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3952B1 - 식생블럭 조립체 - Google Patents

식생블럭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3952B1
KR100713952B1 KR1020060053688A KR20060053688A KR100713952B1 KR 100713952 B1 KR100713952 B1 KR 100713952B1 KR 1020060053688 A KR1020060053688 A KR 1020060053688A KR 20060053688 A KR20060053688 A KR 20060053688A KR 100713952 B1 KR100713952 B1 KR 100713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protrusion
cap
side plat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종술
Original Assignee
채종술
(주) 금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종술, (주) 금성산업 filed Critical 채종술
Priority to KR1020060053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39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3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3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된 각 블럭간의 이탈방지를 위한 가로, 세로 방향의 연결 및 식생이 가능하고 현장에서 직접 시공이 편리한 식생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시공현장에서 직접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블록의 유실 및 흘러내림이 방지되고 자연환경에 부합되는 식생블럭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식생블럭

Description

식생블럭 조립체{Block assembly for pla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 조립체의 분리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 조립체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 조립체의 돌출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 조립체의 돌출부를 풀림기구를 이용하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 조립체의 돌출부가 바닥판과 블록캡에 체결되는 실시예(1)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의 형상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 조립체의 돌출부가 바닥판과 블록캡에 체결되는 실시예(2)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 구성도
도 9는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의 형상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 조립체의 상부캡 예시도(1)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 조립체의 상부캡 예시도(2)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 조립체의 보강살을 설치한 설치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 조립체에서 오목부와 볼록부가 형성된 측면판을 설치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판을 바닥판과 블록캡에 결합하는 실시예(1)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판을 바닥판과 블록캡에 결합하는 실시예(2)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판을 바닥판과 블록캡에 결합하는 실시예(3)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판을 바닥판과 블록캡에 결합하는 실시예(4)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판을 바닥판과 블록캡에 결합하는 실시예(4-1)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판을 바닥판과 블록캡에 결합하는 실시예(5)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판을 바닥판과 블록캡에 결합하는 실시예(6)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판을 바닥판과 블록캡에 결합하는 실시예(7)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7)의 측면판을 바닥판의 결합 구성도(1)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7)의 측면판을 바닥판의 결합 구성도(2)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판을 바닥판과 블록캡에 결합하는 실시예(8)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8)의 측면판을 바닥판과 블록캡에 결합하는 상세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판을 바닥판과 블록캡에 결합하는 실시예(9)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9)의 측면판을 바닥판과 블록캡에 결합하는 측면부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판을 바닥판과 블록캡에 결합하는 실시예(10)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 조립체를 경사면 시공하는 구성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 조립체를 옹벽식공시 수직결속봉을 구비하는 형태도
도 31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 조립체를 옹벽에 시공하는 구성도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 조립체를 주차장에 시공하는 구성도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 조립체를 주차장에 시공후 반사체를 설치하는 구성도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 조립체를 농로 포장에 시공에 있어 벽체 조립체의 분리도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 조립체를 농로 포장에 시공에 있어 벽체 조립체의 단면도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 조립체를 농로 포장에 시공에 있어 벽체 조립체의 절단 단면도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 조립체를 농로 포장에 시공의 정면 및 평면 시공도
도 38은 본 발명의 식생블럭 조립체를 조립후 콘크리트 유입시 콘크리트 유속 저감을 위한 탱크의 구조도
도 39는 본 발명의 식생블럭 조립체를 조립후 콘크리트 유입시 콘크리트 유속 저감을 위한 토출파이프의 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식생블럭 조립체 100
바닥판 200
제1결속구 210
요철돌기부 220
끼움홈 230
구멍 240
제1와셔 241
제1연결부 260
유로홈 261
체결돌기 270
힌지 280
축핀 281
끼움홈 290
블록캡 300
제2결속구 310
삽입홈 320
끼움홈 330
구멍 340
제2와셔 341
재2연결부 360
제1체결턱 361
받침돌기 362
유로홈 363
체결돌기 370
끼움홈 390
측면판 400
관통공 410
보강살 415
유입구 420
오목부 430
볼록부 435
제2체결턱 440
체결돌기 445
제3연결부 450
제4연결부 455
걸림편 470
끼움홈 475
요철부 480
끼움홈 485
측면지지대 490
유로홈 495
돌출부 500
돌출턱 510
받침턱 520
걸림턱 521
돌출구 522
걸림편 530
결합구 540
보강선 541
보호캡 550
수직결속봉 560
나사 600
부직포 610
풀림기구 620
볼트 630
너트 640
반사체 700
저부판 800
관통구 801
제1측부판 810
힌지 811
축핀 812
제2측부판 820
관통구 821
수직지지대 830
수평지지대 840
제1측부캡 850
나사구 855
제2측부캡 860
탱크 900
감속판 910, 910a
배출구 920
주름관파이프 930
토출파이프 930a
본 발명은 시공된 각 블럭간의 이탈방지를 위한 가로, 세로 방향의 연결 및 식생이 가능하고 현장에서 직접 시공이 편리한 식생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시공현장에서 직접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블록의 유실 및 흘러내림이 방지되고 자연환경에 부합되는 식생블럭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방 및 수로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 하천과 같은 수로등에는 여러형태의 식생블럭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식생블럭은 특히 홍수로 인한 제방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블럭의 시공면이 일정하면서 조밀한 상태가 되도록 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폭우로 인해 시공된 블럭 중에서 하나의 블럭이 유실되거나 이탈되는 경우에는 점차적으로 각 측면 및 저면이 밀착 고정된 각각의 호안블럭은 시간이 진행됨에 있어 유실되거나 심지어는 붕괴되는 상황까지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지금까지 법면이나 하천의 호안에서는 토양안정과 경사면 보호라는 측면을 최우선으로 중요시하여 콘크리트 옹벽이나 석축 및 콘크리트 블럭에 의해 일률적으로 시공이 이루어짐으로써 무미건조하고 딱딱한 느낌의 경관을 연출하고, 하천이나 도로변의 주변생태계와는 이질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에는 보다 조형미를 갖춘 콘크리트 블럭에 의한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콘크리트가 주는 딱딱한 느낌을 벗어나지 못하면서 자연친화적이고 경관을 고려한 환경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목이나 초본류 등의 식물 도입이 가 능한 격자블럭 등이 적용되기도 하는 상황이지만, 이는 토사의 유출이나 슬라이딩등으로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와 함께 하천의 호안에서는 콘크리트 블럭이 적용되어 침식방지와 홍수시의 통수 기능만을 고려함으로써 하천생태계의 단절을 가져와 하천이 가지고 있는 본래의 기능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개발된 여러 식생블럭들은 각각의 모양과,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어 지면에서 이탈되지 않게 개발되었으나, 우천시 식생블럭에 쌓인 토사들은 아무런 대책없이 흘러 내리는 구조로 인하여 식생블럭의 지지력이 약화되면서 제방의 붕괴, 침하 및 유실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식생블럭을 제조하여 시공현장까지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식생블럭을 이동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비용 상승을 가져오며 이동시 발생되는 블럭의 파손등이 일어날 수 있으며, 또한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어진 블럭을 시공현장에 적재할때에도 다른 적재수단과 운반수단을 이용하여야 하는 실정으로 비용의 상승과 블럭의 파손을 발생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시공현장에 블럭을 설치할때에도 블럭의 과중한 무게로 인해 운반수단을 이용하여 작업을 하여야 함으로 설치에 어려움과 시공의 공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을 일으킨다.
본 발명은 홍수 등 자연재해로부터 식생블럭에 쌓인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고 또한, 식생블럭중 하나의 블록도 홍수나 자연재해로부터 유실을 막을 수 있고, 현장에서 직접 식생블럭을 제조하기만 하면 되는 것으로 설치가 간단하고 어떠한 형태의 지면에서도 공사가 용이하며 관통공 및 식생공에는 공기와 물의 유통 및 일반 토양과 같이 식생 가능하고 자연환경에 부합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블럭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직접 시공현장에 바닥판을 설치하여 바닥판간에 결합력과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간의 밀착하여 블록캡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정 양생기간을 지난후에 블럭캡을 제거하여 시공 및 설치하는 것으로 타측의 식생 블럭간의 결합력 또는 원 지반과의 결합력을 최대한으로 밀착시켜 상기 식생블럭을 연결시 이탈되지 않도록 상호 지지하고, 유수의 배출시 토사 유실과 시공의 편리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블럭 조립체(100)는 지면에 설치하는 판상의 바닥판(200)과, 상기 바닥판(200) 상부면에 체결되는 식생공 형상의 돌출부(500)와, 상기 바닥판(200)의 사방측면을 밀폐시키는 측면판(400)과, 상기 돌출부(500)와 측면판(400)이 체결된 바닥판(200) 상부를 밀폐시키는 블록캡(300)으로 구성되는 식생블럭 조립체(100)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200)은 돌출부(500)의 하단부와 체결하기 위해 내주에 나사선이 형성된 제1결속구(210)가 다수개 관통되어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500)의 하단부와 연장되어 단차지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돌출턱(510)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500) 상부의 외주 일면에 돌출형상의 받침턱(520)이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500) 상단부의 끝단 외주에 돌출형상의 다수개 걸림턱(521)이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200)의 사방측면에 나사에 의해 체결되는 측면판(400)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500)와 측면판(400)이 체결된 바닥판(200) 상부를 나사(600)에 의해 밀폐시키고, 상기 돌출부(500) 상단부의 걸림턱(521)이 삽입되기 위한 다수의 삽입홈(320)이 내주면 안쪽으로 다수개 형성된 제2결속구(310)가 다수개 구비된 블록 캡(300)이 구비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식생블럭 조립체(100)를 제공한다.
상기 바닥판(200), 돌출부(500), 사방 측면판(400), 블럭캡(300)에 있어서는 플라스틱 등 고분자물질을 이용하여 가열압축한 성형물로서 제조되어지며, 또한 나무를 톱밥과 같은 일정크기로 파쇄한 목분 60-80wt%에 접착성 수지와 같은 고분자 물질 40-20wt%로 혼합하여 각각의 몰드에 성형하여 가열압착한 성형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상기 바닥판(200)에 있어서는 상부 및 사방(四方)측면이 개방되어 있는 판상의 형태에 상기 바닥판(200)의 판상 상부에 하나이상의 식생공이 중앙에 형성하기 위해 상부로 돌출된 식생공 형상의 돌출부(500)가 체결되어 형성하고 있는 바닥판(200)을 제공하며 상기 바닥판(200) 상부의 제1결속구(210)와 체결되는 하나이상의 식생공 형상의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진 원통형 모양을 가진 도 3에 나타낸 돌출부(500)로서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의 공간은 지면의 바닥과 면접하여 지면에 초본류의 식물이 성장하여 상기 돌출부(500)의 내부 즉 식생공으로 자라게 된다. 상기 바닥판(200)의 제1결속구(210)의 지면과 면접하는 하부면에 망상구조의 부직포(610)를 구비함에 있어 식생블럭 조립체(100)에 콘크리트 유입하여 식생블럭 조립체(100)를 탈형후 돌출부(500)에 의해 제공되는 식생공에 토사를 유입하여 토사의 유출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도 1과 같이 상기 바닥판(200)에 있어 상기 바닥판(200) 상부로 연장된 돌출형상을 가진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제1결속구(210)가 관통되어 구비되는 것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콘크리트 유입후 돌출부(500)를 탈형시 제1결속구(210)로부터 이탈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함이며, 콘크리트 유입시 바닥판(200)의 변형을 막아주는 보강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바닥판(200) 상부로 돌출된 제1결속구(210)를 제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200) 저면부는 요철돌기부(220)가 구비되어 경사면 시공에 있어 식생블럭 조리체(100)의 지면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경사면과의 밀착성을 가져와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식생블럭 몸체가 경사면으로부터 이탈 및 균열을 막을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도 3의 확대도와 같이 상기 돌출부(500)의 하단부와 연장되어 단차지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돌출턱(510)이 구비되는 것에 있어 상기 돌출부(500)의 하단부와 연장된 단차진 돌출턱(510)이 구비되어 바닥판(200)의 제1결속구(210)와 쉽게 이탈이 되어지도록 단차를 지게 형성된 돌출턱(510)을 제공함으로서 돌출부(500)의 상단부의 삽입되어 물리적인 힘을 가해 돌출부(500)를 제1결속구(210)로부터 풀리게 하는 풀림기구(620)를 이용하여 작은 물리적인 힘을 가해도 돌출부(500)가 풀릴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풀림기구(620)가 돌출부(500)의 상부로 삽입되어 상기 풀림기구(620) 하부의 끝단부에 형 성된 오목형상의 홈이 돌출부 상부 끝단부의 내주면에 돌출형상의 돌출구(522)와 맞물려 풀림기구(620)에 힘을 가하면 동시에 돌출부(500)가 힘을 가하는 방향으로 돌아가도록 하는 원리로 작용하여 돌출부(500)를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3에서 상기 돌출부(500) 상부의 외주 일면에 돌출형상의 받침턱(520)이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500) 상단부의 끝단 외주에 돌출형상의 다수개 걸림턱(521)이 구비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500) 상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받침턱(520)과 걸림턱(521)은 바닥판(200)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블록캡(300)을 체결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체결방법은 상기 돌출부(500) 상단부의 걸림턱(521)이 삽입되기 위한 다수의 삽입홈(220)이 내주면 안쪽으로 다수개 형성된 제2결속구(310)가 다수개 구비된 블록캡(300)을 이용하는 것으로 먼저, 바닥판(200) 상부에 형성된 제1결속구(210)를 통해 돌출부(500) 하단부의 돌출턱(510)에 체결하고, 이때 돌출부(500)의 돌출턱(510)을 바닥판(200) 제1체결구(210)에 완전히 체결하지 않은 미체결상태로 두고, 블록캡(300) 제2결속구(310)의 삽입홈(320)과 돌출부(500) 상단부의 걸림턱(521)을 맞추어 제2결속구(310)로 돌출부(500) 상단부를 삽입시켜 돌출부(500)의 상부 일면에 다수개 구비된 돌출형상의 받침턱(520)에 블록캡(300)의 저면부가 맞닿도록 설치하고, 풀림기구(620)를 통해 돌출부(500)를 더욱 조여주어 상기 돌출부(500) 상단부의 걸림턱(521)이 블록캡(300) 제2체결구(310)의 삽입홈(320)과 멀어진 부위 즉, 제2체결구(310)의 내주면 안쪽에 삽입홈(320)이 형성되지 않은 일면에 상기 돌출부(500)의 걸림턱(521)이 위치하도록 하는 돌출부(500)의 블록캡(300) 체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식생공 형상의 돌출부(500)에서 식물이 성장하는 과정에 식물의 뿌리가 자랄 수 있는 유로역할을 하도록 하거나, 식생블럭 몸체의 상부면에 미려함을 주기 위해 바닥판(200)과 블록캡(300) 저면부의 전면상에 주위의 환경에 맞도록 다양한 모양이나 무늬로 이루어지거나 잔디와 같은 뿌리식물의 뿌리가 지나갈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어 진다.
다음은 상기에 서술된 것과는 달리 돌출부(500)가 바닥판(200)과 블록캡(300)에 체결되는 다른예를 보여주는 조립예를 하기와 같이 서술한다.
[조립예 1]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돌출부(500) 상/하단부에 원주의 1/2이하에만 수직으로 연장된 걸림편(530)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편(530)을 체결하기 위해 바닥판(200) 상부와 블록캡(300) 하부에 돌출형상의 끼움홈(230, 330)이 구비되어 걸림편(530)을 체결하게 된다.
상기 끼움홈(230, 330))의 형상은 판형의 걸림편(530)이 내삽될 수 있는 홈을 가진 것은 외형은 걸림편(530)과 같은 형상이고 걸림편(530)이 내삽되어 끼워질 수 있는 홈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상기 바닥판(200) 상부로 돌출된 형상의 끼움홈(230)이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각 각의 끼움홈(230)을 통해 돌출부(530)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편(530)을 내삽시켜 체결하고, 블록캡(300) 하부에 형성된 끼움홈(330)을 통해 돌출부(500)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턱(530)을 내삽시켜 식생블럭 조립체(100)를 완성하게 된다.
도 6에서 상기 돌출부(500)의 형상이 원통형상이 아닌 사면체형상의 돌출부일 경우 상기 돌출부(500)의 상/하단부의 일측면을 제외한 다른 면에 수직으로 연장된 걸림편(530)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편(530)을 체결하기 위해 바닥판(200) 상부와 블록캡(300) 하부로 돌출된 형상의 외형은 걸림편(530)과 유사하지만 상기 판형의 걸림편(530)을 내삽시킬 수 있는 홈이 구비된 돌출형상의 끼움홈(230, 330)이 구비되어 상기 걸림편(530)을 내삽시켜 체결하게 된다.
[조립예 2]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또는 사면체형의 돌출부(500) 상/하단부 내주 공간 중앙부에 양쪽 끝단에 나사선이 형성된 길이가 긴 볼트(630)를 관통하기 위한 결합구(540)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구(540)를 중심으로 공간을 구획되는 보강선(541)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500)의 상/하부에 볼트(630)가 관통하기 위한 구멍(240, 340)이 형성된 바닥판(200)과 블록캡(300)을 설치한 후 블록캡(300)의 상부면에 구비된 구멍(340)을 통해 볼트(630)를 삽입시켜 돌출부(500)의 상/하부 결합구(540)를 통하여 바닥판(200)의 하부면에 구비된 구멍(240)까지 관통시킨다. 바닥판(200)과 블록캡(300)으로 돌출된 볼트(630)에 제1,2와셔(241, 341)를 체결하고 너트(640)를 체결하면 식생블럭 조립체(100)를 완성하게 된다.
도 9에서 상기 보강선(541)은 결합구(540)를 지지하는 역할로서 작용하지만, 돌출부(500) 상/하부의 변형을 방지하여 식생공의 형태를 유지함으로서 식물 성장에 유리한 공간 확보를 마련해주는 역할로 보강선(541)이 제공된다.
또한, 식생블럭 조립체(100)의 시공에 있어 평지와 같은 지면에 시공시 식생블럭 조립체(100)의 블록캡(300)을 제거한 상태로 콘크리트를 유입하여야 함으로 블록캡(300)이 제거된 식생블럭 조립체(100)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때 바닥판(200) 상부면에 수직으로 돌출형상을 가진 돌출부(500)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500) 상부는 개방된 형태를 가지게 된다. 도 10에서 상기 상부가 개방된 돌출부(500)를 밀폐시키기 위해 상부캡(350)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캡(350) 내부 둘레면에 나사선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캡(350)과 체결되기 위해 상기 돌출부(500) 상부의 외측 둘레에 나사선이 일부 형성되어 체결하게 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캡(350)과 돌출부(500) 상부와의 체결형상에 있어 상기의 서술한 체결방법과는 달리 상부캡(350) 하부로 연장된 연결부(351)의 외주에 나사선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351)와 체결되는 돌출부(500) 상부의 내측 둘레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체결된다.
상기 상부캡(350) 체결에 있어, 평지와 같은 지면에 시공되는 식생블럭 조립체(100)에 사용하기도 하지만 경사면 시공에 있어 시공과정중 콘크리트의 파편이 돌출부(5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부캡(350)을 체결할 수도 있다.
상기 경사면에 사용되는 식생블럭 조립체(100)에서 상부캡(350)을 조립하는 방법으로는 바닥판(200) 상부에 사방측면에 측면판(400)을 설치하고, 바닥판(200)의 제1결속구(210)로부터 돌출부(500)를 제결한 후, 상기 바닥판(200) 상부를 밀폐시키기 위해 블록캡(300)을 씌워 조립한 다음, 블록캡(300)의 제2결속구(310)로 내삽되어 블록캡(300)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500)의 상단부로 상부캡(350)을 체결한다.
상기 상부캡(350) 하부 끝단면의 외주 둘레와 원형의 수평으로 연장되어 연결된 삿갓형상의 걸림판(352)이 구비되어 블록캡(300)의 제2결속구(310)를 밀착시키는 밀착범위를 넓혀주어 콘크리트 유입시 강한 압력을 지지하는 보강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상부캡(350)의 체결된 것을 제저하기 위해 상부캡(350)의 상부면에 일자형의 홈을 주어 상부캡(350)을 풀기 위해 상기 일자형의 홈에 삽입될 수 있는 예를 들어 판상의 핀과 같은 것을 이용하여 상부캡(350)을 풀어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200)의 사방측면을 밀폐시키는 측면판(400)은 나사에 의해 바닥판(200) 저면부로부터 체결하고, 측면판(400)과 측면판(400)이 면접하는 모서리부분도 나사에 의해 체결하여 바닥판(200)의 사방측면을 밀폐시킨다.
도 12에서 상기 측면판(400) 일면에 금속재의 보강살(415)을 삽입시키기 위한 관통공(410)이 다수개 구비되어 있어 식생블럭 조립체(100)의 조립과정에서 측면판(400) 조립후 상기 관통공(410)을 통해 보강살(415)을 삽입하여 대면하는 측면판(400)의 관통공(410)으로 관통시키는 것으로 보강살(415)이 식생블럭 조립 체(100) 내부에 설치하여 콘크리트 경화후 더욱 견고한 식생블럭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측면판(4000 일면에 다수개의 관통공(410)을 구비하는 것을 제공한다.
또한, 도 1과 도 1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판(400) 일면에 유입구(420)가 구비되어 시공되는 경사면에 다수의 식생블럭 조립체(100)를 설치후 경사면 상부에 위치한 상부 측면판(400)이 제거된 식생블럭 조립체(100)의 개방된 상부 측면부를 통해 콘크리트를 유입시켜 다음 열 또는 행에 설치된 식생블럭 조립체(100)에 콘크리트를 유입시키기 위해 면접하는 식생블럭 조립체(100)들 사이의 측면판(400)의 일면에 다수개 구비된 유입구(420)를 통해 콘크리트가 흘러 유입되게 된다.
상기 측면판(400)에 구비된 유입구(420)는 천공이 된 상태로 되어 있지만 절치선이 형성되어 있어 시공시 필요에 따라 절치선에 외부충격을 주어 유입구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측면판(400)의 외측 일면에 오목부(430)와 볼록부(435)를 구비하여 상기 측면판(400)을 구비한 식생블럭 조립체(100)를 조립하여 경사면에 시공할 경우 상기 식생블럭 조립체(100)들과의 설치에 있어 상기 식생블럭 조립체(100)의 측면판(400)에 구비된 오목부(430)와 측부에 설치되는 식생블럭 조립체(100)의 측면판(400) 일면에 구비된 볼록부(435)와 면접하게 결합하고, 상기 동일한 각각의 측면판(400)에 구비된 볼록부(435)와 오목부(430)가 면접하여 결합하여 경사면에 시공된 식생블럭과의 강한 결합력을 가지기 위해 하나의 측면판(400) 일면에 각각 오목부(430)와 볼록부(435)가 제공된다.
상기 측면판(400)의 조립에 있어서 바닥판(200) 사방측면에 밀폐시키는 방법외에 상기 바닥판(200)의 서로 대면하는 측면에 측면판(400)만을 체결하여 조립할 수 있으며, 이는 경사면의 시공시 상기 대면하는 측면판(400)만을 조립하고 다른 대면하는 측면판(400) 없이 공간부를 형성한 식생블럭 조립체(100)를 다수개로 연결한 하나의 열이 하나의 식생블럭 몸체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으로 시공자의 요구조건에 따라 일직선상의 긴 식생블럭 몸체를 제공하게 된다.(도면 미도시)
상기 측면판(400)을 바닥판(200)과 블록캡(300)에 결합하는 실시예를 하기와 같이 실시예를 통해 서술하며, 하기의 실시예의 조립방법에서 나사(600)에 의한 결합방법은 상기에서 서술한바 생략하였고, 돌출부(500)의 조립방법은 상기 서술한 돌출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립함으로 생략하였다.
[실시예 1]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바닥판(200)의 사방 측면 둘레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수직으로 구비되고, 상기 수직의 상부면에 유로홈(261)이 형성된 제1연결부(260)와,
상기 블록캡(300)의 사방 측면 둘레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수직으로 구비되고, 상기 블록캡(300) 저면부의 측면둘레와 근접한 일면에 받침돌기(362)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의 하부면에 제1체결턱(361)이 형성된 제2연결부(360)와,
상기 바닥판(200)의 유로홈(261)과 슬라이드 형태로 체결되는 체결돌기(445)가 하 부에 구비되고, 상기 블록캡(300)의 제1체결턱(361)을 체결하는 제2체결턱(440)이 상부 일면에 구비되는 측면판(400)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블록캡(300) 저면부의 측면둘레와 근접한 일면에 받침돌기(362)를 구비하는 것은 측면판(400)의 상부 일면에 제2체결턱(440)과 블록캡(300)의 제1체결턱(361)이 더욱 견고히 체결하기 위해 측면판(400)이 바닥판(200) 내부공간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측면판(400)을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 먼저 바닥판(200)의 제1결속구(210)를 통해 돌출부(500)를 체결하고, 상기 바닥판(200)의 제1연결부(260) 상부면에 형성된 유로홈(261)을 통해 측면판(400) 하부의 체결돌기(445)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바닥판(200)의 일측면씩 각각 체결하고, 상기 측면판(400) 상부 제2체결턱(440)에 상기 블록캡(300)의 제2연결부(360) 하부면에 형성된 제1체결턱(361)을 체결하여 식생블럭 조립체(100)를 조립하게 된다.
[실시예 2]
도 15에서 상기 바닥판(200)의 사방 측면 둘레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수직으로 구비되고, 상기 수직의 상부면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제1연결부(260)와,
상기 블록캡(300)의 사방 측면 둘레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수직으로 구비되고, 상기 수직의 하부면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제2연결부(360)와,
상기 바닥판(200) 제1연결부(260)의 수평면과 상기 블록캡(300) 제2연결부(360)의 수평면과 면접하도록 상/하단면에 수평으로 연장된 제3연결부(450)가 구비된 측면 판(400)에 상기 측면판(400) 상하단부의 제3연결부(450)에 바닥판(200) 제1연결부(260)의 수평면과 상기 블록캡(300) 제2연결부(360)의 수평면이 서로 면접하는 부위에 나사(600)를 체결하여 조립되는 식생블럭 조립체(100)를 제공한다.
[실시예 3]
또한, 도 16에서 상기 바닥판(200)의 사방 측면 둘레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수직으로 구비되는 제1연결부(260)와,
상기 블록캡(300)은 실시예 2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바닥판(200) 제1연결부(260)의 수직면과 면접하도록 하단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수평면 끝단과 수직으로 연장된 제3연결부(450)가 구비되고, 상기 블록캡(300) 제2연결부(360)의 수평면과 면접하도록 상단면에 수평으로 연장된 제4연결부(455)가 구비되는 측면판(400)으로 서로 면접하는 부위에 나사(600)를 체결하여 조립되는 식생블럭 조립체(100)를 제공한다.
[실시예 4]
도 17에서 상기 바닥판(200)의 사방 측면 둘레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수직으로 구비되고, 상기 수직의 상부면에 유로홈(261)이 형성된 제1연결부(260)와,
상기 블록캡(300)의 사방 측면 둘레에 하부로 연장되어 수직으로 구비되고, 상기 수직의 하부면에 유로홈(363)이 형성된 제2연결부(360)와,
상기 바닥판(200)과 블록캡(300)의 각각 구비된 유로홈(261, 363)에 슬라이드 형태 로 체결되는 체결돌기(445)가 상/하부에 구비되는 측면판(400)으로 상기 측면판(400)의 체결돌기(445)를 바닥판(200) 제1연결부(260)의 유로홈(261)과 블록캡(300) 제2연결부(360)의 유로홈(363)에 슬라이드 형태로 체결하여 조립되는 식생블럭 조립체(100)를 제공한다.
또한, 도 18에서 상기 블록캡(300)의 사방 측면 둘레의 끝단부에 유로홈(363)이 형성된 제2연결부(360)와,
상기 바닥판(200)은 실시예 4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블록캡(300)에 구비된 유로홈(363)에 슬라이드 형태로 체결되기 위해 상부와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장된 끝단부에 체결돌기(445)가 구비되고, 상기 실시예 4의 구조와 동일하게 바닥판(200)에 구비된 유로홈(261)에 슬라이드 형태로 체결되기 위해 하부 끝단부에 체결돌기(445)가 구비되는 측면판(400)으로 상기 측면판(400)의 체결돌기(445)를 바닥판(200) 제1연결부(260)의 유로홈(261)과 블록캡(300) 제2연결부(360)의 유로홈(363)에 슬라이드 형태로 체결하여 조립되는 식생블럭 조립체(100)를 제공한다.
[실시예 5]
도 19에서 상기 바닥판(200)의 사방 측면 둘레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수직으로 구비되는 제1연결부(260)와,
상기 블록캡(300)은 실시예 4와 같은 구조를 가지며,
상기 바닥판(200) 제1연결부(260)의 수직면과 면접하도록 하단면에서 수평으로 연 장되고, 상기 연장된 수평면 끝단과 수직으로 연장된 제3연결부(450)가 구비되고, 상기 블록캡(300)에 구비된 유로홈(363)과 슬라이드 형태로 체결되도록 체결돌기(445)가 상단면에 구비되는 측면판(400)으로 상기 바닥판(200) 제1연결부(260) 수직면과 측면판(400) 제3연결부(450)의 수직면과 서로 면접하는 부위에 나사(600)를 체결하고, 측면판(400) 상부면에 구비된 체결돌기(445)와 블록캡(300) 제2연결부(360)의 유로홈(363)에 슬라이드 형태로 체결하여 조립되는 식생블럭 조립체(100)를 제공한다.
상기 실시예 5의 조립순서로는 블록캡(300)의 사방 측면 둘레에 하부로 연장되어 수직으로 구비되고, 상기 수직의 하부면에 유로홈(363)이 형성된 제2연결부(360)에 상기 측면판(400) 상부면에 구비된 체결돌기(445)를 슬라이드 형태로 체결한후, 상기 측면판(400) 하단면에 연장된 수직의 제3연결부(450)와 바닥판(200) 제1연결부(260)의 수직면과 면접하도록 하여 나사(600)에 의해 체결하면 식생블럭 조립체(100)를 완성하게 된다.
[실시예 6]
도 20에서 상기 바닥판(200)의 사방 측면 둘레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돌출된 형태로 수직으로 구비되는 체결돌기(270)와,
상기 블록캡(300)의 사방 측면 둘레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돌출된 형태로 수직으로 구비되는 체결돌기(370)와,
상기 바닥판(200)의 체결돌기(270)와 블록캡(300)의 체결돌기(370)에 바닥판(200) 과 블록캡(300)의 상/하부 가압하는 형태로 체결하는 상/하단면에 탄성체의 유로홈(460)이 구비되어 있는 측면판(400)을 제공한다.
상기 바닥판(200)과 블록캡(300) 각각의 체결돌기(270, 370)와 측면판(400)의 유로홈(460)을 체결하는 방법은 상기 측면의 상/하단면에 구비된 유로홈(460)은 탄성체를 가지고 있어 상기 바닥판(200)과 블록캡(300) 각각의 체결돌기(270, 370)에 상/하부 가압하는 방식으로 밀어 끼우는 체결방식으로 체결된다. 즉, 상기 측면판(400)의 유로홈(460)이 탄성체를 가지고 있어 바닥판(200)과 블록캡(300) 각각의 체결돌기(270, 370)에 체결시 상기 체결돌기(270, 370)의 폭보다 협소한 폭을 가진 탄성체의 유로홈(460)이 상기 체결돌기(270, 370)에 삽입시 상기 유로홈(460)이 벌어지면서 체결돌기(270, 370)에 삽입되게 된다.
[실시예 7]
도 21과 도 22에서 바닥판(200)의 사방 측면과 측면판(400)의 하부의 조립을 위해 모두 면접하는 선단에 서로 연결 결합할 수 있도록 힌지(280)를 구비하고 상기 서로 결합된 힌지 내부에 축핀(281)을 삽입하는 경첩형태의 결합수단을 구비하고,
블록캡(300)과 측면판(400) 상부와의 체결은 실시예 6과 동일한 방식으로 체결되는 데 측면판(400)의 상부에는 체결돌기(445)를 구비하고, 블록캡(300)의 사방 측면 둘에에 탄성체의 유로홈(363)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판(200)의 사방 측면과 측면판(400)의 조립을 위해 경첩형태의 결합수단과는 달리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200)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측면 판(400) 부위에 단차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구조로 연결기구가 없는 일체형을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바닥판(200)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측면판(400) 부위에 단차를 가진다는 것은 동일한 두께를 가진 바닥판(200)과 측면판(400)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바닥판(200)과 측면판(400)을 연결하는 길이방향의 부위에 얇은 두께를 줌으로서 접고 펴는 작용이 자유롭게 단차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 7의 식생블럭 조립체(100)를 조립하는 순서는 먼저, 일측의 측면판(400)을 직각으로 접은 상태에서 측면판(400) 상부의 체결돌기(445)에 블록캡(300)의 탄성체의 유로홈(363)을 삽입하고, 다음으로 다른 측면판(400)을 직각으로 접어 상기에 서술한 측면판(400) 상부와 블록캡(300)을 체결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식생블럭 조립체(100)를 체결한다.
[실시예 8]
도 24와 도 25에서 측면판(400)의 좌측 끝단면에서 직각의 돌출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장된 끝단면 일측에 걸림편(470)이 구비되고,
상기 측면판(400)의 우측 끝단면에서 직각의 돌출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장된 끝단면 일측에 끼움홈(475)이 구비되는 측면판(400)이 제공됨으로서 동일한 형상을 가진 하나의 측면판(400)을 이용하여 사방 측면을 조립할 수 있는 것으로 제작비용의 절감과 조립방법의 간소화를 가져오는 효과적인 측면판(400)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판(200)과 블록캡(300)이 동일한 형상을 가진 것으로 구성하기 위해 상기 바닥판(200) 상부로 연장된 돌출형상을 가진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제 1결속구(210)가 관통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블록캡(300)은 상기 바닥판(200)을 뒤집어 놓은 형상으로 상기 바닥판(200)의 상부를 밀폐시키게 된다. 상기 바닥판(200)의 제1결속구(210)와 블록캡(300)의 제2결속구(310)의 형상은 동일하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500) 상부의 내부로 상기 블록캡(300)의 제2결속구(310)가 밀착삽입되어 돌출부(500)의 이탈을 방지하고 좌우 흔들림이 없도록 밀착되어 삽입된다.
또한, 상기 블록캡(300)의 상부로 상부캡(350)을 체결함으로서 상기 상부캡(350) 하부로 연장된 연결부(351)가 블록캡(300)의 제2결속구(310)로 체결하게 된다.
상기 측면판(400)을 이용하여 식생블럭 조립체(100)를 조립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측면판(400)을 좌/우측에 형성된 걸림편(470)과 끼움홈(475)을 이용하여 바닥판 상부의 사방 측면에 조립을 한후, 상기 바닥판(200)의 제1결속구(210)에 돌출부(500)를 조립하고, 블록캡(300)을 씌운후 상부캡(350)을 체결한다.
[실시예 9]
도 26과 도 27에서 측면판(400) 체결은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체결하며, 상기 측면판(400) 외측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상의 요철부(480)가 구비되며, 상기 요철부(480) 상/하부로 끼움홈(485)이 구비되고,
상기 측면판(400)의 요철부(480)에 형성된 끼움홈(485)으로 바닥판(200)과 블록캡(300)을 체결하기 위해 상기 바닥판(200) 상부와 블록캡(300)의 하부에 직각의 돌출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장된 끝단면 일측에 걸림편(290, 390)이 구비되어 상기 측면판(400) 요철부(480)의 끼움홈(485)으로 체결된다.
[실시예 10]
도 28에서 사방측면이 메쉬형상의 일체형으로 구성된 사방 측면지지대(490)가 구비되고, 상기 판상의 바닥판(200), 블록캡(300) 및 측면판(400)이 측면지지대(490) 외측 둘레면에 체결되기 위해 상기 측면지지대(490) 각각의 일측면에 대면하는 양측에 슬라이드형태로 체결하기 위해 유로홈(495)이 구비되어 판상의 바닥판(200), 블록캡(300) 및 측면판(400)이 상기 유로홈(495)을 따라 체결하게 된다.
상기 바닥판(200)의 제1결속구(210)를 통해 돌출부(500)의 하단부가 체결되고, 상기 제1결속구(210)는 상부로 돌출형상이 아닌 판상의 바닥판(200)에 돌출부(500)의 하단부 외주에 형성된 나사선이 체결되기 위한 제1결속구(210)가 구멍형태의 내주에 나사선이 구비되어 돌출부(500)를 체결하게 된다.
상기 블록캡(300)도 제2결속구(310)가 구비되어 돌출부(500)의 상단부를 내삽되게 되어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어 상부캡(350)을 이용하여 체결하게 된다.
다음은 시공하는 장소에 따른 식생블럭 조립체의 조립방법을 하기와 같이 서술한다.
1. 경사면의 시공방법
경사면의 평탄 작업을 마친 후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에 따른 측면판의 조립 방법에 따라 식생블럭 조립체(100)를 조립한 후 경사면 하부에서 상부로 열 또는 행을 맞추어 시공을 한다.
도 29와 같이 상기 경사면 상부에 설치된 식생블럭 조립체(100)의 상부 측면에 형성된 콘크리트 유입구(420)를 통해 유입시켜 경사면 전체의 식생블럭 조립체(100)에 콘크리트를 채우고, 상기 경사면의 면적에 따라 식생블럭 조립체(100)를 경사면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유입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콘크리트 유입후 경화과정을 거쳐 상부캡(350)을 제거하고, 블록캡(300)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며, 풀림기구(620)를 이용하여 돌출부(500)를 제거하면 식생블럭이 완성하게 된다.
상기 경사면에 식생블럭 조립체(100)를 설치하는 단계에 있어 상기 식생블럭 조립체(100)의 하부에 구비된 돌출부(500)의 외부 전면에 내삽될 수 있는 돌출부(500)의 형상과 동일한 보호캡(550)을 돌출부(500) 외부 전면에 씌워 경사면 지면에 설치하는 것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콘크리트 유입 후 식생블럭 조립체(100)의 탈형과정에서 콘크리트 고형체로부터 용이하게 식생블럭 조립체(100)의 돌출부(500)가 탈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식생블럭 조립체(100)의 돌출부(500)와 콘크리트 사이에 이형물로 작용할 수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호캡은 비닐류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공장소에서 손쉽게 얻을 수 있도록 비닐류 보호캡(550) 대신 종이컵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2. 계단식 옹벽의 시공방법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으로 식생블럭 조립체(100)를 늘어지게 놓은 다음 그 위에 다시 수평으로 식생블럭 조립체(100)를 늘어지게 놓는 방식으로 다수의 수평열이 수직으로 올라가는 계단식 방법으로 시공되는 것에 있어 식생블럭 조립체(100)의 바닥판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의 열중 하나의 열이 원통형의 수직결속봉(560)으로 바닥판(200) 제1결속구(210)에 체결되어 상기 바닥판(200) 상부로 솟아오른 모양의 수직결속봉(560)으로 상기 식생블록 조립체(100)의 상부로 놓여지게 되는 또다른 식생블록 조립체(100)의 바닥판(200) 저면부에 형성된 제1결속구(210)를 통해 상기 제1결속구(210)와 체결된 돌출부(500) 내부로 수직결속봉(560)이 내삽되어 체결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계단식으로 쌓여지는 식생블록 조립체(100)간의 조립을 행한 후 블록캡(300)이 없고 상부캡(350)만 돌출부(500) 상단부에 체결된 식생블럭 조립체(100)로 일부 상부가 노출되어 있는 부분을 통해 콘크리트를 유입시켜 평탄작업을 한 후 경화과정을 거쳐 상부캡(350)을 제거하고 풀림기구(620)를 이용하여 돌출부(500)를 제거하면 옹벽시공에 따른 식생블럭을 완성하게 된다.
3. 주차장과 같은 평지의 시공방법
도 32에서 배수로를 가설하고 그 상부에 자갈등 물빠짐이 좋은 골재를 적재한 후 그 상부에 토양으로 평탄작업을 하게 된다. 상기 평탄작업을 마침 후 블록캡(300)이 없고, 돌출부(500) 상단부에 상부캡(350)을 체결한 식생블럭 조립체(100)를 설 치한 후 콘크리트를 유입시켜 평탄기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평활하게 유지시킨다. 상기 콘크리트의 일정시간 경화과정을 거쳐 상부캡(350)을 제거하고 풀림기구(620)를 이용하여 돌출부(500)를 제거하게 되면 주차장에 설치되는 식생블럭이 완성하게 된다. 여기서,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차장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야간에 운전자가 주차라인을 식별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식생블록의 식생구 상부에 반사체(700)를 설치하여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4. 농촌의 농로 포장 시공방법
먼저, 도 34에서 토사유실 및 홍수에 의한 농로 유실을 막기 위해 농로 양쪽 측면에 설치하는 벽체를 시공하는 것에 있어, 수직지지대(830)를 삽입할 수 있는 관통구(801)가 형성된 저부판(800)에 제1측부판(810)과 제2측부판(820)과의 조립을 위해 모두 면접하는 선단에 서로 연결 결합할 수 있도록 힌지(811)를 구비하고 상기 서로 결합된 힌지(811) 내부에 축핀(812)을 삽입하는 경첩형태의 결합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측부판(810)과 제2측부판(820)의 측면 중앙부에 관통구(821)가 구비되어 상기 제1측부판(810)의 관통구(821)를 통해 수평지지대(840)를 관통시켜 제2측부판(820)의 관통구(821)로 통과시켜 수평지지대(840)의 양쪽 단부에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되며, 상기 수평지지대(840)를 설치함으로서 콘크리트 유입시 제1측부판(850)과 제2측부판(860)이 벌어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도 36에서 상기 제1측부판(850)과 제2측부판(86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나사구(855)가 구비되어 제1측부캡(850)과 제2측부캡(860)을 나사에 의해 체결하는데 역할을 하며, 제1, 2측부판(810, 820)을 크기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하여도 상기 나사구(855)가 형성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벽체를 조립한후 콘크리트를 유입시켜 경화과정을 거쳐 제1, 2측부캡(850, 860)을 제거하고 제1, 2측부판(810, 820)의 축핀(812)을 빼고 수평지지대(840)의 양쪽 단부에 체결된 너트를 제거하여 제1, 2 측부판(810, 820)을 제거하게 된다.
다음으로 양쪽 벽체 내부로 토사 및 자갈등을 유입시켜 농로의 평탄작업을 마침 후 식생블럭 조립체(100)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유입시켜 일정시간 경화후 상부캡을 제거하고 풀림기구(620)를 이용하여 돌출부(500)를 제거하면 도 37의 농로 포장 식생블럭이 완성하게 된다.
상기의 시공중 콘크리트 유입시 레미콘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유입하게 되는데 레미콘에 믹서된 콘크리트는 펌프카로 콘크리트가 유입되고 상기 펌프카는 식생블럭 조립체(100)의 콘크리트 유입구(420)를 통해 콘크리트를 유입하게 될 때 펌프카의 콘크리트 토출파이프로 배출되는 콘크리트 유속 및 압력이 너무 빠르고 높아 플라스틱 재질의 식생블럭 조립체(100)가 이탈할 가능성이 있어 이러한 시공에 있어 적합한 콘크리트 유입장치가 절실하게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시공시 필요한 콘크리트 유입장치에 있어 일정시간동안 만 콘크리트를 저장하는 탱크(900)에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탱크 내부에 삿갓모양의 감속판(910)이 구비되어 펌프카에 의해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콘크리트의 유속을 줄여 저장할 수 있는 탱크(900)로 상기 탱크(900) 내부에 저장된 콘크리트는 탱크(900) 하부에 구비된 배출구(920)와 연결된 주름관파이프(930)를 통해 식생블럭 조립체(100)의 콘크리트 유입구(420)를 통해 콘크리트를 유입하게 된다.
또한, 도 39에서 이러한 저장탱크(900)외에 펌프카에의 콘크리트 토출파이프(930a) 끝단부에 설치하는 파이프형상의 감속장치로 내부에 반원모양의 감속판(910a)이 지그재그 형태로 파이프의 길이방향에 따라 다수 구비되어 콘크리트 유입시 상기 감속판(901a)에 의해 콘크리트의 유속을 저감시켜 상기 감속장치 끝단에서 배출되는 콘크리트는 유속이 저감된 콘크리트가 흘러 나오게 된다.
또한, 토출파이프(930a)의 내경크기보다 더 큰 크기의 파이프형상의 감속장치를 가지는 것은 토출파이프(930a)의 콘크리트 유출량이 감속장치의 콘크리트 수용량에 비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닥판과 블록캡을 조립한후 경사면에 설치하여 콘크리트 타설 후 바닥판 상부에 콘크리트로 타설된 식생블럭을 직접 제조하는 것으로 경사면 전체가 일체형의 식생블럭으로 구성되어 있어 경사면에 설치시에 부분적으로 식생블럭의 이탈됨을 방지하고, 또한 우천시 식생블럭의 이탈을 방지하며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고 식생공 형상의 돌출부로 식물을 식재함으로서 환경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바닥판 저면부에 요철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어 외부의 공기 나 물이 경사면에 공급되므로 식생공 형상의 돌출부를 통한 식물의 성장을 돕고 자연 상태에 가장 근접한 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지면에 설치하는 판상의 바닥판(200)과, 상기 바닥판(200) 상부면에 체결되는 식생공 형상의 돌출부(500)와, 상기 바닥판(200)의 사방측면을 밀폐시키는 측면판(400)과, 상기 돌출부(500)와 측면판(400)이 체결된 바닥판(200) 상부를 밀폐시키는 블록캡(300)으로 구성되는 식생블럭 조립체(100)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200)은 돌출부(500)의 하단부와 체결하기 위해 내주에 나사선이 형성된 제1결속구(210)가 다수개 관통되어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500)의 하단부와 연장되어 단차지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돌출턱(510)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500) 상부의 외주 일면에 돌출형상의 받침턱(520)이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500) 상단부의 끝단 외주에 돌출형상의 다수개 걸림턱(521)이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200)의 사방측면에 나사에 의해 체결되는 측면판(400)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500)와 측면판(400)이 체결된 바닥판(200) 상부를 나사(600)에 의해 밀폐시키고, 상기 돌출부(500) 상단부의 걸림턱(521)이 삽입되기 위한 다수의 삽입홈(320)이 내주면 안쪽으로 다수개 형성된 제2결속구(310)가 다수개 구비된 블록캡(3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럭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원통형상의 돌출부(500) 상/하단부에 원주의 1/2이하에만 수직으 로 연장된 걸림편(530)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편(530)을 체결하기 위해 바닥판(200) 상부와 블록캡(300) 하부에 돌출형상의 끼움홈(230, 330)이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럭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원통형 또는 사면체형의 돌출부(500) 상/하단부 내주 공간 중앙부에 양쪽 끝단에 나사선이 형성된 길이가 긴 볼트(630)를 관통하기 위한 결합구(540)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구(540)를 중심으로 공간을 구획되는 보강선(541)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500)의 상/하부에 볼트(630)가 관통하기 위한 구멍(240, 340)이 형성된 바닥판(200)과 블록캡(300)을 설치한 후 블록캡(300)의 상부면에 구비된 구멍(340)을 통해 볼트(630)를 삽입시켜 돌출부(500)의 상/하부 결합구(540)를 통하여 바닥판(200)의 하부면에 구비된 구멍(240)까지 관통시킨후 바닥판(200)과 블록캡(300)으로 돌출된 볼트(630)에 제1,2와셔(241, 341)를 체결하고 너트(640)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럭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돌출부(500)를 밀폐시키기 위해 상부캡(350)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캡(350) 내부 둘레면에 나사선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캡(350)과 체결되기 위해 상기 돌출부(500) 상부의 외측 둘레에 나사선이 일부 형성되어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럭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측면판(400)의 외측 일면에 오목부(430)와 볼록부(435)를 구비하여 상기 측면판(4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럭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바닥판(200)의 사방 측면 둘레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수직으로 구비되고, 상기 수직의 상부면에 유로홈(261)이 형성된 제1연결부(260)와,
    상기 블록캡(300)의 사방 측면 둘레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수직으로 구비되고, 상기 블록캡(300) 저면부의 측면둘레와 근접한 일면에 받침돌기(362)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의 하부면에 제1체결턱(361)이 형성된 제2연결부(360)와,
    상기 바닥판(200)의 유로홈(261)과 슬라이드 형태로 체결되는 체결돌기(445)가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블록캡(300)의 제1체결턱(361)을 체결하는 제2체결턱(440)이 상부 일면에 구비되는 측면판(4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럭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바닥판(200)의 사방 측면 둘레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수직으로 구비되고, 상기 수직의 상부면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제1연결부(260)와,
    상기 블록캡(300)의 사방 측면 둘레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수직으로 구비되고, 상기 수직의 하부면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제2연결부(360)와,
    상기 바닥판(200) 제1연결부(260)의 수평면과 상기 블록캡(300) 제2연결부(360)의 수평면과 면접하도록 상/하단면에 수평으로 연장된 제3연결부(450)가 구비된 측면판(400)에 상기 측면판(400) 상하단부의 제3연결부(450)에 바닥판(200) 제1연결부(260)의 수평면과 상기 블록캡(300) 제2연결부(360)의 수평면이 서로 면 접하는 부위에 나사(600)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럭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바닥판(200)의 사방 측면 둘레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수직으로 구비되고, 상기 수직의 상부면에 유로홈(261)이 형성된 제1연결부(260)와,
    상기 블록캡(300)의 사방 측면 둘레에 하부로 연장되어 수직으로 구비되고, 상기 수직의 하부면에 유로홈(363)이 형성된 제2연결부(360)와,
    상기 바닥판(200)과 블록캡(300)의 각각 구비된 유로홈(261, 363)에 슬라이드 형태로 체결되는 체결돌기(445)가 상/하부에 구비되는 측면판(400)으로 상기 측면판(400)의 체결돌기(445)를 바닥판(200) 제1연결부(260)의 유로홈(261)과 블록캡(300) 제2연결부(360)의 유로홈(363)에 슬라이드 형태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럭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바닥판(200)의 사방 측면과 측면판(400)의 하부의 조립을 위해 모두 면접하는 선단에 서로 연결 결합할 수 있도록 힌지(280)를 구비하고 상기 서로 결합된 힌지 내부에 축핀(281)을 삽입하는 경첩형태의 결합수단을 구비하고,
    측면판(400) 상부의 체결돌기(445)에 블록캡(300)의 탄성체의 유로홈(363)을 삽입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럭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측면판(400)의 좌측 끝단면에서 직각의 돌출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장된 끝단면 일측에 걸림편(470)이 구비되고,
    상기 측면판(400)의 우측 끝단면에서 직각의 돌출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장된 끝단면 일측에 끼움홈(475)이 구비되는 측면판(400)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럭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측면판(400) 외측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상의 요철부(480)가 구비되며, 상기 요철부(480) 상/하부로 끼움홈(485)이 구비되고,
    상기 측면판(400)의 요철부(480)에 형성된 끼움홈(485)으로 바닥판(200)과 블록캡(300)을 체결하기 위해 상기 바닥판(200) 상부와 블록캡(300)의 하부에 직각의 돌출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장된 끝단면 일측에 걸림편(290, 390)이 구비되어 상기 측면판(400) 요철부(480)의 끼움홈(485)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럭 조립체
  12. 제1항에 있어서, 사방측면이 메쉬형상의 일체형으로 구성된 사방 측면지지대(490)가 구비되고, 상기 판상의 바닥판(200), 블록캡(300) 및 측면판(400)이 측면지지대(490) 외측 둘레면에 체결되기 위해 상기 측면지지대(490) 각각의 일측면에 대면하는 양측에 슬라이드형태로 체결하기 위해 유로홈(495)이 구비되어 판상의 바닥판(200), 블록캡(300) 및 측면판(400)이 상기 유로홈(495)을 따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럭 조립체
KR1020060053688A 2006-06-15 2006-06-15 식생블럭 조립체 KR100713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688A KR100713952B1 (ko) 2006-06-15 2006-06-15 식생블럭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688A KR100713952B1 (ko) 2006-06-15 2006-06-15 식생블럭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3952B1 true KR100713952B1 (ko) 2007-05-07

Family

ID=38269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688A KR100713952B1 (ko) 2006-06-15 2006-06-15 식생블럭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395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8527U (ko) * 1996-04-15 1997-11-10 안창석 법면보호를 위한 블록
JPH10315217A (ja) * 1997-05-15 1998-12-02 Nakata Giken:Kk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製造方法
KR20020021834A (ko) * 2000-09-18 2002-03-23 이호열 호안용 블럭
KR200300483Y1 (ko) * 2002-09-26 2003-01-14 원 회 양 문양표시를 할 수 있는 조립식 호안블럭
KR20040012407A (ko) * 2002-07-31 2004-02-11 주식회사 세일산업 식생블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8527U (ko) * 1996-04-15 1997-11-10 안창석 법면보호를 위한 블록
JPH10315217A (ja) * 1997-05-15 1998-12-02 Nakata Giken:Kk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製造方法
KR20020021834A (ko) * 2000-09-18 2002-03-23 이호열 호안용 블럭
KR20040012407A (ko) * 2002-07-31 2004-02-11 주식회사 세일산업 식생블록
KR200300483Y1 (ko) * 2002-09-26 2003-01-14 원 회 양 문양표시를 할 수 있는 조립식 호안블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L70588Y1 (pl) Uniwersalny element budowlany
US5921709A (en) Panel ditch check for temporary erosion and sediment control
CA2515927A1 (en) Freestanding wall structures made using sandbags
KR100704408B1 (ko) 식생용 블럭
KR100576508B1 (ko) 보강대가 구비된 블록을 사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시공방법
JP4707838B2 (ja) 係合壁建造ユニットを含む擁壁システム
KR100689761B1 (ko) 식생블럭 조립체
KR100928530B1 (ko) 콘크리트 법면보호공의 현장시공을 위한 거푸집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법면보호공법
KR100713952B1 (ko) 식생블럭 조립체
KR100553085B1 (ko) 보강대가 구비된 블록을 사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시공방법
KR100724286B1 (ko) 식생블럭 조립체
KR200185613Y1 (ko) 호안용 블록
KR100671796B1 (ko) 식생블럭 조립체
KR101501733B1 (ko) 친환경 프리캐스트 앵커고정 옹벽 구조물
KR100994426B1 (ko) 사면보강형 조경블럭
KR200430842Y1 (ko) 식생블럭 조립체
KR100720928B1 (ko) 친환경적인 건축단지용 옹벽구조
KR100719878B1 (ko) 식생블럭 조립체
KR101775431B1 (ko) 친환경 식생 호안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748926B1 (ko)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
KR20070053922A (ko) 식생용 조립식 옹벽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748933B1 (ko) 식생블럭 조립체
JP3586020B2 (ja) 擁壁の植栽方法と植栽可能な擁壁
KR100449642B1 (ko) 조립블록 및 그 조립블록을 이용한 옹벽
KR100712437B1 (ko) 식생용 옹벽블럭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