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3132A - 잔디를 식재한 건축물의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잔디를 식재한 건축물의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3132A
KR20070033132A KR1020050087487A KR20050087487A KR20070033132A KR 20070033132 A KR20070033132 A KR 20070033132A KR 1020050087487 A KR1020050087487 A KR 1020050087487A KR 20050087487 A KR20050087487 A KR 20050087487A KR 20070033132 A KR20070033132 A KR 20070033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building
soil
panel
soi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7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3573B1 (ko
Inventor
한영복
Original Assignee
한영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복 filed Critical 한영복
Priority to KR1020050087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3573B1/ko
Publication of KR20070033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3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02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at least one of the layers permitting turfing of the 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택이나 펜션 등의 건축물 지붕에 잔디를 식재하여 건축물의 미관을 화려하게 하고 동시에 단열 기능이 우수한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건축물 지붕 구조는 가운데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여 상기 지붕을 구성하는 구성물들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위에서 결합되고, 상기 지붕을 구성하는 구성물을 적층하기 위한 패널과, 상측의 토양물이 흘러 내리지 않도록 상기 패널의 상측에 수평 방향의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걸림턱과, 상기 패널 및 걸림턱을 덮어 외부로부터의 투습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층과, 상기 방수층의 상측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토양층 및 상기 토양물에 식재되는 조경식물을 포함하여 순차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건축물의 지붕에 천연 잔디와 같은 다년생 조경식물을 식재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열을 차단하고, 내부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뛰어난 단열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조경식물은 다양한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자연 친화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다.
건물, 지붕, 정원, 조경, 잔디

Description

잔디를 식재한 건축물의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Roof structure of building planted with lawn and the Method thereof}
도 1은 일반적인 지붕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붕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붕의 하측 일단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붕의 상측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조경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프레임 20 : 패널
30 : 걸림턱 40 : 방수층
50 : 토양층 60,60a,b : 조경식물(잔디)
70 : 가이드 패널 80 : 문양 패널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택이나 펜션 등의 건축물 지붕에 잔디를 식재함으로써 건축물의 미관을 화려하게 하고 동시에 단열 기능이 우수한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상부에는 외부로부터 빗물, 눈, 먼지 등의 이물질 및 열에너지가 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건축물 내부 공간의 열에너지가 외부로 유출되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붕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지붕은 건축물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시공되지만, 통상적인 주택 등의 소형 건축물의 경우 건축물 상부 전체 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평면형의 옥상으로 형성하거나, 빗물이 흘러 내릴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지지대 상측에 단열재를 적층하고 그 위에 슬레이트나 기와를 적층 시공하여 지붕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간편한 시공을 위해 금속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하부패널과 상부패널 및 상하부 패널 사이에 개재된 단열 부재로 구성되는 샌드위치 형상의 단열 패널을 지지 프레임에 볼트로 고정하고, 건물 내부에 빗물 등이 스며들지 못하도록 방수처리 하여 시공 하는 방식으로 건축물의 지붕을 형성하는 등 건축물에 크기나 용도 등에 따라 지붕은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신축 건물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유해 화학물질이 발생된다고 밝혀짐에 따라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으며, 아파트나 일반 주택 등의 건축 물 시공시 유해 물질이 발생하지 않는 환경친화적인 건축재료나 시공방법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건축물에서 발생되는 이러한 유해 화학물질에 의해 새집증후군(Sick House Syndrome)이라는 증상까지 나타나고 있어, 건축물이나 인테리어 시공시 화학물질의 과다 사용을 삼가하고, 유해 화학물질의 발생을 줄인 친환경적인 건축 재료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함께 건축물의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조경시설이나 정화시설을 설치하여 자연 친화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건축물을 시공하려 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건물 내부의 베란다나 외부의 옥상과 같은 곳에 별도의 정원이나 조경시설을 설치하여, 자연속에 동화되는 시각적인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효과 외에도 여름에는 태양으로부터의 열을 차단하여 더욱 시원함을 느낄 수 있으며, 겨울에는 실내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는 단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건물의 옥상에 설치하는 정원의 경우 건축물의 지붕이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바닥이 평평한 형태를 이루어야 하며, 또한 정원을 설치하기 위해 나무 등의 정원수 외에도 흙이나 돌 같은 조경물이 필요하여 이미 건축된 건물의 옥상에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고, 정원 시설에 대한 건물의 하중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하는 등의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주택과 같은 소형 건축물이나 최근 급증하고 있는 펜션 등과 같은 건축물에는 옥상과 같은 공간이 형성되지 않아 지붕에 정원 시설을 시공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건축물의 시공시 동시에 시공할 수 있는 지붕 구조로 황토가 포함된 토양에 잔디와 같은 다년생 조경식물이 식재되어 외부로부터의 열을 차단하고, 내부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조경식물은 다양한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자연 친화적이고 친환경적인 건축물의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건축물 지붕 구조는 가운데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상기 지붕을 구성하는 구성물들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위에서 결합되고, 상기 지붕을 구성하는 구성물을 적층하기 위한 패널과, 상측의 토양물이 흘러 내리지 않도록 상기 패널의 상측에 수평 방향의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걸림턱과, 상기 패널 및 걸림턱을 덮어 외부로부터의 투습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층과, 상기 방수층의 상측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토양층 및 상기 토양물에 식재되는 조경식물을 포함하여 순차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붕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우수를 배수하고 토양물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 패널과 상기 지붕의 상측 양단에는 다양한 형상의 문양이 새겨진 문양 패널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수층은 비닐 혹은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되고, 상기 토양층은 황토이고, 상기 조경식물은 다양한 종류의 잔디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을 이루도록 식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물 지붕 시공방법은 상기 지붕을 지지하기 위해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프레임을 구축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상기 지붕의 구성물을 적층하기 위한 패널을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패널의 상측에 수평 방향의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걸림턱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건축물 외부로부터의 투습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지붕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빗물을 배수하고 토양층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 패널과 상기 지붕의 상측 양단에는 다양한 형상의 문양이 새겨진 문양 패널을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방수층의 상측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토양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토양층에 조경식물을 식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양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황토와 마사토를 혼합한 혼합토를 5 내지 10 cm 의 두께로 형성하고, 상기 조경식물을 식재하는 단계는 2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종류의 잔디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을 나타내도록 식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지붕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건물의 상부에 시공되는 지붕은 통상 지지 프레임(1)에 단열수단(2)이 고정 결합되고, 단열수단(2)의 상측 에는 빗물 등이 스며들지 못하도록 방수수단(3)이 결합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프레임(1)은 빗물이 지붕의 가장자리로 흘러 내려가도록 하기 위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하며, 단열수단(2)은 상하부의 금속 패널에 단열 부재를 삽입한 샌드위치 패널이 주로 사용되며, 방수수단(3)은 슬레이트나 기와, 아스팔트 루핑 등을 빗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양 끝단이 서로 엇갈려 겹쳐지도록 하여 결합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붕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붕은 양측으로 소정의 경사각으로 기울어진 프레임(10)과, 프레임에 위에 결합되어 지붕을 구성하는 구성물들을 적층하기 위한 패널(20), 경사에 의해 상측의 토양물이 흘러 내리지 않도록 수평 방향의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걸림턱(30), 패널 및 걸림턱을 덮어 건축물 외부로부터의 투습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층(40)과, 방수층의 상측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토양층(50) 및 토양층에 식재되는 다년생의 조경식물(6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또한 지붕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빗물을 배수하고 토양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 패널(70)과 지붕의 상측 양단에는 다양한 형상의 문양이 새겨진 문양 패널(80)이 포함된다.
도 3과 도4를 참조하여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프레임(10)은 상측에 결합 및 적층되는 구조물들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재나 통나무형의 목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빗물이 지붕의 가장자리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가운데를 중 심으로 양측으로 소정의 경사각으로 기울어지도록 한다.
패널(20)은 상측에 조경식물이 식재되는 토양층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금속 플레이트나 합성 수지 플레이트, 나무 합판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패널(20)은 하부의 프레임(10)에 고정 부착되어 결합된다.
한편 패널(20)의 상측에는 수평방향, 즉 지지대(10)와는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걸림턱(30)이 형성되며, 걸림턱(30)은 지지대(10)의 경사에 의해 상측의 토양(50)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걸림턱(30)은 약 30 cm 내지 50 cm의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빗물이나 습기 등이 건축물 내부로 스며들 수 있으므로, 걸림턱(30)이 부착된 패널(20)의 상측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방수층(40)이 형성된다. 방수층(40)으로는 얇은 금속판이나 고무판 등의 시트를 부착시켜 형성할 수 있으며, 건축물의 하중을 고려하면 무게가 가벼운 비닐이나 플라스틱 필름 등의 시트를 이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수층(40)이 형성된 상측에는 조경식물(60)이 식재되는 토양층(50)이 적층된다. 토양층(50)을 형성하는 토양의 종류와 두께는 식재되는 조경식물의 종류에 따라 적당한 종류와 두께로 형성되어야 한다. 지붕에 식재될 수 있는 조경식물(60)로는 비와 바람에 잘 견디고 다년생의 식물이 바람직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잔디를 조경식물로 식재한다. 따라서 잔디(60)가 식재되기 위한 토양층으로는 황토와 마사토를 혼합한 혼합토를 사용하며, 두께는 잔디가 뿌리를 내려 생육이 가능하기 위해 최소 5cm 이상의 두께로 형성되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토양층의 무 게에 의한 지붕의 하중과 토양층이 단열 기능을 하도록 하는 것을 고려하면 10cm 정도의 두께로 형성한다.
토양층(50)은 조경식물(60)을 식재하는 외에도 여름에는 외부이 열을 차단하여 실내의 온도가 올라가지 않도록 하며, 겨울에는 내부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토양층(50)을 적절한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단열재를 요하지 않는다.
지붕의 가장자리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양층(50)이 지붕의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장자리를 따라서 가이드 패널(70)이 결합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의 상측 양단에는 외관을 위해 다양한 문양이 새겨진 문양 패널(80)이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조경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식재되는 잔디는 다양한 종류의 잔디(60a,60b)가 이용될 수 있다.
잔디의 종류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난지형 잔디와 한지형 잔디로 분류되며, 구체적으로는 난지형 잔디는 한국형 잔디류와 버뮤다그래스류로 구분되고, 한지형 잔디는 켄터키블루그래스, 퍼레니얼라이그래스, 톨페스큐, 벤트그래스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잔디들은 그 종류에 따라 잎의 형상이나 색상, 크기, 생육 특성 등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종류에 따른 잔디의 특성을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잔디(60a,60b)를 식재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재된 잔디 (60a,60b)가 다양한 형상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용 지붕 구조에 의하면 건축물의 지붕에 천연 잔디와 같은 다년생 조경식물을 식재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열을 차단하고, 내부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뛰어난 단열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조경식물은 다양한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자연 친화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건축물의 지붕 구조에 있어서,
    가운데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상기 지붕을 구성하는 구성물들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위에서 결합되고, 상기 지붕을 구성하는 구성물을 적층하기 위한 패널;
    상측의 토양물이 흘러 내리지 않도록 상기 패널의 상측에 수평 방향의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걸림턱;
    상기 패널 및 걸림턱을 덮어 외부로부터의 투습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층;
    상기 방수층의 상측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토양층; 및
    상기 토양물에 식재되는 조경식물; 을 포함하여 순차로 적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지붕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우수를 배수하고 토양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 패널과 상기 지붕의 상측 양단에는 다양한 형상의 문양이 새겨진 문양 패널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지붕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은 비닐 혹은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지붕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경식물은 잔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지붕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는 2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종류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상을 이루도록 식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지붕 구조.
  6. 건축물의 지붕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붕을 지지하기 위해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프레임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상기 지붕의 구성물을 적층하기 위한 패널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패널의 상측에 수평 방향의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걸림턱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건축물 외부로부터의 투습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붕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빗물을 배수하고 토양층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 패널과 상기 지붕의 상측 양단에는 다양한 형상의 문양이 새겨진 문양 패널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방수층의 상측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토양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토양층에 조경식물을 식재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 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황토와 마사토를 혼합한 혼합토를 5 cm 이상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 시공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경식물을 식재하는 단계는 2 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종류의 잔디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을 나타내도록 식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붕 시공방법.
KR1020050087487A 2005-09-21 2005-09-21 잔디를 식재한 건축물의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743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487A KR100743573B1 (ko) 2005-09-21 2005-09-21 잔디를 식재한 건축물의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487A KR100743573B1 (ko) 2005-09-21 2005-09-21 잔디를 식재한 건축물의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132A true KR20070033132A (ko) 2007-03-26
KR100743573B1 KR100743573B1 (ko) 2007-07-27

Family

ID=41560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7487A KR100743573B1 (ko) 2005-09-21 2005-09-21 잔디를 식재한 건축물의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35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36620A (zh) * 2017-02-16 2017-06-13 湖南诚友绿色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保温‑绿化‑结构一体化屋面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329B1 (ko) * 2010-11-03 2011-03-29 태성이엔씨(주) 조경 방음 터널
KR101345761B1 (ko) 2012-09-26 2013-12-27 유경조경주식회사 정자 지붕의 녹화 방법 및 그 구조
KR102193142B1 (ko) 2020-08-13 2020-12-21 정양기 녹화지붕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906B1 (ko) 2000-10-23 2003-04-26 박영건 조경용 꽃 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2002291328A (ja) * 2001-03-30 2002-10-08 Inax Corp 高機能屋根
JP3837377B2 (ja) * 2002-10-31 2006-10-25 住友林業株式会社 緑化可能な傾斜屋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36620A (zh) * 2017-02-16 2017-06-13 湖南诚友绿色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保温‑绿化‑结构一体化屋面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3573B1 (ko) 2007-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smond et al. Guide to urban cooling strategies
EP2331768B1 (en) Roof with modular plant covering
US20090133339A1 (en) Roof System
KR100553005B1 (ko) 옥상녹화시스템 및 그의 시공방법
CN103982009A (zh) 一种屋顶绿化结构及施工方法
JPH06209655A (ja) 建築構造物の緑化用床構造
Yazyeva et al. Greening technology organization of multi-storey buildings, in the reconstruction of architectural and planning solutions with the use of modern building materials
KR100743573B1 (ko) 잔디를 식재한 건축물의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10062730A (ko) 고단열 성능을 갖는 저관리-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및 시공 방법
Mowla Green roof concept for eco-sustainability in the context of Urban Dhaka
KR101388151B1 (ko) 식생용 방근 및 방수 구조물과 그것의 시공방법
Seferyan et al. Modern architectural-planning, organizational, technological, constructive solutions at green roofing
CN112854618A (zh) 一种屋面种植系统及其施工方法
Koivula Green roofs in Finland and abroad
Wilkinson et al. Technical and engineering issues in green roof retrofit
Maltseva et al. Problems and Solutions for Green Roofs
Friedman Design strategies for integration of green roofs in sustainable housing
CN207647051U (zh) 一种平面储水的绿色生态防水屋面
TW513505B (en) A building deck construction method and structure thereof with delicacy, landscaping, and cooling effects
MAIER et al. Green Roofs-A Solution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Urban Space
JPH0547575Y2 (ko)
CN214902682U (zh) 一种园林景观绿化观赏带
Friedman et al. Green roofs
Chen et al. Contemporary Design in Detail: Sustainable Environments
KR200264462Y1 (ko) 옥상녹화용 식재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