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811B1 - 지폐 취급 장치 및 지폐 취급 방법 - Google Patents

지폐 취급 장치 및 지폐 취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811B1
KR101183811B1 KR1020080118621A KR20080118621A KR101183811B1 KR 101183811 B1 KR101183811 B1 KR 101183811B1 KR 1020080118621 A KR1020080118621 A KR 1020080118621A KR 20080118621 A KR20080118621 A KR 20080118621A KR 101183811 B1 KR101183811 B1 KR 101183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temporary storage
bill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7766A (ko
Inventor
도모요 다까이
유우지 나가야
겐따 오가와
도모야스 가또오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97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7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30Tracking or tracing valuable papers or cassett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32Record keep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용자가 입금한 지폐의 순번이, 일시 보관고 내에서 바뀌어도, 일시 보관고로 반입되기 전의 판별 결과를 바탕으로, 그 후의 지폐의 반송처를 결정할 수 있는 지폐 취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2)와, 반송로(2)에 의해 반송되는 지폐를 판별하는 판별부(3)와, 판별부에 의해 지폐가 판별된 결과인 판별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108)와,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04)를 구비하고, 판별부(3)는 반송로(2)에 의해 반송되는 지폐의 고유 정보를 판독하고, 기억부(108)는 판별부(3)에 의해 판독된 지폐의 고유 정보와, 판별부(3)에 의해 판별된 지폐의 판별 정보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구성으로 했다.
반송로, 판별부, 제어부, 기억부, 입출금부, 일시 보관고

Description

지폐 취급 장치 및 지폐 취급 방법{BILL HANDLING APPARATUS AND BILL HANDLING METHOD}
본 발명은 지폐의 판별 결과를 기초로 지폐의 수납 및 지폐의 반환을 행하는 기능을 구비한 지폐 취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EU 등에서는, 입금된 지폐를 진권(眞券)이 아니거나 또는 의심스러운 지폐라고 지폐 취급 장치가 판별한 경우에는, 그 지폐를 이용자에게 건네줘서는 안된다는 규칙이 있다. 이 규칙을 준수하기 위해서는, 입금 거래에 있어서, 지폐의 판별 결과인 판별 정보에 따른 반송처로 지폐를 반송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종래 지폐 취급 장치는, 지폐를 회전 드럼에 권취하여 보관하는 권취형 일시 보관고를 구비하고 있다. 권취형 일시 보관고는, 입금 계수시와 입금 수납시에, 일시 보관고에 수납되어 있는 지폐의 순서가 바뀌는 것은 거의 없다. 이로 인해, 권취형 일시 보관고를 구비하는 지폐 취급 장치는 입금 계수 처리에 의해 판별한 지폐 판별 정보(화폐 종류, 진위, 상태) 등을 순번으로 기억해 가고, 입금 수납 처리에서는, 일시 보관고에 수납된 순서 또는 그 반대 순번으로 지폐가 일시 보관고로부터 반출된다는 전제 하에, 그 순번에 따른 상기 판별 정보를 기초로 하여 지폐 의 반송처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종래 장치로서는, 일본 특허 제3865171호(특허 문헌 1)에 있는 바와 같이, 입금 계수시에, 지폐의 판별 정보와 일시 보관고 내의 위치 정보를 기억해 두고, 입금 수납시에는, 입금 계수시에 기억한 지폐의 판별 정보와 일시 보관고 내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지폐의 반송처를 결정하는 지폐 취급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3865171호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권취형 일시 보관고는 지폐의 수납 효율이 나쁘기 때문에, 지폐 취급 장치의 소형화 및 대용량화에 대응할 수 없다. 또한 특수한 부재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비용이 든다. 이로 인해, 최근에는 수납 효율이 좋고, 저비용의, 지폐를 겹쳐 수납하는 적층형 일시 보관고가 이용되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적층형 일시 보관고는 입금 계수시와 입금 수납시에 일시 보관고 내의 지폐의 순번이 바뀌는 일이 있다. 이 경우, 입금 수납 처리에 있어서 일시 보관고로부터 반출되는 지폐의 순번은, 입금 계수시에 일시 보관고에 지폐가 수납된 순번 또는 그 반대 순번으로는 되지 않는다. 이 결과, 입금 계수시의 순서에 따른 판별 정보를 기초로 지폐의 반송처를 결정하면, 지폐의 판별 결과와는 관계가 없는 부적절한 반송처로 지폐를 반송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진권이 아니거나 또는 의심스러운 지폐가 리사이클고에 반송되고, 다음번의 거래에서, 이용자의 손에 건네지면 규칙 위반으로 된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일시 보관고로 지폐가 반입될 때와, 일시 보관고로부터 지폐가 반출될 때에, 일시 보관고 내의 지폐의 순서가 바뀌어도, 일시 보관고로 반입될 때의 고유 정보를 바탕으로, 일시 보관고로부터 반출한 지폐의 반송처를 결정할 수 있는 지폐 취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및 다른 목적은 이하에 서술하는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와, 반송로에 의해 반송되는 지폐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판별부에 의해 지폐가 판별된 결과인 판별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판별부는 반송로에 의해 반송되는 지폐의 고유 정보를 판독하고, 기억부는 판별부에 의해 판독된 지폐의 고유 정보와, 판별부에 의해 판별된 지폐의 판별 정보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지폐 취급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특징에 따르면, 지폐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일시 보관고와,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와, 반송로에 의해 일시 보관고로 반입되는 지폐의 고유 정보를 판독 가능하게 설치된 판별부와, 반송로로부터 일시 보관고로 반입되는 지폐에 대해 판별부에 의해 지폐가 판별된 결과인 지폐의 판별 정보를 기초로, 일시 보관고로부터 반송로로 반출되는 지폐의 반송처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판별부에 의해 판독된 고유 정보와 반송처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한 지폐 취급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특징에 따르면, 반송되는 지폐를 판별하고, 반송되는 지폐의 고유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지폐의 고유 정보 및 지폐를 판별한 결과인 판별 정보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지폐 취급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시 보관고로 지폐가 반입되었을 때와 일시 보관고로부터 지폐가 반출되었을 때에, 일시 보관고 내의 지폐의 순서가 바뀐 경우라도, 적절한 지폐의 관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1 내지 도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1은 지폐를 취급하는 지폐 취급 장치(106)를 도시하고, 후술하는 도2에 도시하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3)의 일 기능, 유닛, 장치를 가리키고 있다. 지폐 취급 장치(106)는 이용자, 고객으로부터 입금, 투입되는 지폐를 받아들이거나, 또는 이용자가 원하는 지폐를 출금, 방출하는 입출금부(1),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2), 반송되는 각 지폐의 화폐 종류, 진위 혹은 상태를 판별하는 판별부(3)를 갖는다. 특히, 이 판별부(3)는 지폐의 고유 정보[예를 들어, 지폐에 인쇄된 기번호등, 임의의 지폐가 고유로(또는 일의로) 갖는 정보]를 판독하는 기능, 수단도 갖고 있다. 또한, 지폐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일시 보관고(4), 유통에 적합하지 않은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리젝트고(5), 반송로(2)에 의해 반송되는 지폐의 통과를 검지하는 통과 센서(6), 지폐의 반송 방향을 절환하는 게이트(7), 지폐를 수납하는 수납고(8, 9), 또한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 등으로 구성된다.
입출금부(1)는 이용자가 입금한 지폐를 받아들이는 호퍼(10)와, 주로 리젝트된 지폐를 이용자에게 방출, 반환하는 리젝트 스택커(11)가 있다. 수납고(8, 9)는 입금된 지폐를 출금에도 제공하는 리사이클 기능을 구비한 리사이클고이고, 구체적으로는, 수납고(8, 9)에 수납된 지폐는, 이후의 이용자에 의한 거래시에 출금 지폐 로서 이용되는 일이 있고, 예를 들어 수납고(8)에는 만엔(일본 화폐) 지폐, 수납고(9)에는 천엔(일본 화폐) 지폐를 수납, 리사이클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한, 리젝트고(5)에 수납된 지폐는, 이후의 이용자에 의한 거래시에 이용되는 일은 없고, 리사이클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도2는 호스트 컴퓨터(101), 서버(102)와 접속된 지폐 취급 장치(106)를 포함하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ATM)(103)의 제어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고,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3)는 은행 등의 금융 기관이나 편의점 등에 설치되고, 도3은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3)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호스트 컴퓨터(101), 서버(102)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3)의 상위 장치이고,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3)와 거래 정보의 송수신, 고객 정보의 관리를 행하고, 고객의 구좌 번호나 구좌에 대응한 예입 금액 등도 기억한다. 지폐 취급 장치(106)의 제어부(104)는, 도1의 게이트(7)의 동작에 의한 지폐의 반송처의 결정이나, 반송로(2)에 의한 지폐의 반송의 제어나, 지폐 취급 장치(106)를 구성하는 다양한 유닛[입출금부(1), 판별부(3), 기억부(105, 107, 108) 등]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04)는 지폐 취급 장치(106) 전체의 제어를 행하고, 이 제어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미들 웨어 등의 정보는 기억부(105)에 기억되고, 이 기억부(105)는 제어부(104)의 일부로서 구성해도 좋다.
도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판별부(3)는 각 지폐의 진위, 화폐 종류의 판별 처리와 함께, 지폐의 고유 정보도 판독한다. 이 판별부(3)는 2개의 기억부, 즉 제1 기억부(A)와, 제2 기억부(B)를 구비하는 것이 특징의 하나이다. 또한, 기억부의 하드로서의 구성은 1개이며, 기억부의 영역을 복수로 나누어 정보를 기억하는 형태에 대해서도, 제1 기억부, 제2 기억부라 정의한다. 제1 기억부(107)는 일시 보관고(4)에 일시적으로 보관된 지폐에 대해, 제어부(104)가 결정한 지폐의 반송처로 지폐를 반송할 때에, 판별부(3)가 판별한 지폐의 고유 정보를 기억한다. 한편, 제2 기억부(108)는 입출금부(1)에 입금된 지폐를 일시 보관고(4)에 반송하는 소위 지폐의 입금 계수시에, 판별부(3)가 판독한 지폐의 고유 정보, 판별부(3)가 판별한 판별 정보(지폐의 화폐 종류, 진위 또는 상태를 판별한 정보), 입금 순번 정보(입금 계수시의 지폐의 반송 순번)를 기억한다.
통장 취급 장치(109)는 통장을 취급하고, 주로 통장으로의 기장(記帳), 인자(印字) 처리를 실시하고, 명세표 발행 장치(110)는 이용자가 거래한 내용을 인자하여 거래 명세표를 발행한다. 카드 취급 장치(111)는 자기 스트라이프 카드에 부착된 자기 스트라이프, IC 카드에 탑재된 IC 칩의 판독 또는 기입 처리를 행한다. 조작부(112)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3)에서 거래 가능한 조작 화면을 표시하고, 이용자, 계원, 보수원으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접수한다. 본체 제어부(114)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 전체의 제어를 행하고, 본체 제어부 기억 장치(113)는 그 제어를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 등을 기억한다.
이용자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3)에 의해 다양한 거래를 실행하나, 대표적인 거래로서 입금 거래와 출금 거래가 있다. 그리고 입금 거래에서는 이용자가 입출금부(1)에 지폐를 투입하여 조작부(112)에서 투입한 금액을 확인할 때, 그 금액으로 좋으면 확인(OK) 버튼을 눌러 거래를 종료할 때와, 반환 버튼을 눌러 투입한 지폐를 반환하여 거래를 종료할 때가 있다. 이들 다른 이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도1 및 도2에서 설명한 지폐 취급 장치(106)에서는, 1개의 입금 거래에 있어서, 크게 입금 계수 처리와 입금 수납 처리라는 기능, 처리를 갖고 있고, 그 중 지폐 취급 장치(106)에서 실행되는 입금 계수 처리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지폐 취급 장치(106)의 입금 계수 처리는, 이용자에 의해 입출금부(1)에 지폐가 투입되면, 입출금부(1)의 호퍼(10)로부터 지폐를 1매씩 분리하고, 반송로(2) 상으로 반출한다. 반송로(2) 상을 반송되는 각 지폐는 판별부(3)에 의해 그 화폐 종류나 진위가 판별되고, 또한 당해 지폐의 고유 정보가 판독된다. 이때, 제어부(104)는 판별부(3)의 지폐를 판별한 판별 결과인 판별 정보를 기초로 지폐의 반송처를 결정한다. 이 반송처의 결정에 있어서는, 판별부(3)에 의해 진권이라고 판별된 지폐의 반송처를, 수납고(8, 9)의 운용 방법에 맞추어 결정한다. 예를 들어, 수납고(8)에는 만엔권을 수납하는 것으로 한 운용 방법에 있어서는, 판별부(3)에 의해 지폐의 종류가 만엔권이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제어부(104)는 당해 지폐의 반송처를 수납고(8)로 결정한다.
또한, 제어부(104)는 판별부(3)에 의해 진권이라고 판별된 지폐라도, 오염이나 찢어짐이 있다고 판별된 지폐(유통에 적합하지 않은 지폐)에 대해서는, 그 반송처를 리젝트고(5)로 결정한다. 오염이나 찢어짐이 있는 지폐는 유통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제어부(104)는 판별부(3)에 의해 진권이 아니거나 또는 의심스러운 지폐라고 판별된 지폐의 반송처도 리젝트고(5)로 결정한다. 판별부(3)에 의해 진권 이 아니거나 또는 의심스러운 지폐라고 판별된 지폐가 다시 출금되면, 규칙 위반으로 되기 때문이다.
또한, 제어부(104)는 판별부(3)에 의해 화폐 종류를 판별할 수 없는 지폐, 치수가 이상한 지폐, 고유 정보를 취득할 수 없는 지폐 등이라고 판별된 지폐의 반송처를, 입출금부(1)의 리젝트 스택커(11)로 결정한다. 지폐로서 인정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이용자에게 반환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이, 지폐 취급 장치(106)는 판별부(3)에 의해 판별된 지폐 중, 화폐 종류를 판별할 수 없고, 지폐의 고유 정보가 판독되지 않고, 취득할 수 없는 등의 지폐는 일시 보관고(4)를 통과하지 않고 입출금부(1)로 반송하여 이용자에게 반환하나, 그 이외의 지폐(진권, 위권, 의심스러운 권 등), 제어부(104)가 결정한 반송처에 반송하기 전에 일시 보관고(4)로 반송한다.
계속해서, 지폐 취급 장치(106)를 사용한 지폐의 입금 거래에 있어서의 입금 수납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이 입금 수납 처리는, 조작부(112)에 지폐를 계수한 결과를 나타내고, 이용자에 대해 이용자가 입금한 입금액을 확인시킨 후에, 제어부(104)가 결정한 반송처로 지폐를 반송할 때의 지폐 취급 장치(106)의 처리를 나타낸다. 또한, 조작부(112)에서 표시한 입금 금액의 확인에 있어서, 상술한 반환 버튼의 누름에 의해 이용자에게 입금 거래를 취소했을 때에는, 일시 보관고(4)에 일시적으로 보관된 지폐를 입출금부(1)로 반환한다.
지폐 취급 장치(106)는, 제어부(104)가 결정한 반송처에 따라서, 지폐를 일시 보관고(4)로부터 반송로(2) 상으로 반출한다. 반송로(2) 상을 반송되는 지폐는 판별부(3)에 의해 다시 판별되고(후술함), 반송로(2) 상의 통과 센서(6)에서 지폐를 감시하고, 게이트(7)를 절환하고, 제어부(104)가 결정한 반송처[수납고(8), 수납고(9), 리젝트고(5)]로 지폐를 반송하고, 각 수납고에 수납한다.
마지막으로, 지폐 취급 장치(106)를 사용한 지폐의 출금 거래에 있어서의 출금 처리에서는, 지폐 취급 장치(106)는 수납고(8, 9)의 각 화폐 종류마다의 수납고(금고)로부터 소정의 매수씩 지폐를 조출(繰出)하고, 판별부(3)에서 지폐를 판별하고, 입출금부(1)에 수납하여, 이용자에게 지불된다. 이때, 출금 리젝트가 발생한 경우에는, 그 지폐는 일시 보관고(5)에 수납되고, 부족분의 지폐를 수납고(8, 9)로부터 추가하여 조출한다.
여기서, 지폐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일시 보관고(4)에 대해, 다른 구조를 갖는 일시 보관고를 대비하면서 설명한다.
도4는 지폐를 회전 드럼에 권취하여 보관하는 일시 보관고(4)를 갖는 지폐 취급 장치(106)의 일부를 도시한다. 지폐를 회전 드럼에 권취하여 보관하는 일시 보관고(4)는, 지폐를 회전 드럼에 권취하는 것으로부터 권취형 일시 보관고라고도 부를 수 있다. 보관하는 지폐의 크기가 대소 다양한 경우라도, 입금 계수시와 입금 수납시에 지폐의 순서가 일시 보관고(4) 내에서 바뀌는 것은 매우 적은 것이 특징이다. 이로 인해, 권취형 일시 보관고를 채용함으로써, 입금 계수시의 지폐의 순서, 위치, 판별 정보를 사용하여, 일시 보관고(4)로부터 반송처로 지폐를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권취형 일시 보관고(4)는, 지폐의 매수가 증가하면 권취부의 직 경(12)이 커져, 장치의 소형화와 대용량화의 요구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지폐를 회전 드럼에 권취하여 보관하는 일시 보관고(4)에 사용하는 부품은 권취부의 드럼, 지폐를 말려들게 하는 테이프 등 특수한 것이 많아, 다음에 설명하는 일시 보관고와 비교하여 제조ㆍ보수 등에 있어서 비용이 든다.
도5는 지폐를 겹쳐 보관하는 일시 보관고(4)를 갖는 지폐 취급 장치(106)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지폐를 겹쳐 보관하는 일시 보관고(4)는 수납고(8, 9)와 대략 마찬가지인 간이한 기구이고, 지폐를 겹치는 것으로부터 적층형 일시 보관고라고도 부를 수 있다. 이 적층형 일시 보관고(4)는, 지폐를 회전 드럼에 권취하여 보관하는 도4의 권취형 일시 보관고보다도, 저비용으로 제조ㆍ보수 등이 가능한 동시에, 소형화와 대용량화가 가능하다.
이 적층형 일시 보관고(4)는, EURO 지폐 등과 같이 고액 지폐와 저액 지폐의 크기에 상당한 차가 있는 경우에, 당해 일시 보관고(4)가 큰 지폐에 맞추어 만들어진다. 작은 지폐에 맞추어 설계하면 그것보다 큰 지폐를 보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일시 보관고에, 큰 지폐와 작은 지폐가 동시에 보관되면, 작은 지폐의 자세가 안정되지 않고, 입금 계수시와 입금 수납시에, 일시 보관고(4)에 수납되어 있는 지폐의 순서가 바뀌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지폐를 겹쳐 보관하는 일시 보관고(4)는 입금 계수시의 지폐의 순서, 위치, 판별 정보를 사용하여, 일시 보관고(4)로부터 반송처로 지폐를 반송하는 것에는 부적절하다.
도6은 도5의 적층형 일시 보관고(4)를 적용한 지폐 취급 장치(106)와, 입금 계수 처리시에, 제1 기억부(A)(107)와 제2 기억부(B)에 기억되는 내용을 나타낸 도 면이다. 입금 계수 처리시에, 판별부(3)는 지폐의 고유 정보를 판독하는 동시에 지폐의 화폐 종류, 진위 혹은 상태를 판별한다. 기억부(108)는 판별부(3)에 의해 판독, 판별된 이들 정보를 기억한다. 또한, 기억부(107)는 입금 계수의 처리시에는 아무것도 기억하지 않는다.
지폐 취급 장치(106)는 이용자로부터 접수한 지폐를 입출금부(1)의 호퍼(10)로부터 반송로(2) 상으로 반출한다. 이 반출된 지폐가, 판별부(3)를 통과했을 때에, 판별부(3)는 지폐로부터 고유 정보(예를 들어, 기번호)를 판독하거나, 또한 지폐를 화폐 종류, 진위 혹은 지폐의 상태를 판별한다. 제어부(104)는 판별부(3)가 판별한 판별 정보(화폐 종류, 진위 또는 상태)를 기초로 지폐의 반송처를 결정한다. 지폐의 반송처의 결정에 대해서는 이미 상세하게 서술했으므로 설명을 생략하나, 기억부(108)는 판별부(3)가 판독한 고유 정보, 판별한 판별 정보, 제어부(104)가 결정한 반송처 및 입금 순번 정보를 관련시켜 기억한다.
도6을 바탕으로 입금 계수 처리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경우, 수납고(8)가 만엔권의 수납고, 수납고(9)가 천엔권의 수납고로 설정되어, 운용이 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판별부(3)는 1매째의 지폐에 대해 고유 정보로서 AB123을 판독하고, 판별 정보로서, 화폐 종류에 대해서는 만엔권, 진위에 대해서는 진, 상태에 대해서는 양호하다고 판별하고 있다. 따라서, 제어부(104)는 전술한 지폐의 반송처의 결정 방법에 따라서, 만엔권의 수납고(8)를 반송처로 결정한다. 기억부(108)는 1매째의 지폐에 대해 고유 정보로서 AB123을, 판별 정보로서, 화폐 종류에 대해서는 만엔권 (도6에서는「만」이라 표시함), 진위에 대해서는 진, 상태에 대해서는 양호를, 반송처로서 수납고(8)를 기억한다.
판별부(3)는 2매째의 지폐에 대해 고유 정보로서 CD456을 판독하고, 판별 정보로서, 화폐 종류에 대해서는 만엔권, 진위에 대해서는 진, 상태에 대해서는 찢어짐 있음이라 판별하고 있다. 따라서, 제어부(104)는 전술한 지폐의 반송처의 결정 방법에 따라서, 리젝트고(5)를 반송처로 결정한다. 기억부(108)는 2매째의 지폐에 대해 고유 정보로서 CD456을, 판별 정보로서, 화폐 종류에 대해서는 만엔권(도6에서는「만」이라 표시함), 진위에 대해서는 진, 상태에 대해서는 찢어짐 있음(도6에서는「찢어짐」이라 표시함)을, 반송처로서 리젝트고(5)(도6에서는「RJ고(5)」로 표시함)를 기억한다.
판별부(3)는 3매째의 지폐에 대해 고유 정보를 판독할 수 없다. 따라서, 제어부(104)는 전술한 지폐의 반송처의 결정 방법에 따라서, 입출금부(1)의 리젝트 스택커(11)를 반송처로 결정한다. 반송처가 리젝트 스택커(11)라 결정된 지폐에 대해서는, 기억부(108)는 판별 정보 등의 정보를 기억하지 않고, 지폐를 입출금부(1)의 리젝트 스택커(11)에 반송한다.
판별부(3)는 4매째의 지폐에 대해 고유 정보로서 EF789를 판독하고, 판별 정보로서, 화폐 종류에 대해서는 만엔권, 진위에 대해서는 위(「진권이 아니거나 또는 의심스러운 지폐」를 나타냄), 상태에 대해서는 양호하다고 판별하고 있다. 판별부(3)에 의해 진권이 아니거나 또는 의심스러운 지폐라고 판별된 지폐를, 제어부(104)는 전술한 지폐의 반송처의 결정 방법에 따라서, 입출금부(1)의 리젝트 고(5)를 반송처로 결정한다. 기억부(108)는 4매째의 지폐에 대해 고유 정보로서 EF789를, 판별 정보로서, 화폐 종류에 대해서는 만엔권, 진위에 대해서는 위, 상태에 대해서는 양호를, 반송처로서 리젝트고(5)를 기억한다.
판별부(3)는 5매째의 지폐에 대해 고유 정보로서 GH012를 판독하고, 판별 정보로서, 화폐 종류에 대해서는 천엔권, 진위에 대해서는 진, 상태에 대해서는 양호하다고 판별하고 있다. 따라서, 제어부(104)는 전술한 지폐의 반송처의 결정 방법에 따라서, 천엔권의 수납고(9)를 반송처로 결정한다. 기억부(108)는 5매째의 지폐에 대해 고유 정보로서 GH012를, 판별 정보로서, 화폐 종류에 대해서는 천엔권(도6에서는「천」으로 표시함), 진위에 대해서는 진, 상태에 대해서는 양호를, 반송처로서 수납고(9)를 기억한다.
도7은 도6에서 설명한 입금 계수 처리에 의해, 기억부(108)가 각 지폐의 고유 정보, 판별 정보, 입금 순번 정보 및 반송처를 기억한 후, 지폐를 일시 보관고(4)로부터 반출하고, 입금 수납 처리를 행하고 있을 때의 기억부(107) 및 기억부(108)가 기억하고 있는 데이터를 나타낸다.
입금 수납시에는, 판별부(3)는 지폐의 고유 정보를 판독하고, 이 판독한 고유 정보와, 기억부(108)가 기억한 각 지폐의 고유 정보를 비교한다. 이에 의해, 입금 계수시와 입금 수납시에 일시 보관고(4)에 수납된 지폐의 순번이 바뀐 경우라도, 지폐 취급 장치(106)는 지폐를 잘못하여 반송처에 반송하는 일이 없어진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지폐 취급 장치(106)는 일시 보관고(4)에 수납된 지폐를 1매씩 반송로(2)로 반출하고, 이 반출된 지폐가 판별부(3)를 통과했을 때에, 판별부(3)는 지폐로부터 고유 정보를 판독하고, 기억부(107)는 판별부(3)에 판독된 고유 정보를 기억하고, 계속해서, 제어부(104)는 기억부(107)에 기억된 지폐의 고유 정보와 기억부(108)에 기억된 고유 정보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기억부(107)에 기억된 고유 정보와, 기억부(108)에 기억된 고유 정보가 동일 또는 소정의 근사도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104)는 기억부(108)에 기억된 고유 정보에 관련시켜진 반송처를 지폐의 반송처로 결정한다. 비교 결과, 기억부(107)에 기억된 고유 정보와, 기억부(108)에 기억된 고유 정보가 동일 또는 소정의 근사도를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당해 비교를 반복한다. 즉, 제어부(104)는 기억부(107)에 기억된 고유 정보와, 동일 또는 소정의 근사도를 갖고 있는 기억부(108)에 기억된 고유 정보를 검색하고, 그 고유 정보에 관련시켜진 반송처를 지폐의 반송처로서 결정한다. 지폐 취급 장치(106)는, 반송로(2)에 의해 이 결정된 반송처로 지폐를 반송한다.
이에 의해, 입금 계수시와 입금 수납시에 일시 보관고(4)에 수납된 지폐의 순번이 바뀐 경우라도, 지폐 취급 장치(106)는 지폐를 입금 계수시의 판별 정보에 따른 반송처에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6, 도7에서는 입금 계수시에, 제어부(104)에 의해 반송처를 리젝트 스택커(11)로 결정된 지폐를 일시 보관고(4)에 반송하지 않고, 그대로 리젝트 스택커(11)에 반송함으로써, 기억부(108)는, 반송처가 리젝트 스택커(11)로 결정된 지폐에 관한 고유 정보 등의 정보를 기억하지 않아도 좋게 된다. 입금 수납 처리에 관여하지 않는 정보를 기억하지 않음으로써, 입금 수납시에 있어서의 반송처의 결 정 처리를 효율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입금 계수시에, 제어부(104)에 의해 반송처를 리젝트 스택커(11)로 결정된 지폐(도6의 3매째의 지폐)에 대해서도, 기억부(108)는 고유 정보 등의 정보를 기억해도 좋다. 이들 정보와, 이용자의 구좌 등과 합하여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 지고, 리젝트 스택커(11)에 반송되는 지엽류 등을 빈번히 사용하는 이용자를 특정하여, 악의 있는 이용자의 특정에 연결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8은 도6에서 설명한 입금 계수 후에, 이용자가 입금 거래를 취소하고, 지폐를 일시 보관고(4)로부터 입출금부(1)로 반환할 때에 에러가 발생했을 때에, 지폐 취급 장치(106)의 에러의 자동 검지에 의해 혹은 계원의 조작에 의해,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3)가, 조작부(112)에 표시하는 화면이다.
지폐 취급 장치(106)가, 일시 보관고(4)로부터 입출금부(1)로 지폐를 반환할 때에, 지폐가 겹친 것에 의해, 판별부(3)에 의해 고유 정보를 판독할 수 없었던 경우나, 지폐가 복수매 겹쳐 있었던 경우나, 기억부(107)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기억부(108)의 고유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지폐 취급 장치(106)가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3)에 통지하고, 지폐의 반송을 정지한 취지를 외부에 통지하는 동시에, 조작부(112)가 계원에게 조작을 시키기 위해 이 화면을 표시한다.
조작부(112)에 의해 각 키(301 내지 303)의 계원에 의한 누름이 검지되고, 본체 제어부(114)는 각 키(301 내지 303)에 대응한 처리의 실행을 지폐 취급 장치(106)에 지시한다.
「지폐 반환」키(301)는 반송로(2) 상이나 일시 보관고(4)에 남아 있는 지폐 를 입출금부(1)로 반환하는 처리의 실행을 지시하는 키이다. 「재판별 처리」키(302)는 입출금부(1)로 반환된 지폐를 반송로(2) 상으로 반출하고, 반송로(2) 상을 반송된 지폐가 판별부(3)를 통과했을 때에, 판별부(3)에 의해 판독된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기억부(108)의 고유 정보에 관련시켜진 판별 정보를 기초로 일시 보관고(4) 또는 리젝트 스택커(11)에 수납하는 처리의 실행을 지시하는 키이다. 「재수납 처리」키(303)는 일시 보관고(4)에 수납된 지폐를 수납고(8, 9), 리젝트 스택커(11) 또는 리젝트고(5)로 반송하는 처리의 실행을 지시하는 키이다.
이하, 본 발명의 거래 처리의 구체예를 도9 내지 도1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반송처가 리젝트 스택커(11)로 결정된 지폐에 대해서는, 지폐 취급 장치(106)는 기억부(108)에 정보를 기억하지 않은 상태로, 리젝트 스택커(11)로 지폐를 반환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9는 입금 계수 처리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3)는 조작부(112)에 의해 이용자의 입금 거래 조작을 검지하고, 입금 거래를 위한 입금 계수 처리를 개시하도록 지폐 취급 장치(106)에 지시를 내보낸다. 지폐 취급 장치(106)는 입금 계수의 지시를 검지하고(스텝 1001), 기억부(105), 기억부(A)(107) 및 기억부(B)(108)를 초기화한다(스텝 1002). 입출금부(1)는 이용자에게 입금된 지폐를 반송로(2) 상으로 반출한다(스텝 1003). 반송로(2) 상을 반송된 지폐가 판별부(3)를 통과할 때에, 판별부(3) 및 제어부(4)에 의해 반송처 결정 처리가 실시된다(스텝 1004). 반송처 결정 처리에는, 상술한 반송처의 결정 방법에 의해 반송처를 결정한다.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으나, 판별부(3)는 지폐의 고유 정보를 판독하는 동시에 지폐를 지폐의 화폐 종류, 진위 혹은 상태에서 판별하고, 제어부(4)는 판별부(3)가 지폐를 판별한 판별 정보를 기초로 지폐의 반송처를 결정한다.
계속해서, 제어부(104)는 스텝 1004에서 반송처가 리젝트 스택커(11)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1005). 반송처가 리젝트 스택커(11)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 1005 : 예), 그 지폐는 입출금부(1)의 리젝트 스택커(11)로 반송된다(스텝 1008).
스텝 1005에서 반송처가 리젝트 스택커(11)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기억부(108)는 고유 정보, 판별 정보, 반송처 및 입금 순번 정보를 관련시켜 기억한다(스텝 1006). 지폐는 일시 보관고(4)로 반송된다(스텝 1007).
입출금부(1)의 호퍼(10) 내의 지폐가 없어질 때까지, 스텝 1003 내지 스텝 1008을 반복한다(스텝 1009).
도10은 도9에서 설명한 입금 계수 처리 후에, 이용자에 의해 입금 거래가 취소된 경우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입금 거래의 취소가 통지된 경우에, 지폐 취급 장치(106)가, 일시 보관고(4)로부터 입출금부(1)의 리젝트 스택커(11)로 지폐를 반환할 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을 한다.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3)는 조작부(112)에 의해 이용자의 입금 거래의 취소 조작을 검지하고, 반환 처리를 개시하도록 지폐 취급 장치(106)에 지시를 내보낸다. 지폐 취급 장치(106)는 반환 처리의 지시를 검지하고(스텝 1101), 기억부(107)를 초기화한다(스텝 1102). 일시 보관고(4)는 입금 계수 처리에 의해 일시 보관고(4)에 수납된 지폐를 반송로(2) 상으로 반출한다(스텝 1103). 반송로(2) 상으로 반송된 지폐가 판별부(3)를 통과했을 때에, 판별부(3)는 지폐의 고유 정보를 판독하고, 기억부(107)는 판별부(3)에 판독된 고유 정보를 기억한다(스텝 1104).
판별부(3)가 고유 정보를 판독할 수 없는 경우나(스텝 1105 : 예), 다른 지폐와 복수매 겹쳐 있는 경우나(스텝 1106 : 예), 판별부(3)에 의한 고유 정보의 판독은 할 수 있었으나, 기억부(108)에 기억된 고유 정보 중에, 기억부(107)에 기억된 고유 정보와 동일 또는 소정의 근사도를 갖고 있는 것이 없는 경우에는(스텝 1107 : 아니오), 지폐 취급 장치(106)는 입금 계수시의 판별 결과로서 반송처가 결정되지 않기 때문에, 지폐의 반송을 정지한다(스텝 1108). 또한, 지폐의 겹침의 유무는, 판별부(3)가 지폐의 형상, 크기, 두께를 검지함으로써 행한다.
고유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스텝 1105 : 아니오), 다른 지폐와 복수매 겹쳐 있지 않고(스텝 1106 : 아니오), 기억부(108)에 기억된 고유 정보 중에, 기억부(107)에 기억된 고유 정보와, 동일 또는 소정의 근사도를 갖고 있는 고유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스텝 1107 : 예), 기억부(107)의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기억부(108)의 고유 정보에 관련시켜진 반송처로 지폐가 반송된다(스텝 1109).
지폐 취급 장치(106)는 일시 보관고(4) 내의 지폐가 없어질 때까지 스텝 1103 내지 스텝 1109를 반복한다(스텝 1110).
도11은 도9에서 설명한 입금 계수 처리 후에, 이용자에 의해 입금 거래가 확정된 경우의 입금 수납 처리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지폐 취급 장치(106)가 입출금부(1)로부터 일시 보관고(4)로 지폐의 반송을 끝낸 후, 입금 거래 의 확정이 통지된 경우에, 지폐 취급 장치(106)가 수납고(8) 또는 수납고(9)로 지폐를 반송할 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현금 자동 취급 장치(103)는 조작부(112)에 의해 이용자의 입금 거래의 확정 조작을 검지하고, 입금 수납을 개시하도록 지폐 취급 장치(106)에 지시를 내보낸다. 지폐 취급 장치(106)는 입금 수납의 지시를 검지하고, 지폐의 수납 처리를 개시한다(스텝 1201). 지폐 취급 장치(106)는 기억부(107)를 초기화한다(스텝 1202).
일시 보관고(4)는 입금 계수 처리에 의해 일시 보관고(4)에 수납된 지폐를 반송로(2)로 반출한다(스텝 1203). 반송로(2) 상으로 반출된 지폐가 판별부(3)를 통과했을 때에, 판별부(3)는 지폐의 고유 정보를 판독하고, 기억부(107)는 판별부(3)에 판독된 고유 정보를 기억한다(스텝 1204).
고유 정보를 판독할 수 없는 경우나(스텝 1205 : 예), 다른 지폐와 복수매 겹쳐 있는 경우나(스텝 1206 : 예), 판별부(3)에 의한 고유 정보의 판독은 할 수 있었으나, 기억부(108)에 기억된 고유 정보 중에, 기억부(107)에 기억된 고유 정보와 동일 또는 소정의 근사도를 갖고 있는 것이 없는 경우에는(스텝 1207 : 아니오), 지폐는 리젝트고(5)로 반송된다(스텝 1211).
고유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스텝 1205 : 아니오), 다른 지폐와 복수매 겹쳐 있지 않고(스텝 1206 : 아니오), 판별부(3)에 의한 고유 정보의 판독은 할 수 있었으나, 기억부(108)에 기억된 고유 정보 중에, 기억부(107)에 기억된 고유 정보와, 동일 또는 소정의 근사도를 갖고 있는 것이 있는 경우에는(스텝 1207 : 예), 기억 부(107)의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기억부(108)의 고유 정보에 관련시켜진 반송처로 지폐를 반송한다(스텝 1208).
도12는 도10에서 설명한 반환 처리에 있어서, 지폐의 반송을 정지한(도10 스텝 1108) 후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계원은 ATM을 거래 모드로부터 계원 모드로 절환하고,「지폐 반환」키(301)(도8)를 누른다.
본체 제어부(114)는 조작부(112)에 의해 계원의「지폐 반환」조작을 검지하고, 지폐 취급 장치(106)에 지폐의「지폐 반환」을 개시하도록 지폐 반환 지시를 내보낸다. 지폐 취급 장치(106)는 지폐 반환 지시를 검지하고(스텝 1301), 기억부(107)를 초기화한다(스텝 1302). 여기서, 기억부(108)는 초기화하지 않고, 지폐의 입금 계수시에 기억된 정보를 유지해 둔다. 또한, 지폐 취급 장치(106)는 일시 보관고(4)에 보관되어 있었던 지폐를 입출금부(1)의 리젝트 스택커(11)로 반환하기 위해, 반송로(2) 상으로 반출한다(스텝 1303).
여기서, 입출금부(1)로 반환된 지폐는 진권이 아니거나 또는 의심스러운 지폐도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그대로 이용자에게는 건네 줄 수 없다. 이로 인해, 계원은 진권만을 이용자에게 건네주기 위해, 지폐 취급 장치(106)에 의해, 다시 지폐의 판별을 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계원은「재판별 처리」키(302)(도8)를 누른다. 본체 제어부(114)는 조작부(112)에 의해 계원의「재판별 처리」조작을 검지하고, 지폐 취급 장치(106)에, 지폐의「재판별 처리」를 개시하도록 재판별 지시를 내보낸다. 지폐 취급 장 치(106)는 재판별 지시를 검지하고(스텝 1304), 입출금부(1)로부터 지폐를 반송로(2) 상으로 반출한다(스텝 1305).
이 반송에 있어서, 판별부(3)는 지폐의 고유 정보의 판독을 행하고, 당해 지폐의 고유 정보를 기억부(107)에 기억한다(스텝 1306).
고유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스텝 1307 : 아니오), 다른 지폐와 복수 겹쳐 있지 않고(스텝 1308 : 예), 기억부(108)에 기억된 고유 정보 중에, 기억부(107)에 기억된 고유 정보와 동일 또는 소정의 근사도를 갖고 있는 것이 있고(스텝 1309 : 예), 기억부(108)에 기억된 판별 정보의 지폐의 진위가 진권인 경우(스텝 1310 : 예)에는 리젝트 스택커(11)로 지폐를 반송한다(스텝 1311).
한편, 고유 정보를 판독할 수 없는 경우(스텝 1307 : 예), 다른 지폐와 복수매 겹쳐 있는 경우(스텝 1308 : 예), 기억부(108)에 기억된 고유 정보 중에, 기억부(107)에 기억된 고유 정보와 동일 또는 소정의 근사도를 갖고 있는 것이 없는 경우(스텝 1309 : 아니오), 지폐가 위권 또는 의심스러운 지폐인 경우(스텝 13010 : 아니오)에는, 지폐는 반송로(2)에 의해 일시 보관고(4)로 반송된다(스텝 1312).
스텝 1305 내지 스텝 1312를 입출금부(1)의 호퍼(10)에 들어가 있는 지폐가 없어질 때까지 반복한다(스텝 1313).
리젝트 스택커(11)에 수납된 지폐는 진권이므로, 이용자에게 반환한다(스텝 1311). 또한, 입출금부(1)는 호퍼(10)와 리젝트 스택커(11) 사이에 칸막이가 있기 때문에, 스텝 1313에서 호퍼(10)의 지폐가 없어지기 전에, 리젝트 스택커(11)로 진권이 반송되어도, 호퍼(10)의 지폐와 리젝트 스택커(11)의 지폐가 혼합되는 일은 없다.
마지막으로 계원은「재수납 처리」키(301)(도8)를 누른다. 본체 제어부(114)는 조작부(112)에 의해 계원의「재수납 처리」조작을 검지하고, 지폐 취급 장치(106)에, 지폐의「재수납 처리」를 개시하도록 재수납 지시를 내보낸다. 지폐 취급 장치(106)는 재수납 지시를 검지하고, 스텝 1312에서 일시 보관고(4)로 반송된 지폐를, 일시 보관고(4)로부터 리젝트고(5)로 반송한다(스텝 1316).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시 보관고(4)로부터 반송처에 반송될 때에, 제어부(104)는 판별부(3)에 의해 판독된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기억부(108)의 고유 정보에 관련시켜진 반송처를 지폐의 반송처로 결정했다. 고유 정보만을 판독하고, 비교함으로써 처리의 고속화가 가능해지고, 나아가서는 반송로의 단축화,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이 밖의 형태로서, 일시 보관고(4)로부터 반송처에 반송될 때에, 판별부(103)에 고유 정보 이외에 지폐의 화폐 종류, 진위 또는 상태를 다시 판별시키고, 제어부(104)는 이 판별 정보를 바탕으로 반송처를 결정하고, 기억부(108)의 반송처와 비교하여 최종적인 반송처를 결정해도 좋다. 단, 상술한 입금 계수시의 데이터를 취급하는 실시 형태와 비교하면, 다시 진위 판정 등이 필요해진다는 점에서 처리가 지연된다.
예를 들어, 동일한 지폐라도, 입금 계수시와 입금 수납시에서는 지폐의 판별 결과가 다르고, 이 결과 입금 수납시에, 진권이 아니거나 또는 의심스러운 지폐를 발견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를 상정하고, 제어부(104)는 입금 계 수시와 입금 수납시와의 반송처를 비교하고, 어느 하나의 반송처가 리젝트고(5)인 경우, 즉 진권이 아니거나 또는 의심스러운 지폐를 발견한 경우에는 기억부(108)의 반송처를 리젝트고(5)로 변경하고, 변경한 반송처로 지폐를 반송한다. 이 결과, 지폐 취급 장치(106)는 입금 수납시에 있어서 발견한 진권이 아니거나 또는 의심스러운 지폐도 장치 내에 회수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진권이 아니거나 또는 의심스러운 지폐를 세상에 유통시키지 않는 것을 철저할 수 있다.
또한, 입금 계수시의 고유 정보, 진위 판정 결과를 이용하지 않고, 일시 보관고에 정권, 위권을 모두 일시 수납하고, 지폐 수납 처리의 진위 판정에 의해 반송처를 결정하는 형태도 생각될 수 있다. 그 경우, 판별부를 통과한 후의 반송로 상에 위권 전용의 수납고를 설치하는 것이다.
단, 판별부(3)는 입금 계수시에는 지폐를 진권이 아니거나 또는 의심스러운 지폐라고 판별했으나, 입금 수납시에는 당해 지폐를 진권이라고 판별하는 일도 있기 때문에, 입금 수납시의 판별 결과만을 기초로 하여 지폐의 반송처를 결정하는 것은 규칙을 준수하는데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입금 계수시 및 입금 수납시에, 판별부(3)는 지폐를 화폐 종류, 진위 또는 상태를 기초로 판별하고, 기억부(108)는 판별 정보로서 지폐의 화폐 종류, 진위 또는 상태를 기억하나, 판별부(3)는 화폐 종류, 진위, 상태 외에 종류(지폐의 신구), 자세, 발행 시기 등도 포함하여 판별하고, 기억부(108)는 판별 정보로서 화폐 종류, 진위, 상태 외에 종류(지폐의 신구), 자세, 발행 시기를 기억해도 좋다. 이에 의해 관리자의 요망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판별을 실시하고, 판별한 종류마다 각 수납고로 수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판별부(3)가 갖는 기억부(107)가 고유 정보를 기억하고, 기억부(108)가 판별 정보, 고유 정보 등을 기억했으나, 제어부(104)가 갖는 기억부(105)가, 판별 정보, 고유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기억해도 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억부(107)에 고유 정보를 기억하는 것으로 했으나, 입금 수납시에 판별부(3)에 의해 판독한 고유 정보를 기억하지 않고 그대로 기억부(108)에 기억된 고유 정보와 비교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하여, 입금 계수시와 입금 수납시에, 일시 보관고(4) 내의 지폐의 순서가 바뀌어도, 입금 계수시에 지폐를 판별한 결과로부터 지폐의 반송처를 결정할 수 있는 지폐 취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입금 계수 처리, 입금 수납 처리에 있어서의 고유 정보의 판독에 의한 반송처의 결정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지폐의 고유 정보와 판별 정보 또는 반송처를 관련시켜 기억함으로써, 지폐의 관리를 용이화, 엄격화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도1은 지폐 취급 장치의 장치도.
도2는 현금 자동 취급 장치의 제어 블록을 도시하는 도면.
도3은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
도4는 지폐를 회전 드럼에 권취하여 보관하는 일시 보관고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5는 지폐를 겹쳐 보관하는 일시 보관고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6은 지폐를 입금했을 때에 기억하고 있는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
도7은 일시 보관고로부터 지폐를 내보냈을 때의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8은 계원 화면의 예.
도9는 입금 거래에서의 처리 흐름도.
도10은 입금 거래의 취소 처리의 처리 흐름도.
도11은 지폐의 수납 처리의 처리 흐름도.
도12는 지폐 반송이 정지한 경우의 처리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입출금부
2 : 반송로
3 : 판별부
4 : 일시 보관고
5 : 리젝트고
6 : 통과 센서
7 : 게이트
8, 9 : 수납고
10 : 호퍼
11 : 리젝트 스택커
12 : 권취부의 직경
101 : 호스트 컴퓨터
102 : 서버
103 : 현금 자동 거래 장치
104 : 제어부
105 : 기억부
106 : 지폐 취급 장치
107 : 기억부(A)
108 : 기억부(B)
109 : 통장 취급 장치
110 : 명세표 발행 장치
111 : 카드 취급 장치
112 : 조작부
113 : 본체 제어부 기억 장치
114 : 본체 제어부
301 : 지폐 반환 키
302 : 재판별 처리 키
303 : 재수납 처리 키

Claims (18)

  1. 지폐 취급 장치이며,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와,
    상기 반송로에 의해 반송되는 지폐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판별부에 의해 지폐가 판별된 결과인 판별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판별부는 상기 반송로에 의해 반송되는 지폐의 고유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기억부는 상기 판별부에 의해 판독된 지폐의 상기 고유 정보와, 상기 판별부에 의해 판별된 지폐의 판별 정보를 관련시켜 기억하고,
    지폐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일시 보관고를 구비하고,
    상기 판별부는 상기 반송로에 의해 상기 일시 보관고로 반입되는 지폐의 고유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별부에 의해 판별된 지폐의 판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일시 보관고로부터 반출되는 지폐의 반송처를 결정하고,
    상기 기억부는 상기 고유 정보와 상기 판별 정보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지폐 취급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일시 보관고로부터 반출된 지폐의 고유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별부에 의해 판독된 상기 일시 보관고로부터 반출된 지폐의 상기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고유 정보에 관련시켜진 상기 반송처를, 상기 일시 보관고로부터 반출된 지폐의 반송처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 보관고는 지폐를 겹쳐 수납하는 적층형 일시 보관고를 포함하는 지폐 취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의 고유 정보는 지폐의 기번호를 포함하는 지폐 취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정보는 적어도 지폐의 진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폐 취급 장치.
  7. 지폐 취급 장치이며,
    지폐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일시 보관고와,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와,
    상기 반송로에 의해 상기 일시 보관고로 반입되는 지폐의 고유 정보를 판독 가능하게 설치된 판별부와,
    상기 반송로로부터 상기 일시 보관고로 반입되는 지폐에 대해 상기 판별부에 의해 지폐가 판별된 결과인 지폐의 판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일시 보관고로부터 상기 반송로로 반출되는 지폐의 반송처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판별부에 의해 판독된 상기 고유 정보와 상기 반송처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는 지폐 취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일시 보관고로부터 상기 반송로로 반출된 지폐의 고유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별부에 의해 판독된 상기 일시 보관고로부터 상기 반송로로 반출된 지폐의 상기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고유 정보에 관련시켜진 상기 반송처를, 상기 일시 보관고로부터 상기 반송로로 반출된 지폐의 반송처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가 입출금부로부터 상기 판별부를 경유하여 상기 일시 보관고로 지폐를 반송하는 입금 계수 처리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별부에 의해, 상기 반송로로부터 상기 일시 보관고로 반입하는 지폐의 고유 정보를 판독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입출금부를 반송처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입금된 지폐를 수납하는 수납고를 구비하고,
    상기 일시 보관고로부터 상기 판별부를 경유하여 상기 수납고로 지폐를 반송하는 입금 수납 처리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별부에 의해, 상기 일시 보관고로부터 상기 반송로로 반출된 지폐의 고유 정보를 판독하지 않는 경우에는, 지폐를 출금할 수 없는 수납고를 반송처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반송로가 상기 일시 보관고로부터 상기 판별부를 경유하여 입출금부로 지폐를 반송하는 반환 처리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별부가, 상기 일시 보관고로부터 상기 반송로로 반출된 지폐의 고유 정보를 판독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반송로로 지폐의 반송을 정지시키는 지폐 취급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 보관고는 지폐를 겹쳐 수납하는 적층형 일시 보관고를 포함하는 지폐 취급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에 의해 상기 제어부가 결정한 지폐의 반송처로 지폐를 반송하는 지폐 취급 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의 고유 정보는 지폐의 기번호를 포함하는 지폐 취급 장치.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정보는 적어도 지폐의 진위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16. 삭제
  17. 지폐 취급 방법이며,
    일시 보관고로 반입되는 지폐를 판별하고,
    일시 보관고로 반입되는 상기 지폐의 고유 정보를 판독하고,
    지폐를 판별한 결과인 판별 정보를 기초로 일시 보관고로부터 반출하는 지폐의 반송처를 결정하고,
    상기 반송처와 상기 고유 정보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지폐 취급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 보관고로부터 반출된 지폐의 고유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지폐의 상기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기억한 상기 고유 정보에 관련시 킨 상기 반송처를, 상기 일시 보관고로부터 반출된 지폐의 반송처로 하는 지폐 취급 방법.
KR1020080118621A 2008-03-12 2008-11-27 지폐 취급 장치 및 지폐 취급 방법 KR1011838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62002A JP5156439B2 (ja) 2008-03-12 2008-03-12 紙幣取扱装置及び現金自動取引装置
JPJP-P-2008-062002 2008-03-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766A KR20090097766A (ko) 2009-09-16
KR101183811B1 true KR101183811B1 (ko) 2012-09-17

Family

ID=40637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621A KR101183811B1 (ko) 2008-03-12 2008-11-27 지폐 취급 장치 및 지폐 취급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229947A1 (ko)
EP (1) EP2101301B1 (ko)
JP (1) JP5156439B2 (ko)
KR (1) KR101183811B1 (ko)
CN (1) CN101533537B (ko)
RU (1) RU200814690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89410B (zh) * 2006-11-13 2011-12-28 光荣株式会社 纸币处理装置
DE102009006810A1 (de) * 2009-01-30 2010-08-05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inzahlung und/oder Auszahlung zumindest von Banknoten mit einem ersten Nennwert und Banknoten mit einem zweiten Nennwert
JP5584028B2 (ja) * 2010-07-07 2014-09-03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紙幣処理システム、紙幣情報管理サーバ、紙幣情報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紙幣処理方法
JP5680893B2 (ja) * 2010-07-23 2015-03-04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引処理装置
CN102339495A (zh) * 2010-07-23 2012-02-0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自动柜员机和用自动柜员机存入钞票的方法
JP5614225B2 (ja) * 2010-10-14 2014-10-2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CN102013128B (zh) * 2010-12-17 2012-10-31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钞票处理系统及方法
JP5568485B2 (ja) * 2011-01-05 2014-08-06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搬送障害に対応した紙幣取扱装置及びその障害復旧開始方法
DE102011000797A1 (de) 2011-02-17 2012-08-23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Wertscheinen mit zwei Zwischenspeichern zum Zwischenspeichern der Wertscheine
DE102011000791B4 (de) * 2011-02-17 2022-12-15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Wertscheinen mit einer Stapelzusammenführungseinheit
WO2012114449A1 (ja) * 2011-02-22 2012-08-30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現金処理システム、現金精算装置、現金出納装置、および、現金処理方法
JP2012198764A (ja) * 2011-03-22 2012-10-18 Glory Ltd 貨幣処理装置
JP5759289B2 (ja) * 2011-06-30 2015-08-05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管理方法
JP5868620B2 (ja) * 2011-06-30 2016-02-24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JP5799651B2 (ja) * 2011-08-16 2015-10-2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入出金装置および紙幣入出金制御方法
JP5760984B2 (ja) * 2011-11-28 2015-08-1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JP2013164802A (ja) 2012-02-13 2013-08-22 Glory Ltd 紙幣処理装置および紙幣処理方法
JP5749688B2 (ja) * 2012-06-18 2015-07-15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RU2608357C2 (ru) * 2012-07-24 2017-01-18 Глори Лтд.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анкнот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банкнот
JP5870008B2 (ja) * 2012-11-21 2016-02-24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JP2014106791A (ja) * 2012-11-28 2014-06-09 Glory Ltd 貨幣入出金装置及び貨幣入出金装置の貨幣管理方法
JP2014123210A (ja) * 2012-12-20 2014-07-03 Toshiba Corp 紙葉類処理システム及び紙葉類処理方法
JP5971147B2 (ja) 2013-02-14 2016-08-1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
JP5949594B2 (ja) * 2013-02-22 2016-07-0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EP2804155B1 (de) * 2013-05-15 2018-10-24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Verfahren zum Ermitteln des Bestandes einer Geldkassette mit Hilfe der Orientierung der aufgenommenen Wertscheine
KR101460779B1 (ko) * 2013-09-06 2014-11-19 기산전자 주식회사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4036580A (zh) * 2014-03-31 2014-09-10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判别纸币发行日期的纸币处理装置
CN105374114B (zh) * 2014-08-27 2017-12-12 日立金融设备系统(深圳)有限公司 货币处理装置及其管理方法、以及货币处理系统
JP2016081170A (ja) * 2014-10-14 2016-05-1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
CN104269001A (zh) * 2014-10-31 2015-01-07 中国建设银行股份有限公司 钞票处理方法、装置及自助设备
US9934642B2 (en) * 2014-12-18 2018-04-03 Crane Payment Innovations, Inc. Multiclass logical document recycler management
JP6681234B2 (ja) * 2016-03-18 2020-04-15 グローリー株式会社 貨幣処理装置
CN106530488A (zh) * 2016-09-09 2017-03-22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存取纸币的处理方法及装置
CN107767528B (zh) * 2017-11-13 2019-12-10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检验方法、装置、atm机及存储介质
EP3736782A1 (de) 2019-05-10 2020-11-11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wertschein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6423A (ja) * 2004-06-03 2005-12-15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紙幣取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5171B2 (ja) 1998-02-06 2007-01-10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US7978899B2 (en) 2005-10-05 2011-07-12 Cummins-Allison Corp. Currency processing system with fitness detection
JP2004310594A (ja) * 2003-04-09 2004-11-04 Glory Ltd 紙葉類処理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システム
JP4362339B2 (ja) 2003-09-16 2009-11-11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JP4481061B2 (ja) * 2004-04-02 2010-06-16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JP4528067B2 (ja) * 2004-09-02 2010-08-1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紙幣管理システム、紙幣管理方法、および紙葉類取扱装置
DE102004061467A1 (de) 2004-12-17 2006-06-29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Banknoten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6423A (ja) * 2004-06-03 2005-12-15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紙幣取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33537A (zh) 2009-09-16
EP2101301A1 (en) 2009-09-16
RU2008146900A (ru) 2010-06-10
KR20090097766A (ko) 2009-09-16
JP2009217657A (ja) 2009-09-24
CN101533537B (zh) 2012-03-21
JP5156439B2 (ja) 2013-03-06
EP2101301B1 (en) 2013-01-02
US20090229947A1 (en)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811B1 (ko) 지폐 취급 장치 및 지폐 취급 방법
JP4362339B2 (ja) 紙幣取扱装置
JP4166133B2 (ja) 紙幣取扱装置
JP4012423B2 (ja) 紙幣取扱装置
JP5322901B2 (ja) 紙幣取扱装置
JP5096042B2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322770B2 (ja) 紙幣処理装置
KR102202966B1 (ko) 보충회수박스가 구비된 계원용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에 적용되는 지폐 처리 방법
JP2010108197A (ja) 自動取引装置
WO2015029174A1 (ja) 紙葉類取引装置
JP2004318335A (ja) 紙幣取扱装置
JP5607457B2 (ja) 紙葉類取扱装置
JP4341353B2 (ja) 現金処理機
JP5296191B2 (ja) 貨幣処理機および貨幣処理方法
EP2350990B1 (en) Handling of different classes of currency
JP4412014B2 (ja) 貨幣処理装置
JP2557907B2 (ja) 自動取引装置
JPH0696325A (ja) 還流式紙幣取扱装置
WO2022009708A1 (ja) 貨幣処理装置及び貨幣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2017215886A (ja) 貨幣処理システム
JP6753279B2 (ja) 現金処理装置
KR20180010752A (ko) 금융 기기
JP2017151919A (ja) 自動取引装置
JP2021157484A (ja) 媒体取扱装置
JP2016110171A (ja) 紙幣取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