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634B1 - 스크린 패브릭 및 스크린 - Google Patents

스크린 패브릭 및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634B1
KR101220634B1 KR1020110004466A KR20110004466A KR101220634B1 KR 101220634 B1 KR101220634 B1 KR 101220634B1 KR 1020110004466 A KR1020110004466 A KR 1020110004466A KR 20110004466 A KR20110004466 A KR 20110004466A KR 101220634 B1 KR101220634 B1 KR 101220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vinyl chloride
screen
screen fabric
soft vi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4841A (ko
Inventor
마사시 기타바야시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84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4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bstract

염화비닐 수지를 재료로 하는 것에 적합한 스크린 패브릭 및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스크린 패브릭(200)은 복수의 층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당해 복수의 층은, 릿지부(120)가 형성되는 표면층을 구성하는 경질 염화비닐층(210)(제 1 층)과, 경질 염화비닐층(210)(제 1 층)과는 다른 연질 염화비닐층(220)(제 2 층)을 구비한다. 경질 염화비닐층(210)(제 1 층)은 염화비닐제이고, 연질 염화비닐층(220)(제 2 층)은 경질 염화비닐층(210)(제 1 층)보다도 경도가 낮은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크린 패브릭 및 스크린{SCREEN FABRIC AND SCREEN}
본 발명은 스크린 패브릭(screen fabric) 및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프로젝터에 이용되는 스크린으로서, 표면에 입체부를 갖는 스크린 부재를 구비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스크린은, 표면에 입체부(단위 형상부)를 형성하고, 당해 입체부의 일부의 표면 부분에만 반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양호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스크린의 기재로서 연질(軟質) 염화비닐 수지제의 시트(연질 염화비닐 수지 시트)를 이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염화비닐 수지를 재료로 함으로써, 스크린의 기재로서 널리 보급되어 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을 재료로 했을 경우와 비교하여 스크린의 재료비를 저감할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 2006-215162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 1994-230475호
여기서, 연질 염화비닐 수지제의 시트를 스크린 패브릭으로서 이용하여, 당해 스크린 패브릭의 표면에 입체부를 형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스크린 패브릭의 재료로서 연질 염화비닐 수지제의 시트를 이용하면, 특허문헌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강도 확보 등의 목적을 위해 유리 클로스(glass cloth)층 등의 이면 패브릭을 적층한 구조로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권회 상태로 방치(예를 들어, 실온 60℃에서 72시간 방치)하면, 입체부가 이면 패브릭과 접한 상태로 가압되기 때문에, 입체부가 변형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염화비닐 수지를 재료로 하는 것에 적합한 스크린 패브릭 및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스크린 패브릭은, 복수의 층이 적층된 스크린 패브릭으로서, 상기 복수의 층은, 입체부가 형성되는 표면층을 구성하는 제 1 층과, 상기 제 1 층과는 다른 제 2 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층은 염화비닐 수지제이며, 상기 제 2 층은 상기 제 1 층보다도 경도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층이 염화비닐 수지제이고, 제 2 층은 제 1 층보다도 경도가 낮다. 이 때문에, 제 1 층의 표면에 입체부를 형성하여 권회 상태로 방치하여도, 입체부에는 당해 입체부보다도 경도가 낮은 제 2 층이 접하여 압력이 더해지기 때문에, 예를 들어 제 1 층이 연질 염화비닐 수지제여도, 입체부가 변형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층이 염화비닐 수지제이기 때문에, 스크린 패브릭의 재료비를 저렴하게 하고, 또한 난연성(難燃性)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층은 경질(硬質) 염화비닐 수지제이고, 상기 제 2 층은 연질(軟質) 염화비닐 수지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층은 경질 염화비닐 수지제이기 때문에, 권회 상태에서의 방치(예를 들어, 실온 60℃에서 72시간 방치) 등에 의한 주름이 제 1 층의 표면에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런데, 경질 염화비닐 수지제의 스크린 패브릭의 경우에는, 권회 상태에서의 방치(예를 들어, 실온 60℃에서 72시간 방치) 등에 의해 말리기 쉽고(컬링되기 쉽고), 입체부를 정밀도 좋게 전사하려면 고온하에서 장시간의 전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롤 엠보싱 가공에 적합하지 않으며, 표면에 스크래치가 생기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 2 층은 연질 염화비닐 수지제이기 때문에, 경질 염화비닐 수지만을 재료로 하는 경우보다도 유연성이 있기 때문에 컬링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층을 예를 들어 0.1㎜ 이하로 얇게 형성함으로써, 제 1 층의 표면을 가압했을 경우에 제 1 층이 제 2 층에 들어가기 때문에, 롤 엠보싱 가공으로 입체부를 정밀도 좋게 전사할 수 있고, 또한 제 1 층의 표면에 손톱 등에 의한 스크래치가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층과 상기 제 2 층이 접합된 2층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스크린 패브릭이 2층 구조로 적층수가 적은 단순한 구조이기 때문에, 쉽게 컬링되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층은 연질 염화비닐 수지제이고, 상기 제 2 층은 상기 제 1 층에 대해서 탄성을 갖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층이 연질 염화비닐 수지제이고, 제 2 층은 제 1 층에 대해서 탄성을 갖기 때문에, 권회 상태로 방치한 경우여도, 제 2 층이 입체부의 형상에 맞추어 움푹 들어가기 때문에, 입체부가 변형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크린은 상기 스크린 패브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크린 패브릭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스크린 패브릭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스크린의 사용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스크린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스크린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제 1 실시형태의 스크린 패브릭 및 스크린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스크린의 성형 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제 2 실시형태의 스크린 패브릭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제 2 실시형태의 스크린의 권회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변형예에 따른 스크린 패브릭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변형예에 따른 스크린 패브릭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변형예에 따른 스크린 패브릭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스크린의 구성
도 1은 스크린(100)의 사용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스크린(100)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스크린(100)의 평면도이고, 도 3은 스크린(100)의 종단면도이다.
스크린(100)은,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옆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반사형 스크린으로 구성되고, 비스듬히 아래쪽에 배치마련된 근접 투사형의 프로젝터(PJ)(도 1)로부터의 화상광을 정면으로 반사하여, 투영 화상을 표시한다.
이 스크린(10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전면(前面)측에 기재(110)를 구비하고 있고, 이 기재(110)의 표면에는, 수평 방향을 따르는 원호 형상을 갖는 릿지부(ridge portion)(120)(본 발명에 따른 입체부에 상당함)가 반복하여 다수 배치되어 있다. 즉, 기재(110)는 일면에 릿지부(120)을 갖는다.
이들 릿지부(12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110)에 대해서 아래쪽에 위치하는 가상적인 위치(C)를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며, 연직 방향(종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릿지부(12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젝터(PJ)로부터의 화상광의 입사 방향(Ri)(본 실시형태에서는 비스듬히 아래쪽)을 향하는 입사 대향면(121)과, 화상광의 비입사 방향(본 실시형태에서는 비스듬히 위쪽)을 향하는 비입사면(122)을 갖는 단면 삼각형 형상(프리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재(110)에서의 입사 대향면(121)의 표면 상에는, 반사층(121A)이 형성되어 있다. 즉, 기재(110)는, 릿지부(120)의 표면에, 부분적[입사 대향면(121)의 표면]으로 광을 반사하는 반사층(121A)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기재(110)는 이하에 설명하는 스크린 패브릭을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즉, 스크린(100)은 이하의 성형된 스크린 패브릭을 구비하게 된다.
스크린 패브릭의 구조
도 4는 스크린 패브릭(200) 및 스크린(100)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A), 도 4의 (B)는 각각 성형 전, 성형 후의 스크린 패브릭(200)의 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도 4의 (C)는 성형 후의 스크린 패브릭(200)에 반사층(121A)을 형성함으로써 완성한 스크린(100)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린 패브릭(200)은 제 1 층으로서의 경질 염화비닐층(210)과, 제 2 층으로서의 연질 염화비닐층(220)과, 보호막(2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구비한다.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질 염화비닐층(210)의 제 1 면(210A)에는, 스크린(100)의 제작시 릿지부(120)가 형성된다. 즉, 스크린 패브릭(200)에서, 경질 염화비닐층(210)은 릿지부(120)가 형성되는 표면층을 형성한다.
경질 염화비닐층(210)은 가소제를 가하지 않고 성형된 염화비닐 수지(경질 염화비닐 수지)제의 층이다. 가소제는 염화비닐 수지의 폴리머의 분자 사이에 들어가 분자 사이를 넓힌 구조로 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아디핀산 폴리에스테르, 프탈레이트산 디-2-에틸헥실, 아디핀산 디-2-에틸헥실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질 염화비닐층(210)은 두께가 0.05㎜ 내지 0.1㎜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0.06㎜로 되어 있다.
경질 염화비닐층(210)의 제 2 면(210B)에는, 연질 염화비닐층(220)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경질 염화비닐층(210)은 연질 염화비닐층(220)의 제 1 면(220A)에 경질 염화비닐 수지제의 시트를 라미네이트함으로써 형성된다.
연질 염화비닐층(220)은 가소제를 가하여 성형된 염화비닐 수지(연질 염화비닐 수지)제의 층이다. 구체적으로, 연질 염화비닐층(220)은 두께가 0.3㎜[보호막(230)의 두께를 포함함]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크린 패브릭(200)은 경질 염화비닐층(210)보다도 경도가 낮은 연질 염화비닐층(220)을 기재로 하고, 이 연질 염화비닐층(220)에 경질 염화비닐층(210)을 접합한 적층 구조로 되어 있다.
연질 염화비닐층(220)의 제 2 면(220B)에는, 보호막(230)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막(230)은 연질 염화비닐층(220)의 제 2 면(220B)에 흑색의 코팅제를 코팅함으로써 형성된 흑색의 층이다. 보호막(230)은 연질 염화비닐층(220)을 보호하고, 또한 흑색인 것으로써 입사광을 흡수한다.
스크린의 제조 방법
도 4의 (C)에 도시한 스크린(100)은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성된다.
도 5는 스크린 패브릭(200)의 성형 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성형 장치(300)는 롤 엠보싱 가공기이며, 풀어냄 롤러(310), 가열 장치(320), 가압 롤러(330), 성형 형(型)으로서의 전사 롤러(340) 및 권취 롤러(350)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롤 형상의 스크린 패브릭(200)을 풀어냄 롤러(310)에 세팅한다. 그리고, 세팅한 스크린 패브릭(200)의 일단을 잡아 늘이고, 가압 롤러(330)와 전사 롤러(340)의 사이를 통해 귄취 롤러(350)에 고정하며, 성형 장치(300)를 구동한다.
풀어냄 롤러(310)는 스크린 패브릭(200)을 시트 형상으로 풀어낸다. 가열 장치(320)는 풀어냄 롤러(310)에 의해 풀어진 스크린 패브릭(200)을 가열한다. 가압 롤러(330)는 전사 롤러(340)에 대해서 스크린 패브릭(200)을 가압한다. 전사 롤러(340)는 스크린 패브릭(200)에 대해서 전사하는 형상을 롤러의 둘레면(341)에 구비하고, 스크린 패브릭(200)의 일면[경질 염화비닐층(210)의 제 1 면(210A)]에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릿지부(120)를 형성한다. 권취 롤러(350)는 스크린 패브릭(200)을 롤 형상으로 권취한다.
따라서, 롤러(310)에 의해 시트 형상으로 풀어진 스크린 패브릭(200)은, 가열 장치(320)에 의해 가열되고, 가압 롤러(330)와 전사 롤러(340)의 사이를 통과하여 프리즘 형상이 형성된 후, 롤러(350)에 의해 권취된다.
이상과 같이 성형한 스크린 패브릭(200)을 소정의 사이즈로 재단함으로써,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투영 영역(110A)에 다수의 릿지부(120)가 형성된 기재(110)가 성형된다.
기재(110)의 성형 후는, 증착 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반사층(121A)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증착 장치는 진공 상태에서 릿지부(120)의 표면에 부분적[입사 대향면(121)의 표면]으로 알루미늄(Al)을 비스듬히 증착시킴으로써, 도 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사 대향면(121)에 반사층(121A)을 형성한다. 또한, 증착 장치에 의한 증착 전에, 릿지부(120)가 형성되어 있는 경질 염화비닐층(210)의 제 1 면(210A)에, 플라즈마 방전 처리 등에 의해 표면 개질 처리를 실시해 둠으로써, 증착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스크린(100)은 상술한 구조를 갖는 것에 의해, 프로젝터(PJ)로부터의 화상광을 반사층(121A)에 의해 정면으로 반사하여, 투영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스크린(100)은 반사층(121A)에 의해 반사되지 않은 다른 광(화상광 이외의 광)을 보호막(230)에 의해 흡수한다.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있다.
경질 염화비닐층(210)이 염화비닐 수지제이고, 연질 염화비닐층(220)은 경질 염화비닐층(210)보다도 경도가 낮다. 이 때문에, 스크린(100)을 권회 상태로 방치해도, 릿지부(120)에는 당해 릿지부(120)보다도 경도가 낮은 연질 염화비닐층(220)이 접하여 압력이 더해지기 때문에, 릿지부(120)가 변형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경질 염화비닐층(210)이 염화비닐 수지제이기 때문에, 스크린 패브릭(200)의 재료비를 저렴하게 하고, 또한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경질 염화비닐층(210)은 경질 염화비닐 수지제이기 때문에, 권회 상태에서의 방치(예를 들어, 실온 60℃에서 72시간 방치) 등에 의한 주름이 경질 염화비닐층(210)의 표면에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연질 염화비닐층(220)은 연질 염화비닐 수지제이기 때문에, 경질 염화비닐 수지만을 재료로 하는 경우보다도 유연성이 있기 때문에 컬링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경질 염화비닐층(210)은 0.06㎜로 얇기 때문에, 경질 염화비닐층(210)의 표면을 가압했을 경우에 경질 염화비닐층(210)이 연질 염화비닐층(220)에 들어가기 때문에, 롤 엠보싱 가공으로 릿지부(120)를 정밀도 좋게 전사할 수 있으며, 또한 경질 염화비닐층(210)의 표면에 손톱 등에 의한 스크래치가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스크린 패브릭(200)이 경질 염화비닐층(210)과 연질 염화비닐층(220)의 2층 구조이고, 적층수가 적은 단순한 구조이기 때문에, 3층 이상의 구조의 경우와 비교하여 쉽게 컬링되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다.
통상, 연질 염화비닐 수지제의 시트는, 표면측의 패브릭과 이면측의 패브릭으로 유리 클로스층을 사이에 끼운 구조에 의해 강도가 확보된다. 여기서, 이면측의 패브릭이 있으면, 엠보싱 가공에서의 고온하에서의 프레스 개방(예를 들어, 프레스 개방 온도 200℃)시에, 유리 클로스층 내에 휩쓸려 들어간 공기가 팽창하여 파열해, 크레이터 형상의 결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당해 결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프레스 개방 온도를 내릴 필요가 있어(예를 들어, 프레스 개방 온도 150℃), 생산성이 나빠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질 염화비닐층(220)의 제 1 면(220A)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경질 염화비닐층(210)에 의해 강도를 확보하고 있어, 유리 클로스층 및 이면측의 패브릭이 없기 때문에, 패브릭 내에 공기가 밀폐되는 일이 없어, 당해 결손을 확실히 방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경질 염화비닐층(210)에 의해 표면이 딱딱하고, 연질 염화비닐층(220)에 의해 내부가 부드럽기 때문에, 60℃ 등의 고온하에서도 내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연질 및 경질 염화비닐 수지제의 양쪽의 스크린 패브릭에서의 좋은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스크린(100)에 대해서 비스듬히 투사되는 프로젝터(PJ)로부터의 화상광은 스크린(100)의 정면 방향(시청자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다른 광은 보호막(230)에 의해 흡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스크린(100)에 표시되는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PJ) 본체는 화상광의 휘도를 억제할 수 있어, 프로젝터(PJ)의 광원에 의한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알루미늄 등에 의한 반사층을 진공 상태에서의 증착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 반사층을 형성하는 층이 연질 염화비닐 수지제이면, 가소제의 배어 나옴 등에 의해 휘발성 가스가 발생하여 증착 시간이 길어져 버린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반사층(121A)을 형성하는 층[경질 염화비닐층(210)]은 경질 염화비닐 수지제이기 때문에, 연질 염화비닐 수지제인 경우보다도 증착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엠보싱 가공시에 전사 롤러(340)에 접하는 경질 염화비닐층(210)은 가소제를 포함하지 않는 경질 염화비닐 수지제이기 때문에, 스크린 패브릭(200)의 성분의 부착에 의한 형[전사 롤러(340)]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성분의 부착으로서는, 연질 염화비닐 수지의 가소제의 성분(염소·안티몬 등)의 석출이나, 연질 염화비닐 수지의 시트 표면의 코팅제의 부착, 연질 염화비닐 수지제의 패브릭의 형으로부터의 박리시의 릿지부(120)의 결손의 남음 등을 들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구조 및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스크린(100)은 스크린 패브릭의 구조만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고, 다른 구조, 제조 방법 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스크린 패브릭의 구조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스크린 패브릭(400)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엠보싱 가공 전의 스크린 패브릭(400)의 구조를 나타내고, 도 6의 (B)는 엠보싱 가공 후의 스크린 패브릭(400)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린 패브릭(400)은 제 1 층으로서의 연질 염화비닐 수지제의 연질 염화비닐층(410)과, 보강층으로서의 유리 클로스층(420)과, 제 2 층으로서의 우레탄층(4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구비한다.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질 염화비닐층(410)의 제 1 면(410A)에는, 스크린(100)의 제작시 릿지부(12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연질 염화비닐층(410)은 두께가 0.35㎜로 되어 있다. 또한, 제 1 면(410A)에는 표면 코트(도시 생략)가 실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 표면 코트는 연질 염화비닐층(410)의 재료가 되는 연질 염화비닐 수지제의 시트의 표면으로 되어 있는 유기물에 의한 표면 코트이며, 이 표면 코트가 실시되어 있음으로써, 반사층(121A)의 증착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연질 염화비닐층(410)의 제 2 면(410B)측에는, 유리 클로스층(420)을 거쳐서 우레탄층(430)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유리 클로스층(420)은 두께가 0.1㎜로 되어 있고, 흑색으로 구성되어 입사광을 흡수한다. 유리 클로스층(420)은 연질 염화비닐 수지의 시트가 연장되어 버리지 않도록 당해 시트 이면에 라미네이트되어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우레탄층(430)은 유리 클로스층(420)이 형성된 연질 염화비닐층(410)의 제 2 면(410B)측에 우레탄제의 시트를 라미네이트함으로써 형성된다.
우레탄층(430)은 완충재이며, 연질 염화비닐층(410)에 대해서 탄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우레탄층(430)은 두께가 5㎜ 내지 10㎜로 되어 있다.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린 패브릭(400)은, 엠보싱 가공 후에는, 표면의 연질 염화비닐층(410)으로부터 배어 나온 연질 염화비닐 수지와 우레탄이 용착하여 접합한다. 또한, 우레탄층(430)은 가열 상태에서의 엠보싱 가공에 의해 두께가 1/10 이하까지 압축된다.
이와 같이, 스크린 패브릭(400)은 연질 염화비닐층(410)을 기재로 하고, 이 연질 염화비닐층(410)의 제 2 면(410B)측에 당해 연질 염화비닐층(410)보다도 부드러운 우레탄층(430)을 적층한 구조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스크린 패브릭(400)은 연질 염화비닐층(410)을 기재로 하고, 이 연질 염화비닐층(220)에 연질 염화비닐층(410)보다도 경도가 낮은 우레탄층(430)을 유리 클로스층(420)을 거쳐서 접합한 적층 구조로 되어 있다.
상술한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있다.
연질 염화비닐층(410)이 염화비닐 수지제이고, 우레탄층(430)은 연질 염화비닐층(410)보다도 경도가 낮다. 이 때문에, 스크린(100)을 권회 상태로 방치해도, 릿지부(120)에는 당해 릿지부(120)보다도 경도가 낮은 우레탄층(430)이 접하여 압력이 더해지기 때문에, 릿지부(120)가 변형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특히, 연질 염화비닐층(410)이 연질 염화비닐 수지제이고, 우레탄층(430)은 연질 염화비닐층(410)에 대해서 탄성을 갖기 때문에, 권회 상태로 방치했을 경우여도,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레탄층(430)이 릿지부(120)의 형상에 맞추어 움푹 들어가기 때문에, 릿지부(120)가 변형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질 염화비닐층(410)이 염화비닐 수지제이기 때문에, 스크린 패브릭(400)의 재료비를 저렴하게 하고, 또한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스크린 패브릭(400)은, 연질 염화비닐층(410)과 우레탄층(430)이 유리 클로스층(420)을 거쳐서 접합된 구조로 하고 있다. 연질 염화비닐층(410)이 연질 염화비닐 수지제이고, 우레탄층(430)은 연질 염화비닐층(410)보다도 부드럽기 때문에, 컬링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유리 클로스층(420)을 갖는 것에 의해, 부드러운 부재의 접합이어도 강도를 얻을 수 있고,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연질 염화비닐층(410)이 연질 염화비닐 수지제인 것에 의해, 롤 엠보싱 가공에 의해 릿지부(120)를 정밀도 좋게 전사할 수 있고, 또한 연질 염화비닐층(410)의 표면에 손톱 등에 의한 스크래치가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즉, 연질 및 경질 염화비닐 수지제의 양쪽의 스크린 패브릭에서의 좋은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스크린(100)에 대해서 비스듬히 투사되는 프로젝터(PJ)로부터의 화상광은 스크린(100)의 정면 방향(시청자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다른 광은 보호막(230)에 의해 흡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스크린(100)에 표시되는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PJ) 본체는 화상광의 휘도를 억제할 수 있어, 프로젝터(PJ)의 광원에 의한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의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스크린 패브릭의 구조는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8 내지 도 10은 변형예에 따른 스크린 패브릭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스크린 패브릭(200)의 변형예이며, 유리 클로스층(240)이 마련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그 외의 점은 제 1 실시형태와 같다.
도 8에 나타낸 스크린 패브릭(200)은, 연질 염화비닐층(220)의 제 2 면(220B)에 유리 클로스층(24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리 클로스층(240)의 구조는,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유리 클로스층(420)과 같다. 이와 같이, 연질 염화비닐층(220)을 경질 염화비닐층(210)과 유리 클로스층(240)으로 사이에 끼우는 구조로 함으로써, 스크린 패브릭(200)의 표면측과 이면측에 강도를 갖게 하여, 더욱더 컬링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낸 스크린 패브릭(200)은, 도 8에 나타낸 스크린 패브릭(200)에서, 보호막(230) 대신에, 연질 염화비닐 수지제의 다른 연질 염화비닐층(250)을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연질 염화비닐층(220), 유리 클로스층(240) 및 연질 염화비닐층(250)은 적층한 상태에서의 합계의 두께가 0.6㎜로 된다. 연질 염화비닐층(250)은 두께가 0.1㎜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크린 패브릭(200)은 유리 클로스층(240)을 사이에 두고 연질 염화비닐층(220, 250)을 배치한 구조여도 좋다.
도 10은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스크린 패브릭(400)의 변형예이다. 도 10의 (A)는 엠보싱 가공 전의 스크린 패브릭(400)을 나타내고, 도 10의 (B)는 엠보싱 가공 후의 스크린 패브릭(400)을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낸 스크린 패브릭(400)은, 유리 클로스층(420)과 우레탄층(430)의 사이에 연질 염화비닐 수지제의 다른 연질 염화비닐층(440)이 마련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제 2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그 외의 점은 제 2 실시형태와 같다. 구체적으로, 연질 염화비닐층(440)의 두께는 0.1㎜로 된다. 이와 같이, 스크린 패브릭(400)은 연질 염화비닐층(440)을 거쳐서 유리 클로스층(420)과 우레탄층(430)을 배치한 구조여도 좋다. 연질 염화비닐층(440)을 거침으로써, 우레탄층(430)의 접착면을 많게 하여 우레탄층(430)의 용착 밀착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층 및 제 2 층의 재질은, 제 1 층이 염화비닐 수지제이고, 제 2 층이 제 1 층보다도 부드러운 재질이면,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표 1은 경질 염화비닐 수지(경질 염화비닐), 연질 염화비닐 수지(연질 염화비닐) 및 제 2 층으로서 적용 가능한 재료에 대해서의, 쇼어 A(측정 조건:JIS-K-6253의 경도)로 환산한 경도를 나타낸다.
경질
염화비닐
연질
염화비닐
우레탄 수지 연질 폴리젖산
화합물
TPS
화합물
쇼어 A 환산 110 66 55 55 60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경질 염화비닐층(210)과 연질 염화비닐층(220)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연질 염화비닐층(410)과 우레탄층(430)을 구비하는 것이라면, 각각 예시한 적층 구조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추가의 다른 층을 구비한 복수의 층에 의한 적층 구조여도 좋다.
제 2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의 우레탄층(430)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레탄 수지 이외에, 연질 폴리젖산 화합물, TPS 화합물 등 우레탄 수지와 동일한 정도의 경도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레탄층(430)으로서는, 표 1에 나타낸 것 이외에, 여러 가지의 합성 고무, 천연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재료로서는, 열용착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의 유리 클로스층(420, 240)은 스크린 패브릭(200, 400)을 보강할 수 있는 것이면, 유리 클로스로 구성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경질 염화비닐 수지 등으로 형성해도 좋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스크린(100)은 기재(110)의 일면에 입체부로서 릿지부(120)를 형성했지만, 입체부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반구 오목부 형상 또는 반구 볼록부 형상이어도 좋고, 배열에 대해서도 격자 형상이어도 좋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프로젝터(PJ)를 근접 투사형의 프로젝터를 전제로 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초점 거리를 갖는 프로젝터여도 좋다. 또한, 프로젝터(PJ)의 투사 방향도 스크린(100)의 정면측 하방으로부터의 비스듬한 입사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스크린(100)은 기재(110)에 릿지부(120)가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직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것으로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각 릿지부(120)가 수평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하고 연직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스크린이어도 좋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사 대향면(121)에만 반사층(121A)이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투영 영역(110A) 전체에 걸쳐서[입사 대향면(121)뿐만 아니라 비입사면(122) 상에도] 반사층(121A)을 형성해도 좋다. 전체에 반사층(121A)을 형성한 후, 그 반사층(121A) 상에 광흡수막을 형성해도 좋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반사층(121A)은 알루미늄의 증착에 의해 형성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을 스프레이 코트함으로써 형성해도 좋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반사층(121A) 상에 반사층(121A)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막을 형성해도 좋다. 또한, 스크린 패브릭(200, 400)에 의해 제작하는 스크린은 반사형의 스크린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각 층 및 막을 투명으로 하여, 반사층(121A)을 생략한 투과형의 스크린에 적용해도 좋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기재(110)의 릿지부(120)를 가압 롤러(330)(롤 형)에 의해 성형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재(110)의 릿지부(120)를 형 면이 평면 형상인 평형(平型)에 의해 성형해도 좋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스크린 패브릭(400)은, 유리 클로스층(420)을 상향으로 하여, 이면의 패브릭이 없는 연질 염화비닐 수지제의 시트를 전기 주조 형의 위에 세팅한다. 그리고, 세팅한 시트 상에 우레탄 폼(foam)을 얹고, 최상부에 이형재(구체적으로는, 테프론 시트)를 얹어 프레싱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형재를 마련함으로써, 엠보싱 가공시의 이형이 양호해진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스크린은 근접 투사형의 프로젝터에 이용되는 스크린에 이용할 수 있다.
100 : 스크린 120 : 릿지부(입체부)
200, 400 : 스크린 패브릭 210 : 경질 염화비닐층(제 1 층)
220 : 연질 염화비닐층(제 2 층) 410 : 연질 염화비닐층(제 1 층)
430 : 우레탄층(제 2 층).

Claims (9)

  1. 복수의 층이 적층된 스크린 패브릭(screen fabric)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층은,
    입체부(a three-dimensional portion)가 형성되는 표면층을 구성하는 제 1 층과,
    상기 제 1 층과는 다른 제 2 층과,
    상기 제 2 층의 반대측에 있는 상기 제 1 층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반사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층은 염화비닐 수지제이며,
    상기 제 2 층은 상기 제 1 층보다도 경도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패브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은 경질(硬質) 염화비닐 수지제이고, 상기 제 2 층은 연질(軟質) 염화비닐 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패브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패브릭은 상기 제 1 층과 상기 제 2 층이 접합된 2층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패브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은 연질 염화비닐 수지제이고, 상기 제 2 층은 상기 제 1 층에 대해서 탄성을 갖는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패브릭.
  5. 제 1 항에 기재된 스크린 패브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은 연질 염화비닐 수지제이고, 상기 제 2 층은 우레탄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패브릭.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 및 상기 제 2 층은 유리 클로스(glass cloth) 층을 거쳐서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패브릭.
  8. 제 1 항에 있어서,
    보호막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층은 상기 제 1 층과 상기 보호막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패브릭.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층은 55 내지 66의 쇼어 A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패브릭.
KR1020110004466A 2010-01-18 2011-01-17 스크린 패브릭 및 스크린 KR1012206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07879 2010-01-18
JP2010007879A JP2011145582A (ja) 2010-01-18 2010-01-18 スクリーン生地及びスクリー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841A KR20110084841A (ko) 2011-07-26
KR101220634B1 true KR101220634B1 (ko) 2013-01-10

Family

ID=44267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466A KR101220634B1 (ko) 2010-01-18 2011-01-17 스크린 패브릭 및 스크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15996B2 (ko)
JP (1) JP2011145582A (ko)
KR (1) KR101220634B1 (ko)
CN (1) CN10212916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18857B (zh) * 2010-01-29 2013-12-11 Taiwan Paiho Ltd A reflector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reflector
KR20140019608A (ko) * 2012-08-06 2014-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론트 프로젝션 장치용 스크린 및 그 제조 방법
JP5551300B1 (ja) * 2013-10-30 2014-07-16 清二 加川 多孔金属箔の製造方法
TWI632726B (zh) * 2014-10-21 2018-08-11 加川清二 微多孔金屬箔的製造方法及裝置
CN104391922B (zh) * 2014-11-20 2018-09-11 武汉图歌信息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地理空间信息自适应多终端可视化方法
TWI581049B (zh) 2015-12-24 2017-05-01 中強光電股份有限公司 投影屏幕
CN206930896U (zh) * 2017-04-12 2018-01-26 株式会社有泽制作所 反射型屏幕
GB2566519B (en) * 2017-09-15 2020-03-25 Imagine Nation B V Theatre construction
TWI686661B (zh) * 2018-04-20 2020-03-01 億立材料有限公司 可多角度投影成像之投影幕
CN112099302B (zh) * 2020-09-23 2022-05-17 中国乐凯集团有限公司 超短焦抗光投影幕布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75087A (en) * 1954-02-23 1959-02-24 American Optical Corp Method of forming reflective surfaces
JP2006023693A (ja) * 2004-05-07 2006-01-26 Arisawa Mfg Co Ltd 反射型スクリーン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1750A (en) * 1972-07-18 1974-05-21 Batzner Coulthard M Projection screens
US4191451A (en) * 1978-04-21 1980-03-04 Marv Hodges, Inc. Projection screen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206969A (en) * 1979-04-11 1980-06-1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irectional front projection screen
CN86210530U (zh) * 1986-12-24 1987-12-16 侯坚平 微珠光栅式镀金属银幕
JPH04179943A (ja) * 1990-11-14 1992-06-26 Kuraray Plast Kk 反射スクリーン
JPH0659341A (ja) * 1992-08-10 1994-03-04 Dainippon Printing Co Ltd 反射型映写スクリーンとその製造方法
JPH06230475A (ja) 1993-02-05 1994-08-19 Toppan Printing Co Ltd 反射型スクリーン
JPH0792567A (ja) * 1993-09-24 1995-04-07 N H K Eng Service リア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US6258443B1 (en) * 1994-09-28 2001-07-10 Reflexite Corporation Textured retroreflective prism structures and molds for forming same
US20050185279A1 (en) * 1999-01-21 2005-08-25 Reflexite Corporation Durable, open-faced retroreflective prismatic construction
JP2001042436A (ja) * 1999-07-27 2001-02-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映像提示装置
JP2002107827A (ja) * 2000-09-28 2002-04-10 Arisawa Mfg Co Ltd 反射型スクリーン
DE10107860A1 (de) * 2001-02-20 2002-09-05 Bayer Ag Schichtstoff mit Dekor
JP2004211255A (ja) * 2003-01-07 2004-07-29 Izumi-Cosmo Co Ltd 携帯型スクリーン用生地
JP2005208557A (ja) * 2003-12-25 2005-08-04 Arisawa Mfg Co Ltd 反射型スクリーン
US7110176B2 (en) * 2004-05-07 2006-09-19 Arisawa Mfg. Co., Ltd. Reflex-type screen
JP2006209012A (ja) * 2005-01-31 2006-08-10 Arisawa Mfg Co Ltd レンズシート、透過型スクリーン、及びレンズシートの生産方法
JP2006215162A (ja) 2005-02-02 2006-08-17 Dainippon Printing Co Ltd 反射スクリーン及び反射投影システム
US20070065638A1 (en) * 2005-09-20 2007-03-22 Eastman Kodak Company Nano-structured thin film with reduced light reflection
US7499214B2 (en) * 2006-03-20 2009-03-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mbient light absorbing screen
KR20080000667U (ko) * 2006-10-20 2008-04-24 (주)티웍스 고휘도 광확산 스크린
JP2009169007A (ja) * 2008-01-15 2009-07-30 Kuraray Co Ltd 反射型スクリー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75087A (en) * 1954-02-23 1959-02-24 American Optical Corp Method of forming reflective surfaces
JP2006023693A (ja) * 2004-05-07 2006-01-26 Arisawa Mfg Co Ltd 反射型スクリー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29161A (zh) 2011-07-20
KR20110084841A (ko) 2011-07-26
JP2011145582A (ja) 2011-07-28
US20110176209A1 (en) 2011-07-21
US8115996B2 (en) 201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0634B1 (ko) 스크린 패브릭 및 스크린
JP4148299B1 (ja) 光学包装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照明装置、ならびに表示装置
JP2008213937A (ja) 光学素子包装体、バックライ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WO2010032882A1 (ja) 光学素子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バックライト、ならびに液晶表示装置
JP2019172512A (ja) 合わせガラス
US11642869B2 (en) Phosphor protection film, wavelength conversion sheet, and light-emitting unit
EP1832922A1 (en) Rear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and transmission type screen
TWI644130B (zh) 偏光板、圖像顯示裝置及偏光板的製造方法
TWI614541B (zh) 積層光學膜之製造方法
US20120154908A1 (en) Reflection type scree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eflection type screen
JP2008250328A (ja) 光学素子包装体の製造方法
JP4811431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立体画像表示装置
JP2011090045A (ja) スクリーン
JP2013020210A (ja) 透過型スクリーン、これを備えた背面投射型表示装置、および透過型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JP7173008B2 (ja) 波長変換シートの製造方法
KR101177081B1 (ko) 양면 접착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JP4673681B2 (ja) 積層体
JP6536003B2 (ja) 反射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JP2010044953A (ja) 光学包装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バックライトならびに液晶表示装置
JP2009020331A (ja) 光学シートと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ディスプレイ
JPH0688372B2 (ja) 積層板の製造方法
US20220305748A1 (en) Polariz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970918B2 (ja) 透過型スクリーン、これを備えた背面投射型表示装置、および透過型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JP6702462B2 (ja) 反射スクリーン、映像表示システム
JP2006126544A (ja) 背面投影型ディスプレイ用光学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背面投影型ディスプレ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