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975B1 - 파일럿형 전자밸브 - Google Patents

파일럿형 전자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975B1
KR102359975B1 KR1020207036913A KR20207036913A KR102359975B1 KR 102359975 B1 KR102359975 B1 KR 102359975B1 KR 1020207036913 A KR1020207036913 A KR 1020207036913A KR 20207036913 A KR20207036913 A KR 20207036913A KR 102359975 B1 KR102359975 B1 KR 102359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ilot
flow path
pilot valv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6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3164A (ko
Inventor
아츠오 하야시
신지 이토
미츠히로 코스기
Original Assignee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13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4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by means of electrically-actuated members in the supply or discharge conduits of the fluid motor
    • F16K31/423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by means of electrically-actuated members in the supply or discharge conduits of the fluid motor the actuated members consisting of multiple wa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24Lift valves
    • F16K31/0627Lift valves with movable valve member positioned between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71Channels for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473Multiple-way safet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03Housing formed from a plurality of the same valv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1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4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by means of electrically-actuated members in the supply or discharge conduits of the fluid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4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by means of electrically-actuated members in the supply or discharge conduits of the fluid motor
    • F16K31/423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by means of electrically-actuated members in the supply or discharge conduits of the fluid motor the actuated members consisting of multiple way valves
    • F16K31/42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by means of electrically-actuated members in the supply or discharge conduits of the fluid motor the actuated members consisting of multiple way valves the actuated valves being cylindrical 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fluid pressure
    • F15B13/043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fluid pressure with electrically-controlled pilo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07Manifolds
    • F15B13/0814Monoblock manifo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32Modular valves
    • F15B13/0839Stacked plate type valves

Abstract

제1 파일럿 밸브(41) 및 제2 파일럿 밸브(42)의 각 유로 형성 블록(44)은 제1 면(441) 및 제2 면(442)에 개구함과 동시에 밸브실에 연통하는 공급유로(61)라고 상기 제1 면에 개구함과 동시에 밸브실에 연통하는 제1 출력유로(62)라고 상기 제1 면에 개구하는 제2 출력유로(63)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1 파일럿 밸브 및 상기 제2 파일럿 밸브의 상기 각 유로 형성 블록은 상기 제2 면에서, 상기 제1 면에 개구하는 상기 제1 출력유로의 개구영역과 중복하는 부위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출력유로에 연통하는 출력유로 연통 요부(66)를 가진다. 상기 제1 파일럿 밸브의 상기 제1 출력유로는 상기 제2 파일럿 밸브의 상기 출력유로 연통 요부를 통해, 상기 제2 파일럿 밸브의 상기 제2 출력유로에 연통한다.

Description

파일럿형 전자밸브
본 발명은 파일럿형 전자밸브에 관한 것이다.
파일럿형 전자밸브(電磁弁, solenoid valve)는 복수의 포트를 가지는 케이싱과, 케이싱 내를 왕복 이동함으로써 각 포트 간 연통을 전환하는 수풀(spool) 밸브체(弁體)를 가진다. 케이싱 내에서, 수풀 밸브체의 양단부에는 제1 파일럿압 작용실 및 제2 파일럿압 작용실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파일럿형 전자밸브는 제1 파일럿압 작용실에 대해서 파일럿 유체를 급배(給排)하는 제1 파일럿 밸브와, 제2 파일럿압 작용실에 대해서 파일럿 유체를 급배하는 제2 파일럿 밸브를 가진다. 제1 파일럿 밸브에서는, 제1 파일럿압 작용실에 대한 파일럿 유체의 급배가 이루어지고, 제2 파일럿 밸브에서는, 제2 파일럿압 작용실에 대한 파일럿 유체의 급배가 이루어진다. 이들에 의해, 수풀 밸브체가 왕복 이동하여 각 포트 간의 연통이 전환된다.
제1 파일럿 밸브 및 제2 파일럿 밸브에는 솔레노이드가 각각 설치된다. 이들 솔레노이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구조로서, 플러그인 구조가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플러그인 구조로는, 제1 파일럿 밸브 및 제2 파일럿 밸브가 매니폴드 블록에 조립된다. 이와 동시에, 제1 파일럿 밸브의 접속단자 및 제2 파일럿 밸브의 접속단자가, 매니폴드 블록에 설치된 주(主) 전원에 연결되는 접속단자와 접속된다. 이러한 플러그인 구조는 배선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미관상 양호하고, 결선(結線) 작업을 간략화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파일럿 밸브와 제2 파일럿 밸브가 서로 연접(連接)한 상태로 배치되는 파일럿형 전자밸브가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의 파일럿형 전자밸브는 케이싱에 대해서, 제1 파일럿 밸브 및 제2 파일럿 밸브를 편측(片側)에 가까이 배치한 편측 솔레노이드형 전자밸브이다. 편측 솔레노이드형 전자밸브에는 플러그인 구조를 채용한 경우, 매니폴드 블록의 접속단자 등의 급전구조가 1개소에 집약하기 쉬워진다는 이점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편측 솔레노이드형 전자밸브의 경우, 예를 들면, 제2 파일럿 밸브가 제1 파일럿 밸브보다 케이싱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고 한다. 이 경우, 제1 파일럿 밸브의 바디에는 제1 파일럿압 작용실에 대한 파일럿 유체의 급배를 수행하기 위한 출력유로가 형성된다. 제2 파일럿 밸브의 바디에는 제2 파일럿압 작용실에 대한 파일럿 유체의 급배를 수행하기 위한 출력유로와, 그 출력유로와는 다른 유로가 형성된다. 다른 유로는 제1 파일럿 밸브의 출력유로에 연통함과 동시에, 제1 파일럿압 작용실에 대한 파일럿 유체의 급배를 수행하기 위한 유로이다. 이와 같이, 제1 파일럿 밸브의 바디와 제2 파일럿 밸브의 바디에서는 유로 구조가 상이하다. 이 때문에, 2 종류의 바디가 필요하게 되어 생산효율이 좋지 않다.
독일 특허발명 제102007040929호 명세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효율을 향상하는 파일럿형 전자밸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면, 복수의 포트를 가지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를 왕복 이동함으로써 상기 각 포트 간의 연통을 전환하는 수풀 밸브체와, 상기 케이싱 내에서 상기 수풀 밸브체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 파일럿압 작용실 및 제2 파일럿압 작용실과, 상기 제1 파일럿압 작용실에 대해서 파일럿 유체를 급배하는 제1 파일럿 밸브와, 상기 제2 파일럿압 작용실에 대해서 파일럿 유체를 급배하는 제2 파일럿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파일럿 밸브와 상기 제2 파일럿 밸브가 서로 연접한 상태에서 배치되는 파일럿형 전자밸브가 제공된다. 상기 제1 파일럿 밸브 및 상기 제2 파일럿 밸브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는 반대측의 제2 면을 가지는 직사각형 블록 형상의 바디를 각각 가진다. 상기 각 바디는 파일럿 밸브체가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밸브실과,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에 개구함과 동시에 상기 밸브실에 연통하는 공급유로와, 상기 제1 면에 개구함과 동시에 상기 밸브실에 연통하고, 상기 제1 파일럿압 작용실 또는 상기 제2 파일럿압 작용실에 대한 파일럿 유체의 급배를 수행하기 위한 제1 출력유로와, 상기 제1 면에 개구함과 동시에 상기 제1 파일럿압 작용실 또는 상기 제2 파일럿압 작용실에 대한 파일럿 유체의 급배를 수행하기 위한 제2 출력유로와, 상기 제2 면에서, 상기 제1 면에 개구하는 상기 제1 출력유로의 개구영역과 중복하는 부위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출력유로에 연통하는 출력유로 연통 요부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전자밸브 매니폴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케이싱 및 매니폴드 블록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제1 파일럿 밸브 및 제2 파일럿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제1 파일럿 밸브 및 제2 파일럿 밸브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유로 형성 블록을 제1 면측에서 본 단면도.
도 6은, 유로 형성 블록을 제2 면측에서 본 단면도.
도 7은, 제1 파일럿 밸브 및 제2 파일럿 밸브의 단면도.
도 8은, 고정 클립의 사시도.
도 9는, 제1 파일럿 밸브 및 제2 파일럿 밸브를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제1 파일럿 밸브 및 제2 파일럿 밸브가 케이싱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파일럿형 전자밸브를 구체화한 일 실시형태를 도 1 ~ 도 1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파일럿형 전자밸브는, 매니폴드 블록과 함께 전자밸브 매니폴드를 구성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일럿형 전자밸브 파일럿형 전자밸브(電磁弁, solenoid valve)(10)는 매니폴드 블록(MB)의 재치면(載置面)(B1)에 탑재된다. 파일럿형 전자밸브(10)는 주밸브부(主弁部)(V1), 제1 파일럿 밸브(41), 및 제2 파일럿 밸브(42)를 구비한다. 주밸브부(V1)의 케이싱(11)은 매니폴드 블록(MB)의 재치면(B1)에 탑재되는 가늘고 긴(細長) 사각 블록 형상이다.
케이싱(11)은 가늘고 긴 사각 블록 형상의 케이싱 본체(12)와, 케이싱 본체(12)의 길이방향의 제1 단부에 연결되는 제1 연결 블록(13)과, 케이싱 본체(12)의 길이방향의 제2 단부에 연결되는 제2 연결 블록(14)을 가진다. 케이싱 본체(12), 제1 연결 블록(13), 및 제2 연결 블록(14)은, 예를 들면, 합성 수지재료제(製)이다. 케이싱 본체(12)는 매니폴드 블록(MB)의 재치면(B1)과 대향하는 본체 대향면(12a)을 가진다. 제1 연결 블록(13)은 매니폴드 블록(MB)의 재치면(B1)과 대향하는 제1 대향면(13a)을 가진다. 제2 연결 블록(14)은 매니폴드 블록(MB)의 재치면(B1)과 대향하는 제2 대향면(14a)을 가진다.
제1 연결 블록(13)은 제1 블록 본체(131) 및 제1 어댑터(132)를 가진다. 제1 블록 본체(131)는 케이싱 본체(12)의 제1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어댑터(132)는 제1 블록 본체(131)에서의 케이싱 본체(12)와는 반대측 면에 연결되어 있다. 제2 연결 블록(14)은 제2 블록 본체(141) 및 제2 어댑터(142)를 가진다. 제2 블록 본체(141)는 케이싱 본체(12)의 제2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제2 어댑터(142)는 제2 블록 본체(141)에서의 케이싱 본체(12)와는 반대측 면에 연결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 본체(12)에는 수풀 밸브체(15)가 수용되는 원공(圓孔) 형상의 밸브공(16)이 형성된다. 밸브공(16)은 케이싱 본체(1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밸브공(16)의 제1 단부는 케이싱 본체(12)의 제1 단면에 개구(開口)하고 있다. 밸브공(16)의 제2 단부는 케이싱 본체(12)의 제2 단면에 개구하고 있다. 따라서, 밸브공(16)은 케이싱 본체(12)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한다. 수풀 밸브체(15)는 밸브공(16) 내를 왕복이동 가능하다.
케이싱 본체(12)에는 공급 포트(17), 제1 출력 포트(18), 제2 출력 포트(19), 제1 배출 포트(20), 및 제2 배출 포트(21)가 형성된다. 따라서, 케이싱(11)은 복수의 포트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의 파일럿형 전자밸브(10)는 5 포트 전자밸브이다.
케이싱 본체(12)의 제1 단부에서 제2 단부에 걸쳐, 제1 배출 포트(20), 제1 출력 포트(18), 공급 포트(17), 제2 출력 포트(19), 제2 배출 포트(21)는 이 순으로 나열된다. 공급 포트(17), 제1 출력 포트(18), 제2 출력 포트(19), 제1 배출 포트(20), 및 제2 배출 포트(21)의 각 제1 단부는 밸브공(16)에 연통한다. 공급 포트(17), 제1 출력 포트(18), 제2 출력 포트(19), 제1 배출 포트(20), 및 제2 배출 포트(21)의 각 제2 단부는 케이싱 본체(12)의 본체 대향면(12a)에 개구하고 있다.
밸브공(16)의 내주면에서, 공급 포트(17)와 제1 출력 포트(18) 사이에는 제1 밸브 시트부(22)가 설치된다. 밸브공(16)의 내주면에서, 제1 출력 포트(18)와 제1 배출 포트(20) 사이에는 제2 밸브 시트부(23)가 설치된다. 공급 포트(17)와 제2 출력 포트(19) 사이에는 제3 밸브 시트부(24)가 설치된다. 제2 출력 포트(19)와 제2 배출 포트(21) 사이에는 제4 밸브 시트부(25)가 설치된다. 제1 밸브 시트부(22), 제2 밸브 시트부(23), 제3 밸브 시트부(24), 및 제4 밸브 시트부(25)는 밸브공(16)의 내주면의 일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환 형상(環狀)이다.
또한, 밸브공(16)은 제1 홀부(孔部)(16a)를 가진다. 제1 홀부(16a)는 제1 배출 포트(20)에 연통함과 동시에, 제2 밸브 시트부(23)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밸브공(16)의 제1 단부를 형성한다. 또한 밸브공(16)은 제2 홀부(16b)를 가진다. 제2 홀부(16b)는 제2 배출 포트(21)에 연통함과 동시에, 제4 밸브 시트부(25)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밸브공(16)의 제2 단부를 형성한다. 제1 밸브 시트부(22), 제2 밸브 시트부(23), 제3 밸브 시트부(24), 제4 밸브 시트부(25), 제1 홀부(16a), 및 제2 홀부(16b)의 각 내경은 동일하다.
수풀 밸브체(15)에는 수풀 밸브체(15)의 축선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제1 밸브부(151), 제2 밸브부(152), 제3 밸브부(153), 제4 밸브부(154), 제5 밸브부(155), 및 제6 밸브부(156)를 가진다. 제5 밸브부(155), 제2 밸브부(152), 제1 밸브부(151), 제3 밸브부(153), 제4 밸브부(154), 및 제6 밸브부(156)는 이 순으로, 수풀 밸브체(15)의 축선방향의 제1 단부에서 제2 단을 향함에 따라 배열된다. 제1 밸브부(151), 제2 밸브부(152), 제3 밸브부(153), 제4 밸브부(154), 제5 밸브부(155), 및 제6 밸브부(156)의 각 외경은 동일하다.
수풀 밸브체(15)는 제1 밸브부(151)와 제3 밸브부(153)를 연결하는 제1 축부(15a)와, 제1 밸브부(151)와 제2 밸브부(152)를 연결하는 제2 축부(15b)와, 제3 밸브부(153)와 제4 밸브부(154)를 연결하는 제3 축부(15c)를 가진다. 또한, 수풀 밸브체(15)는 제2 밸브부(152)와 제5 밸브부(155)를 연결하는 제4 축부(15d)와, 제4 밸브부(154)와 제6 밸브부(156)를 연결하는 제5 축부(15e)를 가진다.
수풀 밸브체(15)는 기둥 형상의 제1 돌출부(15f)를 가진다. 제1 돌출부(15f)는 제5 밸브부(155)에서의 제4 축부(15d)와는 반대측 단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제1 돌출부(15f)는 수풀 밸브체(15)의 축선방향의 제1 단부이다. 또한, 수풀 밸브체(15)는 기둥 형상의 제2 돌출부(15g)를 가진다. 제2 돌출부(15g)는 제6 밸브부(156)에서의 제5 축부(15e)와는 반대측 단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제2 돌출부(15g)는 수풀 밸브체(15)의 축선방향의 제2 단부이다.
제1 축부(15a), 제2 축부(15b), 제3 축부(15c), 제4 축부(15d), 제5 축부(15e), 제1 돌출부(15f), 및 제2 돌출부(15g)의 각 외경은 동일하다. 제1 밸브부(151), 제2 밸브부(152), 제3 밸브부(153), 제4 밸브부(154), 제5 밸브부(155), 및 제6 밸브부(156)의 각 외경은 제1 축부(15a), 제2 축부(15b), 제3 축부(15c), 제4 축부(15d), 제5 축부(15e), 제1 돌출부(15f), 및 제2 돌출부(15g)의 각 외경보다 크다.
제1 밸브부(151)의 외주면에는 제1 수풀 패킹(26)이 장착되어 있다. 제1 수풀 패킹(26)은 제1 밸브부(151)가 제1 밸브 시트부(22)에 착석했을 때, 공급 포트(17)와 제1 출력 포트(18) 사이를 실링한다. 제2 밸브부(152)의 외주면에는 제2 수풀 패킹(27)이 장착되어 있다. 제2 수풀 패킹(27)은 제2 밸브부(152)가 제2 밸브 시트부(23)에 착석했을 때, 제1 출력 포트(18)와 제1 배출 포트(20) 사이를 실링한다. 제3 밸브부(153)의 외주면에는 제3 수풀 패킹(28)이 장착되어 있다. 제3 수풀 패킹(28)은 제3 밸브부(153)가 제3 밸브 시트부(24)에 착석했을 때, 공급 포트(17)와 제2 출력 포트(19) 사이를 실링한다. 제4 밸브부(154)의 외주면에는 제4 수풀 패킹(29)이 장착되어 있다. 제4 수풀 패킹(29)은 제4 밸브부(154)가 제4 밸브 시트부(25)에 착석했을 때, 제2 출력 포트(19)와 제2 배출 포트(21) 사이를 실링한다. 제1 수풀 패킹(26), 제2 수풀 패킹(27), 제3 수풀 패킹(28), 및 제4 수풀 패킹(29)은 고무제의 환 형상이다.
제1 연결 블록(13)에는 제1 홀부(16a)에 연통하는 원공 형상의 제1 피스톤 수용 요부(31)가 형성된다. 수풀 밸브체(15)의 제1 돌출부(15f)는 제1 홀부(16a)에서 제1 피스톤 수용 요부(31) 내로 출몰 가능하다. 제1 피스톤 수용 요부(31) 내에는 원판 형상의 제1 피스톤(32)이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수용된다. 제1 피스톤(32)은 수풀 밸브체(15)의 제1 돌출부(15f)의 선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제1 피스톤(32)의 외주면에는 제1 립 패킹(33)이 장착되어 있다. 제1 립 패킹(33)은 제1 피스톤(32)과 제1 피스톤 수용 요부(31)의 내주면 사이를 실링한다. 제1 피스톤(32)에 의해, 제1 피스톤 수용 요부(31) 내에는 제1 파일럿압 작용실(34)이 구획된다. 제1 파일럿압 작용실(34)에는 파일럿 유체가 급배된다.
제2 연결 블록(14)에는 제2 홀부(16b)에 연통하는 원공 형상의 제2 피스톤 수용 요부(35)가 형성된다. 제2 피스톤 수용 요부(35)의 내경은 제1 피스톤 수용 요부(31)와 동일하다. 수풀 밸브체(15)의 제2 돌출부(15g)는 제2 홀부(16b)에서 제2 피스톤 수용 요부(35) 내로 출몰 가능하다. 제2 피스톤 수용 요부(35) 내에는 원판 형상의 제2 피스톤(36)이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수용되어 있다. 제2 피스톤(36)은 수풀 밸브체(15)의 제2 돌출부(15g)의 선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제2 피스톤(36)의 외경은 제1 피스톤(32)의 외경과 동일하다. 제2 피스톤(36)의 외주면에는 제2 립 패킹(37)이 장착되어 있다. 제2 립 패킹(37)은 제2 피스톤(36)과 제2 피스톤 수용 요부(35) 내주면 사이를 실링한다. 제2 피스톤(36)에 의해 제2 피스톤 수용 요부(35) 내에는 제2 파일럿압 작용실(38)이 구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파일럿압 작용실(34) 및 제2 파일럿압 작용실(38)은 케이싱(11) 내에서 수풀 밸브체(15)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제2 파일럿압 작용실(38)에는 파일럿 유체가 급배된다.
제1 피스톤(32)의 외경은 제2 피스톤(36)의 외경과 동일하다. 이 때문에, 제1 피스톤(32)에서의 제1 파일럿압 작용실(34) 내의 파일럿 유체의 압력을 받는 수압면적(受壓面積)은, 제2 피스톤(36)에서의 제2 파일럿압 작용실(38) 내의 파일럿 유체의 압력을 받는 수압면적과 동일하다.
제5 밸브부(155)의 외주면에는, 제5 밸브부(155)와 제1 홀부(16a) 사이를 실링하는 제1 씰부재(39a)가 장착되어 있다. 제1 씰부재(39a)는 환 형상의 고무제이다. 제1 씰부재(39a)에 의해 제1 배출 포트(20)에서 제1 홀부(16a)을 통한 제1 피스톤 수용 요부(31)로의 유체 누설이 억제된다.
제6 밸브부(156)의 외주면에는, 제6 밸브부(156)와 제2 홀부(16b) 사이를 실링하는 제2 씰부재(39b)가 장착되어 있다. 제2 씰부재(39b)는 환 형상의 고무제이다. 제2 씰부재(39b)에 의해 제2 배출 포트(21)에서 제2 홀부(16b)를 통한 제2 피스톤 수용 요부(35)로의 유체 누설이 억제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파일럿 밸브(41) 및 제2 파일럿 밸브(42)는 동일 구성이다. 제1 파일럿 밸브(41) 및 제2 파일럿 밸브(42)는 직사각형 블록 형상의 바디(60)를 각각 가진다. 각 바디(60)는 바닥이 있는 사각통 형상의 솔레노이드 케이스(43)와, 솔레노이드 케이스(43)에 연결되는 사각 블록 형상의 유로 형성 블록(44)을 각각 가진다. 솔레노이드 케이스(43) 및 유로 형성 블록(44)은 예를 들면, 합성 수지재료제이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케이스(43) 및 유로 형성 블록(44)은 비자성재제(製)이다.
솔레노이드 케이스(43)는 사각 판형상의 저벽(43a)과, 저벽(43a)의 외주부에서 사각통 형상으로 연장되는 둘레벽(周壁)(43b)을 가진다. 유로 형성 블록(44)은 솔레노이드 케이스(43)의 둘레벽(43b)의 개구 단부, 즉, 저벽(43a)과는 반대측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유로 형성 블록(44)은 둘레벽(43b)의 개구를 막는다(閉塞). 솔레노이드 케이스(43)에는 자성재제인 자기 프레임(45)이 고정되어 있다. 자기 프레임(45)은 판 형상의 저부(45a)와, 통 형상의 연재부(45b)를 가진다. 저부(45a)는 솔레노이드 케이스(43)의 저벽(43a) 내면을 따라 연장된다. 연재부(45b)는 저부(45a)의 주연부에서 솔레노이드 케이스(43)의 둘레벽(43b)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된다.
제1 파일럿 밸브(41) 및 제2 파일럿 밸브(42)는 솔레노이드(46)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각 솔레노이드(46)는 코일(47), 고정 철심(48), 플런저(49), 및 플런저 스프링(50)을 가진다. 고정 철심(48) 및 플런저(49)는 자성재제이다. 솔레노이드 케이스(43) 내에는 코일(47)이 권회된 통 형상의 보빈(51)이 수용되어 있다. 보빈(51)의 축선은 자기 프레임(45)의 연재부(45b)의 축선과 일치한다.
고정 철심(48)은 솔레노이드 케이스(43) 내에 수용되어 있다. 고정 철심(48)은 기둥 형상(柱狀)이다. 고정 철심(48)은 보빈(51)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보빈(51)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철심(48)의 축선은 보빈(51)의 축선과 일치한다. 고정 철심(48)의 축선방향의 길이는 보빈(51)의 축선방향의 길이보다 짧다. 고정 철심(48)에서의 자기 프레임(45)의 저부(45a)와는 반대측 단면(48e)은 평탄면 형상(平坦面狀)이다. 고정 철심(48)의 단면(48e)은 보빈(51)의 내측에 위치한다.
플런저(49)는 보빈(51)의 내측에 삽입되는 기둥 형상이다. 플런저(49)는 고정 철심(48)과 유로 형성 블록(44) 사이에 위치한다. 플런저(49)의 축선은 고정 철심(48)의 축선과 일치한다. 플런저(49)에서의 고정 철심(48)측의 단면(49e)은 평탄면 형상이다. 플런저(49)의 단면(49e)은 고정 철심(48)의 단면(48e)에 면접촉 가능하다. 플런저(49)에서의 고정 철심(48)과는 반대측 단부는 보빈(51)에서 돌출하고 있다. 플런저(49)의 외주면에서의 고정 철심(48)과는 반대측 단부에서는 환 형상의 플랜지부(鍔部)(49f)가 돌출하고 있다.
자기 프레임(45)의 연재부(45b)에서의 저부(45a)와는 반대측 단부의 내측에는 통 형상(筒狀)의 자성 코어(52)가 배치된다. 자성 코어(52)는 보빈(51)과 유로 형성 블록(44) 사이에 위치한다. 자성 코어(52)의 외주면은 자기 프레임(45)의 연재부(45b)의 내주면에 접촉하고 있다. 플런저(49)는 자성 코어(52)의 내측을 통과한다.
플런저 스프링(50)은 자성 코어(52)와 플런저(49)의 플랜지부(49f) 사이에 배치된다. 플런저 스프링(50)의 제1 단부는 자성 코어(52)의 단면에 지지된다. 플런저 스프링(50)의 제2 단부는 플런저(49)의 플랜지부(49f)에 지지된다. 플런저 스프링(50)은 플런저(49)의 단면(49e)이 고정 철심(48)의 단면(48e)에 대해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플런저(49)에 힘을 가하고(付勢) 있다.
유로 형성 블록(44)에서의 솔레노이드 케이스(43)와는 반대측 단면에는 바닥이 있는(有低) 원공 형상의 수용공(44h)이 형성된다. 수용공(44h)의 축선은 플런저(49)의 축선과 일치한다. 각 바디(60)는 수용공(44h)에 부착되는 원주 형상(圓柱狀)의 플러그(54)를 각각 가진다. 각 플러그(54)는 씰부재(53)를 통해 각 수용공(44h)에 각각 부착(取付)되어 있다. 플러그(54)는 수용공(44h)의 개구를 막는다. 플러그(54)는 수용공(44h)과 협동하여 유로 형성 블록(44) 내에 밸브실(55)을 구획하고 있다.
밸브실(55) 내에는 파일럿 밸브체(56)가 수용되어 있다. 밸브실(55) 내에 배치되는 플러그(54)의 단면에는 파일럿 밸브체(56)가 착석하는 제1 밸브 시트(57)가 형성된다. 수용공(44h)의 저면에는 파일럿 밸브체(56)가 착석하는 제2 밸브 시트(58)가 형성된다. 파일럿 밸브체(56)는 제1 밸브 시트(57) 및 제2 밸브 시트(58)의 어느 하나에 접촉/분리(接離) 가능하다. 파일럿 밸브체(56)는 제1 밸브 시트(57)와 제2 밸브 시트(58) 사이에 이동 가능하도록 밸브실(55) 내에 수용된다. 제1 밸브 시트(57) 및 제2 밸브 시트(58)는 밸브실(55) 내에서의 파일럿 밸브체(56)의 이동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밸브실(55) 내에서, 파일럿 밸브체(56)와 플러그(54) 사이에는 밸브체 스프링(59)이 개재되어 있다. 밸브체 스프링(59)은 파일럿 밸브체(56)가 제1 밸브 시트(57)에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파일럿 밸브체(56)에 힘을 가하고(付勢) 있다. 밸브체 스프링(59)의 가압력(付勢力)은 플런저 스프링(50)의 가압력보다 작다.
플런저(49)는 긴 판 형상(長板狀)의 한 쌍의 밸브 누름부(弁押壓部)(49a)를 가진다. 한 쌍의 밸브 누름부(49a)는 플런저(49)에서의 고정 철심(48)과는 반대측 단면에서 돌출하고 있다. 한 쌍의 밸브 누름부(49a)는 유로 형성 블록(44)을 관통하여 밸브실(55) 내에 돌출한다. 한 쌍의 밸브 누름부(49a)의 선단은 파일럿 밸브체(56)와 맞닿는다(當接).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유로 형성 블록(44)은 공급유로(61), 제1 출력유로(62), 제2 출력유로(63), 제1 배출유로(64), 및 제2 배출유로(65)를 각각 가진다. 공급유로(61)는 제1 홀(611), 제2 홀(612), 제3 홀(613), 홈(614), 및 관통공(615)에 의해 형성된다. 제1 홀(611)은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1 면(441)에 개구하는 제1 단부와, 수용공(44h)에 개구하는 제2 단부를 가진다. 제1 홀(611)은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1 면(441)에서 수용공(44h)을 향해 곧게 연장되고, 유로 형성 블록(44)을 관통한다. 제2 홀(612)은 유로 형성 블록(44)에서의 제1 면(441)과는 반대측의 제2 면(442)에 개구하는 제1 단부와, 수용공(44h)에 개구하는 제2 단부를 가진다. 제1 면(441) 및 제2 면(442)은 서로 평행하다. 제2 홀(612)은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2 면(442)에서 수용공(44h)을 향해 곧게 연장되고, 유로 형성 블록(44)을 관통한다.
홈(614)은 플러그(54)의 외주면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된다. 제1 홀(611) 및 제2 홀(612)은 홈(614) 내에 각각 연통한다. 관통공(615)은 홈(614)에 연통함과 동시에, 플러그(54)의 지름방향으로 연장되고, 플러그(54)를 관통한다. 제3 홀(613)은 관통공(615)에 개구하는 제1 단부와, 제1 밸브 시트(57)의 선단에 개구하는 제2 단부를 가진다. 제3 홀(613)은 관통공(615)에서 제1 밸브 시트(57)의 선단을 향해 곧게 연장되고, 플러그(54)를 관통한다. 제3 홀(613)은 밸브실(55)에 연통한다. 따라서, 공급유로(61)는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1 면(441) 및 제2 면(442)에 개구함과 동시에, 밸브실(55)에 연통한다.
제1 출력유로(62)는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1 면(441)에 개구하는 제1 단부와, 수용공(44h)에 개구하는 제2 단부를 가진다. 제1 출력유로(62)의 제2 단부는 플러그(54)와 수용공(44h)의 저면 사이의 위치에서, 수용공(44h)에 개구하고 있다. 따라서, 제1 출력유로(62)는 밸브실(55)에 연통한다.
제1 배출유로(64)는 제1 홀(641) 및 제2 홀(642)에 의해 형성된다. 제1 홀(641)은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1 면(441)에 개구하는 제1 단부와, 유로 형성 블록(44)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제2 단부를 가진다. 제2 홀(642)은 제1 홀(641)의 제2 단부에 연통하는 제1 단부와, 제2 밸브 시트(58)의 선단에 개구하는 제2 단부를 가진다. 제2 홀(642)은 밸브실(55)에 연통한다. 따라서, 제1 배출유로(64)는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1 면(441)에 개구함과 동시에, 밸브실(55)에 연통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급유로(61), 제1 출력유로(62), 및 제1 배출유로(64)는 파일럿 밸브체(56)의 이동방향으로 이 순서로 나열된다. 제1 면(441)에서의 공급유로(61)에서의 개구, 및 제1 면(441)에서의 제1 배출유로(64)의 개구는 파일럿 밸브체(56)의 이동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 면(441)에서의 제1 출력유로(62)의 개구 양측에 위치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출력유로(63)는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1 면(441)에 개구하는 제1 단부와,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2 면(442)으로 향해 연장되는 제2 단부를 가진다. 제2 출력유로(63)는 제1 면(441)에서 제2 면(442)을 향해 곧게 연장된다. 즉, 제2 출력유로(63)는 제1 면(441) 및 제2 면(442)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출력유로(63)는 파일럿 밸브체(56)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에서 본 경우, 제1 배출유로(64)와, 유로 형성 블록(44)의 양측면(443) 중 일방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유로 형성 블록(44)의 양측면(443)은 제1 면(441)과 제2 면(442)을 연결하는 한 쌍의 면으로 이루어진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배출유로(65)는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1 면(441)에 개구하는 제1 단부와,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2 면(442)을 향해 연장되는 제2 단부를 가진다. 제2 배출유로(65)는 제1 면(441)에서 제2 면(442)을 향해 곧게 연장된다. 즉, 제2 배출유로(65)는 제1 면(441) 및 제2 면(442)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배출유로(65)는 제2 출력유로(63)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배출유로(65)는 제1 배출유로(64)와 양측면(443) 중 타방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4,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유로 형성 블록(44)은 출력유로 연통 요부(66)를 각각 가진다. 출력유로 연통 요부(66)는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2 면(442)에 형성된다. 출력유로 연통 요부(66)는 제1 면(441)에 개구하는 제1 출력유로(62)의 개구영역(Z1)과 중복하는 부위, 및 제2 출력유로(63)와 중복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부분에 설치된다. 출력유로 연통 요부(66)는 제2 출력유로(63)의 단부에 연통한다.
또한, 유로 형성 블록(44)은 배출유로 연통 요부(67)를 가진다. 배출유로 연통 요부(67)도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2 면(442)에 형성된다. 배출유로 연통 요부(67)는 제1 면(441)에 개구하는 제1 배출유로(64)의 개구영역(Z2)과 중복하는 부위, 및 제2 배출유로(65)와 중복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부분에 설치된다. 배출유로 연통 요부(67)는 제2 배출유로(65)의 제2 단부에 연통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파일럿 밸브(41)는 제2 파일럿 밸브(42)와 인접한 상태에서, 케이싱(11)에 조립된다. 제2 파일럿 밸브(42)는 제1 파일럿 밸브(41)와, 케이싱(11)의 제1 연결 블록(13) 사이에 배치된다. 제1 파일럿 밸브(41) 및 제2 파일럿 밸브(42)는 제1 연결 블록(13)에 대해서 케이싱 본체(12)와는 반대측 단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의 파일럿형 전자밸브(10)는 케이싱(11)에 대해서, 제1 파일럿 밸브(41) 및 제2 파일럿 밸브(42)를 편측에 가까이 배치한 편측(片側) 솔레노이드형 전자밸브이다.
제2 파일럿 밸브(42)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1 면(441)은 제1 어댑터(132)에서의 케이싱 본체(12)와는 반대측 면에 맞닿는다. 또한, 제1 파일럿 밸브(41)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1 면(441)은 제2 파일럿 밸브(42)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2 면(442)에 맞닿는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파일럿 밸브(41)의 공급유로(61)와 제2 파일럿 밸브(42)의 공급유로(61)는 서로 연통한다. 또한, 제2 파일럿 밸브(42)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출력유로 연통 요부(66)는 제1 파일럿 밸브(41)의 제1 출력유로(62)에 연통한다. 따라서, 제1 파일럿 밸브(41)의 제1 출력유로(62)는 제2 파일럿 밸브(42)의 출력유로 연통 요부(66)를 통해, 제2 파일럿 밸브(42)의 제2 출력유로(63)에 연통한다. 또한, 제2 파일럿 밸브(42)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배출유로 연통 요부(67)는 제1 파일럿 밸브(41)의 제1 배출유로(64)에 연통한다. 따라서, 제1 파일럿 밸브(41)의 제1 배출유로(64)는 제2 파일럿 밸브(42)의 배출유로 연통 요부(67)를 통해, 제2 파일럿 밸브(42)의 제2 배출유로(65)에 연통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파일럿 밸브(41)에서, 공급유로(61)에서의 제2 면(442)에 개구하는 부분, 출력유로 연통 요부(66) 및 배출유로 연통 요부(67)는 고정 클립(70)에 의해 막힌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클립(70)은 금속제이다. 고정 클립(70)은 한 쌍의 연설부(70a) 및 연결부(70b)를 가진다. 한 쌍의 연설부(70a)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늘고 긴 박판(細長薄板) 평판 형상(平板狀)이다. 연결부(70b)는 한 쌍의 연설부(70a)의 길이방향의 서로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박판 평판 형상이다. 연결부(70b)는 한 쌍의 연설부(70a)의 연설(延設)빙향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연결부(70b)는 평면에서 본(平面視) 경우,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2 면(442)과 동일한 형상이다. 각 연설부(70a)에서의 연결부(70b)와는 반대측 단부에는 계지공(係止孔)(70h)이 각각 형성된다. 각 계지공(70h)은 각 연설부(70a)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한다. 각 계지공(70h)은 사각공 형상(四角孔狀)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유로 형성 블록(44)의 한 쌍의 측면(443)에는 제1 안내홈(71a)이 각각 형성된다. 한 쌍의 제1 안내홈(71a)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한 쌍의 제1 안내홈(71a)은 제1 면(441)에서 제2 면(442)에 걸쳐 연장된다. 제1 어댑터(132)에서, 유로 형성 블록(44)의 측면(443)과 연속하는 측면에는 제1 안내홈(71a)에 연속하는 제2 안내홈(71b)이 형성된다. 각 제1 안내홈(71a)은 각 제2 안내홈(71b)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각 제2 안내홈(71b)에는 계지공(70h)에 걸리는 계지돌기(係止突起)(71f)가 각각 설치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안내홈(71a)은 제1 면(441)에서 보았을 때, 제1 면(441)에서의 공급유로(61)의 개구 및 제1 면(441)에서의 제1 출력유로(62)의 개구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도 10은, 제1 파일럿 밸브(41)와 제2 파일럿 밸브(42)가 인접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한 쌍의 연설부(70a)가, 한 쌍의 제1 안내홈(71a)을 통해 한 쌍의 제2 안내홈(71b)으로 안내됨과 동시에, 각 계지공(70h)에 각 계지돌기(71f)가 걸린다(係止). 이렇게 하여, 각 계지공(70h)에 각 계지돌기(71f)가 걸린 한 쌍의 연설부(70a)가 제1 어댑터(132)에 고정된다. 이들에 의해, 고정 클립(70)이 제1 어댑터(132)에 고정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면(441)에서 보았을 때, 한 쌍의 연설부(70a)는 제1 면(441)에서의 공급유로(61)의 개구 및 제1 면(441)에서의 제1 출력유로(62)의 개구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클립(70)의 연결부(70b)는 제1 파일럿 밸브(41)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2 면(442)의 전면(全面)에 맞닿고 있다. 연결부(70b)는 제1 파일럿 밸브(41)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2 면(442)에 개구하는 공급유로(61), 출력유로 연통 요부(66), 및 배출유로 연통 요부(67)를 막는다. 제1 파일럿 밸브(41) 및 제2 파일럿 밸브(42)는 한 쌍의 연설부(70a)가 제1 어댑터(132)에 고정됨으로써, 고정 클립(70)의 연결부(70b)와 제1 어댑터(132)에 의해 끼워진 상태에서, 제1 어댑터(132)에 고정된다. 따라서, 고정 클립(70)은 제1 파일럿 밸브(41) 및 제2 파일럿 밸브(42)를 케이싱(11)에 고정한다.
제1 파일럿 밸브(41)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2 면(442), 제1 파일럿 밸브(41)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1 면(441)과 제2 파일럿 밸브(42)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2 면(442) 사이, 및 제2 파일럿 밸브(42)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1 면(441)과 케이싱(11) 사이에는 가스켓(72)이 각각 배치된다.
제1 파일럿 밸브(41)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2 면(442)에 배치된 가스켓(72)은 고정 클립(70)의 연결부(70b)에 의해, 제1 파일럿 밸브(41)의 유로 형성 블록(44)에 짓눌린다(押付). 따라서, 고정 클립(70)의 연결부(70b)에서의 연설부(70a) 부근의 면, 즉, 고정 클립(70)의 내면은 제1 파일럿 밸브(41)의 유로 형성 블록(44)에 대해서 가스켓(72)을 짓누르는 누름면(押壓面)(70f)이 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켓(72)은 제1 가스켓공(72a), 제2 가스켓공(72b), 제3 가스켓공(72c), 제4 가스켓공(72d), 및 제5 가스켓공(72e)을 가진다. 제1 가스켓공(72a)은 제1 면(441)을 평면에서 본 경우, 공급유로(61)의 개구를 둘러싸고 있다. 제2 가스켓공(72b)은 제1 면(441)을 평면에서 본 경우, 제1 출력유로(62)의 개구를 둘러싸고 있다. 제3 가스켓공(72c)은 제1 면(441)을 평면에서 본 경우, 제1 배출유로(64)의 개구를 둘러싸고 있다. 제4 가스켓공(72d)은 제1 면(441)을 평면에서 본 경우, 제2 출력유로(63)의 개구를 둘러싸고 있다. 제5 가스켓공(72e)은 제1 면(441)을 평면에서 본 경우, 제2 배출유로(65)의 개구를 둘러싸고 있다.
제2 파일럿 밸브(42)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1 면(441)과 케이싱(11) 사이에 배치되는 가스켓(72)은 제1 면(441) 상에서, 제2 파일럿 밸브(42)의 공급유로(61), 제1 출력유로(62), 제2 출력유로(63), 제1 배출유로(64), 및 제2 배출유로(65) 각각의 사이를 실링한다. 제1 파일럿 밸브(41)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1 면(441)과 제2 파일럿 밸브(42)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2 면(442) 사이에 배치되는 가스켓(72)은 제1 면(441) 상에서, 제1 파일럿 밸브(41)의 공급유로(61), 제1 출력유로(62), 제2 출력유로(63), 제1 배출유로(64), 및 제2 배출유로(65) 각각의 사이를 실링하고, 제2 면(442) 상에서, 제2 파일럿 밸브(42)의 공급유로(61), 출력유로 연통 요부(66), 및 배출유로 연통 요부(67) 각각의 사이를 실링한다. 제1 파일럿 밸브(41)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2 면(442)과 고정 클립(70)의 연결부(70b) 사이에 배치되는 가스켓(72)은 제2 면(442) 상에서, 제1 파일럿 밸브(41)의 공급유로(61), 출력유로 연통 요부(66), 및 배출유로 연통 요부(67) 각각의 사이를 실링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11)에는 밸브공(16)을 통해 공급 포트(17)에 연통하는 파일럿 유체 공급유로(73)가 형성된다. 파일럿 유체 공급유로(73)는 밸브공(16)에서, 수풀 밸브체(15)의 위치와는 관계없이, 공급 포트(17)에 연통하는 위치에 개구하고 있다. 파일럿 유체 공급유로(73)는 제2 파일럿 밸브(42)의 공급유로(61)에 접속된다.
또한, 케이싱(11)에는 제2 파일럿 밸브(42)의 제1 출력유로(62)와 제2 파일럿압 작용실(38)을 접속하는 파일럿 유체 출력유로(74)가 형성된다. 도시의 형편 상, 파일럿 유체 출력유로(74)의 구체적인 경로는 생략한다. 또한, 케이싱(11)에는 제2 파일럿 밸브(42)의 제1 배출유로(64)에 연통하는 파일럿 유체 배출유로(75)가 형성된다. 파일럿 유체 배출유로(75)에서의 제2 파일럿 밸브(42)와는 반대측 유로는, 제1 연결 블록(13)에서의 케이싱 본체(12)측의 단면에 개구하는 유로와, 제1 연결 블록(13)의 제1 대향면(13a)에 개구하는 유로로 분기한다.
도 1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11)에는 제2 파일럿 밸브(42)의 제2 출력유로(63)와 제1 파일럿압 작용실(34)을 접속하는 파일럿 유체 출력유로(76)가 형성된다. 또한, 케이싱(11)에는 제2 파일럿 밸브(42)의 제2 배출유로(65)에 연통하는 파일럿 유체 배출유로(77)가 형성된다. 파일럿 유체 배출유로(77)에서의 제2 파일럿 밸브(42)의 제2 배출유로(65)와는 반대측 단부는 파일럿 유체 배출유로(75)에 연통한다. 도시의 형편 상, 파일럿 유체 출력유로(76) 및 파일럿 유체 배출유로(77)의 구체적인 경로는 생략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11)의 제2 연결 블록(14)에는 파일럿 유체 배출유로(78)가 형성된다. 파일럿 유체 배출유로(78)는 제2 연결 블록(14)에서의 케이싱 본체(12) 측의 단면에 개구하는 유로와, 제2 연결 블록(14)의 제2 대향면(14a)에 개구하는 유로로 분기한다. 예를 들면, 제1 파일럿 밸브(41) 및 제2 파일럿 밸브(42)가, 제2 연결 블록(14)에 대해서 케이싱 본체(12)와는 반대측 쪽에 배치되고, 제2 파일럿 밸브(42)가 제1 파일럿 밸브(41)와 제2 연결 블록(14)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파일럿 유체 배출유로(78)는 제2 파일럿 밸브(42)의 제1 배출유로(64)에 연통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니폴드 블록(MB)에는 블록 공급유로(81), 제1 블록 출력유로(82), 제2 블록 출력유로(83), 제1 블록 배출유로(84), 및 제2 블록 배출유로(85)가 형성된다. 블록 공급유로(81), 제1 블록 출력유로(82), 제2 블록 출력유로(83), 제1 블록 배출유로(84), 및 제2 블록 배출유로(85)는 재치면(B1)에 개구하고 있다. 재치면(B1)에 개구하는 블록 공급유로(81)의 단부는 공급 포트(17)에 연통한다. 재치면(B1)에 개구하는 제1 블록 출력유로(82)의 단부는 제1 출력 포트(18)에 연통한다. 재치면(B1)에 개구하는 제2 블록 출력유로(83)의 단부는 제2 출력 포트(19)에 연통한다. 재치면(B1)에 개구하는 제1 블록 배출유로(84)의 단부는 제1 배출 포트(20)에 연통한다. 재치면(B1)에 개구하는 제2 블록 배출유로(85)의 단부는 제2 배출 포트(21)에 연통한다.
재치면(B1)과는 반대측의 블록 공급유로(81)의 단부는 배관 등을 통해, 도시하지 않은 유체 공급원에 접속된다. 재치면(B1)과는 반대측의 제1 블록 출력유로(82)의 단부, 및 재치면(B1)과는 반대측의 제2 블록 출력유로(83)의 단부는 배관 등을 통해, 도시하지 않은 유체압 기기에 접속된다. 재치면(B1)과는 반대측의 제1 블록 배출유로(84)의 단부, 및 재치면(B1)과는 반대측의 제2 블록 배출유로(85)의 단부는 배관 등을 통해 대기에 연통한다.
또한, 매니폴드 블록(MB)에는 제1 블록측 파일럿 유체 배출유로(86) 및 제2 블록측 파일럿 유체 배출유로(87)가 형성된다. 제1 블록측 파일럿 유체 배출유로(86)의 제1 단부는 재치면(B1) 상에서, 제1 연결 블록(13)의 제1 대향면(13a)과 대향하는 부분에 개구함과 동시에, 파일럿 유체 배출유로(75)에 연통한다. 제1 블록측 파일럿 유체 배출유로(86)의 제2 단부는 제1 블록 배출유로(84)에 연통한다. 제2 블록측 파일럿 유체 배출유로(87)의 제1 단부는 재치면(B1) 상에서, 제2 연결 블록(14)의 제2 대향면(14a)과 대향하는 부분에 개구함과 동시에, 파일럿 유체 배출유로(78)에 연통한다. 제2 블록측 파일럿 유체 배출유로(87)의 제2 단부는 제2 블록 배출유로(85)에 연통한다.
매니폴드 블록(MB)의 재치면(B1)과 케이싱 본체(12) 사이에는 블록측 가스켓(88)이 설치된다. 블록측 가스켓(88)은 매니폴드 블록(MB)의 재치면(B1)과 케이싱 본체(12) 사이를 실링한다.
제1 블록측 파일럿 유체 배출유로(86)의 제1 단부에는 제1 체크밸브(89a)가 부착되어 있다. 제1 체크밸브(89a)는 제1 체크밸브(89a) 내의 압력이 소정 압력에 달하면 밸브가 열리고, 파일럿 유체 배출유로(75)에서 제1 블록측 파일럿 유체 배출유로(86)를 향해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허용한다. 또한, 제1 체크밸브(89a)는 제1 체크밸브(89a) 내의 압력이 소정 압력보다 작은 경우에 밸브가 닫히고, 제1 블록측 파일럿 유체 배출유로(86)에서 파일럿 유체 배출유로(75)로의 유체 흐름을 저지한다.
제2 블록측 파일럿 유체 배출유로(87)의 제1 단부에는 제2 체크밸브(89b)가 부착되어 있다. 제2 체크밸브(89b)는 제2 체크밸브(89b) 내의 압력이 소정 압력에 달하면 밸브가 열리고, 파일럿 유체 배출유로(78)에서 제2 블록측 파일럿 유체 배출유로(87)를 향해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허용한다. 또한, 제2 체크밸브(89b)는 제2 체크밸브(89b) 내의 압력이 소정 압력보다 작은 경우에 밸브가 닫히고, 제2 블록측 파일럿 유체 배출유로(87)에서 파일럿 유체 배출유로(78)로의 유체의 흐름을 저지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파일럿 밸브(41)는 제1 접속단자(91)를 가진다. 제1 접속단자(91)는 제1 파일럿 밸브(41)의 솔레노이드(46)의 코일(4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1 접속단자(91)는 제1 파일럿 밸브(41)의 솔레노이드 케이스(43)에서의 유로 형성 블록(44)과는 반대측 단면에서 돌출하고 있다. 또한, 제2 파일럿 밸브(42)는 제2 접속단자(92)를 가진다. 제2 접속단자(92)는 제2 파일럿 밸브(42)의 솔레노이드(46)의 코일(4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2 접속단자(92)는 제2 파일럿 밸브(42)의 솔레노이드 케이스(43)에서의 유로 형성 블록(44)과는 반대측 단면에서 돌출하고 있다.
매니폴드 블록(MB)은 회로기판(93), 제1 단자(94), 및 제2 단자(95)를 가진다. 회로기판(93)에는 예를 들면, 프로그램 가능 논리 제어장치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등의 외부제어 기기로부터의 전력이 공급된다. 제1 단자(94) 및 제2 단자(95)는 회로기판(9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1 접속단자(91)는 파일럿형 전자밸브(10)가 매니폴드 블록(MB)의 재치면(B1)에 탑재됨과 동시에, 제1 단자(94)에 접속된다. 제2 접속단자(92)는 파일럿형 전자밸브(10)가 매니폴드 블록(MB)의 재치면(B1)에 탑재됨과 동시에, 제2 단자(95)에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의 전자밸브 매니폴드는 제1 파일럿 밸브(41) 및 제2 파일럿 밸브(42)가 매니폴드 블록(MB)에 장착됨과 동시에, 제1 파일럿 밸브(41)의 제1 접속단자(91) 및 제2 파일럿 밸브(42)의 제2 접속단자(92)가 매니폴드 블록(MB)의 제1 단자(94) 및 제2 단자(95)에 각각 접속되는 플러그인 구조이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회로기판(93)에서의 제1 단자(94) 및 제1 접속단자(91)를 통한 제1 파일럿 밸브(41)의 솔레노이드(46)의 코일(47)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어 있고, 회로기판(93)에서의 제2 단자(95) 및 제2 접속단자(92)를 통한 제2 파일럿 밸브(42)의 솔레노이드(46)의 코일(47)로의 전력을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한다.
이 경우, 제2 파일럿 밸브(42)의 코일(47)이 여자됨으로써, 코일(47)의 주위에 자기 프레임(45), 고정 철심(48), 플런저(49), 및 자성 코어(52)를 통과하는 자속이 발생한다. 그리고, 코일(47)의 여자작용에 의해 고정 철심(48)에 흡인력이 발생한다. 그러면, 플런저(49)가, 플런저 스프링(50)의 가압력(付勢力)에 저항하여 고정 철심(48)에 흡착된다. 이 때문에, 제2 파일럿 밸브(42)의 파일럿 밸브체(56)가, 밸브체 스프링(59)의 가압력에 의해 제1 밸브 시트(57)에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제2 밸브 시트(58)에 착석한다.
이로 인해, 제2 파일럿 밸브(42)의 공급유로(61)와 제1 출력유로(62)가 밸브실(55)을 통해 연통함과 동시에, 밸브실(55)을 통한 제1 출력유로(62)와 제1 배출유로(64)와의 연통이 차단된다. 그리고, 유체 공급원에서의 압축된 유체는 파일럿 유체 공급유로(73), 제2 파일럿 밸브(42)의 공급유로(61), 밸브실(55), 제1 출력유로(62), 파일럿 유체 출력유로(74)를 통해 제2 파일럿압 작용실(38)에 파일럿 유체로서 공급된다.
한편, 제1 파일럿 밸브(41)에서는 솔레노이드(46)의 코일(47)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코일(47)의 여자작용에 의한 고정 철심(48)의 흡인력이 소멸한다. 이로 인해, 플런저(49)가, 플런저 스프링(50)의 가압력에 의해 고정 철심(48)에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플런저(49)의 한 쌍의 밸브 누름부(押壓付)(49a)에 의해 제1 파일럿 밸브(41)의 파일럿 밸브체(56)가, 밸브체 스프링(59)의 가압력(付勢力)에 저항하여 제1 밸브 시트(57)를 향해 눌려서(押壓), 제1 밸브 시트(57)에 착석한다.
이로 인해, 제1 파일럿 밸브(41)의 제1 출력유로(62)와 제1 배출유로(64)가 밸브실(55)을 통해 연통함과 동시에, 밸브실(55)을 통한 공급유로(61)와 제1 출력유로(62)와의 연통이 차단된다. 제1 파일럿압 작용실(34) 내의 파일럿 유체는 파일럿 유체 출력유로(76), 제2 파일럿 밸브(42)의 제2 출력유로(63), 출력유로 연통 요부(66), 제1 파일럿 밸브(41)의 제1 출력유로(62), 밸브실(55), 제1 배출유로(64), 제2 파일럿 밸브(42)의 배출유로 연통 요부(67), 및 제2 배출유로(65)를 통해 파일럿 유체 배출유로(77)로 배출된다. 파일럿 유체 배출유로(77)로 배출된 파일럿 유체는 파일럿 유체 배출유로(75), 제1 체크밸브(89a), 제1 블록측 파일럿 유체 배출유로(86), 및 제1 블록 배출유로(84)를 통해 대기로 배출된다.
이렇게 하여, 제1 파일럿 밸브(41)에 의한 제1 파일럿압 작용실(34) 내의 파일럿 유체의 배출, 및 제2 파일럿 밸브(42)에 의한 제2 파일럿압 작용실(38)에 대한 파일럿 유체의 공급이 이루어짐으로써, 수풀 밸브체(15)가 제1 피스톤 수용 요부(31)를 향해 이동한다. 그 결과, 공급 포트(17)와 제2 출력 포트(19)가 연통함과 동시에, 제1 출력 포트(18)와 제1 배출 포트(20)가 연통한다. 또한, 공급 포트(17)와 제1 출력 포트(18) 사이가 제1 밸브부(151)의 제1 수풀 패킹(26)에 의해 실링됨과 동시에, 제2 출력 포트(19)와 제2 배출 포트(21) 사이가 제4 밸브부(154)의 제4 수풀 패킹(29)에 의해 실링된다.
수풀 밸브체(15)가 제1 피스톤 수용 요부(31)를 향해 이동했을 때, 제1 피스톤 수용 요부(31)에서의 제1 피스톤(32)보다 제1 파일럿압 작용실(34)과는 반대측 공간에는 파일럿 유체 배출유로(75) 내의 유체가, 제1 연결 블록(13)과 케이싱 본체(12) 사이를 통해 흘러 들어간다. 또한, 수풀 밸브체(15)가 제1 피스톤 수용 요부(31)를 향해 이동했을 때, 제2 피스톤 수용 요부(35)에서의 제2 피스톤(36)보다 제2 파일럿압 작용실(38)과는 반대측 공간의 유체가, 제2 연결 블록(14)과 케이싱 본체(12) 사이를 통해 파일럿 유체 배출유로(78)로 흘러 들어간다.
그리고, 유체 공급원으로부터의 유체가 블록 공급유로(81), 공급 포트(17), 제2 출력 포트(19), 및 제2 블록 출력유로(83)를 통해 유체압 기기에 공급된다. 또한, 유체압 기기로부터의 유체가, 제1 블록 출력유로(82), 제1 출력 포트(18), 제1 배출 포트(20), 및 제1 블록 배출유로(84)를 통해 대기로 배출된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회로기판(93)에서의 제1 단자(94) 및 제1 접속단자(91)를 통한 제1 파일럿 밸브(41)의 솔레노이드(46)의 코일(47)로의 전력을 공급하고 있으며, 회로기판(93)에서의 제2 단자(95) 및 제2 접속단자(92)를 통한 제2 파일럿 밸브(42)의 솔레노이드(46)의 코일(47)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어 있다고 한다.
이 경우, 제1 파일럿 밸브(41)의 코일(47)이 여자됨으로써, 코일(47)의 주위에 자기 프레임(45), 고정 철심(48), 플런저(49), 및 자성 코어(52)를 통과하는 자속이 발생한다. 그리고, 코일(47)의 여자작용에 의해 고정 철심(48)에 흡인력이 발생한다. 그러면, 플런저(49)가 플런저 스프링(50)의 가압력(付勢力)에 저항하여 고정 철심(48)에 흡착된다. 이 때문에, 제1 파일럿 밸브(41)의 파일럿 밸브체(56)가, 밸브체 스프링(59)의 가압력에 의해 제1 밸브 시트(57)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제2 밸브 시트(58)에 착석한다.
이로 인해, 제1 파일럿 밸브(41)의 공급유로(61)와 제1 출력유로(62)가 밸브실(55)을 통해 연통함과 동시에, 밸브실(55)을 통한 제1 출력유로(62)와 제1 배출유로(64)와의 연통이 차단된다. 그리고, 유체 공급원에서의 압축된 유체는 파일럿 유체 공급유로(73), 제2 파일럿 밸브(42)의 공급유로(61), 제1 파일럿 밸브(41)의 공급유로(61), 밸브실(55), 제1 출력유로(62), 제2 파일럿 밸브(42)의 출력유로 연통 요부(66), 제2 출력유로(63), 파일럿 유체 출력유로(76)를 통해 제1 파일럿압 작용실(34)에 파일럿 유체로서 공급된다.
한편, 제2 파일럿 밸브(42)에서는, 솔레노이드(46)의 코일(47)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코일(47)의 여자작용에 의한 고정 철심(48)의 흡인력이 소멸한다. 이로 인해, 플런저(49)가, 플런저 스프링(50)의 가압력에 의해 고정 철심(48)에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플런저(49)의 한 쌍의 밸브 누름부(押壓部)(49a)에 의해 제2 파일럿 밸브(42)의 파일럿 밸브체(56)가, 밸브체 스프링(59)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제1 밸브 시트(57)를 향해 눌려서, 제1 밸브 시트(57)에 착석한다.
이로 인해, 제2 파일럿 밸브(42)의 제1 출력유로(62)와 제1 배출유로(64)가 밸브실(55)을 통해 연통함과 동시에, 밸브실(55)을 통한 공급유로(61)와 제1 출력유로(62)와의 연통이 차단된다. 제2 파일럿압 작용실(38) 내의 파일럿 유체는 파일럿 유체 출력유로(74), 제2 파일럿 밸브(42)의 제1 출력유로(62), 밸브실(55), 제1 배출유로(64), 파일럿 유체 배출유로(75), 제1 체크밸브(89a), 제1 블록측 파일럿 유체 배출유로(86), 및 제1 블록 배출유로(84)를 통해 대기로 배출된다.
이렇게 하여, 제1 파일럿 밸브(41)에 의한 제1 파일럿압 작용실(34)에 대한 파일럿 유체의 공급, 및 제2 파일럿 밸브(42)에 의한 제2 파일럿압 작용실(38) 내의 파일럿 유체의 배출이 이루어짐으로써, 수풀 밸브체(15)가 제2 피스톤 수용 요부(35)를 향해 이동한다. 그 결과, 공급 포트(17)와 제1 출력 포트(18)가 연통함과 동시에, 제2 출력 포트(19)와 제2 배출 포트(21)가 연통한다. 또한, 공급 포트(17)와 제2 출력 포트(19) 사이가 제3 밸브부(153)의 제3 수풀 패킹(28)에 의해 실링됨과 동시에, 제1 출력 포트(18)와 제1 배출 포트(20) 사이가 제2 밸브부(152)의 제2 수풀 패킹(27)에 의해 실링된다.
수풀 밸브체(15)가 제2 피스톤 수용 요부(35)를 향해 이동했을 때, 제1 피스톤 수용 요부(31)에서의 제1 피스톤(32)보다 제1 파일럿압 작용실(34)과는 반대측 공간의 유체가, 제1 연결 블록(13)과 케이싱 본체(12) 사이를 통해 파일럿 유체 배출유로(75)에 흘러 들어간다. 또한, 수풀 밸브체(15)가 제2 피스톤 수용 요부(35)를 향해 이동했을 때, 제2 피스톤 수용 요부(35)에서의 제2 피스톤(36)보다 제2 파일럿압 작용실(38)과는 반대측 공간에는 파일럿 유체 배출유로(78) 내의 유체가, 제2 연결 블록(14)과 케이싱 본체(12) 사이를 통해 흘러 들어간다.
그리고, 유체 공급원에서의 유체가, 블록 공급유로(81), 공급 포트(17), 제1 출력 포트(18), 및 제1 블록 출력유로(82)를 통해 유체압 기기로 공급된다. 또한, 유체압 기기로부터의 유체가, 제2 블록 출력유로(83), 제2 출력 포트(19), 제2 배출 포트(21), 및 제2 블록 배출유로(85)를 통해 대기로 배출된다.
따라서, 제1 파일럿 밸브(41)는 제1 파일럿압 작용실(34)에 대해서 파일럿 유체를 급배한다. 제2 파일럿 밸브(42)는 제2 파일럿압 작용실(38)에 대해서 파일럿 유체를 급배한다. 제1 출력유로(62) 및 제2 출력유로(63)는 제1 파일럿압 작용실(34) 또는 제2 파일럿압 작용실(38)에 대한 파일럿 유체의 급배를 수행한다. 또한, 제1 배출유로(64) 및 제2 배출유로(65)는 제1 파일럿압 작용실(34) 또는 제2 파일럿압 작용실(38)의 파일럿 유체를 배출한다.
본 실시형태의 파일럿형 전자밸브(10)는 공급 포트(17)로 공급된 유체의 일부를 제1 파일럿압 작용실(34) 및 제2 파일럿압 작용실(38)로 공급하는 내부 파일럿식이다. 파일럿형 전자밸브(10)에서는 수풀 밸브체(15)가 파일럿 유체에 의해 케이싱(11) 내를 왕복 이동함으로써, 각 포트 간 연통이 전환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제1 파일럿 밸브(41) 및 제2 파일럿 밸브(42)의 각 유로 형성 블록(44)은 제1 면(441) 및 제2 면(442)에 개구함과 동시에 밸브실(55)에 연통하는 공급유로(61)와, 제1 면(441)에 개구함과 동시에 밸브실(55)에 연통하는 제1 출력유로(62)와, 제1 면(441)에 개구하는 제2 출력유로(63)를 가진다. 또한, 제1 파일럿 밸브(41) 및 제2 파일럿 밸브(42)의 각 유로 형성 블록(44)은 제2 면(442)에서, 제1 면(441)에 개구하는 제1 출력유로(62)의 개구영역(Z1)과 중복하는 부위에 설치됨과 동시에, 제2 출력유로(63)에 연통하는 출력유로 연통 요부(66)를 가진다.
예를 들면, 제1 파일럿 밸브(41) 및 제2 파일럿 밸브(42)를, 제1 파일럿 밸브(41)의 제1 출력유로(62)가 제2 파일럿 밸브(42)의 출력유로 연통 요부(66)에 연통하도록, 제1 파일럿 밸브(41)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1 면(441)과, 제2 파일럿 밸브(42)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2 면(442)을 맞댄(突合) 상태에서, 서로 배치한다. 이 경우, 제1 파일럿 밸브(41)의 제1 출력유로(62)가, 제2 파일럿 밸브(42)의 출력유로 연통 요부(66)를 통해 제2 파일럿 밸브(42)의 제2 출력유로(63)에 연통된다.
또한, 예를 들면, 제1 파일럿 밸브(41) 및 제2 파일럿 밸브(42)를, 제2 파일럿 밸브(42)의 제1 출력유로(62)가 제1 파일럿 밸브(41)의 출력유로 연통 요부(66)에 연통하도록, 제1 파일럿 밸브(41)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2 면(442)과 제2 파일럿 밸브(42)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1 면(441)을 맞댄 상태에서, 서로 배치한다. 이 경우, 제2 파일럿 밸브(42)의 제1 출력유로(62)가, 제1 파일럿 밸브(41)의 출력유로 연통 요부(66)를 통해 제1 파일럿 밸브(41)의 제2 출력유로(63)에 연통된다.
따라서, 제1 파일럿 밸브(41) 및 제2 파일럿 밸브(42)의 각 유로 형성 블록(44)이 동일한 유로 구조일지라도, 제1 파일럿 밸브(41)에서의 제1 파일럿압 작용실(34)에 대한 파일럿 유체의 급배, 및 제2 파일럿 밸브(42)에서의 제2 파일럿압 작용실(38)에 대한 파일럿 유체의 급배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파일럿압 작용실(34)에 대한 파일럿 유체의 급배, 및 제2 파일럿압 작용실(38)에 대한 파일럿 유체의 급배를 수행하므로, 유로 구조가 상이한 2종류의 유로 형성 블록을 준비할 필요가 없어 생산효율이 향상된다.
(2) 제1 파일럿 밸브(41) 및 제2 파일럿 밸브(42)의 각 유로 형성 블록(44)은 제1 면(441)에 개구함과 동시에, 밸브실(55)에 연통하는 제1 배출유로(64)와 제1 면(441)에 개구하는 제2 배출유로(65)를 가진다. 또한, 제1 파일럿 밸브(41) 및 제2 파일럿 밸브(42)의 각 유로 형성 블록(44)은 제2 면(442)에서, 제1 면(441)에 개구하는 제1 배출유로(64)의 개구영역(Z2)과 중복하는 부위에 설치됨과 동시에, 제2 배출유로(65)에 연통하는 배출유로 연통 요부(67)를 가진다.
예를 들면, 제1 파일럿 밸브(41) 및 제2 파일럿 밸브(42)를, 제1 파일럿 밸브(41)의 제1 배출유로(64)가 제2 파일럿 밸브(42)의 배출유로 연통 요부(67)에 연통하도록, 제1 파일럿 밸브(41)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1 면(441)과 제2 파일럿 밸브(42)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2 면(442)을 맞댄 상태에서 서로 배치한다. 이 경우, 제1 파일럿 밸브(41)의 제1 배출유로(64)가, 제2 파일럿 밸브(42)의 배출유로 연통 요부(67)를 통해 제2 파일럿 밸브(42)의 제2 배출유로(65)에 연통된다.
또한, 예를 들면, 제1 파일럿 밸브(41) 및 제2 파일럿 밸브(42)를, 제2 파일럿 밸브(42)의 제1 배출유로(64)가 제1 파일럿 밸브(41)의 배출유로 연통 요부(67)에 연통하도록, 제1 파일럿 밸브(41)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2 면(442)과 제2 파일럿 밸브(42)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1 면(441)을 맞댄 상태에서 서로 배치한다. 이 경우, 제2 파일럿 밸브(42)의 제1 배출유로(64)가, 제1 파일럿 밸브(41)의 배출유로 연통 요부(67)를 통해 제1 파일럿 밸브(41)의 제2 배출유로(65)에 연통된다.
따라서, 제1 파일럿 밸브(41) 및 제2 파일럿 밸브(42)의 각 유로 형성 블록(44)이 동일한 유로 구조일지라도, 제1 파일럿압 작용실(34)의 파일럿 유체의 배출, 및 제2 파일럿 밸브(42)의 제2 파일럿압 작용실(38)의 배출을 각각 다른 유로에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1 파일럿압 작용실(34)의 파일럿 유체의 배출을 수행할 때, 제1 파일럿압 작용실(34)로부터 배출되는 파일럿 유체가 제2 파일럿 밸브(42)의 밸브실(55) 내로 들어가 제2 파일럿 밸브(42)가 오작동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3) 제1 파일럿 밸브(41)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2 면(442) 상, 제1 파일럿 밸브(41)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1 면(441)과 제2 파일럿 밸브(42)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2 면(442) 사이, 및 제2 파일럿 밸브(42)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1 면(441)과 케이싱(11) 사이에는 가스켓(72)이 각각 배치된다. 가스켓(72)은 제1 면(441) 상에서, 공급유로(61), 제1 출력유로(62), 제2 출력유로(63), 제1 배출유로(64), 및 제2 배출유로(65) 각각의 사이를 실링하고, 제2 면(442) 상에서, 공급유로(61), 출력유로 연통 요부(66), 및 배출유로 연통 요부(67) 각각의 사이를 실링한다. 따라서, 제1 파일럿 밸브(41)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2 면(442) 상, 제1 파일럿 밸브(41)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1 면(441)과 제2 파일럿 밸브(42)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2 면(442) 사이, 및 제2 파일럿 밸브(42)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1 면(441)과 케이싱(11) 사이에 동일한 가스켓(72)을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생산효율이 향상한다.
(4) 제1 파일럿 밸브(41) 및 제2 파일럿 밸브(42)는 고정 클립(70)에 의해 케이싱(11)에 고정된다. 이에 따르면, 나사를 이용하여 제1 파일럿 밸브(41) 및 제2 파일럿 밸브(42)를 케이싱(11)에 고정하는 경우와 달리, 나사가 삽통되는 나사 삽통공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유로 형성 블록(44)에서, 나사 삽통공을 형성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생략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파일럿 밸브(41) 및 제2 파일럿 밸브(42)를 소형화 할 수 있다. 또한, 유로 형성 블록(44)에서, 나사 삽통공을 형성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생략할 수 있는 만큼, 각 유로의 유로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5) 연결부(70b)는 제1 파일럿 밸브(41)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2 면(442)에 개구하는 공급유로(61), 출력유로 연통 요부(66), 및 배출유로 연통 요부(67)를 막는다. 이에 따르면, 제1 파일럿 밸브(41)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2 면(442)에 개구하는 공급유로(61), 출력유로 연통 요부(66), 및 배출유로 연통 요부(67)를 막는데, 고정 클립(70)과는 별개의 부재가 불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부품의 점수를 삭감할 수 있어 생산효율이 향상한다.
(6) 제1 파일럿 밸브(41) 및 제2 파일럿 밸브(42)의 각 바디(60)에는 밸브실(55) 내에서의 파일럿 밸브체(56)의 이동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밸브 시트(57) 및 제2 밸브 시트(58)가 설치된다. 파일럿 밸브체(56)가 제1 밸브 시트(57)에 착석하면, 공급유로(61)와 제1 출력유로(62)와의 연통이 차단된다. 또한, 파일럿 밸브체(56)가 제2 밸브 시트(58)에 착석하면, 제1 출력유로(62)와 제1 배출유로(64)와의 연통이 차단된다. 공급유로(61), 제1 출력유로(62), 및 제1 배출유로(64)는 파일럿 밸브체(56)의 이동방향으로 이 순서로 나열된다. 제2 출력유로(63)는 제1 배출유로(64)와 양측면(443) 중 일방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2 배출유로(65)는 제1 배출유로(64)와 양측면(443) 중 타방과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제1 면(441)에서 보았을 때, 한 쌍의 연설부(70a)는 제1 면(441)에서의 공급유로(61)의 개구, 및 제1 면(441)에서의 제1 출력유로(62)의 개구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밸브실(55) 내에서의 파일럿 밸브체(56)의 이동방향으로 대향 배치되는 제1 밸브 시트(57) 및 제2 밸브 시트(58)를 구비한 제1 파일럿 밸브(41) 및 제2 파일럿 밸브(42)의 소형화에는 매우 적합하다.
(7) 제1 파일럿 밸브(41) 및 제2 파일럿 밸브(42)의 각 유로 형성 블록(44)을 공통화 할 수 있으므로, 파일럿형 전자밸브(10)의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메인터넌스 시 절차 변경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효율적으로 메인터넌스 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 및 이하의 변경예는 기술적으로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서 서로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제1 파일럿 밸브(41) 및 제2 파일럿 밸브(42)의 각 제1 배출유로(64)에, 밸브실(55)로부터 배출되는 유체의 흐름을 허용함과 동시에, 밸브실(55)로 향하는 유체의 흐름을 저지하는 체크 밸브를 설치해도 좋다. 이에 따르면, 예를 들면, 제1 파일럿압 작용실(34)로부터 배출되는 파일럿 유체가, 제2 파일럿 밸브(42)의 밸브실(55) 내로 들어가거나, 제2 파일럿압 작용실(38)로부터 배출되는 파일럿 유체가, 제1 파일럿 밸브(41)의 밸브실(55) 내로 들어가거나 하는 것이 더 회피된다.
제1 파일럿 밸브(41) 및 제2 파일럿 밸브(42)의 각 유로 형성 블록(44)에서, 제1 배출유로(64), 제2 배출유로(65), 및 배출유로 연통 요부(67)를 생략해도 좋다. 제1 파일럿 밸브(41) 및 제2 파일럿 밸브(42)의 각 유로 형성 블록(44)에, 제1 면(441) 및 제2 면(442)에 개구함과 동시에 밸브실(55)에 연통하는 배출유로를 형성해도 좋다.
제1 파일럿 밸브(41)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2 면(442) 상에 배치되는 가스켓이, 제1 파일럿 밸브(41)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1 면(441)과 제2 파일럿 밸브(42)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2 면(442) 사이에 배치되는 가스켓(72)과 다른 형상이라도 좋다. 요점은, 제1 파일럿 밸브(41)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2 면(442) 상에 배치되는 가스켓은 제2 면(442) 상에서, 공급유로(61), 출력유로 연통 요부(66), 및 배출유로 연통 요부(67) 각각의 사이를 실링할 수 있으면 좋다.
고정 클립(70)은 수지제라도 좋다.
고정 클립(70)의 연결부(70b)와 제1 파일럿 밸브(41)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2 면(442) 사이에, 제1 파일럿 밸브(41)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2 면(442)에 개구하는 공급유로(61), 출력유로 연통 요부(66), 및 배출유로 연통 요부(67)를 막는 판부재를 배치해도 좋다.
나사를 이용하여 제1 파일럿 밸브(41) 및 제2 파일럿 밸브(42)를, 케이싱(11)에 고정해도 좋다. 이 경우, 제1 파일럿 밸브(41)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2 면(442)에 개구하는 공급유로(61), 출력유로 연통 요부(66), 및 배출유로 연통 요부(67)를 막는 덮개부재를, 제1 파일럿 밸브(41)의 유로 형성 블록(44)의 제2 면(442)에 부착할 필요가 있다.
파일럿형 전자밸브(10)의 주밸브부(V1)가, 밸브공(16)에 두 개의 수풀 밸브체가 수용된 듀얼 3포트형의 방향 제어밸브라도 좋다. 이 경우, 두 개의 수풀 밸브체는 제1 파일럿 밸브(41)에서의 제1 파일럿압 작용실(34)에 대한 파일럿 유체의 급배, 및 제2 파일럿 밸브(42)에서의 제2 파일럿압 작용실(38)에 대한 파일럿 유체의 급배에 의해 각각 독립하여 동작한다.

Claims (6)

  1. 복수의 포트를 가지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를 왕복 이동함으로써 상기 각 포트 간의 연통을 전환하는 수풀 밸브체와,
    상기 케이싱 내에서 상기 수풀 밸브체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 파일럿압 작용실 및 제2 파일럿압 작용실과,
    상기 제1 파일럿압 작용실에 대해서 파일럿 유체를 급배하는 제1 파일럿 밸브와,
    상기 제2 파일럿압 작용실에 대해서 파일럿 유체를 급배하는 제2 파일럿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파일럿 밸브와 상기 제2 파일럿 밸브가 서로 연접한 상태로 배치되는 파일럿형 전자밸브로서,
    상기 제1 파일럿 밸브 및 상기 제2 파일럿 밸브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는 반대측의 제2 면을 가지는 직사각형 블록 형상의 바디를 각각 가지고,
    상기 각 바디는,
    파일럿 밸브체가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밸브실과,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에 개구함과 동시에, 상기 밸브실에 연통하는 공급유로와,
    상기 제1 면에 개구함과 동시에 상기 밸브실에 연통하고, 상기 제1 파일럿압 작용실 또는 상기 제2 파일럿압 작용실에 대한 파일럿 유체의 급배를 수행하기 위한 제1 출력유로와,
    상기 제1 면에 개구함과 동시에, 상기 제1 파일럿압 작용실 또는 상기 제2 파일럿압 작용실에 대한 파일럿 유체의 급배를 수행하기 위한 제2 출력유로와,
    상기 제2 면에서, 상기 제1 면에 개구하는 상기 제1 출력유로의 개구영역과 중복하는 부위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출력유로에 연통하는 출력유로 연통 요부,
    를 가지는, 파일럿형 전자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바디는,
    상기 제1 면에 개구함과 동시에 상기 밸브실에 연통하고, 상기 제1 파일럿압 작용실 또는 상기 제2 파일럿압 작용실의 파일럿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제1 배출유로와,
    상기 제1 면에 개구함과 동시에, 상기 제1 파일럿압 작용실 또는 상기 제2 파일럿압 작용실의 파일럿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제2 배출유로와,
    상기 제2 면에서, 상기 제1 면에 개구하는 상기 제1 배출유로의 개구영역과 중복하는 부위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2 배출유로에 연통하는 배출유로 연통 요부,
    를 가지는, 파일럿형 전자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 상에서, 상기 공급유로, 상기 제1 출력유로, 상기 제2 출력유로, 상기 제1 배출유로, 및 상기 제2 배출유로 각각의 사이를 실링하고, 상기 제2 면 상에서, 상기 공급유로, 상기 출력유로 연통 요부, 및 상기 배출유로 연통 요부 각각의 사이를 실링하는 가스켓을 구비하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제1 파일럿 밸브의 상기 바디의 상기 제2 면 상, 상기 제1 파일럿 밸브의 상기 바디의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파일럿 밸브의 상기 바디의 상기 제2 면 사이, 및 상기 제2 파일럿 밸브의 상기 바디의 상기 제1 면과 상기 케이싱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파일럿형 전자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일럿 밸브 및 상기 제2 파일럿 밸브를 상기 케이싱에 고정하는 고정 클립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클립은,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는 판 형상의 한 쌍의 연설부와,
    상기 한 쌍의 서로의 연설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제1 파일럿 밸브 및 상기 제2 파일럿 밸브는 상기 한 쌍의 연설부가 상기 케이싱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연결부와 상기 케이싱에 의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는, 파일럿형 전자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파일럿 밸브의 상기 바디의 상기 제2 면에 개구하는 상기 공급유로, 상기 출력유로 연통 요부, 및 상기 배출유로 연통 요부를 막는, 파일럿형 전자밸브.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바디는 상기 밸브실 내에서의 상기 파일럿 밸브체의 이동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밸브 시트 및 제2 밸브 시트를 가지고,
    상기 파일럿 밸브체가 상기 제1 밸브 시트에 착석함으로써, 상기 공급유로와 상기 제1 출력유로와의 연통이 차단되고,
    상기 파일럿 밸브체가 상기 제2 밸브 시트에 착석함으로써, 상기 제1 출력유로와 상기 제1 배출유로와의 연통이 차단되고,
    상기 공급유로, 상기 제1 출력유로, 및 상기 제1 배출유로는 상기 파일럿 밸브체의 이동방향으로 이 순서로 나열되고,
    상기 파일럿 밸브체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출력유로는 상기 제1 배출유로와,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 중 일방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배출유로는 상기 제1 배출유로와, 상기 한 쌍의 측면 중 타방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한 쌍의 연설부는 상기 제1 면에서의 상기 공급유로의 개구, 및 상기 제1 면에서의 상기 제1 출력유로 개구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파일럿형 전자밸브.
KR1020207036913A 2019-05-15 2020-05-11 파일럿형 전자밸브 KR1023599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92380 2019-05-15
JP2019092380A JP6975749B2 (ja) 2019-05-15 2019-05-15 パイロット形電磁弁
PCT/JP2020/018833 WO2020230759A1 (ja) 2019-05-15 2020-05-11 パイロット形電磁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164A KR20210013164A (ko) 2021-02-03
KR102359975B1 true KR102359975B1 (ko) 2022-02-08

Family

ID=73220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6913A KR102359975B1 (ko) 2019-05-15 2020-05-11 파일럿형 전자밸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549608B2 (ko)
JP (1) JP6975749B2 (ko)
KR (1) KR102359975B1 (ko)
CN (1) CN112334694B (ko)
DE (1) DE112020000079T5 (ko)
TW (1) TWI729805B (ko)
WO (1) WO20202307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88982B2 (ja) * 2019-09-04 2022-06-21 Ckd株式会社 パイロット形電磁弁
JP2023122706A (ja) * 2022-02-24 2023-09-05 Ckd株式会社 電磁弁マニホールド
JP2023154987A (ja) 2022-04-08 2023-10-20 Ckd株式会社 電磁弁マニホールド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8123A (ja) 2004-04-22 2005-11-04 Smc Corp 連接形電磁弁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4582U (ja) * 1984-06-30 1986-02-13 株式会社ナブコ 電磁パイロツト操作型方向切換弁
JP2586737Y2 (ja) * 1993-05-10 1998-12-09 太陽鉄工株式会社 電磁切換え弁
JP3323344B2 (ja) * 1994-11-22 2002-09-09 エスエムシー株式会社 ダブルソレノイド形電磁弁
JP3620753B2 (ja) * 1995-11-02 2005-02-16 三輪精機株式会社 車両用給排気切替用電磁制御弁
JPH10132105A (ja) * 1996-10-28 1998-05-22 Smc Corp パイロット式5ポート切換弁
JP3854366B2 (ja) * 1997-06-04 2006-12-06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パイロット式電磁弁
JP4072756B2 (ja) * 2002-07-05 2008-04-09 Smc株式会社 センサー付きマニホールドバルブ
JP4211002B2 (ja) * 2004-04-22 2009-01-21 Smc株式会社 連接形電磁弁
JP4228370B2 (ja) * 2004-10-25 2009-02-25 Smc株式会社 電磁パイロット式切換弁
KR100745509B1 (ko) 2005-10-13 2007-08-0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광각 및 고변배 줌 렌즈 및 이를 채용한 카메라
DE102006056089A1 (de) * 2006-11-28 2008-05-29 Festo Ag & Co. Ventileinrichtung
CN101730800B (zh) * 2007-05-12 2013-03-27 费斯托股份有限两合公司 用于不同的流量类型的模块化阀组件
DE102007040929B3 (de) 2007-08-30 2008-06-19 Festo Ag & Co. Ventilanordnung mit Maßnahmen zur Drucküberwachung
JP4756119B2 (ja) * 2009-01-21 2011-08-24 Smc株式会社 ベース部材に対する弁取付機構
JP5505843B2 (ja) * 2011-04-07 2014-05-28 Smc株式会社 パイロット式3位置切換弁
DE102011056647B4 (de) 2011-12-20 2021-08-12 Canon Production Printing Germany Gmbh & Co. Kg Einrichtung zur Reinigung einer Komponente von Ablagerungen
JP5991288B2 (ja) * 2013-08-28 2016-09-14 Smc株式会社 残圧排出弁付き5ポート切換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8123A (ja) 2004-04-22 2005-11-04 Smc Corp 連接形電磁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164A (ko) 2021-02-03
CN112334694A (zh) 2021-02-05
WO2020230759A1 (ja) 2020-11-19
JP2020186781A (ja) 2020-11-19
TW202043656A (zh) 2020-12-01
TWI729805B (zh) 2021-06-01
US20210324966A1 (en) 2021-10-21
CN112334694B (zh) 2022-05-17
US11549608B2 (en) 2023-01-10
DE112020000079T5 (de) 2021-04-15
JP6975749B2 (ja) 202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9975B1 (ko) 파일럿형 전자밸브
JP6328461B2 (ja) ソレノイド
EP0687843B1 (en) Balanced type direct-acting electromagnetic valve
US6543481B2 (en) Pilot operated pneumatic valve
US6192937B1 (en) Pilot operated pneumatic valve
US6026860A (en) Solenoid valve apparatus for two end-users
KR20020050707A (ko) 포핏식 전자밸브
CN109555890B (zh) 隔膜阀
US10024452B2 (en) Solenoid valve
KR20030015139A (ko) 전자밸브용 솔레노이드
WO2003104696A1 (ja) 電磁弁
US3141115A (en) Solenoid mounting for valve operating mechanism
KR20190007441A (ko) 전자 밸브
US3633624A (en) Solenoid-operated valve assembly
CN112443698B (zh) 先导式电磁阀
US20170268687A1 (en) Solenoid valve
AU2002346023B2 (en) Pilot operated pneumatic valve
KR20210016376A (ko) 유체 바람직하게는 가스용 밸브
WO2003104695A1 (ja) 電磁弁
JP2023122325A (ja) 電磁弁マニホールド
AU2002346023A1 (en) Pilot operated pneumatic valve
WO2021137174A1 (en) Oil control solenoid valve with dual sealing
JP5794947B2 (ja) 方向制御弁
JP2019086011A (ja) パイロット形電磁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