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992B1 - 복합 세라믹 구조체와 그 제조 방법 및 그 복합 세라믹구조체를 이용한 벽면구조 - Google Patents

복합 세라믹 구조체와 그 제조 방법 및 그 복합 세라믹구조체를 이용한 벽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992B1
KR101171992B1 KR1020077004985A KR20077004985A KR101171992B1 KR 101171992 B1 KR101171992 B1 KR 101171992B1 KR 1020077004985 A KR1020077004985 A KR 1020077004985A KR 20077004985 A KR20077004985 A KR 20077004985A KR 101171992 B1 KR101171992 B1 KR 101171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composite
wall
delete dele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4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3533A (ko
Inventor
노부야수 오쿠다
Tokusaburo Satomi
Original Assignee
오미-세라믹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미-세라믹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오미-세라믹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83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3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ceramics or cl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7/00Joining burned ceramic articles with other burned ceramic articles or other articles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06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by burning-out added substances by burning natural expanding materials or by sublimating or melting out added substances
    • C04B38/0615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by burning-out added substances by burning natural expanding materials or by sublimating or melting out added substances the burned-out substance being a monolitic element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dimensions as the final article, e.g. a porous polyurethane sheet or a prepreg obtained by bonding together resin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06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by burning-out added substances by burning natural expanding materials or by sublimating or melting out added substances
    • C04B38/063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8/0635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8/0645Burnable, meltable, sublimable materials
    • C04B38/067Macromolecular comp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Hooking means on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586Roof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612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as one or more layers of a layered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758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for agri-, sylvi- or piscicultural or cattle-breeding appl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8Fire resistance, i.e. materials resistant to accidental fires or high temper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8Non-oxide ceramic constituents or additives
    • C04B2235/3817Carbides
    • C04B2235/3826Silicon carb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48Organic compounds becoming part of a ceramic after heat treatment, e.g. carbonising phenol res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8305Miscellaneous [e.g., treated surfaces, etc.]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다공질의 세라믹과 통상의 도기가 소결에 의해 결합된 복합 세라믹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복합 세라믹 구조체로 이루어진 신규의 타일과 복합 화분 등의 제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건식타일 제조의 부가가치화를 꾀하여 식물에 의한 벽면장식의 외관이 미려한 벽면구조를 제공함과 동시에 빌딩 등과 같은 건축물의 공조부하 경감에 의한 에너지 절약을 실현하는 벽면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기벽면에 면 형태로 복수의 타일이 배열되어 타일이 결착되지 않은 부분에 분 형태 타일이 결착하는 벽면구조로 타일이 가로세로 격자형으로 배치되어 타일면을 구성하며, 타일이 결락된 개소에 대응하는 부분에 분 형태 타일이 결착하여 분 형태 타일의 폭의 정수배와 타일의 가로폭의 정수배가 거의 동일해져 분 형태 타일 높이의 정수배와 타일의 세로 폭의 정수배가 거의 같아지고, 결락된 개소에 분 형태 타일이 끼워지는 벽면구조이다. 이 타일은 도기체와 다공질 세라믹이 소결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진 복합 세라믹 구조체로 구성된 복합타일이다.
[대표도]
도 14
세라믹구조체, 타일, 복합화분, 다공질세라믹, 벽면장식, 벽면구조, 에너지절약, 공조부하경감.

Description

복합 세라믹 구조체와 그 제조 방법 및 그 복합 세라믹 구조체를 이용한 벽면구조{COMPOSITE CERAMIC STRUCTURE, METHOD FOR PRODUCING SAME ADN WALL STRUCTURE USING SUCH COMPOSITE CERAMIC STRUCTURE}
본 발명은 복합 세라믹 구조체와 그 제조 방법 및 그 복합 세라믹 구조체를 이용한 타일 등의 제품, 특히 이 타일에 의한 벽면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타일이 벽면에 계지구를 통하여 취부되는 건식타일구조에 관한 것으로, 건식타일구조에 의한 외관이 미려한 벽면구조에 관한 것이다.
다공질의 세라믹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무수한 사례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다공질의 세라믹과 통상의 도기가 소결에 의해 결합된 복합 세라믹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혹은 그 복합 세라믹 구조체로 이루어진 제품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한편, 화분에 다공질의 세라믹을 이용하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으며, 분의 벽을 다공질의 세라믹으로 난초 재배에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특허 문헌 1참조). 또한, 바닥 가운데에 상하로 나누어진 분의 상부에 다공질 세라믹 입자체를 채워, 하부에 물을 담아놓고 상하부를 다공질 세라믹봉으로 뚫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특허 문헌 2 참조).
전자는 분의 벽에 통상의 식물 재배에서 보면 지나치리만큼 환기성이 요구되는 특수하고 손이 많이 가는 난초의 재배에 적용되는 것으로, 통상의 식물 재배에는 적합하지 않다. 제조 방법 또한 복잡해진다. 후자는, 다공질 세라믹 입자체를 분에 채우는 것으로, 가정 등에서 소규모로 이용하는 경우는 비교적 문제가 없으나, 빌딩의 옥상 등에서 화분을 여러 개 늘어놓고 식물을 키우는 등, 큰 규모의 사용 시에는 다공질 세라믹 입자체를 채우는 작업에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식물의 근원을 흔들 우려도 있다. 또한, 분이 넘어지면 다공질 세라믹 입자체가 엎어져 불필요한 수고를 해야 한다. 미리 분에 다공질 세라믹 입자체를 채워두고 시공 현장으로 운반할 시 운반 도중에 분이 기울거나 넘어지면 다공질 세라믹 입자체가 엎어질 우려도 있다. 또한, 후자의 사례에 한정되지 않고 분의 하부에 물을 담아놓는 화분의 구성은, 특히 옥외에서 사용할 때 장구벌레나 레지오넬라균의 발생원이 되거나 물 주변에 이끼가 번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 타일이 벽면에 계지구를 통하여 취부되는 건식타일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3 참조). 건식타일 구조는 시공합리화를 목적으로 보급하고 있다.
시공합리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건식타일구조에 이용되는 타일은 종래의 타일보다 형상이 복잡하여 비용이 많이 들게 되므로 보다 나은 부가가치화가 요구된다.
한편, 빌딩 등과 같은 건축물의 공조 부하 경감에 따른 에너지절약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인용문헌 1]특개 2000-270680호 공보(제1쪽, 도 1, 도 2)
[인용문헌 2]실개평 3-10743호 공보(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 도 1)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공질의 세라믹과 통상의 도기가 소결에 의해 결합된 복합 세라믹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 이 복합 세라믹 구조체로 이루어진 신규한 타일과 복합 화분 등의 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식타일 구조의 고부가가치화를 꾀하여 식물에 의한 벽면장식의 외관이 미려한 벽면구조를 제공함과 동시에, 빌딩 등과 같은 건축물의 공조부하 경감에 의한 에너지절약을 실현하는 벽면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기술적 해결방법]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기체와 다공질 세라믹체가 소결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진 복합 세라믹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기체와 다공질 콘크리트체가 그 다공질 콘크리트체의 전구체의 경화에 의해 접합되어 이루어진 복합 세라믹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초벌구이체 또는 도기용 성형 소지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발포제, 소실성 입자 또는 소실성 다공질체를 함유시킨 소지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그 초벌구이체 또는 그 도기용 성형 소지체와 그 소지체를 첨접상태로 하는 첨접공정과, 첨접된 그 소지체와 함께 그 초벌구이체 또는 그 도기용 성형 소지체를 성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세라믹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기체와 다공질 콘크리트의 전구체 슬러리를 준비하는 공정과, 그 도기체와 그 전구체 슬러리를 첨접시키는 첨접공정과, 첨첩된 그 전구체 슬러리를 경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복합 세라믹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괴상의 다공질 세라믹체와, 괴상의 다공질 콘크리트체 또는 괴상의 다공질 수지체로부터 선택되는 다공질체와, 그 다공질체가 채워진 분 형태의 도기체로 이루어진 용기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복합 화분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괴상의 다공질 세라믹체와, 괴상의 다공질 콘크리트체 또는 괴상의 다공질 수지체로부터 선택되는 다공질체와, 그 다공질체의 표면에 도포된 도포막으로 이루어진 복합 화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복합 세라믹 구조체로 이루어져, 상기 도기체 및 상기 다공질 세라믹체가 판 형태이고, 그 다공질 세라믹체가 표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기체와 중첩된 복합 판형 타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복합 세라믹 구조체로 이루어져, 상기 도기체 및 상기 다공질 콘크리트체가 판 형태이고, 그 다공질 콘크리트체가 표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기체와 중첩된 복합 판형 타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복합 판형 타일은, 타일 표면에 상당하는 측의 면에 상기 도기체에 길이방향으로 뻗은 긴 홈이 형성되어 질 수 있으며, 그 긴 홈에 상기 다공질 세라믹체 또는 상기 다공질 콘크리트체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복합 판형 타일은, 시공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합 판형 타일은, 측면의 타일표면에 상당하는 측이 타일표면 쪽으로 하강 경사하는 경사일 수 있다.
상기 복합 판형 타일은, 상측 측면의 타일 이면에 상당하는 측에 자체의 길이방향으로 뻗어난 볼록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초벌구이체 또는 상기 도기용 성형 소지체가 분 형태이며, 상기 첨접공정이 상기 초벌구이체 또는 상기 도기용 성형 소지체에 상기 소지체를 끼워 넣는 공정인 상기 복합 세라믹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이용한 복합 화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기로 이루어진 분과 다공질 콘크리트의 전구체 슬러리를 준비하는 공정과, 그 전구체 슬러리를 그 분에 채우는 공정과, 채워진 그 전구체 슬러리를 경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한 복합 화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초벌구이체 또는 상기 도기용 성형 소지체 및 상기 소지체가 판 형태이며, 상기 첨접공정이 상기 초벌구이체 또는 상기 도기용 성형 소지체에 상기 소지체를 중첩하는 공정인 상기 복합 세라믹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이용한 복합 판형 타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 모양의 초벌구이체 또는 도기용 성형 소지체의 중공부에 발포제, 소실성 입자 또는 소실성 다공질체를 함유시킨 소지체를 끼운 후, 상기 초벌구이체 또는 상기 도기용 성형 소지체를 소성(firing)하여 주상체를 이루고, 그 주상체를 자체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절단면 혹은 파단면으로 절단 혹은 파단하는 공정을 포함한 복합 세라믹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복합 세라믹 구조체의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며, 시공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결합부를 갖춘 복합 판형 타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축물의 옥상에 배열된 복수의 상기 복합 화분과, 상기 다공질체의 윗면에 식생된 식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옥상 단열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옥상 단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세덤 또는 이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축물의 벽면에 배열된 복수의 상기 복합 판형 타일과, 상기 복합 판형 타일의 표면에 자라난 식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벽면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벽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세덤, 이끼 또는 담쟁이류일 수 있다.
상기 벽면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열된 복수의 복합 판형 타일의 최상단 복합 판형 타일의 더 상단에, 상기 배열된 복수의 복합 판형 타일에 급수하는 급수 수단을 갖출 수 있다.
상기 급수 수단은, 상기 최상단 복합 판형 타일의 윗쪽에 수평으로 뻗어 위치하는 급수 파이프와, 상기 최상단 복합 판형 타일의 윗쪽에 위치하여 시공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결합부를 갖추고, 표면 측에 상기 급수 파이프를 위치시키는 받침 타일, 그 받침 타일의 윗쪽에 위치하여 상기 급수 파이프를 덮고, 상기 급수 파이프를 덮는 덮개부와 시공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결착부를 갖는 덮개 타일을 갖출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복합 판형 타일의 결합부와, 상기 받침 타일의 계지부와, 상기 덮개 타일의 결착부가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갖는 상기 급수 수단이 달린 벽면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복합 세라믹 구조체로 이루어져 상기 도기체 및 상기 다공질 세라믹이 판 형태이며, 그 다공질 세라믹체가 표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기체와 중첩된 식생용 기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복합 세라믹 구조체로 이루어져, 상기 도기체 및 상기 다공질 콘크리트체가 판 형태이며, 그 다공질 콘크리트체가 표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기체와 중첩된 식생용 기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식생용 기반의 표면에 식물이 식생된 식물 세라믹체 복합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식물 세라믹체 복합물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세덤 또는 이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벽면과 그 기벽면의 외측에 그 기벽면의 면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착하는 복수의 피결착물과, 그 기벽면에 고정되어 그 기벽면의 면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피결착물을 받치는 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피결착물이 그 받침부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자체의 뒤측에 갖추어 그 기벽면에 면 형태로 배열하는 복수의 판형 타일과, 그 받침부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갖춘 분 형태의 타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받침부인 상기 판형 타일이 결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상기 분 형태 타일이 결착하는 벽면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벽면 구조에 있어서, 상기 판형 타일이 상기 복합 판형 타일일 수 있다. 그 벽면구조에서는 상기 세라믹 다공질체의 윗면에 식물이 식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물은 세덤 또는 이끼일 수 있다.
상기 벽면 구조에 있어서, 상기 판형 타일의 상측 측면인 타일 표면에 상접하는 쪽이 타일 표면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일 수 있다.
상기 벽면 구조에 있어서, 상기 판형타일의 상측 측면의 타일 뒷면에 상접하는 쪽에 그 판형타일의 길이방향으로 뻗어난 볼록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벽면 구조에 있어서, 상기 판형 타일의 아래쪽 측면에 그 판형타일의 길이방향으로 뻗어난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열된 상기 복수의 판형타일 최상단의 판형타일의 더 위에 상기 판형타일로 급수하는 급수수단을 갖춘 상기 벽면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벽면 구조에 있어서, 상기 급수 수단이 상기 최상단의 판형 타일의 위쪽에 수평으로 뻗어 위치하는 급수 파이프와, 상기 최상단 판형 타일의 윗쪽에 위치하여 시공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결합부를 갖추고, 표면 측에 상기 급수 파이프를 위치시키는 받침 타일과, 그 받침 타일의 윗쪽에 위치하여 상기 급수 파이프를 덮고, 상기 급수 파이프를 덮는 덮개부와 시공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결착부를 갖는 덮개 타일을 갖출 수 있다.
상기 급수 수단이 달린 벽면 구조는 상기 판형 타일의 결합부와, 상기 받침 타일의 계지부와, 상기 덮개 타일의 결착부가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판형타일이 가로 세로의 격자 형태로 배열되어 타일면을 구성하며, 그 타일면에 상기 판형 타일이 결락된 개소를 가지며, 그 결락된 개소에 대응하는 상기 받침부의 부분에 상기 분 형태 타일이 결착하고, 상기 분 형태 타일 폭의 정수배와, 상기 판형타일의 가로 폭의 정수배가 거의 동일하여 상기 결락된 개소에 그 분 형태 타일의 상기 기벽면에 면하는 쪽의 면부가 끼워지는 상기 벽면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벽면 구조는, 상기 분 형태 타일 높이의 정수배와, 상기 판형 타일의 세로 폭 정수가 거의 동일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벽면 구조에 쓰이는 분 형태 타일이며, 위쪽으로 개구하여 장착되어야 할 기벽면에 대치하는 외부 공간에 면하는 표면측 측벽과, 상기 기벽면에 면하는 뒤쪽 측벽에 상기 받침부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갖춘 분 형태 타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분 형태 타일은, 폭의 정배수와 상기 판형 타일의 가로 폭 정배수가 거의 동일해질 수 있다.
상기 분 형태 타일은 높이의 정배수와 상기 판형타일의 세로 폭 정배수가 거의 동일해질 수 있다.
상기 분 형태 타일은 상기 뒤쪽 측벽의 윗면에 위쪽으로 돌출되어 가로방향으로 뻗어난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 형태 타일은 상기 뒤쪽 측벽의 윗면에서 앞쪽을 향하여 하강 경사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 형태 타일은, 상기 바닥 벽의 외면에 가로방향으로 뻗어난 가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유리한 효과]
본 발명의 복합 세라믹 구조체는 도기체와 다공질 세라믹체가 서로의 경계에서 소결에 의해 강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지므로, 서로의 경계에서 박리되지 않아 안정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본 발명의 복합 화분은, 흙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흙이 설치시나 사용 시에 사람이나 물체가 닿아 비산되거나 비바람에 섞여 흘러 주위를 더럽히지 않는다. 또, 건축물의 옥상에 틈새 없게 늘어놓아 배치함으로써, 옥상의 바닥 면에서 날아오는 씨에 의에 식물이 자라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복합 화분은 건축물의 옥상에 설치하여 히트 아일랜드 현상을 방지하는데 유용하다. 본 발명의 복합 화분은 옥상으로 옮겨 놓는 것만으로 설치할 수 있고, 흙을 넣을 필요가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설치 작업이 매우 간편해진다. 또한, 경량이므로 옥상에서의 배치 변경에 대응하여 배치 변경 작업이 용이하다. 또, 특별한 관리가 필요 없고, 장구벌레나 레지오넬라균의 발생 우려가 적다.
본 발명의 복합 화분은, 이러한 효과들과 함께 외벽부가 도기로 구성되어 있어, 종래 화분과 동일한 외관이나 외형으로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제조 과정에서 윗그림이나 모양을 새기는 것과, 각종 도토를 선택하여 특수한 질로 하거나 표면에 도기에 독특한 요철을 부여할 수도 있다. 또 항아리 형상과 사각통형상 등의 외형모양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화분은 흙이 설치시나 사용 시에 사람이나 물체가 닿아 비산하거나 비바람에 섞여 흘러 주위를 더럽히지 않고, 경량이라 배치 변경에 큰 노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외관을 주위의 자연에 매칭한 형상과 자연 색채로 디자인할 수 있으므로 식물을 심어 비오토프의 형성을 위한 유력한 구조 요소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타일은 건축물의 외벽에 사용되어 양호한 단열성을 갖는다. 또, 보수성이 있고, 식물의 뿌리를 유지하는데 적합한 입체적인 그물코 구조를 가지므로, 세덤이나 이끼를 비롯한 식물을 식생하거나 담쟁이 등의 덩굴 식물이 말아 올라가게 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또, 도기체와 다공질 세라믹체가 소결에 의해 강하게 결합되어 있어, 건축물의 외벽면에 장기간 사용되어도 양자가 박리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복합 타일은 건축물의 외벽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어 부분적인 교환이 가능하다. 따라서, 식생된 식물이 시들거나 손상되었을 경우, 그 시들거나 손상된 부분의 복합 타일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 식생된 식물이 균일하게 자라도록 일조 등을 고려하여 장착 위치를 정기적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식 타일 구조에 있어서 식물에 의한 벽면장식에 의해 외관이 미려한 벽면구조가 제공되어 건식타일구조의 고부가가치화가 실현된다.
본 발명의 벽면 구조를 이용하여 자연회귀형의 공간이 실현되고 그 공간에 있는 사람에게 안정감을 준다.
본 발명의 벽면 구조에 의해 빌딩 등 건축물의 벽면 온도를 적은 비용으로 낮출 수가 있어, 냉방부하의 감소에 의한 에너지 절약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벽면 구조는 식물과 장식용품에 의한 벽면 장식을 유지보수하기 용이한 형태로 실현할 수 있다.
볼 발명의 벽면 구조는 식물과 장식용품에 의한 벽면장식을 유지보수하기 용이한 형태로 실현함과 동시에 빌딩 등 건축물의 벽면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벽면구조에 의해, 빌딩 등 건축물의 벽면 온도를 적은 비용으로 낮출 수 있음과 동시에, 냉방부하의 감소에 의한 에너지절약에 기여하며, 식물에 의한 벽면장식을 유지보수가 용이한 형태로 실현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식타일 구조에 있어서, 식물과 장식용품에 의한 벽면장식에 의해 외관이 미려한 벽면 구조가 제공됨과 동시에, 벽면의 단열성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식타일 구조에 있어서 향수용품을 배치하여 벽면에서의 향기에 의한 웰빙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 세라믹 구조체의 제조에 이용하는 복합 전구체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 세라믹 구조체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복합 화분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복합 화분에 모종을 심는 조작의 일례를 설명한 설명도이며 도 4(a)와 도 4(b)는 모종의 종류가 다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복합 화분의 다른 일실시례를 설명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복합 화분의 또 다른 모양의 실시예를 설명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복합 화분을 건축물의 옥상에 늘어놓은 배치를 나타낸 윗면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복합 타일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복합 타일 및 그 제조 과정을 설명한 단면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의 복합 타일 및 그 제조 과정을 설명한 단면 모식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본 발명의 복합 타일이 시공 벽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의 복합 타일 및 그 제조 과정을 설명한 단면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복합 타일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복합 타일이 건축물의 외벽에 장착된 본 발명의 벽면 구조의 형태를 나타낸 단면 모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벽면 구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단면 모식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벽면 구조를 나타낸 단면 모식도이다.
도 17은 종래의 단열 타일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 모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복합 세라믹 구조체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식생용 기반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도 18(a)은 사시 모식도이고, 도 18(b)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벽면구조에 이용되는 분 형태 타일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나타낸 분 형태 타일의 정면도(도 20a), 평면도(도20b), 측면도(도20(c))이다.
도 21은 도 13에 나타낸 분 형태 타일 및 도 19에 나타낸 분 형태 타일을 이용한 본 발명의 벽면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설명도이다.
도 22는 도 13에 나타낸 분 형태 타일 및 도 19에 나타낸 분 형태 타일을 이용한 본 발명의 벽면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설명도이다.
도 23은 도 21에 나타낸 벽면구조의 정면 모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초벌구이체 4, 4a, 22:소지체
6:첨접면 10, 10 a, 10 b:복합 전구체
12, 12 a, 12 b, 33, 33 s:복합 세라믹 구조체
16, 16 a, 16 b, 16 d, 16 g:다공질 세라믹체
17:경계 18, 18 g, 20:도기체
30, 30 a, 30 b:복합 화분 32:분 형태의 도기체
34:경계면 28, 28 a, 28 s, 50:복합 타일
56:더브테일 홈 100: 복합 판형 타일
106 : 홈 110 : 볼록조
111 : 윗면 112 : 긴 홈
114 : 계지홈 115 : 계합홈
116 : 다공질 세라믹체 117 : 경사면
118 : 도기체 130 : 계지용 받침부
133 : 식물 135, 235 : 가로 홈
159 : 기벽면 82p : 계합부
82q : 계지부 150, 150a, 150c, 150d : 벽면구조
160 : 급수수단 162 : 케이징
164 : 받침타일 165 : 급수관
168 : 덮개타일 170 : 계착부
172 : 덮개부 174 : 장척공간부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자기 등의 도 기의 전구체인 초벌구이체와, 도자기 등의 도기의 원료인 배토가 쓰여진다. 배토는 그대로 성형하여 소성하면 초벌구이가 되나, 본 발명에서는 소성하기 전에 배토에 SiC과 같은 발포제가 혼합된다.SiC는, 배토의 건조 중량에 대하여 1~10 중량% 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발포제가 혼합되어 함유된 배토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여, 도 1과 같이 초벌구이체(2)와 성형된 배토로 이루어진 소지체(4)를 첨접면(6)에서 첨접시켜 복합 전구체(10)로 만든다. 복합 전구체(10)를 두벌구이 소성하면, 도 2에 나타낸 복합 세라믹 구조체(12)가 얻어진다. 복합 세라믹 구조체(12)는 초벌구이체(2)가 소성되어 이루어진 도기체(18)와 소지체(4)가 소성되어 이루어진 다공질 세라믹체(16)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로의 경계(17)가 이 소결에 의해 강하게 결합되어 있어 경계(17)에서 박리되지 않아 안정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소성하기 전에 배토에 입자상의 페놀 수지와 같은 수지로 이루어진 소실성 입자가 혼합된다. 계속해서 소실성 입자가 혼합되어 함유된 배토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여 도 1과 같이 초벌구이체(2)와 성형된 배토로 이루어진 소지체(4a)를 첨접면(6)에서 첨접시켜 복합 전구체(10a)를 만든다. 복합 전구체(10a)를 2차 소성하면 도 2에 나타낸 복합 세라믹 구조체(12a)가 얻어진다. 복합 세라믹 구조체(12a)는 초벌구이체(2)가 2차 소성되어 이루어진 통상의 도기로 이루어진 도기체(18)와 소지체(4a)가 2차 소성되며, 이 소성에 의해 소실성 입자체가 소실한 다공질 세라믹체(16a)로 이루어지는 한편, 서로의 경계(17)에서 이 소성으로 소결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 복합 세라믹 구조 체(12a)도 도기체(18)와 다공질 세라믹체(16a)가 서로의 경계(17)에서 소결에 의해 강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지므로 경계(17)에서 박리되지 않아 안정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소실성 입자의 소재는, 수지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는 천연수지어도 좋고 합성수지어도 좋다. 소성될 때 가스를 발생하는 수지가 바람직하다. 소실성 입자가 가스를 내포하고 있어도 좋다. 소실성 입자의 소재는 탄소라도 좋다. 소실성 입자는 배토의 용적에 대하여 5~50 용량%로 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우레탄폼과 같은 소실성 다공질체를 이용한다. 배토를 이장화해 소실성 다공질체에 함침시켜 배토와 소실성 다공질체와의 복합 소지체(4b)를 만든다. 이장의 부착량은 1cm× 1cm× 1cm의 소실성 다공질체에 대하여 0.2~0.4g 정도가 바람직하다. 도 1과 같이 초벌구이체(2)와 복합 소지체(4b)를 첨접면(6)에서 첨접시켜 복합 전구체(10b)를 만든다. 복합 전구체(10b)를 2차 소성하면, 도 2에 나타낸 복합 세라믹 구조체(12b)가 얻어진다. 복합 세라믹 구조체(12b)는 통상의 도기로 이루어진 도기체(18)와 2차 소성에 의해 소실성 다공질체가 소실한 다공질 세라믹체(16b)가 서로의 경계(17)에서 이 소성에 의한 소결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 복합 세라믹 구조체(12b)도 도기체(18)와 다공질 세라믹체(16b)가 서로의 경계에서 이 소결에 의해 강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지므로 경계(17)에서 박리되지 않아 안정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 실시예에서 얻어지는 세라믹 구조체(12, 12a, 12b)는 신규 구성의 화분이나 타일에 매우 적합하게 적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세라믹 구조체(12, 12a, 12b)를 화분에 적용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화분(30)은 분 형태의 도기체(32)의 내부 바닥을 포함한 내측 공간의 대부분이 다공질 세라믹체(16d)로 채워져 있다. 다공질 세라믹체(16d)는 하나의 덩어리로 되어 있다. 도기체(32)와 다공질 세라믹체(16d)는 도기체(32) 내벽면의 다공질 세라믹체(16d)와의 경계면(34)에서 소결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복합 화분(30)은, 빈 도기체(32) 혹은 빈 초벌구이의 도기체(32)안에 상술한 발포제가 혼합되어 함유된 배토와, 소실성 입자가 혼합되어 함유된 배토를 채워 넣고, 이와 같이 채워진 배토와 함께 도기체(32)를 소성하여 얻을 수 있다. 혹은, 상술한 소실성 다공질체를 이용하여 도기체(32) 내벽면의 형상과 소실성 다공질체의 외면의 형상이 합치하도록 소실성 다공질체를 성형하여, 그 성형된 소실성 다공질체에 배토를 이장화하여 함침시키고 배토와 소실성 다공질체의 복합 소지체로 만들어, 그 복합 소지체를 도기체(32)에 삽입하고, 이와 같이 삽입된 복합 소지체와 함께 도기체(32)를 소성하여 복합 화분(30)을 얻을 수가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도기체(32) 대신에 이들과 거의 동일한 형상의 성형된 배토를 이용해도 좋다. 즉, 분 형태로 성형된 배토 속에 소성에 의해 발포하는 배토나 복합 소지체를 삽입하고, 이와 같이 삽입된 배토나 복합 소지체와 함께 성형된 배토를 소성하여 복합 화분(30)을 얻을 수가 있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복합 화분(30)은, 다공질 세라믹체(16d)의 부분에 식물을 식생(육생)시킨다. 복합 화분(30)에 식생하는 식물로서는, 세덤(벤케이소우과의 만년초속의 총칭)과 같은 건조에 강하고 키가 작은 식물이 바람직하다. 혹은, 산솔이끼, 털깃털이끼 등의 이끼가 키가 작고 다공질 세라믹체(16d)의 표면에서의 성장에 적합한 식물이며 바람직하다. 다공질 세라믹체(16d)의 부분에 나무를 뿌리내리게 하는 방법으로는, 미리 다공질 세라믹체(16d)에 액비 혹은 물을 함침시킨 후,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종(43)을 다공질 세라믹체(16d)의 표면에 재치하여 뿌리내리게 하는 것이 좋다. 이 실시예는 세덤이나 산솔이끼, 털깃털이끼 등의 이끼에 매우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다공질 세라믹체(16d)의 부분에 식물을 뿌리내리게 하는 다른 방법의 일례로서는,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종(40a)의 뿌리를 물이끼로 싸고, 이 물이끼로 싸인 뿌리부분(42)을 다공질 세라믹체(16d)의 표면부에 마련한 요함부(44)에 끼워 넣어 모종(40a)을 다공질 세라믹체(16d)의 윗면에 세운다.
복합 화분(30)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공질 세라믹체(16d)의 윗면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복수의 가는 구멍(46)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 식생된 나무의 세로로 뻗어난 뿌리의 성장이 촉진되어 나무가 다공질 세라믹체(16d)에 확실하게 고정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6에 나타낸 복합 화분(30b)과 같이 다공질 세라믹체(16d)의 표면이 윗면을 제외하고는 도막(80)으로 코팅되어 있어도 좋다. 도막(80)에 의해 다공질 세라믹체(16d)에 함유된 물이 외부로 새지 않게 되므로 복합 화분(30b)의 보수성이 유지된다. 도막(80)으로는 통상의 페인트에 의한 수지 도막을 들 수 있다. 혹은, 유약에 의한 잿물 막이어도 좋다. 도6에 나타낸 실 시예에 있어서는, 다공질 세라믹체(16d)로 바꾸어 발포수지체가 이용되어도 좋으나, 이 경우는 불필요해진 복합 화분(30b)이 폐기되면 다공질 세라믹체(16d)와 같이 부수어져 땅으로 환원될 수 없기 때문에 환경오염 문제를 일으킨다. 다공질 세라믹체(16d)로 바꾸어 발포콘크리트체가 이용되어도 좋으나, 이 경우는 알칼리성이 강하기 때문에 식생해야 할 식물의 종류가 제한된다. 아울러 잿물 막은 복합 화분(30b)이 폐기되었을 때의 환경 부하가 거의 없어 바람직하나 발포 수지나 발포 콘크리트체에는 적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복합 화분은, 특히 빌딩 등과 같은 건축물의 옥상 녹화를 위해 매우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7의 윗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각형 모양의 본 발명의 복합 화분(30a)을 건축물의 옥상(31)에 늘어놓고 옥상 단열 구조(88)로 배치함으로써, 다공질 세라믹체(16f)의 단열 효과 및 복합 화분(30a)에 심어진 도시하지 않은 세덤 등과 같은 식물의 태양열차단효과 및 식물의 잎에 의한 수분 증산 효과, 다공질 세라믹체(16f)로부터의 수분의 증산 효과가 발휘되어 건축물의 단열과 냉각에 기여한다. 세덤은 다공질 세라믹체(16f)에 대한 뿌리내리기도 좋고 물을 자주 주지 않아도 생육이 가능하여 옥상 단열 구조(88)에 적절한 식물이다. 혹은, 산솔이끼, 털깃털이끼 등의 이끼가 키가 작고 다공질 세라믹체(16f)의 표면에서의 성장에 적합한 식물이며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용되는 본 발명의 복합 화분(30a)은 흙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흙이 설치시나 사용 시에 사람이나 물체가 접촉되어 날리거나 비바람에 섞여 넘치거나 비산되어 주변을 더럽히는 일이 없다. 또, 건축물의 옥상에 틈새 없이 늘 어놓고 배치함으로써 옥상의 바닥면에서 날라오는 씨로 인하여 식물이 자라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화분(30a)은 흙이 설치시나 사용시에 사람이나 물체가 접촉되어 날리거나 비바람에 섞여 넘치거나 비산하여 주위를 더럽히는 일이 없고, 가벼워서 배치변경에 큰 노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외관을 주변과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형상이나 자연의 색채로 디자인할 수 있기 때문에 식물을 심어 비오토프(Biotope)의 형성을 위한 유력한 구조 요소로 이용할 수가 있다.
다공질 세라믹체는 용기에 담겨져 있어 물을 다량으로 함유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복합 화분(30a)은 물을 자주 줄 필요가 없어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종래의 화분은 안에 넣는 흙이나 입자체를 별도의 고층빌딩 옥상 등의 설치 장소로 옮겨야 하거나, 옥상에서 그 흙이나 입자체를 화분에 일일이 계량해서 넣는 작업이 필요하지만, 본 발명의 복합 화분(30)은 옥상으로 옮겨 재치하는 것만으로 설치가 가능하여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설치 작업이 매우 간단해진다.
또한, 복합 화분(30a)은 경량이므로 옥상에서의 배치 변경 시 작업이 용이하다.
본 발명은, 복합 화분(30, 30a)의 분 형태의 도기체(32)에 들어가 있는 다공질 세라믹체(16d)는, 미리 도기체(32)에 들어갈 수 있는 형상으로 별도 소성된 하나의 괴상 다공질 세라믹체이어도 좋다. 즉, 미리 도기체(32)에 들어가야 할 형상으로 하나의 괴상 다공질 세라믹체를 별도 소성한 후, 분 형태의 도기체(32)에 넣 어도 된다. 이 경우는 식생해야 할 식물의 종류에 따라 괴상 다공질 세라믹체의 선택이나 교환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복합 화분(30, 30a)의 분 형태의 도기체(32)에 들어가 있는 다공질 세라믹체(16d)는 미리 도기체(32)에 들어가야 할 형상으로 별도 소성된 하나의 괴상 다공질의 콘크리트이어도 좋다. 즉, 미리 도기체(32)에 거둘 수 있어야 할 형상으로 하나의 괴상 다공질의 콘크리트체를 별도 성형한 후, 분 형태의 도기체(32)에 넣어도 된다. 혹은, 도기체(32)에 발포 콘크리트의 전구체를 따라 경화시켜도 된다.
다공질 세라믹체(16d)로 바꾸어 다공질의 콘크리트가 이용된 복합 화분은, 다공질 콘크리트를 담을 수 있는 도기체로서 초벌구이를 이용하면, 외부에 대하여 초벌구이 특유의 적당한 투수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또, 도기체로서 윗그림이 들어간 분을 이용하면 호화로운 외관을 갖는 복합 화분으로 만들 수가 있다.
다공질의 콘크리트는, 시멘트와 슬러그 미분, 플라이 어쉬, 자갈, 발포 유리, 단섬유와 같은 세골재와, 알루미늄 금속분말 등의 발포제를 포함한 전구체 슬러리를 발포와 함께 경화시켜 얻을 수가 있다. 혹은, 시멘트와 세골재와 다수의 기포를 포함한 전구체 슬러리를 경화시켜 얻을 수 있다. 세골재로는 천연 경량 골재(오오시마 화산자갈, 하루나 화산자갈 등), 인공 경량 골재(메사라이트, 아사노라이트 등), 혹은 펄라이트 등도 들 수 있다.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세골재 70~150 중량부가 혼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포는 슬러리에 대하여 15~30용적% 혼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기체(32)에 이와 같은 전구체 슬러리를 채운 후 경화시켜 복합 화분을 얻을 수 있다. 이 복합 화분은, 도기체와 다공질 콘크리트체가 슬러리의 경화에 의해 접합되어 이루어진 복합 세라믹 구조체이다. 슬러리는 도기체 표면의 미세한 요철의 패인 곳에 들어가 경화하므로 도기체와 다공질의 콘크리트체가 강하게 접합된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도기체(32)에 들어가 있는 다공질의 콘크리트체는, 미리 도기체(32)에 들어가야 할 형상으로 별도 형성된 하나의 괴상 다공질의 콘크리트체이어도 좋다. 즉, 미리 도기체(32)에 들어가야 할 형상으로 하나의 괴상 다공질의 콘크리트체를 별도 성형 경화한 후, 분 형태의 도기체(32)에 들어가도 좋다. 이 경우는, 식생해야 할 식물의 종류에 따라 괴상 다공질 콘크리트체의 선택이나 교환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도기체(32)에 미리 도기체(32)에 들어가야 할 형상으로 별도 소성된 하나의 괴상 발포 수지체이어도 좋다. 발포 수지체로는 우레탄 스펀지와 같이 연통공을 가진 것이 필요하다. 식생해야 할 식물의 종류에 따라 발포수지체인 콘크리트체의 선택이나 교환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세라믹 구조체(12, 12a, 12b)를 타일에 적용한 형태를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타일(50)은 판 형태의 도기체(18g)와 판 형태의 다공질 세라믹체(16g)로 이루어져, 다공질 세라믹체(16g)가 복합 타일(50)의 표측에 배치되어 도기체(18g)와 중첩되어 있다.
복합 타일은 건축물의 외벽에 사용되어 양호한 단열성을 가짐과 동시에, 보 수성이 있으며, 다공성의 표면을 갖고 있어 식물을 심어 잘 자라게 하거나 담쟁이 등의 부착근을 가진 만성 식물을 말아 올리게 하며 그 부착근의 착생시켜 식물을 통하여 자라게 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다공성의 표면은 부착근의 착생에 적절하다. 또, 도기체(18g)와 다공질 세라믹체(16g)는 소결에 의해 단단하게 결합되어 있어, 건축물의 외벽면에 장기간 사용되어도 양자가 박리되는 일은 없다. 복합 타일(50)은 다공질 세라믹체(16g)를 시공면의 외측으로 해서 사용되나, 도기체(18g)를 시공면의 외측으로 해서 사용해도 좋다. 이 경우, 더욱 양호한 시공벽의 단열성을 얻을 수 있고, 시공면과의 접착시에 이 접착에 쓰이는 모르타르 등의 접착제가 다공질 세라믹체(16g) 표면의 요철에 끼여 들어가 단단한 접착이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의 복합 타일은 다공질 세라믹체(16g)로 바꾸어 다공질의 콘크리트를 이용해도 된다.
다공질의 콘크리트는 시멘트, 슬러그 미분, 플라이 어쉬, 자갈, 발포 유리, 발포 수지편과 같은 세골재와, 알루미늄 금속 분말 등의 발포제를 포함한 전구체 슬러리를 발포와 함께 경화시켜 얻을 수 있다. 혹은, 시멘트, 세골재, 다수의 기포를 포함한 전구체 슬러리를 경화시켜 얻을 수 있다. 세골재로는 천연 경량 골재(오오시마 화산자갈, 하루나 화산자갈 등), 인공 경량 골재(메사라이트, 아사노라이트 등), 혹은 펄라이트 등도 들 수 있다.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세골재 70~150 중량부가 혼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포는 슬러리에 대하여 15~90 용적%로 혼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기체(18g)에, 이와 같은 전구체 슬러리를 주위를 형틀로 둘러싸 재치한 후 경화시킴으로써 복합 타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복합 세라믹 구조체를 도 9에 나타낸 형태로 제조해도 좋다. 도 9에 있어서, 통 모양의 초벌구이의 도기체(20)의 중공부에 상술한 발포제가 혼합되어 함유된 배토(22)로 이루어진 소지체 또는 소실성 입자가 혼합되어 함유된 배토로 이루어진 소지체 또는 배토를 이장화하여 소실성 다공질체에 함침시켜 이루어진 소지체(복합 소지체)를 채워 넣고, 이 채워 넣은 소지체(22)와 함께 통 모양의 초벌구이의 도기체(20)를 소성하여 주상체의 도기체(주상체)(24)를 얻는다. 도기체(24)의 내부는 다공질 세라믹(25)으로 채워져 있다. 계속해서 이 주상체의 도기체(24)를 절단면(혹은 파단면)(29)을 따라 절단 혹은 파단하여, 길이 방향으로 분리하여 복합 세라믹 구조체(28)를 얻는다. 복합 세라믹 구조체(28)는 절단면(혹은 파단면)(29)을 표면으로 하여 복합 타일(33)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해, 도기체(20)의 사이즈나 외표면의 형상을 바꾸어 각종 용도로 사용되는 복합 세라믹 구조체가 얻어진다. 예를 들면, 40cm각 두께5cm인 판 형태는, 빌딩 옥상에 깔아 단열재와 식생용의 마루를 겸용시켜 사용할 수 있다.아울러 도기체(24)를 파단면을 따라 파단하는 조작은 석재를 정 등의 치구를 이용해서 나눈 다음 파단하는 조작에 따라 할 수가 있다.
이 형태는 발포제가 혼합되어 함유된 소지체(22)를 이용했을 경우, 발포시에 소지체(22)가 도기체(20)의 중공부에서 체적이 늘어나는 과정에서, 소지체(22)가 도기체(20)의 중공부에 가득 차, 도기체(20)의 내벽면에 스스로를 꽉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도기체(20)의 내벽면과 다공질 세라믹(25)의 경계에 틈새가 없는 다공 질 세라믹(25)이 완전하게 채워진다.
복합 타일(33)은, 절단면(혹은 파단면)(29)을 시공면에 접합되는 이면으로 사용해도 좋다. 절단면(혹은 파단면)(29)의 표면에는 절단에 의해 생긴 미세하고 모서리가 예리한 요철이 그물코 형태로 다수 형성되어 있어, 모르타르 등의 접착재와의 접합력이 뛰어나 바람직하다. 또, 이렇게 시공된 시공벽은 단열성이 뛰어나다.
도기체(24)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도면을 정면으로 바라봤을 때 세로 방향으로 경사진 절단면(혹은 파단면)에서 절단 혹은 파단되어도 좋다. 이 경우는, 시공면의 방향과 경사진 표면(29s)을 갖는 복합 타일(33s)(복합 세라믹 구조체(28s))이 얻어진다. 복합 타일(33s)을 이용하여 시공된 시공 벽면은 변화가 많은 요철을 얻을 수 있어 미적 가치가 뛰어나다.
복합 타일(33s)에 의한 시공 벽면 형태의 예를 단면 모식도(도 11)에 나타낸다. 도 11(a)는, 표면(29s)이 위를 향하도록 배치된 벽면 구조(90)이며, 도 11(b)는, 표면(29s)의 방향이 시공벽(84)의 면의 상하 방향에 대하여 교대로 상, 하향이 되도록 배치된 벽면 구조(90a)이다. 표면(29s)이 위를 향하도록 배치된 복합 타일(33s)은, 표면(29s)이 내린 비를 효과적으로 받게 되므로 빗물이 다공질 세라믹(25)에 다량으로 저장된다. 저장된 빗물은 어느 정도의 저장 시간을 지나, 남은 빗물이 표면(29s)으로 넘친다. 넘친 빗물의 일부 또는 전부가 복합 타일(33s)의 밑면(37) 또는 밑모서리를 지나 하부의 복합 타일(33ss)에 이르러, 하부의 복합 타일(33ss)의 다공질 세라믹(25)에 흡수된다. 이와 같은 물의 흐름과 체류가 복합 타 일(33s), 복합 타일(33ss)에 식생(육생)된 도시하지 않은 식물의 육성에 좋은 효과를 준다.
통 모양의 도기체로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면에 있는 더브테일 홈(dovetail groove)(56)이 형성된 도기체(20a)이어도 좋다. 더브테일 홈(56)은 복합 타일(28a)의 이면에 상당하는 면에 형성된다. 더브테일 홈(56)은 건축물의 외벽면에 마련된 돌조의 더브테일에 결합하는 결합부(82)로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복합 타일(28a)과 건축물의 외벽면이 더브테일 조인트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복합 타일(28a)이 건축물의 외벽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진다. 절단면(혹은 파단면)(29)은 복합 타일(28a)의 표면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타일(28a)을 이용하여 건식 공법에 의한 수직벽이 형성되어진다. 건축물의 외벽면과의 결합은 외벽면에 설치된 특개 2002-4545에 개시되어 있는 결합용의 금구와 결합하는 계합부에 의해 이루어져도 좋다. 건축물의 외벽면에 마련된 돌조의 더브테일이 특개 2001-90314에 개시되어 있는 더브테일형 금구이어도 좋다.
복합 타일(28a)이 건축물의 외벽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면, 끼워진 복합 타일(28a)의 부분적인 교환이 가능해진다. 복합 타일(28a)의 표면에 상술한 세덤이나 이끼와 같은 식물이 식생되고 있는 경우, 식생되고 있는 식물이 시들어버린 부분의 복합 타일(28a)을 교환하여 새롭게 식물을 식생하든가, 미리 식물이 식생(육생)되고 있는 복합 타일(28a)로 교환할 수 있다. 또, 식생된 식물이 균일하게 생육하도록 일조 등을 고려하여 장착 위치를 정기적으로 서로 교환하여 이동시킬 수도 있다.
복합 타일(28a)은 건축물의 내벽면에 끼워져도 좋다. 이 복합 타일(28a)의 표면에 식물을 식생하여 내벽면의 장식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내벽면은 자주 물을 주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식물이 세덤인 것이 물을 자주 주지 않아도 육성 가능하기에 바람직하다. 혹은, 산솔이끼, 털깃털이끼 등의 이끼인 것이 키가 작고 다공질 세라믹(25)의 표면에서의 성장에 적합한 식물이라 바람직하다.
도 9, 도 10, 도 12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 모양의 도기체(20, 20a) 대신에, 이들과 거의 동일한 형상의 성형된 배토가 이용되어도 좋다. 즉, 통 모양의 성형된 배토의 중공부에 소성에 의해 발포하는 소지체(22)를 채운 후 이들을 동시에 소성하여 주상체의 도기체(24)나 주상체의 도기체(24a)를 만들어도 좋다.
도 9, 도 10, 도 12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 모양의 도기체(20, 20a)는, 소지를 압출 성형하여 건조 후 초벌구이를 얻을 수 있다. 또, 성형된 배토는 그 초벌구이를 하기 전의 압출 성형된 소지이다.
본 발명의 복합 타일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 13에 나타낸다. 도 13에 있어서, 복합 판형 타일(100)은, 도기체(118)의 부분과 판 형태의 다공질 세라믹체(116)의 부분이 중첩되어 이루어진다. 도기체(118)은 복합 판형 타일(100)의 표면(104)에 상당하는 면에 길이 방향의 홈(106)이 형성되며, 홈(106)에 다공질 세라믹체(116)가 채워진 구조로 되어 있다. 다공질 세라믹체(116)의 노출면(107)도 복합 판형타일(100)의 표면을 구성하고 있다.
복합 판형 타일(100)의 윗면(111)에는, 복합 판형 타일(100)의 단폭방향 A (이하, 단폭방향이라 함) 윗쪽으로 돌출하여, 복합 판형 타일(100)의 장폭방향 B(이하, 장폭방향이라 함)로 뻗은 볼록조(110)가 형성되며, 복합 판형 타일(100)의 이면(105)에는 장폭방향으로 늘어나는 긴 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긴 홈(112)의 내면은 바닥부 윗쪽 구석에 또 계지홈(115)이 장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합 판형 타일(100)의 밑면(109)에는, 장폭방향으로 뻗은 계지홈(114)이 형성되어 있다. 또, 밑면(109)에는 계지홈(114)에서 표면쪽으로 도수용 홈(135)이 장폭방향으로 뻗어 형성되어 있다. 계지홈(114)의 이면(105) 주변의 측벽(119)과 이면(105)에 끼워져서 위치하며, 계지홈(114)의 형성에 의해 생긴 볼록조(120)는 하단부가 길이 방향으로 일률적으로 깎여진 것처럼 결락되어 볼록조(120)의 밑면(122)이 밑면(109)보다 윗쪽에 위치하므로, 밑면(122)에는 표면(106)주변의 측벽(125)과 이면(105) 사이에 단차(140)가 형성되어 단차(140)에 의해, 패인 공간(142)이 밑면(122)과 이면(105)의 교차점에 생겨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복합 판형 타일(100)은,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공정에 따라 제조된다. 즉, 도기체(118)의 부분이 대칭으로 대칭면을 사이로 대향한 형상의 초벌구이 통 형태의 중공부에 다공질 세라믹체(116)의 전구체를 채워 소성되며, 도기체(118)의 부분이 대칭으로 대향한 통 형태의 중공부에 다공질 세라믹체가 채워진 구조물로 하여, 이 구조물을 대칭면에서 절단 혹은 파단하여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나누어 제조한다.
도 14에 복합 판형 타일(100)이 건축물의 외벽(149)에 장착된 형태를 나타낸다. 복합 판형 타일(100)은 외벽(149)에 접합된 계지용판(124)을 통하여 외벽(149) 에 계지 장착된다. 계지용판(124)은, 기판(126)과 기판(126)의 표면에 길이 방향을 수평으로 해서 상하로 배열하여 고정된 복수의 장척 계지용 받이부(130)로 이루어진다. 계지용 받이부(130)는 상부 받이부재(129)와, 그 윗쪽에 배치된 상부 받이부재(129)로 이루어진다. 상부 받이부재(129)는 하나의 평띠형판과 다른 평띠형판이 서로 면을 직교시켜 각각의 자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간 일모서리부에서 서로 연접한 형상의 단면“L”자형의 장척부재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평띠형판의 면이 기판(126)의 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다른 평띠형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간 다른 모서리부가 기판(126)에 고착되어 있다. 상부 받이부재(129)는 장척판이 자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간 접힘부분에서 단면의“?”자형으로 접힌 형상의 다른 장척부재로 이루어져 면을 기판(126)의 면과 윗쪽으로 경사지게 하여 자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간 모서리부에서 기판(126)에 고착되어 있다.
복합 판형 타일(100)은 계지용 받이부(130)에 끼워져 장착된다. 상세하게는, 하부 받이부재(128)가 계지홈(114)(도 13)과 계합되고, 상부 받이부재(129)가 계합홈(115)(도 13)과 계합된다. 또, 복합 판형 타일(100)은 외벽(149)의 벽면을 따라 상하 좌우로 면 하나에 배치되며 인접한 상하의 복합 판형 타일(100)은, 윗쪽의 복합 판형 타일(100)의 패인 공간(142)에 하부의 복합 판형 타일(100)의 볼록조(110)가 삽입되어 조립된다. 계지홈(114)과 계합홈(115)을 포함하여 복합 판형 타일(100)을 시공면에 장착하는 계합부(82p)(도 13)가 구성된다.
하부 받이부재(128)나, 상부 받이부재(129)의 단면 형상은 계지홈(114)이나 계합홈(115)과 계합하는 것이면 “L”자형이나 “〈”자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합 판형 타일(100)이 외벽(149)에 장착된 본 발명의 벽면 구조(150)는, 단열성이 우수한 다공질 세라믹체(116)의 효과적인 배치에 의해 건축물의 우수한 바깥단열구조를 실현한다. 또한, 다공질 세라믹체(116)가 표면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복합 타일(50, 28, 28s)등과 마찬가지로 건축물 외면에 대한 식물(133)의 정착에 적절하다.
또한, 벽면 구조(150)는, 윗쪽의 복합 판형 타일(100)에 부착되고, 습윤시켜 포화한 빗물 등의 물이 윗쪽의 복합 판형 타일(100)의 표면(104)의 하단에서 바로 아래의 복합 판형 타일(100)의 윗면(111)의 표면측의 부분으로 낙하하며, 낙하한 부분에서 바로 아래의 복합 판형 타일(100)의 표면(104)(도 13)의 상단부에 이른 다음 바로 아래의 복합 판형 타일(100)의 표면(104)(도 13)의 상하 방향 전체로 퍼진다. 이 물의 행정이 최상단의 복합 판형 타일(100)에서 차례로 하부의 복합 판형 타일(100)에 실현되어 상하 모든 복합 판형 타일(100)의 표면에 골고루 물이 퍼진다.
그리고, 복합 판형 타일(100)의 표면(104)의 하단에 달한 물은, 일부가 밑면(109)(도 13)의 표면(104)측의 모서리부에서 밑면(109)을 따라 이면(105)(도 13)측을 향해 진행하지만, 도수용 홈(135)에 이르면, 거기서 진행을 방해받아 바로 아래의 복합 판형 타일(100)의 윗면(111)으로 낙하한다. 이와 같이, 도수용 홈(135)은 물이 밑면(109)을 따라 복합 판형 타일(100)의 이면(105)에 이르는 것을 방해하여, 상단의 복합 판형 타일(100)에서 그 하단의 복합 판형 타일(100)의 표면에 효율적으로 물을 도입하는 데 기여한다.
또, 복합 판형 타일(100)을 비롯하여 복합 타일(50, 28, 28s)등이 외벽에 장착된 벽면 구조는, 바깥단열이나 식물에 의한 장식 효과와 함께 우천시에 다공질 세라믹체(116)에 흡수된 수분이 맑은 날 증산하여, 이 기화열에 의해 벽이 냉각되는 냉방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벽면 구조의 다른 일례를 도 15에 나타낸다. 도 15의 급수 수단이 달린 벽면 구조(150a)에 있어서는, 도 14와 같은 배치로 계지용판(124)을 통하여 외벽(149)에 계지 장착된 복합 타일열의 최상단의 복합 판형 타일(100a)의 더 직상부에 급수 수단(160)이 배치된다.
급수 수단(160)은 케이징(162)과 케이징(162)에 싸여 계지용판(124)을 따라 수평으로 배치되는 급수관(165)으로 이루어진다. 케이징(162)은, 복합 판형 타일(100)의 도기체(118)의 부분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받침 타일(164)과 받침타일(164)을 덮는 덮개 타일(168)로 이루어진다. 양자 모두 도기로 이루어진다. 받침타일(164)은, 복합 판형 타일(100)과 동일한 형태로 계지부(82q)를 통하여 계지용판(124)에 계착되어 받침타일(164)의 패인 공간(142)에 복합 판형 타일(100a)의 볼록조(110)가 삽입되어 조합된다.
덮개 타일(168)은, 복합 판형 타일(100)과 동일하게 하여 계지용판(124)에 계착되는 계착부(170)와 받침 타일(164)을 덮는 계착부(170)에 연접한 덮개부(172)로 이루어진다. 계착부(170)는 윤곽이 복합 판형 타일(100)과 거의 같다. 덮개부(172)는 단면“コ”자형의 장척부재로 이루어지며, 급수관(165)을 덮어 덮개부(172)의 내측면(178)과 받침타일(164)의 홈(106)의 내면(180)에 둘러싸여 형성된 장척 공간부(174)에 급수관(165)이 들어가진다.
급수관(165)에는, 길이방향을 따른 도시하지 않은 구멍들이 형성되어 급수관(165)에 공급된 물이 그 구멍들로부터 배출되어 장척 공간부(174)를 경유하여 최상단의 복합 판형 타일(100a)을 거쳐 더 아래쪽의 복합 판형 타일(100)에 공급된다.
급수 수단이 달린 벽면 구조(150a)에 있어서는, 식생된 식물(133)에 대한 급수와, 복합 판형 타일(100)의 전술한 증산 효과에 의한 벽면 냉각을 위한 급수가 빗물에 의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그리고 일손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급수 수단이 달린 벽면 구조(150a)는 식생된 식물(133)에 대한 급수가 자동화된다는 효과뿐만 아니라, 벽면에 식물을 식생하지 않는 경우라도 급수관(165)으로부터 물을 다수의 복합 판형 타일(100)의 다공질 세라믹체(116)에 공급하여, 그 다수의 다공질 세라믹체(116)에 골고루 수분을 흡수시킴으로써, 그 흡수된 수분이 맑은 날 증산하며, 이 기화열에 의해 벽이 냉각되어 건물의 실온을 낮추어 냉방의 부하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 급수관(165)이 복합 타일과 동질의 소재로 형성된 커버로 덮이므로, 외벽 외관과 매칭되어 외관을 해치지 않는다. 또한, 이 커버는 특별한 배치 공사를 수반하는 일 없이 복합 타일용의 계지용판(124)을 이용하여 취부할 수 있으므로 설치비용이 매우 적게 든다.
벽면 구조(150)나 급수 수단이 달린 벽면 구조(150a)에 있어서도, 다공질 세라믹체(116)의 노출면(107)에 세덤류, 달개비류, 다년초 또는 이끼류와 같은 식 물(133)이 식생(육생)된다. 혹은, 담쟁이류와 같이 덩굴성 식물을 키울 수 있다. 식물(133)은, 외벽의 미관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직사광선을 차단하며, 자체의 수분 증산에 의해 건물의 냉방 에너지 부하를 줄이는 데 기여한다.
또한, 다공질 세라믹체에는 마그네슘산화물, 칼슘산화물 등의 알칼리성 성분이 1~1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다공질 세라믹은 알칼리성이 되어 세덤류, 달개비류의 육성에 적합한 다공질 세라믹체가 얻어진다. 이를 위해서는 타일 소지의 소성시에 소성전의 소지체나 복합 소지체를 구성하는 배토에 마그네슘 산화물, 칼슘산화물 등의 알칼리성 성분을 1~10중량% 함유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질 세라믹체(116)는, 보수성을 가짐과 동시에 먼지 형태의 유기물을 구멍 내 로 유지하므로 식생된 식물에 대한 수분 보급과 함께 양분의 보급도 이루어져 바람직하다. 또, 뿌리가 구멍에 의한 매트릭스 구조로 유지되므로, 강풍 등의 외력으로 식물이 세라믹체(116)로부터 박리되기 어렵다. 또한, 덩굴성 식물을 말아 올렸을 때에는, 이 매트릭스 구조가 식물에 있어서 단단한 발판이 되으로 확실하게 식물을 말아 올릴 수가 있다.
다공질 세라믹체(116)의 다공에는, 미리 혹은 정기적으로 액비 등의 비료나 흙을 함침시키거나 뿌리거나 밀어 넣어 함유시킬 수 있다.이에 따라 식물의 육성이 더욱 촉진된다.
또, 벽면 구조(150)나 급수 수단이 달린 벽면 구조 150 a에 있어서도, 복합 판형 타일(100)은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며, 원하는 색조로 적절한 시점에 교환하거 나 식생된 식물의 손상이 심한 복합 타일이나, 일조 등의 가감으로 성장도에 차이가 있는 부분의 복합 타일을 교환하거나 바꿔 넣을 수가 있다. 때가 묻은 복합 타일을 떼 내서 청소한 후 재장착하는 것도 용이하다. 또, 식물을 정착시킨 후 용이하게 외벽에 장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벽면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벽면구조 150c에 있어서는, 도 13에 나타낸 복합구조의 복합 판형 타일(100)이 이용된다. 복합 판형 타일(100)의 윗면(상측 측면)(111)의 타일표면에 상접하는 측은 타일 표면을 향하여 하강 경사하는 경사면(117)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질체의 세라믹체(116)는 소성에 의해 생성되어 도기체(118)의 벽면에 소결되어 결합되는 것이 구조의 안정성으로 볼 때 바람직하나, 다공질체로 이루어진 미리 준비된 판형물이 긴 홈(112)에 끼워 넣어진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19, 도 20에 나타낸 분 형태 타일(200)이 이용된다. 분 형태 타일(200)은 위쪽으로 개구되며, 장착되어야 할 기벽면에 대치하는 외부공간에 면하는 표면측 측벽(250)과, 이 측벽들이 입설하는 바닥벽(256)을 갖는다. 분 형태타일(200)은 법선을 따라 결락부(214)를 가진 단면이“U”자,“V”자 또는“?”자형인 통형부재(210)와 통의 단부에 상당하여 분 형태 타일(200)의 가로측 측부에 위치하는 양 개구를 각각 적어도 일부 막는 실링부재(212)로 구성된다. 결락부(214)가 분 형태타일(200)의 상부 개구부(260)를 구성한다. 통형부재(210)와 실링부재(212)는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다.
분 형태 타일(200)은 표측면(201)을 장착되어야 할 기벽면에 대치하는 외부 공간에 면하고, 이면(204)을 그 기벽면에 면하여 배치되며, 이면(204)에 계지용 받침부(130)(도 21)에 계합하는 계합부(202)를 구비한다. 계합부(202)의 형상은 복합 판형 타일(100)의 계합부(82p)(도 13)의 형상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면측 측벽(252)의 윗면(311)의 후측에는 위쪽으로 돌출하여 가로방향으로 뻗은 볼록조(3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윗면(311)은 전방을 향해 하강 경사하는 경사면(312)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벽(256)의 외면에 가로방향으로 뻗은 가로 홈(23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통형부재(210)와 실링부재(212)의 접합부분에 물빼기용 틈새가 마련되어도 좋다. 분 형태 타일(200)은 바닥벽(256)에 물빼기구멍(299)이 형성되어도 좋다.
볼록조(310), 경사면(312), 가로 홈(235)은 분 형태 타일(20)이 기벽면에 장착되었을 때, 복합 판형 타일(100)에서의 볼록조(110), 경사면(117), 가로홈(135)과 동일한 기능을 각각 갖는다.
아울러, 분 형태 타일(200)은 소정의 가로 폭과 높이를 가지며, 이면에 계합부(202)를 갖춘 것이라면 형상은 도 2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분 형태 타일(200)의 소재는 도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나 금속이어도 좋으며, 소재는 한정되지 않는다. 계합부(202)는 통형부재(201)와 같은 분 형태 타일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제조비용면에서 바람직하나, 분 형태 타일 본체에 연결된 후크형의 부재이더라도 관계없다. 후크형 부재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면 도기, 금속, 수지 어느 것이든 관계없다.
도 21에 복합 판형 타일(100)과 분 형태 타일(200)이 건축물 외벽(149)의 기벽면(159)에 장착된 본 발명의 벽면구조(150c)의 상태를 나타낸다. 복합 판형 타일(100) 및 분 형태 타일(200)은 외벽(149)에 접합된 계지용판(124)을 통하여 외벽(149)에 계지장착된다. 분 형태 타일(200)의 계합부(202)는, 복합 판형 타일(100)의 계합부(82p)와 동일하게 하여 외벽(149)에 계지장착된다. 분 형태 타일(200)의 볼록조(310)와, 분 형태 타일(200)의 바로 위에 배치된 복합 판형 타일(100)의 하단부의 배치관계는 상하에 인접하여 배치된 판형타일에서의 하측 복합 판형 타일(100)의 볼록조(110)와 상측의 복합 판형 타일(100)의 하단부의 배치관계와 동일하게 되므로, 복합 판형 타일(100)과 분 형태 타일(200)의 일체감이 얻어져 벽면이 미려해진다. 또, 분 형태 타일(200)의 볼록조(310는 복합 판형 타일(100)의 볼록조(110)와 동일한 기능을 하며, 볼록조(310)와 경사면(312)은 복합 판형 타일(100)에서의 볼록조(110)와 경사면(117)과 동일한 기능을 각각 갖는다.
복합 판형 타일(100) 및 분 형태 타일(200)은 외벽(149)에 접합된 계지용판(124)을 통하여 외벽(149)에 계지장착된다, 계지용판(124)은 기판(126)과 기판(126)의 표면에 길이방향을 수평으로 하여 상하로 배열하여 고정된 복수의 장척 계지용 받침부(130)로 이루어진다. 계지용 받침부(130)는 하부 받침부재(128)와 그 위쪽에 배치된 상부받침부재(129)로 이루어진다. 하부받침부재(128)는 하나의 평띠형판과 다른 평띠형판이 서로 면을 직교시켜 각각의 자체의 길이방향을 따라간 일측 모서리부에서 서로 연접한 형상의 단면“L"자형의 장척부재로 이루어지며, 일측 평띠형판의 면이 기판(126)의 면과 평행으로 배치되고, 다른 평띠형판의 길이방향 을 따라 다른 모서리부가 기판(126)에 고착되어 있다. 상부 받침부재(129)는 장척판이 자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접힘부에서 단면이“?”자형으로 접힌 형상의 다른 장척부재로 이루어져 면을 위쪽으로 경사시켜 자체의 길이방향을 따라간 모서리에서 기판(126)에 고착되어 있다.
복합 판형 타일(100)은 계지용 받침부(130)에 계착장착된다. 상세하게는 하부받침부재(128)가 계지홈(114)(도 13)과 계합하고, 상부받침부재(129)가 계합홈(도 13)과 계합한다.
또, 복합 판형 타일(100)은 외벽(149)의 벽면(기벽면(159))을 따라 상하좌우로 면이 일치하도록 배치되며, 인접한 상하의 복합 판형 타일(100)은 위쪽의 복합 판형 타일(100)의 패인공간(142)에 아래쪽의 복합 판형 타일(100)의 볼록조(110)가 삽입되어 조합되어진다. 계지홈(114)과 계합홈(115)을 포함하여 복합 판형 타일을 시공면에 장착하는 계합부(82p)(도 13)가 구성된다. 계합부(82p)는 판형 타일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제조 비용면에서 바람직하나, 판형 타일 본체에 연결된 후크형 부재라도 관계없다. 후크형 부재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면 도기, 금속, 수지 어느 것이든 관계없다.
하부받침부재(128)와 상부받침부재(129)의 단면 형상이 계합부(82p)와 계합하는 것이라면 “L”자형이나“?”자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분 형태 타일(200)은, 면 형태로 장착된 복수의 복합 판형 타일(100) 중의 일부를 빼낸 후의 계지용 받침부(130)에 계합되어 장착된다.
분 형태 타일(200)에는 배토(288)가 채워져 식물(289)이 식생된다.
벽면 구조(150c)는 단열성이 뛰어난 다공질 세라믹체(116)의 효과적인 배치에 의해 건축물의 뛰어난 바깥단열 구조를 실현한다. 또한, 다공질 세라믹체(116)가 표면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건축물 외부면에 대한 식물의 정착에 적합하다.
또한, 벽면구조(150c)에 있어서는, 위쪽의 복합 판형 타일(100)에 부착되어 습윤시켜 포화된 빗물 등의 물이 위쪽의 복합 판형 타일(100)의 표면(104)의 하단에서 직하의 복합 판형 타일(100)의 윗면(111)의 표면측 부분에 낙하하며, 낙하된 부분에서 직하의 복합 판형 타일(100)의 표면(104)(도 13)의 상단부에 달한 후, 직하의 복합 판형 타일(100)의 표면(104)(도 13)의 상하방향 전체로 퍼진다. 이 물의 행정이 최상단의 복합 판형 타일(100)에서 차례대로 아래쪽의 복합 판형 타일(100)에 실현되어 상하 모든 복합 판형 타일(100)의 표면에 골고루 물이 퍼진다.
아울러, 복합 판형 타일(100)의 표면(104)의 하단에 달한 물은 일부가 밑면(109)(도 13)의 표면(104)측의 모서리부에서 밑면(109)을 따라 이면(105)(도 13)측을 향해 진행하는데, 가로 홈(135)에 달하면 거기서 진행이 저지를 받아 직하의 복합 판형 타일(100)의 윗면(111)으로 낙하한다. 이와 같이 가로 홈(135)은 물이 밑면(109)을 따라 복합 판형 타일(100)의 이면(105)에 달하는 것을 막아 상단의 복합 판형 타일(100)에서 그 하단의 복합 판형 타일(100)의 표면에 효과적으로 물을 끌어들이는 데 기여한다. 또, 윗면(111)이 판형 타일 표면을 향해 하강 경사하는 경사면이며, 윗면(111)에 낙하된 물은 타일 표면의 다공질 세라믹체(116)에 효과적으로 달한다. 이에 따라 상하 모든 복합 판형 타일(100)의 표면에 거의 균등하게 골고루 물이 퍼진다. 그리고, 볼록조(110)는 윗면(111)에 낙하된 물이 복합 판형 타일(100)의 이면에 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는다.
또, 벽면구조(150c)는, 바깥단열과 식물에 의한 장식효과와 함께 강우시에 다공질 세라믹체(116)에 흡수된 수분이 맑은 날에 증산하여 이 기화열에 의해 벽이 냉각되는 냉방효과가 있다.
벽면구조(150c)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수수단(160)을 구비할 수가 있다. 도 22의 급수수단이 달린 벽면구조(150d)에 있어서는 도 21과 동일한 배치로 계지용판(124)을 통하여 외벽(149)에 계지장착된 타일열 최상단의 복합 판형 타일(100a)의 더 직상부에 급수수단(160)이 배치된다.
급수수단(160)은 케이징(162)과, 케이징(162)에 싸여 계지용판(124)을 따라 수평으로 배치되는 급수관(165)으로 이루어진다. 케이징(162)은 복합 판형 타일(100)의 도기체(118)의 부분과 동일한 향상을 이루는 받침타일(164)과 받침타일(164)을 덮는 덮개타일(168)로 이루어진다. 양자 모두 도기로 이루어진다. 받침타일(164)은 복합 판형 타일(100)과 동일한 형태로 계지부(82q)를 통하여 계지용판(124)에 계착되며, 받침타일(164)의 패인공간(142)에 복합 판형 타일(100a)의 볼록조(110)가 삽입되어 구성되어진다.
덮개타일(168)은 복합 판형 타일(100)과 동일하게 하여 계지용판(124)에 계착되는 계착부(170)와 받침타일(164)을 덮는 계착부(170)에 연접한 덮개부(172)로 이루어진다. 계착부(170)는 윤곽이 복합 판형 타일(100)과 거의 동일하다. 덮개부(172)는 단면“コ”자형의 장척부재로 이루어지며, 급수관(165)을 덮어 덮개부(172)의 내측면(178)과 받침타일(164)의 홈(106)의 내면(180)에 둘러싸여 형성된 장척공간(174)에 급수관(165)이 들어가진다.
급수관(165)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도시하지 않은 구멍의 열이 형성되며, 급수관(165)에 공급된 물이 그 구멍열에서 배출되어 장척공간부(174)를 경유하여 최상단의 복합 판형 타일(100a)을 거쳐 더 아래쪽의 복합 판형 타일(100)로 공급된다.
벽면구조(150d)에 있어서는, 식생된 식물(133)에 대한 급수와 복합 판형 타일(100)의 전술한 증산효과에 의한 벽면냉각을 위한 급수가 빗물에 의존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그리고 사람의 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이루어진다. 그리고 벽면구조(150d)는 식생된 식물(133)에 대한 급수가 자동화되지 않는 효과뿐만 아니라, 벽면에 식물을 식생하지 않는 경우라도 급수관(165)에서 물을 다수의 복합 판형 타일(100)의 다공질 세라믹체(116)로 공급하며, 그 다수의 다공질 세라믹체(116)에 골고루 수분을 흡수시킴으로써, 그 흡수된 수분이 맑은 날에 증산하여 이 기화열에 의해 벽이 냉각되어 건물의 실온을 낮추어 냉방부하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 급수관(165)이 판형 타일의 주 소재와 동질의 소재로 형성된 커버로 덮여지므로, 외벽외관과 매칭되어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이 커버는 특별한 배치공사를 수반하지 않고 평상 타일용의 계지용판(124)을 이용하여 취부할 수 있어 설치비용이 매우 적다.
벽면구조(150)와 벽면구조(150d)에 있어서는, 다공질체의 세라믹(116)의 노출면(107)에 세덤류, 달개비류, 다년초 또는 이끼류와 같은 식물(133)이 식생(육생)된다. 혹은 담쟁이류와 같은 덩굴성 식물이 말려 올라가 육생할 수가 있다. 식 물(133)은 외벽이 미관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직사광선을 차단하고 자체의 수분증산에 의해 건물의 냉방에너지 부하의 저감에 기여한다.
또한, 다공질 세라믹체에는 마그네슘산화물, 칼슘산화물 등의 알칼리성 성분이 1~1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다공질 세라믹은 알칼리성이 되어 세덤류, 달개비류 등의 육성에 적합한 다공질 세라믹체가 얻어진다. 이를 위해서는 판형 타일 소지의 소성시에 소성전의 소지체나 복합소지체를 구성하는 배토에 마그네슘산화물, 칼슘산화물 등의 알칼리성의 성분을 1~10 중량% 함유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질 세라믹체(116)는, 보수성을 가짐과 동시에 먼지형태의 유기물을 구멍 내 로 유지하므로 식생된 식물에 대한 수분 보급과 함께 양분의 보급도 이루어져 바람직하다. 또, 뿌리가 구멍에 의한 매트릭스 구조로 유지되므로, 강풍 등의 외력으로 식물이 세라믹체(116)로부터 박리되기 어렵다. 또한, 덩굴성 식물을 말아 올렸을 때에는, 이 매트릭스 구조가 식물에 있어서 단단한 발판이 되어, 확실하게 식물을 말아 올릴 수가 있다.
다공질 세라믹체(116)의 다공에는, 미리 혹은 정기적으로 액비 등의 비료나 흙을 함침시키거나 뿌리거나 밀어 넣어 함유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식물의 육성이 더욱 촉진된다. 액비 등의 비료는 급수수단(160)에 의해 급수되는 물에 혼입시켜도 된다.
또, 벽면 구조 150c와 벽면 구조 150 a에 있어서도, 복합 판형 타일(100)은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며, 원하는 색조로 적절한 시점에 교환하거나 식생된 식물의 손상이 심한 판형 타일이나, 일조 등의 가감으로 성장도에 차이가 있는 부분의 판형 타일을 교환하거나 바꿔 넣을 수가 있다. 때가 묻은 복합 타일을 떼 내서 청소한 후 재장착하는 것도 용이하다. 또, 미리 식물을 정착시킨 후 외벽에 쉽게 장착할 수 있다.
분 형태 타일(200)의 가로 폭(Y)의 정배수는 복합 판형 타일(100)의 가로 폭(긴 폭)(WL)의 거의 정배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높이(H)의 정배수는 복합 판형 타일(100)의 세로 폭(짧은 폭)(WS)의 거의 정배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격자상으로 배열한 복합 판형 타일(100)의 매트릭스에서 한개 또는 복수의 복합 판형 타일(100)을 제거한 사각형 자국에 거의 틈새 없이 분 형태 타일(200)을 끼워 넣을 수가 있어, 복합 판형 타일(100)과 분 형태 타일(200)의 일체감을 더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벽면도 미려해진다. 통상적으로, Y와 WL이 거의 같고 H가 WS의 거의 2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거의 정배수란, 끼워 넣는 틈새와 판형 타일간의 눈금간격에 상당하는 간극을 예상하는 의미이다.
벽면구조(150)의 평면모식도를 도 23에 나타낸다. 복합 판형 타일(100)의 매트릭스 중에 분 형태 타일(20)을 간헐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벽면의 미관을 향상시킨다.
배치된 분 형태 타일(200)은 식물의 상태나 경시, 계절에 따라 용이하게 적절히 바꿀 수 있다. 예를 들면, 계절에 맞는 화조나 화목을 식생한 분 형태 타일(200)을 준비해두고 적절하게 바꿀 수가 있다. 또, 분 형태 타일(200)에 식생되어 있는 화초나 화목을 계절에 따라 바꿔 심을 수가 있다.
벽면구조(150c)가 급수수단(160)을 구비하는 경우는 급수수단(160)에 의해 급수된 물이 복합 판형 타일(100)을 거쳐 분 형태 타일(200)에도 자동적으로 거의 균등하게 공급되므로 양호한 식생을 시킬 수가 있다.
벽면구조(150, 150a, 150c, 150d)에 이용되는 복합 판형 타일(100)의 판형 다공질 세라믹체(116)의 부분은 흡수율(JIS R2205)이 1~5%인 것이 식물의 양호한 육성과 외벽(149)을 보수하는 데 바람직하다. 즉, 다공질 세라믹체(116)의 부분이 석기질 또는 석기질과 유사한 성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율이 이 범위를 넘어 커지면 복합 판형 타일(100)의 이면에서 물이 스며들어가는 양이 많아져, 외벽(149)의 오염이나 노화의 원인이 될 우려가 있다. 흡수율이 이 범위를 넘어 작아지면 다공질 세라믹체(116)의 배수성이 저해되어 식물의 양호한 육성이나 뿌리를 내리는 데에 있어서 양호한 환경을 얻을 수가 없다.
또한, 도 23의 구성에 있어서는 복합 판형 타일(100) 대신에 도기로 이루어져, 외관 형상이 복합 판형 타일(100)과 동일하고, 통상의 타일과 같은 표면형태를 갖는 판형타일이 쓰여져도 좋다. 이 경우는 복합 판형 타일(100)과 같은 타일면에서의 식물의 식생에 의한 외관효과와 다공질체인 세라믹체의 흡수와 수분의 표면으로부터의 증산에 의한 냉각효과는 기대할 수 없으나, 분 형태 타일(200)의 벽면으로의 배치에 의한 벽면의 미관효과와 식물의 모습과 향기에 의한 웰빙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 복합 판형 타일(100)의 색채와 타일에 의한 모자이크 모양을 식물의 종류와 배치에 맞추어 용이하게 적절히 바꿀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벽면구조에 있어서는 판형 타일면에 식물의 식생을 시키지 않 아도 급수수단(160)을 적용함으로써, 판형 타일면에 골고루 물이 흘러 생기는 벽면이 흔들리는 형태의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분 형태 타일(200)을 배치하여 분 형태 타일(200)에 식생된 식물로의 자동적인 급수가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벽면구조에 있어서는 분 형태 타일(200)에 식목 대신에 꽃꽂이를 하거나 관엽식물을 심어 벽면의 미관효과와 식물의 모습이나 향기에 의한 웰빙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급수수단(160)을 적용함으로써 분 형태 타일(200)에 심어진 식물로의 자동적인 급수가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벽면구조에 있어서는 분 형태 타일(200)에 식목 대신에 조화나 장식용품 및 향수용품을 넣어 벽면의 미관효과와 향기에 의한 웰빙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아울러 종래, 외벽에 식물을 식생시키는 방식으로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벽(200)에 직접 종려나무제 등의 섬유 매트(302)를 식생바닥으로서 종횡으로 배열하여 접착제로 붙였다. 섬유 매트(302)의 횡렬의 상단에 다공의 파이프(304)가 수평으로 배치되어 섬유 매트(302)로 급수된다. 이 방식은 섬유 매트(302)가 더러워지거나 식물이 시들거나 했을 때의 교환이 용이하지 않다. 또, 파이프(304)가 노출되어 있어 외벽의 미관을 해친다. 파이프(304)에 커버를 치려면 복잡한 공사를 필요로 한다.
또, 종래, 단열성을 향상시킨 타일로서는, 도 17에 나타낸 다공질 세라믹체(316)가 도기(318)에 의해 완전히 덮힌 이른바 만두 구조 타입의 타일(320)이 있으나, 이 타입은 다공질 세라믹체(316)의 면이 노출되어 있지 않아, 본 발명의 복 합 타일과 같은 흡수 효과나 수분의 증산 효과는 원래부터 기대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복합 세라믹 구조체를 이용한 도 18에 나타낸 식생용 기반(321)을 들 수 있다. 식생용 기반(321)은, 윗면에 홈형태 혹은 요함부 형태의 결손부(322)가 형성된 도기판(323)과 결손부(322)에 끼워진 혹은 결손부(322)의 내벽에 연접한 다공질 세라믹체(324)로 구성되며, 전체적으로 두꺼운 판 형태를 이루고 있다.
식생용 기반(320)의 윗면은, 모서리부의 적어도 일부를 제외한 다공질 세라믹체(316)의 면이 노출되어 다공질 세라믹체 노출면(325)으로 되어 있다. 다공질 세라믹체 노출면(325)에는 세덤류, 달개비류, 다년초 또는 이끼류와 같은 식물(328)이 식생된다. 다공질 세라믹체(324)의 보수성과 뿌리내림의 용이성과 양호한 뿌리 보관 유지성에 의해, 본 발명의 식생용 기반(321)은 이 식물들의 정착과 육성에 매우 적합하다.
식생용 기반(321)에 미리 식물(328)을 식생하여 식물 세라믹체 복합물(330)을 만들어, 그 식물 세라믹체 복합물(330)을 설치 장소로 옮겨 면 형태로 부설하게 되면 설치된 면이 식물로 덮인 면이 된다.
식물 세라믹체 복합물(330)은 여러 개를 빌딩의 옥상바닥 전체에 빈틈없이 깔아주므로써, 옥상 녹화와 건물 냉방 부하의 경감에 기여한다. 이 작업은 수고도 많이 들지 않고 조작도 용이하다. 또, 배치변경도 용이하다. 아울러, 전체적으로 깔린 식물 세라믹체 복합물 중 일부가 시들거나 더러워져도 그 부분의 식물 세라믹체 복합물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가 있다.
또, 식물 세라믹체 복합물(330)은 공원 등과 같은 옥외에 깔아주므로써, 옥외 녹화와 히트 아일랜드 현상의 저감에 기여한다. 이 작업은 수고도 많이 들지 않고 조작도 용이하다. 또, 배치변경도 용이하다. 아울러, 전체적으로 깔린 식물 세라믹체 복합물 중 일부가 시들거나 더러워져도 그 부분의 식물 세라믹체 복합물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가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점토를 도 3에 나타낸 화분형태로 성형하여, 700℃에서 초벌구이를 하여 초벌구이 화분을 얻었다. 이 초벌구이 화분의 바깥치수는 가로, 세로 높이 각각 60 cm였다. 안치수는 세로, 가로, 높이 각각 55 cm였다. 한편, 점토에 SiC를 혼합하여 배토를 얻었다. SiC의 혼합률은 점토의 건조 중량에 대하여 5중량%였다. 이 배토를 초벌구이 화분에 채웠다. 배토는 초벌구이 화분의 윗 가장자리에서 5cm의 높이까지 윗면을 거의 평평하게 채웠다. 배토를 채운 초벌구이 화분을 1000℃에서 24 시간 고온으로 소성하여 다공질 세라믹체가 채워진 복합 화분을 얻었다. 이 복합 화분을 10 층 건물의 빌딩 옥상에 여러 개 깔고, 각각 식목을 식생하였다. 그 결과, 빌딩의 공조 에너지 비용을 줄일 수 있었다. 또, 1년 이상 지나도 설치 주변이 흙으로 더렵혀지지 않아 깨끗한 환경이 유지되었다. 물은 빗물로 조달할 수가 있어 특별한 관리가 필요 없었다.
[실시예 2]
점토에 페놀 수지의 비즈(평균지름 100μm)를 10용량% 혼합하여 충진용의 배 토로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다공질 세라믹체가 채워진 복합 화분을 얻었다. 이 복합 화분을 10 층 건물의 빌딩 옥상에 여러 개 깔고, 각각 식목을 식생하였다. 그 결과, 빌딩의 공조 에너지 비용을 줄일 수 있었다. 또, 1년 이상 지나도 설치 주변이 흙으로 더렵혀지지 않아 깨끗한 환경이 유지되었다. 물은 빗물로 조달할 수 있어 특별한 관리가 필요 없었다.
[실시예 3]
우레탄폼을 소실성 다공질체로 이용하여 점토로 이루어진 배토를 이장화하고 이 우레탄폼에 함침시켜 배토와 우레탄폼의 복합 소지체를 얻었다. 이장의 부착량은 예를 들면 1cm× 1cm× 1cm의 우레탄폼에 대하여 0.3g이었다. 우레탄폼의 형상은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화분중의 다공질 세라믹체의 외형과 동일하다. 복합 소지체를 실시예 1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초벌구이 화분에 끼워 넣어, 양자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소성시켜 복합 화분을 얻었다. 이 복합 화분을 10층 건물의 빌딩 옥상에 여러 개 깔고 각각 세덤을 식생했다. 그 결과, 빌딩의 공조에너지 비용을 줄일 수 있었다. 또, 1년 이상 지나도 설치 주변이 흙으로 더렵혀지지 않아 깨끗한 환경이 유지되었다. 물은 빗물로 조달할 수 있어 특별한 관리가 필요 없었다.
[실시예 4]
기공율이 50%인 경질 우레탄 수지를 30 cm각의 블록형태로 잘라내 다공질체를 얻었다. 이 다공질체를 윗면으로 하여 1면을 남기고, 다른 5면에 통상의 유성페인트를 도포해서 두께 약0.5mm의 도막을 형성하여 복합 화분을 얻었다. 이 복합 화 분을 10층 건물의 빌딩 옥상에 여러 개 깔고, 각각 세덤을 식생하였다. 그 결과, 빌딩의 공조에너지 비용을 줄일 수 있었다. 또, 1년 이상 지나도 설치 주변이 흙으로 더렵혀지지 않아 깨끗한 환경이 유지되었다. 물은 빗물로 조달할 수 있어 특별한 관리가 필요 없었다.
[실시예 5]
조강시멘트 100 중량부, 후요펄라이트(주)에서 만든 상품명‘후요라이트’25 중량부, (주)선라이트에서 만든 상품명‘G라이트’25 중량부, 감수제로는 일본 유지(주)에서 만든 상품명‘마리아 림’을 5 중량부, 기포제로는 (주)셀폼기술연구소에서 만든 상품명‘셀폼 L-50’을 2 중량부 혼합하여 슬러리를 만들고, 기포 발생 장치((주)셀폼기술연구소에서 만든 상품명‘셀에이스’)에 의해 기포가 들어간 슬러리를 얻었다. 이 기포가 들어간 슬러리를 화분에 주입하여 경화시틴 후 복합 화분을 얻었다. 경화시킨 다공질 콘크리트의 비중은 0.75였다. 이 화분은, 실시예 1에서 이용된 초벌구이 화분을 1000℃에서 25시간 소성하여 얻었다.
[실시예 6]
점토를 도 8에 나타낸 판 모양의 도기체(18g)와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한 후, 초벌구이하여 판 형태의 초벌구이체를 얻었다. 초벌구이체의 두께는 4mm, 평면 형상은 한 변이 5cm인 정방형이다. 초벌구이체의 이면에는 홈(55)을 마련하였다. 또한, 점토에 SiC을 혼합하여 배토를 얻었다. SiC의 혼합율은 점토의 건조 중량에 대하여 4중량%였다. 이 배토를 도 8에 나타낸 판 형태의 다공질 세라믹체(16g)과 같은 형상으로 성형하여 판 형태의 초벌구이체 표면에 중첩시켰다. 이 중첩체를 1100℃에서 24 시간 소성하여 다공질 세라믹체가 중첩된 복합 타일을 얻었다.
[실시예 7]
일본 시가라키(信樂) 지역의 점토 소지를 이용하여 도 12에 나타낸 형태의 통형 도기체(20a)와 동일한 형태의 성형 소지를 압출 성형에 의해 만들었다. 이 성형 소지의 길이 방향과의 직교폭은 4× 6cm였다. 통벽의 두께는 5mm였다. 이 성형 소지의 중공부에 소성에 의해 발포하는 배토를 삽입하였다. 이 배토는 시가라키지역의 점토 소지에 그 건조 중량에 대하여 SiC가 10 중량% 혼합된 것이다. 이 배토는 성형 소지의 중공부의 용적에 대하여 30 용적%가 삽입되었다. 그리고는 이 배토가 삽입된 성형 소지를 1100℃에서 24시간 소성하여 주상체의 도기체 24a를 얻었다. 주상체의 도기체(24a)를 길이 방향과 평행한 면을 따라 2등분으로 절단한 후 길이 25 cmm로 분리하여 복합 타일(28a)을 얻었다. 발포 후의 다공질 세라믹(25)은, 절단 후의 도기체(20a)와 그 경계면에서 구석구석까지 밀착 상태에서 소결로 결합시켜 양호한 결합 상태가 얻어졌다. 복합 타일(28a)은, 더브테일 홈(56)을 건축물의 외벽에 구비된 돌조의 더브테일을 계합함으로써, 다공질 세라믹(25)의 면(절단면 29)을 외면에 노출시킨 건축물의 외벽면이 얻어졌다. 이 외벽면은 식생된 세덤의 양호한 발판이 되었다. 또, 이 복합 타일(28a)을 구비한 건축물의 벽은 단열성이 뛰어났다.
이상, 본 발명의 복합 세라믹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및 그 복합 세라믹 구조체로 이루어진 복합 화분과 복합 타일의 실시예를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그 취 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의 지식에 근거해 여러 가지의 개량, 수정, 변형을 가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형태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벽면구조는 건축물의 외벽뿐만 아니라, 옥내벽면의 장식용과 온도조절용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옥내외의 독립된 판형 모뉴먼트의 장식용에도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4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통 모양의 초벌구이체 또는 도기용 성형 소지체의 중공부에 발포제, 소실성 입자 또는 소실성 다공질체를 함유시킨 소지체를 끼워서 채운 후, 상기 초벌구이체 또는 상기 도기용 성형 소지체를 소성하여 주상체를 만들고, 그 주상체를 자체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절단면 혹은 파단면에서 절단 혹은 파단하는 공정을 포함한 복합 세라믹 구조체의 제조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KR1020077004985A 2004-10-19 2004-11-24 복합 세라믹 구조체와 그 제조 방법 및 그 복합 세라믹구조체를 이용한 벽면구조 KR1011719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03678 2004-10-19
JP2004303678A JP4660153B2 (ja) 2004-10-19 2004-10-19 壁面構造
PCT/JP2004/017422 WO2006043340A1 (ja) 2004-10-19 2004-11-24 複合セラミックス構造体とその製造方法、及び該複合セラミックス構造体を用いた壁面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3533A KR20070083533A (ko) 2007-08-24
KR101171992B1 true KR101171992B1 (ko) 2012-08-07

Family

ID=36202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4985A KR101171992B1 (ko) 2004-10-19 2004-11-24 복합 세라믹 구조체와 그 제조 방법 및 그 복합 세라믹구조체를 이용한 벽면구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80003445A1 (ko)
EP (1) EP1803697A4 (ko)
JP (1) JP4660153B2 (ko)
KR (1) KR101171992B1 (ko)
CN (1) CN101027266B (ko)
AU (1) AU2004324295A1 (ko)
BR (1) BRPI0419130A (ko)
IL (1) IL181547A0 (ko)
WO (1) WO20060433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8607A (ja) * 2007-02-26 2008-09-11 Nippon Naturock Kk 多孔質天然石を利用したサイディング及びサイディング工法
ES2296553B1 (es) * 2007-07-02 2009-08-04 Cirt Piedra, S.L. Elemento modular de piedra prefabricado, para revestimiento mural decorativo.
JP5416378B2 (ja) * 2007-09-04 2014-02-12 近江窯業株式会社 壁面冷却用タイル及び壁面構造
FR2939276B1 (fr) * 2008-12-08 2010-11-19 Acaulia Casier pour paroi vegetalisee
CN101554125B (zh) * 2009-03-17 2010-12-08 南京绿色组合环保有限公司 立面绿化模块
IT1399294B1 (it) * 2009-07-02 2013-04-11 Plotegher Piastrella modulare per rivestimenti
KR101157611B1 (ko) * 2009-07-22 2012-06-19 최윤기 화분 벽돌 및 이를 이용한 화분 벽돌 시공 조립체
EP2470001A1 (en) * 2009-08-28 2012-07-04 Hevorma B.V. Growth device for crop and cladding or construction part manufactured therewith
ES2362035B2 (es) * 2009-12-04 2011-11-15 Universidad De Granada Cepa bacteriana cect7624, usos y producto xeroprotector producido por la misma.
DE102009058217A1 (de) * 2009-12-15 2011-06-16 Soiltec Gmbh Dachbegrünungskassette
CH702511A1 (fr) 2010-01-13 2011-07-15 Haute Ecole Du Paysage D Ingenierie Et D Architecture Hepia Module pour vegetaliser des surfaces.
US9655308B2 (en) * 2010-02-05 2017-05-23 Hortech, Inc. Wall planting system
US20120117870A1 (en) * 2010-03-10 2012-05-17 Ness Inventions, Inc Dry-cast concrete planter box
JP2012075397A (ja) * 2010-10-04 2012-04-19 Mori Bill Kk 緑化用板状部材及び壁面等の緑化構造
EP2641464B1 (en) * 2010-11-19 2019-12-18 Beijing Rechsand Science&Technology Group Co., Ltd Anti-penetration and gas permeable potted contain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20120186155A1 (en) * 2011-01-25 2012-07-26 Chin-Tai Tsai Passive water supply system for plant pot
US20130340969A1 (en) * 2011-02-24 2013-12-26 Rensselae Polytechnic Institute Energy exchange building envelope
JP2013000096A (ja) * 2011-06-21 2013-01-07 Showa Denko Kenzai Kk 壁面緑化装置
AT512659B1 (de) * 2012-05-14 2013-10-15 Wolfgang Ing Haas Abdeckungssystem für eine Wand
US9351448B2 (en) 2012-09-25 2016-05-31 Hortech, Inc. Wall planting system
MX351490B (es) * 2012-11-30 2017-08-31 Inst Tecnologico Estudios Superiores Monterrey Sistema de aislamiento térmico modular para edificaciones.
FR3009669B1 (fr) * 2013-08-14 2015-09-11 Ecosystem Sarl Application d'une structure microporeuse comme support de culture hors sol de vegetaux
CN103541525A (zh) * 2013-10-30 2014-01-29 江苏富陶科陶瓷有限公司 外墙用陶瓷装饰板
DE102014004270A1 (de) * 2014-02-10 2015-08-13 Berthold Adler Bauelement und System zur vertikalen Begrünung
CN103790291B (zh) * 2014-02-26 2015-12-09 石少伟 建筑附植保温板
CN106049668A (zh) * 2016-07-19 2016-10-26 江西建工第二建筑有限责任公司 一种绿化节能型建筑外墙结构及其施工方法
FR3065352B1 (fr) * 2017-04-25 2020-08-07 Soprema Systeme de vegetalisation d'un mur ou d'une facade
EP3421683A1 (en) * 2017-06-30 2019-01-02 Architectural Supplements LLC Wall covering system
CN107905432A (zh) * 2017-11-22 2018-04-13 李自力 一种轻质绿化块体以及装配式外墙墙体
FR3073841B1 (fr) 2017-11-22 2019-11-15 Saint-Gobain Weber Procede de fabrication de blocs de granulats legers vegetalisables
JP2021008710A (ja) * 2019-06-28 2021-01-28 ケイミュー株式会社 壁構造
US20210105956A1 (en) * 2019-10-09 2021-04-15 Robin Langguth Spent Coffee Grounds-Infused Weed Barrier Ma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CN113183553A (zh) * 2021-05-07 2021-07-30 广东萨米特陶瓷有限公司 一种香氛陶瓷板材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2261681A1 (de) * 2021-06-17 2022-12-22 Epiclay Technologies Gmbh Wandbekleidungselement, insbesondere zur fassadenbegrünung
KR102617557B1 (ko) * 2022-10-21 2023-12-27 박보정 잔디 식생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잔디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376A (en) 1979-03-30 1980-01-11 Ina Seito Kk Manufacture of twoolayered tile
JPH11130557A (ja) 1997-10-23 1999-05-18 Sanwa Kako Co Ltd 透水性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96205Y1 (ko) 2005-06-24 2005-09-21 대영산업(주) 친환경 식생블럭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333U (ja) * 1981-07-20 1983-01-27 旭化成株式会社 断熱用タイル積層材
JPH0598731A (ja) * 1991-10-03 1993-04-20 Toto Ltd 表面仕上体付きコンクリート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16364B2 (ja) * 1992-12-09 1996-02-21 北海道農材工業株式会社 建造物の外壁
JPH07213159A (ja) * 1994-02-04 1995-08-15 Nippon Fushiyokufu Kk 屋上の緑化用パネルおよび屋上緑化方法
JPH1121183A (ja) * 1997-07-02 1999-01-26 Nakata Giken:Kk 多孔質焼結体
JP4245460B2 (ja) * 2003-05-21 2009-03-25 株式会社ヌルハウス 複合タ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DE602004005118D1 (de) * 2003-09-17 2007-04-19 Air Quality Solutions Ltd Träger für eine vertikale hydroponische Pflanzenmatrix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376A (en) 1979-03-30 1980-01-11 Ina Seito Kk Manufacture of twoolayered tile
JPH11130557A (ja) 1997-10-23 1999-05-18 Sanwa Kako Co Ltd 透水性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96205Y1 (ko) 2005-06-24 2005-09-21 대영산업(주) 친환경 식생블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03697A4 (en) 2009-11-04
JP2006118119A (ja) 2006-05-11
KR20070083533A (ko) 2007-08-24
EP1803697A1 (en) 2007-07-04
JP4660153B2 (ja) 2011-03-30
IL181547A0 (en) 2007-07-04
US20080003445A1 (en) 2008-01-03
AU2004324295A1 (en) 2006-04-27
WO2006043340A1 (ja) 2006-04-27
BRPI0419130A (pt) 2007-12-11
CN101027266B (zh) 2011-05-25
CN101027266A (zh) 200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1992B1 (ko) 복합 세라믹 구조체와 그 제조 방법 및 그 복합 세라믹구조체를 이용한 벽면구조
KR100510256B1 (ko) 식생블럭을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방법 및 그 장치
JP4245460B2 (ja) 複合タ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305980A (ja) 地被植物用緑化パネル
JP2003156273A (ja) 大気冷却用ユニット装置及び大気冷却用装置
JP2007051478A (ja) 機能パネル付設屋根
JP3479053B2 (ja) 植物生育ボード
JP2002084889A (ja) 屋上緑化用の保水用パッドと植生基盤および屋上の緑化工法
JP4164649B2 (ja) 良環境醸成外壁構造
JP4622110B2 (ja) 地被植物用緑化パネル及び地被植物用緑化パネル並設物
JP2002017161A (ja) 緑化装置と建築物における屋上用緑化装置の形成方法
JP3765744B2 (ja) 緑化断熱ブロック
JP2005348631A (ja) 植栽用タイル
CN108293783A (zh) 一种苔藓瓦片及其制作方法
KR101293807B1 (ko) 식재용 생태 블록과 그 제조방법
KR101038549B1 (ko) 방근 식생블럭을 이용한 옥상바닥 풍건식 녹화방법
JP4690024B2 (ja) 緑化用保水排水基盤
JP4192270B2 (ja) 緑化構造並びに緑化施工方法
JP2006136219A (ja) 緑化基盤及びそれを用いた緑化ステージ
JP2005168447A (ja) 緑化設備及び緑化ユニット
JP2002281845A (ja) 植栽ブロック
KR20130006904U (ko) 조경용 식재생태블록
JP2002281846A (ja) 植栽ブロック
KR20130000703U (ko) 빗물을 활용하는 저관리형 실외용 수직상 조경 장치
JP6139907B2 (ja) 屋上緑化用敷設板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