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4716B1 - 전기자용 코어 - Google Patents

전기자용 코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4716B1
KR101224716B1 KR1020117019742A KR20117019742A KR101224716B1 KR 101224716 B1 KR101224716 B1 KR 101224716B1 KR 1020117019742 A KR1020117019742 A KR 1020117019742A KR 20117019742 A KR20117019742 A KR 20117019742A KR 101224716 B1 KR101224716 B1 KR 101224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axial direction
yoke
axis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9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9751A (ko
Inventor
요시나리 아사노
노부유끼 기후지
도모노리 기꾸노
신 나까마스
류우지 야스모또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19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9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6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a generally annular yoke with salient poles
    • H02K1/148Sectional co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H02K1/182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to stators axially facing the rotor, i.e. with axial or conical air ga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24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axially facing the armatures, e.g. hub-type cycle dynamos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가 높은 주위 환경 하에서의 사용 또는 냉매에 접촉하는 것과 같은 주위 환경 하에서도 사용이 용이한 전기자용 코어이다. 티스(10)는 회전축(P)의 둘레에서 환상으로 배치된다. 요크(20)는 관통 삽입 구멍(21)을 갖고 있다. 관통 삽입 구멍(21)은 회전축(P)을 중심으로 한 직경 방향 및 회전축(P)을 따르는 축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관통 삽입 구멍(21)에는 티스(10)가 관통 삽입된다. 금속판(30)은 요크(20)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대면하여 배치된다. 또한, 보강판(30)은 티스(10)에 고정된다.

Description

전기자용 코어 {ARMATURE CORE}
본 발명은 전기자용 코어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전기자가 기재되어 있다. 이 전기자는 티스와 요크와 코일을 구비하고 있다. 티스는 축의 둘레에서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요크에는 축 방향으로 티스를 관통 삽입하는 관통 삽입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코일은 티스에 권회된다. 당해 관통 삽입 구멍은 직경 방향의 내주측에서 개구되어 있다. 이에 의해 티스를 축 방향으로 흐르는 자속에 기인하여 요크에 발생하는 와전류를 저감하고 있다.
그리고, 티스가 요크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전기자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티스와 요크와 코일을 일체로 수지 몰드하고 있다. 이러한 수지 몰드를 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금형에 티스와 요크와 코일을 수납하고, 이것에 수지를 유입하여 경화시킨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885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8854호 공보 국제 공개 제03/047069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티스와 요크와 코일을 일체로 수지 몰드하고 있기 때문에, 온도가 높은 주위 환경 하에서는 사용하기 어렵다. 또한, 전기자가 냉매에 접촉하는 사용 환경 하에서는, 수지가 냉매 중에 녹기 시작할(추출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온도가 높은 주위 환경 하 또는 냉매에 접촉하는 것과 같은 주위 환경 하에서도 사용이 용이한 전기자용 코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의 제1 형태는, 소정의 축(P)의 둘레에서 환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티스(10)와,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한 직경 방향 및 상기 축을 따르는 축 방향으로 개구하여 상기 티스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 삽입 구멍(21)을 갖고, 상기 축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전자기 강판(201) 또는 압분자심에 의해 형성된 요크(20)와, 상기 요크(20)에 대하여 상기 축 방향으로 대면하여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티스(10)에 고정되는 금속판(30)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의 제2 형태는, 제1 형태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이며, 상기 복수의 티스(10) 각각은 상기 축(P)에 수직인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자성체(101)를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의 제3 형태는, 제1 또는 제2 형태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이며, 금속판(30)은 비자성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의 제4 형태는, 제3 형태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이며, 상기 금속판은 스테인리스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의 제5 형태는,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이며, 상기 축(P)을 중심으로 한 직경 방향에서의 상기 복수의 티스(10)의 단부에 있어서만, 상기 복수의 티스와 상기 금속판(30)이 용접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의 제6 형태는,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이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복수의 티스(10)와 상기 금속판(30)은, 상기 축(P)을 따라 보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복수의 티스(10)의 전체 둘레에 걸쳐 용접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의 제7 형태는, 제1, 제3 및 제4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이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복수의 티스(10)는 상기 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자성판(101)을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복수의 티스와 상기 금속판(30)은 상기 복수의 자성판 중 인접하는 양자의 사이에서 용접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의 제8 형태는, 제1 내지 제7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이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복수의 티스(10)는 상기 금속판(30)과 함께, 상기 요크(20)를 축 방향으로 사이에 끼운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의 제9 형태는, 제1 내지 제8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이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복수의 티스(10)는 상기 축(P)과 수직인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자성체(101)를 갖고, 상기 금속판(3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복수의 티스를 상기 축 방향으로 삽입하는 구멍(31)과, 상기 구멍의 주위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자성체의 적층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복수의 티스를 그 외부로부터 내부로 가압하는 가압 구조(33)를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의 제10 형태는, 제1 내지 제9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이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복수의 티스(10)는 상기 축(P)에 수직인 방향으로 개구하는 오목부(11)를 갖고, 상기 금속판(3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복수의 티스를 상기 축 방향으로 삽입하는 구멍(31)과, 상기 방향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복수의 티스를 그 외부로부터 내부로 가압하여 상기 오목부에 끼워 맞추는 가압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의 제11 형태는, 제1, 제3 및 제4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이며, 상기 복수의 티스(10)는 절연물을 포함한 압분자심이고, 상기 금속판(30)은 소결 금속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티스와 상기 금속판은 소결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의 제12 형태는, 제1 내지 제11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이며, 상기 금속판(30)의 외주연은 상기 축으로부터 보아 상기 요크보다도 외측에 있고, 상기 금속판은 소정의 케이스(C10)에 외측으로부터 고정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의 제13 형태는, 제1 내지 제12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이며, 상기 금속판(30)은 압축 기구(C44)의 일부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의 제1 형태에 따르면, 티스에 코일을 권회함으로써 전기자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자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소정의 간극을 두고 계자자를 배치함으로써 회전 전기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전기에 있어서, 티스에는 축 방향을 따라 자속이 흐른다. 또한, 이 자속에 기인하여 티스에는 축 방향을 따른 스러스트력이 작용한다.
직경 방향으로 개구된 관통 삽입 구멍은 요크의 강도 저하를 초래하고, 또한 전자기 강판 또는 압분자심에 의해 형성된 요크는 예를 들어 철강 덩어리에 의해 형성된 경우에 비하여 강도의 저하를 초래한다. 그러나, 티스는 금속판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요크의 강도에 의존하지 않고 티스의 축 방향에서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요크의 강도에만 의존하지 않고, 스러스트력에 대하여 티스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티스가 금속판에 고정되므로, 온도가 높은 주위 환경 하에서의 사용 또는 냉매에 접촉하는 압축기용 전동기(예를 들어 공기 조화기, 냉동기 등)에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의 제2 형태에 따르면, 축 방향을 따라 티스의 내부를 흐르는 자속에 기인한 와전류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의 제3 형태에 따르면, 금속판에 자속이 거의 흐르지 않기 때문에, 금속판에 발생하는 와전류에 의한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의 제4 형태에 따르면, 금속판으로서 스테인리스를 채용하고 있다. 스테인리스는 체적 저항률이 높고, 미소한 누설 자속에 의해 발생하는 와전류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의 제5 형태에 따르면, 티스를 축 방향으로 흐르는 자속은 요크를 둘레 방향을 따라 흐른다. 용접에 의한 열이 금속판을 통하여 요크에 전달되고, 그 결과 요크에 열 변형이 발생하였다고 하여도 자속이 흐르는 경로를 피하여 용접되므로, 전기자로서의 자기 특성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의 제6 형태에 따르면, 티스와 금속판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의 제7 형태에 따르면, 티스와 금속판의 사이의 용접이 복수의 자성판 중 인접하는 양자의 고정도 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의 제8 형태에 따르면, 요크의 고정을 티스와 금속판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의 제9 형태에 따르면, 자성체의 적층 방향에 대한 티스의 치수 정밀도는, 당해 적층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치수 정밀도에 비하여 나쁘다. 금속판은 적층 방향에 있어서 티스를 가압하는 가압체를 갖고 있으므로, 적층 방향에 대한 티스의 치수 오차를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티스와 보강판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티스와 보강판의 사이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의 제10 형태에 따르면, 금속판의 가압 구조와 티스의 오목부가 끼워 맞추어지므로, 티스가 축 방향으로 금속판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의 제11 형태에 따르면, 티스에는 절연물을 포함한 압분자심을 채용하여 와전류의 저감을 도모함과 함께, 금속판에는 소결 금속을 채용하여, 이것들을 소결 결합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티스 및 금속판의 제조뿐만 아니라, 이들의 고정도 소결 장치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의 제12 형태에 따르면, 금속판이 케이스에 고정되므로, 전기자용 코어를 케이스에 고정할 때에 요크를 케이스에 고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케이스와의 고정에 기인하여 요크에 응력이 발생하기 어렵고, 요크의 자기 특성의 열화를 초래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의 제13 형태에 따르면, 티스에 코일을 권회함으로써 전기자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자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소정의 간극을 두고 계자자를 배치함으로써 회전 전기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전기를 압축기에 탑재하는 사용 방법에서는, 금속판이 압축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므로 부품 개수를 저감하고, 이로써 제조 비용의 저감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에 의해 보다 명백하게 된다.
도 1은 전기자용 코어의 개념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전기자용 코어의 개념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전기자용 코어의 개념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티스와 보강판의 용접 개소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티스와 보강판의 용접 개소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티스와 보강판의 용접 개소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직경 방향을 따르는 단면에 있어서 전기자용 코어의 일부의 개념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축 방향을 따라 본 전기자용 코어의 일부의 개념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전기자용 코어의 일부의 개념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둘레 방향의 단면도.
도 10은 전기자용 코어의 일부의 개념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둘레 방향의 도면.
도 11은 전기자용 코어의 일부의 개념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직경 방향의 도면.
도 12는 전기자용 코어의 일부의 개념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직경 방향의 도면.
도 13은 전기자용 코어의 일부의 개념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직경 방향의 도면.
도 14는 전기자용 코어의 일부의 개념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둘레 방향의 도면.
도 15는 전기자용 코어의 일부의 개념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둘레 방향의 도면.
도 16은 전기자용 코어의 일부의 개념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둘레 방향의 도면.
도 17은 전기자용 코어의 일부의 개념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둘레 방향의 도면.
도 18은 축 방향을 따라 본 전기자용 코어의 일부의 개념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축 방향을 따라 본 전기자용 코어의 일부의 개념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압축기의 개념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1은 압축기의 개념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제1 실시 형태
도 1,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의 개념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전기자용 코어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전기자용 코어의 구성 부품을 회전축(P)을 따르는 축 방향(이하, 간단히 축 방향이라고 칭함)으로 분리하여 도시하고 있다. 본 전기자용 코어(1)는 복수의 티스(10)와 요크(20)와 보강판(30)을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티스(10)는 연자성체(예를 들어 철)이며, 회전축(P)의 둘레에서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요크(20)는 연자성체(예를 들어 철)이며, 복수의 티스(10)를 축 방향으로 각각 관통 삽입하는 복수의 관통 삽입 구멍(21)을 갖고 있다. 요크(20)는 복수의 티스(10)를 둘레 방향으로 서로 자기적으로 연결한다. 티스(10)는 요크(20)로부터 축 방향의 한쪽의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요크(20)에 대하여 축 방향의 한쪽의 측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코일이 티스(10)에 권회된다. 이 코일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티스(10)에는 축 방향으로 자속이 흐르고, 요크(20)에는 둘레 방향으로 자속이 흐른다.
도 1, 2의 예시에서는 티스(10)는 그 위치에서의 회전축(P)을 중심으로 한 직경 방향(이하, 간단히 직경 방향이라고 칭함)으로 적층된 전자기 강판(10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2에서는 하나의 티스(10)를 구성하는 전자기 강판(101)의 상면만을 도시하고, 다른 티스(10)를 구성하는 전자기 강판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는 편의상 1매 1매의 전자기 강판(101)의 직경 방향에서의 두께를 비교적 크게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있어서, 티스(10)에 대한 전자기 강판(101)의 적층수는 간략화되어 수십매 정도로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보다 많은 전자기 강판(101)이 적층되어도 된다. 이것은 다른 도면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며, 티스(10)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기 강판에 의해 구성되는 다른 구성 요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1, 2의 예시와는 달리, 티스(10)는 그 위치에서의 회전축(P)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이하, 간단히 둘레 방향이라고 칭함)으로 적층된 전자기 강판(101)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어떻든, 티스(10)가 회전축(P)에 수직인 방향으로 적층된 전자기 강판(101)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면, 티스(10)를 축 방향으로 흐르는 자속에 기인하여 티스(10)에 발생하는 와전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티스(10)는 반드시 전자기 강판(101)으로 구성될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압분자심이어도 된다. 이 압분자심은 의도적으로 절연물(예를 들어 수지)을 포함하여 성형되므로, 그 전기 저항은 높다. 이에 의해 와전류가 저감된다.
관통 삽입 구멍(21)은 직경 방향에 있어서 회전축(P)측(이하, 내주측이라고도 칭함) 혹은 회전축(P)과는 반대측(이하, 외주측이라고도 칭함)으로 개구되어 있다. 이에 의해, 티스(10)를 축 방향을 따라 흐르는 자속에 기인하여, 축 방향으로부터 본 티스(10)의 둘레에서 요크(20)에 발생하는 와전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 2의 예시에서는 관통 삽입 구멍(21)은 내주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또한, 도 1, 2의 예시에서는 요크(20)는 축 방향으로 적층된 전자기 강판(20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요크(20)를 둘레 방향으로 흐르는 자속에 기인하여 요크(20)에 발생하는 와전류를 저감할 수 있다. 단, 이것은 필수적인 요건이 아니며, 예를 들어 요크(20)가 압분자심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보강판(30)은 금속(예를 들어 철,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강판(30)은 예를 들어 판 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고, 축 방향에서의 다른 쪽의 측(코일과 반대측)으로 요크(20)와 대면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티스(10)와 보강판(30)이 예를 들어 야금적 또는 기계적으로 서로 고정된다. 요크(20)를 축 방향으로 적층된 전자기 강판(201)에 의해 구성한 경우라도, 보강판(30)의 두께를, 즉 전자기 강판(201)의 1매의 두께를 충분히 두껍게 함으로써 전기자용 코어(1)로서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요크(20)를 미세한 철분을 절연하여 이루어지는 압분자심에 의해 구성한 경우와 달리, 보강판(30)은 금속으로서의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요크(20)는 보강판(30)과 용접, 접착 등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어도 되고, 고정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보강판(30)은 티스(10)끼리를 둘레 방향으로 연결하는 자로로서의 기능은 기대되지 않는다. 당해 자로는 요크(20)에 의해 실현된다. 이러한 사항은, 예를 들어 요크(20)의 축 방향에서의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보강판(30)은 자로로서의 기능을 실현할 필요가 없으므로, 와전류의 저감을 목적으로 한 재질, 구조(예를 들어 전자기 강판이나 압분자심)를 가질 필요가 없고, 저렴한 금속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강판(30)에 자속이 통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보강판(30)을 비자성 금속(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알루미늄)에 의해 형성하여도 된다. 보강판(30)을 비자성 금속으로 하면, 자속이 보강판(30)에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와전류의 저감을 목적으로 한 재질, 구조를 갖지 않는 보강판(30) 내부의 와전류손을 저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강판(30)을 스테인리스에 의해 구성한다. 스테인리스는 알루미늄보다도 체적 저항률이 높고, 미소한 누설 자속에 의해 발생하는 와전류를 저감하는 것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기자용 코어(1)에 있어서, 티스(10)에 도시하지 않은 코일을 권회함으로써 전기자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자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소정의 간극을 두고 도시하지 않은 계자자를 배치함으로써 회전 전기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회전 전기에 있어서는, 티스(10)에는 축 방향을 따라 자속이 흐른다. 또한, 이 자속에 기인하여 티스(10)에는 축 방향을 따른 스러스트력이 작용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관통 삽입 구멍(21)은 직경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요크(20)에 발생하는 와전류를 억제할 수 있지만, 직경 방향으로 개구된 관통 삽입 구멍(21)은 요크(20)의 강도 저하를 초래한다. 또한, 전자기 강판(201) 또는 압분자심에 의해 형성된 요크(20)는, 요크(20)가 철강 덩어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강도의 저하를 초래한다. 그러나, 티스(10)는 보강판(3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요크(20)의 강도에 의존하지 않고 티스(10)의 축 방향에서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요크(20)의 관통 삽입 구멍(21)의 단면적보다, 후술하는 보강판(30)의 구멍(31)의 단면적을 작게 한다. 이에 의해, 보강판(30)의 강도를 더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요크(20)만으로는 강도가 불충분하였다고 하여도, 상기 스러스트력에 대하여 티스(10)의 진동, 빠짐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보강판(30)으로서 금속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온도가 높은 주위 환경 하에서의 사용 또는 냉매에 접촉하는 밀폐형 압축기용 전동기(예를 들어 공기 조화기, 냉동기 등)로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수지 몰드에 의해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기자용 코어(1)와 도시하지 않은 코일의 전체를 수지로 덮을 필요가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강판(30)으로서 수지에 비하여 강도가 높은 금속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요크(20)에 대하여 티스(10)와는 반대측에만 보강판(30)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티스(10)와 보강판(30)의 사이를 고정하는 것만으로 된다. 따라서, 전기자용 코어(1)와 코일의 전체를 수지 몰드하는 경우에 비하여, 전기자용 코어(1)나 코일이 받는 압력 등의 영향을 전기자용 코어(1)의 일부(티스(10)와 보강판(30)의 고정 개소 부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정 강도를 안정되게 일정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수지 몰드의 경우에 수지가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보강 부재로서 기능하는 바, 본 전기자용 코어(1)에서는 금속이 보강 부재로서 기능하므로 보강 부재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어서, 티스(10)와 보강판(30)의 구체적인 고정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티스(10)와 보강판(30)이 야금적으로,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도 2의 예시에서는 보강판(30)은 티스(10)를 축 방향으로 관통 삽입하는 구멍(31)을 갖고 있다. 구멍(31)은 보강판(30)을 축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구멍(31)은 회전축(P)으로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예를 들어 긴 변이 직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형상을 갖고 있다.
티스(10)는 관통 삽입 구멍(21)과 구멍(31)을 통하여 요크(20), 보강판(30)을 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배치된다. 도 3은 보강판(30)측으로부터 본 전기자용 코어(1)의 개념적인 사시도이다. 티스(10)와 보강판(30)은 축 방향에서의 타방측(코일과 반대측)으로부터 용접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도 3의 예시에서는 티스(10)의 축 방향의 단부와 구멍(31)이 근접하는 경계이며, 또한 외부로 노출된 부분(도 3의 용접 개소(40))에 있어서 티스(10)와 보강판(30)이 용접된다. 티스(10)와 보강판(30)의 용접은, 온도가 높은 주위 환경 하에서의 사용 및 냉매와 접촉하는 상황에서의 사용을 저해하지 않는다.
이러한 용접은 임의의 용접 방법에 의해 실현되며, 예를 들어 가스 용접, 아크 용접,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 전자 빔 용접, 레이저 용접, 저항 용접, 단접ㆍ마찰 압접ㆍ폭발 압접, 경납땜ㆍ납땜 등에 의해 실현된다. 특히 레이저 용접이면 입열량이 적고, 또한 용접의 고조나 용접 직경이 작으므로 적합하다. 또한, 플라즈마 아크 용접이면 정밀한 용접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적합하다. 또한, 티스(10)와 보강판(30)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경우에는, 보강판(30)은 용접이 용이한 철재 또는 비자성 스테인리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층된 전자기 강판(101)을 갖는 티스(10)는 보강판(30)과의 용접에 적합하다.
이러한 전기자용 코어(1)에 대하여 티스(10)에 도시하지 않은 코일을 권회함으로써 전기자가 구성된다. 이러한 전기자는, 예를 들어 다음의 수순에 의해 조립할 수 있다. 우선, 복수의 티스(10)의 각각에 코일을 권회한다. 이때, 예를 들어 티스(10)와 코일의 사이에 절연지 등을 감는다. 코일과 티스(10)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티스를 통한 단락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코일이 권회된 티스(10)를 관통 삽입 구멍(21)에 관통 삽입시켜 요크(20)를 배치한다. 그 후, 보강판(30)을 코일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요크(20)와 축 방향으로 대면시켜 티스(10)를 구멍(31)에 관통 삽입하여 보강판(30)에 배치한다. 이어서, 티스(10)와 보강판(30)을 용접에 의해 고정한다.
이 수순에서는 티스(10)가 요크(20) 혹은 보강판(30)에 설치되기 전에 코일을 권회하고 있으므로, 높은 점적률로 권회되기 쉽다. 또한, 이 수순에서는 티스(10)를 요크(20)에 배치한 후에 보강판(30)을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요크(20)가 둘레 방향으로 일체이어도 되고, 둘레 방향으로 분할되어 있어도 되며, 어느 형상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단, 반드시 이 수순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티스(10)와 보강판(30)의 고정을 제1 공정, 티스(10)에의 코일의 권회를 제2 공정, 티스(10)와 요크(20)의 조립을 제3 공정으로 정의하면, 다음 수순 중 어느 것이 채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3 공정, 제1 공정, 제2 공정의 순으로 이것들을 실행하여 조립하여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공정, 제3 공정, 제2 공정의 순으로 이것들을 실행하여 조립하여도 된다. 이들 경우, 용접을 행하는 제1 공정이 코일을 권회하는 제2 공정보다도 먼저 실행되므로, 용접에 의한 열이 코일에 전달되지 않고 전기자를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3 공정, 제2 공정, 제1 공정의 순으로 이것들을 실행하여 조립하여도 된다. 단, 제3 공정에 앞서 제1 공정 및 제2 공정을 실행하는 경우, 요크(20)를 둘레 방향으로 분할하고, 이것을 내주측 혹은 외주측으로부터 보강판(30)과 코일의 사이에 삽입할 필요가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티스와 보강판의 용접 개소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 있어서는, 축 방향의 타방측으로부터 본 평면에 있어서, 전기자용 코어(1) 중 하나의 티스(10)에 상당하는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예시에서는 티스(10)와 보강판(30)이 축 방향의 타방측으로부터 보아 티스(10)의 전체 둘레에 걸쳐 용접되어 있다. 이러한 용접 개소(40)에 따르면 티스(10)와 보강판(30)의 고정력이 비교적 강하다. 또한, 이러한 용접 개소(40)에 따르면 전자기 강판(101)의 적층 방향을 따라 티스(10)와 보강판(30)이 용접된다. 바꿔 말하면, 전자기 강판(101)의 상호간에 있어서 티스(10)와 보강판(30)이 용접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기 강판(101)의 상호간의 고정과, 티스(10)와 보강판(30)의 사이의 고정을 용접 개소(40)에서의 용접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 강판(101)끼리의 고정이라고 하는 관점에서는, 티스(10)의 전체 둘레에 걸쳐 용접될 필요가 없으며, 요컨대 전자기 강판(101)의 상호간에 있어서, 티스(10)와 보강판(30)이 용접되어 있으면 된다. 용접은 연속적으로 되어 있지 않아도 되며, 티스(10)를 구성하는 전자기 강판(101)끼리의 표면이 접촉하고 있는 부분을 전체 둘레에 걸쳐 스폿 용접하여도 된다.
단, 도 4의 용접 개소(40)에서는 티스(10)의 둘레 방향에서의 단부에도 용접이 행해지고 있다. 용접은 티스(10)나 보강판(30)에 열 왜곡을 발생시킨다. 이 열 왜곡이 요크(20)측(보다 구체적으로는 둘레 방향에서의 티스(10)와 요크(20)의 경계 부근)에까지 발생하면, 티스(10)와 요크(20)의 둘레 방향의 경계 부근에서 자기 특성의 열화를 초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티스(10)와 요크(20)의 둘레 방향의 경계 부근은 자속의 통로이므로, 이러한 자기 특성의 열화는 바람직하지 않다.
도 5의 예시에서는 티스(10)와 보강판(30)이 티스(10)의 직경 방향에서의 양단부에서 용접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티스(10)와 보강판(30)의 경계 중 내주측 및 외주측의 경계에서, 티스(10)와 보강판(30)이 용접되어 있고, 티스(10)와 보강판(30)의 둘레 방향의 경계 부근은 용접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용접 개소(40)에 따르면, 가령 용접에 의한 열 왜곡이 요크(20)측에까지 발생하였다고 하여도 티스(10)와 요크(20)의 둘레 방향의 경계 부근에서는 자기 특성의 열화를 초래하기 어렵다.
도 6의 예시에서는 티스(10)와 보강판(30)이 축 방향의 타방측으로부터 보아 티스(10)의 네 구석(구멍(31)의 네 구석)에서 용접되어 있다. 이러한 용접 개소(40)에 따르면, 비교적 적은 용접 개소에서 티스(10)와 보강판(30)을 용접할 수 있다. 또한, 티스(10)와 보강판(30)의 둘레 방향의 경계 부근은 용접되어 있지 않으므로, 가령 용접에 의한 열 왜곡이 요크(20)측에까지 발생하였다고 하여도 티스(10)와 요크(20)의 둘레 방향의 경계 부근에서는 자기 특성의 열화를 초래하기 어렵다. 또한, 티스(10)의 네 구석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티스(10)의 위치는 일의적으로 결정된다.
도 7은 티스를 통과하는 위치에서의 직경 방향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전기자용 코어의 개념적인 구성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의 예시에서는 구멍(31)이 보강판(30)을 관통하고 있지 않다. 구멍(31)은 축 방향에 있어서 요크(20)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티스(10)는 축 방향을 따라 구멍(31)에 삽입되고, 티스(10)의 축 방향의 일단부가 구멍(31)의 저면에 접촉한다. 이러한 전기자용 코어(1)에 있어서, 티스(10)와 보강판(30)은 티스(10)의 축 방향의 일단부와 구멍(31)의 저면이 접하는 용접 개소(40)에서 용접된다. 이러한 용접은,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에 의해 용접 개소(40)에 있어서, 축 방향의 타방측으로부터 보강판(30)을 녹임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구멍(31)이 있는 위치에 있어서, 보강판(30)의 축 방향에서의 두께는 레이저 용접을 저해하는 두께에 대하여 충분히 얇게 선정된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하는 전기자용 코어를 축 방향의 타방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티스(10)와 보강판(30)은 티스(10)의 적층 방향을 따라 용접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전자기 강판(101)의 상호간에서 티스(10)와 보강판(30)이 용접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기 강판(101)의 상호간의 고정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예시에서는 둘레 방향에서의 티스(10)의 중앙에서 티스(10)와 보강판(30)이 용접되어 있다. 티스(10)를 축 방향으로 흐르는 자속은 요크(20)와 접촉하는 위치에서 둘레 방향의 서로 반대되는 2방향을 향하여 흐른다. 즉, 티스(10)에 있어서, 요크(20)에 매립되는 부분 중 보강판(30)측에서는, 티스(10)의 둘레 방향에서의 중앙을 흐르는 자속은 적다. 따라서, 용접에 의한 열 왜곡이 티스(10) 중 요크(20)에 매립되는 부분에까지 발생하였다고 하여도 용접 개소(40)에 의한 자기 특성의 열화를 초래하기 어렵다.
여기서, 티스(10) 중 코일이 권회되는 부분을 코일 권회부(10a), 요크(10)에 매립되는 부분을 요크 매립부(10b), 보강판(30)에 매립되는 부분을 보강판 매립부(10c)라고 칭한다.
도 1 내지 도 3의 예시에서는 축 방향으로부터 본 코일 권회부(10a)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갖고, 요크 매립부(10b) 및 보강판 매립부(10c)는 긴 형상을 갖고 있다.
복수의 티스(10)는 코일 권회부(10a)에서의 사다리꼴 형상의 상부 바닥(<하부 바닥)을 회전축(P)측을 향하여 배치된다. 이에 의해, 축 방향으로부터 본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티스(10)의 상호간의 면적에 대하여 코일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기자의 소형화 혹은 고효율화에 기여한다.
또한, 축 방향으로부터 본 요크 매립부(10b)의 형상 및 요크(20)의 관통 삽입 구멍(21)의 형상이 모두 긴 형상이다. 티스(10)가 전자기 강판(101)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이면, 티스(10)의 적층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여기서는 둘레 방향)에서의 치수 정밀도는 비교적 양호하다. 게다가, 요크 매립부(10b)는 긴 형상을 갖고 있으므로 단차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티스(10)의 적층 방향에 대한 길이에 치수 오차가 있었다고 하여도 티스(10)와 요크(20)의 사이의 둘레 방향에서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티스(10)로부터 요크(20)에의 자속의 흐름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도 9는 도 1 내지 도 3의 전기자용 코어에 있어서, 티스를 통과하는 위치에서의 둘레 방향에서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보강판 매립부(10c)의 둘레 방향에서의 폭은, 코일 권회부(10a) 및 요크 매립부(10b)의 둘레 방향에서의 폭보다도 작다. 또한, 보강판 매립부(10c)는 티스(10)의 둘레 방향에서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티스(10)의 둘레 방향에서의 양측에 있어서, 보강판(30)과 티스(10)의 경계(30a)가 축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티스(10)를 축 방향을 따라 흐르는 자속이 보강판(30)보다도 요크(20)에 흐르는 것을 재촉한다. 왜냐하면, 티스(10)를 축 방향으로 흐르는 자속은, 계속해서 요크(20)를 둘레 방향의 서로 반대의 2방향으로 흐르는(도 9에 있어서 화살표) 바, 티스(10)의 둘레 방향에서의 양측에서, 경계(30a)가 축 방향에 대한 자기 장벽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이다. 경계(30a)의 존재에 의해 자속은 경계(30a)를 넘어 보강판(30)으로 유입되기 어렵고, 당해 자속은 경계(30a)를 따라 요크(20)측으로 흐르기 쉽다.
또한, 요크(20)는 축 방향으로 적층된 전자기 강판(20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기 강판(201)은 소정의 전자기 강판에 대하여 요크(20)의 형상을 축 방향으로 펀칭하여 형성된다. 통상, 전자기 강판에는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만, 축 방향으로 펀칭된 부분(축 방향을 따르는 표면(20b))에 대해서는 표면 처리가 실시되지 않는다. 이러한 표면 처리는 자기 저항을 증대시킨다. 즉, 요크(20)에 있어서 축 방향에 수직인 표면(20a)에서의 자기 저항은, 축 방향을 따르는 표면(20b)에서의 자기 저항보다도 작다.
코일 권회부(10a)의 둘레 방향에서의 폭은, 요크 매립부(10b)의 둘레 방향에서의 폭과 동일하거나 혹은 그것보다도 작다. 따라서, 티스(10)로부터 요크(20)로 흐르는 자속은, 요크(20)의 축 방향에 수직인 표면(20a)과 교차하지 않고, 자기 저항이 보다 작은 축 방향을 따른 표면(20b)과 교차하여 흐른다. 따라서, 자속의 흐름이 저해되기 어렵다.
또한,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야금적인 고정의 예로서 용접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티스(10)와 보강판(30)이 소결 결합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도 10은 티스를 통과하는 위치에서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단면에 있어서, 전기자용 코어의 개념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티스(10)는 금속성 분말(예를 들어 철)과 절연물(예를 들어 수지)을 혼합하여 성형된 압분자심이다. 보강판(30)은 금속성 분말(예를 들어 철 또는 스테인리스)을 소결하여 성형된 소결 금속이다. 그리고, 티스(10)와 보강판(30)이 소결 결합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소결 결합도 온도가 높은 주위 환경 하에서의 사용 및 냉매와 접촉하는 환경 하에서의 사용을 저해하지 않는다.
제2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의 예로서 야금적인 고정을 설명하였지만,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의 예로서 기계적인 고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의 개념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는 도 1과 동일하다. 도 11은 티스를 통과하는 위치에서의 직경 방향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전기자용 코어의 개념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는, 티스(10)에 권회되는 코일(50)이 2점쇄선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티스(10)와 보강판(30)이 억지 끼워 맞춤(예를 들어 압입, 수축 끼워 맞춤, 냉각 끼워 맞춤 등)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에 의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티스(10)는 보강판(3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요크(20)의 강도에 의존하지 않고 티스(10)의 축 방향에서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요크(20)만으로는 강도가 불충분하였다고 하여도 스러스트력에 대하여 티스(10)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티스(10)와 금속의 보강판(30)이 기계적으로 고정되므로, 온도가 높은 주위 하에서의 사용 또는 냉매에 접촉하는 압축기용 전동기(예를 들어 공기 조화기, 냉동기 등)에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예시에서는 티스(10)가 전자기 강판(10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강판(30)에는 적층 방향(여기서는 직경 방향)에 있어서 티스(10)를 그 외부로부터 내부로 가압하는 가압 구조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자기 강판(101)은 가압되며, 그 적층 방향에 대한 티스(10)의 치수 오차를 흡수할 수 있고, 이로써 티스(10)와 보강판(30)의 사이의 접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보강판(30)은 요크(20)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대면하는 부재(32)와, 부재(32)로부터 굴곡하여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자기 강판(101)의 적층 방향에서의 티스(10)와 요크(20)의 사이에 개재되는 부재(33)를 구비하고 있다. 부재(33)는 부재(32)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티스(10)에 근접하도록 경사져 있다. 이러한 부재(33)는 예를 들어 부재(32)측에서 일단부가 고정된 빔으로 간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부재(33)(빔)는 티스(10)의 존재에 의해 부재(32)를 향하여 변형되고, 그 탄성 변형에 의해 티스(10)를 적층 방향에 대하여 가압한다. 이러한 보강판(30)의 형상은, 예를 들어 주조, 소결, 교축 가공에 의해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다.
도 12는 티스를 통과하는 위치에서의 직경 방향을 따르는 단면에 있어서 전기자용 코어의 개념적인 다른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전기자용 코어와 비교하여, 티스(10)와 보강판(30)이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해 서로 고정됨과 함께, 용접에 의해서도 서로 고정된다.
도 11의 예시에서는 부재(33)는 부재(32)로부터 축 방향의 일방측(코일(50)의 측)으로 연장되면서 티스(10)측으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축 방향에서의 타방측(코일(50)과는 반대측)에서 티스(10)와 보강판(30)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한다. 따라서, 축 방향에서의 타방측으로부터는 티스(10)와 보강판(30)을 용접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물론, 축 방향에서의 한쪽 측으로부터 용접하여도 되지만, 티스(10)에 코일(50)이 권회된 후에, 이 티스(10)를 보강판(30)의 구멍(31)에 삽입한 경우, 코일(50)이 축 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의 티스(10)와 보강판(30)의 용접을 저해한다. 이러한 경우, 축 방향의 타방측으로부터의 용접이 요구된다.
따라서, 도 12의 예시에서는 적층 방향의 단부에 위치하는 전자기 강판(101)이 축 방향에서의 타방측에서 보강판(30)을 따라 굴곡된다. 그리고, 이 전자기 강판(101)과 보강판(30)이 근접하는 용접 개소(40)에서 용접이 행해진다. 전자기 강판(101)을 굴곡시켜 보강판(30)을 따르게 함으로써, 전자기 강판(101)과 보강판(30)의 사이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이들 용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굴곡된 전자기 강판(101)이 축 방향으로 보강판(30)(보다 구체적으로는 부재(33))과 접한다. 이에 의해 티스(10)가 축 방향으로 보강판(30)과 걸려진다. 따라서, 티스(10)가 축 방향의 일방측으로 어긋나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도 13은 티스를 통과하는 위치에서의 직경 방향을 따르는 단면에 있어서 전기자용 코어의 개념적인 다른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의 예시에서도 티스(10)와 보강판(30)이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해 서로 고정됨과 함께, 용접에 의해서도 서로 고정된다. 단, 도 12의 전기자용 코어와 비교하여, 부재(33)가 부재(32)로부터 축 방향의 타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부재(33)는 부재(32)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티스(10)에 접근하도록 경사져 있으므로, 축 방향의 타방측에 있어서 티스(10)와 보강판(30)의 접촉성이 높다. 따라서, 타방측으로부터의 용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단, 도 13에 있어서는, 부재(33)의 가장 티스(10)에 가까운 각(33a)에서 용접되어 있지 않다. 도 12와 마찬가지로 적층 방향의 단부에 위치하는 전자기 강판(101)이 부재(33)측으로 굴곡되고, 이 굴곡된 전자기 강판(101)과 부재(33)가 용접되어 있다. 이에 의해, 티스(10)가 축 방향의 일방측으로 어긋나는 것을 더 억제하고 있다.
부재(33)는 티스(10)와 요크(20)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형태는 티스(10)가 둘레 방향으로 적층된 전자기 강판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에 적합하다. 전자기 강판(101)이 둘레 방향으로 적층되는 경우이면, 보강판(30)의 가압 구조는 티스(10)를 둘레 방향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도 11, 12의 예시에 준하면, 부재(33)가 티스(10)와 요크(20)의 둘레 방향에서의 사이에 개재된다. 이에 의해, 티스(10)로부터 요크(20)로 둘레 방향으로 흐르는 자속을 저해한다. 한편, 도 13의 예시에 준하면, 부재(33)가 티스(10)와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지만, 부재(33)는 둘레 방향에서의 티스(10)와 요크(20)의 사이에 개재되지 않으므로, 부재(33)는 티스(10)로부터 요크(20)로 둘레 방향으로 흐르는 자속을 저해하지 않는다.
도 14는 티스를 통과하는 위치에서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단면에 있어서, 전기자용 코어의 개념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티스(10)는 회전축(P)에 수직인 방향(여기서는 둘레 방향)으로 개구하는 오목부(11)를 갖고 있다.
보강판(30)은 오목부(11)가 개구하는 방향(여기서는 둘레 방향)으로 티스(10)를 가압하는 가압 구조를 갖고 있다. 도 14의 예시에서는 보강판(30)은 부재(32, 33)를 구비하고 있다. 부재(32, 33)에 대해서는, 도 13을 사용하여 설명한 부재(32, 33)와 마찬가지이다. 부재(33)는 오목부(11)와 둘레 방향으로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티스(10)를 보강판(30)의 구멍(31)에 삽입한다. 오목부(11)에 대하여 보강판(30)측의 티스(10)의 단부가, 부재(33)를 부재(32)측으로 눌러 넓히면서 구멍(31)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부재(32)는 탄성 변형되고 보다 굴곡된다. 그리고, 오목부(11)가 축 방향에서의 부재(33)의 위치에 도달하면, 눌러 넓혀져 있던 부재(33)는 그 탄성 복원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좁아져 오목부(11)와 끼워 맞추어진다. 이에 의해, 티스(10)와 보강판(30)이 서로 고정되고, 티스(10)가 보강판(30)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는 티스를 통과하는 위치에서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단면에 있어서, 전기자용 코어의 개념적인 구성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의 전기자용 코어와 비교하여 가압 구조가 상이하다. 가압 구조는 보강판(30)에 형성되는 구멍(34)에 의해 실현된다.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티스(10)는 보강판(30)에 형성된 구멍(31)에 관통 삽입되고, 오목부(11)가 당해 구멍(31)에 있어서 보강판(30)과 둘레 방향으로 끼워 맞추어진다. 보강판(30)은 구멍(31)과 둘레 방향으로 근접한 구멍(34)을 구비하고 있다. 구멍(31, 34)은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구멍(34)은 오목부(11)와 둘레 방향으로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고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판(30)에 따르면, 구멍(34)이 있는 위치에 있어서 축 방향에서의 보강판(30)의 두께는 구멍(34)의 분만큼 얇아진다. 따라서, 축 방향으로 구멍(34)과 인접하는 부분의 강도가 저하하고, 이로써 둘레 방향에서의 구멍(31) 근방에서의 보강판(30)의 탄성 변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6은 티스를 통과하는 위치에서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단면에 있어서, 전기자용 코어의 개념적인 구성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의 전기자용 코어와 비교하여 구멍(34)은 축 방향의 일방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보강판(30) 중 구멍(34)에 대하여 티스(10)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일단부가 지지된 빔으로 간이적으로 파악될 수 있고, 당해 부분이 빔의 탄성 변형에 의해 티스(1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둘레 방향으로 가압된다. 또한, 구멍(34)과 축 방향으로 인접하는 부분에 대해서도, 도 15와 마찬가지로 둘레 방향에서의 탄성 변형이 용이하다. 또한, 축 방향의 타방측으로 개구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적층 방향에서의 치수 오차를 흡수하기 위한 가압 구조로서,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가압 구조를 채용하여도 된다.
제3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의 개념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는 도 1과 동일하다. 또한, 본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티스(10)와 보강판(30)이 제1 또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여기에서는 용접에 의해 티스(10)와 보강판(30)이 서로 고정된 전기자용 코어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7은 티스를 통과하는 위치에서의 둘레 방향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전기자용 코어의 개념적인 구성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코일 권회부(10a)의 둘레 방향에서의 폭은 요크 매립부(10b)의 둘레 방향에서의 폭보다도 크다. 다시 말하면, 티스(10)는 보강판(30)과 함께 축 방향으로 요크(20)를 사이에 끼우고 있다. 따라서, 티스(10)와 보강판(30)의 고정에 의해 티스(10)와 보강판(30) 사이에 끼워지는 요크(20)도 고정된다. 다시 말하면, 요크(20)는 티스(10)와 보강판(30)에 의해 축 방향으로 끼움 지지된다. 이에 의해, 요크(20)를 티스(10) 혹은 보강판(30)과 고정하는 전용의 고정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요크(20)가 전자기 강판(201)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면, 티스(10)와 보강판(30)의 고정이 전자기 강판(201)의 상호간의 고정도 겸할 수 있다.
단, 티스(10)와 요크(20)가 축 방향으로 대면하기 때문에, 티스(10)를 흐르는 자속이 축 방향에 수직인 요크(20)의 표면과 교차한다. 이에 의해, 자속의 흐름이 저해되므로, 티스(10) 중 요크(20)와 축 방향으로 접하는 부분의 면적은 작은 쪽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8은 도 17에 도시하는 전기자용 코어(1)의 축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단, 도 18에 있어서, 티스(10)가 갖는 플랜지 형상에 대해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다. 도 18의 예시에서는 코일 권회부(10a)에 있어서 둘레 방향에서의 폭이 가장 넓은 하부 바닥측의 일부만 요크 매립부(10b)의 폭보다도 넓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티스(10)와 보강판(30)이 요크(20)를 축 방향으로 사이에 끼워 고정하면서도 자속의 흐름을 저해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제4 실시 형태에서는 티스(10)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축 방향으로부터 본 전기자용 코어(1)의 일부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요크 매립부(10b)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갖고 있다. 도 19의 예시에서는 요크 매립부(10b)의 사다리꼴 형상의 상부 바닥 및 하부 바닥이 각각 둘레 방향을 향하여 요크 매립부(10b)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바닥은 하부 바닥에 대하여 내주측에 위치하고 있다.
요크(20)가 갖는 관통 삽입 구멍(21)은 직경 방향으로 개구하면서 요크 매립부(10b)의 형상에 맞춘 형상을 갖고 있다. 도 19의 예시에서는 관통 삽입 구멍(21)은 직경 방향의 내주측으로 개구하면서,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요크 매립부(10b)의 빗변을 따르는 형상을 갖고 있다.
이러한 요크 매립부(10b) 및 관통 삽입 구멍(21)에 따르면, 티스(10)를 직경 방향 내주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요크 매립부(10b)와 요크(20)가 밀착된다. 이에 의해, 티스(10)로부터 요크(20)와의 사이의 둘레 방향에서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고, 이로써 양자간의 자속의 흐름이 저해되기 어렵다.
또한, 도 19의 예시에서는 요크(20)는 티스(10)를 요크 매립부(10b)의 하부 바닥측으로부터 상부 바닥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구조(22)를 갖고 있다. 이 가압 구조(22)는, 예를 들어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가압 구조가 적용되어 실현된다. 도 19에서는 도 15의 가압 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요크(20)는 구멍(31)에 있어서 직경 방향으로 티스(10)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23)와, 당해 돌기부의 내부에 형성된 구멍(24)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가압 구조에 의해, 티스(10)를 요크(20)에 관통 삽입 배치하면, 티스(10)가 직경 방향의 내주측으로 가압되어, 티스(10)와 요크(20)의 둘레 방향에서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도 20은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를 사용한 전동기가 적용되는 압축기의 일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압축기는 고압 돔형의 로터리 압축기이다. 그 냉매에는 예를 들어 HFC(히드로플루오로카본), 이산화탄소 등이 채용된다.
이 압축기는 밀폐 용기(C10)와 압축 기구부(C40)와 전동기(300)를 구비하고 있다. 압축 기구부(C40)는 밀폐 용기(C10)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전동기(300)는 밀폐 용기(C10) 내이면서 압축 기구부(C40)의 상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측이란 밀폐 용기(C10)의 중심축이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밀폐 용기(C10)의 중심축을 따른 상측을 말한다.
전동기(300)는 회전축 샤프트(C50)를 통하여 압축 기구부(C40)를 구동한다. 전동기(300)는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 중 어느 하나에서 설명된 전기자용 코어(1)와, 코일(50)을 갖는 전기자(100)와, 계자자(200)와, 코일을 갖지 않는 고정자(400)를 구비하고 있다. 전기자(100)는 밀폐 용기(C10)에 고정되어 고정자로서 기능하고, 계자자(200)는 회전 샤프트(C50)에 고정되어 회전자로서 기능한다.
계자자(200)는 계자 자석(202)과 자성체(201)와 자성체(203)를 구비하고 있다. 계자 자석(202)은 샤프트(C50)의 둘레에서 환상으로 배치된다. 자성체(201)는 전기자(100)측에서 계자 자석(202)과 축 방향으로 중첩하여 배치된다. 자성체(201)는 계자 자석(202)의 와전류에 의한 손실 및 감자를 저감한다. 자성체(203)는 자성체(201)와는 반대측에서 계자 자석(202)과 축 방향으로 중첩하여 배치된다. 자성체(203)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되어 있다. 자성체(203)는 자속의 일부를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계자 자석(202)끼리 단락시킴으로써, 축 방향으로 계자자(200)에 작용하는 스러스트력을 저감시킨다.
고정자(400)는 계자자(200)에 대하여 전기자(100)와는 반대측에서 소정의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밀폐 용기(C10)에 고정된다. 고정자(400)는 전동기(300)에 작용하는 축 방향의 스러스트력을 저감하기 위한 계자자(200)의 요크로서 기능한다.
밀폐 용기(C10)의 하측 측방에는 흡입관(C30)이 접속되고, 밀폐 용기(C10)의 상측에는 토출관(C20)이 접속된다. 냉매 가스(도시 생략)가 흡입관(C30)으로부터 밀폐 용기(C10)에 공급되고, 압축 기구부(C40)의 흡입측으로 유도된다. 이 로터리 압축기는 종형이며, 적어도 전동기(300)의 하부에 오일 체류를 갖는다.
밀폐 용기(C10) 내는 고압 영역(H)이며, 고압 영역(H)에는 압축 기구부(C40)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냉매 가스가 채워진다. 전동기(300)는 고압 영역(H)에 배치되어 있다.
보강판(30)의 외주연은 회전 샤프트(C50)로부터 보아 요크(20)보다도 외주측에 있고, 밀폐 용기(C10)에 고정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보강판(30)은 회전축(P)으로부터 보아 외측으로부터 밀폐 용기(C10)에 고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보강판(30)과 밀폐 용기(C10)가 억지 끼워 맞춤(예를 들어 수축 끼워 맞춤)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에 따르면, 요크(20)는 밀폐 용기(C10)와 고정될 필요가 없으므로, 전기자용 코어(1)와 밀폐 용기(C10)의 고정에 기인한 응력이 요크(20)에는 발생하기 어렵다. 따라서, 요크(20)의 자기 특성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강판(30)은 요크(20)의 외주측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즉, 보강판(30)을 컵 형상으로 하여 요크(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외주로부터 덮도록 한다. 이에 따르면, 보강판(30)과 밀폐 용기(C10)의 접촉 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압축 기구부(C40)는 실린더 형상의 본체부(C41)와 상단부판(C42) 및 하단부판(C45)을 구비한다. 상단부판(C42) 및 하단부판(C45)은 각각 본체부(C41)의 상하의 개구단부에 설치된다. 회전 샤프트(C50)는 상단부판(C42) 및 하단부판(C45)을 관통하여 본체부(C41)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회전축 샤프트(C50)는 상단부판(C42)에 설치된 베어링(C44)과, 하단부판(C45)에 설치된 베어링(C4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C50)에는 본체부(C41) 내에서 크랭크 핀(C47)이 설치된다. 피스톤(C48)은 크랭크 핀(C47)에 끼워 맞추어져 구동된다. 피스톤(C48)과, 이것에 대응하는 실린더의 사이에는 압축실(C46)이 형성된다. 피스톤(C48)은 편심된 상태에서 회전하거나, 또는 공전 운동을 행하여 압축실(C46)의 용적을 변화시킨다.
이어서, 상기 로터리 압축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흡입관(C30)으로부터 압축실(C46)로 냉매 가스가 공급된다. 전동기(300)에 의해 압축 기구부(C40)가 구동되어 냉매 가스가 압축된다. 압축된 냉매 가스는 냉동기유(도시 생략)와 함께 토출 구멍(C49)을 경유하여 압축 기구부(C40)로부터 압축 기구부(C40)의 상측으로 운반되고, 또한 전동기(300)를 경유하여 토출관(C20)으로부터 밀폐 용기(C10)의 외부로 토출된다.
냉매 가스는 냉동기유와 함께 전동기(300)의 내부를 상측으로 이동한다. 냉매 가스는 전동기(300)보다도 상측으로 유도되는데, 냉동기유는 계자자(200)의 원심력에 의해 밀폐 용기(C10)의 내벽을 향한다. 냉동기유는 밀폐 용기(C10)의 내벽에 미립자의 상태로 부착됨으로써 액화된 후, 중력의 작용에 의해 전동기(300)의 냉매 가스의 흐름의 상류측으로 복귀된다.
도 21은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자용 코어를 사용한 전동기가 적용되는 압축기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1에서는 전기자는 계자자(200)에 대하여 압축 기구부(C40)측에 배치된다.
보강판(30)은 압축 기구부(C40)의 일부이다. 도 21의 예시에서는 보강판(30)이 상단부판(C42)의 기능을 갖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티스(10)가 상단부판(C42)과 고정된다. 예를 들어, 티스(10)가 야금적 또는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은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부판(C42)과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해 고정된다.
보강판(30)과 상단부판(C42)이 하나의 부재에 의해 실현되므로, 전용의 보강판(30) 혹은 전용의 상단부판(C42)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보강판(30)이 본체부(C41)의 기능을 가져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티스(10)가 본체부(C41)와 야금적 또는 기계적으로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상기한 설명은 모든 국면에 있어서 예시이며, 본 발명이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되어 있지 않은 무수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상정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10: 티스
11: 오목부
20: 요크
21: 관통 삽입 구멍
30: 보강판
31, 34: 구멍
33: 부재
101, 201: 전자기 강판

Claims (13)

  1. 소정의 축(P)의 둘레에서 환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티스(10)와,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한 직경 방향 및 상기 축을 따르는 축 방향으로 개구하여 상기 복수의 티스가 관통 삽입되는 복수의 관통 삽입 구멍(21)을 갖고, 상기 축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전자기 강판(201) 또는 압분자심에 의해 형성된 요크(20)와,
    상기 요크(20)에 대하여 상기 축 방향으로 대면하여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티스(10)에 고정되는 금속판(30)을 구비하고,
    상기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요크의 외형이 상기 금속판의 외형으로 둘러싸이는, 전기자용 코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티스(10)의 각각은, 상기 축(P)에 수직인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자성체(101)를 갖는, 전기자용 코어.
  3. 소정의 축(P)의 둘레에서 환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티스(10)와,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한 직경 방향 및 상기 축을 따르는 축 방향으로 개구하여 상기 복수의 티스가 관통 삽입되는 복수의 관통 삽입 구멍(21)을 갖고, 상기 축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전자기 강판(201) 또는 압분자심에 의해 형성된 요크(20)와,
    상기 요크(20)에 대하여 상기 축 방향으로 대면하여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티스(10)에 고정되는 금속판(30)을 구비하고,
    상기 금속판(30)은 비자성인, 전기자용 코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은 스테인리스인, 전기자용 코어.
  5. 소정의 축(P)의 둘레에서 환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티스(10)와,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한 직경 방향 및 상기 축을 따르는 축 방향으로 개구하여 상기 복수의 티스가 관통 삽입되는 복수의 관통 삽입 구멍(21)을 갖고, 상기 축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전자기 강판(201) 또는 압분자심에 의해 형성된 요크(20)와,
    상기 요크(20)에 대하여 상기 축 방향으로 대면하여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티스(10)에 고정되는 금속판(30)을 구비하고,
    상기 축(P)을 중심으로 한 직경 방향에서의 상기 복수의 티스(10)의 단부에 있어서만, 상기 복수의 티스와 상기 금속판(30)이 용접되는, 전기자용 코어.
  6. 소정의 축(P)의 둘레에서 환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티스(10)와,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한 직경 방향 및 상기 축을 따르는 축 방향으로 개구하여 상기 복수의 티스가 관통 삽입되는 복수의 관통 삽입 구멍(21)을 갖고, 상기 축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전자기 강판(201) 또는 압분자심에 의해 형성된 요크(20)와,
    상기 요크(20)에 대하여 상기 축 방향으로 대면하여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티스(10)에 고정되는 금속판(30)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복수의 티스(10)와 상기 금속판(30)은, 상기 축(P)을 따라 보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복수의 티스(10)의 전체 둘레에 걸쳐 용접되는, 전기자용 코어.
  7. 소정의 축(P)의 둘레에서 환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티스(10)와,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한 직경 방향 및 상기 축을 따르는 축 방향으로 개구하여 상기 복수의 티스가 관통 삽입되는 복수의 관통 삽입 구멍(21)을 갖고, 상기 축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전자기 강판(201) 또는 압분자심에 의해 형성된 요크(20)와,
    상기 요크(20)에 대하여 상기 축 방향으로 대면하여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티스(10)에 고정되는 금속판(30)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복수의 티스(10)는 상기 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자성판(101)을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복수의 티스와 상기 금속판(30)은 상기 복수의 자성판 중 인접하는 양자의 사이에서 용접되는, 전기자용 코어.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복수의 티스(10)는 상기 금속판(30)과 함께, 상기 요크(20)를 축 방향으로 사이에 끼우는, 전기자용 코어.
  9. 소정의 축(P)의 둘레에서 환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티스(10)와,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한 직경 방향 및 상기 축을 따르는 축 방향으로 개구하여 상기 복수의 티스가 관통 삽입되는 복수의 관통 삽입 구멍(21)을 갖고, 상기 축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전자기 강판(201) 또는 압분자심에 의해 형성된 요크(20)와,
    상기 요크(20)에 대하여 상기 축 방향으로 대면하여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티스(10)에 고정되는 금속판(30)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복수의 티스(10)는 상기 축(P)과 수직인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자성체(101)를 갖고,
    상기 금속판(3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복수의 티스를 상기 축 방향으로 삽입하는 구멍(31)과, 상기 구멍의 주위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자성체의 적층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복수의 티스를 그 외부로부터 내부로 가압하는 가압 구조(33)를 갖는, 전기자용 코어.
  10. 소정의 축(P)의 둘레에서 환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티스(10)와,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한 직경 방향 및 상기 축을 따르는 축 방향으로 개구하여 상기 복수의 티스가 관통 삽입되는 복수의 관통 삽입 구멍(21)을 갖고, 상기 축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전자기 강판(201) 또는 압분자심에 의해 형성된 요크(20)와,
    상기 요크(20)에 대하여 상기 축 방향으로 대면하여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티스(10)에 고정되는 금속판(30)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복수의 티스(10)는 상기 축(P)에 수직인 방향으로 개구하는 오목부(11)를 갖고,
    상기 금속판(3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복수의 티스를 상기 축 방향으로 삽입하는 구멍(31)과, 상기 방향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복수의 티스를 그 외부로부터 내부로 가압하여 상기 오목부에 끼워 맞추는 가압 구조를 갖는, 전기자용 코어.
  11. 소정의 축(P)의 둘레에서 환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티스(10)와,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한 직경 방향 및 상기 축을 따르는 축 방향으로 개구하여 상기 복수의 티스가 관통 삽입되는 복수의 관통 삽입 구멍(21)을 갖고, 상기 축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전자기 강판(201) 또는 압분자심에 의해 형성된 요크(20)와,
    상기 요크(20)에 대하여 상기 축 방향으로 대면하여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티스(10)에 고정되는 금속판(30)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티스(10)는 절연물을 포함한 압분자심이고, 상기 금속판(30)은 소결 금속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티스와 상기 금속판은 소결 결합되어 있는, 전기자용 코어.
  12. 소정의 축(P)의 둘레에서 환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티스(10)와,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한 직경 방향 및 상기 축을 따르는 축 방향으로 개구하여 상기 복수의 티스가 관통 삽입되는 복수의 관통 삽입 구멍(21)을 갖고, 상기 축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전자기 강판(201) 또는 압분자심에 의해 형성된 요크(20)와,
    상기 요크(20)에 대하여 상기 축 방향으로 대면하여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티스(10)에 고정되는 금속판(30)을 구비하고,
    상기 금속판(30)의 외주연은 상기 축으로부터 보아 상기 요크보다도 외측에 있고, 상기 금속판은 소정의 케이스(C10)에 외측으로부터 고정되는, 전기자용 코어.
  13. 소정의 축(P)의 둘레에서 환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티스(10)와,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한 직경 방향 및 상기 축을 따르는 축 방향으로 개구하여 상기 복수의 티스가 관통 삽입되는 복수의 관통 삽입 구멍(21)을 갖고, 상기 축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전자기 강판(201) 또는 압분자심에 의해 형성된 요크(20)와,
    상기 요크(20)에 대하여 상기 축 방향으로 대면하여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티스(10)에 고정되는 금속판(30)을 구비하고,
    상기 금속판(30)은 압축 기구(C44)의 일부인, 전기자용 코어.
KR1020117019742A 2009-02-26 2010-02-24 전기자용 코어 KR1012247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44845A JP4710993B2 (ja) 2009-02-26 2009-02-26 電機子用コア
JPJP-P-2009-044845 2009-02-26
PCT/JP2010/052819 WO2010098336A1 (ja) 2009-02-26 2010-02-24 電機子用コア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751A KR20110119751A (ko) 2011-11-02
KR101224716B1 true KR101224716B1 (ko) 2013-01-21

Family

ID=42665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9742A KR101224716B1 (ko) 2009-02-26 2010-02-24 전기자용 코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36135B2 (ko)
JP (1) JP4710993B2 (ko)
KR (1) KR101224716B1 (ko)
CN (1) CN102326317B (ko)
DE (1) DE112010000934T5 (ko)
WO (1) WO20100983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0561A (ko) * 2012-09-03 2014-03-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모터용 고정자 코어
GB201301305D0 (en) * 2013-01-24 2013-03-06 Gkn Evo Edrive Systems Ltd Electrical machines
DE102013206593A1 (de) * 2013-04-12 2014-10-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xialflussmaschine in Leichtbauweise
JP2015012679A (ja) * 2013-06-28 2015-01-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アキシャルギャップ型回転電機
JP6210006B2 (ja) * 2014-03-25 2017-10-11 マツダ株式会社 アキシャルギャップ型回転電機
DE102014225378A1 (de) * 2014-12-10 2016-06-16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 Maschine, insbesondere Startermotor für eine Startvorrichtung
DE102015223766A1 (de) * 2015-11-30 2017-06-01 Baumüller Nürnberg GmbH Elektrische Maschine
WO2017094271A1 (ja) * 2015-12-03 2017-06-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キシャルギャップ型回転電機およびその製造方法
FR3046888B1 (fr) * 2016-01-14 2021-10-22 Whylot Stator pour machine electromagnetique a flux axial avec des portions unitaires formant une couronne du stator
US11121596B2 (en) 2016-02-29 2021-09-14 Denso Corporation Stator of brushless motor, brushless mo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tator of brushless motor
USD841703S1 (en) 2016-05-19 2019-02-26 Sumitomo Electric Sintered Alloy, Ltd. Core for rotary electric machine
JP6228633B1 (ja) * 2016-06-24 2017-11-08 住友電工焼結合金株式会社 圧粉磁心、ステータコア及びステータ
SI3485558T1 (sl) * 2016-07-18 2020-04-30 Universiteit Gent Stator za stroj z aksialnim magnetnim pretokom in postopek za izdelavo le-tega
US10707718B2 (en) * 2017-02-27 2020-07-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ectric motor stator assembly with captured retention feature
FR3075505B1 (fr) * 2017-12-18 2022-03-11 Whylot Sas Stator de moteur ou generatrice electromagnetique avec support individuel de bobinage encliquete sur une dent associee
JP7139138B2 (ja) * 2018-04-18 2022-09-20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アキシャルギャップ型回転電機
US10916976B2 (en) * 2018-08-24 2021-02-09 Regal Beloit America, Inc. Axial flux electric machine and methods of assembling the same
US11038386B2 (en) 2018-08-24 2021-06-15 Regal Beloit America, Inc. Axial flux electric machine and methods of assembling the same
WO2020088488A1 (zh) * 2018-10-31 2020-05-07 淮安威灵电机制造有限公司 横向磁通电机
US10892654B2 (en) * 2018-11-09 2021-01-12 Shenzhen Shanxiang Intelligent Technology Enterprise Axial magnetic field motor with grain-oriented silicon steel sheets
WO2020116038A1 (ja) * 2018-12-05 2020-06-1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コア、ステータ、及び回転電機
EP3711786A1 (en) * 2019-03-19 2020-09-23 Abiomed Europe GmbH Blood pump
EP3711785A1 (en) * 2019-03-19 2020-09-23 Abiomed Europe GmbH Blood pump
JP7395870B2 (ja) * 2019-08-09 2023-12-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アキシャルギャップモーター
WO2021031696A1 (zh) * 2019-08-16 2021-02-25 眭华兴 一种轻型电动自行车有齿轮毂电机
US10938258B1 (en) * 2019-10-30 2021-03-02 Maxxwell Motors, Inc. Rotor for an axial flux rotating electrical machine compressed with a band
DE102019216861A1 (de) * 2019-10-31 2021-05-06 Robert Bosch Gmbh Axialflussmaschine für ein elektrisches Bearbeitungsgerät sowie elektrisches Bearbeitungsgerät mit einer Axialflussmaschine
CN114902543A (zh) * 2020-01-14 2022-08-12 雅马哈发动机株式会社 轴向间隙式旋转型电机
WO2021146833A1 (zh) * 2020-01-20 2021-07-29 浙江川电钢板加工有限公司 层叠铁芯固定构造
CN112260422A (zh) * 2020-10-14 2021-01-22 中车株洲电机有限公司 一种电机及其轴向磁悬浮轴承定子
US11424666B1 (en) 2021-03-18 2022-08-23 Maxxwell Motors, Inc. Manufactured coil for an electrical machine
JP2022159878A (ja) * 2021-04-05 2022-10-18 佳樹 平井 アキシャルギャップモータ用ステータコア及びアキシャルギャップモータ用ステータコアの製造方法
KR102605537B1 (ko) * 2021-07-08 2023-11-24 주식회사 서진캠 스테이터
KR102593130B1 (ko) * 2021-07-08 2023-10-25 주식회사 서진캠 스테이터
CN114421660A (zh) * 2022-01-21 2022-04-29 上海盘毂动力科技股份有限公司 轴向磁场电机的定子铁芯固定结构
FR3134257A1 (fr) * 2022-04-05 2023-10-06 Renault S.A.S Procédé d’assemblage des dents d’un stator à un car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6860A (ja) 2002-07-17 2004-02-19 Fujitsu General Ltd 誘導電動機
JP2006056860A (ja) 2004-08-24 2006-03-02 Masao Yoshimi 水虫治療薬及び魚の目治療薬
JP2007028855A (ja) * 2005-07-20 2007-02-01 Yamaha Motor Co Ltd 回転電機及び電動車椅子
JP2009022147A (ja) * 2007-07-13 2009-01-29 Sumitomo Electric Ind Ltd アキシャルモータ用コア、ステータおよびアキシャルモ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6843U (ko) * 1979-12-06 1981-07-11
US4654552A (en) * 1985-03-28 1987-03-31 General Electric Company Lanced strip and edgewise wound core
JP3513042B2 (ja) 1999-02-03 2004-03-31 ミネベア株式会社 高速回転型モータのステータ構造
JP3432474B2 (ja) * 1999-12-27 2003-08-04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の固定子
JP2001238377A (ja) * 2000-02-24 2001-08-31 Minebea Co Ltd 回転電機
TW588493B (en) 2001-11-29 2004-05-21 Yamaha Motor Co Ltd Axial gap type electrical rotation machine
WO2003047069A1 (fr) 2001-11-29 2003-06-05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Machine dynamoelectrique de type a entrefer axial
US6889419B2 (en) * 2002-04-16 2005-05-10 Delphi Technologies, Inc. Method of making a composite electric machine component of a desired magnetic pattern
JPWO2004019352A1 (ja) * 2002-08-26 2005-12-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マルチフェーズ用磁性素子とその製造方法
JP3819386B2 (ja) * 2003-09-29 2006-09-06 三菱電機株式会社 磁石発電機
JP4720288B2 (ja) * 2005-05-24 2011-07-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回転電機の固定子
JP4993883B2 (ja) 2005-07-20 2012-08-0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回転電機及び電動車椅子
US7642682B1 (en) 2006-05-26 2010-01-05 Florida Turbine Technologies, Inc. Integrated turbine and generator
JP4813260B2 (ja) * 2006-05-30 2011-11-09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電動機,電動機ステ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245504A (ja) * 2007-10-24 2008-10-09 Daikin Ind Ltd 電機子コアの製造方法及び電機子コア
JP5458522B2 (ja) 2007-12-17 2014-04-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電機子用磁芯、電機子、回転電機及び圧縮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6860A (ja) 2002-07-17 2004-02-19 Fujitsu General Ltd 誘導電動機
JP2006056860A (ja) 2004-08-24 2006-03-02 Masao Yoshimi 水虫治療薬及び魚の目治療薬
JP2007028855A (ja) * 2005-07-20 2007-02-01 Yamaha Motor Co Ltd 回転電機及び電動車椅子
JP2009022147A (ja) * 2007-07-13 2009-01-29 Sumitomo Electric Ind Ltd アキシャルモータ用コア、ステータおよびアキシャル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751A (ko) 2011-11-02
US20110316381A1 (en) 2011-12-29
CN102326317A (zh) 2012-01-18
US8736135B2 (en) 2014-05-27
WO2010098336A1 (ja) 2010-09-02
JP2010200555A (ja) 2010-09-09
DE112010000934T5 (de) 2012-09-27
CN102326317B (zh) 2015-04-01
JP4710993B2 (ja)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4716B1 (ko) 전기자용 코어
KR101103087B1 (ko) 액셜 갭형 회전 전기 및 회전 구동 장치
KR101185671B1 (ko) 전기자용 자심, 전기자, 회전 전기 및 압축기
JP6656428B2 (ja) 固定子、電動機、圧縮機、および冷凍空調装置
US9850893B2 (en)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0565261B1 (ko) 왕복동식 모터의 고정자 구조
JP2008228363A (ja) 電機子用磁芯、電機子、回転電機、圧縮機
WO2017208290A1 (ja) 固定子、電動機、圧縮機、および冷凍空調装置
US20090108696A1 (en) Interphase insulating sheet of rotating electric machine, and electric compressor
JP2008245504A (ja) 電機子コアの製造方法及び電機子コア
JPWO2018138866A1 (ja) 固定子、電動機、圧縮機、および冷凍空調装置
JP4457612B2 (ja) 圧縮機、電動機及びその固定子
JP7038827B2 (ja) ステータ、電動機、圧縮機および空気調和装置
KR101098637B1 (ko) 액셜 갭형 회전 전기
WO2018100946A1 (ja) 圧縮機
JP5093336B2 (ja) 電機子用コア
KR102122096B1 (ko) 리니어 압축기
WO2021193766A1 (ja) 圧縮機
JP5003425B2 (ja) 回転子及びその製造方法、回転電機、圧縮機
JP6395948B2 (ja) 固定子鉄心、圧縮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2021057930A (ja) 圧縮機
WO2021166123A1 (ja) 固定子、回転電機及び圧縮機
JP7436908B2 (ja) 回転電気機械、圧縮機、および冷凍装置
JP5181665B2 (ja) 密閉型圧縮機
JP2016029876A (ja) 電動機の回転子、電動機、および電動機を備えた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