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2242B1 - 약제 분포 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분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2242B1
KR101172242B1 KR1020117030472A KR20117030472A KR101172242B1 KR 101172242 B1 KR101172242 B1 KR 101172242B1 KR 1020117030472 A KR1020117030472 A KR 1020117030472A KR 20117030472 A KR20117030472 A KR 20117030472A KR 101172242 B1 KR101172242 B1 KR 101172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longitudinal
sealing member
packaging shee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0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1083A (ko
Inventor
쇼지 유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20011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6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otary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4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moving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34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Band or belt types; Ball types
    • B29C66/8341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 B29C66/83413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cooperating rollers, cylinders or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ller-ways or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2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transverse or longitudinal seams in webs or tubes
    • B65B51/28Rollers for producing longitudinal and transverse seams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6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a longitudinally-folded web, or in a web folded into a tube about th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placed upon it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횡 밀봉부와 종 밀봉부의 온도차를 줄여, 포장 시트의 제조 비용을 삭감하는 동시에 밀봉부의 구조를 간단화하고, 또한 약제의 공급량에 따라서 분포 주머니의 크기를 조정하는 약제 분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긴 포장 시트(S)를, 길이 방향을 따라서 둘로 접은 상태에서, 접은 자국을 하방측에 위치시켜 반송하는 반송 부재(27)와, 포장 시트(S)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36)를 구비한다. 밀봉 부재(36)는 포장 시트(S)의 접은 자국과는 반대측의 테두리부를 밀봉하는 종 밀봉부(41)와,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밀봉하는 횡 밀봉부(42)를 일체화한 구성이며, 접촉 분리 가능하게 밀봉 부재(36)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51)와, 횡 밀봉부(42)에 의해 포장 시트(S)를 밀봉해서 종 밀봉부(41)에 의해 포장 시트(S)를 밀봉하고 있는 동안에, 종 밀봉부(41)를 이격해서 밀봉 부재(36)를 공회전시키고, 다시 종 밀봉부(41)를 포장 시트(S)를 거쳐 접촉시키는 제어부(83)를 구비했다.

Description

약제 분포 장치{DEVICE FOR INDIVIDUALLY PACKAGING MEDICATION}
본 발명은, 캡슐정을 포함하는 정제나 가루약 등의 약제를 포장하는 약제 분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제나 가루약 등의 약제를 처방에 의거하여 1회 복용분(1포분)씩 포장하여, 연속된 약포를 작성하는 약제 분포 장치가 여러가지 제공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미리 길이 방향으로 둘로 접혀진 가늘고 긴 포장 시트를 권회한 롤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약제 분포 장치의 포장부에서는, 롤로부터 포장 시트를 공급하고, 인쇄부에서 필요한 정보를 인쇄한 후, 포장 시트를 둘로 접은 상태로부터 전개해서 개방하고, 이 개구에 삽입된 호퍼의 노즐부로부터 1포분의 약제를 도입한다. 계속해서, 열 밀봉부에 있어서 약제를 가두도록 포장 시트를 밀봉(열 융착)한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는, 포장 시트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하, 횡 방향이라고 함)으로 한 쌍의 제1 회전축을 설치하고, 이 한 쌍의 제1 회전축에 포장 시트를 횡 방향으로 밀봉하는 횡 밀봉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각 제1 회전축과 동일축에 제2 회전축을 설치하고, 이 제2 회전축에 포장 시트를 반송 방향(이하, 종 방향이라고 함)으로 밀봉하는 종 밀봉부를 설치함으로써, 분포용 밀봉을 한번에 행할 수 있는 약제 분포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이 약제 분포 장치에서는 종 밀봉부가 설치된 제2 회전축의 구동을 제어하고, 예를 들어 이송 속도를 바꾸는 등하여 포장 시트의 반송량을 조정하고, 약제의 공급량에 따라서 분포 주머니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약제 분포 장치에서는, 제1 회전축 내에 히터가 수용되고, 이 히터의 열이 제1 회전축의 횡 밀봉부에 전달되고, 다시 제1 회전축으로부터 제2 회전축의 종 밀봉부로 전달되므로, 횡 밀봉부와 종 밀봉부의 온도차가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 밀봉부가 포장 시트에 접하는 간격과 횡 밀봉부가 포장 시트에 접하는 간격이 다른 것으로, 각각의 시트부로부터 포장 시트에 열이 빼앗기는 타이밍이 다르므로, 한층 횡 밀봉부와 종 밀봉부의 온도차가 커져, 융착하는 온도와 내열 온도의 차가 큰 고가인 포장 시트를 사용할 필요가 있으므로, 포장 시트의 비용이 증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열 밀봉부를 갖는 제1 회전축과 종 밀봉부를 갖는 제2 회전축을 각각 다른 구동 기구에 의해 구동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특허 출원 제2942769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횡 밀봉부와 종 밀봉부의 온도차를 줄여, 포장 시트의 제조 비용을 삭감하는 동시에 밀봉부의 구조를 간단화하고, 또한 약제의 공급량에 따라서 분포 주머니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약제 분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약제 분포 장치는,
긴 포장 시트를, 길이 방향을 따라서 둘로 접은 상태에서, 접은 자국을 하방측에 위치시켜서 반송하는 반송 부재와,
상기 반송 부재에 의해 반송하는 포장 시트에 상방측으로부터 약제를 공급하는 약제 공급 부재와,
반송되어 온 상기 포장 시트를 양측으로부터 끼워 넣어 자전하면서 가열함으로써 밀봉하고, 공급된 약제를 1포분씩 포장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밀봉 부재를 구비한 약제 분포 장치이며,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포장 시트의 접은 자국과는 반대측의 테두리부를 반송 방향으로 밀봉하는 종 밀봉부와, 반송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상기 포장 시트를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밀봉하는 횡 밀봉부를 일체화한 구성이며,
상기 한 쌍의 밀봉 부재를, 적어도 한쪽의 밀봉 부재를 상기 포장 시트에 접촉 분리하도록 이동 가능한 상태로 해서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밀봉 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포장 시트에 대하여 적어도 종 밀봉부를 이격시킨 퇴피 위치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횡 밀봉부에 의한 밀봉 위치를 길이 방향으로 조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밀봉 부재를 퇴피 위치로 이동시켜 회전만시키는 간단한 구성으로, 횡 밀봉부에 의한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횡 방향)의 밀봉 간격을 바꿀 수 있다.
종 밀봉부와 횡 밀봉부를 일체화함으로써, 밀봉 부재의 온도차를 없애어 원하는 온도로 포장 시트를 밀봉할 수 있다. 따라서, 융착하는 온도와 내열 온도의 차가 작은 저렴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포장 시트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포장 시트의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밀봉 부재를 일체화하므로 1개의 구동 기구로 구동할 수 있고, 밀봉 부재의 구조를 간단화하고, 또한 약제의 공급량에 따라서 분포 시트의 횡 밀봉부에 의한 밀봉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적어도 한쪽의 밀봉 부재를, 양단부를 거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거나, 일단부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밀봉 부재의 타단부를 거쳐 회전 가능하게 하거나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횡 밀봉부에 의한 밀봉 위치를 조정할 경우, 상기 밀봉 부재의 퇴피 위치에서의 회전 방향을, 상기 횡 밀봉부를 원하는 위치까지 회전시키는데 회전량이 적은 방향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횡 밀봉부에 의해 포장 시트를 밀봉하는 간격을 신속히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종 밀봉부를 이격할 때에 상기 포장 시트를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필요가 없는 불필요한 구동을 필요로 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종 밀봉부를 이격할 때에 상기 포장 시트를 반송한 상태로 하고, 상기 종 밀봉부를 다시 포장 시트에 접촉시킬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포장 시트를 반송하는 범위를 종 밀봉 가능 영역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포장 시트의 반송을 정지시키는 일 없이, 밀봉 작업을 속행해서 효율적인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종 밀봉부를 이격할 때에 상기 포장 시트의 반송 속도를 밀봉 시보다도 저속으로 함으로써, 포장 시트를 반송하는 범위를 종 밀봉 가능 영역 내로 하면 좋다.
상기 제어부는, 포장 시트를 반송하는 범위를 종 밀봉 가능 영역 내로 하기 위해, 상기 종 밀봉부를 이격할 때에, 상기 포장 시트의 반송 속도를 밀봉 시보다도 저속으로 해도 좋고, 상기 밀봉 부재를 밀봉 시보다도 고속으로 공회전시키도록 해도 좋다.
상기 밀봉 부재를 포장 시트의 반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장 시트로부터 종 밀봉부를 이격시킨 후, 다시 접촉시킬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밀봉 부재를 초기 위치로부터 포장 시트의 반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종 밀봉부를 접촉시키고나서 초기 위치까지 밀봉 시보다 고속으로 자전하면서 복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해, 포장 시트로부터 종 밀봉부를 이격해서 밀봉 부재를 공회전시키고, 다시 포장 시트에 접촉시켜도, 종 밀봉부에 의해 밀봉되는 영역에 간극이 생기지 않는다. 이에 의해, 확실하게 포장 시트를 종 방향으로 밀봉하면서, 횡 방향의 밀봉 간격을 바꿀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밀봉 부재의 적어도 한쪽을, 상기 종 밀봉부를 포장 시트에 밀착시킨 밀봉 위치와, 이격시킨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히터 롤러를 이동만시키는 간단하면서도 또한 저렴한 것임에도, 포장 시트로부터 히터 롤러를 간단하게 이격시켜, 포장 시트에 대한 횡 밀봉부의 회전 위치를 쉽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밀봉 부재는, 일단부측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한쪽의 밀봉 부재의 타단부측을 압박해서 밀봉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회전시키도록 하면 좋다.
상기 각 밀봉 부재는, 동일 재료를 일체적으로 형성해서 긴 원통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열을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어, 밀봉 부재에 의한 가열 부분을 균일한 온도로 하고, 포장 시트를 불균일 없이 적절하게 밀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한 쌍의 밀봉 부재는, 고정측 히터 롤러와, 고정측 히터 롤러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일단부측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함으로써 고정측 히터 롤러에 대하여 상기 포장 시트를 거쳐 접촉 분리 가능한 가동측 히터 롤러로 구성하고,
상기 이동 기구는 회전용 모터와, 상기 회전용 모터의 회전축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 바와, 상기 연결 바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동작편과, 상기 가동측 히터 롤러의 타단부측에 설치되고, 상기 동작편에 의해 압박 가능한 압박 받침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회전용 모터를 구동하면, 연결 바, 동작편 및 압박 받침 부재를 거쳐 가동측 히터 롤러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연결 바, 동작편 및 동작 받침 부재는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만한 간단한 구성이므로,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동시에, 동작 불량이 발생하기 어렵다.
상기 밀봉 부재의 한쪽을 상기 밀봉 부재의 다른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 부재는, 가압력을 조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간단하면서도 또한 저렴한 구성임에도, 밀봉 부재의 한쪽을 밀봉 부재의 다른 쪽으로 가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가압력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밀봉 부재의 한쪽을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고정측 블록과,
상기 밀봉 부재의 다른 쪽을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고, 상기 고정측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동측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가동측 블록의 단부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해서 이동 기구를 배치할 수 있어, 장치 전체의 대형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양 밀봉 부재 사이에 포장 시트가 막힌 경우라도, 고정측 블록에 대하여 가동측 블록을 회전시킬 때, 이동 기구가 방해되지 않아 포장 시트를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밀봉 부재의 한쪽을 상기 밀봉 부재의 다른 쪽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밀봉 부재의 다른 쪽을 밀봉 위치와 퇴피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밀봉 부재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이격시키는 경우, 가압 부재에 의한 가압력이 악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동작을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밀봉 부재를 이격시키기 위한 구동 기구를 간략화하여 저렴하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이동 기구에 의해 상기 밀봉 부재의 다른 쪽을 퇴피 위치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밀봉 부재의 한쪽에 접촉해서 회전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밀봉 부재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이격시켜도, 스토퍼의 움직임에 의해 밀봉 부재의 한쪽이 포장 시트의 반송 경로로 진출해서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봉 부재를 이동시켜, 포장 시트에 대하여 적어도 종 밀봉부를 이격시킨 퇴피 위치에서 회전시킴으로써, 횡 밀봉부에 의한 밀봉 위치를 길이 방향으로 조정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임에도 횡 밀봉부에 의한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횡 방향)의 밀봉 간격을 바꿀 수 있다.
또한, 종 밀봉부와 횡 밀봉부를 일체화함으로써, 밀봉 부재의 온도차를 없애어 원하는 온도로 포장 시트를 밀봉할 수 있다. 따라서, 융착하는 온도와 내열 온도의 차가 작은 저렴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포장 시트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포장 시트의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밀봉 부재를 일체화함으로써 밀봉 부재의 구조를 간단화하고, 또한 약제의 공급량에 따라서 분포 시트의 횡 밀봉부에 의한 밀봉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분포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전방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열 밀봉부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V-V선 단면도.
도 5는 가동측 블록의 히터 롤러가 고정측 블록의 히터 롤러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 3의 정면도.
도 6은 제어부와 각 모터의 접속 상태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도 3의 열 밀봉부를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횡 방향의 밀봉 간격을 짧게 하는 히터 롤러와 반송 롤러의 회전 및 히터 롤러의 개폐 동작의 타이밍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9는 히터 롤러가 포장 시트를 밀봉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상면도.
도 10은 도 8의 A 구간에 있어서의 히터 롤러와 반송 롤러의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1은 도 8의 A 구간으로부터 B 구간으로 이행하는 히터 롤러와 반송 롤러의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2는 도 8의 B 구간에 있어서의 히터 롤러와 반송 롤러의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3은 도 8의 C 구간에 있어서의 히터 롤러와 반송 롤러의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4는 도 8의 D 구간에 있어서의 히터 롤러와 반송 롤러의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5는 도 8의 E 구간에 있어서의 히터 롤러와 반송 롤러의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6은 도 5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해 가동측 블록의 히터 롤러가 고정측 블록의 히터 롤러로부터 떨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7은 종 밀봉부에 의한 종 밀봉 가능 영역을 도시하는 히터 롤러의 부분 확대 측면도.
도 18은 반송 시트를 반송한 채 횡 방향 밀봉 간격을 바꾸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 히터 롤러를 이격시키기 전의 히터 롤러와 반송 롤러의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9는 도 18의 히터 롤러를 이격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0은 도 19에 도시하는 히터 롤러를 이격시킨 상태에서 반송 롤러를 통상의 속도로 회전시킨 경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1은 도 19에 도시하는 히터 롤러를 이격시킨 상태에서 반송 롤러를 저속도로 회전시킨 경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2는 도 21의 히터 롤러를 포장 시트를 거쳐 접촉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3은 반송 시트를 반송한 채 횡 방향 밀봉 간격을 바꾸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 히터 롤러를 이격하여 이동시키는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24는 도 23의 히터 롤러를 포장 시트를 거쳐 접촉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5는 도 23의 히터 롤러를 종 밀봉을 하면서 자전시켜 초기 위치까지 복귀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6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열 밀봉부의 사시도.
도 27은 도 26의 열 밀봉부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28은 도 26의 열 밀봉부를 상방측에서 본 사시도.
도 29는 도 26의 고정측 블록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0은 도 26의 열 밀봉부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31은 도 26의 히터 롤러의 사시도.
도 32는 도 26의 가동측 블록측의 부분 단면도.
도 33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분포 장치의 블록도.
도 34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히터 롤러의 개략 설명도.
도 35는 도 34의 히터 롤러에 의해 형성되는 포장 시트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따라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 및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분포 장치(1)를 도시한다. 이 약제 분포 장치(1)는, 정제 공급 유닛(2), 가루약 공급 유닛(3), 분포 유닛(4)을 구비한다. 약제 공급 부재인 정제 공급 유닛(2)과 가루약 공급 유닛(3)은 하우징(6)의 상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분포 유닛(4)은 하우징(6) 내에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6)의 전방면 개구는, 포장이 끝난 약제가 배출되는 약제 배출부(7)를 제외하고 한쪽으로만 여닫는 도어형의 개폐 가능한 커버(8)로 개폐 가능하게 덮여 있다. 이 커버(8)를 개방하면, 하우징(6) 내의 분포 유닛(4)에 작업자가 액세스할 수 있다.
정제 공급 유닛(2)은, 복수의 정제 수용되(11)가 격자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개개의 정제 수용되(11)에 수작업으로 공급된 1포분의 정제를 자동적으로 차례로 취출해서 분포 유닛(4)에 공급한다.
가루약 공급 유닛(3)은, 하우징(6)의 상면에 개방한 단면이 대략 V자 형상인 가늘고 긴 되[V되(16)]에 수작업으로 가루약이 공급되고, 이 가루약을 자동적으로 1포분씩 분할해서 차례로 분포 유닛(4)에 공급한다. 또한, V되(16) 내에는 가루약의 분할수를 조정하기 위한 가동 구획판(17)이 배치되어 있다.
분포 유닛(4)은, 호퍼(23)를 거쳐 상기 정제 공급 유닛(2) 또는 상기 가루약 공급 유닛(3)으로부터 공급된 정제 또는 가루약을 포장 시트(S)에 1포분씩 포장한다. 포장 시트(S)는 롤(28)에 권회되어, 복수의 롤러(26)를 거쳐 최종적으로 경사 하방으로 방향이 변환되고, 삼각판에 의해 V자 형상으로 절곡하게 됨으로써 형성된 공간에, 호퍼(23)의 하단부가 위치하고 있다. 호퍼(23)를 거쳐 약제가 공급된 포장 시트(S)는, 다시 하류측의 열 밀봉부(24)에서 개구 부분이 횡 방향 및 종 방향으로 밀봉되어, 1포분으로서 포장된다. 또, 상기 포장 시트(S)는 길이 방향을 따라 둘로 접혀진 상태에서 롤(28)에 권회된 것을 되감기도록 해도 좋다. 열 밀봉부(24)의 반송 방향 하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반송 부재인 반송 롤러(27)는 가이드 모터(27a)에 구동되고, 열 밀봉부(24)에 의해 밀봉되는 포장 시트(S)를 끼움 지지해서 반송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열 밀봉부(2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하는 하우징(6)에 고정해서 설치한 고정측 블록(31)과, 이 고정측 블록(31)의 상부에 설치한 지지축(32)을 중심으로 해서 하부가 고정측 블록(3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면 중 a 방향)으로 회전하고, 고정측 블록(31)에 대하여 개폐되는 가동측 블록(33)을 갖는다. 가동측 블록(33)이 고정측 블록(31)에 폐쇄된 위치가 열 밀봉 위치이며, 개방되어 벗어난 위치가 포장 시트(S)를 삽입 관통하기 위한 작업 위치이다.
양 블록(31, 33)은, 각각 밀봉 부재인 히터 롤러(36)를 갖고 있다. 블록(31, 33)에는, 히터 롤러(36)의 축부(36a)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3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히터 롤러(36)는 축 방향의 단면이 대략 I자형이고, 상단부에 위치하는 링 형상의 종 밀봉부(41)와, 하단부에 위치하는 종 밀봉부(41)와 같은 형태의 구름 이동부(41a)와, 종 밀봉부(41)와 구름 이동부(41a) 사이에 위치하는 횡 밀봉부(42)를 갖는다. 횡 밀봉부(42)의 내부에는 히터(도시하지 않음)가 수용되고, 이 히터가 횡 밀봉부(42)와 종 밀봉부(41)를 가열하고 있다.
히터 롤러(36)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축부(36a)에는 메인 기어(38)와 서브 기어(39)가 일체화되어 있다. 메인 기어(38)의 이는 반경 방향으로 깊으므로, 가동측 블록(33)이 열 밀봉 위치 또는 작업 위치 중 어디에 있어도 맞물릴 수 있다. 가동측 블록(33)이 열 밀봉 위치에 있을 때는, 메인 기어(38) 및 서브 기어(39)끼리가 맞물리고, 가동측 블록(33)이 작업 위치에 있을 때는, 서브 기어(39)가 이격해 메인 기어(38)끼리가 맞물린다. 즉, 블록(31, 33)의 개폐 동작에 의해, 반드시 메인 기어(38)가 맞물린다. 그리고 고정측 블록(31)의 메인 기어(38)에 히터 롤러 구동 모터(40)로부터 구동 기어(40a)를 거쳐 동력이 전달된다. 이 결과, 히터 롤러 구동 모터(40)를 구동해서 고정측 블록(31)의 메인 기어(38)를 거쳐 히터 롤러(36)를 회전시키면, 가동측 블록(33)의 히터 롤러(36)도 동기해서 회전한다. 따라서, 양 블록(31, 33)의 위치 관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히터 롤러(36)를 1개의 히터 롤러 구동 모터(40)로 구동하므로, 열 밀봉부(24)의 구조를 간단화할 수 있다.
메인 기어(38)와 서브 기어(39) 사이에는 트롤리 전극(43)이 설치되고, 이 트롤리 전극(43)에는 전력 공급용 브러시(44)가 미끄럼 접촉하여,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가동측 블록(33)에 배치된 히터 롤러(36)의 상하 베어링부(37)에는 지지 부재(51)가 연결되고, 히터 롤러(36)가 b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지지 부재(51)는 동력원인 연결부 구동 모터(52)와, 이 연결부 구동 모터(52)에 의해 지지축(65) 주위로 회전 구동되는 요동 부재(59)(도 4 참조)와, 이 요동 부재(59)와 히터 롤러(36)의 베어링부(37)를 연결하는 연결부(71)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부 구동 모터(52)에는 구동 기어(53)가 연결되고, 이 구동 기어(53)와 맞물리는 종동 기어(54)가 회전축(56)에 배치되어 있다. 회전축(56)의 양단부에는 편심하여 설치된 원형의 캠(57)이 형성되어 있다.
요동 부재(59)는, 로드로 이루어지는 지지축(6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평면에서 보아 대략 L자 형상이고, 한쪽의 아암부(62)에는 긴 구멍(60)이 형성되고, 다른 쪽의 아암부(63)는 핀(66)을 거쳐 연결부(71)에 연결되어 있다.
지지축(65)이, 요동 부재(59)의 양측에 배치된 협지 부재(61)를 관통함으로써, 요동 부재(59)는 협지 부재(61)에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긴 구멍(60)에는 베어링(58)이 끼워 넣어져 있고, 이 베어링(58)을 거쳐 요동 부재(59)가 캠(57)에 연결되어 있다. 긴 구멍(60)을 형성함으로써, 편심되어 있는 캠(57)이 회전해도 이 캠(57)과 요동 부재(59)와의 간섭을 회피하여, 요동 부재(59)는 회전할 수 있다. 캠(57)이 회전하면 아암부(62)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요동 부재(59)가 지지축(65)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아암부(63)는 도면 중 b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연결부(71)는, 핀(66)과 접속하는 요동 부재측 로드(72)와, 히터 롤러(36)의 축(36a)의 베어링부(37)의 외주에 고정된 브래킷(74)을 고정하는 히터 롤러측 로드(76)와, 요동 부재측 로드(72)와 히터 롤러측 로드(76)를 연결하는 원통 형상의 로드 연결부(79)로 이루어진다. 요동 부재측 로드(72)의 외주에는 나사부(75)가 형성되고, 이 나사부(75)에 제1 너트(73)가 나사 결합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히터 롤러측 로드(76)의 외주에는 나사부(75)가 형성되고, 이 나사부(75)에 제2 너트(77)가 나사 결합하고 있다. 로드 연결부(79)의 요동 부재(59)측이며, 그 내주에는 이부(79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이부(79a)는 요동 부재측 로드(72)의 나사부(75)와 맞물려 있다. 제1 너트(73)와 로드 연결부(79)가 접촉하도록, 제1 너트(73)와 로드 연결부(79)를 나사부(75)에 체결함으로써, 양 부재(73, 79)를 요동 부재측 로드(72)에 고정하고 있다. 로드 연결부(79)의 히터 롤러(36)측의 개방한 단부의 내주면에 플랜지(79b)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너트(77)가 플랜지(79b)로부터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있으며, 로드 연결부(79)가 b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 너트(77)가 플랜지(79b)와 걸림 고정하여 히터 롤러측 로드(76)를 b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히터 롤러측 로드(76)에는 스프링 부재(78)가 외부 삽입되고, 이 스프링 부재(78)의 한쪽 단부가 브래킷(74)에 걸림 고정되고, 다른 쪽 단부는 로드 연결부(79)에 걸림 고정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히터 롤러(36)는 항상 스프링 부재(78)에 의해 다른 쪽 히터 롤러(36)를 향해 가압되고 있다. 또한, 스프링 부재(78)가 로드 연결부(79)에 걸림 고정되어 있으므로, 로드 연결부(79)의 고정 위치를 바꿈으로써, 스프링 부재(78)에 의한 히터 롤러(36)의 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요동 부재(59)가 b 방향으로 회전하면 요동 부재측 로드(72), 로드 연결부(79), 제2 너트(77) 및 히터 롤러측 로드(76)를 거쳐 히터 롤러(36)를 스프링 부재(78)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b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제1 너트(73) 및 로드 연결부(79)의 요동 부재측 로드(72)에 있어서의 고정 위치를 바꿈으로써, 연결부(71)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롤러(27), 가이드 모터(27a), 히터 롤러 구동 모터(40) 및 연결부 구동 모터(52)는 각각 제어부(83)에 접속되어 있고, 이 제어부(83)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히터 롤러(36)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참조하면, 스텝 S1에서 제어부(83)가 처방 데이터에 의거하여 포장하는 약제의 양이 통상적인지 혹은 적은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약제의 양이 통상적이면 스텝 S2로 진행하고, 제어부(83)는 도 8의 A 구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롤러(27)를 자전시킨다. 그리고 스텝 S3으로 진행하여 히터 롤러(36)를 폐쇄한 상태, 즉 종 밀봉부(41)를 포장 시트(S)를 거쳐 접촉시킨 상태에서 자전시킴으로써, 횡 방향의 밀봉 간격을 일정 간격(L3)으로 유지해 포장 시트(S)를 밀봉한다(도 9 참조). 이때, 종 밀봉부(41)는 포장 시트(S)의 개구부를 구름 이동함으로써 포장 시트(S)를 종 방향으로 밀봉하고 있다. 또한, 횡 밀봉부(42)의 양 테두리부는, 반회전할 때마다 포장 시트(S)와 접촉하여 횡 방향으로 밀봉하고 있다. 종 밀봉부(41)와 횡 밀봉부(42)를 일체화함으로써, 히터 롤러(36)의 온도차를 없애 원하는 온도로 포장 시트(S)를 밀봉할 수 있다. 따라서, 융착하는 온도와 내열 온도의 차가 작은 저렴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포장 시트(S)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포장 시트(S)의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융착하는 온도와 내열 온도의 차가 작은 재료로서,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PS(폴리스티렌)를 들 수 있다. 종래에는, 융착하는 온도와 내열 온도의 차가 큰 셀로폴리를 포장 시트(S)의 재료에 사용하고 있었지만, PET는 셀로폴리보다도 2 내지 3할, PS는 셀로폴리보다 3 내지 4할 값이 저렴하며, 본 발명에 따르면, 포장 시트(S)의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히터 롤러(36)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 중 상측의 히터 롤러(36)를 시계 방향으로 자전시키고 하측의 히터 롤러(36)를 반시계 방향으로 자전시키고 있다(이하, 정회전이라고 함).
내포하는 약제의 분량이 적을 경우에는, 상기 간격(L3)을 좁게 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스텝 S4로 진행하여, 도 8의 B 구간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터 롤러(36)와 반송 롤러(27)의 자전을 정지시킨다. 다음에 스텝 S5로 진행하여, 제어부(83)는 히터 롤러(36)를 폐쇄한 상태로부터 이격시킨다(도 12 참조).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 구동 모터(52)를 구동하고, 구동 기어(53)와 종동 기어(54)를 거쳐 캠(57)에 의해 요동 부재(59)를 b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요동 부재측 로드(72), 로드 연결부(79) 및 히터 롤러측 로드(76)를 거쳐 가동측 블록(33)의 히터 롤러(36)의 축(36a)이 b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고정측 블록(31)의 히터 롤러(36)와 가동측 블록(33)의 히터 롤러(36)와의 사이에 간격(L1)이 발생한다(도 5 참조). 이 간격(L1)은 여기에서는 O.5㎜이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스텝 S6에서는 포장 시트(S)를 정지한 채, 도 8의 C 구간에 있어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터 롤러(36)를 이격한 상태에서 정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히터 롤러(36)가 공회전한다. 도 8의 D 구간에서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롤러(27)의 자전을 정지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스텝 S7로 진행해 히터 롤러(36)의 자전도 정지하고, 스텝 S8에서 히터 롤러(36)를 개방한 상태로부터 폐쇄한 상태로 이행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연결부 구동 모터(52)를 계속해서 구동함으로써, 캠(57)에 종동해서 요동 부재(59)를 b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히터 롤러(36)의 축(36a)도 동일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히터 롤러(36)는 폐쇄된다. 스텝 S9로 진행하면, 도 8의 E 구간에 있어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터 롤러(36)가 포장 시트(S)를 거쳐 접촉한 상태에서, 반송 롤러(27)와 히터 롤러(36)를 정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포장 시트(S)는 반송되면서 종 밀봉부(41)에 의해 측부가 밀봉되는 동시에, 횡 밀봉부(42)에 의해 간격(L4)을 이격해서 횡 방향의 밀봉이 속행된다. 그리고 본 흐름은 종료되고, 다시 스텝 S1로 복귀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C 구간에서 히터 롤러(36)를 공회전(정회전)시킨 만큼만 횡 밀봉부(42)에 의한 횡 방향의 밀봉 간격을 짧게 할 수 있다.
또, 히터 롤러(36)를 이격한 상태로부터 접촉한 상태로 이행시킬 때에,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 밀봉부(41)에 의한 밀봉 부분이 중복되어 미관이 나빠지므로, 이 중복 밀봉부(81)가 각 분포 주머니의 단부에 위치하는 타이밍에서 히터 롤러(36)를 접촉 분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터 롤러(36)를 공회전(정회전)시키는 각도(θ)로서 예를 들어 60°를 채용하고 있지만, 240°, 420°공회전(정회전)시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각도(θ)를 60°보다 작게 함으로써 60°인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횡 방향의 밀봉 간격을 길게 할 수 있는 한편, 각도(θ)를 60°보다 크고 90°보다도 작게 함으로써, 보다 상기 횡 방향의 밀봉 간격을 짧게 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원하는 밀봉 간격에 맞추어 각도(θ)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각도(θ)로서 다양한 각도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90°이상, 즉 110°, 170°, 290° 또는 350°공회전(정회전)시킴으로써 통상 시에 비해 횡 방향의 밀봉 간격을 길게 할 수 있고, 190°, 220°, 370° 또는 400°공회전(정회전)시킴으로써 통상 시에 비해 횡 방향의 밀봉 간격을 짧게 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B 구간에 있어서, 횡 밀봉부(42)가 수평 방향에 위치하는 상태로부터 히터 롤러(36)를 이격했지만, 이격하는 타이밍을 빠르게 하거나, 또는 느리게 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약제의 양이 통상보다 적을 경우를 예로 들어 C 구간에서 히터 롤러(36)를 정회전시켰지만, 약제의 양이 통상보다 많은 경우에는, 도면 중 상측의 히터 롤러(36)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하측의 히터 롤러(36)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이하, 역회전이라고 함)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이에 의해, 포장 시트(S)의 횡 방향의 밀봉 간격을 넓게 할 수 있다. 또, 히터 롤러(36)를 공회전(역회전)시키는 각도(θ)로서 예를 들어 10°를 채용할 수 있지만, 190 °, 370° 공회전(역회전)시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어, 횡 방향의 밀봉 간격을 길게 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한편, 공회전(역회전)시키는 각도로서, 예를 들어 110°, 170°, 290° 또는 350°를 채용하면, 통상 시에 비해 횡 방향의 밀봉 간격을 짧게 할 수도 있다.
히터 롤러(36)의 직경을 크게 하지 않고 횡 방향의 밀봉 간격을 넓게 할 수 있으므로, 직경을 크게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히터 롤러(36)의 제조 비용을 삭감하고, 밀봉부(41, 42)에의 열 전달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밀봉부(41, 42)를 가열하는 여열 시간을 단축해 약제 분포 장치(1)의 스위치를 온하고나서 바로 밀봉할 수 있는 동시에, 밀봉부(41, 42)를 가열하는 열량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는, 한쪽의 히터 롤러(36)를 다른 쪽의 히터 롤러(36)와 평행하게 슬라이드시켰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측 블록(33)에 배치된 히터 롤러(36)의 종 밀봉부(41)측에 있는 베어링부(37)만을 연결부(71)에 연결해도 좋다. 이때, 다른 쪽의 베어링부(37)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틸팅 가능하게 가동측 블록(33)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부(71)에 의해 베어링부(37)를 인장 히터 롤러(36)를 축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히터 롤러(36) 사이에 소정의 간격(L2)을 발생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횡 밀봉부(42)의 양 테두리부, 즉 2군데에서 포장 시트(S)를 밀봉했지만, 어느 한쪽의 테두리부만으로 밀봉하는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횡 방향으로 밀봉할 때의 조정값을 길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히터 롤러(36)를 이격시킬 때, 포장 시트(S)의 반송을 정지했지만, 포장 시트(S)를 반송한 채 히터 롤러(36)를 이격시키는 구성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7을 참조하면, 종 밀봉부(41)는 종 밀봉 가능 영역(W)에서 나타내는 범위 내에서 포장 시트(S)를 용착시켜 밀봉 가능한 것을 전제로 이하에 설명한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롤러(27)와 히터 롤러(36)가 정회전하고, 포장 시트(S)를 반송하면서 종 밀봉부(41)에 의해 종 밀봉을 하고 있다. 이때, 포장 시트(S) 위의 임의의 점 F가 종 밀봉 가능 영역(W) 내에 위치하고 있다. 횡 밀봉부(42)에 의한 밀봉 간격(L3)을 좁게 하기 위해,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롤러(27)를 정회전시키면서 히터 롤러(36)를 이격시키는 동시에, 반송 롤러(27)에 의한 포장 시트(S)의 반송 속도를 저속으로 한다. 그리고 히터 롤러(36)를 각도(θ)만큼 공회전(정회전)시킨다. 가령, 히터 롤러(36)를 이격시키고 있는 동안에, 통상의 속도로 포장 시트(S)를 반송했다고 하자. 그러면, 점 F는 종 밀봉 가능 영역(W)으로부터 벗어나 버려(도 20 참조), 히터 롤러(36)를 다시, 포장 시트(S)를 거쳐 접촉시키면 포장 시트(S)의 종 밀봉 영역에 간극이 생겨 버린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포장 시트(S)의 반송 속도를 저속으로 함으로써,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터 롤러(36)를 포장 시트(S)를 거쳐 다시, 접촉시켰을 때에, 점 F를 종 밀봉 가능 영역(W) 내에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포장 시트(S)를 연속해서 종 밀봉할 수 있어,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횡 방향의 밀봉 간격을 좁게 할 수 있다. 단, 각도(θ)를 바꿈으로써, 횡 방향의 밀봉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포장 시트(S)의 반송 속도를 저속으로 했지만, 히터 롤러(36)를 이격시키고 있는 동안에 점 F를 종 밀봉 가능 영역(W) 내로 유지하는 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반송 속도를 저속으로 하지 않고 보통 속도인 상태로 하는 한편, 히터 롤러(36)를 고속으로 공회전시키는 동시에, 이격 및 접촉시키는 속도를 빠르게 해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포장 시트(S)를 반송한 채 히터 롤러(36)를 이격시키는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 19에서, 반송 롤러(27)를 정회전시키면서 히터 롤러(36)를 이격시키는 동시에, 반송 롤러(27)에 의한 포장 시트(S)의 반송 속도를 저속으로 했다. 그러나 반송 시트(S)의 반송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터 롤러(36)를 이격하여 반송 시트(S)의 반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이때, 히터 롤러(36)를 이동시키는 동시에 정회전 방향으로 각도(θ)만큼 공회전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터 롤러(36)를 시트(S)를 거쳐 다시, 접촉시켰을 때에, 점 F를 종 밀봉 가능 영역(W) 내로 유지하면서, 횡 방향의 밀봉 간격을 좁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터 롤러(36)를 포장 시트(S)에 접촉시킨 채 종 밀봉을 하면서 빠르게 자전시켜 초기 위치까지 복귀시킨다.
(제2 실시 형태)
도 26 내지 도 33에, 다시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열 밀봉부(101)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 열 밀봉부(101)는, 상기 실시 형태와는, 주로 가동측 히터 롤러(127)를 회전시켜 포장 시트(S)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공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기구가 다르다.
고정측 블록(102)은,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형상의 부착부(103)와, 부착부(103)의 일단부에 연속되는 제1 보유 지지부(104)와, 부착부(103)의 타단부로부터 직교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 보유 지지부(105)로 이루어진다.
부착부(103)는, 한쪽 면의 중심부에 돌조(106)가 형성됨으로써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그 양측부에서, 적절하게 하우징(6)의 내면 등에 나사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제1 보유 지지부(104)는, 대략 U자형으로, 대향하는 양 측벽의 코너부에는 가동측 블록(123)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축 부재(128)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관통 구멍(104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보유 지지부(104)의 저부에는,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측벽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역 L자형의 부착판(107)이 설치되고, 거기에는 반송용 모터(108)가 부착되어 있다. 반송용 모터(108)의 회전축에는 구동 기어(109)가 고정되고, 이 구동 기어(109)가 맞물리는 종동 기어(110)를 거쳐 한 쌍의 반송 롤러(111, 113)가 회전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반송 롤러(111, 113)는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판(107)과는 반대측에서, 제1 보유 지지부(104)의 저부에 지지되어 있다. 한쪽의 반송 롤러[제1 반송 롤러(111)]는, 지지축(111a)을 중심으로 해서 제1 보유 지지부(104)의 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조작 아암(112)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다른 쪽의 반송 롤러[제2 반송 롤러(113)]는, 그 회전축에 종동 기어(110)가 고정되고, 연동 기어(114a, 114b)를 거쳐 상기 제1 반송 롤러(111)와 동기해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조작 아암(112)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제1 반송 롤러(111)는 제2 반송 롤러(113)측으로 가압되고 있다. 조작 아암(112)을 회전 조작하면, 제1 반송 롤러(111)를 제2 반송 롤러(113)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고, 보수 등으로 포장 시트(S)를 세트하거나, 제거하거나 할 때에 이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보유 지지부(105)는,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측이 대략 U자형으로, 그 내측면에는 홈부(105a)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105a)에는 고정측 히터 롤러(115)의 하단부에 부착한 베어링(122)이 배치되어 있다.
고정측 히터 롤러(115)는,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원통 형상으로, 예를 들어 다크타일 주철을 주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고정측 히터 롤러(115)의 중심 구멍(115a)에는, 도시하지 않은 히터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고정측 히터 롤러(115)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단면 형상은, 하단부측으로부터 상방의 소정 위치에 걸쳐 대략 I자형으로 형성되고, 종 밀봉부(116) 및 횡 밀봉부(117)로 이루어지는 밀봉부와, 보조 롤러부(118)를 구성하고 있다. 종 밀봉부(116)는, 고정측 히터 롤러(115)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원기둥부의 외주면이다. 또한, 보조 롤러부(118)는, 고정측 히터 롤러(115)의 타단부에 설치되고, 종 밀봉부(116)와는 동일 형상이다. 횡 밀봉부(117)는, 종 밀봉부(116)와 보조 롤러부(118)에 연속되는 소정 폭 치수의 영역(외주면의 일부)이다. 또한, 각 밀봉부(116, 117) 및 보조 롤러부(118)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됨으로써 단면 톱날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종 밀봉부(116)나 횡 밀봉부(117)와 포장 시트(S)와의 사이에서 미끄럼이 발생하기 어려워지는 동시에, 전체면에 비해 밀봉 불균일이 발생하기 어려워 양호한 밀봉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횡 밀봉부(117)의 중심 위치에는 홈부가 형성되고, 거기에는 도시하지 않은 절삭날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절삭날 부재는 포장 시트(S)의 횡 밀봉 부분에 파선 형상의 분리부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고정측 히터 롤러(115)의 상방부에는, 메인 기어(119), 서브 기어(120), 베어링(121) 및 한 쌍의 트롤리 전극(154)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메인 기어(119)는 평기어로 구성되고, 후술하는 가동측 히터 롤러(127)의 회전축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을 때에, 그 메인 기어(142)에 맞물린다. 한편, 서브 기어(120)는 평기어와 베벨 기어를 일체화한 구성이며, 가동측 블록(123)의 서브 기어(143)의 평기어에 맞물려, 가동측 블록(123)을 회전시켰을 때, 그 베벨 기어에 맞물린다. 트롤리 전극(154)에는, 스프링에 의해 지지된 브러시(155)가 미끄럼 접촉하고, 내장하는 히터(도시하지 않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고정측 히터 롤러(115)의 하단부에는 베어링(12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측 히터 롤러(115)는, 상방측의 베어링(121)을 제1 보유 지지부(104)의 저부에 형성한 관통 구멍에 끼워 맞추어지고, 하방측의 베어링(122)을 제2 보유 지지부(105)의 홈부(105a)에 배치됨으로써, 고정측 블록(10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고정측 히터 롤러(115)에는,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기어 부재(150)를 거쳐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중간 기어 부재(150)는, 회전축(151)에, 메인 기어(119)에 맞물리는 평기어(152)와,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한 베벨 기어와 맞물리는 베벨 기어(153)를 일체화한 것이다.
또, 고정측 블록(102)에는 포장 시트(S)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절곡하게 된 횡단면 V자 형상으로 하기 위한 삼각판(102a)이 부착되어 있다.
가동측 블록(123)은,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측 블록(102)과 거의 같은 구성으로, 부착부(124), 제1 보유 지지부(125) 및 제2 보유 지지부(126)로 구성되어, 가동측 히터 롤러(127)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제1 보유 지지부(125)의 양 측벽의 코너부에는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관통 구멍과 상기 고정측 블록(102)의 관통 구멍(104a)에는 축 부재(128)가 삽입 관통되고, 고정측 블록(102)에 대하여 가동측 블록(123)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보유 지지부(125)의 양 측벽 상부에는 지지대(129)가 고정되어 있다. 지지대(129)에는, 회전용 모터(130)를 부착하기 위한 제1 부착 플레이트(131)와, 광 센서(136, 137)를 부착하기 위한 제2 부착 플레이트(132)와, 가이드 부재(133)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회전용 모터(130)의 회전축의 도중에는, 피검출부인 2매의 원판[제1 원판(134) 및 제2 원판(135)]이 각각 축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부착되어 있다. 각 원판(134, 135)에는 둘레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절결부(또는 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절결부는 광 센서[제1 광 센서(136) 및 제2 광 센서(137)]에 의해 그 위치가 각각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제1 광 센서(136)에 의해 제1 원판(134)의 절결부가 검출된 위치에서는, 가동측 히터 롤러(127)는 밀봉 위치에 위치하고, 제2 센서에 의해 제2 원판(135)의 절결부가 검출된 위치에서는, 퇴피 위치에 위치한다.
회전용 모터(130)의 회전축의 선단부에는 연결 바(138)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연결 바(138)의 타단부에는, 대략 T자형으로 형성한 동작편(139)의 돌출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동작편(139)의 압입부의 양단부에는 나사 부재(140)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각 나사 부재(140)는 가이드 부재(133)에 형성한 가이드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삽입 관통하고, 그 선단부 부분은 후술하는 압박 받침 부재(144)의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삽입 관통하고 있다. 또한, 각 나사 부재(140)의 도중에는, 가이드 부재(133)와 압박 받침 부재(144) 사이에, 너트(141)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 너트(141)는 회전용 모터(130)를 구동해서 연결 바(138)를 동작시켰을 때, 압박 받침 부재(144)에 접촉해서 가동측 히터 롤러(127)를 회전시키는 작용점으로서 기능을 한다. 그리고 너트(141)의 나사 결합 위치를 변경하면, 가동측 히터 롤러(127)의 회전량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동측 히터 롤러(127)는, 가동측 블록(123)의 제1 보유 지지부(104)와 제2 보유 지지부(10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가동측 히터 롤러(127)는,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측 히터 롤러(115)와 거의 같은 구성이다. 즉, 가동측 히터 롤러(127)는, 중심 구멍(127a)에 히터(도시하지 않음)를 내장하고, 종 밀봉부(146), 횡 밀봉부(147), 보조 롤러부(148), 베어링(149a, 149b) 및 트롤리 전극(156)을 구비한다. 그리고 가동용 히터 롤러(127)는, 고정측 히터 롤러(115)와의 사이에서, 보조 롤러부(118, 148)의 접촉 위치를 지지점으로 하여, 종 밀봉부(116 및 146)를 포장 시트(S)를 거쳐 접촉시킨 밀봉 위치와, 이격시킨 퇴피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단, 메인 기어(142) 및 서브 기어(143)를 설치한 일단부측이 더욱 연장되어, 거기에는 압박 받침 부재(144)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가동측 히터 롤러(127)는,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측 블록(123)에 설치한 제1 코일 스프링(161a) 및 제2 코일 스프링[161b(가압 부재)]에 의해 베어링(149a 및 149b)이 압박되어 고정측 히터 롤러(115)측에 가압되고 있다. 제1 코일 스프링(161a) 및 제2 코일 스프링(161b)은, 가동측 블록(123)에 형성한 관통 구멍(123a 및 123b) 내에 각각 배치된다. 관통 구멍(123a 및 123b)의 내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마개체(163a 및 163b)가 각각 나사 결합된다. 마개체(163a 및 163b)의 나사 결합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제1 코일 스프링(161a) 및 제2 코일 스프링(161b)에 의한 압박력을 변경하고, 가동측 히터 롤러(127)에 의한 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가압력의 조정은, 초기 설정 시나 보수 시에, 종 밀봉부(116 및 146)와 횡 밀봉부(117 및 147) 사이의 협지력이 포장 시트(S)를 적절하게 밀봉할 수 있는 값으로 하기 위해 행한다.
압박 받침 부재(144)는,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측 히터 롤러(127)의 일단부가 끼워 맞추어지는 통 형상부(144a)와, 거기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부(144b)로 구성되어 있다. 양 아암부(144b)에는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 부재(140)의 선단부 부분이 삽입 관통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가동측 블록(123)은,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보유 지지부(12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훅 부재(154)를 고정측 블록(102)의 제2 보유 지지부(105)에 걸어 고정함으로써, 고정측 블록(102)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보수 시 등에, 훅 부재(154)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고, 고정측 블록(102)에 대하여 가동측 블록(123)을 회전해서 이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성의 가동측 블록(123)에서는,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측 히터 롤러(127)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구[예를 들어, 회전용 모터(130), 연결 바(138), 나사 부재(140), 압박 받침 부재(144) 등]를, 모두 하우징(6) 내에 부착된 열 밀봉부(101)의 상방측에 배치할 수 있다. 이 열 밀봉부(101)의 상방측 공간은 원래 데드 스페이스로 되어 있었으므로, 이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함으로써, 장치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지지 부재(51)와 같이, 열 밀봉부(101)의 전방측에 배치되면, 하우징(6) 내에 약제 분포 장치(1)의 전방측에의 여분의 스페이스가 필요해져 버리지만, 그럴 염려가 없다. 또한, 열 밀봉부(101)의 전방측에 배치하는 것이 없어졌으므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곤란했던 가동측 히터 롤러(127)에 의한 가압력의 조정을 간단한 구성으로 쉽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센서(136, 137) 등으로부터의 입력 신호는,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45)에 입력된다. 제어부(145)는, 입력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모터(108, 130) 등을 구동 제어함으로써 분포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열 밀봉부(10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본적인 동작은 상기 실시 형태와 같으며(도 7의 흐름도 및 그에 관한 설명 참조), 가동측 히터 롤러(127)를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성만이 다르다. 즉, 포장하는 약제 분량의 차이에 의해, 횡 밀봉부(117)에 의한 횡 밀봉 위치를 변경할 경우, 히터 롤러(115, 127) 및 반송 롤러(111, 113)의 회전을 정지하고(스텝 S4), 회전용 모터(130)를 구동한다(스텝 S5). 회전용 모터(130)의 구동은, 제2 광 센서(137)에 의해 제2 원판(135)의 절결을 검출할 때까지 속행한다. 이에 의해, 가동측 히터 롤러(127)가 밀봉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회전한다. 가동측 히터 롤러(127)는, 보조 롤러부(118, 148)끼리의 접촉 부분을 지지점으로 해서 회전할 뿐이므로, 전체를 평행 이동시키는 경우에 비해 간단한 구성임에도, 동작이 원활하고 안정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측 히터 롤러(127)를 퇴피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양 히터 롤러(115, 127)를 상기와 마찬가지로 헛 돌게 해서 횡 밀봉부(117)의 위치를 조정한다(스텝 S6, S7). 그 후, 회전용 모터(130)를 구동하여, 가동측 히터 롤러(127)를 원래의 밀봉 위치로 복귀시켜(스텝 S8), 밀봉을 재개한다(스텝 S9).
이때, 고정측 히터 롤러(115) 및 가동측 히터 롤러(127)에는 동일 재료에 의한 일체 구조를 채용하고 있으므로, 종 밀봉부(116)와 횡 밀봉부(117)에서 가열 온도에 차이가 발생하기 어렵다. 즉, 포장 시트(S)를 종 밀봉 위치 및 횡 밀봉 위치 중 어느 하나라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어, 밀봉 불균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동측 히터 롤러(127)를 포장 시트(S)로부터 이격시키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음에도, 포장 시트(S)의 밀봉 상태를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코일 스프링(161a)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가동측 히터 롤러(127)를 회전시킴으로써, 고정측 히터 롤러(115)로부터 이격시키도록 구성하였지만,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터 롤러(115, 127)를 회전 가능한 제1 히터 롤러(201) 및 제2 히터 롤러(202)로 구성한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1 히터 롤러(201)를 제2 히터 롤러(202)를 향해 가압하는 것은, 상기 실시 형태와 같지만, 제2 히터 롤러(202)의 상방측을 잡아 당김으로써 제1 히터 롤러(201)로부터 이격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하고 있는 점에서 다르다. 제2 히터 롤러(202)의 인장 위치는, 그 종 밀봉부(203)로부터 돌출시킨 축부(204)로 하면 좋다. 축부(204)를 잡아 당기기 위한 기구로서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가동측 히터 롤러(127)를 회전시키는 기구나, 공지의 캠 기구나 링크 기구를 사용하면 좋다.
그런데, 제1 히터 롤러(201)는 코일 스프링에 의해 제2 히터 롤러(202)측으로 가압되고 있으므로, 제2 히터 롤러(202)를 잡아당겨 이동시키면, 제1 히터 롤러(201)가 제2 히터 롤러(202)의 지지를 잃어 접촉 위치를 초과해서 이동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제1 히터 롤러(201)가 필요 이상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스토퍼(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는, 예를 들어 가동측 블록(123)에 설치하고, 후술하는 제1 히터 롤러(201)의 종 밀봉부(206)와 제2 히터 롤러(202)의 종 밀봉부(207) 사이에 위치시키도록 하면 좋다.
또한, 상기 히터 롤러(115, 127 및 201, 202)에서는, 종 밀봉부(116, 146 및 205, 203)와 횡 밀봉부(117, 147 및 206, 207)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양 밀봉부에 연속되는 절삭날(208, 209)을 설치함으로써, 포장 시트(S)를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재봉눈(S1)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종 밀봉부(116, 146 및 205, 203)와, 횡 밀봉부(117, 147 및 206, 207)와의 온도차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포장 시트(S)로서, 용착 온도(밀봉 가능한 온도)와 용융 온도의 차가 작은 저렴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어, 재료 선택의 폭을 넓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종래에는 사용할 수 없었던, 약제의 포장에 적합한 방습성이 우수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종래는 투습도 15g/㎡?24h(실온 30℃, 습도 90%)의 셀로폴리(셀로판과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짐)를 사용하고 있었지만, 금회 새롭게 개발한 투습도 10g/㎡?24h(실온 30℃, 습도 90%)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또한, 상기 히터 롤러(115, 127 및 201, 202)에서는, 분포 동작을 행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포장 시트(S)로부터 이격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포장 동작을 행하고 있지 않을 때에, 포장 시트(S)가 가열되어 용융하거나, 히터 롤러(115, 127 및 201, 202)에 용착하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 : 약제 분포 장치
2 : 정제 공급 유닛
3 : 가루약 공급 유닛
4 : 분포 유닛
6 : 하우징
7 : 약제 배출부
8 : 커버
11 : 정제 수용되
16 : V되
17 : 구획판
27 : 반송 롤러(반송 부재)
27a : 가이드 모터
28 : 롤
31 : 고정측 블록
32 : 지지축
33 : 가동측 블록
36 : 히터 롤러(밀봉 부재)
36a : 축부
37 : 베어링부
38 : 메인 기어
39 : 서브 기어
40 : 히터 롤러 구동 모터
40a : 구동 기어
41 : 종 밀봉부
42 : 횡 밀봉부
43 : 트롤리 전극
44 : 전력 공급용 브러시
51 : 지지 부재
52 : 연결부 구동 모터
53 : 구동 기어
54 : 종동 기어
56 : 회전축
57 : 캠
58 : 베어링
59 : 요동 부재
60 : 긴 구멍
61 : 협지 부재
62, 63 : 아암부
65 : 지지축
66 : 핀
71 : 연결부
72 : 요동 부재측 로드
73 : 너트
74 : 브래킷
76 : 히터 롤러측 로드
77 : 너트
78 : 스프링 부재
79 : 로드 연결부
79a : 이부
79b : 플랜지
81 : 중복 밀봉부
83 : 제어부
101 : 열 밀봉부
102 : 고정측 블록
103 : 부착부
104 : 제1 보유 지지부
104a : 관통 구멍
105 : 제2 보유 지지부
105a : 홈부
106 : 돌조
107 : 부착판
108 : 반송용 모터
109 : 구동 기어
110 : 종동 기어
111 : 제1 반송 롤러
111a : 지지축
112 : 조작 아암
113 : 제2 반송 롤러
114a, 114b : 연동 기어
115 : 고정측 히터 롤러
115a : 중심 구멍
116 : 종 밀봉부
117 : 횡 밀봉부
118 : 보조 롤러부
119 : 메인 기어
120 : 서브 기어
121 : 베어링
122 : 베어링
123 : 가동측 블록
124 : 부착부
125 : 제1 보유 지지부
126 : 제2 보유 지지부
127 : 가동측 히터 롤러
127a : 중심 구멍
128 : 축 부재
129 : 지지대
130 : 회전용 모터
131 : 제1 부착 플레이트
132 : 제2 부착 플레이트
133 : 가이드 부재
134 : 제1 원판
135 : 제2 원판
136 : 제1 광 센서
137 : 제2 광 센서
138 : 연결 바
139 : 동작편
140 : 나사 부재
141 : 너트
142 : 메인 기어
143 : 서브 기어
144 : 압박 받침 부재
145 : 제어부
146 : 종 밀봉부
147 : 횡 밀봉부
148 : 보조 롤러부
149a, 149b : 베어링
150 : 중간 기어 부재
151 : 회전축
152 : 평기어
153 : 베벨 기어
S : 포장 시트

Claims (17)

  1. 긴 포장 시트를, 길이 방향을 따라서 둘로 접은 상태에서, 접은 자국을 하방측에 위치시켜 반송하는 반송 부재와,
    상기 반송 부재에 의해 반송하는 포장 시트에 상방측으로부터 약제를 공급하는 약제 공급 부재와,
    반송되어 온 상기 포장 시트를 양측으로부터 끼워 넣어 자전하면서 가열함으로써 밀봉하고, 공급된 약제를 1포분씩 포장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밀봉 부재를 구비한 약제 분포 장치이며,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포장 시트의 접은 자국과는 반대측의 테두리부를 반송 방향으로 밀봉하는 종 밀봉부와, 반송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상기 포장 시트를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밀봉하는 횡 밀봉부를 일체화한 구성이며,
    상기 한 쌍의 밀봉 부재를, 적어도 한쪽의 밀봉 부재를 상기 포장 시트에 접촉 분리하도록 이동 가능한 상태로 하여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밀봉 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포장 시트에 대하여 적어도 종 밀봉부를 이격시킨 퇴피 위치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횡 밀봉부에 의한 밀봉 위치를 길이 방향으로 조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적어도 한쪽의 밀봉 부재를, 양단부를 거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적어도 한쪽의 밀봉 부재를, 일단부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밀봉 부재의 타단부를 거쳐 회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포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횡 밀봉부에 의한 밀봉 위치를 조정할 경우, 상기 밀봉 부재의 퇴피 위치에서의 회전 방향을, 상기 횡 밀봉부를 원하는 위치까지 회전시키는데 회전량이 적은 방향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포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종 밀봉부를 이격할 때에 상기 포장 시트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포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종 밀봉부를 이격할 때에 상기 포장 시트를 반송한 상태로 하고, 상기 종 밀봉부를 다시 포장 시트에 접촉시킬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포장 시트를 반송하는 범위를 종 밀봉 가능 영역 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종 밀봉부를 이격할 때에 상기 포장 시트의 반송 속도를 밀봉 시보다도 저속으로 함으로써, 포장 시트를 반송하는 범위를 종 밀봉 가능 영역 내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밀봉 부재를 밀봉 시보다도 고속으로 공회전시킴으로써, 포장 시트를 반송하는 범위를 종 밀봉 가능 영역 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포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를 포장 시트의 반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장 시트로부터 종 밀봉부를 이격시킨 후, 다시 접촉시킬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밀봉 부재를 초기 위치로부터 포장 시트의 반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종 밀봉부를 접촉시키고나서 초기 위치까지 밀봉 시보다 고속으로 자전하면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포 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밀봉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종 밀봉부를 포장 시트에 밀착시킨 밀봉 위치와, 이격시킨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일단부측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한쪽의 밀봉 부재의 타단부측을 압박해서 밀봉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포 장치.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밀봉 부재는, 동일 재료를 일체적으로 형성해서 원통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포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밀봉 부재는 고정측 히터 롤러와, 고정측 히터 롤러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일단부측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함으로써 고정측 히터 롤러에 대하여 상기 포장 시트를 거쳐 접촉 분리 가능한 가동측 히터 롤러로 구성하고,
    상기 이동 기구는 회전용 모터와, 상기 회전용 모터의 회전축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 바와, 상기 연결 바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동작편과, 상기 가동측 히터 롤러의 타단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동작편에 의해 압박 가능한 압박 받침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포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의 한쪽을 상기 밀봉 부재의 다른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 부재는, 가압력을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의 한쪽을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고정측 블록과,
    상기 밀봉 부재의 다른 쪽을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고, 상기 고정측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동측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가동측 블록의 단부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포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의 한쪽을 상기 밀봉 부재의 다른 쪽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밀봉 부재의 다른 쪽을 밀봉 위치와 퇴피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구에 의해 상기 밀봉 부재의 다른 쪽을 퇴피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 상기 밀봉 부재의 한쪽에 접촉해서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포 장치.
KR1020117030472A 2010-06-09 2011-06-06 약제 분포 장치 KR1011722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32143 2010-06-09
JPJP-P-2010-132143 2010-06-09
JPJP-P-2011-021963 2011-02-03
JP2011021963 2011-02-03
PCT/JP2011/062893 WO2011155427A1 (ja) 2010-06-09 2011-06-06 薬剤分包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083A KR20120011083A (ko) 2012-02-06
KR101172242B1 true KR101172242B1 (ko) 2012-08-07

Family

ID=45098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0472A KR101172242B1 (ko) 2010-06-09 2011-06-06 약제 분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87624B2 (ko)
JP (2) JP4877436B1 (ko)
KR (1) KR101172242B1 (ko)
CN (2) CN103407602B (ko)
TW (1) TW201204342A (ko)
WO (1) WO20111554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012B1 (ko) * 2021-10-01 2022-10-25 조휘도 포장기용 필름 씰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08027A1 (en) 2012-10-12 2014-04-17 Mckesson Automation Inc.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in a healthcare facility
US9150119B2 (en) 2013-03-15 2015-10-06 Aesynt Incorporated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anticipating and deliver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using a track based transport system
CN103121528A (zh) * 2013-02-27 2013-05-29 深圳市欧宝包装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微型药品自动包装封切机的封边机构
JP5787045B2 (ja) * 2013-03-25 2015-09-30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分包装置、薬剤分包紙残量判断方法および薬剤分包紙ロール
JP2016047740A (ja) * 2014-08-27 2016-04-07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分包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6705379B2 (ja) * 2014-09-25 2020-06-03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鑑査支援システム
CN104369882B (zh) * 2014-11-06 2016-03-30 四川旭华制药有限公司 一种颗粒包装机
KR20160072721A (ko) * 2014-12-15 2016-06-23 (주)크레템 약제포장장치
CN105083642B (zh) * 2015-08-27 2017-05-31 武汉市海泰伟创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包装机的封口装置及含有其的包装机
CN107499544B (zh) * 2016-06-14 2020-03-20 Jvm有限公司 药物包装设备
CN107364591A (zh) * 2017-09-19 2017-11-21 安吉十万亩白茶有限公司 一种具有混合功能的袋装果茶包装装置
JP7128397B2 (ja) 2017-11-22 2022-08-31 株式会社エムズ 製袋充てん装置
CN112119014B (zh) * 2018-05-21 2021-11-02 户谷技研工业株式会社 热封装置
JP7149169B2 (ja) * 2018-09-21 2022-10-06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錠剤印刷装置および錠剤印刷方法
CN109237322B (zh) * 2018-09-28 2021-04-16 建德尚能科技有限公司 Led灯组合装配结构
CN112537465A (zh) * 2019-08-08 2021-03-23 诸葛嘉 一种医用粉状药物的倾倒组件
CN114701710B (zh) * 2022-05-11 2024-03-19 颍上县绿地食品有限公司 一种带有封口功能的淀粉包装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633B1 (ko) 2001-12-21 2007-08-10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포체반송장치
JP2008062945A (ja) 2006-09-05 2008-03-21 Yuyama Manufacturing Co Ltd 薬剤包装装置及び薬剤包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4214A (en) * 1959-06-05 1963-01-22 Procter & Gamble Rotary type packaging machine
JPS5215033B2 (ko) * 1972-04-13 1977-04-26
US4244158A (en) * 1979-03-13 1981-01-13 R. Nelham & Associates Incorporated Pack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DE3230083A1 (de) * 1982-08-13 1984-02-16 Otto Hänsel GmbH, 3000 Hannov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umhuellen von, im westentlichen flachen genuss- oder lebensmittelteilen, insbes. schokoladetafeln oder -riegel mit einer verpackungsfolie
JPH03102401A (ja) * 1989-09-18 1991-04-26 Toshiba Corp プラント制御装置
JPH0640082Y2 (ja) * 1990-02-08 1994-10-19 正二 湯山 錠剤包装装置
JP2872603B2 (ja) * 1995-01-10 1999-03-17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包装装置
US5880110A (en) * 1995-02-21 1999-03-09 Toyobo Co., Ltd. Production of cotton fibers with improved fiber characteristics by treatment with brassinosteroids
JP2942769B2 (ja) * 1995-03-02 1999-08-30 正二 湯山 シール装置
GB2305147A (en) * 1995-09-13 1997-04-02 Hsieh Tzy Te Packing mechanism with heat insulation about sealing rollers
JP3524680B2 (ja) * 1996-06-26 2004-05-10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包装装置
CA2246982C (en) * 1997-09-19 2007-11-13 Kabushiki Kaisha Yuyama Seisakusho Device for adjusting tension applied to sheet
KR20000003195U (ko) * 1998-07-14 2000-02-15 김준호 정제자동분포기의 히터어셈블리.
JP3608608B2 (ja) * 2000-02-28 2005-01-12 日本精機株式会社 充填包装機におけるフィルム折返し案内装置
JP2002193217A (ja) * 2000-12-27 2002-07-10 Nippon Seiki Co Ltd ヒートシール装置及びヒートシール方法
KR100416227B1 (ko) * 2001-10-23 2004-01-31 (주)제이브이메디 약제분포기용 포장지의 세로접합 거리조절장치
JP4253164B2 (ja) * 2002-05-17 2009-04-08 株式会社イシダ 製袋包装機の横シール機構および製袋包装機
JP4421879B2 (ja) * 2003-11-20 2010-02-24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包体搬送装置
JP2005153985A (ja) 2003-11-28 2005-06-16 Nippon Seiki Co Ltd 充填包装機
JP3102401U (ja) 2003-12-19 2004-07-08 株式会社文溪堂 水彩パレット
JP4923734B2 (ja) * 2005-05-31 2012-04-25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分包装置
CN101665160B (zh) * 2005-05-31 2011-10-19 株式会社汤山制作所 药品分包装置
JP4641920B2 (ja) * 2005-09-30 2011-03-02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分包装置
US7607911B2 (en) * 2006-04-26 2009-10-27 Sealed Air Corporation (Us)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foam-in-place cushions with selective distribution of foam
CA2731543C (en) * 2008-07-24 2016-12-20 Yuyama Mfg. Co., Ltd. Sealing device and medicine packaging apparatus
KR101529702B1 (ko) * 2008-10-09 2015-06-17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포장유니트 및 이의 포장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633B1 (ko) 2001-12-21 2007-08-10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포체반송장치
JP2008062945A (ja) 2006-09-05 2008-03-21 Yuyama Manufacturing Co Ltd 薬剤包装装置及び薬剤包装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012B1 (ko) * 2021-10-01 2022-10-25 조휘도 포장기용 필름 씰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06636B2 (ja) 2016-04-20
TW201204342A (en) 2012-02-01
WO2011155427A1 (ja) 2011-12-15
US9387624B2 (en) 2016-07-12
KR20120011083A (ko) 2012-02-06
CN102470932A (zh) 2012-05-23
JP2012176801A (ja) 2012-09-13
JPWO2011155427A1 (ja) 2013-08-01
JP4877436B1 (ja) 2012-02-15
US20130081362A1 (en) 2013-04-04
CN102470932B (zh) 2013-09-18
CN103407602B (zh) 2015-10-14
CN103407602A (zh) 201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2242B1 (ko) 약제 분포 장치
CA2668401A1 (en) Vertical filling and packing machine
JP2010189056A (ja) 三方シールフイルム包装機
JP5955542B2 (ja) 横型製袋充填包装機
JP2006240680A (ja) ロータリー式自動包装機におけるカッター装置
JP2014051306A (ja) 自動包装機
KR100434030B1 (ko)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시일장치
JP2015048136A (ja) ブリスターパックのポケット部形成装置及び包装装置
KR20040084703A (ko) 약제포장장치
JP4764847B2 (ja) 横型製袋充填機のエンドシール装置
JP2008114870A (ja) シーリング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包装機
KR101460506B1 (ko) 약제포장장치의 포장모듈
JP2021505489A (ja) ウェブ整列装置、ウェブ整列装置を有する包装機、及びスプライシング方法
JP4336518B2 (ja) ロータリー式自動包装機
US20080163589A1 (en) Combined packaging machine
JP2005289498A (ja) ロータリー式自動包装機におけるノッチ装置
KR200211569Y1 (ko) 자동포장기의 센터실러
JPH1179112A (ja) 包装装置のノッチ形成装置
KR0125363Y1 (ko) 레토르트 파우치의 제조장치
JP4283599B2 (ja) 縦型多列自動充填包装機
KR20170092060A (ko) 약제 포장지 밀봉 장치
KR100708537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포장지 밀봉장치
JPH0912002A (ja) 自動充填包装装置用シュート
JP2005289497A (ja) ロータリー式自動包装機におけるトップシールロール間の位置調整機構
JP2008127018A (ja) 連包タイプ回転式カッター装置におけるカット位置調整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