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879Y1 -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 Google Patents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879Y1
KR200333879Y1 KR20-2003-0025342U KR20030025342U KR200333879Y1 KR 200333879 Y1 KR200333879 Y1 KR 200333879Y1 KR 20030025342 U KR20030025342 U KR 20030025342U KR 200333879 Y1 KR200333879 Y1 KR 2003338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horizontal
fastening
lower bas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3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복 성 김
Original Assignee
복 성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복 성 김 filed Critical 복 성 김
Priority to KR20-2003-00253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8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8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8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1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on prefabricated supporting structures or prefabricated foundation elements except coverings made of layers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2Paving elements vertically inter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도나 주차장 등에 설치되는 복층구조형 투수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수블럭이 지면에 설치되는 하부베이스판과 상부덮개판으로 이루어진 복층구조형 투수블럭으로 지면과 블록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여 우천시 빗물의 투수가 원활하도록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형성된 공간에 잔디를 식재하여 보행로 및 공원산책로, 광장 등에 사용되도록 한 복층구조형 투수블럭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투수블럭이, 베이스판 상면으로 연장형성된 체결홀을 갖는 다수개의 돌출지지부가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바닥에는 배수구멍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 중 일측 가로 및 세로 방향에는 체결핀이 타측 가로 및 세로 방향에는 연결편이 형성되는 하부베이스판과; 상기 하부베이스판의 돌출지지부에 일치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돌출지지부에 형성된 체결홀에 결합되도록 상판 저면에 연장형성된 체결핀을 갖는 체결지지부가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다수개 배열되고, 상기 상판의 바닥에는 배수구멍이 형성되는 상부덮개판;이 한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구조형 투수블럭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복층구조형 투수블럭{multilayer type water sink into a block}
본 고안은 보도나 주차장 등에 설치되는 복층구조형 투수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수블럭이 지면에 설치되는 하부베이스판과 상부덮개판으로 이루어진 복층구조형 투수블럭으로 지면과 블록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여 우천시 빗물의 투수가 원활하도록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형성된 공간에잔디를 식재하여 보행로 및 공원산책로, 광장 등에 사용되도록 한 복층구조형 투수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도나 주창장 등의 노면위에 보도블럭이나 투수블럭 또는 투수콘을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노면에 설치되는 투수블럭 또는 투수콘은 시간(보통 기간이 1년 이내)이 지남에 따라 도심의 오염된 먼지가 상기 투수블럭 또는 투수콘의 투수공간을 매워 우천시 빗물의 투수(透水)가 지중으로 배수되는 것을 차단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생활 환경 개선책으로 생활주변을 녹화하기 위하여 보행로 및 공원산책호, 주차장, 광장 등에 잔디블럭을 이용 잔디를 식재하게된다.
그러나, 종래의 잔디블럭은 사람이나 차량 통행이 많은 경우 답압을 방지하여 잔디를 보호 할 방법이 없어 뿌리가 직접 짚밟혀 잔디가 죽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투수블럭을 하부베이스판과 상부덮개판으로된 복층구조형 투수블록으로 지면과 블록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빗물의 투수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지면과 블록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필요에 따라 잔디를 식재하여 보행로 및 공원산책로, 잔디 생태주차장 및 다목적 잔디광장 등에 설치하여 우천시 우수의 급증으로 인한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고, 토양의 오염 등을 방지함과 동시에 잔디의 답압방지에 의한 잔디의 훼손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결합을 위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투수블럭을 이루는 하부베이스판의 평면을 나타낸 평면사시도
도 3은 도 2의 투수블럭을 이루는 하부베이스판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투수블럭을 이루는 하부베이스판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투수블럭을 이루는 상부덮개판의 평면을 나타낸 평면사시도
도 6은 도 5의 투수블럭을 이루는 상부덮개판을 나타낸 평면도
도 7는 본 고안의 투수블럭을 이루는 상부덮개판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8은 도 7의 투수블럭을 이루는 상부덮개판을 나타낸 저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투수블럭 설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평면상태의 결합상태도
도 10은 도 9의 A - 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투수블럭 300:하부베이스판
301:베이스판 303:돌출지지부
303a:체결홀 301a:배수구멍
301b:고정핀 301d:밀림방지턱
500:상부덮개판 501:상판
503:체결지지부 503a:체결핀
700:공간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투수블럭이, 베이스판 상면으로 연장형성된 체결홀을 갖는 다수개의 돌출지지부가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바닥에는 배수구멍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 중 일측 가로 및 세로 방향에는 체결핀이, 타측 가로 및 세로 방향에는 연결편이 형성되는 하부베이스판과; 상기 하판베이스의 돌출지지부에 일치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돌출지지부에 형성된 체결홀에 결합되도록 상판 저면에 연장형성된 체결핀을 갖는 체결지지부가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다수개 배열되고, 상기 상판의 바닥에는 배수구멍이 형성되는 상부덮개판;이 한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구조형 투수블럭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10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결합을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투수블럭을 이루는 하부베이스판의 평면을 나타낸 평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투수블럭을 이루는 하부베이스판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투수블럭을 이루는 하부베이스판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의 투수블럭을 이루는 상부덮개판의 평면을 나타낸 평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투수블럭을 이루는 상부덮개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7는 본 고안의 투수블럭을 이루는 상부덮개판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한편, 도 8은 도 7의 투수블럭을 이루는 상부덮개판을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투수블럭 설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평면상태의 결합상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A - A선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복층구조로 된 투수블럭(100)은 하부베이스판(300)와 상부덮개판(50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베이스판(300)는 베이스판(301) 상면으로 연장형성된 체결홀(303a)을 갖는 다수개의 돌출지지부(303)가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격자무늬형태로 배열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301)의 바닥에는 관통된 배수구멍(301a)이 넓은 형태로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판(301)의 가장자리 중 일측 가로 및 세로 방향에는 고정핀(301b)이 각각 형성되고, 타측 가로 및 세로 방향에는 연결편(301c)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하부베이스판(300)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베이스판(300)의 돌출지지부(303)에 일치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돌출지지부(303)에 형성된 체결홀(303a)에 결합되도록 상판(501) 저면으로 연장형성된 체결핀(503a)을 갖는 체결지지부(503)가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다수개 배열되고, 상기 상판(501)의 바닥에는 배수구멍(501a)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덮개판(500)을 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베이스판(300)의 돌출지지부(303)들에 상기 상부덮개판(500)의 체결지지부(503)들이 일치되게 결합시켜 한조로 구성할 경우 상기 하부베이스판(300)과 상기 상부덮개판(500) 사이에 전체적으로 상기 공간부(70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부베이스판(300)를 이루는 상기 베이스판(301) 저면에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지면으로부터 밀리지 않도록 다수개의 밀림방지턱(301d)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덮개판(500)의 상판(501) 윗면은 요철(凹凸)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판(501)은 단차를 갖는 가로, 세로, 대각선 방향의 리브(505)에 의해 배수구멍(501a)이 형성되고 상기 리브는 요철(凹凸)형태를 이룬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보행로나 주차장 등의 노면위에 본 고안인 투수블럭(100)이 종과 횡방향으로 설치되되, 우선 상기 하부베이스판(300)이 노면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베이스판(300)를 기준으로 양측과 좌우측으로 동일형상을 갖는 또 다른 상기 하부베이스판(300)이 설치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베이스판(300)에 형성된 연결편(301c) 및 고정핀(301b)에는 상기 하부베이스판(300)와 동일형상을 갖는 또 다른 상기 하부베이스판(300)이 연결되되, 상기 하부베이스판(300)의 양측 중 연결편(301c)이 위치한 쪽에는 고정핀(301b)이 위치한 상기 하부베이스판(300)를 연결시키고, 상기 고정핀(301b)이 위치한 쪽에는 연결편(301c)이 위치한 상기 하부베이스판(300)를 연결시켜 결합시므로서 종과 행방향으로 상기 하부베이스판(300)와 하부베이스판(300)간의 결합이 연속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베이스판(300)의 코너부에는 고정핀홀(307)이 형성되어 필로할 경우 상기 고정핀홀(307)에 고정핀을 고정시켜 상기 하부베이스판(300)를 노면에 고정시키게 되며, 또 상기 하부베이스판(300)를 이루는 상기 베이스판(301) 저면에 형성된 밀림방지턱(301d)은 노면에 접촉되어 상기 하부베이스판(300)이 지면에서 밀리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베이스판(300)에 결합되는 상기 상부덮개판(5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베이스판(300)로부터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데, 이는 상기 돌출지지부(303)의 체결홀(303a)에 상기 체결지지부(503)의 체결핀(503a)이 결합되어 상기 하부베이스판(300)와 상기 상부덮개판(500)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며, 그 내부는 상기 공간부(700)가 만들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돌출지지부(303)에 형성된 체결홀(303a)은 평면상 십자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체결홀(303a)에 결합되는 상기 체결지지부(503)의 체결핀(503a) 또한 상기 체결홀(303a)에 맞게 십자형태로 형성되어 결합된다.
한편, 상기 공간부(700)에 상기 잔디(G)를 식재할 경우 상기 공간부(700)에 토양을 채우고 잔디를 식재한다.
또한, 상기 상부덮개판(500)에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체결지지부(503)는 상기 상판(501)으로부터 돌출된 높이(h)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상기 공간부(700)에 식재된 잔디(G)가 토양의 지면위에서 포복경(기는 줄기)이 옆으로 퍼지면서 뿌리를 내려 잔디가 옆으로 퍼질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물이나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상부덮개판(500)의 상판(501) 윗면은 요철(凹凸)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이는 보행인이나 차량이 상기 상판 윗면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상부덮개판(500)의 배수구멍(501a)을 통해 삐져나온 잔디(G)잎이 밟혀 끊어지거나 상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하부베이스판(300)과 상기 상부덮개판(500)을 결합시켜서 된 본 고안의 복층구조형 투수블럭(100)은 보도나 주차장 등에 설치하여 우천시 빗물의 투수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지중으로 우수를 자연스럽게 유입시켜 지하수자원을 확보 하거나, 우수의 급증으로 인한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게 될 뿐만 아니라 지면과 블록사이에 형성된 상기 공간부(700)에 필요에 따라 잔디를 식재하여 보행로 및 공원 산책로, 주차장, 광장 등에 설치하여 생활주변을 녹화하게된다.
한편, 본 고안의 복층구조형의 투수블럭(100)은 반드시 상기한 조립순서에 의해 조립되어야 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며,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여러가지 형태로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복층구조의 투수블럭은 우천시 빗물의 투수로 지하수자원을 확보하고, 답압방지로 잔디를 보호하여 녹지공간을 확충하는 기능적 효과가 있다.
둘째, 복층구조의 투수블럭은 복사열을 완화시켜 대기 온도를 조절하고 우천시 빗물의 투수로 지하수 고갈을 방지하며 토양오염을 방지하고 토양생물의 생활환경을 유지하며, 도시미관을 향상하는 등 도시 환경 보호 및 개선 효과가 있다.
셋째, 복층구조의 투수블럭은 수자원의 지하투수에 의한 하천 범람을 방지하고 수자원 함양으로 하천수계를 조절 하는 등 자연 재해 예방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투수블럭이,
    베이스판 상면으로 연장형성된 체결홀을 갖는 다수개의 돌출지지부가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바닥에는 배수구멍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 중 일측 가로 및 세로 방향에는 체결핀이, 타측 가로 및 세로 방향에는 연결편이 형성되는 하부베이스판과;
    상기 하부베이스판의 돌출지지부에 일치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돌출지지부에 형성된 체결홀에 결합되도록 상판 저면에 연장형성된 체결핀을 갖는 체결지지부가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다수개 배열되고, 상기 상판의 바닥에는 배수구멍이 형성되는 상부덮개판;이 한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베이스판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 돌출지지부에 상기 상부덮개판에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배열된 체결지지부를 일치되게 결합시켜 한조로 구성되되, 상기 하부베이스판과 상기 상부덮개판 사이에 전체적으로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단차를 갖는 가로, 세로, 대각선 방향의 리브에 의해 배수구멍이 형성되는 상기 리브가 요철(凹凸)형태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지지부의 체결홀에 결합되도록 상기 상부덮게판의 상판 저면에 체결핀을 갖는 상기 체결지지부가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KR20-2003-0025342U 2003-08-06 2003-08-06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KR2003338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342U KR200333879Y1 (ko) 2003-08-06 2003-08-06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342U KR200333879Y1 (ko) 2003-08-06 2003-08-06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4361A Division KR100430058B1 (ko) 2003-08-06 2003-08-06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879Y1 true KR200333879Y1 (ko) 2003-11-19

Family

ID=49340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342U KR200333879Y1 (ko) 2003-08-06 2003-08-06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87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152B1 (ko) 2007-11-29 2009-01-23 김도환 공간 잔디블럭
KR100952997B1 (ko) * 2009-01-12 2010-04-16 신강하이텍(주) 생태 확장형 주차장 포장용 단위 구조체
KR101265718B1 (ko) * 2010-05-18 2013-05-20 문종철 잔디보호판 및 잔디블록
KR101783950B1 (ko) * 2017-02-24 2017-10-10 주식회사 금룡 잔디 식재용 배수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978973B1 (ko) * 2018-10-10 2019-05-15 주식회사 한길알엠비 인조잔디 시공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152B1 (ko) 2007-11-29 2009-01-23 김도환 공간 잔디블럭
KR100952997B1 (ko) * 2009-01-12 2010-04-16 신강하이텍(주) 생태 확장형 주차장 포장용 단위 구조체
KR101265718B1 (ko) * 2010-05-18 2013-05-20 문종철 잔디보호판 및 잔디블록
KR101783950B1 (ko) * 2017-02-24 2017-10-10 주식회사 금룡 잔디 식재용 배수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978973B1 (ko) * 2018-10-10 2019-05-15 주식회사 한길알엠비 인조잔디 시공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71035T3 (es) Conducto de desague con una cubierta.
JP4818239B2 (ja) 舗装道路の構造
KR100430058B1 (ko)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KR200333879Y1 (ko)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KR101865231B1 (ko) 침하가 쉽게 되지 않고 우수 저장 공간이 구비된 블록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저장된 우수 유실 방지 시공법
KR100776705B1 (ko) 가로수 및 산책로 주변 녹도 조성용 인조잔디의 고정장치및 그의 시공방법
KR101176836B1 (ko) 보도블록 시공용 받침판
KR100699464B1 (ko)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KR200262800Y1 (ko) 투수성 보도블록
KR100917382B1 (ko) 공간 잔디 블럭
KR100880152B1 (ko) 공간 잔디블럭
CN216765464U (zh) 光电型透水铺面构造
KR200441098Y1 (ko) 보도블록
KR102190616B1 (ko) 인조잔디용 배수판
KR20070038377A (ko) 투수용 배수블럭
KR200370304Y1 (ko) 미끄럼 방지용 돌기가 형성된 투수성 보도블록
JP2005097858A (ja) 排水ブロックとこれを用いた舗装構造
TWI721329B (zh) 網連式排水鋪面裝置
KR100619528B1 (ko) 건축단지용 조립식화단
KR200403790Y1 (ko)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KR20090001622U (ko)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 및 이를 갖는 인공지반녹화용모듈
KR200418592Y1 (ko) 잔디보호용 블록
KR200430137Y1 (ko) 잔디보도블럭
KR101064535B1 (ko) 잔디보호블록
KR100353011B1 (ko) 우수침투기능을 갖는 ㄴ형 측구용 블럭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