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8151B1 - 식생용 방근 및 방수 구조물과 그것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식생용 방근 및 방수 구조물과 그것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8151B1
KR101388151B1 KR1020120026842A KR20120026842A KR101388151B1 KR 101388151 B1 KR101388151 B1 KR 101388151B1 KR 1020120026842 A KR1020120026842 A KR 1020120026842A KR 20120026842 A KR20120026842 A KR 20120026842A KR 101388151 B1 KR101388151 B1 KR 101388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sheet
nonwoven fabric
root
waterproof
inst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4901A (ko
Inventor
김상용
Original Assignee
합동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동에너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합동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6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151B1/ko
Publication of KR20130104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01G24/46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multi-layer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2Foundations, e.g. with drainage or heat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Abstract

식생용 방근 및 방수 구조물이 제공된다. 이 구조물은, 식물을 심기 위한 토양부와; 상기 토양부의 하부에 배치된 배수부와; 상기 배수부의 하부에서 상기 인공지반과 상기 배수부의 사시에 배치되는 방근부를 포함한다. 상기 방근부는 방수시트와 상기 방수시트의 양면 중 적어도 한 면에 대면하는 부직포를 포함하며, 상기 방수시트의 일면에는 상기 부직포와 접하여 상기 부직포와의 사이에 갭을 형성하는 복수의 돌기들이 일체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식생용 방근 및 방수 구조물과 그것의 시공방법{water proofing and root proofing structure for veget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식물을 이식하여 녹화를 구현하기 위한 식생용 방근 및 방수 구조물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발전 및 급격한 도시화에 따라 녹지 공간이 감소되고 있다. 특히, 도심지에서는, 많은 건축물과 도로 시설로 인해, 녹지를 조성할 만한 토양을 찾기 어렵다. 이 때문에, 도심 등에서 콘크리트 또는 다른 재료들로 구성된 옥상녹화, 지하구조물 상부녹화등과 같은 인공 지반에 식물 등을 이식하여, 녹화 공간을 만들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 왔다. 인공지반 위의 녹지 공간은, 도심의 사람들에게 편히 쉴 수 있는 휴식 공간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도심에 곤충이 서식하고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생태 환경을 확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인공지반에 식물을 이식하기 위해서는, 토양이 필요하며, 또한,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토양에 물을 공급할 수 있고 그 물을 배수시킬 수 있는 배수부가 요구된다. 또한, 배수부 아래에는 물과 식물의 뿌리가 인공지반에 침투하여 누수되는 것을 막기 위한 방근 또는 방수부가 요구된다. 위와 같은 요소들을 이용하는 구조물을 흔히 방근 구조물이라 하며, 이러한 방근 구조물은 등록특허 제10-0553055호, 등록실용신안 제20-0314702호, 등록실용신안 제20-0300999호 및 특허공개 10-2006-0091388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근 구조물은, 설치 공정의 복잡성, 낮은 경제성, 그리고, 열등한 방수 또는 방근 성능으로 인해, 건물 옥상의 녹화 또는 조경 용도에 제한적으로 이용되고 있을 뿐이다. 위와 같은 단점들은 여러 요인들에 의해 야기되는데, 그러한 요인들로는, 우선 방수부와 방근부를 별도로 설치하는 불편함과 인공지반에 가장 먼저 깔리는 방수부의 설치 어려움과, 방수부 설치시 야기되는 많은 하자가 있다.
예컨대, 종래에는 방수부 설치시, 인공지반의 평탄화 및 보호를 위해 먼저 부직포를 인공지반 위에 설치하고, 그 다음, 합성수지 재질의 방수시트를 부직포 위에 설치하므로 이중 작업의 복잡성이 있다. 또한, 부직포와 방수시트를 함께 못으로 고정하는데, 이 경우, 방수시트에 파열이 생겨, 방근 구조물의 방수 성능 및 방근 성능이 크게 저하된다. 그 밖에, 인공지반과 그 인공지반에 세워진 측벽 사이의 모서리까지 방근 구조물이 덮기 어려웠다.
특히, 종래에는 토양 측과 방수시트 부근 사이에 큰 온도 차이 발생할 때, 방수시트에 결로 현상이 생기며, 이 결로 현상으로 인해 방수시트와 그와 접해 있는 부직포 사이에 폐막 현상을 일으키며, 이 폐막 현상은 구조물의 배수성을 떨어뜨린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과제는 식생용 방근 및 방수 구조물에서, 방수 시트와 그와 접하는 부직포 사이에 생기는 폐막 현상을 없애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생용 방근 및 방수 구조물은, 식물을 심기 위한 토양부와, 상기 토양부의 하부에 배치된 배수부와, 상기 배수부의 하부에서 상기 인공지반과 상기 배수부의 사시에 배치되는 방근부를 포함한다. 상기 방근부는 방수시트와 상기 방수시트의 양면 중 적어도 한 면에 대면하는 부직포를 포함하며, 상기 방수시트의 일면에는 상기 부직포와 접하여 상기 부직포와의 사이에 갭을 형성하는 복수의 돌기들이 일체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하부 부직포가 상기 방수시트의 하부면에 대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방수 시트의 하부면에는 상기 하부 부직포와 접하는 섬 형태의 엠보싱 돌기들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부 부직포가 상기 방수시트의 상부면에 대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방수 시트의 상부면에는 상기 상부 부직포와 접하는 섬 형태의 엠보싱 돌기들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하부 부직포 및 상부 부직포가 상기 방수시트의 하부면 및 상부면에 대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방수 시트의 하부면과 상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하부 부직포 또는 상기 상부 부직포와 접하는 섬 형태의 엠보싱 돌기들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생용 방근 및 방수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인공지반 상에 방수 기능의 방근부를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방근부 상에 배수부를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배수부에 식물을 심기 위한 토양부를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하되, 상기 방근부를 설치하는 공정은, 상기 인공지반 상에 하부 부직포를 까는 단계와, 다수의 엠보싱 돌기들이 하부면에 형성된 방수시트를 상기 하부 부직포 상에 깔아, 상기 엠보싱 돌기들에 의해 상기 하부 부직포와 상기 방수시트 사이에 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방수시트의 상부면 상에 상부 부직포를 까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식생용 방근 및 방수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인공지반 상에 방수 기능의 방근부를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방근부 상에 배수부를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배수부에 식물을 심기 위한 토양부를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하되, 상기 방근부를 설치하는 공정은, 상기 인공지반 상에 하부 부직포를 까는 단계와, 방수시트를 상기 하부 부직포 상에 까는 단계와, 상기 방수시트의 상부면 상에 상부 부직포를 까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방수시트는 상부면에 상기 상부 부직포와의 사이에 갭을 형성하는 엠보싱 돌기들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생용 방근 및 방수 구조물에서, 방수 시트와 그와 접하는 부직포 사이에 생기는 폐막 현상 및 그로 인하여 야기되는 구조물의 성능 저하 및 수명저하를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방근 및 방수 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수시트의 하부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색용 방근 및 방수 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방수 및 방근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을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방수 및 방근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수시트의 하부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방수 및 방근 구조물은 인공지반(2)을 포함하는 인공 구조물에 녹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인공 구조물은 인공지반(2)에 세워진 벽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인공지반(2)의 표면 또는 인공지반(2)에 세워진 벽의 표면에는 프라이머층이 형성될 수 있다. 프라이머층으로는 아스팔트 프라이머층이 바람직하며, 그러한 프라이머층은 상기 인공지반(2) 또는 상기 벽의 일부인 것으로 간주한다.
본 실시예의 방수 및 방근 구조물은, 식물(6)을 심기 위한 토양부(10)와, 상기 토양부(10)를 받치는 수단을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구조물은, 상기 토양부(10)와, 상기 토양부(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수부(20)와, 인공지반(2) 상에서 상기 배수부(20)의 하부에 배치되는 방수 기능의 방근부(30)로 구성된다.
상기 인공지반(2) 위의 방근부(30), 배수부(20) 및 토양부(30)는, 식물(6)의 생육에 적절한 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개별적 및/또는 협동적으로, 방근, 방수, 방음 및 단열의 효과를 부가적인 제공한다. 이때, 부가적인 효과들인 방음 및 단열은 인공지반(2) 아래에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있는 경우에 더 유리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수부(20)는 상기 토양부(1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필터 부직포(21)와, 상기 필터 부직포(21)의 하부에 배치되는 드레인보드(22)를 포함한다. 필터 부직포(21)는, 상기 드레인보드(22)에 대하여, 물의 흐름은 허용하되, 토양부(10)의 토사는 차단하는 필터링 기능을 한다. 만일, 토양부(10)의 토사가 드레인보드(22)로 흘러 들어간다면, 드레인보드(22)는 본연의 담수 기능과 배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 이때, 상기 드레인보드(22)의 볼록한 부분들 사이로는 임의의 충전물이 채워질 수 있다.
상기 드레인보드(22)는 토양부(10)와 필터 부직포(21)를 통해 흘러 들어온 물을 담수하여 두었다가, 식물 생육에 필요한 물을 토양부(10)에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담수 기능을 갖는다. 이를 위해, 상기 드레인보드(22)는 오목한 형상을 갖는 다수의 담수부(221)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드레인보드(22)는 담수량이 많은 경우, 자체 형성된 다수의 배수공(222)들을 통해 물을 방근부(30)로 배출한다.
상기 방근부(30)는, 예를 들면 EVA 수지 계열의 방근 기능을 갖는 방수시트(32)와, 상기 방수시트(32)의 하부면에 대면하도록 배치된 하부 부직포(33a)와, 상기 방수시트(32)의 상부면에 대면하도록 배치된 상부 부직포(33b)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부직포(33a)는 상기 방수시트(32)와 인공지반(2)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상부 부직포(33b)는 상기 방수시트(32)와 드레인보드(22)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방근부(30)는 하부 부직포(33a)를 인공지반(2) 상에 깔고, 다음, 그 하부 부직포(33a) 위로 방수시트(32)를 적층하듯이 깔고, 그 다음, 방수시트(32) 위로 상부 부직포(33b)를 적층하듯이 깔아 완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수시트(32)는 다수의 엠보싱 돌기(322)들을 하부면에 일체로 포함한다. 상기 엠보싱 돌기(322)들은 상기 방수시트(32)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형성된다. 상기 방수시트(32)를 하부 부직포(33a) 상에 적층할 때, 상기 엠보싱(322)들이 하부 부직포(33a)와 접하므로, 상기 방수시트(32)의 상부 평탄면과 상기 하부 부직포(33a)의 표면은 서로 이격된다. 도 2는 도 1의 방수시트(32)의 하부면을 도시한 저면도로서, 도 2 참조하면, 다수의 엠보싱 돌기(322)들 각각은 섬(island)과 같이 고립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엠보싱(322)들에 의해 형성된 방수시트(32)와 하부 부직포(33a) 사이의 갭은 전체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가지며, 방수시트(32)와 하부 부직포(33a) 사이에 생긴 수분의 탈출 통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갭은 방수시트(32)와 하부 부직포(33a) 사이의 폐막 현상을 방지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방수 및 방근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의 방수 및 방근 구조물은, 토양부(10)와, 상기 토양부(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수부(20)와, 인공지반(2) 상에서 상기 배수부(20)의 하부에 배치되는 방수 기능의 방근부(30)로 구성된다.
상기 배수부(20)는 상기 토양부(1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필터 부직포(21)와, 상기 필터 부직포(21)의 하부에 배치되는 드레인보드(22)를 포함한다. 상기 드레인보드(22)는 오목한 형상을 갖는 다수의 담수부(221)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드레인보드(22)는 담수량이 많은 경우, 자체 형성된 다수의 배수공(222)들을 통해 물을 방근부(30)로 배출한다.
상기 방근부(30)는, 예를 들면 EVA 수지 계열의 방근 기능을 갖는 방수시트(32)와, 상기 방수시트(32)의 하부면에 대면하도록 배치된 하부 부직포(33a)와, 상기 방수시트(32)의 상부면에 대면하도록 배치된 상부 부직포(33b)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부직포(33a)는 상기 방수시트(32)와 인공지반(2)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상부 부직포(33b)는 상기 방수시트(32)와 드레인보드(22) 사이에 개재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수시트(32)는 다수의 엠보싱 돌기(324)들을 상부면에 일체로 포함한다. 상기 엠보싱 돌기(324)들은 상기 방수시트(32)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형성된다. 상기 방수시트(32) 상에 상기 상부 부직포(33b)를 적층할 때, 상기 엠보싱(324)들이 상부 부직포(33a)와 접하므로, 상기 방수시트(32)의 상부 평탄면과 상기 상부 부직포(33b)의 표면은 서로 이격된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엠보싱 돌기(324)들 각각은 섬(island)과 같이 고립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엠보싱(324)들에 의해 형성된 방수시트(32)와 상부 부직포(33b) 사이의 갭은 전체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가지며, 방수시트(32)와 상부 부직포(33b) 사이에 생긴 수분의 탈출 통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갭은 방수시트(32)와 상부 부직포(33b) 사이의 폐막 현상을 방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방수 및 방근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수시트(32)는 하부면에 하부 엠보싱 돌기(322)들을 포함하고, 상부면 상부 엠보싱 돌기(324)들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및 상부 엠보싱 돌기(322, 324)들은 상기 방수시트(32)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형성된다. 하부 부직포(33a) 상에 상기 방수시트(32)를 적층할 때, 그리고, 상기 방수시트(32) 상에 상기 상부 부직포(33b)를 적층할 때, 상기 하부 및 엠보싱(322, 324)들이 하부 부직포(33a) 및 상부 부직포(33b)와 접하므로, 상기 방수시트(32)의 양면 각각과 상기 하부 부직포(33a) 및 상부 부직포(33b)의 표면은 서로 이격된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부 및 상부 엠보싱 돌기(322, 324)들 각각은 섬(island)과 같이 고립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엠보싱(322, 324)들에 의해 형성된 방수시트(32)와 하부 부직포(33a) 및 상부 부직포(33b) 사이의 갭은 전체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가지며, 방수시트(32)와 하부 부직포(33a)의 상이 그리고 방수시트(32)와 상부 부직포(33b) 사이에 생긴 수분의 탈출 통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갭은 방수시트(32)와 부직포들(33a, 33b) 사이의 폐막 현상을 방지한다.

Claims (6)

  1. 식물을 심기 위한 토양부;
    상기 토양부의 하부에 배치된 배수부; 및
    상기 배수부의 하부에서 인공지반과 상기 배수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방근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근부는 방수시트와 상기 방수시트의 양면 중 적어도 한 면에 대면하는 부직포를 포함하며,
    상기 방수시트의 일면에는 상기 부직포와 접하여 상기 부직포와의 사이에 갭을 형성하는 복수의 돌기들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방근 및 방수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 부직포가 상기 방수시트의 하부면에 대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방수 시트의 하부면에는 상기 하부 부직포와 접하는 섬 형태의 엠보싱 돌기들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방근 및 방수 구조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 부직포가 상기 방수시트의 상부면에 대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방수 시트의 상부면에는 상기 상부 부직포와 접하는 섬 형태의 엠보싱 돌기들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방근 및 방수 구조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 부직포 및 상부 부직포가 상기 방수시트의 하부면 및 상부면에 대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방수 시트의 하부면과 상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하부 부직포 또는 상기 상부 부직포와 접하는 섬 형태의 엠보싱 돌기들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방근 및 방수 구조물.
  5. 인공지반 상에 방수 기능의 방근부를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방근부 상에 배수부를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배수부에 식물을 심기 위한 토양부를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하되,
    상기 방근부를 설치하는 공정은,
    상기 인공지반 상에 하부 부직포를 까는 단계와,
    다수의 엠보싱 돌기들이 하부면에 형성된 방수시트를 상기 하부 부직포 상에 깔아, 상기 엠보싱 돌기들에 의해 상기 하부 부직포와 상기 방수시트 사이에 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방수시트의 상부면 상에 상부 부직포를 까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방근 및 방수 구조물의 시공방법.
  6. 인공지반 상에 방수 기능의 방근부를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방근부 상에 배수부를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배수부에 식물을 심기 위한 토양부를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하되,
    상기 방근부를 설치하는 공정은,
    상기 인공지반 상에 하부 부직포를 까는 단계와,
    방수시트를 상기 하부 부직포 상에 까는 단계와,
    상기 방수시트의 상부면 상에 상부 부직포를 까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방수시트는 상부면에 상기 상부 부직포와의 사이에 갭을 형성하는 엠보싱 돌기들이 형성된 것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방근 및 방수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0120026842A 2012-03-16 2012-03-16 식생용 방근 및 방수 구조물과 그것의 시공방법 KR101388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842A KR101388151B1 (ko) 2012-03-16 2012-03-16 식생용 방근 및 방수 구조물과 그것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842A KR101388151B1 (ko) 2012-03-16 2012-03-16 식생용 방근 및 방수 구조물과 그것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901A KR20130104901A (ko) 2013-09-25
KR101388151B1 true KR101388151B1 (ko) 2014-04-22

Family

ID=49453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842A KR101388151B1 (ko) 2012-03-16 2012-03-16 식생용 방근 및 방수 구조물과 그것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81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94021A (zh) * 2018-01-31 2019-08-06 北京建中新材科技有限公司 耐根刺防水排水一体板及其制作方法
KR102239566B1 (ko) * 2019-04-30 2021-04-13 김종삼 방수구조
KR102265557B1 (ko) * 2020-10-12 2021-06-16 주식회사 지에스케이 이중 배수판을 포함하는 천연잔디 및 하이브리드 잔디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560B1 (ko) 2010-06-24 2011-01-14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다층필름 방근방수 구조
JP2011010575A (ja) 2009-06-30 2011-01-20 Sekisui Plastics Co Ltd 緑化壁構造体
JP2012010671A (ja) 2010-07-05 2012-01-19 Masaki Envec:Kk 緑化用パネル及び屋上緑化構造
KR101113735B1 (ko) 2009-04-24 2012-02-27 한본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건물지붕층 녹화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735B1 (ko) 2009-04-24 2012-02-27 한본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건물지붕층 녹화시스템
JP2011010575A (ja) 2009-06-30 2011-01-20 Sekisui Plastics Co Ltd 緑化壁構造体
KR101007560B1 (ko) 2010-06-24 2011-01-14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다층필름 방근방수 구조
JP2012010671A (ja) 2010-07-05 2012-01-19 Masaki Envec:Kk 緑化用パネル及び屋上緑化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901A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33339A1 (en) Roof System
KR101113735B1 (ko) 건물지붕층 녹화시스템
JPH06209655A (ja) 建築構造物の緑化用床構造
KR101388151B1 (ko) 식생용 방근 및 방수 구조물과 그것의 시공방법
KR101097218B1 (ko) 녹화를 위한 방수 및 방근 구조물 및 그것의 시공방법
KR100729389B1 (ko)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옥상녹화구조
KR101238336B1 (ko) 녹화조성구조물
KR20070033132A (ko) 잔디를 식재한 건축물의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3151572B2 (ja) 建築構造物の緑化用床構造
KR100545797B1 (ko) 옥상녹화용 복층 배수판
KR100349557B1 (ko) 옥상녹화시스템의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JP3669946B2 (ja) 構造物の緑化構造
KR20090001622U (ko)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 및 이를 갖는 인공지반녹화용모듈
KR200220851Y1 (ko) 측면 배수공을 가진 조경용 배수판
KR101238382B1 (ko) 옥상의 정원 및 보온용 배지판
JPH0547575Y2 (ko)
KR101153863B1 (ko) 건물의 녹화구조물
WO2023188200A1 (ja) 植栽ユニット
Koivula Green roofs in Finland and abroad
JP3465206B2 (ja) 建築構造物の緑化用床構造
JP2010053538A (ja) 天窓を備えた緑化勾配屋根
JPH0125558Y2 (ko)
KR100830937B1 (ko) 수분공급컬럼이 구비된 수분공급시트
TWM645301U (zh) 光電組合式透水鋪面構造
TWM646636U (zh) 光電組合型透水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