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4350B1 - 통신 단말장치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장치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4350B1
KR101184350B1 KR1020090081954A KR20090081954A KR101184350B1 KR 101184350 B1 KR101184350 B1 KR 101184350B1 KR 1020090081954 A KR1020090081954 A KR 1020090081954A KR 20090081954 A KR20090081954 A KR 20090081954A KR 101184350 B1 KR101184350 B1 KR 101184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tyle
communication
suppression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1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6932A (ko
Inventor
에이지 치아시
Original Assignee
엔이씨 카시오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이씨 카시오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이씨 카시오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36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복수의 스타일로 변경 가능한 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 중앙 제어부(11)는, 무선 통신부(14)에서의 발신, 착신에 응답하여 통화를 행할 때에, 스타일 검출부(24)에 의해 현재의 스타일을 검출함과 동시에, 동작 모드 정보 기억부(M5)을 참조하여 그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중앙 제어부(11)는, 이 억제 판별 결과와 스타일 검출부(24)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통화를 억제하거나, 통지부(20)를 구동하여 특정한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하는 취지를 통지한다.

Description

통신 단말장치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THEREOF}
본 발명은, 복수의 스타일로 변경 가능한 구조의 박스체를 가지는 통신 단말장치 및 그 제어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전화기 등의 통신 단말장치에는, 복수의 지역(대륙, 국가, 주, 현 등 임의의 범위의 구분)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있다. 그와 같은 통신 단말장치에는, 예를 들면, 일본국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일본국 모드", 해외에서 사용하기 위한 "해외 모드" 등과 같이, 사용하는 지역의 통신 시스템에 맞춘 통신방식으로 변환하거나, 표시부에 표시하는 언어를 변환하기 위한 동작 모드를 복수 구비하고, 그것들을 변환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7-189394호 공보 참조).
또, 통신 단말장치에는, 폴더 타입이나 슬라이드 타입 등과 같이, 여러가지 박스체 구조의 것이 알려져 있다. 또, 그와 같은 통신 단말장치에서는, 각각의 박스체 구조에 따라 복수의 사용상태(스타일)로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고, 그것들 복수의 사용상태의 각각에서 통화가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있다.
그런데, 지역에 따라서는, 통신 단말장치의 유저의 건강을 지키는 관점에서, 전자파를 발생하는 안테나에 귀(뇌)를 가까이 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주기 : 방지할 목적을 위하여), 통화 시의 안테나와 수화 스피커의 거리를 규제하고 있는 곳이 있다.
그러나, 복수의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장치를 여행지나 출장지에서 사용할 때에, 유저가 그 지역의 규제내용(안테나와 수화 스피커의 거리의 기준값 등)을 조사하여, 그 규제내용에 적합한 스타일만으로 통화를 행하는 것은 번거롭고, 곤란하다.
또, 이와 같은 통신 단말장치를 제조?판매하는 기업에서는, 규제내용에 적합하지 않은 스타일로 통화 가능한 방식을 채용한 경우, 그 지역에 판매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는 불편이 발생한다.
한편, 통화 가능한 스타일을 유저에게 결정시키는 것이 아니고, 전 세계에서 가장 엄한 규제내용에 맞추어, 어느 소정의 스타일로 통화를 행할 것을 일률적으로 억제하는 것은(통화를 행하는 것을 일률적으로 규제(금지)하여 버리면), 통화 가능한 스타일이 감소하여(즉, 경우에 따라서는, 대부분의 스타일로 통화를 할 수 없게 되어), 편리성이 크게 손상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복수의 스타일로 변경 가능한 통신 단말장치에 있어서, 특정한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할지의 여부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는,
복수의 스타일로 변경 가능한 구조의 박스체를 가지는 통신 단말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발신, 착신 중 어느 한쪽의 통신을 검출하는 통신 검출수단과, 이 통신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통신에 응답하여 통화를 행하는 통화수단과, 현재의 스타일을 검출하는 스타일 검출수단과, 특정한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억제 판별수단과, 상기 통신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통신에 응답하여 행하여지는 통화를 상기 스타일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와 상기 억제 판별수단에 의한 판별 결과에 의거하여 억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복수의 스타일로 변경 가능한 구조의 박스체를 가지는 통신 단말장치로서, 적어도 발신, 착신 중 어느 한쪽의 통신을 검출하는 통신 검출수단과, 이 통신 검 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통신에 응답하여 통화를 행하는 통화수단과, 현재의 스타일을 검출하는 스타일 검출수단과, 특정한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억제 판별수단과, 적어도 상기 통신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통신에 응답하여 행하여지는 통화를 억제하는 취지, 상기 특정한 스타일로부터 다른 스타일로 변경할 것을 재촉하는 취지 중 어느 한쪽을 상기 스타일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와 억제 판별수단에 의한 판별 결과에 의거하여 통지하는 억제 통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3)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적어도 발신, 착신 중 어느 한쪽의 통신을 검출하는 통신 검출 처리와, 상기검출된 통신에 응답하여 통화를 행하는 통화 처리와, 현재의 스타일을 검출하는 스타일 검출 처리와, 특정한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억제 판별 처리와, 상기 검출된 통신에 응답하여 행하여지는 통화를 상기 스타일 검출 결과와 상기 억제 판별 결과에 의거하여 억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처리를 컴퓨터에 의해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이다.
(청구항 14)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적어도 발신, 착신 중 어느 한쪽의 통신을 검출하는 통신 검출 처리와, 상기검출된 통신에 응답하여 통화를 행하는 통화 처리와, 현재의 스타일을 검출하는 스타일 검출 처리와, 특정한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 는 억제 판별 처리와, 적어도 상기 검출된 통신에 응답하여 행하여지는 통화를 억제하는 취지, 상기 특정한 스타일로부터 다른 스타일로 변경할 것을 재촉하는 취지 중 어느 한쪽을 상기 스타일 검출 결과와 상기 억제 판별 결과에 의거하여 통지하는 제어처리를 컴퓨터에 의해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한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할지의 여부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및 본 발명의 더욱 상세한 목적과 특징은 다음의 설명을 첨부한 도면과 함께 읽으면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관련 도면은 실례일뿐으로, 본 발명의 한계를 규정하고 있지 않음을 명확하게 인지하기 바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제일 먼저, 도 1 ~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는, 통신 단말장치로서 휴대 전화기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은, 이 휴대 전화기의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휴대 전화기(1)는, 그 장치 본체(기기 본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박스체의 연결상태에 따라 복수의 스타일(박스체의 사용상태)로 변경 가능한 2축 힌지 타입의 전화기이고, 통화기능, 전자 메일기능, 인터넷 접속기능(웹 엑세스기능) 등을 구비하고 있다. 휴대 전화기(1)는, 가장 가까운 기지국(2A), 교환기(2B)로부터 무선 통신망(2)을 거쳐 통신 사업자측의 관리장치(3)에 접속되면, 이 무선 통신망(2)을 거쳐 다른 휴대 전화기(1)와의 사이에서 통화 가능 상태가 된다. 이 관리장치(3)는, 무선 통신망(2)을 관리하는 이외에, 국가?지역 식별정보를 휴대 전화기(1)에 대하여 송신하도록 하고 있다.
휴대 전화기(1)는, 무선 통신망(2)을 거쳐 인터넷(4)에 접속되면, 전자 메일의 송수신이 가능해지거나, 웹 사이트를 엑세스하여 열람 가능해지거나, 음악, 영화 등의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가능해진다. 또, 휴대 전화기(1)는, 예를 들면,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5)으로부터의 GPS 정보(위치정보)를 수신 취득한다. 또, 휴대 전화기(1)는, 수화 스피커와 마이크에 의해 통화 가능한 핸즈프리킷(6)과, 이어폰과 마이크에 의해 통화 가능한 이어폰 마이크(7) 등의 외부 음성 출력장치가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는, 휴대 전화기(1)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에서, 중앙 제어부(11)는, 2차 전지를 구비한 전지부(12)로부터의 전력공급에 의해 동작하고, 기억부(13) 내의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이 휴대 전화기(1)의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연산 처리장치, 메모리 등을 가지고 있다. 기억부(13)에는, 프로그램 기억부(M1), 각종 정보 일시 기억부(M2), 상대 정보 기억부 (M3), 용건 기억부(M4), 동작 모드 정보 기억부(M5)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 프로그램 기억부(M1)에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동작순서에 따라 본 실시형태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각종 어플리케이션 등이 기억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것에 필요한 각종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각종 정보 일시 기억부(M2)는, 플래그 정보, 타이머 정보, 표시부에 표시시키기 위한 화면 정보 등, 이 휴대 전화기(1)가 동작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종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워크영역이다. 상대 정보 기억부(M3)는, 어드레스북을 구성하는 것으로, 통신 상대에 관한 정보로서, 그 이름, 전화번호, 메일 에드레스 등을 기억한다. 용건 기억부(M4)는, 통화 시에 그 상대로부터의 용건을 기록하는 것으로, 그 내용은 임의로 재생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동작 모드 정보 기억부(M5)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무선 통신부(14)는, 안테나(AT)를 가지는 무선부, 베이스밴드부, 다중 분리부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부(14)는, 예를 들면 통화기능, 전자 메일기능, 인터넷 접속기능 등을 실현하는 동작 시에, 가장 가까운 기지국(2A)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으로, 통화기능의 동작 시에는 베이스밴드부의 수신측으로부터 신호를 도입하여 수신베이스밴드신호로 복조한 후, 음성 신호 처리부(15)를 거쳐 수화 스피커(SP)로부터 음성 출력시키고, 또, 송화 마이크(MC)로부터의 입력 음성 데이터를 음성 신호 처리부(15)로부터 도입하여, 송신 베이스밴드 신호로 부호화한 후, 베이스밴드부의 송신측에 부여하여 안테나로부터 발신 출력시킨다.
GPS 수신부(16)(취득수단)는, GPS 위성(5)으로부터 GPS 정보(위치정보)를 수신 취득하는 것이고, 중앙 제어부(11)는, 예를 들면, 이 GPS 위성(5)으로부터의 GPS 정보와 기지국(2A)으로부터의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현재 위치를 얻도록 하여도 된다. 표시부(17)는, 고선명 액정 또는 유기 EL 등을 사용하고, 예를 들면 문자 정보, 대기 화상 등을 표시시킨다. 조작부(18)는, 다이얼 입력, 문자 입력, 코맨드 입력 등을 입력하는 것이고, 중앙 제어부(11)는, 이 조작부(18)로부터의 입력 조작신호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RTC(리얼타임 클록모듈)(19)는, 시계부를 구성하는 것이고, 중앙 제어부(11)는, RTC(19)로부터 현재 일시를 취득한다. 통지부(20)(착신 통지수단, 확성 통화수단)는, 사운드 스피커(21), LED(발광 다이오드)(22), 진동 모터(23)를 구비하고, 착신 시에 구동되어 착신 통지를 행하는 것 외에 알람 통지 시 등에도 구동된다.
스타일 검출부(24)(스타일 검출수단)는, 박스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스타일을 검출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박스체의 각 곳에 자석과 자력 센서를 배치하여, 이 자력 센서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스타일을 검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중앙 제어부(11)는, 이 스타일 검출 센서(24)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현재의 스타일을 판별한다. 여기서, 중앙 제어부(11)는, 발신 시나 착신 시에 그것에 응답하여 통화를 행하는 경우에, 특정한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이 억제 판별 결과와 스타일 검출 센서(24)에 의한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그 통화를 억제하거나, 통화를 억제하는 취지를 통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 특정한 스타일이 다른 스타일로 변경된 경우에는, 스타일의 변경에 의거하여 통화의 억제를 해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통화의 억제」란, 통화의 금지 또는 중단을 의미하고 있다(이하, 뒤에서 설명하는 다른 각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또한, 도 2에서는, 부호 24A(안테나?수화 스피커 거리 검출부에 상당)가 도 시되어 있으나, 이것은 제 2 실시형태에서 설명하기 때문에, 상세한 것은 뒤에서 설명한다.
외부 기기 접속부(25)(접속수단)는, 외부 음성 출력장치로서의 핸즈프리킷(6), 이어폰 마이크(7) 등이 접속되는 공용 접속단자로, 예를 들면, USB (Universal Serial Bus) 단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중앙 제어부(11)는, 발신 시나 착신 시에 그것에 응답하여 통화를 행하는 경우에, 핸즈프리킷(6), 이어폰 마이크(7)의 외부 음성 출력장치가 접속되어 있으면, 그 통화를 억제하지 않게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또, 수화 스피커(SP)로부터 통화 상대의 음성을 대음량으로 출력하는 확성 통화가 행하여지고 있는 경우에도 통화를 억제하지 않게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도 3a, 도 3b, 도 3c는, 모두 휴대 전화기(1)의 외관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1)는, 조작부(18)를 가지는 조작부 박스체(A)와 표시부(17)를 가지는 표시부 박스체(B)를 폴딩 개폐 자유롭게 및 회동 자유롭게 힌지부(C)를 거쳐 연결한 2축 힌지 타입의 휴대 전화장치이다. 이 힌지부(C)에는 조작부 박스체(A)와 표시부 박스체(B)를 접어 개폐하기 위한 개폐용 힌지축이 설치되어 있는 외에, 이 개폐용 힌지축과 대략 직교하여, 한쪽의 박스체를 다른쪽의 박스체에 대하여 회동하기 위한 회동용 힌지축이 설치되어 있고, 이 힌지부(C)를 거쳐 조작부 박스체(A)와 표시부 박스체(B)는 폴딩 개폐 자유롭게 및 회동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2축 힌지 타입의 휴대 전화기(1)는, 조작부 박스체(A)와 표시부 박스체(B)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에 따라 휴대 전화기의 형태를 복수의 스타일(클로즈 스타일, 오픈 스타일, 뷰 스타일 등)로 변경 가능한 것으로, 도 3a는, 조작부 박스체(A)와 표시부 박스체(B)를 접은 상태의 클로즈 스타일을 나타내고 있다. 도 3b는, 이 클로즈 스타일로부터 조작부 박스체(A)와 표시부 박스체(B)의 폴더를 개방한 상태의 오픈 스타일을 나타내고 있다.
도 3c는, 이 오픈 스타일로부터 표시부 박스체(B)를 180도 반전시키고 나서 접은 상태의 뷰 스타일을 나타내고, 클로즈 스타일에서는 안쪽으로 되어 있던 표시부(17)가 이 뷰 스타일에서는 바깥쪽이 된다. 이 조작부 박스체(A)의 내면측에는, 도 2에 나타낸 조작부(18)와 송화 마이크(MC)가 배치되어 있다. 또, 표시부 박스체(B)의 내면측에는, 도 2에 나타낸 표시부(17)와 수화 스피커(SP)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송화 마이크(MC)는, 힌지부(C)의 근방에 배치되고, 수화 스피커(SP)는, 힌지부(C)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면에서, 파선으로 둘러싼 부근, 즉, 조작부 박스체(A)의 내면측에서 힌지부(C)의 반대측에는, 도 2에 나타낸 안테나(AT)가 내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클로즈 스타일, 뷰 스타일에서는, 안테나(AT)와 수화 스피커(SP)가 서로 대향하게 되어, 그것들의 거리가 가까워진다.
도 4는, 동작 모드 정보 기억부(M5)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동작 모드 정보 기억부(M5)는, 이 휴대 전화기(1)를 사용하는 지역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 정보를 기억하는 것으로, 「동작 모드 ID」,「동작 모드명」,「설정 플래그」의 각 항목을 가지고 있다. 「동작 모드 ID」는, 동작 모드 정보를 식별하는 일련 No 등이며, 「동작 모드명」은, 예를 들면, "일본국 모드", "해외 모드" 등과 같은 동작 모드의 명칭이다. 「설정 플래그」는, 유저 조작에 의해 현재 유효한 동작 모드가 선택적으로 설정된 것으로, 그 값이 "1"일 때에는 현재 유효한 동작 모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해외 모드"는, 메뉴 등이 영어 표기가 되고, 또, 통신방식이 다른 경우에는 통신방식도 변환된다. 또한, "해외 모드"는, 예를 들면, 미국 모드, 유럽 모드 등, 임의의 범위에 대응하는 모드이어도 된다. 중앙 제어부(11)는, 동작 모드 정보 기억부(M5)을 참조하여, 상기한 특정한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설정 플래그」가 "1"의 동작 모드에 의거하여 판별하도록 하고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 중앙 제어부(11)는 통신 검출수단, 통화수단, 억제 판별수단, 제어수단, 억제 통지수단, 해제수단, 설정수단의 기능을 실현한다.
다음에, 이 제 1 실시형태에서의 휴대 전화기(1)의 동작개념을 도 5 ~ 도 9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들 플로우 차트는, 중앙 제어부(11)에 의해 실행된다.
여기서, 이들 플로우 차트에 기술되어 있는 각 기능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되어 있고, 이 프로그램 코드에 따른 동작이 차례로 실행된다. 또, 전송 매체를 거쳐 전송되어 온 상기한 프로그램 코드에 따른 동작을 차례로 실행할 수도 있다. 이것은 뒤에서 설명하는 다른 실시형태에서도 마찬가지이며, 기록매체 외에, 전송매체를 거쳐 외부 공급된 프로그램/데이터를 이용하여 이 실시형태 특유의 동작을 실행할 수도 있다.
도 5는, 휴대 전화기(1)의 전체 동작의 개요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메인 루 틴)이다.
도 5에서, 먼저, 중앙 제어부(11)는, 전원을 투입하는 전원 온 조작이 행하여지면(단계 A1에서 YES), 전원공급을 개시시켜 소정의 메모리 등을 초기화하는 전원 온 처리를 실행한 후, 소정의 대기 화상을 판독하여 표시시키거나, 기지국(2A)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여 위치 등록을 하는 대기 처리를 행한다(단계 A2). 그리고, 무엇인가의 조작이 행하여진 것이 검출되거나(단계 A3, A8, A10, A12), 무선 통신부(14)에 의해 착신이 검출될 때까지(단계 A5), 상기한 단계 A3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설정조작이 행하여진 것으로 하면(단계 A3에서 YES), 예를 들면, 동작 모드 정보 기억부(M5)의 「설정 플래그」를 온/오프하는 등의 설정처리를 실행한 후(단계 A4), 상기한 단계 A3으로 되돌아간다. 또, 착신이 검출되면(단계 A5에서 YES), 뒤에서 설명하는 착신처리(단계 A6) 및 통화 처리를 실행한 후(단계 A7), 상기한 단계 A3으로 되돌아간다. 또, 발신 상대의 전화번호를 조작부(18)로부터 입력하거나, 상대 정보 기억부(M3) 중에서 선택하는 발신 상대 지정조작이 행하여지면(단계 A8에서 YES), 뒤에서 설명하는 발신처리(단계 A9) 및 통화 처리를 실행한 후(단계 A7), 상기한 단계 A3로 되돌아간다.
전원 오프 조작이 행하여졌을 때에는(단계 A10에서 YES), 전원 오프 처리를 실행하여(단계 A11), 이 도 5의 플로우로부터 빠지지만, 그 밖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때에는(단계 A12에서 YES), 그 조작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 후(단계 A13), 상기한 단계 A3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조작에 따른 처리로서, 예를 들면, 메일 송신 조작이 행하여지면, 그것에 따라 메일 송신 처리가 행하여지고, 또, 녹음되어 있는 용건의 재생을 지시하는 재생조작이 행하여지면, 용건 기억부(M4)의 내용을 판독하여 출력시키는 재생처리가 행하여진다.
도 6은, 착신처리(도 5의 단계 A6)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에서, 먼저, 중앙 제어부(11)는, 통지부(20)를 구성하는 사운드 스피커(21) 및 LED(22)를 구동하고, 또는 진동 모터(23)를 구동하거나, 표시부(17)에 착신된 취지나 상대의 정보를 표시하는 등으로 하여 착신통지를 행한 후(단계 B1), 회선 접속시키는 통화조작(오프 훅조작)이 행하여졌는지를 조사하거나(단계 B2), 그 밖의 조작이 행하여졌는지를 조사한다(단계 B11). 여기서, 통화조작 이외의 조작으로서, 착신 음량의 변경조작 등, 그 밖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때에는(단계 B11에서 YES), 그 조작에 따른 처리로서, 예를 들면, 착신 음량의 변경처리 등을 행한 후(단계 B12), 상기한 단계 B2로 되돌아간다.
현재, 통화조작이 행하여진 경우에(단계 B2에서 YES), 이 통화조작은 통화 상대의 음성을 대음량으로 출력할 것을 지시하는 확성 통화조작이 아닌지를 조사하여(단계 B3), 확성 통화조작이면(단계 B3에서 NO), 유저는 수화 스피커(SP)로부터 귀를 떨어뜨려 통화한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현재의 스타일에 관계없이, 통화를 억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단계 B4로 이행하고, 뒤에서 설명하는 억제 플래그가 온되어 있는지를 조사하나(단계 B4), 이 시점에서는 억제 플래그는 오프되어 있기 때문에(단계 B4에서 NO), 이 도 6의 플로우로부터 빠진다. 또, 확성 통화 조작이 아니면, 즉, 통화 상대의 음성을 설정 음량으로 출력하는 통상 통화를 지시하는 통 화조작이면(단계 B3에서 YES), 외부 음성 출력장치로서의 핸즈프리킷(6)이나 이어폰 마이크(7)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지를 조사한다(단계 B6).
현재, 핸즈프리킷(6)이나 이어폰 마이크(7)가 접속되어 있으면(단계 B4에서 NO), 이 외부 음성 출력장치를 사용하여 통화하는 경우이고, 수화 스피커(SP)에 유저의 귀를 가깝게 하는 일은 없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현재의 스타일에 관계없이, 통화를 억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단계 B4로 이행하나, 이 시점에서는 억제 플래그는 오프되어 있기 때문에(단계 B4에서 NO), 이 도 6의 플로우로부터 빠진다. 여기서, 확성 통화조작이 아니고, 외부 음성 출력장치도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B6에서 YES), 억제 판별처리로 이행한다(단계 B7).
도 7은, 억제 판별 처리(도 6의 단계 B7 등)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에서, 먼저, 중앙 제어부(11)는, 스타일 검출부(24)로부터 현재의 스타일을 취득하고(단계 C1), 현재의 스타일은 뷰 스타일인 지를 조사하여(단계 C2), 뷰 스타일 이외의 스타일이면(단계 C2에서 NO), 통화를 억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각종 정보 일시 기억부(M2) 내의 억제 플래그(도시 생략)를 오프한다(단계 C6). 또, 뷰 스타일이면(단계 C2에서 YES), 동작 모드 정보 기억부(M5)를 엑세스하여, 그 「설정 플래그」가 "1"의 동작 모드 정보를 판독하고(단계 C3), 그것은 "해외 모드"인지를 조사하여(단계 C4), "해외 모드"가 아니면(단계 C4에서 NO), 억제 플래그를 오프하나(단계 C6), "해외 모드"이면(단계 C4에서 YES), 억제 플래그를 온한다(단계 C5).
이와 같은 억제 판별 처리(도 6의 단계 B7)가 끝나면, 이 억제 판별 처리에 의해 억제 플래그가 온되었는지를 조사하여(단계 B8), 억제 플래그가 오프되어 있으면(단계 B8에서 NO), 통화를 억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이 시점에서 도 6의 플로우로부터 빠진다. 또, 억제 플래그가 온되어 있으면(단계 B8에서 YES), 통화를 억제하는 처리로서, 현재의 스타일에서는 통화를 억제하는 취지의 메시지를 표시시키는 외에(단계 B9), 스타일의 변경을 재촉하는 취지의 메시지를 표시시킨 후(단계 B10), 통화를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한 단계 B2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통화가 억제되어 있는 상태에서, 확성 통화조작이 행하여진 경우(단계 B3에서 NO), 핸즈프리킷(6)이나 이어폰 마이크(7)가 접속되고 나서 통화조작이 행하여진 경우(단계 B2에서 YES, 단계 B6에서 NO), 또는 뷰 스타일 이외의 스타일로 변경되고 나서 통화조작이 행하여진 경우에는(단계 B2에서 YES, 도 7의 단계 C2에서 NO, 단계 B8에서 NO), 통화의 억제를 해제하기 위하여, 단계 B4로 이행하나, 이 경우, 억제 플래그가 온되어 있기 때문에(단계 B4에서 YES), 그것을 오프한다(단계 B5). 그리고, 도 6의 플로우가 종료가 되고, 다음의 통화 처리로 이행한다(도 5의 단계 A7).
도 8은, 통화 처리(도 5의 단계 A7)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에서, 먼저, 중앙 제어부(11)는, 수화 스피커(SP), 송화 마이크(MC)를 구동하여 통화 가능 상태로 하나, 핸즈프리킷(6)이나 이어폰 마이크(7) 등의 외부 음성 출력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화 스피커(SP), 송화 마이크(MC)를 구 동하는 대신, 그것들 외부 음성 출력장치에 구비된 수화 스피커, 이어폰, 마이크를 사용한 통화를 행하고, 상기한 착신처리나 뒤에서 설명하는 발신처리에 있어서, 확성 통화조작이 행하여지고 있는 경우에는, 확성 통화를 행한다(단계 D1). 그리고, 스타일 검출부(24)로부터 현재의 스타일을 취득하여, 스타일이 변경되었는지를 조사하거나(단계 D2), 무엇인가의 조작이 행하여졌는지를 조사하거나(단계 D10, D12, D17), 핸즈프리킷(6)이나 이어폰 마이크(7)가 벗겨졌는지를 조사한다(단계 D15).
현재, 스타일이 변경된 경우(단계 D2에서 YES), 예를 들면, 통화 중에 오픈 스타일로부터 뷰 스타일로 변경된 경우, 또는 뷰 스타일로부터 오픈 스타일로 변경된 경우에는, 확성 통화 중인지를 조사하여(단계 D3), 확성 통화 중이 아니면, 핸즈프리킷(6)이나 이어폰 마이크(7)의 외부 음성 출력장치를 사용한 통화 중인지를 조사한다(단계 D4). 현재, 확성 통화 중(단계 D3에서 NO) 또는 핸즈프리킷(6)이나 이어폰 마이크(7)의 외부 음성 출력장치를 사용한 통화 중이면(단계 D4에서 NO), 현재의 스타일에 관계없이, 통화를 억제하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한 단계 D2로 되돌아간다.
또, 확성 통화 중이 아니고(단계 D3에서 YES), 외부 음성 출력장치를 사용한 통화 중도 아닌 경우에는(단계 D4에서 YES), 상기와 동일한 억제 판별 처리로 이행한다(단계 D5). 이 경우, 변경 후의 스타일이 뷰 스타일이고(도 7의 단계 C2에서 NO), 「설정 플래그」가 "1"의 동작 모드가 "해외 모드"이면(도 7의 단계 C4), 억제 플래그를 온시키나(도 7의 단계 C5), 뷰 스타일이 아니거나, 뷰 스타일이어도 "해외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그것을 조건으로 억제 플래그를 오프시킨다(도 7의 단계 C6).
이와 같은 억제 판별처리(도 8의 단계 D5)가 끝나면, 이 억제 판별처리에 의해 억제 플래그가 온되었는지를 조사하고(단계 D6), 억제 플래그가 오프되어 있으면(단계 D6에서 NO), 통화를 억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한 단계 D2로 되돌아가나, 억제 플래그가 온되어 있으면(단계 D6에서 YES), 현재의 스타일에서는 통화를 억제하는 취지의 메시지를 표시시킨다(단계 D7). 그리고, 통화를 종료하는 취지의 음성 메시지를 그 상대측에 대하여 송신하나(단계 D8), 이것에 의하여 상대측으로부터의 용건을 수신하면, 그것을 용건 기억부(M4)에 기록한다(단계 D9). 그리고, 통화 종료 처리를 실행한 후(단계 D11), 도 8의 플로우로부터 빠진다.
한편, 통화 중에 통화 종료 조작이 행하여졌을 때에는(단계 D10), 통화 종료 처리를 실행한 후(단계 D11), 도 8의 플로우로부터 빠진다. 또, 확성 통화로부터 통상 통화로 변경하기 위하여 통상 통화조작이 행하여졌을 때에는(단계 D12에서 YES), 상기한 억제 판별 처리로 이행하고(단계 D13), 또, 통화 중에 핸즈프리킷(6)이나 이어폰 마이크(7)가 벗겨졌을 때에도(단계 D15에서 YES), 억제 판별 처리로 이행하고(단계 D13), 뷰 스타일이고 "해외 모드"인 것을 조건으로 억제 플래그를 온킨다(도 7의 단계 C2~C5).
여기서, 억제 플래그가 오프되었을 때에는(단계 D14에서 NO), 확성 통화로부터 통상 통화로의 변환, 또는 핸즈프리킷(6)이나 이어폰 마이크(7)를 사용한 통화로부터 통상 통화로의 변환을 행한 후(단계 D16), 상기한 단계 D2로 되돌아간다. 또, 억제 플래그가 온되었을 때에는(단계 D14에서 YES), 이하, 통화를 억제하는 처 리로 이행한다(단계 D7~C9). 또한, 통화 음량의 변경 등, 그 밖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때에는(단계 D17에서 YES), 그 밖의 처리로서, 음량 조정 처리 등을 행한다 (단계 D18).
도 9는, 발신처리(도 5의 단계 A9)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9에서, 먼저, 중앙 제어부(11)는, 회선을 접속시키는 발신 지시 조작이 행하여졌는지(단계 E1), 그 밖의 조작이 행하여졌는지를 조사하여(단계 E10), 발신 상대의 변경 등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때에는(단계 E10에서 YES), 그 조작에 따른 처리로서, 예를 들면, 발신 상대 변경 처리 등을 행한다(단계 E11). 또, 발신 지시 조작이 행하여졌을 때에는(단계 E1에서 YES), 이 발신 지시 조작은 확성 통화 조작인지를 조사하여(단계 E2), 확성 통화 조작이면(단계 E2에서 NO), 유저는 수화 스피커(SP)로부터 귀를 떼고 통화한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현재의 스타일에 관계없이, 통화를 억제하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하여, 단계 E3으로 이행하여, 발신 처리를 실행한 후, 상대의 응답 대기 상태가 된다(단계 E4).
또, 외부 음성 출력장치로서의 핸즈프리킷(6)이나 이어폰 마이크(7)가 접속되어 있으면(단계 E5에서 NO), 이 외부 음성 출력장치를 사용하여 통화하는 경우에, 수화 스피커(SP)에 유저의 귀를 가깝게 하는 일은 없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현재의 스타일에 관계없이, 통화를 억제하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하여, 단계 E3으로 이행하여, 발신 처리를 실행한 후, 상대의 응답 대기 상태가 된다(단계 E4).
여기서, 확성 통화조작이 행하여진 경우가 아니고, 또한, 외부 음성 출력장 치도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이면(단계 E5에서 NO), 상기한 억제 판별 처리로 이행하고(단계 E6), 뷰 스타일이고 "해외 모드"인 것을 조건으로 억제 플래그를 온시킨다(도 7의 단계 C2~C5). 이 억제 판별 처리에서, 억제 플래그가 오프되었을 때에는(단계 E7에서 NO), 발신 처리를 실행한 후(단계 E3), 상대의 응답 대기 상태가 되나(단계 E4), 억제 플래그가 온되었을 때에는(단계 E7에서 NO), 통화를 억제하는 처리로서, 현재의 스타일에서는 통화를 억제하는 취지의 메시지를 표시시킨다(단계 E8). 그리고, 스타일의 변경을 재촉하는 취지의 메시지를 표시시킨 후(단계 E9),통화를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한 단계 E1로 되돌아간다.
이상과 같이, 이 제 1 실시형태에서 중앙 제어부(11)는, 무선 통신부(14)에서의 발신, 착신에 응답하여 통화를 행할 때에, 스타일 검출부(24)의 검출 결과와 그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지의 여부의 억제 판별 결과에 의거하여 통화를 억제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특정한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할지의 여부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어, 통화 시에 스타일을 의식하지 않아도 되어, 유저의 부담을 대폭으로 경감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 외에, 휴대 전화기를 제조?판매하는 기업에서도 판매 지역의 규제내용 등을 고려한 대응을 강구하지 않아도 되는 등, 실용 효과가 높은 것이 된다.
또, 이하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특정한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하는 취지, 스타일을 변경할 것을 재촉하는 취지를 통지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유저에게 있어서는 현재의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하는 것이나, 스타일을 변경하면 통화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통화를 억제하는 것의 통지를 메시지 표시함으로써 착신 통지와는 다른 통지형태로 하였기 때문에, 유저에게 있어서는 현재의 스타일 그대로는 통화가 억제되는 것을 통상의 착신 통지와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다.
통화가 억제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타일이 변경된 경우에, 변경된 스타일에 의거하여 통화의 억제를 해제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통화에 적합한 스타일로 변경된 경우에는 통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외부 음성 출력장치[핸즈프리킷(6)이나 이어폰 마이크(7)]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통화를 억제하지 않도록 하였기 때문에, 특정한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 상태인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외부 음성 출력장치를 사용한 통화를 행할 수 있다.
확성 통화를 행하는 경우에는, 통화를 억제하지 않도록 하였기 때문에, 특정한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 상태인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확성 통화를 행할 수 있다.
사용하는 지역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에 의거하여 특정한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그 지역에서 특정한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또한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스타일 검출부(24)에 의해 검출된 스타일에 의거하여 통화를 억제하도록 하였으나, 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스타일에 따라 변화되는 안테나(AT)와 수화 스피커(SP)의 거리에 의거하여 통화를 억제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양 실시형태에서 기본적 또는 명칭적으로 동일한 것은, 동일부호를 붙여서 나타내고, 그 설명을 생략함과 동시에, 이하, 제 2 실시형태의 특징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휴대 전화기(1)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럭도는 하기의 안테나?수화 스피커 거리 검출부(24A)의 부분이 다르기 때문에, 도 2를 공통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 제 2 실시형태의 스타일 검출부(24)는, 도 2에서, 안테나?수화 스피커 거리 검출부(24A)(거리 검출부에 상당)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안테나?수화 스피커 거리 검출부(24A)는, 스타일에 따라 변화하는 안테나(AT)와 수화 스피커(SP)의 거리를 검출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안테나(AT)와 수화 스피커(SP)의 부근에 자석과 자력 센서를 배치하고, 이 자력 센서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안테나(AT)와 수화 스피커(SP)의 거리를 검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제 2 실시형태에서도 휴대 전화기(1)의 전체 동작은 도 5의 플로우 차트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착신처리(도 5의 단계 A6)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에서, 먼저, 중앙 제어부(11)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착신통지를 행한 후(단계 F1), 통화조작(오프-훅조작)이 행하여졌는지를 조사하거나(단계 F2), 그 밖의 조작이 행하여졌는지를 조사한다(단계 F9). 여기서, 그 밖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때에는(단계 F9에서 YES), 그 조작에 따른 처리로서, 착신 음량의 변경처리 등을 행한 후(단계 F10), 상기한 단계 F2로 되돌아간다.
현재, 통화조작이 행하여졌을 때에는(단계 F2에서 YES), 이 통화조작이 통화 상대의 음성을 대음량으로 출력할 것을 지시하는 확성 통화 조작인 경우(단계 F3에서 NO), 또는, 외부 음성 출력장치로서의 핸즈프리킷(6)이나 이어폰 마이크(7)가 접속된 경우에는(단계 F4에서 NO), 현재의 스타일에 관계없이, 통화를 억제하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하여, 이 시점에서 도 10의 플로우로부터 빠지지만, 확성 통화조작이 아니고, 외부 음성 출력장치도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단계 F4에서 YES), 억제 판별처리로 이행한다(단계 F5).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억제 판별처리(도 6의 단계 F5)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에서, 먼저, 중앙 제어부(11)는, 스타일 검출부(24)로부터의 검출 결과로서, 안테나(AT)와 수화 스피커(SP)의 거리를 취득하고(단계 G1), 그 거리는 소정값(예를 들면, 3 cm) 이내인지를 조사하여, 안테나(AT)와 수화 스피커(SP)의 접근상태를 판별한다(단계 G2).
현재, 그 거리가 소정값 이상 떨어져 있으면(단계 G2에서 NO), 통화를 억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억제 플래그를 오프하나(단계 G6), 그 거리가 소정값 이내로 접근하고 있으면(단계 G2에서 YES), 동작 모드 정보 기억부(M5)를 엑세스하 여, 그 「설정 플래그」가 "1"의 동작 모드 정보를 판독한다(단계 G3). 그 결과, 동작 모드 정보는 "해외 모드"인지를 조사하여(단계 G4), "해외 모드"가 아니면(단계 G4에서 NO), 억제 플래그를 오프하나(단계 G6), "해외 모드"이면(단계 G4에서 YES), 억제 플래그를 온한다(단계 G5).
이와 같은 억제 판별 처리(도 10의 단계 F1)가 끝나면, 이 억제 판별 처리에 의하여 억제 플래그가 온되었는지를 조사하여(단계 F6), 억제 플래그가 오프되어 있으면(단계 F6에서 NO), 통화를 억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이 시점에서 도 10의 플로우로부터 빠지지만, 억제 플래그가 온되어 있으면(단계 F6에서 YES), 통화를 억제하는 처리로서, 안테나(AT)와 수화 스피커(SP)의 거리로는 통화를 억제하는 취지의 메시지를 표시시킨다(단계 F7). 그리고, 안테나(AT)와 수화 스피커(SP)의 거리를 떨어뜨리는 것을 재촉하는 취지의 메시지를 표시시킨 후(단계 F8), 통화를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한 단계 F2로 되돌아간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의 통화 처리, 발신처리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하나, 이하의 점이 상위한다. 즉, 도 8의 통화 처리에서, 「스타일 변경 검출 ?」의 단계 D2를 「안테나와 수화 스피커의 거리 변경 검출 ?」로 대체한다. 또, 「현재의 스타일에서 통화를 억제하는 취지의 표시」의 단계 D7를 「현재의 안테나와 수화 스피커의 거리로 통화를 억제하는 취지의 표시」로, 각각 치환한다. 마찬가지로, 도 9의 발신 처리에 있어서, 「현재의 스타일에서 통화를 억제하는 취지의 표시」의 단계 E8를 「현재의 안테나와 수화 스피커의 거리로 통화를 억제하는 취지의 표시」로, 「스타일 변경을 재촉하 는 취지의 표시」의 단계 E9를 「안테나와 수화 스피커의 거리를 떨어뜨릴 것을 재촉하는 취지의 표시」로, 각각 치환한다.
이상과 같이, 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스타일에 따라 변화되는 안테나(AT)와 수화 스피커(SP)의 거리를 검출하여 통화를 억제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안테나(AT)와 수화 스피커(SP)의 거리에 따라,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높은 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도, 통화를 억제할 것의 통지를 메시지 표시함으로써 착신 통지와는 다른 통지 형태로 하였기 때문에, 유저에게 있어서는 현재의 안테나(AT)와 수화 스피커(SP)의 거리로는 통화가 억제되는 것을 통상의 착신 통지와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2 ~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사용하는 지역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에 의거하여 특정한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도록 하였으나, 이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동작 모드에 의거하여 특정한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경우에 한정하지 않고,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특정한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거나, 지역을 식별하기 위한 지역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특정한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착신을 검출하여 통화 조작이 행하여진 후에, 억제 판별 처리를 행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착신을 검출한 후, 통화 조작이 행하여지기 전에, 억제 판별 처리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외, 제 3 실시형태에서는, 통화를 억제하도록 제어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 후에 그 통화 상대로부터의 용건을 기록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제 1?제 3 실시형태에서 기본적 또는 명칭적으로 동일한 것은, 동일부호를 붙여서 나타내고, 그 설명을 생략함과 동시에, 이하, 제 3 실시형태의 특징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중앙 제어부(11)는 용건 기록 재생수단의 기능을 실현하는 부분이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또, 제 3 실시형태에서, 중앙 제어부(11) 및 무선 통신부(14)는 수신수단의 기능을 실현하고, 중앙 제어부(11) 및 기억부(13)는 용건 기록 재생수단의 기능을 실현한다.
도 12는, 제 3 실시형태에서의 기억부(13)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서, 기억부(13)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프로그램 기억부(M1), 각종 정보 일시 기억부(M2), 상대 정보 기억부(M3), 용건 기억부(M4), 동작 모드 정보 기억부(M5) 외에, 이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조건 정보 기억부(M6), 통화 억제 정보 기억부(M7)을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3은, 제 3 실시형태에서의 조건 정보 기억부(M6)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에서, 조건 정보 기억부(M6)는, 특정한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할 때에, "동작 모드", "국가?지역 식별 정보", "위치 정보"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 그 판별을 행할지를 나타내는 정보(조건 정보)를 기억하는 것으로, 「조건 ID」,「조건명」,「설정 플래그」의 각 항목을 가지고 있다. 「조건 ID」는, 조건 정보를 식별하는 일련 No 등이다. 또, 「조건명」은, 상기한 조건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명칭이고, 「설정 플래그」는, 유저조작에 의해 현재 유효한 조건 정보가 선택적으로 설정된 것으로, 그 값이 "1"일 때에는 현재 유효한 조건 정보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제 3 실시형태에서의 통화 억제 정보 기억부(M7)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에서, 통화 억제 정보 기억부(M7)은, 스타일마다, 각각의 구체적인 조건으로 통화를 억제하는 내용을 기억하는 것으로, 「스타일 ID」, 「스타일」, 「동작 모드」, 「국가?지역 식별 정보」, 「위치 정보」의 각 항목을 가지고 있다. 「스타일 ID」는, 대응하는 「스타일」을 식별하는 일련 No 등이고, 「동작 모드」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일본국 모드", "해외 모드" 등과 같은 동작 모드의 명칭이다. 「국가?지역 식별 정보」는, 예를 들면, 국가 코드, 에어리어 코드이다. 「위치정보」는, 예를 들면, 국가, 에어리어의 위치를 나타내는 경위도이다. 예를 들면, 클로즈 스타일, 뷰 스타일에서는 동작 모드가 "해외 모드"인 경우에 통화를 억제하고, 위치 정보가 ****인 경우에 통화를 억제한다. 또, 오픈 스타일에서는, 「동작 모드」, 「국가?지역 식별 정보」, 「위치정보」중 어느 것에서도 통화를 억제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도 15 및 도 16은, 제 3 실시형태에서의 착신처리(도 5의 단계 A6)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또한, 이 제 3 실시형태에서도 휴대 전화 기(1)의 전체 동작은 도 5의 플로우 차트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에서, 먼저, 중앙 제어부(11)는, 외부 음성 출력장치로서의 핸즈프리킷(6)이나 이어폰 마이크(7)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지를 조사하여(단계 H1), 이 외부 음성 출력장치가 접속되어 있으면(단계 H1에서 NO), 이 외부 음성 출력장치를 사용하여 통화하는 경우에, 현재의 스타일에 관계없이, 통화를 억제하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하여, 단계 H8로 이행하고, 통상의 착신 통지, 예를 들면, 소리에 의한 착신 통지이면, 설정되어 있는 멜로디 음 등을 설정 음량으로 통지하고, 진동에 의한 착신 통지이면, 설정 진동으로 통지한다.
그리고, 각종 정보 일시 기억부(M2) 내의 용건 기록 타이머(도시하지 않음)를 정지시킨 후(단계 H9), 도 16의 플로우로 이행한다. 또한, 용건 기록 타이머는, 통화를 억제하고 나서 소정 시간(예를 들면, 5초 동안) 경과 후에 그 통화 상대로부터의 용건을 자동 기록시키기 위한 타이머이나, 외부 음성 출력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통화를 억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이 용건 기록 타이머를 정지상태로 하여 둔다. 한편, 외부 음성 출력장치가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단계 H1에서 YES), 억제 판별 처리로 이행한다(단계 H2).
도 17은, 제 3 실시형태에서의 억제 판별 처리(도 6의 단계 H2)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7에서, 먼저, 중앙 제어부(11)는, 스타일 검출부(24)로부터 스타일의 검출 결과를 취득한 후(단계 I1), 조건 정보 기억부(M6)를 엑세스하여, 그 「설정 플래그」가 "1"의 조건정보를 판독하고(단계 I2), 그 「조건 ID」는 "C01"인지(단계 I3), "C02" 또는 "C03"인지를 조사한다(단계 I9).
현재, 「조건 ID」가 "C01"이면(단계 I3에서 YES), 동작 모드 정보 기억부(M5)를 엑세스하여, 그 「설정 플래그」가 "1"의 동작 모드 정보를 판독함과 동시에(단계 I4), 이 동작 모드 정보와 검출된 스타일에 의거하여 통화 억제 정보 기억부(M7)를 엑세스하여 해당하는 통화 억제 정보를 판독하고(단계 I5), 그 「동작 모드」는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 동작 모드인지를 판별한다(단계 I6). 예를 들면, 클로즈 스타일, 뷰 스타일의 경우에는, 동작 모드가 "해외 모드"일 때에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 동작 모드라고 판별한다. 그 결과, "해외 모드"이면(단계 I6에서 YES), 억제 플래그를 온하나(단계 I7), "해외 모드"가 아니면(단계 I6에서 NO), 억제 플래그를 오프한다(단계 I8).
또, 「조건 ID」가 "C02"이면(단계 I9에서 YES), 무선 통신망(2)을 거쳐 관리장치(3)로부터의 국가?지역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단계 I10), 이 국가?지역 식별 정보와 검출된 스타일에 의거하여 통화 억제 정보 기억부(M7)의 「국가?지역 식별 정보」를 엑세스하고, 그것을 통화 억제 정보로서 판독하여(단계 I11), 통화를 억제해야 할 국가?지역인지를 판별한다(단계 I12). 그 결과, 억제해야 할 국가?지역이면(단계 I12에서 YES), 억제 플래그를 온하나(단계 I7), 억제해야 할 국가?지역이 아니면(단계 I12에서 NO), 억제 플래그를 오프한다(단계 I8).
또, 「조건 ID」가 "C03"이면(단계 I9에서 NO), GPS 위성(5)으로부터의 GPS 정보와 기지국(2A)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의 위치정보를 얻음과 동시에(단계 I13), 이 현재의 위치 정보와 검출된 스타일에 의거하여 통화 억제 정보 기억부(M7)를 엑세스하여 통화 억제 정보를 판독하여(단계 I14), 통화를 억제해야 할 위치인지를 판별한다(단계 I15). 그 결과, 억제해야 할 위치이면(단계 I15에서 YES), 억제 플래그를 온하나(단계 I7), 억제해야 할 위치가 아니면(단계 I15에서 NO), 억제 플래그를 오프한다(단계 I8).
이와 같은 억제 판별 처리(도 15의 단계 H2)가 끝나면, 이 억제 판별 처리에 의하여 억제 플래그가 온되었는지를 조사하여(단계 H3), 억제 플래그가 오프되어 있으면(단계 H3에서 NO), 통화를 억제하지 않는 경우이므로, 상기한 단계 H4로 이행하여, 통상의 착신 통지를 행하나(단계 H8), 억제 플래그가 온되어 있으면(단계 H3에서 YES), 현재의 스타일에서는 통화를 억제하는 취지의 메시지를 표시시킨다(단계 H4). 그리고, 스타일의 변경을 재촉하는 취지의 메시지를 표시시킨 후(단계 H5), 착신 통지와는 다른 통지 형태로 억제 통지를 행한다(단계 H6).
예를 들면, 사운드 스피커(21)를 구동하여 착신음과는 다른 억제음을 발생시키거나, LED(22)를 구동하여 착신 시의 빛과는 다른 빛을 출력시키거나, 또는 진동 모터(23)를 구동하여 착신 시의 진동과는 다른 진동을 출력시키거나, 표시부(17)에 다른 표시내용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한 용건 기록 타이머를 기동시켜 시간 계측 동작을 개시시킨 후(단계 H7), 도 16의 플로우로 이행한다. 또한, 용건 기록 타이머가 기동 중이면, 단계 H7에서는, 용건 기록 타이머의 계측 동작을 계속시킨다.
도 16의 플로우로 들어 가면, 통화 조작이 행하여졌는지를 조사하거나(단계 H10), 용건 기록 타이머가 타임 아웃이 되었는지, 또는 상대로부터의 용건의 기록 을 지시하는 용건 기록 조작이 행하여졌는지를 조사하거나(단계 H14), 스타일의 변경을 검출하였는지를 조사하거나(단계 H17), 그 밖의 조작이 행하여졌는지를 조사한다(단계 H18). 현재, 통화 조작이 행하여진 경우에(단계 H10에서 YES), 이 통화조작이 통화 상대의 음성을 대음량으로 출력할 것을 지시하는 확성 통화 조작이면(단계 H11에서 NO), 현재의 스타일에 관계없이, 통화를 억제하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하여, 이 시점에서 도 16의 플로우로부터 빠진다.
또, 확성 통화조작이 아니면(단계 H11에서 YES), 외부 음성 출력장치로서의 핸즈프리킷(6)이나 이어폰 마이크(7)가 접속되어 있는지를 조사한다(단계 H12). 여기서, 이 외부 음성 출력장치가 접속되어 있으면(단계 H11에서 NO), 통화를 억제하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하여, 이 시점에서 도 16의 플로우로부터 빠지지만, 확성 통화 조작이 아니고, 외부 음성 출력장치도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단계 H12에서 YES), 억제 플래그가 오프되어 있는지를 조사한다(단계 H13).
현재, 억제 플래그가 오프되어 있으면(단계 H13에서 NO), 통화를 억제하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하여, 이 시점에서 도 16의 플로우로부터 빠지지만, 억제 플래그가 온되어 있으면(단계 H13에서 YES), 통화를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한 단계 H6으로 되돌아간다. 용건 기록 타이머가 타임 아웃이 되거나, 용건 기록 조작이 행하여지면(단계 H14에서 YES), 용건 기록 타이머의 계측 동작을 정지시킨 후(단계 H15), 상대로부터의 용건을 수신하여, 용건 기억부(M4)에 기록시킨다(단계 H16).
그 후, 도 5의 통화 처리(단계 A7)를 점프하여, 상기한 단계 A3로 되돌아간다.
한편, 스타일의 변경을 검출하였을 때에는(도 16의 단계 H17에서 YES), 도 15의 단계 H1로 이행하고, 이하, 상기한 동작을 반복한다. 또한, 음량 변경 등, 그 밖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때에는(단계 H18에서 YES), 그 조작에 따른 처리로 이행한다(단계 H19).
한편, 도 5의 플로우에서, 그 밖의 조작으로서, 용건 기억부(M4)에 대한 재생을 지시하는 재생 조작이 행하여지면(단계 A12에서 YES), 용건 기억부(M4)의 내용을 판독하여 출력시키는 용건 재생처리를 실행한다(단계 A13). 또, 조건 정보 기억부(M6)에 대한 설정조작이 행하여지면(단계 A3에서 YES), 조건 정보 기억부(M6)의 「설정 플래그」를 온/오프하는 설정처리를 행한다(단계 A4).
이상과 같이, 이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사용하는 지역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 에 의거하여 특정한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그 지역에서 특정한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또한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 지역을 식별하기 위한 지역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특정한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그 지역에서 특정한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특정한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그 지역에서 특정한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 억제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경우에, 동작 모드, 지역 식별 정 보, 위치정보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 그 판별을 행할지를 임의로 선택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유저의 의향이나 적합성 등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통화를 억제하는 것의 통지(억제음, 진동, 빛 출력, 표시 내용)를 착신 통지와는 다른 통지형태로 하였기 때문에, 유저에게 있어서는 현재의 스타일 그대로는 통화가 억제되는 것을 통상의 착신 통지와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다.
통화가 억제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대의 용건을 기록하여 재생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통화가 억제된 그대로도 상대의 용건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예)
또한, 상기한 제 3 실시형태에서, 관리장치(3)로부터 무선 통신망(2)을 거쳐국가?지역 식별 정보를 수신하도록 하였으나, 무선 통신망(2)으로부터의 수신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인터넷,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방송 통신망 등과 같이, 임의의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수화 스피커(SP)와 안테나(AT)의 배치 위치는 임의이다. 즉, 표시부 박스체(B)의 내면측에서 힌지부(C)의 반대측에 수화 스피커(SP)를 배치하고, 조작부 박스체(A)의 내면측에서 힌지부(C)의 반대측에 안테나(AT)를 배치하였으나, 수화 스피커(SP)와 안테나(AT)의 배치 위치는 임의이다. 또, 안테나(AT)는 내장형의 안테나에 한정하지 않고, 신축 자유로운 안테나 등과 같이, 임의의 형상의 안테나이어도 된다.
또,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 스타일은, 클로즈 스타일, 오픈 스타일, 뷰 스타일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조작부 박스체와 표시부 박스체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슬라이드 타입의 통신 단말장치이면, 슬라이드시키고 있지 않은 상태(조작부 박스체와 표시부 박스체가 겹쳐친 상태)의 스타일, 다 슬라이드시킨 상태의 스타일, 양 상태의 중간 상태의 스타일 등과 같이, 박스체의 구조에 따른 임의의 스타일이어도 된다. 또, 리버시블 타입의 휴대 전화기이어도 되고, 또한, 소위 2웨이 오픈 타입의 휴대 전화기, 즉, 통상의 오픈상태(세로 개방상태) 와 가로 개방상태에서의 와이드 오픈이 가능한 휴대 전화기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수화 스피커(SP)와 안테나(AT)의 거리가 1 cm인 스타일, 3 cm인 스타일, 5 cm인 스타일 등과 같이, 수화 스피커(SP)와 안테나(AT)의 거리에 따라 스타일을 결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외, 스타일 검출부(24)는, 수화 스피커(SP)와 안테나(AT)의 거리를 검출하는 경우에 한정하지 않고, 수화 스피커(SP)와 안테나(AT)의 접근 정도를 검출하거나, 수화 스피커(SP)와 안테나(AT)의 위치 관계를 검출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 스타일 검출부(24)라는 명칭에 한정하지 않고, 수화 스피커(SP)와 안테나(AT)의 접근 정도를 검출하는 검출부, 또는 수화 스피커(SP)와 안테나(AT)의 위치 관계를 검출하는 검출부라는 명칭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위치정보를 GPS 위성(5)으로부터 GPS 정보로서 수신 취득하거나, 기지국(2A)으로부터 수신 취득하도록 하였으나,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은 임의의 방법이어도 된다. 또,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외부 음성 출력장치로서, 핸즈프리킷(6), 이어폰 마이크(7)를 나타내었으나, 이어폰, 차량 탑재용 킷 등, 통상의 음성 통화를 대체하는 통화가 가능한 임의의 외부 음성 출력장치이어도 된다.
그외, 통신 단말장치는 휴대 전화기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통신 기능을 구비한 퍼스널 컴퓨터?PDA?디지털 카메라?음악 플레이어 등, 통신 기능을 구비한 임의의 통신 단말장치이어도 된다.
본 발명이 특정부분의 구체적인 언급과 함께 묘사되어 있기는 하나, 본 발명은 그 설명의 그 어떤 구체성에 의해서도 제한받지 않고, 관련 청구항의 범위에 포함되는 그 모든 특정부분을 포함한다.
도 1은 통신 단말장치로서 적용한 휴대 전화기의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휴대 전화기(1)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를 나타낸 블럭도,
도 3a는 조작부 박스체(A)와 표시부 박스체(B)를 접은 상태의 클로즈 스타일을 나타낸 휴대 전화기(1)의 외관도.
도 3b는, 이 클로즈 스타일로부터 조작부 박스체(A)와 표시부 박스체(B)의 폴더를 개방한 상태의 오픈 스타일을 나타낸 휴대 전화기(1)의 외관도,
도 3c는, 이 오픈 스타일로부터 표시부 박스체(B)를 180도 반전시키고 나서 접은 상태의 뷰 스타일을 나타낸 휴대 전화기(1)의 외관도,
도 4는 동작 모드 정보 기억부(M5)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5는 휴대 전화기(1)의 전체 동작의 개요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6은 착신처리(도 5의 단계 A6)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7은 억제 판별 처리(도 6의 단계 B7 등)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8은 통화 처리(도 5의 단계 A7)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9는 발신처리(도 5의 단계 A9)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착신처리(도 5의 단계 A6)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억제 판별 처리(도 6의 단계 F5)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12는 제 3 실시형태에서의 기억부(13)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13은 제 3 실시형태에서 조건 정보 기억부(M6)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14는 제 3 실시형태에서 통화 억제 정보 기억부(M7)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15는 제 3 실시형태에서의 착신처리(도 5의 단계 A6)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16은 도 15에 계속되는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17은 제 3 실시형태에서의 억제 판별 처리(도 6의 단계 H2)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Claims (14)

  1. 복수의 형태 상의 스타일로 변경 가능한 구조의 박스체를 가지는 통신 단말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발신, 착신 중 어느 한쪽의 통신을 검출하는 통신 검출수단과,
    이 통신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통신에 응답하여 통화를 행하는 통화수단과,
    현재의 형태 상의 스타일을 검출하는 스타일 검출수단과,
    특정한 형태 상의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억제 판별수단과,
    상기 통신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통신에 응답하여 행하여지는 통화를 상기 스타일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와 상기 억제 판별수단에 의한 판별 결과에 의거하여 억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적어도 상기 통신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통신에 응답하여 행하여지는 통화를 억제하는 취지, 상기 특정한 형태 상의 스타일로부터 다른 형태 상의 스타일로 변경할 것을 재촉하는 취지 중 어느 한쪽을 통지하는 억제 통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착신을 통지하는 착신 통지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억제 통지수단에 의한 통지와 상기 착신 통지수단에 의한 통지를 다른 통지형태로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통화를 억제하도록 제어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 후에, 그 통화 상대로부터의 용건을 기록하여 재생 가능하게 하는 용건 기록 재생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외부 음성 출력장치를 접속하는 접속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접속수단에 의해 외부 음성 출력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통화를 억제하지 않게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수화용 스피커로부터 통화 상대의 음성을 대음량으로 출력하는 확성 통화를 행하는 확성 통화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확성 통화수단에 의해 확성 통화가 행하여지는 경우에, 통화를 억제하지 않게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장치.
  6. 복수의 형태 상의 스타일로 변경 가능한 구조의 박스체를 가지는 통신 단말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발신, 착신 중 어느 한쪽의 통신을 검출하는 통신 검출수단과,
    이 통신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통신에 응답하여 통화를 행하는 통화수단과,
    현재의 형태 상의 스타일을 검출하는 스타일 검출수단과,
    특정한 형태 상의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억제 판별수단과,
    상기 통신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통신에 응답하여 행하여지는 통화를 상기 스타일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와 상기 억제 판별수단에 의한 판별 결과에 의거하여 억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적어도 상기 통신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통신에 응답하여 행하여지는 통화를 억제하는 취지, 상기 특정한 형태 상의 스타일로부터 다른 형태 상의 스타일로 변경할 것을 재촉하는 취지 중 어느 한쪽을 통지하는 억제 통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통화를 억제하도록 제어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스타일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형태 상의 스타일이 변경된 경우에, 변경된 형태 상의 스타일에 의거하여 통화의 억제를 해제하는 해제수단을 구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장치.
  7. 복수의 형태 상의 스타일로 변경 가능한 구조의 박스체를 가지는 통신 단말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발신, 착신 중 어느 한쪽의 통신을 검출하는 통신 검출수단과,
    이 통신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통신에 응답하여 통화를 행하는 통화수단과,
    현재의 형태 상의 스타일을 검출하는 스타일 검출수단과,
    특정한 형태 상의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억제 판별수단과,
    상기 통신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통신에 응답하여 행하여지는 통화를 상기 스타일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와 상기 억제 판별수단에 의한 판별 결과에 의거하여 억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적어도 상기 통신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통신에 응답하여 행하여지는 통화를 억제하는 취지, 상기 특정한 형태 상의 스타일로부터 다른 형태 상의 스타일로 변경할 것을 재촉하는 취지 중 어느 한쪽을 통지하는 억제 통지수단과,
    사용지역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억제 판별수단은, 상기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동작 모드에 의거하여 상기 특정한 형태 상의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장치.
  8. 복수의 형태 상의 스타일로 변경 가능한 구조의 박스체를 가지는 통신 단말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발신, 착신 중 어느 한쪽의 통신을 검출하는 통신 검출수단과,
    이 통신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통신에 응답하여 통화를 행하는 통화수단과,
    현재의 형태 상의 스타일을 검출하는 스타일 검출수단과,
    특정한 형태 상의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억제 판별수단과,
    상기 통신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통신에 응답하여 행하여지는 통화를 상기 스타일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와 상기 억제 판별수단에 의한 판별 결과에 의거하여 억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억제 판별수단은, 상기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특정한 형태 상의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장치.
  9. 복수의 형태 상의 스타일로 변경 가능한 구조의 박스체를 가지는 통신 단말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발신, 착신 중 어느 한쪽의 통신을 검출하는 통신 검출수단과,
    이 통신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통신에 응답하여 통화를 행하는 통화수단과,
    현재의 형태 상의 스타일을 검출하는 스타일 검출수단과,
    특정한 형태 상의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억제 판별수단과,
    상기 통신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통신에 응답하여 행하여지는 통화를 상기 스타일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와 상기 억제 판별수단에 의한 판별 결과에 의거하여 억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적어도 상기 통신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통신에 응답하여 행하여지는 통화를 억제하는 취지, 상기 특정한 형태 상의 스타일로부터 다른 형태 상의 스타일로 변경할 것을 재촉하는 취지 중 어느 한쪽을 통지하는 억제 통지수단을 구비하고,
    지역을 식별하기 위한 지역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억제 판별수단은,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지역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특정한 형태 상의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장치.
  10. 복수의 형태 상의 스타일로 변경 가능한 구조의 박스체를 가지는 통신 단말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발신, 착신 중 어느 한쪽의 통신을 검출하는 통신 검출수단과,
    이 통신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통신에 응답하여 통화를 행하는 통화수단과,
    현재의 형태 상의 스타일을 검출하는 스타일 검출수단과,
    특정한 형태 상의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억제 판별수단과,
    상기 통신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통신에 응답하여 행하여지는 통화를 상기 스타일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와 상기 억제 판별수단에 의한 판별 결과에 의거하여 억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스타일 검출수단은, 형태 상의 스타일 변화에 따라 통신용 안테나와 수화용 스피커의 거리를 검출하는 거리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억제 판별수단은, 상기 거리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장치.
  11. 복수의 형태 상의 스타일로 변경 가능한 구조의 박스체를 가지는 통신 단말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발신, 착신 중 어느 한쪽의 통신을 검출하는 통신 검출수단과,
    이 통신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통신에 응답하여 통화를 행하는 통화수단과,
    현재의 형태 상의 스타일을 검출하는 스타일 검출수단과,
    특정한 형태 상의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억제 판별수단과,
    적어도 상기 통신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통신에 응답하여 행하여지는 통화를 억제하는 취지, 상기 특정한 형태 상의 스타일로부터 다른 형태 상의 스타일로 변경할 것을 재촉하는 취지 중 어느 한쪽을 상기 스타일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와 억제 판별수단에 의한 판별 결과에 의거하여 통지하는 억제 통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장치.
  12. 적어도 발신, 착신 중 어느 한쪽의 통신을 검출하는 통신 검출 처리와,
    상기 검출된 통신에 응답하여 통화를 행하는 통화 처리와,
    현재의 형태 상의 스타일을 검출하는 스타일 검출 처리와,
    특정한 형태 상의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억제 판별 처리와,
    상기 검출된 통신에 응답하여 행하여지는 통화를 상기 스타일 검출 결과와 상기 억제 판별 결과에 의거하여 억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처리와,
    적어도 상기 통신 검출 처리에 의해 검출된 통신에 응답하여 행하여지는 통화를 억제하는 취지, 상기 특정한 형태 상의 스타일로부터 다른 형태 상의 스타일로 변경할 것을 재촉하는 취지 중 어느 한쪽을 통지하는 억제 통지처리를 컴퓨터에 의해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3. 적어도 발신, 착신 중 어느 한쪽의 통신을 검출하는 통신 검출 처리와,
    상기 검출된 통신에 응답하여 통화를 행하는 통화 처리와,
    현재의 형태 상의 스타일을 검출하는 스타일 검출 처리와,
    특정한 형태 상의 스타일에서의 통화를 억제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억제 판별 처리와,
    적어도 상기 검출된 통신에 응답하여 행하여지는 통화를 억제하는 취지, 상기 특정한 형태 상의 스타일로부터 다른 형태 상의 스타일로 변경할 것을 재촉하는 취지 중 어느 한쪽을 상기 스타일 검출 결과와 상기 억제 판별 결과에 의거하여 통지하는 제어처리를 컴퓨터에 의해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4. 삭제
KR1020090081954A 2008-09-30 2009-09-01 통신 단말장치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1843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53803A JP4517253B2 (ja) 2008-09-30 2008-09-30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JP-P-2008-253803 2008-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932A KR20100036932A (ko) 2010-04-08
KR101184350B1 true KR101184350B1 (ko) 2012-09-20

Family

ID=41381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954A KR101184350B1 (ko) 2008-09-30 2009-09-01 통신 단말장치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80411B2 (ko)
EP (1) EP2169921B1 (ko)
JP (1) JP4517253B2 (ko)
KR (1) KR101184350B1 (ko)
CN (1) CN10171502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67720B2 (en) * 2010-01-04 2014-10-21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enhanced conference call security
JP2011221637A (ja) 2010-04-06 2011-11-0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426278B2 (en) * 2010-09-01 2016-08-23 Plantronics, Inc. Location base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auto-configuration
JP5880440B2 (ja) * 2010-10-28 2016-03-09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通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348607B2 (en) * 2012-06-07 2016-05-24 Apple Inc. Quiet hours for notifications
JP6179135B2 (ja) * 2013-03-06 2017-08-16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KR102170508B1 (ko) * 2013-08-30 2020-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특정 위치에서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3905640A (zh) * 2014-03-12 2014-07-02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防止误拨的方法
US20220256028A1 (en) * 2021-02-08 2022-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 multi-call support capability on compatible audio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0740B1 (ko) 1995-10-17 1998-11-02 김장길 장거리 자동전화 발신제어장치
JP2001069574A (ja) * 1999-08-31 2001-03-16 Nec Mobile Commun Ltd 移動機端末の発着信規制装置及び移動機端末の発着信規制方法
US6658272B1 (en) 2000-04-28 2003-12-02 Motorola, Inc. Self configuring multiple element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2057759A (ja) * 2000-08-09 2002-02-22 Nec Saitama Ltd 折り畳み可能な携帯電話
JP2003060746A (ja) * 2001-08-14 2003-02-28 Nec Corp 携帯電話機
JP4642292B2 (ja) * 2001-09-06 2011-03-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折りたたみ式の無線端末、通話開始方法および通話開始プログラム
JP2003258944A (ja) * 2002-02-28 2003-09-12 Nec Saitama Ltd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およびスライド式携帯電話機
JP3999992B2 (ja) * 2002-03-27 2007-10-31 三洋電機株式会社 携帯端末機器及び該携帯端末機器を用いた通信機器システム
DE60321592D1 (de) 2002-11-20 2008-07-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ragbares kommunikationsendgeraet
MXPA05008994A (es) * 2003-02-25 2006-02-10 Boston Communications Group Inc Metodo y sistema para proporcionar control de supervision a traves del uso de telefonos inalambricos.
JP2005303443A (ja) * 2004-04-07 2005-10-27 Mitsubishi Electric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動作モード切替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559039B1 (ko) * 2004-05-18 2006-03-10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처리 장치 및 방법
US20060035677A1 (en) * 2004-08-11 2006-02-16 Naveen Aerrabotu Disablement of external keys in a communication device
WO2006035231A1 (en) * 2004-09-29 2006-04-06 Rafe Communications Llc Controlling portable digital devices
KR20060039229A (ko) 2004-11-02 2006-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운전 중 통화차단 방법
JP4056518B2 (ja) * 2004-11-09 2008-03-05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そ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469155B2 (en) * 2004-11-29 2008-12-23 Cisco Technology, Inc. Handheld communications device with automatic alert mode selection
TWI273825B (en) 2005-10-28 2007-02-11 Inventec Appliances Corp Communication mode switching system and method
JP2007150939A (ja) * 2005-11-30 2007-06-14 Nec Access Technica Ltd 着信制御機能付き携帯電話端末
JP2007189394A (ja) 2006-01-12 2007-07-26 Nec Access Technica Ltd 携帯端末及びその地域別パラメータ設定方法
KR100796714B1 (ko) 2007-11-15 2008-01-21 광주광역시 남구 운전 중 통화를 제한하는 휴대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69921B1 (en) 2014-07-02
JP2010087784A (ja) 2010-04-15
KR20100036932A (ko) 2010-04-08
JP4517253B2 (ja) 2010-08-04
US8280411B2 (en) 2012-10-02
EP2169921A2 (en) 2010-03-31
EP2169921A3 (en) 2013-05-01
US20100081418A1 (en) 2010-04-01
CN101715021A (zh) 201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4350B1 (ko) 통신 단말장치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60584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저장 및 재생방법
EP2187604B1 (en) Portable terminal, audio output control method, and audio output control program
JP4828632B2 (ja) ディスプレイを備えるポータブル機器用の筐体構成
JP5187764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290568B2 (ja) 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機の制御方法
JP4457904B2 (ja) 携帯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019330B2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2009055326A (ja) 通信装置
JP2005106483A (ja) 日時計機能付きgps情報端末
JP4001843B2 (ja) 携帯通信端末
CN103051761A (zh) 通话底座以及移动终端与通话底座共享通话数据的方法
JP4411948B2 (ja) 画像管理システム、該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携帯電話端末、画像管理方法及び画像管理制御プログラム
JP5049577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そ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9218650A (ja) 携帯電話端末
KR100675188B1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호출자 번호 표시 방법
JP3471681B2 (ja) 携帯電話装置
JP2007243762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660235B2 (ja) 親機
JP2009200998A (ja) 携帯電話端末装置、クレードル、特定機能処理実施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073157A (ja) メディア再生装置及びメディア再生方法
JPH09200303A (ja) 電話機
JP2005204345A (ja) 電話機
JP2005295253A (ja) 情報処理装置
KR101422023B1 (ko) 통신 단말기 및 복수의 헤드셋과 통신하는 통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