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316A - 결속형 잔디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식생로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결속형 잔디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식생로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316A
KR20190010316A KR1020170092938A KR20170092938A KR20190010316A KR 20190010316 A KR20190010316 A KR 20190010316A KR 1020170092938 A KR1020170092938 A KR 1020170092938A KR 20170092938 A KR20170092938 A KR 20170092938A KR 20190010316 A KR20190010316 A KR 20190010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ss
binding
upper plate
wall
pl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0135B1 (ko
Inventor
경갑수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92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135B1/ko
Publication of KR20190010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of plastics, e.g. concrete with plastics, linole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속형 잔디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식생로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대량생산과 취급 및 시공에 유리하도록 경량의 합성수지를 소재로 사용하면서도 서로를 안정적으로 결속시켜주는 결속구조에 의해 군집을 이루면서 토사의 유실이나 쏠림, 인접한 잔디블록의 개별 손상에도 지속적으로 잔디 생장에 필요한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수개가 수평하게 결속되어 매트릭스 형태의 군집을 이루면서 잔디의 생장을 돕도록 한 것으로,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여 사출성형되며, 지면의 토사로부터 잔디가 관통하여 생장할 수 있도록 한 다수의 잔디공이 형성되고, 전측단부와 후측단부 중 어느 한 곳과 좌측단부와 우측단부 중 어느 한 곳에 각각 결속공이 형성된 사각 형상의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측단부에서 사방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로 하향 형성되어 지면에 대하여 상기 상판부를 지지하는 외벽부와; 상기 상판부의 사방 측단부 중 상기 결속공이 형성되지 않은 측단부 두 곳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이웃하고 있는 결속형 잔디블록의 결속공에 결속되도록 한 결속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결속형 잔디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식생로드 시공방법{CONNECTING TYPE GRASS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OF PLANTATION LOA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잔디블록에 관한 것으로, 대량생산과 취급 및 시공에 유리하도록 경량의 합성수지를 소재로 사용하면서 서로를 안정적으로 결속시켜주는 결속구조에 의해 군집을 이루면서 토사의 유실이나 쏠림, 인접한 잔디블록의 개별 손상에도 지속적으로 잔디 생장에 필요한 환경을 제공하는 결속형 잔디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식생로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단지, 하천변, 운동장, 주차장 등 대단위 면적의 바닥에는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바닥을 형성하게 된다.
하지만 이렇게 바닥을 형성하기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지면을 완전히 덮게 형성되기 때문에 충분한 녹지공간이 조성될 수가 없어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주지 못하는 등 자연친화적이지 못하였다.
또한, 무더운 여름철에 급격히 상승한 지열을 흡수하지 못하여 주변의 온도를 상승시켜 주차된 차량이 손상되고 열섬효과를 일으켜 보행자들에게 큰 불편을 일으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바닥을 형성하지 않고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쉽게 설치할 수 있는 잔디블록을 사용하게 되었다. 예컨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690277호(2016.12.21)에는 그와 같은 콘크리트 잔디블록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잔디블록의 구성에 따르면 서로 연속적으로 인접 설치된 상태에서 잔디가 식생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우천시 빗물을 흡수하여 흐르게 하면서 근접한 식물이 생장할 수 있게 하며, 무더운 여름철에는 지열을 흡수하여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잔디블록은 단순히 연속적으로 인접하는 구성에 의해 수평방향으로의 유동을 줄일 수는 있지만 상하로 개별 유동하는 것을 막지 못하여 안정성이 부족하고 지면의 토사가 유실되거나 폭우 등으로 토사가 쏠리는 현상이 일어나면 잔디블록 자체가 부분적으로 유실되는 문제를 막을 수 없었다.
또한, 종래의 콘크리트 잔디블록의 경우 중량이 크기 때문에 물류와 취급이 어렵고 시공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잔디가 심어진 인근에서 높은 하중으로 작용하여 잔디 뿌리의 생장을 방해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690277호(2016.12.21)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대량생산과 취급 및 시공에 유리하도록 경량의 합성수지를 소재로 사용하면서 서로를 안정적으로 결속시켜주는 결속구조에 의해 군집을 이루면서 토사의 유실이나 쏠림, 인접한 잔디블록의 개별 손상에도 지속적으로 잔디 생장에 필요한 환경을 제공하는 결속형 잔디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식생로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기술보다 평탄화가 용이하여 시공비용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결속형 잔디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식생로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결속형 잔디블록은, 다수개가 수평하게 결속되어 매트릭스 형태의 군집을 이루면서 잔디의 생장을 돕도록 한 결속형 잔디블록으로서,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여 사출성형되며, 지면의 토사로부터 잔디가 관통하여 생장할 수 있도록 한 다수의 잔디공이 형성되고, 전측단부와 후측단부 중 어느 한 곳과 좌측단부와 우측단부 중 어느 한 곳에 각각 결속공이 형성된 사각 형상의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측단부에서 사방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로 하향 형성되어 지면에 대하여 상기 상판부를 지지하는 외벽부와; 상기 상판부의 사방 측단부 중 상기 결속공이 형성되지 않은 측단부 두 곳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이웃하고 있는 결속형 잔디블록의 결속공에 결속되도록 한 결속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속공은 상기 상판부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요입되어 형성된 안착홈 안쪽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속돌부는, 상기 상판부의 측단부로부터 수평하게 돌출되어 이웃한 결속형 잔디블록의 안착홈에 걸쳐져 안착되도록 한 수평연장부와, 상기 수평연장부의 끝단에서 하향 연장되어 상기 결속공에 끼워지도록 한 수직연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잔디공은 상기 상판부에서 복수의 행, 열로 배치되며, 상기 상판부의 하측에는 복수의 전후방향 격벽과 복수의 좌우방향 격벽이 교차 형성되어 상기 잔디공 각각을 담당하는 다수의 단위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벽부 중 좌측 외벽부 및 우측 외벽부의 하단부, 전후방향 격벽의 하단부에는 좌우방향으로 연통하는 절개부가 일렬로 형성되고, 상기 외벽부 중 전측 외벽부 및 후측 외벽부의 하단부, 좌우방향 격벽의 하단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연통하는 절개부가 일렬로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들을 통하여 배수가 이루어지고 잔디의 뿌리가 수평방향으로 뻗으면서 생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벽부의 하단부에는 다수의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좌우방향 격벽, 전후방향 격벽의 하단부는 상기 외벽부의 하단부보다 높게 형성되어 지면으로부터 들려진 상태가 되면서 그 들려진 공간을 통하여 배수가 이루어지고 잔디의 뿌리가 수평방향으로 뻗으면서 생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벽부는 내측벽과 외측벽이 서로 이격을 두고 형성된 이중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판부의 둘레부 중 상기 내측벽과 외측벽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을 따라 다수의 배수구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이웃한 잔디블록의 상판부를 타고 외부에서 흘러들어오는 물이 상기 잔디공을 통해 대량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식생로드는, 전술된 결속형 잔디블록 다수개가 매트리스 형태로 결속되어 이루어진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결속형 잔디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식생로드 시공방법은 경량의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기 때문에 대량생산과 취급 및 시공에 유리하며, 결속돌부에 의해 서로를 안정적으로 결속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 및 유지, 관리에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결속돌부에 의해 매트리스 형태로 견고하게 결속된 군집을 이루기 때문에 토사의 유실이나 쏠림, 인접한 잔디블록의 개별 손상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잔디 생장에 필요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판부 둘레부를 따라 다수의 배수구가 형성된 구성에 의해 잔디가 완전히 뿌리 내리지 못한 시공 초기에 다량의 물이 잔디공을 통해 유입되면서 토사가 침식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결속형 잔디블록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결속형 잔디블록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결속형 잔디블록의 결속된 형태를 보인 참조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결속형 잔디블록의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결속형 잔디블록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시공된 후, 식생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속형 잔디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생로드 시공방법을 종래기술과 대비하여 보여주는 플로우차트.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결속형 잔디블록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결속형 잔디블록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결속형 잔디블록(100)은 다수개가 수평하게 결속되어 매트릭스 형태의 군집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주차장, 옥상, 현관, 산책로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경량의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기 때문에 대량생산과 취급 및 시공에 유리하고 결속구조에 의해 서로를 안정적으로 결속시켜 군집을 이루기 때문에 토사의 유실이나 쏠림, 인접한 잔디블록의 개별 손상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지속적으로 잔디 생장에 필요한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결속형 잔디블록(1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결속형 잔디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결속형 잔디블록의 결속된 형태를 보인 참조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결속형 잔디블록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결속형 잔디블록의 저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결속형 잔디블록은 한 쌍의 결속공(113)을 구비한 상판부(110)와, 외벽부(120)와, 한 쌍의 결속돌부(130)와, 전후방향 격벽(140a) 및 좌우방향 격벽(140b)을 구성요소로 하며 합성수지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부(110)는 지면의 토사로부터 잔디가 관통하여 생장할 수 있도록 한 다수의 잔디공(111)을 구비하고, 전측단부와 좌측단부에 각각 결속공(113)이 형성된 사각 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상판부(110)의 잔디공(111)은 복수의 행과 열로 배치되는데, 예시된 도면에 따르면 사각 통공의 형상을 갖는 잔디공(111)이 3행 3열로 배치되었음을 볼 수 있다.
상기 상판부(110)에 형성된 결속공(113)은 상기 상판부(110)의 전측단부와 좌측단부 상면에서 하향으로 요입되어 형성된 안착홈(112) 안쪽으로 형성된다. 이같은 결속공(113)이 상판부(110)에 형성되면 전측과 좌측에서 각각 이웃하고 있는 결속형 잔디블록의 결속돌부(130)가 끼워져 견고하게 결속된다. 여기서 상기 결속공(113)이 상판부(110) 상면에 곧바로 형성되지 않고 안착홈(112)이 먼저 형성된 후 그 안착홈(112)의 안쪽으로 형성되었다는 점에 주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속돌부(130)가 안착홈(112)에 안착된 상태에서 결속되기 때문에 보다 안정된 결속이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무엇보다도 상기 결속돌부(130)가 상판부(110)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고 동일면을 이루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상판부(110)의 둘레부 중 상기 내측벽(120a)과 외측벽(120b)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을 따라 다수의 배수구(114)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는 점에 주목할 수 있다. 이같은 다수의 배수구(114)는 상기 잔디공(111)과 전혀 다른 목적을 위해 마련된 것으로 이웃한 잔디블록의 상판부(110)를 타고 외부에서 흘러들어오는 물이 상기 잔디공(111)을 통해 대량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결속형 잔디블록의 시공 초기에 잔디가 완전히 뿌리내리지 않은 상태에서 청소나 우천으로 인해 과도한 양의 물이 잔디공(111)을 통해 유입되면서 잔디 생장에 필요한 토사가 침식되어 유실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외벽부(120)는 상판부(110)의 측단부에서 사방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로 하향 형성되어 지면에 대하여 상기 상판부(1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외벽부(120)는 내측벽(120a)과 외측벽(120b)이 서로 이격을 두고 형성된 이중벽으로 형성된다. 이같이 상기 외벽부(120)가 내측벽(120a)과 외측벽(120b)의 이중벽으로 형성되면 전술된 다수의 배수구(114)와 연통하여 다량의 물이 잔디공(111) 쪽의 토사로 흐르지 않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중벽 구조에 의해 경량을 유지하면서도 상판부(110)를 지지하는 지지강도를 매우 높은 수준으로 형성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상기 외벽부(120)의 하단부에는 상기 전후방향 격벽(140a)과 좌우방향 격벽(140b)의 하단부에 형성된 절개부(141)와 일렬 배치되어 연통하는 다수의 절개부(121)가 형성된다. 이같은 외벽부(120)의 절개부(141)는 차후에 설명되겠지만 상기 전후방향 격벽(140a)과 좌우방향 격벽(140b)의 하단부에 형성된 절개부(141)와 함께 배수 및 뿌리의 생장을 돕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속돌부(130)는 이웃하고 있는 결속형 잔디블록의 결속공(113)에 결속되어 다수의 결속형 잔디블록이 상호 결속될 수 있는 결속구조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결속돌부(130)는 도 2의 확대부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상판부(110)의 사방 측단부 중 후측 측단부와 우측 측단부로부터 각각 수평하게 형성되어 우측과 후측에서 각각 이웃하고 있는 결속형 잔디블록의 안착홈(112)에 안착되는 수평연장부(131)와, 상기 수평연장부(131)의 끝단에서 하향 연장되어 안착홈(112) 안쪽에 형성되어 있는 결속공(113)에 끼워지는 수직연장부(132)로 이루어진다. 이같은 구성의 결속돌부(130)는 마치 걸고리와 같은 형태를 하고 있어서 결속형 잔디블록 간을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결속형 잔디블록이 매트리스 형태의 군집으로 결속된 상태가 되면 일부 결속형 잔디블록이 개별 손상되더라도 전체적으로 매트리스 형태의 군집을 계속 유지하면서 잔디 생장에 필요한 환경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은 결속돌부(130)의 구성에서 수평연장부(131)가 안착홈(112)에 안착된 상태가 되면 도 3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잔디블록 간 완전히 밀착되어 보다 안정된 결속이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무엇보다도 상기 결속돌부(130)가 상판부(110)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고 동일면을 이루는 장점이 있어서 결속돌부(130)의 돌출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고 외부 하중으로 인해 충격이 가해지면서 결속돌부(130)가 손상되는 문제도 없다.
상기 전후방향 격벽(140a) 및 좌우방향 격벽(140b)은 도 4 및 도 5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상기 상판부(110)의 하측에서 복수개가 교차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이때 각각의 잔디공(111)을 담당하는 다수의 단위공간(S)을 형성시킨다. 이같은 소규모의 단위공간(S)은 잔디가 뿌리 내리는 토사를 유실되지 않도록 보다 효과적으로 붙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전후방향 격벽(140a) 및 좌우방향 격벽(140b)은 상기 외벽부(120)와 함께 상판부(110)를 지지하면서 상측에서 가해지는 높은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경량의 고강도 구조를 구현한다.
상기 전후방향 격벽(140a)과 좌우방향 격벽(140b)의 하단부에는 외벽부(120) 하단부와 마찬가지로 절개부(141)가 형성된다. 이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외벽부(120) 중 좌측 외벽부(120) 및 우측 외벽부(120)의 하단부, 전후방향 격벽(140a)의 하단부에는 좌우방향으로 연통하는 절개부가 일렬로 형성되고, 상기 외벽부(120) 중 전측 외벽부(120) 및 후측 외벽부(120)의 하단부, 좌우방향 격벽(140b)의 하단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연통하는 절개부가 일렬로 형성된다. 이들 일렬로 연통하는 절개부(141)들이 형성되면 외벽부(120)와 전후방향 격벽(140a) 및 좌우방향 격벽(140b)이 형성되어 안정된 지지 강도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결속형 잔디블록의 하측에서 원활하게 배수가 이루어지며 잔디의 뿌리가 수평방향으로 뻗으면서 생장하는데 도움이 된다.
단 여기서, 상기 전후방향 격벽(140a)과 좌우방향 격벽(140b)의 하단부에 절개부(141)가 형성되는 대신 상기 전후방향 격벽(140a)과 좌우방향 격벽(140b)의 하단부 높이가 외벽부(120)의 하단부보다 높게 형성된다면 마치 하단부에 절개부(141)가 형성된 것처럼 지면으로부터 들려진 상태가 되어 그 들려진 공간을 통하여 배수가 이루어지고 잔디의 뿌리가 수평방향으로 뻗으면서 생장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처럼 상기 전후방향 격벽(140a)과 좌우방향 격벽(140b)의 하단부가 지면으로부터 들려진 상태가 되면 배수와 잔디 뿌리의 생장을 위한 더 넓은 틈새 공간을 형성한다는 측면에서 장점이 될 수 있지만 상측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지지력은 상대적으로 약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후방향 격벽(140a)과 좌우방향 격벽(140b)의 하단부에 절개부(141)가 형성된 상태임에도 전후방향 격벽(140a)과 좌우방향 격벽(140b)의 하단부 높이가 외벽부(120)의 하단부보다 높게 형성되는 복합구성도 가능하며 도면에는 그와 같은 구성이 예시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시공된 후, 식생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잔디블록은 식생로드를 통행하는 사람 또는 자동차의 타이어가 잔디블록(100)의 상면에 지지되는 구조가 되므로, 식생되는 식물의 뿌리가 보호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속형 잔디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잔디블록은 키(210) 및 고정자(220)로 이루어진 고정열쇠(200)와, 이 열쇠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열쇠홈(H)을 구성하여 잔디블록간에 임의로 분리되는 문제점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고정자(220)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는 고정자홈(h)이 열쇠홈(H)의 하단에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생로드 시공방법을 종래기술과 대비하여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잔디블록을 사용한 식생로드의 시공은 기존기술과 다른 편리함과 시공비의 절감을 갖도록 한다. 즉, 기존(도 9-(a))은 돌부리, 절개지 등의 정리가 이루어지는 기초작업 → 잔디블록의 설치 높이를 맞추기 위한 배토작업과 평탄화 작업 → 블록설치 → 흙채움 및 식생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배토작업은 통상 모래로 이루어져 시공비의 상승요인이되고, 작업시간의 길어지는 가장 큰 요인이다. 이에 대해 본 발명(도 9-(b))은 기초작업과 식생 후 다짐만으로 잔디블록의 높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어 작업시간과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상판부 111 : 잔디공
112 : 안착홈 113 : 결속공
114 : 배수구 120 : 외벽부
121, 141 : 절개부 120a : 내측벽
120b : 외측벽 130 : 결속돌부
131 : 수평연장부 132 : 수직연장부
140a : 전후방향 격벽 140b : 좌우방향 격벽

Claims (7)

  1. 다수개가 수평하게 결속되어 매트릭스 형태의 군집을 이루면서 잔디의 생장을 돕도록 한 결속형 잔디블록으로써,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여 사출성형되며,
    지면의 토사로부터 잔디가 관통하여 생장할 수 있도록 한 다수의 잔디공이 형성되고, 전측단부와 후측단부 중 어느 한 곳과 좌측단부와 우측단부 중 어느 한 곳에 각각 결속공이 형성된 사각 형상의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측단부에서 사방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로 하향 형성되어 지면에 대하여 상기 상판부를 지지하는 외벽부와;
    상기 상판부의 사방 측단부 중 상기 결속공이 형성되지 않은 측단부 두 곳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이웃하고 있는 결속형 잔디블록의 결속공에 결속되도록 한 결속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형 잔디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공은 상기 상판부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요입되어 형성된 안착홈 안쪽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속돌부는, 상기 상판부의 측단부로부터 수평하게 돌출되어 이웃한 결속형 잔디블록의 안착홈에 걸쳐져 안착되도록 한 수평연장부와, 상기 수평연장부의 끝단에서 하향 연장되어 상기 결속공에 끼워지도록 한 수직연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형 잔디블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공은 상기 상판부에서 복수의 행, 열로 배치되며,
    상기 상판부의 하측에는 복수의 전후방향 격벽과 복수의 좌우방향 격벽이 교차 형성되어 상기 잔디공 각각을 담당하는 다수의 단위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형 잔디블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 중 좌측 외벽부 및 우측 외벽부의 하단부, 전후방향 격벽의 하단부에는 좌우방향으로 연통하는 절개부가 일렬로 형성되고, 상기 외벽부 중 전측 외벽부 및 후측 외벽부의 하단부, 좌우방향 격벽의 하단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연통하는 절개부가 일렬로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들을 통하여 배수가 이루어지고 잔디의 뿌리가 수평방향으로 뻗으면서 생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형 잔디블록.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의 하단부에는 다수의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좌우방향 격벽, 전후방향 격벽의 하단부는 상기 외벽부의 하단부보다 높게 형성되어 지면으로부터 들려진 상태가 되면서 그 들려진 공간을 통하여 배수가 이루어지고 잔디의 뿌리가 수평방향으로 뻗으면서 생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형 잔디블록.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는 내측벽과 외측벽이 서로 이격을 두고 형성된 이중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판부의 둘레부 중 상기 내측벽과 외측벽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을 따라 다수의 배수구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이웃한 잔디블록의 상판부를 타고 외부에서 흘러들어오는 물이 상기 잔디공을 통해 대량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형 잔디블록.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결속형 잔디블록 다수개가 매트리스 형태로 결속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로드.
KR1020170092938A 2017-07-21 2017-07-21 결속형 잔디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식생로드 시공방법 KR102030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938A KR102030135B1 (ko) 2017-07-21 2017-07-21 결속형 잔디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식생로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938A KR102030135B1 (ko) 2017-07-21 2017-07-21 결속형 잔디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식생로드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316A true KR20190010316A (ko) 2019-01-30
KR102030135B1 KR102030135B1 (ko) 2019-10-08

Family

ID=65277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938A KR102030135B1 (ko) 2017-07-21 2017-07-21 결속형 잔디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식생로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1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871B1 (ko) * 2022-08-01 2024-04-18 에코텍 주식회사 식물 부산물 재활용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잔디 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2764Y1 (ko) * 1996-04-15 1999-06-01 안창석 법면보호를 위한 블록
JP2003047346A (ja) * 2001-07-31 2003-02-18 Nobuaki Debari 緑化用植栽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90277B1 (ko) 2016-03-31 2016-12-27 한림로덱스(주) 콘크리트 잔디블록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2764Y1 (ko) * 1996-04-15 1999-06-01 안창석 법면보호를 위한 블록
JP2003047346A (ja) * 2001-07-31 2003-02-18 Nobuaki Debari 緑化用植栽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90277B1 (ko) 2016-03-31 2016-12-27 한림로덱스(주) 콘크리트 잔디블록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0135B1 (ko) 201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07061A (zh) 用于铺面的透水式地格
JP3813934B2 (ja) 緑化体
KR20120049106A (ko) 조립식 호안블록
KR20190010316A (ko) 결속형 잔디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식생로드 시공방법
KR200461229Y1 (ko) 식생 옹벽블록
KR100523965B1 (ko) 건축용 조경블럭
KR200455472Y1 (ko) 식생 보호판
KR101989538B1 (ko) 잔디 모듈
KR100807771B1 (ko) 잔디블럭 구조물
KR101122412B1 (ko) 잔디블럭
KR200379935Y1 (ko) 교체 가능한 주차장 잔디 보호대
KR200430140Y1 (ko) 잔디보호블럭
KR200369540Y1 (ko) 벌집형 조립식 저류 식생매트
KR200175370Y1 (ko) 잔디 블록
JP5026868B2 (ja) 地被植物保護板
KR200430137Y1 (ko) 잔디보도블럭
KR100619528B1 (ko) 건축단지용 조립식화단
KR101354694B1 (ko) 생태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축조방법
JP5440855B2 (ja) 植物保護資材
CN215223341U (zh) 一种用于混凝土挡土墙生态改造的挂壁式花槽
KR101321965B1 (ko) 식재 팔레트 및 이를 이용한 조경 시설
KR101067829B1 (ko) 잔디블록
KR100886952B1 (ko) 식생 블록 유니트
KR200283005Y1 (ko) 도로 비탈면의 유실방지용 합성골판 콘크리트블록 구조
KR101064535B1 (ko) 잔디보호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