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혹은 상기 측벽부의 적어도 일방이, 도중에서 상이한 경사각으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과 상기 측벽부의 사이의 간극은, 굴곡부로부터 상기 측면과 상기 측벽부 사이의 맞닿음 방향에 대한 제 1 간극과, 상기 맞닿음 방향과는 역방향에 대한 제 2 간극을 갖고, 상기 제 2 간극에 있어서의 상기 측면과 상기 측벽부의 경사각 차이는, 상기 제 1 간극에 있어서의 상기 측면과 상기 측벽부의 경사각 차이보다 큰 유리 복합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가 도중에서 상이한 경사각으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는 유리 복합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은, 경사면과 평판면 사이의 모서리부가 모따기 가공면으로 되어 있고, 적어도 상기 모따기 가공면과 상기 경사면과의 교차부가 상기 측벽부의 맞닿음 위치로 되어 있는 유리 복합체.
  7. 유리 부재와, 상기 유리 부재를 지지하는 프레임체와, 상기 유리 부재와 상기 프레임체를 접착하는 접착 부재를 갖고,
    상기 유리 부재의 측면이 상기 접착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프레임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프레임체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시키는 완충층이며,
    상기 프레임체는 성형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에 대향하는 측벽부를 갖고,
    상기 측면과 상기 측벽부는 상기 접착 부재를 충전하는 충전부를 형성하여 배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리 부재의 측면과 상기 프레임체의 측벽부가 상이한 경사각을 갖고 형성되어, 상기 측면과 상기 측벽부 사이에, 상기 접착 부재를 충전하는 상기 충전부로서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리 부재는 상기 프레임체에 끼워 맞춰져 있거나, 혹은, 상기 측면과 상기 측벽부의 표면측의 각 모서리부 사이에 미소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복합체.
  8. 유리 부재와, 상기 유리 부재를 지지하는 프레임체와, 상기 유리 부재와 상기 프레임체를 접착하는 접착 부재를 갖고,
    상기 유리 부재의 측면이 상기 접착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프레임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프레임체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시키는 완충층이며,
    상기 프레임체는 성형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에 대향하는 측벽부를 갖고,
    상기 측면과 상기 측벽부는 상기 접착 부재를 충전하는 충전부를 형성하여 배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리 부재의 측면과 상기 프레임체의 측벽부가 상이한 경사각을 갖고 형성되어, 상기 측면과 상기 측벽부 사이에, 상기 접착 부재를 충전하는 상기 충전부로서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간극은, 상기 측면과 상기 측벽부의 표면측을 향하여 끝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복합체.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과 상기 측벽부의 경사각이 도중까지 동일하고 도중부터 상이하여, 상이한 경사각의 상기 측면과 상기 측벽부 사이에 형성된 상기 간극이 상기 표면측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확대되어 형성되어 있는 유리 복합체.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혹은 상기 측벽부의 적어도 일방이, 도중에 상이한 경사각에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과 상기 측벽부의 사이의 상기 간극은, 굴곡부로부터 상기 표면 방향에 대한 제 1 간극과, 상기 표면 방향과는 역방향에 대한 제 2 간극을 갖고, 상기 제 2 간극에 있어서의 상기 측면과 상기 측벽부의 경사각 차이는, 상기 제 1 간극에 있어서의 상기 측면과 상기 측벽부의 경사각 차이보다 큰 유리 복합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가 도중에서 상이한 경사각으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는 유리 복합체.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은, 경사면과 표면 사이의 모서리부가 모따기 가공면으로 되어 있고, 적어도 상기 모따기 가공면과 상기 경사면의 교차부가 상기 측벽부의 끼워맞춤 위치 혹은 미소 간극 위치로 되어 있는 유리 복합체.
  13.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는 상프레임이고, 상기 상프레임과는 별도로 하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상프레임과 상기 하프레임이 접합됨과 함께, 상기 하프레임이 상기 유리 부재의 하면측으로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리 부재의 측면은, 하면측으로부터 상면측을 향하여 상기 유리 부재의 폭 치수가 서서히 작아지도록 경사져 있고, 상기 상프레임의 측벽부는, 하면측으로부터 상면측을 향하여 상기 측벽부 사이의 간격이 서서히 작아지도록 경사짐과 함께 상기 측벽부의 경사각이 상기 측면의 경사각보다 완만한 유리 복합체.
  14.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는 상프레임이고, 상기 상프레임과는 별도로 하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상프레임과 상기 하프레임이 접합됨과 함께, 상기 하프레임이 상기 유리 부재의 하면측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리 부재의 측면은, 하면측으로부터 상면측을 향하여 상기 유리 부재의 폭 치수가 서서히 작아지도록 경사져 있고, 상기 상프레임의 측벽부는, 하면측으로부터 상면측을 향하여 상기 측벽부 사이의 간격이 서서히 작아지도록 경사짐과 함께 상기 측벽부의 경사각이 상기 측면의 경사각보다 완만한 유리 복합체.
  15.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는 상기 측벽부와 연속된 연출부를 갖고, 상기 연출부는 상기 유리 부재의 평판면의 일방의 면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유리 복합체.
  16.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는 상기 측벽부와 연속된 연출부를 갖고, 상기 연출부는 상기 유리 부재의 평판면의 일방의 면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유리 복합체.
  1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가시광을 투과하는 투명 수지인 유리 복합체.
  18.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가시광을 투과하는 투명 수지인 유리 복합체.
  1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자외선 경화형의 수지인 유리 복합체.
  2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자외선 경화형의 수지인 유리 복합체.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자외선 경화형의 수지인 유리 복합체.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자외선 경화형의 수지인 유리 복합체.
  23.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은 단차를 형성하는 절결부를 갖고, 상기 프레임체는 상기 절결부의 형상을 따른 연재부를 갖는 유리 복합체.
  24.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은 단차를 형성하는 절결부를 갖고, 상기 프레임체는 상기 절결부의 형상을 따른 연재부를 갖는 유리 복합체.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는 상기 연재부와 접하는 중간부를 갖는 유리 복합체.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는 상기 연재부와 접하는 중간부를 갖는 유리 복합체.
  2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의 표면은 평판상인 유리 복합체.
  28.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의 표면은 평판상인 유리 복합체.
  2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의 표면은 곡면상인 유리 복합체.
  3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의 표면은 곡면상인 유리 복합체.
  31. 정보 표시 가능한 전자 기기로서,
    상기 전자 기기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갖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유리 부재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리 복합체를 사용한 전자 기기.
  32. 정보 표시 가능한 전자 기기로서,
    상기 전자 기기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갖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유리 부재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기재된 유리 복합체를 사용한 전자 기기.
  33. 적어도 일부가 투광성의 기재와, 적어도 일부가 투광성인 1 쌍의 전극 기판을 갖고,
    상기 기재는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리 복합체이고, 상기 1 쌍의 전극 기판은 투명 도전막으로 이루어지는 1 쌍의 저항막을 가짐과 함께, 상기 1 쌍의 저항막은 공극을 개재하여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34. 적어도 일부가 투광성의 기재와, 적어도 일부가 투광성인 1 쌍의 전극 기판을 갖고,
    상기 기재는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기재된 유리 복합체이고, 상기 1 쌍의 전극 기판은 투명 도전막으로 이루어지는 1 쌍의 저항막을 가짐과 함께, 상기 1 쌍의 저항막은 공극을 개재하여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35. 적어도 일부가 투광성의 기재와, 적어도 일부가 투광성의 전극 기판을 갖고,
    상기 기재는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리 복합체이고, 상기 기재는 투명 도전막으로 이루어지는 일방의 저항막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전극 기판은 투명 도전막으로 이루어지는 타방의 저항막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방의 저항막과 상기 타방의 저항막은 공극을 개재하여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36. 적어도 일부가 투광성의 기재와, 적어도 일부가 투광성의 전극 기판을 갖고,
    상기 기재는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기재된 유리 복합체이고, 상기 기재는 투명 도전막으로 이루어지는 일방의 저항막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전극 기판은 투명 도전막으로 이루어지는 타방의 저항막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방의 저항막과 상기 타방의 저항막은 공극을 개재하여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37. 적어도 일부가 투광성의 기재와, 적어도 일부가 투광성의 센서 기판을 갖고,
    상기 기재는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리 복합체이고, 상기 센서 기판은 정전 용량을 검출하는 전극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기재와 상기 센서 기판은 일체로 첩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38. 적어도 일부가 투광성의 기재와, 적어도 일부가 투광성의 센서 기판을 갖고,
    상기 기재는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기재된 유리 복합체이고, 상기 센서 기판은 정전 용량을 검출하는 전극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기재와 상기 센서 기판은 일체로 첩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39. 제 13 항에 기재된 유리 복합체를 갖고,
    상기 유리 부재와 상기 하프레임의 사이에, 센서 기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40. 제 14 항에 기재된 유리 복합체를 갖고,
    상기 유리 부재와 상기 하프레임의 사이에, 센서 기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41. 평판상의 유리 부재와, 상기 유리 부재를 지지하는 프레임체와, 상기 유리 부재와 상기 프레임체를 접착하는 접착 부재를 갖고,
    상기 유리 부재의 측면이 상기 접착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프레임체에 고정 되어 있고,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프레임체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시키는 완충층이고,
    상기 측면은 단차를 형성하는 절결부를 갖고, 상기 프레임체는 상기 절결부의 형상을 따른 연재부를 갖고,
    상기 절결부는 상기 연재부와 접하는 중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복합체.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는 상기 측면과 대향하는 측벽부와 연속된 상기 연출부를 갖고, 상기 연출부는 상기 유리 부재의 평판면의 일방의 면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유리 복합체.
  43. 제 41 항 또는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가시광을 투과하는 투명 수지인 유리 복합체.
  44. 제 41 항 또는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자외선 경화형의 수지인 유리 복합체.
  45.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자외선 경화형의 수지인 유리 복합체.
  46. 정보 표시 가능한 전자 기기로서,
    상기 전자 기기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갖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유리 부재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41 항 또는 제 42 항에 기재된 유리 복합체를 사용한 전자 기기.
  47. 적어도 일부가 투광성의 기재와, 적어도 일부가 투광성인 1 쌍의 전극 기판을 갖고,
    상기 기재는 제 41 항 또는 제 42 항에 기재된 유리 복합체이고, 상기 1 쌍의 전극 기판은 투명 도전막으로 이루어지는 1 쌍의 저항막을 가짐과 함께, 상기 1 쌍의 저항막은 공극을 개재하여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48. 적어도 일부가 투광성의 기재와, 적어도 일부가 투광성의 전극 기판을 갖고,
    상기 기재는 제 41 항 또는 제 42 항에 기재된 유리 복합체이고, 상기 기재는 투명 도전막으로 이루어지는 일방의 저항막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전극 기판은 투명 도전막으로 이루어지는 타방의 저항막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방의 저항막과 상기 타방의 저항막은 공극을 개재하여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49. 적어도 일부가 투광성의 기재와, 적어도 일부가 투광성의 센서 기판을 갖고,
    상기 기재는 제 41 항 또는 제 42 항에 기재된 유리 복합체이고, 상기 센서 기판은 정전 용량을 검출하는 전극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기재와 상기 센서 기판은 일체로 첩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50. 유리 부재와, 상기 유리 부재를 지지하는 프레임체와, 상기 유리 부재와 상기 프레임체를 접착하는 접착 부재를 갖고,
    상기 유리 부재의 측면을 경사면에서 형성하는 공정,
    상기 프레임체를 성형 수지에서 형성하고, 이 때 다음 공정에서, 상기 유리 부재를 상기 프레임체의 관통공 내에 삽입했을 때에, 상기 관통공을 둘러싸는 측벽부와 상기 측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측벽부를 상기 측면과 다른 경사각으로 형성하는 공정,
    상기 유리 부재를 상기 프레임체의 관통공 내에 삽입하고, 상기 측벽부와 상기 측면 사이에 형성된 간극 내에, 상기 프레임체에 가하는 응력을 완화하는 완충층으로서의 상기 접착 부재를 충전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복합체의 제조 방법.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부재를 상기 프레임체의 관통공 내에 삽입했을 때, 상기 측면과 상기 측벽부의 일부를 맞닿게 하는 유리 복합체의 제조 방법.
  52.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부재를 상기 프레임체의 관통공 내에 삽입했을 때, 상기 유리 부재를 상기 프레임체에 끼워 맞추거나, 혹은, 상기 측면과 상기 측벽부의 표면측의 각 모서리부 사이에 미소 간극을 형성하는 유리 복합체의 제조 방법.
  53. 제 50 항 내지 제 5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을, 상기 측면과 상기 측벽부의 표면측을 향하여 끝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유리 복합체의 제조 방법.
  54. 제 50 항 내지 제 5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부재를 상기 프레임체의 관통공 내에 삽입하기 전에, 상기 접착 부재를 상기 유리 부재의 상기 측면, 혹은 상기 프레임체의 상기 측벽부에 도포하는 유리 복합체의 제조 방법.
  55.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부재를 상기 프레임체의 관통공 내에 삽입하기 전에, 상기 접착 부재를 상기 유리 부재의 상기 측면, 혹은 상기 프레임체의 상기 측벽부에 도포하는 유리 복합체의 제조 방법.
  56. 제 50 항 내지 제 5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의 표면측을 받침대 상에 설치하고, 계속해서, 상기 유리 부재의 표면을 상기 받침대측을 향하여, 상기 유리 부재를 상기 프레임체의 관통공 내에 삽입하는 유리 복합체의 제조 방법.
  57.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의 표면측을 받침대 상에 설치하고, 계속해서, 상기 유리 부재의 표면을 상기 받침대측을 향하여, 상기 유리 부재를 상기 프레임체의 관통공 내에 삽입하는 유리 복합체의 제조 방법.
  58.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의 표면측을 받침대 상에 설치하고, 계속해서, 상기 유리 부재의 표면을 상기 받침대측을 향하여, 상기 유리 부재를 상기 프레임체의 관통공 내에 삽입하는 유리 복합체의 제조 방법.
  59.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의 표면측을 받침대 상에 설치하고, 계속해서, 상기 유리 부재의 표면을 상기 받침대측을 향하여, 상기 유리 부재를 상기 프레임체의 관통공 내에 삽입하는 유리 복합체의 제조 방법.
KR1020127019803A 2010-09-03 2011-04-07 유리 복합체, 유리 복합체를 사용한 전자 기기, 및 입력 장치, 그리고 유리 복합체의 제조 방법 KR1012307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97479 2010-09-03
JP2010197479 2010-09-03
PCT/JP2011/058761 WO2012029347A1 (ja) 2010-09-03 2011-04-07 ガラス複合体、ガラス複合体を用いた電子機器、及び、入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0936A KR20120120936A (ko) 2012-11-02
KR101230774B1 true KR101230774B1 (ko) 2013-02-06

Family

ID=45772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9803A KR101230774B1 (ko) 2010-09-03 2011-04-07 유리 복합체, 유리 복합체를 사용한 전자 기기, 및 입력 장치, 그리고 유리 복합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48686B2 (ko)
KR (1) KR101230774B1 (ko)
CN (2) CN104486918B (ko)
WO (1) WO20120293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621B1 (ko) * 2019-11-12 2021-05-17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유리 성형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50962B2 (ja) * 2011-12-08 2016-12-21 吉田テクノワークス株式会社 ガラス一体型成形品の製造方法、ガラス一体型成形品
JP5464617B2 (ja) * 2012-01-12 2014-04-09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装飾付きタッチ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5464608B2 (ja) * 2011-12-22 2014-04-09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装飾付きタッチ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5996217B2 (ja) * 2012-03-02 2016-09-2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ガラス複合体、ガラス複合体を用いた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JP5747851B2 (ja) * 2012-03-27 2015-07-15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タッチパネル取付方法
JP2013235145A (ja) * 2012-05-09 2013-11-21 Japan Display Inc 表示装置
JP6275943B2 (ja) * 2012-10-16 2018-02-07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US9603266B2 (en) * 2012-11-08 2017-03-21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US9166286B2 (en) 2013-03-29 2015-10-2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mmunication device
WO2014181780A1 (ja) * 2013-05-07 2014-11-13 旭硝子株式会社 表示装置用カバーガラス
CN203337938U (zh) 2013-06-07 2013-12-1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平板显示器的拼接式框体
JP6599325B2 (ja) * 2013-07-31 2019-10-30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モジュールガラスパネルと平面構造物
US9573843B2 (en) 2013-08-05 2017-02-21 Corning Incorporated Polymer edge-covered glass articl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US9547338B2 (en) * 2013-08-15 2017-01-17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injection molded display trim
JP2015064431A (ja) * 2013-09-24 2015-04-09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その製造方法
JP6245911B2 (ja) * 2013-09-24 2017-12-13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その製造方法
JP6113037B2 (ja) * 2013-09-24 2017-04-12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その製造方法
US9261915B2 (en) 2013-12-21 2016-02-16 Kyocera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light-transmissive cover plate, and portable device
JP2015126347A (ja) * 2013-12-26 2015-07-06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80502B1 (ko) * 2014-08-04 2015-12-31 패치웍스 주식회사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 보호용 강화유리 보호필름
CN104363730A (zh) * 2014-11-25 2015-02-1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玻璃盖板结构
WO2016115696A1 (zh) * 2015-01-21 2016-07-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JP6857839B2 (ja) * 2016-09-13 2021-04-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携帯型情報端末
CN110574095A (zh) * 2017-04-19 2019-12-13 Agc株式会社 罩构件和显示装置
JP6805081B2 (ja) * 2017-05-26 2020-12-23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用蓋体
JP2020066547A (ja) * 2018-10-24 2020-04-30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ガラス成形品
CN111212529B (zh) * 2018-11-22 2021-09-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移动终端的壳体及其制备方法、移动终端
CN114103088B (zh) * 2021-11-26 2022-07-08 惠州深科达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导电膜贴附方法及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2818A (ja) 1997-11-11 1999-05-28 Kawaguchiko Seimitsu Kk 液晶表示装置
JP2002366046A (ja) 2001-06-11 2002-12-20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投射装置
JP2006276623A (ja) 2005-03-30 2006-10-12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7946B2 (ja) * 2001-03-07 2005-01-05 独立行政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Cr基耐熱合金
CN2473812Y (zh) * 2001-04-29 2002-01-23 北京美富勤科技服务中心 背投设备屏幕固定装置
JP2005100333A (ja) * 2003-09-04 2005-04-14 Alps Electric Co Ltd 座標入力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と電子機器
CN101518168B (zh) * 2006-09-22 2011-12-07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外罩壳体和该外罩壳体的制造方法及所使用的玻璃嵌入成形用模具
US8023260B2 (en) * 2007-09-04 2011-09-20 Apple Inc. Assembly of an electronic device
CN201497975U (zh) * 2009-07-21 2010-06-0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容式触控模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2818A (ja) 1997-11-11 1999-05-28 Kawaguchiko Seimitsu Kk 液晶表示装置
JP2002366046A (ja) 2001-06-11 2002-12-20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投射装置
JP2006276623A (ja) 2005-03-30 2006-10-12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621B1 (ko) * 2019-11-12 2021-05-17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유리 성형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48686B2 (ja) 2012-06-06
WO2012029347A1 (ja) 2012-03-08
JPWO2012029347A1 (ja) 2013-10-28
CN104486918B (zh) 2017-05-10
CN102823338B (zh) 2015-04-29
CN102823338A (zh) 2012-12-12
KR20120120936A (ko) 2012-11-02
CN104486918A (zh) 201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0774B1 (ko) 유리 복합체, 유리 복합체를 사용한 전자 기기, 및 입력 장치, 그리고 유리 복합체의 제조 방법
TWI541698B (zh) 觸控裝置
TWI522690B (zh) 複合式導光板與顯示裝置
CN204557429U (zh) 具有指纹识别功能的触控面板
CN205788138U (zh) 一种显示装置及其液态光学胶
KR102124047B1 (ko) 커버 윈도우
KR20120091871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08259A (ko) 터치 디바이스
US941557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I520027B (zh) 觸控面板及其製作方法
TW201411236A (zh) 用於保護顯示面板之視窗結構、顯示面板組件及其製造方法
TWI486680B (zh)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9146354A (ja) タッチパネル一体型樹脂成形体
CN109471282A (zh) 显示装置及其组装方法
CN112820200A (zh) 盖板及显示装置
US871108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touch panel
TWI511107B (zh) Glass composites, input devices using glass composites, and electronic machines
KR20150019204A (ko)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장치용 전면 윈도우 커버 제조방법
TWI497365B (zh) 無邊框之可攜式觸控裝置及其製造方法
JP2012098973A (ja) ガラス複合体及びそのガラス複合体を用いた入力装置
KR101545434B1 (ko) 유리 복합체, 유리 복합체를 사용한 입력 장치, 및 전자 기기
CN204808268U (zh) 一种触摸屏结构及触摸显示设备
CN108170308B (zh) 异形材料贴合对位方法
CN208506295U (zh) 一种光学透镜结构
CN114536893A (zh) 一种可折叠玻璃盖板结构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