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040B1 -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 - Google Patents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040B1
KR102182040B1 KR1020190100920A KR20190100920A KR102182040B1 KR 102182040 B1 KR102182040 B1 KR 102182040B1 KR 1020190100920 A KR1020190100920 A KR 1020190100920A KR 20190100920 A KR20190100920 A KR 20190100920A KR 102182040 B1 KR102182040 B1 KR 102182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dy
block
sensor
sensor arrangement
smar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수
김종원
원덕희
서지혜
Original Assignee
부산항만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항만공사 filed Critical 부산항만공사
Priority to KR1020190100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0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은 서로 대향하는 상면과 하면 및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을 포함하는 블록몸체; 및 상기 블록몸체에 매설되고, 외부 기기와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센서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 {A BLOCK FOR SMART PORT CREATION}
본 발명은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 항만에 설치되는 블록몸체 내부에 외부 기기와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센서배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배치부에 무인 운반차의 경로를 가이드하는 AGV가이드센서를 포함함으로써, 블록몸체의 손쉬운 개방으로 인해 상기 AGV가이드센서의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스마트 항만 관리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항만이란 자동화,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정보통신기술(ICT)등 4차 산업 기술을 이용해 자동적, 자율적으로 물류 흐름을 최적화하는 항만을 의미한다.
따라서, 스마트 항만은 항만물류장비와 인프라, 항만운영시스템 및 관련 시설물의 무인자동화와 친환경화 함으로써 종래의 항만보다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점이 있다.
이에, 종래의 항만이 스마트 항만으로 변화하기 위해서는 4차 산업 기술이 융합된 항만 자동화가 필요하다.
항만 자동화는 항만 운영 시스템이나 하역, 적재, 운송을 위한 장비등 항만의 모든 부분에서 나타나게 되는데, 일예로, 사물인터넷(IoT)기술을 이용해 컨테이너 차량의 위치 정보와 운송 중 온도와 습도 등 정보를 제공해주며, 정보통신기술(ICT)와 빅데이터 기술을 이용해 선석, 장비, 공간 활용을 최적화하고 가용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이며 물동량과 기향 패턴 등을 분석해 최적화된 운영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RFID, GPS 등의 기술을 기반으로 화물 추적 시스템과 게이트 자동화 시스템은 컨테이너 검색과 화물 추적으로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가시성이 확보되어 위험물 관리 등 물류 보안에 핵심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항만은 환경 보호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이는 기존의 항만들과 달리 상기 스마트 항만의 무인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이 배터리방식의 자가운반하역차량, 즉 무인 운반차(AGV, Automated Guided Vehicles)와 전기로 작동하는 하역 장비를 활용하는 등 항만에서 사용되는 안벽 장비, 이송장비, 야드 장비 등 모든 하역 시설들에 바이오와 친환경 연료를 이용하여 대기오염, 소음, 진동 피해 등을 최소화하는 친환경적인 항만을 만들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마트 항만에서 중요한 역활을 수행하고 있는 무인 운반차는 자체의 동력으로 독립적으로 동작하고, 정의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자재 운반 시스템으로, 지면의 자성 도료로 칠해진 운반 경로나 바닥 밑에 설치된 유도용 전선 등과 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물체를 운반하는 대차이다.
또한, 상기 무인 운반차는 고무 타이어로 바닥면과 접촉하고,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하여 주행하는 것으로, 외부 제어가 가능한 전용기 자동차이다.
따라서, 종래의 항만에서 사용되고 있는 무인 운반차는 무인 운반차를 가이드하는 유도용 전선 또는 유도 센서가 지면에 내설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경우 특정 부분의 유도 센서에 보수가 필요할 경우 넓은 범위의 도로를 파헤치는 개보수 공사를 실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보수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할 뿐 아니라 보수에 많은 인력 및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스마트 항만에서 주행하는 무인 운반차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센서 또는 유도센서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사용 중 유도 센서의 유지 보수가 경제적이고 안정적이면서도 효율적인 스마트 항만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항만 조성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 KR 10-2013-0020133 (공개 일자 2013년 02월 27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 하면 및 측면을 갖는 블록몸체의 내부에 무인 운반차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AGV가이드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배치부를 구비함으로써, 무인 운반차의 주행을 위한 AGV가이드센서의 설치가 용이하고, 사용 중 특정 부분의 AGV가이드센서에 보수가 필요한 경우 도로를 파헤치는 개보수 공사를 실행할 필요 없이 해당 블록몸체를 개방하여 내부에 구비된 AGV가이드센서를 수리할 수 있도록 하여 스마트 항만에 사용되는 무인 운반차의 유지 보수 비용이 절감되고 유지 보수 및 수리가 효율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은 서로 대향하는 상면과 하면 및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을 포함하는 블록몸체; 및 상기 블록몸체에 매설되고, 외부 기기와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센서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은 상기 센서배치부가 상기 블록몸체 상부를 주행하는 무인운반차(Automatic Guided Vehicle, AGV)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AGV가이드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은 상기 센서배치부가 상기 블록몸체 상부를 주행하는 무인운반차의 이동에 따른 화물 물동량 정보를 획득하는 화물정보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은 상기 센서배치부가 상기 화물정보감지센서에서 획득된 정보에 기인하여 설치 위치에서의 화물 물동량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은 상기 블록몸체가 다공성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은 상기 센서배치부가 상기 센서배치부 내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센서배치부로 전달되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 및 상기 완충부재와 이웃하도록 상기 센서배치부의 내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센서배치부로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은 상기 블록몸체가 하면 일측에 일정 부피로 오목하게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블록몸체의 회전 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인터락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락킹부는 상기 블록몸체 설치 시 지면의 토양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은 상기 블록몸체가 상기 블록몸체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블록몸체와 주행 차량 타이어와의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마찰저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은 상기 블록몸체가 상기 상면을 포함하는 상층부; 및 상기 상층부와 대향되고 상기 하면을 포함하는 하층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층부는 상기 상층부를 기준으로 일측 방향으로 소정으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은 상기 블록몸체가 상기 상층부와 상기 하층부 사이에 배치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는 제1측면에 배치되는 제1경사면; 및 상기 제1측면과 대향되는 제2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경사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은 상기 상층부, 하층부 및 경사부가 상기 블록몸체 배치 시 상기 블록몸체 간의 인터락킹 작용이 증대되어 상기 블록몸체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에 의하면, 항만을 주행하는 무인 운반차의 경로를 가이드하는 AGV가이드센서가 배치되는 센서배치부를 구비함으로써, 용이하게 상기 AGV가이드센서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 중 상기 AGV가이드센서의 수리 및 교체가 필요할 경우, 종래의 경우와 같이 넓은 범위의 지면을 파헤쳐야 하는 공사를 수행할 필요 없이 해당 구역의 블록몸체를 개방하여 AGV가이드센서의 수리 및 교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되는 경제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배치부에 통신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일정 범위의 외부 기기와의 통신이 구현되어, 해당지역의 화물 물동량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정보를 외부 기기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스마트 항만의 자동화 시스템의 완성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록몸체의 하면에 일정 부피로 오목지게 파여진 상태로 형성된 인터락킹부를 구비하여, 블록 설치시 지면의 흙 또는 모래가 상기 인터락킹부에 충전되어 상기 블록몸체와 인터락킹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하중이 큰 화물트럭의 주행이 많은 항만에 설치되는 블록몸체의 회전 및 미끄러짐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블록몸체의 상면에 마찰저감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주행 차량 타이어와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특히 방향이 전환되는 회전 구간에서 발생하는 타이어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마찰저감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비교적 고가의 타이어의 마모를 방지하여 마모된 타이어의 교체에 드는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의 센서배치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의 AGV가이드센서, 화물정보감지센서 및 통신모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의 마찰저감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1)은 도 1,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몸체(100) 및 센서배치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몸체(100)는 대향하는 상면과 하면 및 서로 대향하는 측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록몸체(100)는 벽돌 형태의 구조물로, 점토, 콘크리트, 세라믹, 목재 등의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다각의 기둥으로 형성되어 일정한 중량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블록몸체(100)는 다각의 기둥 즉, 다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수직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몸체(100)는 3각 기둥이나 5각 기둥 또는 6각 이상의 기둥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블록몸체(100)는 평편한 상면과 상기 상면과 대향하는 반대면으로서 평편하게 형성된 하면과, 상기 상면 및 하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면은 상면 및 하면에 대하여 대략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인접한 블록몸체(100)끼리 상호간 수평 방향으로 결할될 수 있도록 하는 키결합부(170) 및 키홈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록몸체(100)는 다공성 재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재질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블록몸체(100) 내부에 포함된 센서배치부(200)의 통신모듈(230)이 외부 기기와의 무선통신이 수행될 때 상기 통신모듈(230)과 외부 기기와의 무선 통신이 원활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블록몸체(100)는 인터락킹부(110), 마찰저감부재(120), 상층부(130), 하층부(140), 경사부(150), 외력저감모서리(160), 키결합부(170) 및 키홈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인터락킹부(110)는 상기 블록몸체(100)의 하면 일측에 일정 부피를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블록몸체(100)의 회전 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터락킹부(110)는 상기 블록몸체(100)의 하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블록몸체(100)가 이웃하는 블록몸체(100)와의 인터락킹 뿐 아니라 상기 블록몸체(100)와 지면과의 인터락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인터락킹부(110)는 상기 블록몸체(100)의 하면에 일정 부피를 갖도록 오목하게 파여서 형성되는 홈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터락킹부(110)는 상기 인터락킹부(110)로 지면의 토양 즉, 흙 또는 모래가 충전되어 상기 지면과 상기 블록몸체(100)가 인터락킹 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인터락킹부(11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블록몸체(100)의 하면에 일정 부피를 갖도록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인터락킹부(110)는 지면의 토양 즉, 흙 또는 모래에 매설되어 상기 지면에 상기 블록몸체(100)가 인터락킹 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인터락킹부(110)는 상기 블록몸체(100)가 지면과의 인터락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블록몸체(100)가 이웃하는 블록몸체(100)와의 인터락킹 뿐 아니라 지면과의 인터락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블록몸체(100)의 결속력을 증대시켜 사용 중 상기 블록몸체(100)의 회전 또는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인터락킹부(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몸체(100)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블록몸체(100)에 다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인터락킹부(110)는 도시된 깊이 또는 돌출 길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블록몸체(100)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 실시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의 마찰저감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마찰저감부재(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몸체(100)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블록몸체(100)와 주행 차량 타이어의 마찰력을 저감시키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찰저감부재(120)는 상기 블록몸체(100) 상면의 마찰력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블록몸체(100)의 상면을 연마하여 상기 블록몸체 상면의 거칠기를 최소화함으로써 마찰력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마찰저감부재(120)는 상기 블록몸체(100) 상면에 마찰계수가 작은 재질을 접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찰저감부재(120)는 상기 블록몸체(100) 상면에 마찰계수가 작은 재질을 코팅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항만에서 주로 주행되는 높은 하중의 화물 트럭이 주행 중 특히, 방향 전환하는 회전 구간 중 높은 하중에 의해 증대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화물 트럭의 타이어가 마모되어 손상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이러한 화물트럭의 타이어가 마모될 시 고가의 타이어 교체에 따른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화물 트럭의 주행이 많은 항만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1)은 상기 블록(1)의 상단면에 상기한 마찰저감부재(120)를 구비함으로써, 화물 트럭 주행시 접촉면의 마찰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타이어의 마모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층부(130)는 상기 블록몸체(100)의 상면을 포함하는 상기 블록몸체(100)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하층부(140)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층부(130)는 상기 하층부(140)와 소정으로 어긋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층부(140) 사이에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부(15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층부(140)는 상기 상층부(130)와 대향되고, 상기 하면을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상층부(130)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층부(140)는 상기 상층부(130)를 기준으로 일정 방향으로 소정으로 어긋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층부(130)와의 사이에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부(15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150)는 상기 상층부(130)와 상기 하층부(140) 사이에 배치되어 소정으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상층부(130)와 하층부(140)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사부(150)는 제1측면에 배치되는 제1경사면(151) 및 상기 제1측면과 대향되는 제2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경사면(151)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경사면(15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부(150)는 상기 하층부(140)가 상기 상층부(130)를 기준으로 일측 방향으로 소정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상층부(130), 하층부(140) 및 경사부(150)는 상기 블록몸체(100) 배치 시 상기 블록몸체(100) 간의 인터락킹 작용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블록몸체(10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블록몸체(10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블록들과 달리 블록과 블록 간의 인터락킹 작용이 다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높은 하중의 화물차로 인해 사용 중 회전 또는 미끄러짐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항만 시설에 설치되는 항만용 블록에 최적화 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외력저감모서리(160)는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구성되어, 상기 블록몸체(100)에 작용하는 외력을 분산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블록몸체(100)의 형태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키결합부(170)는 상기 블록몸체(100) 일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이웃하는 블록몸체(100)에 구비된 키홈부(180)에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키결합부(170)는 모양 및 크기가 상기 키홈부(180)의 홈의 모양 및 크기와 동일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키결합부(170)는 이웃하는 상기 키홈부(180)에 삽입되어 상기 블록몸체(100)의 배치시 상기 블록몸체(100)와 블록몸체(100) 간의 인터락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블록몸체(100)의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키결합부(1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몸체(100) 일측면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블록몸체(100)의 일측면에 다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키결합부(170)가 다수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키결합부(170)가 삽입되는 키홈부(180)도 상기 키결합부(170)와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개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키결합부(170)는 도시된 바와 같은 반원형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양한 다각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키홈부(180)는 상기 키결합부(170)와 대향되는 상기 블록몸체(100)의 타측면에 배치되고, 이웃하는 블록몸체(100)의 키결합부(170)가 인입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키홈부(180)는 오목하게 구성된 홈의 형태 및 크기가 상기 키결합부(170)의 돌기의 형태 및 크기와 동일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키홈부(180)는 이웃하는 상기 키결합부(170)에 삽입되어 상기 블록몸체(100) 배치시 상기 블록몸체(100)와 블록몸체(100) 간의 인터락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블록몸체(100)의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키홈부(1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몸체(100) 일측면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블록몸체(100)의 일측면에 다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키홈부(180)가 다수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키홈부(180)가 삽입되는 키결합부(170)도 상기 키홈부(180)와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개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키홈부(180)는 도시된 바와 같은 반원형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양한 다각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블록몸체(100)는 상기 키결합부(170)가 상기 키홈부(180)에 인입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블록몸체(100) 상호간의 결속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사용 중 블록몸체(100)의 고정력이 약해져 상기 블록몸체(100)가 회전하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의 센서배치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의 AGV가이드센서, 화물정보감지센서 및 통신모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센서배치부(2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몸체(100)에 매설되고, 외부 기기와의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부치부(200)는 상기 블록몸체(100) 내부에 매설, 삽입 또는 인입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블록몸체(100) 내부에 항만에서 자율 주행하는 무인 운반차의 경로를 가이드하는 AGV가이드센서(210), 상기 블록몸체(100)의 상단면을 이동하는 무인 운반차의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지역의 화물 물동량을 감지하는 화물정보감지센서(220) 및 외부 기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배치부(200)는 스마트 항만의 자동화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여타의 센서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배치부(200)는 AGV가이드센서(210), 화물정보감지센서(220), 통신모듈(230), 완충부재(240) 및 방수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GV가이드센서(210)는 상기 블록몸체(100) 상부를 자율 주행하는 무인운반차(Automatic Guided Vehicle, AGV)의 주행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AGV가이드센서(210)는 스마트 항만의 자동화 물류 시스템을 위해 운행되는 무인운반차 즉, AGV의 주행 경로를 유도 또는 가이드하도록 구비되는 센서로서, 상기 블록몸체(100)의 내부에 내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AGV가이드센서(210)는 상기 블록몸체(100)의 내부에 매설되어 상기 블록몸체(100)와 함께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지중에 매설되었던 종래의 센서부재보다 설치가 용이할 뿐 아니라, 사용 중 수리 또는 교체가 필요할 경우 해당 구역의 블록몸체(100)를 개방하여 수리 또는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수리 보수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비용이 절감되는 경제적인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인 공지의 무인 운반차는 상기 무인운반차의 주행 통로에 전선을 매설하고 미세 전류를 흘린 상태에서 상기 무인운반차가 주행 중 무인운반차에 장착된 가이드센서를 통해 자기장의 크기 변화에 따라 주행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이 때, 무인 운반차의 주행 유도는 전자 유도 방식 즉, AC 전류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을 추적하는 것으로, 자기장의 세기가 크면 안테나의 위치가 인접해 있다고 판단하고, 자기장의 세기가 약하면 안테나의 위치가 멀리 있다고 판단하여 주행 경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무인 운반차에 장착이 되는 안테나는 2개의 코일이 바닥에 매설된 유도선을 중심으로 양쪽 측면에 위치하여 편차가 발생하면 각각 다른 전압으로 출력하여 무인 운반차의 컨트롤러에 보내고 컨트롤러는 그 전압의 차이를 이용하여 조향 모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화물정보감지센서(220)는 상기 블록몸체(100) 상부를 주행하는 무인 운반차의 이동에 따른 화물 물동량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물정보감지센서(220)는 상기 센서배치부(200)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당 위치를 이동하는 무인운반차의 정보를 전송받아 해당 무인운반차가 운송하는 물동량을 감지하고, 이러한 물동량 정보를 저장하고 합산하여 기설정된 특정 시간에 해당 지역을 통과하는 물동량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화물정보감지센서(220)는 상기와 같이 획득된 정보를 상기 통신모듈(230)을 통해 외부 기기 즉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통신모듈(230)은 상기 화물정보감지센서(220)에서 획득된 정보에 기인하여 설치 위치에서의 화물 물동량 정보를 외부 기기에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모듈(230)은 상기 센서배치부(200) 내에 상기 AGV가이드센서(210)와 이웃하는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스마트 항만에의 자동화 시스템의 구현을 위한 통신 기기들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통신모듈(230)은 상기 화물정보감지센서(220)에서 감지한 블록몸체(100) 상부를 주행하는 무인운반차의 이동에 따른 화물 물동량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USB, RS323 인터페이스 및 무선 전송을 위한 WIFI 모듈 및 차량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GPS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230)은 상기한 정보를 항만 차량 관리 웹 서버에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처리하여 관리자의 모바일 기기로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230)은 무선 인터넷망으로 구현되는 것으로써,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등과 같은 무선인터넷 프로토콜 및 이동 통신망을 경유하여 클라이언트단말과 메인서버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 제어기(BSC), 이동 교환국(MSC) 등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과 이동 통신망과 유선 인터넷 망을 연결하는 망간 연동 장치(IWF) 및 WAP 게이트웨이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240)는 상기 센서배치부(200)의 내주면을 둘러 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센서배치부(200)로 전달되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완충부재(240)는 상기 AGV가이드센서(210), 화물정보감지센서(220) 및 통신모듈(230)을 포함하는 센서배치부(200)에 전달될 수 있는 외력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AGV가이드센서(210), 화물정보감지센서(220) 및 통신모듈(230)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완충부재(240)는 외력 저감을 위한 충격 흡수가 가능한 스펀지, 우레탄, 고무, 스티로폼 및 라텍스 중 하나 이상의 소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와 동일한 효과를 내는 다른 소재의 사용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방수부재(250)는 상기 완충부재(240)와 이웃하도록 상기 센서배치부(200)의 내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센서배치부(200)로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수부재(250)는 상기 AGV가이드센서(210), 화물정보감지센서(220) 및 통신모듈(230)을 포함하는 센서배치부(200)에 유입될 수 있는 빗물과 같은 수분을 차단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AGV가이드센서(210), 화물정보감지센서(220) 및 통신모듈(230)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방수부재(250)는 외부로부터의 수분 유입을 차단하고 통기성을 가지는 기능성 섬유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능성 섬유소재는 고어텍스(Gore-Tex) 소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어텍스는 약 0.2㎛의 기공을 무수히 갖는 수지계의 얇은 막(membrane)으로, 공기의 통과는 허용하면서도 완벽한 방수와 통기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부재(250)는 상기 센서배치부(200)로 유입되는 빗물과 같은 수분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공지의 방수부재라면 제한 없이 적용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에 의하면, 항만을 주행하는 무인 운반차의 경로를 가이드하는 AGV가이드센서가 배치되는 센서배치부를 구비함으로써, 용이하게 상기 AGV가이드센서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중 상기 AGV가이드센서의 수리 및 교체가 필요할 경우, 종래의 경우와 같이 넓은 범위의 지면을 파헤쳐야 하는 공사를 수행할 필요 없이 해당 구역의 블록몸체를 개방하여 AGV가이드센서의 수리 및 교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되는 경제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배치부에 통신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일정 범위의 외부 기기와의 통신이 구현되어, 해당지역의 화물 물동량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정보를 외부 기기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스마트 항만의 자동화 시스템의 완성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블록몸체의 하면에 일정 부피로 오목지게 파여진 상태로 형성된 인터락킹부를 구비하여, 블록 설치시 지면의 흙 또는 모래가 상기 인터락킹부에 충전되어 상기 블록몸체와 인터락킹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하중이 큰 화물트럭의 주행이 많은 항만에 설치되는 블록몸체의 회전 및 미끄러짐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블록몸체의 상면에 마찰저감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주행 차량 타이어와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특히 방향이 전환되는 회전구간에서 발생하는 타이어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마찰저감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비교적 고가의 타이어의 마모를 방지하여 마모된 타이어의 교체에 드는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
100 : 블록몸체 110 : 인터락킹부
120 : 마찰저감부재 130 : 상층부
140 : 하층부 150 : 경사부
151 : 제1경사면 152 : 제2경사면
160 : 외력저감모서리 170 : 키결합부
180 : 키홈부 200 : 센서배치부
210 : AGV가이드센서 220 : 화물정보감지센서
230 : 통신모듈 240 : 완충부재
250 : 방수부재

Claims (11)

  1. 항만에 사용되는 블록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상면과 하면 및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을 포함하는 블록몸체; 및
    상기 블록몸체에 매설되고, 외부 기기와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센서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몸체는
    상기 블록몸체의 하면 일측에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블록몸체의 회전 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인터락킹부로서, 인터락킹부가 지면의 토양에 매설되어서 상기 지면에 상기 블록몸체가 인터락킹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락킹부;
    상기 블록몸체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키결합부; 및
    상기 키결합부와 대향되는 상기 블록몸체의 타측면에 배치되고, 이웃하는 블록몸체의 키결합부가 인입 가능한 키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몸체는,
    상기 상면을 포함하는 상층부; 및
    상기 상층부와 대향되고 상기 하면을 포함하는 하층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층부는,
    상기 상층부를 기준으로 일측 방향으로 소정으로 어긋나게 배치되고,
    상기 블록몸체는,
    상기 상층부와 상기 하층부 사이에 배치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는,
    제1측면에 배치되는 제1경사면; 및
    상기 제1측면과 대향되는 제2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경사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경사면;
    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배치부는,
    상기 블록몸체 상부를 주행하는 무인운반차(Automatic Guided Vehicle, AGV)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AGV가이드센서;
    상기 블록몸체 상부를 주행하는 무인운반차의 이동에 따른 화물 물동량 정보를 획득하는 화물정보감지센서;
    상기 센서배치부 내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센서배치부로 전달되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 및
    상기 완충부재와 이웃하도록 상기 센서배치부의 내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센서배치부로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하는 방수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배치부는,
    상기 화물정보감지센서에서 획득된 정보에 기인하여 설치 위치에서의 화물 물동량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통신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는,
    다공성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는,
    상기 블록몸체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블록몸체와 주행 차량 타이어와의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마찰저감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
  9. 삭제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부, 하층부 및 경사부는,
    상기 블록몸체 배치 시 상기 블록몸체 간의 인터락킹 작용이 증대되어 상기 블록몸체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
KR1020190100920A 2019-08-19 2019-08-19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 KR102182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920A KR102182040B1 (ko) 2019-08-19 2019-08-19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920A KR102182040B1 (ko) 2019-08-19 2019-08-19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2040B1 true KR102182040B1 (ko) 2020-11-23

Family

ID=73680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920A KR102182040B1 (ko) 2019-08-19 2019-08-19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04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406U (ja) * 1992-08-11 1994-03-11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インターロッキングブロック
KR200268824Y1 (ko) * 2001-12-05 2002-03-18 이상은 식생블록
KR200397488Y1 (ko) * 2005-05-12 2005-10-05 김준식 식생블록
JP2011012516A (ja) * 2009-07-06 2011-01-20 Railway Technical Res Inst 洗掘防護ブロック流失検知装置及び洗掘防護ブロック流失検知システム
KR20130020133A (ko) 2011-08-19 2013-02-27 임성혁 지중 매설 유도선 추적 무인 견인 차량
KR101704740B1 (ko) * 2015-08-28 2017-02-0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소파블록 조립체 및 소파블록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028575A (ko) * 2016-09-08 2018-03-19 (주)엠텍 Agv에 센서를 장착한 운행 안전 모션 베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406U (ja) * 1992-08-11 1994-03-11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インターロッキングブロック
KR200268824Y1 (ko) * 2001-12-05 2002-03-18 이상은 식생블록
KR200397488Y1 (ko) * 2005-05-12 2005-10-05 김준식 식생블록
JP2011012516A (ja) * 2009-07-06 2011-01-20 Railway Technical Res Inst 洗掘防護ブロック流失検知装置及び洗掘防護ブロック流失検知システム
KR20130020133A (ko) 2011-08-19 2013-02-27 임성혁 지중 매설 유도선 추적 무인 견인 차량
KR101704740B1 (ko) * 2015-08-28 2017-02-0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소파블록 조립체 및 소파블록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028575A (ko) * 2016-09-08 2018-03-19 (주)엠텍 Agv에 센서를 장착한 운행 안전 모션 베이스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1074B2 (en) Precision coil alignment techniques for vehicle wireless power transfer
EP2551165B1 (en) Freight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AU2002247079B2 (en) Anti-rut system for autonomous-vehicle guidance
US9221482B2 (en) Transporting system, transporting carriage and method for transporting metal coils
US7983808B2 (en) Fully automatic straddle carrier with local radio detection and laser steering
US6742458B2 (en) Machine for transport of passengers and cargo
CN110197347B (zh) 实现自动装卸货的系统及相关设备
CN1180335A (zh) 带有能量和信息传输装置的有轨运输装置
CN102730011B (zh) 一种单轨悬挂式双电源电动公交车
CN104918876A (zh) 用于以非接触式接收电源的轮胎式龙门起重机及跨运车
CN105467998A (zh) 一种重载举升式agv小车
US8439180B2 (en) Conveyor cargo handling system and method of use
EP4338299A1 (en) Precision charging control of an untethered vehicle with a modular vehicle charging roadway
KR102182040B1 (ko) 스마트 항만 조성용 블록
CN1623873B (zh) 集装箱的导轨式运输系统
CN102460536A (zh) 可移动物体接近告警系统
CN103782487A (zh) 移动车辆供电系统
US11845347B2 (en) Precision charging control of an untethered vehicle with a modular vehicle charging roadway
WO2021113052A1 (en) Self-driving single-car train system
CN104299118A (zh) 定点电子签封系统及其管理方法
JP2014189393A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
CN112013838B (zh) 码头融合定位系统
CN205103915U (zh) 矿井无轨胶轮车运输信号及闭锁管理系统
CN109823968A (zh) 一种天车库区管理系统
CN109024117B (zh) 交通运输网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