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5222A - 녹지조성을 위한 식생용 블록과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 - Google Patents

녹지조성을 위한 식생용 블록과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5222A
KR20090065222A KR1020070132700A KR20070132700A KR20090065222A KR 20090065222 A KR20090065222 A KR 20090065222A KR 1020070132700 A KR1020070132700 A KR 1020070132700A KR 20070132700 A KR20070132700 A KR 20070132700A KR 20090065222 A KR20090065222 A KR 20090065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lock
drainage
vegetation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2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4098B1 (ko
Inventor
정준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원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원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원뷰텍
Priority to KR1020070132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098B1/ko
Publication of KR20090065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5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지조성을 위한 식재용 블록과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녹지조성을 위해 건축물 옥상을 비롯한 인공 지반 구조물 위에 설치되어 식물이 식생되는 블록과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녹지조성을 위한 식생용 블록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토양층이 형성되어 식물이 식재되는 본체와,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담수부와, 본체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본체 내부로 인입되어 상방으로 형성된 배수채널과, 본체 내부로 유입된 물이 담수부의 상단 이상 차오르면 상기 배수채널로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배수채널의 상부에 형성된 배수공을 가지는 배수부와, 배수채널과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의 저면에 형성되어 배수를 원활하게 유도하는 배수가이드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녹지조성을 위한 식재용 블록과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에 의하면 블록의 하부에 담수부를 구비하여 배수기능과 담수기능이 조화되어 우수한 식생환경을 제공하며, 배수공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블록의 내부의 토양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블록의 측면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상호 인접하는 블록간에 식생공간이 단절되지 않고 상호 연결되어 수분의 보완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식물의 뿌리가 인접하는 블록으로 넘어가 활착함으로써 블록 상호간의 결합을 견고하게 한다. 그리고 조명수단을 구비한 블록 조립체는 야간에도 아름다운 조명을 발산하여 도심경관을 미려하게 창출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옥상, 인공지반, 녹화, 녹지, 블록, 경계블록, 조명, 담수

Description

녹지조성을 위한 식생용 블록과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Plant block for Making a Green Tract of Land and block assembly thereof}
본 발명은 녹지조성을 위한 식재용 블록과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녹지조성을 위해 건축물 옥상을 비롯한 인공 지반 구조물 위에 설치되어 식물이 식생되는 블록과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보행자 도로, 주차장, 아파트 베란다 또는 건축물의 옥상 등의 비 토양면인 인공구조물 위에 녹지를 조성하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특히 도시의 생태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옥상녹화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옥상녹화는 건축 및 토목구조물 등의 불투수층 구조물 위에 토양층을 포함한 식재기반을 조성하고 식물을 식재하는 것으로, 이는 대지의 부족 및 높은 지가 등으로 녹지공간을 확보하기 힘든 도심에서 쓸모없이 버려진 옥상공간을 활용한다는 의미가 있다.
또한, 휴양 또는 미적인 면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도심을 녹색으로 포장하여 도심공간 속에서도 자연의 푸르름을 지니게 되어 주위의 경관을 아름답게 장식하여 주며 심리적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해준다.
이외에도 식재된 식물이 증산작용을 함으로써 여름철에는 대기 중의 온도를 떨어트려 도심의 열섬현상을 완화하고 겨울철에는 토양을 회복함으로써 토양의 냉각현상을 감소하여 기온의 변화를 막을 수 있다. 또한 건축물의 단열 효과, 대기오염의 완화, 소음감소, 유기화학물질의 분해 등의 다양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옥상녹화는 도시의 확대로 인한 녹지공간의 축소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강구되고 있는 도시의 친환경화 기술의 일환으로 독일을 비롯한 유럽을 중심으로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현재 일본과 북미에 급속히 확산되고 있고, 국내에서도 옥상녹화의 긍정적인 효과가 꾸준히 보고되면서 근래에 들어 보급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옥상녹화에 관련된 여러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우리나라에서는 옥상녹화가 일반 조경의 관점에서 정원을 가꾸는 정도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제까지 개발된 기술 역시 외국의 기술을 그대로 차용하고 있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종래의 기술로서 가장 보편적인 옥상녹화 기술은 옥상녹화지 전체 면적에 대하여 요구되는 여러 층들을 차례로 적층하는 방법이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한국 특허 제10-0349557호는 옥상녹화시스템의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을 제안하고 있는데, 이 옥상녹화시스템은 옥상바닥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P.E.(Polyethylene) 필름, 단열용판재, 구배조절용 E.P.S.(Expanded Polystyrene) 판넬조립체, PVC 또는 폴리올레핀 방수시트, E.P.S. 재질의 고밀도 단열재로서 홈을 갖춘 저배수용 단열판, 여과 투수용 P.P.(Polypropylene) 부직포 및 식물성장 토양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제10-0314544호에 제안된 옥상의 녹화 시공 시스템은 옥상 방수층에 부직포를 삼중으로 깔고, 접착제를 도포한 후 방근층과 단열층을 형성하며 그 상부에 3차원 구조의 투수매트를 적층하고 왕겨를 채워 넣은 후 P.E.망사를 깔고 인공배양토를 깐 후 식재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기본적으로는 옥상에 단열층, 방수층, 배수층, 방근층, 필터층, 투수층, 식재층 등을 층층이 깔아서 시공하는 것으로 그 작업이 복잡하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유지 및 보수시 전체를 모두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다단계의 복잡한 시공절차와 유지 및 보수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식재매트나 세덤블록 등을 이용한 옥상녹화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이중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264462호에는 야자열매 섬유소인 코이어(coir)를 이용하여 형성된 코이어 천에 토양류를 혼합하여 매트를 형성하도록 하여 시공의 편리성을 강화시킨 옥상녹화용 식재매트가 공지되었으나 무엇보다도 그 재질이 유기물이라 시간의 경과에 의해 분해되기 때문에 그 내구성에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192003호에는 블럭의 일정높이에 다수개의 배수구를 칸막이를 이용해 형성하여 일정량의 물을 유지하도록 고안된 환경친화적인 재활용 소재를 이용한 세덤 블록이,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988-0004736호에는 식물식재용 상자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블록은 전체 구조체 면적에 비해 배수공의 면적이 작아 호우시 충분한 배수가 어려우며, 배수공을 통한 토양 유실의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식물식재용 상자는 상자가 연결되지않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유닛들이 서로 어긋나고 뒤틀어지면서 경관을 오히려 황폐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의 블록 내지 상자는 다수가 연속하여 설치되는 데, 이 경우 각 블록 내지 상자의 식재공간들은 단절되어 있어 하나의 식재공간은 수분이 과하고 다른 식재공간은 수분이 부족하더라도 상호 수분의 보완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봄과 가을에 고온건조 현상이 점차 심해지고 있는 우리나라 현실에 맞도록 배수기능과 담수기능이 조화되며, 식생용 토양이 외부로 유실되지 않고, 상호 인접하는 블록간에 식생공간이 연결되도록 하여 상호 수분의 보완이 이루어질 수 있는 녹지조성을 위한 식재용 블록과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야간에 조명을 발산하여 미려한 경관을 창출할 수 있는 녹지조성을 위한 식재용 블록과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녹지조성을 위한 식생용 블록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토양층이 형성되어 식물이 식재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담수부와; 상기 본체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본체 내부로 인입되어 상방으로 형성된 배수채널과,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된 물이 담수부의 상단 이상 차오르면 상기 배수채널로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배수채널의 상부에 형성된 배수공을 가지는 배수부와; 상기 배수채널과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의 저면에 형성되어 배수를 원활하게 유도하는 배수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공은 상기 배수채널의 내측면에서 인입되어 하향 경사지도록 상기 배수채널의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는 인접하는 본체가 굴곡진 형태의 면으로 대향되게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토양층과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인접하는 토양층이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면을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녹지조성을 위한 블록조립체는 다수가 종 및 횡방향으로 상호 결합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토양층이 형성되어 식물이 식재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담수부와, 상기 본체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본체 내부로 인입되어 상방으로 형성된 배수채널과,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된 물이 담수부의 상단 이상 차오르면 상기 배수채널로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배수채널의 상부에 형성된 배수공을 가지는 배수부와, 상기 배수채널과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의 저면에 형성되어 배수를 원활하게 유도하는 배수가이드부를 가지는 식생용 블록들과; 상기 식생용 블록들 중 가장자리에 위치한 식생용 블록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식재용 블록들을 구획하기 위한 경계블록과; 상기 경계블록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보도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계블록은 상면에서 인입되어 형성된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경계블록의 외부로 조명을 발산하는 조명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조명수단은 태양광으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키는 태양전지와, 상기 태양전지에서 발생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콘덴서와, 상기 콘덴서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빛을 발생시키는 램프와,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는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의 신호를 받아 전기회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녹지조성을 위한 식재용 블록과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에 의하면 블록의 하부에 담수부를 구비하여 배수기능과 담수기능이 조화되어 우수한 식생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배수공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블록의 내부의 토양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블록의 측면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상호 인접하는 블록간에 식생공간이 단절되지 않고 상호 연결되어 수분의 보완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식물의 뿌리가 인접하는 블록으로 넘어가 활착함으로써 블록 상호간의 결합을 견고하게 한다.
그리고 조명수단을 구비한 블록 조립체는 야간에도 아름다운 조명을 발산하여 도심경관을 미려하게 창출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녹지조성을 위한 식생용 블록과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녹지조성을 위한 식생용 블록조립체가 건물의 옥상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식생용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적용된 식생용 블록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배수채널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적용된 식생용 블 록의 배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식생용 블록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블록 조립체(10)는 건물(5)의 옥상에 설치되어 녹지를 제공한다.
블록조립체(10)는 크게 다수가 종 및 횡 방향으로 상호결합되며 식물(7)이 식재되는 식생용 블록(20)들과, 상기 식생용 블록(20)들이 형성하는 녹지공간의 가장자리를 따라 식생용 블록(20)의 측면에 결합되어 녹지공간과 옥상의 다른 공간을 구획하는 경계블록(80)과, 경계블록의 측면에 결합되는 보도블록(100)으로 이루어진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식생용 블록(20)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이 형성된 본체(30)와, 본체(3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물을 저장하는 담수부(40)와, 본체(30)의 내부로 유입된 과잉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50)와, 배수부(50)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배수를 원활하게 유도하는 배수가이드부(60)를 구비한다.
본체(30)는 내부가 비어 있고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의 통형상을 가지는 데, 이는 본체(30)가 설치되는 옥상과 식생용 토양을 구분하는 경계의 기능을 담당하고 식물의 생육배지인 토양층이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본체(30)의 형태는 사각형 외에도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체(30)는 종 또는 횡방향이나, 종 및 횡방향으로 상호 결합되어 다수가 연속적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본체(30)의 내부에는 토양층이 형성되어 식물이 식재된다.
본체(30)의 소재로는 합성수지, 특히 바람직하게는 코프렌수지 등과 같은 재활용 소재를 이용하여 자원절약과 함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내한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반영구적인 폴리에틸렌을 소재로 이용할 수 있다.
담수부(40)는 본체(30)의 내부공간의 하부에 형성되어 본체(30)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저장하여 식물(7)에 물을 공급한다. 담수부(40)는 본체(30)의 바닥에 일정높이로 형성된 격벽(41)에 의해 본체(30)의 내부에 하나 또는 2 이상의 다수가 형성된다. 실시 예에서는 상호 교차하는 격벽(41)에 의해 9개의 담수부(40)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담수부(40)는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만 가진다면 도시되지 않았으나 타원형 또는 사다리꼴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이 가능하다.
상기의 구조를 가지는 담수부(40)에는 식물의 식재 기반이 되는 토양의 최하층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체(30)의 개방된 상부측에서 유입되는 물은 하부로 진행하여 담수부(40)에 저장되어 담수부(40)에 위치한 토양을 포화상태에 이르게 한다. 담수부(40)에 위치한 토양은 일정량의 물을 머금어 상층의 토양으로 수분을 공급하게 된다.
배수부(50)는 담수부(40)에 저장된 물이 포화상태가 되면 과잉의 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이러한 배수부(50)는 본체(30)의 저면으로부터 본체(30) 내부로 인입되어 수직 상방으로 형성된 배수채널(51)과, 배수채널(51)의 상부에 형성된 배수공(55)을 가진다.
배수채널(51)은 본체(30)의 내부에 유입된 물이 본체(30)의 저면으로 배수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한다. 이 경우 배수채널(51)은 본체(30)의 저면에서부터 담수부(40)의 상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고, 배수공(55)은 본체(30) 내부로 유입된 물이 담수부(40)의 상단 이상 차오르면 배수채널(51)를 통해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채널(51)의 상부의 측벽에 형성된다.
즉, 배수공(55)의 위치는 담수부(40)의 상단 또는 상단보다 더 높게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담수부(40)의 토양이 포화상태가 될때까지는 물이 배수가 되지 않으며, 포화상태에 도달하여 담수부(40)의 상단까지 물이 차오르면 과잉의 물이 배수된다.
그리고 격벽(41)이 교차하는 곳에 형성된 배수채널(51)에는 각각의 담수부 (40)방향으로 배수공(55)이 다수가 형성된다.
한편, 배수공(55)을 통해 토양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수공(55)은 배수채널(51)의 내측면에서 인입되어 하향 경사지도록 배수채널(51)의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토양의 자중에 의해 배수공(55)방향으로 밀리더라도 토양은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면서, 물은 배수공(55)으로 배수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본체(30)의 저면에는 배수채널(51)을 따라 배수된 물이 원활하게 옥상면을 따라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가이드부(60)가 형성된다. 배수가이드부(60)는 본체(30)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옥상에 본체(30)가 설치시 옥상면과 일정 높이 이격됨으로써 물이 사방으로 흘러가도록 가이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가이드부(60)는 배수채널(51)의 하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본체(30) 내부로 유입된 과잉의 물이 배수공(55)으로 배수 되어 수직으로 형성된 배수채널(51)을 따라 본체(30)의 저면으로 흘러가 옥상(6)을 따라 신속하게 배수가 이루어진다.
상기의 구조를 가지는 블록(20)은 연속으로 결합되어 조립체(10)를 형성시 블록(20)의 각각에 형성된 배수가이드부(60)가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배수로역할을 하므로 집중강우 시에도 빗물이 블록(20)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원활하게 유통되도록 하여 옥상(6)의 신속한 배수를 돕는다. 또한, 본체(30)의 내부로 일시에 많은 빗물이 유입되더라도 신속하게 배출되어 침수와 배수불량에 의한 식생토양의 교란의 우려가 없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식생용 블록(20)은 배수기능과 담수기능이 적절히 조화를 이루어 식물(7)에게 건강한 생육환경을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본체(30)의 저면에 형성된 배수가이드부(6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본체(30)의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되어 뿌리의 호흡과 호기성 미생물의 서식환경을 도우며, 이러한 공기층의 존재는 건물(5) 내부의 단열효과를 향상시키는 기능도 함께 갖는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처럼 본 발명의 식생용 블록은 본체(70)의 토양층과, 본체(70)의 일측면에 인접하는 토양층이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본체(70)의 일측면을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을 더 구비하여 본체(70)의 측면을 개방하거나 밀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본체(70)의 일측면은 외부로 개방된 연결부(71)가 형성되고, 연결부(71)에는 연결부를 밀폐할 수 있는 시트(72)가 장착된다. 이 경우 연결부(71)가 형성된 본체(70)의 측단면에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시트(72)의 양 단면에는 슬 라이딩홈에 끼워져 하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연결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돌기가 형성된다. 본체(70)에는 어느 하나의 측면에만 연결부(71)가 형성되거나 도시된 것처럼 네 측면 모두에 연결부(7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71)가 형성된 본체(70)의 측단면은 평평한 형상을 가지고, 시트(75)의 양 단면에는 연결부(71)가 형성된 본체(70)의 측단면에 끼워져 하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연결부(71)를 밀폐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시트(75)의 슬라이딩 홈의 너비는 본체의 측벽 두께의 2배 정도로 형성되어 상호 인접하여 맞대어진 본체들의 양 측벽 단부에 동시에 끼워져 연결부를 밀폐할 수 있다.
상기의 구조를 가지는 본체(70)는 다수가 상호 인접하여 설치될 때 시트를 분리하면 상호 인접하는 본체의 식생 공간끼리 서로 연결됨으로써 토양의 수분을 서로 보완하여 일부 블록의 토양만이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식생식물(7)이 자라면서 이웃하는 블록으로 뿌리가 넘어가 활착함으로써 상호 인접하는 블록간의 결착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실시 예처럼 본 발명의 식생용 블록은 본체의 일측면에는 인접하는 본체가 굴곡진 형태의 면으로 대향되게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부(73)를 구비한다. 본체(30)의 전후면은 서로 대향되게 굴곡된 면을 가지고 좌우측면도 서로 대향되게 굴곡된 면을 갖는다. 이러한 결합부(73)에 의해 옥상에 식생용 블록을 설치시 인접하는 블록 사이에 서로 맞대어져 결합되므로 설치작업이 매 우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75)는 담수부가 위치한 본체의 하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식생용 블록(20)은 본체에 담수부 및 배수부, 배수가이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한 번의 사출성형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시간 및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의 식생용 블록 중에서 위에서 설명되지않은 구성요소는 도 2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블록조립체에 적용되는 경계블록(80)은 다수가 결합되어 설치된 식생용 블록(20) 중 가장자리에 위치한 식생용 블록의 측면에 결합되어 녹지공간을 구획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경계블록(80)은 식생용 블록(20) 및 식생용 블록에 식재된 식물(7)을 보호한다.
경계블록(80)은 강도가 큰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계블록(80)의 길이는 식생용 블록(20)과 동일하도록 형성하고, 높이는 적어도 식생용 블록(20)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경계블록(80)의 측면에는 인접하는 식생용 블록이 굴곡진 형태의 면으로 대향되게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굴곡되게 형성된다.
경계블록(80)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돔부(83)가 형성된다. 돔부(83)의 내부에는 조명수단(미도시)이 구비되어 야간에 경계블록(80)의 상면을 통해 빛이 발산되어 미려한 경관을 창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에는 조명수단을 가지는 다른 경계블록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조명수단(90)은 경계블록(80)의 상면에서 인입되어 형성된 장착부(87)에 설치된다.
조명수단(90)은 태양광으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키는 태양전지(91)와, 태양전지(91)에서 발생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콘덴서(93)와, 콘덴서(93)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빛을 발생시키는 램프(95)와,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는 광센서(97)와, 상기 광센서의 신호를 받아 전기회로를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99)으로 구성된다.
태양전지(91)는 장착부(87)의 최상부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받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것으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99)과 연결된다.
그리고 태양전지(91)에서 발생한 전기에너지를 충전하고 방전을 되풀이하는 콘덴서(93))는 장착부(87)의 하부에 설치된다. 콘덴서(93))는 태양전지(91)에서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를 주간에는 충전시키고 야간에는 방전하여 발광다이오드(95)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한다.
그리고 경계블록(80)의 외부로 빛을 발산하기 위한 램프인 발광 다이오드(95)는 장착부(87)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인쇄회로기판(99)상에 설치되어, 콘덴서(93)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발광하게 된다. 발광다이오드(95)는 다양한 파장의 색상으로 미려한 경관을 창출할 수 있고 부피가 작고 소비전력이 낮아 기존의 램프에 비해 효율적이다.
그리고 주야 간을 식별할 수 있도록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는 광센서(97)가 인쇄회로기판(99)에 설치된다.
인쇄회로기판(99)은 태양전지(91)와, 발광다이오드(95)와, 콘덴서(9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광센서(97)의 신호를 받아 전기회로를 제어한다. 주간에는 태양셀(91)에서 발생한 전기에너지를 콘덴서(93)에 충전시키고 야간에는 콘덴서(93)로부터 전기에너지를 방전시켜 발광다이오드(95)가 작동되도록 회로적으로 제어한다. 인쇄회로기판(99)은 안착부(87)의 바닥에 설치된 보스(88)에 나사(92)에 의해 나사결합된다.
이러한 조명수단(90)을 갖는 경계블록(80)은 야간에 블록조립체(10)의 위치 식별을 용이하게 하며 야간에 미려한 경관을 창출하는 데 하여 도심의 생태학적 자연공원역할에 일조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조립체에 적용되는 보도블록은 경계블록의 측면에는 결합되어 설치된다.
보도블록(100)은 통상의 보도블록을 이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빗물을 일정량 저장하여 서서히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담수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도블록(100)은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며 내부에 형성된 담수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면에는 담수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유입구(110)가 형성된다.
이 경우 보도블록(100)의 측면에는 인접하는 경계블록(80)이 굴곡진 형태의 면으로 대향되게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굴곡된 결합부(120)가 형성되고, 보도블록(110)의 상면에는 미끄럼방지를 위한 요철형상의 미끄럼방지부(130)가 형성된다. 미끄럼방지부(130)는 필요할 경우 고무 등의 마찰력이 큰 소재를 이용한 별도의 미끄럼방지부를 제작하여 부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보도블록(100)의 저면에는 내부에서 배출되는 빗물이 옥상면을 따라 원활하게 흘러가도록 배수홈(140)이 형성된다.
따라서 일시에 많은 비가 오더라도 옥상에 설치된 보도블록의 내부에 일정량의 빗물이 저장되어 있다가 옥상으로 서서히 빗물을 배출하는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녹지조성을 위한 식생용 블록조립체가 건물의 옥상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식생용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적용된 식생용 블록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배수채널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적용된 식생용 블록의 배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식생용 블록의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식생용 블록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식생용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1에 적용된 경계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계블록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의 식생용 블록 조립체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식생용 블록 30: 본체
40: 담수부 51: 배수채널
55: 배수공 60: 배수가이드부
71: 연결부 72: 시트
73: 결합부 80: 경계블록
90: 조명수단

Claims (6)

  1.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토양층이 형성되어 식물이 식재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담수부와;
    상기 본체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본체 내부로 인입되어 상방으로 형성된 배수채널과,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된 물이 담수부의 상단 이상 차오르면 상기 배수채널로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배수채널의 상부에 형성된 배수공을 가지는 배수부와;
    상기 배수채널과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의 저면에 형성되어 배수를 원활하게 유도하는 배수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조성을 위한 식생용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공은 상기 배수채널의 내측면에서 인입되어 하향 경사지도록 상기 배수채널의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조성을 위한 식생용 블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는 인접하는 본체가 굴곡진 형태의 면으로 대향되게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조성을 의한 식생용 블록.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토양층과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인접하는 토양층이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면을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조성을 위한 식생용 블록.
  5. 다수가 종 및 횡방향으로 상호 결합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토양층이 형성되어 식물이 식재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담수부와, 상기 본체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본체 내부로 인입되어 상방으로 형성된 배수채널과,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된 물이 담수부의 상단 이상 차오르면 상기 배수채널로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배수채널의 상부에 형성된 배수공을 가지는 배수부와, 상기 배수채널과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의 저면에 형성되어 배수를 원활하게 유도하는 배수가이드부를 가지는 식생용 블록들과;
    상기 식생용 블록들 중 가장자리에 위치한 식생용 블록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식재용 블록들을 구획하기 위한 경계블록과;
    상기 경계블록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보도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조성을 위한 블록 조립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블록은 상면에서 인입되어 형성된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경계블록의 외부로 조명을 발산하는 조명수단과, 상기 장착부를 밀폐시키는 캡을 구비하며,
    상기 조명수단은 태양광으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키는 태양전지와, 상기 태양전지에서 발생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콘덴서와, 상기 콘덴서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빛을 발생시키는 램프와,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는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의 신호를 받아 전기회로를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조성을 위한 블록 조립체.
KR1020070132700A 2007-12-17 2007-12-17 녹지조성을 위한 식생용 블록과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 KR100974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700A KR100974098B1 (ko) 2007-12-17 2007-12-17 녹지조성을 위한 식생용 블록과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700A KR100974098B1 (ko) 2007-12-17 2007-12-17 녹지조성을 위한 식생용 블록과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222A true KR20090065222A (ko) 2009-06-22
KR100974098B1 KR100974098B1 (ko) 2010-08-04

Family

ID=40993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2700A KR100974098B1 (ko) 2007-12-17 2007-12-17 녹지조성을 위한 식생용 블록과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409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932B1 (ko) * 2010-05-24 2011-03-28 (주)자연과환경 녹화용 경량블록 및 이를 이용한 녹화용 구조체
KR101104459B1 (ko) * 2009-06-30 2012-01-12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입체 구조물용 녹화패널 구조
KR101157611B1 (ko) * 2009-07-22 2012-06-19 최윤기 화분 벽돌 및 이를 이용한 화분 벽돌 시공 조립체
KR101238382B1 (ko) * 2010-12-08 2013-03-04 이영주 옥상의 정원 및 보온용 배지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803Y1 (ko) 2011-05-27 2012-11-26 소순일 식물용 재배용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5616A (ja) 1986-10-23 1988-05-10 永松 睦雄 芝生等の植物植栽用土
KR100188248B1 (ko) 1996-12-04 1999-06-01 손연호 식물 식재용 상자
KR20030048313A (ko) * 2001-12-12 2003-06-1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장착장치
KR200348313Y1 (ko) 2004-02-05 2004-05-03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인공지반녹화용 모듈
KR100609496B1 (ko) 2005-01-04 2006-08-08 김용회 조립식 식물 식재용 상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459B1 (ko) * 2009-06-30 2012-01-12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입체 구조물용 녹화패널 구조
KR101157611B1 (ko) * 2009-07-22 2012-06-19 최윤기 화분 벽돌 및 이를 이용한 화분 벽돌 시공 조립체
KR101023932B1 (ko) * 2010-05-24 2011-03-28 (주)자연과환경 녹화용 경량블록 및 이를 이용한 녹화용 구조체
KR101238382B1 (ko) * 2010-12-08 2013-03-04 이영주 옥상의 정원 및 보온용 배지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4098B1 (ko) 2010-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22052B (zh) 一种具有收集雨水和太阳能发电功能的城市道路结构
KR100974098B1 (ko) 녹지조성을 위한 식생용 블록과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
CN102415293A (zh) 生态节能环保可持续型植物种植系统
CN105781031A (zh) 一种具有雨水保留能力的绿色屋顶结构
CN102577867A (zh) 坡屋顶植物种植蓄供水模块
TWM624383U (zh) 光電型透水鋪面地下儲水自動化系統
CN210421670U (zh) 一种节能环保的绿色建筑集成屋顶
CN216787349U (zh) 光电型透水铺面地下储水自动化系统
JP3147134U (ja) プランター
CN216765464U (zh) 光电型透水铺面构造
KR101388151B1 (ko) 식생용 방근 및 방수 구조물과 그것의 시공방법
KR20090040980A (ko)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
KR101238336B1 (ko) 녹화조성구조물
CN211745554U (zh) 一种建设海绵城市用环保型生态屋顶
KR100545797B1 (ko) 옥상녹화용 복층 배수판
CN109306719B (zh) 一种模块组装式屋顶雨水收集装置及其利用系统
KR101157611B1 (ko) 화분 벽돌 및 이를 이용한 화분 벽돌 시공 조립체
CN205865301U (zh) 一种易组装生态屋顶装置
KR200430137Y1 (ko) 잔디보도블럭
CN212689751U (zh) 一种海绵城市的生态景墙
TW202018146A (zh) 網連式排水鋪面裝置
CN212478297U (zh) 一种生态可持续性屋顶花园雨水集蓄系统
TWI817217B (zh) 光電型透水鋪面地下儲水自動化系統
US20240279882A1 (en) Photoelectric water-permeable pavement underground water storage automation system
KR101238382B1 (ko) 옥상의 정원 및 보온용 배지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