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3039A - 레버 지그 및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레버 지그 및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3039A
KR20130133039A KR1020137026455A KR20137026455A KR20130133039A KR 20130133039 A KR20130133039 A KR 20130133039A KR 1020137026455 A KR1020137026455 A KR 1020137026455A KR 20137026455 A KR20137026455 A KR 20137026455A KR 20130133039 A KR20130133039 A KR 20130133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gripping
pair
fitting operatio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6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4287B1 (ko
Inventor
나오키 코바야시
아키히로 츠루타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3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5Pivoting lever comprising supplementary/additional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Conductor
    • Y10T29/53209Terminal or conn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Conductor
    • Y10T29/53209Terminal or connector
    • Y10T29/53213Assembled to wire-type conductor
    • Y10T29/53222Means comprising hand-manipulatable impl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Conductor
    • Y10T29/53209Terminal or connector
    • Y10T29/53213Assembled to wire-type conductor
    • Y10T29/53222Means comprising hand-manipulatable implement
    • Y10T29/5323Fastening by elastic jo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Conductor
    • Y10T29/53209Terminal or connector
    • Y10T29/53213Assembled to wire-type conductor
    • Y10T29/53239Means to fasten by elastic jo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57Means comprising hand-manipulatable impl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274Means to dis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83Means comprising hand-manipulatable imp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암형 커넥터(20)에 장착되고, 끼워맞춤 조작 개시 위치로부터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로의 조작에 의해 암형 커넥터(20) 및 수형 커넥터(30) 사이에 끼워맞추는 힘을 작용시켜, 암형 커넥터(20) 및 수형 커넥터(30) 사이를 끼워맞춤 개시 위치로부터 끼워맞춤 완료 위치까지 변위시키는 레버 지그(2)로서, 암형 커넥터(20)의 파지 위치와 파지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하는 커넥터 파지부(3)와, 커넥터 파지부(3)에 지지되고, 끼워맞춤 조작 개시 위치와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 사이에서 조작할 수 있는 레버 본체(10)를 구비하고, 레버 본체(10)가 조작 끼워맞춤 조작 개시 위치로부터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의 직전 위치까지의 위치에서는 커넥터 파지부(3)가 파지 위치로, 레버 본체(10)의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에서는 커넥터 파지부(3)가 파지 해제 위치로 변위한다.

Description

레버 지그 및 커넥터 장치{LEVER JIG AND CONNECTOR DEVICE}
본 발명은 한 쌍의 커넥터 사이를 낮은 조작력으로 끼워맞출 수 있는 레버 지그, 및 이것을 사용하는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레버의 조작으로 한 쌍의 커넥터를 낮은 조작력으로 끼워맞출 수 있도록 한 커넥터 장치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커넥터 장치 중에는 커넥터에 레버를 착탈이 자유롭게, 즉, 레버 지그로서 설치한 것도 제안되어 있다. 레버 지그로 함으로써 복수의 커넥터 장치의 끼워맞춤 작업을 행하고, 부품비의 삭감 등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레버 지그 및 이것을 사용한 커넥터 장치의 한 종래예가 도 1~도 4에 나타나 있다. 이하, 설명한다.
커넥터 장치(10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 지그(101)와 한 쌍의 커넥터인 암형 커넥터(120) 및 수형 커넥터(130)를 구비하고 있다.
레버 지그(101)는 도 2에 상세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장착부(102)와, 이 커넥터 장착부(102)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레버 본체(110)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 장착부(102)는 한 쌍의 측벽(103)과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벽부(104)를 가진다. 한 쌍의 측벽(103)의 상단에는 서로 내측으로 돌출하는 상방 스토퍼편(103a)이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측벽(103) 내에는 바닥면측으로부터 암형 커넥터(120)를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 쌍의 측벽(103)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커넥터 걸음 클로(105)가 복수 개소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측벽(103)의 외면에는 한 쌍의 지지 핀(106)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측벽(103)에는 한 쌍의 임시 걸음 구멍(107)이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각 임시 걸음 구멍(107)에 연통하는 가이드 슬릿(108)이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측벽(103)에 또한, 임시 걸음 구멍(107)의 하방에는 레버 스토퍼부(109)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레버 본체(110)는 한 쌍의 암부(111)와, 이 한 쌍의 암부(111) 사이를 선단에서 연결하는 조작부(112)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암부(111)의 내면측에는 한 쌍의 핀 받이 구멍(113)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한 쌍의 핀 받이 구멍(113)에 커넥터 장착부(102)의 각 지지 핀(106)이 삽입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레버 본체(110)는 한 쌍의 지지 핀(106)을 지지점으로 하여 끼워맞춤 조작 개시 위치와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 사이에서 회전 조작할 수 있다. 한 쌍의 암부(111)의 내측에는 한 쌍의 보스 인입 홈(114)이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암부(111)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임시 걸음 클로(11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레버 본체(110)는 레버 스토퍼부(109)에 맞닿는 위치에서는 임시 걸음 클로(115)가 임시 걸음 구멍(107)에 걸린다. 이 위치가 레버 본체(110)의 끼워맞춤 조작 개시 위치이다(도 1 참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형 커넥터(120)와 수형 커넥터(130)는 서로 끼워맞춤, 이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암형 커넥터(120)와 수형 커넥터(130)에는 모두 다수의 단자(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끼워맞춤 상태에서는 쌍방의 다수의 단자(도시하지 않음) 사이가 접촉된다. 암형 커넥터(120)의 상부에는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플랜지부(121)가 설치되어 있다. 수형 커넥터(130)는 상방이 개구된 커넥터 끼워맞춤실(131)을 가진다. 수형 커넥터(130)의 양측면에는 한 쌍의 보스부(132)와, 한 쌍의 임시 걸음 해제·가이드 리브(133)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암형 커넥터(120)와 수형 커넥터(130)의 끼워맞춤 작업을 설명한다. 레버 지그(101)의 레버 본체(110)는 끼워맞춤 조작 개시 위치에 세트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레버 지그(101)의 커넥터 장착부(102)의 바닥면측으로부터 암형 커넥터(120)를 삽입한다. 완전 삽입 위치까지 삽입되면, 암형 커넥터(120)의 플랜지부(121)에 커넥터 장착부(102)의 각 커넥터 걸음 클로(105)가 걸린다. 이것으로 레버 지그(101)와 암형 커넥터(120)가 연결된다.
다음에, 수형 커넥터(130)의 커넥터 끼워맞춤실(131)에 암형 커넥터(120)를 삽입한다. 그러면, 수형 커넥터(130)의 임시 걸음 해제·가이드 리브(133)가 임시 걸음 클로(115)를 해제 위치로 변위시켜, 레버 본체(110)가 회전 조작 가능하게 된다. 또, 수형 커넥터(130)의 한 쌍의 보스부(132)가 레버 본체(110)의 한 쌍의 보스 인입 홈(114)에 들어간다. 이것으로 암형 커넥터(120)와 수형 커넥터(130)가 끼워맞춤 개시 위치에 세트된다.
다음에, 레버 본체(110)를 끼워맞춤 조작 개시 위치로부터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측으로 회전 조작한다. 그러면, 수형 커넥터(130)의 한 쌍의 보스부(132)가 레버 본체(110)의 한 쌍의 보스 인입 홈(114)을 이동하고, 수형 커넥터(130)가 암형 커넥터(120)에 끌려들어간다. 즉, 수형 커넥터(130)가 끼워맞춤 위치측으로 이동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 본체(110)의 회전 조작이 진행되어,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의 부근까지 오면, 수형 커넥터(130)의 좌우 상단이 커넥터 장착부(102)의 각 커넥터 걸음 클로(105)에 맞닿는다. 이 상태에서 더욱 레버 본체(110)를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수형 커넥터(130)가 끼워맞춤 완료 위치까지 끌려들어감과 아울러 각 커넥터 걸음 클로(105)가 해제 위치로 변위된다. 이것으로 암형 커넥터(120)와 수형 커넥터(130)의 끼워맞춤 작업이 완료된다. 레버 지그(101)는 각 커넥터 걸음 클로(105)가 해제 위치가 되기 때문에, 암형 커넥터(12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87863호
그러나, 상기 종래의 레버 지그(101) 및 이것을 사용한 커넥터 장치(100)에서는, 끼워맞춤 작업 중에 암형 커넥터(120)와 수형 커넥터(130)의 상대적 위치가 기울면,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보다 앞 위치에서 깊게 끌려들어간 측의 커넥터 걸음 클로(105)가 해제 위치로 변위한다. 일부의 커넥터 걸음 클로(105)가 해제 위치로 변위하면, 레버 지그(101)를 암형 커넥터(12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암형 커넥터(120) 및 수형 커넥터(130) 사이가 반끼워맞춤 상태에서 레버 지그(101)를 암형 커넥터(120)로부터 분리해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한 쌍의 커넥터의 반끼워맞춤 상태에서의 분리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레버 지그 및 이것을 사용한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한 쌍의 커넥터의 일방에 장착되고, 끼워맞춤 조작 개시 위치로부터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로의 조작에 의해 한 쌍의 상기 커넥터 사이에 끼워맞추는 힘을 작용시키고, 한 쌍의 상기 커넥터 사이를 끼워맞춤 개시 위치로부터 끼워맞춤 완료 위치까지 변위시키는 레버 지그로서, 일방의 상기 커넥터를 파지하는 파지 위치와 일방의 상기 커넥터의 파지를 해제하는 파지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하는 커넥터 파지부와, 상기 커넥터 파지부에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끼워맞춤 조작 개시 위치와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 사이에서 조작할 수 있는 레버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 본체의 조작 위치에 의해 상기 커넥터 파지부가 변위하고, 상기 레버 본체가 끼워맞춤 조작 개시 위치로부터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의 직전 위치까지의 위치에서는 상기 커넥터 파지부가 파지 위치로, 상기 레버 본체의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에서는 상기 커넥터 파지부가 파지 해제 위치로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지그를 제공한다.
상기 커넥터 파지부는 서로의 간격이 좁은 파지 위치와 서로의 간격이 넓은 파지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하는 한 쌍의 가동 파지부와, 한 쌍의 상기 가동 파지부를 파지 해제 위치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가지고, 상기 레버 본체는 한 쌍의 상기 가동 파지부에 파지 위치 및 파지 해제 위치 모두 각각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한 쌍의 암부를 가지고, 한 쌍의 상기 암부에는 상기 가압 수단의 가압력이 작용한 한 쌍의 상기 가동 파지부가 맞닿는 제1 맞닿음면과 제2 맞닿음면이 각각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가동 파지부는 한 쌍의 상기 암부의 끼워맞춤 조작 개시 위치로부터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의 직전 위치까지의 위치에서는 상기 제1 맞닿음면에 맞닿아 파지 위치를 유지하고, 한 쌍의 상기 암부의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에서는 제2 맞닿음면에 맞닿음으로써 파지 위치로부터 파지 해제 위치로 변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본 발명은 서로 끼워맞춤 가능한 한 쌍의 커넥터와, 한 쌍의 상기 커넥터의 일방에 장착되고, 조작 개시 위치로부터 조작 완료 위치로의 조작에 의해 한 쌍의 상기 커넥터 사이에 끼워맞추는 힘을 작용시켜, 한 쌍의 상기 커넥터 사이를 끼워맞춤 개시 위치로부터 끼워맞춤 완료 위치까지 변위시키는 레버 지그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로서, 일방의 상기 커넥터는 상기 레버 지그에 파지되고, 또한, 파지 상태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레버 지그는 일방의 상기 커넥터를 파지하는 파지 위치와 일방의 상기 커넥터의 파지를 해제하는 파지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하는 커넥터 파지부와, 상기 커넥터 파지부에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끼워맞춤 조작 개시 위치와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 사이에서 조작할 수 있는 레버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 본체의 조작 위치에 의해 상기 커넥터 파지부가 변위하고, 상기 레버 본체가 끼워맞춤 조작 개시 위치로부터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의 직전 위치까지의 위치에서는 상기 커넥터 파지부가 파지 위치로, 상기 레버 본체의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에서는 상기 커넥터 파지부가 파지 해제 위치로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레버 지그의 레버 본체를 끼워맞춤 조작 개시 위치로부터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로 조작하고, 끼워맞춤 조작 개시 위치로부터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의 직전 위치까지의 조작에서는 커넥터 파지부가 파지 위치를 유지하고,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까지 조작이 완료되고 처음으로 커넥터 파지부가 파지 해제 위치로 변위하고, 레버 지그를 일방의 커넥터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커넥터 사이가 반끼워맞춤 상태에서는 분리할 수 없기 때문에, 한 쌍의 커넥터의 반끼워맞춤 상태에서의 분리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예를 나타내고, 커넥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예를 나타내고, 레버 지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예를 나타내고, 커넥터 끼워맞춤 작업의 한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예를 나타내고, 커넥터 끼워맞춤 작업의 한 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커넥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레버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레버 지그의 커넥터 장착부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레버 지그의 레버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커넥터 끼워맞춤 작업의 한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커넥터 끼워맞춤 작업의 한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커넥터 끼워맞춤 작업의 한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커넥터 끼워맞춤 작업의 한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커넥터 끼워맞춤 작업의 한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커넥터 끼워맞춤 작업의 한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커넥터 끼워맞춤 작업의 한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장치(1)는 레버 지그(2)와 한 쌍의 커넥터인 암형 커넥터(20) 및 수형 커넥터(30)를 구비하고 있다.
레버 지그(2)는 커넥터 파지부(3)와, 이 커넥터 파지부(3)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레버 본체(10)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 파지부(3)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가동 파지부(4A, 4B)와, 가압 수단인 코일 스프링(5)을 가진다. 한 쌍의 가동 파지부(4A, 4B)는 서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연결하는 연결 돌기부(4a, 4b)를 가진다. 한 쌍의 가동 파지부(4A, 4B)는 서로의 연결 돌기부(4a, 4b) 사이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서로의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 및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이동에 의해, 한 쌍의 가동 파지부(4A, 4B)는 하기하는 레버 본체(10)의 한 쌍의 암부(11)의 조작 위치에 기초하여, 서로의 간격이 좁고 암형 커넥터(20)를 파지하는 파지 위치와 서로의 간격이 넓고 암형 커넥터(20)의 파지를 해제하는 파지 해제 위치로 변위 한다. 한 쌍의 암부(11)의 조작 위치에 기초하여 한 쌍의 가동 파지부(4A, 4B)가 변위하는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하기한다.
쌍방의 연결 돌기부(4a, 4b)의 대향면에는 스프링 수용 구멍(4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쌍방의 스프링 수용 구멍(4c)에 코일 스프링(5)이 수용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5)은 한 쌍의 가동 파지부(4A, 4B)를 간격을 넓히는 방향, 즉 파지 해제 방향으로 가압한다.
한 쌍의 가동 파지부(4A, 4B)의 내면측에는 한 쌍의 2조의 협지용 돌기부(4d)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협지용 돌기부(4d)는 각 가동 파지부(4A, 4B)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가동 파지부(4A, 4B)의 외면에는 한 쌍의 지지 핀(6)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 핀(6)은 가동 파지부(4A, 4B)가 파지 위치에서도 파지 해제 위치에서도 레버 본체(10)의 핀 받이 구멍(13)으로의 삽입 상태를 유지하도록 긴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한 쌍의 가동 파지부(4A, 4B)에는 한 쌍의 임시 걸음 구멍(7)이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각 임시 걸음 구멍(7)에 연통하는 가이드 슬릿(8)이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가동 파지부(4A, 4B)의 외면에는 임시 걸음 구멍(7)의 하방으로 레버 스토퍼부(9)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레버 본체(10)는 도 5, 도 6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암부(11)와, 이 한 쌍의 암부(11) 사이를 선단에서 연결하는 조작부(12)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암부(11)의 내면측에는 한 쌍의 핀 받이 구멍(13)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한 쌍의 핀 받이 구멍(13)에 커넥터 파지부(3)의 각 지지 핀(6)이 삽입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레버 본체(10)는 한 쌍의 지지 핀(6)을 지지점으로 하여 끼워맞춤 조작 개시 위치와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 사이에서 회전 조작할 수 있다. 한 쌍의 암부(11)의 내측에는 한 쌍의 보스 인입 홈(14)이 설치되어 있다. 각 보스 인입 홈(14)은 레버 본체(10)의 끼워맞춤 조작 개시 위치와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에서는 각각 수직으로 하방 위치에 개구한다. 즉, 레버 본체(10)의 끼워맞춤 조작 개시 위치와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에서는 각 보스 인입 홈(14)에 하기하는 수형 커넥터(30)의 보스부(32)가 삽입·이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 쌍의 암부(11)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임시 걸음 클로(1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레버 본체(10)는 레버 스토퍼부(9)에 맞닿는 위치에서는 임시 걸음 클로(15)가 임시 걸음 구멍(7)에 걸린다. 이 위치가 레버 본체(10)의 끼워맞춤 조작 개시 위치이다(도 10, 도 11 참조).
한 쌍의 암부(11)에는 코일 스프링(5)의 스프링력이 작용한 한 쌍의 가동 파지부(4A, 4B)의 외면이 맞닿고 있다. 한 쌍의 암부(11)에는 서로의 간격이 좁은 한 쌍의 제1 맞닿음면(11a)과 서로의 간격이 넓은 한 쌍의 제2 맞닿음면(11b)이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제1 맞닿음면(11a)에 맞닿는 위치에서는 한 쌍의 가동 파지부(4A, 4B)가 파지 위치에 위치한다. 한 쌍의 제2 맞닿음면(11b)에 맞닿는 위치에서는 한 쌍의 가동 파지부(4A, 4B)가 파지 해제 위치에 위치한다. 제1 맞닿음면(11a)과 제2 맞닿음면(11b) 사이에는 대략 직각에 가까운 각도의 단차면(11c)이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가동 파지부(4A, 4B)는 한 쌍의 암부(11)의 끼워맞춤 조작 개시 위치로부터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의 직전 위치까지의 위치에서는 적어도 일부가 제1 맞닿음면(11a)에 맞닿아 커넥터 파지 위치에 위치하고(도 10~도 13), 한 쌍의 암부(11)의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에서는 제1 맞닿음면(11a)으로부터 벗어나 전체면이 동일 타이밍에 제2 맞닿음면(11b)에 맞닿아 커넥터 파지 위치로부터 커넥터 파지 해제 위치로 순식간에 변위하도록 되어 있다(도 14 참조).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형 커넥터(20)와 수형 커넥터(30)는 서로 끼워맞춤, 이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암형 커넥터(20)와 수형 커넥터(30)에는 모두 다수의 단자(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끼워맞춤 상태에서는 쌍방의 다수의 단자(도시하지 않음) 사이가 접촉된다.
암형 커넥터(20)의 양측면의 상부에는 한 쌍의 돌기부(21)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2조의 돌기부(21)는 암형 커넥터(20)의 측면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양측의 돌기부(21)가 한 쌍의 가동 파지부(4A, 4B)의 2조의 협지용 돌기부(4d) 사이에 들어가도록 위치를 맞추어, 암형 커넥터(20)를 커넥터 파지부(3)로 파지한다. 이 협지 구조에 의해 커넥터 파지부(3)는 암형 커넥터(20)를 강고하게 파지할 수 있다.
수형 커넥터(30)는 상방이 개구된 커넥터 끼워맞춤실(31)을 가진다. 수형 커넥터(30)의 양측면에는 한 쌍의 보스부(32)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수형 커넥터(30)의 양측면에는 한 쌍의 임시 걸음 해제·가이드 리브(33)가 종방향을 따라 돌출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암형 커넥터(20)와 수형 커넥터(30)의 끼워맞춤 작업을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 지그(2)는 레버 본체(10)가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에 위치하고, 커넥터 파지부(3)가 파지 해제 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한다. 커넥터 파지부(3)의 한 쌍의 가동 파지부(4A, 4B) 사이의 스페이스에 암형 커넥터(20)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암형 커넥터(20)의 좌우의 돌기부(21)가 각 가동 파지부(4A, 4B)의 2조의 협지용 돌기부(4d) 내에 들어가도록 위치를 맞추면서 레버 본체(10)를 끼워맞춤 조작 개시 위치측으로 회전 조작한다. 여기서, 레버 본체(10)의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에서는 한 쌍의 암부(11)의 단차면(11c)에 한 쌍의 가동 파지부(4A, 4B)의 상면단이 맞닿아 있기 때문에, 한 쌍의 가동 파지부(4A, 4B)가 단차면(11c)을 타넘음으로써 끼워맞춤 조작 개시 위치까지 회전한다. 한 쌍의 가동 파지부(4A, 4B)가 단차면(11c)을 타넘어 제1 맞닿음면(11a)으로 맞닿음면을 바꿈으로써, 한 쌍의 가동 파지부(4A, 4B)는 파지 위치로 변위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 본체(10)의 끼워맞춤 조작 개시 위치에서는 한 쌍의 가동 파지부(4A, 4B)는 파지 위치에 위치하고 암형 커넥터(20)를 파지한다. 이것에 의해, 암형 커넥터(20)는 커넥터 파지부(3)에 위치 결정되어, 커넥터 파지부(3)로부터 분리할 수 없다. 또, 끼워맞춤 조작 개시 위치에서는 레버 본체(10)의 임시 걸음 클로(15)가 커넥터 파지부(3)의 임시 걸음 구멍(7)에 걸리고, 이 위치에서 레버 본체(10)가 임시 고정된다. 이것으로 레버 지그(2)로의 암형 커넥터(20)의 세트가 완료된다.
다음에,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형 커넥터(30)의 커넥터 끼워맞춤실(31)에 암형 커넥터(20)를 삽입한다. 이 삽입에 의해, 수형 커넥터(30)의 한 쌍의 보스부(32)가 레버 본체(10)의 한 쌍의 보스 인입 홈(14)에 들어간다. 이것으로 암형 커넥터(20)와 수형 커넥터(30)가 끼워맞춤 개시 위치에 세트된다. 또, 수형 커넥터(30)의 임시 걸음 해제·가이드 리브(33)가 레버 본체(10)의 임시 걸음 클로(15)를 해제 위치로 변위시켜, 레버 본체(10)가 조작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 본체(10)를 끼워맞춤 조작 개시 위치로부터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측으로 회전 조작한다. 그러면, 수형 커넥터(30)의 한 쌍의 보스부(32)가 레버 본체(10)의 한 쌍의 보스 인입 홈(14)을 이동하여, 수형 커넥터(30)가 암형 커넥터(20)에 끌려들어간다. 즉, 수형 커넥터(30)가 끼워맞춤 위치측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레버 본체(10)의 조작 위치가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에 근접하면, 한 쌍의 가동 파지부(4A, 4B)가 암부(11)의 제1 맞닿음면(11a)에 맞닿는 면적이 서서히 적어진다. 그리고,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의 직전 위치까지 오면, 한 쌍의 가동 파지부(4A, 4B)의 일단만이 암부(11)의 제1 맞닿음면(11a)에 맞닿는다. 그러나, 한 쌍의 가동 파지부(4A, 4B)는 적어도 일부가 암부(11)의 제1 맞닿음면(11a)에 맞닿아 한 쌍의 제1 맞닿음면(11a)의 규제를 받기 때문에, 한 쌍의 가동 파지부(4A, 4B)는 파지 위치를 유지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 본체(10)가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까지 회전하면, 수형 커넥터(30)가 끼워맞춤 완료 위치까지 끌려들어간다. 또, 레버 본체(10)가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에 이르면, 한 쌍의 가동 파지부(4A, 4B)가 처음으로 암부(11)의 제1 맞닿음면(11a)으로부터 벗어나, 코일 스프링(5)의 스프링력에 의해 제2 맞닿음면(11b)으로 맞닿음 위치를 이행한다. 즉, 한 쌍의 가동 파지부(4A, 4B)는 레버 본체(10)의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에서 처음으로 파지 해제 위치로 변위한다. 이것으로 레버 지그(2)는 암형 커넥터(2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된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 지그(2)를 암형 커넥터(20)로부터 분리하고, 커넥터 끼워맞춤 작업이 완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레버 지그(2)는 암형 커넥터(20)를 파지하는 파지 위치와 암형 커넥터(20)의 파지를 해제하는 파지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하는 커넥터 파지부(3)와, 커넥터 파지부(3)에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끼워맞춤 조작 개시 위치와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 사이에서 조작할 수 있는 레버 본체(10)를 구비하고, 레버 본체(10)의 조작 위치에 의해 커넥터 파지부(3)가 변위하고, 레버 본체(10)가 끼워맞춤 조작 개시 위치로부터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의 직전 위치까지의 위치에서는 커넥터 파지부(3)가 파지 위치로, 레버 본체(10)의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에서는 커넥터 파지부(3)가 파지 해제 위치로 변위한다.
따라서, 레버 지그(2)의 레버 본체(10)를 끼워맞춤 조작 개시 위치로부터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로 조작하고, 끼워맞춤 조작 개시 위치로부터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의 직전 위치까지의 조작에서는 커넥터 파지부(3)가 파지 위치를 유지하고,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까지 조작이 완료되고 처음으로 커넥터 파지부(3)가 파지 해제 위치로 변위하여, 레버 지그(2)를 암형 커넥터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암형 커넥터(20) 및 수형 커넥터(30) 사이가 반끼워맞춤의 상태에서는 분리할 수 없기 때문에, 암형 커넥터(20) 및 수형 커넥터(30) 사이의 반끼워맞춤 상태에서의 분리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커넥터 파지부(3)는 서로의 간격이 좁은 파지 위치와 서로의 간격이 넓은 파지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하는 한 쌍의 가동 파지부(4A, 4B)와, 한 쌍의 가동 파지부(4A, 4B)를 파지 해제 위치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인 코일 스프링(5)을 가지고, 레버 본체(10)는 한 쌍의 가동 파지부(4A, 4B)에 파지 위치 및 파지 해제 위치 모두에 각각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한 쌍의 암부(11)를 가지고, 한 쌍의 암부(11)에는 코일 스프링(5)의 스프링력이 작용한 한 쌍의 가동 파지부(4A, 4B)가 맞닿는 제1 맞닿음면(11a)과 제2 맞닿음면(11b)이 각각 설치되고, 한 쌍의 가동 파지부(4A, 4B)는 한 쌍의 암부(11)의 끼워맞춤 조작 개시 위치로부터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의 직전 위치까지의 위치에서는 제1 맞닿음면(11a)에 맞닿아 파지 위치를 유지하고, 한 쌍의 암부(11)의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에서는 제2 맞닿음면(11b)에 맞닿음으로써 파지 위치로부터 파지 해제 위치로 변위한다. 따라서, 레버 본체(10)의 조작 위치에 기초하여 커넥터 파지부(3)를 변위시키는 구조를 한 쌍의 가동 파지부(4A, 4B), 가압 수단인 코일 스프링(5) 및 한 쌍의 암부(11)라는 적은 부품점수로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레버 지그(2)의 끼워맞춤 작업 종료시에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 본체(10)가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에 위치된다. 레버 본체(10)의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에서는, 한 쌍의 암부(11)의 단차면(11c)에 한 쌍의 가동 파지부(4A, 4B)의 상면단이 맞닿기 때문에, 한 쌍의 암부(11)가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에 임시 로크된다. 따라서, 다음의 커넥터 끼워맞춤 작업을 행할 때에 사용상 편의가 좋다.
1…커넥터 장치
2…레버 지그
3…커넥터 파지부
4A, 4B…가동 파지부
5…코일 스프링(가압 수단)
10…레버 본체
11…암부
11a…제1 맞닿음면
11b…제2 맞닿음면
20…암형 커넥터(커넥터)
30…수형 커넥터(커넥터)

Claims (3)

  1. 한 쌍의 커넥터의 일방에 장착되고, 끼워맞춤 조작 개시 위치로부터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로의 조작에 의해 한 쌍의 상기 커넥터 사이에 끼워맞추는 힘을 작용시키고, 한 쌍의 상기 커넥터 사이를 끼워맞춤 개시 위치로부터 끼워맞춤 완료 위치까지 변위시키는 레버 지그로서,
    일방의 상기 커넥터를 파지하는 파지 위치와 일방의 상기 커넥터의 파지를 해제하는 파지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하는 커넥터 파지부와,
    상기 커넥터 파지부에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끼워맞춤 조작 개시 위치와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 사이에서 조작할 수 있는 레버 본체
    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 본체의 조작 위치에 의해 상기 커넥터 파지부가 변위하고, 상기 레버 본체가 끼워맞춤 조작 개시 위치로부터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의 직전 위치까지의 위치에서는 상기 커넥터 파지부가 파지 위치로, 상기 레버 본체의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에서는 상기 커넥터 파지부가 파지 해제 위치로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파지부는 서로의 간격이 좁은 파지 위치와 서로의 간격이 넓은 파지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하는 한 쌍의 가동 파지부와, 한 쌍의 상기 가동 파지부를 파지 해제 위치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가지고,
    상기 레버 본체는 한 쌍의 상기 가동 파지부에 파지 위치 및 파지 해제 위치 모두 각각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한 쌍의 암부를 가지고, 한 쌍의 상기 암부에는 상기 가압 수단의 가압력이 작용한 한 쌍의 상기 가동 파지부가 맞닿는 제1 맞닿음면과 제2 맞닿음면이 각각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가동 파지부는 한 쌍의 상기 암부의 끼워맞춤 조작 개시 위치로부터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의 직전 위치까지의 위치에서는 상기 제1 맞닿음면에 맞닿아 파지 위치를 유지하고, 한 쌍의 상기 암부의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에서는 제2 맞닿음면에 맞닿음으로써 파지 위치로부터 파지 해제 위치로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지그.
  3. 서로 끼워맞춤 가능한 한 쌍의 커넥터와,
    한 쌍의 상기 커넥터의 일방에 장착되고, 조작 개시 위치로부터 조작 완료 위치로의 조작에 의해 한 쌍의 상기 커넥터 사이에 끼워맞추는 힘을 작용시켜, 한 쌍의 상기 커넥터 사이를 끼워맞춤 개시 위치로부터 끼워맞춤 완료 위치까지 변위시키는 레버 지그
    를 구비하고,
    일방의 상기 커넥터는 상기 레버 지그에 파지되고, 또한, 파지 상태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레버 지그는 일방의 상기 커넥터를 파지하는 파지 위치와 일방의 상기 커넥터의 파지를 해제하는 파지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하는 커넥터 파지부와, 상기 커넥터 파지부에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끼워맞춤 조작 개시 위치와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 사이에서 조작할 수 있는 레버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 본체의 조작 위치에 의해 상기 커넥터 파지부가 변위하고, 상기 레버 본체가 끼워맞춤 조작 개시 위치로부터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의 직전 위치까지의 위치에서는 상기 커넥터 파지부가 파지 위치로, 상기 레버 본체의 끼워맞춤 조작 완료 위치에서는 상기 커넥터 파지부가 파지 해제 위치로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KR1020137026455A 2011-03-16 2012-03-14 레버 지그 및 커넥터 장치 KR1014942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58089 2011-03-16
JP2011058089A JP5662209B2 (ja) 2011-03-16 2011-03-16 レバー治具及びコネクタ装置
PCT/JP2012/056587 WO2012124739A1 (ja) 2011-03-16 2012-03-14 レバー治具及び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039A true KR20130133039A (ko) 2013-12-05
KR101494287B1 KR101494287B1 (ko) 2015-02-17

Family

ID=46830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6455A KR101494287B1 (ko) 2011-03-16 2012-03-14 레버 지그 및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38873B2 (ko)
JP (1) JP5662209B2 (ko)
KR (1) KR101494287B1 (ko)
CN (1) CN103444017A (ko)
DE (1) DE112012001238T5 (ko)
WO (1) WO20121247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06768B2 (ja) * 2011-06-17 2015-04-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嵌合用レバー、コネクタ
USD769666S1 (en) * 2013-12-19 2016-10-25 Y.D.G. consulting ltd. Folding smoker
JP6221931B2 (ja) * 2014-05-16 2017-11-01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6492030B2 (ja) * 2016-05-30 2019-03-2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11065738B2 (en) * 2017-05-09 2021-07-20 Nonconductive Tool Company, LLC Electrical device aligning tool and method of using same
CN108942132B (zh) * 2017-05-17 2020-03-13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组装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77567A (en) * 1963-08-12 1965-04-13 Ivor H Gehrman Mating tool
JPH05182739A (ja) * 1991-12-27 1993-07-23 Fujikura Ltd 強制挿入離脱形コネクタ
JP3047053B2 (ja) * 1991-12-27 2000-05-29 住友電装株式会社 自動車用ワイヤハーネスに用いる組み合わせコネクタ
JP2605201B2 (ja) * 1992-04-21 1997-04-30 矢崎総業株式会社 低挿入力コネクタ
JP2606643Y2 (ja) * 1992-09-18 2000-12-18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H08313582A (ja) * 1995-05-17 1996-11-29 Yazaki Corp コネクタの端子検査器
JP3703653B2 (ja) * 1999-07-19 2005-10-05 富士通株式会社 コネクタ着脱ジグ
JP2003017211A (ja) * 2001-07-03 2003-01-17 Nakayo Telecommun Inc ケーブルコネクタ用脱着工具
FR2830132A1 (fr) * 2001-09-24 2003-03-28 Framatome Connectors Int Connecteur etanche a dispositif de compression de joint
JP4057476B2 (ja) * 2003-06-19 2008-03-0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嵌合具
JP4944052B2 (ja) 2008-02-08 2012-05-30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CN201336503Y (zh) * 2009-01-22 2009-10-28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插拔辅助治具
JP5466025B2 (ja) * 2010-01-22 2014-04-09 矢崎総業株式会社 嵌合補助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5723534B2 (ja) * 2010-02-03 2015-05-2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用治具
JP5500680B2 (ja) * 2010-03-26 2014-05-2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レバー式電気コネクタ
JP2011258324A (ja) * 2010-06-07 2011-12-22 Yazaki Corp コネクタ嵌合用治具、コネクタの嵌合方法、コネクタの嵌合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95154A (ja) 2012-10-11
US8938873B2 (en) 2015-01-27
US20140024240A1 (en) 2014-01-23
JP5662209B2 (ja) 2015-01-28
DE112012001238T5 (de) 2014-01-09
CN103444017A (zh) 2013-12-11
KR101494287B1 (ko) 2015-02-17
WO2012124739A1 (ja) 201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3039A (ko) 레버 지그 및 커넥터 장치
KR101520147B1 (ko) 커넥터 위치 보장 장치
JP2002343501A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US7828583B2 (en) Connector with an aligner with a flexible deformable arm with a slit
JP2002373735A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の組み付け方法及び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5945964B2 (ja) コネクタ
US20110175270A1 (en) Clamping Device With Removable Handles
KR101320881B1 (ko) 단자가이드를 갖는 커넥터
JP2011150934A (ja) 嵌合補助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WO2007046381A1 (ja) モジュール
KR101485937B1 (ko) 레버 지그 및 커넥터 장치
JP2011048174A (ja) 着脱工具
KR101472703B1 (ko) 커넥터
JP2015200771A (ja) Lc型光コネクタプラグ
JP6587595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11114801B2 (en) Connector
JPWO2019045038A1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ユニット
WO2014084025A1 (ja) 端子抜き治具
US8978242B2 (en) Connector device having connectors and a lever jig
JP5582091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5278571B2 (ja) コネクタ
JP2014032857A (ja) コネクタ
JP6259386B2 (ja) コネクタ
JP2009187846A (ja) コネクタ装置
JP2013033684A (ja) コネクタ接続用治具及びコネクタ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