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6173B1 - 도포막 전사구 - Google Patents

도포막 전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6173B1
KR101186173B1 KR1020100096835A KR20100096835A KR101186173B1 KR 101186173 B1 KR101186173 B1 KR 101186173B1 KR 1020100096835 A KR1020100096835 A KR 1020100096835A KR 20100096835 A KR20100096835 A KR 20100096835A KR 101186173 B1 KR101186173 B1 KR 101186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ill
main body
coating film
latching
film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8655A (ko
Inventor
야스오 나리타
Original Assignee
프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프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58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56Holders for erasers
    • B43L19/0068Hand-held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B65H37/005Hand-held apparatus
    • B65H37/007Applicators for applying coatings, e.g. correction, colour or adhesive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2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cutting, punching, piercing, severing or tearing
    • Y10T156/1348Work traversing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88Work traversing type and/or means applying work to wall or static structure
    • Y10T156/1795Implement carried web supply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Abstract

[과제] 리필의 교환이 용이한 소형의 도포막 전사구로서, 또한 본체에 장전한 리필에 요동이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는 일이 없이 안정된 도포막의 전사가 가능한 도포막 전사구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본 발명의 도포막 전사구는 기대 부재 및 기대 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딩 고정 부재를 구비하는 본체(3)와, 본체(3)에 착탈 가능하고 공급 보빈(53), 권취 보빈(55), 전사 헤드, 리필 케이스를 구비하는 리필(5)로 이루어지고, 리필(5)을 본체(3)에 고정하기 위한 리필 고정 기구를 구비하며, 리필(5)의 맞물림 돌기와 기대 부재(11)의 맞물림 오목부가 맞물려 슬라이딩 고정 부재와 리필(5)의 전단 근방이 래칭되고, 록킹 부재(31)의 후단 근방과 훅부(73)가 래칭됨으로써 리필(5)이 본체(3)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포막 전사구{APPLICATION-FILM TRANSFER TOOL}
본 발명은 전사 테이프를 교환 가능한 도포막 전사구에 관한 것이다.
수정 테이프나 풀 등의 도포막을 피전사면에 전사하는 도포막 전사구는 문구로서 빠질 수 없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도포막 전사구는 일반적으로 도포막과 기재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전사 테이프와, 미사용의 전사 테이프가 권취 장착된 공급 보빈과, 사용이 끝난 전사 테이프(기재 테이프)를 권취하는 권취 보빈과, 전사 테이프를 종이 등에 압접시키기 위한 전사 헤드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포막 전사구는 전사 헤드를 종이 등의 전사 대상 상에 압접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딩시키면 도포막이 전사 대상에 감압 전사되는 것이다.
도포막 전사구로서는 종래 일회용 타입의 것이 많이 보였지만, 근래에는 에콜러지(ecology)의 관점에서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또는 경제적인 관점에서도 전사 테이프를 보급 또는 교환할 수 있는 타입의 것이 주류가 되고 있다. 전사 테이프를 보급 또는 교환할 수 있는 타입의 도포막 전사구로서는, 공급 보빈 및 권취 보빈을 연동시키기 위한 축이나 기어 등을 구비한 본체에 전사 테이프가 권취 장착된 공급 보빈과, 권취 보빈과, 전사 헤드가 일체로 되어 형성된 리필(refill)을 장전하는 타입의 것이 있다.
이러한 도포막 전사구에서는 리필의 공급 보빈 및 권취 보빈을 본체가 구비하는 축에 축착시킴으로써 리필을 본체 내에서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포막 전사구에서는 회전하는 각 보빈과 축 사이에 요동이 발생하여 버리는 것이나, 리필에 위치 어긋남, 즉 본체 내부에서 리필이 이동하여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일본 특허 공개 2001-96985호 공보(특허문헌 1)에서는, 본체(도포구 본체)의 내연에 복수의 래칭용 수용부(래칭 오목홈)를 형성함과 아울러, 리필(카트리지체)의 외연에 래칭용 볼록부(래칭 돌출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이 수용부와 볼록부를 래칭시킴으로써 리필을 본체에 고정하는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원 출원인은 리필 교환을 위해서 본체가 분할되면 전사 헤드가 전사 테이프 교환 위치까지 자동적으로 회전하고, 리필을 교환한 후에 분할된 본체를 폐쇄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전사 헤드 선단부까지 테이프가 권회되어서 전사 작업이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된 도포막 전사구에 대한 제안을 하고 있다(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1-9698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3-103994호 공보
특허문헌 1의 도포막 전사구는 본체의 수용부와 리필의 볼록부를 래칭시킴으로써 리필의 유지력이 높아진다. 따라서, 이 도포막 전사구는 각 보빈을 본체에 축착시킴으로써 리필을 유지하고 있는 도포막 전사구와 비교하여 요동이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체에 리필을 장전하는 방향인 상하 방향에 관해서는 본체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사이에 리필이 배치되어 있을 뿐의 구성이므로, 상하 방향으로 요동이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도포막 전사구에서는 리필을 본체에 장전하는 경우에 상부 케이스를 하부 케이스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어, 리필을 교환하는데에 시간을 요한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특허문헌 2의 도포막 전사구는 리필을 분할한 본체인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에 의해서 끼워짐으로써 리필을 용이하게 본체에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 도포막 전사구는 제 1 케이스(리필을 후방으로부터 끼워넣는 파지부)를 사용자가 손가락 끝으로 용이하게 잡고서 슬라이킹시킬 수 있도록, 또한 본체를 폐쇄하였을 때에 상기 도포막 전사구를 펜처럼 해서 파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도포막 전사구는 펜처럼 하여 파지할 수 있는 형상에 적합되어 있어도, 리필 후방으로 소정 크기의 파지부(제 1 케이스)를 구비할 필요가 있어 도포막 전사구의 전체 길이가 어느 정도의 크기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리필의 교환이 용이한 소형의 도포막 전사구로서, 또한 본체에 장전된 리필에 요동이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는 일 없이 안정된 도포막의 전사가 가능한 도포막 전사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본체와, 그 본체에 착탈 가능한 리필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공급 보빈 및 권취 보빈을 연동시키는 동력 전달 기구를 구비한 기대 부재와, 상기 기대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리필의 전단(前端)을 유지하는 슬라이딩 고정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리필은 전사 테이프가 권취 장착된 공급 보빈과, 사용이 끝난 전사 테이프를 권취하는 권취 보빈과, 전단에 전사 헤드를 구비한 리필 케이스로 구성되어서 이루어지는 도포막 전사구에 있어서, 상기 도포막 전사구는 상기 리필을 상기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리필 고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리필 고정 기구는 상기 리필 케이스의 상기 본체에 장전되는 측의 면에 형성된 복수의 맞물림 돌기 및 복수의 훅부와, 상기 기대 부재에 형성된 맞물림 오목부와, 상기 기대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록킹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고정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리필의 맞물림 돌기와 상기 기대 부재의 맞물림 오목부가 맞물리고, 또한 상기 슬라이딩 고정 부재와 상기 리필의 전단 근방이 래칭되며, 또한 록킹 부재와 상기 훅부가 래칭됨으로써 상기 리필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도포막 전사구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돌기는 상기 리필 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본체에 적재되는 측에 위치하는 면의 후단 근방이며 양측단 근방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훅부는 상기 맞물림 돌기의 근방이며 상기 맞물림 돌기의 내측에 형성되며, 후방에 위치하는 후면판과, 후면판의 내측단변으로부터 전방으로 수직으로 형성된 내측면판과, 상기 후면판 및 내측면판의 하단변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된 하단면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록킹 부재는 평행하게 배치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래칭 봉과, 상기 2개의 래칭 봉을 후단 근방에서 연결하는 연결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고정 부재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래칭 봉의 전단 부분이 상기 슬라이딩 고정 부재의 후단 부분과 접촉하고, 상기 록킹 부재가 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훅부의 내측에 상기 래칭 봉의 후단이 들어감으로써 상기 리필의 후단이 상기 본체에 래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도포막 전사구에 있어서, 상기 록킹 부재의 연결 부재는 후단에 탄성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기대 부재가 구비하는 배면판과 상기 탄성부가 맞물림으로써 상기 록킹 부재가 전방으로 바이어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도포막 전사구는 리필에 복수의 맞물림 돌기 및 복수의 훅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에는 리필의 맞물림 돌기가 맞물리는 맞물림 오목부와, 리필의 훅부가 래칭되는 록킹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도포막 전사구에서는 본체에 리필을 장전하는 경우에 맞물림 돌기와 맞물림 오목부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리필의 위치결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포막 전사구에서는 훅부와 록킹 부재를 래칭시킴으로써 리필이 분리되는 것이나 사용시에 요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잇다.
또한, 상술의 훅부는 리필 케이스에 있어서의 본체에 적재되는 면의 후단 근방에 형성되어 있고, 록킹 부재에 의해 리필의 후단 부분을 래칭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리필의 전방은 슬라이딩 고정 부재에 의해 유지되고, 후방은 록킹 부재에 의해 래칭되기 때문에 리필을 본체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포막 전사구에서는 록킹 부재가 후단에 탄성부를 구비하고, 기대 부재가 구비하는 배면판과 이 탄성부가 맞물림으로써 록킹 부재가 전방으로 바이어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도포막 전사구는 슬라이딩 고정 부재가 전방으로 슬라이딩하면 자동으로 훅부와 록킹 부재의 래칭 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리필을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리필의 교환이 용이한 소형의 도포막 전사구이며, 또한 본체에 장전된 리필에 요동이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는 일없이 안정된 도포막의 전사가 가능한 도포막 전사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포막 전사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포막 전사구의 본체와 리필을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포막 전사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포막 전사구가 구비하는 기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포막 전사구가 구비하는 슬라이딩 고정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포막 전사구가 구비하는 록킹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포막 전사구의 본체에 있어서의 슬라이딩 고정 부재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포막 전사구의 본체에 있어서의 슬라이딩 고정 부재가 폐쇄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포막 전사구를 본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포막 전사구가 구비하는 리필을 본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포막 전사구가 구비하는 커버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포막 전사구의 일부 파단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포막 전사구의 일부 파단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포막 전사구의 일부 파단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의한 도포막 전사구(1)는 본체(3)와, 본체(3)에 착탈 가능한 리필(5)을 구비한다. 이 본체(3)는 공급 보빈(53) 및 권취 보빈(55)을 연동시키는 동력 전달 기구를 구비한 기대 부재(11)와, 기대 부재(11)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리필(5)을 유지하는 슬라이딩 고정 부재(1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리필(5)은 전단에 전사 헤드(7)를 구비하는 리필 케이스와, 이 리필 케이스에 수납되는 공급 보빈(53) 및 권취 보빈(55)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공급 보빈(53)은 전사 테이프(51)가 권취 장착되어서 미사용의 전사 테이프(51)를 공급하는 것이며, 권취 보빈(55)은 사용이 끝난 전사 테이프(51), 즉 기재 테이프를 권취하는 것이다.
또한, 도포막 전사구(1)는 리필(5)을 본체(3)에 고정하기 위한 리필 고정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리필 고정 기구는 리필 케이스의 본체(3)에 장전되는 측 면에 형성된 복수의 맞물림 돌기(72) 및 복수의 훅부(73)와, 본체(3)의 기대 부재(11)에 형성된 맞물림 오목부(23d)와, 슬라이딩 고정 부재(13)와, 기재 부재(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록킹 부재(31)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리필(5)은 맞물림 돌기(72)가 기대 부재(11)의 맞물림 오목부(23d)에 맞물리도록 기대 부재(11) 상에 적재되며, 슬라이딩 고정 부재(13)에 의해 리필(5)의 전단 근방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리필(5)은 록킹 부재(31)의 후단 근방과 훅부(73)가 래칭됨으로써 본체(3)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리필(5)의 맞물림 돌기(72)는 리필 케이스의 하면 후단 근방에 있어서의 양측단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훅부(73)는 맞물림 돌기(72)의 근방이며 맞물림 돌기(72)의 내측에 형성되고, 후방에 위치하는 후면판(73a)과, 후면판(73a)의 내측단변으로부터 전방으로 수직으로 형성된 내측면판(73b)과, 후면판(73a) 및 내측면판(73b)의 하단변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된 하단면판(73c)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록킹 부재(31)는 평행하게 배치된 전후 방향으로 긴 2개의 래칭 봉(32)과, 2개의 래칭 봉(32)을 후단 근방에서 연결하는 연결 부재(3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포막 전사구(1)에서는 슬라이딩 고정 부재(13)가 후방으로 슬라이딩하면 래칭 봉(32)의 전단 부분이 슬라이딩 고정 부재(13)의 후단 부분과 접촉하여 록킹 부재(31)가 슬라이딩 고정 부재(13)에 의해 후방으로 바이어싱되어서 후방으로 슬라이딩하고, 훅부(73)의 내부에 래칭 봉(32)의 후단이 들어감으로써 리필(5)의 후단이 본체(3)에 래칭된다.
또한, 록킹 부재(31)의 연결 부재(33)는 후단에 탄성부(33d)를 구비하고 있고, 기대 부재(11)가 구비하는 배면판(21)과 탄성부(33d)가 맞물림으로써 록킹 부재(31)가 전방으로 바이어싱되어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도포막 전사구(1)에 관해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도포막 전사구(1)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2는 리필(5)과 본체(3)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도 1에 있어서의 도포막 전사구(1)의 전사 헤드(7)가 위치하는 방향을 전방, 본체(3)의 기대 부재(11)가 위치하는 방향을 후방, 리필(5)이 위치하는 방향을 상방, 본체(3)가 위치하는 방향을 하방으로 하고,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횡방향으로 서술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포막 전사구(1)는 전사 헤드(7)를 종이 등의 전사 대상 상에 압접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기재 테이프에 도포막이 맞물려서 이루어지는 전사 테이프(51)의 상기 도포막을 전사 대상 상에 감압 전사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 도포막 전사구(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에 위치하는 본체(3)와, 이 본체(3)에 착탈 가능한 리필(5)과, 전사 헤드(7)를 유지하는 캡(9)을 구비한다. 또한, 본체(3)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에 위치하는 기대 부재(11)와, 기대 부재(11)에 대하여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딩 고정 부재(13)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도포막 전사구(1)는 기대 부재(11)에 대하여 슬라이딩 고정 부재(13)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킨 상태에서 리필(5)을 상방으로부터 기대 부재(11) 상에 적재하고, 그 후에 기대 부재(11)에 대하여 슬라이딩 고정 부재(13)를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리필(5)을 본체(3)에 장전할 수 있는, 리필(5)을 교환 가능한 도포막 전사구(1)이다.
이하, 본 실시예의 도포막 전사구(1)를 구성하는 각 부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포막 전사구(1)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체(3)는 기대 부재(11) 및 슬라이딩 고정 부재(13)와, 리필(5)의 공급 보빈(53) 및 권취 보빈(55)을 연동시키기 위한 동력 전달 기구인 공급측 기어(26), 2매의 평기어(27), 권취측 기어(28), 클러치 부재(29)와, 리필(5)을 유지하는 리필 고정 기구로서의 록킹 부재(31)와, 슬라이딩 고정 부재(13)를 래칭하는 래칭 부재(35)를 구비한다.
본체(3)의 기대 부재(1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에 위치하는 기부(15)와, 기부(15)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슬라이딩 유지판(17)을 구비한다.
기부(15)는 동력 전달 기구가 배치되는 부위이며, 후단에 위치하는 타원형상의 배면판(21)과, 배면판(21)의 하방 원주 상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곡면형상의 리필 적재판(23)과, 리필 적재판(23)의 전단 양측 부분에 형성된 전면판(25)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리필 적재판(23)의 내면, 즉 리필 적재판(23) 상면의 전단 근방에는 공급측 축(23a)이 리필 적재판(23)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고, 이 공급측 축(23a)에 도 3에 나타낸 공급측 기어(25) 및 클러치 부재(29)가 축장착된다. 또한, 리필 적재판(23)의 내면에 있어서의 후단 근방에는 권취측 축(23b)이 리필 적재판(23)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고, 이 권취측 축(23b)에 도 3에 나타낸 권취측 기어(28)가 축장착된다. 또한, 리필 적재판(23)의 내면에 있어서의 공급측 축(23a)과 권취측 축(23b) 사이에는 2개의 평기어용 축(23c)이 리필 적재판(23)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고, 이 평기어용 축(23c)에 도 3에 나타낸 2매의 평기어(27)가 축장착된다.
또한, 리필 적재판(23)의 내면 후단 근방이며 양측 부분에는 맞물림 오목부(23d)가 형성되어 있다. 이 맞물림 오목부(23d)는 리필(5)을 본체(3)에 장전한 경우에 후술하는 리필(5)의 맞물림 돌기(72)가 맞물리는 부위이다. 또한, 이 맞물림 오목부(23d)의 전방 근방에는 개구로 된 후방 삽입부(23e)가 형성되고, 이 후방 삽입부(23e)에 후술하는 록킹 부재(31)의 후단이 삽입된다.
또한, 전면판(25)과 리필 적재판(23)의 경계 부분에는 개구로 되는 전방 삽입부(25a)가 형성되고, 이 전방 삽입부(25a)에 록킹 부재(31)의 전단이 삽입된다. 이 전방 삽입부(25a)와 후방 삽입부(23e)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직선 상에 위치하고, 개구가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필 적재판(23)의 내면에 있어서의 전방 삽입부(25a)와 후방 삽입부(23e) 사이에는 록킹 부재(31)의 슬라이딩을 보조하는 슬라이딩 홈(23f)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필 적재판(23)의 내면에 있어서의 공급측 축(23a)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직사각형상의 홈(23g)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래칭 부재(35)가 이 직사각형상의 홈(23g)에 배치된다. 또한, 이 직사각형상의 홈(23g)의 후단에는 후벽(23h)이 형성되고, 직사각형상의 홈(23g)의 전단에는 개구로서의 관통부(23i)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관통부(23i)에 래칭 부재(35)의 선단 부분이 삽입된다.
슬라이딩 유지판(17)은 리필 적재판(23)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이며, 도 3에 나타낸 슬라이딩 고정 부재(13)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슬라이딩 유지판(17)의 하면 전단에는 탈착 방지 돌기(17b)가 형성되고, 슬라이딩 고정 부재(13)가 장착되었을 때에 슬라이딩 고정 부재(13)의 탈락을 방지하고 있다.
슬라이딩 고정 부재(13)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단에 위치하여 전후가 개구로 된 대략 원통형상의 리필 유지부(19)와, 리필 유지부(19)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부(20)를 구비한다. 리필 유지부(19)는 전방을 향해서 약간 선단이 가늘게 형성되어 있고, 전단 부분에는 캡(9)이 부착되는 캡 부착부(19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리필 유지부(19)는 리필(5)이 본체(3)에 장전된 경우에 전사 헤드(7)가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리필(5)의 전단 근방을 유지한다.
또한, 슬라이딩부(20)는 리필 유지부(19)의 하방에 위치하는 원주 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곡면판(41)과, 이 곡면판(41)의 양측 가장자리부 근방으로부터 안쪽을 향해서 형성된 2매의 평판(43)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평판(43)은 곡면판(41)의 후단 근방으로부터 리필 유지부(19)의 내면 전단까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곡면판(41)과 평판(43) 사이에는 도 4에 나타낸 기대 부재(11)의 슬라이딩 유지판(17)이 삽입되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곡면판(41)의 중앙 후단 근방에는 래칭 부재(35)에 의해서 래칭되는 래칭 개구(41a)가 형성되고, 이 래칭 개구(41a)의 전방 근방에는 슬라이딩 유지판(17)의 탈착 방지 돌기(17b)와 래칭되는 탈작 방지 돌기(41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20)의 후단면에 있어서의 곡면판(41)과 평판(43)의 코너부 근방에는 압접 돌기(4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압접 돌기(45)는 록킹 부재(31)의 전단에 접촉하여 록킹 부재(31)를 후방으로 밀어넣기 위한 부위이다.
그리고, 슬라이딩 고정 부재(13)는 곡면판(41)과 평판(43) 사이의 간극에, 도 4에 나타낸 기대 부재(11)의 슬라이딩 유지판(17)이 삽입되고, 슬라이딩 유지판(17)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에서 기대 부재(11)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딩 고정 부재(13)가 최전단까지 슬라이딩한 경우, 슬라이딩 유지판(17)의 탈착 방지 돌기(17b)와 슬라이딩 고정 부재(13)의 탈작 방지 돌기(41b)가 래칭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고정 부재(13)가 슬라이딩 유지판(17)으로부터 분리되는 일은 없다.
록킹 부재(31)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행하게 배치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래칭 봉(32)과, 2개의 래칭 봉(32)을 후단 근방에서 연결하는 연결 부재(33)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결 부재(33)는 래칭 봉(32)의 후단 근방으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수직으로 연장된 직선부(33a)와, 직선부(33a)의 내측 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만곡시켜서 형성된 만곡부(33b)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연결 부재(33)는 만곡부(33b)의 후단 근방의 내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서 좌우의 만곡부(33b)의 후단 부분을 연결하는 원호상의 연결부(33c)를 구비하고, 만곡부(33b)의 후단에는 봉재가 말단확장으로 연장되어서 이루어지는 탄성부(33d)를 구비하고 있다.
이 록킹 부재(31)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칭 봉(32)의 전단이 기대 부재(11)의 전방 삽입부(25a)의 개구에 삽입되고, 또한 래칭 봉(32)의 후단이 기대 부재(11)의 후방 삽입부(23e)의 개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기대 부재(11)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록킹 부재(31)는 탄성부(33d)가 기대 부재(11)의 배면판(21)에 맞물림으로써 전방으로 바이어싱되어 있고, 슬라이딩 고정 부재(13)의 압접 돌기(45)와 래칭 봉(32)의 전단이 접촉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래칭 봉(32)의 전단 부분이 기대 부재(11)의 전면판(25)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고정 부재(14)가 후방으로 슬라이딩하였을 경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칭 봉(32)의 전단이 슬라아딩 고정 부재(13)의 압접 돌기(45)와 접촉하고, 록킹 부재(31)는 슬라이딩 고정 부재(13)에 바이어싱되어서 후방으로 슬라이딩한다. 이 때, 록킹 부재(31)의 탄성부(33d)는 기대 부재(11)의 배면판(21)에 압접되어서 만곡한다. 또한, 이 록킹 부재(31)는 리필(5)을 본체(3)에 고정하기 위해서 중요한 부재가 되지만, 리필(5)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래칭 부재(35)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이 개방된 ㄷ자 형상의 프레임부(35a)와, 프레임부(35a)의 전단에 연결된 대략 직사각형상의 조작부(35b)와, 조작부(35b)의 상면 전단 근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래칭부(35c)와, 래칭부(35c)의 전단으로부터 전방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탄성부(35d)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래칭부(35c)의 하면 전단 부분에는 슬라이딩 고정 부재(13)의 래칭 개구(41a)와 래칭하는 래칭 돌기(35e)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래칭 부재(35)는 프레임부(35a)의 내측에 도 4에 나타낸 기대 부재(11)의 공급측 축(23a)이 삽입된 상태로 직사각형상의 홈(23g)에 배치되고, 조작부(35b)보다 전방은 기대 부재(11)의 관통부(23i)로부터 슬라이딩 유지판(17)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딩 고정 부재(13)를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킨 경우, 슬라이딩 고정 부재(13)를 구성하는 곡면판(41)의 상면과 도 4에 나타낸 기대 부재(11)를 구성하는 슬라이딩 유지판(17)의 하면 사이에, 도 3에 나타낸 래칭 부재(35)의 래칭부(35c) 및 탄성부(35d)가 들어간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칭부(35c)의 전단에 형성된 래칭 돌기(35e)가 슬라이딩 고정 부재(13)의 래칭 개구(41a)와 래칭한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딩 고정 부재(13)는 기대 부재(11)와 근접한 상태, 또한 록킹 부재(31)를 후방으로 밀어넣은 상태에서 래칭 부재(35)에 의해 래칭되게 된다.
또한, 슬라이딩 고정 부재(13)가 래칭 부재(35)에 래칭되어 있을 때에 래칭 부재(35)의 조작부(35b)가 압박된 경우, 래칭부(35c)의 전단에 형성된 래칭 돌기(35e)와 슬라이딩 고정 부재(13)의 래칭 개구(41a)의 래칭 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슬라이딩 고정 부재(13)는 록킹 부재(31)에 의해 전방으로 바이어싱되어서 전방으로 약간 슬라이딩하고,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한 자유 상태가 된다.
공급측 기어(26)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면에 톱니를 구비한 원판형상이며, 상면 부분에는 클러치 부재(29)가 배치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공급측 기어(26)는 기대 부재(11)의 공급측 축(23a)에 삽입되어 있다.
클러치 부재(29)는 원통과, 원통의 하단 근방의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암과, 암의 상방이며 원통의 측면에 형성된 공급 보빈(53)과 맞물리는 돌기를 구비한 형상이다. 그리고, 클러치 부재(29)는 공급측 기어(26)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복수의 암이 맞물리고, 공급측 기어(26)와의 사이에서 공전 가능한 상태로 기대 부재(11)의 공급측 축(23a)에 축지지되어 있다.
권취측 기어(28)는 원통과, 이 원통의 하단에 형성된 원판과, 도시하지 않지만 원판의 하방에 형성된 기어로 이루어지고, 원통의 측면에는 권취 보빈(55)과 맞물리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권취측 기어(28)는 기대 부재(11)의 권취측 축(23b)에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권취측 기어(28)의 원통 부분의 외경은 클러치 부재(29)의 원통 부분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2매의 평기어(27)는 기대 부재(11)의 평기어용 축(23c)에 축지지되어 있고, 공급측 기어(26)와 권취측 기어(28)를 연동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도포막 전사구(1)는 리필(5)의 공급 보빈(53)이 회전하면 클러치 부재(29)가 함께 회전하고, 클러치 부재(29)와의 마찰력에 의해 공급측 기어(26)가 회전하고, 이것에 연동하여 평기어(27)를 통해서 권취측 기어(2)가 회전하여 리필(5)의 권취 보빈(55)이 회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어서, 리필(5)에 대해서 서술한다. 리필(5)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단에 전사 헤드(7)를 구비하는 리필 케이스와, 이 리필 케이스에 수납되는 공급 보빈(53) 및 권취 보빈(55)으로 구성된다. 또한, 리필 케이스는 적재측 케이스(61)와, 전사 헤드(7)를 전단에 구비한 커버 케이스(63)로 구성된다.
적재측 케이스(61)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 즉 본체(3)에 적재되는 측에 위치하는 적재면판(71)과, 적재면판(71)의 양측변으로부터 수직으로 기립되는 측벽(75)을 구비한다. 이 적재면판(71)은 후단 근방에 권취 보빈(55)이 배치되는 원형의 권취 보빈 적재부(71a)를 구비하고, 권취 보빈 적재부(71a)의 전방에 공급 보빈(53)이 배치되는 원형의 공급 보빈 적재부(71b)를 구비한다. 또한, 측벽(75)의 전단 근방에는 슬라이딩 고정 부재(13)의 리필 유지부(19) 내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삽입끼움부(6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적재면판(71)의 하면, 즉 본체(3)에 적재되는 측 면의 후단 근방에 있어서의 양측단 근방에는 원기둥 형상의 맞물림 돌기(72)가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맞물림 돌기(72)는 리필(5)을 본체(3)에 적재하는 경우, 기대 부재(11)의 맞물림 오목부(23d)(도 4 참조)에 맞물리는 부위이다.
또한, 맞물림 돌기(72)의 내측 근방에는 록킹 부재(31)에 래칭되는 훅부(73)가 형성되어 있다. 이 훅부(73)는 후방에 위치하는 후면판(73a)과, 후면판(73a)의 내측단변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수직으로 형성된 내측면판(73b)과, 후면판(73a) 및 내측면판(73b)의 하단변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결된 하단면판(73c)의 3면으로 구성된다.
커버 케이스(63)는 적재측 케이스(61)에 감합됨으로써 공급 보빈(53)이나 권취 보빈(55)을 밀봉하는 것이고,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에 위치하는 케이스 본체부(65)와, 케이스 본체부(65)의 전단에 위치하여 슬라이딩 고정 부재(13)의 리필 유지부(19) 내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삽입끼움부(66)와, 삽입끼움부(66)의 전단에 위치하는 전사 헤드(7)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부(65)는 후단 근방의 내면에 2개의 지지축(65a)을 구비한다. 이 지지축(65a)은 커버 케이스(63)를 적재측 케이스(61)에 감합한 경우에 공급 보빈(53)이나 권취 보빈(55)의 위치결정을 행하기 위한, 및 공급 보빈(53)이나 권취 보빈(55)이 상하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위이다.
전사 헤드(7)는 삽입끼움부(66)가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선단부에 샤프트(68)와 튜브(69)가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사 헤드(7)에는 전사 테이프(51)가 걸쳐서 설치되어 있고, 전사 헤드(7)를 전사 대상에 압착시키면서 움직임으로써 도포막을 전사 대상에 전사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커버 케이스(63)는 지지축(65a)이 공급 보빈(53) 및 권취 보빈(55)의 원통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적재측 케이스(61)와 감합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사 테이프(51)가 공급 보빈(53)으로부터 커버 케이스(63)의 전단에 위치하는 전사 헤드(7)를 통해서 권취 보빈(55)에 연결되어 있다.
이어서, 리필 고정 기구 및 리필(5)을 본체에 장전하는 방법에 대해서 서술한다. 리필 고정 기구는 리필 케이스에 형성된 맞물림 돌기(72) 및 훅부(73)와, 기대 부재(11)에 형성된 맞물림 오목부(2d)와, 록킹 부재(31)와, 슬라이딩 고정 부재(13)로 구성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딩 고정 부재(13)가 최전단 부분까지 개방되어 있는 상태일 때에 리필(5)은 본체(3)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일없이, 즉 전사 헤드(7)의 부분을 하방으로 기울여 슬라이딩 고정 부재(13)의 리필 유지부(19) 내에 삽입하고, 그 후, 리필(5)의 후단을 기대 부재(11) 상에 적재하는 등의 단계를 요하는 일 없이, 상방으로부터 곧바로 본체(3) 상에 적재할 수 있다.
또한, 리필(5)을 본체(3)에 적재하는 경우,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필(5)의 맞물림 돌기(72)와 본체(3)의 맞물림 오목부(23d)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위치결정을 행한다. 또한, 본체(3)에 리필(5)을 적재한 경우, 공급 보빈(53)이 클러치 부재(29)의 원통 부분(도 7 참조)에 축착되고, 권취 보빈(55)이 권취측 기어(28)의 원통 부분에 축착된다.
이와 같이 리필(5)을 본체(3) 상에 적재했을 경우, 리필(5)의 양측에 위치하는 맞물림 돌기(72)가 본체(3)의 양측에 위치하는 맞물림 오목부(23d)에 맞물리기 때문에 리필(5)의 전후 방향 및 횡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이 때,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킹 부재(31)는 전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리필(5)의 훅부(73)와 록킹 부재(31)의 래칭 봉(32) 후단이 래칭되어 있지 않고, 리필(5)은 상방으로 탈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리필(5)을 본체(3)에 장전한 후,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딩 고정 부재(13)를 후방으로 슬라이딩시켜서 패쇄한 경우, 슬라이딩 고정 부재(13)의 리필 유지부(19)(도 5 참조)의 내부에 리필(5)의 선단에 위치하는 삽입끼움부(66)(도 10 참조)가 들어간다. 따라서, 리필(5)의 전단 부분은 슬라이딩 고정 부재(13)에 의해서 래칭된다.
또한, 리필(5)의 후방에 관해서도 슬라이딩 고정 부재(13)가 후방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킹 부재(31)가 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래칭 봉(32)의 후단이 훅부(73)와 래칭된다. 이것에 의해, 리필(5)은 상방으로의 움직임이 규제되게 된다. 따라서, 본체(3)에 고정된 리필(5)에 상방으로 끌어올리는 힘을 가했다고 해도, 훅부(73)의 하단면판(73c)과 래칭 봉(32)의 후단 근방이 래칭되어 리필(5)의 후단이 상방으로 탈착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리필(5)는 본체(3)에 강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본 실시예의 도포막 전사구(1)에 있어서의 리필 고정 기구는 리필(5)의 적재측 케이스(61)의 하면에 형성된 복수의 맞물림 돌기(72) 및 복수의 훅부(73)와, 본체(3)의 기대 부재(11)에 형성된 맞물림 오목부(23d)와, 슬라이딩 고정 부재(13)와, 기대 부재(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록킹 부재(31)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도포막 전사구(1)는 본체(3)에 리필(5)을 적재하는 경우, 맞물림 돌기(72)와 맞물림 오목부(23d)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리필(5)의 위치결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도포막 전사구(1)는 리필(5)이 기대 부재(11) 상에 적재되어 있을 때에 슬라이딩 고정 부재(13)를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리필(5)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도포막 전사구(1)는 슬라이딩 고정 부재(13)를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면 훅부(73)와 록킹 부재(31)가 래칭되기 때문에 리필(5)을 보다 강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리필(5)이 본체(3)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나, 사용시에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도포막 전사구(1)에 있어서 맞물림 돌기(72) 및 훅부(73)는 적재측 케이스(61)의 하면 후단 근방에 형성되어 있고, 리필(5)은 록킹 부재(31)에 의해서 후단 부분이 래칭되게 된다. 따라서, 리필(5)은 전방이 슬라이딩 고정 부재(13)에 의해 유지되고, 후방이 록킹 부재(31)에 의해 래칭되게 되어 본체(3)에 확실하게 고정되게 된다. 즉, 록킹 부재(31)와 훅(73)의 래칭 부분이 없는 경우, 리필(5)은 본체(3)의 슬라이딩 고정 부재(13)에 의해서만 유지되게 되어, 리필(5)의 후방으로 상하 방향으로 강한 힘이 가해졌을 경우에는 리필(5)이 탈착될 우려가 있지만, 록킹 부재(31)와 훅부(73)가 래칭됨으로써 리필(5)이 탈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도포막 전사구(1)에 있어서, 록킹 부재(31)는 후단에 탄성부(33d)를 구비하고 있고, 기대 부재(11)의 배면판(21)과 이 탄성부(33d)가 맞물려 있다. 이것에 의해, 록킹 부재(31)는 전방으로 바이어싱되기 때문에 슬라이딩 고정 부재(13)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자동으로 훅부(73)와 록킹 부재(31)의 래칭 상태가 해제되어 리필(5)을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고정 부재(13)와 기대 부재(11)는 래칭 부재(35)에 의해 래칭되어 있지만, 래칭 부재(35)의 조작부(35b)를 압박하면 슬라이딩 고정 부재(13)의 래칭 개구(41a)와 래칭 부재(35)의 래칭 돌기(35e)의 래칭 상태가 해제되어, 슬라이딩 고정 부재(13)가 록킹 부재(31)에 의해서 전방으로 바이어싱되어서 전방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고정 부재(13)와 기대 부재(11)의 래칭 상태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리필(5)의 교환이 용이한 소형의 도포막 전사구(1)로서, 또한 본체(3)에 장전한 리필(5)에 흔들림이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이 안정된 도포막의 전사가 가능한 폐기 쓰레기가 적은 도포막 전사구(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자유롭게 변경, 개량이 가능하다.
1 : 도포막 전사구 3 : 본체
5 : 리필 7 : 전사 헤드
9 : 캡 11 : 기대 부재
13 : 슬라이딩 고정 부재 15 : 기부
17 : 슬라이딩 유지판 17b : 탈착 방지 돌기
19 : 리필 유지부 19a : 캡 부착부
20 : 슬라이딩부 21 : 배면판
23 : 리필 적재판 23a : 공급측 축
23b : 권취측 축 23c : 평기어용 축
23d : 맞물림 오목부 23e : 후방 삽입부
23f : 슬라이딩 홈 23g : 직사각형상의 홈
23h : 후벽 23i : 관통부
25 : 배면판 25a : 전방 삽입부
26 : 공급측 기어 27 : 평기어
28 : 권취측 기어 29 : 클러치 부재
31 : 록킹 부재 32 : 래칭 봉
33 : 연결 부재 33a : 직선부
33b : 만곡부 33c : 연결부
33d : 탄성부 35 : 래칭 부재
35a : 프레임부 35b : 조작부
35c : 래칭부 35d : 탄성부
35e : 래칭 돌기 41 : 곡면판
41a : 래칭 개구 41b : 탈착 방지 돌기
43 : 평판 45 : 압접 돌기
51 : 전사 테이프 53 : 공급 보빈
55: 권취 보빈 61 : 적재측 케이스
63 : 커버 케이스 65 : 케이스 본체부
65a : 지지축 66 : 삽입끼움부
68 : 샤프트 69 : 튜브
71 : 적재면판 71a : 권취 보빈 적재부
71b : 공급 보빈 적재부 72 : 맞물림 돌기
73 : 훅부 73a : 후면판
73b : 내측면판 73c : 하단면판
75 : 측벽

Claims (3)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한 리필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공급 보빈 및 권취 보빈을 연동시키는 동력 전달 기구를 구비한 기대 부재와, 상기 기대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리필의 전단을 유지하는 슬라이딩 고정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리필은 전사 테이프가 권취 장착된 공급 보빈과, 사용이 끝난 전사 테이프를 권취하는 권취 보빈과, 전단에 전사 헤드를 구비한 리필 케이스로 구성되어서 이루어지는 도포막 전사구에 있어서:
    상기 리필을 상기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리필 고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리필 고정 기구는,
    상기 리필 케이스의 상기 본체에 장전되는 측의 면에 형성된 복수의 맞물림 돌기 및 복수의 훅부,
    상기 기대 부재에 형성된 맞물림 오목부,
    상기 기대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록킹 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 고정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리필의 맞물림 돌기와 상기 기대 부재의 맞물림 오목부가 맞물리고, 또한 상기 슬라이딩 고정 부재와 상기 리필의 전단 근방이 래칭되며, 또한 상기 록킹 부재와 상기 훅부가 래칭됨으로써 상기 리필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 전사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돌기는 상기 리필 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본체에 적재되는 측에 위치하는 면의 후단 근방이며 양측단 근방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훅부는 상기 맞물림 돌기의 근방이며 상기 맞물림 돌기의 내측에 형성되며, 후방에 위치하는 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내측단변으로부터 전방으로 수직으로 형성된 내측면판과, 상기 후면판 및 내측면판의 하단변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된 하단면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록킹 부재는 평행하게 배치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래칭 봉과, 상기 2개의 래칭 봉을 후단 근방에서 연결하는 연결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고정 부재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래칭 봉의 전단 부분이 상기 슬라이딩 고정 부재의 후단 부분과 접촉하고, 상기 래칭 부재가 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훅부의 내측에 상기 래칭 봉의 후단이 들어감으로써 상기 리필의 후단이 상기 본체에 래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 전사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부재의 연결 부재는 후단에 탄성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기대 부재가 구비하는 배면판과 상기 탄성부가 맞물림으로써 상기 록킹 부재가 전방으로 바이어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 전사구.
KR1020100096835A 2009-11-26 2010-10-05 도포막 전사구 KR101186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68646A JP5350997B2 (ja) 2009-11-26 2009-11-26 塗布膜転写具
JPJP-P-2009-268646 2009-1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655A KR20110058655A (ko) 2011-06-01
KR101186173B1 true KR101186173B1 (ko) 2012-10-02

Family

ID=43334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835A KR101186173B1 (ko) 2009-11-26 2010-10-05 도포막 전사구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291954B2 (ko)
JP (1) JP5350997B2 (ko)
KR (1) KR101186173B1 (ko)
CN (1) CN102079207B (ko)
CA (1) CA2717999C (ko)
DE (1) DE102010051971B4 (ko)
FR (1) FR2952919A1 (ko)
GB (1) GB2475760B (ko)
HK (1) HK1155699A1 (ko)
MY (1) MY162307A (ko)
SG (1) SG171521A1 (ko)
TW (1) TWI3993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76117B (zh) * 2012-01-20 2015-03-11 Sdi Corp Film transducers
JP6348345B2 (ja) * 2014-06-12 2018-06-27 プラス株式会社 塗布膜転写具
CN106584108B (zh) * 2017-02-23 2018-10-26 东莞市欣瑞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替芯全自动组装机
CN108298362B (zh) * 2018-04-11 2024-02-02 吉林大学 基于机器人的复杂曲面自动贴双面胶带装置
JP7110307B2 (ja) 2020-11-24 2022-08-01 パシフィックコンサルタンツ株式会社 合流支援装置、合流支援方法、合流支援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6985A (ja) 1999-09-28 2001-04-10 Tombow Pencil Co Ltd 塗布具におけるカートリッジ体の固定構造
JP2003103994A (ja) 2001-09-28 2003-04-09 Plus Stationery Corp 塗布膜転写具及び塗布膜転写テープの交換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3030U (ja) * 1994-04-12 1994-10-11 株式会社トンボ鉛筆 転写テ−プ操作具
CN1154581C (zh) * 1995-10-06 2004-06-23 种子橡胶工业株式会社 涂覆膜传输器具的离合机构及涂覆膜传输器具
JP2001071689A (ja) * 1999-07-06 2001-03-21 Seed Rubber Kogyo Kk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JP2001018587A (ja) * 1999-07-06 2001-01-23 Seed Rubber Kogyo Kk 塗膜転写用ヘッド装置および塗膜転写具
JP2002178694A (ja) * 2000-12-14 2002-06-26 Tombow Pencil Co Ltd 塗膜転写具
JP4615781B2 (ja) * 2001-08-20 2011-01-19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膜転写具
JP4690607B2 (ja) * 2001-09-11 2011-06-01 プラス株式会社 塗布膜転写具及び塗布膜転写テープの交換方法
JP4186023B2 (ja) * 2003-12-26 2008-11-26 コクヨ株式会社 転写具
JP4411970B2 (ja) * 2003-12-26 2010-02-10 コクヨ株式会社 転写具
JP4228915B2 (ja) * 2003-12-26 2009-02-25 コクヨ株式会社 スライド部材のロック構造及び転写具
JP4652955B2 (ja) * 2005-11-21 2011-03-16 プラス株式会社 塗布膜転写具
KR100779842B1 (ko) * 2006-12-08 2007-11-28 이동수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JP4899101B2 (ja) * 2007-06-07 2012-03-21 コクヨ株式会社 転写具
JP4966821B2 (ja) * 2007-10-29 2012-07-04 ゼネラル株式会社 転写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6985A (ja) 1999-09-28 2001-04-10 Tombow Pencil Co Ltd 塗布具におけるカートリッジ体の固定構造
JP2003103994A (ja) 2001-09-28 2003-04-09 Plus Stationery Corp 塗布膜転写具及び塗布膜転写テープの交換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17999A1 (en) 2011-05-26
CA2717999C (en) 2013-08-13
JP5350997B2 (ja) 2013-11-27
MY162307A (en) 2017-05-31
FR2952919A1 (fr) 2011-05-27
DE102010051971B4 (de) 2016-05-19
KR20110058655A (ko) 2011-06-01
CN102079207B (zh) 2013-06-26
GB2475760B (en) 2012-05-30
DE102010051971A1 (de) 2011-08-25
JP2011110785A (ja) 2011-06-09
SG171521A1 (en) 2011-06-29
GB201017633D0 (en) 2010-12-01
TWI399303B (zh) 2013-06-21
TW201117968A (en) 2011-06-01
HK1155699A1 (en) 2012-05-25
CN102079207A (zh) 2011-06-01
US20110120658A1 (en) 2011-05-26
US8291954B2 (en) 2012-10-23
GB2475760A (en)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6173B1 (ko) 도포막 전사구
KR101052148B1 (ko) 스테이플용 리필
JP5103201B2 (ja) 塗布膜転写具
US8631849B2 (en) Transfer tool
JP2012051316A5 (ja) 液体収容容器を着脱可能なホルダー、これを備えた液体噴射装置、及び、液体収容容器
JP2010177132A (ja) ラッチ構造及び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
KR102425809B1 (ko) 도막 전사구
JP2012106345A (ja) 塗布膜転写具
JP2007314274A (ja) 給紙カセット
JP3797408B2 (ja) 画像形成装置のサブユニット取付構造
JP4213094B2 (ja) 光コネクタ組立工具及び光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004237446A (ja) ステープル用リフィル及びステープラ
JP2012111625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240972A (ja) カートリッジ式塗膜転写具
US20080169600A1 (en) Paper Feed Cartridge
JP2013028250A (ja) ブレーキ解除ノブの組付け構造
JP4613845B2 (ja) 給紙カセット
JP4314499B2 (ja) カセット装置、記録装置
JP3934126B2 (ja) 光コネクタ組立工具
JP4892704B2 (ja) 転写具
JP4001000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6089151A (ja) 給紙カセ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183634A (ja) ステープルカートリッジ
JP2010082979A (ja) 熱転写シート用カセット
JP2011073346A (ja) 熱転写シート用カ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