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8926B1 -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8926B1
KR100748926B1 KR1020060098754A KR20060098754A KR100748926B1 KR 100748926 B1 KR100748926 B1 KR 100748926B1 KR 1020060098754 A KR1020060098754 A KR 1020060098754A KR 20060098754 A KR20060098754 A KR 20060098754A KR 100748926 B1 KR100748926 B1 KR 100748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assembly
plate
block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8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예순
Original Assignee
이예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예순 filed Critical 이예순
Priority to KR1020060098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926B1/ko
Priority to PCT/KR2007/003189 priority patent/WO200802682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생이 필요치 않는 장소 또는 강물과 접하는 경사면의 하단부에 시공하는 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시공된 각 블럭간의 이탈방지를 위한 가로, 세로 방향의 연결 및 식생이 가능하고 현장에서 직접 시공이 편리한 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시공현장에서 직접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블럭의 유실 및 흘러내림이 방지되고 자연환경에 부합되는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구성은 상부 및 사방(四方)측면이 개방되어 있고, 바닥판은 바둑판 모양의 통기성 망상구조로 형성된 지지살로 이루어지고, 바닥판에 상부로 돌출된 “└┘”자 형상의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는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 상부에 구비된 돌출부들의 형태는 지그재그형태로 나열되어 구비되고,
상기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 외주 사방(四方) 둘레면의 이어지는 두면 끝단 상측부에 일정폭의 판상에 보강판이 구비되고,
상기 보강판에 일정간격으로 체결공이 구비되고,
상기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 외주 사방(四方) 둘레면의 이어지는 다른 두면 상측부에 상기 보강판의 체결공에 삽입되도록 체결핀이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들 사이를 구획하는 직선상의 공간부에 보강살을 안착하기 위한 다수개의 거치대가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의 저면부 지지살에 원뿔형상의 돌출핀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콘 크리트 타설 조립체를 제공한다.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Description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Concrete laying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의 사시도(1)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의 사시도(2)
도 3은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 “A” 부위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를 저면사시도 구성도
도 5는 도 4의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 조립의 “B”부위의 확대도
도 6은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를 조립한 조립사시도
도 7은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 분리도
도 8은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를 경사면에 시공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 100
바닥판 200
지지살 210
돌출핀 215
돌출부 300
보강판 400
체결공 410
체결핀 500
거치대 600
보강살 700
본 발명은 식생이 필요치 않는 장소 또는 강물과 접하는 경사면의 하단부에 시공하는 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시공된 각 블럭간의 이탈방지를 위한 가로, 세로 방향의 연결 및 식생이 가능하고 현장에서 직접 시공이 편리한 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시공현장에서 직접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블럭의 유실 및 흘러내림이 방지되고 자연환경에 부합되는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방 및 수로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 하천과 같은 수로 등에는 여러형태의 블럭 또는 식생블럭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블럭은 특히 홍수로 인한 제방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블럭의 시공면이 일정하면서 조밀한 상태가 되도록 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폭우로 인해 시공된 블럭 중에서 하나의 블럭이 유실되거나 이탈되는 경우에는 점차적으로 각 측면 및 저면이 밀착 고정된 각각의 호안블럭은 시간이 진행됨에 있어 유실되거나 심지어는 붕괴되는 상황까지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지금까지 법면이나 하천의 호안에서는 토양안정과 경사면 보호라는 측면을 최우선으로 중요시하여 콘크리트 옹벽이나 석축 및 콘크리트 블럭에 의해 일률적으로 시공이 이루어짐으로써 무미건조하고 딱딱한 느낌의 경관을 연출하고, 하천이나 도로변의 주변생태계와는 이질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에는 보다 조형미를 갖춘 콘크리트 블럭에 의한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콘크리트가 주는 딱딱한 느낌을 벗어나지 못하면서 자연친화적이고 경관을 고려한 환경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종래의 블럭들은 각각의 모양과,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어 지면에서 이탈되지 않게 개발되었으나, 우천시 블럭에 쌓인 토사들은 아무런 대책없이 흘러 내리는 구조로 인하여 블럭의 지지력이 약화되면서 제방의 붕괴, 침하 및 유실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블럭간의 시공에 있어 개별적인 블럭으로 조립하는 것으로 우천시 토사의 유실로 인해 하나의 블럭의 이탈이 연쇄적인 블럭의 이탈이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종래 블럭시공에 있어 경사면 하단부는 강물과 면접하기 때문에 콘크리트로 기초를 만들고 그 위로 블럭을 조립하는 방법으로 시공하고 있다.
이때 경사면 하단부에 콘크리트 기초를 쌓기 위해 별도의 거푸짚을 만들어 시공하여야 하는 관계로 경사면 블럭 시공에 따른 별도의 기초시공이 필요하며, 기초시공에 따른 시간적인 지연이 이루어져 블럭 시공 시간이 장기화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은 홍수 등 자연재해로부터 경사면 상부에 조립된 식생블럭 하부에 쌓인 토 양의 유실을 방지하고 또한, 식생블럭중 하나의 블럭도 홍수나 자연재해로부터 유실을 막을 수 있는 기초시공인 블럭을 제공하고, 현장에서 직접 블럭을 제조하기만 하면 되는 것으로 설치가 간단하고 어떠한 형태의 지면에서도 공사가 용이하게 하는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직접 시공현장에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를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정 양생기간을 지나면 일체형의 블럭몸체를 얻는 것으로 시공에서 설치까지 현장에서 직접할 수 있도록 하며 타측의 블럭간의 결합력 또는 원지반과의 결합력을 최대한으로 밀착시켜 상기 블럭을 연결시 이탈되지 않도록 상호 지지하고, 유수의 배출시 토사 유실과 시공의 편리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도 1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는 상부 및 사방(四方)측면이 개방되어 있고, 바닥판(200)은 바둑판 모양의 통기성 망상구조로 형성된 지지살(210)로 이루어지고, 바닥판(200)에 상부로 돌출된 “└┘”자 형상의 돌출부(300)를 형성하고 있는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 상부에 구비된 돌출부(300)들의 형태는 지그재그형태로 나열되어 구비되고,
상기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 외주 사방(四方) 둘레면의 이어지는 두면 끝단 상측부에 일정폭의 판상에 보강판(400)이 구비되고,
상기 보강판(400)에 일정간격으로 체결공(410)이 구비되고,
상기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 외주 사방(四方) 둘레면의 이어지는 다른 두면 상측부에 상기 보강판(400)의 체결공(410)에 삽입되도록 체결핀(500)이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300)들 사이를 구획하는 직선상의 공간부에 보강살(700)을 안착하기 위한 다수개의 거치대(600)가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200)의 저면부 지지살(210)에 원뿔형상의 돌출핀(215)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를 제공한다.
도 1과 도 2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에 있어서는 플라스틱 등 고분자물질을 이용하여 가열압축한 성형물로서 제조되어지며, 또한 나무를 톱밥과 같은 일정크기로 파쇄한 목분 60-80wt%에 접착성 수지와 같은 고분자 물질 40-20wt%로 혼합하여 바닥판 몰드에 성형하여 가열압착한 성형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에 있어서는 상부 및 사방(四方)측면이 개방되어 있는 바닥판(200)이 바둑판 모양의 통기성 망상구조로 형성된 지지살(215)로 이루어진 수평판상의 형태에 상기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의 상부면에 형성하기 위해 상부로 돌출된 “└┘”자 형상의 돌출부(300)를 형성하고 있는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를 제공하며 상기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 상부에 하나이상의 돌출부 형상의 “└┘”자 형상 또는 반원형상을 가진 돌출부(300)로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를 시공후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 상부로부터 콘크리트 유입시 하부로 흘러가는 콘크리트의 유속을 저하하여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 전면에 골고루 콘크리트가 분포하도록 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또한, 도 1과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 상부에 구비된 돌출부(300)들의 형태는 지그재그형태로 나열되어 구비되어 있어, 경사면 시공시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를 경사면 전면에 설치후 경사면 상부에 설치된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에 콘크리트를 유입하면 돌출부(300)가 지그재그형태로 구비되어 있어 하부로 흘러가는 콘크리트의 유속을 차단하여 돌출부(300)들 사이의 공간부에 콘크리트의 채움이 골고루 분포되도록 하기 위함으로 돌출부(300)의 형태를 지그재그로 구비한 형태를 제공한다.
도 1과 도 2에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 외주 사방(四方) 둘레면의 이어지는 두면 상측부에 일정폭의 판상에 보강판(400)이 구비되는 것에 있어, 상기 보강판(400)에 일정간격으로 체결공(410)이 구비되고, 상기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 외주 사방(四方) 둘레면의 이어지는 다른 두면 상측부에 상기 보강판(400)의 체결공(410)에 삽입되도록 체결핀(500)이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을 제공하며, 상기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간의 설치에 있어 다음과 같이 조립이 이루어진다.
먼저, 경사면에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를 설치한후 이 콘크리트 타설 조립 체(100)의 보강판(400)이 구비된 일측부에 다른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의 체결핀(500)이 구비된 일측부에 상기 체결핀(500)을 보강판(400)의 체결공(410)에 삽입하여 조립하며, 이때 하나의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에 구비된 이러지는 두면 상측부에 구비된 보강판(400)중 하나의 일면 상측부에 구비된 보강판(400)의 길이는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의 일면 길이와 동일하게 구비하고, 다른 일면 상측부에 구비된 보강판(400)의 길이는 보강판(400)의 폭만큼 빠지도록 짧게 구비하여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간의 연결에 있어 원활히 조립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보강판(400)의 길이가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의 일면과 동일한 일면에 있어 상기 일면과 이어지는 상측부에 체결핀(500)이 구비된 일면에는 보강판(400)의 폭만큼 빠지도록 절단되어 있으며, 이 절단된 면과 이어지는 상측부에 체결핀(500)이 구비된 일면의 길이는 원래의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의 일면의 길이를 유지하여 각각의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의 연결에 있어 원활히 조립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상기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의 둘레면에 보강판(400)이 짧게 구비하는 것과 보강판(400)의 폭만큼 빠지도록 절단되어 형성되는 것은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들을 각각 연결시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 사방(四方)면에 연결된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들의 조립되는 구획부에 어긋남이 없거나 견고히 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조립시 보강판(400)이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의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조립되어 물리적인 충격에 이탈 및 변형이 이루어지는 것을 막아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보강판(400)의 두께와 체결핀(500)의 높이는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의 측면부의 두께와 동일하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와 도 7과 같이 경사면에 설치된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 상부에 구비된 돌출부(300)들 사이의 직선상의 공간부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거치대(600)를 형성하고, 상기 거치대(600)는 일정간격으로 외주에 마디가 구비된 콘크리트용 이형봉강(미도시)을 이용하여 휨 또는 절곡작업을 통해 중간에 직선모양의 이형봉강의 보강살(700)을 안착할 수 있도록 “U”자 형태를 구비하는 거치대(600)를 도 3의 확대도와 같이 제공한다.
도 6와 도 7에서 상기 거치대(600)의 중간부에 형성된 “U”자 형태에 보강살(700)을 안착하면 보강살(700)의 높이는 돌출부(300)의 중간지점에 위치할 수 있도록 거치대(60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의 돌출부(300)들 사이의 직선상의 공간부에 거치대(600)를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거치대(600)를 통해 보강살(700)을 안착하여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유입하여 경사면에 블럭을 시공하게 된다.
상기 콘크리트를 유입하는 과정에 있어 콘크리트의 높이와 돌출부(300)의 상부면과 수평을 유지하도록 콘크리트를 유입하며, 상기 콘크리트 유입후 경화가 진행되며, 일체형의 블럭이 이루어진다.
도 4와 도 5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200)의 저면부 지지살(210)에 원뿔형상의 돌출핀(215)이 형성되어 있어, 경사면이 평탄화된 형태로 토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 재질의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는 미끄러지기 쉬워 이러한 이유를 방지하기 위해 바닥판 저면부의 지지살에 돌출핀이 형성됨으로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의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를 이용한 도 8과 같이 경사면 시공에 있어 다수개의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를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의 보강판(400)이 구비된 일측부에 다른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의 체결핀(500)이 구비된 일측부에 상기 체결핀(500)을 보강판(400)의 체결공(410)에 삽입하여 조립하는 방법으로 경사면의 전면에 설치하고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의 하나의 행 또는 열을 기점으로 일정 개수의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의 상부면에 콘크리트 유입시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다수개의 보강살(500)를 설치하는 것에 있어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의 돌출부(300)들 사이에 직선상의 공간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거치대(600))에 보강살(700)를 안착한 후 경사면에 설치된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의 상측면으로부터 콘크리트를 유입시켜 점차 콘크리트 유입물이 아래로 흘러 유입되면서 경사면 아래에 설치된 콘크리트 타 설 조립체(100)부터 콘크리트 유입물이 채워져 점차적으로 경사면 상부에 설치된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로 채워져 경사면 전면 또는 일정면에 설치된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 내부 공간에 모두 채워지면 타설을 중지하고, 일정시간의 양생기간이 지나면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의 콘크리트 몸체로 된 블럭이 완성하게 된다.
상기 경사면에 설치된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에 콘크리트의 채움이 돌출부(300)의 상부면과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경사면의 면적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를 전면 또는 부분면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유입시켜주는 것이 경사면에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를 설치하는 시공에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를 경사면에 설치하여 콘크리트 타설 후 경사면 상부에 콘크리트로 타설된 블럭을 직접 제조하는 것으로 경사면 전체 또는 일부면(경사면 하단부 또는 상단부)이 일체형의 블럭으로 구성되어 있어 경사면에 설치시에 부분적으로 블럭의 이탈됨을 방지하고, 또한 우천시 블럭의 이탈을 방지하며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부 및 사방(四方)측면이 개방되어 있고, 바닥판(200)은 바둑판 모양의 통기성 망상구조로 형성된 지지살(210)로 이루어지고, 바닥판(200)에 상부로 돌출된 “└┘”자 형상의 돌출부(300)를 형성하고 있는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 상부에 구비된 돌출부(300)들의 형태는 지그재그형태로 나열되어 구비되고,
    상기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 외주 사방(四方) 둘레면의 이어지는 두면 끝단 상측부에 일정폭의 판상에 보강판(400)이 구비되고,
    상기 보강판(400)에 일정간격으로 체결공(410)이 구비되고,
    상기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100) 외주 사방(四方) 둘레면의 이어지는 다른 두면 상측부에 상기 보강판(400)의 체결공(410)에 삽입되도록 체결핀(500)이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300)들 사이를 구획하는 직선상의 공간부에 보강살(700)을 안착하기 위한 다수개의 거치대(600)가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200)의 저면부 지지살(210)에 원뿔형상의 돌출핀(21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
KR1020060098754A 2006-09-01 2006-10-11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 KR100748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754A KR100748926B1 (ko) 2006-10-11 2006-10-11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
PCT/KR2007/003189 WO2008026822A1 (en) 2006-09-01 2007-06-29 Block assembly for pla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754A KR100748926B1 (ko) 2006-10-11 2006-10-11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441U Division KR200433084Y1 (ko) 2006-09-28 2006-09-28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8926B1 true KR100748926B1 (ko) 2007-08-14

Family

ID=38602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8754A KR100748926B1 (ko) 2006-09-01 2006-10-11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89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2449A (en) * 1994-07-22 1998-06-09 Hey; Donald L. River or lake bottom apparatus for scavenger fish control
JPH10331126A (ja) * 1997-06-02 1998-12-15 Ohbayashi Corp 漂砂制御用ブロック体及び該ブロック体の設置方法
US6250845B1 (en) * 1999-06-04 2001-06-26 Gary Deaton Erosion control apparatus
KR200247025Y1 (ko) * 2001-06-12 2001-10-29 이기열 경사지 보호용 보호덥개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2449A (en) * 1994-07-22 1998-06-09 Hey; Donald L. River or lake bottom apparatus for scavenger fish control
JPH10331126A (ja) * 1997-06-02 1998-12-15 Ohbayashi Corp 漂砂制御用ブロック体及び該ブロック体の設置方法
US6250845B1 (en) * 1999-06-04 2001-06-26 Gary Deaton Erosion control apparatus
KR200247025Y1 (ko) * 2001-06-12 2001-10-29 이기열 경사지 보호용 보호덥개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3729B2 (en)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101707523B1 (ko) 사면 보강 및 급속시공을 위한 계단식 옹벽 시공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MX2011008726A (es) Bloque modular.
KR200429718Y1 (ko)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록
KR100824713B1 (ko) 피씨벽판을 이용한 선반식 옹벽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748926B1 (ko)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
KR200433084Y1 (ko)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
KR20050035408A (ko) 전면 구배 조정수단이 구비된 식재 옹벽블록
KR20060031586A (ko) 식생블럭 조립체
KR20080114297A (ko) 소하천 아치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0723646B1 (ko) 옹벽격자블록
JP2009046942A (ja) 擁壁用基礎ブロック
KR100720928B1 (ko) 친환경적인 건축단지용 옹벽구조
KR100724286B1 (ko) 식생블럭 조립체
KR100719878B1 (ko) 식생블럭 조립체
KR200430842Y1 (ko) 식생블럭 조립체
KR100465828B1 (ko) 식생 옹벽블럭
JP7169596B2 (ja) 積みブロック擁壁構造及び積みブロック
KR100950092B1 (ko)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671796B1 (ko) 식생블럭 조립체
US20230295894A1 (en) Retaining wall structure
KR102371639B1 (ko) 결합력을 향상시킨 옹벽블록
KR102244753B1 (ko) 친환경 목재 옹벽
CN215594102U (zh) 一种适用于重力式挡土墙的防洪平台
KR100449642B1 (ko) 조립블록 및 그 조립블록을 이용한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