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1698B1 -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 및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 및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1698B1
KR100581698B1 KR1020050087053A KR20050087053A KR100581698B1 KR 100581698 B1 KR100581698 B1 KR 100581698B1 KR 1020050087053 A KR1020050087053 A KR 1020050087053A KR 20050087053 A KR20050087053 A KR 20050087053A KR 100581698 B1 KR100581698 B1 KR 100581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concrete
protection block
slope protec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7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정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정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정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087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16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1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1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탈면 보호블럭 하부의 토양이 유실될 경우 비탈면 보호블럭이 변화하면서 변형된 토양의 표면의 형상에 맞춰 다시 토양을 덮어주어 토양이 다시 안정을 취할 수 있게 하며, 비탈면 보호블럭 철거시 무리지어 덩어리로 쉽게 철거할 수 있고, 식생이 가능하며, 토양으로부터 스며나온 물을 자연스럽게 배수해줄 수 있고, 비탈면 보호블록의 외부면에 연결된 배수로가 형성되며, 넓은 식생공간이 확보되는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정사각형의 판형부재의 일부에 바구니와 같이 아래로 오목한 부재가 연속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판형부재는 콘크리트 부재로 내부에 복수 개의 작은 부재들이 결합하여 한 몸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콘크리트부(100), 상기 콘크리트부(100)에 연속되어 형성되되 아래로 오목한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판형부재의 가장자리 면들 중 연속되는 2개의 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그 내부에 식생이 가능하고 토양이 대기 중에 노출되어 있어 상기 토양을 통해 배수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식생부(200), 상기 판형부재의 가장자리면의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부(100)와 상기 식생부(200)가 함께 형성되는 면들의 가장자리 부위에 부분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부(100)와 상기 식생부(200)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탄성을 가진 부재로 형성되는 격자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탈면 보호블럭.

Description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 및 설치방법{Slope protection block with vegetative function and drain function and the method install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 1개의 평면도이다.
도 2 (a)는 본 발명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 1개의 단면도로, 콘크리트부 가장자리판부(110), 콘크리트부 중앙판부(120)가 맞물리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2 (b)는 본 발명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 1개의 단면도로, 콘크리트부 가장자리판부(110), 콘크리트부 중앙판부(120)가 맞물리는 부분의 단면도이며 비탈면 보호블럭 설치면이 부분적으로 가라앉은 경우 그에 대응하여 비탈면 보호블럭의 일부가 가라앉아 상기 설치면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 1개의 단면도로, 주로 식생부(200)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 (a)는 본 발명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 4개가 배열된 평면도로, 식생부(200)가 상기 4개의 비탈면 보호블럭의 중앙에 모여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 (b)는 본 발명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 6개가 배열된 평면도로, 식생부(200)가 왼쪽 하향으로 사선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식생부(200)의 토양으로 부터 배출된 물이 배수되도록 배열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콘크리트부 110 : 콘크리트부 가장자리판부
120 : 콘크리트부 중앙판부 200 : 식생부
210 : 식생부 몸체부 220 : 식생공
230 : 식생부 고정핀 250 : 식생부 고정핀 관통구
300 : 격자부 510 : 후크부
520 : 후크부 결속선 610 : 결합부
620 : 줄눈부 630 : 결합부 결속선
650 : 접촉면부
본 발명은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정사각형의 판형부재의 일부에 바구니와 같이 아래로 오목한 부재가 연속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판형부재는 콘크리트 부재로 내부에 복수 개의 작은 부재들이 결합하여 한 몸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콘크리트부(100), 상기 콘크리트부(100)에 연속되어 형성되되 아래로 오목한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판형부재의 가장자리 면들 중 연속되는 2개의 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그 내부에 식생이 가능하고 토양이 대기 중에 노출되어 있어 상기 토양을 통해 배수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식생부(200), 상기 판형부재의 가장자리면의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부(100)와 상기 식생부(200)가 함께 형성되는 면들의 가장자리 부위에 부분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부(100)와 상기 식생부(200)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격자부(300)를 포함하며,
비탈면 보호블럭 하부의 토양이 유실될 경우 비탈면 보호블럭이 변화하면서 변형된 토양의 표면의 형상에 맞춰 다시 토양을 덮어주어 토양이 다시 안정을 취할 수 있게 하며, 비탈면 보호블럭 철거시 무리지어 덩어리로 쉽게 철거할 수 있고, 식생이 가능하며, 토양으로부터 스며나온 물을 자연스럽게 배수해줄 수 있고, 비탈면 보호블록의 외부면에 연결된 배수로가 형성되며, 넓은 식생공간이 확보되는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의 흐름에 의해 비탈면 보호블록 하부의 토양이 유실되면 비탈면 보호블럭은 붕괴되어 버린다.
만약 비탈면 보호블럭 하부의 토양이 유실될 경우 비탈면 보호블럭이 변화하면서 변형된 토양의 표면의 형상에 맞춰 다시 토양을 덮어주어 토양이 다시 안정을 취할 수 있게 하는 비탈면 보호블럭이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그렇지만 토양유실이 커서 비탈면 보호블럭을 철거해야 할 부분이 발생한다 면 보수해야 한다.
만약 비탈면 보호블럭 철거시 무리지어 덩어리로 쉽게 철거할 수 있는 비탈면 보호블럭이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식물이 자랄 수 있는 비탈면 보호블럭이 친환경적이다. 그리고 자라난 식물은 비탈면 보호블럭을 가려주게 되어 더욱 자연스러운 모습이 될 것이다.
만약 식생이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이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토양으로부터 스며나오는 물이 비탈면 보호블럭 하부로 흐르게 되면 토양유실이 생기겠으나 비탈면 보호블럭 위로 흐르게 되면 토양유실을 줄일 수 있다.
만약 토양으로부터 스며나온 물을 자연스럽게 배수해줄 수 있는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이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복수 개의 비탈면 보호블럭간에 배수로가 형성이 된다면 더욱 배수가 잘된다.
만약 비탈면 보호블록의 외부면에 연결된 배수로가 형성되는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이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비탈면 보호블럭 1개에 형성될 수 있는 식생공간은 제한적이어서 큰 식물이나 많은 식물을 자랄 수가 없다.
만약 넓은 식생공간이 확보되는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이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탈면 보호블럭 하부의 토양이 유실될 경우 비탈면 보호 블럭이 변화하면서 변형된 토양의 표면의 형상에 맞춰 다시 토양을 덮어주어 토양이 다시 안정을 취할 수 있게 하는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비탈면 보호블럭 철거시 무리지어 덩어리로 쉽게 철거할 수 있는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식생이 가능한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양으로부터 스며나온 물을 자연스럽게 배수해줄 수 있는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비탈면 보호블록의 외부면에 연결된 배수로가 형성되는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넓은 식생공간이 확보되는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부(100), 식생부(200), 격자부(300)을 포함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정사각형의 판형부재의 일부에 바구니와 같이 아래로 오목한 부재가 연속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판형부재는 콘크리트 부재로 내부에 복수 개의 작은 부재들이 결합하여 한 몸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콘크리트부(100), 상기 콘크리트부(100)에 연속되어 형성되되 아래로 오목한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판형부재의 가장자리 면들 중 연속되는 2개의 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그 내부에 식생이 가능하고 토양이 대기 중에 노출되어 있어 상기 토양을 통해 배수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식생부(200), 상기 판형부재의 가장자리면의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부(100)와 상기 식생부(200)가 함께 형성되는 면들의 가장자리 부위에 부분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부(100)와 상기 식생부(200)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탄성을 가진 부재로 형성되는 격자부(300)를 포함한다.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 1개의 평면도이다.
제 1도와 같이,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정사각형의 판형부재의 일부에 바구니와 같이 아래로 오목한 부재가 연속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판형부재는 콘크리트 부재로 내부에 복수 개의 작은 부재들이 결합하여 한 몸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콘크리트부(100), 상기 콘크리트부(100)에 연속되어 형성되되 아래로 오목한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판형부재의 가장자리 면들 중 연속되는 2개의 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그 내부에 식생이 가능하고 토양이 대기 중에 노출되어 있어 상기 토양을 통해 배수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식생부(200), 상기 판형부재의 가장자리면의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부(100)와 상기 식생부(200)가 함께 형성되는 면들의 가장자리 부위에 부분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부(100)와 상기 식생부(200)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탄성을 가진 부재로 형성되는 격자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격자부(300)는 탄성을 가진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부(100)는 상기 판형부재의 부위 중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콘크리트부 가장자리판부(110), 상기 판형부재의 부위 중 중앙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부 가장자리 판부(110)에 접하여 형성되는 콘크리트부 중앙판부(120), 상기 콘크리트부 가장자리판부(110)와 상기 콘크리트부 중앙판부(120)가 접하는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판형부재의 면의 일부인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가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콘크리트부 가장자리판부(110)와 상기 콘크리트부 중앙판부(120)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결합부(610), 상기 콘크리트부 가장자리판부(110)와 상기 콘크리트부 중앙판부(120)가 접하는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610)가 아닌 부위로 돌출된 부위가 아닌 부분으로 형성되는 접촉면부(650), 상기 콘크리트부 가장자리판부(110)의 결합부(610)와 상기 콘크리트부 중앙판부(120)의 접촉면부(650)사이, 상기 콘크리트부 가장자리판부(110)의 접촉면부(650)와 상기 콘크리트부 중앙판부(120)의 결합부(610)사이, 상기 콘크리트부 가장자리판부(110)의 결합부(610)와 상기 콘크리트부 중앙판부(120)의 결합부(610)사이가 서로 결합 되도록 하여 상기 콘크리트부 가장자리판부(110)와 콘크리트부 중앙판부(120)를 결합시켜주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 2 (a)도는 본 발명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 1개의 단면도로, 콘크리트부 가장자리판부(110), 콘크리트부 중앙판부(120)가 맞물리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또한 제 2 (b)도는 본 발명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 1개의 단면도로, 콘크리트부 가장자리판부(110), 콘크리트부 중앙판부(120)가 맞물리는 부분의 단면도이며 비탈면 보호블럭 설치면이 부분적으로 가라앉은 경우 그에 대응하여 비탈면 보호블럭의 일부가 가라앉아 상기 설치면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기 제 2 (a)도, 제 2 (b)도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콘크리트부 가장자리판부(110)와 상기 콘크리트부 중앙판부(120)가 접하는 부위의 위와 아래에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부 가장자리판부(110)의 결합부(610)와 상기 콘크리트부 중앙판부(120)의 접촉면부(650) 사이, 상기 콘크리트부 가장자리판부(110)의 접촉면부(650)와 상기 콘크리트부 중앙판부(120)의 결합부(610) 사이에 충진되는 줄눈부(620), 상기 콘크리트부 가장자리판부(110)의 결합부(610)와 상기 콘크리트부 중앙판부(120)의 결합부(610)가 접하는 면 각각에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부 가장자리판부(110)의 결합부(610)와 상기 콘크리트부 중앙판부(120)의 결합부(610)사이를 결속시키는 선인 결합부 결속선(63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줄눈부(620)는 상기 콘크리트부 중앙판부(120)와 상기 콘크리트부 가장자리판부(110)를 강하게 결합시키는 것은 아니다. 운반이나 설치도중에 상기 콘크리트부 중앙판부(120)와 상기 콘크리트부 가장자리판부(11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정도이다.
설치면에 비탈면 보호블럭을 설치한 후 시간이 경과 되면서 비탈면 보호블럭 하부의 토양이 유실될 경우 비탈면 보호블럭의 일부면을 허공에 떠있게 된다. 이 경우 비탈면 보호블럭 하부로 물길이 형성될 수 있고 토양유실이 더욱 가속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탈면 보호블럭은 비탈면 보호블럭 하부의 토양이 유실되어 비탈면 보호블럭의 일부면이 허공에 떠있게 될 경우, 비탈면 보호블럭의 자중에 의해 상기 줄눈부(620)가 갈라지면서 상기 콘크리트부 중앙판부(120)와 상기 콘크리트부 가장자리판부(110)가 분리되면서 가라앉거나 경사지게 변화하면서 토양의 표면의 형상에 맞춰 토양을 덮어주게 된다.
즉, 토양은 다시 안정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분리된 상기 콘크리트부 중앙판부(120)와 상기 콘크리트부 가장자리판부(110)은 결합부 결속선(630)이 두 부재를 연결시켜 주고 있으므로 당초의 전체적인 형상을 계속 유지하게 된다.
이 경우 식생부(200)는 식생부 고정핀(230)으로 설치면에 고정되어 있지만 분리되어 비탈면 보호블럭으로 부터 일탈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상기 식생부(200) 자체가 탄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어느 정도의 변화에는 적응할 수 있으며, 이미 식물이 어느 정도 자란 후라면 오히려 식물이 식물부(200)를 견고하게 붙잡아 주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격자부(300) 역시 탄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어느 정도의 변화에는 적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인 비탈면 보호블럭 하부의 토양이 유실될 경우 비탈면 보호블럭이 변화하면서 변형된 토양의 표면의 형상에 맞춰 다시 토양을 덮어주 어 토양이 다시 안정을 취할 수 있게 하는 비탈면 보호블럭을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또한 제1도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부(100)는 상기 콘크리트부 중앙판부(120)와 상기 콘크리트부 가장자리판부(110)에 오목한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한 홈을 가로지르는 가로막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후크부(510), 두 개의 상기 콘크리트부(100) 사이의 상기 후크부(510)를 연결해 주는 후크부 결속선(52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토양유실이 적은 경우에은 본 발명의 비탈면 보호블럭이 변형되면서 새로운 토양의 안정을 취하도록 하지만, 토양유실이 많은 경우에는 보수를 하여야 한다. 이 경우 상기 후크부 결속선(520)에 의해 묶여 있는 복수 개의 비탈면 보호블럭은 한 번에 철거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인 비탈면 보호블럭 철거시 무리지어 덩어리로 쉽게 철거할 수 있는 비탈면 보호블럭을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제 3도는 본 발명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 1개의 단면도로, 주로 식생부(200)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제 1,3도와 같이, 상기 식생부(200)는 상기 판형부재의 일부로 부터 연속되되 별개 부재 형성되며 바구니와 같이 아래로 오목한 부재로 형성되되 상기 콘크리트부(100)와 접하는 면과 상기 격자부(300)와 접하는 면에 걸쳐지도록 형성되는 식생부 몸체부(210), 상기 식생부 몸체부(210)내의 복수 개의 중공부로 형성되며 토양이 대기에 노출되며 식생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식생공(220), 상기 식생부 몸체부(210)내의 부위 중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되며 탄성을 가진 부재로 형성되는 식생부 몸체부(210)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식생부 고정핀 관통구(250), 상기 식생부 고정핀 관통구(25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식생부 몸체부(210)를 지면에 고정시키도록 형성되고 핀 형상으로 형성되는 식생부 고정핀(23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식생부 몸체부(210)는 탄성을 가진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천연분해가 가능한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식생부 몸체부(210)는 처음에는 식물의 생장을 위한 지지부 역할을 하다가 후에는 분해되어 없어지고 잘 자란 식물만 남게 되어 친환경적이다.
상기 식생부(200)는 토양이 대기에 노출되며 식생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인 식생이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을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만약 비탈면 보호블록 전체가 토양이 노출되지 못하도록 밀폐하고 있다면 토양으로 부터 스며나오는 물이 비탈면 보호블럭 위로 배수될 수 없고 비탈면 보호블록 하부로 흐르게 되면서 토양을 유실시키게 될 것이다.
상기 식생부(200)는 토양이 대기에 노출되게 형성되므로 토양으로부터 스며나온 물을 자연스럽게 배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인 토양으로부터 스며나온 물을 자연스럽게 배수해줄 수 있는 비탈면 보호블럭을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비탈면 보호블록은 복수 개의 부재가 서로 연속되어 설치될 때 설치가 쉽고 부재간의 결합이 견고하게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비탈면 보호블럭의 테두리 부분에 요철부분이나 오목하거나 볼록한 부분 등이 형성되어 부재 상호 간에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 4 (a)도는 본 발명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 4개가 배열된 평면도로, 식생부(200)가 상기 4개의 비탈면 보호블럭의 중앙에 모여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상기 도 4 (a)의 경우에, 바구니와 같이 아래로 오목한 부재로 형성되는 상기 식생부(200)들이 무리를 이루게 되기는 하지만, 한 개의 상기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을 넘어서 외부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지는 않고, 상기 격자부(300)에 의해 구획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격자부(300)에 의해 구획되도록 형성되더라도, 식생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즉, 상기 도 4 (a)의 경우, 상기 격자부(300)에 의해 구획되도록 형성되더라도, 식생 부위의 면적은 한곳으로 모여져 그 넓이가 넓어지게 되며, 각각의 구획에 상기 식생부(200)의 크기에 맞는 식물들이 자라게 되며, 상기 식물들은 모여서 자라게 된다.
또한 제 4 (b)도는 본 발명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 6개가 배열된 평면도로, 식생부(200)가 왼쪽 하향으로 사선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식생부(200)의 토양으로 부터 배출된 물이 배수되도록 배열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상기 도 4 (b)의 경우에, 바구니와 같이 아래로 오목한 부재로 형성되는 상기 식생부(200)들이 무리를 이루게 되기는 하지만, 한 개의 상기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을 넘어서 외부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지는 않고, 상기 격자부(300)에 의해 구획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격자부(300)에 의해 구획되도록 형성되더라도, 배수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즉, 상기 도 4b의 경우, 상기 격자부(300)에 의해 구획되도록 형성되더라도, 토양의 배수부위는 연결된다.
상기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 설치방법은, 비탈면 보호블럭이 설치된 설치면을 따라 상기 식생부(200)의 토양이 노출된 면으로 부터 배수된 물이 흘러가도록 비탈면 보호블럭을 설치해야 할 경우에는 비탈면 보호블럭의 상기 식생부(200)가 오른쪽 아래를 향하도록 배치하는 1단계, 상기 1단계의 과정을 통해 배치된 비탈면 보호블럭의 아래의 비탈면 보호블럭을 상기 식생부(200)가 왼쪽 위를 향하도록 배치하는 2단계, 상기 2단계의 과정을 통해 배치된 비탈면 보호블럭의 측면의 비탈면 보호블럭 중 시공자가 보았을 때 좌측의 비탈면 보호블럭을 상기 식생부(200)가 오른쪽 아래를 향하도록 배치하는 3단계, 상기 3단계의 과정을 통해 배치된 비탈면 보호블럭의 아래의 비탈면 보호블럭을 상기 식생부(200)가 왼쪽 위 를 향하도록 배치하는 4단계, 상기 1~4단계를 설치면의 면적만큼 반복해주는 5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용과 같이 비탈면 보호블럭을 설치해주면, 제 4 (b)도와 같이 설치되는데, 이렇게 설치되면 식생부(200)가 왼쪽 하향으로 사선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식생부(200)의 토양으로 부터 배출된 물이 배수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인 비탈면 보호블록의 외부면에 연결된 배수로가 형성되는 비탈면 보호블럭을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제 4 (a)도는 4개의 비탈면 보호블록의 식생부가 모여있도록 배열된 경우인데, 이렇게 설치하면 넓은 식생공간이 확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인 넓은 식생공간이 확보되는 비탈면 보호블럭을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본 발명으로 비탈면 보호블럭 하부의 토양이 유실될 경우 비탈면 보호블럭이 변화하면서 변형된 토양의 표면의 형상에 맞춰 다시 토양을 덮어주어 토양이 다시 안정을 취할 수 있게 하는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을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비탈면 보호블럭 철거시 무리지어 덩어리로 쉽게 철거할 수 있는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을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식생이 가능한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을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토양으로부터 스며나온 물을 자연스럽게 배수해줄 수 있는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을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비탈면 보호블록의 외부면에 연결된 배수로가 형성되는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을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넓은 식생공간이 확보되는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을 제공하게 되었다.

Claims (5)

  1. 전체적으로 정사각형의 판형부재의 일부에 바구니와 같이 아래로 오목한 부재가 연속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판형부재는 콘크리트 부재로 내부에 복수 개의 작은 부재들이 결합하여 한 몸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콘크리트부(100);
    상기 콘크리트부(100)에 연속되어 형성되되 아래로 오목한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판형부재의 가장자리 면들 중 연속되는 2개의 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그 내부에 식생이 가능하고 토양이 대기 중에 노출되어 있어 상기 토양을 통해 배수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식생부(200);
    상기 판형부재의 가장자리면의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부(100)와 상기 식생부(200)가 함께 형성되는 면들의 가장자리 부위에 부분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부(100)와 상기 식생부(200)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탄성을 가진 부재로 형성되는 격자부(3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부(100)는
    상기 판형부재의 부위 중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콘크리트부 가장자리판부(110);
    상기 판형부재의 부위 중 중앙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부 가장자리 판 부(110)에 접하여 형성되는 콘크리트부 중앙판부(120);
    상기 콘크리트부 가장자리판부(110)와 상기 콘크리트부 중앙판부(120)가 접하는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판형부재의 면의 일부인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가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콘크리트부 가장자리판부(110)와 상기 콘크리트부 중앙판부(120)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결합부(610);
    상기 콘크리트부 가장자리판부(110)와 상기 콘크리트부 중앙판부(120)가 접하는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610)가 아닌 부위로 돌출된 부위가 아닌 부분으로 형성되는 접촉면부(650);
    상기 콘크리트부 가장자리판부(110)의 결합부(610)와 상기 콘크리트부 중앙판부(120)의 접촉면부(650)사이, 상기 콘크리트부 가장자리판부(110)의 접촉면부(650)와 상기 콘크리트부 중앙판부(120)의 결합부(610)사이, 상기 콘크리트부 가장자리판부(110)의 결합부(610)와 상기 콘크리트부 중앙판부(120)의 결합부(610)사이가 서로 결합 되도록 하여 상기 콘크리트부 가장자리판부(110)와 콘크리트부 중앙판부(120)를 결합시켜주는 결합수단;
    을 포함하는 콘크리트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콘크리트부 가장자리판부(110)와 상기 콘크리트부 중앙판부(120)가 접하는 부위의 위와 아래에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부 가장자리판부(110)의 결합부(610)와 상기 콘크리트부 중앙판부(120)의 결합부(610)가 접하는 면 각각에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부 가장자리판부(110)의 결합부(610)와 상기 콘크리트부 중앙판부(120)의 결합부(610)사이를 결속시키는 선인 결합부 결속선(630);
    을 포함하는 결합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부(200)는
    상기 판형부재의 일부로 부터 연속되되 별개 부재로 형성되며 바구니와 같이 아래로 오목한 부재로 형성되되 상기 콘크리트부(100)와 접하는 면과 상기 격자부(300)와 접하는 면에 걸쳐지도록 형성되며 탄성을 가진 부재로 형성되는 식생부 몸체부(210);
    상기 식생부 몸체부(210)내의 복수 개의 중공부로 형성되며 토양이 대기에 노출되며 식생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식생공(220);
    상기 식생부 몸체부(210)내의 부위 중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되며 식생부 몸체부(210)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식생부 고 정핀 관통구(250);
    상기 식생부 고정핀 관통구(25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식생부 몸체부(210)를 지면에 고정시키도록 형성되고 핀 형상으로 형성되는 식생부 고정핀(230);
    을 포함하는 식생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상기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 설치방법은,
    비탈면 보호블럭이 설치된 설치면을 따라 상기 식생부(200)의 토양이 노출된 면으로 부터 배수된 물이 흘러가도록 비탈면 보호블럭을 설치해야 할 경우에는
    비탈면 보호블럭의 상기 식생부(200)가 오른쪽 아래를 향하도록 배치하는 1단계;
    상기 1단계의 과정을 통해 배치된 비탈면 보호블럭의 아래의 비탈면 보호블럭을 상기 식생부(200)가 왼쪽 위를 향하도록 배치하는 2단계;
    상기 2단계의 과정을 통해 배치된 비탈면 보호블럭의 측면의 비탈면 보호블럭 중 시공자가 보았을 때 좌측의 비탈면 보호블럭을 상기 식생부(200)가 오른쪽 아래를 향하도록 배치하는 3단계;
    상기 3단계의 과정을 통해 배치된 비탈면 보호블럭의 아래의 비탈면 보호블럭을 상기 식생부(200)가 왼쪽 위를 향하도록 배치하는 4단계;
    상기 1단계에서 4단계를 설치면의 면적만큼 반복해주는 5단계;
KR1020050087053A 2005-09-16 2005-09-16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 및 설치방법 KR100581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053A KR100581698B1 (ko) 2005-09-16 2005-09-16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 및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053A KR100581698B1 (ko) 2005-09-16 2005-09-16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 및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1698B1 true KR100581698B1 (ko) 2006-05-22

Family

ID=37181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7053A KR100581698B1 (ko) 2005-09-16 2005-09-16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 및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169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1109U (ko) * 1990-10-02 1992-05-26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1109U (ko) * 1990-10-02 1992-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81648B1 (en) A modular cell and matrix for supporting a load bearing feature
KR20150065477A (ko) 메쉬형 개구부가 형성된 산마루 측구 및 시공방법
KR20080096317A (ko) 담수 기능을 갖는 보도블록
KR100581698B1 (ko) 식생과 배수가 가능한 비탈면 보호블럭 및 설치방법
KR100699464B1 (ko)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KR100349863B1 (ko) 호안용 블록 및 그를 이용한 자연형 호안시공법
KR20190140231A (ko)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
KR200380759Y1 (ko) 조립식 격자블록
KR100802911B1 (ko) 화분형 식생 블럭
KR200406758Y1 (ko) 변화형 친환경 블록
KR200311986Y1 (ko) 식재가능한 조립식 격자블럭
KR20040010413A (ko)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KR100870825B1 (ko) 방패연 키형 식생 블럭
KR100317471B1 (ko) 식생 및 토사유출 방지용 블록과 그 시공방법
CN201109895Y (zh) 人行步道砖固定装置
KR200410826Y1 (ko) 하천 제방의 사면용 보호블록 설치구조
KR101201570B1 (ko) 견고한 연결구조를 가지는 토양 유지용 격자판 및 그 연결구조
KR200403790Y1 (ko)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KR200422482Y1 (ko) 호안블록
KR100956411B1 (ko) 조립식 식생블럭
CN219033094U (zh) 一种水利河道生态护坡构件
KR200276106Y1 (ko) 개량형 빗물받이 덮개
KR100724286B1 (ko) 식생블럭 조립체
KR100423257B1 (ko) 법면보호블록
KR100594746B1 (ko) 건축단지 내 비탈면 식재박스 구비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