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909B1 - 공원용 합성수지재 보행블록 - Google Patents

공원용 합성수지재 보행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3909B1
KR100673909B1 KR1020060100795A KR20060100795A KR100673909B1 KR 100673909 B1 KR100673909 B1 KR 100673909B1 KR 1020060100795 A KR1020060100795 A KR 1020060100795A KR 20060100795 A KR20060100795 A KR 20060100795A KR 100673909 B1 KR100673909 B1 KR 100673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groove
support
rubber
sidewa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한순
Original Assignee
(주)케이지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지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케이지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60100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39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 E01C2201/202Horizontal drainage channels
    • E01C2201/205Horizontal drainage channels channels on the top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 E01C2201/202Horizontal drainage channels
    • E01C2201/207Horizontal drainage channels channels on the bott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원 등에 설치되는 보행블록을 블록과, 블록의 상부 중앙에 결합되는 고무재의 발판, 또 블록의 하부에서 블록을 지지하면서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의 다수 개의 부재로 구성하므로서, 침하방지기능이 우수하여 기초 밑다짐 작업이 배제되므로 시공을 신속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됨은 물론, 각 블록의 중앙에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고무재발판을 설치하므로서,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우기시 원활한 배수를 이룰 수 있어 보행통로가 침수되고, 토출수에 의해 특정부위에 위치한 배수공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원용 합성수지재 보행블록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면에 수용홈(11)이 내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중앙부에 삽입홈(12)이 형성되고, 그 수용홈(11)의 외측으로는 빗물의 투수를 위한 다수의 통공(13)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지지부(14)가 설치되는 블록(10)과; 상부의 머리부(21)와 하부의 나사부(22)로 구분되게 형성되며, 하부의 나사부(22)를 통해 상기 블록(10)의 상부 중앙에 내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수용홈(11)의 삽입홈(12)에 나사결합되는 고무재 발판(20)과; 상기 블록(1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블록(10)을 지지하며, 상부에는 블록(10) 하단의 지지부(14)와 대응되는 안착부(31)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부면에 삽입홈(32)이 형성되고, 저면의 각 테두리에는 연결홈(33)이 요입형성되는 받침판(30)과; 양측에는 단부에 걸림턱(42)을 갖는 한 쌍의 연결바(41)가 중앙부에 횡방향으 로 연결되는 연결봉(43)에 의해 연결형성되며, 양측의 연결바(41)가 상기 받침판(30) 저면의 각 테두리에 형성되는 연결홈(33)에 끼움결합되어 블록(10)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40);로 이루어진다.
보행블록, 발판, 받침판, 연결구, 침하방지

Description

공원용 합성수지재 보행블록{PVC sidewalk block for par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블록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블록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블록의 설치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블록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블록 11 ; 수용홈
12 ; 삽입홈 13 ; 통공
14 ; 지지부 20 ; 고무재 발판
21 ; 머리부 22 ; 나사부
30 ; 받침판 31 ; 안착부
32 ; 삽입홈 33 ; 연결홈
40 ; 연결구 41 ; 연결바
42 ; 걸림턱 43 ; 연결봉
본 발명은 공원에 설치되는 보행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원 등에 설치되는 보행블록을 블록과, 블록의 상부 중앙에 결합되는 고무재의 발판, 또 블록의 하부에서 블록을 지지하면서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의 다수 개의 부재로 구성하므로서, 침하방지기능이 우수하여 기초 밑다짐 작업이 배제되므로 시공을 신속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됨은 물론, 각 블록의 중앙에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고무재발판을 설치하므로서,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우기시 원활한 배수를 이룰 수 있어 보행통로가 침수되고, 토출수에 의해 특정부위에 위치한 배수공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원용 합성수지재 보행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 미관을 위하여 인도에는 빗물이 지면을 통하여 지하로 많이 스며들 수 있도록 지면에 설치된 보도블록과 보도블록 사이로 빗물이 많이 유입되게 구성한 보도블록을 투수(透水)용 보도블록이 설치된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종래의 보도블록은 각각의 블록이 긴밀하게 밀착되어 있으면서도 보도블록 상측과 하측 사이를 연결하는 공간이 없어, 보도블록 표면의 빗물이 보도블록 아래로 스며들지 못하고 배수처리되며, 보도블록 하측의 흙이 공기와 접촉되지도 않게 된다. 따라서 보도블록 하측의 흙에는 충분한 물이 스며들지 못하며, 미생물이 서식하지 못하게 되어 인근의 가로수 등의 수목 생육에 악영향을 미치게 될 뿐 아니라, 지면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보도블록의 상면을 따라 흘러 하수도를 통하여 배출되므로, 투수율이 저하되어 지하수가 부족하게 된다.
또한, 공원에 시공되는 보도블록은 시공특성상 밑다짐을 견고히 이루지않은 상태에서 시공이 행해지므로서, 우기 또는 해빙기에는 침하현상이 심각하였고, 보도블록에서 보행자가 미끄러지게 되는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이 내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으로는 공원 등에 설치되는 보행블록을 블록과, 블록의 상부 중앙에 결합되는 고무재의 발판, 또 블록의 하부에서 블록을 지지하면서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 등의 다수 개의 부재로 구성하므로서, 침하방지기능이 우수하여 기초 밑다짐 작업이 배제되므로 시공을 신속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됨은 물론, 각 블록의 중앙에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고무재발판을 설치하므로서,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우기시 원활한 배수를 이룰 수 있어 보행통로가 침수되고, 토출수에 의해 특정부위에 위치한 배수공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원용 합성수지재 보행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면에 수용홈이 내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중앙부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그 수용홈의 외측으로는 빗물의 투수를 위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지지대가 설치되는 블록과;
상부의 머리부와 하부의 나사부로 구분되게 형성되며, 하부의 나사부를 통해 상기 블록의 상부 중앙에 내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수용홈의 삽입홈에 나사결합되는 고무재 발판과;
상기 블록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블록을 지지하며, 상부에는 블록 하단의 지지부와 대응되는 안착부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부면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저면의 각 테두리에는 연결홈이 요입형성되는 받침판과;
양측에는 단부에 걸림턱을 갖는 한 쌍의 연결바가 중앙부에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연결봉에 의해 연결형성되며, 양측의 연결바가 상기 받침판 저면의 각 테두리에 형성되는 연결홈에 끼움결합되어 블록을 연결하는 연결구;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일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블록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블록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블록의 설치상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블록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원용 합성수지재 보행블록에 의하면, 먼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면에 수용홈(11)이 내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중앙부에 삽입홈(12)이 형성되고, 그 수용홈(11)의 외측으로는 빗물의 투수를 위한 다수의 통공(13)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지지부(14)가 설치되는 블록(10)을 구비한 다음, 그 블록(10)에 상부의 머리부(21)와 하부의 나사부(22)로 구분되게 형성되는 고무재 발판(20)을 결합토록 하되, 블록(10)의 상부 중앙에 내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수용홈(11)의 삽입홈(12)에 고무재 발판(20)의 하부에 형성되는 나사부(22)를 통해 나사결합한다.
이때, 블록(10) 상부의 수용홈(11)에 고무재 발판(20)의 나사결합은 발판(20)의 머리부(21) 상부면에 형성되는 나사조절홈(21')을 통해 조절하여 결합하게 된다.
이어, 고무재 발판(20)이 나사결합된 블록(10)의 하단부에는 블록(10)을 지지하는 받침판(30)을 결합토록 하되, 그 받침판(30)의 상부에는 블록(10) 하단의 지지부(14)와 대응되는 안착부(31)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부면에 삽입홈(32)이 형성되고, 저면의 각 테두리에는 연결홈(33)이 요입형성토록 한다.
이어, 블록(10)이 결합된 받침판(30)의 하부에는 단부에 걸림턱(42)을 갖는 연결구(40)를 결합하여 복수 개의 블록(10)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되, 이때 연결구(40)는 양측 단부에 걸림턱(42)을 갖는 한 쌍의 연결바(41)가 중앙부에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연결봉(43)에 의해 연결형성되어, 양측의 연결바(41)가 상기 받침판(30) 저면의 각 테두리에 형성되는 연결홈(33)에 끼움결합되어 블록(10)을 서로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공원용 합성수지재 보행블록에 의하면, 먼저, 받침판(30)을 지면에 설치한 다음, 그 받침판(30) 상부의 안착부(31)에 블록(10)을 위치시킨 다음, 블록(10) 상부의 수용홈(11) 중앙부에 형성되는 삽입홈(12)에 고무재 발판(20)을 나사결합으로 결합하면 발판(20) 하부의 나사부(22)가 블록(20)의 삽입홈(12)에 나사결합됨과 동시에 받침판(30)의 삽입홈(32)에 나사결합되어 보행블록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으로, 이와같은 보행블록의 연결설치를 위해서는 받침판(30) 하부의 각 테두리에 형성되는 연결홈(33)에 연결구(40)를 끼움결 합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보행블록이 블록(10) 및 고무재 발판(20), 받침판(30), 연결구(40) 등의 각 부재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므로서, 침하방지기능이 우수하고, 기초 밑다짐 작업이 배제되므로 시공을 신속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블록(10) 상부면의 수용홈(11)과 그 수용홈(11)에 결합되는 고무재 발판(20)의 사이 틈새 및 수용홈(11) 외측에 형성되는 다수의 통공(13)에 의해 우기시에 빗물의 투수를 용이하여 원활한 배수를 이룰 수 있어 보행통로가 침수되고, 토출수에 의해 특정부위에 위치한 배수공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블록(10) 상부면의 수용홈(11)에 결합되는 고무재 발판(20)에 의해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서,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및 구체적인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의하여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공원 등에 설치되는 보행블록을 블록과, 블록의 상부 중앙에 결합되는 고무재의 발판, 또 블록의 하부에서 블록을 지지하면서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의 다수 개의 부재로 구성하므로서, 침하방지기능이 우수하여 기초 밑다짐 작업이 배제되므로 시공을 신속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됨은 물론, 각 블록 의 중앙에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고무재발판을 설치하므로서,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우기시 원활한 배수를 이룰 수 있어 보행통로가 침수되고, 토출수에 의해 특정부위에 위치한 배수공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면에 수용홈(11)이 내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중앙부에 삽입홈(12)이 형성되고, 그 수용홈(11)의 외측으로는 빗물의 투수를 위한 다수의 통공(13)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지지부(14)가 설치되는 블록(10)과;
    상부의 머리부(21)와 하부의 나사부(22)로 구분되게 형성되며, 하부의 나사부(22)를 통해 상기 블록(10)의 상부 중앙에 내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수용홈(11)의 삽입홈(12)에 나사결합되는 고무재 발판(20)과;
    상기 블록(1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블록(10)을 지지하며, 상부에는 블록(10) 하단의 지지부(14)와 대응되는 안착부(31)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부면에 삽입홈(32)이 형성되고, 저면의 각 테두리에는 연결홈(33)이 요입형성되는 받침판(30)과;
    양측에는 단부에 걸림턱(42)을 갖는 한 쌍의 연결바(41)가 중앙부에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연결봉(43)에 의해 연결형성되며, 양측의 연결바(41)가 상기 받침판(30) 저면의 각 테두리에 형성되는 연결홈(33)에 끼움결합되어 블록(10)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원용 합성수지재 보행블록.
KR1020060100795A 2006-10-17 2006-10-17 공원용 합성수지재 보행블록 KR100673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795A KR100673909B1 (ko) 2006-10-17 2006-10-17 공원용 합성수지재 보행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795A KR100673909B1 (ko) 2006-10-17 2006-10-17 공원용 합성수지재 보행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3909B1 true KR100673909B1 (ko) 2007-01-25

Family

ID=38014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795A KR100673909B1 (ko) 2006-10-17 2006-10-17 공원용 합성수지재 보행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39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22415A (zh) * 2013-08-21 2013-12-04 南通时瑞塑胶制品有限公司 玻璃钢盲道砖
CN105714648A (zh) * 2016-02-05 2016-06-29 苏州乐聚一堂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透水砖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705A (ja) * 1994-07-11 1996-01-30 Tanushimaru Kasei:Kk 敷設用ブロッ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705A (ja) * 1994-07-11 1996-01-30 Tanushimaru Kasei:Kk 敷設用ブロッ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22415A (zh) * 2013-08-21 2013-12-04 南通时瑞塑胶制品有限公司 玻璃钢盲道砖
CN105714648A (zh) * 2016-02-05 2016-06-29 苏州乐聚一堂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透水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5490B2 (en) Modular cell and matrix for supporting a load bearing feature
CN1020773C (zh) 木砖的敷设框架
KR100673909B1 (ko) 공원용 합성수지재 보행블록
US8333042B2 (en) Slip-stop
KR100868986B1 (ko) 담수 기능을 갖는 보도블록
CN203692026U (zh) 斜屋面绿化系统
KR101452408B1 (ko) 배수 및 식생이 가능한 블록고정 지지판
KR101176836B1 (ko) 보도블록 시공용 받침판
CN209941423U (zh) 一种榫卯结构透水砖及砖面结构
CN111206470B (zh) 网连式排水铺面装置
KR20170041412A (ko) 투수 트랜치 및 이를 이용한 투수성 보도블록포장 시공방법
KR100699464B1 (ko)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CN103688807B (zh) 斜屋面生态系统安装方法
KR100697638B1 (ko) 건축단지 비탈면 슬라이딩 차단시설
KR200370304Y1 (ko) 미끄럼 방지용 돌기가 형성된 투수성 보도블록
KR100718206B1 (ko) 미끄럼 방지용 돌기가 형성된 투수성 보도블록
JP3655578B2 (ja) 擁壁ブロック
KR100763874B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200283005Y1 (ko) 도로 비탈면의 유실방지용 합성골판 콘크리트블록 구조
KR100465463B1 (ko) 피씨 침수옹벽
KR200420360Y1 (ko) 식생용 옹벽블록
CN210507010U (zh) 一种景观甬道的防积水结构砖
KR100581698B1 (ko)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 및 설치방법
KR200341897Y1 (ko) 피씨 침수옹벽
KR200194038Y1 (ko) 수로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