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7611B1 - 화분 벽돌 및 이를 이용한 화분 벽돌 시공 조립체 - Google Patents

화분 벽돌 및 이를 이용한 화분 벽돌 시공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7611B1
KR101157611B1 KR1020090067027A KR20090067027A KR101157611B1 KR 101157611 B1 KR101157611 B1 KR 101157611B1 KR 1020090067027 A KR1020090067027 A KR 1020090067027A KR 20090067027 A KR20090067027 A KR 20090067027A KR 101157611 B1 KR101157611 B1 KR 101157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ck
water
potted
pot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565A (ko
Inventor
최윤기
Original Assignee
최윤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기 filed Critical 최윤기
Priority to KR1020090067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7611B1/ko
Publication of KR20110009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 벽돌 및 이를 이용한 화분 벽돌 시공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벽체를 이루는 벽돌에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화분을 결합함과 동시에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식생 조건을 양호하게 유지하여 식물의 성장성을 향상시키며 화분을 조립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하여 벽돌의 시공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건물의 벽면을 활용한 녹화 사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연 친화적인 환경 조성과 지구 온난화 방지에 이바지할 수 있는 화분 벽돌 및 화분 벽돌 시공 조립체를 제공한다.
화분, 벽돌, 식생, 벽면 녹화, 조명 패널

Description

화분 벽돌 및 이를 이용한 화분 벽돌 시공 조립체{Pot Brick and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분 벽돌 및 이를 이용한 화분 벽돌 시공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벽체를 이루는 벽돌에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화분을 결합함과 동시에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식생 조건을 양호하게 유지하여 식물의 성장성을 향상시키며 화분을 조립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하여 벽돌의 시공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건물의 벽면을 활용한 녹화 사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연 친화적인 환경 조성과 지구 온난화 방지에 이바지할 수 있는 화분 벽돌 및 화분 벽돌 시공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도시들은 도시 고밀화가 지속 되고, 이에 따른 필요한 녹지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해 짐에 따라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발생 되고 있는데, 특히 수많은 차량과 보온, 난방 시설의 밀집으로 나타나는 도시 열섬현상이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러한 도시의 온난화 현상은 도시 내 포장률의 증가로 인해 더욱 가중되고 있다. 지표면에서 더워진 공기가 상승하여 대기권 내에 온난 기류를 형성시켜 결국 도시 열섬현상을 야기하였고, 하절기인 경우 야간에도 대기온도가 내려가지 않는 열대야 현상 등을 흔히 볼 수 있다. 한여름 포장지역의 온도는 55도에 달하며 실제로 도시 내에서의 여름 지표면 온도를 열화상으로 분석하면 녹지 피복 지역은 포장 지역에 비해 온도가 현저히 낮으며 일교차 또한 녹지지역이 낮게 나타나는데, 이는 결국, 녹지에 따른 일사의 반사 및 증발산 작용이 도시 열섬현상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도시의 인구 집중과 그에 따른 고층, 고밀도의 건축행위는 더 이상 도심지 내에서 동식물이 서식할 수 없는 환경을 만들었고, 서울 도심의 경우, 60% 이상이 포장지역으로 이루어져 있어 여름철 집중강우가 동반될 경우 도심 홍수와 같은 현상을 피할 수 없으며, 강우가 빠른 속도로 빠져나간 후 강한 일사에 의해 다시 도시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비정상적인 도시 생태계와 도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작은 면적의 녹지라도 조금씩 확보해 나가는 것이 시급한 실정이며,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고밀화된 도시의 녹화사업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시의 녹화사업은 새로운 녹지를 더욱 넓게 확보해나가는 것이 그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데, 현재의 도시 구조에서 이러한 새로운 녹지를 확보하는 것이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그 대안으로 기존의 공간을 활용한 녹화 방식이 연구 개발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건물의 벽면을 활용한 녹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건물의 벽체는 벽돌을 수직으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벽돌은 일반적으로 거푸집을 통한 콘크리트 양생을 통해 제작되므로 식물의 식재가 불가능하여 건물의 벽면을 활용한 녹화 사업을 수행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는 다양한 기능성 벽돌이 개발되고 있지만, 이러한 기능성 벽돌 또한 식물의 식재가 용이하지 못하고 시공성 및 식물 성장성이 양호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건물의 벽체를 이루는 벽돌에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화분을 결합함과 동시에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식생 조건을 양호하게 유지하여 식물의 성장성을 향상시키며 화분을 조립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하여 벽돌의 시공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건물의 벽면을 활용한 녹화 사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연 친화적인 환경 조성과 지구 온난화 방지에 이바지할 수 있는 화분 벽돌 및 화분 벽돌 시공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측면에 횡단 방향으로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는 벽돌 본체; 및 상기 슬라이드 홈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슬라이드 돌기가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벽돌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화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벽돌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화분에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 챔버와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수 챔버로 분리 구획되도록 분리 격판이 장착되고, 상기 분리 격판에는 상기 저수 챔버로부터 상기 식재 챔버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저수 유동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분에는 상기 저수 챔버로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도록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 중 어느 하나에는 급수 연결관이 외향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분에는 상기 식재 챔버의 일측에 조명 패널이 삽입될 수 있는 패널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명 패널에는 솔라셀 및 조명 기구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분 벽돌을 다수개 포함하는 벽체;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 탱크; 및 상기 화분의 저수 챔버에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저장 탱크로부터 상기 화분의 유입구에 연결되는 급수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화분 벽돌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화분의 저수 챔버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물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벽돌 시공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화분 벽돌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화분의 급수 연결관이 인접한 화분의 유입구 또는 유출구에 삽입 연결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일렬 배치되는 화분 벽돌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분 벽돌 모듈은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되게 다수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에는 상기 화분 벽돌의 화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고정 브래킷이 결합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의 벽체를 이루는 벽돌에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화 분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건물의 벽면을 활용한 녹화 사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벽돌에 화분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벽돌의 적층 시공시에는 화분을 제거하고 시공할 수 있어 벽돌 시공이 용이하고, 벽돌의 시공 완료후 필요에 따라 화분을 결합 또는 제거할 수 있어 설계 자유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분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빗물 저장 탱크를 마련함으로써, 별도의 급수 장치 없이도 화분에 물을 공급할 수 있어 식물의 식생 조건을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서로 인접한 화분이 상호 조립식으로 결합됨으로써 물 공급을 위한 배관 구조가 단순하여 배관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분에 솔라셀과 조명 기구가 장착된 조명 패널을 설치함으로써, 도시 미관의 향상과 별도의 전원 없이 조명 기구를 작동시킬 수 있어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 매우 우수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겨울철과 같이 추운 날씨 등의 영향으로 화분에 식재된 식물이 고사된 경우 벽돌 본체로부터 화분을 제거하여 새로운 화분으로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 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벽돌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벽돌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벽돌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벽돌(20)은 건물의 벽체를 이루도록 수직으로 적층되는 벽돌 본체(100)와, 벽돌 본체(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화분(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벽돌 본체(100)에는 일측면에 횡단 방향으로 슬라이드 홈(110)이 형성되고, 화분(200)에는 이러한 슬라이드 홈(110)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슬라이드 돌기(201)가 일측면에 형성되어 벽돌 본체(100)와 화분(200)이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드 홈(110)은 벽돌 본체(100)의 외부 노출면에 형성되며 벽돌 본체(100)가 시공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을 이루도록 직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슬라이드 홈(110) 및 이에 상응하는 슬라이드 돌기(201)의 단면 형상은 슬라이드 돌기(201)가 벽돌 본체(100)의 측면으로부터 슬라이드 홈(110)에 슬라이딩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는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돌기(201)를 기준으 로 설명하면, 슬라이드 돌기(201)의 돌출 시작 지점에서의 수직 단면적이 슬라이드 돌기(201)의 돌출 방향에 따른 어느 한 지점에서의 최대 수직 단면적 보다 더 작게 형성되어 슬라이드 홈(110) 및 슬라이드 돌기(201)가 슬라이딩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는 상호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슬라이드 홈(110) 및 슬라이드 돌기(201)의 단면 형상은 곡선형 또는 각형을 이루며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돌 본체(100) 및 화분(200)은 슬라이드 홈(110) 및 슬라이드 돌기(201)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되기 때문에, 벽돌 본체(100)를 일반 벽돌과 함께 동일한 방식으로 시공한 상태에서 벽돌 본체(100)에 화분(200)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결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부재 없이 용이하게 화분(200)을 결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벽돌 시공시에도 화분을 제거한 상태로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벽돌 시공 또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분(200)을 벽돌 본체(100)로부터 용이하게 탈착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벽돌 시공 완료된 상태에서도 벽체로부터 화분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벽돌(20)은 건물의 벽체를 이루는 벽돌 본체(100)에 탈착 가능한 화분(200)이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화분에 다양한 식물을 식재하여 건물 외벽의 벽면 녹화 사업을 수행하기가 용이하며 이에 따라 도시의 자연 생태환경 복원과 지구 온난화 방지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구조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화분(200)의 구조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화분(20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라 식물(P)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 챔버(220)와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수 챔버(230)로 분리 구획되도록 분리 격판(210)이 장착된다. 이때, 분리 격판(2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 챔버(230)로부터 식재 챔버(220)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저수 유동홀(211)이 형성된다.
식물(P)이 식재되는 식재 챔버(220)에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재(T)가 일정 높이(h1)로 충전되고 이러한 충전재(T)에 다양한 식물(P)이 식재되도록 구성되며, 충전재(T)는 식재가 가능하도록 산흙, 마사토, 부엽토 등의 식재가 가능한 일반적인 식재토가 사용될 수 있으나, 질소, 인 및 유기질 성분의 공급원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유기성분을 함유한 덩어리 형태의 하수슬러지 건조체를 더 추가하여 식재토와 혼합하여 압축 배양토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하수슬러지 건조체는 생활하수 등을 재활용하여 고온에서 건조하여 성형된 것으로 공지된 기술이므로 제조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식재 챔버(220)에는 빗물 등의 원활한 배수를 위해 바닥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배수홀(2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배수홀(221)은 오목한 홈 형태의 배수 유로(222)를 통해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수 유로(222)는 배수홀(221)로 물의 흐름을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배수 이후에는 소량의 수분을 저장하는 역할도 아울러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저수 챔버(230)는 빗물 등을 저장하여 식재 챔버(220)로 물을 공급하 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는데, 이와는 별도로 외부 급수장치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식재 챔버(220)로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저수 챔버(23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231) 및 유출구(23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외부 급수장치는 후술하는 별도의 빗물 저장 탱크 또는 수도관 등 다양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급수 장치로부터 급수 파이프를 통해 유입구(231)로 물이 공급되고 다시 유출구(232)로 배출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유입구(231) 및 유출구(232) 중 어느 하나에는 급수 연결관(233)이 외향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인접하게 배치된 화분(200)에 연속적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예를 들어 급수 연결관(233)이 유출구(232)에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경우라면, 급수 연결관(233)의 선단부는 다시 인접한 화분(200)의 유입구(231)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다수개의 화분(200)이 서로 일렬 배치되면, 다수개의 화분(200)은 급수 연결관(233)을 통해 각각의 저수 챔버(230)가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최외곽에 배치된 하나의 화분(200)에 물을 공급하면, 순차적으로 모든 화분(200)의 저수 챔버(230)에 물이 공급된다. 이러한 배치 상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후 좀 더 자세히 살펴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벽돌(20)은 벽돌 본체(100)를 서로 수평으로 인접하게 배치함에 따라 벽돌 본체(100) 각각에 결합된 화분(200)의 저수 챔버(230)가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화분에 대한 물 공급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물 공급 구조에 따라 충전재(T)의 충전 높이(h1), 저수 유동 홀(211)의 높이(h2) 및 유입구/유출구(231,232)의 높이(h3)에 대한 관계를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재(T)의 충전 높이(h1)는 저수 유동홀(211)의 높이(h2)보다 낮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저수 유동홀(211)의 높이(h2)는 유입구/유출구(231,232)의 높이(h3)보다 낮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유입구(231) 및 유출구(232)는 동일 높이로 형성된다. 즉, 유입구(231)를 통해 물이 공급된 후 유출구(232)를 통해 다른 저수 챔버(230)로 물이 공급되는데, 이때 물은 저수 유동홀(211)의 높이까지 공급되면 저수 유동홀(211)을 통해 식재 챔버(220)로 유출되지만 물의 공급량이 유출량을 초과하도록 공급되면 계속적으로 물의 저수 높이가 증가하여 유출구(232)로 배출된다. 따라서, 물은 저수 챔버(230)에서 유출구(232)를 통해 배출되기 전에 식재 챔버(220)로 공급되어야 하므로, 저수 유동홀(211)의 높이(h2)는 유입구/유출구(231,232)의 높이(h3)보다 낮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수 유동홀(211)을 통해 식재 챔버(220)로 물이 원활하게 공급되기 위해서는 식재 챔버(220)에 충전된 충전재(T)의 높이(h1)가 저수 유동홀(211)의 높이(h2)보다 낮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충전재(T)의 높이(h1)가 저수 유동홀(211)의 높이(h2)보다 높게 형성된다고 하더라도 물이 식재 챔버(220)의 충전재(T) 측으로 모세관 원리에 따라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충전재(T)의 높이(h1)는 저수 유동홀(211)의 높이(h2)와 무관하게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좀 더 원활한 물 공급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저수 유동홀(211)의 높이(h2)보다 낮거나 같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저수 챔버(230)를 통해 식재 챔버(220)에 물을 공급하는 구조는 일반적인 배관을 통해 물을 공급하는 구조와 비교하여 물공급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즉, 배관을 통해 물을 공급하는 구조는 배관 파이프 상에 다수개의 노즐을 장착하여 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하는 방식으로 식재 챔버(220)에 물을 공급하는데, 이러한 구조는 노즐에 이끼가 끼거나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수 챔버(230)를 통한 물 공급 구조는 이러한 문제가 발생되지 않아 식재 챔버(220)에 대한 물공급이 원활하게 유지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벽돌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벽돌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벽돌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벽돌(2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200)의 식재 챔버(220)의 일측에 별도의 조명 패널(240)이 삽입될 수 있는 패널 수납부(250)가 형성되고, 이러한 패널 수납부(250)에는 솔라셀(242) 및 조명 기구(241)가 장착된 조명 패널(240)이 장착되는데, 여기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전술한 화분 벽돌(20)의 구성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벽돌(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벽돌 본체(100)에 화분(200)이 슬라이딩 삽입 결합되는데, 화분(200)에는 분리 격판(210)을 통해 식재 챔버(220)와 저수 챔버(230)가 형성되며, 또한, 식재 챔버(220)의 일측에 패널 수납부(250)가 형성되도록 별도의 분리 격판(210)이 추가 장착된다. 즉, 식재 챔버(220)를 중심으로 양측에 저수 챔버(230)와 패널 수납부(250)가 형성되는데, 이때 저수 챔버(230)가 벽돌 본체(100)에 인접한 측에 위치하고 패널 수납부(250)가 반대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패널 수납부(250)에는 조명 패널(240)이 삽입 장착되는데, 조명 패널(24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수납부(250)의 단면 형상에 상응하는 단면 형상을 갖는 평판형으로 중간 부위에서 일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조명 패널(240)에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절곡된 부위의 벽돌 본체(100)를 향하는 일면에 조명 기구(241)가 장착되고, 수직으로 패널 수납부(250)에 삽입되는 부위의 외측을 향하는 일면에 태양광을 집속할 수 있는 솔라셀(Solar Cell)(242)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이와 달리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절곡된 부위의 외측을 향하는 일면에 솔라셀(242)이 장착되고, 수직으로 패널 수납부(250)에 삽입되는 부위의 외측을 향하는 일면에 조명 기구(241)가 장착될 수도 있다. 이때, 조명 기구(241)는 LED 램프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패널 수납부(250)의 외측면에는 패널 수납부(250)에 삽입된 조명 패널(240)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노출홈(25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화분 벽돌(20)에 솔라셀(242) 및 조명 기구(241)가 장착된 조명 패널(240)이 결합되면, 야간에 조명 기구(241)를 통해 화분 벽돌(20)의 외관이 더욱 화려한 미감을 갖게 됨으로써,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벽돌(20)은 식재된 식물(P)에 의해 친환경적인 효과를 발휘함과 동시에 조명 기 구(241)에 의해 도시 미관을 더욱 아름답게 하고 식물의 성장을 촉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솔라셀(242)에 의해 태양광 에너지를 집속할 수 있으므로, 이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별도의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기구(241)를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태양이 있는 동안 솔라셀(242)에 의해 태양광이 집속되고 집속된 태양광 에너지를 통해 야간에 조명 기구(241)가 작동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전원 장치 없이도 조명 기구(241)가 작동될 수 있어 에너지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인 구조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 챔버(23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저수 챔버(230)의 일측에 개폐 가능한 덮개(234)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저수 챔버(230)가 외부로부터 보호되어 유입구(231) 및 유출구(232)의 막힘이 방지되고 저수 유동홀(211)의 이물질에 의한 막힘 현상도 방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저수 챔버(230) 내부 공간에는 저수 챔버(230)에 공급되는 물의 수위가 빠르게 증가하여 신속하게 식재 챔버(220)로 공급되고 신속하게 유출구(232)로 배출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체적 블록(235)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체적 블록(235)은 식물 영양제를 포함하도록 제작하여 물이 저수 챔버(230)로부터 식재 챔버(220)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식물 영양제가 혼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벽돌을 이용한 화분 벽돌 시공 조립체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벽돌을 이용한 화분 벽돌 시공 조립체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벽돌 시공 조립체의 시공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벽돌 시공 조립체는 전술한 화분 벽돌(20)을 다수개 포함하여 시공된 벽체(10)와,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 탱크(30)와, 화분(200)의 저수 챔버(230)에 물이 공급되도록 저장 탱크(30)로부터 화분(200)의 유입구(231)에 연결되는 급수 파이프(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다수개의 화분 벽돌(20) 중 적어도 일부는 화분(200)의 저수 챔버(230)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물이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벽돌 시공 조립체는 빗물을 저장하여 각각의 화분(200)에 물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별도의 수도관이나 펌프와 같은 급수 시설 없이도 화분(200)에 식재된 식물(P)의 식생 조건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일측 벽체(10)는 일반 벽돌(20') 및 화분 벽돌(20)을 적층하여 형성되는데, 이때, 화분 벽돌(20)은 화분(200)이 수평 방향으로 일렬 배치되는 하나의 화분 벽돌 모듈(M)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화분 벽돌 모듈(M)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화분 벽돌 모 듈(M)은 화분(200)의 급수 연결관(233)이 인접한 다른 화분(200)의 유입구(231) 또는 유출구(232)에 삽입 연결되어 저수 챔버(230)가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급수 연결관(233)이 유출구(232)에 형성된 경우라면, 이러한 급수 연결관(233)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 벽돌(20)이 서로 일렬로 인접하게 배치됨에 따라 인접한 다른 화분(200)의 유입구(231)에 삽입되어 인접한 화분(200)은 저수 챔버(230)가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원리에 따라 다수개의 화분 벽돌(20)이 수평으로 일렬 배치된 형태의 화분 벽돌 모듈(M)은 모두 저수 챔버(230)가 순차적으로 연통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화분 벽돌 모듈(M)은 화분 벽돌 모듈(M)을 구성하는 최외곽 화분 벽돌(20)의 유입구(231)에 물을 공급하면 순차적으로 다른 모든 화분 벽돌(20)의 저수 챔버(230)에 물이 공급된다. 이러한 배치 구조는 급수 연결관(233)이 유입구(231)에 형성된 경우에도, 급수 연결관(233)이 인접한 다른 화분(200)의 유출구(232)에 삽입되는 구성만 다를 뿐 화분 벽돌 모듈(M)을 구성하는 모든 화분 벽돌(20)의 저수 챔버(230)가 순차적으로 연통되어 물이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방식은 동일하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벽돌 시공 조립체는 평상시에 저장 탱크(30)에 빗물을 저장한 상태로 유지하다가, 화분(200)의 식물이 건조해져 급수가 필요할 때 별도로 장착된 개폐 밸브(미도시)가 작동되어 급수 파이프(40)를 통해 화분(200)의 저수 챔버(230)에 물이 공급된다. 이때, 급수 파이프(40)의 배관 방법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탱크(30)에 직접 연결되는 파이프로부터 각각의 화분 벽돌 모듈(M)에 연결되도록 분기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도 있으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탱크(30)로부터 최상층의 화분 벽돌 모듈(M)에 연결되는 파이프와 각각의 화분 벽돌 모듈(M)을 연결하는 파이프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b에 도시된 급수 파이프(40)의 배관 구조는 최상층의 화분 벽돌 모듈(M)로부터 최하층의 화분 벽돌 모듈(M)까지 모두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형태로서, 배관 구조가 단순하고 급수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소요된다는 점에서 더욱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벽돌 시공 조립체의 시공 과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벽돌(20')을 수직으로 수개 단 적층한 다음 화분 벽돌(20)을 1개 단 적층하고 다시 일반 벽돌(20')을 수개 단 적층하는 형태로 시공된다. 이러한 구조는 도 7에 도시된 벽체(10)를 예시로 설명한 것으로 이외에도 화분 벽돌(20)을 수평으로 일렬 배치하지 않을 수도 있고, 수직으로 연속하여 배치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때, 화분 벽돌(20)의 적층 시공시에는 벽돌 본체(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화분(2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돌 본체(100)로부터 제거한 상태로 적층 시공한 후 벽돌 본체(100)의 슬라이드 홈(110)에 화분(200)의 슬라이드 돌기(201)가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별도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벽돌 시공 조립체는 벽체(10) 시공시 화분 벽돌(20)을 시공하는 작업이 일반 벽돌(20')을 시공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이 용이하고, 적층 시공 완료후 필요에 따라 화분(200)을 결합하거나 또는 결합하지 않거나 선택할 수 있는 설계상의 자유도가 향상되는 구조이다. 특히, 벽돌 본체(100)에 결합되는 상호 인접한 화분(200)이 서로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다수개의 저수 챔버(230)가 순차적으로 연통되게 구성됨으로써, 각각의 화분(20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파이프(40)의 배관 구조가 단순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화분(200)을 벽돌 본체(100)에 슬라이드 삽입한 상태에서 화분(200)은 충전재(T) 및 식물(P) 등의 자중에 의해 하향 하중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하향 하중에 대한 보강재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200)을 지지하는 별도의 고정 브래킷(50)이 벽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브래킷(50)은 "ㄱ"자 앵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탱크(30)는 내부에 식물 영양제가 첨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물 영양제가 혼합된 물이 저장 탱크(30)로부터 급수 파이프(40)를 통해 화분(200)으로 공급되어 식물의 성장이 더욱 촉진되며, 각 화분(200)마다 별도의 식물 영양제를 공급하지 않아도 되므로 화분 관리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벽돌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벽돌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벽돌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벽돌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벽돌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벽돌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벽돌을 이용한 화분 벽돌 시공 조립체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벽돌을 이용한 화분 벽돌 시공 조립체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벽돌 시공 조립체의 시공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벽체 20: 화분 벽돌
30: 저장 탱크 40: 급수 파이프
100: 벽돌 본체 110: 슬라이드 홈
200: 화분 201: 슬라이드 돌기
240: 조명 패널

Claims (7)

  1. 일측면에 횡단 방향으로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는 벽돌 본체; 및
    상기 슬라이드 홈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슬라이드 돌기가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벽돌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화분
    을 포함하고,
    상기 화분에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 챔버와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수 챔버로 분리 구획되도록 분리 격판이 장착되고, 상기 분리 격판에는 상기 저수 챔버로부터 상기 식재 챔버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저수 유동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벽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에는 상기 저수 챔버로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도록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 중 어느 하나에는 급수 연결관이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벽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에는 상기 식재 챔버의 일측에 조명 패널이 삽입될 수 있는 패널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명 패널에는 솔라셀 및 조명 기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벽돌.
  4. 제 2항 또는 제 3 항의 화분 벽돌을 다수개 포함하는 벽체;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 탱크; 및
    상기 화분의 저수 챔버에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저장 탱크로부터 상기 화분의 유입구에 연결되는 급수 파이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벽돌 시공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화분 벽돌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화분의 급수 연결관이 인접한 화분의 유입구 또는 유출구에 삽입 연결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일렬 배치되는 화분 벽돌 모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벽돌 시공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벽돌 모듈은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되게 다수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벽돌 시공 조립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는 상기 화분 벽돌의 화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고정 브래킷이 결합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벽돌 시공 조립체.
KR1020090067027A 2009-07-22 2009-07-22 화분 벽돌 및 이를 이용한 화분 벽돌 시공 조립체 KR101157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027A KR101157611B1 (ko) 2009-07-22 2009-07-22 화분 벽돌 및 이를 이용한 화분 벽돌 시공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027A KR101157611B1 (ko) 2009-07-22 2009-07-22 화분 벽돌 및 이를 이용한 화분 벽돌 시공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565A KR20110009565A (ko) 2011-01-28
KR101157611B1 true KR101157611B1 (ko) 2012-06-19

Family

ID=43615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027A KR101157611B1 (ko) 2009-07-22 2009-07-22 화분 벽돌 및 이를 이용한 화분 벽돌 시공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76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797B1 (ko) * 2012-06-28 2013-03-26 이종식 파티션용 화분 거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7814B (zh) * 2022-01-17 2024-04-02 上海崇明水利工程有限公司 一种预制生态砖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3684A (ja) * 1993-03-01 1994-09-13 Dokoo:Kk 建物壁面植栽方法及び植栽具
KR20040016003A (ko) * 2002-08-14 2004-02-21 (주)대우건설 구조물 벽면녹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벽면녹화방법
JP2006118119A (ja) * 2004-10-19 2006-05-11 Omi Yogyo Kk 壁面構造
KR20090065222A (ko) * 2007-12-17 2009-06-22 주식회사 세원뷰텍 녹지조성을 위한 식생용 블록과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3684A (ja) * 1993-03-01 1994-09-13 Dokoo:Kk 建物壁面植栽方法及び植栽具
KR20040016003A (ko) * 2002-08-14 2004-02-21 (주)대우건설 구조물 벽면녹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벽면녹화방법
JP2006118119A (ja) * 2004-10-19 2006-05-11 Omi Yogyo Kk 壁面構造
KR20090065222A (ko) * 2007-12-17 2009-06-22 주식회사 세원뷰텍 녹지조성을 위한 식생용 블록과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797B1 (ko) * 2012-06-28 2013-03-26 이종식 파티션용 화분 거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565A (ko) 201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0020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озеленяемой стены
JP5172688B2 (ja) 屋上緑化システムにしようする複数の容器及び該容器を使用した屋上緑化システム
US20130025199A1 (en) Substrate having a porous surface for vegetation
KR101282231B1 (ko) 무동력 관수장치를 이용한 식물재배 시스템
CN102577867B (zh) 坡屋顶植物种植蓄供水模块
JPH11293717A (ja) 屋上緑化と水循環システム
EP3011826A1 (en) A green wall and rainwater drainage module and assembly, and a method of draining rainwater
KR101157611B1 (ko) 화분 벽돌 및 이를 이용한 화분 벽돌 시공 조립체
ES2365400B1 (es) Sistema de acondicionamiento bioclimatico mediante estructuras ajardinadas verticales
KR101225187B1 (ko) 다공성 경량 소결체를 이용한 옥상 녹화장 구조체
KR100974098B1 (ko) 녹지조성을 위한 식생용 블록과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
KR101043958B1 (ko) 조립식 벽면 조경시스템
CN110214582B (zh) 一种地下空间垂直绿化和地下立体农业的设施
CN213427230U (zh) 一种模块化生态绿墙系统
KR20080097595A (ko) 지붕 녹화용 식생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지붕 녹화 시스템
KR20140042590A (ko) 생육기반이 포함된 성형재 및 이를 이용한 자립구조체형 인공지반녹화시스템
KR100624746B1 (ko) 공동주택 옥상에 설치되는 녹화시설물 구조
CN210782178U (zh) 一种地下空间垂直绿化和地下立体农业的设施
KR20120011088A (ko) 지중 매설되는 빗물용 저수조의 조경구조
CN109306719B (zh) 一种模块组装式屋顶雨水收集装置及其利用系统
CN100450341C (zh) 屋面、墙面的防水绿化装置
CN202476162U (zh) 坡屋顶植物种植蓄供水模块
CN212335683U (zh) 一种园林景观铺装结构
CN216292292U (zh) 具有防水隔热效果的屋顶绿化结构
CN215049066U (zh) 一种用于河道硬质驳岸生态修复的立体湿地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