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940B1 - 압력-민감성 접착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압력-민감성 접착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940B1
KR101218940B1 KR1020067021188A KR20067021188A KR101218940B1 KR 101218940 B1 KR101218940 B1 KR 101218940B1 KR 1020067021188 A KR1020067021188 A KR 1020067021188A KR 20067021188 A KR20067021188 A KR 20067021188A KR 101218940 B1 KR101218940 B1 KR 101218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dhesive film
mixture
weight per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1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1225A (ko
Inventor
까뜨린느 꾸테이
끌레르 르데
장-룹 마종
Original Assignee
노바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바셀 filed Critical 노바셀
Publication of KR20070001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1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8C8-(meth)acrylate, e.g. isooctyl (meth)acrylate or 2-ethylhex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5/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9J1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9J1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1/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9J1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09J7/243Ethylene or propyl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08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2C2-(meth)acrylate, e.g. 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0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protecting painted surfaces, e.g. of ca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06Presence of polyolefin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 Y10T428/2891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alpha-beta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g.,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etc.] Or derivative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기재 지지층에 수성 아크릴성 분산체-기재 점착층을 도포함에 의해 얻어진 압력-민감성 점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들 필름을 제조하는 도포 공정에 관한 것이다.
이 필름은 자동차 차체를 보호하기에 적절하다.

Description

압력-민감성 접착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본 발명은 압력-민감성 접착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터-자동차 본체의 보호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새롭게 도색된 모터-차량 본체는, 특히 보호 필름의 수단에 의해, 차량의 조립, 이송 및 보관 간에 발생하는 먼지 및 손상에 대해 보호되어 져야 한다.
보호 필름은 적용 기계를 사용하거나 또는 손으로 본체에 적용되지만, 어떠한 적용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표면이 평탄하지 않기 때문에, 래커와 필름 간에 기포 또는 수분이 항상 존재한다. 이들 특정한 적용 조건은, 장시간의 자연 노출과 특히 높은 온도에 노출이 부가되어, 필름이 벗겨진 후, 기포의 주변부에 상당하는 장소에 흔적이 남게 된다.
오늘날 모터 자동차 시장은 이들 흔적의 양과 그 크기가 최소화 되어질 것을 요구하거나 또는 더욱이 자연 노출의 시간 후에 이들이 사라질 것을 요구하고 있 다.
이 마킹(흔적)을 정량화하기 위한 표준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모터 자동차 본체에 적용된 래커는 이차원으로 다른 진폭(amplitude)과 다른 파장(wavelength)의 사인 곡선(sinusoids)의 중첩에 의해 모델될 수 있는 표면 거칠기를 나타낸다. 거칠기 상태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적인 진폭 H0 및 기초적인 파장 L0에 의해 특징되어 진다.
흔적은 래커의 변형에 기인하여, 이차원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폭 H 및 너비 L에 의해 특징되는 곡선에 의해 모델되어 질 수 있는 프로필을 가진다. H 및 L 값은 입체감 있는 프로필 측정법(tactile profilometry)에 의해 측정되어 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흔적은 값 L이 L0  - 0.15 mm 보다 커거나 또는 등등하고 값 H가 H0 + 0.15 mm 보다 적거나 또는 동등한 한 관찰자에게 관찰되어 지지 않게 존재한다 (30cm의 거리에서 인간 눈의 해상도는 약 0.1mm임). 이들 값은 흔적과 래커 사이 대비가 최소화되도록 되게 한다.
현재로 사용되고 있는 보호 필름은 지지층과, 만일 이것이 도포되면, 용매 상을 통해 그 뒤에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특허출원 제 EP-A-0 519 278호는 60℃에서 2×104과 70×104Pa 사이인 점착율로, 폴리올레핀 지지층 상에 용매 상으로 러버(rubber)를 도포함에 의해 얻어진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 US 5 925 456호는 폴리올레핀 지지층 상에 용매 상으로 EVA-기재 혼합물을 도포 하거나 또는 공사출함에 의해 얻어진 필름과 60℃ 및 10-2 Hz에서 측정된 0.6 내지 1.0 사이, 그리고 60℃ 및 10 Hz에서 측정된 0.4 내지 0.7 사이의 로스 탄젠트(loss tangent) tan δ를 갖는 점착층을 개시하고 있다.
이들 필름은 모터 자동차 시장에서 그런대로 용인될 수 있는 양의 흔적을 생성하지만, 만일 이들이 용매 상으로 제품의 사용을 요구한다면, 이들은 환경적인 견지에서는 만족스럽지 못하다.
또한, 특허 출원 EP-A-0 826 542호로부터 모터 자동차 윈도우용 보호 필름이 공지되어 있는데, 이들의 점착층은 폴리우레탄의 것으로, 낮은 수준의 점착도를 가진다. 특허 출원 WO 01/96489호는 지지층 상에 도포된 그의 점착층이 가교 폴리우레탄 상에 기재된 보호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이 점착층은 대기 온도에서 10- 1 에서 102 rad/s로 급격하게 증가하거나 또는 변화하지 않는 로스 탄젠트 tan δ에 의해 특징되어 진다. 그러나, 이 보호 필름의 특성은 보호층이 제거되어 진 후 모터 자동차 래커의 표면 상에 흔적 또는 잔사의 존재를 방지하지 못한다. 부가하여, 필름의 접착 수준이 시장에서 요구되어 지는 것에 비하여 너무 낮다.
수성 상으로 합체되어 질 수 있는 가교 시스템으로 조합된 특정한 아크릴성 수 분산체(acrylic aqueous dispersion)가 상기 언급한 단점(흔적, 낮은 수준의 접착성, 용매의 사용)을 가지지 않고 자연 노출(예를 들어 플로리다에서 6개월) 후 점착성의 조기 전이가 없는 자동차 차체용 보호 필름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밝혀내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본을 형성한다. 이들 필름은 예를 들어 아크릴성-멜라민, 알키드-멜라민, 폴리우레탄 또는 다른 타입의 래커를 보호할 수 있어, 이들 래커가 일-성분 또는 이-성분 (1K 또는 2K) 타입의 것으로 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대상은 특히 자동차 차체 보호에 적절한 압력-민감성 점착 필름이다.
이 압력-민감성 점착 필름은:
ㆍ40 내지 70중량%의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0 내지 40중량%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5 내지 15중량%의 비닐 아세테이트, 0 내지 8중량%의 스틸렌 및 2 내지 5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량체류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에멀젼 중합화에 의해 얻어진 100 중량부의 수성 아크릴성 분산체;
ㆍ0.05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15.5 중량부의 수성 상으로 합체될 수 있는 가교 시스템; 및
ㆍ0 내지 5 중량부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항-노화제
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지지층을 도포함에 의해 얻어진다.
물론, 아크릴성 분산체의 다양한 성분의 합은 100%이다.
카르복실기를 담지하는 단량체는 유익하기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퓨말산, 말레이산 및 이들의 유도체류로부터 선택되어 질 수 있고,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이 바람직하다.
유익하기로는, 수성 아크릴성 분산체의 평균 입자 사이즈는 500nm 이하, 바람직하기로는 200nm 이하이다.
이 수성 아크릴성 분산체는 통상적인 에멀젼 중합화 공정에 의해, 예를 들어 본 출원에 참고로 되는 특허 출원 EP 1 378 527 A호에 기술된 공정에 따라 수득될 수 있다.
이런 분산체의 특히 바람직한 예로서는, (BASF로부터) Acronal® DS3559의 이름으로 현재 시판되고 있는 제품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고 언급될 수 있다. 이 제품은 특히 다음과 같은 물리-화학적 특징을 가진다:
고체 함량: 52 +/- 1%;
밀도: 약 1.05 g/cm3;
pH: 5.0 내지 6.5;
23℃에서의 점도 (DIN 53211): 17 내지 20 s;
Tg ≒ -30℃.
지지층을 도포하기 위한 점착성 혼합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가교 시스템은 유익하기로는 지방족화합물 또는 지방족 고리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 타입의 가교제, 아지리딘 타입의 가교제, 카르보디이미드 타입의 가교제, 및 에폭시 타입의 가교제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가교화 제제로 구성된다.
이 가교 시스템은 아크릴성 분산체의 수성 상과 조화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술한 가교 시스템은:
- 0.5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1 내지 15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 0.05 내지 3 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1.5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 아지리딘(aziridine);
- 0.1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15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 카르보디이미드(carbodiimide);
- 0.1 내지 6 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0.2 내지 3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 에폭시(epoxy);
- 또는 0.05 내지 0.5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 아지리딘 및 1 내지 15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 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
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맥락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지방족 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의 예로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 디이소시아네이트류의 삼량체와 같은 지방족 화합물의 디이소시아네이트류, 지방족 화합물의 트리이소시아네이트류 및 이들의 동중합(homopolymerize)되거나 또는 공중합된 단량체류로부터 얻어지거나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들 단량체류에 폴리올 또는 폴리아민의 부가에 의해 얻어진 폴리머가 언급되어 질 수 있고, 폴리올 또는 폴리아민은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지방족 고리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의 예로는, 3-이소시아나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IPDI이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음) 또는 수소화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 디이소시아네이트류의 삼량체와 같은 지방족 고리화합물의 디이소시아네이트류, 및 지방족 고리화합물의 트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동중합되거나 또는 공중합된 단량체류로부터 얻어지거나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들 단량체류에 폴리올 또는 폴리아민의 부가에 의해 얻어진 폴리머가 또한 언급되어 질 수 있고, 폴리올 또는 폴리아민은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아지리딘 가교제의 예로는,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스(3-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스(3-(2-메틸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스[2-아지리디닐부틸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스-[β-(N-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트리스(1-아지리디닐)포스핀 옥사이드, 트리스(2-메틸-1-아지리디닐)포스핀 옥사이드,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스[3-(1-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스[β-(N-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및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3-(1-아지리디닐) 프로피오네이트]가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카르보디이미드 가교제의 예로는,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1,3-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N-시클로헥실-N'-(메틸폴리스틸렌)]카르보디이미드 및 이들 화합물의 염이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에폭시 가교제의 예로는, 옥사졸린 및 아클리옥사졸린을 언급할 수 있다.
상술한 점착성 혼합물은 0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0 내지 3 중량부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항-노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항-노화제는 유익하기로는 일차의 또는 이차의 항산화제인, 입체 구조로 이루어진 힌더드 아민 또는 HALS (힌더드 아민 라이트 스테빌라이저;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s)부터 선택된다. 같은 타입의 몇 가지 제제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다른 타입의 제제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차적인 항산화제는 열의 작용을 통해 형성된 프리 라디칼을 흡수함에 의해 물질의 분해를 방지한다. 이차적인 항산화제는 폴리머와 과산화물 라디칼의 작용에 의해 배지에 형성된 히드로과산화물을 흡수함에 의해 물질의 분해를 방지한다.
본 발명의 맥락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항산화제의 예는 페놀성 항산화제(시바 스페시얼티 케미칼(Ciba Specialty Chemicals)로부터의 Irganox® 1010 및 1135), 아민 항산화제(Irganox® 5057), 포스피아트(phosphites) (Irgafos® 168) 및 티오에테르류(thioethers)가 언급될 수 있다.
입체 구조로 이루어진 힌더드 아민 또는 HALS는 UV 방사의 작용을 통해 배지에 형성된 프리 라디칼 및 히드로과산화물을 흡수함에 의해 물질의 분해를 방지한다.
본 발명의 맥락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입체 구조로 이루어진 힌더드 아민의 예는 Chimassorb® 2020 및 Tinuvin® 783, 770 및 765의 이름으로 시판되는 제품이 언급되어 질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술한 점착성 혼합물은 항산화제와 항-노화제로서 입체 구조로 이루어진 힌더드 아민 (HALS)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 점착성 혼합물은 또한 항-블록킹 제제, UV 흡수제, 가소제, 습윤제, 소포제, 확산제, 점착강화 수지 및 상기 언급된 것과는 별도로 점착 수준을 조정하기 위한 물질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가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점착강화 수지는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인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특히 콜로포니(colophony) 수지, 테르펜-페놀 수지 및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수소와 화합될 수 있는 C5, (C5)2 및/또는 C9 페트롤륨 컷트로부터 얻어진 수지에서 선택될 수 있다. 유익하기로는, 이들 수지는 140℃와 같거나 또는 그 이하, 일반적으로는 75 내지 140℃의 범위에 있고, 바람직하기로는 75 내지 125℃의 범위로 되는, 링-앤드 볼(ring-and-ball) 방법 (ASTM E 28 표준)에 따라 측정된, 연화 온도를 가진다. 예로서는, Escorez® (Exxon사로부터), Sylvares® (Arizona사로부터) 및 Permalyn® (Eastman사로부터)이라는 이름으로 시판되고 있는 제품을 언급할 수 있다.
이들 부가제는 일반적으로 점착층의 중량에 대비하여 0.1 내지 10 중량%의 범위로 되는 양으로 존재한다.
상술한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5 내지 30 미크론 사이, 바람직하기로는 5 내지 25 미크론 사이이고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8 내지 20 미크론 사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민감성 점착 필름에 대한 지지층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폴리올레핀 상에 기초된다. 이 지지층은 단층의 형태 또는 다층의 형태로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삼층 타입의 것이다. .
지지층의 각 층에 사용될 수 있는 폴리올레핀의 예로는, 라디칼 폴리에틸렌류 (PEs); 중-밀도, 저-밀도 또는 극 저-밀도 선형의 PEs; 폴리프로필렌류 (PPs);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류 (EPDMs); 및 이들 화합물의 블렌드를 언급할 수 있다.
"이들 혼합물의 블렌드"라는 표현은,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는, 동일한 타입의 몇몇 중합체의 혼합물, 또는 제일 타입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합체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타입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합체와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라디칼 PE는 저 밀도 (0.910 ≤ d ≤ 0.925), 중 밀도 (0.925 < d ≤ 0.940) 또는 고 밀도 (0.940 < d ≤ 0.960)의 것일 수 있다.
선형의 PEs는 프로펜, 부텐, 헥센, 메틸펜텐 또는 옥텐과 같은 C3-C8 올레핀 단량체를 갖는 에틸렌의 공중합체이다. 유익하기로는, 저-밀도 또는 극 저-밀도 선형 PEs가 사용되고, 이것은, ASTM D 1505 표준에 따라 측정된, 0.850 내지 0.936의 범위에 있는 밀도를 가지는 것이 언급될 수 있다.
유익하기로는, PP는 ASTM D 1505 표준에 따라 측정된, 0.890 내지 0.910의 범위로 되는 밀도를 가진다.
EPDMs는 바람직하기로는 ASTM D 1505 표준에 따라 측정된, 0.84 내지 0.90의 범위에 있는 밀도를 가지고, 유익하기로는 프로필렌의 함량은 25 내지 60 중량%의 범위로 된다.
지지층은 또한 점착층과 지지층의 결합을 증진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폴리올레핀을 포함할 수 있다.
점착층과 지지층의 결합을 증진하기 위한 폴리올레핀의 예로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EVA)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 유도체 (EDA) 공중합체 및 이들 화합물의 블렌드를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EVAs는 80 중량%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적은, 바람직하기로는 30 중량%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적은 비닐 아세테이트 (VA) 함량을 가진다. 유익하기로는, 이들 EVAs는 ASTM 1238 표준에 따라 측정된, 0.1 내지 40 dg/min의 범위,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10 dg/min의 범위로 되는 용융유동지수(melt flow index)를 가진다.
EDAs는 바람직하기로는, 예를 들어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아크릴산과 같은 것으로, 40 중량%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적은 아크릴 유도체 함량을 가진다. 이들 EDAs는 유익하기로는 ASTM 1238 표준에 따라 측정된, 0.1 내지 40 dg/min의 범위,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10 dg/min의 범위로 되는 용융유동지수를 가진다.
지지층은 또한 활제(slip agents), 가공 보조제, 매팅제(matting agents), 염료 또는 안료, 항-노화제, UV 흡수제 및 항-블록킹제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층이 다층의 것일 때는, 각 층은 상기의 부가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부가제는 일반적으로 지지층의 중량에 대비하여 0.1 내지 25 중량%의 범위로 되는 양으로 존재한다.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지지층은 삼층 타입의 것이다.
중앙층은 50 내지 90%, 바람직하기로는 75 내지 85%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5 내지 30%, 바람직하기로는 5 내지 15%의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1 내지 10%, 바람직하기로는 1 내지 5%의 라디칼 저-밀도 폴리에틸렌, 0 내지 15%, 바람직하기로는 5 내지 10%의 화이트 티타늄 디옥사이드 안료, 0 내지 5%, 바람직하기로는 0.05 내지 3%의 항-블록킹제, 0 내지 5%, 바람직하기로는 0.01 내지 3%의 플로오로엘라스토머(fluoroelastomer) 타입의 가공 보조제, 0 내지 5%, 바람직하기로는 1 내지 3%의 항-노화제 및/또는 UV 흡수제를 포함한다.
외층은 50 내지 90%, 바람직하기로는 70 내지 80%의 라디칼 저-밀도 폴리에틸렌, 0 내지 40%, 바람직하기로는 10 내지 30%의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0 내지 15%, 바람직하기로는 5 내지 10%의 화이트 티타늄 디옥사이드 안료, 0 내지 5%, 바람직하기로는 0.05 내지 3%의 항-블록킹제, 0 내지 5%, 바람직하기로는 0.01 내지 3%의 플로오로엘라스토머 타입의 가공 보조제, 0 내지 5%, 바람직하기로는 1 내지 3%의 항-노화제 및/또는 UV 흡수제를 포함한다.
점착층과 접촉하는 층은 60 내지 90%, 바람직하기로는 70 내지 80%의 라디칼 저-밀도 폴리에틸렌, 0 내지 40%, 바람직하기로는 20 내지 30%의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0 내지 15%, 바람직하기로는 5 내지 10%의 화이트 티타늄 디옥사이드 안료, 0 내지 5%, 바람직하기로는 0.05 내지 3%의 항-블록킹제, 0 내지 5%, 바람직하기로는 0.01 내지 3%의 플로오로엘라스토머 타입의 가공 보조제, 0 내지 5%, 바람직하기로는 1 내지 3%의 항-노화제 및/또는 UV 흡수제를 포함한다.
층의 두께는 외층의 경우에 전체 두께의 10 내지 30%이고, 점착층과 접촉하는 층의 경우에 전체 두께의 10 내지 30%이고, 중앙층의 경우에 전체 두께의 40 내지 80%이다.
지지층은 폴리올레핀과 선택적으로 존재하는 부가제와의 (공)사출에 의해 얻어지고 코로나-처리 또는 플라즈마-처리된다.
그 두께는 일반적으로 10 내지 100 미크론, 바람직하기로는 35 내지 70 미크론,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40 내지 60 미크론이다.
특정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점착 필름은 지지층으로부터의 다른 면(즉, 점착층과 접하지 않는 면을 지칭함) 상에 유익하기로는 비-점착성 보호층을 갖는다. 이러한 보호층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인에게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민감성 점착 필름은 지지층에 상기한 점착성 화합물을 이 기술분야의 통상인에게 잘 알려져 있는 기술을 사용하여 도포함에 의해 얻어진다.
제이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대상은 특히 자동차 차체 보호에 적절한 압력-민감성 점착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이것은;
ㆍ40 내지 70중량%의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0 내지 40중량%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5 내지 15중량%의 비닐 아세테이트, 0 내지 8중량%의 스틸렌 및 2 내지 5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량체류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에멀젼 중합화에 의해 얻어진 100 중량부의 수성 아크릴성 분산체;
ㆍ0.05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15.5 중량부의 수성 상으로 합체될 수 있는 가교 시스템; 및
ㆍ0 내지 5 중량부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항-노화제
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도포된 점착층이 5 내지 30 미크론의 두께와 0.001 내지 1 중량%의 잔여 수분 함량을 가지도록 하는 도포 조건 하에서 지지층을 도포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일 특정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한 도포 조작은 50 내지 95℃ 사이의 온도의 오븐에서, 1 내지 30초 사이에 필름이 오븐을 통과하는 시간 동안 수행되는 건조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한 두께와 상기한 수분 함량을 달성할 수 있게 한다.
일반적으로, 이렇게 얻어진 필름은 40 내지 350 cN/cm의 탈접합력(180°벗김, 벗김율 = 300 mm/min, 실온에서 측정)에 의해 측정된 접합 정도를 가진다. 온도, 습도 또는 UV 테스트 또는 이들의 제한을 조합 후 (예를 들어, 14일의 주기(23℃ 및 100% 상대 습도에서 6시간 그리고 나서, 40℃ 및 100% 상대 습도에서 6시간)), 접착성 수준은 40 내지 500 cN/cm이고 보호 필름이 제거된 후 표면은 자동차 시장에서 용인될 수 있는 수준의 점착성 흔적 또는 잔해를 가진다.
제 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대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자동차 차체를 보호하기 위해 압력-민감성 점착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압력-민감성 점착 필름에 의해 보호된 자동차 차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기초적인 진폭 H0와 기초적인 파장 L0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는 진폭 H와 너비 L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자세히 설명되지만 이들은 순전히 예시의 방식으로 제시된 것이다.
실시예 1
점착성 조성물은 조성물에 대해 50%의 고체 함량을 얻기 위해 100 중량부의 아크릴성 분산체 (Acronal® DS3559) 및 3 중량부의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 (Vestanat® IPDI (Degussa사제))를 혼합함에 의해 제조되었다.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가 에틸 아세테이트에 25% 예비 혼합의 형태로 분산체에 사입되었다.
지지 필름은 이 분야의 통상인에게 잘 알려진 통상적인 조건 하에서, 삼-층 공사출 장비를 사용하여 주조 또는 브로우 공사출에 의해 제조되었다. 0.924 밀도 및 0.7 용융 유동 지수의 라디칼 폴리에틸렌이 익스트루더 1에 사입되고; 0.924 밀도 및 0.7 용융 유동 지수의 라디칼 폴리에틸렌과 0.925 밀도 및 0.7 용융 유동 지수의 선형 폴리에틸렌 (부텐 공단량체)의 90/10 중량비의 혼합물이 익스트루더 2에 사입되고; 그리고 0.924 밀도 및 0.7 용융 유동 지수의 라디칼 폴리에틸렌이 익스트루더 3에 사입되었다. 착색제 (TiO2)가 필름에 백색 매트 외관을 나타내기 위해 합체되었다. 사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공 보조제가 사용되었다. 항-블록킹제 및 UV 흡수제도 또한 사용되었다. 이 필름은 55 미크론의 두께를 가졌다. 점착층과 접촉되어 지기 위한 표면은 그런 다음 코로나-처리되었다.
점착성 조성물은 20 미크론의 두께에 상당하고 20 g/㎡의 건조 코팅을 얻기 위해 이 분야의 통상인에게 잘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 하에서 지지 필름 상에 도포되어지고, 그런 다음 코팅은 85℃에서 5초 동안 건조되어 진다.
이 필름은 폴리우레탄 타입의 래커로 미리 래커된 자동차 플레이트에 수공으로 적용되어, 적용 한 시간 후에, 약 200 cN/cm의 탈접합력(180°벗김, 벗김율 = 300 mm/min, 실온에서 측정)에 의해 측정된 접합 정도를 가진다. 300 시간 동안 QUV-타입 테스트 (40℃ 및 100% 상대 습도에서 4시간 그리고 나서, UV 방사 하에서 4시간 동안의 주기) 후, 점착성의 수준은 약 300 cN/cm이었고 자동차 래커는 보호 필름이 제거되어 지고 난 후 점착의 흔적 또는 잔해가 거의 없었다.
실시예 2
점착성 조성물은 조성물에 대해 50%의 고체 함량을 얻기 위해 100 중량부의 아크릴성 분산체 (Acronal® DS3559) 및 3 중량부의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 (Desmodur® DA-L (Bayer사제))를 혼합함에 의해 제조되었다.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가 에틸 아세테이트에 50% 예비 혼합의 형태로 분산체에 사입되었다. 항-노화제 (Tinuvin® 770)가 혼합물에 0.5 중량부의 양으로 합체되었다.
지지 필름은 이 분야의 통상인에게 잘 알려진 통상적인 조건 하에서, 삼-층 공사출 장비를 사용하여 주조 또는 브로우 공사출에 의해 제조되었다. 0.924 밀도 및 0.7 용융 유동 지수의 라디칼 폴리에틸렌이 익스트루더 1에 사입되고; 0.924 밀도 및 0.7 용융 유동 지수의 라디칼 폴리에틸렌과 0.925 밀도 및 0.7 용융 유동 지수의 선형 폴리에틸렌 (부텐 공단량체)의 90/10 중량비의 혼합물이 익스트루더 2에 사입되고; 그리고 0.924 밀도 및 0.7 용융 유동 지수의 라디칼 폴리에틸렌이 익스트루더 3에 사입되었다. 착색제 (TiO2)가 필름에 백색 매트 외관을 나타내기 위해 합체되었다. 사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공 보조제가 사용되었다. 항-블록킹제 및 UV 흡수제도 또한 사용되었다. 이 필름은 45 미크론의 두께를 가졌다. 점착층과 접촉되어 지기 위한 표면은 그런 다음 코로나-처리되었다.
점착성 조성물은 20 미크론의 두께에 상당하고 20 g/㎡의 건조 코팅을 얻기 위해 이 분야의 통상인에게 잘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 하에서 지지 필름 상에 도포되어지고, 그런 다음 코팅은 85℃에서 5초 동안 건조되어 진다.
이 필름은 폴리우레탄 타입의 래커로 미리 래커된 자동차 플레이트에 수공으로 적용되어, 적용 한 시간 후에, 약 210 cN/cm의 탈접합력(180°벗김, 벗김율 = 300 mm/min, 실온에서 측정)에 의해 측정된 접합 정도를 가진다. 300 시간 동안 QUV-타입 테스트 (40℃ 및 100% 상대 습도에서 4시간 그리고 나서, UV 방사 하에서 4시간 동안의 주기) 후, 점착성의 수준은 약 310 cN/cm이었고 자동차 래커는 보호 필름이 제거되어 지고 난 후 점착의 흔적 또는 잔해가 거의 없었다.
실시예 3
점착성 조성물은 조성물에 대해 50%의 고체 함량을 얻기 위해 100 중량부의 아크릴성 분산체 (Acronal® DS3559), 일 중량부의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 (Desmodur® DA-L (Bayer사제)) 및 0.15 중량부의 아지리딘 가교제 (Neocryl CX100)를 혼합함에 의해 제조되었다.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가 에틸 아세테이트에 50% 예비 혼합의 형태로 분산체에 사입되었다. 아지리딘 가교제는 메톡시프로판올 아세테이트에 50% 예비 혼합의 형태로 분산체에 사입되었다. 항-노화제 (Tinuvin® 770)가 혼합물에 0.5 중량부의 양으로 합체되었다.
지지 필름은 이 분야의 통상인에게 잘 알려진 통상적인 조건 하에서, 삼-층 공사출 장비를 사용하여 주조 또는 브로우 공사출에 의해 제조되었다. 0.924 밀도 및 0.7 용융 유동 지수의 라디칼 폴리에틸렌이 익스트루더 1에 사입되고; 0.924 밀도 및 0.7 용융 유동 지수의 라디칼 폴리에틸렌과 0.925 밀도 및 0.7 용융 유동 지수의 선형 폴리에틸렌 (부텐 공단량체)의 90/10 중량비의 혼합물이 익스트루더 2에 사입되고; 그리고 0.924 밀도 및 0.7 용융 유동 지수의 라디칼 폴리에틸렌이 익스트루더 3에 사입되었다. 착색제 (TiO2)가 필름에 백색 매트 외관을 나타내기 위해 합체되었다. 사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공 보조제가 사용되었다. 항-블록킹제 및 UV 흡수제도 또한 사용되었다. 이 필름은 45 미크론의 두께를 가졌다. 점착층과 접촉되어 지기 위한 표면은 그런 다음 코로나-처리되었다.
점착성 조성물은 20 미크론의 두께에 상당하고 20 g/㎡의 건조 코팅을 얻기 위해 이 분야의 통상인에게 잘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 하에서 지지 필름 상에 도포되어지고, 그런 다음 코팅은 85℃에서 5초 동안 건조되어 진다.
이 필름은 폴리우레탄 타입의 래커로 미리 래커된 자동차 플레이트에 수공으로 적용되어, 적용 한 시간 후에, 약 210 cN/cm의 탈접합력(180°벗김, 벗김율 = 300 mm/min, 실온에서 측정)에 의해 측정된 접합 정도를 가진다. 300 시간 동안 QUV-타입 테스트 (40℃ 및 100% 상대 습도에서 4시간 그리고 나서, UV 방사 하에서 4시간 동안의 주기) 후, 점착성의 수준은 약 310 cN/cm이었고 자동차 래커는 보호 필름이 제거되어 지고 난 후 점착의 흔적 또는 잔해가 거의 없었다.
실시예 4
점착성 조성물은 조성물에 대해 50%의 고체 함량을 얻기 위해 100 중량부의 아크릴성 분산체 (Acronal® A240), 및 3 중량부의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 (Desmodur® DA-L)를 혼합함에 의해 제조되었다.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가 에틸 아세테이트에 50% 예비 혼합의 형태로 분산체에 사입되었다. 항-노화제 (Irganox® 5057)가 혼합물에 0.5 중량부의 양으로 합체되었다.
지지 필름은 이 분야의 통상인에게 잘 알려진 통상적인 조건 하에서, 삼-층 공사출 장비를 사용하여 주조 또는 브로우 공사출에 의해 제조되었다. 0.924 밀도 및 0.7 용융 유동 지수의 라디칼 폴리에틸렌이 익스트루더 1에 사입되고; 0.924 밀도 및 0.7 용융 유동 지수의 라디칼 폴리에틸렌과 0.925 밀도 및 0.7 용융 유동 지수의 선형 폴리에틸렌 (부텐 공단량체)의 90/10 중량비의 혼합물이 익스트루더 2에 사입되고; 그리고 0.924 밀도 및 0.7 용융 유동 지수의 라디칼 폴리에틸렌과 2.5 용융 유동 지수의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93/7)의 60/40 중량비의 혼합물이 익스트루더 3에 사입되어, 후자의 혼합물로부터 얻어진 층은 도포 층이 되도록 된다. 착색제 (TiO2)가 필름에 백색 매트 외관을 나타내기 위해 합체되었다. 사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공 보조제가 사용되었다. 항-블록킹제 및 UV 흡수제도 또한 사용되었다. 이 필름은 40 미크론의 두께를 가졌다. 점착층과 접촉되어 지기 위한 표면은 그런 다음 코로나-처리되었다.
점착성 조성물은 15 미크론의 두께에 상당하고 15 g/㎡의 건조 코팅을 얻기 위해 이 분야의 통상인에게 잘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 하에서 지지 필름 상에 도포되어지고, 그런 다음 코팅은 85℃에서 5초 동안 건조되어 진다.
이 필름은 폴리우레탄 타입의 래커로 미리 래커된 자동차 플레이트에 수공으로 적용되어, 적용 한 시간 후에, 약 210 cN/cm의 탈접합력(180°벗김, 벗김율 = 300 mm/min, 실온에서 측정)에 의해 측정된 접합 정도를 가진다. 14일 동안 온도/습도 테스트 (23℃ 및 100% 상대 습도에서 6시간 그리고 나서, 40℃ 및 100% 상대 습도에서 6시간의 주기) 후, 자동차 래커는 보호 필름이 제거되어 지고 난 후 점착의 흔적 또는 잔해가 거의 없었다.
실시예 5
점착성 조성물은 조성물에 대해 50%의 고체 함량을 얻기 위해 100 중량부의 아크릴성 분산체 (Acronal® DS3559), 30 중량부의 Acronal® LA449S 및 0.25 중량부의 아지리딘 가교제 (Neocryl CX100)를 혼합함에 의해 제조되었다.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가 에틸 아세테이트에 50% 예비 혼합의 형태로 분산체에 사입되었다. 아지리딘 가교제는 메톡시프로판올 아세테이트에 50% 예비 혼합의 형태로 분산체에 사입되었다. 항-노화제 (Irganox® 5057)가 혼합물에 0.5 중량부의 양으로 합체되었다.
지지 필름은 이 분야의 통상인에게 잘 알려진 통상적인 조건 하에서, 삼-층 공사출 장비를 사용하여 주조 또는 브로우 공사출에 의해 제조되었다. 0.924 밀도 및 0.7 용융 유동 지수의 라디칼 폴리에틸렌이 익스트루더 1에 사입되고; 0.924 밀 도 및 0.7 용융 유동 지수의 라디칼 폴리에틸렌과 0.925 밀도 및 0.7 용융 유동 지수의 선형 폴리에틸렌 (부텐 공단량체)의 90/10 중량비의 혼합물이 익스트루더 2에 사입되고; 그리고 0.924 밀도 및 0.7 용융 유동 지수의 라디칼 폴리에틸렌과 2.5 용융 유동 지수의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93/7)의 60/40 중량비의 혼합물이 익스트루더 3에 사입되어, 후자의 혼합물로부터 얻어진 층은 도포 층이 되도록 된다. 착색제 (TiO2)가 필름에 백색 매트 외관을 나타내기 위해 합체되었다. 사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공 보조제가 사용되었다. 항-블록킹제 및 UV 흡수제도 또한 사용되었다. 이 필름은 40 미크론의 두께를 가졌다. 점착층과 접촉되어 지기 위한 표면은 그런 다음 코로나-처리되었다.
점착성 조성물은 20 미크론의 두께에 상당하고 20 g/㎡의 건조 코팅을 얻기 위해 이 분야의 통상인에게 잘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 하에서 지지 필름 상에 도포되어지고, 그런 다음 코팅은 85℃에서 5초 동안 건조되어 진다.
이 필름은 폴리우레탄 타입의 래커로 미리 래커된 자동차 플레이트에 수공으로 적용되어, 적용 한 시간 후에, 약 150 cN/cm의 탈접합력(180°벗김, 벗김율 = 300 mm/min, 실온에서 측정)에 의해 측정된 접합 정도를 가진다. 14일 동안 온도/습도 테스트 (23℃ 및 100% 상대 습도에서 6시간 그리고 나서, 40℃ 및 100% 상대 습도에서 6시간의 주기) 후, 자동차 래커는 보호 필름이 제거되어 지고 난 후 점착의 흔적 또는 잔해가 거의 없었다.
실시예 6
점착성 조성물은 조성물에 대해 50%의 고체 함량을 얻기 위해 100 중량부의 아크릴성 분산체 (Acronal® DS3559) 및 0.25 중량부의 아지리딘 가교제 (Neocryl CX100®)를 혼합함에 의해 제조되었다. 아지리딘 가교제는 메톡시프로판올 아세테이트에 50% 예비 혼합의 형태로 분산체에 사입되었다. 0.5 중량부의 Tinuvin® 765와 0.5 중량부의 Irganox® 5057의 혼합물로 구성된 항-노화제가 또한 혼합물에 합체되었다.
지지 필름은 이 분야의 통상인에게 잘 알려진 통상적인 조건 하에서, 삼-층 공사출 장비를 사용하여 주조 또는 브로우 공사출에 의해 제조되었다. 0.924 밀도 및 0.7 용융 유동 지수의 라디칼 폴리에틸렌이 익스트루더 1에 사입되고; 0.924 밀도 및 0.7 용융 유동 지수의 라디칼 폴리에틸렌과 0.925 밀도 및 0.7 용융 유동 지수의 선형 폴리에틸렌 (부텐 공단량체)의 90/10 중량비의 혼합물이 익스트루더 2에 사입되고; 그리고 0.924 밀도 및 0.7 용융 유동 지수의 라디칼 폴리에틸렌이 익스트루더 3에 사입되었다. 착색제 (TiO2)가 필름에 백색 매트 외관을 나타내기 위해 합체되었다. 사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공 보조제가 사용되었다. 항-블록킹제 및 UV 흡수제도 또한 사용되었다. 이 필름은 45 미크론의 두께를 가졌다. 점착층과 접촉되어 지기 위한 표면은 그런 다음 코로나-처리되었다.
점착성 조성물은 20 미크론의 두께에 상당하고 20 g/㎡의 건조 코팅을 얻기 위해 이 분야의 통상인에게 잘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 하에서 지지 필름 상에 도포 되어지고, 그런 다음 코팅은 85℃에서 5초 동안 건조되어 진다.
이 필름이 자동차 플레이트에 수공으로 적용될 때, 그의 최외부 층은 두 화합물의 혼합물로부터 얻어지고, 제2 화합물은 이소시아네이트 타입의 것이고, 탈접합력(180°벗김, 벗김율 = 300 mm/min, 실온에서 측정)에 의해 측정된 그의 점착성의 정도는 적용되어 진 한 시간 후에, 약 240 cN/cm 이었다. 14일 동안 온도/습도 테스트 (23℃ 및 100% 상대 습도에서 6시간 그리고 나서, 40℃ 및 100% 상대 습도에서 6시간의 주기) 후, 자동차 래커는 보호 필름이 제거되어 지고 난 후 점착의 흔적 또는 잔해가 거의 없었다. 보다 자세하게는, 관측될 수 있는 흔적은 프로필 측정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것으로 각각 0.24 및 0.14 mm의 특정적 차원 L 및 H를 가진다(도 2). 이들 차원은 약 30cm의 거리에서 래커를 관찰하는 관찰자에게 흔적을 보는 것을 어렵게 한다.

Claims (14)

  1. ㆍ40 내지 70중량%의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0 내지 40중량%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5 내지 15중량%의 비닐 아세테이트, 0중량% 초과 8중량% 이하의 스틸렌 및 2 내지 5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량체류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에멀젼 중합화에 의해 얻어진 100 중량부의 수성 아크릴성 분산체;
    ㆍ지방족화합물 또는 지방족 고리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 타입의 가교제, 아지리딘 타입의 가교제, 카르보디이미드 타입의 가교제, 및 에폭시 타입의 가교제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가교화 제제로 구성되는, 0.05 내지 30 중량부의 수성 상으로 합체될 수 있는 가교계(crosslinking system); 및
    ㆍ0 중량부 초과 5 중량부 이하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항-노화제
    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도포된 지지층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차체 보호용 압력-민감성 점착 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의 가교계는 0.1 내지 15.5 중량부로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필름.
  3.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카르복실기를 담지하는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퓨말산, 말레이산 및 이들의 유도체류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아크릴성 분산체의 평균 입자 사이즈는 500nm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계는:
    - 0.5 내지 3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 0.05 내지 3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 아지리딘(aziridine);
    - 0.1 내지 3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 카르보디이미드(carbodiimide);
    - 0.1 내지 6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 에폭시(epoxy);
    - 또는 0.05 내지 0.5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 아지리딘 및 1 내지 15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 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계는:
    - 1 내지 15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 0.1 내지 1.5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 아지리딘(aziridine);
    - 0.1 내지 15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 카르보디이미드(carbodiimide);
    - 또는 0.2 내지 3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 에폭시(epoxy);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단층 또는 다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삼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의 각 층은 라디칼 폴리에틸렌, 에틸렌과 C3-C8 올레핀 단량체의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또는 이들 화합물의 혼합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와 에틸렌/아크릴 유도체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폴리올레핀류를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11. 자동차 차체의 보호를 위한 청구항 1 내지 8 또는 10의 어느 하나에 정의된 점착 필름으로 된 보호필름.
  12. ㆍ40 내지 70중량%의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0 내지 40중량%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5 내지 15중량%의 비닐 아세테이트, 0 중량% 초과 8중량% 이하의 스틸렌 및 2 내지 5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량체류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에멀젼 중합화에 의해 얻어진 100 중량부의 수성 아크릴성 분산체;
    ㆍ지방족화합물 또는 지방족 고리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 타입의 가교제, 아지리딘 타입의 가교제, 카르보디이미드 타입의 가교제, 및 에폭시 타입의 가교제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가교화 제제로 구성되는, 0.05 내지 30 중량부의 수성 상으로 합체될 수 있는 가교계; 및
    ㆍ0 중량부 초과 5 중량부 이하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항-노화제
    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도포된 점착층이 5 내지 30 미크론의 두께와 0.001 내지 1 중량%의 잔여 수분 함량을 가지도록 하는 도포 조건 하에서 지지층을 도포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차체 보호용 압력-민감성 점착 필름의 제조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50 내지 95℃ 사이의 온도에서, 1 내지 30초 사이에 시간 동안 도포된 지지체 층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의 제조방법.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계는:
    - 0.5 내지 3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 0.05 내지 3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 아지리딘(aziridine);
    - 0.1 내지 3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 카르보디이미드(carbodiimide);
    - 0.1 내지 6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 에폭시(epoxy);
    - 또는 0.05 내지 0.5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 아지리딘 및 1 내지 15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 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의 제조방법.
KR1020067021188A 2004-04-13 2006-10-12 압력-민감성 접착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2189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290974A EP1586593A1 (fr) 2004-04-13 2004-04-13 Film de protection pour carrosseries automobiles
EP04290974.7 2004-04-13
PCT/FR2005/000606 WO2005111101A1 (fr) 2004-04-13 2005-03-14 Film adhesif sensible a la pression,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225A KR20070001225A (ko) 2007-01-03
KR101218940B1 true KR101218940B1 (ko) 2013-01-04

Family

ID=34931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1188A KR101218940B1 (ko) 2004-04-13 2006-10-12 압력-민감성 접착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2) US20080286570A1 (ko)
EP (2) EP1586593A1 (ko)
JP (1) JP5025463B2 (ko)
KR (1) KR101218940B1 (ko)
CN (1) CN100549049C (ko)
AT (1) ATE464333T1 (ko)
BR (1) BRPI0509811A (ko)
CA (1) CA2562560A1 (ko)
DE (1) DE602005020612D1 (ko)
ES (1) ES2344652T3 (ko)
MX (1) MXPA06011800A (ko)
PL (1) PL1751196T3 (ko)
PT (1) PT1751196E (ko)
RU (1) RU2388778C2 (ko)
SI (1) SI1751196T1 (ko)
WO (1) WO20051111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83321A3 (en) * 2007-11-28 2012-02-01 Nitto Denko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an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tape comprising an adhesive composition produced by said process
JP5507055B2 (ja) * 2008-03-31 2014-05-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JP5315750B2 (ja) * 2008-03-31 2013-10-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粘着フィルム
KR20110015465A (ko) * 2008-06-09 2011-02-15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아지리딘 가교결합제를 갖는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
US20100316843A1 (en) * 2009-05-21 2010-12-16 Lih-Long Chu Polymer film comprising roughening material
WO2011009800A1 (en) * 2009-07-21 2011-01-27 Basf Se Film-to-film laminate, made by using an aqueous polymer dispersion as adhesive agent
JP5607337B2 (ja) * 2009-10-27 2014-10-1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水分散型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09055019A1 (de) 2009-12-18 2011-06-22 tesa SE, 20253 Selbstklebende Schutzfolie zum temporären Schutz von Fahrzeuglacken
JP2011148943A (ja) * 2010-01-25 2011-08-04 Nitto Denko Corp 保護シートおよびその利用
KR101229548B1 (ko) * 2010-05-13 2013-02-15 에이케이켐텍 주식회사 광중합성기 함유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중합성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
KR101362866B1 (ko) * 2010-12-23 2014-02-14 제일모직주식회사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한 광학 부재
JP2015513486A (ja) * 2012-02-29 2015-05-14 ノーベル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イチディー. ポリマー物品の作成方法及び得られる物品
CN103059783B (zh) * 2012-12-26 2015-02-25 海南必凯水性涂料有限公司 一种用于塑料薄膜复合的改性水性丙烯酸酯复膜胶及其制备方法、应用
CN103131354B (zh) * 2013-03-05 2015-02-25 东北林业大学 苯乙烯改性聚醋酸乙烯酯乳液及其制备方法
FR3005661B1 (fr) 2013-05-16 2016-06-10 Novacel Sa Film adhesif sensible a la pression et son utilisation pour la protection de surfaces
CN103540217B (zh) * 2013-10-08 2016-06-01 雅图高新材料有限公司 一种用氮丙啶交联的丙烯酸酯树脂双组份水性汽车涂料及其制备方法
CN105683325B (zh) * 2013-10-29 2018-10-26 日东电工株式会社 表面保护片及表面保护片用水分散型粘合剂组合物
CN105705603A (zh) 2013-10-29 2016-06-22 日东电工株式会社 表面保护片
JP6724722B2 (ja) * 2016-10-28 2020-07-15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加飾シート用保護フィルム、および保護フィルム付加飾シート
KR102209391B1 (ko) 2016-12-21 2021-0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키스택이 우수한 점착제 조성물
JP7018301B2 (ja) * 2017-11-29 2022-02-10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積層フィルム及び一時粘着保護剥離シート
US11753566B2 (en) 2019-01-31 2023-09-12 Synthomer Adhesive Technologies Llc Low volatile tackifier compositions
WO2023034642A1 (en) 2021-09-06 2023-03-09 Metaland Llc Encapsulating a metal inlay with thermosetting resin and method for making a metal transaction card
CN114316808A (zh) * 2021-12-31 2022-04-12 烟台泰盛精化科技有限公司 一种丙烯酸酯结构胶及其制备方法、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186955A (en) * 1977-04-25 1980-10-08 Ici Ltd Coating process using a sprayable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ester and polymeric microparticles
JPS58196276A (ja) * 1982-05-13 1983-11-15 Toyo Ink Mfg Co Ltd 感圧性接着剤
JPH0819395B2 (ja) * 1991-03-28 1996-02-28 昭和高分子株式会社 転写塗工が可能な再剥離型粘着剤組成物
JPH06330001A (ja) * 1992-09-28 1994-11-29 Mitsui Toatsu Chem Inc 分解性粘着フィルム
ES2133839T3 (es) * 1994-12-21 1999-09-16 Zeneca Ltd Metodo de injerto.
DE19649383A1 (de) * 1996-11-29 1998-06-04 Basf Ag Kaschierklebstoffe
JP4078758B2 (ja) * 1998-08-04 2008-04-23 東亞合成株式会社 エマルジョン型粘着剤又は接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EP1123801B1 (en) * 1999-07-14 2004-11-24 Nichiban Company Limited Surface-protectiv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JP4572007B2 (ja) * 1999-11-02 2010-10-27 日東電工株式会社 水分散型再剥離用感圧接着剤とその接着シ―ト類
JP3394947B2 (ja) * 2000-02-24 2003-04-0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および粘着テープ基材
DE10141502A1 (de) * 2001-08-24 2003-06-12 Tesa Ag Klebeband, insbesondere Verpackungsklebeband, mit einem Träger auf Basis einer gereckten Thermoplastfolie, der einseitig mit einer Klebemasse beschichtet ist
US6919406B2 (en) * 2002-05-30 2005-07-19 The Xlo Group Of Companies, Inc. Modified polyolefin films
DE10229733A1 (de) * 2002-07-02 2004-01-22 Basf Ag Haftklebstoffe für Träger aus Weich-PV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49049C (zh) 2009-10-14
RU2388778C2 (ru) 2010-05-10
JP2007532744A (ja) 2007-11-15
PL1751196T3 (pl) 2010-09-30
EP1586593A1 (fr) 2005-10-19
CA2562560A1 (en) 2005-11-24
BRPI0509811A (pt) 2007-09-18
EP1751196A1 (fr) 2007-02-14
US20100255300A1 (en) 2010-10-07
DE602005020612D1 (de) 2010-05-27
EP1751196B1 (fr) 2010-04-14
PT1751196E (pt) 2010-07-13
SI1751196T1 (sl) 2010-08-31
JP5025463B2 (ja) 2012-09-12
CN1954000A (zh) 2007-04-25
KR20070001225A (ko) 2007-01-03
MXPA06011800A (es) 2007-01-26
ES2344652T3 (es) 2010-09-02
RU2006136021A (ru) 2008-05-20
WO2005111101A1 (fr) 2005-11-24
ATE464333T1 (de) 2010-04-15
US20080286570A1 (en) 2008-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940B1 (ko) 압력-민감성 접착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US6803101B1 (en) Unoriented surface-protection film of polypropylene block copolymers
US20080202663A1 (en) Surface protection film with low unwind force
US20050042444A1 (en) Self-adhesive protective sheet for temporary protection of vehicle finishes
KR19990013832A (ko) 점착 보호 필름
JPH11236539A (ja) オレフイン・ゴム接着剤をもつ自己接着性保護フイルム
US20130244029A1 (en) Paint protection sheet
US20160108291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and use of same for protecting surfaces
CA2937601A1 (en) Adhesive tape
JPWO2005090453A1 (ja) 自動車ブレーキディスクアンチラストフィルム用表面基材フィルム
US7112371B2 (en) Surface protecting film for painted surfaces, comprising polyurethane-based pressure-sensitive composition
US20040253464A1 (en) Surface protection film for painted surfaces with an adhesive based on hydrogenated block copolymers
US20040241372A1 (en) Surface protection film for painted surfaces with an adhesive based on hydrogenated block copolymers
US6811869B2 (en) Self-adhesive sheet for protecting vehicle finishes
CA2937602A1 (en) Adhesive tape
KR20180034415A (ko) 압력 감응 접착 필름 및 표면 보호를 위한 그것의 용도
US6517937B2 (en) Self-adhesive protective film especially for painted vehicles or vehicle parts
JP5358108B2 (ja) ホイール保護用フィルム
JP2000265136A (ja) 自動車塗膜保護用フィルム
JP4514253B2 (ja) マーキングフィルム
JP2001131506A (ja) マーキングフィルム
JP2000265130A (ja) 粘着シート
JP2001115108A (ja) マーキング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