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764Y1 - 법면보호를 위한 블록 - Google Patents

법면보호를 위한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764Y1
KR200142764Y1 KR2019960008089U KR19960008089U KR200142764Y1 KR 200142764 Y1 KR200142764 Y1 KR 200142764Y1 KR 2019960008089 U KR2019960008089 U KR 2019960008089U KR 19960008089 U KR19960008089 U KR 19960008089U KR 200142764 Y1 KR200142764 Y1 KR 2001427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cross
block
engaging projection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80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8527U (ko
Inventor
안창석
Original Assignee
안창석
안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창석, 안성철 filed Critical 안창석
Priority to KR20199600080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764Y1/ko
Publication of KR9700585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85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7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7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목적]
풍우에 의해 법면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블록을 제공하는 것임.
[구성]
다수개의 격판(1)을 격자상으로 배치되게 성형하여 각 격판(1) 사이에 공간부(2)가 형성되게 하고 접합측으로 되는 일측 변의 단면에는 결합돌기(3)를 형성하며 상기 변과 반대되는 쪽의 변의 단면에는 상기 결합돌기(3)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4)을 형성함과 함께 접합측으로 되는 타측 변의 단면에는 상기 결합돌기(3)와 동일한 결합돌기(5)를 형성하고 상기 타측 변과 반대 되는 쪽의 변의 단면에는 상기 결합돌기(3,5)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6)을 형성하여 법면보호를 위한 블록을 성형하는 것임.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판(1)은, 단면형이 역삼각형상이 되도록 정형하고 상측 변의 길이방향으로는 걸림판부(7)를 형성하며, 격판(1)의 상면에서 측면으로는 초목의 잎이 통과 할 수 있는 통공(8)을 형성하고 격판의 측면과 측면을 관통하여는 격판 사이의 공간부(2)를 연통시키기 위한 또다른 통공(9)을 형성하는 것임.

Description

법면보호를 위한 블록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있이 격벽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격판 2 : 공간부
3,5 : 결합돌기 4,6 : 결합홈
7 : 걸림판부 8,9 : 통공
본 고안은 법면보호(法面保護)를 위한 블록에 관한 것이다.
각종의 토목공사에 있어서 절토(切土) 또는 성토(盛土)에 의해 형성된 법면(法面)은 풍우(風雨)에 의해 침식이나 유실될 우려가 있다. 법면이 풍우에 의해 침식이나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법면상에 잔디나 초목류(이하 잔디라 함)를 이식하여 법면을 녹화(綠化)하는 방법과 법면상에 통상의 보도블록과 유사한 블록을 부설하는 방법이 널리 행하여 지고 있다.
그러나 전자의 방법에 있어서는 잔디가 성장한 후에는 풍우에 의해 법면이 침식 또는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나 잔디종자의 발아 초기에는 풍우에 의한 법면의 침식이나 유실을 방지하는데 별다른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것이고, 후자의 경우에는 바람에 대한 법면의 보호에는 큰 효과가 있는 것이나 우천시에는 블록과 법면 사이로 흐르는 빗물에 의해 법면이 유실되는 것이므로 빗물에 대한 법면의 보호에는 효과가 없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재반 사항을 고려하여, 풍우에 의해 법면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수단은, 다수개의 격판을 격자상으로 배치되게 성형하여 각 격판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게 하고 접합측으로 되는 일측 변의 단면에는 결합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변과 반대되는 쪽의 변의 단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을 형성함과 함께 접합측으로 되는 타측 변의 단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동일한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타측 변과 반대되는 쪽의 변의 단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을 형성하여 되는 법면보호를 위한 블록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판은 단면형이 역 삼각형상이 되도록 성형하고 상측 변의 길이방향으로는 걸림판부를 형성한다. 또 격판의 상면에서 측면으로는 초목의 뿌리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공을 형성하고 격판의 측면과 측면을 관통하는 격판 사이의 공간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통공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을 법면에 부설하는 방법은 본 고안의 블록을 법면에 올려놓고 압압하여 격판의 걸림판부 하측이 법면의 내부로 삽입되도록하여 부설하는 것이고 이렇게 부설한 앞의 블록에 연접하여 다음의 블록을 부설할 때에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블록을 법면에 부설하되 앞의 블록에 형성된 걸림돌기나 걸림홈에 다음에 부설하는 블록의 걸림홈이나 걸림돌기가 결합되게하여 반면에 연속적으로 본 고안의 블록을 설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같은 방법으로 법면 전체에 본 고안을 부설한 다음에는 격판과 격판 사이로 노출되는 법면의 토양에 잔디를 이식하여 법면 전체를 녹화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을 법면에 부설할 경우에는 격판들에 의해 법면이 정지되는 것이고 비가 내릴때에는 법면에 스며든 빗물이 격판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법면 하측으로 배수되는 것이므로 풍우에 의해 법면이 유실 또는 침식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격판 사이로 노출되는 법면의 토양은 잔디에 의해 녹화됨은 물론 격판에 상하로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는 잔디의 뿌리가 통과되는 것이므로 격판의 상부도 녹화할 수 있어 법면의 전제적인 심미감을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아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를, 제2도는 본 고안에 있어서 격판의 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지시번호 1은. 단면형이 역삼각형상이고 격자상으로 배치되도록 일체로 형성된 복수개의 격판들이다. 이들 격판(1)들 사이에는 공간부(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접합측으로 되는 일측 변의 단면에는 결합돌기(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변과 반대되는 쪽의 단면에는 상기 결합돌기(3)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4)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접합측으로 되는 타측 변의 단면에는 상기 결합돌기(3)와 동일한 결합돌기(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측 변과 반대되는쪽의 단면에는 상기 결합돌기(5)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6)이 형성되어 있다. 또 격판(1)의 상측 변의 길이방향으로는 걸림판부(7)가 형성되어 있으며, 격판(1)의 상면에서 측면으로는 초목의 잎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공(8)이 형성되어 있고 격판(1)의 측면과 측면을 관통하여는 상기 공간부(2)를 연통시키기 위한 또다른 통공(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을 법면에 부설하는 방법은 본 고안의 블록을 법면에 올려놓고 압압하여 격판(1)의 걸림판부(7) 하측이 법면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여 부설하는 것이고 이렇게 부설한 앞의 블록에 연접하여 다음의 블록을 부설 할때에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블록을 법면에 부설하되 앞의 블록에 형성된 결합돌기(3,5)나 결합홈(4,6)에 다음에 부설하는 블록의 결합홈(4,6)이나 결합돌기(3,5)가 결합되게하여 법면에 연속적으로 본 고안의 블록을 설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같은 방법으로 법면 전제에 본 고안을 부설한 다음에 격판(1)과 격판(1) 사이로 노출되는 법면의 토양에 잔디를 이식하여 법면 전체를 녹화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을 법면에 부설할 경우에는 격판들에 의해 법면이 정지되는 것이고 비가 내릴때에는 법면에 스며든 빗물이 격판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법면의 하측으로 배수되는 것이므로 풍우에 의해 법면이 유실 또는 침식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격판 사이로 노출되는 법면의 토양은 잔디에 의해 녹화됨은 물론 격판에 상하로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는 잔디의 뿌리가 통과되는 것이므로 격판의 상측도 녹화할 수 있어 법면의 전체적인 심미감을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을 하천의 법면에 설치할 경우에는 격판 사이의 토양에 각종 수생식물이 자생하고 이 수생식물에 각종의 미생물이 서식하는 것이므로 수중의 섕태계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다수개의 격판(1)을 격자상으로 배치되게 성형하여 각 격판(1) 사이에 공간부(2)가형성되게 하고 접합측으로 되는 일측 변의 단면에는 결합돌기(3)를 형성하며 상기 변과 반대되는 쪽의 단면에는 상기 결합돌기(3)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4)을 형성함과 함께 접합측으로 되는 타측 변의 단면에는 상기 결합돌기(3)와 동일한 결합돌기(5)를 형성하고 상기 타측 변과 반대되는 쪽의 변의 단면에는 상기 결합돌기(3,5)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6)을 형성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보호를 위한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격판(1)은, 단면형이 역삼각형상이 되도록 성형하고 상측 변의 길이 방향으로는 걸림판부(7)를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보호 및 유실방지를 위한 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격판(1)의 상면에서 측면으로는 초목의 잎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공(8)을 형성하고 격판의 측면과 측면을 관통하여는 격판 사이의 공간부(2)을 연통시키기 위한 또다른 통공(9)을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보호를 위한 블록.
KR2019960008089U 1996-04-15 1996-04-15 법면보호를 위한 블록 KR2001427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8089U KR200142764Y1 (ko) 1996-04-15 1996-04-15 법면보호를 위한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8089U KR200142764Y1 (ko) 1996-04-15 1996-04-15 법면보호를 위한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527U KR970058527U (ko) 1997-11-10
KR200142764Y1 true KR200142764Y1 (ko) 1999-06-01

Family

ID=19453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8089U KR200142764Y1 (ko) 1996-04-15 1996-04-15 법면보호를 위한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76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125B1 (ko) 2007-02-06 2008-08-20 원 회 양 피피메트와 골조식 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한 메트공법 및골조식 콘크리트 블럭
KR100939082B1 (ko) 2009-03-30 2010-01-28 김기연 경사면 안정화 구조 및 녹생틀
KR20190010316A (ko) * 2017-07-21 2019-01-30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결속형 잔디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식생로드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952B1 (ko) * 2006-06-15 2007-05-07 채종술 식생블럭 조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125B1 (ko) 2007-02-06 2008-08-20 원 회 양 피피메트와 골조식 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한 메트공법 및골조식 콘크리트 블럭
KR100939082B1 (ko) 2009-03-30 2010-01-28 김기연 경사면 안정화 구조 및 녹생틀
KR20190010316A (ko) * 2017-07-21 2019-01-30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결속형 잔디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식생로드 시공방법
KR102030135B1 (ko) * 2017-07-21 2019-10-08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결속형 잔디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식생로드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527U (ko) 199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618350U (zh) 一种河岸生态护坡结构
CN210104936U (zh) 一种生态型排水沟
CN111809475A (zh) 海绵城市生态市政道路
CN110820775A (zh) 一种边坡用稳定性能好的防护结构
CN214573726U (zh) 一种边坡绿化防护结构
KR200142764Y1 (ko) 법면보호를 위한 블록
CN210008256U (zh) 一种沙漠固沙植被高效保水装置
CN208346949U (zh) 一种适用于山坡果树种植的防滑坡排水机构
CN216664006U (zh) 一种水利工程用边坡防护结构
JP3655578B2 (ja) 擁壁ブロック
CN109853596B (zh) 一种高速公路护坡绿化结构及其施工工艺
CN215925861U (zh) 一种坡面防护及绿化装置
KR200406758Y1 (ko) 변화형 친환경 블록
KR100467264B1 (ko) 대절토사면의 자연 녹지화를 유도하기 위한 구조물
CN111827309A (zh) 一种基于植生混凝土的边坡防护施工工艺
CN214169104U (zh) 一种新型水利生态防护坡
CN219033094U (zh) 一种水利河道生态护坡构件
CN211200410U (zh) 一种景观生态护坡
CN219527219U (zh) 一种拼接式树篦子
CN210368991U (zh) 一种防水土流失的生态护坡
KR200295220Y1 (ko) 식재용 호안 블록
CN216452103U (zh) 一种防止水土流失的绿化装置
CN218466672U (zh) 一种基于矿山生态修复用排水结构
CN209845857U (zh) 一种便于排水的草坪场地
CN220191571U (zh) 一种园林湿地绿化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