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790Y1 -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 Google Patents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790Y1
KR200403790Y1 KR20-2005-0026867U KR20050026867U KR200403790Y1 KR 200403790 Y1 KR200403790 Y1 KR 200403790Y1 KR 20050026867 U KR20050026867 U KR 20050026867U KR 200403790 Y1 KR200403790 Y1 KR 2004037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ermeable
lower fixing
space
lay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68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환
Original Assignee
김도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환 filed Critical 김도환
Priority to KR20-2005-00268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7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7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7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1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on prefabricated supporting structures or prefabricated foundation elements except coverings made of layers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2Paving elements vertically inter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Abstract

본 고안은 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복층구조의 투수블럭을 구비하여 우천시, 투수형 블럭으로 유입된 빗물이 투수공간을 통해 지면으로 스며들도록 한 복층구조형 투수블럭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중앙에 투수공간부가 형성되는 다각형 틀 형태의 하부고정블럭과; 보행자가 디딜 수 있는 디딤면 및 상기 하부고정블럭의 투수공간부와 연통되는 빗물의 상부배수로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고정블럭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블럭과; 그리고 상기 하부고정블럭에 안착된 상부블럭의 위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구조형 투수블럭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복층구조형 투수블럭{Multilayer type water sink into a block}
본 고안은 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블럭으로 유입된 빗물이 투수공간을 통해 지면으로 스며들도록 한 복층구조형 투수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도와 구분되는 보도 및 공원, 광장 등에 설치되는 종래의 보도블럭이나 투수콘은 보도 및 공원, 광장 등에 설치시, 빗물의 투수가 거의 이루어 지지않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보도블럭 및 투수콘의 경우 설치후 얼마 지나지 않아 먼지나 흙등의 이물질로 인해 의해 투수공간이 쉽게 막혀 투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복층구조의 투수블럭을 구비하여 우천시, 투수블럭으로 유입된 빗물이 투수공간을 통해 지면으로 쉽게 스며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은 투수블럭 사이로 잔디 등의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하여 투수형 보도블록으로서의 기능과 더불어 녹지 공간을 넓힐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쾌적한 보행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중앙에 투수공간부가 형성되는 다각형 틀 형태의 하부고정블럭과; 보행자가 디딜 수 있는 디딤면 및 상기 하부고정블럭의 투수공간부와 연통되는 빗물의 상부배수로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고정블럭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블럭과; 그리고 상기 하부고정블럭에 안착된 상부블럭의 위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구조형 투수블럭이 제공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중앙에 투수공간부가 형성되는 다각형 틀 형태의 하부고정블럭들과; 보행자가 디딜 수 있는 디딤면과 상기 하부고정블럭의 투수공간부와 연통되는 빗물의 상부배수로입구 및, 발판용 그릴이 걸져지도록 하는 그릴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고정블럭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블럭들과; 상기 하부고정블럭에 안착된 상부블럭의 위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상부블럭들의 그릴걸침부에 걸쳐져 고정되며, 다수개로 천공된 통공을 갖는 발판용 그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구조형 투수블럭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투수블럭을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투수블럭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투수블럭이 조립됨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Ⅰ - Ⅰ선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의 Ⅱ - Ⅱ선을 나타낸 것으로서, 하부고정블럭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4의 Ⅲ - Ⅲ선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부블럭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7의 B부를 나타낸 확대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복층구조형 투수블럭을 나타낸 것으로, 하부고정블럭에 상부블럭이 설치됨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Ⅳ - Ⅳ선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부블럭의 결합부가 하부고정블럭의 고정부에 결합됨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체프로파일의 단면형상이 사각형태를 이루며, 일정한 높이를 갖는 하판고정블록(30)의 모서리부분에 하부장착면(31)이 돌출되게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장착면(31)이 각각 형성된 모서리부분 및 그 모서리부분을 연결하는 테두리(33)부분을 제외한 중앙에는 관통된 투수공간부(35)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고정블럭(30)의 모서리부분 각각에 형성된 상기 하부장착면(31)에는 결합부(31a)가 단면형상이 직각이 되게 각각 형성된다.
또한, 면과 면이 만나 직각을 이루는 상기 하부고정블럭(30)의 모서리부분 중 4개의 면을 이루는 그 양측끝면에 단면형상이 물결형상을 갖는 연결부(37)가 대칭되게 수직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부고정블럭(30)의 하부장착면(31)에 각각 대응되게 전체프로파일의 단면형상이 사각형태를 이루며, 일정한 높이를 갖는 상부블럭(50)의 모서리부분에 상부장착면(51)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장착면(51)과 상부장착면(51) 사이에는 빗물의 상부배수로유입구(53)가 아치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장착면(51)이 형성된 모서리부분을 제외한 중앙에는 상기 상부배수로입구(53)와 연결되는 상부배수공간부(55)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고정블럭(30)의 결합부(31a)에 고정되도록 사각형태의 고정부(51a)가 상기 상부장착면(51)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고정블럭(50)의 모서리부분에 각각 위치하며, 일정한 넓이와 길이를 갖도록 간격유지용 돌출부(57)가 측면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면과 면이 만나 직각을 이루는 상기 상부블럭(50)의 모서리부분 중 4개의 면을 이루는 그 양측 끝면에 단면형상이 물결형상을 갖는 간격유지용 돌출부(57)가 대칭되게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많은 사람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보도 및 공원, 광장 등에 본 고안인 투수블럭(10)이 설치된다.
즉, 보도 및 공원, 광장 등이 조성되는 그 지면 위에 본 고안의 투수블럭(10) 중 상기 하부고정블럭(30)들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하부고정블럭(30)들의 모서리부분에 각각 형성된 연결부(37)들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37)들간의 맞물림으로 상기 하부고정블럭(30)들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하부고정블럭(30)들이 상기와 같은 설치과정을 통해 지면 위에 설치되면, 상기 하부고정블럭(30)들의 투수공간부(35)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으로 도시된 일반적인 흙을 지면 위로부터 L1의 높이까지 채워넣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고정블럭(30)들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블럭(50)이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설치된다.
즉, 상기 상부블럭(50)의 고정부(51a)가 상기 하부고정블럭(30)들에 형성된 결합부(31a)에 각각 고정됨으로서, 상기 하부고정블럭(30)의 상부에 상기 상부블럭(50)들이 결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블럭(50)들의 모서리부분에 형성된 간격유지용 돌출부(57)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물려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간격유지용 돌출부(57)의 두께에 의해 상기 상부블럭(50)과 상부블럭(50)들 사이에 빗물이 배수될 수 있는 간격폭(W1)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고정블럭(30)과 상기 상부블럭(50)이 결합되어 한 조를 이루는 본 고안의 투수블럭(10)은 상기와 같은 설치방법을 통해 보도 및 공원, 광장 등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즉, 빗물이 보도 및 공원, 광장 등에 설치된 본 고안의 투수블럭(10)에 유입될 경우, 빗물은 도 9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상기 상부블럭(50)과 상부블럭(50)들 사이에 만들어진 유입공간(S)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유입공간(S)으로 유입된 빗물은 도 4에 도시된 화살표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흙이 채워진 상기 투수공간부(35)를 통해 지면으로 스며들게 된다.
즉, 하부고정블럭(30)들과 상부블럭(50)들이 한 조를 이루어 지면 위에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설치된 투수블럭(10)에 빗물의 유입은 도 7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상기 상부블럭(50)과 상부블럭(50)들의 사이에 만들어진 유입공간(S)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유입공간(S)을 통해 유입된 빗물은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여러 방향에 위치한 상기 상부배수로입구(53)를 통해 배수가 잘 되는 방향쪽으로 골고루 분포되어 상기 투수공간부(35)들을 통해 지면으로 스며들게 된다.
예컨대, 상기 상부배수공간부(55)들을 걸쳐 배수되는 빗물은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흙이 채워진 상기 투수공간부(35)를 통해 지면으로 스며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고정블럭(30)들의 모서리부분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고정블럭(30)들에 형성된 연결부들이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기 하부고정블럭(30)이 안정되게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블럭(50)들의 모서리부분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블럭(50)들에 형성된 간격유지용 돌출부(57)가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기 상부블럭(50)들이 안정되게 고정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따른 설치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발판용 그릴이 추가되어 설치되는 예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설치상태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Ⅴ - Ⅴ선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상부블럭(50)의 상면에는 디딤면(58)이 상부블럭(50)의 단면적 보다 작은 면적을 갖도록 단면이 사각형태를 이루도록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상기 상부블럭(50)들의 상면에 상기 상부블럭(50)들의 단면적 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상기 디딤면(58)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블럭(50)들의 가장자리에 단턱지게 형성된 그릴걸침부(56)에 다수개로 천공된 통공(71)을 갖는 발판용 그릴(70)이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발판용 그릴(70)의 전체 프로파일 단면형상은 십자형상 또는 직사각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발판용 그릴(70)의 두께는 상기 상부블럭(50)들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상기 디딤면(58)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또 다른 투수블럭(10)은 다음과 같이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십자형의 발판용 그릴(70)을 설치할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함을 전제한다.
즉, 보도 및 공원, 광장 등이 조성되는 그 지면 위에 상기 하부고정블럭(30)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게 지면 위에 설치하게 되되, 하부고정블럭(30) 위에 상부블럭(50)을 한칸 혹은 몇 칸씩 뛰어 결합하여 발판용 그릴(70)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즉, 발판용 그릴(70)이 설치되는 해당 영역에는 상부보도블록은 설치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블럭(50)들의 그릴걸침부(56)에는 상기 발판용 그릴이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용 그릴(70)의 가장자리부분이 얹혀져 설치됨으로서 전체의 블럭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즉, 빗물이 보도 및 공원, 광장 등에 설치된 투수블럭(10)에 유입될 경우, 빗물은 도 14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상기 상부블럭(50)들의 그릴걸침부(56)에 설치된 상기 발판용 그릴(70)들의 통공(71)을 통해 배수되며, 배수된 빗물은 다시 흙이 채워진 상기 투수공간부(35)를 통해 지면으로 스며들게 된다.
한편, 상기 투수공간부(35)에 흙이 채워진 상기 하부고정블럭(30)들에는 보도 및 공원, 광장 등의 녹지 확보를 위해 잔디 등의 식물을 심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복층구조형 투수블럭(10)은 반드시 상기한 조립순서에 의해 설치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며,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하부고정블럭(30) 및 상부블럭(50)의 형상을 사각형이 아닌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고안의 투수블럭(10)은 하부고정블럭(30)과 상부블럭(50)이 결합된 복층구조로 그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통해 빗물이 잘 투수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고안의 투수블럭(10)은 보행자가 디디는 면에 빗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고안의 투수블럭(10)은 빗물이 지면으로 잘 스며들게 함으로서 지하수를 확보하고, 폭우시 빗물이 하천으로 일시에 배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고안의 투수블럭(10)은 지표면 가까이에 확보된 지하수로부터 수분증발이 상기 투수블럭(10)을 통해 원활하게 발생되도록 함으로서, 도심의 온도상승 즉, 열대야 현상 등을 막게 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고안의 투수블럭(10)은 지면에 수분과 공기가 원활하게 상기 투수블럭(10)의 공간부를 통해 공급되어 토양에 생명력을 불어넣어 줌으로서 미생물 등의 번식이 잘 이루어져 식물성장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본 고안의 투수블럭(10)은 상부블럭(50)의 그릴걸침부(56)에 설치된 발판용 그릴(70)을 통해 보행자들은 맨땅의 기운을 받게되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본 고안의 투수블럭(10)은 흙이 채워진 상기 하부고정블럭(30) 위에 잔디를 심을 경우 보도 및 공원, 광장 등에 녹지공간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투수블럭을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투수블럭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투수블럭이 조립됨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도 3의 Ⅰ - Ⅰ선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Ⅱ - Ⅱ선을 나타낸 것으로서, 하부고정블럭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6은 도 5의 A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7은 도 4의 Ⅲ - Ⅲ선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부블럭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8은 도 7의 B부를 나타낸 확대된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복층구조형 투수블럭을 나타낸 것으로, 하부고정블럭에 상부블럭이 설치됨을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도 9의 Ⅳ - Ⅳ선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부블럭의 고정부가 하부고정블럭의 결합부에 결합됨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따른 설치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발판용 그릴이 추가되어 설치되는 예시도
도 13은 도 12의 설치상태에 따른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Ⅴ - Ⅴ선을 나타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투수블럭 30:하부고정블럭
31:하부장착면 31a:결합부
33:테두리 35:투수공간부
37:연결부 50:상부블럭
51:상부장착면 51a:고정부
53:상부배수로입구 55:상부배수공간부
57:간격유지용 돌출부 59:바닥면
56:그릴걸침부 58:디딤면
70:발판용 그릴 71:통공
S:유입공간

Claims (5)

  1. 중앙에 투수공간부(35)가 형성되는 다각형 틀 형태의 하부고정블럭(30)과;
    보행자가 디딜 수 있는 디딤면 및 상기 하부고정블럭의 투수공간부와 연통되는 빗물의 상부배수로입구(53)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고정블럭(30)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블럭(50)과; 그리고
    상기 하부고정블럭(30)에 안착된 상부블럭(50)의 위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으로서는
    상기 하부고정블럭(30)의 모서리부분 각각에 형성된 상기 하부장착면(31)에는 단면형상이 직각이 되게 각각 형성되는 결합부(31a)와,
    상기 하부고정블럭(30)의 결합부(31a)에 고정되도록 상기 상부장착면(51)에 돌출되게 각각 형성되는 고정부(51a)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블럭(30)과 상부블럭(50) 중 상기 하부고정블럭(30)은 면과 면이 만나 직각을 이루는 모서리부분에 연결부(37)가 각각 형성되되, 모서리부분을 이루는 면의 양측면에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블럭(50)은 면과 면이 만나 직각을 이루는 모서리부분에 빗물의 유입공간(S)을 형성하는 일정한 넓이와 길이를 갖는 간격유지용 돌출부(57)가 돌출되게 각각 형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7)와 간격유지용 돌출부(57)는 단면형상이 물결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블럭(50)의 상부측 디딤면은 상부블럭(50)의 전체 면적 보다 작은 면적을 갖도록 하여 그릴걸침부(5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KR20-2005-0026867U 2005-09-16 2005-09-16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KR2004037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867U KR200403790Y1 (ko) 2005-09-16 2005-09-16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867U KR200403790Y1 (ko) 2005-09-16 2005-09-16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7136A Division KR100699464B1 (ko) 2005-09-16 2005-09-16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790Y1 true KR200403790Y1 (ko) 2005-12-14

Family

ID=43704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867U KR200403790Y1 (ko) 2005-09-16 2005-09-16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79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236B1 (ko) 2007-12-28 2008-10-17 김도환 공간 투수블럭
KR101027006B1 (ko) * 2010-04-20 2011-04-11 정영희 투수블록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236B1 (ko) 2007-12-28 2008-10-17 김도환 공간 투수블럭
KR101027006B1 (ko) * 2010-04-20 2011-04-11 정영희 투수블록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9464B1 (ko)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KR102314601B1 (ko) 투명 홍수 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03790Y1 (ko)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KR101231146B1 (ko) 방초 보도블럭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30058B1 (ko)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KR200262800Y1 (ko) 투수성 보도블록
KR100712404B1 (ko) 보도블록 시공 보조장치
KR200333879Y1 (ko)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KR20070038377A (ko) 투수용 배수블럭
JP2690204B2 (ja) 人工地盤および人工地盤の通排水層構成用ブロック部材
KR100619528B1 (ko) 건축단지용 조립식화단
KR200322645Y1 (ko) 압연 강재 그레이팅
KR200370304Y1 (ko) 미끄럼 방지용 돌기가 형성된 투수성 보도블록
KR20090001622U (ko) 인공지반녹화용 컨테이너 및 이를 갖는 인공지반녹화용모듈
KR200385501Y1 (ko) 잔디블럭
KR200220851Y1 (ko) 측면 배수공을 가진 조경용 배수판
KR100673909B1 (ko) 공원용 합성수지재 보행블록
KR200231218Y1 (ko) 녹지조성용 배수판
JP2010180558A (ja) グレーチング
KR100593196B1 (ko) 도로 경사면의 잔디 식생 블록
FR2721626A1 (fr) Structure alvéolaire de protection de gazon.
KR200283005Y1 (ko) 도로 비탈면의 유실방지용 합성골판 콘크리트블록 구조
KR20070033504A (ko) 보도블록 시공 보조장치 및 시공방법
KR200268824Y1 (ko) 식생블록
KR200376258Y1 (ko) 태극형 식생 호안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