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1622U -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 및 이를 갖는 인공지반녹화용모듈 - Google Patents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 및 이를 갖는 인공지반녹화용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1622U
KR20090001622U KR2020070013587U KR20070013587U KR20090001622U KR 20090001622 U KR20090001622 U KR 20090001622U KR 2020070013587 U KR2020070013587 U KR 2020070013587U KR 20070013587 U KR20070013587 U KR 20070013587U KR 20090001622 U KR20090001622 U KR 200900016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ground
groove
container
water supply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35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국현
Original Assignee
김국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국현 filed Critical 김국현
Priority to KR20200700135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1622U/ko
Publication of KR200900016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62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Abstract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 및 이를 갖는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이 개시된다.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는 복수의 저수공간들을 정의하는 십자형 돌출부, 상기 십자형 돌출부의 교차부에 형성된 배수구, 및 상기 교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저수공간들과 상기 배수구를 연통시키는 배수홈을 갖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 상에 형성된 측판을 포함한다.
Figure P2020070013587
인공지반, 옥상녹화, 방근, 방수, 저수, 급수, 배수

Description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 및 이를 갖는 인공지반녹화용 모듈 {GARDENING CONTAINER AND GARDENING MODULE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 및 이를 갖는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지반 구조물 위에 식생을 도입하는 경우 저수와 배수를 용이하게 하고 일체화된 구조를 갖는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 및 이를 갖는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에 관한 것이다.
21세기는 각국이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환경오염과 생태계 파괴를 복원하기 위하여 다각도로 환경복원 사업을 지원하고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하지만, 높은 토지보상비와 유휴 공간 확보의 어려움으로 도심 속에 푸른 숲을 만드는 작업은 쉽지 않다.
도시의 확대로 인한 녹지공간의 축소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옥상 녹화 가 확산되고 있다. 옥상 녹화란 도심 속의 건물옥상이나 유휴 공간에 인공지반을 설치하여 푸른 숲을 만드는 방법으로서 도심에 푸른 휴식 공간을 만들고 도시 열섬현상을 완화시키는 한편 생물의 서식공간으로도 활용할 수 있으며 홍수 예방에도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옥상 녹화는 도시의 친환경화 기술의 일환으로 독일을 비롯한 유럽을 중심으로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현재 일본과 북미에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옥상 녹화를 통하여 도심의 매연정화나 사람이 푸른 숲을 보면서 심리적 안정효과 등 긍정적인 효과가 꾸준히 보고 되면서 국내에서도 근래에 보급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옥상 녹화에 관련된 여러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종래의 기술들은 높은 설치비용과 옥상에 단열층, 방수층, 배수층, 방근층, 투수층, 식재층 등을 층층이 깔아서 시공하고 있어 작업이 복잡하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유지 및 보수 시 전체를 모두 교체해야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환경친화적인 재활용 소재를 이용한 세덤 블록 및 식물식재용 상자가 실용신안공보 20-0192003, 특허공고 1995-0008915 등에 개시되어 있는데, 종래의 블록 및 상자들은 급수와 배수가 원활하지 않으며, 시간 경과에 따라 유닛들이 서로 어긋나고 뒤틀어지면서 경관을 오히려 해치는 결과를 초래하고, 누수로 인한 방근층 파괴에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급수와 배수를 균형있게 유지하고 방근 기능을 하는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일체화된 구조를 구비하여 컨테이너 간의 이격과 뒤틀림을 방지하는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는 복수의 저수공간들을 정의하는 십자형 돌출부, 상기 십자형 돌출부의 교차부에 형성된 배수구, 및 상기 교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저수공간들과 상기 배수구를 연통시키는 배수홈을 갖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 상에 형성된 측판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에 상기 저수공간들의 물높이를 조절하는 물높이 조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판의 상부에 이웃하는 측판과 결합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판의 중앙에 상기 이웃하는 측판과 함께 급수관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급수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 홈은 'ㄷ'자 단면 형상으로 상기 측판의 중앙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급수관 홈에 가늘고 긴 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판에는 스프링클러 설치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차부에 상기 배수구와 상기 배수홈을 커버하는 필터층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필터층의 상부면의 높이는 상기 돌출부의 상부면의 높이와 일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층은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판 상에는 복수개의 컨테이너들의 측판들이 적층될 수 있다.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반 녹화용 모듈은 복수의 저수공간들을 정의하는 십자형 돌출부, 상기 십자형 돌출부의 교차부에 형성된 배수구 및 상기 교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저수공간들과 상기 배수구를 연통시키는 배수홈을 갖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 상에 형성된 측판을 포함하는 복수의 컨테이너 및 상기 베이스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는 격자형 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 프레임은 일면에 형성되어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프레임 결합홈, 타면에 형성되어 배수관을 통과시키기 위한 배수관 결합홈 및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는 베이스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 결합홈에는 복수의 단턱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자형 프레임의 일면에 바퀴 결합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판의 중앙에 상기 이웃하는 측판과 함께 급수관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급수관 홈이 형성되고, 상기 급수관 홈에는 가늘고 긴 턱이 형성되어 상기 급수관 홈과 이웃하는 급수관 홈의 턱에 지지몰드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복수의 컨테이너들의 결합 부분에는 결합 몰드가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은 상기 격자형 프레임을 지지하고 상기 격자형 프레임을 인공지반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시키는 이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이격 부재는 서로 소 정 각도로 교차하여 결합하는 제1 및 제2 이격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는 급수와 배수를 균형적으로 유지하고 방수층 및 방근층 보호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은 프레임을 이용하고 일체화된 구조를 구비하여 컨테이너 간의 이격과 뒤틀림을 방지하고 하중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101)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100)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100)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100)는 베이스(110) 및 베이스(110)의 가장자리 상에 형성된 측판(120)을 포함한다. 베이스(110)는 복수의 저수공간(111)들을 정의하는 십자형 돌출부(113), 십자형 돌출부(113)의 교차부에 형성된 배수구(115) 및 상기 교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저수공간(111)들과 배수구(115)를 연통시키는 배수홈(117)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십자형 돌출부(113)는 높이 20mm, 225mmㅧ 40mm 직육면체로 형성되며, 베이스(110)의 일부를 상부로 융기시켜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저수공간(111)들은 십자형 돌출부(113) 및 측판(120)에 의해 정의되고, 십자형 돌출부(113)의 개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저수공간들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수공간(111)은 225mmㅧ 225mm인 정사각형의 용기 모양을 갖으며, 하나의 베이스(110)는 4개의 저수공간(111)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구(115)는 베이스(110)의 중심부, 즉 십자형 돌출부(113)의 교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는 배수구(115)의 반경이 컨테이너 설치 지역의 기후 조건과 강수량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수구(115)의 반경은 24mm이다.
배수홈(117)은 십자형 돌출부(113)가 교차하는 교차부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배수홈(117)은 상기 교차부와 저수공간(111)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배수홈(117)은 저수공간(111)의 바닥면으로부터 배수구(115)가 형성된 높이보다 더 높은 높이에서 형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수홈(117)은 저수공간(111)의 바닥면으로부터 10mm 높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저수공간(111)에 저장되는 물이 저수공간(111)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량을 초과하여 배수홈(117)이 형성된 높이에 도달하면, 상기 물은 배수홈(117)을 통해 십자형 돌출부(113)의 교차부로 흘러들어간다. 이 후, 상기 물은 배수홈(117)보다 낮은 높이에서 형성된 배수구(115)로 배수된다. 배수구(115)로 배수된 물은 십자형 돌출부(113)의 반대면에 십자형 돌출부(113)의 연장 방향으로 형성된 배수관(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컨테이너(100)로부터 빠져 나가게 된다.
돌출부(113)에는 저수공간(111)들의 물높이를 조절하는 물높이 조정홈(119)이 형성된다. 저수공간(111)에 저장되는 물은 물높이 조정홈(119)을 통해 이웃하는 저수공간으로 흘러 나가거나 들어올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수공간(111)들에 저장되는 물의 높이는 서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높이 조정홈(119)은 저수공간(111)들의 밑면으로부터 10mm 높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측판(120)의 상부에는, 이웃하는 측판과 결합되는 걸림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사각형 형상을 갖는 측판(120)의 일측벽 상부에는 상단부로부터 아랫방향으로"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걸림부(121)가 형성되고, 절곡된 끝단에는 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측판(120)의 일측벽과 이웃하는 측벽 상부에는, 이웃하는 측벽의 절곡된 끝단에 형성된 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부(121)는 이웃하는 컨테이너들 간의 결합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하여 미세한 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리하여, 컨테이너들을 설치한 후에도 시간의 경과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구조의 틀어짐을 막아주며, 토양 재료 유출 방지 및 식물의 뿌리가 바닥의 방수층을 파괴하고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1의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100)의 급수관 홈(125)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측판(120)의 중앙부에는 이웃하는 측판과 함께 급수관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급수관 홈(125)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급수관 홈(125)은 "ㄷ"자 단면 형상을 갖고 측판(120)의 중앙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웃하는 컨테이너들의 이웃하는 급수관 홈(125)들은 급수관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설치자는 상기 급수관 통로에 급수관을 통과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큰 범위의 옥상녹화 시 자동급수시설 등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급수관 홈(125)에는 가늘고 긴 턱(127)이 형성될 수 있다. 급수관 홈(125)에 급수관이 설치되지 않을 경우, 급수관 홈(125)에는 컨테이너들 간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한 지지 몰드(300)가 결합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몰드(300)는 "H" 자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급수관 홈(125)에 형성된 턱(127)에 의해 더욱 견교하게 결합된다.
옥상 녹화의 특성상 하중과 기후의 변화 및 토양층의 높낮이 등으로 인해 컨테이너는 팽창과 수축을 하게 된다. 지지 몰드(300)는 이러한 팽창과 수축으로 인한 구조물의 이격 및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측판(120)에는 스프링클러 설치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수관 홈(125)을 통과하는 급수관으로부터 상기 스프링클러 설치홈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식재되는 식물에 급수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100)의 필터층(40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십자형 돌출부(113)의 교차부에는 배수구(115)와 배수 홈(117)을 커버하는 필터층(400)이 배치된다. 배수구(115)가 형성된 면과 십자형 돌출부(113)의 상부면 사이에는 일정한 깊이를 갖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상기 필터층(400)이 삽입 배치된다.
필터층(400)은 배수구(115)를 보호하는 덮개의 기능을 하며, 배수시에는 배수홈(117)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정화하는 필터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평상시에는 배수구(115)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공기유입기능을 수행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층(400)은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라믹을 포함한 필터층(400)을 이용하여 식물의 생장 실험을 한 결과, 세라믹의 음이온 발생으로 인해 식물의 생장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필터와 세라믹의 교차부분에 많은 음이온이 생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세라믹은 1000℃ 이상의 고온에서 구워내어 미세통기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뛰어난 보습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켜주는 작용도 한다.
필터층(400)의 상부면의 높이는 십자형 돌출부(113)의 상부면의 높이와 일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층(400)은 배수구(115)가 형성된 면으로부터 높이 10mm, 가로세로 36mmㅧ 36mm의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필터층(400)은 십자형 돌출부(113)의 상부면의 높이와 같게 삽입 배치된다. 필터층(400)의 상부에는 베이스(110)를 커버하는 보습층(820; 도 17참조)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습층은 미세한 입자로 된 그물망구조를 가지며, 토양의 입자를 차단하며 뿌리가 직접 물에 닿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보습층은 숯을 포함할 수 있으 며, 뿌리의 호흡 및 생장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102)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100)의 측판(120) 상부의 면적은 베이스(110)의 가장자리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측판(120) 상부의 내부면에는 단턱(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컨테이너들을 층층이 쌓아올릴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테이너들의 베이스들만을 제거하고, 컨테이너들의 측판 상부들(114, 116)을 층층이 쌓아올릴 수 있다.
이리하여, 원하는 높이로 컨테이너 내부에 식재토양 등을 채워 넣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100)는 내약품성 및 내한성이 우수하고 내충격성이 좋으며, 수명이 반영구적인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100)를 포함하는 인공지반녹화용 모듈(1000)의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7의 인공지반녹화용 모듈(1000)을 나타내는 측면도들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반녹화용 모듈(1000)은 복수의 컨테이너(100)들 및 격자형 프레임(5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컨테이너(100)는 도 1에서 설명한 컨테이너와 동일하거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또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인공지반녹화용 모듈(1000)은 베이스(110) 하부에 설치되어 베이스(110)를 지지하는 격자형 프레임(500)을 포함한다. 격자형 프레임(500)은 컨테이너를 인공지반 또는 방수층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킨다. 이리하여, 상기 컨테이너가 설치되는 인공지반이 울퉁불퉁하게 형성되어 있더라도 인공지반의 굴곡에 관계없이 상기 컨테이너를 지반에 평행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컨테이너(100)들이 격자형 프레임(500) 상에 접촉하여 배치될 때, 컨테이너의 측판 상부 및 이웃하는 컨테이너의 측판 상부에 결합 몰드(600, 700)가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웃하는 복수의 컨테이너들의 결합 부분에는 결합 몰드(600, 700)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웃하는 4개의 컨테이너가 결합되는 중심부분에 제1 결합 몰드(60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2개의 컨테이너가 결합하는 측판의 상부 일측벽 및 이에 이웃하는 일측벽에는 제2 결합 몰드(700)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 몰드(700)는 "ㄷ"자 단면 형상으로 결합되는 컨테이너의 상부 일변들을 커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 몰드(600) 및 제2 몰드(700)는 같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 몰드(600) 및 제2 결합 몰드(700)는 4개의 컨테이너가 결합되는 부분의 누수를 방지하고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결합 몰드(600, 700)는 컨테이너 간의 결합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하여 미세한 틈을 제거하여 시설 후 시간의 경과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구조의 틀어짐을 막아주며, 토양 재료 유출 방지 및 식물의 뿌리가 바닥의 방수층을 파괴하고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 다.
이하에서는, 격자형 프레임(5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도 7의 인공지반녹화용 모듈(1000)의 격자형 프레임(5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격자형 프레임(500)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3은 도 10의 격자형 프레임(5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0의 격자형 프레임(50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격자형 프레임(500)은, 일면에 형성되어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프레임 결합홈(510), 타면에 형성되어 배수관을 통과시키기 위한 배수관 결합홈(520) 및 일단부에 형성되어 베이스(110)를 지지하는 베이스 결합홈(530)을 포함한다.
프레임 결합홈(510)은 프레임 일면에 형성되어 프레임 서로를 결합시키고, 배수관 결합홈(520)은 프레임 타면에 형성되어 배수관을 지지하고 통과시킨다. 또한, 배수관 결합홈(520) 내부면에는 단턱들(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에 배수관이 배치되며, 상기 단턱들은 배수관을 더욱 견고히 지지하고, 배수관의 높이를 조절하여 배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베이스 결합홈(530)은 프레임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의 돌기 부분이 베이스 결합홈(530)에 결합되어 컨테이너들 간의 유격차이를 제거하고 고정시켜 상기 컨테이너를 지지한다.
또한, 격자형 프레임(500)에는 프레임 간 결합 시 서로를 고정시키는 홈(540)이 형성되고, 홈(540)에는 체결 수단이 체결되어 더욱 견고히 고정될 수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체결 수단은 결합핀 등이 사용되거나, 나사 결합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격자형 프레임(500)은 일면에 바퀴 결합용 홈(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퀴결합용 홈에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을 설치할 때 인공 지반의 구조와 위치에 따라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바퀴들을 장착할 수 있다.
또한, 구조물의 수리나 부분적인 보수를 할 때 용이하게 바퀴를 장착하여 상기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바퀴 결합용 홈은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의 하중에 따라, 중량형 결합을 위한 홈과 경량형 결합을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경량형 결합은 바퀴를 옆에서 밀어 넣어 홈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중량형 결합은 바퀴의 핀이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반녹화용 모듈(1001)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6a 및 도 16b는 도 15의 인공지반녹화용 모듈(1001)의 이격 부재(550)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5,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인공지반녹화용 모듈(1001)은 격자형 프레임(500)을 인공지반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 부재(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격 부재(550)는 제1 이격 부재(552)와 제2 이격 부재(55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격 부재(552)와 제2 이격 부재(556)는 서로 교차하여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이격 부재(552, 556)들은 각각 결합홈(554, 558)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이격 부재(552, 556)들은 결합홈(554, 558)에 서로 맞물려 결합한다.
이 때, 제1 및 제2 이격 부재(552, 556)들은 서로 교차하여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결합된다. 제1 및 제2 이격 부재(552, 556)들이 이루는 각도는 격자형 프레임(500)이 인공지반으로부터 이격되는 높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격 부재(552)와 제2 이격 부재(556)는 결합핀(56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격자형 프레임(500)은 인공지반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되어 장마철이나 강수량이 많은 경우에도 격자형 프레임(500) 상에 배치된 컨테이너(100)의 배수를 원활히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지 아니하는 구체적인 인공지반녹화 시공방법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7은 인공지반녹화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위적으로 식물이 살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위해 건물의 옥상이나 콘크리트 바닥과 같은 인공적인 지반(800) 상에 방수층(810)을 형성하고, 본 실시예의 격자형 프레임(500)을 위치시킨 후, 상기 격자형 프레임(500) 상에 배수관을 설치하고,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를 인접하는 다른 컨테이너와 서로 밀착 연결하여 상기 격자형 프레임(500)상에 설치한다. 식재 면적에 맞추어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컨테이너의 베이스 상부에 보습층(820)을 배치한다. 상기 보습층(820)은 상기 저수공간들(111) 및 상기 필터층(400) 상에 배치된다. 상기 보습층(820)은 미세한 입자로 된 그물망구조를 가지며, 토양의 입자를 차단하며 뿌리가 직접 물에 닿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보습 층(820)은 숯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과투수용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층(820) 상에 배수층(830)을 배치한다. 상기 배수층(830) 상에는 식재되는 식물에 적합한 제1 및 제2 식생층(840, 850)을 채워넣는다. 상기 제1 및 제2 식생층(840, 850) 상에 멀칭재(860)를 배치한다. 원하는 식물을 식재하고 충분히 관수한다.
본 고안은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급수와 배수를 균형적으로 유지하고 방수층 및 방근층 보호 기능을 수행 할 수 있으며 프레임을 이용하고 일체화된 구조를 구비하여 컨테이너 간의 이격과 뒤틀림을 방지하고 하중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어서 학교, 공공건물 등의 건축물 옥상의 녹화 사업을 촉진시킬 수 있는 등의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의 급수관 홈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의 필터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7의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을 나타내는 측면도들이다.
도 11은 도 7의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의 격자형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격자형 프레임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격자형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격자형 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도 15의 인공지반녹화용 모듈의 이격부재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7은 인공지반녹화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 110: 베이스
120: 측판 111: 저수공간
113: 십자형 돌출부 115: 배수구
117: 배수홈 119: 물높이 조정홈
121: 걸림부 125: 급수관 홈
300: 지지 몰드 400: 필터층
500: 격자형 프레임 510: 프레임 결합홈
520: 배수관 결합홈 530: 베이스 결합홈
550 : 이격 부재 600: 제1 결합 몰드
700: 제2 결합 몰드 800: 지반
810: 방수층 820: 보습층
830: 배수층 840, 850: 제1, 제2 식색층
860: 멀칭재 1000: 인공지반녹화용 모듈

Claims (17)

  1. 복수의 저수공간들을 정의하는 십자형 돌출부, 상기 십자형 돌출부의 교차부에 형성된 배수구, 및 상기 교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저수공간들과 상기 배수구를 연통시키는 배수홈을 갖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 상에 형성된 측판을 포함하는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 상기 저수공간들의 물높이를 조절하는 물높이 조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의 상부에는, 이웃하는 측판과 결합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판의 중앙에는, 상기 이웃하는 측판과 함께 급수관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급수관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 홈은 'ㄷ'자 단면 형상으로 상기 측판의 중앙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급수관 홈에 가늘고 긴 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에는 스프링클러 설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부에 상기 배수구와 상기 배수홈을 커버하는 필터층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층의 상부면의 높이는 상기 돌출부의 상부면의 높이와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층은 세라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 상에는 복수개의 컨테이너들의 측판들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
  10. 복수의 저수공간들을 정의하는 십자형 돌출부, 상기 십자형 돌출부의 교차부에 형성된 배수구 및 상기 교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저수공간들과 상기 배수구를 연통시키는 배수홈을 갖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 상에 형성된 측판을 포함하는 복수의 컨테이너; 및
    상기 베이스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는 격자형 프레임을 포함하는 인공지반녹화용 모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 프레임은 일면에 형성되어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프레임 결합홈, 타면에 형성되어 배수관을 통과시키기 위한 배수관 결합홈 및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는 베이스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반녹화용 모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 결합홈에는 복수의 단턱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반녹화용 모듈.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 프레임의 일면에 바퀴 결합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반녹화용 모듈.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의 중앙에 상기 이웃하는 측판과 함께 급수관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급수관 홈이 형성되고, 상기 급수관 홈에는 가늘고 긴 턱이 형성되어 상기 급수관 홈과 이웃하는 급수관 홈의 턱에 지지몰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반녹화용 모듈.
  15. 제 10 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복수의 컨테이너들의 결합 부분에는 결합 몰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반녹화용 모듈.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 프레임을 지지하고 상기 격자형 프레임을 인공지반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시키는 이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반녹화용 모듈.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부재는 서로 소정 각도로 교차하여 결합하는 제1 및 제2 이격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반녹화용 모듈.
KR2020070013587U 2007-08-16 2007-08-16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 및 이를 갖는 인공지반녹화용모듈 KR2009000162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587U KR20090001622U (ko) 2007-08-16 2007-08-16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 및 이를 갖는 인공지반녹화용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587U KR20090001622U (ko) 2007-08-16 2007-08-16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 및 이를 갖는 인공지반녹화용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622U true KR20090001622U (ko) 2009-02-19

Family

ID=41298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3587U KR20090001622U (ko) 2007-08-16 2007-08-16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 및 이를 갖는 인공지반녹화용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1622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076B1 (ko) * 2010-08-26 2011-06-03 유한회사 원탑종합건설 녹화조성을 위한 식생용 방수블록 시스템
KR101229871B1 (ko) * 2010-10-26 2013-02-05 대한민국 초본식물의 생육을 위한 다층적층형 조립식 식생 블록
KR20160101438A (ko) * 2015-02-17 2016-08-2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조립식 신발장 칸막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076B1 (ko) * 2010-08-26 2011-06-03 유한회사 원탑종합건설 녹화조성을 위한 식생용 방수블록 시스템
KR101229871B1 (ko) * 2010-10-26 2013-02-05 대한민국 초본식물의 생육을 위한 다층적층형 조립식 식생 블록
KR20160101438A (ko) * 2015-02-17 2016-08-2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조립식 신발장 칸막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3443Y2 (ja) 排水・保水装置
CN102171404B (zh) 具有组合式植物覆盖的屋顶
JP5172688B2 (ja) 屋上緑化システムにしようする複数の容器及び該容器を使用した屋上緑化システム
KR101164891B1 (ko) 조립식 화단
WO2012043809A1 (ja) 緑化駐車場、植栽ユニット保護材および緑化駐車場構成材ユニット
JPH06209655A (ja) 建築構造物の緑化用床構造
KR101132405B1 (ko) 녹지조성용 저배수 조립체
KR20090001622U (ko)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 및 이를 갖는 인공지반녹화용모듈
KR101996068B1 (ko) 잔디를 이용한 모듈형 옥상녹화 시스템의 판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형 옥상녹화 시스템
WO2011033463A1 (en) Modular floating roof- garden system
KR101638985B1 (ko) 조립식 식생모듈
KR101388151B1 (ko) 식생용 방근 및 방수 구조물과 그것의 시공방법
CN208235260U (zh) 一种透水铺装用蓄渗两用格
KR100430058B1 (ko)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CN216765464U (zh) 光电型透水铺面构造
CN113882212A (zh) 行道树根系树池结构及其施工工艺
JP2008019643A (ja) 勾配屋根用植栽パ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勾配屋根の緑化構造
KR200333879Y1 (ko)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KR100349557B1 (ko) 옥상녹화시스템의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JP4027165B2 (ja) 植栽設置構造
KR20090005754A (ko) 공간 잔디 블럭
JP3782728B2 (ja) 緑化屋根
CN213013769U (zh) 透水性排水沟
KR200231218Y1 (ko) 녹지조성용 배수판
JP2004344143A (ja) 屋上緑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