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812B1 - 열활성화장치 및 프린터장치 - Google Patents

열활성화장치 및 프린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812B1
KR101155812B1 KR1020050014568A KR20050014568A KR101155812B1 KR 101155812 B1 KR101155812 B1 KR 101155812B1 KR 1020050014568 A KR1020050014568 A KR 1020050014568A KR 20050014568 A KR20050014568 A KR 20050014568A KR 101155812 B1 KR101155812 B1 KR 101155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onveying
sheet
pair
adhesiv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3075A (ko
Inventor
마사노리 다카하시
미노루 호시노
요시노리 사토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3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20Gluing the labels or articles
    • B65C9/24Gluing the labels or articles by heat
    • B65C9/25Gluing the labels or articles by heat by thermo-activating the gl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05Forming loops or sags in webs, e.g. for slackening a web or for compensating variations of the amount of conveyed web material (by arranging a "dancing roller" in a sag of the web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6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the guidance of continuous cop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kewed conveyance of the continuous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 Handling Of Continuous Sheets Of Paper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열활성화장치와 이 열활성화장치용 프린터 장치는, 감긴 시트의 선단을 수용하는 반송기구의 잼 발생율을 저하시킨다.
열활성화장치는 감열성 점착 시트(21)를 개재하면서 반송하는 한 쌍의 반송 롤러(53, 54)와, 이 한 쌍의 반송롤러(53, 54)의 전단에 설치되고 상기 감열성 점착 시트(21)의 일 표면에 인접하여 해당 감열성 점착 시트(21)의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부재가 설치된다. 가이드부재(55)의 가이드면 중 상기 반송롤러(53, 54)에 가장 가까운 가이드 선단(T)이, 반송 롤러의 회전 축방향에서 볼 때, 상기 반송 롤러의 접선으로 또한 해당 한 쌍의 반송 롤러의 접점을 지나는 기준선(H)에서 상기 감열성 점착 시트가 변형하여 부풀어 커지는 측의 반대방향(Z)으로 변위한 위치에 배치되고, 기준선(H)은 반송롤러(53, 54)의 접선이고 한 쌍의 반송롤러(53, 54)의 접촉점을 통과한다. 또한, 가이드부재(55)의 가이드면은, 가이드면이 반송롤러(53, 54)에 접근할수록 가이드면과 기준선(H)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경사지게 구성된다.

Description

열활성화장치 및 프린터장치{THERMALLY ACTIVATING DEVICE AND PRINTER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프린터장치를 도시하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열활성화 유니트를 상세히 도시하는 내부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열활성화 유니트의 삽입부에 있어서의 감열성 점착 시트가 반송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비교용으로 삽입 가이드의 오프셋을 0으로 설정하였을 때의 시트가 반송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삽입 가이드의 선단의 최적 위치의 범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삽입 가이드의 최적 경사 각도의 범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감열성 점착 시트 30 : 인쇄 유니트
40 : 절단 유니트 50 : 열활성화 유니트(열활성화장치)
51 : 열적 헤드 52 : 플래튼 롤러
53, 54 : 삽입롤러(반송롤러) 55 : 삽입 가이드(가이드부재)
H : 기준선
본 발명은 감열성 점착 시트의 열활성화를 실행하는 열활성화장치, 및 이런 시트에 인쇄를 실행하는 프린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식품공장이나 슈퍼마켓 등에 있어서 제조?판매되는 상품에 상품명이나 가격, 소비기한 등을 표시하기 위해서 부착되는 라벨로서 감열성 점착 라벨의 이용이 예상된다. 감열성 점착 라벨은, 통상 상태에서 점착력을 갖지 않는 점착층을 갖는다. 이 점착층에 열에너지를 인가하여 점착층이 활성화되므로, 점착 대상물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감열성 점착 라벨을 포함하여, 동일한 점착층을 갖는 시트는 본 명세서에서는 감열성 점착 시트라고 일반적으로 언급된다.
지금까지, 이러한 감열성 점착 라벨을 활성화시키는 열활성화장치로서, 다수의 발열소자가 형성된 열적 헤드로 감열성 점착 라벨을 가열하여, 그 점착층을 활성화하는 것이 개발되어 있다.
통상, 이러한 열활성화장치는 감열성 점착 라벨의 인쇄면에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기구와, 롤 형상으로 권회된 연속적인 감열성 점착 시트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기구와 조합되어 열활성화 기능을 갖는 프린터장치를 구성한다. 이러한 프린터장치에서는, 통상, 인쇄기구의 후단(posterior stage)에 절단기구가 설치되고, 이 절단기구의 후단에 열활성화장치가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출원인은, 먼저, 절단기구로부터 열활성화기구로 감열성 점착 라벨을 이송할 때에, 절단기구로부터의 반송속도와 열활성화기구의 반입속도를 다르게 한 것으로, 절단기구의 반송부와 열활성화기구의 삽입부 사이에 감열성 점착 시트를 일 측면을 향해 부풀어 커지도록 변형하여 반송시키는 발명에 관해서 출원하고 있다(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 2003-316265호 공보).
이와 같이 방식으로 두 기구 사이의 감열성 점착 시트를 절곡함으로써, 열활성화기구의 영역에서 정지하지 않고 열활성 점착 시트를 필요한 속도로 이동시키면서 열활성화 처리를 행하면서 동시에, 절단기구의 영역에서 감열성 점착 시트를 일시적으로 정지시켜 절단 처리를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절단기구와 열활성화기구를 조합하여 사용한 경우, 절단기구로부터 반송된 감열성 점착 시트가 열활성화기구의 삽입부에 적절하게 삽입되지 않고 그 부분에 걸리게 되는, 소위 잼(jam)이 종종 발생하는 일이 있었다.
특히,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절단기구와 열활성화기구 사이에서 시트를 절곡하도록 구성한 경우, 시트가 일 측면을 향해 팽창하여 이탈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연구가 없으면 무시할 수 없는 빈도로 잼이 발생한다는 것을 알았다.
열활성화처리는 시트를 절단한 후에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따라서, 열활성화기구에 감열성 점착 시트의 절단 단(cut end)이 매회 삽입된다. 그래서, 열활성화기구에서의 시트 단의 잼 발생율은 직접적으로 프린터장치의 에러 발생율로서 나타나게 된다. 즉, 이 부분의 잼 발생율을 낮게 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송된 감열성 점착 시트나 감긴 시트(curled sheet)의 선단을 진입시켜, 시트를 반송하는 기구에 있어서 잼의 발생 빈도를 낮게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전단의 장치로부터 감열성 점착 시트가 반입되는 반입부와, 반입된 감열성 점착 시트를 반송하면서 가열하는 가열부를 구비하여, 상기 전단의 장치로부터 감열성 점착 시트가 반송되는 속도와 상기 반입부에서의 반입 속도를 다르게 한 것으로, 상기 반입부와 상기 전단의 장치와의 사이에서 감열성 점착 시트를 일 측면을 향해 변형시키도록 구성된 열활성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입부에는, 상기 감열성 점착 시트를 개재하면서 반송하는 한 쌍의 반송 롤러와, 이 한 쌍의 반송롤러의 전단에 설치되고 상기 감열성 점착 시트의 일 표면에 인접하여 해당 감열성 점착 시트의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면 중 상기 반송롤러에 가장 가까운 가이드 선단이, 상기 반송 롤러의 회전 축방향에서 볼 때, 상기 반송 롤러의 접선으로 또한 해당 한 쌍의 반송 롤러의 접점을 지나는 기준선에서, 상기 감열성 점착 시트가 변형하여 부풀어 커지는 측의 반대방향으로 변위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롤 페이퍼에서 인출된 고정방향으로 감긴 시트를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라인 열적 헤드를 갖고 이 라인 열적 헤드에 의해 상기 시트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기구를 구비한 프린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수단은, 상기 시트를 사이에 개재하면서 반송하는 한 쌍의 반송 롤러와, 이 한 쌍의 반송 롤러의 전단에 설치되고 상기 시트의 한 면에 접촉하여 해당 시트의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갖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면 중 상기 반송 롤러에 가장 가까운 가이드 선단이, 상기 반송 롤러의 회전 축방향에서 볼 때, 상기 반송 롤러의 접선으로 해당 한 쌍의 반송 롤러의 접점을 지나는 기준선에서, (감기에 의해 반송롤러 이전에 시트의 선단이 절곡되는 방향으로) 상기 시트가 감기에 의해 팽창하는 측의 반대방향으로 변위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한 쌍의 반송 롤러 바로 앞에 있어서 잼은, 시트 선단이 반송 롤러 사이에 진입하기 전에, 시트 선단보다 약간 앞의 감긴 면이 하나의 반송 롤러에 인접해 시트 선단의 진행을 방해하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상술과 같이 가이드 선단의 위치를 오프셋(offset)한다. 그 결과, 시트 선단이 반송 롤러 사이에 진입하기 이전에 시트 선단보다 약간 앞의 감긴 면이 하나의 반송 롤러에 인접하는 가능성이 낮게 된다. 변형예로, 감긴 면이 반송롤러에 인접하더라도 그 영향을 작게 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시트 선단이 한 쌍의 반송 롤러의 사이에 매끄럽게 진입한다.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면을, 상기 반송 롤러에 가까운 부분만큼 상기 가이드면과 기준선 사이의 거리가 짧게 되도록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가이드면을 비스듬히 한다. 그 결과, 시트 선단보다 약간 앞의 감긴 면이 먼저 한편의 반송 롤러에 접촉한 경우에도, 그 인접하는 각도가 시트의 진행방향으로 근접한 각도로 된다. 따라서, 시트 선단의 진행을 방해하는 힘이 감 소된다. 그 결과, 시트 선단이 한 쌍의 반송 롤러 사이에 매끄럽게 진입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선단이, 상기 기준선에서 R x 0.05 내지 R × 0.3의 길이 만큼 변위되고, 여기서 R은 한 쌍의 반송 롤러 중 상기 가이드 선단이 변위한 측에 있는 반송 롤러의 지름이고, 상기 가이드면의 상기 가이드 선단의 부분에 있어서의 경사가 상기 기준선에 대하여 0°내지 25°(보다 바람직하게는 5°내지 17°)로 설정되고, 상기 가이드선단이, 상기 한 쌍의 반송 롤러의 각각의 회전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으로부터 R ×O.25 내지 R x 1.25(보다 바람직하게는 R x O.25 내지 R ×O.75)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하여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프린터장치를 도시하는 전체 구성을 도시한다.
이 실시 형태의 프린터장치는, 인쇄면(감열성 점착 시트(21)의 감열성 인쇄가능층)에 인쇄를 행하고, 이 시트(21)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며, 시트(21)의 감열성 점착층의 열활성화와, 시트(21)를 배출하는 장치이다. 시트(21)는 일 표면의 시트 베이스재에 인쇄층을 형성하고 타 표면에 점착층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 프린터는 라인 열적 헤드(lint thermal head)(31)와 플래튼(platen)(32) 사이에 시트(21)를 개재하면서 감열성 점착 시트(21)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 유니트(30)와, 연속하는 감열성 점착 시트(21)를 예컨대 한 쌍의 블레이드(41, 42)로 잡는(pinching) 것으로 절단하는 절단 유니트(40)와, 시트(21)의 점착층을 가열하고 활 성화시키는 열활성화 유니트(50)로 구성된다.
감열성 점착 시트(21)는 롤 상태로 권회된 롤 페이퍼(20)를 프린터장치의 수용부에 수납된다. 감열성 점착 시트(21)는 인쇄면이 위를 향하여 장치 외부로 배출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인쇄 유니트(30)의 열적 헤드(31)는 시트(21)의 상측에 설치되며, 플래튼 롤러(32)는 하측에 설치된다. 반대로, 열활성화 유니트(50)에서는 플래튼 롤러(52)가 상측에 설치되고, 점착층을 가열하는 열적 헤드(51)가 하측에 설치된다.
절단 유니트(40)에서, 한 쌍의 블레이드(41, 42)에 부가하여, 시트(21)의 배출측에 한 쌍의 반송롤러(43, 44)가 설치된다. 이 반송롤러(43, 44) 사이에 개재되면서 감열성 점착 시트(21)가 후단의 열활성화 유니트(50)로 반송된다. 이러한 반송 롤러(43, 44)를 설치하지 않고 인쇄 유니트(30)에 의한 시트의 반송력을 이용하여, 절단 유니트(40)로부터 열활성화 유니트(50)로 감열성 점착 시트(21)가 반송되는 것에 주의하라.
또한, 이 프린터장치에서, 인쇄 유니트(30)의 입구의 앞과 열활성화 유니트(50)의 열적 헤드(51)의 앞에서 시트(21)의 유무를 검출하는 광센서 등의 검출기(S1, S2)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열활성화 유니트(50)의 상세한 내부 측면도를 도시한다.
열활성화 유니트(50)에서, 가열부로서 기판상에 다수의 발열소자가 일렬로 형성되는 열적 헤드(51)와, 이 발열소자에 감열성 점착 시트(21)을 가압하는 플래튼 롤러(52)가 설치된다. 게다가, 전단의 장치로부터 감열성 점착 시트(21)를 반 입하는 삽입부(반입부, 반송수단)에 있어서, 시트(21)의 일 측면에 인접하여 시트(21)의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로서의 삽입부(55)와, 반송된 감열성 점착 시트(21)를 사이에 개재하면서 유니트로 반입하는 한 쌍의 삽입롤러(반송롤러)(53, 54)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삽입롤러(53, 54)는 스텝핑모터(도시생략) 등의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또한, 삽입롤러(53, 54)와 열적 헤드(51)의 사이에는, 시트를 열적 헤드(51)까지 안내하는 하부 가이드(58) 및 상부 가이드(5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열적 헤드(51)의 후단에는 시트(21)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롤러(56)와 배출 가이드(57)가 설치되고 있다.
상기 구성의 프린터장치에 의하면, 감열성 점착 시트(21)가 인쇄 유니트(30)로부터 열활성화 유니트(50)로 반송되는 동안에, 인쇄 유니트(30)에 있어서의 인쇄 처리와, 절단 유니트(40)에 있어서의 소정 길이의 절단 처리와, 열활성화 유니트(50)에 있어서의 점착층의 활성화 처리가 연속적으로 행해지며, 처리되는 감열성 점착 시트(21)가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이러한 처리 동안, 절단 유니트(40)에서의 시트(21)의 반송 속도보다도, 열활성화 유니트(50)에서의 시트(21)의 삽입 속도가 느리게 제어되고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단 유니트(40)와 열활성화 유니트(50) 사이에서 감열성 점착 시트(21)가 절곡되어 일 측면을 향해 부풀게 되고 있다. 여기서, 이 팽창부의 곡선의 방향이 감열성 점착 시트(21)의 감기방향과 동일하게 된다.
도 3은, 열활성화 유니트(50)의 삽입부의 상세한 구성과 감열성 점착 시트 (21)가 반송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실시 형태의 열활성화 유니트(50)에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롤러(53, 54)의 축선방향에서 볼 때, 열활성화 유니트(50)의 삽입 가이드(55)의 선단(T)이, 삽입롤러(53, 54)의 접선이고 삽입롤러(53, 54) 쌍의 접점을 통과하는 기준선(H)에서 시트(21)가 절곡하고 팽창하는 측의 대향하는 Z방향으로 오프세트되게 배열한다. 또한, 가이드면이 삽입롤러(53, 54)에 접근할수록 가이드면과 기준선(H) 사이의 거리가 짧게 되도록 경사가 설치되어 있다.
삽입 가이드(55)의 이런 구성에 의해, 절단 유니트(40)에 의해 절단되고 감겨진 감열성 점착 시트(21)의 선단이 열활성화 유니트(50)의 삽입부로 반송될 때, 시트(21)의 선단이 삽입롤러(53, 54) 사이에 매끄럽게 들어가고, 이 영역에서의 잼 발생 빈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비교로서, 도 4는 삽입 가이드(55)의 오프셋(offset)이 제거되고 그 가이드 선단(T)을 기준선(H)과 같은 높이로 한 구성과, 감열성 점착 시트(21)가 반송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구성에서, 삽입 가이드(55)의 오프셋이 제거된 구성으로서, 삽입 가이드(55)를 따라 연장한 감열성 점착 시트(21)가 감기에 의해 하측에 삽입 롤러에 인접한다. 반면에, 시트(21)의 선단이 삽입롤러(53, 54) 사이에 도입하고, 선단이 삽입롤러(53)에 인접하기 전에 약간 감긴 면이 상측의 삽입롤러(53)에 인접한다(도 4의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시트(21) 참조). 그리고, 시트(21)의 선단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힘이 삽입롤러(53)에서 시트(21)의 선단으로 인가되며, 이 힘은 시트(21)의 선단을 삽입롤러(53, 54) 사이의 중앙으로 유도시키는 힘으로 반작용된다. 따라서, 특정 빈도로 잼이 발생한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 가이드(55)를 아래쪽으로 오프셋시키는 것으로, 시트(21)의 선단보다 약간 감긴 면이 상방의 삽입롤러(53)에 인접하였을 때에도, 이미 시트(21)의 선단이 삽입롤러(53, 54) 사이에 진입하거나 삽입 롤러(53, 54) 바로 이전 위치로 전진하며, 그 진행방향에 반작용하는 힘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된다. 그 결과, 잼의 발생 빈도가 현저히 낮게 된다.
또한, 삽입 가이드(55)의 가이드면이, 삽입롤러(53, 54)에 접근할수록 가이드면과 기준선(H) 사이의 거리가 짧게 되도록 경사져 있다. 따라서, 시트(21)의 선단보다 약간 앞의 감긴 면이 비교적 빠른 단계에서 삽입롤러(53)에 인접하는 경우에도, 그 인접하는 각도는 하향보다도 수평방향에 접근된다. 따라서, 시트(21)의 선단의 진행을 방해하는 힘이 매우 크게 발생하지 않고, 시트(21)의 선단이 한 쌍의 삽입롤러(53, 54) 사이에 매끄럽게 진입된다.
이하, 잼의 발생율을 현저히 낮게 할 수 있는 삽입 가이드(55)의 배치 및 각도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는 십입 가이드(55)의 선단의 최적 위치 범위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은 삽입 가이드(55)의 최적 경사 각도의 범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삽입롤러(53, 54)의 축선방향에 관해 삽입가이드(55)의 배열은, 삽입롤러(53, 54)의 축방향에서 볼 때 가이드선단(T)이 도 5의 범위(W) 내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잼 발생율이 상당히 저하되는 것을 실험에서 확인하였다.
여기서, 범위(W)는, 하기 직선(A, B, C) 및 원호(D)에 의해 에워싸인 범위이다.
직선 A : 삽입롤러(54)의 접선(m1)에 평행하고, 접선(m1)이 기준선(H)에 관해 5°의 경사를 갖고, 이 접선에서 0.3 mm로 Z측에 이격된 직선.
직선 B : 두 개의 삽입롤러(53, 54)의 각 회전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분(N)에 평행하고, 이 선분(N)과 6mm로 이격하는 직선.
직선 C : 삽입롤러(54)의 접선(m2)에 평행하고, 접선(m2)이 기준선(H)에 관해 22°의 경사를 갖고, 이 접선에서 0.2 mm로 Z측에 이격된 직선.
원호 D : 삽입롤러(54)와 동심원이고, 직경이 0.4 mm로 삽입롤러(54)의 직경보다 긴 원호이다.
또한, 도 6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가이드(55)의 가이드면의 경사는, 삽입가이드(55)가 기준선(H)에 가까울 때에는 작게 되기 위해서, 삽입가이드(55)가 기준선(H)에서 분리될 때에는 크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잼 발생율은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실험으로부터 확인하였다.
특히, 가이드면의 추천 경사는 다음과 같다. 가이드 선단(T)이 0.4 내지 0.9 mm의 범위에 있을 때는 O°~5°, 가이드 선단(T)이 기준선(H)에서 0.9~1.4 mm의 범위에 있을 때는 4° 내지 9°의 범위이고, 가이드 선단(T)이 기준선(H)에서 1.4~1.9 mm의 범위에 있을 때는 8° 내지 13°의 범위이고, 가이드 선단(T)이 기준선(H)에서 1.9~2.4 mm의 범위에 있을 때는 12° 내지 17°의 범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삽입가이드(55)를 이런 배치와 경사로 하는 것으로, 삽 입 가이드(55)의 설치가 용이하면서, 삽입부에서의 잼의 발생 빈도를 현저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실시 형태에 도시한 가이드 선단(T)을 배치하는 범위(W)는 잼의 발생빈도를 현저히 낮게 하는 범위이며, 가이드 선단(T)의 배치는 이 범위(W)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직선 B 대신에, 도 5의 선분 N과 10 mm 이격된 직선 B2에 의해 둘러싸이는 범위로 하거나, 직선 C의 대신에 Z측에서 직선 m2로 0.5 mm 이격된 직선 C2에 의해 둘러싸이는 범위로 한 경우라도, 잼의 발생 빈도를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열활성화 유니트의 삽입부에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구성을 적용한 예를 기술하였다, 그러나, 상기 이외에, 2개의 반송 롤러 사이에, 감열성 점착 시트의 선단을 진입시켜 반송하는 영역이 있으면, 이 영역 이전에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의 구성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구성은, 감열성 점착 시트를 가이드 반송하는 구성에 적용되는 것 뿐만 아니라, 예컨대, 롤 페이퍼 등 고정방향에 감긴 시트를 반송하는 기구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감열성 점착 시트의 점착층을 활성화하는 열활성화장치와, 이 열활성화장치와 감열성 점착 시트의 인쇄면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장치를 포함하는 프린터 장치와, 감열성 롤 페이퍼의 이용으로 인쇄와 출력을 행하는 프린터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선단이 전술한 기준선과 동일 높이로 설정한 경우와 가이드면이 전술한 기준선에 평행하게 설정한 경우에 비해, 감열성 점착 시트와 감긴 시트의 선단이 반송 롤러 쌍 사이에 확실하게 진입하도록 할 수 있고, 잼 발생 빈도를 현저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전단의 장치로부터 감열성 점착 시트가 반입되는 반입부와, 반입된 감열성 점착 시트를 반송하면서 가열하는 가열부를 구비하여, 상기 전단의 장치로부터 감열성 점착 시트가 반송되는 속도와 상기 반입부에서의 반입 속도를 다르게 한 것으로, 상기 반입부와 상기 전단의 장치와의 사이에서 감열성 점착 시트를 일 측면을 향해 변형시키도록 구성된 열활성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입부에는, 상기 감열성 점착 시트를 개재하면서 반송하는 한 쌍의 반송 롤러와, 이 한 쌍의 반송롤러의 전단에 설치되고 상기 감열성 점착 시트의 일 표면에 인접하여 해당 감열성 점착 시트의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면 중 상기 반송롤러에 가장 가까운 가이드 선단이, 상기 반송 롤러의 회전 축방향에서 볼 때, 상기 반송 롤러의 접선이고 또한 해당 한 쌍의 반송 롤러의 접점을 지나는 기준선에서, 상기 감열성 점착 시트가 변형하여 부풀어 커지는 측의 반대방향으로 변위한 위치에 배치되는 열활성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면을, 상기 반송롤러에 가까울수록 상기 가이드면과 기준선 사이의 거리가 짧게 되도록 경사지게 설치한 열활성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선단이, 상기 기준선에서 R x 0.05 내지 R × 0.3의 길이 만큼 변위되고, 여기서 R은 한 쌍의 반송 롤러 중 상기 가이드 선단이 변위한 측에 있는 반송 롤러의 지름이고,
    상기 가이드면의 상기 가이드 선단의 부분에 있어서의 경사가 상기 기준선에 대하여 0°내지 17°로 설정되고,
    상기 가이드선단이, 상기 한 쌍의 반송 롤러의 각각의 회전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으로부터 R ×O.25 내지 R ×O.75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한 열활성화장치.
  4. 롤 페이퍼에서 인출된 고정방향으로 감긴 시트를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라인 열적 헤드를 갖고 이 라인 열적 헤드에 의해 상기 시트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기구를 구비한 프린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수단은, 상기 시트를 사이에 개재하면서 반송하는 한 쌍의 반송 롤러와, 이 한 쌍의 반송 롤러의 전단에 설치되고 상기 시트의 한 면에 접촉하여 해당 시트의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갖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면 중 상기 반송 롤러에 가장 가까운 가이드 선단이, 상기 반송 롤러의 회전 축방향에서 볼 때, 상기 반송 롤러의 접선으로 해당 한 쌍의 반송 롤러의 접점을 지나는 기준선에서, 상기 시트가 감기에 의해 팽창하는 측의 반대방향으로 변위한 위치에 배치되는 프린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면을, 상기 반송 롤러에 가까울수록 상기 가이드면과 기준선 사이의 거리가 짧게 되도록 경사지게 설치한 프린터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선단이, 상기 기준선보다도 R x 0.05 내지 R × 0.3의 길이 만큼 변위되고, 여기서 R은 한 쌍의 반송 롤러 중 상기 가이드 선단이 변위한 측에 있는 반송 롤러의 지름이고,
    상기 가이드면의 상기 가이드 선단의 부분에 있어서의 경사가 상기 기준선에 대하여 0°내지 17°로 설정되고,
    상기 가이드선단이, 상기 한 쌍의 반송 롤러의 각각의 회전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으로부터 R ×O.25 내지 R ×O.75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한 프린터장치.
KR1020050014568A 2004-02-26 2005-02-22 열활성화장치 및 프린터장치 KR1011558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50987A JP4575000B2 (ja) 2004-02-26 2004-02-26 熱活性化装置およびプリンタ装置
JPJP-P-2004-00050987 2004-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075A KR20060043075A (ko) 2006-05-15
KR101155812B1 true KR101155812B1 (ko) 2012-06-12

Family

ID=34879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568A KR101155812B1 (ko) 2004-02-26 2005-02-22 열활성화장치 및 프린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13993B2 (ko)
EP (1) EP1602586B1 (ko)
JP (1) JP4575000B2 (ko)
KR (1) KR101155812B1 (ko)
DE (1) DE602005013447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78956B2 (en) * 2004-10-14 2009-01-20 Seiko Instruments Inc. Printer for printing on both a heat-sensitive adhesive label and an ordinary label
JP4369863B2 (ja) * 2004-12-15 2009-11-25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プリンタおよび粘着ラベル製造方法
JP4883671B2 (ja) * 2005-09-09 2012-02-22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熱活性化装置およびプリンタ
JP2009119861A (ja) * 2007-10-26 2009-06-04 Brother Ind Ltd 印刷装置
JP5769466B2 (ja) * 2011-03-28 2015-08-26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粘着ラベル発行装置及びプリンタ
JP2014162543A (ja) * 2013-02-27 2014-09-08 Seiko Instruments Inc 粘着ラベル発行装置、及びプリンタ
JP6601005B2 (ja) * 2014-09-05 2019-11-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KR102187668B1 (ko) * 2016-10-25 2020-12-08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인쇄 가능 매체의 일부의 일시적 고정
CN111255168A (zh) * 2020-01-17 2020-06-09 安徽润辉高分子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五层自粘型防潮材料、应用及其设备和制作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553A (ko) * 1996-12-28 1998-09-25 김영환 열전사방식 칼라프린트
JP2003316265A (ja) 2002-04-19 2003-11-07 Sii P & S Inc 感熱性粘着シートの搬送および切断方法並びに感熱性粘着シート用プリンタ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5270A (ja) * 1988-03-28 1989-09-29 Canon Inc 電子写真記録装置
US5115322A (en) * 1989-06-30 1992-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Guiding mechanism for a facsimile for preventing jam of heat-sensitive recording paper
JP3404142B2 (ja) * 1994-09-06 2003-05-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用紙姿勢制御装置
US5895552A (en) * 1994-09-14 1999-04-20 Osaka Sealing Printing Co., Ltd. Bonding apparatus for cutting label continuum having labels formed successively and bonding label to object
JP3510026B2 (ja) * 1995-01-12 2004-03-22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ラーサーマルプリント方法
JP3590701B2 (ja) * 1995-11-16 2004-11-17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ラーサーマルプリント方法及び装置
JPH1081029A (ja) * 1995-12-12 1998-03-31 Fuji Photo Film Co Ltd 感熱プリント方法及び感熱プリンタ
JPH10147753A (ja) * 1996-01-30 1998-06-02 Ricoh Co Ltd 感熱性粘着ラベルの熱活性化方法及びその装置
JP4655316B2 (ja) * 1999-08-09 2011-03-23 株式会社寺岡精工 ラベル発行装置
JP2001212997A (ja) * 2000-02-03 2001-08-07 Fuji Photo Film Co Ltd サーマルプリンタ
JP4137498B2 (ja) * 2002-04-22 2008-08-20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熱活性シートの熱活性化装置およびその熱活性化装置を用いたプリンタ装置
JP4497800B2 (ja) * 2002-08-05 2010-07-07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感熱性粘着シートの熱活性化装置およびプリンタ装置
JP4110045B2 (ja) * 2003-06-05 2008-07-02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感熱性粘着シート用プリンタ
JP4137708B2 (ja) * 2003-06-09 2008-08-20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感熱性粘着シート用プリンタ
JP4146292B2 (ja) * 2003-06-09 2008-09-10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JP4073827B2 (ja) * 2003-06-10 2008-04-09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プリンタ
JP4369863B2 (ja) * 2004-12-15 2009-11-25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プリンタおよび粘着ラベル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553A (ko) * 1996-12-28 1998-09-25 김영환 열전사방식 칼라프린트
JP2003316265A (ja) 2002-04-19 2003-11-07 Sii P & S Inc 感熱性粘着シートの搬送および切断方法並びに感熱性粘着シート用プリン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5013447D1 (de) 2009-05-07
JP2005239853A (ja) 2005-09-08
US7213993B2 (en) 2007-05-08
EP1602586A1 (en) 2005-12-07
EP1602586B1 (en) 2009-03-25
US20050191109A1 (en) 2005-09-01
KR20060043075A (ko) 2006-05-15
JP4575000B2 (ja) 201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5812B1 (ko) 열활성화장치 및 프린터장치
EP1406230B1 (en) Label and method of using a label
JP4064707B2 (ja) 感熱性粘着シートの搬送および切断方法並びに感熱性粘着シート用プリンタ
US8834048B2 (en) Printer with cutter having blade including linerless label supporting portion
JPH0776446A (ja) 用紙搬送装置
JPH08169149A (ja) 用紙排出装置
CN110789229B (zh) 印刷装置
KR101076584B1 (ko) 열활성화장치
JP4369863B2 (ja) プリンタおよび粘着ラベル製造方法
JP6705490B2 (ja) ラベルプリンタ、プログラム、及びラベル発行方法
EP1947015B1 (en) Thermal activation printer
JP4137708B2 (ja) 感熱性粘着シート用プリンタ
JP2004269245A (ja) プリンタ
JP4074811B2 (ja) プリンタおよびプリンタ制御方法
JP3770002B2 (ja) プリンタ及びその制御方法
JP4110045B2 (ja) 感熱性粘着シート用プリンタ
JP4073827B2 (ja) プリンタ
JPH09142708A (ja) 用紙排出装置
JP4175359B2 (ja) 印刷機用シータの紙詰まり防止方法及び装置
JP3556940B2 (ja) 媒体搬送ガイド
JP2001219917A (ja) ラベル貼付機
JPH08244260A (ja) ラベルプリンタ
JP2004123148A (ja) ラベル貼付方法及びその装置
JPH07137381A (ja) プリンタの用紙案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