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824Y1 - 식생블록 - Google Patents

식생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824Y1
KR200268824Y1 KR2020010037450U KR20010037450U KR200268824Y1 KR 200268824 Y1 KR200268824 Y1 KR 200268824Y1 KR 2020010037450 U KR2020010037450 U KR 2020010037450U KR 20010037450 U KR20010037450 U KR 20010037450U KR 200268824 Y1 KR200268824 Y1 KR 2002688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block
coupling
drainage
bloc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4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은
Original Assignee
이상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은 filed Critical 이상은
Priority to KR20200100374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8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8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824Y1/ko

Links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의 호안 및 절토, 성토부의 경사면에 시공되는 식생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블록간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좌우 양측에 결합돌기와 결합요홈이 서로 맞물리는 측면결합과 이 측면결합이 이루어질 때 하측에 좌우 결합단턱이 서로 만나서 형성되는 공간에 상측의 상부돌기가 결합되는 상하결합으로 이루어지며, 블록 내부에 상하로 관통되며 좌, 우측으로 서로 엊갈리며 상, 하로 배치되는 식생공을 형성하여 경사면에 고르게 식물을 식재하여 자라게 하므로 하천 및 절토, 성토 경사면의 녹화를 조성하고, 이 식생공들을 연결하는 배수로가 구비되어 우천시 표면수의 흐름을 부분 흡수 및 배수를 유도하여 경사면의 보호와 식물생육에 효과적인 블록으로 식생을 통한 주변 환경개선과 자연생태계 보존에 기여할 수 있는 식생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식생블록 { Vegetation block }
본 고안은 하천의 호안 및 절토, 성토부의 경사면에 시공되는 식생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블록간의 상호 결합력을 높이고, 식재공에 식물을 식재하여 경사면의 녹화를 조성하며, 식생공들을 연결하는 배수로를 구비하여 우천시 표면에 흐르는 물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지표면에 부분 흡수 및 배수가 되도록 한 구조의 식생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안블록은 하천호안의 토사유실이나 하천수에 의한 침식, 붕괴등의 피해를 방지하고자 시공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블록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경사면의 전체를 피복하여 시공되어져 지표면의 전체가 차단되어 식물이 자랄 수 없게 하며, 단조로운 외관과 우천시 빗물의 표면 침투를 막아서 바로 흘러내리도록 하므로 하천의 유량을 증가시켜 하천의 범람을 초래하기도 한다.
또한, 콘크리트블록의 피복으로 식물이 자랄 수 없게 하여 하천변의 식생이 이루어지지 않아 식물종의 감소와 어류, 조류, 수서곤충등 하천변에 서식하는 동, 식물들의 서식기반을 훼손시켜 생태계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블록간의 맞물림에 의한 측면결합과 상하 지그재그로 얹혀져 블록의 하중이 분산되는 상하결합으로 안정된 블록 조립체를 구성하도록 하고, 블록 내부에 상하로 관통되며, 좌, 우측으로 엊갈리며 상, 하로 형성된 식생공을 구비하여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식생공간을 조성하도록 하고, 이 식생공들을 연결하는 배수로를 형성하여 우천시 경사면에 흐르는 물이 지표면에 부분 침투 및 배수작용을 유도하도록 하여 표면수의 효과적인 분산처리로 경사면의 안정된 보호와 식물생육에 필요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의 블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식생블록의 전체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식생블록의 조립평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식생블록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블록몸체 2a, 2b. 2c 식생공
3. 좌측결합돌기 4. 우측결합돌기
5. 좌측결합요홈 6. 우측결합요홈
7. 상부돌기 8. 우측 모따기면
9. 좌측 모따기면 10. 좌측결합단턱
11. 우측결합단턱 12. 배수로
13. 경사면 14. 식물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식생블록은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체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블록몸체(1)의 좌우 양측에 결합돌기(3,4)와 결합요홈(5,6)을 형성하여 인접되는 블록의 좌, 우측이 서로 맞물리는 측면결합이 이루어지고, 상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상부돌기(7)와 하측의 좌우 양측에 결합단턱(10,11)이 형성되어 상하결합이 되는 상, 하, 좌, 우면의 맞물림으로 조립되도록 한 것이며,
상기 블록(1)의 상측 좌, 우측의 모서리부분을 모따디처리한 좌, 우측 모따기면(8.9)과 블록몸체(1) 내부에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식생공(2a,2b)이 좌, 우측으로 엊갈리며 상, 하로 배치되도록 하며, 이 식생공(2a,2b)이 서로 연결되도록 요홈으로 형성되는 배수로(12)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과 같은 블록몸체(1)를 상, 하, 좌, 우로 결합하여 경사면(13)에 설치되도록 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으로 조립체를 구성할 때 좌, 우측 결합돌기(3,4)와 결합요홈(5,6)이 서로 맞물려 측면결합이 이루어지고, 블록몸체(1) 하단의 좌, 우측 결합단턱(10,11)이 만나서 홈이 형성되고, 이 홈이 블록몸체(1) 상측에 위치한 상부돌기(7) 위로 얹혀지는 상하 결합으로 블록간의 결합력을 높여 이탈을 방지하고, 블록의 상하간 조립이 지그재그 형태로 조립되어 블록의 하중을 분산시키므로 경사면(13)에 조립되는 블록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식생블록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블록몸체(1) 내부에 상하로 관통되며 좌, 우측으로 서로 엊갈리며 상, 하로 형성된 식재공(2a,2b)은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경사면(13)에 식재공간을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여, 그 공간에 식물(14)을 식재하여 식생을 통한 경사면의 녹화와 식물이 자라면서 경사면(13)에 뿌리를 내려 블록몸체(1)를 고정시켜 경사면(13) 전체를 보호하는 역활을 하게 되고, 경사면(13)의 녹화를 통한 주변환경 개선과 동, 식물들의 서식처를 제공하여 생태계를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식생공(2a,2b)을 연결하는 배수로(12)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식생공(2a,2b)들이 연결되도록 요홈으로 형성되어, 우천시 경사면(13)에 흐르는 표면수를 분산시켜 식생공(2a,2b)을 통해 지표면으로 부분 흡수시키고 월류되는 물은 배수로(12)를 타고 좌, 우측 하방향에 위치한 식생공(2a,2b)으로 흐르도록 하여 블록의 조립체 하단부로 연결되도록 유도하므로 표면수의 흐름에 의한 세굴발생을 방지하며, 식물생육에 필요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적인 표면수의 분산처리로 하천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줄여 하천의 법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블록몸체(1)가 측면결합으로 서로 만나는 상측의 좌, 우 모서리에 모따기 처리한 좌, 우측 모따기면(8.9)으로 형성하여 블록간의 충돌로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도 2 에서와 같이 평면조립체를 구성할 때 삼각형의 식재공(2c)공이 형성되어 식재 공간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은 블록몸체(1)의 좌, 우측 결합돌기(3,4)와 좌, 우측 결합요홈(5,6)이 결합되는 측면 결합과 블록몸체(1) 하부에 좌, 우측 결합단턱이 형성되어 측면결합이 이루어질 때 홈이 형성되어 블록몸체(1) 상부에 형성된 상부돌기(7)와 지그재그 형태로 결합되는 상하결합으로 블록간의 결합력을 높여 블록의 이탈을 방지하고, 블록의 하중을 분산시켜 경사면(13)에 안정된 조립체를 구성하도록 하였으며, 블록몸체(1) 내부에 상하로 관통되며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좌, 우측으로 서로 엊갈리며 상, 하로 구성된 식재공(2a,2b)과, 좌,우측 모따기면(8,9)과 상방향에 조립된 블록의 하단부가 만나서 삼각형의 식재공(2c)이 형성되어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공간조성을 최대화하므로 주변 환경개선과 생태계 보존에 효과적이며, 이 식생공 (2a,2b)들을 연결하는 배수로(12)를 형성하여 우천시 경사면에 흐르는 표면수를 지표면 흡수와 배수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므로 식물생육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고 경사면(13)을 안정되게 보호하며, 표면수의 분산처리로 하천에 유입되는 물의 양을 줄여 하천수가 급격히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천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블록몸체(1)의 좌우 양측에 결합돌기(3,4)와 결합요홈(5,6)이 형성되고, 상측에 상부돌기(7)와 하측의 좌, 우 양측에 형성되는 결합단턱(10,11)과,
    상기 블록몸체(1) 상측 좌, 우면의 모서리를 모따기 처리한 좌, 우측 모따기면(8.9)과,
    상기 블록몸체(1) 내부에 상하로 관통되며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좌, 우측으로 서로 엊갈리며 상, 하로 구성된 식재공(2a,2b)과,
    상기 블록(1)이 조립체로 구성될 때 식재공(2a,2b)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요홈으로 형성된 배수로(12)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록.
KR2020010037450U 2001-12-05 2001-12-05 식생블록 KR2002688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450U KR200268824Y1 (ko) 2001-12-05 2001-12-05 식생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450U KR200268824Y1 (ko) 2001-12-05 2001-12-05 식생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824Y1 true KR200268824Y1 (ko) 2002-03-18

Family

ID=73083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450U KR200268824Y1 (ko) 2001-12-05 2001-12-05 식생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82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086B1 (ko) * 2010-02-08 2010-08-05 합자회사 동서콘크리트 포트 식생 호안 블록
WO2018174436A1 (ko) * 2017-03-21 2018-09-27 주식회사 에코탑플러스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KR102182040B1 (ko) * 2019-08-19 2020-11-23 부산항만공사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086B1 (ko) * 2010-02-08 2010-08-05 합자회사 동서콘크리트 포트 식생 호안 블록
WO2018174436A1 (ko) * 2017-03-21 2018-09-27 주식회사 에코탑플러스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KR102182040B1 (ko) * 2019-08-19 2020-11-23 부산항만공사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35681Y1 (ko) 친환경 식생블록
KR200268824Y1 (ko) 식생블록
KR100699464B1 (ko)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KR100655420B1 (ko) 수로를 가진 식생블럭
KR20030046380A (ko) 초류식생블록
KR200272869Y1 (ko) 자연형 식생블록
KR200327418Y1 (ko) 식생용 호안블럭
KR200311986Y1 (ko) 식재가능한 조립식 격자블럭
KR200410846Y1 (ko) 하천 호안 법면의 12공 탄소블록 및 그 조립구조
KR200367399Y1 (ko) 친환경 식생블록
KR100445216B1 (ko) 식생 호안블록
KR200272943Y1 (ko) 상하층 호안블록 접속용 톱니를 가진 어소용 호안블록과식생용 호안블록
KR200142764Y1 (ko) 법면보호를 위한 블록
KR200286249Y1 (ko) 친환경 식생블록
KR200414970Y1 (ko) 환경식생블록
KR200221900Y1 (ko) 식생블럭
KR200240487Y1 (ko) 식생블럭
KR200406758Y1 (ko) 변화형 친환경 블록
KR20030063686A (ko) 상하층 호안블록 접속용 톱니를 가진 어소용 호안블록과식생용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0163470Y1 (ko) 자연형호안블럭
KR200271633Y1 (ko) 하천의 자연친화형 수로
KR200422482Y1 (ko) 호안블록
KR200297215Y1 (ko) 블록세트
KR200298530Y1 (ko) 어초블록
KR200309425Y1 (ko) 초류식생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