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248B1 - 식물 식재용 상자 - Google Patents

식물 식재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248B1
KR100188248B1 KR1019960061609A KR19960061609A KR100188248B1 KR 100188248 B1 KR100188248 B1 KR 100188248B1 KR 1019960061609 A KR1019960061609 A KR 1019960061609A KR 19960061609 A KR19960061609 A KR 19960061609A KR 100188248 B1 KR100188248 B1 KR 100188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plate
bottom plate
side plate
pla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1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3657A (ko
Inventor
장동주
김완욱
고응식
Original Assignee
손연호
주식회사삼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연호, 주식회사삼손 filed Critical 손연호
Priority to KR1019960061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8248B1/ko
Publication of KR19980043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3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2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11/00Planting
    • Y10S111/901Lawn or tur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디 등과 같은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식물 식재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옥상의 녹화 및 골프연습장 등에 적용시 측면판이 상부쪽으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측면판 노출에 의한 미관상 문제와 인체의 상해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인접한 상자간에 토양을 연속시켜 갈수기에도 상호 수분 보완에 의해 식물 생육이 원할히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히 돌조상에 형성된 배수구멍이 상자의 중앙부에 편재되지 않고 상자내 토양에 함유된 수분의 배수기간이 짧아 집중 호우 조건을 갖는 나라에서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식재용 상자는, 배수공이 뚫려 있는 밑판과 이 밑판의 둘레 가장자리에 빙둘러 고정되는 측면판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토양이 장입되는 식물 식재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이 몸체에 고정되는 하부판과 이 하부판 위에 상자의 외부쪽으로 꺽여 접히거나 제거되도록 형성된 상부판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식물 식재용 상자
본 발명은 식물 식재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빌딩의 옥상이나 베란다 등 인공지반 상부에 식물이 식재된 상자의 배열에 의해 쉽게 자연정원을 만들 수 있으며 특히 잔디를 심어 골프장이나 골프 연습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식물 식재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급속한 도시화가 이루어져 시가지에서 녹화된 환경을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으며,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더욱 심하다. 이러한 현상은 건축물의 태반이 콘크리트계 건축물에 의해서 점유되어 있고, 이들 빌딩들이 시내에 빽빽히 들어서 있기 때문이다.
한편, 대부분의 빌딩 옥상은 콘크리트의 표면이 노출된 채로 되어 있어 기능적으로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휴식공간으로서 조성된 예도 있다. 콘크리트 표면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는 빌딩의 옥상은 여름철에는 태양열에 의해 그 표면온도가 50∼70℃에 이르게 되고, 빌딩의 최상층도 옥상을 통한 열복사나 열전도에 의해 더워지며, 겨울철에는 그 반대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앞서 제시한 두가지 문제를 함께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빌딩의 옥상 등 인공지반 상부를 녹화하는 방법이 제시되기에 이르렀다.
종래에 제시된 인공지반 상부의 녹화 방법으로는 인공잔디를 까는 방법과 가벼운 토양을 깔고 여기에 각종 식물이나 잔디를 이식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전자는 시각적으로 녹화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나 인공잔디가 열을 흡수 및 보온하기 때문에 휴식공간 등으로 사용하는데 문제가 있어 최근에는 인공토양을 이용하여 각종 식물을 식재하는 후자의 방법이 많이 쓰이고 있다.
이하 빌딩의 옥상 등에 식물을 식재하기 위해 사용하는 상자에 대해 공지 자료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식물 식재용 상자는 주로 플라스틱, 알루미나 등의 경량합금과 세라믹 등, 경량이고 썩지않는 소재로 만들어지며, 대개 사각형 밑판의 둘레에 틀판(측면판)을 빙둘러 설치되어 있다.
한국 특허공고 제95-8915에는 밑판의 둘레 가장자리에 틀판을 돌출설치하고 밑판위에 십자형으로 틀판의 높이보다 약간 낮게 중공의 융기돌조를 형성하고 전기한 융기돌조의 상면에 배수구멍을 설치함과 동시에 융기돌조의 이면측에 배수홈을 형성한 식물재배용 상자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 특허공고 제90-3035호에는 다각형 모양의 틀형본체의 상부에 수평방향 옆쪽으로 튀어나온 플랜지를 형성하고 이 플랜지에 여러개의 물통과구멍을 뚫어 설치한 잔디밭 토양 유지용 블록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식물 식재용 상자를 잔디 식재용으로 사용하여 옥상에 배열하는 경우, 틀판이 발포폴리스티렌인 경우에는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미관상 보기가 좋지 않으며, 플라스틱인 경우에는 옥상에서 아이들이 뛰어놀다가 이 틀판의 상부면에 걸여 넘어질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심지어는 찰과상 등을 입게 되는 등 제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골프장에서는 아이언샷을 하는 경우에는 잔디가 토양과 함께 떨어져 나가기 때문에 측면판(틀판)의 존재로 이를 적용하기 어렵다. 또한 골프장의 그린을 형성할 때 틀판의 존재로 그린의 연속성이 없어져 퍼팅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전자의 경우에는 중공돌조상에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분 배수시 인공토양의 유실될 염려가 있고, 배수구멍이 상자의 중앙부에 편재되어 있기 때문에 상자 모서리부에 존재하는 물(수분)의 배수기간이 길어서 우리나라와 같이 일본에 비해 집중 호우 조건을 갖는 나라에서의 사용에는 문제가 있고 잔디밭 등의 형성시 틀판이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에 각 상자에 충진된 토양간의 수분 이동이 이루어질 수 없어 갈수기에는 수분이 메말라 식재된 잔디 등의 식물 생육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였다. 또한 배수구멍이 중공돌조의 상부에 뚫려 있어 부직포 등의 망사를를 설치하지 않으면 수분 배출시 토양의 유실이 발생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식물 식재용 상자의 문제점인 상자내 배수공(배수구멍)을 집중 호우 조건에 맞게 배열함은 물론 측면판(틀판)의 일부 또는 전체를 연질박막화하거나 상부쪽을 제거 또는 꺽어 접을 수 있게 하여 이를 사용하여 건물의 옥상 등의 녹화를 위해 식물묘판이나 잔디밭을 만들 때 측면판 존재에 의한 인체 상해의 우려와 시각적인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음은 물론 상자간 토양을 연속시켜 갈수기에 상호 수분 보완이 가능토록 한 식물 식재용 상자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식물 식재용 상자는, 배수공이 뚫려 있는 밑판과 이 밑판의 둘레 가장자리에 빙둘러 고정되는 측면판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토양이 충전되는 식물 식재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이 밑판에 고정되는 하부판과 이 하부판 위에 상자의 외부쪽으로 꺽여 접히거나 제거되도록 형성한 상부판으로 구성된 데에 그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측면판은 상부판이 상자를 배열하여 식물묘판이나 잔디밭 형성시 보이지 않도록 연질박막화되어 있거나, 꺽여 접히거나, 착탈식으로 제거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면판은 그 전체 또는 상부판을 연한재질을 이용 박막화 하므로써 상자 배열시 위에서 측면판이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꺽여 접힐 수 있는 구조란 측면판의 높이 중간지점 부분을 다른 부위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거나, 복수개의 작은 구멍을 연속적으로 뚫려 있는 상태 등을 말하며, 이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약하기 때문에 여러개의 상자 배열시 사용자가 측면판의 상부를 상자 외부쪽으로 꺽어 접거나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식물 식재용 상자는, 배수공이 뚫려 있는 밑판과 이 밑판의 둘레 가장자리에 빙둘러 고정되는 측면판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토양이 장입되는 식물 식재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밑판의 상부에 상기 측면판의 높이보다 낮은 복수개의 보강대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교차 형성되어 있고, 이들의 교차지점에 배수공이 형성된 데에 그 특징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수공 상에 골재가 채워지는 배수공간이 확보된 것이 좋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식재용 상자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2는 도1의 저면도.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식재용 상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4는 도3a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5a,b,c,d는 본 발명 상자의 측면판 구성을 보인 예시 단면도.
도6은 도5c의 조립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식재용 상자를 이용한 잔디밭의 배열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토양 2: 잔디
10: 밑판 11: 평판
12: 받침대 13: 보강대
13a: 돌조 131: 배수공
132: 배수공간 133: 자갈
14: 배수로 20,20a,20b,20c,20d: 측면판
21,21a,21b,21c,21d: 하부판 211: 고리
22,22a,22b,22c,22d: 상부판 221: 끼움부
100, 100a: 상자 200, 200a: 벽돌
300: 베이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식물 식재용 상자의 일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식물 식재용 상자는 크게 밑판(10)과 측면판(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밑판(10)은 바닥을 이루는 평판(11)과, 상자가 놓이는 베이스로부터 평판(11)이 이격되도록 하여 배수공간을 확보하는 받침대(12)와, 평판(11)의 상부면에 측면판(20)의 하부판(21) 높이로 가로×세로 교차형 즉, 우물정(井)자 형태로 형성되고 그 교차지점에 격자에 의해 자갈 등의 골재가 채워지는 배수공간(132)이 확보되는 보강대(13)로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배수공간(132)내의 평판(11)에는 배수공(131)이 형성되어 있다.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받침대(12)에는 배수공(131)를 통해 배출되는 수분(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공(131)에 연결되는 배수로(1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식물 식재용 상자는 배수공간(132)내에 골재가 채워져 있기 때문에 상자내 토양의 수분 배수시 토양 유출이 최대로 억제된다.
또한 도3a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판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밑판(10a)의 상부면에는 측면판(20)의 내측에 각변이 인접되도록 입구형(口)과 중앙부에 십자형(十)형의 돌조(13a)가 연속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십자형 돌조의 교차점과 입구형 돌조의 각 모서리 및 각변의 상부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배수공(131)이 뚫여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돌조(13a)의 이면은 중공부를 이루며, 이는 배수로(14)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돌조(13a)의 배수공(131)이 뚫려있는 상부에는 격자를 이용하여 골재를 채워 넣을 수 있는 배수공간을 확보할 수도 있다.
상기 측면판(20)은 밑판(10) 상부 가장자리를 둘러싸 상자를 이루는 것으로, 하부판(21)과 상부판(22)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판(10a)상의 가장자리에 빙둘러 돌조(13a)를 형성할 때에는 이 돌조(13a)를 측면판(20)의 하부판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도3b를 참조하면, 도3a에 도시된 상자와 같이 밑판과 측면판(20)을 구성되어 있으나, 돌조(13a)가 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고, 이 돌조(13a)의 측면 상부쪽에 배수공(131)을 뚫려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자는 돌조(13a)에 의해 상자에 토양이 채워지더라도 상자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을 뿐 아니라 배수공(131)을 통한 토양의 유실이 매우 적고, 또 상자내 채워진 각 부분의 토양과 배수공 사이의 거리가 짧아 집중 호우 조건을 갖는 우리나라에서 사용시에도 토양내 수분이 적절히 유지된다.
도5a를 참조하면, 측면판(20a)은 상부판(22a)과 하부판(21a)의 연결부가 다른 부분에 비해 얇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서 상부판(22a)을 상자의 바깥쪽으로 꺽어 접을 수 있다.
도5b를 참조하면, 측면판(20b)은 하부판(21b)에 비해 상부판(22b)이 얇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판(22b)이 연질형 박막체로 구성되면 여러개의 상자 배열시 그대로 방치하여도 좋으며, 딱딱한 경우라면 역시 상자의 바깥쪽으로 꺽어 접으면 된다.
도5c를 참조하면, 측면판(20c)은 하부판(21c)의 상부 바깥면에 고리(2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6은 도5c의 상부판(21c)과 하부판(22c)이 조립된 구조를 보이기 위한 것으로, 이를 참조하면 상부판(22c)의 하단부에는 상기 하부판(21c)의 고리(211)에 끼워지는 끼움부(22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끼움부(221)와 고리(211)의 착탈에 의해 측면판(20c)의 상부판(22c)이 하부판(21c)에서 분리 조립되는 것이다.
도 5d를 참조하면, 측면판(20d)은 상부판(22d)이 하부판(21d)의 안쪽에 끼워지는 구조로서, 상부판(22d)을 하부판(21d)으로부터 쉽게 분리 제거할 수 있다.
또 측면판은 상부판과 하부판의 조립 구조는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부판의 하부 모서리부에 하부판의 모서리부를 감싸도록 하여 상부판을 상부쪽으로 들어 올려 분리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조립구조의 변경은 당업계에서 누구나 쉽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에 불과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식재용 상자는, 밑판(10)(10a)과 측면판(20)(20a)(20b)(20c)(20d)을 조립하여 상자를 형성한 후 그 내부에 인공토양을 채워 넣고 식물을 식재하여 키울 수 있다.
또한 이들 상자(식물이 식재된 것이나 식재안된 것 모두 포함)를 옥상 등의 녹화를 위해 배열할 때에는 베이스(300)상에 상자의 측면판(20)(20a)(20b)(20c)중 상부판(22)(22a) (22b)(22c)을 상자 바깥쪽으로 꺽어 접거나 제거한 후 배열하므로서, 잔디가 식재되는 경우 측면판이 잔디밭 상부쪽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배수공(131)이 자갈(133)이 충진된 배수공간(132)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토양내 수분 배수시 토양의 유실을 억제할 수 있다 (도7 참조).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식물 식재용 상자는 잔디 등과 같은 식물을 재배하여 옥상의 녹화 및 골프연습장 등에 적용하면 측면판이 상부에 노출되지 않아, 측면판 노출에 의한 미관상 문제와 인체의 상해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인접한 상자간에 토양을 연속시켜 갈수기에도 상호 수분 보완에 의해 식물 생육이 원할히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돌조상에 형성된 배수구멍이 상자의 중앙부에 편재되지 않고 상자내 토양에 함유된 수분의 배수기단이 짧아 집중 호우 조건을 갖는 나라에서의 사용하기에 매우 유용하고, 또한 골재가 채워지는 배수공간을 마련하고 그 내부에 배수공을 뚫으므로서 상자내 수분 배출시 토양의 유실을 최대한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배수공이 뚫려 있는 밑판과 이 밑판의 둘레 가장자리에 빙둘러 고정되는 측면판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토양이 장입되는 식물 식재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은 몸체에 고정되는 하부판과 이 하부판 위에 상자의 외부쪽으로 꺽여 접히거나 제거되도록 형성된 상부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식재용 상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은 상,하부판의 연결부가 다른 부분보다 얇게 형성되어 상부판을 상자의 외부쪽으로 꺽어 접거나 제거할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식재용 상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은 상,하부판 사이에 작은 구멍이 연속적으로 뚫려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식재용 상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은 측면판이 고정된 가장자리의 바로 안쪽 모두에 접하도록 하부판 높이의 입구형(口) 돌조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십자형 돌조가 형성되며, 십자형 돌조의 교차지점과 가장자리의 돌조에 각각 배수공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식재용 상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형 돌조 교차지점상에 뚫린 배수공 상부에 골재가 채워지는 배수공간이 확보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식재용 상자.
  6. 제 4 항과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형 돌조에는 측면에 배수공이 뚫려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식재용 상자.
  7. 배수공이 뚫려 있는 밑판과 이 밑판의 둘레 가장자리에 빙둘러 고정되는 측면판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토양이 장입되는 식물 식재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밑판의 상부에 상기 측면판의 높이보다 낮은 복수개의 보강대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교차 형성되어 있고, 이들의 교차지점에 배수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식재용 상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공 상에 골재가 채워지는 배수공간이 확보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식재용 상자.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이 보강대의 높이에서 상자의 외부쪽으로 꺽여 접혀지거나 제거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식재용 상자.
  10. 배수공이 뚫려 있는 밑판과 이 밑판의 둘레 가장자리에 빙둘러 고정되는 측면판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토양이 장입되는 식물 식재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은 선택적으로 전체 또는 상부쪽이 연질형의 박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식재용 상자.
  11. 배수공이 뚫려 있는 밑판과 이 밑판의 둘레 가장자리에 빙둘러 고정되는 측면판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토양이 장입되는 식물 식재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은 상기 밑판에 연설된 하부판과 이 하부판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상부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식재용 상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은 상부판의 외면에 고리가 형성되고 하부판에는 상기 고리에 대응하여 끼워 착탈되는 끼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식재용 상자.
KR1019960061609A 1996-12-04 1996-12-04 식물 식재용 상자 KR100188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1609A KR100188248B1 (ko) 1996-12-04 1996-12-04 식물 식재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1609A KR100188248B1 (ko) 1996-12-04 1996-12-04 식물 식재용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657A KR19980043657A (ko) 1998-09-05
KR100188248B1 true KR100188248B1 (ko) 1999-06-01

Family

ID=19485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1609A KR100188248B1 (ko) 1996-12-04 1996-12-04 식물 식재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824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651B1 (ko) 2006-08-14 2009-04-17 다지마 ‹카 가부시키가이샤 초목용의 식재장치와 식재구조
KR100974098B1 (ko) 2007-12-17 2010-08-04 주식회사 세원뷰텍 녹지조성을 위한 식생용 블록과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
KR101229866B1 (ko) 2010-10-26 2013-02-18 대한민국 관목류의 생육을 위한 다층저수형 조립식 식생 블록
KR101297869B1 (ko) 2011-06-22 2013-08-19 정민균 천연잔디 매트의 제조방법 및 그 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8929B2 (ja) * 1998-05-12 2008-01-09 共同カイテック株式会社 植栽用マット及びその敷設方法
KR101229871B1 (ko) * 2010-10-26 2013-02-05 대한민국 초본식물의 생육을 위한 다층적층형 조립식 식생 블록
CH716491B1 (de) * 2019-08-12 2022-10-31 Samuel Guepfert Bepflanzungsbehälter und Bepflanzungsbehältersystem zur Bepflanzung von Balkonen oder Terrass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651B1 (ko) 2006-08-14 2009-04-17 다지마 ‹카 가부시키가이샤 초목용의 식재장치와 식재구조
KR100974098B1 (ko) 2007-12-17 2010-08-04 주식회사 세원뷰텍 녹지조성을 위한 식생용 블록과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
KR101229866B1 (ko) 2010-10-26 2013-02-18 대한민국 관목류의 생육을 위한 다층저수형 조립식 식생 블록
KR101297869B1 (ko) 2011-06-22 2013-08-19 정민균 천연잔디 매트의 제조방법 및 그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657A (ko) 199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70706C (en) Water-permeable ground grid for pavings
KR100527359B1 (ko) 식물 재배 매트
JP2004503257A (ja) 好ましい縁システムを備えたパネルを有したモジュール式緑化屋上
JPH11318220A (ja) 植栽用マット及びその敷設方法
KR100188248B1 (ko) 식물 식재용 상자
JPH1175568A (ja) 植栽マット及びその敷設方法
JP2000199265A (ja) ガ―デン用区画防水構造及びガ―デン構造
JP3904847B2 (ja) 芝生等植栽用の連結据置式緑化ユニット
JPH09203059A (ja) 生態系育成表面化粧板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表面化粧方法
ES2211544T3 (es) Modulo para la realizacion de una vegetacion extensiva en tejados o terrazas y disposicion y metodo utilizando dichos modulos.
DE3115691C2 (de) Mobiles Pflanzelement
KR200450576Y1 (ko) 보도블록
KR100188255B1 (ko) 식물 식재용 상자
JP3868604B2 (ja) 植栽マ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037408A (ja) 苔の栽培方法及び苔の栽培装置
JPH09168332A (ja) 芝生植生用パネル及びその芝生植生用パネルを使用してなる芝生用プランター
JP2546563Y2 (ja) 人工植物栽培床
JPH086807Y2 (ja) 排水、保水装置
JP4001773B2 (ja) 植栽基盤の枠体構造
JP3065552U (ja) 法枠工枠内の緑化用植栽ポット及びその植栽ポットを使用した法枠内の緑化法面
KR101989951B1 (ko) 방근, 방초 기능을 갖는 수목보호판
JP2002291342A (ja) 植栽設備
JP3459810B2 (ja) 人工地盤
JPH1025753A (ja) 植生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とこれを用いた覆工構造
JPS5913805Y2 (ja) ロ−ンフエ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