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4746B1 - 건축단지 내 비탈면 식재박스 구비 옹벽 - Google Patents

건축단지 내 비탈면 식재박스 구비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4746B1
KR100594746B1 KR1020050117852A KR20050117852A KR100594746B1 KR 100594746 B1 KR100594746 B1 KR 100594746B1 KR 1020050117852 A KR1020050117852 A KR 1020050117852A KR 20050117852 A KR20050117852 A KR 20050117852A KR 100594746 B1 KR100594746 B1 KR 100594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ing box
drainage
retaining wall
connection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일
Original Assignee
(주)에이텍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텍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에이텍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117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47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건축물 또는 공동주택 등의 건축단지 내 비탈면 식재박스 구비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옹벽 대신에 식재박스를 적재하여 옹벽을 대신할 수 있게 하고,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옹벽의 기능과 조경의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게 하는 건축단지 내 비탈면 식재박스 구비 옹벽에 관한 것이며, 고정몸체부(11)와 삼각돌출부(12)가 형성되고, 우수조(14)가 형성되며, 연결홈(18)의 중앙부에 배수홀(19)을 형성하여 우수조(14)의 배수홀(15)과 각각 연통시키는 상부몸체(10); 고정몸체부(21)와 삼각돌출부(22)가 형성되고, 배수홀(27)이 있는 연결돌출부(26)가 형성되며, 배수홀(27)과 연통되는 연결배수로(29)가 형성되고, 연결배수로(29)와 연통되도록 주배수로(28)가 형성되는 하부몸체(20); 중앙에 손잡이(31)가 형성되고, 손잡이를 중심으로 양쪽에 볼트부가 형성되는 양방향볼트(30); 마름모몸체(45)에 상부가 개구된 돌출용기부(46)가 형성되고, 마름모몸체(45)에 연결돌출부(43)와 연결홈(41)이 형성되며, 연결돌출부(43)에 배수홀(44)이 형성되고, 연결홈(41)에 배수홀(42)이 형성되는 식재박스(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재박스, 돌출용기부, 상부몸체, 하부몸체

Description

건축단지 내 비탈면 식재박스 구비 옹벽{BREAST WALL HAVING BOX OF SLOPE FOR COLLECTIVE BUILDING}
도 1은 종래의 건축단지 내 비탈면 옹벽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건축단지 내 비탈면 식재박스 구비 옹벽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단지 내 비탈면 식재박스 구비 옹벽을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단지 내 비탈면 식재박스 구비 옹벽을 도시한 수직단면도.
도 5는 도 4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건축단지 내 비탈면 식재박스 구비 옹벽에 사용되는 식재박스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콘크리트옹벽 2 : 비탈면
10 : 상부몸체 11 : 고정몸체부
12 : 삼각돌출부 13 : 볼트홀
14 : 우수조 15 : 배수홀
16 : 덮개판홈 17 : 덮개판
18 : 연결홈 19 : 배수홀
20 : 하부몸체 21 : 고정몸체부
22 : 삼각돌출부 23 : 앵커볼트홀
24 : 볼트홀 25 : 배수구
26 : 연결돌출부 27 : 배수홀
28 : 주배수로 29 : 연결배수로
30 : 양방향볼트 31 : 손잡이
32 : 앵커볼트 40 : 식재박스
41 : 연결홈 42 : 배수홀
43 : 연결돌출부 44 : 배수홀
45 : 마름모몸체 46 : 돌출용기부
47 : 식재공간
본 발명은 일반건축물 또는 공동주택 등의 건축단지 내 비탈면 식재박스 구비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옹벽 대신에 식재박스를 적재하여 옹벽을 대신할 수 있게 하고,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옹벽의 기능과 조경의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게 하는 건축단지 내 비탈면 식재박스 구비 옹벽에 관한 것이다.
옹벽은 도로연변에 설치하여 빗물이나 지하수의 집수 및 배수와 경사면의 보호를 겸하게 하는 것으로, 종래 도로연변에서 우수나 지하수를 집수 및 배수하면서 옹벽을 보호함에 있어서는, 도로 연변에 다수의 집수공이 주면에 천공된 유공관을 매설하여 도로포장의 내부와 옹벽의 내부에서 출력되는 지하수를 집수토록 하며, 유공관 상부측에는 상부에서 개방되는 배수구가 형성된 배수블록을 설치하여 노면이나 옹벽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을 집수토록하고, 이들 유공관과 배수블록은 도로 연변에 있어 소정 간격마다 하수관에 연결하여 집수된 지하수나 빗물을 배수토록하며 옹벽에는 별도의 옹벽블록을 설치하거나 콘크리트 보호벽을 타설하여 옹벽을 보호토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건축단지 내 비탈면 옹벽을 도시한 도면이다.
건축단지 내 비탈면(2)과 차도(3)에 연접하여 콘크리트로 시공된 옹벽(1)이 설치된다.
도면상 미도시되었지만, 이와 같이 종래의 콘크리트 옹벽은 유공관이 옹벽에 노출되어 우수 및 유수의 흐름을 외부로 유출시키고자하는 목적에 충실하여 미관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문명이 발달하고 생활이 풍부해지면서 사람들은 자연에 대한 관심과 인식을 새롭게 가지게 되었고, 현재 대규모 공사를 하게 되는 경우 계획단계에서부터 환경에 대한 검토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으로 점차 소규모의 공사를 계획하는 경우에도 환경친화적인 계획을 요구하는 추세라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산업이 발전하면서 인구의 도시 밀집화가 이루어지고 새로운 시가지의 형성과 도시간의 원활한 연결을 위해 도로 및 철도 등의 시설공사가 빈번하게 요구되고 있어, 이때 지형적으로 절취 또는 성토사면이 많은 장소에서는 주위의 경관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그러한 문제들은 한정된 부지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하여 경사면에 대한 절토부와 성토부에 콘크리트 옹벽을 설치함으로 주위환경과 제대로 조화를 이루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로공사 또는 대형의 토목 공사시에 형성되는 높이가 높은 옹벽의 경우는 그 주위를 지나는 사람들에게 위압감마저 들게되고,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옹벽 벽체에 무늬를 넣거나, 착색을 하거나, 블록식 또는 패널식으로 변화시켜 왔지만 인공적인 콘크리트 벽체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 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옹벽을 조립식으로 구성하고, 배수를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식재박스의 내부를 관통시켜 이루어지게 하여 배수구가 외부에 노출되어 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배수되는 물이 식재박스에 식재된 식물의 생장을 돕게 하는 건축단지 내 비탈면 식재박스 구비 옹벽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측 단부에 고정몸체부가 형성되고, 중앙부 하면에 삼각돌출부가 다수개 하방 돌출되어 형성되며, 고정몸체부에는 볼트홀이 형성되고, 상부몸체의 중앙부 상면에는 우수조가 형성되며, 우수조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배수홀이 형성되고, 삼각돌출부의 사면 각각에 연결홈을 형성하며, 연결홈의 중앙부에 배수홀을 형성하여 우수조의 배수홀과 각각 연통시키는 상부몸체; 양측 단부에 고정몸체부가 형성되고, 중앙부 상면에 삼각돌출부가 다수개 상방 돌출되어 형성되며, 삼각돌출부의 사면에 각각 연결돌출부가 형성되고, 연결돌출부의 중앙부에 배수홀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홀과 연통되도록 하부몸체 내부에 연결배수로가 형성되고, 각각의 연결배수로와 연통되도록 하나의 주배수로가 형성되어 그 단부에 배수구가 형성되며, 고정몸체부 일측에 앵커볼트홀과 볼트홀이 형성되는 하부몸체; 중앙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손잡이를 중심으로 양쪽에 볼트부가 형성되는 양방향볼트; 속이 빈 마름모몸체의 전방 하부를 돌출시켜 상부가 개구된 돌출용기부가 형성되고, 마름모몸체의 상측 2면과 하측 2면에 각각 연결돌출부와 연결홈이 형성되며, 연결돌출부의 중앙에 마름모몸체 내부와 관통되도록 배수홀이 형성되고, 연결홈의 중앙에 마름모몸체 내부와 관통되도록 배수홀이 형성되는 식재박스;로 구성되어 각 식재박스가 소정의 높이 만큼 적층된 상태에서 하부몸체와 상부몸체가 적층된 식재박스를 압착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우수조의 상단 테두리부에 덮개판홈이 형성되어 덮개판이 안착되고, 덮개판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며, 식재박스의 내부에는 식재를 위한 토양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단지내 비탈면 식재박스 구비 옹벽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되지 않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건축단지 내 비탈면 식재박스 구비 옹벽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단지 내 비탈면 식재박스 구비 옹벽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단지 내 비탈면 식재박스 구비 옹벽을 도시한 수직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건축단지 내 비탈면 식재박스 구비 옹벽에 사용되는 식재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건축단지 내 비탈면 식재박스 구비 옹벽은 상부몸체(10), 하부몸체(20), 양방향볼트(30), 식재박스(4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상부몸체(10)는 양측 단부에 고정몸체부(11)가 형성되고, 중앙부 하면에 삼각돌출부(12)가 다수개 하방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몸체부(11)에는 볼트홀(13)이 형성된다. 상부몸체(10)의 중앙부 상면에는 우수조(14)가 형성되고, 우수조(14)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배수홀(15)이 형성되며, 우수조(14)의 상단 테두리부에 덮개판홈(16)이 형성되어 덮개판(17)이 안착되도록 한다. 덮개판(17)에는 손잡이(미도시)가 형성되어 쉽게 들어올릴 수 있게 하고, 선택적으로 덮개판(17)을 사용한다. 따라서 덮개판(17)에 우수가 흘러들어갈 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몸체(10)의 삼각돌출부(12)의 사면 각각에 연결홈(18)을 형성하고, 연결 홈(18)의 중앙부에 배수홀(19)을 형성하여 상기 우수조(14)의 배수홀(15)과 각각 연통시킨다. 따라서 우수조(14)의 배수홀(15)은 형성된 모든 삼각돌출부(12)의 사면의 숫자와 동일하게 형성한다.
하부몸체(20)는 양측 단부에 고정몸체부(21)가 형성되고, 중앙부 상면에 삼각돌출부(22)가 다수개 상방 돌출되어 형성된다.
삼각돌출부(22)의 사면에 각각 연결돌출부(26)가 형성되고, 연결돌출부(26)의 중앙부에 배수홀(27)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홀(27)과 연통되도록 하부몸체(20) 내부에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배수로(29)를 형성하고, 각각의 연결배수로(29)와 연통되도록 하나의 주배수로(28)를 형성하며, 주배수로(28)의 일단에 배수구(25)를 형성한다.
하부몸체(20)의 고정몸체부(21) 일측에 앵커볼트홀(23)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몸체(10)에 형성된 볼트홀(13)과 같은 위치에 볼트홀(24)을 형성한다.
하부몸체(20)에 형성된 앵커볼트홀(23)에 앵커볼트(32)를 체결시켜 하부몸체(20)를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양방향볼트(30)는 중앙에 손잡이(31)가 형성되고, 손잡이를 중심으로 양쪽에 볼트부가 형성된다. 볼트부는 일측이 오른나사로 형성되면, 타측은 왼나사로 형성되어 각각 상부몸체(10)의 볼트홀(13)과 하부몸체(20)의 볼트홀(24)에 체결된다. 따라서 손잡이(31)를 돌리면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 사이가 좁혀지거나 넓혀지게 된다.
식재박스(40)는 속이 빈 마름모몸체(45)의 전방 하부를 돌출시켜 돌출용기부 (46)를 형성하고, 돌출용기부(46)는 상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마름모몸체(45)의 상측 2면과 하측 2면에 각각 연결돌출부(43)와 연결홈(41)을 형성하고, 연결돌출부(43)의 중앙에 배수홀(44)을 마름모몸체(45) 내부와 관통되도록 형성하며, 연결홈(41)의 중앙에 배수홀(42)을 마름모몸체(45) 내부와 관통되도록 형성한다.
식재박스(40)의 내부에는 식재를 위한 토양이 채워지고, 돌출용기부(46)에 의하여 형성되는 식재공간(47)에 조경을 위한 식물이 심어진다.
하부몸체(20)를 옹벽이 형성될 자리에 앵커볼트(32)로 고정하고, 하부몸체(20)의 삼각돌출부(22) 사이에 위치하도록 식재박스(40)를 올려놓는다. 식재박스(40)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홈(41)에 하부몸체(20)의 연결돌출부(26)가 삽입되어 안착 고정된다.
삼각돌출부(22) 사이 사이에 적재된 식재박스(40)의 위로 다른 식재박스(40)를 적층시키고, 식재박스(40)의 하면에 형성된 연결홈(41)이 아래에 있는 식재박스(40)의 상면에 형성된 연결돌출부(43)에 끼워져 고정된다.
반복하여 식재박스(40)를 소정의 높이만큼 적층시킨 후 상부몸체(10)를 식재박스(40)의 최상단에 놓아 위치시키고 양방향볼트(30)를 이용하여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를 조여 식재박스(40)가 이탈하지 않도록 양방향 볼트(30)를 회전시켜 압력을 가해준다. 견고하게 고정된 식재박스(40)들은 옹벽을 역할을 충분히 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옹벽이 설치될 곳에 간편하게 설치하고, 상부몸체(10)에 흘러드는 우수는 각각의 식재박스(40) 내부에 채워지는 토양을 통하여 식재된 식물에 물을 공급하고, 아래의 식재박스로 내려가 최종적으로 연결배수로와 주배수로를 통하여 배수구(25)로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건축단지내 비탈면 식재박스 구비 옹벽은 옹벽을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옹벽의 높이를 식재박스의 적층 높이에 의하여 조절할 수 있으며, 배수를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식재박스의 내부를 관통시켜 이루어지게 하여 배수구과 외부에 노출되어 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수되는 물이 식재박스의 내부를 통과하므로 식재박스에 식재된 식물의 생장이 별도의 관리 없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배수홀이 형성된 다수개의 식재박스를 이용해 비탈면에 다단으로 적층하여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식재박스를 구비한 옹벽에 있어서,
    양측 단부에 고정몸체부(11)가 형성되고, 중앙부 하면에 삼각돌출부(12)가 다수개 하방 돌출되어 형성되며, 고정몸체부(11)에는 볼트홀(13)이 형성되고, 상부몸체(10)의 중앙부 상면에는 우수조(14)가 형성되며, 우수조(14)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배수홀(15)이 형성되고, 삼각돌출부(12)의 사면 각각에 연결홈(18)을 형성하며, 연결홈(18)의 중앙부에 배수홀(19)을 형성하여 우수조(14)의 배수홀(15)과 각각 연통시키는 상부몸체(10);
    양측 단부에 고정몸체부(21)가 형성되고, 중앙부 상면에 삼각돌출부(22)가 다수개 상방 돌출되어 형성되며, 삼각돌출부(22)의 사면에 각각 연결돌출부(26)가 형성되고, 연결돌출부(26)의 중앙부에 배수홀(27)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홀(27)과 연통되도록 하부몸체(20) 내부에 연결배수로(29)가 형성되고, 각각의 연결배수로(29)와 연통되도록 하나의 주배수로(28)가 형성되어 그 단부에 배수구(25)가 형성되며, 고정몸체부(21) 일측에 앵커볼트홀(23)과 볼트홀(24)이 형성되는 하부몸체(20);
    상부 몸체(10)와 하부 몸체(20)의 사이에 설치되는 한편,
    중앙에 손잡이(31)가 형성되고, 손잡이를 중심으로 양쪽에 볼트부가 형성되는 양방향볼트(30);
    상부 몸체(10)와 하부 몸체(20)의 사이에 다단으로 연결되어 설치되는 한편,
    속이 빈 마름모몸체(45)의 전방 하부를 돌출시켜 상부가 개구된 돌출용기부(46)가 형성되고, 마름모몸체(45)의 상측 2면과 하측 2면에 각각 연결돌출부(43)와 연결홈(41)이 형성되며, 연결돌출부(43)의 중앙에 마름모몸체(45) 내부와 관통되도록 배수홀(44)이 형성되고, 연결홈(41)의 중앙에 마름모몸체(45) 내부와 관통되도록 배수홀(42)이 형성되는 식재박스(40);로 구성되어 각 식재박스(40)가 소정의 높이 만큼 적층된 상태에서 하부몸체(20)와 상부몸체(10)가 적층된 식재박스(40)를 압착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단지내 비탈면 식재박스 구비 옹벽.
  2. 제 1 항에 있어서,
    우수조(14)의 상단 테두리부에 덮개판홈(16)이 형성되어 덮개판(17)이 안착되고, 덮개판(17)에는 손잡이(미도시)가 형성되며, 식재박스(40)의 내부에는 식재를 위한 토양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단지내 비탈면 식재박스 구비 옹벽.
KR1020050117852A 2005-12-06 2005-12-06 건축단지 내 비탈면 식재박스 구비 옹벽 KR100594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852A KR100594746B1 (ko) 2005-12-06 2005-12-06 건축단지 내 비탈면 식재박스 구비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852A KR100594746B1 (ko) 2005-12-06 2005-12-06 건축단지 내 비탈면 식재박스 구비 옹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4746B1 true KR100594746B1 (ko) 2006-06-30

Family

ID=37183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852A KR100594746B1 (ko) 2005-12-06 2005-12-06 건축단지 내 비탈면 식재박스 구비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474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76915C (en) Integrated tree root and storm water system
US107384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uid retention or detention
CN206571217U (zh) 基于海绵城市理念的室外停车位系统
KR101969827B1 (ko) 조경용 트렌치
EP3347523A1 (en) Tree frame and grate system and method to improve growth of vegetation in an urban environment
KR20200020543A (ko)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
CN113818534A (zh) 用于海绵城市道路的生物滞留设施
KR101510615B1 (ko) 침투식 빗물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568120B1 (ko) 식재박스를 이용한 옹벽 구조
KR100594746B1 (ko) 건축단지 내 비탈면 식재박스 구비 옹벽
CN209307984U (zh) 一种节地高效生态的新型塑料构件
JP2005120658A (ja) 雨水等の貯水施設
US20220268008A1 (en) Modular rain garden system
KR100549498B1 (ko) 건축용 조립식 옹벽블럭의 설치구조
KR100804066B1 (ko) 효율적인 배수가 가능하며 그 구조강도가 개선되는인공지반의 배수구조
KR100593187B1 (ko) 친환경적 비탈면 보호시설
CN208844710U (zh) 一种下凹式绿化带雨水收集渗透排水箱涵
AU2003204302B2 (en) Transport corridor drainage system
KR100619528B1 (ko) 건축단지용 조립식화단
KR100593186B1 (ko) 친환경적 옹벽
KR101878286B1 (ko) 분할 조립형 pc 블록을 갖는 빗물 저류조 및 이를 이용한 조경수 빗물 저류시스템
JP7499163B2 (ja) 貯水型側溝およびそれを用いた貯水型側溝設備
KR20120057938A (ko) 배수통을 갖는 보도블록
KR20120064873A (ko) 견고한 연결구조를 가지는 토양 유지용 격자판 및 그 연결구조
CN219033094U (zh) 一种水利河道生态护坡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