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506B1 - 커넥터 분리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분리 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 분리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분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506B1
KR101176506B1 KR1020117009657A KR20117009657A KR101176506B1 KR 101176506 B1 KR101176506 B1 KR 101176506B1 KR 1020117009657 A KR1020117009657 A KR 1020117009657A KR 20117009657 A KR20117009657 A KR 20117009657A KR 101176506 B1 KR101176506 B1 KR 101176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engaging
frame member
engagement
arm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9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2014A (ko
Inventor
마사요시 히라노
에이지 마카베
다카시 이마모토
히로시 사토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82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2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comprising a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47Assembling terminal to b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Conductor
    • Y10T29/53209Terminal or conn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274Means to dis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83Means comprising hand-manipulatable imp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분리 지그(1)는 케이블이 밀집해 있는 상태여도 기판측 커넥터로부터 케이블측 커넥터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분리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리 지그(1)는 프레임 부재(30)와 아암 부재(10)를 갖는다. 아암 부재(10)는 제1 축공(軸孔)(11a)이 설치된 제1 측판(11)과, 이 제1 측판(11)과 대향 배치되며, 제2 축공(12a)이 설치된 제2 측판(12)을 구비한다. 아암 부재(10)는 그 선단측에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레버부(103)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13)를 더 갖는다. 프레임 부재(30)는 선단측에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커넥터 본체(101)의 배면에 맞닿는 맞닿음부(31)를 갖는다. 또한, 프레임 부재(30)에는 제1 축공(11a)에 대응시켜 형성된 제1 가이드 홈(32a), 제2 축공(12a)에 대응시켜 형성된 제2 가이드 홈(33a), 걸어맞춤부(13)가 출몰하는 제1 창공부(窓孔部)(35)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분리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분리 방법{CONNECTOR REMOVING JIG AND CONNECTOR REMOV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넥터 분리(拔脫)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년, 전자 기기에 있어서 케이블을 접속하는 복수의 커넥터를 상하 방향, 좌우 방향으로 고밀도로 배치하는 경우가 있다. 전자 기기의 소형화의 촉진을 배경으로 하여, 이와 같은 경향은 보다 현저해지고 있다. 복수의 커넥터가 고밀도로 배치되면, 케이블도 밀집하여 커넥터의 분리 작업을 위한 작업 에리어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즉, 복수의 케이블이 상하 방향, 좌우 방향으로 고밀도로 배치되어, 케이블이 밀집해 있으면, 특정의 케이블을 뽑아낼 때에, 밀집한 다른 케이블이 방해가 되어 분리의 대상이 되는 커넥터까지 손이 미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특정의 케이블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우선 그 대상이 되는 케이블의 주위의 케이블을 순서대로 분리하여, 대상이 되는 케이블에 손이 미치도록 작업 에리어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작업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행하는 무관계한 케이블의 분리는, 그 작업 자체가 번잡할 뿐만 아니라, 케이블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릴 때의 잘못 꽂음의 위험성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종래, 커넥터를 분리하기 위한 여러가지 뽑기 공구, 장치, 공구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다른 쪽 커넥터를 한 쪽 커넥터에 안내하는 안내 수단과, 이 안내 수단을 통해 상기 한 쪽 커넥터를 향하여 상기 다른 쪽 커넥터를 보내는 커넥터 이동 수단을 갖는 커넥터 삽탈(揷脫)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일본국 특개2004-39305호 공보
그런데, 기판측 커넥터와 케이블측 커넥터의 강고한 접합 상태를 실현하기 위한 로크 기구를 구비한 커넥터가 있다. 이와 같은 로크 기구를 구비한 커넥터가 고밀도로 배치되어 있으면, 기판측 커넥터로부터 케이블측 커넥터를 분리하는 작업은 더욱 곤란한 것이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커넥터가 고밀도로 배치되어, 케이블이 밀집해 있는 상태여도 기판측 커넥터로부터 케이블측 커넥터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분리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래의 커넥터 삽탈용 장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한 커넥터의 삽탈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로크 기구에는 여러가지 형식의 것이 존재하여, 상기 종래의 커넥터 삽탈 장치가 대상으로 하고 있지 않은 형식의 로크 기구에 대응 가능한 삽탈 지그, 분리 지그가 요구된다.
본 명세서 개시의 분리 지그는, 제1 접속 단자와 제1 걸림부 및 제2 걸림부를 갖는 기판측 커넥터에 접속된 케이블측 커넥터를 분리한다. 케이블측 커넥터는, 전면(前面)측에 상기 제1 접속 단자에 접속하는 제2 접속 단자가 설치된 커넥터 본체와, 당해 커넥터 본체의 배면측에 상기 기판측 커넥터에의 착탈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부를 갖고 있다. 또한, 케이블측 커넥터는, 당해 레버부에 연동하여 상기 제1 걸림부에 걸어맞추는 제1 걸어맞춤 클로(claw) 및 상기 제2 걸림부에 걸어맞추는 제2 걸어맞춤 클로를 갖는다.
분리 지그는, 아암 부재와 프레임 부재를 갖는다. 아암 부재는, 제1 축공(軸孔)이 설치된 제1 측판과, 당해 제1 측판과 대향 배치됨과 동시에 제2 축공이 설치된 제2 측판을 구비함과 함께, 선단측에 상기 레버부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를 갖는다. 한편, 프레임 부재는 선단측에 상기 커넥터 본체의 배면에 맞닿는 맞닿음부를 갖는다. 또한, 프레임 부재에는 상기 제1 축공에 대응시켜 형성된 제1 가이드 홈과, 상기 제2 축공에 대응시켜 형성된 제2 가이드 홈과, 상기 걸어맞춤부가 출몰하는 제1 창공부(窓孔部)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분리 지그는 상기 제1 축공과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아암 부재를 상기 프레임 부재에 대하여 요동 및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결합 부재와, 상기 제2 축공과 상기 제2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아암 부재를 상기 프레임 부재에 대하여 요동 및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결합 부재를 갖는다.
이와 같은 분리 지그는, 프레임 부재가 케이블의 밀집 개소에 끼워넣어져, 대상으로 하는 케이블측 커넥터에 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측 커넥터의 분리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분리 조작을 행할 때, 아암 부재의 요동 동작에 의해, 걸어맞춤부를 레버부에 걸어맞추고, 그 상태로 아암 부재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레버부를 인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걸림부에의 제1 걸어맞춤 클로의 걸어맞춤 및, 제2 걸림부에의 제2 걸어맞춤 클로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프레임 부재째 끌어당기면, 케이블측 커넥터의 분리를 행할 수 있다. 분리 지그는, 이 일련의 동작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명세서 개시의 분리 지그에 의하면, 케이블이 밀집해 있는 상태여도 용이하게 기판측 커넥터로부터 케이블측 커넥터를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기판측 커넥터와 케이블측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케이블측 커넥터의 사시도.
도 3(A), 도 3(B)는 모두 케이블측 커넥터의 내부의 사시도.
도 4(A), 도 4(B)는 모두 케이블측 커넥터의 내부의 사시도.
도 5(A), 도 5(B)는 모두 케이블측 커넥터의 내부 구조를 상면측에서 본 설명도.
도 6은 케이블측 커넥터의 분리에 태그를 이용한 예의 설명도.
도 7은 분리 지그의 사시도.
도 8은 분리 지그의 확산 분해도.
도 9(A)는 분리 지그의 평면도, 도 9(B)는 분리 지그의 측면도, 도 9(C)는 도 9(A)에서의 A-A선 단면도.
도 10(A)~도 10(C)는 분리 지그를 이용한 커넥터 분리 방법의 공정을 사시도로서 설명한 도면.
도 11(A)~도 11(C)는 분리 지그를 이용한 커넥터 분리 방법의 공정을 측면도로서 설명한 도면.
도 12(A)~도 12(C)는 분리 지그를 이용한 커넥터 분리 방법의 공정을 도 10(A)에서의 B-B선 단면도로서 설명한 도면.
도 13은 분리 지그가 사용되는 모습의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최량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단, 도면 중, 각 부의 치수, 비율 등은 실제의 것과 완전히 일치하게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다. 또한, 도면에 따라서는 세부(細部)가 생략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실시예]
우선, 도 7에 설명하는 본 실시예의 분리 지그(1)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분리 지그(1)에 의해 분리할 수 있는 케이블측 커넥터(100)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기판측 커넥터(50)와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케이블측 커넥터(100)를 도 1과는 다른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내부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제1 걸어맞춤 클로(104)와 제2 걸어맞춤 클로(105)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제1 걸어맞춤 클로(104)와 제2 걸어맞춤 클로(105)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A) 및 도 3(B)와는 다른 측에서 본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내부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제1 걸어맞춤 클로(104)와 제2 걸어맞춤 클로(105)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는 제1 걸어맞춤 클로(104)와 제2 걸어맞춤 클로(105)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케이블측 커넥터(100)는 도 1에 설명하는 기판측 커넥터(50)와 접속하여 이용된다. 기판측 커넥터(50)는 케이블측 커넥터(100)와 대향하는 측에 제1 접속 단자(51)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 제1 접속 단자(51)의 양측에 각각 프레임 형상의 제1 걸림부(52), 제2 걸림부(53)를 갖고 있다. 한편, 케이블측 커넥터(100)는 기판측 커넥터(50)와 대향하는 전면측에 제1 접속 단자(51)에 접속하는 제2 접속 단자(101a)가 설치된 커넥터 본체(101)를 갖고 있다. 커넥터 본체(101)는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커넥터 본체(101)의 배면측에는, 레버부(103)가 기판측 커넥터(50)에의 착탈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레버부(103)는, 기판측 커넥터(50)에의 착탈 방향으로 연재되는 제1 교각부(103a)와 제2 교각부(103b)를 갖는다. 이들 제1 교각부(103a)와 제2 교각부(103b)는 그 단부(端部)에서 교락부(橋絡部)(103c)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제1 교각부(103a), 제2 교각부(103b), 교락부(103c)는, 배면측에서 봤을 때에 프레임 형상을 나타낸다. 그리고, 제1 교각부(103a), 제2 교각부(103b), 교락부(103c)는, 후술하는 분리 지그(1)가 구비하는 프레임 부재(30)의 맞닿음부(31)를 수용하는 공간(112)을 형성하고 있다.
제1 교각부(103a)는 커넥터 본체(101)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그 선단부에 후술하는 제1 걸어맞춤 클로(104)가 접촉하는 기둥 형상의 가이드부(103a1)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부(103a1)는, 근소하게 커넥터 본체(101)의 중심측에 오프셋(offset)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교각부(103b)는 커넥터 본체(101)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그 선단부에 후술하는 제2 걸어맞춤 클로(105)가 접촉하는 기둥 형상의 가이드부(103b1)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부(103b1)는, 근소하게 커넥터 본체(101)의 중심측에 오프셋되어 있다.
제1 교각부(103a)의 선단부에는, 제1 돌기부(103a2)가 더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교각부(103b)의 선단부에는, 마찬가지로 제2 돌기부(103b2)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1 돌기부(103a2), 제2 돌기부(103b2)는, 커넥터 본체(101)의 천판(天板)에 설치된 홈(101b), 홈(101c) 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커넥터 본체(101)는 케이블(102)을 갖고 있으며, 케이블(102)은 커넥터 본체(101)의 배면으로부터 연재되어 있다.
케이블측 커넥터(100)는, 레버부(103)에 연동하여 제1 걸림부(52)에 걸어맞추는 제1 걸어맞춤 클로(104) 및 제2 걸림부(53)에 걸어맞추는 제2 걸어맞춤 클로(105)를 더 갖는다.
도 5(A) 및 도 5(B)는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내부 구조를 상면측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5(A)는 제1 걸어맞춤 클로(104), 제2 걸어맞춤 클로(105)가 닫힌 상태를 설명하고, 도 5(B)는 제1 걸어맞춤 클로(104), 제2 걸어맞춤 클로(105)가 열린 상태를 설명하고 있다. 도 5 중, 제1 걸어맞춤 클로(104)의 주위를 영역 X로 하고, 이 영역 X를 확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제1 걸어맞춤 클로(104)는, 선단부에 걸어맞춤부(104a)가 굴곡 정형(整形)되어 있다. 그리고, 이 걸어맞춤부(104a)에 직선부(104b)가 연이어 설치되고, 이 직선부(104b)에 굴곡부(104c)가 연이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굴곡부(104c)에 부착부(104d)가 연이어 설치되어 있다. 제1 걸어맞춤 클로(104)는, 부착부(104d)가 커넥터 본체(101)에 끼워넣어져서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걸어맞춤 클로(104)는, 부착부(104d)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개폐(開閉) 자재(自在)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 걸어맞춤 클로(104)는, 커넥터 본체(101)에 장착될 때에, 교각부(103a)에 설치된 가이드부(103a1)에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5(A)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레버부(103)가 끼워넣어져서 전진하여, 가이드부(103a1)가 제1 걸어맞춤 클로(104)의 직선부(104b)에 접촉해 있을 때는, 제1 걸어맞춤 클로(104)는 닫힌 상태가 된다. 한편, 도 5(B)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레버부(103)가 인출되어, 가이드부(103a1)가 제1 걸어맞춤 클로(104)의 굴곡부(104c)에 접촉해 있을 때는, 제1 걸어맞춤 클로(104)는 가이드부(103a1)에 눌려 넓혀져서, 도 4(B)나 도 5(B)에서의 화살표(110)와 같이 열린 상태가 된다.
또한, 제1 걸어맞춤 클로(104)와 제2 걸어맞춤 클로(105)는 동일한 것이다. 즉, 제2 걸어맞춤 클로(105)에 접촉한 가이드부(103b1)가 전후로 이동함으로써 부착부를 지점으로 한 제2 걸어맞춤 클로(105)의 개폐 동작이 실현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제1 걸어맞춤 클로(104), 제2 걸어맞춤 클로(105)는, 닫힌 상태가 될 때에 제1 걸림부(52), 제2 걸림부(53)에 대하여, 이들을 외측으로부터 입으로 무는 듯이 걸어맞춘다. 이와 같이 케이블측 커넥터(100)는, 기판측 커넥터(50)와의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케이블측 커넥터(100)를 본 실시예의 분리 지그(1)를 이용하지 않고 분리하려고 할 경우, 예를 들면, 도 6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태그(111)를 이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태크(111)는 필름 형상의 테이프로, 교락부(103c)에 감아붙여 사용된다. 이와 같은 태크(111)를 끌어당기면, 레버부(103)를 인출할 수 있어, 케이블츨 커넥터(100)를 기판측 커넥터(5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케이블(102)이 밀집해 있는 경우에는 태크(111)까지 손이 미치지 않는 것도 상정된다. 또한, 케이블측 커넥터(100)마다 태크(111)를 감아붙이는 작업은 번거롭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분리 지그(1)를 이용한다. 이하에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분리 지그(1)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분리 지그(1)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분리 지그(1)의 확산 분해도이다. 도 9(A)는 분리 지그(1)의 평면도이고, 도 9(B)는 분리 지그(1)의 측면도이며, 도 9(C)는 도 9(A)에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분리 지그(1)는 상기와 같은 케이블측 커넥터(100)를 기판측 커넥터(50)로부터 분리할 때에 이용된다.
분리 지그(1)는 도 8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아암 부재(10)와 프레임 부재(30)를 갖는다. 이들은 모두 판금재(板金材)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판금재를 이용함으로써, 저(低)비용으로 분리 지그(1)를 준비할 수 있다. 또한, 그 제조 자체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아암 부재(10)는 도 8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 축공(11a)이 설치된 제1 측판(11)과, 이 제1 측판(11)과 대향 배치됨과 동시에 제2 축공(12a)이 설치된 제2 측판(12)을 구비한다. 제1 측판(11)과 제2 측판(12)은 천판(17)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천판(17)은, 전방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고, 그 하측에 제1 측판(11)과 제2 측판(12)의 간격보다 좁은 간격으로 대향 배치된 연장판(18)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선단측에 레버부(103)의 교락부(103c)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13)를 갖고 있다. 걸어맞춤부(13)는, 각각의 연장판(18)의 선단에 클로 형상으로 입설(立設)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설치된 걸어맞춤부(13)의 후단면이 레버부(103)의 교락부(103c)와의 맞닿음면(13a)이 된다. 걸어맞춤부(13)는, 후술하는 제1 창공부(35)에 대하여 출몰 가능해진다. 그리고, 제1 창공부(35)로부터의 돌출량이 큰 상태에서, 교락부(103c)에 걸어맞춘다. 또한, 제1 창공부(35)로부터의 돌출량이 큰 상태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상태」에 상당한다.
아암 부재(10)는, 도 8이나 도 9(A)~도 9(C)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그 기단(基端)측에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아암 조작부(14)를 더 갖고 있다. 제1 아암 조작부(14)는, 제1 측판(11)과 제2 측판(12)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제1 측판(11)의 기단부와 제2 측판(12)의 기단부의 사이에 홈(16)이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홈(16)에는 후술하는 프레임 부재(30)의 천판(34)이 끼워넣어진다. 즉, 제1 측판(11)의 기단부 및 제2 측판(12)의 기단부와 제1 아암 조작부(14)에 의해 천판(34)을 끼워넣는 것 같은 형태가 된다.
또한, 제1 아암 조작부(14)의 최후단(最後端)은 상방을 향하여 절곡되어 있어, 조작시에 작업자의 손가락이 걸리기 쉽도록 가공되어 있다.
아암 부재(10)는, 도 8이나 도 9(B), 도 9(C)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그 하방에 프레임 부재(30)의 바닥 가장자리(30a)로부터 돌출할 수 있는 제2 아암 조작부(15)를 갖고 있다. 이 제2 아암 조작부(15)는, 제1 아암 조작부(14)와 마찬가지로 아암 부재(10)의 기단측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측판(11)의 기단부와 제2 측판(12)의 기단부를 각각 하방으로 돌출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프레임 부재(30)에 대해서 설명한다. 프레임 부재(30)는 도 8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선단측에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커넥터 본체(101)의 배면에 맞닿는 맞닿음부(31)를 갖는다. 또한, 아암 부재(10)의 제1 측판(11)에 설치된 제1 축공(11a)에 대응시켜 형성된 제1 가이드 홈(32a)을 구비한 제1 측판(32)을 갖는다. 또한, 아암 부재(10)의 제2 측판(12)에 설치된 제2 축공(12a)에 대응시켜 형성된 제2 가이드 홈(33a)을 구비한 제2 측판(33)을 갖는다. 또한, 프레임 부재(30)는, 이들 제1 측판(32)과 제2 측판(33)에 연결된 천판(34)을 갖고 있다. 이 천판(34)에는, 그 선단측에 아암 부재(10)가 갖는 걸어맞춤부(13)가 출몰하는 제1 창공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천판(34)의 중간 정도에 아암 부재(10)가 구비하는 제1 아암 조작부(14)가 돌출하는 제2 창공부(36)를 갖고 있다.
제1 가이드 홈(32a) 및 제2 가이드 홈(33a)은, 도 8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각각 기판측 커넥터(100)에의 착탈 방향으로 연재되는 긴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아암 부재(10)가 프레임 부재(30)에 대하여 제1 가이드 홈(32a) 및 제2 가이드 홈(33a)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30)가 갖는 맞닿음부(31)는, 제1 측판(32)과 제2 측판(33)의 간격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맞닿음부(31)는, 제1 창공부(35)로부터의 걸어맞춤부(13)의 돌출량이 작은 상태에서, 도 2에 나타내는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공간(112) 내에 끼워넣어진다. 공간(112)은, 제1 교각부(103a)와 제2 교각부(103b)와 교락부(103c)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 공간이다. 그리고, 커넥터 본체(101)의 배면에 맞닿아진다. 또한, 도 9(B)와 도 9(C)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 창공부(35)로부터의 걸어맞춤부(13)의 돌출량이 작은 상태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상태」에 상당한다.
이와 같은 프레임 부재(30)의 내측에 아암 부재(10)가 배치된다. 그리고, 아암 부재(10)와 프레임 부재(30)는 도 9(A)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 결합 부재(40)와 제2 결합 부재(41)를 이용하여 결합된다. 제1 결합 부재(40)와 제2 결합 부재(41)를 이용함으로써 아암 부재(10)를 프레임 부재(30)에 대하여 요동 및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40)는 도 8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나사부(40a)와 나사 수용부(40b)를 갖고 있다. 제2 결합 부재(41)도 마찬가지로 나사부(41a)와 나사 수용부(41b)를 갖고 있다. 나사 수용부(40b, 41b)는 동일한 것이며, 모두 내부에 나사선이 설치된 통(筒) 형상의 부재이다.
이와 같은 나사 수용부(40b)를 제1 축공(11a)과 제1 가이드 홈(32a)에 삽입하여, 나사부(40a)와 나사결합시킨다. 또한, 나사 수용부(41b)를 제2 축공(12a)과 제2 가이드 홈(33a)에 삽입하여, 나사부(41a)와 나사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아암 부재(10)를 프레임 부재(30)에 대하여 요동 및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분리 지그(1)의 사용 방법, 즉 분리 지그(1)를 이용한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분리에 대해서 도 10(A) 내지 도 12(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A)~10(C)는 분리 지그(1)를 이용한 커넥터 분리 방법의 공정을 사시도로서 설명한 도면이다. 도 11(A)~11(C)는 분리 지그(1)를 이용한 커넥터 분리 방법의 공정을 측면도로서 설명한 도면이다. 도 12(A)~12(C)는 분리 지그(1)를 이용한 커넥터 분리 방법의 공정을 도 10(A)에서의 B-B선 단면도로서 설명한 도면이다.
작업자는, 엄지를 제1 아암 조작부(14)에 걸고, 검지나 중지, 약지를 제2 아암 조작부(15)에 붙이는 듯한 형태로 분리 지그(1)의 프레임 부재(30)의 기단측을 잡아 작업을 행한다.
케이블측 커넥터(100)를 기판측 커넥터(50)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우선, 도 10(A), 도 11(A), 도 12(A)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13)의 상태를 제1 창공부(35)로부터의 돌출량이 작은 제1 상태로 해 둔다. 이와 같은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제1 아암 조작부(14)를 엄지에 의해 들어 올리거나, 제2 아암 조작부(15)를 검지 등에 의해 들어 올리는 동작을 하면 된다. 이에 따라, 아암 부재(10)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걸어맞춤부(13)가 내려가, 걸어맞춤부(13)는 제1 창공부(35)로부터의 돌출량이 작아진다. 또한, 이때 아암 부재(10)는, 엄지에 의해 제1 아암 조작부(14)를 전방으로 밀어냄으로써 전방에 슬라이드 이동시켜 둔다.
작업자는, 걸어맞춤부(13)의 상태를 이와 같은 제1 상태로 유지하면서 프레임 부재(30)를 전진시킨다. 그리고, 프레임 부재(30)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맞닿음부(31)를 커넥터 본체(101)의 배면에 맞닿게 한다. 즉, 맞닿음부(31)를 도 2에서 설명한 제1 교각부(103a)와 제2 교각부(103b)와 교락부(103c)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 공간(112) 내에 끼워넣어, 커넥터 본체(101)의 배면에 맞닿게 한다.
다음으로, 맞닿음부(31)를 커넥터 본체(101)의 배면에 맞닿게 하면서 아암 부재를 요동시킨다. 즉, 도 10(B), 도 11(B), 도 12(B)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 아암 조작부(14)를 밀어내린다. 이에 따라, 아암 부재(10)는 제1 결합 부재(40), 제2 결합 부재(41)를 축 부재로 하여 요동시켜, 걸어맞춤부(13)를 상승시킨다. 이 결과, 걸어맞춤부(13)의 상태가 제1 창공부(35)로부터의 돌출량이 큰 제2 상태가 된다. 작업자는, 이 상태에서 엄지를 손목측으로 끌어당겨, 제1 아암 조작부(14)를 근소하게 후퇴시킨다. 이에 따라, 걸어맞춤부(13)의 맞닿음면(13a)을 교락부(103c)에 맞닿게 하여, 걸어맞춤부(13)를 레버부(103)에 걸어맞출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C), 도 11(C), 도 12(C)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걸어맞춤부(13)를 레버부(103)에 걸어맞춘 상태에서 엄지를 손목측으로 더 끌어당겨, 아암 부재(10)를 프레임 부재(30)에 대하여 후퇴시킨다. 아암 부재(10)는, 제1 아암 조작부(14)와 제1 측판(11) 및 제2 측판(12)의 사이에 홈(16)이 설치되어 있어, 이 홈(16) 내에 천판(34)이 들어갈 수 있다. 이 때문에, 아암 부재(10)는 프레임 부재(30)에 대하여 후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아암 부재(10)의 동작에 의해 레버부(103)를 꺼내어, 제1 걸어맞춤 클로(104)와 제1 걸림부(52)의 걸어맞춤을 해제함과 동시에, 제2 걸어맞춤 클로(105)와 제2 걸림부(53)의 걸어맞춤을 해제한다. 이때, 프레임 부재(30)의 맞닿음부(31)는 커넥터 본체(101)의 배면에 맞닿아, 커넥터 본체(101)를 누른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레버부(113)만을 꺼낼 수 있다.
또한, 제1 걸어맞춤 클로(104)와 제1 걸림부(52)의 걸어맞춤, 제2 걸어맞춤 클로(105)와 제2 걸림부(53)의 걸어맞춤이 해제된 상태일 때, 제1 돌기부(103a2)와 홈(101b)은 걸어맞춤 상태가 된다. 또한, 제2 돌기부(103b2)와 홈(101c)은 걸어맞춤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제1 걸어맞춤 클로(104)와 제1 걸림부(52)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고, 제2 걸어맞춤 클로(105)와 제2 걸림부(53)의 걸어맞춤을 해제한 상태에서 프레임 부재(30)를 후퇴시킨다. 이에 따라 제1 접속 단자(51)와 제2 접속 단자(101a)의 접속이 해제된다. 이때의 힘의 전반(傳搬)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우선, 걸어맞춤부(13)를 끌어들이는 힘이 걸어맞춤부(13)와 걸어맞춤 상태에 있는 레버부(103)에 전달된다. 그리고, 그 힘이 걸어맞춤 상태에 있는 제1 돌기부(103a2)와 홈(101b), 제2 돌기부(103b2)와 홈(101c)을 통해 레버부(103)로부터 커넥터 본체(101)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커넥터 본체(101)가 끌어들여져, 제1 접속 단자(51)와 제2 접속 단자(101a)의 접속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분리가 완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의 분리 지그(1)를 이용하여 케이블측 커넥터(100)를 기판측 커넥터(5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13은 기판측 커넥터(50)에 접속한 케이블측 커넥터(100)가 상하 방향, 좌우 방향으로 고밀도로 배치되어, 케이블(102)이 밀집해 있는 상태에서 분리 지그(1)가 사용되는 모습의 설명도이다.
분리 지그(1)는, 긴 프레임 부재(30)를 갖고 있기 때문에, 케이블(102)이 밀집해 있는 상태여도 대상으로 하는 케이블측 커넥터(100)에 도달하여, 용이하게 기판측 커넥터(50)로부터 케이블측 커넥터(100)를 분리할 수 있다.
이 결과, 대상으로 하는 케이블측 커넥터(100)를 분리하기 위한 작업 에리어의 확보가 불필요해져,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여분의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분리를 수반하지 않기 때문에,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킬 때에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잘못 꽂음을 일으킬 위험성이 낮다.
또한, 분리 지그(1)는 효율적으로 레버부(103)에 힘을 전달하여, 레버부(103)를 끌어들일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분리를 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각종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9)

  1. 제1 접속 단자와 제1 걸림부 및 제2 걸림부를 갖는 기판측 커넥터에 접속된 케이블측 커넥터이며, 전면(前面)측에 상기 제1 접속 단자에 접속하는 제2 접속 단자가 설치된 커넥터 본체와, 당해 커넥터 본체의 배면측에 상기 기판측 커넥터에의 착탈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부와, 당해 레버부에 연동하여 상기 제1 걸림부에 걸어맞추는 제1 걸어맞춤 클로 및 상기 제2 걸림부에 걸어맞추는 제2 걸어맞춤 클로를 갖는 케이블측 커넥터를 상기 기판측 커넥터로부터 분리하는 커넥터 분리 지그에 있어서,
    각각에 축공(軸孔)이 설치된 1쌍의 측판을 구비함과 함께, 선단측에 상기 레버부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를 갖는 아암 부재와,
    선단측에 상기 커넥터 본체의 배면에 맞닿는 맞닿음부와, 각각에 상기 축공에 대응시켜 형성된 가이드 홈이 설치된 1쌍의 측 프레임판과, 상기 걸어맞춤부가 출몰하는 제1 창공부(窓孔部)를 갖는 프레임 부재와,
    각각이 대응하는 축공과 대응하는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아암 부재를 상기 프레임 부재에 대하여 요동 및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1쌍의 결합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분리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각각 상기 케이블측 커넥터가 상기 기판측 커넥터로부터 뽑히는 착탈 방향으로 연재되는 홈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아암 부재가 상기 프레임 부재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홈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분리 지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각각 상기 착탈 방향으로 연재되는 1쌍의 교각부와,
    상기 교각부를 결합하여 상기 교각부와 함께 상기 프레임 부재의 맞닿음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아암 부재가 갖는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춰지는 교락부(橋絡部)를 갖고,
    상기 프레임 부재의 맞닿음부는, 상기 교각부 및 상기 교락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끼워넣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분리 지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는,
    제1 상태에서, 상기 형성된 공간 내에 끼워넣어짐과 동시에 상기 커넥터 본체의 배면에 맞닿아지고,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제1 창공부로부터의 상기 걸어맞춤부의 돌출량이 상기 제1 상태보다 큰 제2 상태에서, 상기 교락부에 걸어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분리 지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부재는,
    기단(基端)측에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아암 조작부를 더 갖고,
    상기 프레임 부재는,
    상기 아암 부재가 요동함으로써 상기 제1 아암 조작부가 돌출하는 제2 창공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분리 지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부재는, 하방에 상기 프레임 부재의 바닥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할 수 있는 제2 아암 조작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분리 지그.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의 각각은, 나사부와 나사 수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분리 지그.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부재 및 상기 프레임 부재는,
    각각 판금재(板金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분리 지그.
  9. 제1 접속 단자를 갖는 케이블측 커넥터에 접속된 기판측 커넥터로부터, 분리 지그, 제1 걸림부, 제2 걸림부, 전면측에 상기 제1 접속 단자에 접속하는 제2 접속 단자가 설치된 커넥터 본체, 당해 커넥터 본체의 배면측에 상기 기판측 커넥터에의 착탈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부, 당해 레버부에 연동하여 상기 제1 걸림부에 걸어맞추는 제1 걸어맞춤 클로 및 상기 제2 걸림부에 걸어맞추는 제2 걸어맞춤 클로, 제1 축공이 설치된 제1 측판과, 당해 제1 측판과 대향 배치됨과 동시에 제2 축공이 설치된 제2 측판을 구비함과 함께, 선단측에 상기 레버부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를 갖는 아암 부재 및, 선단측에 상기 커넥터 본체의 배면에 맞닿는 맞닿음부를 갖고, 상기 제1 축공에 대응시켜 형성된 제1 가이드 홈과, 상기 제2 축공에 대응시켜 형성된 제2 가이드 홈과, 상기 걸어맞춤부가 출몰하는 제1 창공부가 형성된 프레임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블측 커넥터를 분리하는 커넥터 분리 방법으로서,
    제1 상태에서 상기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춰지는 교락부가 제1 교각부와 제2 교각부를 결합하여 형성한, 상기 레버부의 제1 교각부와 제2 교각부와 함께 상기 맞닿음부를 수용하는 공간에, 상기 프레임 부재의 상기 맞닿음부를 끼워넣는 공정과,
    상기 걸어맞춤부의 상태를 상기 제1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프레임 부재를 전진시켜, 상기 맞닿음부를 상기 커넥터 본체의 배면에 맞닿게 하는 공정과,
    상기 맞닿음부를 상기 커넥터 본체의 배면에 맞닿게 하면서 상기 아암 부재를 요동시켜 상기 걸어맞춤부의 상태를 상기 제1 창공부로부터의 돌출량이 큰 제2 상태로 하여, 상기 걸어맞춤부를 상기 레버부에 걸어맞추는 공정과,
    상기 걸어맞춤부를 상기 레버부에 걸어맞춘 상태에서 상기 아암 부재를 상기 프레임 부재에 대하여 후퇴시켜, 상기 제1 걸어맞춤 클로와 상기 제1 걸림부의 걸어맞춤을 해제함과 동시에, 상기 제2 걸어맞춤 클로와 상기 제2 걸림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공정과,
    상기 제1 걸어맞춤 클로와 상기 제1 걸림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고, 상기 제2 걸어맞춤 클로와 상기 제2 걸림부의 걸어맞춤을 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부재를 후퇴시켜, 상기 제1 접속 단자와 상기 제2 접속 단자의 접속을 해제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분리 방법.
KR1020117009657A 2008-10-30 2008-10-30 커넥터 분리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분리 방법 KR1011765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69712 WO2010050024A1 (ja) 2008-10-30 2008-10-30 コネクタ抜脱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抜脱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014A KR20110082014A (ko) 2011-07-15
KR101176506B1 true KR101176506B1 (ko) 2012-08-24

Family

ID=42128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9657A KR101176506B1 (ko) 2008-10-30 2008-10-30 커넥터 분리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분리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63376B2 (ko)
EP (1) EP2341586A4 (ko)
JP (1) JP5136651B2 (ko)
KR (1) KR101176506B1 (ko)
CN (1) CN102197548B (ko)
WO (1) WO201005002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759B1 (ko) 2020-03-06 2020-05-07 강호근 커넥터 분리용 지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53090A (zh) * 2012-05-11 2012-09-05 苏州金牛精密机械有限公司 拆除不良电子元器件用治具
CN103223656A (zh) * 2013-04-27 2013-07-31 江苏通鼎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sc外壳拆卸器
JP6653218B2 (ja) * 2016-05-26 2020-02-26 ホシデン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CN115663533B (zh) * 2022-09-15 2023-07-21 珩星电子(连云港)股份有限公司 一种具备安全保险锁结构的连接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335B1 (ko) 2008-11-27 2009-11-11 (주)뉴텍 데이터 케이블 접속용 플러그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7982U (ko) * 1975-12-26 1977-06-30
JPS5287982A (en) 1976-01-17 1977-07-22 Sanyo Electric Co Ltd Resin molding method of semiconductor elements
JPS5642953Y2 (ko) * 1977-10-14 1981-10-07
JPS5463178A (en) 1977-10-29 1979-05-21 Kansai Paint Co Ltd Surface modification of high polymer substrate
JPS6156786A (ja) 1984-08-24 1986-03-22 Hitachi Zosen Corp ステンレス鋼とアルミ青銅の拡散接合法
JPS6156786U (ko) * 1984-09-18 1986-04-16
US4582352A (en) * 1984-11-29 1986-04-15 Reinhard Filter Live-line separable insulated connector tool
JPS6265789A (ja) 1985-09-18 1987-03-25 Daiki Kk 排水浄化構造体
JPS6265789U (ko) * 1985-10-14 1987-04-23
US5210934A (en) * 1991-11-25 1993-05-18 Ag Communication Systems Corporation Extraction tool for high density cable connectors
JPH1140250A (ja) * 1997-07-24 1999-02-12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電気コネクタの結合構造
JP3201978B2 (ja) * 1997-07-24 2001-08-2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気コネクタの結合構造
JP2000354992A (ja) * 1999-06-15 2000-12-26 Babcock Hitachi Kk パワーマニプレータ操作用治具
JP3659568B2 (ja) * 2000-08-11 2005-06-1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US6612854B2 (en) * 2000-08-11 2003-09-02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Slider-equipped connector and connector
JP2002151229A (ja) * 2000-11-09 2002-05-24 Nakagawa Kikai Kogyo Kk コネクタ操作工具
JP4268380B2 (ja) * 2002-06-28 2009-05-2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コネクタ挿脱用装置
US7008253B2 (en) * 2004-05-14 2006-03-0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latch actuating mechanism
JP4175313B2 (ja) * 2004-09-27 2008-11-05 日立電線株式会社 ロック機構付きパッケージ及び光トランシーバ
JP4690145B2 (ja) * 2005-01-20 2011-06-01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4806622B2 (ja) * 2006-11-07 2011-11-0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コネクタ挿抜工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335B1 (ko) 2008-11-27 2009-11-11 (주)뉴텍 데이터 케이블 접속용 플러그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759B1 (ko) 2020-03-06 2020-05-07 강호근 커넥터 분리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36651B2 (ja) 2013-02-06
JPWO2010050024A1 (ja) 2012-03-29
CN102197548A (zh) 2011-09-21
US20110197439A1 (en) 2011-08-18
US8863376B2 (en) 2014-10-21
CN102197548B (zh) 2013-12-04
EP2341586A1 (en) 2011-07-06
WO2010050024A1 (ja) 2010-05-06
EP2341586A4 (en) 2013-12-11
KR20110082014A (ko) 2011-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76015B2 (ja) 光ファイバコネクタ抜脱工具
KR101176506B1 (ko) 커넥터 분리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분리 방법
US8740473B2 (en) Optical connector and connector connection system
EP3067724B1 (en) Optical connector plug
US7699536B2 (en) Pluggable optical transceiver
US20120027362A1 (en) Delatch device having both push and pull operability for use with an optical transceiver module, and a method
KR20190077286A (ko) 커넥터를 머시닝하기 위한 탈부착 가능한 카세트 및 이를 포함하는 크림프 도구
EP1227547B1 (en) Fixture device for use in connection of flat wire member with terminal connector
JP2009222932A (ja) コネクタ
KR20130133039A (ko) 레버 지그 및 커넥터 장치
JP5331979B2 (ja) 取り外し工具及びこれを用いたアダプタの取り外し方法
US11287584B2 (en) Connector removal tool
JP2015200771A (ja) Lc型光コネクタプラグ
KR101259535B1 (ko) 커넥터
US11099336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JP2020016744A (ja) 2連連結光コネクタ保持具
US20100098385A1 (en) Optical module locking mechanism and method of locking and releasing a locking state of an optical module
KR200447845Y1 (ko) 터미널탈거공구
JP2017182981A (ja) コネクタ用治具
US20050223548A1 (en) Cable connector compression tool
JP2020160378A (ja) 光コネクタ、及び、クサビ部材の取り外し方法
US20130267114A1 (en) Connector
JP3942959B2 (ja) 光コネクタ抜去具
JP4242690B2 (ja) コネクタ
JP2003203743A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への端子金具の挿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