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158B1 - 전자 밸브 - Google Patents

전자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158B1
KR101216158B1 KR1020100137860A KR20100137860A KR101216158B1 KR 101216158 B1 KR101216158 B1 KR 101216158B1 KR 1020100137860 A KR1020100137860 A KR 1020100137860A KR 20100137860 A KR20100137860 A KR 20100137860A KR 101216158 B1 KR101216158 B1 KR 101216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body
gasket
piston chamb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7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2750A (ko
Inventor
기요토키 나츠메
Original Assignee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12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15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 Valve Housing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밸브 보디(12), 제1 및 제2 피스톤실 형성체(21, 26)의 각 상면은 대략 동일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밸브 보디(12), 제1 및 제2 피스톤 형성체(21, 26)의 각 상면과 밸브부 커버(41)의 개구 가장자리 사이에는, 제1 가스킷(42)이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연결 부위의 각각에서, 제2 가스킷(51)의 돌출 씨일부(51b)가 제1 가스킷(42)과 밀착하고 있다. 제1 연결 부위는 밸브 보디(12)와 제1 피스톤실 형성체(21)의 연결 부위이고, 제2 연결 부위는 밸브 보디(12)와 제2 피스톤실 형성체(26)의 연결 부위이다.

Description

전자 밸브{SOLENOID VALVE}
본 발명은 전자(電磁) 밸브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9-273651호 공보에 개시된 파일럿식 전자 밸브는, 매니폴드 베이스와, 매니폴드 베이스 상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파일럿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및 제2 파일럿 밸브는, 밸브체와, 밸브체를 구동하는 솔레노이드와, 솔레노이드로의 통전에 필요한 전자 부품을 구비하고 있다. 솔레노이드 및 전자 부품은 제1 및 제2 파일럿 밸브의 통전계, 즉 전자(電磁) 구동부를 구성하고 있다.
매니폴드 베이스 상에는, 밸브체(주 밸브체)를 구비한 주 밸브(주 밸브부)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체는, 제1 및 제2 파일럿 밸브에 의한 파일럿 유체의 공급에 기초하여 구동된다. 매니폴드 베이스는, 제1 및 제2 파일럿 밸브의 설치면과, 주 밸브의 설치면을 구비하고 있다. 주 밸브는, 밸브체를 수용하는 밸브 케이싱을 구비하고 있다. 밸브 케이싱은, 밸브 보디와, 밸브 보디의 양단의 각각에 설치되는 한 쌍의 피스톤 박스(연결 보디)를 구비하고 있다. 밸브 보디, 제1 및 제2 피스톤 박스는, 나사에 의해 서로 연결 및 일체화되어 있다.
매니폴드 베이스 상에는, 방수 커버가 제1 및 제2 파일럿 밸브 및 통전계를 덮도록 장착되어 있다. 방수 커버는, 매니폴드 베이스의 상면과의 사이에 패킹을 배치한 상태로, 장착 나사에 의해 매니폴드 베이스에 대하여 기밀하게 장착되어 있다. 방수 커버에 의해, 제1 및 제2 파일럿 밸브의 통전계가 방수된다. 따라서, 물 등의 액체가 비산하는 작업 환경이나 고습도의 작업 환경이더라도, 파일럿식 전자 밸브를 사용할 수 있어, 물에 의한 문제점이 없어진다.
그런데, 상기한 파일럿식 전자 밸브에서는, 파일럿 밸브를 밸브 케이싱의 상면에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통전계의 방수를 목적으로 하여, 파일럿 밸브를 덮기 위한 방수 커버를, 밸브 케이싱 상에 기밀하게 장착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밸브 보디 및 피스톤 박스의 연결 부위와 방수 커버가 서로 겹치는 부분의 방수성이 확보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파일럿 밸브의 통전계가 방수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파일럿 유체의 공급에 기초하여 주 밸브체를 구동시키는 파일럿식 전자 밸브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의 여자(勵磁)에 의해 플런저(plunger)를 왕복동시켜 주 밸브체를 구동시키는 전자 밸브에 있어서도 상기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일본국 특개평9-273651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 보디와 연결 보디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밸브 케이싱 상의 전자 구동부의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전자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면, 주 밸브체와, 주 밸브체를 왕복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밸브 케이싱과, 밸브 케이싱 상에 배치된 전자 구동부와, 밸브 케이싱 상에 적어도 전자 구동부를 덮도록 장착되며, 또한 하방으로 개구된 박스 형상의 커버를 구비하는 전자 밸브가 제공된다. 밸브 케이싱은, 주 밸브체를 수용하는 밸브 보디와, 밸브 보디의 양단 중 적어도 한 쪽에 연결되는 연결 보디로 구성되어 있다. 밸브 보디 및 연결 보디의 각 상면은 대략 동일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밸브 보디 및 연결 보디의 각 상면과 커버의 개구 가장자리 사이에는, 제1 씨일(seal)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밸브 보디와 연결 보디 사이에는, 제2 씨일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제2 씨일 수단은, 밸브 보디와 연결 보디의 연결 부위에 설치되어 제1 씨일 수단과 밀착하는 돌출 씨일부를 가지고 있다. 돌출 씨일부는, 제2 씨일 수단에 일체화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파일럿형 전자 밸브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2-2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3-3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제1 가스킷과 돌출 씨일부가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파일럿형 전자 밸브로 구체화한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4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일럿형 전자 밸브(10)는, 주 밸브부(V)와 파일럿 밸브부(31)와, 커버로서의 밸브부 커버(41)를 구비하고 있다. 파일럿 밸브부(31)는, 주 밸브부(V)의 밸브 케이싱(11) 상에 설치되어 있다. 밸브 커버(41)는, 밸브 케이싱(11)에 대하여, 파일럿 밸브부(31)를 덮도록 장착되어 있다.
밸브 케이싱(11)은, 밸브 보디(12)와, 연결 보디로서의 제1 피스톤실 형성체(21) 및 제2 피스톤실 형성체(26)로 구성되어 있다. 밸브 보디(12)는 직사각형 박스 형상을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피스톤실 형성체(21, 26)도 직사각형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피스톤실 형성체(21, 26)는 밸브 보디(12)의 양단에 연결되어 있다. 밸브 보디(12), 제1 및 제2 피스톤실 형성체(21, 26)는, 밸브 케이싱(11)의 긴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 및 연결되어 있다. 밸브 케이싱(11)의 긴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짧은 길이 방향으로 하여 이하에 기재한다.
밸브 보디(12), 제1 및 제2 피스톤실 형성체(21, 26)의 각 상면은 거의 동일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밸브 보디(12) 및 제1 피스톤실 형성체(21)는 연결 나사(B1)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다. 밸브 보디(12) 및 제2 피스톤실 형성체(26)는 연결 나사(B2)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다.
밸브 보디(12)의 내부에는, 수용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 구멍(13)은 밸브 보디(12)의 긴 길이 방향을 따라 뻗어 있다. 수용 구멍(13) 내에는, 스풀 밸브(14)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스풀 밸브(14)는 압축 에어(압축 유체)의 유로를 전환하는 주 밸브체로서 기능한다. 스풀 밸브(14)는 복수의 밸브(14a)를 가지고 있다. 각 밸브(14a)는 스풀 밸브(14)의 축 방향을 따라서, 그리고 서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다. 각 밸브(14a)의 지름은 스풀 밸브(14)의 축 지름(軸徑)보다도 크다.
밸브 보디(12)에는, 급기 포트(15), 제1 출력 포트(16), 제2 출력 포트(17), 제1 배기 포트(18), 및 제2 배기 포트(19)가 형성되어 있다. 스풀 밸브(14)가 제1 전환 위치로 이동하면, 급기 포트(15)와 제1 출력 포트(16)가 연통되고, 제2 출력 포트(17)와 제2 배기 포트(19)가 연통된다. 스풀 밸브(14)가 제2 전환 위치로 이동하면, 제1 출력 포트(16)와 제1 배기 포트(18)가 연통되고, 급기 포트(15)와 제2 출력 포트(17)가 연통된다.
제1 피스톤실 형성체(21)에는, 제1 피스톤실(2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피스톤실(22)은 수용 구멍(13)의 일단에 연통하고 있다. 제1 피스톤실(22)에는, 제1 피스톤(23)이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제1 피스톤(23)은 스풀 밸브(14)의 일단에 장착되어 있다. 제2 피스톤실 형성체(26)에는, 제2 피스톤실(27)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피스톤실(27)은 수용 구멍(13)의 타단에 연통하고 있다. 제2 피스톤실(27)에는, 제2 피스톤(28)이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제2 피스톤(28)은 스풀 밸브(14)의 타단에 장착되어 있다. 제2 피스톤(28)의 외부 지름은 제1 피스톤(23)의 외부 지름보다도 작고, 구체적으로는 제1 피스톤(23)의 수압(受壓) 면적의 약 1/2로 설정되어 있다.
제1 피스톤(23)은, 제1 피스톤실(22) 내로의 파일럿 유체의 공급에 기초하여 이동한다. 스풀 밸브(14)는 제1 피스톤(23)과 함께 이동한다. 제2 피스톤(28)의 단면(端面)과 제2 피스톤(28)의 단면에 대향하는 제2 피스톤실(27)의 내면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29)이 배치되어 있다. 스풀 밸브(14)는 코일 스프링(29)의 가압력(付勢力)에 의해 제1 피스톤실(22)을 향하여 항상 가압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피스톤실 형성체(21)의 단면에는, 끼워붙임(嵌着) 홈(21a)이 제1 피스톤실(22)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끼워붙임 홈(21a)에는, 제2 씨일 수단으로서의 제2 가스킷(51)이 끼워붙임되어 있다. 제2 가스킷(51)은 고무제이다. 제2 가스킷(51)은 제2 가스킷 본체부(51a)를 구비하고 있다. 제2 가스킷 본체부(51a)는 끼워붙임 홈(21a)을 따라 뻗는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가스킷(51)은 밸브 보디(12)와 제1 피스톤실 형성체(21)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제1 피스톤실(22)로부터의 파일럿 유체의 누출을 방지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피스톤실 형성체(26)의 단면에는, 끼워붙임 홈(26a)이 제2 피스톤실(27)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끼워붙임 홈(26a)에는, 제2 가스킷(51)이 끼워붙임되어 있다. 제2 가스킷(51)은 밸브보디(12)와 제2 피스톤실 형성체(26)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제2 피스톤실(27)로부터의 파일럿 유체의 누출을 방지한다.
파일럿 밸브부(31)는 전자 구동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전자 구동부(30)는 파일럿 유체를 제어하기 위해서 파일럿 밸브부(31)를 구동한다. 전자 구동부(30)는 기판(30b) 및 단자(30c)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판(30b)에는, 솔레노이드 코일(32) 및 솔레노이드 코일(32)로의 통전에 필요한 전자 부품(30a)이 장착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코일(32) 내에는, 플런저(33)가 왕복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플런저(33)는 코일 스프링(34)에 의해 솔레노이드 코일(32)의 외측을 향하여 가압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34)은 솔레노이드 코일(32)의 요크를 지점(支点)으로 하여 플런저(33)를 가압한다. 솔레노이드 코일(32)이 통전되어 여자되면, 플런저(33)는 코일 스프링(34)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솔레노이드 코일(32)의 내측을 향하여 이동한다.
도 1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일럿 밸브부(31)에는, 밸브실(35)이 설치되어 있다. 밸브실(35)에는, 고무제의 밸브체(36)가 배치되어 있다. 밸브실(35) 내에는, 밸브체(36)의 일단면과 면하는 제1 밸브자리(弁座; valve seat)(35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밸브실(35) 내에는, 밸브체(36)의 타단면과 면하는 제2 밸브자리(35b)가 마련되어 있다. 밸브체(36)의 일단면과 밸브체(36)의 일단면에 대향하는 플런저(33) 사이에는, 밸브 가이드(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체(36)의 타단면과 밸브체(36)의 타단면에 대향하는 밸브실(35)의 내면 사이에는, 밸브 가압 스프링(37)이 배치되어 있다.
제1 밸브자리(35a)에는, 배기 구멍(38)이 개구되어 있다. 제2 밸브자리(35b)에는, 급기 구멍(39)이 개구되어 있다. 밸브체(36)의 하방에는, 출력 구멍(40)이 개구되어 있다. 제1 피스톤실 형성체(21)에는, 급기 통로(39a)가 형성되어 있다. 급기 통로(39a)의 일단은 급기 구멍(39)에 연통되어 있다. 급기 통로(39a)의 타단은 밸브 보디(12)의 하면에 개구되어 있다. 급기 통로(39a)의 타단에는, 밸브 보디(12)의 하방에 배치되는 정압 공급 장치(미도시)로부터 파일럿 유체로서의 정압 공기가 공급된다.
제1 피스톤실 형성체(21)에는, 출력 통로(40a)가 형성되어 있다. 출력 통로(40a)의 일단은 파일럿 밸브부(31)의 출력 구멍(40)에 연통되어 있다. 출력 통로(40a)의 타단은 제1 피스톤실(22)의 내측면에 개구되어 있다. 파일럿 유체는 출력 구멍(40) 및 출력 통로(40a)를 통과하여, 제1 피스톤실(22) 내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제1 피스톤(23)이 이동하여, 스풀 밸브(14)가 제1 피스톤(23)과 함께 이동한다. 제1 피스톤실 형성체(21)에는, 배기 통로(38a)가 형성되어 있다. 배기 통로(38a)의 일단은 파일럿 밸브부(31)의 배기 구멍(38)에 연통되어 있다. 배기 통로(38a)의 타단은 밸브 보디(12)의 하면에 개구되어 있다. 배기 통로(38a)의 타단에는, 도시하지 않은 배기관이 접속된다. 파일럿 밸브부(31)는 밸브 케이싱(11) 상에서, 제1 피스톤실 형성체(21)의 상면으로부터 밸브 보디(12)의 상면에 걸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밸브 케이싱(11) 상에는, 파일럿 밸브부(31) 및 전자 구동부(30)를 덮는 밸브부 커버(41)가 장착되어 있다. 밸브부 커버(41)는 하방으로 개구된 가늘고 긴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부 커버(41)의 긴 길이 방향은 밸브 케이싱의 긴 길이방향과 일치한다. 밸브부 커버(41)의 짧은 길이 방향은 밸브 케이싱(11)의 짧은 길이 방향과 일치한다. 밸브부 커버(41)는 그 개구 가장자리를 밸브 보디(12), 제1 및 제2 피스톤실 형성체(21, 26) 상에 걸치도록 하여, 장착 나사(미도시)에 의해 밸브 케이싱(11)에 대하여 장착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커버(41)에는, 그 개구 가장자리의 전체 둘레를 따라 뻗는 끼워붙임 홈(41a)이 형성되어 있다. 끼워붙임 홈(41a)에는, 제1 씨일 수단으로서의 제1 가스킷(42)이 끼워붙임되어 있다. 제1 가스킷(42)은 고무제이다. 제1 가스킷(42)은 제1 가스킷 본체부(42a)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가스킷 본체부(42a)는 끼워붙임 홈(41a)을 따라 뻗는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가스킷(42)은 밸브 케이싱(11)과, 밸브 케이싱(11) 상에 장착된 밸브부 커버(4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가스킷 본체부(42a)는 밸브부 커버(41)의 개구를 향하여 팽출(膨出)하는 복수의 팽출부(43)를 더 가지고 있다. 각 팽출부(43)는 밸브 보디(12)와 제1 피스톤실 형성체(21)의 연결 부위(이하 "제1 연결 부위"라 칭함), 및 밸브 보디(12)와 제2 피스톤실 형성체(26)의 연결 부위(이하 "제2 연결 부위"라 칭함)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2 중, 밸브 보디(12)와 제1 피스톤실 형성체(21)의 연결면(R1)(제1 연결 부위)을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밸브 보디(12)와 제2 피스톤실 형성체(26)의 연결면(R2)(제2 연결 부위)을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도 2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팽출부(43)는 연장부(43a, 43b) 및 교차부(43c)로 이루어진다. 각 연장부(43a, 43b)는 제1 가스킷 본체부(42a)로부터 밸브부 커버(41)의 개구를 향하여 각각 뻗고, 또한 서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다. 교차부(43c)는 양 연장부(43a, 43b)를 연결함과 함께, 제1 연결 부위의 연결면(R1) 및 제2 연결 부위의 연결면(R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다. 공간 K는 제1 가스킷 본체부(42a), 연장부(43a, 43b) 및 교차부(43c)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다. 교차부(43c)는 제1 연결 부위의 연결면(R1) 또는 제2 연결 부위의 연결면(R2) 위를 통과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가스킷(51)은 제2 가스킷 본체부(51a)와, 제2 가스킷 본체부(51a)에 일체 성형되는 한 쌍의 돌출 씨일부(51b)를 구비하고 있다. 각 돌출 씨일부(51b)는 제1 피스톤실 형성체(21)의 상면을 향하여 각각 돌출되어 있다. 제2 가스킷(51)을 끼워붙임 홈(21a)에 끼워붙임한 상태에서, 돌출 씨일부(51b)의 상측 가장자리부(511b)는 제1 피스톤실 형성체(21)의 상면보다도 상방으로 약간 돌출하고 있다.
돌출 씨일부(51b)의 상측 가장자리부(511b)는 제1 피스톤실 형성체(21)에 위치하는 2개의 팽출부(43)의 각각과 서로 겹친다. 제1 가스킷(42)의 각 팽출부(43)는 돌출 씨일부(51b)와 서로 겹치는 부위를 2개소씩 가지고 있다. 상기 서로 겹치는 부위의 각각은 밸브부 커버(41)의 짧은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가스킷(42)의 팽출부(43)에서는, 제1 가스킷 본체부(42a) 및 교차부(43c)의 각각이 돌출 씨일부(51b)와 접촉하고 있다. 제1 가스킷 본체부(42a) 및 교차부(43c)와 돌출 씨일부(51b)의 각 접촉 부분은 밸브부 커버(41)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2열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2 피스톤실 형성체(26)의 단면에 끼워붙임된 제2 가스킷(51)도, 제1 피스톤실 형성체(21)의 단면에 끼워붙임된 제1 가스킷(42)과 마찬가지로, 한 쌍의 돌출 씨일부(51b)를 구비하고 있다. 각 돌출 씨일부(51b)의 상측 가장자리부(511b)는 제2 피스톤실 형성체(26)에 위치하는 2개의 팽출부(43)의 각각과 서로 겹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케이싱(11) 상에 파일럿 밸브부(31)를 설치한 상태에서, 밸브부 커버(41)가 밸브 케이싱(11) 상에 장착된다. 밸브 보디(12), 제1 및 제2 피스톤실 형성체(21, 26)의 각 상면이 각각 대략 동일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가스킷 본체부(42a)는 밸브 보디(12), 제1 및 제2 피스톤실 형성체(21, 26)의 각 상면에 걸침과 함께 밀착된다. 이에 따라, 밸브 케이싱(11)과 밸브부 커버(41)의 접합면이 밸브 케이싱(11) 및 밸브부 커버(41)의 개구 가장자리의 정체 둘레에 걸쳐서 씨일된다.
도 4에 확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가스킷 본체부(42a) 및 교차부(43c)와 돌출 씨일부(51b)가 서로 겹치고, 또한 각각 밀착하고 있다. 따라서, 밸브 케이싱(11)과 밸브부 커버(41)의 접합면에서, 제1 및 제2 연결 부위의 각각과 제1 가스킷(42)이 서로 겹치는 부위는 씨일되어 있다. 그 결과, 밸브 케이싱(11)과 밸브부 커버(41)의 접합면에서, 제1 및 제2 연결 부위의 각각과 제1 가스킷(42)이 서로 겹치는 부위로부터의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물이 비산하는 작업 환경이나 고습도의 작업 환경이더라도, 파일럿형 전자 밸브(1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밸브 보디(12), 제1 및 제2 피스톤실 형성체(21, 26)의 각 상면이 각각 대략 동일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밸브 보디(12), 제1 및 제2 피스톤실 형성체(21, 26)의 각 상면과 밸브부 커버(41)의 개구 가장자리의 접합면을, 1개의 제1 가스킷(42)에 의해 씨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연결 부위의 각각에는, 제2 가스킷(51)이 설치되어 있다. 제2 가스킷(51)의 돌출 씨일부(51b)에 의해, 제2 가스킷(51)과 제1 가스킷(42)을 서로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연결 부위의 각각과 제1 가스킷(42)이 서로 겹치는 부위를 씨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가스킷(42) 및 제2 가스킷(51)에 의하여, 밸브 케이싱(11)과 밸브부 커버(41)의 접합면에서 제1 및 제2 연결 부위를 포함하는 모든 부위가 씨일된다. 따라서, 파일럿 밸브부(31)에서의 전자 구동부(30)의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다.
(2) 제1 가스킷 본체부(42a)와 돌출 씨일부(51b)가 서로 겹치는 부위 중, 응력이 낮은 부분에 생기는 간극으로부터 물이 침입할 우려가 있다. 그 점,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가스킷(42)은 제1 연결 부위의 연결면(R1) 및 제2 연결 부위의 연결면(R2)의 각각과 서로 겹치는 위치에 팽출부(43)를 가지고 있다. 제1 가스킷(42)은 연결면(R1, R2)과 각각 교차함과 함께, 돌출 씨일부(51b)에 대하여 2열로 나란히 밀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중 씨일 구조를 부분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밸브부 커버(41) 내로의 물의 침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스킷 본체부(42a)와, 팽출부(43)를 구성하는 연장부(43a, 43b) 및 교차부(43c)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 공간 K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팽출부(43)와 돌출 씨일부(51b)가 밀착하면, 제1 가스킷 본체부(42a) 및 팽출부(43)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K에서는, 오리피스 효과가 생겨 감압된다. 이 때문에, 제1 가스킷 본체부(42a)를 통과하여 공간 K에 침입한 물을, 연장부(43a, 43b) 및 교차부(43c)를 넘어 밸브부(41) 내로 침입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팽출부(43)에 의하여, 밸브부 커버(41) 내로의 물의 침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3) 밸브 보디(12)와 제1 및 제2 피스톤실 형성체(21, 26)의 각각의 사이에는, 제2 가스킷(51)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가스킷(51)의 제2 가스킷 본체부(51a)에는, 돌출 씨일부(51b)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제2 가스킷 본체부(51a)와 돌출 씨일부(51b)를 각각 다른 부품으로 하여 성형하는 경우에 비하여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4) 예를 들면, 제1 가스킷 본체부(42a)에서 제1 및 제2 연결 부위와는 다른 부분에 팽출부(43)를 형성하면, 제1 가스킷(42)과 밸브 케이싱(11) 사이의 밀착 부위가 증가하여, 제1 가스킷(42)과 밸브 케이싱(11) 사이에 생기는 반력이 증대한다. 그 점,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가스킷 본체부(42a)는 제1 및 제2 연결 부위의 각각과 서로 겹치는 위치에만 팽출부(43)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가스킷(42)과 밸브 케이싱(11) 사이에서 생기는 반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밸브 케이싱(11) 상에 밸브부 커버(41)를 장착하는 데에 필요한 장착 나사의 수를 적게 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이하와 같이 변경해도 된다.
상기 팽출부(43)에 대하여, 밸브부 커버(41)의 개구를 향하여 팽출하는 또 다른 팽출부를 설치해도 된다. 즉, 제1 가스킷(42)을 돌출 씨일부(51b)에 대하여 3열 이상으로 나란히 밀착시켜도 된다.
제1 가스킷 본체부(42a)로부터 팽출부(43)를 생략해도 된다.
제2 가스킷 본체부(51a) 및 돌출 씨일부(51b)는 각각 다른 부품이더라도 된다. 이 경우, 돌출 씨일부(51b) 및 제2 가스킷 본체부(51a)를 일체 성형하는 경우에 비하여 각 부재를 소형화할 수 있다.
밸브 보디(12), 제1 및 제2 피스톤실 형성체(21, 26)의 각 상면에 끼워붙임 홈을 형성하고, 이 끼워붙임 홈에 제1 가스킷(42)을 끼워붙임해도 된다.
제1 가스킷(42), 제2 가스킷(51) 및 돌출 씨일부(51b)를 일체 성형해도 된다.
파일럿 밸브부(31)를 밸브 케이싱(11) 상에 설치하지 않고, 전자 구동부(30)만을 밸브 케이싱(11)의 상방에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 밸브 케이싱(11) 상에 전자 구동부(30)를 덮는 밸브부 커버(41)가 장착된다.
또 다른 파일럿 밸브부(31)를, 제2 피스톤실 형성체(26)의 상면으로부터 밸브 보디(12)의 상면에 걸치도록 설치해도 된다. 즉, 밸브 케이싱(11) 상에 2개의 파일럿 밸브부(31)를 설치해도 된다.
밸브 케이싱(11)으로부터 제1 피스톤실 형성체(21) 또는 제2 피스톤실 형성체(26)를 생략해도 된다.
본 발명을, 솔레노이드 코일의 여자에 의해 플런저를 왕복동시켜 주 밸브체를 구동시키는 임의의 전자 밸브에 적용해도 된다.
10 : 파일럿형 전자 밸브 11 : 밸브 케이싱
12 : 밸브 보디 13 : 수용 구멍
14 : 스풀 밸브 21 : 제1 피스톤실 형성체
22 : 제1 피스톤실 23 : 제1 피스톤
26 : 제2 피스톤실 형성체 27 : 제2 피스톤실
28 : 제2 피스톤 29 : 코일 스프링
30 : 전자 구동부 31 : 파일럿 밸브부
32 : 솔레노이드 코일 33 : 플런저
34 : 코일 스프링 35 : 밸브실
36 : 밸브체 41 : 밸브부 커버
42 : 제1 가스킷 43 : 팽출부
51 : 제2 가스킷

Claims (5)

  1. 주 밸브체와, 상기 주 밸브체를 왕복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밸브 케이싱과, 상기 밸브 케이싱 상에 배치된 전자(電磁) 구동부와, 상기 밸브 케이싱 상에 적어도 상기 전자 구동부를 덮도록 장착되며, 또한 하방으로 개구된 박스 형상의 커버를 구비하는 전자 밸브로서,
    상기 밸브 케이싱은, 상기 주 밸브체를 수용하는 밸브 보디와, 상기 밸브 보디의 양단 중 적어도 한 쪽에 연결되는 연결 보디로 구성되고,
    상기 밸브 보디 및 상기 연결 보디의 각 상면은 동일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밸브 보디 및 상기 연결 보디의 각 상면과 상기 커버의 개구 가장자리 사이에는, 제1 씨일(seal)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밸브 보디와 상기 연결 보디 사이에는, 제2 씨일 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제2 씨일 수단은, 상기 밸브 보디와 상기 연결 보디의 연결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씨일 수단과 밀착하는 돌출 씨일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 씨일부는, 상기 제2 씨일 수단에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씨일 수단은, 상기 돌출 씨일부에 대하여 2열 이상 나란히 밀착하고, 상기 제1 씨일 수단 및 상기 돌출 씨일부의 접촉 부분은, 상기 커버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나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씨일부는, 상기 제2 씨일 수단에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밸브는, 파일럿 유체에 의해 상기 주 밸브체를 왕복동시키는 파일럿형 전자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개구 가장자리의 전체 둘레에는, 상기 개구 가장자리를 따라서 뻗는 끼워붙임(嵌着) 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워붙임 홈에는, 상기 제1 씨일 수단이 끼워붙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KR1020100137860A 2010-08-02 2010-12-29 전자 밸브 KR101216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73638 2010-08-02
JP2010173638A JP5547578B2 (ja) 2010-08-02 2010-08-02 電磁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750A KR20120012750A (ko) 2012-02-10
KR101216158B1 true KR101216158B1 (ko) 2012-12-27

Family

ID=45544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7860A KR101216158B1 (ko) 2010-08-02 2010-12-29 전자 밸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547578B2 (ko)
KR (1) KR101216158B1 (ko)
CN (1) CN1023457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05337B2 (ja) * 2014-11-10 2017-09-27 Ckd株式会社 電磁弁マニホールド
DE102016226098A1 (de) * 2016-12-22 2018-06-2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ntil
CN111442128B (zh) * 2019-01-16 2024-05-24 上海气立可气动设备有限公司 电控大容量比例阀
CN109780265B (zh) * 2019-02-28 2023-09-26 浙江高翔工贸有限公司 一种管路通断电控开关阀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8000552L (sv) * 1980-01-23 1981-07-24 Mecman Ab Tetningsanordning for ventilhus
US4759556A (en) * 1987-10-27 1988-07-26 Ishikawa Gasket Co., Ltd. Metal gasket with auxiliary bead
JPH02145357U (ko) * 1989-05-12 1990-12-10
JPH02147847U (ko) * 1989-05-16 1990-12-14
JP2734753B2 (ja) * 1990-07-13 1998-04-02 三菱電機株式会社 位相シフトマスクの形成方法
JP2667780B2 (ja) * 1993-07-08 1997-10-27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パイロット式電磁弁
JP3456776B2 (ja) * 1994-09-22 2003-10-14 Smc株式会社 パイロット形方向切換弁
BR9505403A (pt) * 1995-12-13 1997-10-28 Sabo Ind & Comercio Ltda Aperfeiçoamento em sistema integrado de vedação para transmissão automática
JPH09177605A (ja) * 1995-12-22 1997-07-11 Nippon Gasket Co Ltd ガスケット連接部のシール構造
JPH09273651A (ja) * 1996-04-03 1997-10-21 Smc Corp パイロット式電磁弁
JP3837205B2 (ja) * 1997-03-14 2006-10-25 Smc株式会社 封止形切換弁組立体
JP4016151B2 (ja) * 1997-08-14 2007-12-05 Smc株式会社 5ポート電磁弁ボディを利用した2ポート電磁弁
JP4072738B2 (ja) * 1997-08-21 2008-04-09 Smc株式会社 5ポート電磁弁ボディを利用した3ポート電磁弁
CN2775406Y (zh) * 2004-07-06 2006-04-26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一种超高水压环境下的密封装置
DE202005010449U1 (de) * 2005-06-30 2006-11-09 Mann + Hummel Gmbh Zylinderkopfhaube für einen Zylinderkopf einer Brennkraftmaschine
JP4680807B2 (ja) * 2006-03-15 2011-05-11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パイロット式切換弁
JP4824706B2 (ja) * 2008-01-24 2011-11-30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パイロット形電磁弁
KR20100028714A (ko) * 2008-09-05 2010-03-15 동아공업 주식회사 가스켓 일체형 엔진커버 구조 및 그 제조방법
CN201502448U (zh) * 2009-07-14 2010-06-09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发动机缸盖罩密封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45757B (zh) 2013-09-11
CN102345757A (zh) 2012-02-08
KR20120012750A (ko) 2012-02-10
JP5547578B2 (ja) 2014-07-16
JP2012031968A (ja) 201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0135B1 (ko) 전자 밸브 조립체
KR101216158B1 (ko) 전자 밸브
US11754096B2 (en) Pilot device for a directional valve without internal cable connections
KR19980079913A (ko) 밀봉형 전환밸브조립체
JP2007010084A (ja) 電磁弁
TW201221810A (en) Multiple manifold valve
US20150251641A1 (en) Electronic control unit assembling method, electronic control unit and vehicle brake hydraulic pressure control apparatus
US8783650B2 (en) Gas valve
JPH10264800A (ja) 液圧制御装置
KR102061481B1 (ko) 개폐밸브
KR102359975B1 (ko) 파일럿형 전자밸브
KR101891683B1 (ko) 전자부로의 유체누설 방지 기능이 구비된 전자진동형 다이어프램 펌프
JP4091035B2 (ja) 方向切換弁
JPH11118061A (ja) 電磁弁ソレノイド
JP2015160482A (ja) ブレーキ液圧制御用アクチュエータ
CN219351256U (zh) 密封工装
TWI786433B (zh) 導引式電磁閥
WO2014033728A2 (en) Valve spool monitoring using anisotropic magnetoresistance sensor
CN220204825U (zh) 一种动态电磁阀
KR100715783B1 (ko) 고응답 특성을 가지는 포핏형 마이크로 밸브
CN110566690B (zh) 电磁阀歧管
JP6279513B2 (ja) 電磁弁装置
KR20190131234A (ko) 솔레노이드 밸브
US20070148028A1 (en) Proximity-sensor support, a compressor, a valve plate and a cooler
TWI595177B (zh) Solenoid valve manifo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