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7356B1 - 폴딩 루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 Google Patents

폴딩 루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7356B1
KR101167356B1 KR1020090047331A KR20090047331A KR101167356B1 KR 101167356 B1 KR101167356 B1 KR 101167356B1 KR 1020090047331 A KR1020090047331 A KR 1020090047331A KR 20090047331 A KR20090047331 A KR 20090047331A KR 101167356 B1 KR101167356 B1 KR 101167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op
folding
frame
convertible top
elastically deform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4110A (ko
Inventor
마티아스 프뢰슐레
한노 베버
Original Assignee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00014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4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60J7/1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foldable; Tensioning mechanisms therefor, e.g. struts
    • B60J7/1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foldable; Tensioning mechanisms therefor, e.g. struts with a plurality of rigid plate-like elements or rigid non plate-like elements, e.g. with non-slidable, but pivotable or foldable movement
    • B60J7/143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foldable; Tensioning mechanisms therefor, e.g. struts with a plurality of rigid plate-like elements or rigid non plate-like elements, e.g. with non-slidable, but pivotable or foldable movement for covering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J7/145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foldable; Tensioning mechanisms therefor, e.g. struts with a plurality of rigid plate-like elements or rigid non plate-like elements, e.g. with non-slidable, but pivotable or foldable movement for covering the passenger compartment at least two elements being folded in clamp-shell fash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60J7/1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foldable; Tensioning mechanisms therefor, e.g.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 영역을 갖는 하나 이상의 루프 프레임(20) 및 하나 이상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31-34)를 포함하는 컨버터블 탑 프레임(14)과 컨버터블 탑 커버(12)를 구비한 폴딩 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컨버터블 탑 커버(12)를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은 컨버터블 탑 프레임(14)이 접히거나 포개어질 수 있고, 접힐 때 인장 부재(31-34)가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047331
루프 프레임,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 컨버터블 탑 프레임, 컨버터블 탑 커버, 폴딩 루프 장치

Description

폴딩 루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FOLDING ROOF DEVICE AND MOTOR VEHICLE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전방 영역을 갖는 하나 이상의 루프 프레임 및 하나 이상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를 포함하는 컨버터블 탑 프레임과 컨버터블 탑 커버를 구비한 폴딩 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독일 공개 공보 DE 199 16 692 A1호에는 윈도우 프레임을 구비한 차량의 폴딩 탑(folding top)이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폴딩 탑은 윈도우 프레임을 향해 있는 커버 천 섹션 내에, 닫힌 상태에서 차량 종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인장을 받을 수 있는 가변형 인장 부재를 포함한다. 이 가변형 인장 부재는 바람직하게 당김 로프가 안내될 수 있는 채널을 내부에 구비한 보강 직물 스트립으로서 형성된다. 프랑스 특허 출원 FR 2 778 609 A1호에는 가요성 부재에 의해 인장되는 컨버터블 탑을 구비한 차량이 공지되어 있다. US 특허 US 6,811,204 B2호에는 가요성 유리 섬유 폴(fiberglass pole)에 의해 인장되는 가요성 보호 덮개가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방 영역을 갖는 하나 이상의 루프 프레임 및 하나 이상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를 포함하는 컨버터블 탑 프레임과 컨버터블 탑 커버를 구비한, 간단하게 구성되고 신속하게 접히거나 포개어질 수 있는 폴딩 루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전방 영역을 갖는 하나 이상의 루프 프레임 및 하나 이상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를 포함하는 컨버터블 탑 프레임과 컨버터블 탑 커버를 구비한 폴딩 루프 장치에서, 컨버터블 탑 커버를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은 컨버터블 탑 프레임이 접힐 때 인장 부재가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접힐 수 있음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중요한 개념에 따라, 컨버터블 탑 프레임은 종래의 폴딩 루프 장치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가이드를 포함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의 가이드를 하나 이상의 인장 부재로 대체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폴딩 루프 장치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가 루프 프레임의 전방 영역으로부터 폴딩 루프 장치의 후방 영역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장 부재는 폴딩 루프 장치가 폐쇄된 경우, 예를 들어 차량 종방향으로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폴딩 루프 장치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는 컨버터블 탑 커버를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은 컨버터블 탑 프레임이 접힐 때 인장 부재가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상기 컨버터블 탑 프레임이 접힐 수 있는 방식으로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가 루프 프레임의 전방 영역으로부터 폴딩 루프 장치의 후방 영역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루프 프레임은 바람직하게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와 달리 강성을 지닌다. 루프 프레임의 전방 영역, 특히 전방 루프 프레임부는 상부 카울과 로킹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미 알려진 컨버터블 탑 로크(lock)가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컨버터블 탑 프레임의 각각의 측면에는 측면 루프 프레임부가 제공될 수 있다. 폴딩 루프 장치가 닫힌 상태에서 컨버터블 탑 커버의 인장을 위해 바람직하게 벤딩 폴(bending pole)로서 형성된 하나 이상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중요한 개념에 따라, 하나 이상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는 바람직하게 차량의 후방 영역에 배치된 폴딩 루프 장치의 후방 영역으로부터 루프 프레임의 전방 영역까지 연장된다. 이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 또는 추가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량의 종방향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또는 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물론 이들의 조합도 가능하다.
폴딩 루프 장치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는 컨버터블 탑 프레임 내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가 가이드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컨버터블 탑 프레임은 전방 루프 프레임부와, 측면 프레임부들과, 주 베어링과, 주 가이드와의 4절 링크 장치(four-bar linkage)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버터블 탑 프레임에서 주 가이드는 생략되며, 하나 이상의 인장 부재가 주 가이드의 기능을 담당한다.
폴딩 루프 장치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는 컨버터블 탑 프레임 내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가 컨버터블 탑 보우(bow)의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중요한 추가 개념에 따라, 컨버터블 탑 커버는 폴딩 루프 장치가 닫힌 상태에서 인장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그리고/또는 인장된다.
폴딩 루프 장치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는 컨버터블 탑 프레임 내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가 스프링의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프링 작용은 인장 부재가 변형됨으로써, 예를 들어 휘어지거나 또는 만곡됨으로써 달성된다. 종래의 컨버터블 탑 프레임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추가의 기계적 스프링 또는 가스 스프링은 생략될 수 있다.
폴딩 루프 장치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는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에 사전 인장력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에는 폴딩 루프 장치가 닫힌 상태에서 컨버터블 탑 커버에 대해 사전 인장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컨버터블 탑 커버는 안정적으로 인장된다.
폴딩 루프 장치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는 컨버터블 탑 프레임의 폐쇄 운동이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의 사전 인장력에 의해 보조되도록,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에 사전 인장력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폴딩 루프 장치의 펼침 운동이 보조된다. 이 경우, 인장 부재는 폴딩 루프 장치가 폐쇄될 때 부피 보상을 유발하는 탄성 스프링으로서 작용한다. 이를 통해 폴딩 루프 장치의 폐쇄가 용이해진다.
폴딩 루프 장치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는 복수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들이 루프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들의 각각 하나의 단부가 루프 프레임에 장착된다.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의 다른 단부는 바람직하게 차량 후방 영역의 지지 구조물에 장착된다.
폴딩 루프 장치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는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들 중 하나 이상이, 바람직하게는 2개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루프 프레임의 전방 영역으로부터 루프 장치의 후방 영역으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바람직하게 폴딩 루프 장치의 폐쇄 위치와 관련된다. 보관 위치에서는 인장 부재들이 폴딩 루프 장치의 폐쇄 위치에서와 상이하게 배치된다.
폴딩 루프 장치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는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들 중 하나 이상이, 바람직하게는 2개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루프 프레임의 전방 영역으로부터 루프 장치의 후방 영역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폴딩 루프 장치의 폐쇄 위치에서 간단한 방식으로 컨버터블 탑 커버가 안정적으로 인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폴딩 루프 장치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는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 또는 일부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들이나 모든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들이 폴딩 루프 장치가 접힌 상태나 포개어진 상태 및/또는 접히지 않은 상태나 펼쳐진 상태에서 만곡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평상시 또는 인장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인장 부재들은 바람직하게 직선이다. 바람직하게는 접힌 상태뿐 아니라 접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인장 부재들은 사전 인장력을 받도록, 다소 심하게 만곡된다. 루프 장치의 접히거나 포개어진 상태는 보관 위치에 상응한다. 루프 장치의 접히지 않은 또는 펼쳐진 상태는 폐쇄 위치에 상응한다. 인장 부재들은 접힌 상태에서 바 람직하게는 접히지 않은 상태에서와 다른 평면 또는 다른 면에 위치한다. 또한 필요한 보관 공간을 줄이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접힌 상태에서 접히지 않은 상태에서보다 인장 부재들이 더 심하게 만곡된다.
폴딩 루프 장치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는 루프 프레임이 복수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들이 장착된 전방 루프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방 루프 프레임으로도 지칭되는 전방 루프 프레임부는 폴딩 루프 장치의 폐쇄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이미 알려진 컨버터블 탑 로크(lock)에 의해 차량 상부 카울과 로킹된다. 상부 루프 프레임부는 바람직하게 강성을 지니도록 형성된다.
폴딩 루프 장치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는 복수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들이 전방 루프 프레임부의 상이한 위치들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2개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들이 전방 루프 프레임부의 측면 단부 영역들에 장착된다. 폴딩 루프 장치의 폐쇄 위치에서 하나 이상의 추가 인장 부재,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추가 인장 부재들이 다른 2개의 인장 부재들 사이에서, 전방 루프 프레임부로부터 폴딩 루프 장치의 후방 영역으로 연장된다. 인장 부재들은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폴딩 루프 장치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는 복수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들이 전방 루프 프레임부의 상이한 위치들에 링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인장 부재들의 링크된 단부들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스윙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상기 링크가 실행된다. 대안적으로 인장 부재들은 볼 조인트 방식으로 링크될 수도 있다.
폴딩 루프 장치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는 루프 프레임이, 하나의 단부가 전방 루프 프레임부에 각각 장착된 2개의 측면 루프 프레임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측면 루프 프레임으로도 지칭되는 측면 루프 프레임부들은 전방 루프 프레임부에 링크될 수 있으며, 각각 하나의 사이드 윈도우 개구의 경계를 형성한다.
폴딩 루프 장치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는 측면 루프 프레임부들의 다른 단부가 차량의 지지 구조물에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측면 루프 프레임부들의 상기 다른 단부는 지지 구조물에 링크될 수 있다. 따라서 측면 루프 프레임부는 B 필러라고도 칭할 수 있다.
폴딩 루프 장치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는 측면 루프 프레임부들이, 서로 링크된 2개 이상의 측면 루프 프레임부 섹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루프 프레임부 섹션들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스윙 가능하도록 상기 링크가 실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측면 루프 프레임부 섹션들 중 하나가 전방 루프 프레임부와 고정 연결된다. 다른 루프 프레임부 섹션은 지지 구조물에 링크될 수 있다.
폴딩 루프 장치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가 각각 하나의 측면 루프 프레임부에 링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가 측면 루프 프레임부의 전방 영역에 링크된다.
폴딩 루프 장치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는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 또는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들이 루프 프레임에 링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는 바람직하게 루프 프레임의 전방 영역에서 실행된다.
폴딩 루프 장치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는 컨버터블 탑 커버가 컨버터블 탑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분리 가능하다는 의미는 바람직하게 파손되지 않고 반복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이다.
폴딩 루프 장치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는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가 컨버터블 탑 커버에 고정되거나, 강성 컨버터블 탑 프레임부들이 컨버터블 탑 커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는 컨버터블 탑 커버 내에 통합될 수도 있다. 컨버터블 탑 커버는 인장 부재와 함께 컨버터블 탑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인장 부재는 컨버터블 탑 커버가 분리될 때 컨버터블 탑 프레임에 남겨질 수도 있다.
폴딩 루프 장치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는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가 벤딩 폴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벤딩 폴들은 컨버터블 탑 보우로서 작용하고, 폴딩 루프 장치가 닫힌 상태에서 컨버터블 탑 커버를 지지하거나 인장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벤딩 폴들은 루프 프레임부들, 특히 측면 루프 프레임부들이 보관될 때, 이들의 동기화를 담당한다. 본 발명의 중요한 개념에 따라, 종래의 가이드 대신에 벤딩 폴들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벤딩 폴들은 탄성 변형 가능한, 바람직하게는 사전 인장될 수 있는 재료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루프 장치가 접히거나 포개어질 때 루프 프레임의 전방 영역, 특히 전방 루프 프레임부는 후방 영역, 바람직하게는 차량 후방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벤딩 폴들은 심하게 만곡되거나 변형되고 인장된다. 이렇게 심하게 만곡되고 인장되거나 변형된 상태에서 벤딩 폴들은 보다 적은 공간을 필요로 하며, 차량 후방 영역 내 공간적으로 제한된 보관 구역에 보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지지 구조물에 분리 가능하게 또는 분리 불가능하게 장착된 상술된 폴딩 루프 장치를 구비한 차량, 특히 승용차에 관한 것이다.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 경우, 폴딩 루프 장치는 바람직하게 폐쇄 상태에서 지지 구조물로부터 분리되어, 별도로 접혀지고 포개어진다. 분리 불가능하게 장착된 경우, 폴딩 루프 장치는 폐쇄 위치로부터 보관 위치로 접혀져서, 바람직하게 차량의 후방 영역에 제공된 보관 구역에 보관된다.
차량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가 차량의 지지 구조물에 분리 가능하게 또는 분리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분리 가능하다는 의미는 바람직하게 파손되지 않고 반복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변형 가능한 인장 부재는 직접 또는 추가 고정 부재들을 매개로 지지 구조물에 분리 가능하게 또는 분리 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공통의 고정 부재에 복수의 인장 부재들이 장착될 수도 있으며, 이 공통의 고정 부재 역시 지지 구조물에 장착된다.
차량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는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가 차량의 지지 구조물에 분리 가능하게 또는 분리 불가능하게 링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인장 부재의 일측 단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스윙 가능하도록 지지 구조물에 링크된다. 대안적으로 볼 조인트 방식의 링크가 제공될 수 있다.
차량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는 2개 이상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들이 차량 의 지지 구조물의 공통의 위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인장 부재들의 운동은 연결 위치의 영역에서 간단한 방식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장 부재들의 하부 단부, 즉 후방 영역을 향한 단부가 지지 구조물에 장착된다.
차량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는 각각 2개 이상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들이 공통 위치에서 차량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차량의 지지 구조물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간단한 방식으로 컨버터블 탑 커버를 위한 비교적 큰 펼침면이 제공될 수 있다.
차량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는 컨버터블 탑 프레임이 컨버터블 탑 커버와 함께 폐쇄 위치로부터 보관 위치로 그리고 그 역으로 접히거나 포개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폐쇄 위치에서는 컨버터블 탑 커버가 인장 부재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인장 부재들에 의해 차량의 후방 영역과 윈드 실드 상부의 카울 사이에서 인장된다. 보관 위치에서는 컨버터블 탑 커버가 컨버터블 탑 프레임과 함께 접히거나 포개어지며, 인장 부재들은 바람직하게 접혀지지 않고, 비교적 심하게 만곡된다.
차량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는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 또는 복수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들이 폐쇄 위치 및/또는 보관 위치에서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폐쇄 위치에서는 인장 부재들이 바람직하게 상부 카울로부터 차량의 후방 영역으로 연장되는 만곡된 면 내에서 인장된다. 그러나 폴딩 루프 장치의 폐쇄 위치에서 인장 부재들이 직선으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폴딩 루프 장치의 보관 위 치에서는 인장 부재들이 실질적으로 하나의 평면에서 또는 비교적 작은 보관 구역에서 바람직하게 비교적 심하게 만곡되어 배치될 수 있다.
차량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는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 또는 복수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들이 폐쇄 위치에서 보관 위치에서와 상이하게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장 부재들이 폐쇄 위치에서 만곡되느냐 아니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선 배치되느냐 하는 것은 원하는 루프 형태에 좌우된다. 인장 부재들의 보관 위치에서의 만곡은 바람직하게, 보관 위치에서 폴딩 루프 장치의 필요 공간이 최소화되도록 선택된다.
차량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는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 또는 복수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들이 폐쇄 위치 및/또는 보관 위치에서 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장 부재들의 폐쇄 위치에서의 인장 또는 사전 인장에 의해 컨버터블 탑 커버가 인장된다. 인장 부재들의 보관 위치에서의 인장 또는 사전 인장에 의해, 보관 위치에 있는 폴딩 루프 장치가 폐쇄되거나 펼쳐지는 것을 보조하는 힘이 간단한 방식으로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장점들, 특징들, 세부 사항들은 도면과 관련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된 이하의 설명에서 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전방 영역을 갖는 하나 이상의 루프 프레임 및 하나 이상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를 포함하는 컨버터블 탑 프레임과 컨버터블 탑 커버를 구비한, 간단하게 구성되고 신속하게 접히거나 포개어질 수 있는 폴딩 루프 장치가 제 공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지지 구조물로도 지칭되는 차체(2)와, 후방 영역(3)을 구비한 승용차(1)의 일부분이 다양한 상태 및 다양한 시점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상부 카울(6)을 포함하는 윈드 실드 프레임(5)의 일부인 A 필러(4)가 도시되어 있다. 승용차(1)는 예를 들어 개방 구조를 갖는 스포츠 쿠페나 카브리올레 또는 로드스터이다.
승용차(1)의 후방 영역(3)으로부터 폴딩 루프 장치(10)가 윈드 실드 프레임(5)의 카울(6)로 연장된다. 폴딩 루프 장치(10)는 컨버터블 탑 프레임(14)에 걸쳐 고정된 컨버터블 탑 커버(12)를 포함한다. 컨버터블 탑 커버(12)는 일체로 구성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커버(15)와 추가 커버(16)로 여러 부분으로 구성된다. 추가 커버(16)는 리어 윈도우(18)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봉합을 통해 메인 커버(15)와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컨버터블 탑 프레임(14)은 전면 루프 프레임부(22)와 2개의 측면 루프 프레임부들(24, 25)을 갖는 루프 프레임(20)을 포함한다. 전면 루프 프레임부(22)는, 예를 들어 종래의 로크에 의해 상부 카울(6)에 고정될 수 있다. 측면 루프 프레임부들(24, 25)은 (도시되지 않은) 사이드 윈도우 용 개구부의 경계를 형성한다. 컨버터블 탑 커버(12) 아래에 펼쳐져 고정된 인장 부재들(31, 32, 33, 34)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들은 곡선들(26, 27, 28, 29)로 표시되어 있다.
도 2에는 펼쳐진 상태의 컨버터블 탑 프레임(14)이 컨버터블 탑 커버 없이 도시되어 있다. 이 펼쳐진 상태는 폴딩 루프 장치(10)가 닫힌 상태로도 지칭된다. 도 2에는 측면 루프 프레임부(24)와, 마찬가지로 측면 루프 프레임부(25)가, 상이한 곡률로 만곡되어 A 필러(4)의 연장부로 연장되는 2개의 측면 루프 프레임부 섹션들(41, 42)을 포함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점(43)에서 루프 프레임부 섹션(41)의 전방 단부는 전면 루프 프레임부(22)와 고정 연결된다.
추가의 연결점(44)에서 2개의 루프 프레임부 섹션들(41, 42)이 관절 이음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연결점(44)의 관절 이음식 연결은, 양측 루프 프레임부 섹션들(41, 42)이 실질적으로 차량 횡방향으로 연장되며 십자로 표시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스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추가의 연결점(45)에서 루프 프레임부 섹션(42)은 승용차(1)의 측면 지지 구조물에 링크된다. 이 연결점(45)은 루프 프레임부 섹션(42)이, 실질적으로 차량 횡방향으로 연장되며 십자로 표시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스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인장 부재들(31 내지 34)의 전방 단부는 연결점들(51, 52, 53, 54)에서 전면 루프 프레임부(22)로 링크된다. 연결점들(51 내지 54)은 차량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링크된 인장 부재들(31 내지 34)의 단부들이, 실질적으로 승용차(1)의 Z-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들(55, 56, 57, 58)을 중심으로 스윙될 수 있도록 한다. 차량 종방향을 X-방향이라 하고, 차량 횡방향을 Y-방향이라 할 경우, Z-방향은 X-축과 Y-축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회전축들(55 내지 58)은 Z-축에 대해 약간 기울어져 배치된다.
인장 부재들(31, 32)의 후방 단부들은 공통 연결점(61)에서 후방 영역(3)의 지지 구조물(2) 후방 좌측에 링크된다. 이와 유사하게 인장 부재들(33, 34)은 공통의 연결점(62)에서 후방 영역(3)의 지지 구조물(2) 후방 우측에 링크된다. 연결점들(61, 62)은 인장 부재들의 링크된 단부들이 회전축들(63, 64)을 중심으로 스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회전축들(63, 64)은 승용차(1)의 Z-축에 대해 약간 기울어져 배치된다.
측면 루프 프레임부들(24, 25) 사이에는 폴딩 루프 장치(10)가 닫힌 상태일 때 인장 부재들(31 내지 34)을 하부로부터, 즉 차량 내부로부터 가압하는 컨버터블 탑 코너 보우(70)가 연장된다. 컨버터블 탑 코너 보우(70)는 연결점들(71, 72)에서 측면 루프 프레임부들(24, 25)에 링크된다. 관련된 회전축들은 십자로 표시되어 있고, 바람직하게 차량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컨버터블 탑 코너 보우(70)는 강성을 지니도록 또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는 횡방향 보우(74)를 포함한다.
횡방향 보우(74)의 단부들로부터 2개의 고정 아암들(75, 76)이 관련된 측면 루프 프레임부(24)로 각각 연장된다. 고정 아암(75)의 자유 단부는 연결점(71)에서 측면 루프 프레임부(24)의 루프 프레임부 섹션(42)에 링크된다. 고정 아암(76)의 자유 단부는 예를 들어 관절 이음식으로 그리고/또는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점(44)의 영역에서 또는 연결점(44)에서 측면 루프 프레임부(24)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추가 개념에 따라, 고정 아암(76)은 폴딩 루프 장치(10)가 닫힌 상태일 때 인장력만 받는 가요성 밸트로서 형성된다. 폴딩 루프 장치(10)가 보관 상태일 때 고정 밴드는 간단하게 접히거나 포개어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컨버터블 탑 프레임(14)이 어떻게 도 2에 도시된 닫힘 위치로부터 도 4에 도시된 보관 위치로 접히거나 포개어지는지가 도시되어 있다. 접히거나 포개어질 때 루프 프레임(20)은 연결점(44)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젖혀진다. 이 경우, 젖혀진 루프 프레임(20)은 측면 연결점(45)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스윙된다. 포개어질 때 인장 부재들(31 내지 34)은 더 심하게 만곡된다. 보관 위치에서는 이 심하게 만곡된 인장 부재들(31 내지 34)이 부분적으로 중첩되며, 실질적으로 하나의 평면에 놓인다.
본 발명의 중요한 개념에 따라, 인장 부재들(31 내지 34)은 각각 탄성 벤딩 폴로서 형성되고, 폴딩 루프 장치(10)가 닫힌 상태일 때 컨버터블 탑 보우의 기능을 수행한다. 퀵 폴딩 루프 장치(10)는 분리된 상태에서 포개어져 차량 내부에 적재되는 분리 가능한 루프(removable roof)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폴딩 루프 장치(10)가, 상응하는 수용 공간 내에 보관되는, 차량에 고정된 상태로 포개어질 수 있는 컨버터블 탑으로서도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장 부재들(31 내지 34)은 승용차(1)의 지지 구조물(2)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고 분리 불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폴딩 루프 장치(10)가 포개어지거나, 보관되거나, 접힐 때, 인장 부재들(31 내지 34)은 종래의 폴딩 루프 장치에 제공된 추가 링크 장치의 가이드 기능을 담당한다.
본 발명의 중요한 추가 개념에 따라, 인장 부재들(31 내지 34)은 루프 프레임(20) 특히, 측면 루프 프레임부들(24, 25)의 보관 운동도 동기화한다. 컨버터블 탑 커버(12)는 분리 가능하게 컨버터블 탑 프레임(14)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인장 부재들(31 내지 34)은 컨버터블 탑 커버(12)에 고정되고, 필요 시 컨버터블 탑 커버(12)와 함께 분리될 수 있다. 또는 대안적으로 인장 부재들(31 내지 34)은 컨버터블 탑 프레임(14)에 고정되고, 컨버터블 탑 커버(12)는 이와 별도로 분리될 수도 있다.
도 5에는 메인 커버(15)와 추가 커버(16)로 구성된 컨버터블 탑 커버(12)만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추가 커버(16)는 분리 가능하게 또는 영구적으로 메인 커버(15)와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추가 커버(16)가 높은 밀폐성이 달성되도록 특수한 방식으로 메인 커버(15)와 연결된다.
도 1은 폴딩 루프 장치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 승용차를 뒤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컨버터블 탑 커버의 하부에 놓인 컨버터블 탑 프레임이 보일 수 있도록 컨버터블 탑 커버 없이 도시한, 도 1과 유사한 도면.
도 3은 컨버터블 탑 프레임이 접혀질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 2와 유사한 도면.
도 4는 컨버터블 탑 프레임이 보관 위치에 있거나 보관 위치와 유사한 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한, 도 2 및 도 3과 유사한 도면.
도 5는 도 1의 폴딩 루프 장치의 컨버터블 탑 커버의 사시도.

Claims (32)

  1. 윈드 쉴드 프레임을 갖는 차량용 폴딩 루프 장치에 있어서,
    전방 영역을 갖는 하나 이상의 루프 프레임(20) 및 하나 이상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31-34)를 포함하는 컨버터블 탑 프레임(14)과 컨버터블 탑 커버(12)를 구비하고,
    컨버터블 탑 프레임(14)은 상기 윈드 쉴드 프레임의 차량 후방에 힌지연결된 측면 루프 프레임부들(24, 25) 및 상기 측면 루프 프레임부들(24, 25) 사이에서 연장하는 전방 루프 프레임부(22)를 포함하고,
    컨버터블 탑 프레임(14)의 상기 측면 루프 프레임부들(24, 25)은 상기 전방 루프 프레임부(22)가 상기 윈드 쉴드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전방 루프 프레임부(22)가 상기 윈드 쉴드 프레임에 근접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접힐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31-34)는 컨버터블 탑 프레임(14)의 상기 전방 루프 프레임부(22)에 연결된 전방 종방향 단부를 갖고, 컨버터블 탑 프레임(14)이 접히는 동안 상기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31-34)가 탄성 변형되고,
    상기 컨버터블 탑 커버(12)는 컨버터블 탑 프레임(14)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31-34) 상에서 늘어져 있고, 컨버터블 탑 프레임(14)에 영구히 고정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루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31-34)는 루프 프레임(20)의 전방 영역으로부터 폴딩 루프 장치(10)의 후방 영역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루프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컨버터블 탑 커버(12)를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은 컨버터블 탑 프레임(14)이 접히는 동안 인장 부재(31-34)가 탄성 변형되도록 접힐 수 있게,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31-34)는 루프 프레임(20)의 전방 영역으로부터 폴딩 루프 장치(10)의 후방 영역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루프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컨버터블 탑 프레임(14) 내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31-34)는 가이드의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루프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컨버터블 탑 프레임(14) 내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31-34)는 컨버터블 탑 보우의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루프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컨버터블 탑 프레임(14) 내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31-34)는 스프링의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루프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31-34)에는 사전 인장력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루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컨버터블 탑 프레임(14)의 폐쇄 운동이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31-34)의 사전 인장력에 의해 보조되도록,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31-34)에 사전 인장력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루프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들(31-34)은 루프 프레임(20)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루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들(31-34) 중 하나 이상 또는 2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루프 프레임(20) 전방 영역으로부터 루프 장치(10) 후방 영역으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루프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들(31-34) 중 하나 이상 또는 2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루프 프레임(20) 전방 영역으로부터 루프 장치(10) 후방 영역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루프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31-34)나, 일부의 또는 모든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31-34)는 루프 장치(10)가 접힌 상태 또는 접히지 않은 상태일 때 만곡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루프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루프 프레임(20)은 복수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31-34)가 장착된 전방 루프 프레임부(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루프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복수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31-34)는 전방 루프 프레임부(22)의 상이한 위치들(51-54)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루프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복수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31-34)는 전방 루프 프레임부(22)의 상이한 위치들(51-54)에 링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루프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루프 프레임(20)은 단부가 각각 전방 루프 프레임부(22)에 장착되는 2개의 측면 루프 프레임부들(24, 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루프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측면 루프 프레임부들(24, 25)의 다른 단부는 각각 차량의 지지 구조물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루프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측면 루프 프레임부(24, 25)는 각각 서로 링크되는 2개 이상의 측면 루프 프레임부 섹션들(41, 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루프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31-34)가 각각 하나의 측면 루프 프레임부(24, 25)에 링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루프 장치.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31-34)가 루프 프레임(20)에 링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루프 장치.
  2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컨버터블 탑 커버(12)는 분리 가능하게 컨버터블 탑 프레임(14)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루프 장치.
  2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31-34)가 컨버터블 탑 커버(12)에 고정되거나, 강성 컨버터블 탑 프레임부들이 컨버터블 탑 커버(1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루프 장치.
  2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31-34)는 벤딩 폴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루프 장치.
  24.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차량의 지지 구조물(2)에 분리 가능하거나 분리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폴딩 루프 장치(10)를 구비한 차량.
  25. 제24항에 있어서,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31-34)는 차량의 지지 구조물(2)에 분리 가능하거나 분리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루프 장치를 구비한 차량.
  26. 제24항에 있어서,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31-34)는 차량의 지지 구조물(2)에 분리 가능하거나 분리 불가능하게 링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루프 장치를 구비한 차량.
  27. 제24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들(31, 32; 33, 34)은 차량의 지지 구조물(2)의 공통 위치들(61, 62)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루프 장치를 구비한 차량.
  28. 제24항에 있어서, 각각 2개 이상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들(31, 32; 33, 34)은 차량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차량의 지지 구조물(2)의 공통 위치들(61, 62)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루프 장치를 구비한 차량.
  29. 제24항에 있어서, 컨버터블 탑 프레임(14)은 컨버터블 탑 커버(12)와 함께 폐쇄 위치로부터 보관 위치로 그리고 그 역으로 접히거나 포개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루프 장치를 구비한 차량.
  30. 제29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31-34)는 폐쇄 위치 또는 보관 위치에서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루프 장치를 구비한 차량.
  31. 제29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31-34)는 폐쇄 위치에서 보관 위치에서와 상이하게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루프 장치를 구비한 차량.
  32. 제29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탄성 가변형 인장 부재(31-34)는 폐쇄 위치 또는 보관 위치에서 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루프 장치를 구비한 차량.
KR1020090047331A 2008-08-01 2009-05-29 폴딩 루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KR1011673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36910A DE102008036910A1 (de) 2008-08-01 2008-08-01 Faltdachanordnung
DE102008036910.1 2008-08-0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128A Division KR20120059472A (ko) 2008-08-01 2012-05-18 폴딩 루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4110A KR20100014110A (ko) 2010-02-10
KR101167356B1 true KR101167356B1 (ko) 2012-07-19

Family

ID=41461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331A KR101167356B1 (ko) 2008-08-01 2009-05-29 폴딩 루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46983B2 (ko)
KR (1) KR101167356B1 (ko)
CN (1) CN101638045B (ko)
BR (1) BRPI0902454A2 (ko)
DE (1) DE102008036910A1 (ko)
IT (1) IT1397070B1 (ko)
RU (1) RU2480347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36898A1 (de) * 2008-08-01 2010-02-0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Faltdachanordnung
DE102008036906A1 (de) * 2008-08-01 2010-02-04 Dr.Ing.H.C.F.Porsche Aktiengesellschaft Faltdachanordnung
DE102012106027B4 (de) * 2012-07-05 2022-12-0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Faltverdeck für ein Kraftfahrzeug
US9715735B2 (en) * 2014-01-30 2017-07-25 Flipboard, Inc. Identifying regions of free space within an image
IT202000004405A1 (it) * 2020-03-03 2021-09-03 Automobili Lamborghini Spa Capote per veicolo comprendente un tessuto in fibra di carbonio.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40619C (de) * 1935-07-09 1937-01-08 Auto Union A G Klappverdeck,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SU369039A1 (ru) * 1969-10-08 1973-02-08 Складывающаяся крыша кузова
GB8700911D0 (en) * 1987-01-16 1987-02-18 Aquila Shelters Ltd Tent structure
DE3724532C1 (de) * 1987-07-24 1988-11-10 Daimler Benz Ag Verdeckgestell eines Klappverdecks fuer Fahrzeuge
DE3903680C1 (ko) * 1989-02-08 1990-04-12 Daimler-Benz Aktiengesellschaft, 7000 Stuttgart, De
US5259658A (en) * 1989-03-07 1993-11-09 Daimler-Benz Aktiengesellschaft Arrangement for a partial stiffening of a top covering of a folding top
DE4126114C1 (ko) * 1991-08-07 1992-06-25 Mercedes-Benz Aktiengesellschaft, 7000 Stuttgart, De
DE4445580C1 (de) * 1994-12-20 1995-12-21 Daimler Benz Ag Hardtop-Fahrzeug
DE59604731D1 (de) * 1995-06-22 2000-04-27 Karmann Gmbh W Faltverdeck für ein Cabriolet-Fahrzeug
DE19613356C2 (de) * 1996-04-03 1998-04-16 Karosserie Baur Gmbh Kinematisches Verdeck für PKW
DE19622953C1 (de) * 1996-06-07 1997-08-07 Porsche Ag Faltverdeck für ein Fahrzeug, insbesondere Personenkraftwagen
DE19634510C1 (de) * 1996-08-27 1998-01-22 Daimler Benz Ag Dachkonstruktion für ein Kraftfahrzeug, insbesondere für einen Personenkraftwagen
EP0897821B1 (de) 1997-08-20 2002-01-2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Patentabteilung AJ-3 Rolldach eines Kraftfahrzeugs, insbesondere Personenkraftwagens
US6039382A (en) * 1998-01-05 2000-03-21 Chrysler Corporation Folding top for a motor vehicle
FR2778609B1 (fr) 1998-05-15 2000-06-16 Peugeot Toit decouvrable de vehicule automobile
DE19911541B4 (de) 1998-11-14 2004-05-19 Cts Fahrzeug-Dachsysteme Gmbh Faltverdeck für einen Kraftwagen
US6237986B1 (en) * 1998-11-14 2001-05-29 Cts Fahrzeug-Dachsysteme Gmbh Folding hood for a motor vehicle
US6141934A (en) * 1998-12-07 2000-11-07 World Shelters, Inc. Folding frame system with foldable leg assembly and method of erecting a folding frame system
FI111149B (fi) * 1999-03-03 2003-06-13 Valmet Automotive Oy Avoauton avattava kattomekanismi, ympäripyörähdyssuojajärjestelmä ja avoauto
DE19942428C2 (de) * 1999-09-06 2001-11-22 Webasto Vehicle Sys Int Gmbh Verdeck für ein Cabriolet
DE19960010C2 (de) * 1999-12-13 2003-07-31 Cts Fahrzeug Dachsysteme Gmbh Klappverdeck für Fahrzeuge, insbesondere Personenkraftwagen
EP1164040B1 (de) * 2000-06-15 2004-11-03 Wilhelm Karmann GmbH Cabriolet-Fahrzeug
DE10029472B4 (de) * 2000-06-15 2004-11-11 Wilhelm Karmann Gmbh Cabriolet-Fahrzeug
DE10029473B4 (de) * 2000-06-15 2006-09-07 Wilhelm Karmann Gmbh Cabriolet-Fahrzeug
DE10036922C1 (de) * 2000-07-28 2001-12-06 Edscha Cabrio Verdecksys Gmbh Hauptlagereinheit für ein Cabrio-Verdeck
CA2402465A1 (en) * 2001-01-11 2002-07-18 Jess J. Bayerle Vehicle canopy
DE10144046A1 (de) 2001-09-07 2003-03-27 Opel Adam Ag Verdeck für ein Kabriolett
US6871899B2 (en) * 2002-01-05 2005-03-29 Edscha Cabrio-Dachsysteme Gmbh Top for a convertible vehicle
DE10216891C1 (de) * 2002-04-17 2003-11-20 Porsche Ag Kraftfahrzeug mit einem Verdeck
US6796595B2 (en) * 2002-06-21 2004-09-28 Asc Incorporated Vehicle convertible roof
JP2004050857A (ja) * 2002-07-16 2004-02-19 Toyo Seat Co Ltd 車両用幌装置
US6659533B1 (en) * 2002-09-09 2003-12-09 Asc Incorporated Vehicle convertible roof
US6811204B2 (en) 2002-09-15 2004-11-02 Jamie Long ATV top
DE10349848A1 (de) * 2003-10-25 2005-06-02 Wilhelm Karmann Gmbh Cabriolet-Fahrzeug
DE102004011856B8 (de) 2004-03-11 2007-09-06 Edscha Cabrio-Dachsysteme Gmbh Verdeck für ein Cabriolet
CN2721440Y (zh) * 2004-04-15 2005-08-31 卓两进 轿车及休闲两用快速折叠遮阳篷
DE102004019244B4 (de) * 2004-04-16 2006-06-01 Cts Fahrzeug-Dachsysteme Gmbh Lenkerkinematik für ein Fahrzeug-Hardtop
US7246841B2 (en) * 2004-09-23 2007-07-24 Asc Incorporated In-folding convertible roof
JP4636898B2 (ja) * 2005-02-25 2011-02-23 株式会社東洋シート 車両用幌装置
US7392816B2 (en) * 2005-10-03 2008-07-01 Porter Andrew H Adjustable shade-providing building structure
DE102006014114B3 (de) 2006-03-24 2007-11-08 Webasto Ag Fahrzeugdach mit wenigstens einer faltbaren Abdeckung
US7690716B2 (en) * 2006-05-23 2010-04-06 Specialty Vehicle Acquisition Corp. Convertible roof
US20100140974A1 (en) * 2007-02-08 2010-06-10 Hs Genion Gmbh Emergency folding top
DE102008036898A1 (de) * 2008-08-01 2010-02-0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Faltdachanordnung
DE102008036906A1 (de) * 2008-08-01 2010-02-04 Dr.Ing.H.C.F.Porsche Aktiengesellschaft Faltdachanordnung
DE102008036901A1 (de) * 2008-08-01 2010-02-0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Faltdachanordnung
DE102009009596B4 (de) * 2009-02-19 2014-07-10 Webasto-Edscha Cabrio GmbH Verdeck für ein Cabriolet-Fahrzeug
DE102009014968A1 (de) * 2009-03-18 2010-09-2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deck für ein Cabriolet und Cabriolet mit einem Verde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8036910A1 (de) 2010-02-04
ITMI20091233A1 (it) 2010-02-02
IT1397070B1 (it) 2012-12-28
RU2480347C2 (ru) 2013-04-27
RU2009118179A (ru) 2010-11-20
US8146983B2 (en) 2012-04-03
BRPI0902454A2 (pt) 2010-04-20
KR20100014110A (ko) 2010-02-10
CN101638045B (zh) 2013-04-24
US20100026041A1 (en) 2010-02-04
CN101638045A (zh) 201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2842B2 (en) Folding roof arrangement
KR101223847B1 (ko) 폴딩 루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KR101167356B1 (ko) 폴딩 루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US5988729A (en) Roof construction for an open passenger car
US7198317B2 (en) Adjustable vehicle roof having a fabric cover
US6871899B2 (en) Top for a convertible vehicle
US8172304B2 (en) Folding roof arrangement with elastically deformable tensioning elements pivotally attached to a support structure of a vehicle
US7770958B2 (en) Soft top for a motor vehicle
US6688669B2 (en) Motor vehicle having a folding roof which can be opened
US20080061591A1 (en) Folding Top
US10730374B2 (en) Top of a convertible vehicle, comprising a headliner assembly
US10449842B2 (en) Top of a convertible vehicle having an unfoldable headliner
KR20120059472A (ko) 폴딩 루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US8287027B2 (en) Support arm assembly for a folding top of a vehicle
JP2008539129A (ja) 内向するように関節連結された横側最後方レールを備えた折りたたみ式幌機構
US9623736B2 (en) Openable vehicle roof structure
CN110893750B (zh) 用于车辆的折叠车篷
DE102008036903A1 (de) Faltdachanordnung
JP4065635B2 (ja) 車両用幌装置
JP3693537B2 (ja) 車両用幌装置
JP2001105882A (ja) 車両用幌装置
JP2008132798A (ja) 自動車のコンバーチブルト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