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0363B1 - 화상 전환 장치 및 화상 전환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전환 장치 및 화상 전환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0363B1
KR101190363B1 KR1020050083990A KR20050083990A KR101190363B1 KR 101190363 B1 KR101190363 B1 KR 101190363B1 KR 1020050083990 A KR1020050083990 A KR 1020050083990A KR 20050083990 A KR20050083990 A KR 20050083990A KR 101190363 B1 KR101190363 B1 KR 101190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put
switching
special effect
selection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1137A (ko
Inventor
히로유끼 스기모또
센사부로 나까무라
노부유끼 미나미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51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8Signal distribution or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Circuit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조작자가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는 복수의 특수 효과 장치를 공통의 조작으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하는 화상 전환 장치를 제공한다. 화상 전환 장치는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 제1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서, 제2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 종류 기억부, 경로 지시부, 하나 이상의 화상 합성 전환부,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 및 경로 지시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종류 기억부를 참조하여 설정이 제1 경로일 때에는 화상 합성 전환부내의 화상을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에 출력하는 것은 물론 제1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화상을 취득하여 화상 합성 전환부에 취득된 화상을 입력하는 반면, 화상 합성 전환부내의 화상을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에 출력하는 것은 물론 제2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화상을 취득하여 이 취득된 화상을 화상 합성 전환부에 입력하며,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로부터의 입력 화상 선택 지시에 따라 종류 기억부를 참조하여 설정이 제1 경로일 때에는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 향하도록 화상을 선택하는 반면, 설정이 제2 경로일 때에는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 향하도록 화상을 선택하는 할당 관리부를 포함한다.
화상 전환, 영상 합성, 특수 효과, 합성 전환, 기록 매체

Description

화상 전환 장치 및 화상 전환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기록 매체{IMAGE SWITCHING APPARATUS, IMAGE SWITCHING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도 1은 종래의 화상 전환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다른 종래의 화상 전환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전환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특수 효과 장치를 통한 지시에 대응하는 동작의 플로우차트.
도 6은 입력 선택 지시에 대한 플로우차트.
도 7은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의 다른 타입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전환 시스템의 구성도.
도 9는 종류 기억부의 내용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조작 입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특수 효과 장치를 통한 라우팅" 지시에 대한 플로우차트.
도 12은 화상 합성 전환부내의 각부와 주변 각부간의 접속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입력 선택 지시에 대한 플로우차트.
도 14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전환 시스템의 구성도.
도 15는 특수 효과 장치를 통한 지시에 대응하는 동작의 플로우차트.
도 16은 입력 선택 지시에 대한 플로우차트.
도 17은 제3 실시 형태의 화상 전환 시스템의 동작예(DME Wipe 1ch)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제3 실시 형태의 화상 전환 시스템의 동작예(DME Wipe 2ch)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제3 실시 형태의 화상 전환 시스템의 동작예(KEY DME Wipe 1ch)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제3 실시 형태의 화상 전환 시스템의 동작예(KEY DME Wipe 2ch)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제3 실시 형태의 화상 전환 시스템의 동작예(External Proc. K 1ch)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2은 제3 실시 형태의 화상 전환 시스템의 동작예(External Proc. K 2ch)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상 전환 시스템
10 : 화상 전환 장치
11 : 화상 합성 전환부
12 : 입력 선택부
13 : 입력 버스
15 : 입력 라인
16 : 선택 스위치
18 : 보조 출력 선택 버스
22 : 외부 부착 SDI 특수 효과 장치
23 : 특수 효과 조작 입력부
27 : 전용 IF 특수 효과 장치
28 : 특수 효과 조작 입력부
31 : 합성 전환 제어기
32 : 할당 관리부
33 : 종류 기억부
35 :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
본 발명은 입력된 복수의 화상 신호에 대해, 확대 축소 등의 특수 효과 처리를 수반하는 전환 및 합성 처리를 행할 수 있는 화상 전환 장치 및 화상 전환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방송국이나 영상 편집의 현장 등에서는, 비디오 플레이어 등으로부터의 복수의 입력 영상의 전환이나 합성 등을 행하여 출력하는, 일명 스위처(switcher)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입력 영상에 대해 확대 축소, 회전 등의 여러가지 특수 효과를 디지털 처리에 의해 가한 영상에 대해, 합성이나 전환을 행해 출력하는 기회가 많아져, 입력된 영상에 대해 특수 효과를 제공하는 특수 효과 장치를, 상기의 스위처 장치와 함께 사용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
이하, 스위처 장치와 특수 효과 장치를 사용하여 특수 효과가 실시된 영상을 출력하는 화상 전환 장치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이전에 출원한 종래의 화상 전환 장치의 개략 구성예를 도시한다(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출원 공개공보 제2002-320140호).
도 1에 도시하는 화상 전환 장치(300)는, 입력되는 복수의 화상 신호에 대한 출력의 전환 및 합성 처리를 행하는 스위처 장치인 화상 합성 전환부(310)와, 화상 합성 전환부(310)로부터의 화상 신호에 대해 각종 특수 효과 처리를 제공하는 특수 효과 처리부(320)와, 화상 합성 전환부(310)에서의 출력 전환 및 합성 처리에 대한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전환 조작 입력부(330)와, 특수 효과 처리부(320)에서의 특수 효과 처리에 대한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특수 효과 조작 입력부(340)를 포함한다. 이 화상 전환 장치(300)에서는, 화상 합성 전환부(310)와 특수 효과 처리부(320)를 조합하여, 특수 효과 처리를 수반하는 출력 화상의 전환이나 합성 처리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상 합성 전환부(310)는 입력된 복수의 화상 신호를 선택하여 복수의 출력 채널에 접속하는 입력 선택부(311)와, 입력 선택부(311)로부터의 출력 화상 신호에 대해 여러가지의 합성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합성 처리부(312)와, 이들 입력 선택부(311) 및 합성 처리부(312)의 동작을 제어하는 합성 전환 제어기(313)를 포 함한다. 입력 선택부(311)는 외부로부터의 복수의 화상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라인(314a~314i)의 각각을, 합성 처리부(312)에 접속된 복수의 입력 버스(315a~315c) 중 어느 하나에 접속시키는 선택 스위치 매트릭스(316)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의 복수의 화상 신호가 선택되어 합성 처리부(312)에 입력된다. 이 선택 스위치 매트릭스(316)에서의 입력 화상의 선택 동작은, 합성 전환 제어기(313)에 의해 제어된다. 또, 입력 라인(314a~314i) 및 입력 버스(315a~315c)의 수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합성 처리부(312)는 복수의 입력 버스(315a~315c)로부터의 화상 신호에 대해, 여러가지의 화상 전환 처리 및 합성 처리를 행하여 그 화상 신호들을 출력한다. 이 합성 처리부(312)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한 처리로서는, 통상의 화상 합성 출력 처리 외에 예를 들면, 한쪽의 화상상에 다른 한쪽의 화상을 중첩하여 표시하는, 이른바 키잉 합성 처리나, 본래의 화상과 새로운 화상의 경계가, 화면의 한쪽에서 다른 한쪽으로 이동하면서 화상이 전환되어 가는, 이른바 와이프(wipe) 기능을 이용한 처리(이하, 와이프 처리라 한다) 등이 포함된다. 또한, 합성 처리부(312)는 복수의 입력 버스(315a~315c) 중 임의의 화상 신호를 특수 효과 처리부(320)에 대해 출력하는 기능을 갖고, 또한 이 화상 신호에 대해 특수 효과 처리부(320)에서 여러가지의 특수 효과 처리가 실시되어, 출력된 화상 신호의 입력을 받아, 이 화상 신호를 이용하여 화상 전환 처리나 합성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합성 처리부(312)에서는,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처리 패턴에 따라, 소 정의 화상 전환 처리 및 합성 처리가 행해진다. 이 처리 패턴에서는, 예를 들면 키잉 합성 처리를 이용하여 화상을 전환하거나, 혹은 와이프 처리를 이용하여 전환하거나, 혹은 합성하는 비율을 변화시켜 전환하는 등의, 합성 처리부(312)에서의 처리 동작의 종류가 지정된다. 또한, 본래의 화상과 새로운 화상의 경계 위치나 합성 비율 등이 시간 경과와 함께 어떻게 이동하여 화상 표시가 전환되는지 등의, 그 처리 동작의 시계열적인 천이 상황에 대해 지정하는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이 처리 패턴에 의해 지정된 처리 동작의 진행의 정도는, 처리 패턴이 지정된 초기 상태를 0%라 하고, 이 지정된 처리 패턴에 따른 화상의 전환 처리나 합성 처리가 서서히 진행하여, 처리 동작이 종료한 상태를 100%로 간주하는 진행 비율과 같은 개념으로 제공된다. 합성 처리부(312)에서는 합성 전환 제어기(313)에 의해 처리 패턴이나 진행 비율이 제어되어, 처리 동작이 진행한다.
합성 전환 제어기(313)는 전환 조작 입력부(33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입력 선택부(311) 및 합성 처리부(312)에서의 처리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합성 처리부(312)에서의 처리 패턴을 지정하는 패턴 지정 정보와, 지정한 처리 패턴에 의한 처리 동작의 진행 비율을 지정하는 진행 비율 지정 정보와, 선택 스위치 매트릭스(316)에서의 입력 화상 선택 변환 동작에 대해 지시하는 선택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전환 조작 입력부(330)로부터 수신하고, 입력 선택부(311) 및 합성 처리부(312)에 대해 이들에서의 처리 동작을 지정함으로써 제어를 행한다.
전환 조작 입력부(330)는, 합성 처리부(312)에서의 처리 패턴이나 진행 비 율, 및 입력 선택부(311)에서의 입력 화상의 선택 전환 동작 등을 지시, 지정하기 위한 스위치들을 구비하고, 이들의 조작에 의해 패턴 지정 정보, 진행 비율 지정 정보 및 선택 지시 정보를 생성하여 합성 전환 제어기(313)로 송출한다. 예를 들면, 숫자 키나 버튼 스위치 등에 의해 합성 처리부(312)에서의 처리 패턴의 번호나 입력 선택부(311)에서 접속시키는 입력 라인(314a~314i) 및 입력 버스(315a~315c)의 번호의 지정이 행하여져, 페이더(fader) 스위치의 이동에 의해 합성 처리부(312)에서의 진행 비율의 지정이 행해진다. 또한, 전환 조작 입력부(330)에서는, 스위치들의 조작에 의해 합성 처리부(312)에서의 처리 패턴의 내용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특수 효과 처리부(320)는 합성 처리부(312)로부터 출력된 화상에 대해, 예를 들면 확대 축소, 회전, 표시 위치의 이동, 변형, 색조 변화, 및 휘도 변화의 강조 등의 디지털 연산을 수반하는 각종의 특수 효과 처리를 실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특수 효과 처리부(320)에서는, 합성 처리부(312)와 마찬가지로, 특수 효과 처리의 종류나 그 동작 천이의 정보가 미리 설정된 처리 패턴이, 특수 효과 조작 입력부(340)로부터 지정되고, 이 처리 패턴에 의한 처리 동작의 진행 비율도 특수 효과 조작 입력부(340)에 의해 제어된다.
특수 효과 조작 입력부(340)는 특수 효과 처리부(320)에서의 특수 효과 처리의 처리 패턴 및 그 진행 비율을 지정하기 위한 스위치들을 구비한다. 스위치들에 대한 조작자의 조작에 의해 특수 효과 처리부(320)에 대해 처리 패턴을 지정하는 패턴 지정 정보와, 진행 비율을 지정하는 진행 비율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 호를, 특수 효과 처리부(320)에 송출한다. 전환 조작 입력부(330)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숫자 키나 버튼 스위치 등에 의해 처리 패턴의 번호의 지정이 행해지고, 페이더 스위치의 이동에 의해 진행 비율의 지정이 행해진다. 또한, 특수 효과 조작 입력부(340)에서는 스위치들의 조작에 의해, 특수 효과 처리부(320)에서의 처리 패턴의 내용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상 전환 장치(300)에서는, 전환 조작 입력부(330) 및 특수 효과 조작 입력부(340)에서, 화상 합성 전환부(310) 및 특수 효과 처리부(320)에서의 각각의 처리 동작을 조작함으로써, 특수 효과 처리부(320)에 의한 특수 효과를 수반하는 키잉 처리나 와이프 처리 등의 표시 전환 처리 및 합성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특수 효과 처리부(320)에서의 처리 패턴으로서, 화상 합성 전환부(310)의 합성 처리부(312)에서의 처리 동작을 지정하는 처리 패턴에 대응하여 설정하고, 이 합성 처리부(312)와 공통의 진행 비율의 지정에 따라 처리 동작을 진행시킴으로써, 특수 효과 처리부(320)의 처리 동작을 합성 처리부(312)의 처리 동작과 연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화상 합성 전환부(310)와 특수 효과 처리부(320)에 대한 공통의 제어 정보가 전환 조작 입력부(330)로부터 합성 전환 제어기(313)로 공급되고, 특수 효과 처리부(320)에는, 패턴 지정 정보 및 진행 비율 지정 정보가 합성 전환 제어기(313)를 통해 공급된다. 즉, 특수 효과 처리부(320)와 합성 처리부(312)에 대한 동작 제어를, 전환 조작 입력부(330)만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특수 효과 처리부(320)는 합성 처리부(312)와 직접 접속되기 때문에, 전용의 인터페이스 및 전용의 제어 방법을 구비한 특수 효과 처리부(320)가 필요하다. 이 구성에 의해, 높은 조작성?높은 편리성이 얻어진다. 한편, 화상 전환 장치(300)와 동일한 제조자 전용의 특수 효과 처리부(320)를 채용 및 설치할 필요가 있다.
한편, 도 2와 같은, 범용의 특수 효과 장치를 이용한 화상 전환 시스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화상 전환 시스템에서, 화상 전환 장치(350)는 화상 합성 전환부(360)와 전환 조작 입력부(380)에 의해 구성된다. 화상 전환 장치(350)는 외부의 특수 효과 장치(370)와 SDI 전송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외부의 특수 효과 장치(370)는, 특수 효과 처리에 대한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특수 효과 조작 입력부(390)에 접속된다. 이 시스템에서, 화상 전환 장치(350)는 외부의 특수 효과 장치(370)와 SDI 전송로를 통해 화상을 교환한다. 이 때문에, 화상 전환 장치(350)는 보조 출력을 선택적으로 외부의 특수 효과 장치(370)에 출력하기 위한 보조 출력 선택 버스(366)도 구비하고 있다.
이 화상 전환 시스템에서, 화상 전환 장치(350)는 화상 합성 전환부(360)와 외부의 특수 효과 장치(370)를 조합하여, 특수 효과 처리를 수반하는 출력 화상의 전환이나 합성 처리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상 합성 전환부(360)는 입력 선택부(361)와, 입력 선택부(361)로부터의 출력 화상 신호에 대해 여러가지의 합성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합성 처리부(362)와, 이들 입력 선택부(361) 및 합성 처리부(362)의 동작을 제어하는 합성 전환 제 어기(363)에 의해 구성된다. 입력 선택부(361)는 외부로부터의 복수의 화상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라인(364a~364i)의 각각을, 합성 처리부(362)로의 복수의 입력 버스(365a~365c) 중 어느 하나에 접속시키는 선택 스위치 매트릭스(366)의 매트릭스를 구비하고,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복수의 화상 신호가 선택되어 합성 처리부(362)로 입력된다. 이 선택 스위치 매트릭스(366)에서의 입력 화상의 선택 동작은, 합성 전환 제어기(363)에 의해 제어된다. 또, 입력 라인(364a~364i) 및 입력 버스(365a~365c)가 설치되는 수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상 전환 장치(350)에 구비되어 있는 보조 출력 라인(Aux 출력)으로부터 보조 출력 선택 버스(366)를 이용하여 선택된 화상을 출력하고, 그것이 특수 효과 장치(370)에 입력되어 처리되고 나서, 화상 전환 장치(350)의 입력들 중 한 입력으로(특수 효과 완료 출력으로서) 리턴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특수 효과 장치(370)는 반드시 화상 전환 장치(350)와 동일한 제조자에 의한 제품일 필요도 없으며, 또한 고가의 특수 효과 장치를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 장소의 다양한 화상 전환 장치에 접속해 사용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화상 전환 장치(350)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방송의 생방송에서 화면을 전환하기 위해 사용되며, 조작자가 실수 없이 원하는 화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조작성이 높을 것이 요구되고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화상에 각종의 특수 효과를 실시하여 방송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도 2에 나타난 화상 전환 시스템에서는, 특수 효과 장치(370)의 배치의 자유도가 높고, 하나의 화상 전환 장치(350)에 대한 전용으로 특수 효과 장치를 설치하는 것보다도,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그러나, 조작자가 특수 효과를 실행할 화상을 선택할 때, 그는 화상 합성 전환부(360)에 대한 조작에 부가하여, 보조 출력 선택 버스(366)에 대한 추가적인 조작을 행해야 한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난 구성을 갖는 화상 전환 장치보다 조작성이 나빠진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구성에 도 2의 방식으로 외부의 특수 효과 장치(370)를 추가했을 경우, 최초부터 존재하고 있는 특수 효과 처리부(320)를 사용하는 경우와, 추가된 특수 효과 장치(370)를 사용하는 경우에서 완전히 조작 방법이 상이하여, 조작성이 나쁘다.
또한, 복수의 특수 효과 장치를(복수의 화상 합성 전환부부터) 사용하는 경우에, 특수 효과 장치의 종류가 혼재하면, 특수 효과 장치마다 조작이 상이하여, 조작성이 나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상이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상 전환 장치에 접속되는 복수의 특수 효과 장치를, 조작자가 공통의 조작 방법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하는 화상 전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화상 전환 장치는, 입력된 복수의 화상에 대해, 입출력 인터페이스가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특수 효과 장치를 이용하여 특수 효과 처리를 실 시하고, 또한 화상 합성 수단을 이용하여 화상 합성 처리를 수반한 전환 처리를 실시하는 화상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 수단에 접속되는 제1 특수 효과 장치용의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1 특수 효과 장치용의 제1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화상 합성 수단에 접속되는 제2 특수 효과 장치용의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2 특수 효과 장치용의 제2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1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의 세트에 기초한 제1 경로와 상기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2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의 세트에 기초한 제2 경로 중 어느 것을 사용할지의 설정을 기억하는 종류 기억부와, 화상이 특수 효과 장치를 경유하도록 지시를 조작 입력하는 경유 지시 수단과, 외부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선택한 화상 및 상기 제1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2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의 화상에 대해 전환 처리를 행하는 선택 스위치 매트릭스와, 합성 처리를 행하는 상기 화상 합성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1개 또는 복수의 화상 합성 전환부와, 상기 화상 합성 전환부로의 입력 화상의 선택을 조작 입력하는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와, 상기 경유 지시 수단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종류 기억부를 참조하여 설정이 제1 경로라면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 상기 화상 합성 전환부에 입력되어 있는 화상을 출력할 뿐만 아니라 제1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 화상을 취하여 상기 화상 합성 전환부로의 입력으로 하고, 설정이 제2 경로라면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 상기 화상 합성 전환부에 입력되어 있는 화상을 출력할 뿐만 아니라 제2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 화상을 취하여 상기 화상 합성 전환부에 입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로부터의 입력 화상 선택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종류 기억부를 참조해 설정이 제1 경로라면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의 화상을 선택하고, 설정이 제2 경로라면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의 화상을 선택하는 할당 관리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화상 전환 방법은, 입력된 복수의 화상에 대해, 입출력 인터페이스가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특수 효과 장치를 이용하여 특수 효과 처리를 실시하고, 또한 화상 합성 공정을 이용하여 화상 합성 처리를 수반한 전환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화상 전환 방법에 있어서, 제1 특수 효과 장치용의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와 제1 특수 효과 장치용의 제1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의 세트에 기초하는 제1 경로와, 상기 화상 합성 수단에 접속되는 제2 특수 효과 장치용의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2 특수 효과 장치용의 제2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의 세트에 기초하는 제2 경로 중 어느 것을 사용할지의 설정을 기억하는 종류 기억부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화상이 특수 효과 장치를 경유하도록 지시를 조작 입력하는 경유 지시 공정과, 외부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선택한 화상 및 상기 제1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2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의 화상에 대해 전환 처리를 행하는 선택 스위치 공정과, 합성 처리를 행하는 상기 화상 합성 공정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화상 합성 전환 공정과, 상기 화상 합성 전환 공정으로의 입력 화상의 선택을 조작 입력하는 합성 전환 조작 입력 공정과, 상기 경유 지시 공정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종류 기억부를 참조하여 설정이 제1 경로라면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 상기 화상 합성 전환 공정에 입력되어 있는 화상을 출력할 뿐만 아니라 제1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화상을 취하여 상기 화상 합성 전환 공정으로의 입력으로 하고, 설정이 제2 경로라면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 상기 화상 합성 전환 공정에 입력되어 있는 화상을 출력할 뿐만 아니라 제2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 화상을 취하여 상기 화상 합성 전환 공정에 입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합성 전환 조작 공정으로부터의 입력 화상 선택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종류 기억부를 참조해 설정이 제1 경로라면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의 화상을 선택하고, 설정이 제2 경로라면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의 화상을 선택하는 할당 관리 공정을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 기록 매체는, 입력된 복수의 화상에 대해, 입출력 인터페이스가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특수 효과 장치를 이용하여 특수 효과 처리를 실시하고, 또한 화상 합성 공정을 이용하여 화상 합성 처리를 수반한 전환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화상 전환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는 프로그램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 수단에 접속되는 제1 특수 효과 장치용의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1 특수 효과 장치용의 제1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의 세트에 기초하는 제1 경로와, 상기 화상 합성 수단에 접속되는 제2 특수 효과 장치용의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2 특수 효과 장치용의 제2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의 세트에 기초하는 제2 경로 중 어느 것을 사용할지의 설정을 기억하는 종류 기억부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화상이 특수 효과 장치를 경유하도록 지시를 조작 입력하는 경유 지시 공정과, 외부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선택한 화상 및 상기 제1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2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의 화상에 대해 전환 처리를 행하는 선택 스위치 공정과, 합성 처리를 행하는 상기 화상 합성 공정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화상 합성 전환 공정과, 상기 화상 합성 전환 공정으로의 입력 화상의 선택을 조작 입력하는 합성 전환 조작 입력 공정과, 상기 경유 지시 공정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종류 기억부를 참조하여 설정이 제1 경로라면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 상기 화상 합성 전환 공정에 입력되어 있는 화상을 출력할 뿐만 아니라 제1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 화상을 취하여 상기 화상 합성 전환 공정으로의 입력으로 하고, 설정이 제2 경로라면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 상기 화상 합성 전환 공정에 입력되어 있는 화상을 출력할 뿐만 아니라 제2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 화상을 취하여 상기 화상 합성 전환 공정에 입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합성 전환 조작 공정으로부터의 입력 화상 선택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종류 기억부를 참조해 설정이 제1 경로라면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의 화상을 선택하고, 설정이 제2 경로라면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의 화상을 선택하는 할당 관리 공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종류 기억부는 화상 전환 장치내에 제공되어 화상 전환 장치가 2종류 이상의 특수 효과 장치들 중 어느 종류가 접속되고 사용되는지를 결정하게 한다. 화상이 특수 효과 장치를 경유하게 하는 지시에 따라 종류 기억부를 참조하고 화상의 경로를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복수 종류의 특수 효과 장치들을 간단하면서도 공통의 조작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여, 양호한 조작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이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2종류 이상의 특수 효과 장치를 이용하는 화상 전 환 장치는
특수 효과 장치에 대응하는 복수의 종류와 인터페이스를 기억하는 종류 기억부; 어느 특수 효과 장치가 접속되고 어느 인터페이스가 사용되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부; 및 종류 -여기서 종류는 판정부의 판정에 따라 종류 기억부를 참조함으로써 결정됨- 에 기초하여 선정된 경로를 관리하는 할당 관리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화상 전환 장치는 전용의 특수 효과 장치와, 범용성이 높은 특수 효과 장치의 양쪽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때와 장소에 부합하여 유연한 화상 전환 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경제적이다.
본 처리가 특수 효과 장치의 접속을 요구하지 않을 때, 화상 전환 장치와 특수 효과 장치간의 접속 경로는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때와 장소에 부합하여 유연성이 있는 운용이 가능해져서, 경제적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구체예의 화상 전환 장치를 갖는 화상 전환 시스템(1)이다.
도 3에 도시하는 화상 전환 시스템(1)에서, 화상 전환 장치(10)는 입력된 복수의 화상에 대해, 입출력 인터페이스가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특수 효과 장치를 이용하여 특수 효과 처리를 실시하고, 또한 화상 합성 수단을 이용하여 화상 합성 처리를 수반한 전환 처리를 실시한다.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화상 전환 장치(10)는, 후술하는 화상 합성 처리부(30)에 접속되는 제1 특수 효과 장치(22)용의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SDI)(20)와, 상기 제1 특수 효과 장치(22)용의 제1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SDI)(19)와, 화상 합성 처리부(30)에 접속되는 제2 특수 효과 장치(27)용의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25)(패러럴 전용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2 특수 효과 장치(27)용의 제2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26)와, 상기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1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의 세트에 기초한 제1 경로와 상기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2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의 세트에 기초한 제2 경로 중 어느 것을 사용할지의 설정을 기억하는 종류 기억부(33)와, 화상이 특수 효과 장치를 경유하도록 지시를 조작 입력하는 "특수 효과 장치를 통한 라우팅" 지시 수단(36)과, 외부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선택한 화상 및 상기 제1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2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의 화상에 대해 전환 처리를 행하는 선택 스위치 매트릭스(16)와, 합성 처리를 행하는 합성 처리부(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1개 또는 복수의 화상 합성 전환부(11)와, 상기 화상 합성 전환부(11)로의 입력 화상의 선택을 조작 입력하는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35)와, 상기 경유 지시 수단(36)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종류 기억부(33)를 참조하여 설정이 제1 경로라면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 상기 화상 합성 전환부(11)에 입력되어 있는 화상을 출력할 뿐만 아니라 제1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 화상을 취하여 상기 화상 합성 전환부(11)로의 입력으로 하고, 설정이 제2 경로라면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 상기 화상 합성 전환부(11)에 입력되어 있는 화상을 출력할 뿐만 아니라 제2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 화상을 취하여 상기 화상 합성 전환 부(11)에 입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35)로부터의 입력 화상 선택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종류 기억부(33)를 참조해 설정이 제1 경로라면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의 화상을 선택하고, 설정이 제2 경로라면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의 화상을 선택하는 할당 관리부(32)를 갖는다.
이하 상세하게 화상 전환 장치(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화상 전환 장치(10)는, 입력되는 복수의 화상 신호에 대한 출력의 전환 및 합성 처리를 행하는 스위처 장치인 화상 합성 전환부(11)와, 보조 출력의 선택을 행하는 보조 출력부(40)와, 장치의 제어를 행하는 합성 전환 제어기(31)와, 화상 합성 전환부(11)에서의 출력 전환 및 합성 처리에 대한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35)에 의해 구성된다.
화상 전환 시스템(1)을 구성할 때, 화상 전환 장치(10)는 외부의 특수 효과 장치와 접속하여, 특수 효과를 수반하는 화상의 전환, 합성을 행한다. 이하, 화상 전환 시스템(1)을 구성하고 있는, 특수 효과 장치와 화상 전환 장치(10)의 접속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화상 전환 장치(10)는 외부의 특수 효과 장치로서, 보조 출력부(40)로부터 SDI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상을 수신하고, 각종 특수 효과를 가하여, SDI 인터페이스를 통해 SDI 입력 라인(라인 그룹)(15) 중 한 라인에 화상을 보내는 특수 효과 장치(22)를 이용할 수 있다. 특수 효과 조작 입력부(23)는 특수 효과 장치(22)에서의 특수 효과 처리에 대한 조작 입력을 수신한다. SDI 특수 효과 장치 입력으로는, 1경로만 도시하였지만, 실제는 V, K쌍의 전송로가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화상 전환 장치(10)는 화상 합성 전환부(11)로부터 전용의 패러럴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상을 수신하고, 각종 특수 효과를 가하여, 전용의 패러럴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상을 리턴시키는 특수 효과 장치(27)를 이용할 수 있다. 특수 효과 조작 입력부(28)는 특수 효과 장치(27)에서의 특수 효과 처리에 대한 조작 입력을 수신한다.
화상 합성 전환부(11)는 입력된 복수의 화상 신호를 선택하여 복수의 출력 채널에 접속하는 입력 선택부(12)와, 입력 선택부(12)로부터의 출력 화상 신호에 대해 여러가지의 합성 처리를 실시하여 그 최종 출력 신호(37)를 출력 단자(output)로 출력하는 합성 처리부(30)를 포함한다.
입력 선택부(12)는 외부로부터의 복수의 화상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라인(15a~15i)의 각각을, 합성 처리부(30)로의 복수의 입력 버스(13a~13c) 중 어느 하나에 접속시키는 매트릭스 형상의 선택 스위치 매트릭스(16)를 구비하고 있다. 이 선택 스위치 매트릭스(16)에 의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화상 신호가 선택되어 합성 처리부(30)에 공급된다.
또, 입력 라인(15) 및 입력 버스(13)가 설치되는 수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 처리부(30)는 복수의 입력 버스(13a~13c)로부터의 화상 신호에 대해, 여러가지의 화상 전환 처리 및 합성 처리를 행하여 그 결과의 출력 신호(37)를 출력 단자(output)로부터 출력한다. 이 합성 처리부(30)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한 처리로서는, 통상의 화상 합성 출력 처리 외에 예를 들면, 한쪽의 화상상에 다른 한 쪽의 화상을 중첩하여 표시하는, 이른바 키잉 합성 처리나, 본래의 화상과 새로운 화상의 경계가, 화면의 한쪽에서 다른 한쪽으로 이동하면서 화상이 전환되어 가는, 이른바 와이프 기능을 이용한 처리(이하, 와이프 처리라고 한다) 등이 포함된다.
또한, 합성 처리부(30)는 복수의 입력 버스(13a~13c) 중 임의의 화상 신호를, 특수 효과 장치(27)로의 패러럴 인터페이스 출력(25)에 대해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합성 처리부(30)는 특수 효과 장치(27)가 상기 출력한 화상 신호에 대해 여러가지의 특수 효과 처리를 실시한 출력 화상 신호를 패러럴 인터페이스 입력(26)을 통해 수신하여, 이 화상 신호를 이용해 화상 전환 처리나 합성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합성 처리부(30)에서는,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처리 패턴에 따라, 소정의 화상 전환 처리(화상 천이 처리) 및 합성 처리가 행해진다. 이 처리 패턴에서는, 예를 들면 키잉 합성 처리를 이용하여 화상을 전환하거나, 혹은 와이프 처리를 이용하여 전환하거나, 혹은 합성하는 비율을 변화시켜 전환하는 등의, 합성 처리부(30)에서의 처리 동작의 종류가 지정될 뿐만 아니라, 본래의 화상과 새로운 화상의 경계 위치나 합성 비율 등이 시간 경과와 함께 어떻게 이동하여 화상 표시가 전환되는지와 같은, 그 처리 동작의 시계열적인 천이 상황에 대해 지정하는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이 처리 패턴에 의해 지정된 처리 동작의 진행의 정도는, 처리 패턴이 지정된 초기 상태를 0%로 하고, 이 지정된 처리 패턴에 따른 화상의 전환 처리나 합성 처리가 서서히 진행하여, 처리 동작이 종료한 상태를 100%로 간주하는 진행 비율(페이더치)이라는 개념으로 제공된다.
또한 합성 처리부(30)는, 전환의 목적 이외에도, 예를 들어 자막을 화상에 넣기 위해서나, 그 밖의 화상의 중첩을 위해, 키잉 합성의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면, 입력 버스(13b)를 기본의 화상을 취하기 위해 사용하고, 입력 버스(13a)를 자막 화상를 취하기 위해 사용하고, 기본의 화상에 자막 화상을 중첩한 것을 상기 합성 처리필 출력 신호(37)로서 출력 단자(output)로부터 출력할 수 있다.
보조 출력의 선택을 행하는 보조 출력부(40)는, 외부로부터의 복수의 화상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라인(15a~15i)의 각각을, 보조 출력 선택 버스(18)에 접속시키는(매트릭스 형상의) 선택 스위치 매트릭스(17)를 구비하고,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화상 신호가 선택되어 SDI 보조 출력 라인(21)으로부터 출력된다.
또, 보조 출력 선택 버스(18) 및 SDI 보조 출력 라인(21)이 설치되는 수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조 출력부(40)는, 본 장치의 설치 형태에 의해 특수 효과 장치를 접속하지 않는 경우는, 외부의 그 외 장치로의, 단순한 화상 전환 용도로서 이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합성 전환 제어기(31)는,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35)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입력 선택부(12) 및 합성 처리부(30) 그리고 보조 출력부(40)에서의 처리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합성 처리부(30)에서의 처리 패턴을 지정하는 패턴 지정 정보와, 지정한 처리 패턴에 의한 처리 동작의 진행 비율을 지정하는 진행 비율 지정 정보와, 선택 스위치 매트릭스(16)에서의 입력 화상의 선택 전환 동작에 대해 지시하는 선택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35)로부터 수신하고, 입력 선택부(12) 및 합성 처리부(30)에 대해 이들에서의 처리 동작을 지정함으로써 제어를 행한다. 또한, 합성 전환 제어기(31)는 합성 처리부(30)에서의 키잉 합성과 선택 스위치 매트릭스(17)에서의 보조 출력 화상의 선택을 마찬가지로 제어한다.
합성 전환 제어기(31)에는, 종류 기억부(33)가 설치되어, 현재 접속되어 사용 가능한 특수 효과 장치가 전용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것인지, 그렇지 않으면 SDI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것인지를 기억한다. 종류 기억부(33)의 내용은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35)를 유저가 조작함으로서 최신 내용으로 갱신될 수 있다. 또한, 합성 전환 제어기(31)에는 할당 관리부(32)가 설치되어 있다.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35)는 합성 처리부(30)에서의 처리 패턴이나 진행 비율이나 키잉 합성 동작, 및 입력 선택부(12) 및 보조 출력부(40)에서의 입력 화상의 선택 전환 동작 등을 지시, 지정하기 위한 스위치들을 구비하고, 이들 조작에 의해 패턴 지정 정보, 진행 비율 지정 정보 및 선택 지시 정보를 생성하여 합성 전환 제어기(31)로 송출한다. 예를 들면, 숫자 키나 버튼 스위치 등에 의해 합성 처리부(30)에서의 처리 패턴의 번호나 입력 선택부(12)에서 접속시키는 입력 라인(15a~15i) 및 입력 버스(13a~13c)의 번호의 지정이 행해지고, 페이더 스위치들(fader switch)에 의해 합성 처리부(30)에서의 진행 비율의 지정이 행해진다. 또한,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35)에서는, 스위치들의 조작에 의해, 합성 처리부(30)에서의 처리 패턴의 내용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는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35)의 버튼 등의 배치면을 도시한다. 배경 (Background;Bkgd)의 입력 버스로서 2계통(A, B)과, 키잉 합성 화상에 사용하는 키어(keyer)의 입력 버스로서 Key1, Key2의 2계통을 조작하기 위한 버튼 등이 도시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력 버스에 대응한, Key1 "특수 효과 장치를 통한 라우팅" 지시 버튼(301), Key2 "특수 효과 장치를 통한 라우팅" 지시 버튼(302), Bkgd-A "특수 효과 장치를 통한 라우팅" 지시 버튼(303), Bkgd-B "특수 효과 장치를 통한 라우팅" 지시 버튼(304)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버튼은, 해당의 입력 버스의 화상을 특수 효과 장치를 경유시키는 지시(및 해제하는 지시)를 내리는 것이다. 상세한 동작은 후술한다. 또한, Key1 입력 Xpt 선택 버튼(305), Key2 입력 Xpt 선택 버튼(306), Bkgd-A 입력 Xpt 선택 버튼(307), Bkgd-B 입력 Xpt 선택 버튼(308)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입력 명칭 표시기 배열(309), 페이더 레버(310), 천이 대상 지시 버튼군(Key1, Key2 , Bkgd)(311)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천이 타입 MIX 지시 버튼(312), 천이 타입 NAM 지시 버튼(313), 천이 타입 와이프 지시 버튼(314)이 배치되어 있다.
한편, 화상 전환 장치(10)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특수 효과 장치(B)(27)는, 합성 처리부(30)로부터 전용 인터페이스(25)를 통해 출력된 화상에 대해, 예를 들면 확대 축소, 회전, 표시 위치의 이동, 변형, 색조 변화 및 휘도 변화의 강조 등의 디지털 연산을 수반하는 각종의 특수 효과 처리를 실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특수 효과 장치(27)는 특수 효과를 실시한 화상을 전용 인터페이스(26)를 통해 합성 처리부(30)에 입력한다. 이 특수 효과 장치(27)에서는, 합성 처리부(30)와 마찬가 지로, 특수 효과 처리의 종류나 그 동작 천이의 정보가 미리 설정된 처리 패턴이, 특수 효과 조작 입력부(28)에 의해 지정되어, 천이 동작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수 효과 조작 입력부(28)는 특수 효과 장치(27)의 특수 효과 처리를 지시하는 스위치들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화상 전환 장치(10)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특수 효과 장치(A)(22)는, 보조 출력부(40)로부터 SDI 보조 출력 라인(21)을 통해 출력된 화상에 대해, 예를 들면 확대 축소, 회전, 표시 위치의 이동, 변형, 색조 변화, 및 휘도 변화의 강조 등의 디지털 연산을 수반하는 각종의 특수 효과 처리를 실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특수 효과 장치(22)는 특수 효과를 실시한 화상(30)을 SDI 입력 라인(15i)에 입력한다. 이 특수 효과 장치(22)에서는, 합성 처리부(30)와 마찬가지로, 특수 효과 처리의 종류나 그 동작 천이의 정보가 미리 설정된 처리 패턴이, 특수 효과 조작 입력부(23)에 의해 지정되어, 천이 동작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구성에서는, 특수 효과 장치(22)로부터 화상을 수신하는 SDI 입력 라인(15i)은, 고정적으로 정해져 있다. 특수 효과 조작 입력부(23)는 특수 효과 장치(A)(22)의 특수 효과 처리를 지시하는 스위치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 3에 구성을 도시한 화상 전환 시스템(1)에서의 화상 전환 장치(10)에서는,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35)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키잉 처리나 와이프 처리 등의 화상 전환 처리 및 합성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화상 전환 장치(10)에서는, 입력된 화상을 전용 인터페이스(25)를 구비한 특수 효과 장치(27)나, 또는 SDI 인터페이스(20)를 구비한 특수 효과 장치(22)를 경 유시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특징인, 특수 효과 장치가 경유되는 지시에 의한 동작에 대해, 도 5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합성 전환 제어기(31)에는, 할당 관리부(32)의 기능이 마련되어 있어, 이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특수 효과 장치가 경유되는 동작을 행하게 된다.
도 5은 조작자가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35)를 이용하여, 특수 효과 장치 경유 지시를 조작 입력했을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예를 들면, 조작자에 의해, 입력 버스(13a)에 대해, 특수 효과 장치 경유 지시가 입력되고, 합성 전환 제어기(31)가 그 지시를 수신한다(단계 S1). 그러면, 합성 전환 제어기(31)는 종류 기억부(33)를 참조하여(단계 S2), SDI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있는지, 전용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단계 S3에서 판단한다.
단계 S3에서, SDI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했다면, YES로 단계 S4으로 진행하여, 입력 버스(13a)가 선택하고 있는 입력 화상을 보조 출력 선택 버스(18)에서 선택한다.
또, 입력 버스(13a)에서, 특수 효과필 출력(19)이 와 있는 SDI 입력 라인(19i)을 선택한다(단계 S5). 이 결과, 특수 효과 장치(22)를 경유한 화상을 합성 처리부(30)에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3에서 전용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했다면, NO로 단계 S6으로 진행하여, 합성 처리부(30)에서 입력 버스(13a)로부터의 화상을 일단 패러럴 전용 인터페이스(25)를 통해 특수 효과 장치(27)로 보내고, 패러럴 전용 인터 페이스(26) 경유로 되돌아오는 화상을 취한다(단계 S6). 이 결과, 특수 효과 장치(27)를 경유한 화상을 합성 처리부(30)에 입력할 수 있다.
도 6는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35)로부터 입력 버스(13a)의 입력 선택 지시가 조작 입력되었을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조작자가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35)를 이용하여 입력 선택 지시를 입력하고, 합성 전환 제어기(31)가 입력(x)의 선택 조작을 수신한다(단계 S11). 그러면, 합성 전환 제어기(31)는 종류 기억부(33)를 참조하여, 특수 효과 장치를 경유하고 있는 버스에 대한 지시인지, SDI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있는지, 전용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12).
단계 S12에서, SDI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했다면(단계 S12에서 예), 단계 S13으로 진행하여, 입력 버스(13a)는 전환하지 않고, 보조 출력 선택 버스(18)에서 입력(x)을 선택한다.
한편, 단계 S12에서, 전용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했거나, 또는 특수 효과 장치를 경유하고 있지 않은 버스에 대한 지시라고 판단했다면(단계 S12에서 아니오), 단계 S14로 진행하여, 입력 버스(13a)에서 입력(x)을 선택한다.
이 동작에 의해, 어떤 종류의 특수 효과 장치(22 또는 27)가 사용되고 있어도, 조작 입력된 선택 화상을 올바르게 선택하여, 특수 효과 장치 경유로 합성 처리부(30)에 보낼 수 있다.
특수 효과 장치 경유를 해제하는 지시를 받았을 경우는, 각 버스의 선택을 복원하는 처리(SDI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있으면, 보조 출력 선택 버스의 선택을 입력 버스(13a)로 시프트하는 처리)를 실시하지만, 이는 자명하기 때문에 처리 순서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다른 종류의 조작 입력부로서, 화상의 전환 천이 타입(Transition Type)의 선택 사항으로서 특수 효과 지시를 갖는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35’)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환 천이 타입에 특수 효과 지시(특수 효과 장치의 사용을 지시)가 제공되는 경우, 합성 전환 제어기(31)로부터 제어 신호를 각 특수 효과 장치에 보낼 필요가 있어, 그 때문의 제어 라인에서 양자가 접속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이 천이 타입 특수 효과 지시 버튼(315)이 선택된 경우는, 전환 천이 타입으로서 특수 효과가 선택되어, 전환 대상의 입력 버스에 대해, 상기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종류 기억부(33)의 설정에 따라 특수 효과 장치를 경유시키고, 동시에 전환 제어(진행 비율 등)를 종류 기억부(33)의 설정에 따라 어느 하나의 특수 효과 장치에 보내, 전환 천이를 실행한다.
이 경우, 화상 합성 전환부(31)와 특수 효과 장치에 대한 공통의 제어 정보가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35)로부터 합성 전환 제어기(31)에 공급되고, 특수 효과 장치에는, 전환의 패턴 지정 정보 및 진행 비율 지정 정보 등이, 합성 전환 제어기(31)를 통해 공급된다. 즉, 특수 효과 장치와 합성 처리부(30)에 대한 동작 제어를,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35)만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합성 전환 제어기(31)는 종류 기억부(33)를 참조하여 처리를 변경하는 제어에 의해, 2종류의 인터페이스의 특수 효과 장치의 모두를 설정을 바꾸는 것만으로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항상, 특수 효과 장치를 경유하지 않는 경우와 동일한 조작으로 원하는 입력을 선택할 수 있다.
또, 이 화상 전환 시스템(1)에서는, 특수 효과 장치의 인터페이스의 종류를, 미리 조작자가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35) 등을 이용하여, 합성 전환 제어기(31)의 종류 기억부(33)에 수동으로 설정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합성 전환 제어기(31)와, 설치한 특수 효과 장치(22 또는 27)를 연결하는 통신로를 설치하여, 쌍방이 기동해 통신이 가능하게 된 시점에서, 특수 효과 장치가 자신의(인터페이스의) 종류를 합성 전환 제어기(31)에 전하도록 하여도 된다. 합성 전환 제어기(31)는 수신한 종류를 종류 기억부(33)에 기입한다. 이 처리에 의해 종류 기억부(33)로의 설정을 수동으로 행할 필요가 없어져, 설치되어 있는 특수 효과 장치에 알맞는 인터페이스가 자동적으로 선택되게 된다.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도, 본 발명의 구체예의 화상 전환 장치를 갖는 화상 전환 시스템(5)이다.
도 8에 도시하는 화상 전환 시스템(5)에서 화상 전환 장치(50)는 입력되는 복수의 화상 신호에 대한 출력의 전환 및 합성 처리를 행하는 스위처 장치인 복수의 화상 합성 전환부(11a, 11b)와, 보조 출력의 선택을 행하는 보조 출력부(40)와, 장치의 제어를 행하는 합성 전환 제어기(51)와, 화상 합성 전환부(11a, 11b)에서의 출력 전환 및 합성 처리에 대한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55)에 의해 구성된다.
화상 전환 시스템(5)을 구성할 때, 화상 전환 장치(50)는 외부의 복수의 특 수 효과 장치와 접속하여, 특수 효과를 수반하는 화상의 전환, 합성을 행한다. 이하, 화상 전환 시스템(5)을 구성하고 있는, 2계통의 각 복수의 특수 효과 장치와 화상 전환 장치(50)의 접속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외부의 특수 효과 장치로서는, 보조 출력부(40)로부터 SDI 인터페이스로 화상을 수신하고, 각종 특수 효과를 가하여, SDI 인터페이스로 SDI 입력 라인(라인 그룹) 중 한 라인에 화상을 보내는 특수 효과 장치(22a???22m)를 이용할 수 있다. 특수 효과 조작 입력부(23a???23m)는 특수 효과 장치(22a???22m)에서의 특수 효과 처리에 대한 조작 입력을 수신한다. SDI 특수 효과 장치 입력으로서는, 실제는 V, K쌍의 전송로가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화상 전환 장치(50)는 화상 합성 전환부(11a, 11b)로부터 전용의 패러럴 인터페이스로 화상을 수신하고, 각종 특수 효과를 가하여, 전용의 패러럴 인터페이스로 화상을 돌려보내는 특수 효과 장치(27a, 27b???27n)를 이용할 수 있다. 특수 효과 조작 입력부(28)는 특수 효과 장치(27a, 27b???27n)에서의 특수 효과 처리에 대한 조작 입력을 수신한다.
패러럴 전용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되는 복수의 특수 효과 장치(27a, 27b ???27n)(사용될 장치의 수는 한정하지 않는다)는, 전환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갖는 효과 접속부(56)에 의해 접속되어 있어, 화상 합성 전환(11a, 11b)에 동적으로 할당하여 접속된다. 효과 접속부(56)는 합성 전환 제어기(51)에 의해 제어된다.
화상 합성 전환부(11a, 11b)는, 도 3에 도시한 화상 합성 전환부(11)와 마찬가지로, 입력된 복수의 화상 신호를 선택하여 복수의 출력 채널에 접속하는 입력 선택부(12)와, 입력 선택부(12)로부터의 출력 화상 신호에 대해 여러가지의 합성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합성 처리부(30)에 의해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 전환부(11a, 11b)내의 구성은, 도 3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의 것으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보조 출력부(40), 합성 전환 제어기(51)의 구성도, 도 3에 도시한, 보조 출력부(40), 합성 전환 제어기(31)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구성에서는, 2계통의 각 복수의 특수 효과 장치와 화상 합성 전환부(11a, 11b)의 조합은 고정적이 아니라, 접속 가능한 수의 범위에서 임의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합성 전환 제어기(51)의 종류 기억부(53)에는, 이용 가능한 특수 효과 장치의 수만큼, 특수 효과 장치의 종류를 기억하는 영역이 설치되어 있다. 특수 효과 장치는 번호에 의해 식별되지만, 한 번호의 특수 효과 장치에는 SDI 인터페이스나 패러럴 전용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그 정보가 종류 기억부(53)에 설정된다. 또한, 종류 기억부(53)는 특수 효과 장치의 번호마다, SDI 인터페이스의 경우의 보조 출력 선택 버스와 SDI 입력 라인이 설정되어 있다. 이들은 통상 V, K의 쌍이 필요하기 때문에, 쌍으로 기억된다.
종류 기억부(53)의 내용은,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55)로부터 설정할 수 있다. 도 9는, 종류 기억부(53)의 내용(90)의 일례를 나타낸다. 단, 이하의 동작 설명에는 대응하지 않는다. 도 9에서, 번호란(91)의 “1”~“4”는 각 특수 효과 장치에 대응하고 있다. 번호 “1”, “2”의 특수 효과 장치는, I/F란(92)에 나타 내는 바와 같이 SDI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보조 출력 버스 번호란(9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번호 1의 특수 효과 장치의 보조 출력 버스는 7, 8이며, 번호 2의 특수 효과 장치의 보조 출력 버스는 9, 10이다. 또한, 입력 라인 번호란(9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번호 1의 특수 효과 장치의 입력 라인 번호는 17, 18이며, 번호 2의 특수 효과 장치의 입력 라인 번호는 19, 20이다.
또, 특수 효과 장치에 따라서는, V, K의 쌍에 더해, 옵션으로 별도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도 있어, 그러한 특수 효과 장치에 대응하는 경우, 추가로 보조 출력 버스 번호를 더 기억한다.
도 10은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55)에 설치되는 특수 효과 장치 경유 지시 버튼과 관련하는 버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ME1, ME2, ME3 및 ME4라고 기재된 화상 합성 전환부 선택 버튼(601)은, 지시의 대상으로 하는 화상 합성 전환부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다. 마지막에 눌린 하나의 버튼만이 점등하여, 선택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즉, 소등하고 있는 버튼을 누름으로써, 그것을 선택 점등시킬 수 있다.
KEY1, KEY2, BKGD-A, BKGD-B라고 기재된 대상 버스 선택 버튼(602)은 지시의 대상으로 하는 입력 버스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다. 마지막에 눌린 하나의 버튼만이 점등하여, 선택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소등하고 있는 버튼을 누름으로써, 그것을 선택 점등시킬 수 있다.
DME1~DME8라고 기재된 특수 효과 장치 경유 지시 버튼(603)은, 화상 합성 전환부 선택 버튼(601), 대상 버스 선택 버튼(602)의 양 버튼에 의해 선택된 버스 의 화상에 대해, 특수 효과 장치를 경유하도록 지시를 내린다. 특수 효과 장치 경유 지시 버튼(603)은, 누르면 점등 상태로 되어, 특수 효과 장치를 경유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점등 상태에서 재차 누르면, 소등하여 경유하지 않게 된 것을 나타낸다.
특수 효과 장치 경유 지시 버튼(603)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8개) 설치되어 있어, 복수의 특수 효과 장치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단, 이미 다른 버스(다른 화상 합성 전환부의 버스, 또는 같은 화상 합성 전환부의 별도의 버스)에서 이용되고 있는 것은 눌러도 이용할 수 없다. 또한, 하나의 화상 합성 전환부(11)로부터 이용할 수 있는 특수 효과 장치의 수는 한정되어 있어, 예를 들면 2계통까지로, 3개 이상은 이용할 수 없다.
도 11는 조작자가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55)를 이용하여, 특수 효과 장치 경유 지시를 조작 입력했을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종류 기억부에 기억하는 경로의 V, K의 쌍을, 하나의 번호로 나타내어 설명한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표의 내용을 예시하기 위해, 변수 C로 표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화상 합성 전환부(11b)내의 각부와 주변 각부의 접속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조작자에 의해, 입력 버스(13a)에 대한 특수 효과 장치(번호 C) 경유 지시가 입력되어, 합성 전환 제어기(51)가 그 지시를 수신한다(단계 S31). 그러면, 합성 전환 제어기(51)는 단계 S32에서, 특수 효과 장치(번호 C)가 비어 있고, 동시에 지정 입력 버스(13a)의 화상 합성 전환부(11b)로부터 이용 가능한지 여 부의 조건을 체크한다. 단계 S32에서 상기의 조건을 체크해, 이용 가능하다고(YES) 판단하면, 단계 S33으로 진행하여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내용예의 종류 기억부(53)를 참조한다. 종류 기억부(53)를 참조하여, 행 95에서 지정된 특수 효과 장치 번호(번호 C)에 대해, 단계 S34에서, SDI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있는지, 전용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단계 S34에서, SDI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했다면(단계 S34에서의 예), 단계 S35로 진행하여, 종류 기억부(53)로부터, 번호 C에 대응하는 보조 출력 선택 버스의 번호 A(18)와 SDI 입력 라인 P(19)를 얻는다. 다음으로, 합성 전환 제어기(51)는 단계 S36에서 입력 버스 N(13a)이 선택하고 있는 입력 화상을, 특수 효과 장치 번호 C에 대응하는 보조 출력 선택 버스 A(18)에서 선택한다.
이와 동시에, 합성 전환 제어기(51)는 입력 버스 N(13a)에서, 번호 C에 해당하는 특수 효과 장치로부터 특수 효과필 출력(19)이 인가되어 있는 SDI 입력 라인 P(19i)(특수 효과 장치 번호에 대응하는 입력 라인)를 선택한다. 이 결과, 특수 효과 장치(22i)를 경유한 화상을 화상 합성 전환부내의 합성 처리부(30)에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34에서, 도 9의 행 96을 참조하여, 전용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했다면(단계 S34에서의 아니오), 단계 S38로 진행하여, 효과 접속부(56)에 있어서, 번호 C의 특수 효과 장치(27i)에 경로를 접속한다. 그리고, 단계 S39에서, 합성 처리부(30)에서 입력 버스(13a)로부터의 화상을 효과 접속부(56) 경유로 특수 효과 장치(27i)로 보내고, 효과 접속부(56) 경유로 되돌아오는 화상을 다음 처리에 사용한다.
동시에, 합성 전환 제어기(51)는 효과 접속부(56)를 제어하여, 번호에 해당하는 특수 효과 장치(27i)에 화상의 입출력(송출과 복귀) 경로가 접속되도록 한다. 이 결과, 특수 효과 장치(27i)를 경유한 화상을 합성 처리부(30)에 입력할 수 있다.
도 13은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55)로부터 입력 버스(13a)의 입력 선택 지시가 조작 입력되었을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조작자가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55)를 이용하여 입력 선택 지시를 내린 것에 대해, 합성 전환 제어기(51)가 입력(x)의 선택 조작을 수신한다(단계 S41). 그러면, 합성 전환 제어기(51)는 종류 기억부(53)를 참조하여, 특수 효과 장치를 경유하고 있는 버스에 대한 지시인지, SDI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있는지, 전용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42).
단계 S42에서, 도 9의 행 95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내용이 참조되어, SDI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했다면(단계 S42에서의 예), 단계 S43으로 진행하여, 종류 기억부(53)로부터, 번호 C에 대응하는 보조 출력 선택 버스의 번호 A를 얻는다. 다음으로, 합성 전환 제어기(51)는 단계 S43에서, 보조 출력 선택 버스 A에서 입력(x)을 선택한다.
한편, 단계 S42에서, 도 9의 행 96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내용이 참조되어, 전용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였거나, 또는 특수 효과 장치를 경유하고 있지 않은 버스에 대한 지시라고 판단했다면(단계 S42에서의 아니오), 단계 S45 로 진행하여, 입력 버스 N에서 지정 입력(x)을 선택한다.
따라서, 어떤 종류의 특수 효과 장치(22 또는 27)가 사용되고 있어도, 조작 입력된 선택 화상을 올바르게 선택하여, 특수 효과 장치 경유로 합성 처리부(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합성 전환 제어기(51)에 의한 종류 기억부(53)를 이용한 제어에 의해, 특수 효과 장치를 복수 접속?사용하는 구성에서, 2종류의 인터페이스의 특수 효과 장치를 혼재해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항상, 특수 효과 장치를 경유하지 않는 경우와 동일한 조작으로 원하는 입력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도, 본 발명의 구체예의 화상 전환 장치를 갖는 화상 전환 시스템(9)이다.
도 14에 도시하는 화상 전환 시스템(9)에서 화상 전환 장치(90)는 입력되는 복수의 화상 신호에 대한 출력의 전환 및 합성 처리를 행하는 스위처 장치인 화상 합성 전환부(91)와, 보조 출력의 선택을 행하는 보조 출력부(40)와, 장치의 제어를 행하는 합성 전환 제어기(31)와, 화상 합성 전환부(91)에서의 출력 전환 및 합성 처리에 대한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35)에 의해 구성된다.
이 화상 전환 시스템(9)에서, 화상 전환 장치(90)는 화상 합성 전환부(91) 내에서 화상을 처리하고 나서 합성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된 화상에 대해 특수 효과를 실시하도록 특수 효과 장치(22, 27)가 화상 전환 장치(90)에 접속된다.
화상 합성 전환부(91)는 입력 선택부(12)와, 합성 처리부(30) 외에, 화상 처 리부(92)를 구비한다. 화상 처리부(92)는 입력 버스(13a~13c) 및 예비 입력 버스(14)의 어느 것에도 배치 가능하다. 버스상에 배치될 때, 화상 처리부(92)는 화상 처리부(92)가 배치되는 버스로부터 수신된 화상을 처리할 수 있다. 이 처리는, 예를 들면 키잉 합성에 적합한 신호가 되도록 신호 파형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화상 처리부(92)에서 처리된 화상은, 처리 화상 재입력 경로(93)를 지나 보조 출력 선택 버스(18)로 하나의 입력으로서 송신된다.
화상 처리부(92)는, 도 14에서는 1 입력을 받아 1 출력을 내보내도록 기재되어 있지만, 비디오(Video)용 화상과 키(Key) 소스용 화상의 쌍을 입력받아, 처리하여 쌍으로 출력하는 것도, 이 구성이 적용 가능하다. 화상 처리부(92)가 2입력, 2출력으로 되어, 처리 화상 재입력 경로(93)가 대응하여 2경로로 된다.
예비 입력 버스(14)는, 다른 입력 버스(13a~13c)와 동일한 기능을 갖지만,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35)로부터 직접 입력 선택을 지정할 수는 없다. 조작자에게는 직접 존재를 보이지 않는, 내부 용도의 버스이다.
도 14에서는, SDI 보조 출력 라인 등, 1경로만 도시하였지만, 실제는 V, K의 쌍의 전송로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도 14에서는, 특수 효과 장치(B)(22) 주변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지만, 상기 도 6과 마찬가지로, 효과 접속부(56)를 통해 복수의 특수 효과 장치(27a, 27b???27n)에 접속 가능한 구성이다.
다음으로, 화상 전환 시스템(9)을 구성하고 있는 화상 전환 장치(90)의 동작에 대해,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설명한다. 도 15은 조작자가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35)를 이용하여, 특수 효과 장치 경유 지시를 조작 입력했을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예를 들면, 조작자에 의해, 입력 버스(13a)에 대한 특수 효과 장치(번호 C) 경유 지시가 입력되고, 합성 전환 제어기(51)가 그 지시를 수신한다(단계 S51). 그러면, 합성 전환 제어기(31)는 단계 S52에서, 특수 효과 장치(번호 C)가 비어 있고, 동시에 지정 입력 버스(13a)의 화상 합성 전환부(11)로부터 이용 가능한지 여부의 조건을 체크한다.
단계 S52에서 상기의 조건을 체크하여, 이용 가능하다고(예) 판단하면, 단계 S53으로 진행하여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내용예의 종류 기억부(33)를 참조한다. 종류 기억부(33)를 참조하여, 행 95에서 지정된 특수 효과 장치 번호(번호 C)에 대해, 단계 S54에서, SDI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있는지, 전용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54에서, SDI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했다면(단계 S54에서의 예), 단계 S55로 진행하고, 입력 버스 N(13a)은 화상 처리부(92)를 경유하는 버스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단계 S55에서, 지정 입력 버스 N(13a)은 화상 처리부(92)를 경유하는 버스라고 판단하면(단계 S55에서의 예), 단계 S56으로 진행한다.
단계 S56에서, 합성 전환 제어기(31)는 종류 기억부(33)로부터, 번호 C에 대응하는 보조 출력 선택 버스의 번호 A(18)와 SDI 입력 라인 P(19)를 얻는다. 다음으로, 단계 S57에서, 처리 화상 재입력 경로(93)를 보조 출력 선택 버스 A(18)로 선택한다. 그리고, 단계 S58에서, 예비 입력 버스(14)에서 특수 효과가 적용된 출력인 SDI 입력 라인 P를 선택한다.
단계 S55에서, 입력 버스 N은 화상 처리부(92)를 경유하는 버스가 아니라고 판단하면(단계 S55에서의 아니오), 단계 S59로 진행하여, 종류 기억부(33)로부터, 번호 C에 대응하는 보조 출력 선택 버스의 번호 A와 SDI 입력 라인 P를 얻는다. 다음으로, 단계 S60에서, 입력 버스 N이 선택하고 있는 입력 화상을 보조 출력 선택 버스 A에서 선택한다. 그리고, 단계 S61에서, 입력 버스 N에서 특수 효과필 출력인 SDI 입력 라인 P를 선택한다.
한편, 단계 S54에서, 전용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했다면(단계 S54에서의 아니오), 단계 S62로 진행하여, 상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의 효과 접속부(56)에서, 번호 C의 특수 효과 장치(27i)에 경로를 접속한다. 그리고, 단계 S63에서, 합성 처리부(30) 내에서 입력 버스 N으로부터 전송된 화상을 효과 접속부(56) 경유로 특수 효과 장치(27i)로 보내고, 효과 접속부(56) 경유로 되돌아오는 화상을 다음 처리에 사용한다.
동시에, 합성 전환 제어기(31)는 효과 접속부(56)를 제어하여, 번호에 해당하는 특수 효과 장치(27i)에 화상의 입출력(송출과 복귀) 경로가 접속되도록 한다. 이 결과, 특수 효과 장치(27i)를 경유한 화상을 합성 처리부(30)로 입력할 수 있다.
도 16는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35)로부터 입력 버스(13a)의 입력 선택 지시가 조작 입력되었을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조작자가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35)를 이용하여 입력 선택 지시를 내린 것에 대해, 합성 전환 제어기(31)가 입력(x)의 선택 조작을 수신한다(단계 S71). 그러면, 합성 전환 제어 기(31)는 종류 기억부(33)를 참조하여, 특수 효과 장치를 경유하고 있는 버스에 대한 지시인지, SDI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있는지, 전용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72).
단계 S72에서, SDI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했다면, YES에 의해 단계 S73으로 진행하고, 종류 기억부(33)를 참조해, 입력 버스 N은 화상 처리부(92)를 경유하는 버스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이 단계 S73에서, 입력 버스 N은 화상 처리부(92)를 경유하는 버스라고 판단하면, 단계 S74로 진행하여, 입력 버스 N에서 지정 입력(x)을 선택한다.
단계 S73에서, 입력 버스 N은 화상 처리부(92)를 경유하는 버스가 아니라고 판단하면(단계 S73에서의 아니오), 단계 S75로 진행한다. 단계 S75에서, 합성 전환 제어기(31)는 종류 기억부(33)로부터, 번호 C에 대응하는 보조 출력 선택 버스의 번호 A를 얻는다. 그리고, 단계 S76으로 진행하여, 보조 출력 선택 버스 A에서 지정 입력(x)을 선택한다.
또한, 단계 S72에서, 전용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였거나, 또는 특수 효과 장치를 경유하고 있지 않은 버스에 대한 지시라고 판단했다면(단계 S72에서의 아니오), 단계 S77로 진행하여, 입력 버스 N에서 지정 입력(x)을 선택한다.
이와 같은 제어에 기초한 동작에 의해, 특수 효과 장치를 경유하지 않는 경우, 혹은 화상 처리부(92)를 경유하지 않는 버스의 경우와, 항상 동일한 조작으로 원하는 입력을 선택할 수 있고, 또한 화상 처리부(92)에서 먼저 처리된 화상에 특 수 효과를 실시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2에는, 화상 전환 시스템(9)에서 각종 디지털 멀티 이펙트(DME) 처리를 행할 때의 신호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17은 외부 부착의 SDIDME(특수 효과 장치)(22)에서 특수 효과가 실시된 화상 1채널을 합성 처리부(30)가 화상 전환 천이에 사용하여 전환하는 처리의 신호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보조 출력부(40)의 보조 출력 선택 버스(18)로부터의 AUX(DME CH1 V)와, AUX(DME CH1 K)가 SDI 보조 출력 라인(21)으로부터 SDIDME(22)에 송출 계통(파선으로 도시한다)에 따라 공급된다. SDIDME(22)에서 특수 효과 처리가 실시된 경로인 프라이머리(DME CH1 V)와, 프라이머리(DME CH1 K)는, 복귀 계통(실선으로 도시한다)에 따라 선택 스위치 매트릭스(크로스포인트(XPT))(16)에서 선택되어, 화상 합성 전환부(91)로 되돌아온다. 즉, 화상 합성 전환부(91)는 DMEV, K로 되돌아온 신호를 수신한다. 이들 복귀 신호는, 화상 합성 전환부(91)내의 로컬 크로스포인트(100)에서 선택된 후, 화상 처리부(MIXER)(30)에 TRBG(V), TRBG(K), TRANS1(K), TRANS2(K)로서 입력된다. 합성 처리부(30)는 특수 효과가 실시된 화상 1CH를 와이프 처리와 마찬가지로 전환한다. 로컬 크로스포인트(100)로부터 합성 처리부(30)로의 버스는 전용 I/F와 동일하게 한다. 또, 복귀 계통은 사용하는 DME CH 중에서 가장 빠른 CH로 설정되어 있는 프라이머리에 복귀 신호가 특수 효과 장치에서 합성되어 출력된다.
도 18은 외부 부착의 SDIDME(특수 효과 장치)(22)에서 특수 효과가 실시된 화상 2채널을 합성 처리부(30)가 화상 전환 천이에 사용하여 전환하는 처리의 신호 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조 출력부(40)의 보조 출력 선택 버스(18)로부터의 AUX(DME CH1 V), AUX(DME CH1 K), AUX(DME CH2 V)와 AUX(DME CH2 K)가 SDI 보조 출력 라인(21)으로부터 SDIDEM(22)에 송출 계통(파선으로 도시한다)에 따라 공급된다. SDIDEM(22)에서 특수 효과 처리가 실시된 프라이머리(DME CH V)와 프라이머리 (DME CH K)는, 복귀 계통(실선으로 도시한다)에 따라, 선택 스위치들(크로스포인트(XPT))(16)에서 선택되어, 화상 합성 전환부(91)로 되돌아온다. 즉, 화상 합성 전환부(91)는 DMEV, K로 되돌아온 신호를 수신한다. 이들 복귀 신호는, 화상 합성 전환부(91)내의 로컬 크로스포인트(100)에서 선택된 후, 화상 처리부(MIXER)(30)에 TRBG(V), TRBG(K), TRANS1(K), TRANS2(K)로서 입력된다. 합성 처리부(30)는 특수 효과가 실시된 화상 2CH를 와이프 처리와 마찬가지로 전환한다. 로컬 크로스포인트(100)로부터 합성 처리부(30)로의 버스는 전용 I/F와 동일하게 한다. 또, 복귀 계통은 사용하는 DME CH 중에서 가장 빠른 CH로 설정되어 있는 프라이머리에 복귀 신호가 특수 효과 장치에서 합성되어 출력된다.
도 19는 외부 부착의 SDIDME(특수 효과 장치)(22)에서 키 신호에 특수 효과가 실시된 화상 1채널을 합성 처리부(30)가 화상 전환 천이에 사용하여 전환하는 처리의 신호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조 출력부(40)의 보조 출력 선택 버스(18)로부터 화상 처리부(92)에 키 신호 KEY-V, KEY-K가 KEY-FILL, KEY-SRC로서 입력된다. 화상 처리부(92)에서 화상 처리된 화상 신호 ProcV, ProcK는 로컬 크로스포인트(100)를 지나, 보조 출력 선택 버스(18)에서 리엔트리된 후, 보조 출력 라인으로부터 AUX(DME CH1 V)와 AUX(DME CH1 K)로서 SDIDME(22)에 송출 계통(파선으로 도시한다)에 따라 공급된다. 즉, 보조 출력부(40)에서는, 화상 신호 ProcV, ProcK를 사용하여, SDI 보조 출력 라인에 KEY의 화상을 보내기 위해, 고정으로 ProcV, ProcK의 리엔트리를 행한다. SDIDME(22)에서 특수 효과 처리가 실시된 프라이머리(DME CH V)와 프라이머리 (DME CH K)는, 복귀 계통(실선으로 도시한다)에 따라, 재차 선택 스위치 매트릭스(16)에서 선택되어, 화상 합성 전환부(91)로 되돌아온다. 즉, 화상 합성 전환부(91)는, DMEV, K로 되돌아온 신호를 수신한다. 이들 복귀 신호는, 화상 합성 전환부(91)내의 로컬 크로스포인트(100)에서 선택된 후, 화상 처리부(MIXER)(30)에, TRK(V), TRK(K)로서 입력된다. 합성 처리부(30)는 특수 효과가 실시된 키 화상 1CH를 와이프 처리에 의해 전환한다. 로컬 크로스포인트(100)로부터 합성 처리부(30)로의 버스는 전용 I/F와 동일하게 한다. 또, 복귀 계통은 사용하는 DME CH 중에서 가장 빠른 CH로 설정되어 있는 프라이머리에 복귀 신호가 특수 효과 장치에서 합성되어 출력되어 온다.
도 20은 외부 부착의 SDIDME(특수 효과 장치)(22)에서 키 신호에 특수 효과가 실시된 화상 2채널을 합성 처리부(30)가 화상 전환 천이에 사용하여 전환하는 처리의 신호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조 출력부(40)의 보조 출력 선택 버스(18)로부터 화상 처리부(92)에 키 신호 KEY-V, KEY-K가, KEY-FILL, KEY-SRC로서 입력된다. 화상 처리부(92)에서 화상 처리된 화상 신호 ProcV, ProcK는 로컬 크로스포인트(100)를 지나, 보조 출력 선택 버스(18)에서 리엔트리(일점 쇄선으로 도시한다)된 후, 보조 출력 라인으로부터 AUX(DME CH1 V), AUX(DME CH1 K), AUX(DME CH2 V)와 AUX(DME CH2 K)로서 SDIDME(22)에 송출 계통(파선과 상기 일점 쇄선으로 도시한다)에 따라 공급된다. 또, 세컨드 채널의 화상은, 퍼스트 채널과 동일한 화상이 되도록 한다. 즉, 보조 출력부(40)에서는, 화상 신호 ProcV, ProcK를 사용하여, SDI 보조 출력 라인에 KEY의 화상을 송출하기(파선으로 도시한다) 위해, 고정으로 ProcV, ProcK의 리엔트리(일점 쇄선으로 도시한다)를 행하여, 동일한 화상의 2CH를 SDIDEM(22)로 보낸다. SDIDEM(22)에서 특수 효과 처리가 실시된 프라이머리(DME CH V)와 프라이머리(DME CH K)는, 복귀 계통(실선으로 도시한다)에 따라, 재차 선택 스위치 매트릭스(16)에서 선택되어 화상 합성 전환부(91)로 되돌아온다. 즉, 화상 합성 전환부(91)는 DMEV, K로 되돌아온 신호를 수신한다. 이들 복귀 신호는, 화상 합성 전환부(91)내의 로컬 크로스포인트(100)에서 선택된 후, 화상 처리부(MIXER)(30)에 TRK(V), TRK(K)로서 입력된다. 합성 처리부(30)는 특수 효과가 실시된 키 화상 2CH를 와이프 처리에 의해 전환한다. 로컬 크로스포인트(100)로부터 합성 처리부(30)로의 버스는 전용 I/F와 동일하게 한다. 또, 복귀 계통은 사용하는 DME CH 중에서 가장 빠른 CH로 설정되어 있는 프라이머리로 복귀 신호가 특수 효과 장치에서 합성되어 출력된다.
도 21은 외부 부착의 SDIDME(특수 효과 장치)(22)에서 화상 처리 신호 Proc. K에 특수 효과가 실시된 화상 1채널을 사용하여 합성 처리부(30)가 전환하는 처리의 신호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조 출력부(40)의 보조 출력 선택 버스(18)로부터 화상 처리부(92)에 키 신호 KEY-V, KEY-K가, KEY-FILL, KEY-SRC로서 입력된다. 화상 처리부(92)에서 화상 처리된 화상 신호 ProcV, ProcK는 로컬 크로스포인트(100)를 지나, 보조 출력 선택 버스(18)에서 리엔트리(일점 쇄선으로 도시한 다)된 후, 보조 출력 라인으로부터 AUX(DME CH1 V)와 AUX(DME CH1 K)로서 SDIDEM(22)에 송출 계통(파선과 상기 일점 쇄선으로 도시한다)에 따라 공급된다. 즉, 보조 출력부(40)에서는, 화상 신호 ProcV, ProcK를 사용하여, SDI 보조 출력 라인에 Proc. K를 송출하기(파선으로 도시한다) 위해, 고정으로 ProcV, ProcK의 리엔트리(일점 쇄선으로 도시한다)를 행한다. SDIDME(22)에서 특수 효과 처리가 실시된 프라이머리 (DME CH V)와 프라이머리 (DME CH K)는, 복귀 계통(실선으로 도시한다)에 따라, 재차 선택 스위치들(16)에서 선택되어, 화상 합성 전환부(91)로 되돌아온다. 즉, 화상 합성 전환부(91)는 DMEV, K로 되돌아온 신호를 수신한다. 이들 복귀 신호는, 화상 합성 전환부(91) 내의 로컬 크로스포인트(100)에서 선택된 후, 화상 처리부(MIXER)(30)에 KEY(V), KEY(K)로서 입력된다. 합성 처리부(30)는 특수 효과가 실시된 화상 1CH의 KEY(K)를 사용하여 합성함으로써 출력 화상을 전환한다. 로컬 크로스포인트(100)로부터 합성 처리부(30)로의 버스는 전용 I/F와 동일하게 한다. 또, 복귀 계통은 사용하는 DME CH 중에서 가장 빠른 CH로 설정되어 있는 프라이머리에 복귀 신호가 특수 효과 장치에서 합성되어 출력되어 온다.
도 22은 외부 부착의 SDIDME(특수 효과 장치)(22)에서 화상 처리 신호 Proc. K에 특수 효과가 실시된 화상 2채널을 사용하여 합성 처리부(30)가 전환하는 처리의 신호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조 출력부(40)의 보조 출력 선택 버스(18)로부터 화상 처리부(92)에 키 신호 KEY-V, KEY-K가, KEY-FILL, KEY-SRC로서 입력된다. 화상 처리부(92)에서 화상 처리된 화상 신호 ProcV, ProcK는 로컬 크로스포인트(100)를 지나, 보조 출력 선택 버스(18)에서 리엔트리(일점 쇄선으로 도시한 다)된 후, 보조 출력 라인으로부터 AUX(DME CH1 V), AUX(DME CH1 K ), AUX(DME CH2 V)와 AUX(DME CH2 K)로서 SDIDME(22)에 송출 계통(파선과 상기 일점 쇄선으로 도시한다)에 따라 공급된다. 또, 세컨드 채널의 화상의 V는, AUX에서 선택한 화상을 사용하고, K는 퍼스트 채널에서 선택한 화상을 사용한다. 즉, 보조 출력부(40)에서는, 화상 신호 ProcV, ProcK를 사용하여, AUX에 KEY의 화상을 송출하기 위해, 고정으로 ProcV, ProcK의 리엔트리를 행한다. SDIDEM(22)에서 특수 효과 처리가 실시된 프라이머리 (DME CH V)와 프라이머리 (DME CH K)는, 복귀 계통(실선으로 도시한다)에 따라, 재차 선택 스위치 매트릭스(16)에서 선택되어 화상 합성 전환부(91)로 되돌아온다. 즉, 화상 합성 전환부(91)는 DMEV, K로 되돌아온 신호를 수신한다. 이들 복귀 신호는, 화상 합성 전환부(91)내의 로컬 크로스포인트(100)에서 선택된 후, 화상 처리부(MIXER)(30)에 KEY(V), KEY(K)로서 입력된다. 합성 처리부(30)는 특수 효과가 실시된 화상 2CH에 의한 KEY(K)를 사용하여 합성함으로써 출력 화상을 전환한다. 로컬 크로스포인트(100)로부터 합성 처리부(30)로의 버스는 전용 I/F와 동일하게 한다. 또, 복귀 계통은 사용하는 DME CH 중에서 가장 빠른 CH로 설정되어 있는 프라이머리에 복귀 신호가 특수 효과 장치에서 합성되어 출력되어 온다.
그런데,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의 화상 전환 시스템(1, 5, 9)에 있어서는, 특수 효과 장치의 종류에 따라 화상의 입력을 받고 나서 특수 효과를 실시하여 출력하기까지, 1필드 내지는 1프레임의 지연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특수 효과 장치를 상기 각 화상 전환 장치에 의해 이용하는 경우는, 특수 효과 장치로 송출하는 화상의 경로의 전환 등의 제어만을, 그 이외의 부분의 제어보다 상기 지연에 응답하여 1필드 내지는 1프레임 먼저 행한다. 그리고, 그 이외의 부분은, 1필드 내지는 1프레임 후에, 정확히 특수 효과 장치로부터 원하는 특수 효과가 실시된 화상이 되돌아오는 타이밍으로 동작시킨다. 이와 같은 타이밍 제어에 의해, 화상의 전환을 특수 효과 장치를 경유하지 않는(부분을 통과한) 화상에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는, 이와 같은 제어의 지연을 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특수 효과 장치의 종류에 따라, 이 지연량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종류 기억부에 지연량에 관한 정보를 기억시키고 참조하여, 송출원의 버스의 선택 전환에 대해, 그 이외의 버스의 선택 스위치 매트릭스의 동작 등을 그 정보에 부합한 소정량만큼 지연시키면 된다.
또, 이상의 설명에서는 특수 효과 장치의 종류를 2종류로서 설명하였지만, 접속 인터페이스가 상이한 3종류의 특수 효과 장치를 이용하는 구성이라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합성 전환부의 수, 특수 효과 장치의 수, 입력 버스의 수 등도, 임의의 수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화상 전환 장치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으로 설명하였지만, 화상 전환 장치로서는, 본 발명의 화상 전환 방법에 기초한 프로그램을, CD-ROM, HDD, 그 외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나, 반도체 기록 매체 등에 저장하고, 워크스테이션, 퍼스널 컴퓨터 등의 컴퓨터에서 실행함으로써 실현하여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화상 전환 방법을 기술한다. 즉, 화상 전환 방법은, 입력된 복수의 화상에 대해, 입출력 인터페이스가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특수 효과 장치를 이용하여 특수 효과 처리를 실시하고, 또한 화상 합성 공정을 이용하여 화상 합성 처리를 수반한 전환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화상 전환 방법에 있어서, 제1 특수 효과 장치용의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와 제1 특수 효과 장치용의 제1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의 세트에 기초하는 제1 경로와, 상기 화상 합성 수단에 접속되는 제2 특수 효과 장치용의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2 특수 효과 장치용의 제2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의 세트에 기초하는 제2 경로 중 어느 것을 사용할지의 설정을 기억하는 종류 기억부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화상이 특수 효과 장치를 경유하도록 지시를 조작 입력하는 경유 지시 공정과, 외부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선택한 화상 및 상기 제1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2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의 화상에 대해 전환 처리를 행하는 선택 스위치 공정과, 합성 처리를 행하는 상기 화상 합성 공정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화상 합성 전환 공정과, 상기 화상 합성 전환 공정으로의 입력 화상의 선택을 조작 입력하는 합성 전환 조작 입력 공정과, 상기 경유 지시 공정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종류 기억부를 참조하여 설정이 제1 경로라면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 상기 화상 합성 전환 공정에 입력되어 있는 화상을 출력할 뿐만 아니라 제1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 화상을 취하여 상기 화상 합성 전환 공정으로의 입력으로 하고, 설정이 제2 경로라면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 상기 화상 합성 전환 공정에 입력되어 있는 화상을 출력할 뿐만 아니라 제2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 화상을 취하여 상기 화상 합성 전환 공정에 입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합성 전환 조작 공정으로부터의 입력 화상 선택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종류 기억부를 참조해 설정이 제1 경로라면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의 화상을 선택하고, 설정이 제2 경로라면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의 화상을 선택하는 할당 관리 공정을 갖는다.
이 화상 전환 방법은, 상기 도 5 및 도 6, 도 11 및 도 13,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처리 순서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체화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전술한 바와 같은 각종 기록 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 기록 매체가 컴퓨터에 장착되면, 컴퓨터는 중앙 연산 처리부(CPU)에 의해 버스를 통해 프로그램의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워크 에어리어(RAM 등)로 읽어 들여, 실행함으로써, 상기 도 1 등에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화상 전환 장치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전환 장치에 종류 기억부를 설치하여 어떤 종류의 특수 효과 장치를 접속 이용할지 설정 가능하게 하고, 특수 효과 장치를 경유하는 지시를 받았을 때에 종류 기억부를 참조하여 화상의 경로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공통의 간단한 조작으로, 복수 종류의 특수 효과 장치를 이용할 수 있어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예를 들면 화상 전환 장치에 전용의 특수 효과 장치와, 범용성이 높은 특수 효과 장치의 양쪽 모두를 사용할 수 있는 화상 전환 장치가 되어, 때와 장소에 부합하여 유연한 장치의 배치?구성을 취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또한, 특수 효과 장치를 접속하는 경로를, 특수 효과 장치가 접속 불필요한 경우는 다른 용도로 사용 가능하게 하여, 때와 장소에 부합하여 유연성이 있는 운용이 가능해져, 경제적이다.
본 분야의 숙련된 자라면 첨부된 청구항들 또는 그 등가물의 범위 이내에 있는 한 다양한 변형, 결합, 서브 결합 및 변경들이 설계 요구사항 및 다른 팩터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어야 한다.

Claims (12)

  1. 입력된 복수의 화상에 대하여 선택한 화상을 출력하는 전환 처리를 행하는 제1 선택 스위치군과, 입력된 복수의 화상에 대하여 선택한 화상을 출력하는 전환 처리를 행하는 제2 선택 스위치군과, 상기 제1 선택 스위치군의 출력을 수신하는 화상 합성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선택 스위치군과 상기 화상 합성 수단의 조합으로 구성된 화상 합성 전환부에서 화상 합성 처리를 수반한 전환 처리를 수행하여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전환 장치로서,
    상기 제2 선택 스위치군의 출력을 제1 특수 효과 장치에 공급하는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1 특수 효과 장치의 출력을 상기 제1 선택 스위치군으로의 입력으로 하는 제1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화상 합성 전환부로부터의 화상을 제2 특수 효과 장치에 공급하는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2 특수 효과 장치의 출력을 상기 화상 합성 수단에 공급하는 제2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1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의 조합에 기초한 제1 경로와 상기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2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의 조합에 기초한 제2 경로 중 어느 경로를 이용할지의 설정을 기억하는 종류 기억부와,
    화상이 상기 제1 특수 효과 장치 및 상기 제2 특수 효과 장치 중 어느 하나를 경유하도록 지시를 조작 입력하기 위한 경유 지시 수단과,
    상기 화상 합성 전환부에 대하여 입력 화상의 선택을 조작 입력하는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와,
    상기 경유 지시 수단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종류 기억부를 참조하여, 설정이 상기 제1 경로이면 상기 제2 선택 스위치군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택 스위치군에 의해 선택된 화상을 선택하여 상기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에 화상을 출력함과 함께 상기 제1 선택 스위치군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 화상을 취득하여 상기 화상 합성 전환부로의 입력으로 하고, 설정이 상기 제2 경로이면 상기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화상 합성 전환부로부터 화상을 출력함과 함께 상기 제2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 화상을 취득하여 상기 화상 합성 수단에 입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로부터의 입력 화상 선택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종류 기억부를 참조하여, 설정이 상기 제1 경로이면 상기 제2 선택 스위치군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의 화상을 선택하고, 설정이 상기 제2 경로이면 상기 제1 선택 스위치군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의 화상을 선택하는 할당 관리부를 포함하는, 화상 전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1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는 시리얼 디지털 인터페이스 신호 전송 경로이고,
    상기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는 3개 이상의 도선을 이용하는 패러럴 전송 경로인, 화상 전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종류 기억부에서 사용하도록 설정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화상 전환 장치의 출력 화상을 외부에 공급하는 인터페이스로서 사용되는, 화상 전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의 접속처에, 복수의 특수 효과 장치를 선택적으로 접속가능하게 하는 접속 전환부를 포함하는, 화상 전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류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 전송될 화상을 전환하는 타이밍에 대해, 상기 화상을 전환하는 동작 이외의 다른 동작의 타이밍을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량을 결정하는, 화상 전환 장치.
  6. 입력된 복수의 화상에 대하여 선택한 화상을 출력하는 전환 처리를 행하는 제1 선택 스위치군과, 입력된 복수의 화상에 대하여 선택한 화상을 출력하는 전환 처리를 행하는 제2 선택 스위치군과, 상기 제1 선택 스위치군의 출력을 수신하는 화상 합성 수단과, 화상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선택 스위치군과 상기 화상 합성 수단과 상기 화상 처리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화상 합성 전환부에서 화상 합성 처리를 수반한 전환 처리를 수행하여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전환 장치로서,
    상기 화상 처리부의 출력을 상기 제2 선택 스위치군의 입력에 공급하는 처리 화상 재입력 경로와,
    상기 제2 선택 스위치군의 출력을 제1 특수 효과 장치에 공급하는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1 특수 효과 장치의 출력을 상기 제1 선택 스위치군으로의 입력으로 하는 제1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화상 합성 전환부로부터의 화상을 제2 특수 효과 장치에 공급하는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2 특수 효과 장치의 출력을 상기 화상 합성 수단에 공급하는 제2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1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의 조합에 기초한 제1 경로와 상기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2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의 조합에 기초한 제2 경로 중 어느 경로를 이용할지의 설정을 기억하는 종류 기억부와,
    화상이 상기 제1 특수 효과 장치 및 상기 제2 특수 효과 장치 중 어느 하나를 경유하도록 지시를 조작 입력하는 경유 지시 수단과,
    상기 화상 합성 전환부에 대하여 입력 화상의 선택을 조작 입력하는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와,
    상기 경유 지시 수단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종류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지시의 대상이 상기 화상 처리부를 경유하는 화상이고 또한 설정이 상기 제1 경로이면 상기 제2 선택 스위치군에 있어서 상기 처리 화상 재입력 경로를 선택하여 상기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에 화상을 출력함과 함께 상기 제1 선택 스위치군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 화상을 취득하여 상기 화상 합성 전환부로의 입력으로 하고, 상기 지시의 대상이 상기 화상 처리부를 경유하지 않은 화상이고 또한 설정이 상기 제1 경로이면 상기 제2 선택 스위치군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택 스위치군에 의해 선택된 화상을 선택하여 상기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에 화상을 출력함과 함께 상기 제1 선택 스위치군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 화상을 취득하여 상기 화상 합성 전환부로의 입력으로 하고, 설정이 상기 제2 경로이면 상기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화상 합성 전환부로부터 화상을 출력함과 함께 상기 제2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 화상을 취득하여 상기 화상 합성 수단에 입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합성 전환 조작 입력부로부터의 입력 화상 선택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종류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지시의 대상이 상기 화상 처리부를 경유하는 화상이고 또한 설정이 상기 제1 경로이면 상기 제1 선택 스위치군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의 화상을 선택하고, 상기 지시의 대상이 상기 화상 처리부를 경유하지 않은 화상이고 또한 설정이 상기 제1 경로이면 상기 제2 선택 스위치군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의 화상을 선택하고, 설정이 상기 제2 경로이면 상기 제1 선택 스위치군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의 화상을 선택하는 할당 관리부를 포함하는, 화상 전환 장치.
  7. 입력된 복수의 화상에 대하여 선택한 화상을 출력하는 전환 처리를 행하는 제1 선택 스위치 단계와, 입력된 복수의 화상에 대하여 선택한 화상을 출력하는 전환 처리를 행하는 제2 선택 스위치 단계와, 상기 제1 선택 스위치 단계의 출력을 수신하는 화상 합성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선택 스위치 단계와 상기 화상 합성 단계의 조합으로 구성된 화상 합성 전환 단계에서 화상 합성 처리를 수반한 전환 처리를 수행하여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전환 방법으로서,
    상기 제2 선택 스위치 단계의 출력을 제1 특수 효과 장치에 공급하는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1 특수 효과 장치의 출력을 상기 제1 선택 스위치 단계로의 입력으로 하는 제1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의 조합에 기초한 제1 경로와, 상기 화상 합성 전환 단계로부터의 화상을 제2 특수 효과 장치에 공급하는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2 특수 효과 장치의 출력을 상기 화상 합성 단계에 공급하는 제2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의 조합에 기초한 제2 경로 중 어느 경로를 이용할지의 설정을 기억하는 종류 기억부를 사용하며,
    화상이 상기 제1 특수 효과 장치 및 상기 제2 특수 효과 장치 중 어느 하나를 경유하도록 지시를 조작 입력하는 경유 지시 단계와,
    상기 화상 합성 전환 단계에 대하여 입력 화상의 선택을 조작 입력하는 합성 전환 조작 입력 단계와,
    상기 경유 지시 단계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종류 기억부를 참조하여, 설정이 상기 제1 경로이면 상기 제2 선택 스위치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택 스위치 단계에 의해 선택된 화상을 선택하여 상기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에 화상을 출력함과 함께 상기 제1 선택 스위치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 화상을 취득하여 상기 화상 합성 전환 단계로의 입력으로 하고, 설정이 상기 제2 경로이면 상기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화상 합성 전환 단계에 입력되어 있는 화상을 출력함과 함께 상기 제2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 화상을 취득하여 상기 화상 합성 단계에 입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합성 전환 조작 입력 단계로부터의 입력 화상 선택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종류 기억부를 참조하여, 설정이 상기 제1 경로이면 상기 제2 선택 스위치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의 화상을 선택하고, 설정이 상기 제2 경로이면 상기 제1 선택 스위치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의 화상을 선택하는 할당 관리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 전환 방법.
  8. 입력된 복수의 화상에 대하여 선택한 화상을 출력하는 전환 처리를 행하는 제1 선택 스위치군과, 입력된 복수의 화상에 대하여 선택한 화상을 출력하는 전환 처리를 행하는 제2 선택 스위치군과, 상기 제1 선택 스위치군의 출력을 수신하는 화상 합성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선택 스위치군과 상기 화상 합성 수단의 조합으로 구성된 화상 합성 전환부에서 화상 합성 처리를 수반한 전환 처리를 수행하여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전환 장치로 하여금, 화상 전환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화상 전환 장치는, 상기 제2 선택 스위치군의 출력을 제1 특수 효과 장치에 공급하는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1 특수 효과 장치의 출력을 상기 제1 선택 스위치군으로의 입력으로 하는 제1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의 조합에 기초한 제1 경로와, 상기 화상 합성 전환부로부터의 화상을 제2 특수 효과 장치에 공급하는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2 특수 효과 장치의 출력을 상기 화상 합성 수단에 공급하는 제2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의 조합에 기초한 제2 경로 중 어느 경로를 이용할지의 설정을 기억하는 종류 기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화상 전환 장치로 하여금,
    화상이 상기 제1 특수 효과 장치 및 상기 제2 특수 효과 장치 중 어느 하나를 경유하도록 지시를 조작 입력하는 경유 지시 수단으로부터의 지시 신호를 수신하는 경유 지시 수신 단계와,
    상기 화상 합성 전환부에 대하여 입력 화상의 선택을 조작 입력하는 합성 전환 조작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 화상 선택 지시 신호를 수신하는 합성 전환 조작 수신 단계와,
    상기 경유 지시 수신 단계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종류 기억부를 참조하여, 설정이 상기 제1 경로이면 상기 제2 선택 스위치군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택 스위치군에 의해 선택된 화상을 선택하여 상기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에 화상을 출력함과 함께 상기 제1 선택 스위치군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 화상을 취득하여 상기 화상 합성 전환부로의 입력으로 하고, 설정이 상기 제2 경로이면 상기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화상 합성 전환부에 입력되어 있는 화상을 출력함과 함께 상기 제2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 화상을 취득하여 상기 화상 합성 수단에 입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합성 전환 조작 수신 단계로부터의 입력 화상 선택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종류 기억부를 참조하여, 설정이 상기 제1 경로이면 상기 제2 선택 스위치군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의 화상을 선택하고, 설정이 상기 제2 경로이면 상기 제1 선택 스위치군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의 화상을 선택하는 할당 관리 단계
    를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9. 입력된 복수의 화상에 대하여 선택한 화상을 출력하는 전환 처리를 행하는 제1 선택 스위치 단계와, 입력된 복수의 화상에 대하여 선택한 화상을 출력하는 전환 처리를 행하는 제2 선택 스위치 단계와, 상기 제1 선택 스위치 단계의 출력을 수신하는 화상 합성 단계와, 화상 처리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선택 스위치 단계와 상기 화상 합성 단계와 상기 화상 처리 단계의 조합으로 구성된 화상 합성 전환 단계에서 화상 합성 처리를 수반한 전환 처리를 수행하여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전환 방법으로서,
    상기 화상 처리 단계의 출력을 상기 제2 선택 스위치 단계의 입력에 공급하는 처리 화상 재입력 경로와,
    상기 제2 선택 스위치 단계의 출력을 제1 특수 효과 장치에 공급하는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1 특수 효과 장치의 출력을 상기 제1 선택 스위치 단계로의 입력으로 하는 제1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의 조합에 기초한 제1 경로와, 상기 화상 합성 전환 단계로부터의 화상을 제2 특수 효과 장치에 공급하는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2 특수 효과 장치의 출력을 상기 화상 합성 단계에 공급하는 제2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의 조합에 기초한 제2 경로 중 어느 경로를 이용할지의 설정을 기억하는 종류 기억부를 사용하며,
    화상이 상기 제1 특수 효과 장치 및 상기 제2 특수 효과 장치 중 어느 하나를 경유하도록 지시를 조작 입력하는 경유 지시 단계와,
    상기 화상 합성 전환 단계에 대하여 입력 화상의 선택을 조작 입력하는 합성 전환 조작 입력 단계와,
    상기 경유 지시 단계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종류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지시의 대상이 상기 화상 처리 단계를 경유하는 화상이고 또한 설정이 상기 제1 경로이면 상기 제2 선택 스위치 단계에 있어서 상기 처리 화상 재입력 경로를 선택하여 상기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에 화상을 출력함과 함께 상기 제1 선택 스위치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 화상을 취득하여 상기 화상 합성 전환부로의 입력으로 하고, 상기 지시의 대상이 상기 화상 처리 단계를 경유하지 않은 화상이고 또한 설정이 상기 제1 경로이면 상기 제2 선택 스위치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택 스위치 단계에서 선택된 화상을 선택하여 상기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에 화상을 출력함과 함께 상기 제1 선택 스위치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 화상을 취득하여 상기 화상 합성 전환 단계로의 입력으로 하고, 설정이 상기 제2 경로이면 상기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화상 합성 전환 단계에 입력되어 있는 화상을 출력함과 함께 상기 제2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 화상을 취득하여 상기 화상 합성 단계에 입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합성 전환 조작 입력 단계로부터의 입력 화상 선택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종류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지시의 대상이 상기 화상 처리 단계를 경유하는 화상이고 또한 설정이 상기 제1 경로이면 상기 제1 선택 스위치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의 화상을 선택하고, 상기 지시의 대상이 상기 화상 처리 단계를 경유하지 않은 화상이고 또한 설정이 상기 제1 경로이면 상기 제2 선택 스위치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의 화상을 선택하고, 설정이 상기 제2 경로이면 상기 제1 선택 스위치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의 화상을 선택하는 할당 관리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 전환 방법.
  10. 입력된 복수의 화상에 대하여 선택한 화상을 출력하는 전환 처리를 행하는 제1 선택 스위치군과, 입력된 복수의 화상에 대하여 선택한 화상을 출력하는 전환 처리를 행하는 제2 선택 스위치군과, 상기 제1 선택 스위치군의 출력을 수신하는 화상 합성 수단과, 화상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선택 스위치군과 상기 화상 합성 수단과 상기 화상 처리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화상 합성 전환부에서 화상 합성 처리를 수반한 전환 처리를 수행하여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전환 장치로 하여금, 화상 전환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화상 전환 장치는, 상기 화상 처리부의 출력을 상기 제2 선택 스위치군의 입력에 공급하는 처리 화상 재입력 경로와,
    상기 제2 선택 스위치군의 출력을 제1 특수 효과 장치에 공급하는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1 특수 효과 장치의 출력을 상기 제1 선택 스위치군으로의 입력으로 하는 제1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의 조합에 기초한 제1 경로와, 상기 화상 합성 전환부로부터의 화상을 제2 특수 효과 장치에 공급하는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2 특수 효과 장치의 출력을 상기 화상 합성 수단에 공급하는 제2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의 조합에 기초한 제2 경로 중 어느 경로를 이용할지의 설정을 기억하는 종류 기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화상 전환 장치로 하여금,
    화상이 상기 제1 특수 효과 장치 및 상기 제2 특수 효과 장치 중 어느 하나를 경유하도록 지시를 조작 입력하는 경유 지시 수단으로부터의 지시 신호를 수신하는 경유 지시 수신 단계와,
    상기 화상 합성 전환부에 대하여 입력 화상의 선택을 조작 입력하는 합성 전환 조작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 화상 선택 지시 신호를 수신하는 합성 전환 조작 수신 단계와,
    상기 경유 지시 수신 단계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종류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지시의 대상이 상기 화상 처리부를 경유하는 화상이고 또한 설정이 상기 제1 경로이면 상기 제2 선택 스위치군에 있어서 상기 처리 화상 재입력 경로를 선택하여 상기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에 화상을 출력함과 함께 상기 제1 선택 스위치군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 화상을 취득하여 상기 화상 합성 전환부로의 입력으로 하고, 상기 지시의 대상이 상기 화상 처리부를 경유하지 않은 화상이고 또한 설정이 상기 제1 경로이면 상기 제2 선택 스위치군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택 스위치군에 의해 선택된 화상을 선택하여 상기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에 화상을 출력함과 함께 상기 제1 선택 스위치군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 화상을 취득하여 상기 화상 합성 전환부로의 입력으로 하고, 설정이 상기 제2 경로이면 상기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에 상기 화상 합성 전환부에 입력되어 있는 화상을 출력함과 함께 상기 제2 화상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 화상을 취득하여 상기 화상 합성 수단에 입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합성 전환 조작 수신 단계로부터의 입력 화상 선택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종류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지시의 대상이 상기 화상 처리부를 경유하는 화상이고 또한 설정이 상기 제1 경로이면 상기 제1 선택 스위치군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의 화상을 선택하고, 상기 지시의 대상이 상기 화상 처리부를 경유하지 않은 화상이고 또한 설정이 상기 제1 경로이면 상기 제2 선택 스위치군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의 화상을 선택하고, 설정이 상기 제2 경로이면 상기 제1 선택 스위치군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상 출력 인터페이스로의 화상을 선택하는 할당 관리 단계
    를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1. 삭제
  12. 삭제
KR1020050083990A 2004-09-09 2005-09-09 화상 전환 장치 및 화상 전환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11903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62852A JP4200957B2 (ja) 2004-09-09 2004-09-09 画像切り換え装置及び画像切り換え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JP-P-2004-00262852 2004-09-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137A KR20060051137A (ko) 2006-05-19
KR101190363B1 true KR101190363B1 (ko) 2012-10-11

Family

ID=35466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990A KR101190363B1 (ko) 2004-09-09 2005-09-09 화상 전환 장치 및 화상 전환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기록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25601B2 (ko)
EP (1) EP1635557A3 (ko)
JP (1) JP4200957B2 (ko)
KR (1) KR101190363B1 (ko)
CN (1) CN10044094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3038B2 (ja) * 2006-07-07 2012-08-1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切り替え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245020B2 (ja) * 2006-09-04 2009-03-25 ソニー株式会社 マトリックススイッチャ装置及びマトリックススイッチャ装置の制御方法
JP5011970B2 (ja) * 2006-11-10 2012-08-29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回路及び画像処理装置
EP2196020A1 (en) * 2007-08-30 2010-06-16 Thomson Licensing Generation of video transitions on an auxiliary bus using a video switcher
KR20090032702A (ko) * 2007-09-28 2009-04-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및 그 방법과 저작 장치 및 그 방법
US20090189978A1 (en) * 2008-01-29 2009-07-30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Medical support control system
JP2014075680A (ja) * 2012-10-03 2014-04-24 Sony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2765766A1 (en) * 2013-02-08 2014-08-13 PIXarithmic GmbH Hard key control panel for a video processing apparatus
JP6308106B2 (ja) * 2014-11-14 2018-04-1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622018B2 (en) * 2015-10-16 2020-04-14 Tribune Broadcasting Company, Llc Video-production system with metadata-based DVE fea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1280A (ja) * 2001-03-19 2002-09-27 Murata Mach Ltd 画像回転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153486A (ja) * 2002-10-30 2004-05-27 Sony Corp 画像切り換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2865A (en) * 1991-06-14 1993-11-16 Sony Electronics Inc. Virtual control apparatus for automating video editing stations
GB2293716B (en) * 1994-03-30 1998-10-07 Sony Corp Digital switcher
WO1997039574A1 (fr) * 1996-04-17 1997-10-23 Sony Corporation Commutateur de matrices
US6518978B1 (en) * 1998-05-29 2003-02-11 Hitachi, Ltd. Image-display edit processing method, image edi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H11355659A (ja) * 1998-06-05 1999-12-24 Toshiba Corp 方式切替式映像混合処理装置
US7020381B1 (en) * 1999-11-05 2006-03-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deo editing apparatus and editing method for combining a plurality of image data to generate a series of edited motion video image data
JP2002320140A (ja) * 2001-04-20 2002-10-31 Sony Corp 画像切り換え装置
JP4216049B2 (ja) * 2002-11-19 2009-01-28 興和株式会社 マルチシグナルマトリクススイッチャ
JP4144338B2 (ja) 2002-11-21 2008-09-03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4110528B2 (ja) * 2003-06-13 2008-07-02 ソニー株式会社 編集装置及び編集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1280A (ja) * 2001-03-19 2002-09-27 Murata Mach Ltd 画像回転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153486A (ja) * 2002-10-30 2004-05-27 Sony Corp 画像切り換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80908A (ja) 2006-03-23
CN1770826A (zh) 2006-05-10
CN100440943C (zh) 2008-12-03
US7525601B2 (en) 2009-04-28
EP1635557A3 (en) 2011-06-15
JP4200957B2 (ja) 2008-12-24
EP1635557A2 (en) 2006-03-15
KR20060051137A (ko) 2006-05-19
US20060050180A1 (en) 200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363B1 (ko) 화상 전환 장치 및 화상 전환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기록매체
AU601387B2 (en) Television receiver
KR100649907B1 (ko)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
US757353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device for the distribution and processing of video signals
JP2775124B2 (ja) ビデオ・スイッチャ
US20150189364A1 (en) Signal switc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US7420622B2 (en) Image switc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processing unit thereof
JPH07264478A (ja) 入出力信号切換装置
US7551235B2 (en) Image switc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processing unit thereof
US8508669B2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JP4345727B2 (ja) 信号加工装置及びその操作手段の機能の実行方法
US7034886B2 (en) Video production switcher with integrated aspect ratio converter
JP5003038B2 (ja) 画像切り替え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GB2207024A (en) Controlled switching circuit for combining video signals
US5170246A (en) Video processing system having improved synchronization
JP2002320140A (ja) 画像切り換え装置
JPH06217019A (ja) 多地点tv会議方式
JP2007325112A (ja) 映像特殊効果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9141517A (ja) 画像切り換え装置
JPH1127576A (ja) 信号切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07170453A (ja) 映像信号処理方法
JPH07170451A (ja) 映像信号処理方法
JPH01174079A (ja) 画像処理回路
JPH09238282A (ja) 画像合成装置
KR19980040716A (ko) 멀티 화면 텔레비젼 수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